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5073A - 광 정보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광 정보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5073A
KR20040075073A KR10-2004-7010778A KR20047010778A KR20040075073A KR 20040075073 A KR20040075073 A KR 20040075073A KR 20047010778 A KR20047010778 A KR 20047010778A KR 20040075073 A KR20040075073 A KR 20040075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m
signal
ram
optical
magne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0928B1 (ko
Inventor
아오야마노부히데
아끼야마료타
모리모토야스아끼
호소가와데쯔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00406A external-priority patent/JP4321986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5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29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carbon
    • H01L23/293Organic, e.g. plasti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08L71/123Polyphenylene oxide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22Static electricity metal bleed-off metallic stock

Abstract

광 정보 기록 매체는, ROM-RAM 정보의 동시 독출에 있어서, RAM 정보를 안정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는 ROM 신호가 되는 위상 피트가 형성되는 ROM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기 ROM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성막된 RAM 신호가 기록되는 광자기 기록막을 지니고, 상기 ROM 영역 중, 적어도 사용자 영역의 변조도가 10%∼37%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영역의 위상 피트의 변조도가 15%∼25%이다. 한 형태로서, 상기 위상 피트의 광학적 깊이가 대략 λ/8 ∼λ/10(단, 상기 λ는 기록 재생에 사용되는 레이저 파장임)이다.

Description

광 정보 기록 매체{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현재, 광자기 디스크 메모리에 대해서, 고밀도 기록ㆍ재생 및 고속 액세스의 점에서 연구ㆍ개발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ISO 규격의 기록 매체로서, 일례로 광자기 디스크의 평면도이다. 리드인(1)과 리드아웃(2)은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에 형성된 요철을 반사막에 의해 반사시키는 원리의 위상 피트로 구성되는 ROM 정보이며, 디스크 사양 등의 정보가 기록된다. 이것을 읽음으로써 장치는 기록 재생 조건을 제어하고 있다.
이 ROM 정보가 되는 위상 피트의 광학적 깊이(피트 깊이)는, 재생시의 광 강도 변조가 최대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70% 이상의 변조도(그루브나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탄부의 광 강도에 대한 위상 피트부의 광 강도의 변화 비율)로 설정되고 있다.
리드인(1)과 리드아웃(2) 사이에는 광자기 기록막이 스퍼터 장치에 의해 성막되어 있는 사용자 영역(3)이 있다. 이 사용자 영역(3)에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 영역(3)을 확대한 평면도의 일부이다. 트랙킹 가이드가 되는 그루브(4)에 끼워진 랜드(5)에 헤더 일부(6)가 되는 위상 피트(8)와, 사용자 데이터부(7)를 갖고 있다. 헤더 일부(6)의 정보는 섹터ㆍ포맷에 따라서 섹터 마크, VFO, ID 등으로 구성된다.
다른 한편, 사용자 데이터부(7)는 그루브(4)에 끼워진 평탄한 랜드(5)로, 광자기 신호로서 기록된다. 광자기 기록막에 레이저광에 의한 가열에 의해 자화 반전을 도와, 신호 자계에 대응하여 자화 방향을 반전시켜 광자기 신호의 기록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2의 반경 방향 즉, A-B선을 따른 단면의 개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기판(A), 유전체막(B), TbFeCo 등의 광자기 기록막(C), 유전체막(D), Al막(E)과, 보호층으로서의 UV 경화막(F)을 적층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3은 도 2의 구성에 대하여, 또 최근의 광자기 디스크에 대응하여 수정하여 나타내어져 있다. 즉, 도 3에 있어서, 그루브(4)의 영역에도 광자기 기록을 하게 하기 위해서, 랜드(5)의 영역과 반경 방향에 있어서, 같은 폭을 갖는 것처럼 나타내어져 있다.
기록 정보를 독출할 때는, 약한 레이저광을 댐으로써, 레이저광의 편광면이 기록층의 자기 방향에 의해서 Polar Kerr 효과에 의해 변하며, 이 때의 반사광의 편광 성분의 강약에 의해 신호의 유무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RAM 정보의 독출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광자기 디스크 메모리의 특징을 살리는 연구ㆍ개발이 진행되어,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6-202820호 공보 혹은, 텔레비전학회지 논문 Vol. 46, No. 10, pp1319∼1324(1992)에, ROM(Read Only Memory)-RAM(Random Access Memory)에 의한 동시 재생이 가능한 콘커런트(concurrent) ROM-RAM 광 디스크(이후, 광 정보 기록 매체라 함)에 관해서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ROM-RAM에 의한 동시 재생이 가능한 광 정보 기록 매체는 도 4에 도시하는 반경 방향의 단면 구조를 지니며, 일례로서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기판(A), 유전체막(B), TbFeCo 등의 광자기 기록막(C), 유전체막(D), Al막(E)과, 보호층으로서의 UV 경화막(F)을 적층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ROM 정보는 위상 피트(PP)에 의해 고정 기록되며, RAM 정보는 위상 피트(PP)열 상에 광자기 기록(OM)에 의해 기록된다. 한편, 도 5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의 A-B면 방향의 단면이 도 4에 일치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위상 피트(PP)열이, 트랙킹 가이드로 되기 때문에, 도 2,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은 그루브(4)를 형성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ROM 정보와 RAM 정보를 동일 기록면에 갖는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위상 피트(PP)로 이루어지는 ROM(독출 전용) 정보와 광자기 기록 OMM으로 이루어지는 RAM(기록/재기록 가능) 정보를 동시에 재생하기 위해서는, 많은 과제가 존재한다. 첫째로 ROM 정보와 함께, RAM 정보를 안정적으로 재생하려면, ROM 정보 독출에 있어서 생기는 광 강도 변조를 저감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ROM 정보의 독출에 따른 광 강도변조 신호를 독출하여, 이것을 구동용 레이저로 피드백시킴으로써(이하 MPF[Modulated Power Feedback]라고 부름) 광 강도 변조 신호를 저감시키고 있다.
그러나, ROM 정보의 광 강도 변조 정도가 큰 경우는,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 즉, ROM 정보에 의한 광 강도 변조를 저감시킴에 있어서, 이 광 강도 변조를 지나치게 저감하는 경우는, ROM 정보 자체의 재생 마진이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광자기 기록에 관련되는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소61-60147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러한 기술에 있어서, 광자기 기록을 이용하여 기록 재생을 행하는 광자기 디스크는 나선형의 홈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연속되는 나선형 홈에 있어서, 그 홈의 일부분의 있고없음에 따라 어드레스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거의 연속해서 홈을 안정적으로 형성해야 하며, 일부 홈을 없애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기판에 만들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 일본 특허 공개 소57-147139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안내 홈을 지니며, 번지 정보가 위상 정보에 의해 미리 기록된 기판에, 기록 재료를 균일하게 도포한 광학적 기록 디스크를 이용하고, 또한 번지 정보 기록부에도 메인 정보를 기록하여 재생하는 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특히, 메인 정보와 기록 정보의 분리에 있어서, 각각 다른 주파수로 기록하여, 대역 분리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번지 정보와 메인 정보를 주파수 대역에 의해 분리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신호를 분리함에 있어서, 기록 주파수 등의 영향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소63-55777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 기술에서는, 데이터 기록부와 보조 데이터 기록부를 갖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를 대상으로 하여, 보조 데이터 기록부의 재생 수단, 복수의 변조 방식의 선택 수단을 지니며, 선택된 변조 방식에 의해 데이터 기록을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에서는, 보조 데이터부를 메인 데이터부로부터 영역적으로 분리할 뿐이며, ROM과 RAM을 중첩 기록하고, 또 ROM과 RAM 양방의 정보를 재생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는 등의 효과를 시사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일본 특허 공개 평11-283358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광 디스크에 있어서, 리드인과 리드아웃부에 재기록 불가능한 엠보스 데이터 부분과 재기록 가능한 데이터 부분을 두고 있다. 데이터 영역의 재기록 가능/불가의 전환을, 리드인 또는 리드아웃의 재기록 가능 영역의 정보에 의해 식별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재기록을 금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보안 강화 등의 효과를 시사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광 정보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ROM-RAM 동시 재생이 가능한 광 정보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ISO 규격의 매체로, 일례로서 광자기 디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광자기 디스크 메모리의 사용자 영역(3)을 확대한 평면도의 일부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A-B면을 따른 반경 방향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ROM-RAM에 의한 동시 재생이 가능한 광 정보 기록 매체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구조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ROM 정보와 RAM 정보의 기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한 전제가 되는 위상 피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자에 의해 측정한 변조도 및 트랙킹 에러 신호(TES)의 피트 깊이(Pd) 및 피트 폭(Pw)에 대한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위상 비트의 변조도가 ROM 신호 및 RAM 신호의 지터에 영향을 주는 것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9는 변조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측정한 ROM 지터와 RAM 지터의 변조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ROM에서 광자기 기록(MO)으로의 누설(크로스토크)량의 제1 측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측정방법에 의해, ROM 신호에서 MO 신호로의 누설(c-d)과 지터의 관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3(도 13a∼13c)은 ROM에서 광자기 기록(MO)으로의 누설(크로스토크)량의 제2 측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2 측정 방법에 의해, ROM 신호에서 MO 신호로의 누설(스트로크량)과 지터의 관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샘플의 위상 피트 깊이(Pd)에 대한 지터의 값이다.
도 16은 샘플의 위상 피트의 폭과 빔 지름의 비에 대한 지터의 값이다.
도 17은 ROM 신호에 대하여 RAM 신호인 MO 신호의 기록 타이밍을 변위시킨 량(ΔT/T%)에 대하여, 지터를 측정했을 때의 특성 그래프이다.
도 18은 도 17에 관련하여 클록(T)에 대하여, 50% 즉, 0.5T 변위했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검출 광의 빔 강도 형상과 피트 형상의 탄젠샬 방향 단면도이다.
도 20은 변조도의 근사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푸시풀 신호의 근사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검출 광의 빔 스폿 형상과 피트 형상의 탄젠샬 방향 단면도이다.
도 23은 광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한 기억 장치의 실시예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24는 4분할 포토디텍터(22)와, 그 출력에 기초한 포커스 에러(FES) 검출 및 트랙 에러(TES) 검출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메인 컨트롤러(15)의 상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각 모드에서의 ROM1, ROM2 및 RAM의 검출 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암호기(151) 및 복호기(156)의 구성과 이들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RAM 및 ROM 신호의 변조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를 펄스로 발광시키는 자계 변조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기록 마크 형상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도 31a∼31b)은 동기 처리를 위해 ROM 신호의 클록을 재생하는 메인 컨트롤러(15) 내의 동기 검출 회로(154)의 구성예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의 ROM 기록 용량과 RAM 기록 용량을 10으로 하여 다른 디스크 매체 사양을 비교하는 표이다.
도 33은 종래의 P-ROM 매체와 비교되는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의 또 다른 실시형태 예의 평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실시형태 예에 의한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의 ROM 기록 용량과 RAM 기록 용량을 10으로 하여 비교하는 다른 디스크 매체 사양을 비교하는 표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여러 가지로 검토하여 ROM 정보의 독출에 있어서의 광 강도 변조의 저감에 대해서 적성치가 존재한다는 인식을 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ROM-RAM 정보의 동시 독출에 있어서, RAM 정보를 안정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ROM-RAM 정보의 동시 독출에 있어서, ROM 정보인 위상 피트 엣지가 발생하는 편광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ROM-RAM 정보의 동시 독출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다용도로 적용할 수 있는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1 형태로서, ROM 신호가 되는 위상 피트가 형성되는 ROM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기 ROM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성막된 RAM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광자기 기록막을 지니고, 상기 ROM 영역 중, 적어도 사용자 영역에 있는 상기 위상 피트의 변조도가 10%∼37%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2 형태로서,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영역의 변조도가 또한 15%∼25%의 범위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3 형태로서, 제1 형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위상 피트의 광학적 깊이가 대략 λ/8∼λ/10(단, λ은 기록 또는 재생에 사용되는 레이저 파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4 형태로서,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위상 피트의 피트 폭이 트랙 피치 폭에 대하여 18∼2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5 형태로서, 제2 형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ROM 신호가 되는 위상 피트가 형성되는 ROM 영역과 다른 영역에, 상기 기판 상에 RAM 신호만을 기억하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6 형태로서, 제5 형태에 있어서, 상기 RAM 신호만을 기억하는 영역은 랜드ㆍ그루브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7 형태로서, 제5 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디스크 형상을 지니며, 상기 RAM 신호만을 기억하는 광자기 기록막은 상기 ROM 영역에 대하여, 동심형 혹은 나선형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ROM 영역보다 외측 혹은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8 형태로서,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ROM 영역에 기록되는 ROM 신호와,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RAM 신호에 대하여, 다른 기록 변조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9 형태로서,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RAM 신호의 기록에, 자계 변조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10 형태로서,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또한 안내 홈이 새겨지고, 상기 위상 피트의 검출 광량이 상기 안내 홈만의 검출 광 레벨에 대하여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11 형태로서, ROM 신호가 되는 위상 피트가 형성되는 ROM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기 ROM 영역에 RAM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광자기 기록막을 지니고, ROM 신호와 RAM 신호를 조합시켜 생성된 에러 정정 신호가, 상기 RAM 신호로서 상기 광자기 기록막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12 형태로서, ROM 신호가 되는 위상 파트가 형성되는 ROM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기 ROM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성막된 RAM 신호가 기록되는 광자기 기록막을 지니고, 상기 RAM 신호를 기억하는 광자기 기록막의 일부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13 형태로서,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RAM 신호를 기억하는 광자기 기록막의 기록 블록의 번지가 상기 ROM부의 블록 번지와 일치하거나 혹은 일정한 대응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14 형태로서, 제2 형태에 있어서, 단위 데이터 정보가 ROM 신호와 RAM 신호로 분할되어, 각각 상기 ROM 영역 및 상기 광자기 기록막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15 형태로서, ROM 신호가 되는 위상 피트가 형성되는 ROM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성막된 RAM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광자기 기록막을 갖는 ROM/RAM 동시 재생 가능한 디스크형의 기록 매체로서, 상기 디스크의 1주 이상에 단일 주파수의 반복 위상 피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16 형태로서, 제15 형태에 있어서, 상기 ROM의 마크 길이와 간격이 단일 주기로 반복 기록되어 있는 영역에, RAM 신호로서 ROM과는 다른 주파수의 단일 반복의 광자기 기록 마크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광자기 기록 마크의 독출 출력 레벨을 c(dB), ROM 신호의 누설 출력 레벨을 d(dB)로 했을 때, 15 < c-d < 3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17 형태로서, ROM 신호가 되는 위상 피트가 형성되는 ROM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기 ROM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성막된 RAM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광자기 기록막을 지니고, 상기 ROM 영역에 랜덤한 마크 길이로 기록되어 있는 영역에 RAM 신호로서, 광자기 기록 마크가 기록되어 있을 때의, 광자기 기록 신호의 재생 진폭을 e, 상기 광자기 기록 마크가 소거되어 있을 때의 광자기 기록 신호 재생에 있어서의 상기 ROM 신호의 상기 광자기 기록 신호에의 누설 진폭을 f로 했을 때, 16 <100×f/e < 3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18 형태로서 제16 또는 제17 형태에 있어서, 상기 위상 피트의 광학적 깊이가 대략 λ/8∼λ/14, 바람직하게는 λ/9∼λ/1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19 형태로서 제16 또는 제17 형태에 있어서, 상기 위상 피트의 폭이 빔 지름에 대하여 18%∼5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20 형태로서 제1, 제16 또는 제17 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사용자 영역에 상기 RAM 신호가 되는 광자기 기록 마크의 엣지부와 ROM 신호가 되는 위상 피트부가 겹치지 않게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하기 도면에 따라서 설명되는 발명의 실시형태로부터 더욱 분명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형의 광 정보 기록 매체의 단면 형상은, 도 3, 도 4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며, 또 ROM과 RAM 신호의 기록에 관해서는, 도 5에 도시한 것으로 마찬가지이다.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약 30 mm∼120 mm의 지름을 갖는 디스크형의 폴리카보네이트 기판(A)에 SiN 등의 유전체층(B)를 성막하고, 이어서 TbFeCo 등의 광자기 기록막(C), 또 유전체막(D), Al 반사막(E)의 순으로 성막하고, 마지막으로 UV 경화 수지로 이루어지는 오버코트(F)를 실시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ROM 신호로서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위상 피트(PP)열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광자기 기록막(C) 위에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그루브를 형성할필요는 없지만, 기억 장치에 있어서, 트랙 제어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루브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형성되는 랜드에 광자기 기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한 전제가 되는 위상 피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참조 기호 Pd는 위상 피트의 깊이 즉, 광학적 깊이를 의미하고 있다. 트랙 피치(Tp)는 반경 방향의 위상 피트 상호간의 간격, 피트 폭(Pw)은 반경 방향의 위상 피트의 폭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더욱 연구하여 비트 형상에 기초한 광 강도 변조도 및 트랙킹 에러 신호(TES)가, 비트 깊이(Pd) 및 피트 폭(Pw)에 의존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확인을 위해 사용한 샘플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샘플로서, 복수의 위상 피트가 다른 복수의 기판을 폴리카보네이트 재료로 약 1.2 mm 두께가 되도록 사출성형하여 작성했다. 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 구조는 기판/SiN/TbFeCo/GdFeCo/SiN/Al이다. GdFeCo층은 Kerr 회전각 증대를 위해 삽입했다.
도 7은 본 발명자에 의해 상기 샘플에 대해서 시뮬레이션 측정한 광 강도 변조도 및 트랙킹 에러 신호(TES)의 피트 깊이(Pd) 및 피트 폭(Pw)에 대한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정보의 검출(독출) 광의 파장을 λ로 했을 때의 피트 깊이(Pd) 즉, 광학적 깊이를 나타내고 있다. 좌측 종축은 광 강도 변조도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우측 종축에 나타내는 트랙킹 에러 신호는 이후에 설명하는 푸시풀법에 의해 구해지는 경우이다. 여기서, 판독 오차에 이르지 않는 AGC 후(오토 게인 컨트롤 회로로부터의 출력)의 트랙킹 에러 신호(TES)는 대강 0.5 이상이다.
따라서, 도 7에 있어서, AGC 후의 트랙킹 에러 신호(우측 종축 참조)가 0.5 이상이 될 때의 피트 깊이(Pd)는 λ/10 ∼ λ/4이며, 피트 폭(Pw)이 0.29 이상이다.
한편, 본 발명자의 여러 가지 연구ㆍ평가에 의해 위상 피트의 변조도가 ROM 신호 및 RAM 신호의 지터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발견했다. 즉, 콘커런트 ROM-RAM 특유의 문제, 즉 동시에 ROM 신호와 RAM 신호가 검출되는 데에 문제가 있음을 발견했다. ROM 신호만, 혹은 RAM 신호만 검출하는 방식이라면, 각각에 알맞은 변조도를 검토하면 되지만, 양방의 신호 검출에 적당한 변조도로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도 8의 표는 광 정보 기록 매체의 포맷을 CD(컴팩트 디스크 : Compact Disk) 포맷으로 하고, 최단 마크 길이(3T)는 0.833 μm, 트랙 피치를 1.6 μm로 하고, 또한 대물 렌즈의 개구수(NA) 0.50, 레이저 파장을 785 nm로 하는 조건에 있어서의 측정치이다.
여기서, 지터에 관하여, CD-MO(광자기 기록 매체)에서는 40 ns 이하, CD-WO(기록 가능 광자기 기록 매체)에서는 30 ns 이하로 하는 것이 요건으로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쌍방의 기능을 갖는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콘커런트 ROM-RAM 광자기 기록 매체에 대해서는, 지터가 35 ns 이하로 할 것을 요구하게 함으로써, 블록 에러율을 3%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데이터 대 데이터(Data to Data)에서의 지터를 σ로 하여, 윈도우 폭,즉, 클록 주기(T=231 ns)에 대한 클록 대 데이터(Clock to Data)의 지터 비율로 나타내면 σ/(T√2)ㆍ100으로 나타내어진다. 이러한 지터 비율은, 15% 이하라면 일반적으로 문제없다고 여겨지는 표준적인 값으로서 알려져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상기한 콘커런트 ROM-RAM 광자기 기록 매체에 대하여 지터(σ)에 대하여 35 ns 이하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지터 비율을 구하면, 10.7%가 되어 실용상 문제를 일으키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표로부터 허용 가능한 지터가 35 ns 이하인 위상 피트 변조도는 대략 15%∼25%의 범위라고 이론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때의, 위상 피트의 검출 광량은 그루브(안내 홈)만의 검출 레벨에 대하여 70% 이상이 된다.
이러한 평가에 기초하여, 도 7을 참조하면, 위상 피트 변조도(좌측 종축 참조)를 15%∼25%의 범위로 얻는 것은 피트 폭(Pw)이 대략 0.25 μm∼0.37 μm이고, 피트 깊이(Pd)가 약 λ/10 ∼ λ/8의 범위이다.
따라서, 장치나 매체의 특성이나 양산성에 필요한 값으로서 고려하면 AGC 후의 트랙킹 에러 신호가 0.5 이상이며, 또한 위상 피트 변조도가 15%∼25%의 범위인 양 조건을 만족하는 피트 깊이(Pd)는 약 λ/10∼λ/8이고, 피트 폭(Pw)은 트랙 피치 폭의 18%∼24%의 범위인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한 범위를 만족하는 하나의 실시예는, 홈 깊이(V홈) 및 피트 깊이를 공히 λ/8, 피트 폭을 랜드 폭의 20%로 하는 경우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되는 상기한 피트 깊이(Pd) 및 피트 폭(Pw)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ROM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ROM 정보와 RAM 정보의 동시 독출에 있어서 광 강도 변조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반도체 레이저의 발광을 피드백 제어하는 방법에서는 충분하지 못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도를, 샘플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구하여 보았다. 변조도의 측정 방법으로서, 테스터에 샘플을 셋트하여, 회전시키고 도 5에 도시하는 위상 피트(PP)에 트랙킹을 걸어 위상 피트(PP)의 ROM 신호를 재생한다. 이 때,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그라운드 레벨(GND)에 대하여, ROM 재생 신호의 스페이스부 반사 레벨(a)과 마크부 반사 레벨(b)의 비를 이용하여, 다음 식에 의해 변조도를 정의한다.
변조도= b/a ×100(%)
이 변조도의 정의에 기초하여, 상기 샘플을 테스터에 장착하여, ROM 지터와 RAM 지터를 측정했다.
도 10은 하기의 테스터 조건, 기록 조건 및 재생 조건으로 측정한 ROM 지터와 RAM 지터의 변조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테스터 조건 : 레이저 파장 650 nm, NA 0.55, 선속 4.8 m/s, 자계 변조 기록, 테스터 장치로서 시바소크LM530C를 사용
기록 조건 : 기록 레이저 파워(Pw)=6.5 m, DC 발광, EFM 랜덤 패턴을 기록 최단 마크 0.832 μm
재생 조건 : 재생 파워(Pr)=1.5 mW, 재생 자장 없음, 편광 방향은 트랙에 대하여 수직 방향
상기한 도 10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최대 허용치라고 여겨지는 15%보다 작은 지터 비율을 얻기 위해서는, 변조도를 10%∼37%로 하면 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ROM 신호는 재생시의 변동만을 고려하면 되지만, RAM 신호는 재생뿐만 아니라 광자기 기록시의 변동 요인이 더해진다. 따라서, 실사용시의 여러 가지 변동 요인을 예측하여, 기록 자계 변동이라든가 기록 파워 변동에 의한 지터 저하분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지터 비율을 10% 이하로 하는 경우, 변조도를 15%∼25%로 하는 것이 실용상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자는, ROM에서 광자기 기록(MO)으로의 누설량이 지터에 영향을 줘, 허용할 수 있는 지터를 얻기 위한 소정의 범위를 가짐을 발견했다.
여기서, ROM에서 광자기 기록(MO)으로의 누설(크로스토크)량의 제1 측정 방법으로서 도 11에 도시하는 방법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적어도 1주분의 영역에 단일 주파수의 반복 패턴의 위상 피트를 형성한다.
예컨대 내주부에 11T의 긴 위상 피트를 단일 반복으로 적어도 트랙 1주 이상 형성한다. 그 샘플을 상기 조건의 테스터에 장착하고 11T 반복 패턴의 위상 피트에 트랙킹을 걸어, 3T 반복 패턴의 최단 광자기 기록(MO) 마크를 기록한다.
이후에 설명하는 재생 장치의 차동 증폭기의 출력을 스펙트럼 분석기에 입력한다. 이에 따라 광자기 기록(MO) 신호의 출력과 위상 피트에서 MO 신호로의 누설 신호 출력을 따로따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1B의 고주파수측의 출력(c)이 MO 신호 출력 레벨이고, 저주파수측이 ROM신호의 MO 신호로의 누설 출력 레벨(d)이다. MO 신호출 력과 ROM 신호로부터의 누설의 차(c-d)가 ROM 신호에서 MO 신호로의 누설 크로스토크량이다.
도 12는 ROM 신호에서 MO 신호로의 누설(c-d)과 지터의 관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 때의 사용한 EFM 변조에서는 최단 마크는 3T의 길이이다. 예컨대, 내주부 11T의 긴 위상 피트를 단일 반복으로, 적어도 트랙 1주 이상 형성한다. 그 샘플을 도 11의 측정 방법에 적용한 테스터에 장착하고, 11T 반복 패턴의 위상 피트에 트랙킹을 걸어, 3T 반복 패턴의 최단 MO 마크를 기록한다.
도 12에 있어서, 15% 이하의 지터를 얻기 위해서는, 크로스토크(c-d)를 15∼35 dB로 하면 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ROM 신호에서 광자기 기록(MO) 신호로의 누설(크로스토크)량을 측정하는 제2 방법으로서 도 13에 도시하는 방법이 있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매체의 사용자 영역에는 ROM 신호로서 위상 피트로 콘텐츠 정보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랜덤한 길이가 된다. 샘플을 상기 조건의 테스터에 장착하여, 랜덤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영역에 트랙킹을 건다.
제1 측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차동 증폭기 출력을 오실로스코프에 입력하여, MO 신호를 일단 소거한다. 그 때의 오실로스코프로 계측되는 진폭(f)(도 13B)이 위상 피트에 의한 ROM 신호에서 MO 신호로의 누설 신호 강도이다. 다음에 랜덤 길이의 MO 신호를 기록한다. 도 13C에 나타내어지는 MO 신호를 기록했을 때의 오실로스코프로 계측되는 진폭 파형(e)이 상기 누설 신호와 재생되는 MO 신호를 합한 신호강도이다. 이 때의 비율 100 ×f/e이, 크로스토크량이다.
도 14는 상기한 누설(크로스토크)량을 측정하는 제2 방법에 의해 측정된 ROM 신호에서 MO 신호로의 누설(스트로크량)과 지터의 관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 측정 방법에 의한 평가에 있어서, 15% 이하의 지터 비율을 얻기 위해서는 스트로크량(f/e)을 16%∼34%로 하면 된다.
도 15는 상기 샘플의 위상 피트 깊이(Pd)에 대한 지터의 값이다. 여기서 위상 피트 깊이(Pd)는 광자기 기록막 형성의 기판으로 AFM(Atomic Force Microscope)에 의해 측정했다. 도 15로부터 ROM/RAM 신호 모두 15% 이하의 지터 비율을 얻기 위해서는 위상 피트 깊이(Pd)를 대략 29∼51nm로 하면 좋다. 이 깊이는 광학 환산으로 λ/14∼λ/8에 해당한다(기판 굴절률을 1.58로 함).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 계수를 예측하면 약 λ/9∼λ/13의 깊이가 바람직하다.
더욱이, 위상 피트 깊이(Pd)를 대략 40 nm로 하여 위상 피트의 폭(Pw)을 변경한 복수의 샘플을 준비했다. 이들 샘플을 전술한 테스터에 장착하여, 동일한 기록 재생 조건으로 지터 측정을 했다. 본 실시예에서의 테스터의 빔 지름은 1.08 μm(1/e2)이다. 도 16은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터의 측정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으로부터 ROM/RAM 공히 15% 이하의 지터 비율을 얻기 위해서는, 피트 폭(Pw)/빔 지름의 비를 약 18%∼50%의 범위로 하면 좋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본 발명자는, ROM 정보 위에 RAM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 RAM 정보를 기록하는 타이밍을 약간 변위시킴으로써, RAM 정보를 재생할 때에 주어지는, ROM 정보에 있어서의 위상 피트 엣지가 발생하는 편광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특히 고밀도화에 유효한 마크 엣지 기록의 경우, 효과가 매우 크다. 예컨대 기록 코딩이 마크 엣지 기록인 CD에 채용되어 있는, 8 비트의 데이터를 14 비트의 런랭스 부호로 변환하여 기록하는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코딩의 경우, 데이터 비트 길이를 T라고 하면, 최단 마크는 3T, 최장 마크는 11T이기 때문에, T의 정수배로 타이밍을 변위하면, 9 종류의 마크 길이가 있기 때문에 랜덤하게나마, 어느 한 위상 피트의 엣지와 광자기 기록 마크의 엣지가 일치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변위해야 하는 타이밍량의 기본치는, 0T <ΔT < 1T 이다. 일반성을 고려하면, 상기 ΔT를 이용하여 표현하면, nT+ΔT(n은 제로를 포함하는 정수)만큼 변위하면 되게 된다.
재생할 때는, ROM 정보와 RAM 정보의 기록 위치가 약간 틀어져 있기 때문에, 후에 실시예로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광 기억 장치의 독출 제어부에 있어서 지연 회로에 의해 타이밍을 맞추면 된다. 현실적으로는 ROM 정보의 블록 선두와 RAM 정보의 블록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독립된 블록 데이터로서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그 후의 처리는 시스템 구성에 따라서 대응이 가능하다.
도 17은 ROM 신호에 대하여 RAM 신호인 MO 신호의 기록 타이밍을 변위시킨 량(ΔT/T%)에 대하여, 지터를 측정했을 때의 특성 그래프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ROM 신호(b)는, RAM 신호(a)의 기록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서 균일한 특성으로 된다. 한편 RAM 신호(a)는 ROM 신호(b)로부터의 크로스토크에 의해, 어긋남량이 0에서 지터값이 최대가 된다. 이것은, RAM 신호의 반전시에 ROM 신호가 변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게 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록(T)에 대하여, 50% 즉, 0.5T 변위했을 때에, 도 17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최소가 된다.
여기서, 상기한 변조도 및 피트 형상에 관해서 더욱 고찰한다. 디스크형 광 기록 매체의 검출계는, 검출 광의 빔 강도 형상과 피트 형상의 접선 방향 단면도인 도 19에 있어서, 대물 렌즈(OBL)의 개구수(NA)와 검출 광(DL)의 파장(λ)에 의해서, 광 기록 매체 상에 대강 다음 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빔 웨이스트(W)의 스폿이 형성된다. 빔 웨이스트(W)는 강도 최대의 위치에서부터 강도 1/2가 되는 위치까지의 1/e1의 폭이다.
W=2λ/πNA (1)
단, NA=sinθ
실제의 빔 웨이스트(W)는 대물 렌즈(OBL)을 투과하는 광 강도 분포, 광학 부품의 면 정밀도 등에 의해 약간 변화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의 피트 형상에 대하여, 광학계에 의해 변조도, 트랙킹 에러 신호량이 변한다.
일반적으로 피트 형상에 대하여 변조도(Im)에 관하여, 도 20에 도시하는 배치에 있어서 하기 식(2)의 관계가 근사적으로 나타내어진다.
1-Im=(A2+B2+2ABcos(Δ))/(A+B)2(2)
단, Δ=4πdn/λ, n=기판(SB)의 굴절률,
A=피트 폭, B=랜드 폭
여기서는, 근시적으로 피트부(PI)와 랜드부(LI)에서 반사되는 광량은 같다고 가정하여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빔 스폿 형상에 따라 랜드부(LI)와 피트부(PI)에서 광량이 다르다. 또, 일반적으로 피트 형상에 대하여 규격화된 푸시풀법에 의한 트랙킹 신호(DPP)는 도 21에 도시하는 배치에 있어서 근사적으로 식(3)으로 나타내어진다.
DPP=4ABsin(Δ)/(A+β)2(3)
단, Δ=4πdn/λ, n=기판 굴절률,
A=피트 폭, B=랜드 폭
이들 근사식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변조도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피트의 깊이(d)를 λ/4에 가깝게 하여, 비트 폭(A)과 랜드 폭(B)을 1:1에 가깝게 하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피트 형상만을 지정하더라도 실제로는, 광학계에 의해 원하는 변조도를 얻을 수 없다. 도 22에,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의 동심원 방향에 대하여 광학계의 차이에 의한 스폿 형상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빔 형상 2, 빔 형상 3과 같은 빔 스폿에서는 원하는 변조도, 푸시풀 신호를 얻을 수 없음은 분명하다. 빔 형상 1은 본 발명의 적용에 있어서 바람직한 광학계에서의 빔 스폿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의 광학계에서는, 광원의 강도 분포, 대물 렌즈의 개구수, 사용 광의 파장에 의해서 거의 빔 스폿 형상이 규정되며, 본 발명에 의해, 광 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 재생을 위한, 빔 웨이스트(W)의 지름을 표준으로 잡아 트랙 피치와 동일한 레벨이 되는 조합이 제시된다.
피트 형상은 피트 폭의 트랙 피치에 대한 비율이며, 본 발명의 적응에 있어서는, 피트의 깊이만 규정되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광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재생을 하는 기억 장치의 실시예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23은 광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한 기억 장치의 실시예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23에 있어서, 광 빔의 광원으로서의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파장 785 nm)로부터 출사한 광 빔인 레이저광은 콜리메이터 렌즈(10)에 의해 평행 광속으로 변환된다.
이어서, 변환된 평행 광속은 편광 빔 스플리터(11)에 입사한다. 편광 빔 스플리터(11)에서의 반사광은 집광 렌즈(12)에 의해 오토 파워 컨트롤(APC)용의 포토디텍터(13)에 입사된다. 여기서 광전 변환되어 검출 전기 신호는 증폭기(14)를 통해서 메인 컨트롤러(15)로 유도되어, APC 제어 또는 ROM 신호의 재생에 이용된다.
한편, 편광 빔 스플리터(11)를 투과한 광속은 대물 렌즈(16)에 의해 거의 회절 한계까지 작게 되어,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17)에 조사된다. 광 정보 기록 매체(17)는 모터(18)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광 정보 기록 매체(17)에서 반사된 광속은 다시 대물 렌즈(16)를 통해서 편광 빔 스플리터(11)에 입사하고, 여기서반사되어 서보 광학계와 기록 정보 검출계로 유도된다.
즉, 편광 빔 스플리터(11)에서 반사된 광 정보 기록 매체(17)로부터의 반사광은 제2 편광 빔 스플리터(19)에 입사하고, 그 투과광은 서보 광학계에, 제2 편광 빔 스플리터(19)에서의 반사광은 기록 정보 검출계에 입사한다.
제2 편광 빔 스플리터(19)로부터의 투과광은 서보 광학계에 있어서의 집광 렌즈(20) 및 주면 렌즈(21)를 통해서 4분할 포토디텍터(22)에 입사하여, 거기서 광전 변환된다.
광전 변환된 4분할 포토디텍터(22)의 출력에 의해, 비점 수차법에 의한 생성 회로(23)로 포커스 에러 검출(FES)을 실시한다. 동시에, 푸시풀법에 의한 생성 회로(24)로 트랙 에러 검출(TES)을 행한다.
도 24는 이러한 4분할 포토디텍터(22)와, 그 출력에 기초하여 포커스 에러(FES) 검출을 하는 비점 수차법에 의한 생성 회로(23) 및 트랙 에러(TES) 검출을 하는 푸시풀법에 의한 생성 회로(24)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4분할 포토디텍터(22)로 4분할된 제2 편광 빔 스플리터(19)로부터의 투과광을 A, B, C, D라고 하면, 포커스 에러 검출(FES)을 하는 비점 수차법에 의한 생성 회로(23)는 대물 렌즈(16)의 광축 방향의 제어 오차인 포커스 에러(FES)를 다음의 계산에 의해 구한다.
한편, 트랙 에러(TES) 검출을 하는 푸시풀법에 의한 생성 회로(24)는 대물렌즈(16)의 광축에 수직인 방향의 제어 오차인 트랙 에러(TES)를 다음의 계산에 의해 구한다.
이들 계산에 의해 구해진 포커스 에러 신호(FES) 및 트랙 에러 신호(TES)는 메인 컨트롤러(15)에 입력된다.
한편, 기록 정보 검출계에 있어서, 반사 레이저광은 기록 정보 검출계에 있어서의 2빔 월라스톤(Wollaston)(26)에 입사하여, 광 정보 기록 매체(17) 상의 광자기 기록의 자화 방향에 따라 변하는 반사 레이저광의 편광 특성이 광 강도로 변환된다.
즉, 2빔 월라스톤(26)에 있어서, 편광 검파에 의해 편광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빔으로 분리하고, 집광 렌즈(27)를 통해서 2분할 포토디텍터(28)에 입사하여, 각각 광전 변환된다.
2분할 포토디텍터(28)로 광전 변환된 2개의 전기 신호는 가산 증폭기(29)에서 가산되어, 제1 ROM 신호(ROM1)로 되고, 동시에, 차동 증폭기(30)에서 감산되어, RAM 독출 신호(RAM)로 되어, 각각 메인 컨트롤러(15)에 입력된다. 또한, ROM 신호(ROM1)는 위상 피트 신호에 의한 광 강도 변조의 억압을 위해 피드백 신호로서도 사용된다.
여기까지는, 주로 독출에 있어서의 광속의 흐름에 관해서 설명했다. 이어서, 각 포토디텍터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흐름에 대해서, 도 25에 도시하는 메인 컨트롤러(15)의 상세 구성예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5에 있어서, 메인 컨트롤러(15)에는 APC용 포토디텍터(13)에 입사한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의 반사광이 광전 변환되어, 증폭기(14)를 통해서 제2 ROM 신호(ROM2)로서 입력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15)에는 가산 증폭기(29)의 출력인 제1 ROM 신호(ROM1), 차동 증폭기(30)의 출력인 RAM 신호(RAM), FES 생성 회로(23)로부터의 포커스 에러 신호(FES), TES 생성 회로(24)로부터의 트랙 에러 신호(TES)가 입력된다.
또, 데이터 소스(32)와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33)를 통해서 기록용 데이터 및 독출 데이터가 입출력된다.
메인 컨트롤러(15)에 입력되는 제1 ROM 신호(ROM1), 제2 ROM 신호(ROM2) 및 RAM 신호(RAM)는 각 모드 즉, ROM 및 RAM 재생시, ROM만 재생시 및 기록(WRITE)시에 대응하여 검출하여 사용된다.
도 26은 각 모드에서의 상기 ROM1, ROM2 및 RAM의 검출 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각 모드에서의 ROM1, ROM2 및 RAM의 검출 조합을 위해, 도 25에 도시하는 메인 컨트롤러(15)에는 ROM 전환 스위치(SW1, SW2)를 갖고 있다.
도 25에 나타내어지는 ROM 전환 스위치(SW1, SW2)의 상태는 도 26에 도시하는 모드에 있어서의 ROM 및 RAM 재생시이다. ROM만 재생시 및 기록시에는, 도 25에 도시되는 ROM 전환 스위치(SW1, SW2)의 상태가 반전된 상태로 전환된다.
메인 컨트롤러(15) 내의 LD 컨트롤러(150)는 암호기(151) 및 ROM 전환 스위치(SW1)의 출력을 받아, LD 드라이버(31)에 대한 커맨드 신호를 생성한다.
LD 드라이버(31)는 LD 컨트롤러(150)에서 생성된 커맨드 신호에 따라서, ROM 및 RAM 재생시에는, 제1 ROM 신호(ROM1)에 따라서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의 발광 파워를 피드백 제어하고, ROM만 재생시 및 기록시에는, 제2 ROM 신호(ROM2)에 따라서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의 발광 파워를 피드백 제어한다.
광자기 기록시에는, 데이터 소스(32)로부터의 데이터가 인터페이스(33)를 통해서 메인 컨트롤러(15)에 입력된다(도 23 참조). 메인 컨트롤러(15)에 있어서, 이 입력 데이터는 보안을 담보하기 위해서 암호기(151)에 의해 암호화가 이루어지고, 기록 데이터로서, 자기 헤드 컨트롤러(152)를 통해 자기 헤드 드라이버(34)에 공급된다.
여기서, 메인 컨트롤러(15)는 MPU나 DSP, 인코더/디코더 등을 포함하며, 재생/기록 처리 기능, 서보 기능, 레이저 발광 제어 등을 총괄하여 제어할 수 있는 일체화 LSI로 구성한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이 때, 암호기(151)는 보다 보안을 높게 하는 경우는, 복조기(155)에서 복조한 ROM 신호와 조합하여 암호화를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기 헤드 드라이버(34)는 자기 헤드(35)를 구동하여, 암호화된 기록 데이터에 대응하여 자계를 변조한다. 이 때, 메인 컨트롤러(15)에 있어서, 암호기(151)로부터 기록시를 지시하는 신호가 LD 드라이버(31)에 보내어지고, LD 드라이버(31)는 제2 ROM 신호(ROM2)에 따라서, 기록에 최적인 레이저 파워가 되도록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의 발광을 피드백 제어한다.
한편, ROM 신호와 RAM 신호의 기록에 대해, 보안을 높이기 위해서 혹은 안정된 신호의 기록 재생을 위해 다음과 같은 형태가 가능하다.
즉, ROM 신호와 RAM 신호를 조합시켜 생성된 에러 정정 신호를, 상기 RAM 신호로서 상기 광자기 기록막에 기록한다.
또, ROM 신호 및 RAM 신호의 적어도 한 쪽이, 암호화되어 대응하는 ROM 영역 또는, 상기 광자기 기록막에 기록되어 있고, 또, 상기 암호화에 대한 복호화의 방법이, 상기 ROM 영역 및 상기 광자기 기록막의 적어도 한 쪽에 기록되어 있다.
혹은, RAM 신호를 기억하는 광자기 기록막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록을 금지한다. 이를 위해서는, RAM 영역의 일부에 미리 소정의 식별 ID를 기록하여, 그 기록 영역을 재기록 가능한 논리 섹터에 들어갈 수 없도록 매체 포맷 관리를 메인 컨트롤러(15)에서 행한다. 이에 따라, 식별 ID는 읽기만 가능해진다. 이러한 식별 ID는 개인용, 의료용 등에 있어서, 기기 종별을 구별하는 식의 여러 가지 적용이 가능해진다.
이들 형태는 암호기(151)에 있어서, 팜웨어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7은 암호기(151) 및 복호기(156)의 구성과 이들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암호기(151)에 있어서, 광자기 기록의 대상이 되는 RAM 기록 데이터인 디지털 RAM 신호가 버퍼 메모리(300)를 통해서, 복조기(155)에서 재생된 ROM 신호와 함께 인코더(301)에 입력된다. 인코더(301)에 있어서, ROM 신호를 이용하여 RAM 신호를 암호화하기 위한 인코드 처리가 이루어진다.
ROM 신호를 이용하여 RAM 신호를 암호화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가능하다. 예컨대, 스테레오 음성 생성과 같이 ROM 신호를 R 채널, RAM 신호를 L 채널이라 생각하고, 이들을 균등하게 믹싱하여, 이것을 암호화된 RAM 신호로서 광자기 기록막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ROM 신호는 원래 랜드 영역에 피트 위상에 의해 고정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R 채널의 정보량을 적게 하여 믹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통상의 RAM 신호의 기록 매체에서는, 불가능한 암호화가 가능하다.
혹은, 인코더(301)에 있어서, ROM 신호의 1 비트를 RAM 신호의 소정 비트마다 삽입하는 식으로 하더라도 간이한 암호화가 가능하다.
인코더(301)의 출력은 인터리브 회로(302)에 있어서, 소정 규칙으로 인코더(301)의 출력인 시리얼 피트열을 소정 규칙으로 교체하는 인터리브 처리를 한다. 이것은 플러스마이너스 부호의 랜덤성을 담보하기 위해서이다.
이어서, 동기 및 변환 회로(303)에 의해, ROM 신호로부터 재생되는 클록 신호에 동기화되고, NRZI 신호로 변환되어 RAM 기록 정보가 된다.
이 RAM 기록 정보는 후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광 정보 기록 매체의 랜드 영역에 피트 위상에 의해 고정 기록되어 있는 ROM 기억 영역 상에 대응하여 겹쳐 광자기 기록된다.
복호기(156)에 입력되는 광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한 RAM 신호는 동기 검출 및 복조 회로(305), 디인터리브 회로(306) 및 디코더(307)에 있어서, 암호기(151)에 있어서의 동기 및 변환 회로(303), 인터리브 회로(302) 및 인코더(301)의 처리와 각각 반대의 처리가 이루어져, 암호화가 풀린 RAM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오류 정정에 있어서도 ROM과 RAM 신호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27에 있어서,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복호기(156)에 있어서의 RAM 신호의 재생시에 ROM 재생 신호의 일부를 이용하여 오류 정정을 한다.
예컨대, 인코더(301)에 있어서, ROM 신호로부터 빼낸 1 비트분을 RAM 신호와 합쳐서 RAM 정보로서 출력하고, RAM 정보 기록을 할 때에, 데이터부의 최후의 ECC(에러 체크 코드)부에 이것을 기록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재생시에, 디코더(307)에 있어서, 패리티 체크를 하게 함으로써 ROM과 RAM 신호를 조합시킨 오류 정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자계 변조 기록에 있어서의 기록 변조 방식에 관해서 고찰한다. 도 28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ROM 신호의 기록에 사용된 변조 방식이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이며, 광자기 기록하고자 하는 RAM 데이터의 변조 방식을 NRZI(NonReturn-to-Zero change-on-Ones recording)로 상정한다.
이 때,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 데이터의 피트 길이(T)에 대하여, 최단 마크를 Tmin, 윈도우 마진 폭을 Tw라고 하면, NRZI(도 28A)에서는 Tmin=T, Tw=T, EFM(도 28B)에서는 Tmin=1.41T, Tw=0.47T가 된다.
RAM 신호에서는, 자계 변조 기록 신호의 주파수 특성의 제한도 있어, 윈도우 마진 폭(Tw)이 크고, 최단 마크(Tmin)가 긴 구성이 적합하다. 한편, ROM 신호에서는, 최단 마크(Tmin)가 긴 EFM 방식이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RAM 신호와 ROM 신호에 대하여, 각각에 알맞은, 다른 기록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인 자계 변조 방식에서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의 조사 파워를 일정하게 하여 자계를 반전시킴으로써 정보 기록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를 펄스로 발광시키는 자계 변조 방식을 설명하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를 펄스로 발광시키고(도 29B), 또한 신호에 대응하여 인가 자계를 변화시킨다(도 29A).
이에 따라, 기록 마크 형상의 차이를 도시한 도 30에 있어서, 광자기 기록시의 광 정보 기록 매체의 온도 분포가 변화되어, 도 30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자기 기록 마크로 된다. 종래의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를 연속 발광시켜 기록을 하는 경우(도 30B)에 비해, 화살날개 형상이 완화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화살날개 형상의 기록 마크의 완화에 의해, 재생 신호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9로 되돌아가 설명하면, ROM 정보 및 RAM 정보의 동시 독출의 이용을 고려하면, 광자기 기록의 기록 시작 번지는, ROM 정보의 블록 번지와 일치하거나 혹은 계산 등에 의해 간단하게 구해지는 일정한 대응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가산 증폭기(29)의 출력인 위상 피트 신호의 제1 ROM 신호(ROM1)로부터 동기 검출 회로(154)로 클록을 재생하여, 기록 시작 번지를 검출한다.
검출된 기록 시작 번지에 대하여, 자기 헤드(35) 및 대물 렌즈(16)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유닛을 도 23 및 도 25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은 시크 기구에 의해 위치를 부여(액세스)하여, 기록 동작에 들어간다.
또, 상기 제1 ROM 신호(ROM1)로부터 재생된 클록에 기초하여, 모터 컨트롤러(159)를 통해, 모터 드라이버(36)에 의해 시크 동작의 일부로서 모터(18)의 회전을 제어한다.
한편, 시크 기구로서, 시크 거리가 짧은 범위에서는 그 기능의 일부를 모터 드라이버(36) 혹은, TES 액츄에이터 드라이버(37)에 의해 행하게 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광자기 기록을 위한 클록은 상기와 같이, 위상 피트 신호(ROM1)로부터 생성되기 때문에, 이 클록을 동기 처리에 이용한다. 즉, 메인 컨트롤러(15)에 있어서, 동기 검출 회로(154)로 위상 피트의 클록을 재생하여, 앞서 도 2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암호기(151)의 동기 및 변환 회로(303)(도 27)에 의해, 상기 클록에 동기하도록 광자기 기록해야 할 RAM 정보의 기록 타이밍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ROM 신호의 클록을 이용함으로써, 기록시의 디스크 편심에 의한 기록 마크 길이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1은 상기 동기 처리를 위해 ROM 신호의 클록을 재생하는 메인 컨트롤러(15) 내의 동기 검출 회로(154)의 구성예이다. 도 31A는 구성 블록도, 도 31B는 각 신호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동기 검출 회로(154)에 입력되는 ROM 신호(도 31B, a)에 대하여, 엣지 검출 회로(400)에 있어서, 소정의 슬라이스 레벨을 설정하여, ROM 신호의 엣지를 검출한다. 이어서, 엣지 검출의 타이밍 신호가 위상 비교기(401)에 입력된다.
또한, 위상 비교기(401), 로우패스 필터(402) 및 전압 제어 발진기(403)에 귀환 루프가 구성되어, 엣지 검출의 타이밍 신호에 대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403)로부터의 펄스 출력의 위상이 조정된다. 이에 따라, 클록이 생성된다.
즉, 도 31B에 있어서, ROM 신호(a)의 엣지에 대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403)로부터의 펄스(b)에 맞춰 위상 비교기(401)로부터 위상 비교 출력이 출력된다. 전압 제어 발진기(403)로부터의 펄스의 위상과, ROM 신호의 위상이 틀어지면, 위상 비교 출력이 틀어져, 로우패스 필터(402)의 출력이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로 기운다. 이것을 이용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403)에 귀환을 걸어서 ROM 신호에 동기한 클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재생시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위상 피트 신호 즉, 독출되는 ROM 신호에 의한 광 강도 변조가, RAM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로 되는 것은 앞서 설명했다. 따라서, 앞서 종래 기술에 기재한 방법과 같은 식으로, 가산 증폭기(29)로부터 제1 ROM 신호(ROM1)를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에 LD 드라이버(31)를 통해서 피드백시켜, 발광 제어하고, 제1 ROM 신호(ROM1)를 저감하여, 평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로, 독출되는 RAM 신호에의 크로스토크를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ROM 및 RAM 신호의 동시 독출을 하는 경우, ROM1 신호가, 상기와 같이 피드백 제어에 의해 평탄하기 때문에, ROM 신호를 얻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다른 방법에 의해 ROM 신호를 검출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재생시에 제1 ROM 신호(ROM1)에 의해서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로의 주입 전류가 피드백 변조되고 있다. 즉, ROM 신호와 같은 패턴으로 광 강도 변조되고 있다.
이 광 강도 변조는 APC용 포토디텍터(13)에 의해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MPF 루프 동작시에는, APC 루프를 오프로 함으로써, 위상 피트 신호를 제2 ROM 신호(ROM2)로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 제2 ROM 신호(ROM2)가, 도 25에 도시하는 메인 컨트롤러(15)에 있어서, 동기 검출 회로(154)에 의해 클록 재생되고, 복조기(155)에서, EFM 자계 변조에 대응하는 복조를 행하여, ROM 정보로서 얻을 수 있다. 복조된 ROM 정보는 또한, 암호기(151)에 있어서의 암호화에 대응하는 복호화가 복호기(156)에 의해 이루어져, 재생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ROM 정보 및 RAM 정보의 동시 재생시에는 상기한 동기 검출 회로(154)에 의해 얻어지는 제2 ROM 신호(ROM2)로부터 재생된 클록에 기초하여, 모터 컨트롤러(159)를 통해, 모터 드라이버(36)에 의해 시크 동작의 일부로서 모터(18)의 회전을 제어한다.
RAM 신호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에의 LD 드라이버(31)를 포함하는 ROM 신호 피드백 수단에 의해, ROM 신호의 간섭을 받지 않고서 차동 증폭기(30)의 출력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차동 증폭기(30)의 출력은 메인 컨트롤러(15)에 있어서, 동기 검출 회로(157)에 동기 검출되고, 복조기(158)에서, NRZI 변조에 대응한 복조가 이루어져, 복호기(156)에 의해 복호화되어, RAM 신호로서 출력된다.
여기서, 기록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재생 클록은 동기 검출 회로(154)에 의해 검출되는 제2 ROM 신호(ROM2)를 이용한 매립 클록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회전 변동, 혹은 트랙 편심에 의한 규정 선속도로부터의 틀어짐에 대하여, 신호 검출 윈도우가 자동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25의 메인 컨트롤러(15)에 있어서, 지연 회로(159)를 갖고 있다. 이 지연 회로(159)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RAM 신호의 재생시에 ROM 정보인 위상 피트 엣지가 발생하는 편광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해서, ROM 정보 위에 RAM 정보를 기록할 때에, RAM 정보를 기록하는 타이밍을 약간 변위시키는 처리를 한 것에 대응하는 타이밍 조정을 위한 것이다.
ROM 신호만의 재생시에는 RAM 신호에의 영향을 고려하는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록시와 마찬가지로 LD 피드백 신호로서 제2 RAM 신호(RAM2)를 이용하고, ROM 정보는 제1 ROM 신호(ROM1)를 복조 재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록 및 재생시의 선속도는 디스크 전면 일정한 CLV 방식(Constant Linear Velocity)을 채용하여, ROM 신호에 따른 모터 컨트롤러(159)로부터의 지령을 모터 드라이버(36)에 보내, 모터(18)의 회전 제어를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CAV, ZCAV, ZCLV를 채용하는 경우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록, 재생(ROM 재생, ROM과 RAM의 동시 재생)의 어디에 있어서도 위상 피트 정보인 ROM 신호에 의해, 클록 생성 및 모터 드라이버(36)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RAM 재생시에는 자기 클록 재생이 아니라, RAM 신호의 품질이 낮은 경우라도, 재생 클록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콘텐츠(음악, 문장, 화상)가 되는 위상 피트 정보인 ROM 신호로부터 생성되기 때문에, 재생 클록은 RAM 신호의 품질에 상관없이 안정적이다.
여기서, ROM 및 RAM 정보의 동시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의 우위성, 특히 보안 및 기록 용량의 점에서 이하에 고찰한다.
도 25에 도시하는 메인 컨트롤러(15)의 구성에 있어서, 암호화 회로(151), 복호화 회로(156)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의 ROM 정보가 기밀 정보(원화인 제1 디지털 화상, 사적 문서, 공문서)인 경우,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와 도 23에 도시한 것과 같은 기억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용이하게 낮은 비용으로 데이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재기록이 불가능한 중요 정보가 ROM 정보로서 위상 피트로서 기록되어 있다. 또한, 그 ROM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물리적으로 동일한 영역에 형성된 RAM부에 상기한 ROM 정보에 따라서, RAM 정보를 암호기(151)에 의해 예컨대 Triple Des 등의 암호화 데이터로 변환 생성한다. 그리고, 이 생성된 암호화 데이터를 광자기 기록한다.
이에 따라, 중요한 ROM 데이터와 그 암호화 데이터에 동시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며, 1장의 광 정보 기록 매체의 사이즈를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암호화된 정보를 전자 워터마크로서 이용하면, ROM부의 정보가 인정 정보인지의 여부를 순간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의 ROM 기록 용량과 RAM 기록 용량의 합계를 10(각각 5씩)으로 했을 때의, 다른 디스크 매체 사양과 비교한 표이다.
단독의 ROM 정보만을 기록하는 ROM 디스크 매체, RAM 디스크 매체라면, 최신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ROM 정보만 기록인 경우,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 비교하여 ROM 용량으로 10% 정도의 용량 개선이 가능하다. 한편, RAM 정보만 기록인 경우,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 비교하여, RAM 용량으로 80% 정도의 개선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32에 있어서, ROM, RAM의 양 정보에 대응하는 형식에서는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가 매우 우위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P-ROM에 있어서 RAM 기록 영역에 상 변화 기록 매체를 이용한 경우, ROM에 대해서는 같은 용량임은 당연하지만, RAM에 대해서는, 광자기 베이스에 비하여 기록 용량은 10% 정도 감소하며, 우위성은 없다.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는 ROM, RAM 정보의 기록 용량은 매체 사이즈에 의존하지만, ROM 용량과 RAM 용량을 매체 사이즈 한도의 ROM 용량에 따라, 동 용량의 RAM을 설정할 수 있다.
기존의 ISO 규격에 따른, 광자기 매체(MO)의 P-ROM, O-ROM과는 매체 구조, 기억 장치 구조가 다르며, ROM 용량과 RAM 용량을 서로 잡아먹는 일이 없다.
ISO 규격에서는 필요 ROM 용량에 따라서 ROM 정보와 RAM 정보가 완전히 1대1 대응이 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의 기본적 특징은 매체 사이즈에 있어서의 최대의 ROM 용량과 최대 RAM 용량을 일치시키는 경우, ISO 규격의 P-ROM에 비교하여, 약 40%의 개선이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새로운 실시예를 더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왜냐면, RAM 단독 매체에서의 최신 기술을 이용한 RAM 기록 밀도는 80%의 기록 용량 개선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 더하여, 동시 재생 가능한 ROM 정보를 갖지 않는 RAM 영역을 독립된 형식으로 제1 실시예의 매체에 설치함으로써 새로운 응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33은 종래의 P-ROM 매체와 비교되는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콘커런트 ROM-RAM 영역 II에 대하여 독립된 RAM 영역 I를 더욱 설치한 구조이다.
독립 RAM 영역 I 및 콘커런트 ROM-RAM 영역 II의 영역 배분은 도 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독립 RAM 영역 I를 외주측에 배치하고, 콘커런트 ROM-RAM 영역 II를 내주측에 설치하더라도, 혹은, 도 3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독립 RAM 영역 I를 내주측에 배치하고, 콘커런트 ROM-RAM 영역 II를 외주측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독립 RAM 영역 I와 ROM-RAM 영역 II로 구획된 데이터 영역을 갖는 디스크 매체는 다음과 같이 형성 가능하다. 즉, 앞서 도 2에 관련하여 설명한 RAM 영역에 대한 트랙 홈(도 2, 4 참조)이나, 디스크 제어 정보 영역(디스크 매체 고유 정보나 어드레스 등의 고정 정보가 기록되는 부분: 도 2, 8 참조) 및 콘커런트ROM-RAM 영역 II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상 피트(PP)가 되는 엠보스를 갖는 디스크형의 폴리카보네이트 기판(A)을 작성한다. 이어서, 도 4에 도시한 층 구성과 같이, 기판의 거의 전역에 걸치는 엠보스를 갖는 한쪽면 혹은 양면에, 유전체막(B), 광자기 기록막(C), 유전체막(D), Al막(E)과, 보호층(F)을 순차 형성한다.
따라서, ROM 신호에 대응하는 엠보스에 중복되는 광자기 기록막의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콘커런트 ROM-RAM 영역 II로서 정의하고, ROM 신호에 중복되지 않는 데이터 영역을 RAM 영역 I라 정의한다.
이 정의는, 디스크 제어 정보 영역에 디스크 매체 고유 정보로서 기록해 둠으로써 ROM 신호가 기록되는 ROM 영역의 디스크 상의 위치가 기억 장치에 의해 판정 가능하며, 그 ROM 영역과 동일한 위치를 콘커런트 ROM-RAM 영역 II로 하고, 나머지의 ROM 신호를 갖지 않는 데이터 영역을 RAM 신호가 기록되는 독립된 RAM 영역 I으로 하여 판정이 가능하다.
또한, 기판(A)에 앞서 형성되는 ROM 영역의 위치에 따라 RAM 신호만을 기억하는 RAM 영역 I와, 콘커런트 ROM-RAM 영역 II의 영역 배분은, 도 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독립 RAM 영역 I이 외주측에 배치되거나, 혹은, 도 3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주측에 배치된다.
도 34는 본 발명의 RAM만의 영역 I를 추가하여 형성한 도 33에 도시하는 확장 예에 있어서의 정보 기록 매체의 ROM 기록 용량과 RAM 기록 용량을 10으로 하여 다른 디스크 매체 사양을 비교하는 표이다.
예컨대, P-ROM 규격으로 이 매체 사이즈에서는, ROM, RAM을 같은 기록 용량으로 하면, 각각 3.6으로 설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ROM/RAM 동시 재생 기록 용량을 각각 3.6으로 하여도 동일한 매체 사이즈로 독립된 RAM 영역 2.52에 상당하는 것을 설정할 수 있으며, 총 용량으로 35%나 우수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ROM 영역과 RAM 영역을 이용하는 한 방법으로서, 1 단위로서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 정보(단위 데이터 정보라 함)를 ROM 신호와 RAM 신호로 분할하여, 전자를 상기 ROM 영역에 위상 피트에 의해, 및 후자를 상기 광자기 기록막에 자기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보다 중요한 정보를 ROM 신호로서 분할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상기한 단위 데이터 정보로서, 예컨대, 하나 또는 복수 섹터, 1 화상 프레임, 1 음악 프레임과 것은 것이라도 좋다.
또한, RAM 영역에 대해서는, 금후 대용량화 기록/재생 기술, 청색 레이저나, 초해상 방식, 니어필드 방식을 채용하면, 한층 더 고밀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콘커런트 ROM-RAM 디스크의 피트부의 변조도를 평탄부에 대하여 규정함으로써, 광자기 신호의 신호 특성이 개선되고 RAM 정보의 정확한 판독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는, ROM-RAM 동시 재생이 가능하고, 용도에 따른 ROM-RAM 동시 기록 및 재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의 보안의 강화, 정보 배신에 있어서의 저작권의 보호 강화 등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20)

  1. ROM 신호가 되는 위상 피트가 형성되는 ROM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기 ROM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성막된 RAM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광자기 기록막을 지니고,
    상기 ROM 영역 중, 적어도 사용자 영역에 있는 상기 위상 피트의 변조도가 10%∼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영역의 변조도가 또한 15%∼2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위상 피트의 광학적 깊이가 대략 λ/8∼λ/10(단, λ은 기록 또는 재생에 사용되는 레이저 파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피트의 피트 폭이 트랙 피치 폭에 대하여 18∼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5. 제2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ROM 신호가 되는 위상 피트가 형성되는 ROM 영역과 다른 영역에, 상기 기판 상에 RAM 신호만을 기억하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RAM 신호만을 기억하는 영역은 랜드ㆍ그루브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디스크 형상을 지니고, 상기 RAM 신호만을 기억하는 광자기 기록막은, 상기 ROM 영역에 대하여, 동심형 혹은 나선형으로 배치되며, 또한 상기 ROM 영역보다 외측 혹은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OM 영역에 기록되는 ROM 신호와,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RAM 신호에 대하여, 다른 기록 변조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AM 신호의 기록에, 자계 변조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또한 안내 홈이 새겨지고, 상기 위상 피트의 검출 광량이 상기 안내 홈만의 검출 광 레벨에 대하여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11. ROM 신호가 되는 위상 피트가 형성되는 ROM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기 ROM 영역에 RAM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광자기 기록막을 지니고,
    ROM 신호와 RAM 신호를 조합시켜 생성된 에러 정정 신호가, 상기 RAM 신호로서 상기 광자기 기록막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12. ROM 신호가 되는 위상 피트가 형성되는 ROM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기 ROM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성막된 RAM 신호가 기록되는 광자기 기록막을 지니고,
    상기 RAM 신호를 기억하는 광자기 기록막의 일부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록이 금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AM 신호를 기억하는 광자기 기록막의 기록 블록의 번지가 상기 ROM부의 블록 번지와 일치하거나 혹은 일정한 대응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14. 제2항에 있어서, 단위 데이터 정보가 ROM 신호와 RAM 신호로 분할되어, 각각 상기 ROM 영역 및 상기 광자기 기록막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15. ROM 신호가 되는 위상 피트가 형성되는 ROM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성막된 RAM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광자기 기록막을 갖는 ROM/RAM 동시 재생 가능한 디스크형의 기록 매체로서,
    상기 디스크의 1주 이상에 단일 주파수의 반복 위상 피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ROM의 마크 길이와 간격이 단일 주기로 반복 기록되어 있는 영역에, RAM 신호로서 ROM과는 다른 주파수의 단일 반복의 광자기 기록 마크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광자기 기록 마크의 독출 출력 레벨을 c(dB), ROM 신호의 누설 출력 레벨을 d(dB)로 했을 때,
    15 < c-d < 3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17. ROM 신호가 되는 위상 피트가 형성되는 ROM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기 ROM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성막된 RAM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광자기 기록막을 지니고,
    상기 ROM 영역에 랜덤한 마크 길이로 기록되어 있는 영역에 RAM 신호로서, 광자기 기록 마크가 기록되어 있을 때의, 광자기 기록 신호의 재생 진폭을 e, 상기광자기 기록 마크가 소거되어 있을 때의 광자기 기록 신호 재생에 있어서의 상기 ROM 신호의 상기 광자기 기록 신호에의 누설 진폭을 f로 했을 때,
    16 < 100×f/e < 34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피트의 광학적 깊이가 대략 λ/8∼λ/14, 바람직하게는 λ/9∼λ/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피트의 폭이 빔 지름에 대하여 18%∼5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20. 제1항, 제1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사용자 영역에 상기 RAM 신호가 되는 광자기 기록 마크의 엣지부와 ROM 신호가 되는 위상 피트부가 겹치지 않게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KR1020047010778A 2002-01-07 2003-01-10 광 정보 기록 매체 KR100570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00406A JP4321986B2 (ja) 2001-06-22 2002-01-07 導電性樹脂組成物
WOPCT/JP02/00158 2002-01-11
PCT/JP2002/013313 WO2003057779A1 (en) 2002-01-07 2002-12-19 Electroconductive resin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073A true KR20040075073A (ko) 2004-08-26
KR100570928B1 KR100570928B1 (ko) 2006-04-13

Family

ID=191904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582A KR100890542B1 (ko) 2002-01-07 2002-12-19 전기전도성 수지 조성물
KR1020047010778A KR100570928B1 (ko) 2002-01-07 2003-01-10 광 정보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582A KR100890542B1 (ko) 2002-01-07 2002-12-19 전기전도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261840B2 (ko)
EP (1) EP1461386B1 (ko)
KR (2) KR100890542B1 (ko)
CN (1) CN1326921C (ko)
AT (1) ATE346887T1 (ko)
AU (1) AU2002357615A1 (ko)
DE (1) DE60216510T2 (ko)
MY (1) MY131517A (ko)
TW (1) TWI255834B (ko)
WO (1) WO2003057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16203B1 (de) * 2004-02-09 2014-04-16 Styrolution GmbH Formmassen aus styrolpolymeren mit matter oberfläche
DE602005027583D1 (de) 2004-09-07 2011-06-01 Denki Kagaku Kogyo Kk Leitende verbundfolien
WO2006053711A1 (de) * 2004-11-17 2006-05-26 Basf Aktiengesellschaft Zähe, füllstoff-haltige formmassen auf basis von styrolpolymeren
CN101180370B (zh) * 2005-05-20 2011-12-07 住友化学株式会社 聚合物组合物和使用该聚合物组合物的高分子发光器件
US20070155899A1 (en) * 2005-12-21 2007-07-05 Ips Corporation Elastic methacrylate compositions
US20070155879A1 (en) * 2005-12-22 2007-07-05 Ips Corporation Adhesive compositions for bonding metals
CN101824201B (zh) * 2009-03-02 2012-04-11 陈常明 一种新型热塑性弹性体和相关无卤阻燃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602890B (zh) * 2009-06-19 2013-07-03 惠州市沃特新材料有限公司 一种软质导电塑料及其制造方法
KR101908141B1 (ko) 2010-03-24 2018-12-10 덴카 주식회사 표면 도전성 적층 시트 및 전자 부품 포장 용기
CN105802107B (zh) * 2016-03-31 2019-04-26 广东帝通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耐高温抗蠕变电子载带片材及其制备方法
DK3423275T3 (da) * 2016-07-20 2019-12-16 Total Res & Technology Feluy Flerlagsplade med forbedret nedbøjningsmodstand til termoformni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43008A1 (de) * 1986-12-17 1988-06-30 Basf Ag Elektrisch leitende thermoplastische formmass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EP0355602A3 (en) 1988-08-18 1990-10-10 MITSUI TOATSU CHEMICALS, Inc. Molding material for electroconductive ic parts
JPH05271532A (ja) * 1992-03-27 1993-10-19 Sumitomo Chem Co Ltd 導電性樹脂組成物
EP0562179A1 (en) * 1992-03-26 1993-09-2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Electroconductive resin composition
US5415906A (en) * 1994-05-18 1995-05-16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Heat resistant electrically conductive plastic sheet and container
JPH08188710A (ja) * 1995-01-10 1996-07-23 Asahi Chem Ind Co Ltd 押出性良好導電性樹脂組成物
US5707699A (en) * 1995-01-26 1998-01-13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conductive resin composition, sheet, molded product and container
JPH08337714A (ja) * 1995-06-14 1996-12-24 Denki Kagaku Kogyo Kk 耐熱導電性樹脂組成物
US5747164A (en) * 1995-09-19 1998-05-05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Conductive composite plastic sheet and container
CN1242286A (zh) * 1998-07-21 2000-01-26 远东纺织股份有限公司 聚酯合胶导电胶片
MY120638A (en) * 1999-10-27 2005-11-30 Denki Kagaku Kogyo Kk Resin composition, molded product thereof and electroconductive sheet
DE60100218T2 (de) * 2000-02-15 2004-02-19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Polyamidzusammensetzung
JP2002256125A (ja) * 2001-02-28 2002-09-11 Daicel Chem Ind Ltd 導電性樹脂組成物
JP2002355935A (ja) * 2001-05-31 2002-12-10 Sumitomo Bakelite Co Ltd キャリアテープ用導電シート
US6872777B2 (en) * 2001-06-25 2005-03-29 General Electric Poly(arylene ether)-polyolefin composition,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46625A (zh) 2005-07-27
US20050004303A1 (en) 2005-01-06
CN1326921C (zh) 2007-07-18
EP1461386A1 (en) 2004-09-29
WO2003057779A1 (en) 2003-07-17
KR100890542B1 (ko) 2009-03-27
DE60216510T2 (de) 2007-09-13
AU2002357615A1 (en) 2003-07-24
EP1461386B1 (en) 2006-11-29
EP1461386A4 (en) 2005-04-06
TW200301769A (en) 2003-07-16
KR100570928B1 (ko) 2006-04-13
MY131517A (en) 2007-08-30
ATE346887T1 (de) 2006-12-15
KR20040074112A (ko) 2004-08-21
TWI255834B (en) 2006-06-01
DE60216510D1 (de) 2007-01-11
US7261840B2 (en) 2007-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3600A (en) Magneto-optical recording system using recording waveform having a plurality of power levels providing high recording density
US6965545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with prepit region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thereof
US7277374B2 (en) Optical disc discriminating apparatus, optical disc discriminating method,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and optical disc reproducing apparatus
KR100570928B1 (ko) 광 정보 기록 매체
KR100570927B1 (ko) 기억 장치
US20050058028A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6646968B1 (en) Magneto-optical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including method for presetting optimum recording power of recording apparatus
US7554900B2 (en) Disc-shaped 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and data recording method
US20050128888A1 (en) Magneto-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agneto-optical storage device
JP2007294102A (ja) 光情報記録媒体
US5802030A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information by using a multibeam spot
JPH0428016A (ja) 光学式記録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036115A (ja) 光記録の記録方法
JP2001084598A (ja) 光情報記録媒体
JP2005228364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受光信号正規化方法
JP2005221724A (ja) 液晶駆動装置、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液晶駆動方法
JP2005346776A (ja) 光ディスク原盤、光学記録再生媒体および光学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5228453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トラッキング制御方法
JP2004134004A (ja) 光磁気記録媒体の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JP2004213835A (ja)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310252A (ja) フォーカスバイアス調整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H11339341A (ja) 光磁気記録媒体の再生方法
WO2004068487A1 (ja)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