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134A - 점막 압력의 정밀 측정이 가능한 기관 튜브 - Google Patents

점막 압력의 정밀 측정이 가능한 기관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8134A
KR20040078134A KR10-2004-7011478A KR20047011478A KR20040078134A KR 20040078134 A KR20040078134 A KR 20040078134A KR 20047011478 A KR20047011478 A KR 20047011478A KR 20040078134 A KR20040078134 A KR 20040078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ff
zone
tube
trachea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0761B1 (ko
Inventor
아치발드 이안 제레미 브레인
Original Assignee
아치발드 이안 제레미 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치발드 이안 제레미 브레인 filed Critical 아치발드 이안 제레미 브레인
Publication of KR20040078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61M16/0443Special cuff-wal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6Multi-lumen 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제시된 기관내의 튜브(19)는 실리콘 기관부재(19a)를 포함하고 인접단, 말단 및 인접단으로부터 말단까지 공기를 공급하는 부재를 통해 연장된 루멘을 포함한다. 기관부재는 첫번째 구역(32)과 두번째 구역을 정의한다. 최소한 첫번째 구역(32)의 한 부분은 첫번째 외부 지름을 갖는다. 두번째 구역은 두번째 외부 지름을 갖는다. 첫번째 외부 지름은 두번째 외부 지름보다 작다. 첫번째와 두번째 구역들은 서로 인접하며 인간 환자의 기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커프가 첫번째 구역(23)의 최소한 일부분에 대해 연장되도록 실리콘 커프(20)는 기관부재에 부착된다. 실리콘 커프는 커프가 기관내에서 팽창될 때, 기관의 내부 벽을 원주상으로 접촉하기 전에 압력의 안정한 상태에 도달하도록 설치되며, 이는 정확한 압력 기록이 커프가 기관의 내부 벽에 가하는 압력으로부터 취해지기 위함이다.

Description

점막 압력의 정밀 측정이 가능한 기관 튜브{AN ENDOTRACHEAL TUBE WHICH PERMITS ACCURATE DETERMINATION OF MUCOSAL PRESSURE}
도 1A는 종래 기술인 기관내의 튜브 (ETT)(1)을 보여 준다. 도 1B는 도 1A에서 보여진 바와 같은 1B - 1B 선을 따라 ETT(1)의 확대된 부분도를 도시한다. ETT(1)은 반강체의 속이 빈 튜브(1a)를 포함하며, 이것은 인접단(4)으로부터 말단(6)까지 뻗어 있다. 튜브 1a는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로 만들어 진다. ETT(1)은 말단(6) 근처에 설치된 부풀 수 있는 풍선, 즉, 커프(2)을 더 포함한다. 풍선(2)은 그 풍선 안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위치 (8)과 (10)에서 속이 빈 튜브(1a)에 밀봉된다. ETT(1)은 중심 기도 루멘(lumen)(1b)을 더 포함하며, 이것은 속이 빈 튜브(1a)의 인접단(4)으로부터 말단(6)까지 이른다. 속이 빈 튜브(1a)는 작은 팽창 루멘(12)을 더 뚜렷하게 하며, 이것은 속이 빈 튜브(1a)의 벽을 통하여 뻗어 있다.
팽창 루멘(12)은 풍선(2)의 내부 부피안에서 이것의 말단 근처에서 구멍(18)을 제공한다. 속이 빈 튜브(1a)의 인접단 근처인, 위치(5)에서는, 팽창 루멘(12)이 팽창 선, 즉 튜브(14)에 연결된다. 팽창 선(14)의 인접단에 연결된 공기 주사기(16), 또는 다른 적당한 공기 공급기는 선택적으로 풍선(2)의 팽창과 수축을 조절한다. 도 1A는 팽창된 상태에서 풍선(2)을 도시한다.
작동 중에, ETT(1)의 말단(6)이, 환자의 기관에 닿을 때까지, 환자의 자연적인 기도를 통하여, 의식 없는 환자의 입에 삽입된다. 인접단(4)은 환자의 외부에 남아있다. 풍선(2)은 말단(6)이 환자에게 삽입되는 동안 수축된 상태로 있다. 말단(6)이 기관내에 위치한 후, 풍선(2)의 외부벽이 기관의 내부 점막 내면과 밀봉을 형성할 때까지 풍선(2)은 팽창된다(예를 들어 주사기(16)에 의해). 일단 그러한 밀봉이 성립하면, ETT(1)의 인접단(4)에 결합된 환기 장치는 환자에게 간헐적인 양압 호흡(intermittent positive-pressure ventilation (IPPV))을 적용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IPPV 동안, 환기 장치에 의해 ETT(1)의 인접단(4)에 공급된 의학적인 가스들은 기도 루멘(1b)를 통하여 환자의 폐로 가스들을 효과적으로 밀어 넣는다. 그러나, 만약 밀봉이 풍선(2)과 기관의 내부 면 사이에 성립되지 않는다면, 말단(6)에서 나온 가스는, 환자의 폐에 밀어 넣어지는 대신에, 풍선(2)과 기관의 내부 면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환자의 입 밖으로 쉽게 새어 나온다.
풍선(2)은 많은 경우 상대적으로 탄력이 없는 물질, 즉, PVC로 만들어진다. 팽창된 상태에서 그러한 탄력이 없는 풍선들은 기관 지름에 거의 정확히 맞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만약 환자의 기관이 풍선의 확장된 크기보다 작으면, 풍선은 풍선과 기관의 내부 벽간에 주름을 형성하고, 덜 완벽한 밀봉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ETT의 장기간 설치 동안, 주름들, 즉, 미소 구멍들은 체액과 다른 물질이 팽창된 커프와 기관의 내면사이를 통과하여 폐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한다. 만약, 한편, 확장된 풍선이 기관 지름에 대해 너무 작으면, 어떠한 밀봉도 풍선과 기관의 내면 사이에 성취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실제적으로는, 기관 지름이 거의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풍선 크기는 예상되는 가장 큰 기관 지름보다 더 크도록 항상 선택된다. 그러한 탄력이 없는 커프 물질들을 가진 미소 구멍들은 그러므로 불가피하다.
GB2324735에서 Young 등에 의해 언급된 바와 같이, 그 이상의 문제가 그러한 플라스틱 ETT 커프들의 이용에 발생된다. 커프가 환자안에서 팽창될 때, 커프 안에서의 압력, 즉 "내부-커프 압력"은 다음의 함수들이 될 수 있다 :
1. 커프 물질이 늘어나는데 따른 저항
2. 기관 벽의 커프 팽창에 따른 저항
3. 양 요소들의 혼합
내부-커프 압력은 예를 들어, 팽창 선(14)에 결합된 압력계에 의해 쉽게 측정될 것이다. 그러나, 내부-커프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 쉬움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세 개의 요소들의 각각이 그 압력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아는 것은 쉽지 않다. 임상적으로는, 커프의 외부 벽이 기관 벽의 섬세한 내면에 과도한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설명의 편의상, "점막 압력"이란 단어가 여기에서는 팽창된 커프의 외부 벽에 의해 기관의 내면에 가해진 압력을 나타내는데 이용될 것이다. 만약 점막 압력이 너무 높으면, 기관은 팽창된다 그리고/또는 혈액순환은 기관에서 멈출 것이며, 이는 조직의 괴저(壞疽)를 초래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막 압력은 물의 30센티미터의 압력 이하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만약 내부-커프 압력에 대해 임상의학자에게 귀환(feedback)되지 않으면 커프의 과대 팽창에 기인한 과도한 점막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심지어 내부-커프 압력이 알려져도, 점막 압력은 일반적으로 알려지지 않는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GB2324735에서 Young 등은 라텍스 또는 실리콘과 같은 더 탄성 물질로 만들어진 커프의 이용을 가르쳤다. 라텍스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 물질들의 중요한 특질은 어느 하나의 물질의 얇은 판도 늘어날 때, 그 이후에는 그 물질이 더 이상의 늘어남에 더 이상의 저항도 제공하지 않는 점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라텍스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 물질로부터 형성된 풍선 또는 커프가 팽창될 때, 팽창된 커프의 부피가 증가됨에 따라 내부-커프 압력은 처음부터 증가된다. 그러나, 계속된 증가에 따라 커프 물질은 늘어남에 더 이상의 저항을 제공하지 않는 점에 궁극적으로 도달한다. 이 점 이후, 내부-커프 압력에서의 상응하는 증가없이 커프의 계속된 팽창은 커프의 그 이상의 팽창을 발생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그러한 탄력 있는 커프가 팽창될 때, 내부-커프 압력은 처음부터 증가하지만 이후 안정된 상태에 도달하고, 더 이상의 팽창은 압력의 안정된 상태를 넘는 내부-커프 압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커프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도 2A는 라텍스 또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탄력 있는 커프의 팽창 특질들을그래픽적으로 설명한다. 커프에 도입된 가스의 부피가 0에서 C값으로 증가함에 따라, 내부-커프 압력은 0에서 A값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일단 A의 내부-커프 압력이 성취되면, 더 이상의 팽창은 내부-커프 압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최소한 D값으로, 확장된 커프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레벨 A는 압력의 안정된 상태이다. D값을 넘어서 풍선의 부피를 확장시키는 계속된 팽창은 내부-커프 압력에 추가적인 증가 및 풍선의 최종적인 폭발을 궁긍적으로 초래할 것이다. 그러나, 부피가 C와 D값 사이의 범위에 있을 때에는 압력의 안정된 상태 A는 초과되지 않는다.
GB 2324735에서 Young 등은 ETT의 커프가 충분히 확장되어 원주상에서 기관 벽들에 접촉하기 전에 압력의 안정된 상태에 도달하도록 ETT의 커프를 구성하도록 제안한다. (즉, 기관의 완전한 원주를 따라 커프와 기관의 내면사이에 접촉이 발생하기 위해 그것이 충분히 확장되기 전에). 커프에 대한 압력의 안정된 상태는 알려진 상수이기 때문에, 그것이 원주상에서 기관 벽에 접촉하기 전에 풍선이 압력의 안정된 상태로 팽창될 때, 내부-커프 압력의 어떠한 추가적인 증가가(즉, 압력의 안정된 상태를 넘어서는 커프안의 압력의 증가), 풍선과 기관사이의 접촉에 의해 발생될 것이다(즉, 풍선의 추가적인 확장을 방해하는 기관 벽에 의해). 따라서, 점막 압력은 삭감에 의해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즉, 이러한 조건들 하에서, 점막 압력은 현재의 내부-커프 압력과 압력의 안정된 상태간의 차이와 같다). 점막 압력의 결정, 또는 모니터링(monitoring)은 잠재적으로 점막 압력들을 손상시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한다.
도 2B는 라텍스 커프에 대한 점막 압력의 측정을 그래픽적으로 설명한다.도 2B는 팽창된 커프의 부피가 충분히 커서 기관과 원주상의 접촉을 일으키기 전에 팽창된 커프가 압력의 안정된 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보여 준다. 원주상의 접촉이 부피 T값에서 성취되고 이후 내부-커프 압력의 추가적인 증가는 커프의 더 이상의 확장을 방해하는 기관의 내면에 기인한다. 일단 원주상의 접촉이 성취되면, 커프의 추가적인 팽창은 내부-커프 압력이 일반적인 선형 압력-부피 곡선(x)에 따라 A값으로부터 B값으로 증가하도록 한다. 압력-부피 곡선(w)은, 곡선(x)으로부터 압력의 안정된 상태의 A값을 뺌으로써 발생되는데, 점막 압력을 표현한다. 커프와 기관의 내면간의 원주상의 접촉이 성취될 때까지 점막 압력이 0이라는 점이 주의되어야 한다.
도 2B에서 보여 지는 부피 축은 팽창된 커프의 지름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점막 압력을 측정하는 상술한 방법을 확실히 이용하기 위해서, 커프는 다음과 같은 특질들을 가져야 한다. 부피 C에 상응하는 팽창된 커프의 지름은 예상되는 가장 작은 기관의 지름보다 더 작아야 한다(이것은 커프가 기관의 내면과 원주상의 접촉을 만들기 전에 압력의 안정된 상태에 도달하도록 보장한다). 또한, 부피 D에 상응하는 팽창된 커프의 지름은 예상되는 가장 큰 기관의 지름보다 더 커야 한다(이것은 커프의 제한되지 않은 팽창이 내부-커프 압력이 압력의 안정된 상태를 초과하도록 할 수 있기 전에 팽창된 커프가 기관과의 원주상의 접촉을 만들도록 보장한다). 또한, 커프(2)가 부피 D에 도달하기 전에 예상되는 가장 큰 기관과(예를 들어 물의 30 센티미터의 점막 압력과) 밀봉을 형성하도록 부피 D에 상응하는 팽창된 커프의 지름은 예상되는 가장 큰 기관의 지름보다 충분히 더 커야 한다.
인간의 기관의 내부 지름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예를 들어, 성인인 경우 약 1.5에서 약 2.5 센티미터), ETT의 커프를 그 지름이, 압력의 안정된 상태가 초기에 도달된 때, 예상되는 가장 작은 기관 지름 보다 확실히 더 작도록 구성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렵다. 라텍스는 그러나 커프 물질로서 그 이용을 제안하는 몇 가지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압력이 안정된 상태에 도달한 라텍스 커프의 지름을 줄이는 한 가지 방법, 그리고 그것에 의해서 커프와 기관의 내면간에 원주상의 접촉을 성취하기 전에 압력이 안정된 상태에 도달하도록 보장하는 시도는, GB 2324735에서 Young 등에 의해서 가르쳐진 바와 같이 그것을 ETT에 부착하기 전에 라텍스 커프를 세로로 미리 늘이는 것이다. 게다가, 외부 물체가 커프 밀봉을 통과하고, 따라서 폐로 들어 오게 할 어떠한 세로의 주름들도 커프 물질에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라텍스는 통상적인 더 탄력이 없는 물질들에 비교해서 기관에 대한 우수한 밀봉을 제공한다고 보여 진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라텍스 물질에 알러지 반응을 경험하기 때문에, 의학적인 환경과 의학적인 장치들에 대한 라텍스의 이용은 점점 철저히 검사되어 왔다. 잠재적인 알러지 반응은 환자가 인공호흡장치에 있거나 면역-약화 상태(immune-compromised state)에 있을 가능성에 의해 더 복잡해 질 수 있다. 게다가, 라텍스 물질은 다른 의학적인 등급의 물질보다 더 빠르게 퇴화되기 쉽다. 따라서, 알러지를 일으키는 잠재력과 제한된 저장 수명이 없으면서 라텍스와 유사한 특질들을 가지는 다른 물질을 찾는 것이 유리하다.
실리콘이 ETT들에 대한 적당한 커프 물질로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라텍스와 달리, 실리콘은, PVC와 같은, 다른 플라스틱 물질에는 잘 부착되지 않는다. 최소한 이런 이유 때문에, PVC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ETT들과 실리콘 풍선은 종래 기술에서는 이용되지 않는다.
하나의 해결책은 커프와 튜브를 모두 실리콘으로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종래 기술에서 극복되지 않은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은 예를 들어 PVC보다 덜 경직되기 때문에, 실리콘 기관내의 튜브는 다른 물질로 만들어진 튜브보다 더 큰 벽의 두께를 요구한다. 튜브의 내부 지름은 튜브의 바람직한 기류 특질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더 큰 벽의 두께는 더 큰 외부 지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튜브는 더 큰 외부 지름을 가지기 때문에, 원주상으로 기관의 벽에 접촉하기 전에 튜브에 부착된 커프가 압력의 안정된 상태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은 더 어렵다. 만약 더 얇은 벽 두께를 가진 실리콘 튜브가 이용된다면, 튜브는 커프에 가까운 기관의 부분에서 또는 커프 그 자신에서 붕괴되는 경향이 있다. 어느 경우에서도, 만약 튜브가 붕괴되면, 환자는 환기 장치로부터 의학적인 가스들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라텍스의 단점들이(예를 들어, 알러지 잠재력과 제한된 저장 수명) 없고 라텍스의 장점들을(예를 들어, 점막 압력을 측정할 능력과 우수한 밀봉의 제공) 가지고 있는 커프를 가지는 ETT에 대한 요구가 남는다.
본 발명은 기관(氣管)내의 튜브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관내의 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기관 벽에 대한 기관내의 튜브의 밀봉 커프(sealing cuff)에 의해 인가된 압력의 정확한 결정을 허용한다.
다음의 도면들과 같이 읽었을 때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자세히 보면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특징들은 명확해 질것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의 ETT의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보여진 바와 같은 1B - 선 1B을 따라 ETT의 확대된 부분도를 보여 준다.
도 2a와 2b는 종래 기술의 압력 대 부피 다이어그램들을 보여 준다.
도 3A는 발명에 따라 구성된 ETT를 보여 준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ETT에서 축소된 지름의 범위를 보여 주는 확대된 부분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ETT의 다른 실시예에서 강화된 튜브를 가지는 축소된 지름의 범위를 보여 주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5는 발명에 따라 구성된 ETT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직조된 외부 표면을 가지는 축소된 지름의 범위를 보여 주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6은 발명에 따라 구성된 ETT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축소된 지름의 범위를 보여 주는 부분 측면도이며, 여기서 커프는 축소된 지름의 범위의 외부에서 튜브에 부착된다.
도 7A-7C는 ETT에 커프를 부착하는 동안 커프 물질을 세로로 미리 늘리는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한다.
도 8A는 발명에 따라 구성된 ETT의 일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를 보여 주며, 도면은 도 3A에서 보여진 바와 같은 9 - 선9의 일반적인 방향에서 선택되었다.
도 8B는 도 8A에서 보여진 튜브에 대한 커프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탄성 물질의 튜브의 부분 측면도를 보여 주며, 탄성 물질은 커프를 형성하는 동안 원주상으로 늘여진다.
도 9는 중심을 달리하는 기도 루멘을 가지고 있는 발명에 따라 구성된 ETT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3B에서 보여진 바와 같은 9 - 선9의 방향에서 선택된, 부분 측면도를 보여 준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물건들은 향상된 ETT에 의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ETT는 실리콘의 기관부재(tubular member)와 팽창가능한 실리콘 커프, 즉 풍선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말단 근처의 기관부재에 부착된다. 팽창시, ETT가 사용될 가장 작은 보통 인간의 기관의 내면과 원주상의 접촉을 만들 만큼 커프가 충분히 크기 전에 실리콘 커프는 압력의 안정된 상태에 도달한다. 예를 들어, 어른 크기에서, 커프의 지름이 1과 1/2 센티미터(즉, 1/5cm 보다 작은) 보다 작을 때, 커프는 압력의 안정된 상태에 도달할 것이다. 첫번째 구역은 축소된 지름의 구역이며, 첫번째 구역의 최소한 일부분의 외부 지름이 두번째 구역의 외부 지름보다 작도록, 기관부재(tubular member)는 첫번째 구역 및 근접한 두번째 구역을 뚜렷하게 할 것이다. 커프가 첫번째 구역의 최소한 일부분을 넘어서 뻗어 있도록 커프는 기관부재에 부착될 것이다. 커프는 첫번째 구역의 전체와 두번째 구역의 일부를 넘어서 뻗어 있을 것이다.
커프를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물질은 기관부재에 부착되기 전에 미리 늘어날(pre-stretched) 것이다. 예를 들어, 커프는 탄성 물질로부터 형성될 것이고, 이것은 자연적이며, 정지하고 있고, 늘어나지 않는(un-stretched) 지름으로 특징 된다(즉, 늘어나지 않는 지름은 커프가 늘어나지 않는 상태에서의 지름이다). 커프가 기관부재에 설치될 때, 완전히 수축될 때에도 커프가 원주상으로 늘어나도록, 커프가 부착된 기관부재의 부분의(the portion of the tubular member) 지름보다 늘어나지 않은 지름이 더 작도록 커프는 형성될 것이다.
다른 면에서, 커프 물질은 약 10의 쇼어 에이(Shore A) 경도(경도)를 가질 것이다. 또한, 기관부재는 나선 또는 강화 부재로 강화될 것이다. 기관부재의 첫번째 구역, 즉 축소된 지름의 구역은, 직조된 외부 표면을 또한 뚜렷하게 할 것이다. 직조된 외부 표면은 외부 표면에 잘라진, 예를 들어 나선형 또는 선형인, 홈들(grooves)의 형태를 가질 것이다.
ETT들에 더하여, 본 발명은 기관 개구술에 의해 환자의 기도로 삽입되는 기관 개구술용 튜브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목의 앞에서 형성된 홀, 기관으로 향하는 구멍. 기관 개구술용 튜브의 길이는 ETT보다 본질적으로 짧지만 커프와 기관간의 밀봉에 대한 같은 요구는 현존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ETT의 말단이, 각각의 폐를 위해, 두개의 튜브로 갈라지는 이중의 루멘(lumen) 기관내의 튜브들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면에서, 실리콘으로 만들어지는 대신에, 기관은 일부는 PVC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 질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기관부재는 커프가 배치된 축소된 외부 지름의 구역을 또한 명확하게 할 것이다. 커프를 기관부재에 고정하기 위해서 수축-덮개 체환은 커프의 일단 또는 양단에서 사용될 것이다. 축소된 지름 부분에서 수축-덮개 물질의 위치는 그것이 확장될 때 커프의 양단을 미끄러지도록 강제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데, 기관부재의 더 큰 지름의 부분에 접함으로 그렇게 되는 것으로부터 예방될 것이기 때문이며, 그러므로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커프가 팽창된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들은 수축 덮개 물질이 커프를 기관부재에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또한 보장한다.
도 3A는 발명에 따라 구성된 ETT(19)를 보여 준다. ETT(19)는 튜브(19a)의 말단 근처에 설치된 속이 빈 튜브, 즉 기관부재, 19a 및 커프, 즉 풍선, 20을 포함한다. 또한, ETT(19)에서, 속이 빈 튜브(19a)와 커프(20)는 모두 실리콘으로 만들어 진다. 속이 빈 튜브(19a)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실리콘의 경도(Durometer)는 약 80 Shore A가 될 것이다. 튜브(19a)를 제조하기 위한 실리콘의 적당한 소스는 Dow Corning, Midland, Michigan, 또는 독일에서 Wacker 실리콘이다. 튜브(19a)는 어른 사이즈로 크기가 약 30-40cm가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은 라텍스와 관련된 알러지 효과를 가지지 않고, 라텍스 보다 더 긴 저장 수명을 가지기 때문에, 실리콘 커프(20)의 이용은 유리하다. 실리콘을 실리콘에 부착하는 방법은 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실리콘 튜브(19a)의 이용은 커프(20)를 튜브(19a)에 부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IPPV 동안 환자의 폐에 적절한 공기 공급을유리하게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 기관의 내면과 원주상의 접촉을 만들기 전에 커프(20)가 압력의 안정된 상태에 도달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속이 빈 튜브(19a)와 커프(20)의 차원들은 조절된다. 따라서 ETT(19)는 점막 압력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고, 과도한 점막 압력들의 회피를 더 용이하게 한다. 또한, 실리콘 커프(20)의 이용은 기관과의 향상된 밀봉을 제공하고 탄력이 없는 커프들과 관련된 주름들과 미소 구멍들을 막아 준다.
ETT(19)에서, 커프(20)는 축소된 지름의 일정한 범위, 또는 구역, 32에서 속이 빈 튜브(19a)에 설치된다. 즉, 범위(32)에서, 튜브(19a)의 외부 지름은 튜브(19a)의 다른 부분들의 외부 지름과 비교하면 축소된다. 도 3B는 축소된 지름의 범위(32)의 확대된 도면을 보여 준다. 보여진 바와 같이, 범위(32), OD1의 외부 지름은 속이 빈 튜브(19a), OD2의 나머지의 외부 지름으로부터 축소된다. 대조적으로, 속이 빈 튜브(19a)의 내부 지름(ID)은(또는 기도 루멘의 지름) 속이 빈 튜브(19a)의 말단에 인접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상수이다. 다른 외부 지름들의 결과로서, 범위(32)에서 속이 빈 튜브(19a)의 벽의 두께(T1)는 속이 빈 튜브(19a)의 나머지의 벽의 두께(T2)보다 덜 두껍다. 벽 두께가 T2인 범위들안에서(즉, 축소된 지름의 구역(32)의 외부의 범위들내에서) 속이 빈 튜브(19a)의 벽에서 팽창 루멘(30)은 명확하게 된다.
보여진 바와 같이, 커프(20)는 위치(24)와 (26)에 범위(32)의 끝단에서 설치된다(즉, 위치(24)와 (26)은 범위(32)와 범위(32)의 외부 튜브의 다른 부분들간의 접합점들에 근접하다). 일반적으로, 어른 사이즈 ETT에 대해, 설치 위치(24)와(26)간의 거리는 약 3 내지 5 센티미터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짧고 단단한 확장 튜브(36)는 내부 루멘(30)으로부터, 커프 설치 위치(24)를 통과하여 커프(20)의 내부 부피로 뻗어 있다. 따라서, 커프(20)의 팽창과 수축은, 주사기와 같은, 공기 공급기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팽창 루멘(30)의 인접단에 결합된다(속이 빈 튜브(19a)의 인접단 근처에서).
속이 빈 튜브(19a)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튜브 벽(T2)의 두께는 만약 튜브가 PVC와 같은 더 단단한 물질로 만들어지는 경우에 요구될 것보다 더 크다. 따라서, 주어진 내부 지름, ID에 대해, 속이 빈 튜브(19a)의 외부 지름(OD2)은 만약 속이 빈 튜브(19a)가 PVC로 만들어 지는 경우에 요구될 외부 지름보다 더 크다. 속이 빈 튜브(19a)의 더 큰 외부 지름(OD2)은 튜브(19a)에 부착된 커프가 기관의 내면과 원주상의 접촉을 만들기 전에 압력의 안정된 상태에 도달하도록 보장하는데 어려움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튜브(19a)를 제조하는데 실리콘을 이용한 결과인, 증가된 튜브의 외부 지름에 대해 보상하기 위해, 튜브(19a)는 축소된 지름의 범위(32)안에서 제공된다. 커프가 기관의 내면과 원주상의 접촉을 만들기 전에 커프(20)를 축소된 지름의 범위(32)에 부착하는 것은 커프가 확장되는 양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커프(20)가 그러한 원주상의 접촉을 만들기 전에 압력의 안정된 상태에 도달하도록 보장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어른 사이즈의 ETT의 일 실시예에서, 튜브(19a)의 내부 지름(ID)은 약 7 밀리미터이고, 벽 두께(T2)는 약 1.625 밀리미터이며, 범위(32)에서 벽 두께(T1)는 약 1.0 밀리미터이고, 범위(32)에서 튜브(19a)의 외부 지름(OD1)은 약 9 밀리미터이며, 대부분의 튜브(19a)의 외부 지름(OD2)은 약 10.25 밀리미터이다. 커프(20)의 압력의 안정된 상태는 물의 약 30 내지 35 센티미터이고, 커프 지름이 예상되는 가장 작은 어른 기관 지름보다 작을 때(예를 들어, 약 1.5 센티미터보다 작은) 도달된다.
어른 사이즈의 ETT의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19a)의 내부 지름(ID)은 약 8 밀리미터이고, 벽 두께(T2)는 약 1.625 밀리미터이며, 범위(32)에서 벽 두께(T1)는 약 1.125 밀리미터이고, 범위(32)에서 튜브(19a)의 외부 지름(OD1)은 약 10.25 밀리미터이며, 대부분의 튜브(19a)의 외부 지름(OD2)은 약 11.25 밀리미터이다. 다시, 커프(20)의 압력의 안정된 상태는 물의 약 30 내지 35 센티미터이고, 커프 지름이 예상되는 가장 작은 어른 기관 지름보다 작을 때(예를 들어, 약 1.5 센티미터보다 작은) 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팽창 루멘(30)은 벽 두께가 T2인 범위들에서 속이 빈 튜브(19a)의 벽에서 명확하게 된다(즉, 축소된 지름의 범위(32)외부 범위들에서). 속이 빈 튜브(19a)의 벽에서 팽창 루멘(30)의 존재는 튜브의 최소 벽 두께를 제한하는 ETT(19)의 한 면(aspect)이다. 유리하게, 루멘(30)은 예를 들어, 축소된 지름의 범위(32)를 넘어 뻗어 있지 않다. 루멘은 튜브(19a)의 인접단의 근처로부터 축소된 지름 부분(32)으로 뻗어 있다. 루멘(30)과 커프(20)의 내부간에 유체 흐름을 제공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짧고 단단하며 속이 빈 튜브(36)는 루멘(30)에 삽입되고 위치(24)에 설치된 풍선을 통하여 뻗어 있다.
만약 축소된 지름의 범위(32)의 벽 두께(T1)가 너무 얇으면, 커프(20)의 내부-커프 압력은(이것은 범위(32)의 외부 벽에 원주상으로 적용되고, 효과적으로 범위(32)를 안쪽으로 압착한다), 축소된 지름의 범위(32)를 붕괴시키기에 충분할 것이다. 속이 빈 튜브(19a)의 어느 부분의 그러한 붕괴는 ETT에 의해 제공된 기도 루멘을 막고 폐의 적절한 환기를 방해할 것이기 때문에 물론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한 붕괴를 방해하는 한 방법은 커프(20)를 약 10 Shore A의 경도를 가지는 실리콘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그러한 경도를 가지는 실리콘 커프의 이용은 압력의 안정된 상태가 물의 30 내지 35 센티미터, 기관 점막을 해하지 않을 압력만큼 낮게 발생하게 하며, 그렇지 않으면 보통의 작용 조건들에서 튜브를 붕괴하게 할 것이다.
도 4는 속이 빈 튜브(19a)의 붕괴를 방해하는, 특히, 축소된 지름의 범위(32)의 붕괴를 방해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커프(20)가 수축될 때, 발명에 따라 구성된 ETT(19)의 다른 실시예의 범위(32)의 확대된 부분도를 보여 준다. 도 4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나선형의 보강(reinforcing) 선, 또는 다른 딱딱하게 하는 요소, 42는 속이 빈 튜브(19a)의 벽 속에 합병된다. 커프(20)가 팽창될 때 튜브(19a)가 붕괴되지 않도록 보강 선(42)은 방사상의 강도를 속이 빈 튜브(19a)에 제공하고 튜브의 분쇄(crush) 강도를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보강 선(42)은 속이 빈 튜브(19a)의 내부 표면 근처에 위치한다. 그러한 위치에 보강 선을 제공하는 것은 보강 선(42)과 공기 공급 루멘(30) 모두 같은 튜브(19a)에 존재하도록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보강 선(42)은 속이 빈 튜브(19a)의 전체적인 길이를 따라 뻗어 있을 것이고, 또는 그 대신, 단지 축소된 지름의 범위(32) 근처에 배치될 것이다.
보강 선(42)을 포함하도록 튜브(19a)를 제조하기 위해 많은 제조 방법들이 사용될 것이라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축소된 지름 튜브(즉, 튜브(19a)의 바람직한 내부 지름과 같은 내부 지름(ID)과 범위(32)의 외부 지름(OD1)보다 작은 외부 지름을 가지는 튜브)는 압출 성형될 것이고 이후 보강 선(42)은 튜브의 외부 표면에 배치될 것이다. 두번째 튜브는 이후 적용될 것이고, 또는 축소된 지름 튜브와 선(wire)에 대해 압출 성형 될 것이다. 두번째, 또는 외부 튜브는 가열될 것이고 단일 튜브(19a)를 생성하기 위해 축소된 지름 튜브와 접합될 것이다. 축소된 지름의 범위(32)는 이후 튜브의 외부 표면의 일부분으로부터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것이다. 예를 들어, 범위(32)는 선반(lathe) 위에 튜브(19a)를 두고 튜브의 외부 표면의 일부분으로부터 물질을 잘라냄으로써 형성될 것이다. 그러한 제조 기술은 보강 선이 튜브 속에 합병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축소된 지름의 범위(32)를 형성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도 3B를 다시 참조하면, 튜브(19a)의 인접단으로부터 튜브(19a)의 말단 근처의 위치(30d)까지 팽창 루멘(30)이 초기에 뻗어 있도록 튜브(19a)가 제조될 것임을 알 수 있다. 루멘(30)을 드러내기 위해 충분한 물질이 튜브의 외부 부분으로부터 제거되는 동안, 축소된 지름의 범위(32)를 형성하기 위해 튜브(19a)의 일부분으로부터 물질을 잘라내기 위한 선반(lathe) 또는 다른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위치(32e)에서, 범위(32)에 팽창 루멘(30)을 자동적으로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단한 튜브(36)는 이후 팽창 루멘(30)을 커프(20)의 내부 부피에 결합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도 5는 발명에 따라 구성된 ETT(19)의 다른 실시예의, 커프(20)가 수축될 때, 축소된 지름의 범위(32)의 확대된 부분도를 보여 준다. 보여진 바와 같이, 축소된 지름의 범위(32)에서 튜브(19a)의 외부 표면은 텍스쳐(50), 즉 거칠게 된 것에 의해 특성이 나타난다. 텍스쳐(50)를 제공하는 것은 커프(20)가 튜브(19a)에 달라 붙을 가능성을 유리하게 줄여 준다. 그러한 고착(stick)은 일반적으로 커프를 일정하지 않게 팽창시키기 때문에, 커프(20)의 어느 부분이라도(커프(20)가 튜브(19a)에 접합되는 위치(24), (26)과 다른) 튜브(19a)의 외부 표면에 달라 붙는 것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커프(20)의 일정하지 않은 팽창은 기관과의 최적의 밀봉보다 좋지 않은 형성을 일반적으로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텍스쳐(50)는 꿰멘(threaded) 표면 형상을 가지고(예를 들어, 나사의 나삿니(thread)와 같이) 튜브(19a)의 외부 표면에 잘려진 하나 또는 더 많은 나선형의 홈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홈들은 너비가 0.5 밀리미터이고 깊이가 0.2 밀리미터이다. 홈들은, 예를 들어, 고속의 선반(lathe)을 이용하여 잘려질 것이다. 텍스쳐(50)가 나선형의 홈이 되게 하는 하나의 장점은 결이 루멘(30)에 도입된 공기를 커프의 전체 내부 표면에 빠르고 고르게 분배하고, 따라서 커프(20)의 일정한 팽창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선형의 홈들과 다른 텍스쳐(50)도 마찬가지로 사용될 것이라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텍스쳐(50)는 나선형과 다른 세로의 홈들, 또는 랜덤하거나 유사 랜덤하며 거칠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발명에 따라 구성된 ETT(19)의 또 다른 실시예의, 커프(20)가 수축될 때, 축소된 지름의 범위(32)의 확대된 도면을 보여 준다. 전에 논의한 실시예에서, 커프(20)가 튜브(19a)에 부착된 위치(24), (26)은 축소된 지름의 범위(32)안에 있다(즉, 위치(24), (26)은 튜브(19a)의 외부 지름이 OD1인 곳에 위치한다). 그러나, 도 6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위치(24), (26)은 범위(32)의 외부에 위치할 것이다(즉, 위치(24), (26)은 튜브(19a)의 외부 지름이 OD2인 곳에 위치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반(semi) 단단한 튜브의 확장(36)(예를 들어, 도 3B에서 보여진)은 제거될 것이다. 도 6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커프(20)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물질이 이하에서 상세하게 논의하는 바와 같이 미리 늘여질 때 이용될 것이다.
축소된 지름의 범위(32), 가능하면 범위(32)에 근접한 튜브(19a)의 부분을 맞추어 만들고(tailor), ETT(19)의 도입 및 제거 동안 환자의 자연스런 기도에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튜브(19a)에 부드러운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ETT(19)의 외부 지름은 위치(24), (26)에서 다소 증가할 것이고 그에 의해 튜브(19a)의 외부 표면이 부드러워지는 대신에 교란되거나 계단이 제공된다. 이 계단을 제거하기 위해, 커프(20)가 부착될 때, ETT(19)의 외부 표면은 부드럽고 위치(24), (26)에서 계단 모양의 표면을 포함하지 않도록, 위치(24), (26)에서 튜브(19a)의 외부 표면의 작은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유사하게, 도 3B, 4, 6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스텝과 다른 외부 지름에 부드러운 변화를 제공하기 위해 범위(32)에 인접한 튜브(19a)의 외부 표면을 점점 가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범위(32)의 포함은 커프(20)가 확장될 양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기관의 내면과 원주상의 접촉을 만들기 전에 커프(20)가 압력의 안정된 상태에 도달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실리콘 커프에 의해 발생될 점막 압력은 도 2B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과정을 이용하여 측정될 것이기 때문에, 축 된 지름의 범위(32)의 포함은 점막 압력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고 과도한 점막 압력들의 회피를 더 용이하게 한다. 기관의 내면과 원주상의 접촉을 만들기 전에 커프(20)가 압력의 안정된 상태에 도달할 가능성을 증가시킬 다른 방법은 커프가 완전히 수축된 때에도 커프 물질이 늘어난 상태에 있도록(즉, 자연스런 정지 차원을 넘어서), 튜브(19a)에 그것을 설치하기 전에 커프(20)를 미리 늘이는 것이다. 그러한 늘림, 즉 미리 늘림(prestretching)은 압력의 안전된 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커프가 늘려야 하는 추가적인 양을 줄여준다. 얼마나 많은 미리 늘림이 커프에 적용되어야 하는지에는 한계가 있다. 만약 커프가 너무 많이 미리 늘어나면, 커프는 적당한 지름을 안전하게 확장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만약 커프가 적절한 지름들에 확장할 수 있게 하도록 추가적인 커프 물질이 커프를 위해 사용되면, 커프를 튜브에 고정하는 부착 점은 너무 멀리 떨어질 것이다. 지금 이해한 바와 같이, 커프에 대해 바람직한 퍼센트 늘림은 50과 100 퍼센트 사이이다. 즉, 만약 3 센티미터 선형 길이의 커프가 6 센티미터로 늘어나면, 결과적은 늘림은 100 퍼센트가 될 것이다. 늘림이 확실히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늘림은 커프의 저장 수명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디자인에서 늘림의 최적의 양은 저장수명의 고려를 포함하는 것임을 인식할 것이다.
마지막 설치 전에 커프를 늘리는 한 방법에서, 탄성 물질의 기관의 부분이 될 커프는 늘어나지 않는 방식으로 튜브(19a)에 설치될 것이고 이후 팽창될 것이다. 커프의 그 부분이 "둘로 접히도록(doubled-up)" 커프를 그 자체로 함입시키기 위해서 팽창된 커프는 이후 튜브(19a)를 따라 축상으로 당겨 진다. 둘로 접힌 커프의 부분은 이후 튜브에 고정된다. 따라서 커프는 늘어난 방식으로 튜브(19a)에 설치된다. 이것은 커프가 기관의 내면과 원주상의 접촉을 만들기 전에 압력의 안정된 상태가 성취되는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커프를 미리 늘리는 것은 커프가 튜브에 달라 붙을 가능성을 또한 줄여 준다.
도 7A-7C는 커프(20)를 미리 늘리는 이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7A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커프 물질(20)은 초기에 튜브(19a)에 부착되고 팽창된다. 이 점에서 커프의 왼쪽 단은 위치(26)에서 튜브(19a)에 부착되고, 커프의 오른쪽 단은 위치(21)에서 튜브(19a)에 부착된다. 도 7B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커프 물질을 늘이기 위해 커프는 이후 오른쪽으로 세로로 당겨 진다. 커프 물질을 오른쪽으로 당김으로써 늘이는 이 단계는 예를 들어 손으로 성취될 것이다. 도 7B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커프를 오른쪽으로 당기는 것은 위치(21)에서 부착점의 오른쪽으로 모든 커프 물질이 "둘로 접히게" 된다. 도 7C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커프 물질의 오른쪽 단이 위치(24)에서, 튜브(19a)에 접촉하도록 커프는 이후 튜브(19a)를 향하여 안쪽으로 압착된다. 커프 물질의 오른쪽 단은 이후 위치(24)에서 튜브(19a)에 부착된다. 이것은, 효과적으로, 세로로 미리 늘여진 위치(24)와 (26) 사이에 모든 커프 물질이 있음을 초래한다. 설명의 편의상, 축소된 지름의 범위(32)는 도 7A-7C에서보여지지 않지만, 그러나, 커프(20)가 범위(32)안에 위치됨을 초래하도록 거기에 설명된 단계들은 수행될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도 7A-7C과 관련된 상술한 방법은 커프(20)를 튜브(19a)에 설치하기 전에 세로 방향으로 커프 물질을 미리 늘리도록 한다. 세로로 늘리는 대신에, 커프(20)를 튜브(19a)에 설치하기 전에 커프 물질은 또한 원주상으로 늘어날 것이다. 도 8A와 8B는 그러한 원주상의 미리 늘리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는 발명에 따라 구성된 ETT의 튜브(19a)의 부분 측면도를 보여 주고, 측면도는 도 3B에서 보여진 바와 같은 9 - 선9의 일반적인 방향에서 선택된다. 도 8A에서, 19a로 표시된 원은 대부분의 속이 빈 튜브(19a)의 외부 주위를 표현하고(외부 지름은 OD2), 32로 표시된 파선의 원은 튜브(19a)의 축소된 지름의 범위(32)의 외부 주위를 표현하며(외부 지름은 OD1), 그리고 32 내의 원은, 지름이 ID로 표시되며, 속이 빈 튜브(19a)의 인접단으로부터 말단까지 뻗어 있는, 내부 루멘, 즉 기도 통로를 표현한다. 도 8B에서, 20으로 표시된 원은 탄성 물질의 튜브를 표현하며, 도 8A의 단면과 같은 일반적인 방향에서 선택된 단면으로 보여 지며, 이것은 커프(20)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팽창 루멘(30)은 도 8A에서 보여지지 않는다. 보여진 바와 같이, 커프 물질이 자연스런 정지(늘어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그 지름은 범위(32)의 그것보다 작다. 따라서, 커프 물질을 튜브(19a)위에 놓고 범위(32)내에 위치시키는 것은 커프 물질을 원주상으로 미리 늘리는 것을 초래한다. 커프 물질이 또한 원주상으로 및 세로로 미리 늘어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도 8A는 튜브(19a) 내에 동심으로 위치한 기도 통로(지름이 ID)를 보여 준다. 그러나, 기도 통로가 튜브(19a) 내에 이심으로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도 9는 그러한 이심으로 위치한 기도 루멘의 예를 보여 준다. 이심률은 튜브(19a)가 증가된 두께를 가진 튜브의 부분에 따라 쉽게 구부려 질 수 있게 한다. ETT(19a)가 제자리에 있을 때 이심률은 기관에 적용된 압력을 줄이게 할 수 있다. 도 8A에서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팽창 루멘(30)은 도 9에서 보이지 않는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튜브(19a)는 바람직하게 실리콘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다른 물질들도 또한 사용될 수 것이다. 특히, PVC와 같이 실리콘보다 더 단단한 물질로 튜브(19a)를 만드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PVC와 같은 더 단단한 물질의 사용은 범위(32)의 외부에서 튜브(19a)의 외부 지름(OD1)이 실리콘 튜브의 그것과 비교하여 축소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프가 설치된 튜브의 길이보다 10% 외부 지름을 줄임으로써 축소된 지름의 범위(32)는 PVC 튜브(19a)에서 형성된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실리콘 커프(20)를 PVC 튜브(19a)에 부착하는 것은 실리콘 커프를 실리콘 튜브에 부착하는 것보다 더 어렵다. 그러나, 수축 덮개 물질이 실리콘 커프(20)를 PVC 튜브(19a)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수축 덮개 물질은 예를 들어 튜브 또는 고리모양의 링과 같이 형성될 것이며, 두 물질들에 대해 줄어들어 튜브(19a)에 커프(20)를 고정하게 된다. 수축 덮개 물질이 커프(20)를 튜브(19a)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때, 커프가 팽창될 때 커프(20)는 세로 방향으로 말리거나(roll) 또는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하면, 위치(24)에서 커프(20)는 팽창시 왼쪽으로(ETT(19)의 인접단쪽으로) 말리거나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축소된 지름의 범위(32) 내에 위치(24), (26)을 두는 하나의 장점은, 그러한 말림과 미끄러짐은 수축 덮개 물질이 튜브(19a)의 더 두꺼운 부분에 인접하게 하고(즉, 벽 두께가 T2인 곳) 그리고 이러한 인접은 수축 덮개 물질을 제자리에 고정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게다가, 수축 덮개 물질은 두께를 부과하기 때문에, 튜브(19a)의 나머지와 범위(32)의 접합점에서, "계단(step)" 또는 거친 점을 최소화 또는 제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24), (26)이 튜브(19a)의 더 두꺼운 부분에 인접하도록 위치(24), (26)이 범위(32)의 극단에 있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위치(24), (26)이 범위(32)의 외부에 있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대신에, 위치(24), (26) 중 하나가 범위(32)내에 있고, 다른 하나가 범위(32)의 외부에 있게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수축 덮개 물질을 이용하기 위해서, 레이저 용접(laser welding), 열 용접(heat welding), 또는 다른 접착제들과 같은 다른 방법들이 커프(20)를 속이 빈 튜브(19a)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그러나, 수축 덮개 물질의 사용은 실리콘 커프를 PVC 튜브에 부착하는데 바람직하고, 여기서 용접과 같은 다른 방법들은 실리콘 커프를 실리콘 튜브에 부착하는데 바람직하다.
위의 설명은 청구항들에서 정의된 장치들의 대표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변경들은 청구항들에서 자세히 기술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상술한 기구내에서 만들어 질 것이다. 위에 포함되고 도면에서 보여진 모든 설명은설명적이고 제한적인 의미가 아닌 범위내에서 해석될 것이다. 예를 들어, ETT들이 자세히 논의되는 동안, 발명이 또한 기관 개구술 튜브들에 적용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와 같이, 발명에 따른 의학적인 장치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속이 빈 튜브들 또는 기관부재들은 그들의 전체적인 길이를 따라 일정한 단면을 가지고 있는 완전한 튜브들일 필요는 없다. 오히려, 기관부재들은 미리 형성된 굴곡들, 또는 각들(기관 개구술 튜브의 경우에서와 같이)을 포함할 것이다. 또한, 기관부재들의 외부 지름은 축소된 지름의 구역내에서 또는 그 구역의 외부에서 일정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축소된 지름의 구역의 최소한 일부분의 외부 지름은 축소된 지름의 구역에 인접한 기관부재의 부분의 외부 지름보다 일반적으로 더 작을 것이다. 또한, 여러 개의 다른 방법들과 구조들이 개별적으로 논의되어 왔으나(예를 들어, 직조된 외부 표면, 보강 부재, 미리 늘림), 그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발명에 따라 구성된 ETT는 보강 선, 직조된 외부 표면을 가진 축소된 지름의 구역, 미리 늘어난 커프를 포함할 것이다.

Claims (23)

  1. A. 인접단, 말단 및 인접단으로부터 말단으로 부재를 따라 연장된 루멘을 가지는 기관부재(tubular member)(19a) - 상기 기관부재는 첫번째 구역(32)과 두번째 구역을 정의하며, 상기 첫번째 구역의 최소한 일부분은 첫번째 외부 지름(OD1)을 가지고, 상기 두번째 구역은 두번째 외부 지름(OD2)을 가지며, 상기 첫번째 외부 지름은 상기 두번째 외부 지름보다 작고, 상기 첫번째 구역은 상기 두번째 구역에 인접하며, 상기 첫번째와 두번째 구역들은 인간 환자의 기관에 삽입되도록 형성됨-;
    B. 상기 기관부재에서 (24, 26)에 부착된 팽창가능한 커프(20) - 상기 커프는 첫번째 구역의 최소한 일부분에 대하여 연장되어 있음-;
    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19).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한 커프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는 약 10 Shore A의 강도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는 늘어나지 않은 지름이 상기 첫번째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의 지름이 약 1.5cm보다 작을 때 팽창시 상기 커프는 압력의 안정된 상태에 도달하는 의료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부재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부재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구역은 외부의 직조된 표면(50)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된(textured) 표면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나선형 홈들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된 표면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홈들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루멘의 중심은 기관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의료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루멘은 기관부재와 이심으로(eccentrically) 위치하는 의료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부재의 벽은 팽창 루멘을 명확하게 하고, 상기 팽창 루멘(30)은 팽창가능한 커프의 내부와 유체 흐름안에 있는 의료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루멘으로부터 상기 팽창가능한 커프의 내부로 뻗어 있는 확장 루멘(36)을 더 포함하는 의료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부재의 최소한 한 부분을 따라 뻗어 있는 나선형의 보강 부재(42)를 더 포함하는 의료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는 상기 전체적인 첫번째 구역에 대해 뻗어 있는 의료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는 상기 전체적인 첫번째 구역과 상기 두번째 구역의 최소한 부분에 대해 뻗어 있는 의료 장치.
  18. A. 제1항에 정의된 기관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B. 일반적으로 기관의 형태를 명확하게 하는 탄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상기 탄성 물질이 늘어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탄성 물질의 원주는 상기 기관부재의 상기 첫번째 구역의 원주보다 더 작음 - ;
    C. 상기 탄성 물질의 원주가 상기 첫번째 구역의 원주보다 더 클 때까지 상기 탄성 물질을 늘리는 단계;
    D. 상기 늘어진 탄성 물질안에서 상기 기관부재의 최소한 일부분을 배치하는 단계;
    E. 상기 탄성 물질이 상기 첫번째 구역의 최소한 부분을 둘러 싸는 팽창가능한 커프를 뚜렷하게 하도록 상기 탄성 물질의 부분들을 상기 기관부재에 밀봉하는 단계 -상기 커프의 원주는 수축될 때 상기 늘어나지 않은 탄성 물질의 원주보다 큼 -
    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첫번째 구역을 뚜렷하게 하기 위해 상기 기관부재로부터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직조된 표면을 가지는 상기 첫번째 구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나선형의 홈들을 포함하는 직조된 표면을 가지는 상기 첫번째 구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홈들을 포함하는 직조된 표면을 가지는 상기 첫번째 구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
  23.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부재에서 나선형의 보강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47011478A 2002-01-23 2003-01-08 점막 압력의 정밀 측정이 가능한 기관 튜브 KR100980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112802P 2002-01-23 2002-01-23
US60/351,128 2002-01-23
US10/144,397 2002-05-13
US10/144,397 US7360540B2 (en) 2002-01-23 2002-05-13 Endotracheal tube which permits accurate determination of mucosal pressure
PCT/EP2003/000105 WO2003061747A1 (en) 2002-01-23 2003-01-08 An endotracheal tube which permits accurate determination of mucosal press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134A true KR20040078134A (ko) 2004-09-08
KR100980761B1 KR100980761B1 (ko) 2010-09-10

Family

ID=2684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478A KR100980761B1 (ko) 2002-01-23 2003-01-08 점막 압력의 정밀 측정이 가능한 기관 튜브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360540B2 (ko)
EP (1) EP1467792B1 (ko)
JP (1) JP4913987B2 (ko)
KR (1) KR100980761B1 (ko)
CN (1) CN100415316C (ko)
AT (1) ATE551089T1 (ko)
AU (1) AU2003236793B2 (ko)
BR (1) BRPI0307108B8 (ko)
CA (1) CA2473887C (ko)
ES (1) ES2395479T3 (ko)
IL (1) IL162985A (ko)
MX (1) MXPA04007131A (ko)
NZ (1) NZ534178A (ko)
RU (1) RU2314836C2 (ko)
TW (1) TWI252764B (ko)
WO (1) WO20030617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9409A (en) * 1997-07-25 2000-06-27 Brain; Archibald Ian Jeremy Intubating laryngeal mask
GB0218868D0 (en) * 2002-08-14 2002-09-25 Nasir Muhammed A Improved airway management device
AU2004264714B2 (en) * 2003-08-14 2010-07-29 Muhammed Aslam Nasir Improved airway device
GB0411858D0 (en) * 2004-05-27 2004-06-30 Young Peter J Device to facilitate airway suctioning
US7730888B2 (en) * 2004-09-09 2010-06-08 Spivan, Llc Nasopharyngeal airway device and method of use
US7100612B2 (en) * 2004-09-09 2006-09-05 Epic Corporation Nasopharyngeal airway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060207603A1 (en) * 2005-02-14 2006-09-21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Ventilator attachment for tracheal T-tubes
US20120180796A1 (en) * 2005-03-19 2012-07-19 Smiths Group Plc Tracheostomy Tubes
US9243650B2 (en) 2005-10-11 2016-01-26 Steven C. Elsner Fin array for use in a centrifugal fan
US20070289596A1 (en) * 2006-06-14 2007-12-20 Campbell Shannon E Endotracheal cuff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US8196584B2 (en) 2006-06-22 2012-06-12 Nellcor Puritan Bennett Llc Endotracheal cuff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US7654264B2 (en) 2006-07-18 2010-02-02 Nellcor Puritan Bennett Llc Medical tube including an inflatable cuff having a notched collar
US8307830B2 (en) 2006-09-29 2012-11-13 Nellcor Puritan Bennett Llc Endotracheal cuff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GB0623535D0 (en) * 2006-11-25 2007-01-03 Smiths Group Plc Suction apparatus and connectors
GB0700045D0 (en) * 2007-01-03 2007-02-07 Smiths Group Plc Cuffed medical tubes
GB2452776A (en) * 2007-09-17 2009-03-18 Internat Patents Inc Method for monitoring an airway device such as an endotrachael tube
GB0810169D0 (en) * 2008-06-04 2008-07-09 Cosmeplast Ets Improvements relating to respiratory interface devices
USD665495S1 (en) 2009-07-14 2012-08-14 Muhammed Aslam Nasir Medical device
US9421341B2 (en) 2010-02-27 2016-08-23 King Systems Corporation Laryngeal tube
US8555887B2 (en) 2010-04-30 2013-10-15 Covidien Lp Tracheal tube with dividing membrane
GB201010647D0 (en) 2010-06-24 2010-08-11 Docsinnovent Ltd Stopper device
US8602030B2 (en) 2010-06-30 2013-12-10 Covidien Lp Tracheal tubes with improved secretion removal systems
USD688787S1 (en) 2011-06-08 2013-08-27 Intersurgical Ag Airway device cap and strap holder
USD693920S1 (en) 2011-06-08 2013-11-19 Intersurgical Ag Airway device
USD665254S1 (en) 2011-06-08 2012-08-14 Intersurgical Ag Airway device packaging
US20130000649A1 (en) * 2011-06-29 2013-01-03 Nellcor Puritan Bennett Llc Tracheal tube with controlled-profile cuff
USD712244S1 (en) 2011-09-23 2014-09-02 Intersurgical Ag Medical device package
GB201201438D0 (en) 2012-01-27 2012-03-14 Docsinnovent Ltd Improved stopper device
USD761952S1 (en) 2012-07-27 2016-07-19 Docsinnovent Limited Airway device
US10569038B2 (en) * 2012-07-06 2020-02-2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ual lumen endobronchial tube device
GB201303553D0 (en) * 2013-02-28 2013-04-10 Smiths Medical Int Ltd Tracheostomy tube assemblies and inner cannulae
WO2015013378A1 (en) * 2013-07-25 2015-01-29 Medical Instrument Ventures, Llc Cuffed tracheal tube
GB201319087D0 (en) 2013-10-29 2013-12-11 Indian Ocean Medical Inc Artificial airway device
GB2555360B (en) 2013-12-17 2018-10-10 Intersurgical Ag Intubating Airway Device
GB201405132D0 (en) 2014-03-21 2014-05-07 Indian Ocean Medical Inc Fixation apparatus
US20160101253A1 (en) * 2014-10-08 2016-04-14 Husam Ibrahim ALAHMADI Protective endotracheal tube
USD782658S1 (en) 2015-02-02 2017-03-28 Indian Ocean Medical Inc. Airway device
USD842456S1 (en) 2015-12-15 2019-03-05 Intersurgical Ag Airway device
CN105477758A (zh) * 2016-01-29 2016-04-13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新型气管插管
CN105797252B (zh) * 2016-05-27 2019-07-09 熊振天 一种双腔气管导管定位方法、装置和导管
DE102016120822A1 (de) * 2016-11-02 2018-05-03 Tracoe Medical Gmbh Biegbare Trachealbeatmungsvorrichtung
US20180272090A1 (en) * 2017-03-27 2018-09-27 Hansa Medical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patient's tracheal wall during percutaneous procedures
USD848609S1 (en) * 2017-11-21 2019-05-1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Endotracheal tube
GB201720733D0 (en) 2017-12-13 2018-01-24 Ashkal Development Ltd Airway device
CN110064123A (zh) * 2019-03-28 2019-07-30 暨南大学 一种专用于腹腔镜袖状胃切除术的胃管引导管
USD1025348S1 (en) 2020-04-16 2024-04-30 Intersurgical Ag Airw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7817A (en) 1965-07-26 1968-10-29 Air Reduction Inc Catheter with cuff inflater and indicator
US3884242A (en) * 1971-03-29 1975-05-20 Mpc Kurgisil Catheter assembly
GB1399093A (en) 1971-06-11 1975-06-25 Matburn Holdings Ltd Nasal tracheal tubes
US3734100A (en) * 1973-05-07 1973-05-22 Medical Products Corp Catheter tubes
DK625174A (da) * 1974-12-02 1976-06-03 V N F Lomholt Respirationskateter
US4341210A (en) * 1978-09-15 1982-07-27 Elam James O Cuffed endotracheal tube and method
JP2736896B2 (ja) * 1988-07-18 1998-04-02 テルモ株式会社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H0349398U (ko) * 1989-09-20 1991-05-14
US5447497A (en) * 1992-08-06 1995-09-05 Scimed Life Systems, Inc Balloon catheter having nonlinear compliance curve and method of using
DE19547538C2 (de) * 1995-12-20 1999-09-23 Ruesch Willy Ag Instrument zur Anwendung bei einer interventionellen flexiblen Tracheo-/Bronchoskopie
US5792144A (en) * 1997-03-31 1998-08-11 Cathco, Inc. Stent delivery catheter system
GB2324735B (en) 1997-04-28 2001-06-20 George Downward A device to seal the trachea in the intubated patient
KR100530607B1 (ko) * 1997-10-08 2005-11-22 가부시키가이샤 가네가 풍선 카테테르 및 그 제조방법
US5957134A (en) 1997-11-18 1999-09-28 Lee; Han Shik Anesthesia delivery system
US6093142A (en) * 1998-04-30 2000-07-25 Medtronic Inc. Device for in vivo radiation delivery and method for delivery
CN2348861Y (zh) * 1998-10-22 1999-11-17 杜长军 盲插型气管内插管
CA2468108A1 (en) * 1999-09-27 2003-06-05 Merlyn Associates, Inc. Endotracheal tube with tip directional control and position preserving mechanism
US6723113B1 (en) * 2000-01-19 2004-04-20 Cordis Neurovascular, Inc. Inflatable balloon catheter seal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62985A (en) 2011-09-27
NZ534178A (en) 2007-05-31
JP4913987B2 (ja) 2012-04-11
BRPI0307108B1 (pt) 2017-05-09
KR100980761B1 (ko) 2010-09-10
CN100415316C (zh) 2008-09-03
ES2395479T3 (es) 2013-02-13
EP1467792B1 (en) 2012-03-28
CN1620321A (zh) 2005-05-25
RU2004122627A (ru) 2005-04-10
CA2473887C (en) 2010-09-14
CA2473887A1 (en) 2003-07-31
RU2314836C2 (ru) 2008-01-20
US7360540B2 (en) 2008-04-22
WO2003061747A1 (en) 2003-07-31
TWI252764B (en) 2006-04-11
ATE551089T1 (de) 2012-04-15
JP2005515040A (ja) 2005-05-26
EP1467792A1 (en) 2004-10-20
AU2003236793B2 (en) 2008-06-05
PL371249A1 (en) 2005-06-13
BR0307108A (pt) 2004-12-28
BRPI0307108B8 (pt) 2021-06-22
TW200302117A (en) 2003-08-01
MXPA04007131A (es) 2005-05-16
US20030136413A1 (en) 200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761B1 (ko) 점막 압력의 정밀 측정이 가능한 기관 튜브
AU2003236793A1 (en) An endotracheal tube which permits accurate determination of mucosal pressure
US4328056A (en) Method of making a cuffed tube
JP4644673B2 (ja) 呼吸補助器
US3890976A (en) Catheter tip assembly
US2912981A (en) Inflatable retention catheter
US4043346A (en) Catheter
US7534224B2 (en) Catheter with unitary component
US4827925A (en) Cuffless adjustable endotracheal tube
US3901246A (en) Balloon tracheal catheter with inflation valve and indicator
US20050065468A1 (en) Bladder catheter
JPH04272766A (ja) 外科医療用チューブ
JPH08511965A (ja) 膨張カテーテル及びその使用方法
US20080306441A1 (en) Non-buckling balloon catheter with spring loaded floating flexible tip
JP2000167060A (ja) カフ付きチュ―ブ
US4248222A (en) Endotracheal tube having a relief valve
US20080125757A1 (e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with enlarged sealing surface
Watson Development of the PVC endotracheal tube
JPS60182963A (ja) 気管用チユーブ
JP2021514284A (ja) カテーテル膨張可能カフ圧力安定器
RU2814999C2 (ru) Баллонный катетер
CN219148877U (zh) 一种适用于单肺通气的双腔气管导管
PL203659B1 (pl) Rurka dotchawiczna, umo zliwiaj aca dok ladne wyznaczenie ci snienia sluzówkowego oraz sposób wytwarzania rurki dotchawicznej umo zliwiaj acej dok ladne wyznaczenie ci snienia sluzówkowego
KR20200021224A (ko) 위치가변형 디텍터를 포함하는 이중 튜브 구조의 근전도 검출용 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