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596A -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및 펜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및 펜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596A
KR20040089596A KR10-2004-7012050A KR20047012050A KR20040089596A KR 20040089596 A KR20040089596 A KR 20040089596A KR 20047012050 A KR20047012050 A KR 20047012050A KR 20040089596 A KR20040089596 A KR 20040089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input device
surface layer
friction coefficient
surfac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4680B1 (ko
Inventor
하라타에이지
다사카도모히사
구니사와사토루
다키주카노리카주
Original Assignee
노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89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장치의 표시면에 부착되는 표면재를 제공한다. 표면재는 기재와, 기재 상에 설치된 표면층을 포함한다. 표면층은 조정되는 동마찰계수 및 정마찰계수를 갖는다. 조정되는 동마찰계수와 정마찰계수는 20℃, 50% 상대습도의 분위기하에서 입력 펜을 하중 200g으로 표면층의 표면과 접촉시키면서 입력 펜을 10 cm/sec이 속도로 이동시킴으로써 측정하는데, 그 값은 각각 0.02~0.5 및 0.4~1.5 이다.

Description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및 펜 입력 장치{PEN-INPUT DEVICE SURFACE MEMBER, AND PEN-INPUT DEVICE}
일반적으로, 펜 입력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설치되고, 그 표면을 입력 펜으로 접촉하는 것에 따라 검출되는 접촉위치신호에 의하여 정보의 입력조작을 행한다. 펜 입력 장치에 의하면, 입력 펜으로 곡선이나 직선 등의 연속한 선상 도형 입력과 같은 상세한 조작이 용이하고, 비교적 작은 화면에 있어서도 많은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다. 입력 펜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문자를 쓰는 입력 조작에 쉽게 친숙해지기 때문에, 펜 입력장치의 이용범위는 전자 수첩과 같은 휴대정보 단말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 등 그 이용 범위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종래, 펜 입력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표면재로는, 유리판이나 그 표면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한 플라스틱 판이었다. 그러나, 표면재에 대한 필기감이 통상의 종이에 대한 것보다 매우 나빴다.
표면재의 필기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몇몇 제안이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기재의 표면에 설치된 하드 코팅제와, 기재의 표면에 설치된 탄성 변형성을 갖는 점착층을 갖는 패널(panel) 표면재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 특개평 6-309990호 공보 (제 2 쪽 및 제 3 쪽) 참조). 또한, 아크릴 수지의 미립자를 표면층에 첨가함으로써, 그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 만든 표면재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2 : 특개평 7-244552호 공보 (제 2 쪽) 참조). 또한, 자기 수복성 및 내찰상성을 갖는 투명한 연질 합성 수지를 구비한 펜 입력 장치용 보호 필름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3 : 특개평 6-180628호 공보 (제 2 쪽) 참조).
일반적으로, 펜 입력 장치는 입력 펜에 의하여 패널의 표면에 묘화(描畵)하는 동작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기 때문에, 입력 펜에 의한 필기감이 특히 중요하다. 그 필기감을 미끄러운감, 패인감(탄력감) 및 까칠까칠감(거친감)의 세 개의 감각으로 나누어 고려할 수 있고, 이러한 세 개의 감각을 균형있게 충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 미끄러운감이 특히 중요하고, 입력 펜 선단과 패널 등의 펜 입력 장치 표면과의 마찰 저항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미끄러운감을 평가할 수 있다. 이 마찰 저항은 묘화 동작 중의 미끄러운감에 상당하는 동마찰저항과 쓰기 시작할 때의 미끄러운감에 상당하는 정마찰 저항의 2 개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양쪽의 마찰 저항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 미끄러운감과 합쳐서 종이의부드러운 느낌에 패인감을 갖게 함으로써 필기감을 보다 양호하게 된다. 또한, 연필로 종이에 쓰는 때와 같은 까칠까칠감을 갖게 함으로써 필기감이 더욱더 양호해 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이들 세 개의 감각에 근거하는 평가가 이루어 지지 않아 필기감이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특허 문헌 1의 표면재에서는, 최표면이 하드 코팅 층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끄러운감이 적절하지 못했다. 또한, 그 표면이 종이와 같은 요철(텍스처; texture)이 없고, 까칠까칠감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2의 표면재에서는, 표면의 요철에 의하여 까칠까칠감은 있으나, 미끄러운감이 적절하지 못했고, 패인감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3의 표면재에서는, 연질 합성 수지에 의하여 패인감은 있으나, 미끄러운감은 적절하지 못했다. 또한, 표면 텍스처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까칠까칠감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미끄러운감, 패인감 및 까칠까칠감의 세 개의 감각을 균형있게 충족시킨 양호한 필기감을 갖는 표면재가 바람직하지만, 특히 미끄러운감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표면재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필기감이 우수한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및 이를 이용한 펜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기감이 우수한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및 이를 이용한펜 입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의 표면층의 동마찰계수 및 정마찰계수의 양쪽이 특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3 개의 감각이 양호하게 되고, 특히 미끄러운감이 양호하게 되고, 필기감이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태양은, 기재 및 상기 기재를 지지하는 표면층으로 된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를 제공한다. 20℃, 50% 상대습도의 분위기하에서 입력 펜을 하중 200g으로 상기 표면층에 접촉시키면서 입력 펜을 10cm/sec의 속도로 이동시킨 때의 동마찰계수가 0.02~0.5이고, 또한 정마찰계수가 0.4~1.5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태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실시태양의 펜 입력 장치는 패널의 표면에 연필이나 볼펜의 형상과 유사한 펜형 기구를 이용하고 묘화하는 동작에 따라 정보의 입력 조작을 행하는 장치이고, 패널 및 펜형 기구의 적어도 한 편에 전기나 전자파 등에 의한 신호 출력 회로 또는 신호 기록 회로를 구비한 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종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설치되는 펜 입력 터치 패널 장치나,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설치되지 않고 컴퓨터에 접속되고 사용되는 펜 입력 장치나,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있다.
펜 입력 터치 패널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전자 형광(EL) 디스플레이, 브라운관(CRT)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에 터치 패널이 배치되고, 그 표면을 입력 펜으로 접촉하는 것에 따라 검출되는 접촉 위치 신호로 입력 조작을 행하는 장치이다. 터치 패널은 상기와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에 조립된 일체형과,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 표시 면상에 배치되는 분리형이 있다. 터치 패널 방식으로는 공지의 방식이 모두 사용 가능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초음파 방식,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전기 왜곡 방식, 자기 변형 방식 및 적외선 방식 등의 터치 패널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펜 입력 장치의 입력 펜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는 수지로 된 기재와, 입력 펜과 접촉하는 표면층으로 된다. 표면층은 단층이어도 좋고,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입력 펜은, 펜 입력 장치에서의 입력 조작에 사용될 수 있는 펜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공지의 입력펜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재질로 형성된, 펜 선단의 직경이 1.6mm 정도의 것이다.
일실시태양의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는, 입력 펜에 대한 마찰 저항을 표면성 시험기(신동 과학(주)제, 상품명: 토라이보기아, 타입: 14DR)에 의해 측정한 값이특정 범위에 있는 것이다. 즉, 20℃, 50% 상대습도 분위기하에서 입력 펜을 하중 200g로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에 접촉시켜, 표면재 위를 10cm/sec의 속도로 이동시킨 때, 동마찰계수가 0.02~0.5, 바람직하게는 0.1~0.4이며, 동시에 정마찰계수가 0.4~1.5, 바람직하게는 0.5~1.0이 되는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이다.
동마찰계수가 0.02 미만인 경우 또는 정마찰계수가 0.4 미만인 경우, 입력펜이 지나치게 미끄러져서, 필기감이 나쁘다. 한편, 동마찰계수가 0.5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정마찰계수가 1.5를 초과하는 경우, 입력 펜의 미끄러짐이 나쁘고, 입력 펜의 조작시 무겁게 느껴지게 되어 필기감이 나쁘다.
표면재의 패인감을 보다 향상시킨다는 관점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20℃, 50% 상대습도의 분위기하에서 선단경 0.75mm의 초경 재료제 가상체를 이용하고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의 표면층을 10cm/sec의 속도로 긁을 때, 가상체로 향하여 복원하는 하중이 바람직하게는 10~1000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00g으로 복원하는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이다. 복원하는 하중이 10g 미만인 경우, 입력 펜에 의한 입력시에 표면재에 패인곳(필적)이 장시간 잔존하게 되고, 그 패인곳이 시인성을 저해하는 것에 더하여 필기감을 나쁘게 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복원하는 하중이 1000g을 초과하는 경우, 표면층이 너무 부드럽고 필기감이 저하된다. 여기에서, 복원성은 한번 생긴 패인곳이 경시적으로 소실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일시적으로 생기는 패인곳은 표면재에 적절한 정도로 패인감을 부여한다. 또한, 패인곳의 생성에 의하여 압축력이 흡수되기 때문에 적절한 정도의 패인감을 갖는 표면재에 상처를 내기가 어렵다.
표면재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킨다는 관점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20℃, 50% 상대습도의 분위기하에서 직경 20mm의 원형 면포를 이용하여 하중 200g으로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의 표면층을 10cm/sec의 속도로 1000회 왕복시켜서 닦았을 때의 헤이즈값의 증가가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 이하인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이다. 헤이즈값의 증가가 10%를 초과하는 경우,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는 입력 펜과의 접촉에 대하여 내구성이 낮고, 장시간의 사용에 의하여 시인성과 필기감이 악화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는, 기재와 표면층가의 사이에, 또는 표면층이 형성되어 있는 기재의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필요에 따라 반사 방지층, 투과광 제어층, 도전성층 및 대전 방지층 등의 기능층을 갖는 단층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적층을 갖는 기재를 사용해도 좋다.
표면재의 기재의 재질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재생 셀룰로오스, 지아세칠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3원 공중합체, 폴리 염화 비닐, 폴리 염화 비닐리덴, 폴리 비닐 알코올, 나일론, 폴리에틸렌,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폴리 에테르 술폰,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성이 있는 기재가 바람직하다.
표면층은, 기재의 표면 또는 기재에 적층된 기능층 위에,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 또는 열경화형의 불포화 아크릴 수지 조성물, 우레탄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열 경화형의 실리콘계, 멜라민계 및 에폭시계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된다. 예를 들면, 다가 알코올과 (메타)아크릴산과의 에스테르화물 등의 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로일기를 2 개 이상 포함한 다관능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나 우레탄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그리고 실리콘계, 멜라민계 또는 에폭시계의 다관능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 내구성이나 취급용이성 면에서, 자외선, 전자선 또는 가열에 의하여 경화할 수 있는 다가 알코올과 (메타)아크릴산과의 에스테르화물이나 우레탄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아크릴기 함유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우수하다.
상기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2-에틸-1,3-헥산디올, 2,2'-티오디에탄올,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등의 2가 알코올; 트리메티롤프로판, 펜타글리세롤, 글리세롤, 펜타에리스리톨, 지글리세롤, 제펜타글리세롤 등의 3가 이상의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상기 우레탄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말단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우레탄과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유도체와의 우레탄화 반응에 따라 얻을 수 있다. 말단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우레탄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나 이소홀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카프로락톤디올이나 폴리테트라메틸렌디올 등의 복수의 수산기를 갖는 올리고머와의 반응에 따라 제조된다.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유도체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 종류 이상 병용해도 좋다. 표면재의 패인감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각종 수지 중의 장쇄 성분을 많이 포함하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반응성 희석재로서 단관능 성분을 병용해도 좋다. 이들은 주성분으로 사용하는 수지와의 상용성이 좋은 단량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N-비닐피롤리돈, 디메틸아크릴아미드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 종류 이상 병용해도 좋다.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를 조정하기 위해, 희석용매를 이용해도 좋다. 상기 희석용매는 비중합성의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초산에틸, 초산부틸, 메틸셀솔부(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셀솔부(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셀솔부아세테이트(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알코올, 메틸에틸케톤 등을 들 수 있다. 희석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 종류 이상 병용해도 좋다.
까칠까칠감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층에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0.1~5.0 ㎛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인 미세한 텍스처를 형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심선 평균 거칠기(Ra)가 0.1 ㎛ 미만이라면 표면재의 까칠까칠감이 부족하며, 5.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재의 광학 특성이 나빠진다. 표면층에 텍스처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엠보싱 가공, 샌드블라스트 가공, 에칭 가공 등의 조면화 처리가 적절히 채용된다.
또한, 표면층에 미세한 텍스처를 형성시키기 위해 미립자 물질을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에 첨가해도 좋다. 미립자 물질로, 예를 들면, 실리카, 산화 칼슘, 알루미나, 이산화티타늄, 산화 지르코늄, 산화 주석, 산화 인듐, 산화 카드뮴, 및 산화 아티몬 등의 무기계 미립자 물질이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및폴리스티렌 등의 가교 또는 미가교 폴리머로 된 유기계 미립자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미립자 물질의 평균 입경은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0 ㎛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20 ㎛이다. 또한, 조면화 처리와 미립자의 첨가를 병용해도 좋다.
표면재의 미끄러운감을 보다 적절히 하기 위해, 표면층 형성 조성물 중에 폴리실록산계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 있다. 폴리실록산계 화합물로는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계 화합물 및 폴리오르가노실록산기 함유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주쇄나 측쇄의 말단에 비닐기나 (메타)아크릴로일기 등의 반응성기를 갖는 폴리실록산계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계 화합물의 예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이다. 폴리디메틸실록산의 메틸기의 일부 내지 전부가 다른 유기치환기로 치환되어도 좋다. 치환되는 메틸기의 위치는 말단이나 연쇄내라도 좋다.
다른 유기치환기로, 예를들면, 메틸기 이외의 알킬기, 아릴기, 시클로알킬기 및 폴리옥시알킬렌 고리나 폴리에스테르 고리 등이 반복되는 단위를 갖는 연쇄 고리가 있다. 유기치환기의 수산기, 아민기, 에폭시기, 아실기, 아실옥시기, 카르복실기, 그 밖의 관능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반복 단위를 가지는 연쇄 고리로,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고리, 폴리옥시 프로필렌 고리,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고리,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고리 등의 폴리옥시알킬렌 고리나, 폴리카프로락톤 고리나 폴리에틸렌세바케토 고리,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고리 등의 폴리에스테르 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연쇄 고리의 말단이 수산기, 카르복실기, (메타)아크릴기 또는 비닐기인 경우, 그 말단을 예를 둘면, 알킬에테르화나 알킬에스테르화해서 유기기로 봉쇄해도 좋다. 또한, 이 연쇄 고리는 통상 디메틸렌기나 트리메틸렌기 등의 알킬렌기를 통해서 규소 원자와 결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오르가노실록산기 함유 공중합체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기 함유 화합물과 비닐계 화합물로부터 형성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기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세그멘트 A와 비닐계 화합물로부터 형성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기를 함유하지 않은 중합체 세그멘트 B로 되는 A-B형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로, 예를 들면,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 있는 모디파-FS700, FS710, FS720, FS730(모두 일본유지(주)제, 상품명)등이 있다. 폴리실록산계 화합물의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0.01~10 중량%을 함유한다. 상기 함유량으로는 0.01~5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표면층 형성 조성물을 기재에 직접 또는 기재에 적층된 기능층 위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롤코팅법, 딥코팅법, 솔칠도법, 스프레이코팅법, 바코팅법, 나이프코팅법, 다이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커튼 플로우 코팅법, 리버스 코팅법, 키스코팅법, 콤마 코팅법 등의 공지된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다. 또한, 도포하는데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기재와 표면층(피막)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리 코로나 방전 등의 전처리를 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기재에 직접 또는 기재에 적층된 기능층 위에 도포되고, 건조된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경화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공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종래 공지의 광중합 개시제를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첨가한 후에 경화시킨다. 광중합 개시제로, 예를 들면,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크산톤,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4'-디메톡시벤조페논, 벤조인푸로필에테르, 벤질디메틸개타르,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벤조페논, 1-(4-이소프로필 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기타 치오키산토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에 사용되는 에너지선원으로는, 예를 들면, 고압수은 램프,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질소 레이저, 전자선 가속장치, 방사성 원소 등의 선원이 사용된다. 에너지 선원의 조사량은, 자외선 파장 365nm에서 적산노광량으로서, 50~5000mJ/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사량이 50mJ/cm2미만인 경우, 경화가 충분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표면층의 내마모성이나 경도가 저하된다. 한편, 조사량이5000mJ/cm2을 초과하는 경우, 표면층이 착색되고 투명성이 저하된다.
가열에 의한 경화를 행하는 경우, 종래의 열중합 개시제를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첨가한 후에 당해 조성물을 경화시킨다. 열중합 개시제로, 예를 들면, 케톤퍼록사이드, 파옥시개타르, 하이드로퍼록사이드, 디알킬퍼록사이드, 지아실파오키사이도, 파옥시디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 종류 이상 병용해도 좋다.
상기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는,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안료, 충전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를 첨가할 수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 종류 이상 병용해도 좋다.
또한, 표면층이 형성되어 있는 기재의 반대 면에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고, 그에 의해 필기감 중 패인감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점착층으로,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나 고무계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지만, 투명성의 면에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점착제 중에는, 점착성 폴리머 성분외에, 가소제, 점착 부여 성분을 포함시킬 수 있지만,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주성분인 점착성 폴리머로는,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프로필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10의 알코올과 (메타)아크릴산과의 알킬에스테르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 등의 관능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계 점착제의 주성분인 점착성 폴리머로는,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계 부로츠쿠 공중합체, 천연 고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성분에 의한 점착층을 5~100 ㎛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층이 형성되어 있는 기재의 반대 면에 형성되는 도전성층으로는, 산화주석(SnO2등), 산화 인듐, 산화 안티몬, 산화 아연(ZnO), 산화 카드뮴, 인듐석 산화물(ITO) 등의 금속 산화물이나, 금, 은, 동, 알루미늄, 주석, 니켈 등의 금속막을 들 수 있다. 상기한 것 중에서, 산화 아연, 산화 주석 등의 단일 금속으로 된 산화물이 화학량론비에 의한 제어가 용이하여 고성능인 얇은 막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성층의 적층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스퍼터링법, 진공 증착법, 이온 도금법, 저압 플라즈마법, 도공법 및 상압 플라즈마 화학 증착(CVD)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성층의 두께는, 도전성능이나 적외선 및전자파의 감소 성능이 발현되고, 또한 투명성이 유지되는 두께, 즉 가시광 투과율이 60% 이상이기 위해서는, 도전성층의 두께는 30~200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태양에 따른 이점를 설명한다.
본 실시 태양의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는, 동마찰계수가 0.02~0.5이고, 정마찰계수가 0.4~1.5로 설정된 표면층을 갖는데, 입력 펜을 조작면에 접촉시킬 때의 감촉, 및 입력 펜으로 입력 조작을 할 때의 필기감이 우수하다.
상기 소정의 조건하에서 표면층의 복원은 하중 10~1000g에서 복원되는 경우, 표면층의 패인감은 적절하게 되고, 펜 입력할 때에 종이의 부드러운 느낌을 얻을 수 있다. 표면층을 반복해서 닦은 후의 헤이즈값의 증가가 10% 이하인 경우, 표면층의 내구성이 높아진다. 표면층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가 0.1~5.0 ㎛인 경우, 표면층의 까칠까칠감은 적절한 정도로 된다. 따라서, 본 실시태양의 표면재를 사용한 펜 입력 장치에 있어서, 입력 조작이 쾌적하고, 펜 조작자는 쉽게 피로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에 관해서, 정마찰계수, 동마찰계수, 도막복원성, 헤이즈값, 중심선 평균 거칠기(Ra), 전광선 투과율 및 필기감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1)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
20℃, 50% 상대습도의 분위기하에서 입력 펜을 이용하여 하중 200g로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의 표면층을 10cm/sec의 속도로 이동시킬 때의 동마찰계수(㎲, 단위 없음) 및 정마찰계수(μK, 단위 없음)를 표면성 시험기기로 측정했다. 또한, 입력 펜은 팜(palm)사제, 상품명: 스타이라스를 사용하고, 표면성 시험기기는 신동 과학제, 상품명: 토라이보기아, 타입: 14DR을 사용했다.
2) 도막 복원성
20℃, 50% 상대습도의 분위기하에서 선단경 0.75mm의 초경재료제 가상체를 사용하고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의 표면층을 10cm/sec의 속도로 긁을 때에 복원되는 가상체에 대한 하중(g)을 도막 복원성으로 해서 긁기식 경도계(독일 에리쿠센사제, 상품명: 긁기식 경도계, 모델 318)로 측정했다.
3) 헤이즈값
20℃, 50% 상대습도의 분위기하에서 면포(직경 20mm의 원형)을 이용하고, 하중 200g으로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의 표면층을 10cm/sec의 속도로 1000회 왕복시켜서 닦았을 때의 헤이즈값(%)의 증가량을 표면성 시험기기와 직독 헤이즈미터로 측정했다. 또한, 증가량은 표면재를 1000회 닦은 후의 헤이즈값(%) - 초기의 헤이즈값(%)으로 산출했다. 또한, 표면성 시험기기는 신동 과학(주)제, 상품명: 토라아보기아, 타입: 14DR을 이용하고, 직독 헤이즈미터는 동양정밀 기계 제작소사제, 상품명: 직독 헤이즈미터(No. 206)을 이용했다.
4) 중심선 평균 거칠기(Ra)
JIS B0601-1982에 따르고, 절단(cutoff)치 0.8mm, 세로 배율 5000 배로 촉침식 표면 거칠기 형상 측정기(동경정밀사제, 상품명: 서프콤 550A)를 사용하고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의 표면층에 있어서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 단위: ㎛)을 측정했다.
5) 전광선 투과율
직독 헤이즈미터(동양정기제작소사제, 상품명: 직독 헤이즈미터(No. 206)을 사용하고, 광학 특성으로서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했다.
6) 필기감
10 인의 시험인이 입력 펜을 사용하고 표면층 위에 실제로 필기하고, 필기감을 미끄러운감, 패인감 및 까칠까칠감에 관해서 평가했다. 10인 중 6인 이상의 시험인이 연필을 사용하여 종이에 쓸 때처럼 필기감이 양호하다고 판단한 경우를 ○ 으로 평가하였고, 10 인 중 3~5 명이 필기감이 양호하다고 판단한 경우를 △ 으로 평가하였으며, 그리고 10 인 중 2 명 이하가 필기감이 양호하다고 판단한 경우를 × 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 실시예 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화학공업(주)제, 상품명: NK 올리고 U-108A) 80 중량부와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와 아크릴산 20 중량부와 폴리실록산계 화합물(빅 케미(Byk-chemie)사제, 상품명: BYK-300) 0.1 중량부로 된 혼합액에 평균 입경 10 ㎛의 폴리스티렌계 미립자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함으로써 표면층용 수지액을 제조하였다.
수지액을 롤코타로, 두께 100 ㎛의 기재(폴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위에 도포하여 20 ㎛의 균일한 두께를 갖는 수지도막을 형성하였다. 전자 커튼형 EB장치(ESI 사제)에 의해 전자선을 조사(150keV, 5 Mrad)하고 수지도막을 경화시켰다. 다음에, 기재의 반대측의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공, 건조시켜,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실시예 1의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를 작성했다. 이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를 터치 입력 장치를 가진 액정 디스플레이 표면에 상온하에서 압착·첨부하여 펜 입력 장치를 작성했다. 이를 사용하여 정마찰계수, 동마찰계수, 도막복원성, 헤이즈값, 중심선 평균 거칠기(Ra), 전광선 투과율 및 필기감에 관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 실시예 2>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디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와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와 디메틸아크릴아미드 50 중량부와 폴리실록산계 화합물(신에쯔화학공업(주)제, 상품명: KF-351A) 0.1 중량부와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광중합 개시제) 5 중량부로 된 혼합액에 평균 입경 14 ㎛의 아크릴계 미립자 5 중량부를 첨가후, 충분히 교반함으로써 표면층용 수지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액을 롤코타로 두께 100 ㎛의 기재(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도포하여, 20 ㎛의 균일한 두께를 갖는 수지도막을 형성하였다. 질소 분위기하에서 120W 고압 수은등(일본전지(주)제)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3J/cm2)하고 수지도막을 경화시켰다. 다음에, 기재의 반대측의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공, 건조하여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실시예 2의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를 작성하였다. 이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를 터치 입력 장치를 가진 액정 디스플레이 표면에 상온하에서 압착·첨부함으로써 펜 입력 장치를 작성하였다. 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3>
수산기가 50의 아크릴 폴리올 100 중량부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0 중량부와 실리카계 미립자 7 중량부로 된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여 표면층용 수지액을 조정하였다. 상기 수지액을 롤코타로 두께 100 ㎛의 기재(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30 ㎛의 균일한 두께로 수지도막을 형성하였다. 100℃에서 10 분간 건조시키고,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실시예 3의 펜 입력 장치용 표면제를 작성하였다. 이 펜 입력장치용 표면재를 터치 입력 장치를 가진 액정 디스플레이 표면에 상온하에서 압착·첨부하여 펜 입력 장치를 작성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4>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 디아크릴레이트 60 중량부와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와 라우릴아크릴레이트 30 중량부와 디-2-에틸헤키실펠오키시디카보네토 5 중량부로 된 혼합액에 입경 10 ㎛의 아크릴계 미립자를 3 중량부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표면층용 수지액을 제조하였다. 이 수지액을 롤코타로 두께 100 ㎛의 기재(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도포하고, 20 ㎛의 균일한 두께를 갖는 수지도막을 형성하였다. 100℃에서 10분간 건조시키고, 수지도막을 경화시켰다. 다음에, 기재의 반대측의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공, 건조하여,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실시예 4의 펜 입력 장치용 표면제를 작성하였다. 이 펜 입력 장치 표면재를 터치 입력 장치를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표면에 상온하에서 압착·첨부하여 펜 입력 장치를 작성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5>
트리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다케다약품공업(주)제, 상품명: 타케네토 D-212) 40 중량부와 폴리카프로락톤 변성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다이세르 화학공업(주)제, 상품명: 플레이크 셀 FA3) 60 중량부로 된 우레탄 아클릴레이트 77 중량부와 폴리디메틸시로키산마쿠로모노마(칫소(주)제, 상품명: FM0721) 15 중량부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5 중량부와 부틸메타크릴레이트 25 중량부와 이소시아네이트에틸메타크릴레이트(소화전공(주)제, 상품명: 커런츠 MOI) 15 중량부와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동아합성(주)제, 상품명: 아로닉스 M305) 20 중량부로 된 자외선 경화성 실리콘 공중합체 20 중량부와 1-히드록시-시쿠로헤키실 페닐-케톤(광개시제) 3 중량부로 된 표면층용 수지액을 제조하였다. 이 수지액을 롤코타로 두께 100 ㎛의 기재(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도포하여, 20 ㎛의 균일한 두께를 갖는 수지도막을 형성하였다. 질소 분위기하에서 120W 고압 수은등(일본전지(주)제)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1J/cm2)하여 수지도막을 경화시켰다. 다음에, 기재의 반대측의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공, 건조하여,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실시예 5의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를 작성하였다. 이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를 터치 입력 장치를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표면에 상온하에서 압착·첨부함으로써 펜 입력 장치를 작성하였다. 이것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6>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72 중량부와 자외선 경화성 실리콘 공중합체 20 중량부와 폴리오르가노실록산기 함유 공중합체(일본 유지(주)제, 상품명: 모디파 FS710) 5 중량부와 1-히드록시-시쿠로헤키실-페닐-케톤 3 중량부로 이루어진 표면층용 수지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트리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다케다약품공업(주)제, 상품명: 타케네토 D-212) 30 중량부와 폴리카프로락톤 변성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다이세르 화학공업(주)제, 상품명: 플레이크 셀 FA3) 70 중량부를 반응시켜 얻은 것이다. 자외선 경화성 실리콘 공중합체는, 폴리디메틸시로키산마쿠로모노마(칫소(주)제, 상품명: FM0721) 10 중량부와 부틸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부와 이소시아네이트에틸메타크릴레이트(소화전공(주)제, 상품명: 커런츠 MOI) 15 중량부와 펜타에리스리톨 아크릴레이트(동아합성(주)제, 상품명: 아로닉스 M305) 20 중량부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5 중량부를 반응시켜 얻은 것이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은 광중합 개시제이다. 표면층용 수지액을 두께 100 ㎛의 기재(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롤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여 30 ㎛의 균일한 두께를 갖는 수지도막을 형성하였다. 질소 분위기하에서 120W 고압 수은등(일본전지(주)제)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1J/cm2)하고 수지도막을 경화시켰다. 그 다음, 기재의 반대측의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공하고, 건조하여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를 제작하였다. 이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를 터치 입력 장치를 가진 액정 디스플레이 표면에 상온하에서 압착하고 첨부하여 펜 입력 장치를 제작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 1>
두께 125 ㎛의 기재(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아크릴계 하드 코팅 수지를 도공하고 경화하여 두께 5 ㎛의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기재의 반대 면에 아크릴산2-에틸헥실 100 중량부와 아크릴산 10 중량부와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공하여 40 ㎛의 균일한 두께의 투명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건조함으로써 표면재를 작성하였다.
이 표면재를 터치 입력 장치를 가진 액정 디스플레이 표면에 상온하에서 압착·첨부하여 펜 입력 장치를 작성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 2>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와 입경 5~10 ㎛의 아크릴 수지계 비즈 2 중량부와 미량의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액을 제조하였다. 이 수지액을 100 ㎛ 두께의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경하시켜 두께 5 ㎛의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반대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을 도공하고 건조하여 표면재를 작성하였다. 이 표면재를 터치 입력 장치를 가진 액정 디스플레이 표면에 상온하에서 압착·첨부함으로써 펜 입력 장치를 작성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 3>
두께 100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에, 폴리카프로락톤트리올과 폴리실록산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올액(100 중량부)과 헥사메틸렌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이소시아네이트액(90 중량부)을 혼합해서 도공하여 두께 300 ㎛의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이 수지층을 120℃에서 20분 가열한 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서 박리하고, 연질 수지 필름을 작성하였다. 이 연질 수지 필름의 표면에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을 도공하고 건조하여 표면재를 작성하였다. 이 표면재를 터치 입력 장치를 가진 액정 디스플레이 표면에 상온하에서 압착·첨부함으로써 펜 입력 장치를 작성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정마찰계수 0.61 0.62 0.72 0.78 0.84 0.72 0.2 0.18 0.16
동마찰계수 0.20 0.22 0.24 0.26 0.32 0.28 0.07 0.12 0.08
복원성 (g) 80 60 80 60 70 90 70 5 60
헤이즈값(%) 0.2 0.1 0.1 0.2 0.1 0.1 0.1 0.1 0.2
Ra (㎛) 2.6 2.4 0.8 1.2 0.2 0.2 0.2 0.55 0.2
투과율 (%) 89.9 89.8 90.0 89.9 89.9 90.0 90.1 87.8 90.0
필기감 미끄러운감
패인감 ×
까칠까칠감 × ×
종합평가
실시예 1~4의 표면재로는, 모두 미끄러운감, 패인감, 까칠까칠감의 필기감을 얻을 수 있고, 종합적인 필기감의 평가에 있어서도 양호하였다. 실시예 5 및 6에있어서는, 까칠까칠감이 부족하지만 패인감이 있고, 또 미끄러운감이 적절하기 때문에 종합적인 필기감은 양호하였다.
이에 대해 비교예는 모두, 미끄러운감이 적절치 않고, 또한 비교예 1에서는 특히 까칠까칠감이 부족하고, 양호한 필기감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2에서는 특히 패인감이 부족하고, 양호한 필기감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3에서는 특히 까칠까칠감이 부족하고, 양호한 필기감을 얻을 수 없었다.
상기 실시 태양을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도 있다.
미끄러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실록산계 화합물에 대신하는 불소계 화합물을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에 함유시켜도 좋다.
기재 면에 점착층을 설치하지 않고, 적절한 접착제에 의하여 표면재를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접착시켜도 좋다.
본 발명은 필기감이 우수한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및 이를 이용한 펜 입력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4)

  1. 기재 및 상기 기재를 지지하는 표면층으로 구성되고, 20℃, 50% 상대습도의 분위기하에서 입력 펜을 하중 200g으로 상기 표면층에 접촉시키면서 입력 펜을 10cm/sec의 속도로 이동시킬 때의 동마찰계수가 0.02~0.5이고, 정마찰계수가 0.4~1.5인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2. 제 1 항에 있어서, 20℃, 50% 상대습도의 분위기하에서 선단경 0.75mm의 초경재료제 가상체를 이용하여 상기 표면층을 10cm/sed의 속도로 긁을 때, 상기 가상체를 향해서 복원되는 하중이 10~1000g인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0℃, 50% 상대습도의 분위기하에서 직경 20mm의 원형 면포를 이용하여 하중 200g으로 상기 표면층을 10cm/sec의 속도로 1000회 왕복시켜서 닦았을 때의 헤이즈값의 증가가 10% 이하인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이 (메타)아크릴기 함유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가 0.1~5.0 ㎛인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이 폴리실록산계 화합물을 0.01~10 중량% 함유한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7. 제 1 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이 반대측의 표면에 설치된 점착층을 더 구비한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펜 입력 장치 표면재를 구비한 펜 입력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기 함유 화합물이 다가 알코올 (메타)아크릴산의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우레탄 변성 (메타)아크릴인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폴리실록산계 화합물이 폴리오르가노실록산기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세그멘트 A와 폴리오르가노실록산기를 함유하지 않은 중합체 세그멘트 B로 된 A-B형 블록 공중합체인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11. 펜 입력 장치에 사용되는 표면재에 있어서,
    기재와,
    상기 기재 위에 적층된 기능층과,
    상기 기능층 위에 적층되고, 조정된 동마찰계수 및 정마찰계수를 갖는 표면층으로 이루어지고, 동마찰계수 및 정마찰계수가 20℃, 50% 상대습도의 분위기하에서 입력 펜을 하중 200g으로 상기 표면층에 접촉시키면서 입력 펜을 10 cm/sec의 속도로 이동시켜서 측정되고, 당해 동마찰계수가 0.02~0.5이고, 당해 정마찰계수가 0.4~1.5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재.
  12. 펜 입력 장치에 사용되는 표면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투명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투명 필름의 일 표면에 조정되는 동마찰계수 및 정마찰계수를 갖는 표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동마찰계수 및 상기 정마찰계수가 20℃, 50% 상대습도의 분위기하에서 입력 펜을 하중 200g으로 표면층에 접촉시키면서 입력 펜을 10 cm/sec의 속도로 이동시킴으로써 측정된 값이고, 상기 조정된 동마찰계수가 0.02~0.5이고, 상기 조정된 정마찰계수가 0.4~1.5인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과, 상기 수지 조성물을 상기 투명 필름에 도포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수지막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수지막을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메타)아크릴기 함유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047012050A 2002-02-04 2003-02-04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및 펜 입력 장치 KR100944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27479 2002-02-04
JP2002027479 2002-02-04
PCT/JP2003/001095 WO2003067416A1 (en) 2002-02-04 2003-02-04 Pen-input device surface member, and pen-inpu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596A true KR20040089596A (ko) 2004-10-21
KR100944680B1 KR100944680B1 (ko) 2010-02-26

Family

ID=2767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050A KR100944680B1 (ko) 2002-02-04 2003-02-04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및 펜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944680B1 (ko)
CN (1) CN100495302C (ko)
AU (1) AU2003244351A1 (ko)
TW (1) TW200302775A (ko)
WO (1) WO20030674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064A (ko) * 2012-10-17 2015-07-01 주식회사 다이셀 투명 필름 및 그 사용 방법 그리고 터치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89708B (en) 2002-12-25 2007-11-1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Optical interference type color display
US7342705B2 (en) 2004-02-03 2008-03-11 Idc, Llc Spatial light modulator with integrated optical compensation structure
EP2366945A1 (en) 2006-10-06 2011-09-2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Optical loss layer integrated in an illumination apparatus of a display
JP6174378B2 (ja) * 2013-05-30 2017-08-0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6189642B2 (ja) * 2013-05-30 2017-08-3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6138598B2 (ja) * 2013-06-07 2017-05-3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56647B2 (ja) 2013-12-05 2017-07-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ペン入力装置用フィルム
JP6258249B2 (ja) * 2015-04-02 2018-01-10 株式会社ダイセル 透明積層フィルム
CN106484150A (zh) * 2016-09-14 2017-03-08 泰山医学院 一种应用计算机技术的智能笔
JP6783680B2 (ja) * 2017-02-08 2020-11-11 株式会社ダイセル ペン入力デバイス用フィルム及びペン入力デバイス
KR102051604B1 (ko) 2018-12-14 2019-1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타일링 표시 장치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WO2020213156A1 (ja) * 2019-04-19 2020-10-22 株式会社ダイセル ペン入力デバイス用表面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1707A (en) * 1987-08-26 1989-03-08 Dow Corning Contact position sensitive lightwaveguide
JPH06309090A (ja) * 1992-03-31 1994-11-04 Pentel Kk 情報入力装置
JPH06180628A (ja) * 1992-12-11 1994-06-28 Asahi Glass Co Ltd タッチ入力装置用保護フィルム
JP2868686B2 (ja) * 1993-04-20 1999-03-10 日東電工株式会社 ペン入力用タツチパネル
JPH07244552A (ja) * 1994-03-02 1995-09-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ペン入力コンピュタ用タブレットの表面材
US5627348A (en) * 1995-04-07 1997-05-06 A.T. Cross Company Electronic stylus with writing feel
JP2000029631A (ja) 1998-07-09 2000-01-28 Sumitomo Chem Co Ltd タッチパネル用上部透明電極板およびそれを含む装置
JP2001310559A (ja) * 2000-04-28 2001-11-06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感熱記録体
JP2003058068A (ja) 2001-08-09 2003-02-28 Toray Ind Inc 表示装置部材用透明樹脂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064A (ko) * 2012-10-17 2015-07-01 주식회사 다이셀 투명 필름 및 그 사용 방법 그리고 터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15699B (ko) 2009-10-11
WO2003067416A1 (en) 2003-08-14
KR100944680B1 (ko) 2010-02-26
TW200302775A (en) 2003-08-16
CN1647016A (zh) 2005-07-27
AU2003244351A1 (en) 2003-09-02
CN100495302C (zh)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6031B2 (ja) タッチパネル又はディスプレー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4665782B2 (ja) ペン入力装置用表面材
JP4178975B2 (ja) ペン入力装置用表面材およびペン入力装置
US7351470B2 (en) Removable antireflection film
JP5020913B2 (ja) タッチパネル又はディスプレイ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9151476A (ja) ペン入力装置用表面材及びそれを備えたペン入力装置
KR100944680B1 (ko)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및 펜 입력 장치
KR20030019911A (ko) 정보 디스플레이 보호기
KR20100129512A (ko) 디스플레이 보호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KR20040038779A (ko) 하드코트필름
KR20070015077A (ko)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및 그것을 갖춘 디스플레이
JP4266623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760679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積層体
KR101496456B1 (ko) 하드코팅필름
JP4753764B2 (ja) タッチパネル
JP2006179274A (ja) 透明導電性積層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
JP2013075955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4091775A (ja) 粘着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透明保護積層体
JP2012126804A (ja)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TWI706863B (zh) 改善書寫感之薄膜
JPWO2019082664A1 (ja) 触感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成形体並びに指滑り性向上方法
JP4379293B2 (ja) ペン入力装置用表面材、ペン入力タッチパネルおよびペン入力装置
KR101078931B1 (ko) 펜 입력 장치용 표면재
KR102500025B1 (ko) 저마찰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WO2023188544A1 (ja) 保護フィルム付書き味向上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