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062A - 표시 화면상에 나타낸 복수개의 점들의 좌표값 및 그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기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화면상에 나타낸 복수개의 점들의 좌표값 및 그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기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062A
KR20040088062A KR10-2004-7012205A KR20047012205A KR20040088062A KR 20040088062 A KR20040088062 A KR 20040088062A KR 20047012205 A KR20047012205 A KR 20047012205A KR 20040088062 A KR20040088062 A KR 20040088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cessing
points
data block
coordinate values
step fur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1282B1 (ko
Inventor
에노모토시게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Publication of KR20040088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표시 화면상의 복수개의 점의 좌표값 및 그 좌표값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검출 수단을 이용하여,사용자(user)에 의해 지정된 표시 화면상의 복수개의 점의 좌표값 및 복수개의 점의 이동 조작에 의한 좌표값의 변화에 근거함으로써, 정보 처리의 대상으로 된 데이터 블록(data block)을 특정하고,상기 특정된 데이터 블록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점에 있다.상기 구성에 따르면,사용자는 예를 들어 여러 손가락으로 복수개의 점을 지정하고,현실 세계의 동작에 가까운 조작으로 정보 처리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간단하게 데이터를 다루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표시 화면상에 나타낸 복수개의 점들의 좌표값 및 그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기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detector capable of detecting coordinate values, as well as changes thereof, of a plurality of points on display screen }
종래부터 표시 화면상에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복수개의 점들의 좌표값 및 그 좌표값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이 소개되어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터치 패널을 이용하기 위해서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지시사항에 따라 손가락이나 입력장치를 표시화면에 접촉함으로써 간단하게 다양한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처럼 터치 패널은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는데 활용되며, PDA(portable digital assistants), 열차표 발권기 및 은행의 현금 자동지급기(ATM:automatic telling machine)와 같은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터치 패널이 활용되는 정보 처리 환경의 경우에, 사용자는 한 번 두드리는 조작으로 데이터를 특정하고 드랙(dragging)하여 이동하는 등 현실 세계에서는 접하지 못했던 낯선 조작으로 정보 처리 장치의 데이터를 다루어야만 했다. 따라서, 터치 패널이 제공되는 경우라도 정보 처리 장치의 데이터를 다루는 데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쉽게 조작을 하지 못했다. 최근에는 이렇게 정보 처리 장치의 데이터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한 시장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시장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처리 장치의 데이터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터치 패널부(touch-panel unit)와 같은 표시 화면(display screen)상의 복수개의 점들의 좌표값 및 그 좌표값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부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정보 처리 프로그램, 상기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터치 패널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표시부에 표시된 데이터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A 및 6B는 표시부상에 사용자의 압점(pressed-down point)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A는 표시부상에 두 개의 압점으로 특정되는 선택 영역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7B는 선택 영역 크기의 변화에 따라 데이터가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해주는 개략도;
도 8은 선택 영역 크기의 변화에 따라 객체(object)가 변형되는 상태를 설명해주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선택 방법의 변형예를 설명해주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1A 및 11B는 객체가 압점 근방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해주는 개략도;
도 12는 압점이 이동함에 따라 객체가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해주는 개략도;
도 13A 내지 13C는 압점 근방의 의도되지 않은 객체가 분리되는 상태를 설명해주는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복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5는 복사된 객체들이 표시부로부터 소실되는 상태를 설명해주는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할 방법을 설명해주는 순서도;
도 17A 내지 17C는 도 16에 나타낸 데이터 분할 방법을 설명해주는 개략도;
도 18A 및 18B는 도 16에 나타낸 데이터 분할 방법의 변형예를 설명해주는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합성 방법을 설명해주는 순서도;
도 20A 및 20B는 도 19에 나타낸 데이터 합성 방법을 설명해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표시 화면상의 복수개의 점의 좌표값 및 그 좌표값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검출 수단을 이용하여,사용자(user)에 의해 지정된 표시 화면상의 복수개의 점의 좌표값 및 복수개의 점의 이동 조작에 의한 좌표값의 변화에 근거함으로써, 정보 처리의 대상으로 된 데이터 블록(data block)을 특정하고,상기 특정된 데이터 블록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점에 있다.상기 구성에 따르면,사용자는 예를 들어 여러 손가락으로 복수개의 점을 지정하고,현실 세계의 동작에 가까운 조작으로 정보 처리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간단하게 데이터를 다루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표시 화면상의 복수개의 점들의 좌표값 및 그 좌표값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터치 패널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워크(4)를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data base)(2)를 구비하는 서버 장치(3)에 연결된 정보 처리 장치(1)는 데이터 베이스(2)에 저장된 데이터의 복사, 합성 또는 분할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에는 음악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4)에는 전기 통신 기술을 이용한 통신 네트워크 전반이 포함되고, 구체적으로는 전화 통신 회선, 인터넷, WAN(Wide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광섬유 통신, 케이블 통신, 위성 통신 등을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는 중앙 처리부(이하 "CPU:central processing unit" 라 한다)(11), RAM(random access memory)(12), ROM(read only memory)(13), 통신 제어 장치(14), 표시부(15) 및 검출기로도 작동하는 터치 패널부(16)를 포함하며, 상기의 요소들은 모두 버스 라인(bus line)(17)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CPU(11)는 통상적인 프로세서(processor)장치를 포함하고, ROM(13)안에 저장된 다양한 프로그램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한다.
RAM(12)은 휘발성(volatile)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하고, CPU(11)가 실행한 처리에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제공한다.
ROM(13)은 비휘발성(non-volatile) 반도체 메모리; 정보 처리 장치(1)의 시동 프로그램(boot program) 및 후술하게 될 처리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8)이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부(19); 및 상기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부(20);를 포함한다. 한편, ROM(13)안에 저장될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전부가 네트워크(4)로부터 다운로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 제어 장치(14)는 네트워크(4)로 상기 통신 제어 장치(14)에 연결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1)와 서버 장치(3) 사이의 통신 처리를 제어한다.
표시부(15)는 액정 디스플레이(LCD:liquid crystal display)나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표시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CPU(11)의 지시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한다.
터치 패널부(16)는 사용자가 표시부(15)에서 특정한 복수개의 점들의 좌표값 및 그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15)에 내장되거나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패널부(16)는 구체적으로 종방향과 횡방향을 따라 각각 뻗어 있는 복수개의 터치 검출 라인(21, 22)과, 상기 터치 검출 라인의 직교점 부근에 설치된 터치 키(touch key)(23)를 포함한다. 종방향과 횡방향을 따라 각각 뻗어 있는 상기 검출 라인은 사용자가 터치 키(23)를 누른 곳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복수개의 점의 좌표값 및 그 변화의 검출은 터치 패널이 종방향과 횡방향을 따라 각각 뻗어 있는 터치 검출 라인의 접속 및 그 접속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낸 터치 패널부(16)의 구조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는 복수개의 점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나 동작 원리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정보 처리 장치(1)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된 데이터를 터치 패널부(16)를 통해 다양하게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의 선택 (1)
정보 처리 장치(1)는 사용자가 터치 패널부(16)를 조작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2)내의 데이터를 선택한다.
데이터 선택 과정에서, 정보 처리 장치(1)는 도 4에 나타낸 방식과 같이 데이터 베이스(2)내의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베이스(2)내의 데이터는 2차원 평면상에 정렬된 복수개의 구형(球型) 객체(31)로 각각 도시되고, 각 객체(31)는 2차원 평면에서의 좌표값에 관계된 대응 데이터명과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를 갖는다. 사용자는 터치 패널부(16)로 객체(31)를 선택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2)내의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베이스(2)내의 데이터를 객체(31)로 표현했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태의 개별 데이터를 표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데이터 베이스(2)내의 데이터 선택 조작을 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1)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면,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은 CPU(11)가 사용자에 의한 터치 패널부(15)상의 한 점에서의 터치를 검출함으로써 시작되며, 다음으로 CPU(11)가 ROM(13)에 저장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8)에 따른 S1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하기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터치 패널부(16)에 접촉하여 처리를 수행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펜 입력 장치와 같은소정의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터치 패널부(16)에 접촉할 수 있다.
S1 단계에서, CPU(11)는 사용자가 터치 패널부(16)에 접촉한 첫 번째 접촉점(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하 압점 "a"라 지칭한다)의 좌표값을 검출한다. 이로써 S1 단계는 완료되고, 선택 처리 과정은 S1 처리 단계로부터 S2 단계로 진행한다.
S2 단계에서, CPU(11)는 압점 "a"와 객체(31)의 좌표값을 참조하여, 압점 "a"에 대응하는 위치에 객체가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압점 "a"에 해당하는 위치에 객체가 표시된 것이 발견되면, CPU(11)는 S3 단계에서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특정한 데이터로 가정하여 RAM(12)에 사용자가 특정한 데이터로써 그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일련의 선택 처리 과정은 종료된다. 반대로 압점 "a"에 해당하는 위치에 객체가 표시된 것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선택 처리 과정은 S2 단계로부터 S4 단계로 건너 뛰게 된다.
S4 단계에서, CPU(11)는 사용자에 의한 두 번째 접촉점(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하 압점 "b"라 한다)의 좌표값을 검출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S4 단계가 종료되고, 선택 처리 과정은 S4 단계에서 S5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S5 단계에서, CPU(11)는 압점 "a" 및 "b"의 좌표값을 참조하여,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압점으로부터 직선을 그리고, 상기 직선은 두 압점을 연결한 선분으로부터 α의 각을 이루는 방향을 향한다. 그리하여 상기의 직선들로 둘러싸인 영역(40)(이하 "선택 영역"이라 한다)이 정의되며, 여기에서 이어지는 처리 과정이 실행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S5 단계가 종료되며, 선택 처리 과정은 S5 단계로부터 S6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S6 단계에서, CPU(11)는 사용자가 터치 패널부(16)에 접촉하고 있는 동안 사용자가 적어도 압점 "a" 및 "b"중 하나를 이동시켰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압점이 사용자에 의해 이동된 것으로 결정되면, 선택 처리 과정은 S6 단계로부터 S5 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대로, 압점 "a" 및 "b"중 어느 것도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선택 처리 과정은 S6 단계로부터 S7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선택 영역(40)의 크기는 S5 및 S6 단계가 반복되면서 다양하게 변하는데, 상기 선택 영역에서 CPU(11)는 표시부(15)를 제어하여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첫 번째 선택 영역내로 이동한 객체를 표시한다. 이러한 처리 과정에 의하면, 사용자는 마치 객체를 손가락으로 잡고 있는 것과 같이 조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객체의 이동 표시는 압점 "a" 와 "b"의 거리가 초기값보다 짧아지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영역(40) 안에 있는 객체의 이동을 표시하는 다른 방법은 압점으로부터의 이동 거리에 따라 선택 영역(40) 안에 있는 객체를 사용자에게 돌출되도록 변형하는 것으로, 이러한 돌출은 사용자에게 "객체를 잡고 있는 듯한 인상"을 강하게 준다. 여기서, 객체를 변형시키는 전형적인 방법으로는, 표시 화면을 1개의 텍스쳐로 가정하여 상기 텍스쳐를 압점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정도로 변형하는 방법 및 객체의 위치를 표시 화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변화시켜 객체를 3차원적으로 부풀리는 방법등이 있다.
S7 단계에서, CPU(11)는 사용자가 터치 패널부(16)상의 압점들중 어느 하나에서 손가락을 떼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판별의 결과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선택 처리는 S7 단계로부터 S6 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대로, 판별의 결과 사용자가 압점 "a" 및 "b" 중 어느 하나에서 손가락을 떼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 처리는 S7 단계에서 S8, S9 단계로 진행된다.
S8 및 S9 단계에서, CPU(11)는 사용자가 터치 패널부(16)상의 압점들중 어느 하나에서 손가락을 떼어낸 후 소정의 시간내에 다른 쪽 압점에서 손가락을 떼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사용자가 소정의 시간내에 다른 쪽의 압점에서 손가락을 떼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CPU(11)는 상기 선택 처리를 S5 단계로 되돌린다. 반대로, 판별의 결과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내에 다른 쪽의 압점에서 손가락을 떼었다고 판단된 경우, CPU(11)는 S10 단계로서 선택 영역(40)내의 객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특정한 데이터로 가정하고,특정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RAM(12)안에 저장시킨 후, 일련의 선택 처리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가 눌렀던 터치 패널상의 2개의 압점으로부터 선택 영역(40)의 크기를 결정했지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한 3개 이상의 점을 선분으로 연결하여 선택 영역(40)이 결정될 수도 있다.
데이터의 선택 (2)
상기 정보 처리 장치(1)는 상기의 조작과는 달리 하기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2)내 데이터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0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데이터 베이스(2)내 데이터를 선택하는 조작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정보 처리 장치(1)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여기서, 도 10에 나타낸 순서도상의 S21 ~ S23 단계는 도 5에 나타낸 순서도상의 S1 ~ S3 단계와 그 처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고 S24 단계 이후의 처리를 순서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S24 단계에서, CPU(11)는 압점 "a" 및 객체의 좌표값을 참조하여 압점 "a"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위치하는 객체를 검색한다.이로써 상기 S24 단계 처리가 완료되고, 상기 선택 처리 과정은 S24 단계로부터 S25 단계로 진행된다.
S25 단계에서, CPU(11)는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점 "a"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위치하는 객체가 압점 "a"의 부근에 모이도록 표시부(15)를 제어하여 이동하는 객체를 표시한다.이로써 상기 S25 단계의 처리는 완료되고,상기 선택 처리 과정은 S25 단계로부터 S26 단계로 진행된다.
S26 단계에서, CPU(11)는 압점 "b"의 좌표 위치를 검출한다. 이로써 상기 S26 단계의 처리는 완료되고,상기 선택 처리 과정은 S26 단계로부터 S27 단계로 진행된다.
S27 단계에서, CPU(11)는 압점 "b" 및 객체의 좌표값을 참조하여 압점 "b"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위치하는 객체를 검색한다.이로써 상기 S27 단계 처리가 완료되고, 상기 선택 처리 과정은 S27 단계로부터 S28 단계로 진행된다.
S28 단계에서, CPU(11)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점 "b"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위치하는 객체가 압점 "b"의 부근에 모이도록 표시부(15)를 제어하여 이동하는 객체를 표시한다.이로써 상기 S28 단계의 처리는 완료되고,상기 선택처리 과정은 S28 단계로부터 S29 단계로 진행된다.
S29 단계에서, CPU(11)는 사용자가 터치 패널부(16)와 접촉된 상태로 압점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켰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판별의 결과사용자가 압점 "a" 및 "b" 어느 것도 이동시키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선택 처리 과정은 S29 단계로부터 S30 단계로 진행된다. 반대로, 판별의 결과 사용자가 압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킨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선택 처리 과정은 S29 단계로부터 S31 단계로 진행된다.
S30 단계에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는 이동된 압점의 궤적을 검출하여 이동된 압점(도 12에서는 압점 "b"에 해당)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위치하는 객체(31)가 적절히 압점 부근으로 이동하는 것을 표시한다. 이로써,상기 S30 단계는 완료되고, 상기 선택 처리 과정은 S30 단계로부터 S29 단계로 되돌려진다.
S31 단계에서, CPU(11)는 사용자가 압점 "a" 및 "b"중 어느 하나에서 손가락을 떼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의 결과 압점들 중 어느쪽에서도 손가락을 떼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선택 처리 과정은 S31 단계로부터 S29 단계로 되돌려진다. 반대로, 판별의 결과 압점들 중 어느쪽에서라도 손가락을 떼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선택 처리 과정은 S31 단계로부터 S32, S33 단계로 진행된다.
S32, S33 단계에서, CPU(11)는 터치 패널부(16)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내에 다른 쪽의 압점에서 손가락이 떼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별의 결과, 소정의시간내에 다른 쪽 압점으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CPU(11)는 상기 선택 처리 과정을 S26 단계로 되돌린다.반대로,소정의 시간내에 다른 쪽 압점에서 손가락이 떼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CPU(11)는 S34 단계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 영역(40)내에 위치하는 객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특정한 것으로 가정하여 특정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RAM(12)에 저장함으로써 일련의 선택 처리 과정은 종료된다.
상기 처리 과정에서, 압하 시간(press-down time)에 따라 압점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 객체는 빠르게 모이게 되고, 압점에서 더 먼 위치에 있는 객체는 느리게 모이게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압점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 객체와 먼 위치에 있는 객체 사이에 적당한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객체의 선택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1)는 사용자가 누른 터치 패널상의 2개의 압점으로부터 선택 처리 과정을 행했지만, 3개 이상의 압점으로부터 상기 선택 처리 과정을 행할 수도 있다. 3개 이상의 압점으로부터 선택 처리 과정을 행하면, 예를 들어 압점 부근에 의도하지 않은 객체가 이동 표시되는 경우라도 사용자는 그 객체를 압점 부근에서 떼어냄으로써 재시도 없이도 선택 처리 과정을 행할 수 있게된다.
도 13A를 참조하여, 압점 "a" 부근에 의도되지 않은 객체(31a)가 이동 표시된 경우의 처리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상기의 경우에 사용자는 압점 "a" 및 "b"에 손가락을 접촉해 둔 상태로 객체(31a)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위치한 압점 "c"를 특정한다.이렇게 함으로써,CPU(11)는 객체(31a)를 압점 "c"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기 때문에,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객체(31a)를 압점 "a"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된다.그리고, 사용자가 터치 패널부(16)와 접촉한 상태로 상기 압점 "c"를 이동시킨 후에,압점 "c"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내면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객체(31a)가 압점 "c"와 함께 이동 표시되기 때문에 객체(31a)를 압점"a" 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대로 소정의 시간내에 사용자가 특정한 모든 압점이 해제된 경우에는 선택 처리 과정이 종료된다. 또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적어도 1개의 압점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상기 남아 있는 압점으로부터 선택 처리 과정이 속행된다.또한, 압점이 1개인 때 상기 압점이 해제된 경우에는 선택 처리 과정이 취소된다.상기 선택 처리 과정을 취소하는 조작에 따르면, 사용자는 객체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원하는 객체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른 객체의 배치를 변경하는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데이터 복사
상기 정보 처리 장치(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베이스(2)내 데이터를 하기하게 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복사할 수 있다. 이하, 도 14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데이터 베이스(2)내 데이터를 복사하는 때의 정보 처리 장치(1)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 나타낸 순서도에 따른 과정은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하여 표시부(15)에 표시될 드라이브(drive)를 지정함으로써 객체(데이터)를 복사할 목적을 특정하거나 또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1)의 터치 패널부(16)를 누름으로써 시작된다. 상기 데이터 복사 과정은 이후 S41 단계로 진행된다.
S41 단계에서, CPU(11)는 선택 영역(40)내에 위치하는 객체를 목록으로 만들어 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해 낸다. 이렇게 함으로써,상기 S41 단계는 완료되고, 상기 복사 과정은 S41 단계로부터 S42 단계로 진행된다.
S42 단계에서, CPU(11)는 상기의 생성된 목록 정보를 서버 장치(3)에 전송하기 위해 통신 제어부(14)를 제어하고, 도 15에 나타낸 목록 정보에 포함된 표시된 객체를 지우기 위해 표시부(15)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 영역내에 위치한 객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복사하는 조작을 특정하고 있는 경우에 서버 장치(3)는 수신된 목록 정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한다.이렇게 함으로써, S42 단계는 완료되고, 일련의 복사 처리 과정은 종료된다.
데이터의 분할
상기 정보 처리 장치(1)는 하기하게 될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2)내의 데이터를 분할한다.도 16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데이터 베이스(2)내의 데이터를 분할하는 때의 정보 처리 장치(1)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 때, 정보 처리 장치(1)는 도 17A에 나타낸 경계선(32)을 이용함으로써 요소 "A"와 요소 "B"에 의해 구성된 객체(33)를 표시부(15)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상기 객체(33)를 요소 "A"와 요소 "B"로 분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1)는 통상적으로 객체를 포함하는 요소를 표시부(15)에 표시하지 않고,사용자가 요소 표시를 지시하는 모드를 선택한 후에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객체 요소를 표시하기 위해 이를 제어한다.
도 16에 나타낸 순서도의 과정은, 사용자가 터치 패널부(16)에 손가락을 접촉시킨 채 압점 "a" 및 압점 "b"를 소정의 거리로 분리시키면서, 사용자가 요소 "A" 및 "B"에 대응되는 영역과 접촉하고,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소 "A"의 압점 "a" 및 요소 "B"의 압점 "b"를 각각 이동시키면서 시작된다. 상기 분할 처리 과정은 이후 S51 단계로 진행된다.
S51 단계에서, CPU(11)는 압점 "a" 및 "b"의 위치와 경계선(32)의 위치를 검출한다.이에 따라, 상기 S51 단계는 완료되고, 상기 분할 처리 과정은 S51 단계로부터 S52 단계로 진행된다.
S52 단계에서, CPU(11)는 검출된 경계선(32)으로 객체(33)를 분할하고,도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압점이 특정하고 있는 요소로 이루어진 객체(34)를 각 압점상에 표시 출력하기 위해 표시부(15)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S52 단계는 완료되고, 상기 분할 처리 과정은 S52 단계로부터 S53 단계로 진행된다.
S53 단계에서, CPU(11)는 통신 제어부(14)를 제어하여 상기 분할 결과를 서버 장치(3)에 전송하고, 데이터 베이스(2)내의 데이터에 상기 분할 결과를 반영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S53 단계는 완료되고, 일련의 분할 처리 과정은 종료된다.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될 객체(33)가 3개 이상의 요소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압점 "a" 및 "b" 중 먼저 눌러진 압점(이 경우는 압점 "a")을 가지고 있는 요소에 압점을 가지고 있지 않은 요소가 흡수되고, 다른 쪽의 압점(이 경우는압점 "b")을 가지고 있는 요소는 다른 압점으로 분리된다.
데이터의 합성
상기 정보 처리 장치(1)는 하기하게 될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2)내의 데이터를 합성한다. 도 19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데이터 베이스(2)내의 데이터를 합성하는 경우의 정보 처리 장치(1)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의 순서도에 따른 과정은 도 2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합성한 객체(35, 36)내에 각 압점 "a" 및 "b"를 특정하고, 터치 패널부(16)와 접촉된 상태로 객체간 거리가 소정의 거리 이내로 될 때까지 압점 "b"를 객체(35)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시작하며, 상기 합성 처리 과정은 S61 단계로 진행된다. 도 2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객체(35, 36)는 각각 각각 요소 "A" 및 "B"를 포함한다.
S61 단계에서, CPU(11)는 객체(35)의 요소 "A"에 객체(36)의 요소 "B"를 더한다. 이에 따라, 상기 S61 단계는 완료되고, 상기 합성 처리 과정은 S61 단계로부터 S62 단계로 진행된다.
S62 단계에서, CPU(11)는 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중에 눌러진 압점 "b"에 의해 특정된 객체(36) 표시를 소거하기 위해 표시부(15)를 제어하고, 동시에 객체(35)를 요소 "A" 및 "B"로 구성된 것으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S62 단계는 완료되고, 상기 합성 처리 과정은 S62 단계로부터 S63 단계로 진행된다.
S63 단계에서, CPU(11)는 통신 제어부(14)를 제어하여 상기 합성 결과를 서버 장치(3)에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2)내의 데이터에 상기 합성 결과를 반영시킨다.이에 따라, 상기 S63 단계는 완료되고, 일련의 합성 처리는 종료된다.
상기의 설명에서 명확하듯이,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는 데이터를 선택, 분리 및 연결하는 등 현실 세계의 동작에 가까운 조작에 의해 데이터의 복사, 분할 및 합성 등의 정보 처리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처리 조작이 매우 간략해지고,장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일지라도 간단하게 데이터를 다루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는 압점에서 소정의 거리내에 위치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압점에서 소정의 거리내에 위치한 데이터가 압점 부근에 모이도록 이동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작 대상으로 된 데이터를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는 압점의 이동에 따라 선택 영역내에 위치한 데이터를 이동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데이터를 마치 손가락으로 실제로 쥐고 있는 듯한 느낌으로 다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는 선택 영역내에 위치한 데이터를 이동 표시하는 때 압점의 이동 거리에 따라 선택 영역내에 위치한 객체를 변형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데이터를 마치 손가락으로 실제로 쥐고 있는 듯한 느낌으로 다룰 수 있다.
이상과 같이,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상기의 설명에서 터치 패널부(16)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표시 화면내의 복수개의 점의 좌표값 및 복수개의 점의 이동 조작에 의한 좌표값의 변화를 검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적외선등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을 이루어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당업자가 수행하는 다른 실시예, 운용 기술등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시 화면상의 복수개의 점들의 좌표값 및 그 좌표값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터치 패널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이용가능한 것이다.

Claims (28)

  1. 표시 화면상에 좌표값을 갖는 복수개의 데이터 블록을 각각 출력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표시 화면상에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복수개의 점의 좌표값과, 복수개의 점을 이동시키는 조작으로 나타나는 좌표값의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복수개의 점의 좌표값에 근거한 복수개의 데이터 블록으로부터의 정보 처리를 목적으로 데이터를 특정하고, 특정된 데이터 블록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점에 의해 형성된 영역내에 있는 데이터 블록을 정보 처리 대상으로 특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점 지정이 취소된 경우에 특정된 데이터 블록을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점의 좌표값의 변화에 따라 특정된 데이터 블록을 이동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점의 좌표값의 변화에 따라 특정된 데이터 블록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좌표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데이터 블록의 변형의 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표시 화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기 데이터 블록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각 점에서 소정의 거리내에 위치한 데이터 블록을 상기 복수개의 각 점으로 이동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 점의 이동 조작에 따라 복수개 점간의 거리가 소정의 값 이상으로 된 경우에 특정 데이터 블록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 점의 이동 조작에 따라 복수개 점간의 거리가 소정의 값 이하로 된 경우에 특정 데이터 블록을 합성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표시 화면내에 각 좌표값을 갖는 복수개의 데이터 블록을 출력하여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상기 표시 화면내의 복수개 점의 좌표값 및 복수개 점의 이동 조작에 의한 좌표값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블록 및 상기 복수개 점의 좌표값으로부터 정보 처리의 대상으로 된 데이터 블록을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데이터 블록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 점에 의해 형성된 영역내에 있는 데이터 블록을 정보 처리의 대상으로 하여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복수개 점의 지정이 취소된 경우에 특정 데이터 블록을 복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복수개 점의 좌표값의 변화에 따라 특정 데이터 블록을 이동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3. 제 10항 내지 제 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복수개 점의 좌표값의 변화에 따라 특정 데이터 블록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좌표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데이터 블록의 변형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표시 화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기 데이터 블록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6. 제 10항 내지 제 1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각 점에서 소정의 거리내에 위치한 데이터 블록을 상기 복수개의 각 점으로 이동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복수개 점의 이동 조작에 따라 복수개 점간의 거리가 소정의 값 이상으로 된 경우에 특정 데이터 블록을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복수개 점의 이동 조작에 따라 복수개 점간의 거리가 소정의 값 이하로 된 경우에 특정 데이터 블록을 합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9. 표시 화면내에 각 좌표값을 갖는 복수개의 데이터 블록을 출력하여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상기 표시 화면내의 복수개 점의 좌표값 및 복수개 점의 이동 조작에 의한 좌표값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블록 및 상기 복수개 점으로부터 정보 처리의 대상으로 된 데이터 블록을 특정하는 단계; 및
    특정 데이터 블록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점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을 정보 처리의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하부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복수개의 점의 지정이 취소된 경우에 특정 데이터 블록을 복사하는 하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21.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복수개 점의 좌표값의 변화로부터 특정 데이터 블록을 이동시키면서 표시하는 하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22. 제 19항 내지 제 2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복수개 점의 좌표값의 변화로부터 특정 데이터 블록을 변형시키면서 표시하는 하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복수개 점의 좌표값의 변화에 따라 특정 데이터 블록의 변형의 정도를 결정하는 하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24.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표시 화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특정 데이터 블록을 변형시키면서 표시하는 하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25. 제 19항 내지 제 2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각 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을 상기 복수개의 각 점으로 이동시키면서 표시하는 하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26.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각 점의 이동 조작 결과 상기 복수개 점간의 거리가 소정의 값 이상으로 된 경우에 상기 특정 데이터 블록을 분할하는 하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27.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각 점의 이동 조작 결과 상기 복수개 점간의 거리가 소정의 값 이하로 된 경우에 상기 특정 데이터 블록을 합성하는 하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28. 표시 화면내에 각 좌표값을 갖는 복수개의 데이터 블록을 출력하여 표시하는 단계;
    표시 화면내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복수개 점의 좌표값 및 상기 복수개의각 점의 이동 조작에 따른 좌표값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 점의 좌표값에 따른 복수개의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정보 처리 대상으로서 데이터 블록을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데이터 블록에 소정의 정보 처리 과정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컴퓨터에서 상기 각 단계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1020047012205A 2002-02-28 2003-01-16 표시 화면상에 나타낸 복수개의 점들의 좌표값 및 그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기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0941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53833A JP3847641B2 (ja) 2002-02-28 2002-02-28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方法
JPJP-P-2002-00053833 2002-02-28
PCT/JP2003/000313 WO2003073257A1 (en) 2002-02-28 2003-01-16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detector capable of detecting coordinate values, as well as changes thereof, of a plurality of points on display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062A true KR20040088062A (ko) 2004-10-15
KR100941282B1 KR100941282B1 (ko) 2010-02-11

Family

ID=27764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205A KR100941282B1 (ko) 2002-02-28 2003-01-16 표시 화면상에 나타낸 복수개의 점들의 좌표값 및 그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기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07623B2 (ko)
EP (1) EP1478998B1 (ko)
JP (1) JP3847641B2 (ko)
KR (1) KR100941282B1 (ko)
AT (1) ATE425488T1 (ko)
DE (1) DE60326547D1 (ko)
WO (1) WO20030732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4914B2 (en) * 2004-07-30 2010-11-30 Apple Inc. Activating virtual keys of a touch-screen virtual keyboard
US9292111B2 (en) * 1998-01-26 2016-03-22 Apple Inc.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US20060033724A1 (en) * 2004-07-30 2006-02-16 Apple Computer, Inc. Virtual input device placement on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US8479122B2 (en)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US9239673B2 (en) 1998-01-26 2016-01-19 Apple Inc.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US7614008B2 (en) * 2004-07-30 2009-11-03 Apple Inc. Operation of a computer with touch screen interface
US7379053B2 (en) * 2001-10-27 2008-05-27 Vortant Technologies, Llc Computer interface for navigating graphical user interface by touch
US9024884B2 (en) 2003-09-02 2015-05-05 Apple Inc. Touch-sensitive electronic apparatus for media applications, and methods therefor
JP4490665B2 (ja) * 2003-09-30 2010-06-30 株式会社東芝 燃料電池
FR2866726B1 (fr) * 2004-02-23 2006-05-26 Jazzmutant Controleur par manipulation d'objets virtuels sur un ecran tactile multi-contact
US7743348B2 (en) * 2004-06-30 2010-06-22 Microsoft Corporation Using physical objects to adjust attributes of an interactive display application
KR101128572B1 (ko) * 2004-07-30 2012-04-23 애플 인크. 터치 감지 입력 장치용 제스처
EP1621989A3 (en) * 2004-07-30 2006-05-17 Apple Computer, Inc. Touch-sensitive electronic apparatus for media applications, and methods therefor
US8381135B2 (en) 2004-07-30 2013-02-19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JP4671095B2 (ja) * 2004-07-30 2011-04-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7653883B2 (en) 2004-07-30 2010-01-26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7925996B2 (en) * 2004-11-18 2011-04-1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input connecting user interface
EP1828842A2 (en) * 2004-12-14 2007-09-05 Dutch Polymer Institute - DPI Porous holographic film
JP4556679B2 (ja) * 2005-01-26 2010-10-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101690164B1 (ko) * 2005-03-04 2016-12-27 애플 인크. 다기능 휴대용 장치
JP4807999B2 (ja) * 2005-09-16 2011-11-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それら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US20070064004A1 (en) * 2005-09-21 2007-03-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ving a graphic element
US20070109279A1 (en) * 2005-11-15 2007-05-17 Tyco Electronics Raychem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ambiguous multiple touch events
US20070109280A1 (en) * 2005-11-15 2007-05-17 Tyco Electronics Raychem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tie events in a system that responds to multiple touches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JP2007241410A (ja) * 2006-03-06 2007-09-20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10313505B2 (en)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8125455B2 (en) * 2007-01-03 2012-02-28 Apple Inc. Full scale calibration measurement for multi-touch surfaces
US7907125B2 (en) * 2007-01-05 2011-03-15 Microsoft Corporation Recognizing multiple input point gestures
US10437459B2 (en) 2007-01-07 2019-10-08 Apple Inc. Multitouch data fusion
US8519964B2 (en)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9772751B2 (en) 2007-06-29 2017-09-26 Apple Inc. Using gestures to slide between user interfaces
US11126321B2 (en) 2007-09-04 2021-09-21 Apple Inc. Application menu user interface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9619143B2 (en) 2008-01-06 2017-04-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application launch icons
JP2009140018A (ja) * 2007-12-03 2009-06-25 Canon Inc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処理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723811B2 (en) * 2008-03-21 2014-05-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screen displaying method thereof
JP5448370B2 (ja) 2008-05-20 2014-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CN102099775B (zh) 2008-07-17 2014-09-24 日本电气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记录有程序的存储介质以及目标移动方法
EP2175354A1 (en) * 2008-10-07 2010-04-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00088653A1 (en) * 2008-10-07 2010-04-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9442648B2 (en) * 2008-10-07 2016-09-13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2175349A1 (en) * 2008-10-08 2010-04-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n image on a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8407606B1 (en) * 2009-01-02 2013-03-26 Perceptive Pixel Inc. Allocating control among inputs concurrently engaging an object displayed on a multi-touch device
EP2228798B1 (de) * 2009-03-13 2012-01-18 JoboMusi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ditieren eines Audiosignals
US20140153790A1 (en) * 2009-10-06 2014-06-05 Cherif Atia Algreatly Biometrics Touchscreen
US8881061B2 (en) 2010-04-07 2014-11-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US10788976B2 (en)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JP5529700B2 (ja) 2010-09-27 2014-06-25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60694B2 (ja) * 2011-02-28 2013-08-14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79064B2 (ja) * 2011-09-28 2015-09-16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88288B2 (ja) * 2012-07-20 2017-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40168094A1 (en) * 2012-12-14 2014-06-19 Robin Duncan Milne Tangible alphanumeric interaction on multi-touch digital display
US10250735B2 (en) 2013-10-30 2019-04-02 Apple Inc. Displaying relevant user interface objects
CN104679334B (zh) * 2015-03-02 2018-04-20 南京物联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交互显示系统及方法
USD880517S1 (en) 2015-08-21 2020-04-07 Sony Corporation Display panel or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713304B2 (en) * 2016-01-26 2020-07-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tity arrangement by shape input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816325B2 (en) 2016-06-12 2023-11-14 Apple Inc. Application shortcuts for carplay
US11675476B2 (en) 2019-05-05 2023-06-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gets
US11385789B1 (en) * 2019-07-23 2022-07-12 Facebook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displayed items
CN111228793B (zh) * 2020-01-21 2021-11-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交互界面的显示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8779A (ja) 1982-10-12 1984-04-18 富士通株式会社 座標入力方式
JPS61267128A (ja) 1985-05-21 1986-11-26 Sharp Corp 表示消去方式
JPS62198979A (ja) 1986-02-26 1987-09-02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図形表示装置
US4914624A (en) * 1988-05-06 1990-04-03 Dunthorn David I Virtual button for touch screen
KR100318330B1 (ko) * 1991-04-08 2002-04-22 가나이 쓰도무 감시장치
JP2999019B2 (ja) 1991-06-21 2000-0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文字図形変形処理装置
JP2827612B2 (ja) * 1991-10-07 1998-11-25 富士通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装置におけるオブジェクトの表示方法。
JP3164617B2 (ja) 1991-11-07 2001-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文字図形変形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H06110442A (ja) 1992-09-28 1994-04-22 Hitachi Ltd 文字図形処理装置、及び文字または図形の変形処理方法
EP0622722B1 (en) 1993-04-30 2002-07-17 Xerox Corporation Interactive copying system
JP3359401B2 (ja) 1993-12-02 2002-12-24 富士通株式会社 図形編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0883144A (ja) 1994-09-14 1996-03-26 Tamura Electric Works Ltd タッチパネル装置
JPH08147091A (ja) 1994-11-22 1996-06-07 Fujitsu Ltd 複数点入力タッチパネルとその座標演算方法
US5808605A (en) * 1996-06-13 1998-09-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rtual pointing device for touchscreens
US5861886A (en) * 1996-06-26 1999-01-19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ing graphic objects on a computer based system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20018051A1 (en) 1998-09-15 2002-02-14 Mona Singh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objects on a touchscreen display
JP2000172391A (ja) 1998-12-09 2000-06-23 Nec Corp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選択枠配置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行可能な記録媒体
JP3605616B2 (ja) 1999-02-17 2004-12-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図形編集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その図形編集方法及び装置
US6714222B1 (en) * 2000-06-21 2004-03-30 E2 Home Ab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56142A (ja) 2003-09-10
JP3847641B2 (ja) 2006-11-22
WO2003073257A1 (en) 2003-09-04
DE60326547D1 (de) 2009-04-23
KR100941282B1 (ko) 2010-02-11
US20040021644A1 (en) 2004-02-05
EP1478998A1 (en) 2004-11-24
EP1478998B1 (en) 2009-03-11
US7307623B2 (en) 2007-12-11
ATE425488T1 (de) 200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282B1 (ko) 표시 화면상에 나타낸 복수개의 점들의 좌표값 및 그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기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US20180024719A1 (en)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and viewing digital documents
EP1710670B1 (en) Storage medium storing input posi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put position processing device
US7415676B2 (en) Visual field changing method
US200400216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designating an arbitrary point within a three-dimensional space
US201002898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speed improvement of image
EP2551759A2 (en)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touch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20070038955A1 (en) Pen-based computer system having first and second windows together with second window locator within first window
CN101180599A (zh) 用户界面系统
JPH0919026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10283115A (ja) 表示入力装置
WO2007094411A1 (ja) 軌跡情報処理装置、軌跡情報処理方法、情報記録媒体、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5636336A (en) Graphics processing unit for use with a stylus pen and tablet, and method therefore
EP204789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election of objects displayed on display, game machine using same, and program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the method
CN114167997B (zh) 一种模型显示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397090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100632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3355707B2 (ja) コマンド処理装置
JP7314196B2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端末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3186361B2 (ja) データ処理装置
EP256861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JP2958023B2 (ja) 情報処理方法
CN113490908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201006133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H07141108A (ja) タッチ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