KR20040095388A -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5388A
KR20040095388A KR1020030026667A KR20030026667A KR20040095388A KR 20040095388 A KR20040095388 A KR 20040095388A KR 1020030026667 A KR1020030026667 A KR 1020030026667A KR 20030026667 A KR20030026667 A KR 20030026667A KR 20040095388 A KR20040095388 A KR 20040095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character
input
inputting
chin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9873B1 (ko
Inventor
김상근
Original Assignee
김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근 filed Critical 김상근
Priority to KR1020030026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873B1/ko
Publication of KR20040095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47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PDA, 두 벌식 표준자판, 특수(속기)자판 등에서 한글자모를 이용하여 한글뿐만 아니라 영어, 한자, 중국어, 일본어, 특수문자 등 다양한 형태의 문자를 누구나 적은 노력으로 손쉽고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글의 14개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5개의 쌍자음(ㄲ,ㄸ,ㅃ,ㅆ,ㅉ), 10개의 기본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11개의 결합모음(ㅐ,ㅒ,ㅔ,ㅖ,ㅚ,ㅘ,ㅙ,ㅟ,ㅝ,ㅞ,ㅢ), 아래아(·) 그리고 구분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부; 영어단어목록부와, 한자단어목록부, 중국어단어목록부, 일본어단어목록부 및 특수문자목록부를 구비하여 대응되는 단어를 출력하는 다문자 단어목록부; 상기 키버튼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의 입력모드를 판별한 뒤 그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다문자 단어목록부에서 검색하여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한글자모로 이루어진 한 가지 자판만을 이용하여 한글, 영어, 한자, 중국어, 일본어,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발명임.

Description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input various characters of countrys using hangul letters and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컴퓨터용 표준자판을 보면, 한글자모, 영어 알파벳, 문장부호 등을 각각 입력할 수 있도록 각 문자에 대응되는 키버튼들이 구비되어 해당 키버튼을 누름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현재 입력하던 언어의 문자에서 다른 언어의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는 [한/영]키나 [한자]키처럼 전용의 문자모드 변환키를 이용하여 모드를 변환한 뒤 해당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거나, 영어의 경우 "Caps Lock"키로 대/소문자를 변환입력하도록 하고 있고, 일본어의'가나'나 기타 특수문자들은 메뉴에서 선택하거나 단축키를 이용하여 해당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는 모드로 변환한 뒤 입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외국어를 해당 언어의 자모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그 언어의 철자법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될 뿐만 아니라, 자모의 배열상태도 숙지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철자를 제대로 알지 못하면 입력시킬 수도 없고, 자판 입력규칙에 숙달되지 못하면 입력속도도 느려 입력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문자모드 변환방법은, 예컨대 키를 단독으로 눌러 변환하는 문자변환 모드로서,'한/영'과'한자', 두 가지가 있으며, 영어는'Caps Lock'키로 대/소문자를 전환하므로, 모두 3개의 키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 3개의 키는 어떠한 경우라도 자모(한글/영어)가 할당된 26개의 키 외에 별도로 구비하여야한다. 또한, 두 개의 키를 결합하여 변환하는 방법으로서, 왼쪽'시프트'키와'스페이스'키, 오른쪽'시프트'키와 '스페이스'키를 결합하여 누르면, 각각 2조씩 문자모드가 할당되어 있고, 각 조는 토글(왕복)변환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좌우 두'시프트'키와 중심에 있는'스페이스'키를 결합하여 모두 4개의 문자모드를 할당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자판구조와 운용방법이 번잡해지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도 복잡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한글자모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14개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5개의 쌍자음(ㄲ,ㄸ,ㅃ,ㅆ,ㅉ), 10개의 기본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11개의 결합모음(ㅐ,ㅒ,ㅔ,ㅖ,ㅚ,ㅘ,ㅙ,ㅟ,ㅝ,ㅞ,ㅢ), 아래아(·) 그리고 다용도 도움문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한글, 외국어, 특수문자 등)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고 용이하게 그리고 입력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두 벌식 표준자판에서 문자입력을 위한 주요 키버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의 (a)는 본 발명이 채용된 두 벌식 표준자판, 도 3의 (b)에는 모드변환용 키버튼에 기능을 할당한 상태도 및 그에 따른 기능설명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모의 글꼴에 대응하는 한자 부분자의 분류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모의 글꼴과 한자의 부분자간의 대응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대응규칙에 따른 한자 기본요소의 획수별 분류예,
도 7은 중국어 병음에 대응하는 한글 발음표기법 비교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히라가나 음절형태와 한글 음절의 "1:1"대응예,
도 9는 일본어 동음이체자를 변별하여 입력하는 방식 비교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특수문자 3단 분류 및 최종입력명 구성예.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는, 한글의 14개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5개의 쌍자음(ㄲ,ㄸ,ㅃ,ㅆ,ㅉ), 10개의 기본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11개의 결합모음(ㅐ,ㅒ,ㅔ,ㅖ,ㅚ,ㅘ,ㅙ,ㅟ,ㅝ,ㅞ,ㅢ), 아래아(·) 그리고 다용도 도움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부; 영어단어목록부, 한자단어목록부, 중국어단어목록부, 일본어단어목록부 및 특수문자목록부를 구비하여 대응되는 단어를 출력하는 다문자 단어목록부; 상기 키버튼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의 입력모드를 판별한 뒤, 그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다문자 단어목록부에서 검색하여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은, 입력할 문자의 종류에 대한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입력모드선택단계; 한글의 14개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5개의 쌍자음(ㄲ,ㄸ,ㅃ,ㅆ,ㅉ), 10개의 기본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11개의 결합모음(ㅐ,ㅒ,ㅔ,ㅖ,ㅚ,ㅘ,ㅙ,ㅟ,ㅝ,ㅞ,ㅢ), 아래아(·) 그리고 다용도 도움문자(^)로 이루어진 한 가지 자판만을 이용하여 각 국 문자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입력되는 문자정보에 따라 영어단어목록부와, 한자단어목록부, 중국어단어목록부, 일본어단어목록부 및 특수문자목록부에서 해당 문자 및 단어를 검색하여 출력함으로써 한글, 영어, 한자, 중국어, 일본어, 특수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은, 입력할 문자의 종류에 대한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입력모드선택단계; 한글의 14개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5개의 쌍자음(ㄲ,ㄸ,ㅃ,ㅆ,ㅉ), 10개의 기본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11개의 결합모음(ㅐ,ㅒ,ㅔ,ㅖ,ㅚ,ㅘ,ㅙ,ㅟ,ㅝ,ㅞ,ㅢ), 아래아(·) 그리고 다용도 도움문자(^)로 이루어진 한 가지 자판만을 이용하여 각 국 문자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입력되는 문자정보에 따라 영어단어목록부와, 한자단어목록부, 중국어단어목록부, 일본어단어목록부 및 특수문자목록부에서 해당 문자 및 단어를 검색하여 출력함으로써 한글, 영어, 한자, 중국어, 일본어, 특수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구현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방법은, 한글과 외국문자 및 특수문자를 입력함에 있어, 한글자모만을 이용하는"한(글)판식"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한판식"이라 정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한판식'은'하나'의 입력규칙만 이용하되, 한글 단독자모로 표기할 수 없는 초성음가는 자음<ㅇ>만 후치결합하여 입력하고, 어떤 문자든 한 가지 자판형식만 사용하며, 이러한 한 가지 입력방법을 휴대폰, PDA, 표준자판, 특수(속기)자판 등 모든 기기에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특히, 한글 외에는 모든 문자(영어, 한자, 특수문자, 중국어, 일본어 등)를 자모'풀어치기'한 가지로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판식 입력방법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로는 다음 표 1과 같이 모두'41개'의 한글자모를 이용하고 있다. 이중에는 특별히 아래아(·)자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아래아(·)자는 현대문을 구성하는 데는 쓰이지 않지만 간판이나 상호(브랜드명) 등에서는 적지 않게 쓰이고 있는 점을 감안한 것이고, 꺾쇠(^)기호는 다양한 문자형태를 입력하는데 다용도 도움기호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한글자모들을 입력할 수 있는 키버튼을 구비하여 각종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보드(10)와 상기 키보드(10)로부터 입력된 키신호들에 따라 단어목록부(30)에서 해당 음소, 음절, 단어 등을 불러내어 조합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 영어단어목록부(31), 한자단어목록부(32), 중국어단어목록부(33), 일본어단어목록부(34), 특수문자목록부(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단어목록부(30),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0)가 실행할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롬(40)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 부호 (50)은 조합된 문자 또는 문장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이다.
본 발명의 한판식에서는, 자모를 옆으로 나열하는'풀어치기'와, 각 음절의 첫소리만을 빼어 나열하는'빼어치기'로서 문자를 입력하면 단어목록부(30)에서 해당 문자나 단어를 검색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문자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키입력부의 일 실시예로서, 두 벌식 표준자판에서 문자입력을위한 주요 키버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입력예와 같이 어떤 문자형태든지 한글자모만을 이용하여 입력하므로, 자판에 별도로 영문알파벳을 표기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중국어나 일본어도 한글자모로 입력하기 때문에 입력규칙을 따로 익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준자판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판에 모두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각종 문자(영어, 한자, 중국어, 일본어, 특수문자)의 입력을 위한 문자입력모드의 변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판식 모드변환 방법은, 자모가 배열된 키 외에 모드변환을 위해 별도의 기능키를 구비하지 않고 자모가 배열된 키버튼만으로 모드변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아래와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문자입력모드 변환방법은, 좌우 대칭위치 키버튼을 동시에 눌러 모드를 변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방법은 좌우 손가락'8개'가 기준위치에서 각각 4개의 키버튼 위에 놓이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좌우 검지, 좌우 중지, 좌우 약지, 또는 좌우 애지를 동시에 누른다. 이때 동시에 눌린 두 개의 키는 제3의 값을 산출하게 되고, 여기서 산출된 제3의 값은 모드변환 기능과 대응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3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두 벌식 표준자판에서의 모드변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자판에서는 자음<ㄹ>이 배치된 키버튼은 왼손 착지기준점이고, 모음<ㅓ>가 배치된 키버튼은 오른손 착지기준점이다. 이 기준점에 양손 검지가 놓인 상태가 운지의 기본자세가 되는데, 이 기본자세, 즉 운지가 정지된 상태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양손의 대칭점을 눌러 모드변환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이다.
도 3의 (b)에는 모드변환용 키버튼에 기능을 할당한 상태도 및 그에 따른 기능설명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쌍 하나하나마다 기능키가 대응하고 있는데, 대칭쌍의 수효를 늘리면 그만큼 운용할 수 있는 기능키의 수효도 더 확보하게 되지만, 운지용이성에 따른 효율성면에서 볼 때, 동일행에서만 대칭쌍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왼손 검지와 오른손 검지의 착지점인 <ㄹ>과 <ㅓ> 키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영어 소문자모드로 변환되고, 왼손 중지와 오른손 중지의 착지점인 <ㅇ>과 <ㅏ> 키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영어 대문자모드로 변환되며, 왼손 검지와 중지의 착지점인 <ㄹ>과 <ㅇ> 키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영어 첫글자 대문자모드로 변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왼손 약지와 오른손 약지의 착지점인 <ㄴ>과 <ㅣ> 키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특수문자 입력모드로 변환되고, 왼손 검지와 오른손 검지를 이용하여 <ㅎ>과 <ㅗ> 키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한자모드로 변환되며, 왼손 애지와 오른손 애지의 착지점인 <ㅁ>과 <;> 키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외국어를 한글발음대로 입력할 수 있는 모드로 변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위와 같이 모드가 변환된 상태에서 기본모드인 한글모드로 되돌아 오려면, 변환할 때와 동일한 키버튼을 눌러 입력모드를 토글(왕복변환)시킨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기준운지자세에서 대칭쌍 동시누르기에 의한 모드변환방법은 휴대폰이나 일반전화기와 같은 소형단말기에서는 자판의 공간적 제약상 키버튼의 수효가 너무 적어 적용하기가 어렵고, 액정화면 PDA와 같이 자판을 구비할 수 없는 경우는 원천적으로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없으므로. 이 방법은 두 벌식 표준자판이나 특수(속기)자판처럼 두 손으로 타자할 수 있는 자판에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두 번째 모드 변환방법으로서,'변환식별자'에 의한 문자모드 변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방법은 한글자모만을 조합하여 모드를 변환하는 방법으로서, 한글 문자생활에서 모음<ㅒ>가 붙는 글자 가운데 ""처럼 발생빈도가'0%'인 글자들과 같이 아무 값도 대응되어있지 않은 키조합들을'식별자'로 활용하여 기능을 변환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키조합에 의해 발생빈도가'0%'인 글자들 가운데 몇 개를 골라내어 이 글자들을 모드변환 기능과 대응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모드를 변환하는데 쓰이는 글자들은 모드를 변환하는 기능만 담당할 뿐, 실제로는 기능키가 아니므로 실체가 없는 기능키인 것이다. 그래서 이와 같은 글자들은 정규로 구비된 기능키라 볼 수 없고, 단지 기능을 변환하는데'식별'하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변환 식별자'라 정의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다음 표 2는 변환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는 음절의 구성표이다.
상기 표 2에서'가'군에 속한 글자들은, 보편적인 문자생활에서 어휘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변환식별자로 쓸 수 없고,'나'군에 속한 글자들 중 일부를'변환식별자'로 이용하게 된다. 아래의 표 3은 변환식별자를 이용하여 모드를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변환식별자의 기능키 할당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상기 할당예에서는 현재 어느 문자모드에 있든 상관없이 자음<ㄴ>과 모음<ㅒ>를 입력하면,라는 음절형태를 이룸과 동시에 영어 소문자를 입력하는 모드로 식별하게 되고, 이런 식으로 "" 라는 식별자 하나하나마다 표 3과 같은 기능이 대응되어 수행되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변환식별자로 이용할 수 있는 음절 중에서 선택하여 필요한 기능을 대응시키면 예시된 변환모드 외에 수많은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됨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환식별자를 이용한 문자모드 변환방법은 자판의 공간적 제약 때문에 여러 개의 기능키를 구비하기 힘든 소형 단말기(휴대폰, 일반전화기, PDA, 리모콘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표준자판과 같이 기능키를 정규로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방법 중 영어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어입력방법은 단어목록부(30)에 단어목록을 저장해두고 그에 대응하는 한글값으로 치환하는 방법으로서, 두 글자 이상으로 이루어진 단어형태 또는 문장형태로 입력하는 방법과 알파벳을 한 자씩 낱글자로 입력하는 방법이 있으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본 운지위치에서 좌우대칭쌍 동시누르기를 이용하여 소문자, 대문자, 초두대문자 3가지 모드를 변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먼저, 영어입력방법중 단어형태를 한글자모로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규칙에 대하여 설명한다.
영어음절의 초성을 입력하기 위해 설정된 규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자음<ㅇ>은 첫소리 위치에서 입력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판식은 한글자모를'풀어치기'로 입력하는 방법이므로, 영어 알파벳을 좌우 나열식으로 입력할 때와 동일한 형태가 된다.
따라서 초성<ㅇ>을 생략해도 전체적인 변별성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초성<ㅇ>을 생략하면 입력효율도 높아지고, 또 초성<ㅇ>을 붙이지 않는 형태는, 영어 알파벳으로 문자생활을 하는 일반적인 관습과도 일치한다. 즉, 알파벳<e>는 앞에 초성을 선행시키지 않고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표기하자면 초성<ㅇ>이 붙는 <에>가 아니라, 붙지 않는 <ㅔ>가 더 정확한 표기법인 것이다.
둘째, 한글 단독자모와"1:1"대응관계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는, 일률적으로 자음<ㅇ>을 후치 결합하여 입력한다.
표 4에 규정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글 단독자모로 영어의 실제발음을 표기할 수 없는"f, r, th, v, z"음은, 그 기본자음"ㅍ, ㄹ, ㄷ, ㅂ, ㅈ"뒤에 자음<ㅇ>을 일률적으로 붙여 입력한다.
단, <r>은 <ㄹㅇ>으로 표기하는 것이 정칙이지만, 낱말 가운데에 올 때는 <ㅇ>을 빼고 <ㄹ>만 표기할 수도 있다. 한국인은 일반적으로 <r>음을 <l>음과 구별하여 쓰지 않기 때문에, 문자생활의 관습을 고려한 것이다[tree = ㅌ,ㄹㅇㅣ = ㅌ,ㄹ(ㅇ)ㅣ = ㅌ,ㄹㅣ].
셋째, <-th>는 두 가지(ㅌㅇ, ㄷㅇ)로 발음되나, 입력 시에는 편의상 <ㄷㅇ>으로 통일할 수 있다(the = ㄷ어; think = ㅌ이ㅇ,ㅋ = ㄷ이ㅇ,ㅋ).
이어, 영어음절의 종성을 입력하기 위해 규정된 규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관용표기법에 따르지 않고, 영어의 실제발음을 그대로 수용하여 표기한다.
set = 세ㅌ (관용 : 셋), cup = 커ㅍ (관용 : 컵), book = ㅂㅜㅋ (관용 : 북)
둘째,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종성<ㄹ> 뒤에 초성 <ㄹ>이 반복되는데, 이 때 단독<ㄹ>은 허용하지 않는다(clean = ㅋ[ㄹ],ㄹㅣㄴ; please = ㅍ[ㄹ],ㄹㅣ,ㅈㅇ). 관용적으로'clean'을 '크린'으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어 이 규정을 둔 것이다.
또한, 영어 중성발음을 한글자모로 입력할 수 있도록 규정된 규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초성<ㅇ>을 소거하고 모음만 표기한다(ace = ㅐㅣ,ㅅ; east = ㅣ,ㅅ,ㅌ).
둘째, 모음<ㅡ>를 표기하지 않는다.
영어 알파벳 표기에서 한글 중성 <ㅡ>에 대응하는 표기형태가 없어, 중성<ㅡ>를 표기하지 않는 형태가 오히려 영어를 표기하는 관습에 더 합치하는 면이 있다. 또한, 초성<ㅇ>을 입력하지 않으므로서 입력타수가 줄어들어 입력효율이 높아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셋째, 자음<R>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중립모음'이 되며, 꺾쇠(^)로 표기한다.
넷째, <-a>는 <-ㅐ>자로, <-e>는 <ㅔ>자로 각각 표기하되, <ㅐ>와 <ㅔ>를 구분하지 않으려면, <ㅔ>로 통일하여 입력한다.
다섯째, 모음 뒤에서 일어나는 장음현상을 표기하는 방법
ㄱ) 단모음 뒤에서 장음현상이 일어날 때는, 해당모음을 중복한다.
lead = 리(ㅣ),ㄷ; soon = ㅅㅜ(ㅜ)ㄴ
ㄴ) 단, 복모음 뒤에서 장음현상이 일어날 때는, 따로 장음표시를 붙이지 않는다.
복모음 자체에서 음성적으로 장음현상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장음표시를 따로 붙이지 않는 것이다.
music = ㅁㅠ,ㅈㅣㄱ : <ㅠ>에서 [ㅣ+ ㅜ]의 장음현상이 일어난다.
word = ㅝ^,ㄷ : <ㅝ>에서 [ㅜ +ㅓ]의 장음현상이 일어난다.
sweet = ㅅ,ㅟ,ㅌ : <ㅟ>가 [ㅜ +ㅣ]로서 자연스럽게 길게 발음된다.
여섯째, 동음이체자를 구분하는 방법
영어 낱말을 한글발음으로 표기하면, 동일한 발음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발음표기가 중복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ㄱ) 글자수가 다를 경우에는, 글자수가 많은 쪽에 그 표기형의 끝자를 반복한다.
I (ㅏㅣ); eye (ㅏㅣㅣ)
for (ㅍㅇㅗ^); four (ㅍㅇㅗㅗ^)
ice (ㅏㅣ,ㅅ); eyes (ㅏㅣ,ㅅㅅ)
ㄴ) 글자수가 같을 경우에는, 빈도가 낮은 쪽에 그 표기형의 끝글자를 반복한다.
see (ㅅㅣ); sea (ㅅㅣㅣ)
다음에는 위와 같은 영어 단어형태를 한글자모로 입력할 수 있도록 규정된 규칙에 따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영어 단어를 단어목록부(30)에 저장해놓고 한글 발음기호로, 또는 해당 영어단어의 한국어 뜻으로 입력하여 치환하는 방법으로서, 이는 모두 한글 풀어치기로 입력하며, 발음이 유사한 단어들이 목록에 나열되도록 구성한다.
첫째, 3음절 이하로 된 단어형태를 입력할 때에는 대문자, 소문자, 첫대문자 모드와 같은 3가지 중에서 목적하는 모드를 선택하고, 한글 자모로 입력하는 규칙에 따라 풀어치기로 입력한다.
여기서,'ace'를 외래어표기법대로 입력하면'에이스 = ㅔㅣㅅ'가 되나, 본 발명의 한판식으로 입력하면'ㅐㅣㅅ'가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두 가지 표기형 가운데 어느 쪽을 선택하든 화면에는'ace'로 출력되도록 관용 표기법과 한판식 표기법을 모두 단어목록부(30)에 수용하였다.
또한,'good'을 외래어표기법으로 입력하면'굳 = ㄱㅜㄷ'이 되고, 본 발명의 한판식으로 입력하면'귿 = ㄱㄷ'이 된다. 실제'good'의 발음은 <굳>보다는 <귿>에 가깝다. 사실, <굳>을 글자대로 발음하려면, 입술이 둥글게 유지된 상태에서 앞으로 쭉 삐져나오기 때문에 자연히 발성저항이 커진다. 그래서 발음할 때 발성저항을 줄이려고 입술을 자연스럽게 벌리고 <그ㄷ>식으로 소리내는 것이다. 영어에서 이와같이 발성저항을 줄이려고 간편하게 발음하는 경우가 많은데, 한글발음으로 입력할 때도 이처럼 실제발음을 그대로 살려 입력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영어를 입력하다 보면, 영어의 실제(현실)발음을 익히는 데도 상당히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4음절 이상으로 된 영어 단어형태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방법으로는'3음절'이하 단어를 입력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입력할 수도 있고, 또한 다음과 같이 4음절 이상으로 이루어진 단어부터는 대응되는 음절 하나하나에서 첫글자를 빼어 입력할 수도 있다.
영어를 단어형태로 입력하는 방법에서 3음절이하 단어와 4음절이상 단어로 분류한 이유는, 4음절이상이 되면 음절의 첫글자만을 빼어 단축형태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입력요소가 4개이상이 되면 단어 대응값에서 중복이 발생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academi'를 발음기호로 표기하면, ①"ㅓ,ㅋㅐ,ㄷㅓ,ㅁㅣ", 또는 ② "ㅏ,ㅋㅏ,ㄷㅔ,ㅁㅣ"가 되고, 4개의 음절에서 각각 첫소리를 빼어 나열하면, ③"ㅓ,ㅋ,ㄷ,ㅁ", 또는 ④"ㅏ,ㅋ,ㄷ,ㅁ"가 된다. 이 첫소리 자모 4개만 입력하면, 알파벳 7개로 이루어진'academi'를 간단히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4음절이상 단어는 풀어치기와 빼어치기를 병행할 수 있게 되는데, 둘 중에서 어느 방법을쓸 것인지는 사용자의 타자관습이나 타자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셋째, 문장형태의 영어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에는 단어형태와 입력되는 원리가 같으므로 모드를 변환하지 않는다.
예컨대"See you tomorrow"라는 입력예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5음절인'ㅅㅠㅌㅁㄹ'가 4음절의'슈,ㅌㅁㄹ'로 인식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모음 앞에 구분자(^)표시를 하여'ㅅ^ㅠㅌㅁㄹ'로 입력하면 5음절 단어(문장)로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분자(^)는 모음 뒤에 오면 중립모음으로 사용되고 모음 앞에 오면 음절 구분자로 사용된다.
넷째, 한국어 뜻으로 영어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국어 뜻으로 영어를 입력하는 방법에서도 영어모드에서 그대로 한글단어를 풀어치기로 입력하므로 모드를 변환하지 않는다. 즉, 아래의 입력예와 같이 한글발음의'애플'이나 한국어 뜻인'사과'중에서 어느 것을 입력해도 그 결과값이'apple'이 되도록 단어목록부(30)에 저장되어있기 때문에 결과는 동일한 것이다.
다음과 같이 하나의 한글단어에 대해 복수의 영어단어가 나열된 결합형태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고, 따라서, 아무리 긴 문장형태라도 입력되는 원리는 동일하다.
예) 경찰서 = [ㄱㅕㅇ,ㅊㅏㄹ,ㅅㅓ] => police station
경제성장률=[ㄱㅕㅇ,ㅈㅔ,ㅅㅓㅇ,ㅈㅏㅇ,ㄹㅠㄹ] => the economic growth rate
어디서 오셨어요?=[ㅓ,ㄷㅣ,ㅅㅓ,ㅗ,ㅅㅕㅆ,ㅓ,ㅛ,?] => Where are you from?
다섯째, 단어 입력모드에서 모드변환 없이 낱글자형태로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어를 나열하여 영어문장을 구성해 나가다보면 알파벳 낱자로 입력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 때 이 낱자형태(예:IAEA)는 단어목록에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어 입력방식으로는 처리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를 미리 상정하여 단어목록에 낱글자도 모두(26자) 포함시켜 놓았기 때문에, 단어형 입력모드에서도 모드변환 없이 낱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단, 단어입력모드에서 낱글자를 입력하려면, 알파벳을 한 자씩 입력할 때마다 확정키를 눌러줘야한다. 왜냐하면, 알파벳 낱글자에 대응하는 한글자모값을 연이어 입력했을 때, 우연히 단어형태 한글자모값과 일치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ㅏㅣㅅ'를 연이어 입력했을 때, 낱글자 형태인'ies'가 입력되는 것이 아니고, 단어형태인'ice'나'eyes'가 출력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낱글자 한글형과 단어 한글형이 우연히 같을 경우 양자가 변별되지 않으므로, 낱글자를 입력할 때는 반드시 한 자씩 끊어서 입력해야 한다. 즉, 알파벳 한 자를 입력하고 '확정'하고, 또 한 자를 입력하고'확정'하는 식이다.
예제 입력 : Tonight ABC News
다음에는 영어 입력방법중 두 번째 방법인 알파벳을 낱글자 전용모드에서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알파벳을 낱글자형태로 입력하는 방법은, 영어 단어형태 입력모드에서 단어목록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단어나 낱자형태로 길게 입력해야 할 경우 사용된다. 즉, 영어 단어입력모드에서도 낱글자 몇 자를 입력하는 경우는, 모드변환 없이 바로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만, 사람이름이나 지명같은 고유명사라든지, 또는 사용빈도가 낮아 특정분야에서만 쓰는 용어같은 경우는 사실상 단어목록에 모두 수용하기가 어렵다. 이처럼 단어목록에 없는 경우에는 낱글자로 입력할 수밖에 없는데, 이런 경우는 일반적인 영어 알파벳 입력방식과 마찬가지로 한 자씩 입력하게 된다. 단, 이 방법은 낱글자 전용모드로 바뀐 상태이기 때문에, 낱글자'확정키'를 일일이 누르지 않고 한글자모를 연이어 입력해도 된다. 이 낱글자 전용모드는 저장된 단어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으므로, 키버튼을 연이어 눌러도 일반적인 영어모드처럼 알파벳 낱자만 연이어 입력되는 것이다.
영어 알파벳 낱글자와 한글자모의 대응규칙은 표 6과 같다. 이 방식은 양자 대응값 치환방식이므로, 영어 알파벳 26자에 대응하는 한글자모값만 정해지면 되는데, 단, 이 때 양자의 대응규칙이 단순할수록 치환값에 대한 연상저항이 적어지는 것은 자명하다.
영어 알파벳 자음에 해당하는 한글자모의 대응값 치환규칙은 일반적인 외래어표기법에 따르되, 한글 단독자모와'1:1'로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F, Q, R, V, X, Z)는, 위 표 5에 보인 것처럼 일률적으로 그 기본자음에 자음<ㅇ>을 후치 결합하여 생성하도록 한다. 한글 단독자모와'1:1'대응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는"F, Q, R, V,X, Z"는 그 기본자음을 입력했을 때, 영문 기본자가 먼저 출력된다. 즉, <F>자를 입력하는 경우라면,"F = ㅍ+ㅇ"이므로 <ㅍ>을 눌러 먼저 <P>를 출력한 뒤, <ㅇ>을 연이어 입력하면 <P>가 <F>로 바뀐다(F = P +<ㅇ>). 이 때, 후치 결합자인 자음<ㅇ>은 선입력된 글자를 변환하는 역할만 하게 된다. 또한, <F>는 <ㅍㅇ>로 입력하는 것이 정칙이나, 입력 시에는 자판의 조건에 따라 편의상 <ㅎㅇ>으로 할 수도 있고, <Q>도 위의 <F>와 마찬가지로 입력 시에는 자판의 조건에 따라 편의상 <ㄱㅇ>으로 할 수도 있다.
영어 알파벳 모음에 해당하는 한글자모의 대응값 치환을 위해 설정된 규칙에 대해 설명하면, 기본모음"A, E, I, O, U"는 알파벳을 읽을 때 나는 첫소리를 그대로 반영하여 음성적 연상효과가 높도록 하였으며, 반모음 <W, Y>는 알파벳 글꼴을 본떠 <W>는<ㅠ>로, <Y>는 <ㅛ>로 치환되도록 각각 대응값을 정하였다.
이와 같은 영어알파벳 낱글자와 한글자모의 대응규칙에 따라 영어 알파벳 낱글자를 한글자모로 치환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대칭키 동시누르기, 또는 변환식별자 방식을 써서 소문자, 대문자, 초두 대문자 가운데 목적하는 영어 단어입력모드로 변환한 뒤, 한글자음<ㅇ>을 선행 입력하면 알파벳 낱자 전용모드로 변환된다.
여기서, 영어 낱글자 전용모드와 단어입력모드가 따로따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단어입력모드 상태에서 자음<ㅇ>을 선행시키기만 하면 그 것이 바로 낱글자입력모드가 되는 것이다. 이 때, 자음<ㅇ>은 반드시 공백 다음에서만 모드 식별자로서 기능한다. 만약, 자음<ㅇ>이 공백 다음에 이어지지 않고, 자음 뒤나 모음 뒤에 오게 되면, 낱글자 모드로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즉, 자음 뒤에 <ㅇ>이 올 경우에는 <ㅅㅇ>과 같이 되어 <x>자가 생성될 수도 있고, 모음 뒤에 올 경우에는 그 음절의 받침으로 붙어버린다.
다음은, 영어 단어입력모드에서 낱글자 입력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영어 단어입력모드에서 낱글자를 입력할 때에는 자음<ㅇ>만 선행시켜 낱글자모드로 변환하고, 이어 알파벳에 대응하는 한글자모 대응값을 한 자씩 차례로 입력한다.
예컨대, 고유명사인 맥도날드(Macdonald)라는 단어가 단어목록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치고, 예제를 입력해보면 다음 예와 같다(공백 입력은 편의상 생략함).
또한, 한글모드에서 영어 낱글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한글모드에서 영어 단어입력모드로 변환하고, 이어 공백 뒤에 이어지는 첫머리에만 자음<ㅇ>을 붙여 낱자모드로 변환한 뒤 알파벳에 대응하는 한글대응값을 한 자씩 차례로 입력한다.
예컨대"어제 TV에서"라는 구절의 입력예는 다음과 같다(공백 입력은 편의상 생략되어 있음).
다음에는 한국어 한자(漢字)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한국어 한자'라고 한 것은,'중국어 한자','일본어 한자'와 구별하기 위함이다.
한국어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에는, 한글문장을 입력한 뒤 한자로 일괄 변환하는 방법과 한글자모의 글꼴과 한자의 부분자를 대응시켜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한글문장을 입력한 뒤 한자로 일괄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방법은 한글'모아치기'로 길게 문장을 입력한 뒤 한자로 일괄 변환하는 방법으로서, 문장 가운데 원하는 한글만 한자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한자로 변환하고자 하는 한글 뒤에 구분표시(예: ^)를 하면, 그 구분자 앞에 있는 한글만 한자로 변환되고, 한자로 변환하지 않을 한글에는 구분표시(^)를 넣지 않으면 된다. 이때 변환되는 한자의 형태로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 형태를 설정하고 있는데, 동일 구분표시(^)의 개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입력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문장을 구성해 가면서 화면에 표현될 한자의 형태를 미리 구분표시(^)로 정의해놓고'변환키'를 누르면, 사용자가 정의한대로 동시에 변환된다. 한자가 동시에 변환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문장전체에'범위'가 설정된 상태라야 한다.
다음에, 한글자모의 글꼴과 한자의 부분자를 대응시켜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이 방법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면, 한자의 글꼴을 마음 속으로 획수가 조금 복잡한 한글이라 간주하고(한자를 한글의''자처럼 획수가 조금 복잡한 글자라 여김),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글꼴들을 마음 속으로 순서대로 분해하되, 한글자모와 연관지으면서 분해한다.
한자의 글꼴을 한글자모와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을 만큼 작은 요소로 분해했을 때, 그 요소 하나하나는 그 한자의'부분자'가 된다.
예를 들어,'百'이라는 한자를 한글과 연관지어 최소요소로 분해하면,
""와 같이 되는데, 각 요소와 한글자모가 유사한 것을 대응시켜 입력하게 된다. 그러니까, 한자의 부분자로""은, 한글자모로는"ㅜ+ㅁ+ㅡ"에 대응되는 것이다.
한글자모의 글꼴과 한자의 부분자를 대응시켜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자의 부분자와 한글자모의 대응관계가 명백한 경우
한자의 부분자에 대응하는 한글자모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力 = ㄱㅅ), 위에서 아래로(高 = ㅗㅁㄷㅁ),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司 = ㄱㅡㅁ), 풀어치기로 입력한다.
예) 百 = ㅜ ㅁ ㅡ; 高 = ㅗㅁㄷㅁ
둘째, 한자의 부분자가 모호하여 한글자모와 연관이 어려운 경우
자음<ㅋ>은 이 부분자 입력방법에서는 쓰지 않는 자모이므로, 이 글자를 별표(*)나 물음표(?)처럼 미지문자로 쓸 수 있고, 또한 구분자(^)도 미지(아무개)문자로 쓸 수 있다.
(입력예)
比 = ㅏ [*] ㄴ [*] = ㅏ [ㅋ] ㄴ [ㅋ] = ㅏ^ㄴ^
다음에는 도 4에 의거 한글자모의 글꼴에 대응하는 부분자의 분류에 대해 설명한다.
한자는 부분자 즉 기본요소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한자와 한글은 똑같은'사각문자'로서, 글꼴만을 놓고 봤을 때는 계통이 동일한 문자이어서 같은 사각문자의 범주에 속하는 글자끼리는 닮은 모양이 많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요소들과 글꼴이 닮은 한글자모와 대응시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한글자모는 자음'10개', 모음 '10개'만을 이용한다.
하지만, 웬만한 한자는 거의 한글자모로 치환이 가능하나, 몇몇 한자는 한글자모의 글꼴과 조금 다른 모양을 한 것들도 있다. 이처럼 글꼴이 약간 모호한 한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대응규칙을 정의해 놓음으로써, 그 규칙을 숙지했다가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한자의 기본요소 중 짧은 점모양이나 좌우로 짧게 찍은 점모양은 한글자음의 'ㅎ'에 대응되도록 하였는데, 이는'ㅎ'의 꼭지모양이 짧은 점모양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편의상'ㅎ'에 대응시킨 것이며,'ㄱ'자형이나'역ㄱ'자형은 한글글꼴모양과 가장 닮은 한글자음'ㄱ'에 대응시켰다. 이와 같이 한자를 기본요소로 분해한 뒤, 각 기본요소에 대하여 한글자모 중 자음'10개', 모음'10개'에 대응하는 규칙을 정의하기 위한 조건 및 그에 대한 적용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한자 기본요소의 획수별 분류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분류표에는 획수가 1획인 기본요소들로부터 획수가 11획인 기본요소들이 제시되어 있으며, 각 기본요소들에는 그에 대응되는 한글자모가 괄호안에 표시되어 있다. 각 기본요소들에 대응되는 한글자모는 도 5에 제시된 조건에 따라 분해되어 표시된 것으로서, 모든 한자들은 거의 도 6에 표시된 기본요소들로 분해하여 괄호 안에 표시된 바와 같은 한글자모로 대응이 가능함으로써, 모든 한자를 한글자모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모든 한자들이 도 5에 제시된 조건에 따라 분해되어 해당 한글자모에 대응되어 단어목록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글자모로 입력하면 그에 대응된 한자가 단어목록에서 검색되어 출력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다소 모호하다고 볼 수 있는 글자들에 대한 예제와 관련하여 획수순으로 살펴본다.
먼저, 4획의 升자를 살펴보면, 쓰는 순서로 볼 때 첫 획의 좌로 짧게 삐친 획은 한글 자음의 'ㅅ' 에 대응되고, 둘째 획의 'ㅡ'형은 한글모음의 'ㅡ'에 대응되며, 셋째 획의 좌로 길게 삐친 획은 한글 자음의 'ㅅ'에 대응되며, 넷째 획의 'ㅣ'형은 한글모음의 'ㅣ'에 대응됨으로, 한자모드에서 한글자모 "ㅅ,ㅡ,ㅅ,ㅣ"을 차례로 입력하면 한자 '升'이 출력되는 것이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2획의 경우 乃(ㅅㄹ), 4획의 경우 匹(ㄷㅅㄴ), 氏(ㄷㅡㄴ),(ㄱㄴㄱㄴ), 5획의 경우 凹(ㄹㄷ), 凸(ㄹㄷ), 戊(ㄱㅅㅎ), 疋(ㄱㅏㅅ), 皿(ㄷㅛ), 官(ㅎㄷㅑ), 6획의 경우 臣(ㄷㄹ), 舛(ㅅㄱㅎㄱㅓ), 9획의 경우 美(ㅎㅎㅕㅡㅅ), 首(ㅎㅎㅜㅁㅡㅡ), 韋(ㄱㅗㅁㄱㅕ), 胤(ㅅㄹㅂㄴ) 와 같이 대응시킬 수 있다.
다음에는 중국어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판식에서의 중국어 입력방법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한국어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과 근본적인 개념에서 차이가 없다. 단지, 중국어라는 언어적 특성을 고려하여 몇 가지 부분만 달리하면 된다. 중국어 입력방법에는 중국어 병음을 한글자모로 입력하는 방법과 한자를 한글음으로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중국어 병음을 한글자모로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규칙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 먼저 초성의 입력을 위해 설정된 규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중국어 병음을 표기하는 관습을 수용하여 초성<ㅇ>을 붙이지 않는다(安 = an =ㅏㄴ).
둘째, 한글 단독자모와 '1:1' 대응관계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는 일률적으로 자음<ㅇ>을 후치 결합한다
영어 발음에서도 한글 단독자모로 표기할 수 없는 것들이 있었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중국어에도 한글 단독자모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들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어의 실제발음을 한글 단독자모로 표기할 수 없는 "f, ch, sh, zh, r" 음은 표 7과 같이 그 기본자음 "ㅍ, ㅊ, ㅅ, ㅈ, ㄹ" 뒤에 자음<ㅇ>을 일률적으로 후치결합하여 입력한다.
셋째, '혀말이 소리'는 권설음이라 부르는데 입력편의상 그 기본자로 입력할 수도 있다. 표 6의 5개의 초성음 가운데 <f>음과 <r>음은 발음을 변별하는 데 별 어려움이 없으나, "ch, sh, zh"와 같은 혀말이 소리는 중국인들도 그 발음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래서 이와 같은 권설음은 그 기본자에 형식상 편입시켜 기본자 하나로 통일하여 입력하면, 양자의 발음을 구별하지 못하더라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zhi'음인지 'zi'음인지 애매할 때는 권설음 표시기호인 <h>를 뺀 'zi'로 입력하도록 한다. 그러나, 두 가지 발음을 하나로 묶어 단어목록을 처리하게 되면, 권설음 목록과 기본음 목록이 합쳐지면서 목록의 총량이 상당히 증가하게 되고, 그로 말미암아 표기형이 같아지는 형태가 다수 나타나게 된다.
중국어를 입력하는 방법에는, 중국어 한자를 한글발음기호로 입력하는 방법과, 한글자모의 글꼴과 한자의 부분자를 대응시켜 입력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한글발음기호로 입력하는 방법에는 중국음으로 입력하는 방법과 한국음을 병행하여 입력하는 방법이 있는데, 먼저, 중국음으로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중국어 병음을 한글자모로 입력하는 방법에 따라 풀어치기로 입력하게 되는데, 중국어 발음으로 입력하는 방법에는 아래의 표 7과 같이 3가지 방법이 있다.
한판식 풀어치기로 입력하는 방법은, 예컨대 '중국인'이라는 단어의 병음값이 "zhong+guo+ren"이므로, 이 병음값에 대응하는 한판식 한글자모인 "ㅈㅇㅜㅇ+ㄱㅝ+ㄹㅇㅓㄴ"으로 입력한다(zhong+guo+ren =ㅈㅇㅜㅇ+ㄱㅝ+ㄹㅇㅓㄴ).
첫소리 빼어치기로 입력하는 방법은, 예컨대 '중국인'과 같은 3음절 단어의 빼어치기일 경우, "ㅈㅇ+ㄱ+ㄹㅇ"으로 입력하게 되는데, 이러한 첫소리 나열형은 오로지 '中國人'이라는 3음절 단어와 '1:1'로만 대응하기 때문에, 풀어치기로 자모를 모두 입력할 필요 없이 각 음절의 첫소리만 빼어서 입력하는 것이 편리하다.
영어와 달리 중국어에서는 2음절로 이루어진 단어라도 발생빈도가 높은 경우는 빼어치기로 입력할 수 있는데, 중국어에서 실제 3음절 단어부터는 빼어치기로 입력할 경우 단어목록이 중복 추출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본 발명의 한판식 빼어치기는 로마자 병음 간병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데, 로마자 간병식에서는 어떤 경우라도 첫 글자만을 빼어 입력하지만, 한판식에서는 초성<ㅇ>이 붙는 경우 이 <ㅇ>을 소거하고 입력하게 되므로, 이에 대응되는 단어목록의 수효가 현저히 줄어들어 입력효율이 훨씬 높아진다.
권설음의 기본자로 입력하는 방법은, 예컨대 '中國人'에서 '中'자의 병음값은 'zhong'으로서 권설음(혀말이 소리)인데, 여기서 혀말이 소리가 되게 하는 <h>를 빼고 입력하는 방법이다. 권설음은 청각적으로 잘 변별하기 어려운 발음이어서 중국인들도 이 발음을 그냥 'zong'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컴퓨터 자판으로 중국어를 입력하다 보면, 권설음인지 기본음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경우가 수도 없이 많은 데, 이 방법을 쓰면 그러한 난감한 문제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다음에는 중국어를 한글음으로 입력하는 방법 중 한국음을 병행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판식에서는 중국어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크게 2가지를 구비하고 있는데, 하나는, 중국 현실음을 그에 대응하는 한글자모로 입력하는 방법이고, 또 하나는, 중국 한자를 한국음으로 입력하는 방법이다. 이 두 가지 입력방법을 함께 사용하면, 어떠한 조건에서도 중국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입력효율과 편의성이 증대하게 된다.
이에 대한 입력 방법을 설명하면, 예컨대 '先生'을 중국음으로 읽으면, ''이 되고, 한국음으로 읽으면 '선생'이 된다. 이 한국음 '선생'을 풀어치기로 'ㅅㅓㄴ,ㅅㅐㅇ'이라고 입력하면, 그에 대응하는 한자어인 '先生'이 똑같이 입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입력방법에 있어서, 한국음 '선생'이라는 발음이 중국어 단어에는 없기 때문에, 중국음인 ''과 단어목록 안에서 병존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본어 입력방법에는 한글자모로 히라가나를 입력하는 방법과, 일본어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한글자모로 히라가나를 입력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동음이체자를 처리하는 문제인데, 일본어 음절에는 동음이체자가 너무 많아(25개) 자판입력에서 이를 일률적인 규칙으로 처리하지 못할 경우 입력효율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히라가나 입력방식 자체가 성립하지 않을 수도 있다.
먼저, 히라가나를 한글자모로 입력하기 위해 설정된 규칙에 대하여 설명한다.
히라가나 초성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규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히라가나와 한글음절은 '1:1'로 대응하므로 한글음절이 완성됨과 동시에 히라가나로 변환된다(ㅋ+ㅏ = か, ㄱ+ㅏ = が).
둘째, 초성에 오는 센소리(ㅋ,ㅌ,ㅍ,ㅊ)와 된소리(ㄲ,ㄸ,ㅃ,ㅉ)는, 입력편의상 센소리(ㅋ,ㅌ,ㅍ,ㅊ)로 통일하여 입력한다. 이는, 일본어에서 자음을 발음할 때, 센소리와 된소리를 구분하지 않고 있으며, 대체로 단어 앞에 올 때는 센소리로 발음하고, 단어의 중간에 올 때는 된소리로 발음한다는 사실을 고려한 것이다(예 : 이찌로 > 이치로).
히라가나 중성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규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기의 일관성을 위해, 'す'와 'つ'는 <ㅜ>음으로 통일하여 입력한다.
'す'는 <스>로, 'つ'는 <츠>로 발음되는데, 이 두 가지 경우에 <ㅡ>모음으로 입력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점이 남는다.
ㄱ) <ㅡ>음을 수용하게 되면, 아래 표에서 보는 것처럼 <ㅜ>모음 통일성이 깨진다.
ㄴ) <ㅡ>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면, 'す' = <스>, 'つ' = <츠>로 입력해도 괜찮겠지만, 발생빈도가 많지 않다면, 굳이 <ㅡ>모음으로 입력할 이유는 없어진다. <ㅡ>모음을 히라가나 입력에 쓰지 않을 경우, <ㅡ>모음을 장음기호로 전용하여 더 요긴한 곳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모음<ㅡ>는 장음을 표시하는 기호로 이용한다.
일본어 가타카나 입력에서 장음기호는 여느 문자보다 발생빈도가 높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ㅡ>모음으로 소리나는 글자를 <ㅜ>모음에 포함시켜 통일하였으므로, 모음<ㅡ>는 히라가나 입력에서는 쓰지 않는 자모가 되었는데, 이 모음<ㅡ>를 장음기호로 전용할 수 있다.
모음<ㅡ>가 일반적으로 장음기호로 쓰이는 가운데줄(-)기호와 모양이 닮았으므로, 장음기호로는 안성맞춤이다. 게다가, 한판식 입력법에서는 한글자모만으로 모든 문자를 입력한다는 대전제를 세워놓았으므로, 문장부호도 한글자모로 대체하여 활용하는 것은 한글자모만을 이용한다는 대원칙에도 부합하는 것이다.
히라가나 종성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규칙은 다음과 같다.
히라가나 종성에는 두 글자(ッ, ン)만이 사용되는데, 이중에서 촉음(促音) 소문자 <ッ>는 뒤에 오는 자음과 같은 소릿값인 (ㅅ,ㅂ,ㄱ )으로 입력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대한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또한, 소문자 <っ>가 단독으로 쓰일 경우는, <ㅆ>과 대응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도 8은 한글음절과 히라가나 음절형태를 '1:1'로 대응시켜 모두 정리해 놓은 것이다. 히라가나는 본디 음절문자인데 외래어 표기에서는 단독음절을 두 자씩 결합하여 복모음을 만들어 쓰고 있다. 도 8에 있어 한글음은 있는데 빗금친 부분은한글로는 표기할 수 있으나 히라가나로는 표기할 수 없는 음이며, 한 칸에 두 음절씩 들어가 있는 경우는, 음은 같은데 글꼴이 다른 동음이체자이다.
본 방법의 특징은, 일본어 히라가나에는 한글 모음<ㅓ>에 해당하는 자모가 없으므로 이 모음<ㅓ>를 동음이체자를 구분할 때, 변별기호로 사용함으로써 히라가나 소문자를 단독으로 표기할 때나 동음이체자를 표기할 때, 하나의 규칙으로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소문자와 동음이체자 앞에는 <ㅓ>모음이나 구분기호(^) 하나만 선행시키면 되므로, 아주 간편하게 변별하여 입력하게 된다.
도 9에는 복모음 형태에 대해 로마자로 입력하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MS 워드'방식과 한글자모로 입력하는 한글과컴퓨터사의 ''방식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한판식 입력방법의 비교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글자모로 입력하는 ''방식에서 보듯이 동음이체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불규칙하여 상당히 복잡하게 되어있고, 'MS 워드'방식에서는 모든 음절을 입력할 수는 있게는 해놓았으나 동음이체자 부분에서 입력규칙이 매우 산만하게 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판식에서는 아래와 같이 발음이 같은 두 가지 복모음 중에서 상대적으로 발생빈도가 높은 쪽은 원래 발음표기대로 입력하고, 발생빈도가 낮은 쪽은 모음<ㅓ>나 구분기호(^)를 선행입력한 뒤 해당발음을 입력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한판식에서의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방법에는 최종입력명칭으로 입력하는 방법과 분류명칭으로 찾아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한판식에 따른 최종입력명으로 입력하는 방법은 특수문자 입력모드로 변환한 뒤, 최종 특수문자의 명칭을 바로 입력하는 1단계 입력방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최종문자의 명칭을 모를 경우 그 상위 분류명을 입력하면 하위 목록들이 모두 나열되어 그 중에서 목적하는 특수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본 발명의 한판식 특수문자 입력방법은 하위 최종문자와 상위 대분류를 병존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입력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0에는 특수문자 3단 분류 및 최종 입력명을 설명하는 도표를 나타낸 것으로서, 특수문자의 형태에 따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최종분류명과 최종 단축명 및 최종입력명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이 중 일부는 특수문자의 성격에 따라 중분류와 소분류 등 중간분류가 생략되고 최상위 대분류 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대분류의 사각문자는 소분류없이 중분류에서 숫자, 한글 자음, 한글 음절, 영어 대문자, 영어 소문자 등으로 분류되고, 숫자에 대한 사각문자의 최종단축명은 '각숫', 한글자음에 대한 사각문자의 최종단축명은 '각한자', 한글음절에 대한 최종단축명은 '각한음', 영어대문자에 대한 사각문자의 최종단축명은 '각영대', 영어소문자에 대한 사각문자의 최종단축명은 '각영소'로 설정되어 있으며, 특히 숫자 '1'에 대한 사각문자의 최종입력명은 '각일', 숫자 '2'에 대한 사각문자의 최종입력명은 '각이', … 와 같이 모든 숫자에 대해 같은 방법으로 설정되어 있다.따라서 사용자는 최종입력명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최종입력명을 숙지하지 못했거나 사용자의 타자환경상 분류표에서 찾고자 할 경우는, 최종분류명을 입력한 뒤 목록창에 최종입력명을 디스플레이시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판식에서는 특수문자 하나와 그 최종입력명이 '1:1'로 대응하도록 정의되어 있으므로 특수문자가 바로 입력되는 것이다. 이는, 특수문자에 대응하는 최종입력명 혹은 단축명이 유일하도록 특수문자 목록을 구성해놓았기 때문에, 중간과정이 전혀 필요 없이 바로 입력되는 것이다.
아울러, 목록에는 각 특수문자의 최종입력명을 풀어치기, 첫글자 빼어치기, 또는 풀어치기와 첫글자 빼어치기를 혼용하여 입력하더라도 해당 특수문자가 출력될 수 있도록 특수문자목록부(35)에 여러 형태로 목록이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단위기호 '㎡'의 명칭이 '제곱미터'이므로, 풀어치기로 "ㅈㅔ,ㄱㅗㅂ,ㅁㅣ,ㅌㅓ"라고 입력하든지, 빼어치기로 "ㅈ,ㄱ,ㅁ,ㅌ"라고 입력하든지, 이 두 가지 방법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하더라도 '㎡'가 출력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특수문자를 단축명 빼어치기로 입력한다 해도 특수문자 명칭의 대부분이 3음절이 넘는 이름을 갖고 있어, 3음절이 넘으면 첫 글자 빼어치기로 입력하더라도, 최종목록에서 중복되는 일이 드물게 된다.
특수문자 입력방법 중 분류명으로 찾아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은 최종단축명을 모를 때 단축명의 상위 분류명을 입력한 뒤, 목적하는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예컨대 '㎡'를 입력할때 이 기호의 명칭인 '제곱미터'를 모를 때 이의 상위 분류명인 '단위'를 풀어치기로 "ㄷㅏㄴ,ㅇㅟ"라고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하위 단위목록들이 상하 10단으로 나열되어, 이 중에서 목적하는 특수문자를 선택하도록 한 것이다. 만일, 목적하는 문자가 10단 안에 없으면, 쪽넘김을 하여 다시 찾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분류명을 입력하여 하위 목록창을 열면, 위 표처럼 문자의 우측에 단축명이 항상 붙어있으므로, 이 단축명을 봐뒀다가 다음에 똑같은 문자를 입력할 때는 번잡하게 분류명으로 입력하지 말고, 최종단축명으로 간단히 입력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떤 형태의 자판이든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으므로, 표준자판을 채용한 워드프로세서에서의 문서작업분야, 컴퓨터 속기분야, 신문 책자와 같이 문자입력을 전문으로 하는 분야, 한자 입력이 많은 고전번역 한자사전 작업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하여 입력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문자입력에 따른 비용절감을 가져올 수 있고, 영어를 원음에 가깝게 입력할 수 있어 이 방법으로 습관을 들이면 영어발음을 가장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되고, 한글만 알면 누구든지 한자를 입력할 수 있어 한자입력에 따른 중압감이 해소됨과 아울러 다양한 방법으로 중국어와 일본어 등을 입력할 수 있어 어문 학습효과가 증대되며, 한글자모로만 영어를 입력함에 따라 영어 알파벳을 표기하지 않아도 되어 축소형 단말기에서 자판구성에 따른 공간적 제약이 감소된다.
또한, 단말기 제조사에서는 단일 입력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입력장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하는 단말기에서 시스템 업그레이드 때마다 조정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됨과 아울러, 수시로 출시되는 신제품에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을 채용시 문자입력 부문을 관리하는 데 소요되는 상당한 비용을 감소시켜 관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컴퓨터 자판(휴대폰자판, 리모콘자판까지 포함)에 일반적으로 표기되어 있는 한글자모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형태(한글, 영어, 한자, 중국어, 일본어,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기능모드를 변환하는 방법까지도 위 한글자모의 '41개'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모두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입력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문자의 범위는 수없이 넓으나, 문자의 성격상 여기서 다룬 문자들과 포함관계를 이루므로 여기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고 대표적인 문자 몇 가지만 골라 예를 든 것이며, 여기서 다루지 않은 문자들(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아랍어, 타이어 등)에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하여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6)

  1. 한글자모의 14개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5개의 쌍자음(ㄲ,ㄸ,ㅃ,ㅆ,ㅉ), 10개의 기본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11개의 결합모음(ㅐ,ㅒ,ㅔ,ㅖ,ㅚ,ㅘ,ㅙ,ㅟ,ㅝ,ㅞ,ㅢ), 아래아(·) 그리고 구분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부; 영어단어목록부와, 한자단어목록부, 중국어단어목록부, 일본어단어목록부 및 특수문자목록부를 구비하여 대응되는 단어를 출력하는 다문자 단어목록부; 상기 키버튼 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의 입력모드를 판별한 뒤, 그에 대응되는 문자나 단어를 상기 다문자 단어목록부에서 검색하여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한글자모로만 구성된 한 가지 자판만을 이용하여 한글, 영어, 한자, 중국어, 일본어, 특수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고안된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2. 입력할 문자의 종류에 대한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입력모드선택단계; 한글의 14개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5개의 쌍자음(ㄲ,ㄸ,ㅃ,ㅆ,ㅉ), 10개의 기본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11개의 결합모음(ㅐ,ㅒ,ㅔ,ㅖ,ㅚ,ㅘ,ㅙ,ㅟ,ㅝ,ㅞ,ㅢ), 아래아(·) 그리고 구분기호(^)로 이루어진 한 가지 자판만을 이용하여 문자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입력되는 문자정보에 따라 영어단어목록부와, 한자단어목록부, 중국어단어목록부, 일본어단어목록부 및 특수문자목록부에서 해당 문자 및 단어를 검색하여출력함으로써 영어, 한자, 중국어, 일본어, 특수문자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문자의 입력모드 선택단계는, 키입력부로 사용되는 자판에서 왼손 검지와 오른손 검지를 기준착지점으로 설정하고, 동일 행에 있는 양손의 대칭위치 키버튼을 동시에 눌러 제3의 값을 산출하여, 여기서 산출된 제3의 값에 문자모드가 대응되어 변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문자의 입력모드 선택단계는, 한글자모 조합에서 실용 어휘를 구성할 때 그 발생빈도가 '0%'인 음절 가운데, 음절을 구성하는 자음 중의 어느 하나와 모음<ㅒ>가 결합하여 생성된 음절을 문자모드에 대응시켜, 해당 음절을 모드변환을 위한 변환식별자로 이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영어단어를 한글자모로 입력하는 단계는, 실제 영어발음에 해당하는 한글 단독자모와 "1:1"로 대응시켜 입력하되, 영어의 실제발음을 표기할 수 없는 "f, r, th, v, z"음은 각각 그 기본자음 "ㅍ,ㄹ,ㄷ,ㅂ,ㅈ" 뒤에 자음<ㅇ>을 일률적으로 후치결합시켜 영어발음의 '초성'을 입력함으로써, 영어단어를 한글자모로 입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영어단어를 한글자모로 입력하는 단계는, 영어의 발음을 표기한 음절 하나하나에서 첫 글자를 빼어 입력하면 그에 대응되는 단어를 영어단어목록부에서 검색하여 출력함으로써, 영어단어를 한글자모로 입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영어알파벳 낱글자를 입력하는 단계는, 영어 알파벳 낱글자와 한글자모를 정의된 표기규칙에 따라 대응시켜 입력하되, 한글 단독자모와 '1:1'로 대응시킬 수 없는 "f, q, r, v, x, z"는 그 기본자음인 "ㅍ,ㅋ,ㄹ,ㅂ,ㅅ,ㅈ"에 자음<ㅇ>을 일률적으로 후치결합시켜 낱글자의 '초성'을 입력함으로써, 알파벳을 낱글자형태로 입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영어알파벳을 낱글자형태로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는, 영어 단어입력모드로 변환된 상태에서 한글자음<ㅇ>을 선행입력하면 알파벳낱자 전용모드로 변환되게 함으로써, 영어알파벳을 낱글자형태로 입력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한글단어를 한자로 변환하는 단계는, 한글 모아치기로 문장을 구성해 가면서 문장 가운데 한자로 변환하고자 하는 한글 뒤에 구분기호를 붙이되, 동일 구분기호의 개수에 따라 그 구분기호 앞의 한글만 한자로 변환되거나, 그 구분기호 앞의 한글에 대응하는 한자가 그 한글 뒤에 괄호 속에 표시되거나, 그 구분기호 앞의 한글이 한자로 변환됨과 동시에 한자 뒤에 한글로 괄호 속에 표시되도록 하는 한국어 한자 입력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한국어 한자를 낱글자형태로 입력하는 단계는, 한자를 한글자모의 글꼴과 유사한 모양을 한 기본요소들로 분해한 뒤, 그 대응값으로 정의된 한글자모로 입력했을 때, 한글자모열 정보와 대응된 한자를 한자단어목록부에서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국어 한자를 낱글자형태로 입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중국어 단어를 한글자모로 입력하는 단계는, 중국어 병음을 그와 동일음의 한글자모에 대응시켜 입력하되, 병음 가운데 한글 단독자모로 표기할 수 없는 "f, ch, sh, zh, r"음은 그 기본자음 "ㅍ, ㅊ, ㅅ, ㅈ, ㄹ" 뒤에 자음<ㅇ>을 일률적으로 후치결합시켜 중국어 발음의 '초성'을 입력함으로써, 중국어 단어를 한글자모로 입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중국어 한자를 한국음으로 입력하는 단계는, 입력하고자 하는 중국어 한자의 병음을 그에 대응되는 한글자모로 입력하면서, 경우에 따라 동일모드에서 중국어 한자를 한국음으로 병행 입력하면 그에 대응되는 중국어 한자가 중국어단어목록부에서 검색되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중국어 한자를 한국음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일본어 히라가나를 입력하는 단계는, 히라가나 대문자에 대응하는 소문자, 또는 동음이체자를 입력함에 있어, 일본어 히라가나 음절표기에서 사용되지 않는 한글 모음<ㅓ>, 또는 구분기호(^)를 일률적으로 선행입력하여 동음이체자가 변별되도록 하는 일본어 히라가나 입력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일본어 한자를 입력하는 단계는, 일본어 한자음을 그와 동일음의 한글자모에 대응시켜 입력하되, 경우에 따라 동일모드에서 일본어 한자를 한국음으로 병행 입력하면 그에 대응되는 일본어 한자가 일본어단어목록부에서 검색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
  15. 제2항에 있어서, 특수문자를 1단으로 바로 입력하는 단계는, 각종 특수문자에 대해 그에 대응되는 단축명칭을 특수문자목록부에 저장해 놓고, 해당 단축명칭, 또는 그 단축명칭의 음절 하나하나에서 첫 글자를 빼어 입력하면 해당 특수문자가 특수문자목록부에서 검색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
  16. 제2항에 있어서, 특수문자를 2단으로 입력하는 단계는, 각종 특수문자들을 문자의 모양이나 연관성에 따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분류하여 계층적으로 특수문자목록부에 저장해 놓고, 해당 특수문자의 상위 분류명이 입력되면 그 분류명의 하위 분류명, 또는 최종입력명들을 목록창에 나타내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입력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방법.
KR1020030026667A 2003-04-28 2003-04-28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599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667A KR100599873B1 (ko) 2003-04-28 2003-04-28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667A KR100599873B1 (ko) 2003-04-28 2003-04-28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388A true KR20040095388A (ko) 2004-11-15
KR100599873B1 KR100599873B1 (ko) 2006-07-13

Family

ID=3737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667A KR100599873B1 (ko) 2003-04-28 2003-04-28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8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838B1 (ko) * 2004-11-10 2007-02-28 이병환 심벌문자를 이용한 다국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시스템
KR100916816B1 (ko) * 2008-03-14 2009-09-14 엔에이치엔(주) 일본어 앨리어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장음 및 촉음에대한 오류를 줄이고 일본어 입력기 사용 시 단자 찾기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243754B1 (ko) * 2011-03-08 2013-03-13 한국과학기술원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KR20200132184A (ko) * 2019-05-16 2020-11-2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한글 병음에 기반한 중국어 입력방법 및 그 입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201B1 (ko) 2008-02-12 2010-10-05 유완선 중국어 발음 교육전용의 한글표기 방법과 그 입력장치
CN102439648A (zh) * 2008-11-04 2012-05-02 Netfly株式会社 汉语发音教育专用韩国语标记方法和输入装置
KR101140767B1 (ko) * 2009-05-27 2012-05-03 정수현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KR101036903B1 (ko) * 2010-09-17 2011-05-25 신부용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문자 입출력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838B1 (ko) * 2004-11-10 2007-02-28 이병환 심벌문자를 이용한 다국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시스템
KR100916816B1 (ko) * 2008-03-14 2009-09-14 엔에이치엔(주) 일본어 앨리어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장음 및 촉음에대한 오류를 줄이고 일본어 입력기 사용 시 단자 찾기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243754B1 (ko) * 2011-03-08 2013-03-13 한국과학기술원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KR20200132184A (ko) * 2019-05-16 2020-11-2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한글 병음에 기반한 중국어 입력방법 및 그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9873B1 (ko)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52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ambiguating phonetic input
US5210689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mong a plurality of input modes
US8977535B2 (en) Transliterating methods between character-based and phonetic symbol-based writing systems
US20030023426A1 (en) Japanese language entry mechanism for small keypads
JP2005202917A (ja) 表音入力の曖昧さを除く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1139078A (ja) コンピュータ入力システム
US5047932A (en) Method for coding the input of Chinese characters from a keyboard according to the first phonetic symbols and tones thereof
KR100599873B1 (ko)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2004523034A (ja) 文字生成システム
WO2005089215A2 (en) Phonetic and stroke input methods of chinese characters and phrases
KR20020005709A (ko)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
CN101526856A (zh) 一种阿拉伯语输入系统及输入方法
KR20020021182A (ko) 성조 표현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03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JP2008097628A (ja) 日本語入力装置及び方法
JP2008139835A (ja) 発音学習法
JPS63316162A (ja) 文書作成装置
JP2666590B2 (ja) イ語文字入力装置
JP3072312U (ja) 情報機器用片手操作キーボード
CN118068968A (zh) 基于88键大键盘的汉语拼音双拼输入法
KR20010069805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2001075707A (ja) 本キーボードの形に於ける、文字配列
JP2005284865A (ja) 広東語入力プログラム
CN118068969A (zh) 基于88键大键盘的汉语拼音简拼或形码简拼输入法
KR101340511B1 (ko) 한글기반만국발음기호를 이용한 다언어 검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