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754B1 -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754B1
KR101243754B1 KR1020110020500A KR20110020500A KR101243754B1 KR 101243754 B1 KR101243754 B1 KR 101243754B1 KR 1020110020500 A KR1020110020500 A KR 1020110020500A KR 20110020500 A KR20110020500 A KR 20110020500A KR 101243754 B1 KR101243754 B1 KR 101243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phonetic
chinese characters
alphabet
chin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2379A (ko
Inventor
신부용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20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75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2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자모를 활용하여 중국 문자(漢子)의 발음을 표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중국 문자의 발음을 구성하는 성모와 운모에 대응하는 한글 자모와 성조를 나타내는 성조표시를 조합하여 중국 문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한글발음표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100); 중국 문자, 및 중국 문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한글 자모와 성조표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한글발음표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200); 상기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입력된 한글발음표기에 해당하는 중국 문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에서 검색하는 제어부(300); 및, 상기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입력된 한글발음표기를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상기 제어부(300)에서 검색된 중국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나의 중국 문자마다 하나의 한글발음표기가 1:1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Chinese Characters Pronunciation Displaying System using Hangul Phonetic Symbols}
본 발명은 한글 자모와 성조표시를 조합하여 한글발음표기를 구성하고, 하나의 중국 문자(漢子)마다 하나의 한글발음표기가 1:1로 대응하도록 구성하고, 중국 문자의 발음을 정확하고 알기 쉽게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래 훈민정음은 한자를 대신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중국어의 발음을 완벽하게 표기할 수 있었다. 그러나 훈민정음이 아닌 현재 쓰고 있는 한글로는 중국어의 발음 가운데 일부를 정확하게 표기하기 어려워 우리나라 사람들도 로마자에 의한 방법, 즉 한어병음을 빌어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어병음 또한 중국어 발음을 모두 정확히 표기할 수가 없어 불편할 뿐 아니라 배워 쓰기 어렵다.
본 발명은 한글자모를 사용하되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를 활용하여 중국어 문자의 발음을 쉽고 정확하게 표기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중국어 습득과 활용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첫 번째 과제는, 중국어 발음 중에는 현행 맞춤법에 의한 한글자모로는 그 음가를 정확히 표기하기 어려운 것이 있어 이에 대해 일부 새로운 표기 방법을 도입하여 중국어의 발음도 정확히 표기할 수 있는 한글 표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 번째의 기술적 과제는 중국어 발음을 한글자모로 표기하되 휴대전화기나 스마트 폰 등 모바일 단말기 입력이 용이하도록 단순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현대 문명에 적용성이 좋은 중국어 한글표기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세 번째의 기술적 과제는 중국문자 중에는 한글로 표기할 때 1:1 로 대응하지 못하고 2개나 3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로 인해 중국어 본래의 발음표기에 소홀해 지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주게 되므로 중국 문자는 예외없이 1:1로 대응하는 한글 자모로 된 음절 표기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한글 자모를 활용하여 중국 문자(漢子)의 발음을 표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중국 문자의 발음을 구성하는 성모와 운모에 대응하는 한글 자모와 성조를 나타내는 성조표시를 조합하여 중국 문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한글발음표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100); 상용되는 일정 수의 중국 문자에 대해 1:1로 대응하는 한글발음표기를 부여하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200); 상기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입력된 한글발음표기에 해당하는 중국 문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에서 검색하는 제어부(300); 및, 상기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입력된 한글발음표기를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상기 제어부(300)에서 검색된 중국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나의 중국 문자마다 하나의 한글발음표기가 1:1로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문자와 1:1로 대응하는 한글발음표기법을 제공하여 중국 문자의 발음을 쉽고 정확하게 표기할 수 있어 누구나 쉽게 중국어를 표기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중국 문자의 발음을 한글 자모와 성조표시로 구성된 한글발음표기라는 독자적인 기호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한글발음표기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 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입력하고 출력할 수 있어 중국 문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중국 문자와 1:1로 대응하는 한글발음표기라는 독자적인 기호를 사용하여 중국 문자의 발음을 정확하게 표기할 수 있어 사실상 중국 문자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한글발음표기라는 독자적 기호의 구성(배열 구조)을 도시하는데, (a) 상단에 성모 및 성조표시가 배열되고 하단에 운모가 배열되도록 구성된 경우, (b) 상단에 성모, 운모의 일부(초기음(初期音)) 및 성조표시가 배열되고 하단에 운모의 나머지 부분(후기음(後期音))이 배열되도록 구성된 경우, (c) 한글발음표기에 사용되는 성조표시의 구체적 예를 각각 도시한다.
도3은 한글발음표기를 이용하여 "漂 亮"이라는 구체적인 중국 문자를 한글발음표기를 이용하여 표현한 구체적 실시예 (a) 및 (b)이다.
도4는 한어병음(성모)에 대응하는 본원발명의 한글 자음을 보여준다.
도5는 한어병음(운모)에 대응하는 본원발명의 한글 모음을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는 한글 자모를 활용하여 중국 문자(漢子)의 발음을 표기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글발음표기는 중국 문자의 발음을 구성하는 성모와 운모에 대응하는 한글 자모와 성조를 나타내는 성조표시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하나의 독자적인 독립된 기호이다.
입력수단(100)은 이러한 한글발음표기를 구성하는 한글 자모와 성조표시를 입력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입력수단(100)은 스마트폰이나 PDA, PMP, 노트북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의 터치스크린, 키패드, 키보드 등이 될 수 있다.
입력수단(100)에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성조를 나타내는 성조표시 기호를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이 구비되어야만 한다.
이와는 별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키(function key)들과 스크롤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입력수단(100)에는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성조표시를 인식하여 독자적인 기호를 형성하는 문자형성 오토마타가 포함되어 입력수단(100)으로 입력된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성조표시를 조합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하나의 독립된 기호인 한글발음표기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중국 문자마다 하나의 한글발음표기가 1:1로 대응하게 된다.
데이터베이스부(200)는 중국 문자, 및 중국 문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한글 자모와 성조표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한글발음표기를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한글발음표기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중국 문자를 쉽게 검색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부(200)는 입력수단(100)과 함께 하나의 본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입력수단(100)과 이격된 장소에 구비되어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스마트폰 등을 통하여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부(200)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00)에는 중국 문자의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한 한어병음(漢語倂音)도 함께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디스플레이부(400)에는 제어부(300)에서 검색된 중국 문자가 화면상에 표시될 때 한어병음도 함께 표시된다.
제어부(300)는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입력된 한글발음표기에 해당하는 중국 문자를 데이터베이스부(200)에서 검색하는 역할을 한다. 즉 데이터베이스부(200)에는 중국 문자와 함께 중국 문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한글발음표기가 함께 저장되어 있으므로 입려된 한글발음기호에 해당하는 중국 문자를 쉽게 검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는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입력되어 생성된 한글발음표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0)는 제어부(300)에서 검색된 중국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00)는 모바일 단말기나 PC 등에 구비되는 다양한 종류의 액정화면이 될 수 있다.
한글 자모와 성조표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한글발음표기는 그 자체가 하나의 독자적 기호로 구분되는데, 각각의 한글발음표기를 구성하는 한글 모음을 입력할 때 음가(音價)가 없는 "초성ㅇ" 은 입력하지 않으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0)에도 음가가 없는 "초성ㅇ"은 표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각각의 한글발음표기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성모 및 성조표시가 배열되고 하단에 운모가 배열되도록 구성되거나, 도2(b)와 같이 상단에 성모, 운모의 일부 및 성조표시가 배열되고 하단에 운모의 나머지 부분이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단에 표시되는 운모의 일부는 초기에 발음되는 부분으로 대부분의 경우 단모음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표시되는 운모의 일부는 그 나머지가 된다.
예를 들어 한어병음 "liang"으로 표기되는 음절을 표기하기 위해 한글 자모 "ㄹㄹㅣㅏㅇ"와 성조표시 "\"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경우(이 경우 "ㄹㄹ"용 자판이 미리 구비된 경우에는 해당 자판을 한 번만 입력하면 되고, 별도의 자판이 없는 경우에는 "ㄹ" 자판을 순차적으로 두 번 입력하면 된다.) 도3(a)와 같이 상단에 성모 "ㄹㄹ"과 성조표시 "\"가 배열되고 하단에 "ㅣㅏㅇ"이 배열될 수도 있고, 도3(b)와 같이 상단에 성모에 해당하는 "ㄹㄹ"과 운모의 초기음 "ㅣ", 그리고 성조표시 "\"가 배열되고 하단에는 그 나머지 부분인 "ㅏㅇ"이 배열될 수도 있다.
만약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입력된 한글발음표기에 해당하는 중국 문자가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를 모두 검색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디스플레이부(400)는 제어부(300)에서 검색한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를 모두 표시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중국 문자를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입력수단(100)에는 이와 같이 표시되는 다수 개의 동음이의어를 사용 빈도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표시하도록 선택하는 기능키나 별도의 선택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입력수단(100)에는 다수 개의 동음이의어를 의미 연관성에 따라 분류되는 군(group)으로 구분 배열하여 표시하도록 선택하는 기능키나 별도의 선택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동음이의어가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수단(100)에 구비된 스크롤키나 별도의 기능키 또는 별도의 선택수단을 이용하여 다수 개의 동음이의어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입력수단
200:데이터베이스부
300:제어부
400: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한글 자모를 활용하여 중국 문자(漢子)의 발음을 표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중국 문자의 발음을 구성하는 성모와 운모에 대응하는 한글 자모, 및 성조를 나타내는 성조표시를 입력하는 입력수단(100);
    상용되는 일정 수의 중국 문자에 대해 1:1로 대응하는 한글발음표기를 부여하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200);
    상기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입력된 한글 자모와 성조표시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한글발음표기에 해당하는 중국 문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에서 검색하는 제어부(300); 및,
    상기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입력된 한글 자모와 성조표시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한글발음표기를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상기 제어부(300)에서 검색된 중국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나의 중국 문자마다 하나의 독립된 기호로 인식되는 한글발음표기가 1:1로 대응하고,
    각각의 한글발음표기는,
    상단에 성모 및 성조표시가 배열되고 하단에 운모가 배열되도록 구성되거나,
    상단에 성모, 운모의 일부 및 성조표시가 배열되고 하단에 운모의 나머지 부분이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2. 제1항에서,
    각각의 한글발음표기를 구성하는 한글 모음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에 음가(音價)가 없는 "초성ㅇ"은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에는 중국 문자의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한 한어병음(漢語倂音)도 함께 저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제어부(300)에서 검색된 중국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할 때 한어병음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입력된 한글발음표기에 해당하는 중국 문자가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를 모두 검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제어부(300)에서 검색한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를 모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입력수단(100)에는 다수 개의 동음이의어를 사용 빈도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기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6. 제4항에서,
    상기 입력수단(100)에는 다수 개의 동음이의어를 의미 연관성에 따라 분류되는 군(group)으로 구분 배열하여 선택하는 기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7. 제4항에서,
    상기 입력수단(100)에는 다수 개의 동음이의어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8. 삭제
KR1020110020500A 2011-03-08 2011-03-08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KR101243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500A KR101243754B1 (ko) 2011-03-08 2011-03-08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500A KR101243754B1 (ko) 2011-03-08 2011-03-08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379A KR20120102379A (ko) 2012-09-18
KR101243754B1 true KR101243754B1 (ko) 2013-03-13

Family

ID=47110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500A KR101243754B1 (ko) 2011-03-08 2011-03-08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7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141B1 (ko) 2016-03-16 2017-09-26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한글 입력 키보드를 이용한 훈민정음 기반 중국어 및 외국어 입력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618B1 (ko) * 2014-12-16 2015-11-11 문기성 한글을 이용한 한자의 중국어 발음 표기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016654A (zh) * 2022-06-01 2022-09-06 汉大国际教育科技(深圳)有限公司 汉字音标、输入法、查音标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388A (ko) * 2003-04-28 2004-11-15 김상근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81511A (ko) * 2009-01-06 2010-07-15 백성호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나타내는 소정기호를 포함하는 한글 발음기호로 표시 가능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나타내는 소정기호를 포함하는 한글 발음기호 표시 방법 및 중국어의 발음과 중국어 성조를 한글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과 중국어 성조를 한글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388A (ko) * 2003-04-28 2004-11-15 김상근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81511A (ko) * 2009-01-06 2010-07-15 백성호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나타내는 소정기호를 포함하는 한글 발음기호로 표시 가능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나타내는 소정기호를 포함하는 한글 발음기호 표시 방법 및 중국어의 발음과 중국어 성조를 한글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과 중국어 성조를 한글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141B1 (ko) 2016-03-16 2017-09-26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한글 입력 키보드를 이용한 훈민정음 기반 중국어 및 외국어 입력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379A (ko)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4417B (zh) 多语言键输入装置及其方法
CN117519493B (zh) 基于10键键盘及应用于小屏电子设备的全拼输入法
KR20020053784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 방법
CN117608415B (zh) 基于10键键盘及应用于小屏电子设备的简拼输入法
CN117590953B (zh) 基于10键键盘及应用于小屏电子设备的双拼输入法
KR101060928B1 (ko)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나타내는 소정기호를 포함하는 한글 발음기호로 표시 가능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나타내는 소정기호를 포함하는 한글 발음기호 표시 방법 및 중국어의 발음과 중국어 성조를 한글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과 중국어 성조를 한글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방법
JP2017509080A (ja) 漢字入力装置と漢字入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漢字検索方法
TWI475405B (zh) 電子裝置及其文字輸入介面顯示方法
KR101243754B1 (ko)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CN105278695A (zh) 一种拼音输入方法及装置
KR101216840B1 (ko)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CN104238929A (zh) 一种适用于触屏设备的汉字输入方法
KR101645674B1 (ko) 자동완성 후보 단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140767B1 (ko)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JP2002207728A (ja) 表音文字生成装置及び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9105866A (ja) タッチ操作による文字入力装置・方法・プログラム
JP2014142762A (ja) 外国語の発音表記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JP2014155215A (ja) かな文字の入力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キーボード
CN101311883B (zh) 以国语的注音符号输入中文字的方法
JP2008097628A (ja) 日本語入力装置及び方法
JP2008102657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KR101340511B1 (ko) 한글기반만국발음기호를 이용한 다언어 검색시스템
KR10115528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KR20230007897A (ko)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3309595A (zh) 一种用错别字输入汉字的显示屏软键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