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5182A - 고체 촬상 소자 - Google Patents

고체 촬상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5182A
KR20040095182A KR1020040031758A KR20040031758A KR20040095182A KR 20040095182 A KR20040095182 A KR 20040095182A KR 1020040031758 A KR1020040031758 A KR 1020040031758A KR 20040031758 A KR20040031758 A KR 20040031758A KR 20040095182 A KR20040095182 A KR 20040095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ght
photoconductive
photoelectric conversion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6448B1 (ko
Inventor
간베히데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43Photodiode arrays; MOS imagers
    • H01L27/14645Colour imagers
    • H01L27/14647Multicolour imagers having a stacked pixel-element structure, e.g. npn, npnpn or MQW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Coatings
    • H01L27/14621Colour filt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16Coatings
    • H01L31/02161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162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filtering or shielding light, e.g. multicolour filters for photodetectors
    • H01L31/02165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filtering or shielding light, e.g. multicolour filters for photodetectors using interference filters, e.g. multilayer dielectric filters

Abstract

화소에 대응하는 기판을 포함하는 고체 촬상 소자가 제공된다. 기판은 그 위에 수광부를 수반하고, 그 위에는 적색의 파장 영역내에서 광을 흡수하는 광도전 막, 녹색의 파장 영역내에서 광을 흡수하는 광도전 막, 및 청색의 파장 영역내에서 광을 흡수하는 광도전 막이 순서대로 적층된다. 투명 전극막은 각각의 광도전막상에 제공된다. 상기 광 도전막위에 배치된 투명 전극막 및 상기 광 도전 막 아래에 배치된 투명 전극막은 녹색 파장 영역내에서 광을 반사하는 반투과 반사막을 샌드위칭한다. 유사하게, 반투과 반사막은 상기 광 도전막위에 배치된 투명 전극막 및 상기 청색 파장 영역내에서 광을 반사하는 광 도전막 아래에 배치된 투명 전극막 사이에 샌드위칭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높은 색 분해능 및 우수한 감도를 얻을 수 있는 광도전-막-적층형의 단일-판형 컬러 고체 촬상 소자가 성공적으로 제공된다.

Description

고체 촬상 소자{SOLID-STATE IMAGING DEVICE}
본 발명은, 단판식(single-plate)의 컬러 CCD 고체 촬상 소자나 컬러 CMOS 고체 촬상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 위에 광전 전환부(optical-electrical conversion section)가 되는 광도전막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광 도전막 적층형의 고체 촬상 소자에 관한 것이다.
단판식의 컬러 고체 촬상 소자로서는 수광부가 형성된 각 화소부에 R(적색), G(녹색), B(청색) 등의 컬러 필터를 할당하여 배치한 구성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고체 촬상 소자에서는 각 색의 컬러 필터가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1그룹으로서 컬러 신호를 얻고 있기 때문에, 공간적인 분해능의 향상이 제한되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것에 대한 개선을 위해, 최근에는 막과 컬러 간의 일-대-일 관계를 갖는 광전 전환부로 작용하는 광 도전 막(광-전 변환 막)을 적층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고체 촬상 소자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고체 촬상 소자에서는, 화소의 그룹이 아닌 단일 화소로 컬러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고체 촬상 소자 중, 광전 전환부가 되는 광 도전막을 기판 위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광 도전막 적층형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의 수광부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도전막 적층형의 고체 촬상 소자의 각 수광부는, 반도체 기판(101)상에, 적색, 녹색, 청색에 대응하는 각각의 광 도전막(103R, 103G, 103B)를 적층하여, 이들의 광 도전막(103R, 103G, 103B)상에 투명 전극막(105)을 각각 적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최상층에는, 청색(B)용의 광 도전막(103B)이 청색의 파장 영역의 광(Hb)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정도의 막 두께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층에는 녹색(G)용의 광 도전막(103G)이 녹색의 파장 영역의 광(Hg)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정도의 막 두께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최하층에는, 적색(R)용의 광 도전막(103R)이 적색의 파장 영역의 광(Hr)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정도의 막 두께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광 도전막(103R, 103G, 103B)의 상하로 배치된 투명 전극막(105) 및 반도체 기판(101)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각 광도전막(103R, 103G, 103B)에서 흡수되어 광전 변환된 전하가 순차 판독되어, 1 화소로 컬러 신호가 얻어지는 구성으로 되어있다(이하, 하기 비특허 문헌1 참조).
[비 특허 문헌1]
Dietmar Knipp, et al. "Stacked Amorphous Silicon Color Sensor", IEEE TRANSACTION ON ELECTRON DEVICES, VOL.49, No.1, JANUARY 2002, P. 170-176.
그런데, 여기서의 논점은, 전술한 광 도전막 적층형의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는, 각 파장 영역의 광을 각 광 도전막에 완전하게 흡수시키는 것이 곤란하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층의 광 도전막으로 흡수할 수 없는 청색의 파장 영역의 광(Hb)이 중간층이나 최하층의 광 도전막(103G), (103R)에 누설되어 포함되고, 또한 중간층의 광 도전막(103G)에서 흡수할 수 없는 녹색의 파장 영역의 광(Hg)이 최하층의 광도전막(103R)에 누설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다. 그리고, 이렇게 광이 누설되어 새어나가기때문에, 색 분해능이저하됨과 함께, 각 광 도전막(103R, 103G, 103B)에서 목적으로 하는 파장 영역의 수광 신호 강도, 즉 감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색 분해능이 우수하고, 또한 감도가 양호한 광 도전막 적층형의 단판식 컬러 고체 촬상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는 종래의 광도전막 적층형의 단판식 컬러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의 수광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고체 촬상 소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3c는 반 투과 반사막 및 광 흡수막의 광 투과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 내지 4b는 고체 촬상 소자의 분광 특성을 도시하는 파장-광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3 : 수광부
5r, 5g, 5b : 광 도전막
7 : 투명 전극막
9g, 9b : 반 투과 반사막
11 : 광 흡수막
13 : 캐패시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 화소에 대응하는 기판 위 부분에 광 도전막과 그 상부의 투명 전극막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막을 복수의 막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수광부가 배치된 고체 촬상 소자가 제공되고, 이러한 고체 촬상장치에서는, 광 도전막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 전극막이 소정의 파장 영역의 광을 반사시켜 이것보다도 긴 파장의 광을 투과시키는 반 투과 반사막을 샌드위칭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고체 촬상 소자에서는, 제1 광-전 변환막; 상기 제1 광-전 변환막상에 형성된 제2 광-전 변환막; 및 상기 제2 광-전 변환막위에 형성된 제3 광-전 변환막을 포함한다. 전술한 고체 촬상 소자에서는, 제1 반투과막이 제1 광-전 변환막과 제2 광-전 변환막사이에 형성되고, 제2 반투과막이 제2 광-전 변환막과 제3 광-전 변환막사이에 형성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소자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고체 촬상 소자의 일례를 도시하는 주요부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고체 촬상 소자는 예를 들면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기판(1)의 표면측에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 형성된 것이고, 각 화소부상에 수광부(3)가 설치되어 있다.
각 수광부(3)는 기판(1)측에서 순서대로 적층된, 적색용의 광 도전막(5r), 녹색용의 광 도전막(5g), 및 청색용의 광 도전막(5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광 도전막(5r, 5g, 5b)의 상하로는 투명 전극막(7)이 설치되고 있고, 이들의 투명 전극막(7) 사이에 각 광도전막(5r, 5g, 5b)가 샌드위칭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광도전막(5r, 5g, 5b) 사이에 배치된 투명 전극막(7)에는 특정 파장 영역의 광을 반사시키는 반 투과 반사막(9g, 9b)가 샌드위칭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광 도전막(5r, 5g) 사이 및 광 도전막(5g, 5b)사이의 투명 전극막(7)은 반 투과 반사막(9g, 9b)를 샌드위칭한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최하층의 투명 전극막(7)(즉, 하부 투명 전극막)과 기판(1)과의 사이에는, 광 흡수막(11)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의 수광부(3)를 구성하는 각층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 도전막(5r, 5g, 5b)는 여기서의 도시는 생략했지만 각각 다층막 구조이다. 이러한 다층막 구조에서, 광전 변환층을 해당 광전 변환막에 대한 전자 주입 저지층과 정공 주입 저지층과의 사이에 끼워 형성되는 적층막으로 이루어진다. 이 러한 적층 구조의 광 도전막(5r, 5g, 5b)는 일례로서 i-형의 비정질(amorphous)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광전 변환막을 i-형의 비정질 탄화 실리콘(amorphous silicon carbide)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주입 저지층과, p-형의 비정질 탄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정공 주입 저지층과 샌드위칭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최상부에 배치되는 광 도전막(5b)은 최상부의 투명 전극막(7)측에서 입사한 광(H) 중, 청색의 파장 영역 및 이것보다도 단파장측의 광(Hb)를 흡수하여, 청색의 파장 영역보다도 긴 파장 영역의 광을 투과하는 막 두께(tb)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에 배치된 광 도전막(5g)은 최상부의 투명 전극막(7)측에서 입사하여 해당 광 도전막(5g)에 달한 광(H) 중, 녹색의 파장 영역의 광(Hg)을 흡수하여, 이것보다도 장파 길이 영역의 광을 투과하는 막 두께(tg)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최하부에 배치된 광 도전막(5r)은 최상부의 투명 전극막(7)측에서 입사하여 해당 광 도전막(5r)에 도달한 광, 즉 녹색의 파장 영역보다도 장파 길이 영역인 적색의 파장 영역의 광(Hr)을 흡수하는 막 두께(tr)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상의 막 두께(tb, tg, tr)은 각 광 도전막(5r, 5g, 5b)의 재질에 의해서 변화하는 광학 막 두께인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들의 광 도전막(5r, 5g, 5b)를 샌드위칭하는 상태에서 배치되는 각 투명 전극막(7)은 예를 들면 ITO(Indium Tin 0xide: 산화 인듐 주석), TO(Tin 0xide: 산화 주석),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산화 주석), IZ0(Indium Zinc Oxide, IXO(인듐과 아연과 산소의 화합물)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광 도전막(5r, 5g)사이의 투명 전극막(7)에 샌드위칭된 반 투과 반사막(9g), 및 광 도전막(5g, 5b)사이의 투명 전극막(7)에 샌드위칭된 반 투과 반사막(9b)은 소정의 파장 영역의 광을 반사시켜 이것보다도 장파 길이측의 광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반 투과, 반 반사의 성질을 갖는 소위 다이크로익(Dichroic)미러 또는 다이크로익 필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반 투과 반사막(9b, 9g)는 예를 들면, 다층막의 광 간섭 효과를 이용함으로써 소정의 파장 영역의 광만을 반사하여, 그것 이외의 파장 영역의 광을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상측에 배치되는 반 투과 반사막(9b)은 최상층에 배치된 투명 전극막(7)측에서 광 도전막(5b)에 입사된 광(H) 중, 그 하부의 광 도전막(5b)에서 흡수되는 청색의 파장 영역의 광(Hb)만을 반사하여, 이것보다도 장파 길이 영역의 광(H)를 투과시키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즉, 반 투과 반사막(9b)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색의 파장 영역(490nm ∼ 550nm 정도)의 광(Hb)의 투과율 T(%)가 낮게, 이 파장 영역의 광(Hb)를 반사하고, 이것보다도 장파 길이 영역의 광의 투과율 T(%)가 높게 된다.
또한, 하부에 배치되는 반 투과 반사막(9g)은 최상층에 배치된 투명 전극막(7)측에서 입사되어 광 도전막(5g)에 달한 광(H)중, 해당 광 도전막(5g)에서 흡수되야하는 녹색의 파장 영역의 광(Hg)을 반사하여 그것 이외의 광을 투과시키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즉, 반 투과 반사막(9g)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의 파장 영역(파장490nm ∼ 580nm)의 광(Hg)의 투과율 T(%)이 낮게 이 파장 영역의 광 (Hg)을 반사하여, 이것 이외의 파장 영역의 광의 투과율 T(%)가 높게 된다.
그리고, 기판(1)의 바로 윗쪽, 즉, 수광부(3)의 최하층에 배치된 광 흡수막(11)은 최상층의 투명 전극(7)측에서 입사되어 해당 광 흡수막(11)에 달한 광을 흡수하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광 흡수막(11)에 달하는 광(Hr)은 광 도전막(5b, 5g, 5r)을 투과한 광이고, 청색의 파장 영역의 광(Hb)은 광 도전막(5b)에서 흡수되어, 녹색의 파장 영역의 광(Hg)은 광 도전막(5g)에서 흡수되는 것부터, 광 흡수막(11)은 특히 광 도전막(5r)에서 흡수되야하는 적색의 파장 영역의 광(Hr)이 흡수되는 막이면 좋다. 그래서, 광 흡수막(11)으로서는,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파 길이 영역(파장600nm 정도 이상)의 적색의 광(Hr)의 투과율 T(%)가 낮게, 이 파장 영역의 광(Hr)을 반사하여, 이것보다도 단파장 영역의 광의 투과율 T(%)가 높은 반 투과 반사막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이 구성된 수광부(3)에는 각 광 도전막(5r, 5g, 5b)에 대응시킨 캐패시터(13)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캐패시터(13)는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의 표면측에 형성된 p 웰 확산층(14)의 표면층에 패턴 형성된 각 N+확산층(15)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N+확산층(15)에 광 도전막(5r, 5g, 5b)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접하여 설치된 한쪽의 투명 전극7(도면에 있어서는 하방의 투명 전극(7))으로부터 인출된 추출(extraction) 전극(17)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광 도전막(5r, 5g, 5b)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접하여 설치된 한쪽의 투명 전극7(도면에 있어서는 상측의 투명 전극(7))은 공통의 전원 Vp에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광 도전막(5r, 5g, 5b)를 끼운 상하의 투명 전극(7) 사이를 흐르는 광전류가 각 수광 신호로서 캐패시터(13)에 의해 추출되어 축적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기판(1)의 표면층에는 N+확산층15과의 사이에 채널 영역이 되는간극(interval)(d)을 설치하여 전하 전송 영역(도시 생략)이 되는 확산층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1)의 채널 영역 상부에는 각 N+확산층(15)에 대응시켜 판독한 게이트(19)가 설치되고, 전하 전송 영역 위에는 여기서의 도시를 생략한 절연막을 개재하여 판독한 게이트(19)에 접속된 전송 전극(21)이 배치되어 고체 촬상 소자가 구성되어 있다. 이 고체 촬상 소자는 광 도전막을 적층시킨 CCD 형의 단판식 컬러 고체 촬상 소자이다.
이러한 구성의 고체 촬상 소자에서는, 복수의 광 도전막(5r, 5g, 5b)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수광부(5)에, 최상층의 투명 전극막(7)측에서 광(H)이 입사되면, 단파장 영역의 광으로부터 순서대로 광 도전막(5r, 5g, 5b)에 흡수되어 광전 변환되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최상층의 광 도전막(5b)는 청색의 파장 영역의 광(Hb)을 흡수하는 막 두께(tb)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상층의 투명 전극막(7)측에서 입사된 광(H) 중, 청색의 파장 영역의 광(Hb)는 최상층의 광 도전막(5b)에서 흡수된다. 더구나, 이 광 도전막(5b)의 하부에는 청색의 파장 영역의 광(Hb)만 반사시키는 반 투과 반사막(9b)이 배치되어 있기때문에, 광 도전막(5b)에서 흡수할 수 없던 청색의 파장 영역의 광(Hb)은 이 반 투과 반사막(9b)에서 반사되어 다시 광 도전막(5b)에 입사되어 흡수된다.
이 때문에, 반 투과 반사막(9b)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광 도전막(5b)에서의 청색의 파장 영역의 광(Hb)의 흡수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광 도전막(5b)에서 흡수할 수 없던 청색의 파장 영역의 광(Hb)은 하층의 광도전막(5g, 5r)에 누설된 것은 없기 때문에, 청색의 파장 영역의 광(Hb)을 확실하게 색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광 도전막(5b)의 하층의 광 도전막(5g)에는 청색의 파장 영역의 광 (Hb)을 제외한 광만이 입사한다. 이 광 도전막(5g)은 녹색의 파장 영역의 광(Hg)을 흡수하는 막 두께(tg)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사한 광 중, 녹색의 파장 영역의 광(Hg)이 광 도전막(5g)에서 흡수된다. 더구나, 이 광 도전막(5g)의 하부에는 녹색의 파장 영역의 광(Hg)만 반사시키는 반 투과 반사막(9g)이 배치되어 있기때문에, 광 도전막(5g)에서 흡수할 수 없던 녹색의 파장 영역의 광(Hg)은 이 반 투과 반사막(9g)으로 반사되어 다시 광 도전막(5g)에 입사되어 흡수된다.
이 때문에, 반 투과 반사막(9g)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광 도전막(5g)에서의 녹색의 파장 영역의 광(Hg)의 흡수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광 도전막(5g)에서 흡수할 수 없던 녹색의 파장 영역의 광(Hg)은 하층의 광 도전막(5r)에 누설된 것은 없기 때문에, 청색의 파장 영역의 광(Hb)이 분리된 광으로부터, 녹색의 광(Hg)을 확실하게 색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로 인해, 최하층의 광 도전막(5r)에는 청색 및 녹색의 파장 영역의 광 Hb 및 Hg을 확실하게 분리한 광, 즉 적색의 파장 영역의 광(Hr) 및 이것보다도 장파 길이 영역의 광만이 입사한다. 그리고, 최하층의 광 도전막(5r)은 적색의 파장 영역의 광(Hr)을 흡수하는 막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이 하부에는 적색의 파장 영역의 광(Hr)을 흡수하는 광 흡수막(1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광 도전막(5g)에서 흡수할 수 없던 적색의 파장 영역의 광(Hr)이 반사에 의해서 다시광 도전막(5r)보다도 상측의 광 도전막(5g, 5b)에 누설되는 것은 없다.
이 때문에, 광 흡수막(11)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광 분리된 적색의 파장 영역의 광(Hr)이 반사에 의해서 다시 상측의 광 도전막(5g, 5b)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광 도전막(5r, 5g, 5b)사이에서의 소정의 파장 영역의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때문에, 도 4a의 분광 특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광 도전막(청, 녹, 적)으로부터 추출되는 광전류의 파장 피크의 반값(half-value) 폭이 좁게 되어, 각 광 도전막에 있어서의 광 분리 특성이 양호하여 진다. 이 때문에, 이들의 각 광전류를 각 색의 수광 신호로 하는 것으로, 광 재현성이 양호한 촬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반 투과 반사막(9g, 9b) 및 광 흡수막(11)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1에 도시한 수광부를 갖는 종래 구성의 고체 촬상 소자에서는, 상층의 광 도전막으로 흡수되는 파장 영역의 광이 하층의 광 도전막에 누설되기 때문에, 도 4b의 분광 특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도전막(청, 녹, 적)으로부터 추출되는 광 전류의 파장 피크가 완만하고, 각 광 도전막에 있어서의 광 분리 특성이 나쁘던 것이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소자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층의 광 도전막(5g, 5b)에서는, 각각의 하부에 배치된 반 투과 반사막(9g, 9b)에서의 반사광도 광전 변환에 기여하기 때문에, 반 투과 반사막(9g, 9b)가 없는 종래 구조와 비교하여, 감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광 도전막(5g, 5b)을 얇게 해도 감도 특성을 얻기 쉽게 되기 때문에, 얇은 구조의 수광부 구조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광 도전막(5r, 5g, 5b)이 각각에 독립한 투명 전극막(7)으로 샌드위칭되어 있기 때문에, 각 광 도전막(5r, 5g, 5b)에서 동시에 각 캐패시터(13)에 전하를 판독하는 것 같은 구동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2을 이용하여 설명한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의 광 분리 특성의 향상과 감도의 향상에 대하여, 간단한 모델로 설명한다.
여기서, 수광부(3)를 구성하는 광 도전막(5r, 5g, 5b)이 모두 동일한 물질(광 흡수 계수 α)로 되어 있다고 한다. 또한, 광 도전막(5r, 5g, 5b)의 막 두께를 각각(tr, tg, tb)로 하여, 투명 전극(7)으로서는 광 흡수나 반사는 없는 것으로 근사한다. 그리고, 수광부(3)에 입사한 광(H)의 강도를 Io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수광부(3)의 표면에서 x의 거리(깊이)에 있어서의 광(H)에 의한 전하 e의 발생 비율은 다음과 같다.
g(x) = Ioλ/ hc ×α×exp(-αx) (여기서 h는 플랑크 상수, c는 광속)
종래구조에서는, 표면(거리 0)으로부터 tb만큼 떨어진 청색의 광 도전막(5b)을 흐르는 전류 J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J1 = -qㆍINT[g(x)] = -qIoλ/ hcㆍ(1-exp(-αx)) ...(1)가 된다. 여기서, INT는 구간0으로부터 tb까지의 적분인 것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조에 있어서의 전류 J는 청색의 광 도전막(5b)와 녹색의 광 도전막(5g)와의 사이에 배치된 반 투과 반사막(9b)가 청색의 파장 영역의광(Hb)을 100% 반사하여, 이것보다도 장파 길이측을 100% 투과하는 것으로 근사적으로 취급한다....(2)
그리고, 반 투과 반사막(9b)에서의 청색의 파장 영역의 광(Hb)의 반사에 의한 광전류 Jlref로서, Jlref = KbㆍJ1ㆍexp(-αtb)...(3)의 광전류가 가해진다. 여기서, (2)에서는, K는 Kb = 1(λ<= λbg), Kb = 0(λ> λbg)이다. 즉, (3)식을 통한 종래 구조와 비교하여, 더 많은 광 전류가 청색 파장 영역에서의 흡수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양의 성분이 하부의 녹색의 광 도전막(5g)에서의 광전 변환에 섞이지 않아, 색 분해능이 향상하게 된다. 즉, 중간층인 녹색용의 광 도전막(5g)에서의 광전 변환은 종래 구조에서는 상층의 광 도전막(5b)에서의 청색의 파장 영역의 광(Hb)의 누설이 있을 수 있는데 대하여,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청색의 파장 영역의 광(Hb)이 반 투과 반사막(9b)에서 컷트(cut)되는 것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녹색용의 광 도전막(5g)의 하부의 반 투과 반사막(9g)에서의 녹색의 파장 영역의 광(Hg)의 반사 성분에 의해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인 감도 향상이 기대될 수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청색의 광(Hb) 및 녹색의 광(Hg)이 반사 성분으로 되는 것으로 이들의 광(Hb, Hg)이 최하층의 광 도전막(5r)에 혼입하지 않기 때문에, 이 광 도전막(5r)에서는 적색의 파장 영역의 광 (Hr)을 주체로 한 광전 변환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적색용의 광 도전막(5r)의 하층에 광 흡수막(11)을 설치한 구성을 설명했다는 점을 유의한다. 그러나, 적색의 파장 영역의 광(Hr)의 광 강도가 비교적 약한 경우에는, 광 흡수막(11)에 대한 대안으로서, 적색의 파장 영역의 광(Hr)을 반사하는 반사막을 배치해도 된다. 이에 의해,보다 많은 적색의 파장 영역의 광(Hr)을 광 도전막(5r)에서 광전 변환시켜, 적색의 파장 영역의 광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최하층의 광 도전막(5r)에서도, 그 하부에 배치된 반사막에서의 반사광도 광전 변환에 기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종래 구조와 비교하면, 광 도전막(5r)을 얇게 해도 감도 특성을 얻어 쉽게 되고, 또한 더욱 얇은 구조의 수광부 구조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적색용의 광 도전막(5r)은 광 흡수 막(11) 또는 반사 막중 어느 하나에 제공될 필요가 없고, 적색의 파장 영역의 광(Hr)의 상층에의 누설이 문제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들의 막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적색용의 광 도전막(5r)의 하층에는, 투명 전극막(7)을 설치하지 않고, 기판(1)에 형성한 확산층을 하층의 전극으로서 이용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CCD 형의 고체 촬상 소자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소자는, M0S 형(CM0S 센서)의 고체 촬상 소자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전송 전극(21) 및 그 하부의 전하 전송 영역에 대한 대안으로서, 판독 게이트(19)에 접속된 배선 및 구동 회로를 기판(1)상 및 그 표면층에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소자에 따르면, 광 도전막 적층형의 단판식 컬러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의 광 도전막 사이의 투명 전극막에, 소정의 파장 영역의 광을 반사시켜 이것보다도 장파 길이측의 광을 투과시키는 반 투과 반사막을 설치함으로써, 상측의 광 도전막으로 흡수되지 않은 광 중의 특정한 파장 영역의 광만을 반 투과 반사막으로 반사시켜 다시 상측의 광 도전막으로 흡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하층의 광 도전막에의 특정한 파장 영역의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색 분해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색 재현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상층의 광 도전막에 있어서는 반사광도 광전 변환에 기여시켜 양자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여, 결과적으로 감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화소에 대응하는 기판 위 부분에, 그 각각이 광 도전막과 그 상부의 투명 전극막으로 구성되는 적층막(lamination layer)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수광부(light receiving section)가 배치된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상기 광 도전막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전극막은 소정의 파장 영역의 광을 반사시키고, 장-파장(long-wavelength)측의 광은 투과시키는 반 투과 반사막을 갖는 고체 촬상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광 도전막의 사이에, 상기 기판측에서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광 도전막을 투과한 광을 흡수하는 광 흡수막과 하부 투명 전극막이 설치된 고체 촬상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광 도전막의 사이에, 상기 기판측에서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광 도전막을 투과한 광을 반사하는 반사막과 하부 투명 전극막이 설치된 고체 촬상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도전막은 상기 상부 막쪽으로는 막 두께가 감소하고,
    상기 반 투과 반사막에 의해 반사된 상기 소정의 파장 영역은 상기 상부 막쪽으로는 짧게 설정되어 있는 고체 촬상 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 도전막 중 중간부 및 최하부에 배치된 각각의 광 도전막은 상기 광 도전막에 입사하여 하부에 위치한 상기 막에 의해 반사된 광을 흡수하는데 충분한 막 두께를 갖는 고체 촬상 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막은 상기 각각의 광 도전막에 축적된 전하를 판독하여 축적하기 위한 캐패시터가 접속되어 있는 고체 촬상 소자.
  7. 고체-촬상 소자에 있어서,
    제1 광-전 변환 막(optical-electrical layer);
    상기 제1 광-전 변환 막위에 형성된 제2 광-전 변환 막; 및
    상기 제2 광-전 변환 막위에 형성된 제3 광-전 변환 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전 변환 막과 상기 제2 광-전 변환 막사이에 제1 반 투과 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광-전 변환 막과 상기 제3 광-전 변환 막사이에 제2 반 투과 막이형성되는 고체 촬상 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광-전 변환 막으로부터의 신호들이 처리되고,
    촬상 영역내의 화소에 대해 컬러 신호가 생성되는 고체 촬상 소자.
KR1020040031758A 2003-05-06 2004-05-06 고체 촬상 소자 KR101116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27673 2003-05-06
JP2003127673A JP4075678B2 (ja) 2003-05-06 2003-05-06 固体撮像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182A true KR20040095182A (ko) 2004-11-12
KR101116448B1 KR101116448B1 (ko) 2012-03-07

Family

ID=3350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758A KR101116448B1 (ko) 2003-05-06 2004-05-06 고체 촬상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32574B2 (ko)
JP (1) JP4075678B2 (ko)
KR (1) KR101116448B1 (ko)
CN (1) CN100367507C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1175A1 (en) * 2005-09-13 2007-05-31 Hanvision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image sensor photodiodes using a multi-layer substrate and contact method and the structure thereof
US7838318B2 (en) 2005-09-13 2010-11-23 Lumiense Photonics, Inc. Method of fabricating image sensor photodiodes using a multi-layer substrate and contact method and the structure thereof
US8634011B2 (en) 2010-04-02 2014-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ensor using light-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image sensor
US9362327B2 (en) 2014-01-15 2016-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4428B2 (ja) 2004-05-28 2011-06-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電変換膜積層型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564612B2 (en) 2004-09-27 2009-07-21 Idc, Llc Photonic MEMS and structures
US7527995B2 (en) * 2004-09-27 2009-05-0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king prestructure for MEMS systems
US7304784B2 (en) 2004-09-27 2007-12-04 Idc, Llc Reflective display device having viewable display on both sides
US7630119B2 (en) 2004-09-27 2009-12-0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lippage between structures in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US7372613B2 (en) 2004-09-27 2008-05-13 Idc, Llc Method and device for multistate interferometric light modulation
US8008736B2 (en) 2004-09-27 2011-08-30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Analog interferometric modulator device
US7289259B2 (en) 2004-09-27 2007-10-30 Idc, Llc Conductive bus structure for interferometric modulator array
US7420725B2 (en) 2004-09-27 2008-09-02 Idc, Llc Device having a conductive light absorbing mask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7936497B2 (en) 2004-09-27 2011-05-0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MS device having deformable membrane characterized by mechanical persistence
US7944599B2 (en) 2004-09-27 2011-05-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Electromechanical device with optical function separated from mechanical and electrical function
JP4724414B2 (ja) * 2004-12-02 2011-07-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デジタルカメラ、及びカラー画像データ生成方法
US20060119724A1 (en) * 2004-12-02 2006-06-08 Fuji Photo Film Co., Ltd. Imag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on solid-state imaging element, digital camer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and color image data generating method
JP4815124B2 (ja) * 2004-12-02 2011-11-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固体撮像素子の信号処理方法、並びに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081137A (ja) * 2005-09-14 2007-03-29 Fujifilm Corp 光電変換素子及び固体撮像素子
US7521658B2 (en) * 2005-12-01 2009-04-21 Aptina Imaging Corporation Pixel having photoconductive layers to absorb different ranges of wavelengths
US7916980B2 (en) 2006-01-13 2011-03-2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rconnect structure for MEMS device
US7649671B2 (en) 2006-06-01 2010-01-1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Analog interferometric modulator device with electrostatic actuation and release
US7527998B2 (en) * 2006-06-30 2009-05-0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MEMS devices providing air gap control
US20080105820A1 (en) * 2006-11-07 2008-05-08 Cormack Robert H Resonant structures for electromagnetic energy detec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8115987B2 (en) 2007-02-01 2012-02-1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odulating the intensity of light from an interferometric reflector
US20100044676A1 (en) 2008-04-18 2010-02-25 Invisage Technologies, Inc. Photodetectors and Photovoltaics Based on Semiconductor Nanocrystals
CN102017147B (zh) * 2007-04-18 2014-01-29 因维萨热技术公司 用于光电装置的材料、系统和方法
US7643202B2 (en) 2007-05-09 2010-01-0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having a dielectric movable membrane and a mirror
KR100850289B1 (ko) 2007-06-08 2008-08-04 (주)실리콘화일 적층 구조의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7630121B2 (en) * 2007-07-02 2009-12-0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Electromechanical device with optical function separated from mechanical and electrical function
KR20100066452A (ko) 2007-07-31 2010-06-17 퀄컴 엠이엠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간섭계 변조기의 색 변이를 증강시키는 장치
US8058549B2 (en) 2007-10-19 2011-11-1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Photovoltaic devices with integrated color interferometric film stacks
KR20100090257A (ko) * 2007-10-19 2010-08-13 퀄컴 엠이엠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광기전력 소자가 통합된 디스플레이
EP2203765A1 (en) 2007-10-23 2010-07-0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Adjustably transmissive mems-based devices
US8941631B2 (en) 2007-11-16 2015-01-2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imultaneous light collection and illumination on an active display
WO2009079279A2 (en) 2007-12-17 2009-06-2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Photovoltaics with interferometric back side masks
WO2009085601A2 (en) * 2007-12-21 2009-07-09 Qualcom Mems Technologies, Inc. Multijunction photovoltaic cells
US8164821B2 (en) 2008-02-22 2012-04-2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 with thermal expansion balancing layer or stiffening layer
US7944604B2 (en) 2008-03-07 2011-05-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rferometric modulator in transmission mode
US7612933B2 (en) 2008-03-27 2009-11-0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 with spacing layer
US8203195B2 (en) 2008-04-18 2012-06-19 Invisage Technologies, Inc. Materials, fabrication equipment, and methods for stable, sensitive photodetectors and image sensors made therefrom
US8023167B2 (en) 2008-06-25 2011-09-20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Backlight displays
US8471939B2 (en) * 2008-08-01 2013-06-25 Omnivision Technologies, Inc. Image sensor having multiple sensing layers
US8358266B2 (en) 2008-09-02 2013-01-2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turning device with prismatic light turning features
US20100157117A1 (en) * 2008-12-18 2010-06-24 Yu Wang Vertical stack of image sensors with cutoff color filters
JP4905468B2 (ja) * 2009-01-09 2012-03-28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
US8270056B2 (en) 2009-03-23 2012-09-1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isplay device with openings between sub-pixels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10138761A1 (en) 2009-05-29 2010-12-0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llumination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JP5132640B2 (ja) * 2009-08-25 2013-01-30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270062B2 (en) 2009-09-17 2012-09-1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isplay device with at least one movable stop element
US8488228B2 (en) 2009-09-28 2013-07-1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rferometric display with interferometric reflector
JP2011129873A (ja) 2009-11-17 2011-06-30 Sony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US20110169724A1 (en) * 2010-01-08 2011-07-1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rferometric pixel with patterned mechanical layer
KR101688523B1 (ko) * 2010-02-24 201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형 이미지 센서
WO2011126953A1 (en) 2010-04-09 2011-10-1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chanical layer of an electromechanical device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8916947B2 (en) 2010-06-08 2014-12-23 Invisage Technologies, Inc. Photodetector comprising a pinned photodiode that is formed by an optically sensitive layer and a silicon diode
US8461567B2 (en) * 2010-06-24 2013-06-11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photons
WO2012024238A1 (en) 2010-08-17 2012-02-2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Actuation and calibration of a charge neutral electrode in an interferometric display device
US9057872B2 (en) 2010-08-31 2015-06-1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ielectric enhanced mirror for IMOD display
US8963159B2 (en) 2011-04-04 2015-02-2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Pixel via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9134527B2 (en) 2011-04-04 2015-09-1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Pixel via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8659816B2 (en) 2011-04-25 2014-02-2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chanical laye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8736939B2 (en) 2011-11-04 2014-05-2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atching layer thin-films for an electromechanical systems reflective display device
JP6035921B2 (ja) * 2012-07-10 2016-11-30 富士通株式会社 光検出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346262A (zh) * 2013-06-03 2013-10-09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高外量子效率和低暗态电流的高速有机光电探测器
JP2015050446A (ja) * 2013-09-05 2015-03-1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JP2015179731A (ja) * 2014-03-19 2015-10-08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WO2015191734A1 (en) 2014-06-10 2015-12-17 Edward Hartley Sargent Multi-terminal optoelectronic devices for light detection
KR102338334B1 (ko) 2014-07-17 2021-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EP3200951B1 (en) * 2014-10-03 2020-11-25 Gentex Corporation Second surface laser ablation
KR102294724B1 (ko) * 2014-12-02 2021-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566749B2 (ja) * 2015-07-01 2019-08-28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撮像素子、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700051B2 (ja) * 2016-01-26 2020-05-27 日本放送協会 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JP6693537B2 (ja) * 2018-04-20 2020-05-1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US11515350B2 (en) * 2019-05-30 2022-11-29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ulticolor photodetec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by integrating with readout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678A (ja) 1984-10-15 1986-05-12 Sharp Corp 光電変換装置
JPS6314482A (ja) 1986-07-04 1988-01-21 Sharp Corp 薄膜半導体装置
JPH0680810B2 (ja) * 1986-09-30 1994-10-12 日本電気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
JPS6477182A (en) 1987-09-18 1989-03-23 Seiko Epson Corp Colour image sensor
US4942531A (en) * 1988-05-16 1990-07-17 Bell & Howell Company Self-adapting signal detector with digital outputs
GB2222738B (en) * 1988-09-07 1992-09-23 Secr Defence Correction circuit for infrared detectors
US5747863A (en) * 1996-07-08 1998-05-05 Nikon Corporation Infrared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and infrared solid-state image pickup apparatus equipped with this device
DE19737561C1 (de) * 1997-08-28 1999-04-15 Forschungszentrum Juelich Gmbh Mehrfarbensensor
JP2002083946A (ja) 2000-09-07 2002-03-22 Nippon Hoso Kyokai <Nhk> イメージセンサ
US6841816B2 (en) * 2002-03-20 2005-01-11 Foveon, Inc. Vertical color filter sensor group with non-sensor filt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such a sensor group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1175A1 (en) * 2005-09-13 2007-05-31 Hanvision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image sensor photodiodes using a multi-layer substrate and contact method and the structure thereof
US7838318B2 (en) 2005-09-13 2010-11-23 Lumiense Photonics, Inc. Method of fabricating image sensor photodiodes using a multi-layer substrate and contact method and the structure thereof
US7943409B2 (en) 2005-09-13 2011-05-17 Lumiense Photonics, Inc. Method of fabricating image sensor photodiodes using a multi-layer substrate and contact method and the structure thereof
US7977718B2 (en) 2005-09-13 2011-07-12 Lumiense Photonics, Inc. Image sensor photodiodes using a multi-layer substrate and contact method and structure thereof
US8634011B2 (en) 2010-04-02 2014-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ensor using light-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image sensor
US9362327B2 (en) 2014-01-15 2016-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761627B2 (en) 2014-01-15 2017-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020341B2 (en) 2014-01-15 2018-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59010A1 (en) 2004-12-23
JP4075678B2 (ja) 2008-04-16
JP2004335626A (ja) 2004-11-25
KR101116448B1 (ko) 2012-03-07
US7932574B2 (en) 2011-04-26
CN1551365A (zh) 2004-12-01
CN100367507C (zh) 200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448B1 (ko) 고체 촬상 소자
US7208811B2 (en) Photo-detecting device
EP0809298B1 (en)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KR102586247B1 (ko) 고체 촬상 장치, 촬상 장치
KR101641382B1 (ko) 고체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
US7742088B2 (en) Image sensor and digital camera
JP2003234460A (ja) 積層型光導電膜および固体撮像装置
KR100745991B1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101699A (ko) 고체 촬상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촬상 장치
US11683599B2 (en) Image sensors and electronic devices
KR20190119970A (ko)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WO2019137778A1 (en)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KR102520573B1 (ko)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S61204967A (ja) 固体カラ−撮像デバイス
JPH08148665A (ja) 固体撮像素子
JP4626188B2 (ja) 固体撮像装置
WO2020070887A1 (ja) 固体撮像装置
JPH09275202A (ja) 光検出装置
TWI795897B (zh) 固體攝像裝置、固體攝像裝置的製造方法、以及電子機器
WO2024057735A1 (ja) 光検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23165327A (ja) 積層型撮像素子
JP2022018538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11243785A (ja) 固体撮像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