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415A - 좌석 및 이를 구비한 작업기계 - Google Patents

좌석 및 이를 구비한 작업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3415A
KR20040083415A KR10-2004-7007795A KR20047007795A KR20040083415A KR 20040083415 A KR20040083415 A KR 20040083415A KR 20047007795 A KR20047007795 A KR 20047007795A KR 20040083415 A KR20040083415 A KR 20040083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seat plate
lock body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노메이이치
마에다류조
오비나타시게루
Original Assignee
신갸타피라 미쓰비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050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0256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0634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42484A/ja
Application filed by 신갸타피라 미쓰비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갸타피라 미쓰비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3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41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운전석(44)의 좌판부의 하측부에 자물쇠몸체(63)를 부착한다. 좌석용 프레임(25) 상측부에 걸어맞춤편부(61)를 부착한다.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 (48)를 좌판부(45)에 덮으면 자물쇠몸체(63)가 걸어맞춤편부(61)에 걸어맞춤한다. 좌판부(45)의 회전운동에 의한 상부 개구부(48)의 개구에서 엔진의 점검을 할 수 있는 개폐가능한 좌석용 프레임(25)이 된다. 주행시의 충격에 의해 좌판부(45)가 좌석용 프레임(25)에 대하여 진동하지 않게 된다. 좌판부(45)에 앉아 작업하는 오퍼레이터의 자세에 의해서 좌판부(45)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좌판부(45)의 안정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좌석 및 이를 구비한 작업기계{SEAT AND WORKING MACHINE WITH THE SAME}
종래, 이 종류의 작업기계로서의 유압쇼벨은,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공보 평성 9-296481호에 기재된 구성이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이 특허공개공보 평성 9-296481호에 기재된 유압 쇼벨은, 하부 주행체상에 선회부(旋回部)를 통하여 상부 선회체가 부착된 작업기계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작업기계 본체의 상부 선회체상에는, 유압 쇼벨을 조작하는 오퍼레이터가 앉는 좌석이 프레임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좌석은, 프레임상에 부착된 좌판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좌판부의 뒤쪽에는, 좌판부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등을 기대게 되는 등받이부가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좌판부의 하단면의 앞쪽과 프레임의 상측부의 앞쪽과의 사이에는, 이 프레임에 대하여 좌판부를 앞쪽을 향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가 부착되어 있다. 이 힌지는, 좌석의 좌판부를 프레임의 앞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키고, 이 프레임의 상측부에 개구된 점검용 개구부를 개구시킴으로써, 상부 선회체내에 수용된 것을 점검 혹은 보수관리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유압쇼벨에서는, 좌판부를 앞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키고 프레임의 점검용 개구부를 개구시킨 상태에서, 이 좌판부를 뒤쪽을 향하여 복귀회전운동시켜, 이 좌판부에서 프레임의 점검용 개구부를 폐쇄시켰을 때에, 이 좌판부를 프레임에 걸어맞춤시키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주행시의 충격 등에 의해 좌판부가 진동하거나, 좌판부에 앉은 작업자가 작업시에 앞쪽으로 기울이는 자세를 취함에 의해, 이 좌판부가 불안정하게 되어 불필요하게 움직여 버리기 때문에, 이 좌판부에 앉은 작업자의 안정성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좌석의 좌판부를 프레임의 앞쪽을 향해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이 프레임의 상측부의 점검용 개구부를 개구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좌석의 좌판부를 프레임의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켜서, 이 프레임의 앞쪽에 작업자가 선 상태에서, 이 프레임내의 공구상자에서 공구를 꺼내고 넣거나, 이 프레임의 점검용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의 엔진의 스타터 모터(starter motor)나 발전기 등을 점검 혹은 수리 등을 할 때에, 프레임의 앞쪽으로 회전운동시킨 좌석이 방해가 되어,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한편, 스타터 모터나 발전기 등의 뒤쪽에 엔진본체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기계 본체의 뒤쪽에서, 이들 스타터 모터나 발전기 등에 억세스하여, 점검 혹은 보수 관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개폐가능한 좌판부의 안정성의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프레임내의 작업이 용이한 좌석 및 이 좌석을구비한 작업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좌판부(sitting board portion)를 갖는 좌석 및 이 좌석을 구비한 작업기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계의 1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자물쇠몸체의 걸어맞춤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작업기계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작업기계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작업기계의 좌판부의 회전운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작업기계의 좌판부의 복귀회전운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작업기계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작업기계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상기 작업기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작업기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은, 공간을 갖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상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좌판부와, 이 좌판부의 하측부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부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자물쇠몸체와, 이 자물쇠몸체에 대향하는 상기 좌판부의 하측부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부 중 어느 다른 쪽에 설치되고, 상기 좌판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측부의 안쪽의 적어도 일부를 덮었을 때에 상기 자물쇠몸체에 걸거나 벗길 수 있게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좌석이고, 프레임의 상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좌판부에서 덮었을 때에, 자물쇠몸체와 걸어맞춤부가 걸거나 벗길 수 있게 걸어맞춤하기 때문에, 프레임의 상측부에서 좌판부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 프레임에 수용시킨 수용물의 출입이나 점검 등이 가능한 개폐가능한 프레임이더라도, 주행시의 충격 등에 의해 좌판부가 프레임에 대하여 진동하지 않게 되는 동시에, 좌판부에 앉아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자세 등에 의해서 좌판부가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좌판부의 안정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좌석에 있어서, 좌판부의 뒤쪽을 중심으로, 이 좌판부를 프레임의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를 구비하여, 자물쇠몸체 및 걸어맞춤부는, 좌판부의 하측부 및 프레임의 상측부 중 어느 한쪽의 앞쪽에 설치된 좌석이고, 힌지에서 좌판부의 뒤쪽을 중심으로 이 좌판부를 프레임의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고, 자물쇠몸체 및 걸어맞춤부의 각각을 앞쪽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프레임의 앞쪽으로부터 좌판부를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켜, 이 프레임의 안쪽에 수용한 수용물의 출입이나 점검 등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좌판부에 앉은 작업자의 중심이 뒤쪽을 향하여 이동하였을 때에 생길 수 있는 좌판부 뒤쪽으로의 회전운동을 힌지로써 방지할 수 있으므로, 좌판부에 앉아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정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 1 항 또는 제2 항에 기재된 좌석에 있어서, 자물쇠몸체에 의한 걸어맞춤부에의 걸어맞춤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좌석이고, 자물쇠몸체에 의한 걸어맞춤부에의 걸어맞춤을 고정수단으로써 해제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좌판부에서 프레임의 상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은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잘못된 조작에 의한 걸어맞춤부에의 자물쇠몸체의 걸어맞춤의 해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좌판부에 앉아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정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 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좌석에 있어서, 자물쇠몸체는 걸어맞춤부에 대향한 측에 앞끝단측을 향해서 끝이 가는 형상으로 경사진 경사면부가 형성된 걸어맞춤 갈고리부를 갖고, 상기 자물쇠몸체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한 자물쇠 유지체와, 이 자물쇠 유지체내에 수용되어, 상기 걸어맞춤 갈고리부를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하는 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힘을 가하는 수단을 구비한 좌석이고, 걸어맞춤 갈고리부에서의 걸어맞춤부에 대향한 측에 경사면부를 형성한 자물쇠몸체를 힘을 가하는 수단으로 자물쇠몸체가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하는 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힘을 가하였기 때문에, 좌판부로의 작업자의 착석에 의해, 자물쇠몸체의 걸어맞춤 갈고리부의 경사면부에 의한 힘의 분산에 의해서, 이 걸어맞춤 갈고리부가 걸어맞춤부로부터 일단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힘을 가하는 수단에 의한 가하는 힘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복귀하여 걸어맞춤부에 확실하게 걸어맞춤하기 때문에, 이 자물쇠몸체가 걸어맞춤부에 확실에 걸어맞춤하지 않은 상태, 즉 반(半)자물쇠 상태의 발생 등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좌석에 있어서, 자물쇠몸체는, 걸어맞춤 갈고리부를 힘을 가하는 수단에 저항하여 걸어맞춤부로부터 걸어맞춤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조작시키는 조작부를 가진 좌석이고, 자물쇠몸체의 조작부에 의해, 이 자물쇠몸체의 걸어맞춤 갈고리부를 힘을 가하는 수단에 저항하여 걸어맞춤부로부터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의 상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은 좌판부를 이동시켜서, 이 프레임의 상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은, 작업기계 본체상에 부착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상에 지지되어 이 프레임의 상측부의 안쪽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좌판부와, 이 좌판부의 뒤쪽을 중심으로 이 좌판부를 상기 프레임의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몸체를 구비한 좌석이고, 작업기계 본체상에 부착한 프레임의 상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좌판부의 뒤쪽을 중심으로 하여 힌지몸체에 의해 이 좌판부를 프레임의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좌판부를 프레임의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켜 이 프레임의 상측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이 프레임의 앞쪽에 선 작업자가, 이 프레임의 안쪽 등에 수용된 수용물의 출입이나 보수관리 등을 할 때에, 좌판부가 방해가 되기 어려워지므로, 이 프레임의 안쪽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7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 6 항에 기재된 좌석에 있어서, 프레임은, 내부에 공간을 갖고 상측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좌판부는, 상기 프레임상에 지지되어 이 프레임의 개구부를 덮는 좌석이고, 좌판부의 프레임의 뒤쪽을 향한 회전운동에 의해, 이 프레임의 상측부의 개구부를 개구할 수 있고, 이 개구부에서 프레임내의 공간을 개구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프레임내의 공간에 수용한 수용물의 출입이나 보수관리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8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 7 항에 기재된 좌석에 있어서, 프레임의 공간에는, 엔진이 수용되어 있는 좌석이고, 좌판부의 프레임의 뒤쪽을 향한 회전운동에 의해, 이 프레임의 공간에 수용한 엔진을, 프레임의 개구부로부터 보수관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엔진의 보수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9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 6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좌석에 있어서, 좌판부를 상기 프레임의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킨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해제 가능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좌석이고, 좌판부를 프레임의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킨 상태를 고정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좌판부를 회전운동시켜 프레임내에 수용한 수용물을 점검 혹은 보수관리하고있을 때에, 좌판부의 스스로의 무게 등에 의한 잘못된 좌판부의 회전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10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좌석에 있어서, 좌판부를 프레임에 걸거나 벗길 수 있게 걸어맞춤시켜, 이 프레임의 상측부를 상기 좌판부로 덮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자물쇠몸체를 구비한 좌석이고, 자물쇠몸체로 좌판부를 프레임에 걸거나 벗길 수 있게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이 프레임의 상측부를 좌판부로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이 좌판부에 앉은 작업자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주행시의 충격 등에 의한 좌판부의 회전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11 항에 기재된 발명은, 작업기계 본체와, 이 작업기계 본체상에 부착된 청구의 범위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좌석을 구비한 작업기계이고, 작업기계 본체상에 청구의 범위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작업기계의 좌석을 부착하였기 때문에, 청구의 범위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동시에, 작업기계 본체상에 올라 탄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고, 작업기계 본체상에 오른 상태에서의 프레임의 앞쪽으로부터의 프레임내의 수용물의 출입이나 보수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난 일 실시형태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작업기계로서의 유압쇼벨(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유압쇼벨(1)은, 자주(自走) 가능한 무단형상의 복대(2)를 갖는 하부 주행체(3)의 위쪽에 선회부(4)를 통해 상부 선회체(5)가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들 하부 주행체(3), 선회부(4) 및 상부 선회체(5)에 의해 작업기계본체(6)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 주행체(3)의 앞쪽에는, 블레이드 실린더(8)가 부착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5)의 앞쪽에는, 스윙 브래킷(11)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스윙 브래킷(11)의 위쪽에는, 앞쪽을 향하여 약 ㅅ자 형상으로 굴곡한 붐(13)이 상하방향을 향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윙 브래킷(11)에 있어서의 붐(13)의 아래쪽에는, 붐실린더(14)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붐(13)의 앞끝단측에는, 아암(15)이 전후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 아암(15)의 앞끝단측에는, 버킷(15)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붐(13)의 배면에는, 아암(15)을 전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아암실린더(17)가 부착되어 있다. 이 아암실린더(17)의 앞끝단측은, 아암(15)의 기단(基端)측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아암(15)(15)의 배면에는, 버킷실린더(18)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붐(13) 및 아암(15)에 의해서 작업아암(21)이 구성된다. 또한, 이 작업아암(21), 버킷(16), 붐실린더(14), 아암실런더(17), 버킷실린더(18) 및 스윙 브래킷(11)에 의해 작업장치로서의 프론트작업장치(22)가 구성된다.
한편, 상부 선회체(5)상의 뒤쪽에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상부 선회체(5)의 상측면보다도 위쪽을 향하여 돌출한 동력장치 수용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동력장치 수용부(24)는,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동력장치 수용부(24)의 테두리부가 되는 좌석용 프레임(seat frame)(25)을 구비하고 있다. 이 좌석용 프레임(25)은, 대략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의 틀체(26)를 구비하고 있다. 이 틀체(26)의 각 모서리부에는, 막대 형상의 다리부(27)의 길이방향을 서로 평행하게 한 상태에서, 이들 다리부(27) 각각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끝단부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좌석용 프레임(25)은, 상부 선회체(5)상의 뒤쪽에서 이 상부 선회체(5)상에 하단부가 접속되고 상단부가 위쪽을 향하여 돌출한 가늘고 긴 막대형상의 지지체로서의 한 쌍의 지지프레임(28)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프레임(28)은, 좌석용 프레임(25)의 뒤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다리부(27)를 구성한다. 또한, 이 지지프레임(28)에는, 약 L자형상의 한 쌍의 테두리 프레임(29) 사이가 가늘고 긴 판 형상의 도시하지 않은 양 프레임에 의해 평행하게 연결되어 구성된 부착프레임 (30)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이 부착프레임(30)에 있어서의 한 쌍의 테두리 프레임(29)은, 좌석용 프레임(25)의 앞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다리부(27)와, 이들 한 쌍의 다리부(27)를 좌석용 프레임(25)의 뒤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다리부(27)에 연결시키는 틀체 (26)의 양측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양 프레임은, 좌석용 프레임(25)의 앞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다리부(27) 사이를 연결시키는 틀체(26)의 앞쪽과 이 틀체(26)의 뒤쪽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테두리 프레임(29) 및 양 프레임으로 구성된 부착프레임(30)은, 좌석용 프레임(25)의 앞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다리부(27)와, 이들 한 쌍의 다리부(27)의 상단부에 연결된 틀체(26)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내부, 즉 부착프레임(30) 및 지지프레임 (28)으로 형성되는 공간(32)에는, 상부 선회체(5)내에 아래쪽 절반 정도가 수용된 엔진(33)의 위쪽 절반정도가 수용되고, 이들 부착프레임(33) 및 지지프레임(28)으로 덮여져 있다. 이 엔진(33)은, 스타터 모터(34)에 의해 시동됨과 동시에, 이 엔진(33)의 구동으로써 발전기가 발전한다. 또, 이들 스타터 모터(34) 및 발전기 (35)도 또한, 좌석용 프레임(25)의 공간(32)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엔진(33)에는,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엔진(33)으로 구동되는 메인 펌프(36)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동력장치 수용부(24)의 좌석용 프레임(25)의 상측부에는, 유압쇼벨(1)을 운전 및 조작하는 작업자로서의 운전수인 오퍼레이터가 앉는 좌석으로서의 시트체인 운전석(44)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운전석(44)은, 좌석용 프레임(25)으로 작업기계 본체(6)상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운전석(44)은, 좌석용 프레임(25)의 상측부에 부착되어, 이 좌석용 프레임(25)상에 얹혀 놓여져서 지지되는 약 직사각형 평판형상의 좌판부(4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좌판부(45)의 뒤끝단부에는, 이 좌판부(45)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등을 기대게 되는 등받이부(4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좌판부(45)의 아래쪽면에는, 이 좌판부(45)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약 직사각형 평판형상의 좌판플레이트(47)가 부착되어 있다. 이 좌판플레이트(47)는, 좌석용 프레임(25)의 상측부를 덮고,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상측부에 개구되어 있는 상부 개구부(48)를 개폐 가능하게 폐쇄한다. 또, 이 상부 개구부(48)는, 좌석용 프레임(25)의 상측부의 좌측에 부착된 평판형상의 커버몸체(49)에 의해서, 좌석용 프레임(25)의 상측부의 오른쪽의 약 3분의 2 정도를 개구시키고 있다.
또한, 이 상부 개구부(48)로부터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로 엔진(33)의 약 오른쪽 절반, 특히 이 엔진(33)에 설치된 엔진오일의 주입구인 오일주입부(51), 스타터 모터(34) 및 발전기(35)를 향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스타터모터(34) 및 발전기(35)는, 상부 개구부(45)로부터 보수관리가 가능한 동시에, 이 상부 개구부(51)를 통해 엔진(33)의 오일주입부(51)로부터 엔진 오일의주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좌판플레이트(47)의 뒤끝단부에는, 굴곡한 가늘고 긴 평판형상의 한 쌍의 힌지연결편(52)이 부착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힌지연결편(52)은, 좌판플레이트(47)의 폭 방향에서의 중심부에서 폭 방향을 향해서 같은 간격으로 이간된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들 한 쌍의 힌지연결편(52)은, 좌판플레이트(47)의 뒤끝단부보다도 뒤쪽의 위쪽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고, 좌판부(45)를 상부 개구부 (48)보다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킨다.
또한, 좌석용 프레임(25)의 부착프레임(30)의 뒤끝단부 위, 즉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단부의 뒤쪽에는, 굴곡한 가늘고 긴 평판형상의 한 쌍의 힌지부착편 (53)이 부착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힌지부착편(53)도 또한,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단부의 뒤쪽에서의 중심부로부터 폭 방향을 향하여 같은 간격으로 이간된 위치에 부착되어 있고,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뒤끝단부의 위쪽에서 뒤쪽의 위쪽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한 쌍의 힌지부착편(53)의 앞끝단부와 한 쌍의 힌지연결편(52)의 앞끝단부와의 사이에는, 좌석용 프레임(25)에 대하여 연결편(44)을 뒤쪽을 항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핀 몸체인 축부재(54)가 부착되어 있다. 또, 이들 힌지연결편(52), 힌지부착편(53) 및 축부재(54)에 의해 힌지(5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힌지(57)는, 운전석(44)의 좌판부(45)의 회전운동으로, 이 좌판부 (45)를 상부 개구부(48)보다도, 보다 뒤쪽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 좌판부(45)의 뒤끝단부보다도 뒤쪽으로 회전운동중심을 위치시킨다. 또한, 이 힌지(57)는, 좌판부(45)의 앞쪽을 들어 올려, 이 좌판부(45)를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켰을 때에, 좌석용 프레임(25)안을 점검 혹은 보수관리를 할 수 있도록,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를 개구시킨다.
또한, 좌판플레이트(47)의 전단부에서의 중앙부보다도 좌측에는, 이 좌판플레이트(47)의 앞끝단부를 오목형상으로 잘라낸 형상의 부착오목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오목부(55)에는, 좌판플레이트(47)의 앞끝단부를 좌석용 프레임(25)의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킬 때의 파지부가 되는 대략 ㄷ자 형상의 손잡이(5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앞쪽의 상측부에서의 중앙부보다도 진행방향 오른쪽에는, L자 형상으로 직각으로 굴곡한 직사각형 평판형상의 걸어맞춤부로서의 걸어맞춤편부(engagement portion)(61)의 한쪽편이 볼트조임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걸어맞춤편부(61)는, 다른 쪽의 두께방향을 좌석용 프레임(25)의 좌우방향을 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걸어맞춤편부(61)의 다른 쪽 편에 있어서의 약 중앙부에는, 약 직사각형 형상의 걸어맞춤구멍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구멍부(62)는, 걸어맞춤편부(61)의 다른 쪽 편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관통하고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판플레이트(47)의 하측부의 앞쪽에서의 중앙부보다도 진행방향 오른쪽에는, 이 좌판플레이트(47)에서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를 덮을 때에, 이 좌석용 프레임(25)상의 걸어맞춤편부(61)에 걸거나 벗길 수 있게 걸어맞춤하여, 이 좌판플레이트(47)에 의한 상부 개구부(48)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키는 자물쇠몸체(latch body)(63)가 좌우방향을 향하여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자물쇠몸체(63)는, 걸어맞춤편부(61)에 대향한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자물쇠몸체(63)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힘을 가하는 수단으로서의 스프링이 길이방향에 따라서 진퇴가능, 즉 탄성변형 가능하게 수용된 단면이 직사각형 통 형상인 자물쇠유지체(64)내에 길이방향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수용되고 유지되어 있다. 이 자물쇠유지체(64)는 ㄷ자 형상의 부착테두리(65)에 삽입·관통되어서 좌판플레이트(47)의 하단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자물쇠몸체(63)는, 자물쇠유지체(64)내에 수용되어, 이 자물쇠유지체(64)내의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걸어맞춤편부(61)에 걸어맞춤하는 방향, 즉 앞끝단측을 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상시 힘이 가해져 있다.
또한, 이 자물쇠몸체(63)의 앞끝단측에는, 걸어맞춤편부(61)의 걸어맞춤 구멍부(62)에 걸거나 벗길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끝이 가는 형상의 걸어맞춤 갈고리부(6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갈고리부(66)의 앞끝단부는, 걸어맞춤편부(61)가 걸어맞춤구멍부(62)에 진퇴가능하게 삽입·관통되어, 이 걸어맞춤구멍부 (62)에 걸거나 벗길 수 있게 걸어맞춤된다. 그리고, 이 걸어맞춤 갈고리부(66)에서의 걸어맞춤편부(61)에 대향한 측인 아래면 쪽에는, 이 걸어맞춤 갈고리부(66)의 앞끝단측을 향하여 끝이 가는 형상으로 경사진 경사면부(6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부(67)는, 걸어맞춤 갈고리부(66)의 기단(基端)측으로부터 앞끝단측으로 위쪽을 향하여 경사지고 있다.
따라서, 이 경사면부(67)는, 운전석(44)의 좌판부(45)로의 오퍼레이터의 착석에 의해, 이 경사면부(67)에 의한 힘의 분산에 의해서, 걸어맞춤 갈고리부(66)를 걸어맞춤편부(61)로부터 일단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복귀 동작시켜, 이 걸어맞춤 갈고리부(66)를 걸어맞춤편부 (61)의 걸어맞춤구멍부(62)에 확실하게 걸어맞춤시켜, 좌판플레이트(47)에서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개구부(48)를 덮은 상태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자물쇠몸체(63)의 기단측은, 자물쇠유지체(64)의 기단측으로부터 진퇴 가능하게 돌출하고 있고, 이 자물쇠몸체(63)의 기단면에는, L자 형상으로 굴곡한 조작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막대형상의 연결편부(68)의 기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결편부(68)의 앞끝단부는, 좌판플레이트(47)의 앞쪽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고, 이 좌판플레이트(47)의 앞끝단 가장자리보다도 앞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이 연결편부(68)의 앞끝단부에는, 이 연결편부(68)를 사이에 두고 자물쇠몸체(63)를 자물쇠유지체(64)에 대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조작, 즉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 갈고리부(66)를 스프링의 복원력에 저항하여 이동시켜 이 걸어맞춤 갈고리부(66)를 걸어맞춤편부(61)의 걸어맞춤구멍부(62)로부터 걸어맞춤 자물쇠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조작시키는 조작부로서의 파지부가 되는 구(球) 형상의 노브(69)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좌석용 프레임(25)의 앞쪽 상단부에는, 노브(69)를 고정하여 자물쇠몸체(63)에 의한 걸어맞춤편부(61)에의 걸어맞춤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서의 자물쇠설치기구인 잠금기구(71)가 부착되어 있다. 이 잠금기구(71)는,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를 좌판플레이트(47)에서 폐쇄한 상태로, 노브(69)의 대략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잠금기구(71)는, 좌석용 프레임(25)의 앞쪽으로부터 자물쇠몸체인 도시하지 않은 키가 삽입되는 회전운동부(7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전운동부 (72)는, 키를 삽입함으로써 회전운동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이 키를 떼어냄으로써 회전운동조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회전운동부(72)의 기단측에는, 이 회전운동부(72)의 조작과 함께 회전 운동하여,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 갈고리부 (66)측을 향하여 노브(69)에 힘을 가하는 편형상의 회전운동편부(73)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잠금기구(71)는, 회전운동부(72)에 키를 삽입하여, 이 키로 회전운동부(72)를 노브(69)측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키고 회전운동편부(73)를 노브(69)에 접촉시킴으로써, 이 노브(69)의 조작에 의한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편부(61)로의 걸어맞춤 해제조작을 불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잠금기구(71)는, 회전운동부 (72)에 삽입된 키로 회전운동편부(73)를 노브(69)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을 향하여 회전운동시켜, 이 회전운동편부(73)에 의한 노브(69)로의 접촉을 해제시킴으로써, 노브(69)의 조작에 의한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편부(61)로의 걸어맞춤 해제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판플레이트(47)의 하단면에는, 이 좌판플레이트(47)의 앞끝단부를 좌석용 프레임(25)에 대하여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킨 상태를 고정시켜 유지하는 가늘고 긴 막대형상의 고정수단으로서의회전운동 규제막대(74)의 일끝단부인 상단부가 전후방향을 향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회전운동 규제막대(74)의 다른 끝단부인 하단부는, 좌판플레이트(47)를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킨 상태로,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의 왼쪽의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된 걸어맞춤홈부(75)에 걸거나 벗길 수 있게 걸어맞춤되어,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를 개구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 걸어맞춤홈부(75)에서의 뒤쪽에 위치하는 일끝단부에는, 이 걸어맞춤홈부(75)에 연속하여 아래쪽으로 굴곡한 홈 형상의 위치결정홈부(7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운동 규제막대(74)는, 좌판플레이트(47)의 앞끝단부를 좌석용 프레임(25)에 대하여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켰을 때에, 이 회전운동 규제막대(74)의 하단부를 걸어맞춤홈부(75)를 따라서 뒤쪽으로 미끄럼운동시켜 위치결정홈부(76)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이 좌판플레이트(47)의 회전운동이 위치결정·고정된다. 또한, 이 회전운동 규제막대(74)는, 이 회전운동 규제막대(74)의 하단부에 의한 위치결정홈부(76)로의 걸어맞춤을 해제시키고, 이 회전운동 규제막대(74)의 하단부를 걸어맞춤홈부(75)를 따라 앞쪽으로 미끄럼운동시킴으로써, 좌판플레이트(47)가 앞쪽을 향하여 회전운동하여, 이 좌판플레이트(47)에서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가 폐쇄된다.
한편, 운전석(44)보다도 앞쪽인 상부 선회체(5)상에는, 하부 주행체(3)에 의한 주행을 조작하는 페달(93)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44)의 양측부인 좌우부에는, 이 운전석(44)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팔걸이부분이 되는 한 쌍의 콘솔부로서의 콘솔박스(8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콘솔박스(83)는, 좌석용 프레임(25)의 틀체(26)의 양측부의 위쪽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들 한 쌍의 콘솔박스(83)의 앞쪽의 상측부에는, 프론트작업장치(22) 등을 조작하는 한 쌍의 조작레버(84)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조작레버 (84)의 아래쪽인 각 콘솔박스(83)의 내부에는,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예를 들면 2쌍 즉 합계 4개의 유량제어밸브로서의 리모콘밸브인 파일럿밸브를 구비한 파일럿밸브장치(85)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 이들 파일럿밸브는 파일럿밸브장치(85)에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파일럿밸브장치(85)의 각 파일럿밸브 각각에는, 메인펌프(36)에 접속된 파일럿펌프로부터 파일럿유가 공급되어 소정의 파일럿 1차 압력이 전달된다. 또한, 파일럿밸브장치(85)의 각 파일럿밸브는, 각 조작레버(84)의 전후방향 혹은 좌우방향 중 어느 한쪽의 이동조작에 의해 파일럿 1차 압력을 제어하여 파일럿 2차 압력을 출력한다. 그리고, 이들 1쌍의 파일럿밸브의 각각에, 파일럿호스 (86)의 일끝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조작레버(84) 각각의 파일럿밸브에 일끝단부가 접속된 복수의 파일럿호스(86)의 각각은, 왼쪽의 조작레버(84)에 접속된 복수의 파일럿호스(86)가 한 데 묵여져서 좌석용 프레임(25)의 가장자리프레임(29)의 안쪽면 및 지지프레임 (28)의 안쪽면을 따라서 오른쪽의 조작레버(84)의 기단부에 배관되어 매달려 있다. 또한, 이들 복수의 파일럿호스(86)는, 오른쪽의 조작레버(84)의 기단부에서 모아져서 아래쪽으로 배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파일럿호스(86)의 앞끝단부에 부착된 암컷형 접속부(90)의 각각은, 파일럿호스(86)를 통하여 호스조인트(87)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호스조인트(87)는, 파일럿파이프(89)를 사이에 두고, 상부 선회체(5)내에 설치된 컨트롤밸브(91)의 파일럿조작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호스조인트(87)는, 상부 선회체(5)내에 설치된 배관접속체 부착부재로서의 호스조인트 부착부재인 파일럿 파이프브래킷(88)에 부착되어 위치결정되어 있다. 이 파일럿 브래킷(88)은, 상부 선회체(5)내의 전후방향에서의 중앙부인 동시에, 이 상부 선회체(5)의 진행방향 좌측에 부착되어 있고, 지지프레임(28)과 부착프레임(30)으로서 형성되는 공간(32)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5)내에서의 파일럿 파이프 브래킷(88)의 앞쪽에는, 컨트롤밸브로서의 컨트롤밸브(91)가 수용되어 있다. 이 컨트롤밸브(91)는, 조작레버 (84), 페달(93) 혹은 주행레버(94)의 조작에 의해서 파일럿 조작된다. 즉, 파일럿밸브장치(85)나 페달, 주행레버(94)에 의해서 파일럿 조작된 컨트롤밸브(91)는, 메인펌프(36)로부터 가압공급된 작동유를 제어하여, 선회모터, 좌측 주행모터, 우측 주행모터, 블레이드실린더(8), 붐스윙슬린더, 붐실린더(14), 아암실린더(17) 및 버킷실린더(18)의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이 주행레버(94)는, 운전석(44)보다도 앞쪽인 상부 선회체(5)상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난 일 실시형태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가, 운전석(44)의 좌판부(45)의 좌판플레이트(47)로 덮여지고, 이 좌판플레이트(47)의 하면에 부착된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 갈고리부(66)가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면에 부착된 걸어맞춤편부 (61)의 걸어맞춤구멍부(62)에 걸어맞춤하여, 이 걸어맞춤이 잠금기구(71)에서 잠금된 상태로부터,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를 개구시키는 경우에는, 잠금기구(71)의 회전운동부(71)의 회전운동부(72)를 삽입한다.
이후, 이 키를 사용하여 회전운동부(72)를 통해 회전운동편부(73)를 노브 (69)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을 향하여 회전운동시켜, 이 노브(69)를 걸어맞춤편부 (61)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여,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 갈고리부(66)에 의한 걸어맞춤편부(61)의 걸어맞춤구멍부(62)에의 걸어맞춤해제 불가능한 상태를 해제한다.
이어서, 노브(69)를 파지하여, 이 노브(69)를 걸어맞춤편부(61)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시켜, 이 걸어맞춤편부(61)의 걸어맞춤구멍부(62)에의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 갈고리부(63)의 걸어맞춤을 해제시킨다.
이 상태에서, 좌판플레이트(47)의 손잡이(56)를 파지하여 운전석(44)의 좌판부(45)의 앞쪽을 들어올려, 이 좌판부(45)를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켜,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를 개구시킨다.
또한, 이 때,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를 개구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운전석(44)의 좌판플레이트(47)에 부착한 회전운동 규제막대 (74)의 하단부를 걸어맞춤홈부(75)를 따라서 뒤쪽으로 미끄럼운동시켜, 이 회전운동 규제막대(74)의 하단부를 좌석용 프레임(25)의 걸어맞춤홈부에 걸어맞춤시킨다.
그리고,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로부터, 주로 스타터 모터(34)나 발전기(35) 등을 점검 혹은 보수관리 등을 하거나, 이 엔진(33)에 설치된 엔진오일의 주입구인 오일주입부(51)로부터 엔진오일을 주입하기도 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우선, 회전운동 규제막대(74)의 하단부에 의한 좌석용 프레임(25)의 위치결정홈부(76)에의 걸어맞춤을 해제시킨 후, 이 회전운동 규제막대(74)의 하단부를 걸어맞춤홈부(75)를 따라서 앞쪽으로 미끄럼운동시켜, 이 회전운동 규제막대(74)를 좌판플레이트(47)의 하단부에 수용시키고, 연이어 작동하여 좌판플레이트(47)의 손잡이(56)를 파지하여 운전석(44)의 좌판부(45)를 아래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킴과 동시에,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 갈고리부(66)를 걸어맞춤편부(61)의 걸어맞춤구멍부(62)에 걸어맞춤시킨다.
이 때, 걸어맞춤편부(61)에 대한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이 불완전한 반(半)자물쇠 상태이더라도, 운전석(44)의 좌판부(45)에의 오퍼레이터의 착석에 의해,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 갈고리부(66)에 설치한 경사면부(67)에 의한 힘의 분산에 의해서, 걸어맞춤 갈고리부(66)를 걸어맞춤편부(61)로부터 일단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복귀 동작하여,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 갈고리부(66)가 걸어맞춤편부(61)의 걸어맞춤구멍부(62)에 확실하게 걸어맞춤한다.
따라서, 이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 갈고리부(66)가 걸어맞춤편부(61)의 걸어맞춤구멍부(62)에 확실하게 걸어맞춤하지 않는 상태, 즉 반자물쇠 상태의 발생 등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잠금기구(71)의 회전운동부(72)에 키를 삽입하여, 이 키를 사용하여 회전운동부(72)를 통하여 회전운동편부(73)를 노브(69)측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이 노브(69)의 이동을 고정하여, 자물쇠몸체(63)에 의한 걸어맞춤편부(61)의 걸어맞춤을 해제불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부 선회체(5)상의 운전석 (44)에서 일어선 오퍼레이터가, 이 운전석(44)의 좌판부(45)의 손잡이(56)를 파지하여, 이 좌판부(45)의 전단부를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이 좌판부(45)의 뒤쪽에 위치한 축부재(54)를 회전운동 중심으로 하여, 이 좌판부(45)가 좌석용 프레임(25)의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되어,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가 개구된다.
따라서,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앞에 선 오퍼레이터 등의 작업자에 의해, 운전석(44)의 좌판부(45)를 회전운동시켜서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를 개구할 수 있는 동시에, 회전운동시킨 운전석(44)이 방해가 되는 일 없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내에 있어서의 좌석용 프레임(25)의 앞쪽, 뒤쪽 및 옆쪽의 각각으로부터의 억세스가 용이하지 않은 스타터 모터(34)나 발전기(35), 엔진(33)의 오일주입부(51) 등의 억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공간(32)에 수용되어, 이 좌석용 프레임 (25)의 앞쪽, 뒤쪽 및 옆쪽으로부터의 억세스가 용이하지 않은 스타터모터(34)나 발전기(35), 엔진(33)의 오일주입부(51) 등의 점검이나, 수리 혹은 교환 등의 보수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오일주입부(51)로부터의 엔진오일의 주입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석(44)의 좌판부(45)의 후단부에 부착한 힌지연결편(52)과, 좌석용 프레임(25)의 후단부에 부착한 힌지부착편(53)과의 각각을, 굴곡한 평판형상으로 하여, 이들 힌지연결편(52) 및 힌지부착편(53) 각각의 선단부를, 좌석용 프레임 (25) 및 좌판부(45) 각각의 후단부보다도 뒤쪽의 위쪽으로 향하여 돌출시켰다.
이 결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힌지연결편(52) 및 힌지부착편(53) 사이에 부착한 축부재(54)를 회전운동 중심으로 하여, 운전석(44)의 좌판부(45)를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이 좌판부(45)를 보다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의 뒤쪽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의 위쪽을 보다 확실히 개방할 수 있으므로, 이 상부 개구부(48)로부터의 좌석용 프레임(25)내의 보수관리작업 등을 보다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석(44)의 좌판부(45)를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켜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를 개구시킨 상태에서, 좌판부(45)의 하단면에 부착한 회전운동 규제막대(74)의 하단부를 좌석용 프레임(25)의 걸어맞춤홈부(75)를 따라 뒤쪽으로 미끄럼운동시켜, 이 회전운동 규제막대(74)의 하단부를 위치결정홈부(76)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이 회전운동규제막대(74)가 버팀목으로서 작용하여, 좌석용 프레임(25)에 대한 좌판부(45)의 회전운동이 고정되어 유지된다.
이 때문에, 이 좌판부(45)를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킨 상태에서,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내의 스타터모터(34)나 발전기(35)등을 보수·관리할때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좌판부(45)의 스스로의 무게 등에 의한 잘못된 이 좌판부(45)의 회전운동이나, 이 좌판부(45)에 작업자 등이 접촉하였을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이 좌판부(45)의 회전운동 등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57)에 의해 뒤쪽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고정된 운전석(44)의 좌판플레이트(47)의 하단면의 앞쪽에 자물쇠몸체(63)를 부착하는 동시에, 이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 갈고리부(66)가 걸거나 벗길 수 있게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구멍부(62)가 형성된 걸어맞춤편부(61)를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단면의 앞쪽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를 좌판플레이트(47)로 덮었을 때에,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 갈고리부(66)가 걸어맞춤편부(61)의 걸어맞춤구멍부(62)에 걸거나 벗길 수 있게 걸어맞춤하기 때문에, 이 좌판플레이트(47)로써 상부 개구부(48)를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좌석용 프레임(25)의 공간(32)에 수용된, 주로 스타터모터(34)나 발전기(35) 등의 보수관리가 가능하고,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공간에 수용된 엔진 (33)의 오일주입부(51)로부터 엔진오일의 주입 등이 가능한 개폐가능한 좌석용 프레임(25)이더라도,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상측부에 운전석(44)의 좌판부(45)를 확실히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좌판부(45)의 안정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즉, 힌지(57)와 걸어맞춤편부(61) 및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운전석(44)의 앞뒤를 구속시켰기 때문에, 유압쇼벨(1)의 주행시에 있어서의 충격 등에 의해 좌판부(45)가 좌석용 프레임(25)에 대하여 진동하지 않게 되는 동시에,이 좌판부(45)에 앉아 작업하는 오퍼레이터의 자세, 특히 앞으로 쪼그리고 앉더라도, 이 좌판부(45)가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이 좌판부(45)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작업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단면 뒤쪽과 좌판플레이트(47)의 하단면 뒤쪽과의 사이에 힌지(57)를 부착하여, 이 힌지(57)에서 좌판부(45)의 뒤쪽을 중심으로 이 좌판부(45)를 좌석용 프레임(25)의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앞쪽에 선 오퍼레이터에 의해, 좌판부(45)의 손잡이 (56)를 파지하여, 이 좌판부(45)를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할 수 있고, 이 회전운동시킨 좌판부(45)가 방해되는 일 없이, 좌석용 프레임(25)의 공간(32)에 수용한 것의 점검이나 보수관리 등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좌판부(45)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중심이 뒤쪽으로 향하여 이동하였을 때에 생길 수 있는 이 좌판부(45)의 뒤쪽으로의 회전운동을 걸어맞춤편부(61)에의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에 의해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 좌판부(45)에 앉아 작업하는 오퍼레이터의 안정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자물쇠몸체(63)의 기단부에 연결편부(68)를 통하여 노브(69)를 부착하고, 이 노브(69)의 조작에 의해 자물쇠몸체(63)를 스프링에 저항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이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 갈고리부(66)에 의한 걸어맞춤편부(61)의 걸어맞춤구멍부(62)에의 걸어맞춤을 해제조작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를 덮은 좌판부(45)를 회전운동시켜, 이 좌석용 프레임 (25)의 상부 개구부(48)를 개구시킬 때의 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할 수있다.
또한, 좌석용 프레임(25)의 앞쪽 상단부에 잠금기구(71)를 설치하고, 이 잠금기구(71)의 회전운동부(72)에 키를 삽입하여, 이 회전운동부(72)와 동시에 회전운동편부(73)를 회전운동시켜, 이 회전운동편부(73)를 노브(69)에 접촉시킴으로써, 자물쇠몸체(63)에 의한 걸어맞춤편부(61)에의 걸어맞춤 상태를 고정시켜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잠금기구(71)의 회전운동부(72)에 삽입시킨 키에 의해 회전운동편부(73)를 회전운동부(72)와 동시에 반전시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노브(69)를 조작할 수 있게 하여 자물쇠몸체(63)에 의한 걸어맞춤편부(61)에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기구(71)에서 자물쇠몸체(63)에 의한 걸어맞춤편부(61)에의 걸어맞춤을 고정시킴으로써, 좌판부(45)의 좌판플레이트(47)로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를 덮은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좌판부(45)에 앉아 작업하는 오퍼레이터의 안정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잘못된 조작에 의한 걸어맞춤편부(61)에의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의 해제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좌석용 프레임(25) 안에 수용된 엔진(33) 등의 수용물의 도난이나, 장난 등을 목적으로 한 좌판부(45)의 회전운동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자물쇠몸체(63)에 의한 걸어맞춤편부(61)에의 걸어맞춤이 유압쇼벨(1)의 작동시에 진동 등에 의해서 해제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이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 갈고리부(66)의 하단측에 경사면부(67)를 설치하여, 이 걸어맞춤 갈고리부(66)의 하단측을 끝이 가는 형상이 되도록 위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하는 동시에, 이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 갈고리부(66)를 자물쇠유지체(64)내의 스프링에 의해 앞끝단측을 향하여 힘을 가하게 하였기 때문에, 운전석(44)에의 오퍼레이터의 착석에 의해, 이 걸어맞춤 갈고리부(66)의 경사면부(67)에 의한 힘의 분산에 의해, 이 걸어맞춤 갈고리부(66)를 걸어맞춤부(61)로부터 일단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복귀 동작시켜, 이 걸어맞춤 갈고리부(66)를 걸어맞춤편부(61)의 걸어맞춤구멍부(62)에 확실하게 걸어맞춤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전석(44)의 좌판부(45)를 회전운동시켜, 이 좌판부(45)에서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를 덮을 때에, 이 운전석(44)의 좌판부(45)에의 오퍼레이터의 착석 등에 의해서, 이 운전석(44)의 좌판부(45)에 오퍼레이터의 체중을 작용시킴으로써,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 갈고리부(66)가 걸어맞춤편부(61)의 걸어맞춤구멍부(62)에 확실하게 걸어맞춤하지 않는 상태, 즉 반자물쇠 상태의 발생 등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운전석(44)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작업시의 안정성을 보다 확실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운전석(44)에서의 안정성은 오퍼레이터의 조작성의 향상으로 이어져서, 유압쇼벨(1)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운전석(44)의 좌판부(45)를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켜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를 개구시킨 상태에서, 좌판부(45)의 하단면에 부착한 회전운동 규제막대(74)의 하단부를 좌석용 프레임(25)의 걸어맞춤홈부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이 회전운동 규제막대(74)가 버팀목으로서 작용하여, 좌석용 프레임(25)에 대한 좌판부(45)의 회전운동을 고정시켜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좌판부(45)를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킨 상태에서,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내의 스타터모터(34)나 발전기(35) 등을 보수·관리할 때에 생길 우려가 있는, 좌판부(45)의 스스로의 무게 등에 의한 잘못된 이 좌판부(45)의 회전운동이나, 이 좌판부(45)에 작업자 등이 접촉하였을 때에 생길 수 있는 이 좌판부(45)의 회전운동 등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전석(44)의 좌판부(45)의 후단부에 부착한 힌지연결편(52)과, 좌석용 프레임(25)의 후단부에 부착한 힌지부착편(53)과의 각각을, 좌석용 프레임(25) 및 좌판부(45) 각각의 후단부보다도 뒤쪽의 위쪽을 향하여 돌출시켰기 때문에,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힌지연결편(52) 및 힌지부착편(53) 사이에 부착한 힌지(57)의 축부재(54)를 회전운동 중심으로 하여, 운전석(44)의 좌판부(45)를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킬 때에, 이 좌판부(45)를 보다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의 뒤쪽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상부 개구부(48)의 위쪽을 보다 확실히 개방할 수 있으므로, 이 상부 개구부(48)로부터의 좌석용 프레임(25)내의 보수관리작업 등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할 수 있다.
또, 상기 일 실시형태에서는, 좌석용 프레임(25)의 상측부에 걸어맞춤편부 (61)를 부착하여, 이 걸어맞춤편부(61)의 걸어맞춤구멍부(62)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갈고리부(66)를 갖는 자물쇠몸체(63)를 좌판플레이트(47)의 하측부에 부착하였지만, 이 자물쇠몸체(63)를 좌석용 프레임(25)의 하측부에 부착하여, 이 자물쇠몸체(63)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편부(61)를 좌판플레이트(47)의 하측부에 부착하더라도, 상기 일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이 자물쇠몸체(63)를 좌석용 프레임(25)의 상측부에 부착한 경우에는, 이 자물쇠몸체(63)의 걸어맞춤 갈고리부(66)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편부(61)에 대향한 측, 즉 상단측에 끝이 가는 형상의 경사면부(67)를 설치함으로써, 운전석 (44)의 좌판부(45)에의 오퍼레이터의 착석 등에 의해서, 걸어맞춤편부(61)로의 자물쇠몸체(63)에 의한 반자물쇠 상태의 발생 등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석용 프레임(25)상의 운전석(44)의 좌판부(45)에, 이 좌판부(65)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등을 기대게 되는 등받이부(46)를 각도조정 가능하게 부착하였지만, 이 등받이부가 없는 운전석이나, 좌판부와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어 앞뒤로 조절이 불가능한 운전석, 이 등받이부가 좌판부와는 별개로 구성되어 이 등받이부가 상부 선회체에 고정된 운전석 등이더라도 상기 일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상측부에서의 오른쪽의 약 3분의 2를 상부 개구부(48)로서 개구시켰지만,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상측부에서의 적어도 일부가 상부 개구부(48)에 의해 개구되어, 이 상부개구부(48)를 운전석(44)의 좌판부(45)의 좌판플레이트(47)로 덮는 것에 의해, 이 상부 개구부 (48)가 폐쇄되면, 상기 일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약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의 틀체(26)의 각 각부에 막대형상의 다리부(27)를 서로 평행하게 부착하여 좌석용 프레임(25)으로 하여, 이 좌석용 프레임 (25)안의 공간(32)을 개구하는 상부 개구부(48)를 좌석용 프레임(25)의 상측부에 설치하였지만, 이 좌석용 프레임(25)를 ㄷ자 형상으로 하여, 이 ㄷ자 형상의 좌석용 프레임(25)과,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뒤쪽에 위치하여 상부 선회체(5)의 상측부보다도 돌출한 동력장치수용부(24) 등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32)의 상측부를 좌판부(45)로 개폐 가능하게 폐쇄하더라도, 이 좌판부(45)를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좌석용 프레임(25)과 동력장치수용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32)을 개구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좌석용 프레임(25)의 안쪽의 보수관리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좌석 및 이 좌석을 구비한 작업기계는, 예를 들면 유압쇼벨 등으로서 널리 이용된다.

Claims (11)

  1. 공간을 갖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상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좌판부와,
    이 좌판부의 하측부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부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자물쇠몸체와,
    이 자물쇠몸체에 대향하는 상기 좌판부의 하측부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부 중 어느 다른 쪽에 설치되고, 상기 좌판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측부의 안쪽의 적어도 일부를 덮었을 때에 상기 자물쇠몸체에 걸거나 벗길 수 있게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좌석.
  2. 제 1 항에 있어서, 좌판부의 뒤쪽을 중심으로, 이 좌판부를 프레임의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를 구비하여,
    자물쇠몸체 및 걸어맞춤부는, 좌판부의 하측부 및 프레임의 상측부 중 어느 하나의 옆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좌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자물쇠몸체에 의한 걸어맞춤부에의 걸어맞춤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좌석.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물쇠몸체는, 걸어맞춤부에대향한 측에 앞끝단측을 향하여 끝이 가는 형상으로 경사진 경사면부가 형성된 걸어맞춤 갈고리부를 갖고,
    상기 자물쇠몸체를 이동가능하게 유지한 자물쇠유지체와,
    이 자물쇠유지체내에 수용되어, 상기 걸어맞춤 갈고리부를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하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힘을 가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좌석.
  5. 제 4 항에 있어서, 자물쇠몸체는, 걸어맞춤 갈고리부를 힘을 가하는 수단에 저항하여 걸어맞춤부로부터 걸어맞춤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조작하는 조작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6. 작업기계 본체상에 부착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상에 지지되어 이 프레임의 상측부의 안쪽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좌판부와,
    이 좌판부의 뒤쪽을 중심으로 이 좌판부를 상기 프레임의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좌석.
  7. 제 6 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내부에 공간을 갖고 상측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좌판부는, 상기 프레임상에 지지되어 이 프레임의 개구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 좌석.
  8. 제 7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공간에는, 엔진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좌석.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판부를 상기 프레임의 뒤쪽을 향하여 회전운동시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해제 가능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좌석.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판부를 프레임에 걸거나 벗길 수 있게 걸어맞춤시켜, 이 프레임의 상측부를 상기 좌판부에서 덮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자물쇠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좌석.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업기계본체와,
    이 작업기계 본체상에 부착한 좌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작업기계.
KR10-2004-7007795A 2002-10-18 2003-10-16 좌석 및 이를 구비한 작업기계 KR200400834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05016A JP4025618B2 (ja) 2002-10-18 2002-10-18 座席およびそ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JP-P-2002-00305016 2002-10-18
JP2002306342A JP2004142484A (ja) 2002-10-21 2002-10-21 座席およびそ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JP-P-2002-00306342 2002-10-21
PCT/JP2003/013247 WO2004040070A1 (ja) 2002-10-18 2003-10-16 座席およびそれを備えた作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415A true KR20040083415A (ko) 2004-10-01

Family

ID=3223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795A KR20040083415A (ko) 2002-10-18 2003-10-16 좌석 및 이를 구비한 작업기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571266A4 (ko)
KR (1) KR20040083415A (ko)
CN (1) CN1585847A (ko)
WO (1) WO20040400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0248B2 (ja) * 2010-03-09 2013-04-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油圧配管の支持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DE102021122292B3 (de) * 2021-08-27 2022-09-22 elobau GmbH & Co.KG Bedienelement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Bedien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5695A (en) * 1980-10-20 1982-10-26 Towmotor Corporation Article restraining device
US4785900A (en) * 1987-12-17 1988-11-22 Caterpillar Industrial Inc. Vehicle compartment closure arrangement
JPH0430149U (ko) * 1990-07-02 1992-03-11
JP3294086B2 (ja) * 1995-11-10 2002-06-17 株式会社クボタ バックホウ
JP3674797B2 (ja) * 1996-05-07 2005-07-20 小松ゼノア株式会社 油圧ショベルにおける上部旋回体の機器取付構造
JP2002020085A (ja) * 2000-07-05 2002-01-23 Toyota Industries Corp フォークリフトのフード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85847A (zh) 2005-02-23
EP1571266A1 (en) 2005-09-07
EP1571266A4 (en) 2006-05-10
WO2004040070A1 (ja)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479B2 (en) Releasable door hinge
JPH10118991A (ja) 油圧作動装置
US9359800B2 (en) Hood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zero tail type construction machinery
US8360483B2 (en) Door lock for doors of aircraft, especially of helicopters
JP2022520228A (ja) ロック装置及び車両シート
KR20040083415A (ko) 좌석 및 이를 구비한 작업기계
CN105849346B (zh) 带尾门的车辆
JP3858789B2 (ja) 建設機械のドアロック装置
JP4025618B2 (ja) 座席およびそれを備えた作業機械
US20200062316A1 (en) Tractor
JP2004142484A (ja) 座席およびそ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6681362B2 (ja) 車両
JP5232572B2 (ja) スキッドステアローダのアーム降下防止装置
JP3512287B2 (ja) 起倒式手摺のロック装置
JP2008011930A (ja) 建設機械のアームレスト
JP6985078B2 (ja) 作業車両
JP3703090B2 (ja) クイックカプラ
JP3141545U (ja) ランナーユニット
JP7289897B2 (ja) 作業車両
JP2001163268A (ja) エンジン搭載機器の外装カバー装置
JPWO2018012047A1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2003328396A (ja) 建設機械のガード固定装置
JP2005307560A (ja) 旋回作業機のウエイト
JPH033647Y2 (ko)
JP2004042779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ドアのロック解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