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6750A -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750A
KR20030006750A KR1020010042641A KR20010042641A KR20030006750A KR 20030006750 A KR20030006750 A KR 20030006750A KR 1020010042641 A KR1020010042641 A KR 1020010042641A KR 20010042641 A KR20010042641 A KR 20010042641A KR 20030006750 A KR20030006750 A KR 20030006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phoneme
combina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0587B1 (ko
Inventor
김병훈
김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마사 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마사 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마사 소프트
Priority to KR10-2001-004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5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0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5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에 관련되며, 좀 더 상세하게는 컴팩트형 키패드에 기반하여 일본어의 자음 자소와 모음 자소를 이용하여 일본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컴팩트형 키패드에 기반한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기준그룹 자소, 제1그룹 자소, 제2그룹 자소가 각각 할당되는 다수의 자음 입력키 및 다수의 모음 입력키, 그리고 문자변환키와 한자변환키를 포함하는 키패드와; 다수의 자소를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자소 저장부와; 상기 입력키의 독립적인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기준그룹에서, *키와 상기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1그룹에서, #키와 상기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2그룹에서, 상기 자음 입력키와 모음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제3그룹에서 각각 대응하는 자소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자소 출력부와; 상기 문자변환키의 입력에 따라 기 입력된 자소에 대응하는 다른 자소를 제4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 문자변환부와; 상기 한자변환키의 입력에 따라 기 입력된 자소에 대응하는 한자 자소를 제5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 한자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자데이터 입력장치{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data}
본 발명은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에 관련되며, 좀 더 상세하게는 컴팩트형 키패드에 기반하여 일본어의 자음 자소와 모음 자소를 이용하여 일본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에 관련된다.
컴팩트형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하여 본 건의 출원 전 다양한 공지 기술이 있으며, 그 중 본 출원인이 본 건 출원 전 2001년 4월 3일자로 특허출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 10-2001-0017761 호에는 문자데이터의 입력타수를 줄일 수 있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에 대한 기술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이 부분에서 이 건의 내용이 본 건의 일부분으로 편입된다.
그리고, 본 건 출원 전 본 출원인이 2001년 6월 29일자로 특허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 10-2001-0038489 호에는 발음을 이용하여 문자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중국어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에 대한 기술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이 부분에서 이 건의 내용이 본 건의 일부분으로 편입된다.
본 출원은 전술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들에 대한 개량발명으로서 선출원의 기술 내용을 토대로 하여 일본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일본어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어는 일반적으로 50음도라고 하는 자소를 기반으로 하여 문자를 형성하므로 사용되는 자소가 다른 언어에 비해 많은 편에 속한다. 실제로 사용되는 자소는 청음, 탁음, 반탁음, 요음, 기호 등을 고려할 경우 히라가나의 경우 80 개, 가타카나의 경우 81 개의 자소가 사용되고 있다.
일본어는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다수의 문자가 사용되는 언어로서,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가 모두 하나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는 영어의 소문자와 대문자에 상응하는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가타카나는 주로 외국어 표기에 사용된다.
일본어도 한자에서 파생되어 발전된 언어이므로 일본어에는 한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일본어는 사용되는 자소의 숫자도 많을 뿐더러 한자가 사용되므로 컴팩트형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이 상당히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키보드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일본어를 입력하는 종래 기술로 영어의 알파벳을 발음 음소로 이용하는 기술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영어의 알파벳을 일본어의 발음 음소로 빌려 쓰는 것이기 때문에, 음성학적인 비논리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입력하고자 하는 일본어의 영어 발음을 사용자가 미리 알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일본어 자소를 입력하기 위하여 여러번의 입력을 필요로 하므로 입력타수가 많으며 따라서 오타가 발생하는 확률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특히, 일본어에는 동음 관계를 이루고 있는 자소가 세 쌍이 있으므로 이러한 동음관계에 있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오타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키보드의 다수의 키버튼에 일본어 자소를 할당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기술이 있었다. 일본어 자소를 직접 입력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영어 알파벳을 이용한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의 음성학적 비논리는 해소가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반 키보드의 경우 자소를 배열할 수 있는 키버튼이 43개 이므로, 일본어에 사용되는 46개의 기본 자소를 모두 배열할 수 없어 시프트키를 이용하여 나머지 3개의 자소를 입력하도록 하므로써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일반 키보드에서 부호가 자리하는 키버튼에도 일본어 자소를 할당하여 시프트키를 이용하는 횟수가 많아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탁음, 반탁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따로 부가하여야 하고, 촉음과 요음의 입력 역시 부가적인 입력을 요구하므로 입력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컴팩트형 키패드를 이용한 일본어 문자데이터 입력장치는 다중타 방식을 이용하였다. 다중타 방식이란 입력키에 다수의 자소를 할당하고 해당 입력키를 여러번 눌러 자소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이다.
일본어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의 경우에는 다수의 입력키에 각각 같은 행에 속하는 자소를 할당하고 다중타 방식에 의해 자소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숫자 1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 일본어 あ 행에 포함되는 자소들이 할당되었다고 하면, あ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숫자 1 에 해당하는 입력키를 1번, い 는 2번, う 는 3번, え 는 4번, お 는 5번, ぁ 는 6번, ぃ는 7번, ぅ 는 8번, ぇ 는 9번, ぉ 는 10번을 눌러야 한다.
또한, 탁음과 반탁음의 기호도 전술한 일반 키보드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입력을 통하여 부가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문자데이터의 입력시 입력타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입력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문자데이터의 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오타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본어 문자데이터를 보다 빠르고 쉽게 입력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입력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일본어 문자데이터를 보다 간편하게 입력함으로써 오타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일본어에 사용되는 모든 자소를 별도의 기호의 부가없이 적은 타수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일본어 히라가나로 입력한 문자데이터를 가타카나 또는 한자 자소로 간편하게 변환할 수 있으며, 다수의 부호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블럭도를 도시한 것.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키패드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호 자소의 키버튼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키패드 20 : 자소 저장부
30 : 자소 출력부 40 : 문자변환부
50 : 한자변환부 60 : 제어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컴팩트형 키패드에 기반한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기준그룹 자소, 그 좌측으로 제1그룹 자소, 그 우측으로 제2그룹 자소가 각각 할당되어 인쇄되는 다수의 자음 입력키 및 다수의 모음 입력키, 그리고 문자변환키와 한자변환키를 포함하는 키패드와; 다수의 자소를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자소 저장부와; 상기 입력키의 독립적인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기준그룹에서, *키와 상기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1그룹에서, #키와 상기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2그룹에서, 상기 자음 입력키와 모음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제3그룹에서 각각 대응하는 자소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자소 출력부와; 상기 문자변환키의 입력에 따라 기 입력된 자소에 대응하는 다른 자소를 제4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 문자변환부와; 상기 한자변환키의 입력에 따라 기 입력된 자소에 대응하는 한자 자소를 제5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한자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키패드의 상기 자음 입력키에는 일본어 자음 자소가 할당되고 상기 모음 입력키에는 일본어 모음 자소가 할당되며; 전술한 자소 출력부가 상기 자음 입력키와 상기 모음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시 상기 자음 입력키에 해당하는 자음의 행에 속하는 자소 중 상기 모음 입력키의 모음의 단에 해당하는 자소를 상기 제3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자소 저장부가 상기 제1그룹 내지 제3그룹에는 일본어 히라가나 자소를 저장하고 상기 제4그룹에는 일본어 가타카나 자소를 저장하며; 상기 문자변환부가 상기 문자변환키의 키입력에 따라 기 입력된 일본어 히라가나에 대응하는 일본어 가타카나를 상기 제4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자소 저장부가 상기 다수의 입력키 중 서로 인접한 두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에 대응되는 자소들을 저장하는 제6그룹을 더 포함하고; 전술한 자소 출력부가 상기 다수의 입력키 중 서로 인접한 두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6그룹에서 대응하는 자소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자소 저장부가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상기 다수의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조합된 키입력에 대응하는 자소들을 저장하는 제7그룹을 더 포함하고; 전술한 자소 출력부가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상기 다수의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7그룹에서 대응하는 자소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자소 저장부가 *키와 #키 및 상기 다수의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조합된 키입력에 대응되는 자소들을 저장하는 제8그룹을 더 포함하고; 전술한 자소 출력부가 *키와 #키 및 상기 다수의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8그룹에서 대응하는 자소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자소 저장부가:
숫자 1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ぱ, ま, ば 의 자소를; 숫자 2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や, あ, ゃ 의 자소를; 숫자 3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よ, お, ょ 의 자소를; 숫자 4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っ, さ, ざ 의 자소를; 숫자 5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わ, え, へ 의 자소를; 숫자 6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ゆ, う, ゅ 의 자소를; 숫자 7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た, ら, だ 의 자소를; 숫자 8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か, な, が 의 자소를; 숫자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 い, を 의 자소를;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 ん, は 의 자소를; 각각 제1그룹, 기준그룹, 제2그룹 자소로 할당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자소 출력부가:
숫자 1 과 2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や 의 자소를; 숫자 1 과 4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ば 의 자소를; 숫자 2 와 3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よ 의 자소를; 숫자 2 와 5 에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ゃ 의 자소를; 숫자 3 과 6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ょ 의 자소를; 숫자 4 와 5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っ 의 자소를; 숫자 4 와 7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ざ 의 자소를; 숫자 5 와 6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ゆ 의 자소를; 숫자 5 와 8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へ 의 자소를; 숫자 6 과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ゅ 의 자소를; 숫자 7 과 8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だ 의 자소를; 숫자 8 과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8 과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が 의 자소를; 숫자 7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た 의 자소를; 숫자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を 의 자소를;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は 의 자소를; 상기 제6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자소 출력부가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숫자 2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ぁ 의 자소를; 숫자 3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ぉ 의 자소를; 숫자 5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ぇ 의 자소를; 숫자 6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ぅ 의 자소를; 숫자 7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ぃ 의 자소를; 상기 제7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자소 출력부가 상기 *키 및 #키와,
숫자 1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2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3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4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5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6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ヴ 의 자소를; 숫자 7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8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ㆍ 의 자소를; 숫자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상기 제8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키패드(10), 자소 저장부(20), 자소 출력부(30), 문자 변환부, 한자 변환부,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10)는 12개의 입력키를 포함하는 컴팩트형 키패드(10)로 문자데이터, 숫자데이터, 기호데이터를 포함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이다. 키패드(10)는 12개의 입력키 외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다수의 키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키패드(10)는 10개의 입력키, *키, #키, 문자변환키, 한자변환키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자변환키는 기 입력된 히라가나 자소를 가타카나 자소로 변환하는 수단이며, 한자변환키는 기 입력된 히라가나 자소를 한자로 변환하는 수단이다.
문자변환키와 한자변환키는 별도로 키패드(1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키패드(10)에 구비되는 방향 이동키나 사이 띄우기키 등 다른 키버튼을 문자데이터의 입력시 활용할 수도 있다.
키패드(10)의 10개의 입력키에는 각각 세개의 자소가 중앙에 기준그룹 자소, 그 좌측으로 제1그룹 자소, 그 우측으로 제2그룹 자소가 할당되어 인쇄될 수 있다. 기준그룹 자소는 해당 키버튼을 독립하여 눌러 입력하고, 제1그룹 자소는 *키와 키버튼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눌러 입력하고, 제2그룹 자소는 #키와 키버튼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눌러 입력할 수 있다.
키패드(10)의 다수의 키버튼에는 일본어의 자음 자소와 모음 자소가 분리되어 할당될 수 있다. 일본어의 모음자소는 あ, い, う, え, お, や, ゆ, よ 와 이들 자소의 소문자가 있다. 그 외의 자소는 모두 자음 자소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대문자, 소문자라고 하는 것은 일본어의 가타카나와 히라가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자소를 대문자라고 하면 요음에 해당하는 것을 소문자라고 지칭하는 의미이다.
키패드(10)에는 전술한 모음 자소들을 자음 자소들과 분리하여 키버튼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버튼에 할당되어 인쇄되는 자소들은 전술한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키버튼에 할당되지 않은 자소들은 자음 자소와 모음 자소를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자음 자소가 할당된 자음 입력키와 모음 자소가 할당된 모음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해당 자음자소와 모음자소의 음가를 합성하여 생성되는 자소를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음 자소의 행에 속하는 자소들 중 모음 자소의 단에 해당하는 자소를 합성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き 라는 자소가 키버튼에 할당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き 자소의 입력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か 라는 자음 자소를 전술한 방법에 의해 입력한다. 다음으로 い 라는 모음 자소를 입력한다.
자소출력부에서는 전술한 か 와 い 의 입력이 있으면 か 행에 속하는 다섯개의 자소들 중 い 단에 해당하는 자소, 즉 き 를 자소 저장부(20)에서 추출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일본어에 사용되는 모든 자소들을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자음 입력키와 모음 입력키는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눌러 해당 자소들을 입력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동시에 두 개의 키를 누르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본 출원인의 선출원 내용에 포함된 동시입력 제한시간을 설정하여 본 실시예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도 인접한 두 개의 키버튼을 동시에 눌러 자소를 보다 간편하게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내용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에 자세한 내용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자소 저장부(20)는 다수의 자소를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수단이다. 자소 저장부(20)는 일본어의 히라가나에 포함되는 다수의 자소를 전술한 기준그룹, 제1그룹, 제2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자소 저장부(20)는 전술한 자음 입력키와 모음 입력키의 조합에 대응하는 자소들을 제3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일본어 가타카나를 제4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자소 저장부(20)는 다수의 한자 자소를 제5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다수의 인접한 두개의 키입력에 대응하는 자소들을 제6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자소 저장부(20)는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를 결합자로 사용하는 자소들에 대하여, 숫자 0 과 다수의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조합된 키입력에 대응하는 자소들을 제7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자소 저장부(20)는 *키 및 #키와 다수의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조합된 키입력에 대응하는 자소들을 제8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자소 출력부(30)는 키패드(10)의 키입력에 따라 자소 저장부(20)로부터 키입력에 대응하는 자소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수단이다. 키패드(10)의 키입력에 따라 자소 저장부(20)의 다수의 그룹으로부터 키입력에 대응하는 자소를 추출하는 수단이다.
자소 출력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키패드(10)의 입력키가 독립적으로 눌려지면 자소 저장부(20)의 기준그룹에서, *키와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자소 저장부(20)의 제1그룹에서, #키와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자소 저장부(20)의 제2그룹에서 각각 대응하는 자소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자소 출력부(30)는 키패드(10)의 키버튼 중 서로 인접한 두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자소 저장부(20)의 제6그룹에서 대응하는 자소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출원인의 선출원 내용에 포함된 동시입력 제한시간을 설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자소 출력부(30)는 서로 인접한 두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는 경우, 전술한 자소 저장부(20)의 기준그룹, 제1그룹, 제2그룹 중 인접한 두 입력키의 키입력에 대응하는 자소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자소 저장부(20)의 제6그룹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왜냐 하면, 전술한 자소 저장부(20)의 제6그룹에 분류되어 저장되는 자소들은 모두 키패드(10)의 키버튼에 할당되어 인쇄되는 자소들 중, 입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인접버튼 누르기에 따라 추출되는 자소들이기 때문이다.
자소 출력부(30)는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다수의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전술한 자소 저장부(20)의 제7그룹에서 대응하는 자소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이는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를 결합자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그 외 다른 입력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수행될 수 있다.
자소 출력부(30)는 *키 및 #키와 다수의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전술한 자소 저장부(20)의 제8그룹에서 대응하는 자소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전술한 제8그룹에는 기호자소가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문자변환부(40)는 전술한 문자변환키의 입력이 있으면, 기 입력된 일본어 히라가나 자소에 대응하는 일본어 가타카나 자소를 자소 저장부(20)의 제4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한다. 한자변환부(50)는 전술한 한자변환키의 입력이 있으면, 기 입력된 일본어 히라가나 자소에 대응하는 한자 자소를 자소 저장부(20)의 제5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한다.
한자변환부(50)를 통한 한자 자소의 입력에 대해서는 전술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 내용에 자세한 내용이 있으며, 한자 입력에 대한 선출원의 내용이 여기에서 본 건의 일부분으로 편입하여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문자변환부(40) 및 한자변환부(50)가 수행하는 역할을 자소 출력부(30)가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문자변환부(40) 및 한자변환부(50)는 자소 출력부(3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의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수단이다. 제어부(60)는 키패드(10)로부터 입력되는 키버튼의 키입력을 전술한 자소 출력부(30) 또는 문자변환부(40), 한자변환부(50)로 전달한다. 제어부(60)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가 사용되는 단말기의 신호처리를 함께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원공급부, 디스플레이부, 키스캔 회로부 등 다양한 수단들에 대해서는 이 건 출원 전 다양한 공지 기술이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데이터 입력장치를 적용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문자데이터 입력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일본어 키패드(10)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10개의 입력키에는 각각 세 개씩의 일본어 히라가나 자소가 할당되어 인쇄될 수 있다. 키버튼의 사이에 표시된 자소들은 실제 키패드(10)에는 인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 인쇄되는 것도 가능하다.
키패드(10)의 숫자 1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ぱ, ま, ば 의 자소가, 숫자 2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や, あ, ゃ 의 자소가, 숫자 3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よ, お, ょ 의 자소가, 숫자 4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っ, さ, ざ 의 자소가, 숫자 5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わ, え, へ 의 자소가, 숫자 6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ゆ, う, ゅ 의 자소가, 숫자 7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た, ら, だ 의 자소가, 숫자 8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か, な, が 의 자소가, 숫자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 い, を 의 자소가,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 ん, は 의 자소가각각 제1그룹 자소, 기준그룹 자소, 제2그룹 자소로 할당되어 인쇄된다.
키패드(10)의 키버튼에 할당되어 인쇄되는 자소들은 다른 자소들에 비해 사용 빈도수가 많은 자소들인 것이 유리하다. 또한, 전술한 기준그룹, 제1그룹, 제2그룹에 포함되는 자소들은 일본어의 あ 단에 해당하는 자소들인 것이 유리하다.
기준그룹, 제1그룹, 제2그룹에 포함되는 자소들의 입력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키의 독립적인 키입력이 있으면 기준그룹에서, *키와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제1그룹에서, #키와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제2그룹에서 각각 대응하는 자소가 추출되어 입력될 수 있다.
문자데이터의 입력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는 인접한 두 개의 입력키를 눌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두 개의 입력키를 동시에 누름으로써 한 박자에 제1그룹 또는 제2그룹에 포함된 자소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숫자 1 과 2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や 의 자소가, 숫자 1 과 4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ば 의 자소가, 숫자 2 와 3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よ 의 자소가, 숫자 2 와 5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ゃ 의 자소가, 숫자 3 과 6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ょ 의 자소가, 숫자 4 와 5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っ 의 자소가, 숫자 4 와 7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ざ 의 자소가, 숫자 5 와 6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ゆ 의 자소가, 숫자 5 와 8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へ 의 자소가, 숫자 6 과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ゅ 의 자소가, 숫자 7 과 8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だ 의 자소가, 숫자 8 과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가, 숫자 8 과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が 의 자소가, 숫자 7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た 의 자소가, 숫자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を 의 자소가,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가,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は 의 자소가 입력될 수 있다.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를 결합자로 이용하여 일본어 소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본어 소문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본어 자소의 크기를 작게 쓰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숫자 2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ぁ 의 자소가, 숫자 3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ぉ 의 자소가, 숫자 5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ぇ 의 자소가, 숫자 6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ぅ 의 자소가, 숫자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ぃ 의 자소가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 다시 말해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연속적인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가 입력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호 자소의 키버튼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모드 변환없이 일반 문자 자소의 입력과 동일한 모드에서 다양한 기호 자소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기호 자소는 자소 저장부(20)의 제8그룹에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호 자소들은 상기 *키 및 #키와 다수의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조합된 키입력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기호 자소들은 별도의 모드 변환을 통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을 참조하면, *키 및 #키와 숫자 1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가, 숫자 2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가, 숫자 3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가, 숫자 4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가, 숫자 5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가, 숫자 6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ヴ 의 자소가, 숫자 7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가, 숫자 8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ㆍ 의 자소가, 숫자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가,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가 입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ヴ 자소는 영어 발음 V 에 해당하는 발음이 일본어에 없으므로 이를 표기하기 위하여 일본어에서 외래어의 표기에 사용되는 자소이다. 일반 자소에 해당하지만 사용빈도수가 낮은 관계로 기호 자소와 같은 그룹에 포함시켰다. 또, 사용빈도수가 높은 기호 자소는 일반 자소와 같은 그룹에 포함시켰다.
일본어의 마침표에 해당하는 고리점, 다시 말해 。자소와 일본어의 장음부호로 사용되는 - 자소, 그리고 쉼표에 해당하는 ,자소는 일반 자소와 같은 그룹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호 자소에 포함되는 자소 중 일본어에 자주 사용되는 。자소와 - 자소를 제1그룹에 포함시켜 키버튼에 할당하여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호 자소 중 ,자소는 제7그룹에 포함시켜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소의 입력은 *키와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 자소의 입력은 *키와 숫자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자소의 입력은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연속된 키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실시예는 일본어 자소의 입력과 함께 모드의 변환을 통하여 영어 자소의 입력도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영어 자소의 입력에 관하여서는 전술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에 자세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해당 영어 자소의 입력에 대한 부분이 여기에서 본 건의 일부분으로 편입된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일본어 문자데이터를 보다 빠르고 쉽게 입력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입력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키패드의 키버튼에 인쇄된 자소들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자소들을 자음 입력키와 모음 입력키의 조합에 따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본어 문자데이터를 보다 간편하게 입력함으로써 오타율을감소시킬 수 있으며, 일본어에 사용되는 모든 자소를 탁음 기호나 반탁음 기호와 같은 별도의 기호의 부가없이 적은 타수로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일본어 히라가나로 입력한 문자데이터를 가타카나 또는 한자 자소로 간편하게 변환할 수 있으며, 다수의 부호를 별도의 모드 변환없이 자소의 입력과 동일한 모드에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10)

  1. 컴팩트형 키패드에 기반한 문자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기준그룹 자소, 그 좌측으로 제1그룹 자소, 그 우측으로 제2그룹 자소가 각각 할당되어 인쇄되는 다수의 자음 입력키 및 다수의 모음 입력키, 그리고 문자변환키와 한자변환키를 포함하는 키패드와;
    다수의 자소를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자소 저장부와;
    상기 입력키의 독립적인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기준그룹에서, *키와 상기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1그룹에서, #키와 상기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2그룹에서, 상기 자음 입력키와 모음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제3그룹에서 각각 대응하는 자소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자소 출력부와;
    상기 문자변환키의 입력에 따라 기 입력된 자소에 대응하는 다른 자소를 제4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 문자변환부와;
    상기 한자변환키의 입력에 따라 기 입력된 자소에 대응하는 한자 자소를 제5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 한자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상기 자음 입력키에는 일본어 자음 자소가 할당되고 상기 모음 입력키에는 일본어 모음 자소가 할당되며;
    상기 자소 출력부가:
    상기 자음 입력키와 상기 모음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시 상기 자음 입력키에 해당하는 자음의 행에 속하는 자소 중 상기 모음 입력키의 모음의 단에 해당하는 자소를 상기 제3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자소 저장부가:
    상기 제1그룹 내지 제3그룹에는 일본어 히라가나 자소를 저장하고 상기 제4그룹에는 일본어 가타카나 자소를 저장하며;
    상기 문자변환부가:
    상기 문자변환키의 키입력에 따라 기 입력된 일본어 히라가나에 대응하는 일본어 가타카나를 상기 제4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자소 저장부가:
    상기 다수의 입력키 중 서로 인접한 두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에 대응되는 자소들을 저장하는 제6그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소 출력부가:
    상기 다수의 입력키 중 서로 인접한 두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6그룹에서 대응하는 자소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자소 저장부가: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상기 다수의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조합된 키입력에 대응하는 자소들을 저장하는 제7그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소 출력부가: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상기 다수의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7그룹에서 대응하는 자소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자소 저장부가:
    *키와 #키 및 상기 다수의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조합된 키입력에 대응되는 자소들을 저장하는 제8그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소 출력부가:
    *키와 #키 및 상기 다수의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8그룹에서 대응하는 자소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7. 청구항 1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소 저장부가:
    숫자 1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ぱ, ま, ば 의 자소를;
    숫자 2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や, あ, ゃ 의 자소를;
    숫자 3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よ, お, ょ 의 자소를;
    숫자 4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っ, さ, ざ 의 자소를;
    숫자 5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わ, え, へ 의 자소를;
    숫자 6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ゆ, う, ゅ 의 자소를;
    숫자 7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た, ら, だ 의 자소를;
    숫자 8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か, な, が 의 자소를;
    숫자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 い, を 의 자소를;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에는 。, ん, は 의 자소를;
    각각 제1그룹, 기준그룹, 제2그룹 자소로 할당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8.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자소 출력부가:
    숫자 1 과 2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や 의 자소를;
    숫자 1 과 4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ば 의 자소를;
    숫자 2 와 3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よ 의 자소를;
    숫자 2 와 5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ゃ 의 자소를;
    숫자 3 과 6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ょ 의 자소를;
    숫자 4 와 5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っ 의 자소를;
    숫자 4 와 7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ざ 의 자소를;
    숫자 5 와 6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ゆ 의 자소를;
    숫자 5 와 8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へ 의 자소를;
    숫자 6 과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ゅ 의 자소를;
    숫자 7 과 8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だ 의 자소를;
    숫자 8 과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8 과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が 의 자소를;
    숫자 7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た 의 자소를;
    숫자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を 의 자소를;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は 의 자소를;
    상기 제6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9.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자소 출력부가: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와,
    숫자 2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ぁ 의 자소를;
    숫자 3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ぉ 의 자소를;
    숫자 5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ぇ 의 자소를;
    숫자 6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ぅ 의 자소를;
    숫자 7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ぃ 의 자소를;
    상기 제7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10.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자소 출력부가:
    상기 *키 및 #키와,
    숫자 1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2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3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4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5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6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ヴ 의 자소를;
    숫자 7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8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ㆍ 의 자소를;
    숫자 9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숫자 0 에 해당하는 입력키의 조합된 키입력이 있으면 : 의 자소를;
    상기 제8그룹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KR10-2001-0042641A 2001-07-14 2001-07-14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KR100450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641A KR100450587B1 (ko) 2001-07-14 2001-07-14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641A KR100450587B1 (ko) 2001-07-14 2001-07-14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750A true KR20030006750A (ko) 2003-01-23
KR100450587B1 KR100450587B1 (ko) 2004-09-30

Family

ID=2771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641A KR100450587B1 (ko) 2001-07-14 2001-07-14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5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6835A2 (ko) * 2008-03-20 2009-09-24 Chun Kangil 일본어 입력장치 및 방법
WO2009131315A2 (ko) * 2008-04-03 2009-10-29 Cheon Kang Il 일본어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KR101037330B1 (ko) * 2008-07-08 2011-05-26 주식회사 기남금속 소음 및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맨홀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5908A (en) * 1984-11-13 1986-04-29 Gte Communication Systems Corporation Data entry and display control circuit
JPH0754950B2 (ja) * 1987-08-24 1995-06-07 橋本コーポレイション株式会社 プッシュホンを用いた文字通信方式
KR19980059494U (ko) * 1998-07-07 1998-10-26 홍성한 전화기숫자판 - 한글 영문 입력방식
KR19990024170A (ko) * 1998-12-16 1999-03-25 김경덕 문자 입력이 용이한 키패드
KR20000044457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무선단말기의 키 운용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6835A2 (ko) * 2008-03-20 2009-09-24 Chun Kangil 일본어 입력장치 및 방법
WO2009116835A3 (ko) * 2008-03-20 2009-12-23 Chun Kangil 일본어 입력장치 및 방법
WO2009131315A2 (ko) * 2008-04-03 2009-10-29 Cheon Kang Il 일본어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WO2009131315A3 (ko) * 2008-04-03 2009-12-23 Cheon Kang Il 일본어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KR101037330B1 (ko) * 2008-07-08 2011-05-26 주식회사 기남금속 소음 및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맨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0587B1 (ko)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15584A (ja)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および電子機器
KR20020055833A (ko) 한글과 영어의 자소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문자인식모듈이내장된 문자입력장치
KR20040087321A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0450587B1 (ko)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KR100599873B1 (ko)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1006833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388301B1 (ko) 정음 한글/알파벳 입력장치
KR2002001603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11299A (ko) 휴대폰 문자코드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9980013987A (ko) 텐키를 이용한 한글신호입력방법
JP2002116862A (ja) リング状文字入力および機能選択システム
JP2649139B2 (ja) ローマ字入力用のキーボード
KR20110130843A (ko) 2개국 겸용 속기 키보드
KR101402478B1 (ko) 문자 입력 방법
JP3130693B2 (ja) パソコン用日本語混合文入力装置
JP2666590B2 (ja) イ語文字入力装置
JPH08137594A (ja) キーボード
KR20010073483A (ko) 간편한 한글자판
KR20050013921A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20040003092A (ko) 새로운 확장형 키패드를 통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JP3088476B2 (ja) ミャンマー語入力装置
JP3072312U (ja) 情報機器用片手操作キー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