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160A -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화상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화상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160A
KR20040081160A KR10-2004-7011801A KR20047011801A KR20040081160A KR 20040081160 A KR20040081160 A KR 20040081160A KR 20047011801 A KR20047011801 A KR 20047011801A KR 20040081160 A KR20040081160 A KR 20040081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layer
display sheet
rewritable thin
transpar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지마오사무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마지마 겐뀨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마지마 겐뀨죠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마지마 겐뀨죠
Publication of KR20040081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16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a polymeric layer, which may be particulate and which is deformed or structurally changed with modification of its' properties, e.g. of its' optical hydrophobic-hydrophilic, solubility or permeability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a polymeric layer, which may be particulate and which is deformed or structurally changed with modification of its' properties, e.g. of its' optical hydrophobic-hydrophilic, solubility or permeability properties
    • B41M5/361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a polymeric layer, which may be particulate and which is deformed or structurally changed with modification of its' properties, e.g. of its' optical hydrophobic-hydrophilic, solubility or permeability properties using a polymeric matrix with inorganic particles forming an image by orientation or agglom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85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magnetic components in the transfer in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 G02F1/09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based on magnetophoretic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Y10T428/24876Intermediate layer contains particulate material [e.g., pigmen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Y10T428/24884Translucent layer comprises natural oil, wax, resin, gum, glue, gelat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9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9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 Y10T428/24901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including coloring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10T428/257Iron oxide or aluminum 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01Of wax or waxy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2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of inorganic material having metal-compound-containing layer and having defined magnetic layer
    • Y10T428/325Magnetic layer next to second metal compound-containing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매우 간단한 구성이면서 재기록 가능한 상태에서 확실하게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발열층(12)과 투명층(14) 사이에 자성분(16)을 분산시킨 저융점 왁스(18)를 협지하고, 발열층(12)에 의해 이 저융점 왁스(18)의 화상 표시의 화소에 상당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동시에, 이 용융 부분의 자성분(16)을 투명층(14)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투명층(14) 상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Description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 {REWRITABLE THIN IMAGE DISPLAY SHEET, IMAGE DISPLAY, AND IMAGE DISPLAY SYSTEM}
종래부터 자성분의 이동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는 알려져 있고, 벌집형 구조의 셀 중에 백색의 액체에 흑색의 자성분을 혼합한 것을 넣고, 자기 펜 또는 자기 헤드로 문자 또는 도형 등의 화상을 일방향으로 흡입한 자성분으로 표시하는 시스템으로, 화이트 보드의 대신으로서 이미 도입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페이퍼 라이크 디스플레이(전자 페이퍼라고도 불리움)로서는, 마이크로 캡슐화한 셀을 PET 필름 상에 바인더를 거쳐서 도포한 구성을 채용하여 자기 펜 등으로 마이크로 캡슐 내의 자성분을 이동시켜 문자 등의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하고 있다.
모두 종래 장치는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하므로, 보수성도 좋고, 또한 완구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박형 표시 시트에 있어서는, 이하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1) 자기 헤드, 자기 펜의 자기 다이폴 중 한 쪽을 이용하므로, 자력을 좁은 범위로 포커스시키기 곤란하고, 이 결과, 해상도가 낮은 것으로밖에 할 수 없다.
(2) 좁은 범위에서 단시간에 강자계를 집중시키는 것이 곤란하므로, 벌집형 셀, 마이크로 캡슐의 벽면에 자성분을 밀착시키는 것이 어려워 콘트라스트레시오를 얻을 수 없다.
(3) 백색 액체에 현탁한 자성분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서서히 자성분이 이동하여 표시 화상 및 문자의 보존성이 나쁘다.
(4) 다이폴인 자계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크로스 토오크가 커 문자 등의 엣지부의 표현이 극도로 나빠진다.
(5) 벌집형 셀, 마이크로 캡슐의 결합부가 반드시 생기므로, 섀도우부의 농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 농도를 올릴 수 없다.
(6) 벌집형 셀, 마이크로 캡슐의 크기에 제한이 있어 이 이상으로 해상도를 올릴 수 없다.
(7) 벌집형 셀, 마이크로 캡슐의 크기에 제한이 있어 시트의 두께를 그다지 얇게 할 수 없다.
(8) 벌집형 셀,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 공정이 단순 코팅 작업에 비교하여 복잡해 고비용이 되기 쉽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매우 간단한 구성이면서 재기록 가능한 상태에서 확실하게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우 간단한 구성이면서 해상도를 향상시킨 상태에서 화상을 확실하게 표시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우 간단한 구성이면서, 두께를 매우 얇게 하면서 화상을 확실하게 표시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우 간단한 구성이면서 해조성을 표현한 상태에서 화상을 확실하게 표시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재기록 가능한 상태에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이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에 화상을 재기록 가능한 상태에서 기입시키기 위한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하는 화상 표시 시트를 이것에 있어서의 저융점 왁스의 화소에 대응하는 부분이 선택적으로 용융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하는 화상 표시 시트를 흑색 자성분이 투명층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1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2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3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4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5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의 제6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의 제7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의 제8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2는 자성체의 구성을 확대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3은 도12에 도시하는 구성과는 다른 자성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1의 기재에 따르면, 베이스층과, 이 베이스층과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된 투명층과, 상기 베이스층과 투명층 사이에 충전되어 자성분이 분산된 매체이며, 상기 자성분의 이동이 허용되는 제1 상 및 상기 자성분의 이동이 금지되는 제2 상 사이에서 상 변화 가능한 매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2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매체는 고온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을 나타내고, 저온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을 나타내는 저온 용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3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층은 소정의 전기 저항치를 갖는 저항층과, 이 저항층의 상기 투명층측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된 전극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4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전극층은 베타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5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층은 소정의 전기 저항치를 갖는 저항층과, 이 저항층의 양면을 각각 덮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전극층을 구비하고, 각 전극층은 서로의 교점이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매트릭스형의 통전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양 통전 패턴의 선택된 교점 사이에서 규정되는 상기 저항층의 부분에 통전하여 상기 저항층의 통전 부분을 선택적으로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6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저항층은 카본이 분산되어 소정 저항치로 조정되고, 통전에 의해 발열하도록 형성된 합성 수지제 시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7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카본은 카본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8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카본은 나노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9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전극층은 금속제 전극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10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금속제 전극은 니켈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11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층과 투명층 사이는 스페이서에 의해 그 간극이 확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12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는 비드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13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의 입경은 상기 자성분의 입경의 적어도 5배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14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층은 투명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15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자성분은 임의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16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저온 용융체는 60 내지 120 ℃의 온도 범위에서 용융하는 저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17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저온 용융체는 백색으로 착색되고, 상기 자성분은 백색 이외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18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자성분은 흑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19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투명층은 투명 수지제의 필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20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투명층은 투명 수지제의 필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21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투명층은 가요성을 갖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22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층과 투명층은 모두 가요성을 갖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23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자성분은 중심핵 자성체와, 이 중심핵 자성체의 외주를 덮도록 배치된 수지제 코팅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24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중심핵 자성체는 구형 소결 페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25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중심핵 자성체는 바인더로 고체화된 미분말 페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26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중심핵 자성체는 입자형 소결 페라이트를 구형으로 통합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27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중심핵 자성체는 결정 페라이트를 구형으로 통합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28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수지제 코팅층이 임의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29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수지제 코팅층은 솔리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30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수지제 코팅층은 발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31의 기재에 따르면, 제1 투명층과, 이 제1 투명층과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된 제2 투명층과, 이들 제1 및 제2 투명층 사이에 개재 설치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발열 가능하게 구성된 중간 발열층과, 이 중간 발열층과 제1 투명층 사이에 충전되어 자성분이 분산된 제1 저온 용융체와, 상기 중간 발열층과 제2 투명층 사이에 충전되어 자성분이 분산된 제2 저온 용융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32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제1 투명층과 상기 중간 발열층 사이 및 상기 제2 투명층과 상기 중간 발열층 사이는 스페이서에 의해 각각의 간극이 확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33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는 비드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34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의 입경은 상기 자성분의 입경의 적어도 5배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35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자성분은 임의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36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저온 용융체는 60 내지 120 ℃의 온도 범위에서 용융하는 저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37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저온 용융체는 백색으로 착색되고, 상기 자성분은 백색 이외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38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자성분은 흑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39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투명층은 각각 투명 수지제의 필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40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투명층은 각각 가요성을 갖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41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자성분은 중심핵 자성체와, 이 중심핵 자성체의 외주를 덮도록 배치된 수지제 코팅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42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중심핵 자성체는 구형 소결 페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43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중심핵 자성체는 바인더로 고체화된 미분말 페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44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중심핵 자성체는 입자형 소결 페라이트를 구형으로 통합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45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중심핵 자성체는 결정 페라이트를 구형으로 통합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46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수지제 코팅층이 임의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47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수지제 코팅층은 솔리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는 청구항 48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수지제 코팅층은 발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49의 기재에 따르면, 베이스층과, 이 베이스층과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된 투명층과, 상기 베이스층과 투명층 사이에 충전되고, 자성분이 분산되어 상기 자성분의 이동이 허용되는 제1 상 및 상기 자성분의 이동이 금지되는 제2 상 사이에서 상 변화 가능한 매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시트에 재기록 가능한 상태에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 표시 장치이며, 상기 화상 표시 시트의 상기 매체에 있어서 화소에 상당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상으로부터 상기 제1 상으로 상 변화시키는 상 변화 수단과, 상기 제1 상으로 상 변화된 부분의 매체에 분산된 상기 자성분을 상기 투명층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상 변화된 부분의 매체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까지 이동된 상기 자성분에 의해, 상기 화상 표시 시트 상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50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매체는 고온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으로서의 액상을 나타내고, 저온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으로서의 고체상을 나타내는 저온 용융체이고, 상기 상 변화 수단은 상기 매체를 상기 고온까지 가열하는 가열 용융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51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층은 소정의 전기 저항치를 갖는 저항층과, 이 저항층의 상기 투명층측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된 전극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52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전극층은 베타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53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가열 용융 수단은 상기 저항층의 임의로 선택된 부분에 통전시킴으로써 그 통전 부분을 선택적으로 발열시키는 통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54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통전 수단은 통전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층의 상기 통전 헤드가 접촉한 부분과 상기 전극층 사이에 통전하여 상기 저항층의 통전 부분을 선택적으로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55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층은 소정의 전기 저항치를 갖는 저항층과, 이 저항층의 양면을 각각 덮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전극층을 구비하고, 각 전극층은 서로의 교점이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매트릭스형의 통전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화소에 상당하는 부분을 상기 양 통전 패턴의 선택된 각 교점에서 규정하고, 양 교점 사이에 협지된 상기 저항층의 부분에 통전하여 상기 저항층의 통전 부분을 선택적으로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56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이동 수단은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성분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57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이동 수단은 상기 투명층측에 배치된 영구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58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투명층측에 배치된 전자석을 갖는 자기 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59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전자석은 통전 전류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자력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60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가열 용융 수단은 상기 베이스층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투명층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사이에 상기 저온 용융체를 협지하여 상기 가열 용융 수단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61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투명층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62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층은 투명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63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용융된 저온 용융체를 냉각하여 고체화시키기 위한 냉각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64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이동 수단에 인접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65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투명층에 접촉 가능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66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화상 표시 시트에 표시된 화상을 소거하기 위한 화상 소거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67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화상 소거 수단은 상기 베이스층측에 배치된 자기 소거 헤드와, 상기 투명층측에 배치된 선택 소거 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68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선택 소거 헤드는 상기 자기 소거 헤드와 동기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69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선택 소거 헤드는 적외 램프와, 이 적외 램프로부터 방출된 광열을 상기 화상 표시 시트에 반사시키는 반사 거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70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반사 거울은 포물면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71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반사 거울은 타원면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72의 기재에 따르면, 선택 소거 헤드는 상기 화상 표시 시트에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73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가열 용융 수단은 레이저광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74의 기재에 따르면, 제1 투명층과, 이 제1 투명층과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된 제2 투명층과, 이들 제1 및 제2 투명층 사이에 개재 설치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발열 가능하게 구성된 중간 발열층과, 이 중간 발열층과 제1 투명층 사이에 충전되어 자성분이 분산된 제1 저온 용융체와, 상기 중간 발열층과 제2 투명층 사이에 충전되어 자성분이 분산된 제2 저온 용융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시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면에 재기록 가능한 상태에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 표시 장치이며, 상기 화상 표시 시트의 상기 중간 발열층에 있어서 화소에 상당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제1 저온 용융체를 용융시키는 가열 용융 수단과, 이 용융 부분에 분산된 상기 자성분을 상기 제1 투명층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용융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층까지 이동된 상기 자성분에 의해 상기 화상 표시 시트의 상기 제1 투명층 상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75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이동 수단은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성분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76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제2 투명층측에 배치된 영구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77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제2 투명층측에 배치된 전자석을 갖는 자기 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78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전자석은 통전 전류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자력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79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제2 투명층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80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용융된 저온 용융체를 냉각하여 고체화시키기 위한 냉각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81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냉각 수단은 사이에 상기 화상 표시 시트를 거쳐서 상기 이동 수단에 대향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청구항 82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냉각 수단은 상기 투명층에 접촉 가능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청구항 83의 기재에 따르면,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발열층과 투명층 사이에 자성분을 분산시킨 저온 용융체를 협지하고, 상기 발열층에 의해 이 저온 용융체의 화상 표시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동시에, 이 용융 부분의 상기 자성분을 상기 투명층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투명층 상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청구항 84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용융 부분의 상기 자성분은 자력에 의해 상기 투명층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청구항 85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발열층은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저항층을 구비하고, 상기 저온 용융체의 화상 표시부의 화소에 상당하는 부분은 상기 저항층에 의해 가열되어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청구항 86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용융 부분은 상기 자성분의 이동에 의해 화상이 표시된 후, 냉각되어 상기 화상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청구항 87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화상은 상기 저온 용융체를 부분적으로 가열하여 용융하고, 상기 자성분을 상기 베이스층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부분적으로 소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청구항 88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화상은 상기 저온 용융체를 전면적으로 가열하여 용융하고, 상기 자성분을 상기 베이스층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면적으로 소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의 일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이하, 단순히 표시 시트라 칭함)(10)는 기본 구조로서, 베이스층(12)과, 박형을 달성하기 위해 이 베이스층(12)과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된 투명층(14)과, 베이스층(12)과 투명층(14) 사이에 충전되고, 에멀젼 중합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된 자성분(16)이 균일하게 분산되고, 자성분(16)의 이동이 허용되는 제1 상 및 자성분(16)의 이동이 금지되는 제2 상 사이에서 상 변화 가능한 매체로서의 저온 용융체로서 저융점 왁스(18)로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층(12)은 소정의 전기 저항치를 갖는 저항층(12A)과, 이 저항층(12A)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된 전극층(1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저항층(12A)은 카본이 분산되어 소정 전기 저항치로 조정되고, 통전에 의해 발열하도록 형성된 폴리이미드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극층(12B)은 저항층(12A)의 내표면을 전면적으로 덮도록 피복된 니켈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저항층(12A)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카본 첨가 캐스트 성형 폴리이미드제 필름에 카본을 약 20 내지 30 % 정도 함유시키고, 전기 저항률로서 10 내지 300 Ωㆍcm로 조정된 것이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폴리이미드제 필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초산셀룰로오스나 폴리카보네이트제라도 좋다. 또한, 도전성을 담보하기 위해 카본을 함유시키도록 설명하였지만, 이 카본으로서는 나노 입자가 적합하고, 예를 들어 카본 나노 튜브나 카본 플라렌 등을 함유시키는 것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카본 나노 튜브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약 2 내지 5 %의 함유율이라도 상술한 전기 저항률을 달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전극층(12B)을 구성하는 니켈 전극은 무전해 도금이나 진공 증착이나 스패터링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저항층(12A)의 내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베이스층(12)과 투명층(14) 사이는 스페이서(20)에 의해 그 간극이 확보되어 있고, 서로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스페이서(20)는, 본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구형의 비드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세하게는 입자 직경이 중심치로서 10 ㎛ 전후(입도 분포로서 5 ㎛ 내지 15 ㎛)의 유리 비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유리 비드제의 스페이서(20)의 입경은 자성분(16)의 입경의 적어도 5배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스페이서(20)의 재료로서는 저융점 왁스(18)와의 비중 차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유리제 외에 합성 수지제, 예를 들어 디비닐ㆍ벤젠제의 비중 1.19의 것도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스페이서(20)의 혼입율은 5 내지 10 %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융점 왁스(18)는 60 내지 120 ℃의 온도 범위에서 용융하는 석유계 파라핀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백색 안료로부터 백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이 백색 안료로서는 고백색도를 갖는 고굴절률의 것이 적합하고, 구체적으로는 차폐성이 높은 재료, 예를 들어 TiO, SiO2, A12O3, ArO2, CaCO3등의 입자 직경 0.3 ㎛ 정도의 백색 분말로 구성되어 있고, 중량비 30 내지 50 % 정도 혼입되어 있다.
한편, 자성분(16)은 저융점 왁스(18)와 다른 색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본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흑색으로 착색된 페라이트 가루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자성분(16)으로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자 직경이 5 내지 10 ㎛ 정도인 산화철제의 것이 채용되어 있고, 그 구조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투명층(14)은, 본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내열 투명 합성 수지로서의 염화비닐리덴제의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이 투명층으로서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130 ℃ 정도의 내열성을 갖는 투명 필름으로 구성되어 저융점 왁스(18)와의 굴절률의 차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염화비닐리덴 외에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 수지,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초산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가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이 투명층(14)의 외표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반사 방지막이 코팅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베이스층(12)과 투명층(14)은 모두 가요성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시트(10)는 전체적으로 박형이고 가요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되어 페이퍼형의 구성을 달성하는 것으로, 종래의 페이퍼(종이)에 있어서 교관한 화상 표시 시트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표시 시트(10)를 이용하여 이 표시 시트(10)에 임의의 화상을 재기록 가능한 상태에서 표시시킬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30)(이하, 단순히 표시 장치라 칭함)의 구성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표시 장치(30)는 표시 시트(1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부착된 상태에서 표시 시트(10) 상에 임의의 화상이 재기록 가능한 상태에서 기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표시 시트(10)는 기입된 화상을 정착(고정)시킨 상태에서 이 표시 장치(30)로부터 제거하여 자유자재로 갖고 다니는 것이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이 표시 장치(30)는 부착된 표시 시트(10)의 베이스층(12)측에 배치되고, 베이스층(12)을 구성하는 저항층(12A)의 외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표시 시트(10)의 저융점 왁스(18)의 화상 표시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가열 용융 수단으로서의 통전 헤드(32)와, 표시 시트(10)의 투명층(14)측에 배치되고, 이 투명층(14)의 외면에 비접촉인 상태에서 근접하는 동시에, 통전 헤드(32) 사이에 표시 시트(10)를 협지한 상태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이 용융 부분의 흑색 자성분(16)을 투명층(14)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자기 헤드(34)와, 이 통전 헤드(32)와 자기 헤드(34)를 일체적으로 표시 시트(20)의 표면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주사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표시 장치(30)는 표시 시트(10)가 부착된 상태에서 베이스층(12)을 구성하는 전극층(12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주사 기구는,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지만, 통전 헤드(32) 및 자기 헤드(34)를 도면 중 좌우 방향에서 규정되는 부주사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종이면에 직행하는 방향에서 규정되는 주주사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전 헤드(32) 및 자기 헤드(34)는 표시 시트(10)를 전면에 걸쳐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환언하면, 통전 헤드(32)에 의해 용융된 저융점 왁스(18)의 용융 부분에 있어서 자기 헤드(34)에 의해 투명층(14)측으로 이동된 흑색 자성분(16)에 의해 표시 시트(10) 상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통전 헤드(32)는 베이스층(12)의 저항층(12A)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통전 전극(32A)과, 이 통전 전극(32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세라믹제의 전극 가드(32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통전 전극(32A)은, 도시한 바와 같이 침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저항층(12A)과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접촉 면적은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의 해상도와의 관련으로 규정되는 것이고, 본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해상도가 400 dpi인 경우에는 □60 ㎛가 되고, 1200 dpi인 경우에는 □20 ㎛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전 전극(32A)은 저항층(12A)과의 접촉부가 매우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에 통전된 경우에는 전극층(12B)과의 사이에서 전류 집중이 발생하고, 저항층(12A)에는 정확하게 통전 전극(32A)이 접촉하는 부위에 상당하는 영역밖에 통전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결과, 통전에 의해 저항층(12A)에 있어서 발열하는 부위는 통전 영역으로 한정되어 매우 좁은 범위가 된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저항층(12A)에 있어서 통전 전극(32A)과 접촉하는 부위에서 규정되는 통전 영역이 발열하게 되어 이 발열 영역에 인접하는 저융점 왁스(18)의 부분이 선택적으로 가열되어 용융되게 된다.
또한, 본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전 헤드(32)에 의한 상기 통전 동작에 의해 발열되는 저항층(12A)의 온도는 150 내지 200 ℃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저융점 왁스(18)의 융점은 60 내지 110 ℃의 범위에 있고, 따라서 통전 헤드(32)에 의한 통전 동작에 의해 이것과 접촉하는 부위에 상당하는 저융점 왁스(18)는 확실하게 용융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자기 헤드(34)는, 본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영구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술한 통전 헤드(32)에의 통전에 의해 가열 및 용융된 저융점 왁스(18)의 부분에 포함되는 흑색 자성분(16)은 이 영구 자석으로 구성되는 자기 헤드(34)의 자력에 의해 흡입되어 투명층(14)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결과, 투명층(14)의 내면까지 이동해 온 흑색 자성분(16)은 이 투명층(14)을 성기게 하여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의 1도트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화상 표시 장치(30)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시스템을 이하에 설명한다.
표시 시트(10)를 화상 표시 장치(30)에 부착하여 전극층(12B)을 도시하지 않은 접지 단자에 접속하면 화상 기입(재기록) 가능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통전 헤드(32) 및 자기 헤드(34)는 기입 개시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 기입 개시 위치로부터 소정의 주사 동작이 개작된다.
이 주사 동작이 개시되면, 통전 헤드(32) 및 자기 헤드(34)는 일체적으로 직선 이동이 개시되게 되지만,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의 단위 도트(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미칠 때마다 통전 헤드(32)의 통전 전극(32A)에 소정 시간만큼 통전되게 된다. 이 통전 동작에 의해, 통전 전극(32A)과 전극층(12B) 사이에 통전되게 되지만, 저항층(12A)에는 통전 전극(32A)과의 접촉 부위에 대응하는 저항층(12A)의 영역에만 통전되어 이 통전 영역만이 발열되게 된다.
이 결과, 저항층(12A)의 통전 영역이 발열 영역이 되고, 도2에 섀도우를 건 범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발열 영역에 대응하는 저융점 왁스(18)의 부분(18')이 이 열에 의해 용융되고, 이 저융점 왁스(18)의 용융 부분(18')에 포함되는 흑색 자성분(16)이 자기 헤드(34)와 일체로 이동하는 자기 헤드(34)의 자력에 의해 투명층(14)을 향해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한 흑색 자성분(16)은 투명층(14)의 내면에 집합하여 하나의 화소에 있어서의 흑점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화소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흑점의 정색 동작이 완료되지만, 이 후, 인접하는 다음 화소에 대응하는 부위에 통전 헤드(32) 및 자기 헤드(34)를 부주사 방향에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다음 화소에 있어서, 흑점의 정색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작이 마찬가지로 실시되게 된다. 한편, 다음 화소에 있어서, 흑점의 정색 동작을 행하지 않고, 바탕색으로서의 백색을 남겨 두는 경우에는, 아무런 통전 동작이 실행되지 않고, 또한 다음에 인접하는 화소에 대응하는 부위에 통전 헤드(32) 및 자기 헤드(34)를 이동한다.
이와 같이, 1 라인만큼의 표시 동작을 완료하면 통전 헤드(32) 및 자기 헤드를 본래의 개시 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시에, 주주사 방향에 따라서 1화소분만큼 이동시킨다. 그리고, 부주사 방향에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표시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표시 시트(10)의 전면에 걸쳐서 실행함으로써 표시 시트(10)의 전면에 걸쳐서 소정의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또한, 이미 소정의 화상이 표시된 표시 시트(10)에 있어서는 저항층(12A)의 전면에 걸쳐서 통전시켜 발열시키고, 저융점 왁스(18)를 전면에 걸쳐서 가열함으로써 용융시키고, 이와 같이 저융점 왁스(18)가 전면에 걸쳐서 용융하고 있는 동안에 베이스층(12)측에 배치한 영구 자석에 의해 흑색 자성분(16)을 베이스층(12)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모든 흑색 자성분(16)은 투명층(14)으로부터 제거되게 되고, 이 결과, 투명층(14)에는 아무런 화상도 표시되지 않게 된다. 즉, 이 표시 시트(10) 상의 화상은 소거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 및 동작에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양한 수치를 나타내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일예이고, 본 발명을 어떠한 것으로도 한정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성분은 흑색 자성분(16)으로 구성되도록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흑색 이외의 색을 나타내도록 구성해도 좋다. 요는, 착색 자성분의 색은 바탕색을 규정하는 저융점 왁스(18)와 다른 색을 나타내는 것이면 어떠한 색이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이스층(12)을 구성하는 전극층(12B)을 베타 전극으로 구성되도록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도4에 제1 변형예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층(12)을, 소정의 전기 저항치를 갖는 저항층(12A)과, 이 저항층(12A)의 양면을 각각 덮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전극층(12B, 12C)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각 전극층(12B, 12C)은 서로의 교점이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매트릭스형의 통전 패턴을 구비하고, 별도로 규정하는 제어 신호에 의해 화소에 대응하는 부분을 양 통전 패턴의 선택된 각 교점에서 규정하고, 이 선택된 양 교점 사이에 협지된 저항층(12A)의 부분에 통전하여 이 저항층(12A)의통전 부분을 선택적으로 발열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제1 변형예를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통전 헤드를 이용하여 이를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표시 시트(10)를 전면에 걸쳐서 주사하도록 하여 화상을 표시시키는 일 없이, 매트릭스형의 전극층(12B, 12C)을,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주사함으로써 표시 시트(10)의 전면에 걸쳐서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이스층(12)은 저항층(12A)과 전극층(12B)으로 구성되도록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도5에 제2 변형예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시트(10')에 있어서는 베이스층(12) 자신도 투명 시트로 구성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표시 장치(30)측에 저항층(12A) 및 전극층(12B)을 구비한 베이스층에 상당하는 발열 플레이트(40)를 구비해 둘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제2 변형예를 구성함으로써, 표시 시트(10')의 표리 어느 곳에도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한층 종이의 사용성에 근접할 수 있어 유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제2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트(10')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베이스층(12)에 상당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즉 저항층(12A) 및 전극층(12B)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구성이 간략화되는 동시에, 그 가요성이 상술한 실시예의 표시 시트(10)와 비교하여 더욱 부드러운 것이 되어 사용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이 제2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트(10')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상술한 발열 플레이트(40)에 한정되는 일 없이, 도시하지 않지만 주지의 서멀 헤드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후의 저융점 왁스(18)를 냉각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어 도6에 제3 변형예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30A)는 자기 헤드(34)의 부주사 방향에 관하여 상류측의 측면에 냉각 헤드(50)를 부착하고, 이 냉각 헤드(50)에 의해 용융된 저융점 왁스(18)를 단시간 내에 냉각하여 화상의 표시 상태를 정착(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제3 변형예에 있어서는, 냉각 헤드(50)는 수랭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면으로부터 규정되는 냉각면은 투명층(14)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기 헤드(34)는 영구 자석으로 구성되도록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도7에 제4 변형예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헤드(60)는 고투자율의 재료로 형성된 자심(60A)과, 이 자심(60A)의 주위에 권취된 코일(60B)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자기 헤드(60)로서는 영구 자석을 자심으로서 이용하고, 이 영구 자석의 주위에 코일을 권취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영구 자석에 의해 규정되는 자력을 코일에 통전함으로써 변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변형예를 구성함으로써, 코일(60B)에의 통전량을 제어함으로써 자성분(16)의 이동력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자성분(16)의 입경을 복수 종류로 정리함으로써, 예를 들어 약한 통전량에서는 입경이 큰 자성분(16)이 우선 투명층(14)을 향해 이동하고, 통전량이 증가될 때마다 차례로 입경이 작은 것이 투명층(14)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통전량을 제어함으로써 표시하는 화상의 계조성을 표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제4 변형예에 있어서, 자성분(16)의 색을 변화시켜 둠으로써, 통전량을 제어함으로써 표시하는 화상의 색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어 화상의 다색화(컬러화)가 달성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시트(10)의 한 쪽면에 화상이 표시되도록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어 도8에 제5 변형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에 화상이 표시되도록 구성해도 좋은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5 변형예에 관한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70)는 상술한 실시예의 베이스층(12)에 상당하는 위치에 하측의 투명층(72)과, 투명층(14)에 상당하는 위치에 상측의 투명층(74)을 구비하고, 상하의 투명층(74, 72) 사이에 상술한 제1 변형예에 있어서 구비한 베이스층(12)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중간 발열층(7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 발열층(76)과 하방의 투명층(72) 사이에는 자성분(16A)이 분산된 저융점 왁스(18A)가 충전되고, 또한 중간 발열층(76)과 상방의 투명층(74) 사이에도 자성분(16B)이 분산된 저융점 왁스(18B)가 충전되어 있다.
즉, 이 제5 변형예의 중간 발열층(76)에 있어서는 매트릭스형의 전극층(12B,12C)에 있어서 표시하고자 하는 화소에 대응한 위치가 서로 직교하는 전극선의 소정의 교점에 의해 규정되고, 이 교점 사이의 저항층(12A)의 부분에 핀 포인트에서 전류가 흐르고, 이 교점에 대응하는 저항층(12A)의 부분에서 발열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이 저항층(12A)의 발열 부분에 대응하는 상하의 저융점 왁스(18A, 18B)는 각각 용융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상 표시 시트(70)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화상 표시 장치(78)는 전극층(12B, 12C)과 접속되는 제어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동시에, 화상 표시 시트(70)의 하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냉각 헤드(80)를, 또한 화상 표시 시트(70)의 상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 수단으로서의 자기 헤드(82)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화상 표시 장치(78)에 있어서는 표시 시트(70)의 상측의 투명층(74)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중간 발열층(76)에 의해 소정의 화소에 대응한 부분이 통전되어 발열됨으로써 상측의 저융점 왁스(18B)와 함께 하측의 저융점 왁스(18A)도 용융되게 된다. 이 결과, 상측의 저융점 왁스(18B)에서 용융된 부분(18B')에 분산되어 있는 자성분(16B)은 자기 헤드(82)에 의해 상측의 투명층(74)까지 이동되게 되고, 이와 같이 하여 상측의 투명층(74)에 있어서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 발열층(76)의 발열에 의해 하측의 저융점 왁스(18A)도 용융되게 된다. 여기서, 가령 이 하측의 저융점 왁스(18A)에 분산되어 있는 자성분(16A)이 이미 화상 표시를 위해 하측의 투명층(72)까지 이동되어 있는상태가 상정되지만, 그 경우라도 이 용융 부분(18A')의 하측의 투명층(72) 근방의 부분은 냉각 헤드(80)에 의해 냉각되어 있으므로, 중간 발열층(76)에 의해 발열된 열은 하방의 투명층(72) 부근으로 이동된 자성분(16A) 주위의 저융점 왁스(18A)까지 미치지 못하게 된다.
이 결과, 하방의 투명층(72) 부근까지 이동되어 있고, 하방의 투명층(72)에 있어서 화상을 구성하고 있는 자성분(16A)은 자기 헤드(82)에 의해 중간 발열층(76)을 향해 이동되는 일 없이 하방의 투명층(72) 부근에 저류되게 된다. 즉, 하방의 투명층(72)에서 표시되어 있는 화상은 자기 헤드(82)에 의해 전혀 흐트러질 우려는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5 변형예를 구성함으로써 표시 시트(70)의 표리 어느 곳에서도, 또한 양면에 있어서 동시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한층 종이의 사용성에 근접할 수 있어 유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융점 왁스(18)는 석유 팔라듐 핀으로 구성되도록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어 융점이 73 ℃인 저융점 수지 폴리에스테르(PET)로 구성되도록 구성해도 좋고, PET와 상술한 석유 파라핀을 혼합하여 구성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열 수단으로서 저항층에 통전함으로써 발열시키는 기술을 이용하도록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서멀 헤드를 이용하여 발열시키는 것이나, 광흡수층을 갖는 시트에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미세하게 발열시키는 것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성분은 흑색으로 착색된 페라이트로 구성되도록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어 착색된 철분이라도 좋고, 산화 제1 철분으로 구성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특히, 산화 제1 철분의 경우에는 고유색으로서 흑색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흑색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착색할 필요는 없고, 바탕색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자성분을 자성 유체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페이서(20)로서 비드형의 것으로 구성되도록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어 원주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구성되도록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자성분(16)이 분산되는 매체(18)로서는 자성분(16)의 이동이 허용되는 제1 상 및 자성분(16)의 이동이 금지되는 제2 상 사이에서 상 변화 가능한 것이면 좋고, 고온에 있어서 제1 상을 나타내고, 저온에 있어서 제2 상을 나타내는 저온 용융체라도 좋다. 이 경우, 제1 상은 액상이고, 제2 상은 고체상이 된다. 이와 같은 매체로서는 저융점 왁스로 대표되는 저온 용융체 이외에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콜로이드나, 졸-겔 상 변화(빛ㆍ초음파ㆍ자기 진동ㆍ가열 전계ㆍ전해 등에 의한 유동화도 이용)를 이용한 한천, 젤라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 제2 철, 벤토나이트 등의 불안정 또는 준안정 겔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온 용융체로서 이용되는 저융점 왁스(18)를 석유계 파라핀으로 구성되도록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어 천연 납이나 카르나바 왁스(납)로 구성되도록 해도 좋은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냉각 헤드(50)를 수랭식으로 구성되도록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어 전동 팬을 이용한 강제 공랭식이나, 핀을 이용한 자연 공랭식이나 히트 파이프도 이용한 냉각 방식 등 다양한 냉각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제1 내지 제5 변형예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화상의 소거 수단에 대해서는 전혀 설명을 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30)는 화상 소거 기구를 구비하는 구조가 적합한 것은 물론이다. 이하의 변형예에 있어서, 화상 소거 기구(84)를 구비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즉, 도9에는 제6 변형예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30B)가 도시되어 있고, 상술한 화상 표시 장치(30)와 다른 점은 화상 소거 기구(84)를 구비하는 점과, 통전 헤드(32) 대신에 기입 및 소거 헤드(86)를 구비하는 점의 2점이다.
우선, 기입 및 소거 헤드(86)는 상술한 통전 헤드(32)보다도 조작 방향에 따라서 폭 넓게 구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서로 인접하는 스페이서(20)의 이격 거리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기입 및 소거 헤드(86)를 기입시나 소거시에 조작할 때에 베이스층(12)의 저항층(12A)에 강하게 압박하였다고 해도 반드시 적어도 1개의 스페이서(20)가 개재되는 상태가 달성되고, 베이스층(12)과 투명층(14) 사이의 간극이 확보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소위 아이론 효과가 발휘되고, 기입시나 소거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한 베이스층(12)의 변형이 가령 있었다고 해도 이 기입 및 소거 헤드(86)에 의해 강제적으로 눌려 넓어져, 평탄화되는 효과가 더욱 달성되게 된다.
또한, 이 기입 및 소거 헤드(86)는 이 조작 방향에 관하여 하류측에 상술한 통전 헤드(32)에 대응하는 기입 헤드부(86A)로서의 라인 전극 헤드를 구비하고, 중앙 부분에 라인 자기 소거 헤드(86B)를 구비하고, 상류측에는 상술한 실시예의 냉각 헤드(80)와 같은 냉각 헤드(86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라인 자기 소거 헤드(86B)의 표시 시트(10)측의 표면은 저마찰성의 단열 부재(86D)로 덮여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기입 및 소거 헤드(86)에 구비된 라인 자기 소거 헤드(86B)는 화상 소거 기구(84)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이 기입 및 소거 헤드(86)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에는 화상 소거 기구(84)의 다른 부를 구성하는 선택 소거 헤드(88)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선택 소거 헤드(88)는 적외 램프(88A)와, 이 적외 램프(88A)를 덮고, 이후부터 발생한 적외선에 의한 열을 표시 시트(10)의 화상을 소거하고자 하는 부위에 집중시키는 타원면 거울(88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선택 소거 헤드(88)는 상술한 기입 및 소거 헤드(86)와 동기한 상태에서 주행되도록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선택 소거 헤드(88)는,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지만, 표시 시트(10)에 직교하는 방향(즉, 접리되는 방향)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고, 타원면 거울(88B)의 초점 위치를 조정하여 표시 시트(10)의 투명층(14)의 두께에 따라서 저융점 왁스(18)를 확실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선택 소거 헤드(88)가 표시시트(1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에 의해, 표시 시트(10)의 단위 면적당에 부여되는 에너지를 조절하고, 이것의 조작 방향에 따르는 속도(즉 소거 속도)에 대응시킬 수 있어 소거 동작의 확실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화상 소거 기구(84)의 화상 소거 동작시에 있어서, 표시 시트(10)의 화상의 불형성 부분(즉, 흰 바탕 부분)을 검출하는 검출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해 둠으로써, 이 검출기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표시 시트(10)의 흰 바탕 부분이 검출된 경우에는 그 흰 바탕 부분에 대응하는 범위의 소거 속도를 올림으로써 소거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도10을 참조하여 제7 변형예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30C)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 화상 표시 장치(30C)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6 변형예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30B)와 선택 소거 헤드(88)의 구성이 다른 것이다. 즉, 이 화상 표시 장치(30C)의 선택 소거 헤드(88)는 타원면 거울(88B)이 아닌 포물면 거울(88C)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선택 소거 헤드(88)는 포물면 거울(88C)을 구비함으로써, 적외 램프(88A)로부터 방출된 빛은 평행광으로서 표시 시트(10)에 조사되게 된다. 이 결과, 이 제7 변형예에 있어서는 제6 변형예의 경우보다도 보다 넓은 범위에서 가열되는 형태가 실현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각 변형예에 있어서는 표시 시트(10)(10')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수단으로서, 통전 헤드(32)나 매트릭스 전극(12B, 12C)이나 발열 플레이트(40)나 도시하지 않지만 서멀 헤드 등을 이용하도록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도11에 제8 변형예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광 시스템(90)을 이용해도 좋은 것이다.
즉, 이 제8 변형예에 있어서, 화상 기입 수단으로서의 레이저광 시스템(90)은 출력원으로서의 하이 파워 반도체 레이저(90A)와, 이 반도체 레이저(90A)로부터 출력된 레이저광을 평행광으로 하기 위한 콜리메이터 렌즈(90B)와, 이 콜리메이터 렌즈(90B)로부터의 레이저광을 소정의 스폿 직경에 수속시키는 포커스 렌즈(90C)와, 포커스 렌즈(90)로부터의 레이저광을 주사하기 위한 폴리곤 미러(90D)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임의의 화상을 표시 시트(10)(10') 상에 기입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표시 시트(10')의 경우에는 상하 양면이 투명층(12, 14)이므로, 어느 한 방향으로부터라도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표시 시트(10)의 경우에는 투명층(14)측으로부터의 조사에 한정되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 및 다양한 변형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12를 참조하여 상술한 자성분(16)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자성분(16)은, 도12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핵 자성체(16a)와, 이 중심핵 자성체(16a)의 외주를 덮도록 배치된 컬러 코팅층(1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중심핵 자성체(16a)는, 본 실시예에서는 구형 소결 페라이트로 구성되어 있고, 컬러 코팅층(16b)은 두께 1 내지 3 ㎛ 정도의 실리콘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리콘 수지는 고체라도 좋고, 비중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발포제에의해 발포시켜 스폰지 형상으로 해도 좋은 것이다.
또한, 중심핵 자성체(16a)로서는 구형 소결 페라이트 외에 바인더로 고화시킨 미분말 페라이트라도 좋고, 또한, 컬러 코팅층(16b)으로서는 상술한 실리콘 수지 이외에 TFE나 PTFE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13은 도12에 도시하는 자성분(16)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13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분(16)의 중심핵 자성체(16a)는 입자형 소결 페라이트를 구형으로 통합한 구성이나, 결정 페라이트를 구형으로 통합한 구성이라도 좋은 것이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간단한 구성이면서 재기록 가능한 상태에서 확실하게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화상 표시 시스템 및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간단한 구성이면서 해상도를 향상시킨 상태에서 화상을 확실하게 표시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화상 표시 시스템 및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간단한 구성이면서, 두께를 매우 얇게 하면서 화상을 확실하게 표시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화상 표시 시스템 및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간단한 구성이면서 해조성을 표현한 상태에서 화상을 확실하게 표시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화상 표시시스템 및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되게 된다.

Claims (88)

  1. 베이스층과,
    이 베이스층과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된 투명층과,
    상기 베이스층과 투명층 사이에 충전되어 자성분이 분산된 매체이며, 상기 자성분의 이동이 허용되는 제1 상 및 상기 자성분의 이동이 금지되는 제2 상 사이에서 상 변화 가능한 매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고온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을 나타내고, 저온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을 나타내는 저온 용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소정의 전기 저항치를 갖는 저항층과, 이 저항층의 상기 투명층측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된 전극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베타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소정의 전기 저항치를 갖는 저항층과, 이 저항층의 양면을 각각 덮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전극층을 구비하고,
    각 전극층은 서로의 교점이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매트릭스형의 통전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양 통전 패턴의 선택된 교점 사이에서 규정되는 상기 저항층의 부분에 통전하여 상기 저항층의 통전 부분을 선택적으로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 제4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층은 카본이 분산되어 소정 저항치로 조정되고, 통전에 의해 발열하도록 형성된 합성 수지제 시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은 카본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입자는 나노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금속제 전극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전극은 니켈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과 투명층 사이는 스페이서에 의해 그 간극이 확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비드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입경은 상기 자성분의 입경의 적어도 5배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투명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분은 임의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용융체는 60 내지 120 ℃의 온도 범위에서 용융하는 저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용융체는 백색으로 착색되고,
    상기 자성분은 백색 이외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분은 흑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은 투명 수지제의 필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은 투명 수지제의 필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은 가요성을 갖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과 투명층은 모두 가요성을 갖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분은 중심핵 자성체와, 이 중심핵 자성체의 외주를 덮도록 배치된 수지제 코팅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핵 자성체는 구형 소결 페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핵 자성체는 바인더로 고체화된 미분말 페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핵 자성체는 입자형 소결 페라이트를 구형으로 통합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핵 자성체는 결정 페라이트를 구형으로 통합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제 코팅층이 임의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제 코팅층은 솔리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제 코팅층은 발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31. 제1 투명층과,
    이 제1 투명층과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된 제2 투명층과,
    이들 제1 및 제2 투명층 사이에 개재 설치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발열 가능하게 구성된 중간 발열층과,
    이 중간 발열층과 제1 투명층 사이에 충전되어 자성분이 분산된 제1 저온 용융체와,
    상기 중간 발열층과 제2 투명층 사이에 충전되어 자성분이 분산된 제2 저온 용융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층과 상기 중간 발열층 사이 및 상기 제2 투명층과 상기 중간 발열층 사이는 스페이서에 의해 각각의 간극이 확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비드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입경은 상기 자성분의 입경의 적어도 5배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분은 임의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용융체는 60 내지 120 ℃의 온도 범위에서 용융하는 저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용융체는 백색으로 착색되고,
    상기 자성분은 백색 이외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분은 흑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투명층은 각각 투명 수지제의 필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투명층은 각각 가요성을 갖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41.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분은 중심핵 자성체와, 이 중심핵 자성체의 외주를 덮도록 배치된 수지제 코팅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핵 자성체는 구형 소결 페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핵 자성체는 바인더로 고체화된 미분말 페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핵 자성체는 입자형 소결 페라이트를 구형으로통합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핵 자성체는 결정 페라이트를 구형으로 통합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제 코팅층이 임의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47.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제 코팅층은 솔리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4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제 코팅층은 발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49. 베이스층과, 이 베이스층과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된 투명층과, 상기 베이스층과 투명층 사이에 충전되고 자성분이 분산되어 상기 자성분의 이동이 허용되는 제1 상 및 상기 자성분의 이동이 금지되는 제2 상 사이에서 상 변화 가능한 매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시트에 재기록 가능한 상태에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 표시 장치이며,
    상기 화상 표시 시트의 상기 매체에 있어서 화소에 상당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상으로부터 상기 제1 상으로 상 변화시키는 상 변화 수단과,
    상기 제1 상으로 상 변화된 부분의 매체에 분산된 상기 자성분을 상기 투명층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상 변화된 부분의 매체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까지 이동된 상기 자성분에 의해, 상기 화상 표시 시트 상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고온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으로서의 액상을 나타내고, 저온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으로서의 고체상을 나타내는 저온 용융체이고,
    상기 상 변화 수단은 상기 매체를 상기 고온까지 가열하는 가열 용융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소정의 전기 저항치를 갖는 저항층과, 이 저항층의 상기 투명층측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된 전극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베타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용융 수단은 상기 저항층의 임의로 선택된 부분에 통전시킴으로써 그 통전 부분을 선택적으로 발열시키는 통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수단은 통전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층의 상기 통전 헤드가 접촉한 부분과 상기 전극층 사이에 통전하여 상기 저항층의 통전 부분을 선택적으로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5.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소정의 전기 저항치를 갖는 저항층과, 이 저항층의 양면을 각각 덮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전극층을 구비하고,
    각 전극층은 서로의 교점이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매트릭스형의 통전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화소에 상당하는 부분을 상기 양 통전 패턴의 선택된 각 교점에서 규정하고, 양 교점 사이에 협지된 상기 저항층의 부분에 통전하여 상기 저항층의 통전 부분을 선택적으로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6.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성분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투명층측에 배치된 영구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투명층측에 배치된 전자석을 갖는 자기 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통전 전류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자력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0.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용융 수단은 상기 베이스층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투명층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사이에 상기 저온 용융체를 협지하여 상기 가열 용융 수단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투명층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투명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된 저온 용융체를 냉각하여 고체화시키기 위한 냉각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이동 수단에 인접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투명층에 접촉 가능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6.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시트에 표시된 화상을 소거하기 위한 화상 소거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소거 수단은 상기 베이스층측에 배치된 자기 소거 헤드와, 상기 투명층측에 배치된 선택 소거 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소거 헤드는 상기 자기 소거 헤드와 동기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소거 헤드는 적외 램프와, 이 적외 램프로부터 방출된 광열을 상기 화상 표시 시트에 반사시키는 반사 거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거울은 포물면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1.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거울은 타원면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2. 제67항에 있어서, 선택 소거 헤드는 상기 화상 표시 시트에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용융 수단은 레이저광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4. 제1 투명층과, 이 제1 투명층과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된 제2 투명층과, 이들 제1 및 제2 투명층 사이에 개재 설치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발열 가능하게 구성된 중간 발열층과, 이 중간 발열층과 제1 투명층 사이에 충전되어 자성분이 분산된 제1 저온 용융체와, 상기 중간 발열층과 제2 투명층 사이에 충전되어 자성분이분산된 제2 저온 용융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시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면에 재기록 가능한 상태에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 표시 장치이며,
    상기 화상 표시 시트의 상기 중간 발열층에 있어서 화소에 상당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제1 저온 용융체를 용융시키는 가열 용융 수단과,
    이 용융 부분에 분산된 상기 자성분을 상기 제1 투명층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용융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층까지 이동된 상기 자성분에 의해 상기 화상 표시 시트의 상기 제1 투명층 상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성분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제2 투명층측에 배치된 영구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7.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제2 투명층측에 배치된 전자석을 갖는 자기 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8.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통전 전류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자력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9.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제2 투명층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80.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된 저온 용융체를 냉각하여 고체화시키기 위한 냉각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은 사이에 상기 화상 표시 시트를 거쳐서 상기 이동 수단에 대향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투명층에 접촉 가능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83.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발열층과 투명층 사이에 자성분을 분산시킨 저온 용융체를 협지하고, 상기 발열층에 의해 이 저온 용융체의 화상 표시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동시에, 이 용융 부분의 상기 자성분을 상기 투명층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투명층 상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부분의 상기 자성분은 자력에 의해 상기 투명층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85.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저항층을 구비하고,
    상기 저온 용융체의 화상 표시부의 화소에 상당하는 부분은 상기 저항층에 의해 가열되어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86.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부분은 상기 자성분의 이동에 의해 화상이 표시된 후, 냉각되어 상기 화상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87.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상기 저온 용융체를 부분적으로 가열하여 용융하고, 상기 자성분을 상기 베이스층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부분적으로 소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88.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상기 저온 용융체를 전면적으로 가열하여 용융하고, 상기 자성분을 상기 베이스층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면적으로 소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KR10-2004-7011801A 2002-01-31 2003-01-31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화상 표시 시스템 KR200400811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61170 2002-01-31
JP2002061170 2002-01-31
PCT/JP2003/001026 WO2003065116A1 (fr) 2002-01-31 2003-01-31 Feuille d'affichage d'image mince reinscriptible, affichage d'image et systeme d' affichage d'image
JPJP-P-2003-00060635 2003-01-31
JP2003060635A JP4033791B2 (ja) 2002-01-31 2003-01-31 リライタブル薄型画像表示シート、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160A true KR20040081160A (ko) 2004-09-20

Family

ID=27667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801A KR20040081160A (ko) 2002-01-31 2003-01-31 재기록 가능한 박형 화상 표시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화상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459218B2 (ko)
EP (1) EP1480073B1 (ko)
JP (1) JP4033791B2 (ko)
KR (1) KR20040081160A (ko)
CN (1) CN100343751C (ko)
AT (1) ATE394703T1 (ko)
DE (1) DE60320764D1 (ko)
HK (1) HK1079576A1 (ko)
WO (1) WO2003065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0714A (ja) * 2003-08-25 2005-03-17 Majima Kenkyusho:Kk リライタブル薄型画像表示シート
US7029773B2 (en) * 2003-10-10 2006-04-18 Seagate Technology Llc Method and system for magnetic recording using self-organized magnetic nanoparticles
JP2005313533A (ja) * 2004-04-30 2005-11-10 Shinko Electric Co Ltd リライタブルペーパー用磁気ヘッドおよびリライタブルプリンタ
JP2006257414A (ja) * 2005-02-17 2006-09-28 Kobe Univ 磁気感熱式電子ペーパー用の磁性微粒子
JP4742660B2 (ja) * 2005-04-25 2011-08-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処理システム
JP4682761B2 (ja) * 2005-09-12 2011-05-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媒体および電気泳動表示媒体の製造方法
TWI582924B (zh) * 2016-02-02 2017-05-11 宏碁股份有限公司 散熱模組與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0236Y1 (ko) * 1968-07-09 1972-04-17
JPS517631Y2 (ko) 1971-03-04 1976-03-01
US4124735A (en) * 1976-12-02 1978-11-07 Xerox Corporation Magnetic glass carrier materials
JPS5947676B2 (ja) * 1977-04-11 1984-11-20 株式会社パイロット 磁気パネル
US4603073A (en) * 1983-12-22 1986-07-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paque polyester film containing fine carbon black particles
US4549824A (en) 1983-12-30 1985-10-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k additives for efficient thermal ink transfer printing processes
JPH0224633A (ja) * 1988-07-13 1990-01-26 Kinseki Ltd 電気泳動表示装置
JPH087532B2 (ja) * 1989-01-23 1996-01-29 株式会社パイロット 磁気泳動表示パネル
JPH03234751A (ja) * 1990-02-08 1991-10-18 Tokai Carbon Co Ltd 高抵抗性面状発熱体の製造方法
US5699097A (en) * 1994-04-22 1997-12-16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medium and method for display therewith
JP2563765B2 (ja) * 1994-12-05 1996-12-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
JP3277796B2 (ja) * 1996-03-08 2002-04-22 凸版印刷株式会社 磁気記録体
JPH09281907A (ja) * 1996-04-15 1997-10-31 Sharp Corp 磁気泳動表示装置
JP3307243B2 (ja) * 1996-10-11 2002-07-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可逆表示媒体及び画像表示方法
JP3724085B2 (ja) * 1996-11-21 2005-12-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表示用インク組成物、画像表示媒体及び画像表示方法
JPH10260648A (ja) * 1997-03-18 1998-09-29 Fuji Xerox Co Ltd 可逆性画像表示媒体の印字消去装置
JP3587435B2 (ja) * 1998-10-16 2004-11-10 株式会社タカラ 表示パネル
WO2000043835A1 (fr) * 1999-01-21 2000-07-27 Miwa Science Laboratory Inc. Support d'images, dispositif d'enregistrement/effacement d'images et procede d'enregistrement d'images
JP3559741B2 (ja) * 1999-12-03 2004-09-02 マークテック株式会社 磁気泳動表示用着色磁性粒子
US6556262B1 (en) * 2000-01-06 2003-04-29 Eastman Kodak Company Display sheet having memory using limited coalescence domains
JP2002162652A (ja) * 2000-01-31 2002-06-07 Fujitsu Ltd シート状表示装置、樹脂球状体、及びマイクロカプセル
JP4114374B2 (ja) * 2001-03-19 2008-07-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US6870661B2 (en) * 2001-05-15 2005-03-22 E Ink Corporation Electrophoretic displays containing magnetic p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59218B2 (en) 2008-12-02
ATE394703T1 (de) 2008-05-15
EP1480073A4 (en) 2007-03-28
HK1079576A1 (en) 2006-04-07
CN100343751C (zh) 2007-10-17
DE60320764D1 (de) 2008-06-19
CN1628265A (zh) 2005-06-15
EP1480073B1 (en) 2008-05-07
US20050079300A1 (en) 2005-04-14
US20090073542A1 (en) 2009-03-19
WO2003065116A1 (fr) 2003-08-07
JP4033791B2 (ja) 2008-01-16
JP2003302660A (ja) 2003-10-24
EP1480073A1 (en) 200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7011A (en) Thermoreversible recording medium,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090073542A1 (en) Rewritable thin image display sheet,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US5262374A (en) Thermoreversible recording medium,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5057363A (en) Magnetic display system
JP6527587B2 (ja) 電気光学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電磁気的書き込み装置
US4734359A (en) Thermal recording material for display and image display device utilizing the same
EP1162496A1 (en) Image recording medium, image recording/erasing device, and image recording method
KR102176583B1 (ko) 홀로그래피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JP4657270B2 (ja) リライタブル薄型画像表示シート、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36735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displaying images utilizing thermomagnetically sensitive microscopic capsules
JPH10260648A (ja) 可逆性画像表示媒体の印字消去装置
JP2004004412A (ja) リライタブル薄型画像表示シートの製造方法
JPH06106847A (ja) 熱可逆性記録材料とその製造方法及び感熱記録媒体
EP0436262B1 (en) Magnetic display system
JPH09281907A (ja) 磁気泳動表示装置
JP2005070714A (ja) リライタブル薄型画像表示シート
JPS62108087A (ja) 記録材料およびこの材料を用いた装置
JPS5968723A (ja) 光変調素子
JPH08192590A (ja) 両面表示記録媒体及び両面表示記録媒体への記録方法
JP3090501B2 (ja) 可逆性感熱記録方法及び可逆性感熱記録装置
JP2005250066A (ja) 表示用繊維素子、それを用いた表示用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285381A (ja) 画像形成装置
JPH07271315A (ja) 磁気記録体及びその記録・消去方法
JPH11212502A (ja) 磁気表示媒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三次元画像形成方法
JPH05100218A (ja) 表示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