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0704A - 구동 파워가 높은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드라이버와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 파워가 높은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드라이버와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704A
KR20040090704A KR1020040024406A KR20040024406A KR20040090704A KR 20040090704 A KR20040090704 A KR 20040090704A KR 1020040024406 A KR1020040024406 A KR 1020040024406A KR 20040024406 A KR20040024406 A KR 20040024406A KR 20040090704 A KR20040090704 A KR 20040090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ransistor pair
differential transistor
curren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7772B1 (ko
Inventor
미우라마코토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0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0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 H03F3/3001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with field-effect transistors
    • H03F3/3022CMOS common source output SEPP amplifiers
    • H03F3/3023CMOS common source output SEPP amplifiers with asymmetrical driving of the end sta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1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MOS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237Complementary long tailed pairs having parallel inputs and being suppli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29D2030/0022Handling green tyres, e.g. transferring or storing between tyre manufacturing ste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3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ingle-ended push-pull [SEPP]; Phase-splitters therefor
    • H03F2203/30021A capacitor being coupled in a feedback circuit of a SEPP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726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LC comprising more than one switch, which are not cross coup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데이터(D1)를 수신하여 출력 신호(DL1)를 생성하기 위한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2417)와,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의 전이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가 증가하면 제1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가 감소하면 제2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전이 상태 검출 회로(2411, 2412)와, 상기 전이 상태 검출 회로와 상기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1 및 제2의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를 통해 흐르는 대응하는 부하 전류를 증가시키는 스위치 회로(2415, 241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동 파워가 높은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드라이버와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DRIVER INCLUDING VOLTAGE-FOLLOWER-TYPE OPERATIONAL AMPLIFIER WITH HIGH DRIVING POW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액정 표시(LCD) 장치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의 데이터선(신호선)을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전압 폴로워형(voltage-follower-type)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하나의 픽셀 커패시터에 의해 각각 형성된 복수의 픽셀이 복수의 데이터선(또는 신호선)과 복수의 게이트선(또는 주사선) 사이의 교점에 제공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LCD 장치 등과 같은 표시 장치에 있어서, 드라이버는 데이터선을 구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드라이버는 넓은 입력 레인지(range)를 실현하기 위한 2개의 병렬 차동 증폭기에 의해 형성된 입력단(input stage)과, 넓은 출력 레인지를 실현하기 위한 싱글 엔드 푸시풀 회로(single-end push-pull circuit)에 의해 형성된 출력단(output stage)으로 나누어지는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전이 상태를 평형 상태로 급격히 수속하기 위해, 구동 능력은 출력단의 피드백 제어를 사용하여 입력단의 차동 증폭기를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를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된다(JP-A-11-088076을 참조). 상기 내용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드라이버에 있어서, 전이 상태가 평행 상태로 급격히 수속되면, 구동 능력은 바이어스 전류를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되고, 그로 인해 전력 소비가 늘어나게 된다.
본 발명은 전력 소비를 증가시키지 않고 구동 능력이 향상 가능한 드라이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라이버 등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데이터선 드라이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에 있어서,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는 전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전이 상태 검출 회로는 전류 입력 데이터에서 전이 상태를 검출하여 전류 입력 데이터가 증가되는 경우에는 제1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전류 입력 데이터가 감소되는 경우에는 제2의 펄스 신호를 생성한다.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의 펄스 신호에 따라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를 통해 흐르는 대응하는 부하 전류를 증가시킨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LCD 장치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2는 도 1의 드라이버의 상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LCD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4는 도 3의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 및 스위치의 제1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상세 회로도.
도 5는 도 3의 LCD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6은 도 3의 드라이버의 제2의 실시예의 상세 회로도.
도 7은 도 3의 드라이버의 제3의 실시예의 상세 회로도.
도 8은 도 3의 드라이버의 제4의 실시예의 상세 회로도.
도 9는 도 4의 드라이버의 변형예의 회로도.
도 10은 도 6의 드라이버의 변형예의 회로도.
도 11은 도 7의 드라이버의 변형예의 회로도.
도 12는 도 8의 드라이버의 변형예의 회로도.
도 13은 도 4, 도 6, 도 7, 및 도 8의 회로의 출력단의 변형예의 회로도.
도 14는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의 회로의 출력단의 변형예의 회로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기술하기 이전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LCD 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LCD 장치를 설명하는 도 1에 있어서, 참조 번호 1은 m×n(여기서, 예를들면 m은 640이고 n은 480)의 도트를 구비하는 패널을 나타낸다. 즉,패널(1)은 데이터선 드라이버 회로(2)에 의해 구동되는 M개의 데이터선(또는 신호선)(DL1, DL2, ..., DLm)과, 게이트선 드라이버 회로(3)에 의해 구동되는 N개의 게이트선(또는 주사선)(GL1, GL2, ..., GLn)과, 상기 데이터선(DL1, DL2, ..., DLm)과 상기 게이트선(GL1, GL2, ..., GLn) 사이의 하나의 교점에 각각 위치하는 m×n개의 픽셀(Pij)(i=1, 2, ..., m; J=1, 2, ..., n)을 포함한다. 상기 픽셀(PAij) 각각은 Q22 등과 같은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FT)(Qij)와, 상기 TFT(Qij)와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되는 공통 전극 사이에 접속된 액정을 포함하는 C22 등과 같은 하나의 픽셀 커패시터(Cij)에 의해 구성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2)는 수평 클록 신호(HCK)에 동기하여 수평 시작 펄스 신호(HST)를 시프팅하여 래치 신호(LA1, LA2, ..., LAm)를 순차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21)와, 상기 래치 신호(LA1, LA2, ..., LAm)에 따라 8비트 계조 영상 신호(VD)를 래치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D1, D2, ..., Dm)을 각각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21, 222, ..., 22m)과,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D1, D2, ..., Dm)에 관한 D/A 변환을 각각 실행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D/A) 컨버터(231, 232, ..., 23m)과, 상기 D/A 컨버터(231, 232, ..., 23m)의 아날로그 출력 전압을 각각 증폭하여 대응하는 데이터선(DL1, DL2, ..., DLm)에 공급하기 위한 드라이버(241, 242, ..., 24m)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디지털 영상 신호(D1, D2, ..., Dm)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데이터선(DL1, DL2, ..., DLm)에 각각 공급된다.
게이트선 드라이버 회로(3)는 수직 클록 신호(VCK)에 동기하여 수직 시작 펄스 신호(VST)를 시프팅하여 게이트선(GL1, GL2, ..., GLn)상에 게이트선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신호 처리 유닛(4)은 신호(HST, HCK, VD, VST, VCK 등)를 데이터선 드라이버 회로(2) 및 게이트선 드라이버 회로(3)에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드라이버(241, 242, ..., 24m)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에 의해 구성된다(JP-A-11-088076호 참조).
도 2에 있어서,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는 입력단(ST1)과 출력단(ST2)으로 나누어진다.
입력단(ST1)은 고전위측 전원 단자(VDD) 및 저전위측 전원 단자(VSS) 사이에서 병렬로 접속된 2개의 차동 증폭기(DA1, DA2)에 의해 구성된다.
차동 증폭기(DA1)는 입력 단자(IN+, IN-)에 접속된 게이트와 전류원(I1)에 접속된 공통 소스를 구비하는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 N2)에 의해 형성된 차동 트랜지스터 쌍과,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 P2)에 의해 형성된 전류 미러 회로와, P채널 MOS 트랜지스터(P3, P4)에 의해 형성된 전류 미러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전류 미러 회로(P1, P2)에 있어서,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은 입력으로서 작용하며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P채널 MOS 트랜지스터(P2)의 드레인은 출력으로서 작용한다.
전류 미러 회로(P3, P4)에 있어서, P채널 MOS 트랜지스터(P3)의 드레인은 입력으로서 작용하며 N채널 MOS 트랜지스터(N2)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P채널 MOS 트랜지스터(P4)의 드레인은 출력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전류원(I1)은 저전위측 전원 단자(VSS)에 접속되고,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 P2, P3, P4)의 소스는 고전위측 전원 단자(VDD)에 접속된다. 상기 경우에,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 P3)는 차동 증폭기(DA1)의 능동 부하로서 작용한다.
반면에, 차동 증폭기(DA2)는 입력 단자(IN-, IN+)에 접속된 게이트와 전류원(I2)에 접속된 공통 소스를 구비하는 P채널 MOS 트랜지스터(P5, P6)에 의해 형성된 차동 트랜지스터 쌍과, N채널 MOS 트랜지스터(N3, N4)에 의해 형성된 전류 미러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전류 미러 회로(N3, N4)에 있어서, N채널 MOS 트랜지스터(N3)의 드레인은 입력으로서 작용하며 P채널 MOS 트랜지스터(P5)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의 드레인은 출력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전류원(I2)은 고전위측 전원 단자(VDD)에 접속되고, N채널 MOS 트랜지스터(N3, N4)의 소스는 저전위측 전원 단자(VSS)에 접속된다. 상기 경우에, N채널 MOS 트랜지스터(N3, N4)는 차동 증폭기(DA2)의 능동 부하로서 작용한다.
전류 미러 회로(P1, P2)의 출력, 즉 P채널 MOS 트랜지스터(P2)의 드레인은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입력, 즉 N채널 MOS 트랜지스터(N3)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또한, 전류 미러 회로(P3, P4)의 출력, 즉 P채널 MOS 트랜지스터(P4)의 드레인은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출력, 즉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또한, N채널 MOS 트랜지스터(N5)는 전류원(I1)에 병렬로 접속되어 차동 증폭기(DA1)를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를 증가시키고, P채널 MOS 트랜지스터(P7)는 전류원(I2)에 병렬로 접속되어 차동 증폭기(DA2)를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를 증가시킨다. 즉, 입력 단자(IN+)에서의 전압이 입력 단자(IN-)에서의 전압에 가까운 평형 상태에 있어서, 차동 증폭기(DA1)를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는 전류원(I1)에 의해서만 결정되고 차동 증폭기(DA2)를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는 전류원(I2)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반면에, 입력 단자(IN+)에서의 전압이 입력 단자(IN-)에서의 전압보다 높거나 낮은 전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이 상태를 평형 상태로 급격히 수속하기 위해서, N채널 MOS 트랜지스터(N5) 또는 P채널 MOS 트랜지스터(P7)는 출력단(ST2)의 내부 신호의 피드백에 의해서 온 상태가 되어 대응하는 바이어스 전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구동 능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설명은 후술 될 것이다.
출력단(ST2)은 고전위측 전원 단자(VDD)와 저전위측 전원 단자(VSS)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1)와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1)에 의해 형성된 싱글 엔드 푸시풀 회로(single-end push-pull circuit)와,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1)의 드레인과 게이트 사이에 접속된 위상 보상 커패시터(C1)에 의해 구성된다. 입력단(ST1)의 출력 전압, 즉 P채널 MOS 트랜지스터(P4)와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의 드레인에서의 전압은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1)의 게이트에 인가되고, 입력단(ST1)의 출력 전압은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2, N13) 및 전류원(I11, I12)에 의해 형성된 레벨 시프트 회로를 경유하여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1)의 게이트에 공급된다.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1)의 게이트 전압은 입력단(ST1)의 N채널 MOS 트랜지스터(N5)에 피드백되고,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1)의 게이트 전압은 입력단(ST1)의 P채널 MOS 트랜지스터(P7)에 피드백된다.
입력 단자(IN+)에서의 전압이 출력 단자(OUT)(즉, 입력 단자(IN-))에서의 전압 보다 더 낮다면,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1)의 드레인 전압(즉,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1)의 게이트 전압)이 증가되어, N채널 MOS 트랜지스터(N5)는 온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차동 증폭기(DA1)를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차동 증폭기(DA1)의 구동 능력이 향상된다.
반면에, 입력 단자(IN+)에서의 전압이 출력 단자(OUT)(즉, 입력 단자(IN-))에서의 전압 보다 더 높다면, N채널 MOS 트랜지스터(N2)의 드레인 전압은 증가되고, P채널 MOS 트랜지스터(P4)의 드레인 전압(즉, 레벨 시프트 회로(N12, N13, I11, I12)의 입력 전압)은 감소된다. 따라서, 레벨 시프트 회로(N12, N13, I11, I12)의 출력 전압(즉,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1)의 게이트 전압)은 감소되고, P채널 MOS 트랜지스터(P7)는 온 상태로 되고 그에 따라 차동 증폭기(DA2)를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차동 증폭기(DA2)의 구동 능력이 향상된다.
그러나, 도 2의 드라이버에서, 전이 상태에서 바이어스 전류를 증가시킴에 의해 구동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전류 미러 회로((P1, P2), (P3, P4), (N3, 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 뿐만 아니라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P5,P6))을 통해 흐르는 전류 또한 증가되어 전력 소비가 현저하게 커진다.
본 발명에 의한 LCD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3에 있어서, 도 1의 드라이버(241, 242, ...)는 드라이버(241', 242', ...)로 각각 대체된다.
드라이버(241')(242', ...)는 래치 신호(LA1)(LA2, ...)에 따라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21)(222, ...)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D1)(D2, ...)를 래치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D1')(D2', ...)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411)(2421, ...)에 의해 구성된다. 즉, 디지털 영상 데이터(D1')(D2', ...)는 하나의 수평 기간 이전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D1)(D2, ...)의 이전 데이터이다. 드라이버(241')(242', ...)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D1)(D2, ...)와 디지털 영상 데이터(D1')(D2', ...)를 비교하기 위한 디지털 비교기(2412)(2412, ...)와, 2개의 원숏(one-shot) 장치(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413, 2414)(2423, 2424, ...)와, 스위치(2415, 2416)(2425, 2426, ...)와,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2415)(2425, ...)로 구성된다.
D1과 같은 디지털 영상 데이터가 D1' 등과 같은 디지털 영상 데이터 보다 더 큰 경우에, 2412 등과 같은 디지털 비교기의 출력 신호(S1)는 높다. 반면에, D1 등과 같은 디지털 영상 데이터가 D1' 등과 같은 디지털 영상 데이터 보다 더 크지 않는 경우에, 2412 등과 같은 디지털 비교기의 출력 신호(S1)는 낮다.
2413 등과 같은 원숏 회로는 디지털 비교기(2412)의 출력 신호(S1)의 상승 엣지에서 트리거링되고, 2414 등과 같은 원숏 회로는 디지털 비교기(2412)의 출력 신호(S1)의 하강 엣지에서 트리거링된다. 따라서, 디지털 영상 데이터(D1)가 증가되어 D1 〉D1'로 되는 경우에, 디지털 비교기(2412)의 출력 신호(S1)는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스위칭된다. 그 결과, 원숏 회로(2413)는 지속 기간이 τ인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2415)를 온 상태로 한다. 반면에, 디지털 영상 데이터(D1)가 감소되어 D1〈 D1'로 되는 경우에, 디지털 비교기(2412)의 출력 신호(S1)는 하이에서 로우로 스위칭된다. 그 결과, 원숏 회로(2414)는 지속 기간이 τ인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2416)를 온 상태로 한다.
스위치(2415, 2416) 각각이 P채널 MOS 트랜지스터 또는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의해 형성된다면, 원숏 회로(2413, 2414)로부터 생성된 펄스 신호는 로우(low)이다. 반면에, 스위치(2415, 2416) 각각이 N채널 MOS 트랜지스터 또는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의해 형성된다면, 원숏 회로(2413, 2414)로부터 생성된 펄스 신호는 하이(high)이다.
도 3의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2417) 및 스위치(2415, 2416)의 제1의 예의 상세 회로도인 도 4에 있어서, 도 2의 P채널 MOS 트랜지스터(P7) 및 N채널 MOS 트랜지스터(N5)는 생략된다. 그 대신에, 도 3의 스위치(2415)가 고전위측 전원선(VDD)과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입력 사이에 접속되고, 도 3의 스위치(2416)가 고전위측 전원선(VDD)과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출력 사이에 접속된다.
도 3 및 도 4의 LCD 장치의 동작이 도 5와 관련하여 이하 설명된다. 제1의 수평 기간(T1)에 있어서,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21)에 격납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D1)는 평행 상태, 즉 D1 = D1' = DA이고 따라서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평행 상태, 즉 DL1 = VA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제2의 수평 기간에 속하는 시간(t1)에서,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21)에 격납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D1)는 DA로부터 DB로 증가되어, D1 = DB이고 D1' = DA가 된다. 따라서,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및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이 불균형인 평형 상태를 제어 입력한다. 그 결과,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점선(X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승한다. 추가로, 상기 경우에, 디지털 비교기(2412)의 출력 신호(S1)가 로우에서 하이로 스위칭되는 경우에, 원숏 회로(2413)는 로우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2415)를 온 상태로 만든다. 여기서, 스위치(2415)는 P채널 MOS 트랜지스터 또는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기 때문에, 상기 펄스 신호는 로우이다. 그러나, 스위치(2415)가 N채널 MOS 트랜지스터 또는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경우에, 상기 펄스는 하이이다. 그 결과, 전류는 고전위측 전원선(VDD)으로부터 스위치(2415)를 경유하여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입력에 공급되어, 전류 미러 회로(N3, 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는 증가된다. 그 결과,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출력 전압, 즉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의 드레인 전압이 시간 주기(τ) 동안에 풀 다운된다. 따라서, N채널 MOS 트랜지스터(N6)의 게이트 전압이 풀 다운되고 또한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1)의 게이트 전압이 풀 다운 되어,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결국에는 실선(X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디지털 영상 데이터(DB)에 대응하는 전압(VB)으로 급격히 수속한다.
따라서, 차동 증폭기(DA1)의 구동 능력은 스위치(2415)를 사용하여 전류 미러 회로(N3, 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된다. 이 경우에, 전류원(I2)를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는 증가되지 않아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증가되지 않고 이는 전력 소비의 감소로 이어진다.
다음에, 제3의 수평 기간에 속하는 시간(t2))에서,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21)에 격납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D1)는 DB로부터 DC로 감소되어, D1 = DC이고 D1' = DB가 된다. 따라서,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및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이 불균형인 평형 상태를 제어 입력한다. 그 결과,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점선(Y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강한다. 추가로, 상기 경우에, 디지털 비교기(2412)의 출력 신호(S1)가 하이에서 로우로 스위칭되는 경우에, 원숏 회로(2414)는 로우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2416)를 온 상태로 만든다. 여기서, 스위치(2416)는 P채널 MOS 트랜지스터 또는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기 때문에, 상기 펄스 신호는 로우이다. 그러나, 스위치(2416)가 N채널 MOS 트랜지스터 또는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경우에, 상기 펄스는 하이이다. 그 결과, 전류는 고전위측 전원선(VDD)으로부터 스위치(2416)를 경유하여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출력에 공급되어, 전류 미러 회로(N3, 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는 증가된다. 그러나, 그 경우에,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의 게이트 전압은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를 포화 상태로 만들 정도로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의 드레인 전압은 시간 주기(τ) 동안에 풀 업된다. 따라서,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1)의 게이트 전압은 풀업되고, 또한 피스터(P8)의 게이트 전압이 풀업 되어,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결국에는 실선(Y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되고, 그에 따라 디지털 영상 데이터(DC)에 대응하는 전압(VC)으로 급격히 수속한다.
따라서, 차동 증폭기(DA1)의 구동 능력은 스위치(2416)를 사용하여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된다. 이 경우에도, 전류원(I2)를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는 증가되지 않아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증가되지 않고 이는 전력 소비의 감소로 이어진다.
도 3의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2417) 및 스위치(2415, 2416)의 제2의 예의 상세 회로도인 도 6에 있어서, 도 3의 스위치(2415)는 저전위측 전원선(VSS)과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고, 도 3의 스위치(2416)는 도 4의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출력과 고전위측 전원선(VDD) 사이에 접속된다.
도 3 및 도 6의 LCD 장치의 동작이 도 5와 관련하여 이하 설명된다. 제1의 수평 기간(T1)에 있어서,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21)에 격납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D1)는 평행 상태, 즉 D1 = D1' = DA이고 따라서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평행 상태, 즉 DL1 = VA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제2의 수평 기간에 속하는 시간(t1)에서,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21)에 격납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D1)는 DA로부터 DB로 증가되어, D1 = DB이고 D1' = DA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는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및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이 불균형인 평형 상태를 입력한다. 그 결과,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점선(X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승한다. 추가로, 상기 경우에, 디지털 비교기(2412)의 출력 신호(S1)가 로우에서 하이로 스위칭되는 경우에, 원숏 회로(2413)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2415)를 온 상태로 만든다. 그 결과, 전류는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출력으로부터 스위치(2415)를 경유하여 저전위측 전원선(VSS)에 공급되어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는 증가된다. 그 결과,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출력 전압, 즉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의 드레인 전압이 시간 주기(τ) 동안에 풀 다운된다. 따라서,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1)의 게이트 전압이 풀 다운되고 또한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1)의 게이트 전압이 풀 다운 되어,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결국에는 실선(X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디지털 영상 데이터(DB)에 대응하는 전압(VB)으로 급격히 수속한다.
따라서, 차동 증폭기(DA1)의 구동 능력은 스위치(2415)를 사용하여 전류 미러 회로(N3, 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된다. 이 경우에, 전류원(I2)를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는 증가되지 않아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증가되지 않고 이는 전력 소비의 감소로 이어진다.
다음에, 제3의 수평 기간에 속하는 시간(t2))에서,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21)에 격납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D1)는 DB로부터 DC로 감소되어, D1 = DC이고 D1' = DB가 된다. 따라서,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및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이 불균형인 평형 상태를 제어 입력한다. 그 결과,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점선(Y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강한다. 추가로, 상기 경우에, 디지털 비교기(2412)의 출력 신호(S1)가 하이에서 로우로 스위칭되는 경우에, 원숏 회로(2414)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2416)를 온 상태로 만든다. 그 결과, 전류는 고전위측 전원선(VDD)으로부터 스위치(2416)를 경유하여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출력에 공급되어, 전류 미러 회로(N3, 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는 증가된다. 그러나, 그 경우에,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의 게이트 전압은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를 포화 상태로 만들 정도로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의 드레인 전압은 시간 주기(τ) 동안에 풀 업된다. 따라서,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1)의 게이트 전압은 풀업되고, 또한 피스터(P8)의 게이트 전압이 풀 업 되어,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결국에는 실선(Y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되고, 그에 따라 디지털 영상 데이터(DC)에 대응하는 전압(VC)으로 급격히 수속한다.
따라서, 차동 증폭기(DA1)의 구동 능력은 스위치(2416)를 사용하여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된다. 이 경우에도, 전류원(I2)를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는 증가되지 않아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증가되지 않고 이는 전력 소비의 감소로 이어진다.
도 3의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2417) 및 스위치(2415, 2416)의 제3의 예의 상세 회로도인 도 7에 있어서, 도 3의 스위치(2415)는 도 4의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출력과, 저전위측 전원선(VSS) 사이에 접속되고, 도 3의스위치(2416)는 도 4의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입력과 저전위측 전원선(VSS) 사이에 접속된다.
도 3 및 도 7의 LCD 장치의 동작이 도 5와 관련하여 이하 설명된다. 제1의 수평 기간(T1)에 있어서,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21)에 격납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D1)는 평행 상태, 즉 D1 = D1' = DA이고 따라서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평행 상태, 즉 DL1 = VA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제2의 수평 기간에 속하는 시간(t1)에서,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21)에 격납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D1)는 DA로부터 DB로 증가되어, D1 = DB이고 D1' = DA가 된다. 따라서,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및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이 불균형인 평형 상태를 제어 입력한다. 그 결과,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점선(X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승한다. 추가로, 상기 경우에, 디지털 비교기(2412)의 출력 신호(S1)가 로우에서 하이로 스위칭되는 경우에, 원숏 회로(2413)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2415)를 온 상태로 만든다. 그 결과, 전류는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출력으로부터 스위치(2415)를 경유하여 저전위측 전원선(VSS)에 공급되어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는 증가된다. 그 결과,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출력 전압, 즉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의 드레인 전압이 시간 주기(τ) 동안에 풀 다운된다. 따라서,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1)의 게이트 전압이 풀 다운되고 또한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1)의 게이트 전압이 풀 다운 되어,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결국에는 실선(X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디지털 영상 데이터(DB)에 대응하는 전압(VB)으로 급격히 수속한다.
따라서, 차동 증폭기(DA1)의 구동 능력은 스위치(2415)를 사용하여 전류 미러 회로(N3, 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된다. 이 경우에, 전류원(I2)를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는 증가되지 않아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증가되지 않고 이는 전력 소비의 감소로 이어진다.
다음에, 제3의 수평 기간에 속하는 시간(t2))에서,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21)에 격납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D1)는 DB로부터 DC로 감소되어, D1 = DC이고 D1' = DB가 된다. 따라서,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및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이 불균형인 평형 상태를 제어 입력한다. 그 결과,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점선(Y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강한다. 추가로, 상기 경우에, 디지털 비교기(2412)의 출력 신호(S1)가 하이에서 로우로 스위칭되는 경우에, 원숏 회로(2414)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2416)를 온 상태로 만든다. 그 결과, 전류는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입력으로부터 스위치(2416)를 경유하여 저전위측 전원선(VSS)에 공급되어,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는 증가된다. 그 결과,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의 드레인 전압은 시간 주기(τ) 동안에 풀 업된다. 따라서,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1)의 게이트 전압은 풀업되고, 또한 피일일의 게이트 전압이 풀 업 되어,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결국에는 실선(Y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되고, 그에 따라 디지털 영상 데이터(DC)에 대응하는 전압(VC)으로 급격히 수속한다.
따라서, 차동 증폭기(DA1)의 구동 능력은 스위치(2416)를 사용하여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된다. 이 경우에도, 전류원(I2)를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는 증가되지 않아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증가되지 않고 이는 전력 소비의 감소로 이어진다.
도 3의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2417) 및 스위치(2415, 2416)의 제4의 예의 상세 회로도인 도 8에 있어서, 도 3의 스위치(2415)는 도 4의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입력과, 고전위측 전원선(VDD) 사이에 접속되고, 도 3의 스위치(2416)는 도 4의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입력과 저전위측 전원선(VSS) 사이에 접속된다.
도 3 및 도 8의 LCD 장치의 동작이 도 5와 관련하여 이하 설명된다. 제1의 수평 기간(T1)에 있어서,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21)에 격납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D1)는 평행 상태, 즉 D1 = D1' = DA이고 따라서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평행 상태, 즉 DL1 = VA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제2의 수평 기간에 속하는 시간(t1)에서,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21)에 격납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D1)는 DA로부터 DB로 증가되어, D1 = DB이고 D1' = DA가 된다. 따라서,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및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이 불균형인 평형 상태를 제어 입력한다. 그 결과,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점선(X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승한다. 추가로, 상기 경우에, 디지털 비교기(2412)의 출력 신호(S1)가 로우에서 하이로 스위칭되는 경우에, 원숏회로(2413)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2415)를 온 상태로 만든다. 그 결과, 전류는 고전위측 전원선(VDD)으로부터 스위치(2415)를 경유하여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입력에 공급되어 전류 미러 회로(N3, 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는 증가된다. 그 결과,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출력 전압, 즉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의 드레인 전압이 시간 주기(τ) 동안에 풀 다운된다. 따라서,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1)의 게이트 전압이 풀 다운되고 또한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1)의 게이트 전압이 풀 다운 되어,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결국에는 실선(X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디지털 영상 데이터(DB)에 대응하는 전압(VB)으로 급격히 수속한다.
따라서, 차동 증폭기(DA1)의 구동 능력은 스위치(2415)를 사용하여 전류 미러 회로(N3, 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된다. 이 경우에, 전류원(I2)를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는 증가되지 않아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증가되지 않고 이는 전력 소비의 감소로 이어진다.
다음에, 제3의 수평 기간에 속하는 시간(t2))에서,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21)에 격납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D1)는 DB로부터 DC로 감소되어, D1 = DC이고 D1' = DB가 된다. 따라서,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및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이 불균형인 평형 상태를 제어 입력한다. 그 결과,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점선(Y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강한다. 추가로, 상기 경우에, 디지털 비교기(2412)의 출력 신호(S1)가 하이에서 로우로 스위칭되는 경우에, 원숏회로(2414)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2416)를 온 상태로 만든다. 그 결과, 전류는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입력으로부터 스위치(2416)를 경유하여 저전위측 전원선(VSS)에 공급되어,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는 증가된다. 그 결과,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의 드레인 전압은 시간 주기(τ) 동안에 풀 다운된다. 따라서,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1)의 게이트 전압은 풀업되고, 또한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1)의 게이트 전압이 풀 업 되어, 데이터 선(DL1)에서의 전압은 결국에는 실선(Y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되고, 그에 따라 디지털 영상 데이터(DC)에 대응하는 전압(VC)으로 급격히 수속한다.
따라서, 차동 증폭기(DA1)의 구동 능력은 스위치(2416)를 사용하여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된다. 이 경우에도, 전류원(I2)를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는 증가되지 않아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증가되지 않고 이는 전력 소비의 감소로 이어진다.
도 3의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2417) 및 스위치(2415, 2416)의 제5의 예의 상세 회로도인 도 9에 있어서,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241')는 입력단(ST1')과 출력단(ST2')으로 나누어진다.
입력단(ST1')은 고전위측 전원 단자(VDD)와 저전위측 전원 단자(VSS) 사이에 병렬로 접속된 2개의 차동 증폭기(DA1', DA2')에 의해 구성된다.
차동 증폭기(DA1')는 입력 단자(IN+, IN-)에 접속된 게이트와 전류원(I1)에 접속된 공통 소스를 구비하는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 P2') 의해 형성된 차동트랜지스터 쌍과,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 N2')에 의해 형성된 전류 미러 회로와, N채널 MOS 트랜지스터(N3', N4')에 의해 형성된 전류 미러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전류 미러 회로(N1', N2')에 있어서,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의 드레인은 입력으로서 작용하며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N채널 MOS 트랜지스터(N2')의 드레인은 출력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전류원(I1')은 고전위측 전원 단자(VDD)에 접속되고,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 N2', N3', N4')의 소스는 저전위측 전원 단자(VSS)에 접속된다. 상기 경우에,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 N3')는 차동 증폭기(DA2')의 능동 부하로서 작용한다.
반면에, 차동 증폭기(DA2')는 입력 단자(IN-, IN+)에 접속된 게이트와 전류원(I2')에 접속된 공통 소스를 구비하는 N채널 MOS 트랜지스터(N5', N6')에 의해 형성된 차동 트랜지스터 쌍과, P채널 MOS 트랜지스터(P3', P4')에 의해 형성된 전류 미러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전류 미러 회로(P3', P4')에 있어서, P채널 MOS 트랜지스터(P3'의 드레인은 입력으로서 작용하며 N채널 MOS 트랜지스터(N5')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P채널 MOS 트랜지스터(P4')의 드레인은 출력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전류원(I2')은 저전위측 전원 단자(VSS)에 접속되고, P채널 MOS 트랜지스터(P3', P4')의 소스는 고전위측 전원 단자(VDD)에 접속된다. 상기 경우에, P채널 MOS 트랜지스터(P3', P4')는 차동 증폭기(DA2')의 능동 부하로서 작용한다.
전류 미러 회로(P3', P4')의 입력, 즉 P채널 MOS 트랜지스터(P3')의 드레인은 전류 미러 회로(N1', N2')의 출력, 즉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또한, 전류 미러 회로(P3', P4')의 출력, 즉 P채널 MOS 트랜지스터(P4')의 드레인은 전류 미러 회로(N3', N4')의 출력, 즉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출력단(ST2')은 고전위측 전원 단자(VDD)와 저전위측 전원 단자(VSS)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1')와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1')에 의해 형성된 싱글 엔드 푸시풀 회로(single-end push-pull circuit)와,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1')의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에 접속된 위상 보상 커패시터(C1')에 의해 구성된다. 입력단(ST1')의 출력 전압, 즉 P채널 MOS 트랜지스터(P4')와 N채널 MOS 트랜지스터(N4')의 드레인에서의 전압은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1')의 게이트에 인가되고, 입력단(ST1')의 출력 전압은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2', P13') 및 전류원(I11', I12')에 의해 형성된 레벨 시프트 회로를 경유하여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1')의 게이트에 공급된다.
도 6, 7, 및 8의 회로의 변형예인 도 10, 11, 및 12에 있어서, 도 6, 7, 및 8의 입력단(ST1)과 출력단(ST2)은 입력단(ST1')과 출력단(ST2')으로 변형된 것으로서, 도 6, 7, 및 8의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 N2, ...)는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 P2', ...)로 각각 대체되었고, 도 6, 7, 및 8의 P채널 MOS 트랜지스터(P1, P2, ...)는 N채널 MOS 트랜지스터(N1', N2', ...)로 각각 대체되었다. 또한, 도 6, 7, 및 8의 전류원(I1, I2, I11, I12) 및 커패시터(C1)는 전류원(I1',I2', I11', I12') 및 커패시터(C1')로 각각 대체되었다.
도 9, 10, 11, 및 12의 회로의 동작은 도 4, 6, 7, 및 8과 각각 동일하다.
또한, 도 4, 6, 7, 8, 9, 10, 11, 및 12에 있어서, N채널 MOS 트랜지스터 각각은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대체될 수 있고, P채널 MOS 트랜지스터 각각은 PNP형 바이폴라 트래지스터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도 4, 6, 7, 및 8에 있어서, 다른 싱글 엔드 푸시풀 회로는 출력단(ST2)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 설명된 바와 같이, 출력단(ST2)은 고전위측 전원선(VDD)과 저전위측 전원선(VSS) 사이에 직렬 접속된 N채널 MOS 트랜지스터(N21)와 P채널 MOS 트랜지스터(P21)에 의해 형성된 싱글 푸시풀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P채널 MOS 트랜지스터(P22, P23, P24), N채널 MOS 트랜지스터(N22, N23), 및 전류원(I21)이 마련된다. 상기 경우에, P채널 MOS 트랜지스터(P22) 및 N채널 MOS 트랜지스터(N22)는 인버터를 형성하고, P채널 MOS 트랜지스터(P23) 및 N채널 MOS 트랜지스터(N23)는 인버터를 형성하고, P채널 MOS 트랜지스터(P24) 및 전류원(I21)은 인버터를 형성한다. 따라서, 입력단(ST1)의 출력 전압은 인버터(P22, N22) 및 인버터(P23, N23)를 경유하여 N채널 MOS 트랜지스터(N21)의 게이트에 공급되고, 입력단(ST1)의 출력 전압은 인버터(P22, N22) 및 인버터(P24, I21)를 경유하여 P채널 MOS 트랜지스터(P21)의 게이트에 공급된다.
반면에, 도 9, 10, 11, 및 12에 있어서, 다른 싱글 엔드 푸시풀 회로는 출력단(ST2')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설명된 바와 같이, 출력단(ST2')은 고전위측 전원선(VDD)과 저전위측 전원선(VSS) 사이에 직렬 접속된 N채널 MOS 트랜지스터(N21')와 P채널 MOS 트랜지스터(P21')에 의해 형성된 싱글 푸시풀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P채널 MOS 트랜지스터(P22', P23'), N채널 MOS 트랜지스터(N22', N23', N24'), 및 전류원(I21')이 마련된다. 상기 경우에, P채널 MOS 트랜지스터(P22') 및 N채널 MOS 트랜지스터(N22')는 인버터를 형성하고, P채널 MOS 트랜지스터(P23') 및 N채널 MOS 트랜지스터(N23')는 인버터를 형성하고, P채널 MOS 트랜지스터(P24') 및 전류원(I21')은 인버터를 형성한다. 따라서, 입력단(ST1)의 출력 전압은 인버터(P22', N22') 및 인버터(I21', N24')를 경유하여 N채널 MOS 트랜지스터(N21')의 게이트에 공급되고, 입력단(ST1')의 출력 전압은 인버터(P22', N22') 및 인버터(P23', N23')를 경유하여 P채널 MOS 트랜지스터(P21')의 게이트에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이 상태에서, 바이어스 전류를 증가함이 없이 부하 전류만을 증가시킴으로써 전이 상태를 안정 상태로 급격히 수속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능력이 향상되고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Claims (22)

  1. 디지털 영상 데이터(D1)를 수신하여 출력 신호(DL1)를 생성하기 위한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2417)와,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의 전이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가 증가하면 제1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가 감소하면 제2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전이 상태 검출 회로(2411, 2412)와,
    상기 전이 상태 검출 회로와 상기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1 및 제2의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를 통해 흐르는 대응하는 부하 전류를 증가시키는 스위치 회로(2415, 24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상태 검출 회로는,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의 이전 입력 데이터(D1')를 격납하는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411)와,
    상기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에 접속되며, 상기 이전 입력 데이터와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기(2412)와,
    상기 비교기에 접속되며,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가 상기 이전 입력 데이터보다 더 큰 경우에 상기 제1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1의 펄스 신호 생성 회로(2413)와,
    상기 비교기에 접속되며,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가 상기 이전 입력 데이터보다 더 작은 경우에 상기 제2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2의 펄스 신호 생성 회로(24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펄스 생성 회로는 상기 비교기의 출력 신호의 상승 엣지에서 트리거링되는 원숏 회로(24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의 펄스 생성 회로는 상기 비교기의 출력 신호의 하강 엣지에서 트리거링 되는 원숏 회로(24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1의 펄스 생성 회로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펄스 신호에 의해 온 상태로 되는 제1의 스위치(2415)와,
    상기 제2의 펄스 생성 회로에 접속되며, 상기 제2의 펄스 신호에 의해 온 상태로 되는 제2의 스위치(24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스위치 각각은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스위치 각각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는,
    제1 및 제2의 전원선(VDD, VSS; VSS, VDD)과,
    상기 제1 및 제2의 전원선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의 전류원(I1, I2; I1', I2')과,
    상기 제1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IN+)와 상기 출력 신호(IN-)를 차동 증폭하는 제1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P1', P2')과,
    상기 제2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출력 신호와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를 차동 증폭하는 제2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 N5', N6')과,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1의 전류 미러 회로(P1, P2; N1', N2')와,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2의 전류 미러 회로(P3, P4; N3', N4')와,
    상기 제2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도전형의 제3의 전류 미러 회로(N3, N4; P3', P4')와,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2의 전원선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에서의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싱글 엔드 푸시 풀 회로(ST2, ST2')와,
    상기 제1 및 제2의 펄스 신호에 따라 실질적으로 증가하는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는,
    제1 및 제2의 전원선(VDD, VSS; VSS, VDD)과,
    상기 제2 및 제1의 전원선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의 전류원(I1, I2; I1', I2')과,
    상기 제1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IN+)와 상기 출력 신호(IN-)를 차동 증폭하는 제1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P1', P2')과,
    상기 제2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출력 신호와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를 차동 증폭하는 제2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 N5', N6')과,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1의 전류 미러 회로(P1, P2; N1', N2')와,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2의 전류 미러 회로(P3, P4; N3', N4')와,
    상기 제2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도전형의 제3의 전류 미러 회로(N3, N4; P3', P4')와,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2의 전원선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에서의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싱글 엔드 푸시 풀 회로(ST2, ST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스위치는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1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스위치는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2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는,
    제1 및 제2의 전원선(VDD, VSS; VSS, VDD)과,
    상기 제2 및 제1의 전원선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의 전류원(I1, I2; I1', I2')과,
    상기 제1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IN+)와 상기 출력 신호(IN-)를 차동 증폭하는 제1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P1', P2')과,
    상기 제2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출력 신호와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를 차동 증폭하는 제2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 N5', N6')과,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1의 전류 미러 회로(P1, P2; N1', N2')와,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2의 전류 미러 회로(P3, P4; N3', N4')와,
    상기 제2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도전형의 제3의 전류 미러 회로(N3, N4; P3', P4')와,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2의 전원선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에서의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싱글 엔드 푸시 풀 회로(ST2, ST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스위치는 상기 제2의 전원선과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스위치는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2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폴로워형 연상 증폭기는,
    제1 및 제2의 전원선(VDD, VSS; VSS, VDD)과,
    상기 제2 및 제1의 전원선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의 전류원(I1, I2;I1', I2')과,
    상기 제1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IN+)와 상기 출력 신호(IN-)를 차동 증폭하는 제1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P1', P2')과,
    상기 제2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출력 신호와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를 차동 증폭하는 제2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 N5', N6')과,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1의 전류 미러 회로(P1, P2; N1', N2')와,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2의 전류 미러 회로(P3, P4; N3', N4')와,
    상기 제2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도전형의 제3의 전류 미러 회로(N3, N4; P3', P4')와,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2의 전원선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에서의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싱글 엔드 푸시 풀 회로(ST2, ST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스위치는 상기 제2의 전원선과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스위치는 상기 제2의 전원선과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입력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폴로워형 연상 증폭기는,
    제1 및 제2의 전원선(VDD, VSS; VSS, VDD)과,
    상기 제2 및 제1의 전원선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의 전류원(I1, I2; I1', I2')과,
    상기 제1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IN+)와 상기 출력 신호(IN-)를 차동 증폭하는 제1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P1', P2')과,
    상기 제2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출력 신호와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를 차동 증폭하는 제2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 N5', N6')과,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1의 전류 미러 회로(P1, P2; N1', N2')와,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2의 전류 미러 회로(P3, P4; N3', N4')와,
    상기 제2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도전형의 제3의 전류 미러 회로(N3, N4; P3', P4')와,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2의 전원선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3의 전류미러 회로의 출력에서의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싱글 엔드 푸시 풀 회로(ST2, ST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스위치는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1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스위치는 상기 제2의 전원선과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입력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12.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데이터선(DL1, DL2, ...)을 구동하는 데이터선 드라이버 회로에 있어서,
    래치 신호(LA1, LA2, ...)를 생성하는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21)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에 접속되며, 상기 래치 신호의 각각의 하나에 동기하여 현재 입력 데이터를 각각 래치하는 복수의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21, 222, ...)와,
    상기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의 하나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에 대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실행하는 복수의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231, 232, ...)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부터의 아날로그 출력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선에 대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드라이버(241', 242', ...)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 각각은,
    상기 디아터의 하나에 접속되며, 상기 아날로그 출력 전압의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2417)와,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의 각각의 하나의 전이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의 각각의 하나가 증가하면 제1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의 각각의 하나가 감소하면 제2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전이 상태 검출 회로(2411, 2412)와,
    상기 전이 상태 검출 회로와 상기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1 및 제2의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를 통해 흐르는 대응하는 부하 전류를 증가시키는 스위치 회로(2415, 24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데이터선 드라이버 회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상태 검출 회로는,
    상기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의 각각의 하나에 접속되며, 상기 래치의 각각의 하나에 동기하여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의 각각의 하나의 이전 입력 데이터(D1')를 래치하는 추가의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2411)와,
    상기 추가의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와 상기 데이터 레지스터 회로의 각각의 하나에 접속되며, 상기 이전 입력 데이터와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기(2412)와,
    상기 비교기에 접속되며,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가 상기 이전 입력 데이터보다 더 큰 경우에 상기 제1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1의 펄스 신호 생성회로(2413)와,
    상기 비교기에 접속되며,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가 상기 이전 입력 데이터보다 더 작은 경우에 상기 제2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2의 펄스 신호 생성 회로(24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선 드라이버 회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펄스 생성 회로는 상기 비교기의 출력 신호의 상승 엣지에서 트리거링되는 원숏 회로(24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의 펄스 생성 회로는 상기 비교기의 출력 신호의 하강 엣지에서 트리거링 되는 원숏 회로(24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선 드라이버 회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1의 펄스 생성 회로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펄스 신호에 의해 온 상태로 되는 제1의 스위치(2415)와,
    상기 제2의 펄스 생성 회로에 접속되며, 상기 제2의 펄스 신호에 의해 온 상태로 되는 제2의 스위치(24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선 드라이버 회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스위치 각각은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데이터선 드라이버 회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스위치 각각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선 드라이버 회로.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는,
    제1 및 제2의 전원선(VDD, VSS; VSS, VDD)과,
    상기 제1 및 제2의 전원선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의 전류원(I1, I2; I1', I2')과,
    상기 제1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IN+)와 상기 출력 신호(IN-)를 차동 증폭하는 제1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P1', P2')과,
    상기 제2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출력 신호와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를 차동 증폭하는 제2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 N5', N6')과,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1의 전류 미러 회로(P1, P2; N1', N2')와,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2의 전류 미러 회로(P3, P4; N3', N4')와,
    상기 제2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도전형의 제3의 전류 미러 회로(N3, N4; P3', P4')와,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2의 전원선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에서의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싱글 엔드 푸시 풀 회로(ST2, ST2')와,
    상기 제1 및 제2의 펄스 신호에 따라 실질적으로 증가하는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선 드라이버 회로.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는,
    제1 및 제2의 전원선(VDD, VSS; VSS, VDD)과,
    상기 제2 및 제1의 전원선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의 전류원(I1, I2; I1', I2')과,
    상기 제1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IN+)와 상기 출력 신호(IN-)를 차동 증폭하는 제1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P1', P2')과,
    상기 제2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출력 신호와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를 차동 증폭하는 제2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 N5', N6')과,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1의 전류 미러 회로(P1, P2; N1', N2')와,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2의 전류 미러 회로(P3, P4; N3', N4')와,
    상기 제2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도전형의 제3의 전류 미러 회로(N3, N4; P3', P4')와,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2의 전원선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에서의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싱글 엔드 푸시 풀 회로(ST2, ST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스위치는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1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스위치는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2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선 드라이버.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는,
    제1 및 제2의 전원선(VDD, VSS; VSS, VDD)과,
    상기 제2 및 제1의 전원선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의 전류원(I1, I2; I1', I2')과,
    상기 제1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IN+)와 상기 출력 신호(IN-)를 차동 증폭하는 제1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P1', P2')과,
    상기 제2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출력 신호와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를 차동 증폭하는 제2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 N5', N6')과,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1의 전류 미러 회로(P1, P2; N1', N2')와,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2의 전류 미러 회로(P3, P4; N3', N4')와,
    상기 제2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도전형의 제3의 전류 미러 회로(N3, N4; P3', P4')와,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2의 전원선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에서의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싱글 엔드 푸시 풀 회로(ST2, ST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스위치는 상기 제2의 전원선과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스위치는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2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선 드라이버 회로.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폴로워형 연상 증폭기는,
    제1 및 제2의 전원선(VDD, VSS; VSS, VDD)과,
    상기 제2 및 제1의 전원선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의 전류원(I1, I2; I1', I2')과,
    상기 제1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IN+)와 상기 출력 신호(IN-)를 차동 증폭하는 제1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P1', P2')과,
    상기 제2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출력 신호와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를 차동 증폭하는 제2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 N5', N6')과,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1의 전류 미러 회로(P1, P2; N1', N2')와,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2의 전류 미러 회로(P3, P4; N3', N4')와,
    상기 제2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도전형의 제3의 전류 미러 회로(N3, N4; P3', P4')와,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2의 전원선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에서의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싱글 엔드 푸시 풀 회로(ST2, ST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스위치는 상기 제2의 전원선과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스위치는 상기 제2의 전원선과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입력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선 드라이버 회로.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폴로워형 연상 증폭기는,
    제1 및 제2의 전원선(VDD, VSS; VSS, VDD)과,
    상기 제2 및 제1의 전원선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의 전류원(I1, I2; I1', I2')과,
    상기 제1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IN+)와 상기 출력 신호(IN-)를 차동 증폭하는 제1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N1, N2; P1', P2')과,
    상기 제2의 전류원에 접속되며, 상기 출력 신호와 상기 현재 입력 데이터를 차동 증폭하는 제2 도전형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P5, P6; N5', N6')과,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1의 전류 미러 회로(P1, P2; N1', N2')와,
    상기 제1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도전형의 제2의 전류 미러 회로(P3, P4; N3', N4')와,
    상기 제2의 전원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2의 차동 트랜지스터 쌍의 반전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도전형의 제3의 전류 미러 회로(N3, N4; P3', P4')와,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2의 전원선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에서의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싱글 엔드 푸시 풀 회로(ST2, ST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스위치는 상기 제1의 전원선과 상기 제1의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스위치는 상기 제2의 전원선과 상기 제3의 전류 미러 회로의 입력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선 드라이버 회로.
KR1020040024406A 2003-04-17 2004-04-09 구동 파워가 높은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드라이버와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KR100607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12810 2003-04-17
JP2003112810A JP2004317857A (ja) 2003-04-17 2003-04-17 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704A true KR20040090704A (ko) 2004-10-26
KR100607772B1 KR100607772B1 (ko) 2006-08-01

Family

ID=3315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406A KR100607772B1 (ko) 2003-04-17 2004-04-09 구동 파워가 높은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드라이버와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43594B2 (ko)
JP (1) JP2004317857A (ko)
KR (1) KR100607772B1 (ko)
TW (1) TWI2596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977B1 (ko) * 2006-01-13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력편차가 개선된 출력버퍼 및 이를 구비한평판표시장치용 소오스 드라이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6777A1 (en) * 2005-11-01 2007-05-03 Dacheng Zhou Differential driver
JP4964461B2 (ja) * 2005-12-13 2012-06-27 ティーピーオー、ホンコン、ホールディング、リミテッド 表示装置及びその容量性負荷の駆動回路
JP2008176067A (ja) * 2007-01-18 2008-07-31 Fuji Electric Device Technology Co Ltd 半導体集積回路
KR100892351B1 (ko) * 2007-05-03 2009-04-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스 드라이버 및 그의 구동 방법,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JP5089528B2 (ja) 2008-08-18 2012-1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ータ取り込み回路および表示パネル駆動回路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3474015B (zh) * 2013-08-20 2016-08-17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输出放大器、数模转换器、数据驱动电路和显示装置
US10446107B2 (en) * 2017-08-10 2019-10-15 Db Hitek Co., Ltd. Data dri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7253332B2 (ja) * 2018-06-26 2023-04-06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コントローラ
US11070181B2 (en) 2018-11-20 2021-07-20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Push-pull output driver and operational amplifier using same
US11934609B2 (en) * 2020-07-31 2024-03-19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Multi-bias mode current conveyor, configuring a multi-bias mode current conveyor, touch sensing systems including a multi-bias mode current conveyor, and rela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4551A (ja) * 1995-03-30 1996-10-18 Oki Electric Ind Co Ltd 演算増幅器
JPH09232883A (ja) * 1996-02-23 1997-09-05 Oki Micro Design Miyazaki:Kk 演算増幅回路
JPH1188075A (ja) * 1997-09-03 1999-03-30 Nec Corp Cmosオペアンプ
JP3338771B2 (ja) * 1997-09-04 2002-10-28 山形日本電気株式会社 演算増幅器
JPH1185114A (ja) * 1997-09-12 1999-03-30 Sanyo Electric Co Ltd データ線駆動回路
JPH11220341A (ja) * 1997-11-26 1999-08-10 Oki Electric Ind Co Ltd 演算増幅器
WO1999060558A1 (fr) * 1998-05-20 1999-11-25 Seiko Epson Corporation Dispositif electro-optique, dispositif electronique et circuit d'attaque pour dispositif electro-optique
JP3767315B2 (ja) * 2000-04-17 2006-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パネルの駆動方法、そのデータ線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3520418B2 (ja) * 2002-02-04 2004-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演算増幅回路、駆動回路及び演算増幅回路の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977B1 (ko) * 2006-01-13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력편차가 개선된 출력버퍼 및 이를 구비한평판표시장치용 소오스 드라이버
US7671831B2 (en) 2006-01-13 2010-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put buffer with improved output deviation and source driver for flat panel display having the output buf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17857A (ja) 2004-11-11
KR100607772B1 (ko) 2006-08-01
US20040207434A1 (en) 2004-10-21
TW200428762A (en) 2004-12-16
TWI259651B (en) 2006-08-01
US6943594B2 (en) 2005-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1794B2 (en) Driving circuit fo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7443239B2 (en) Differential amplifier,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US8390609B2 (en) Differential amplifier and drive circuit of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6731170B2 (en) Source drive amplifier of a liquid crystal display
US9275596B2 (en) Signal-line driving circuit,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s
US7495512B2 (en) Differential amplifier,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JP4614704B2 (ja) 差動増幅器及びデータドライバと表示装置
US7545305B2 (en)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US6753731B2 (en) Operation amplifier circuit, drive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amplifier circuit
US20090040165A1 (en) Amplifying circuit and display unit
US20090244056A1 (en) Output amplifier circuit and data driver of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6308784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13085080A (ja) 出力回路及びデータドライバ及び表示装置
KR20030063188A (ko) 전기 회로
KR100607772B1 (ko) 구동 파워가 높은 전압 폴로워형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드라이버와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US8736372B2 (en) Output buffer of source driver
KR100608743B1 (ko)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동 장치
KR100922926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723481B1 (ko) 액정표시장치의 소오스 구동부에서 출력 신호의 슬루레이트를 개선한 출력 버퍼
JP2004350256A (ja) オフセット補償回路と、それを用いたオフセット補償機能付駆動回路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1272655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装置
KR100486292B1 (ko) 액정표시장치의 소오스 구동부에서 높은 슬루율을 갖는출력 버퍼
JP4040266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ソース駆動増幅器
JP2011053623A (ja) 液晶パネルの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
CN115953988A (zh) 液晶显示装置、显示驱动放大电路及显示驱动放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