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385A - 화장품 및/또는 피부질환용 제품 - Google Patents

화장품 및/또는 피부질환용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385A
KR20040073385A KR1020040009340A KR20040009340A KR20040073385A KR 20040073385 A KR20040073385 A KR 20040073385A KR 1020040009340 A KR1020040009340 A KR 1020040009340A KR 20040009340 A KR20040009340 A KR 20040009340A KR 20040073385 A KR20040073385 A KR 20040073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acid
cosmetic
dicarbox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너 막스
토마스 되링
라이너 볼버
토마스 블라트
루트거 콜베
클라우디아 문트
슈테판 갈리나트
Original Assignee
바이어스도르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어스도르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어스도르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40073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3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 질환용 제품에 있어서,
상기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이 제품의 전제 중량에 대해 0.005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 5 중량%, 특히 0.1 - 3 중량%의 전체 농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질환 제품.

Description

화장품 및/또는 피부질환용 제품 {COSMETIC AND/OR DERMATOLOGIC PREPARATION}
본 발명은 특히 노화된 피부, 민감한 피부, 햇볕에 그을린 피부 또는 면도에 의해 자극된 피부를 손질하기 위하여, 짧게는 미용적 피부 관리를 위하여 피부 미백 기능을 가진 화장용 활성제 및 피부 외용 활성제 또는 피부 그을림 예방용 활성 제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미용적 피부 관리란 우선 환경의 영향(예: 오염, 화학 물질, 미생물) 및 신체 자생 물질(예: 수분, 천연 지방, 전해질)의 손실에 대한 보호막으로서의 피부 고유의 기능을 강화하거나 재생시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피부의 기능이 손상되면, 독성 물질 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흡수력이 증대되거나 미생물의 작용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피부 독소 반응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피부 관리의 목적은 매일 세안을 함으로써 손실되는 피부의 지방 및 수분을 보충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리는 바로 자연 재생 능력이 충분치 않은 경우에 중요하다. 또한 피부 관리 제품은 환경의 영향, 특히 햇빛과 바람으로부터 피부를보호하고 피부 노화를 늦추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연령 증가에 따른 피부 노화는 예컨대 유전적으로 결정된 내인성 요소에 의해 야기된다. 노화로 인해 표피 및 진피에 아래와 같은, "노인성 건조증"의 개념에 속할 수도 있는, 조직 손상 및 기능 장애가 나타나게 된다.
a) 피부 건조증, 거칠어짐 및 피부 건조로 인한 잔주름 형성;
b) 가려움증;
c) 기름샘에 의한 유분 회복력의 저하(예: 세안 후)
UV 광선 및 유해 화학 물질과 같은 외인성 요소들은 축적되어 작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내인성 노화 과정을 가속화하거나 보완한다. 특히 외인성 요소에 의해서는 연령 증가에 따른 노화시의 손상 정도와 성질을 능가하는, 예컨대 아래와 같은 조직 손상 및 기능 장애가 표피 및 진피에 나타날 수 있다.
d) 육안으로 보이는 혈관 확장증(모세혈관 확장증, 홍반증(獨: Cuperosis));
e) 피부 쳐짐, 주름 형성;
f) 국소적 과색소/저색소 이상(예: 검버섯);
g) 물리적 응력에 대한 저항력의 약화(예: 피부 갈라짐)
본 발명은 특히 자연적으로 노화된 피부를 관리하고 일광 노출에 의한 피부 손상, 특히 a) 내지 g)에 열거한 현상들을 치료하기 위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노화된 피부를 관리하기 위한 제품들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예컨대 레티노이드(비타민A산 및/또는 그 유도체) 또는 비타민A 및/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고 있다. 조직 손상에 미치는 이들의 작용은 물론 손상 범위에 따라제한적이다. 또한 제품 개발 과정에서 활성제를 산화성 분해(oxidative decomposition)에 대해 충분히 안정화시켜야 하는 상당한 난점이 있다. 또한 비타민A산을 함유한 제품의 사용에 의해 종종 강한 홍반성 피부 자극이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레티노이드는 아주 소량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유해성 피부 산화의 진행으로부터 효과적으로 피부를 보호하는 화장품뿐만 아니라, 유해성 산화 진행에 대한 화장품 자체의 안전성 내지는 화장품 성분의 안전성과 관련된다.
태양 복사의 자외선 부분이 피부에 미치는 유해 작용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290 nm 미만(소위 UVC 영역)의 파장을 가진 복사는 대기의 오존층에 의해 흡수되는 반면, 290 nm 내지 320 nm 사이의 범위(소위 UVB 영역)의 복사는 홍반이나 가벼운 일광 화상 또는 다소 심각한 화상을 일으킨다.
홍반 작용을 유발하는 최대 일광 범위는 약 308 nm으로 전술한 범위보다 더 좁은 영역이다.
UVB 광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수많은 혼합물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화합물로는 3-벤질리덴 캠퍼, 4-아미노벤조산, 계피산, 살리실산, 벤조페논 및 2-페닐벤지미다졸의 유도체가 사용된다.
약 320 nm 내지 400 nm 사이의 영역, 소위 UVA 영역의 경우에도, 상기 영역의 파장을 가진 복사에 의해 빛에 민감한 피부의 반응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필터링 물질(獨: Filtersubstanz)을 사용하여야 한다. UVA 복사는 결합 조직의 탄력섬유(elastic fiber) 및 아교섬유(collagen fiber)를 손상시키고, 그로 인해 피부의 조기 노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또한 UVA 복사는 수많은 광독성 및 광알러지성 반응의 원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UVA 복사에 의해 UVB 복사의 유해한 영향이 증폭될 수 있다.
따라서 UVA 영역의 복사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약간의 디벤조일메탄 유도체가 사용되는데,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의 광감도(photosensitivity)(Int. J. Cosm. Science10, 53 (1988))는 충분하지 않다.
또한 UV 복사는 광화학 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광화학 반응 생성물이 피부 대사에 관여하게 된다.
그러한 광화학 반응 생성물로는 주로 라디칼(radical) 함유 화합물, 예컨대 하이드록시 라디칼이 다루어진다. 피부 자체에서 발생하는, 정의되지 않은 라디칼 광화학 반응 생성물도 높은 반응성으로 인해 비조절성 연속 반응을 갑자기 일으킬 수 있다. UV 조사시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 즉 라디칼을 함유하지 않도록 여기된 산소 분자 상태도 발생할 수 있고, 일시적인 에폭시 반응 및 다른 여러 반응들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일중항 산소는 예컨대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삼중항 산소(라디칼 기저 상태(ground state))에 비해 반응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물론 산소 분자의 여기된 반응성(라디칼) 삼중항 상태도 존재한다.
또한 UV 조사는 이온화 조사(ionizing irradiation)에 속한다. UV에 노출되면 이온종(ionic species)이 발생할 위험도 있으며, 이 경우 이온종 측에서 산화를 일으키는 방식으로 생화학적 과정에 개입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화장용 또는 피부질환용 제제에 항산화제 및/또는 라디칼 제거제가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제안된 바와 같이, 자외선 차단제에 비타민 E, 즉 공지되어 있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첨가하여도 그 효과는 기대에 훨씬 못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용, 피부용 및 약품용 제제 및 제품들뿐만 아니라 빛에 민감한 피부, 특히 광민감성 피부질환, 바람직하게는 PLD(Polymorphous light dermatosis, 다형 광과민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형 광과민성 피부질환에 대한 또 다른 명칭에는 PLD, PLE, acne aestivalis(여름철 여드름)가 있으며 문헌(예: A. Voelckel 외, Zentralblatt Haut- und Geschlechtskrankheiten(피부 질환 및 생식기 질환 학회지)(1989), 156, 2p.)에 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다른 여러 명칭들이 있다.
항산화제는 주로 상기 항산화제를 함유하고 있는 제품의 변질을 막는 물질로서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 및 동물의 피부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산화 과정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산화 과정은 피부 노화의 근본 원인이다.
"피부 과학에서의 산화성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in Dermatology)", P. 323 ff(Marcel Decker Inc. 뉴욕, 바젤, 홍콩, 발행인: Juergen Fuchs, 프랑크푸르트; Lester Packer, 버클리/캘리포니아)에 실린 기사 "산화적 상해와 관련된 피부질병(Skin Diseases Associated with Oxidative Injury)"에는 피부의 산화성 손상 및 그의 상세한 원인들이 열거되어 있다.
그러한 반응들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에서도 화장용 또는 피부질환용 제제들에 추가로 항산화제 및/또는 라디칼 제거제가 첨가될 수 있다.
이미 미국 특허출원 공보 제 4,144,325호 및 제 4,248,861호를 비롯하여 다른 수많은 문서들에서 비타민 E, 즉 공지되어 있는 항산화 효과를 가진 물질을 자외선 차단제에 첨가하는 것이 제안된 것처럼 몇몇 항산화제와 라디칼 제거제가 공지되어 있긴 하나, 이러한 경우에도 그 효과는 기대에 훨씬 못미치고 있다.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dioic acid, CAS-number 20701-68-2; 임시 INCI-명칭 Octadecanedioic acid)은 캔디다 균주 효모 세포의 대사 산물이며, 아래와 같은 구조로 나타내어진다.
출발 물질로는 순 식물성 지방산이 사용된다. 이러한 순 식물성 지방산은 하이드록시기 지방산으로 변환되고, 상기 하이드록시기 지방산은 지방산 알데히드로 산화된 후 최종적으로 디카르복실산으로 산화된다. 효모 세포는 선택된 변이 균주에서 유래한다. 상기 생성물은 95%의 순도를 갖고 있다. 이 경우,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은 시스 이성질체(cis isomer)와 트랜스 이성질체(trans isomer)의 혼합물로서 존재하며, 이 때 시스 이성질체의 함량이 더 높다. 상기 생성물 내에 올레인산이 약 3%의 농도로 함유될 수 있다.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과 같은 물질에 대한 연구가 오랫동안 행해져왔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이 피부 재생과 관련하여 피부의 노화에 미치는 바람직한 영향에 대해서는 보고된 적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방지하는 방법을 알아내는 것이었다. 특히 내인성, 외인성 및 연령 증가에 따른 피부 노화와 관련된 손상의 치료 및 예방 작용은 영구적이고 효과적이어야 하며, 부작용의 위험이 없어야 한다.
제품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총 0.005 내지 20 중량퍼센트,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퍼센트, 특히 0.1 내지 3 중량퍼센트의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이 함유된 화장품 또는 피부질환 제품이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제거한다는 사실은 매우 놀라운 것이었으며, 전문가들도 알지 못했던 사실이었다.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은 피부의 재생력과 혈액 순환을 강화시킨다. 또한 피부 내에서의 신진 대사 변환을 촉진/강화시켜 에너지 대사도 촉진된다. 특히 피부가 재생되고, 표피와 진피 사이의 결집이 개선된다. 콜라겐 생합성은 탄력 섬유와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합성과 동일하게 자극된다. 그 결과 피부의 탄력이 강화된다. 종합적으로는 피부 재생 효과 및 피부가 약간 따끔거리며 당겨지는 양상으로 나타나는 피부의 활력 회복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일사광에의 노출로 인해 노화된 피부에서 나타나는 노화 현상뿐만 아니라 연령 증가에 따라 노화된 피부에서 나타나는 노화 현상과도 관련이 있다.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을 사용하면 젊은 피부의 항상성이 회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피부가전반적으로 상쾌해진 느낌을 갖게 되어 만족감이 증가될 수 있다.
공개된 것처럼,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의 이러한 활력 촉진 효과는 활성제의 가용성이 충분하느냐에 달려 있다. 따라서 우리가 이미 관찰한 피부 미백 효과에 한정하여, 노화 피부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기 위해서는 피부가 맑아지는 징후가 처음 나타났을 때보다 조금 더 높은 농도로 사용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상기 물질의 사용시 사용자가 "피부 활력의 회복"을 확실히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느낌은 순한 얼굴 각질 제거제를 사용한 후와 유사하게 약간 따끔거리거나 상쾌한 느낌으로 표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이 그의 거울상 이성질체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경우,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이 크레아틴, 크레아티닌, 이소플라본-150과 같은 콩 추출물, 아세틸카니틴 및/또는 카니틴과 결합된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다이드진, 글리스틴, 제니스틴,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제니스테인 및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는 콩 추출물은 예컨대 L.M Cosmetics사(대만, 프랑스)에서 Isoflavones 150(이하 이소플라본 150으로 표기함)이라는 명칭으로 상용화되었다. 이 혼합물은 예컨대 39.01 ppm의 다이드진, 1.53 ppm의 말로닐다이드진, 20.56 ppm의 아세틸다이드진, 22.47 ppm의 글리시틴, 1.74 ppm의 말로닐글리시틴, 12.69 ppm의 아세틸글리시틴, 제니스틴, 1.43 ppm의 다이드제인, 9.82 ppm의 글리시테인, 9.82 ppm의 제니스틴, 0.1 ppm의 말로닐제니스틴, 5.7 ppm의 아세틸제니스틴, 0.33 ppm의 제니스테인을 함유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물질의 결합은 개별 성분들과 관련하여 상승 효과를 유발한다.
본 발명에는 피부의 재생, 피부 활력 회복, 피부 대사량의 증가 및/또는 피부의 혈액순환 개선, 피부의 탄력 강화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용도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주름 방지, 콜라겐 합성의 자극, 특히 진피와 표피의 삼차원 결합 구조의 개선을 위한, 그리고 표피의 손상시 생긴 상처가 작아지면서 쉽게 아물도록 하고 인간의 몸과 마음에 자극을 주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용도도 포함된다.
또한 피부의 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른 활성제들과의 결합도 중요하다. 노화 피부에 특히 주름의 형성을 예방하거나 본래 있었던 주름을 완화시키는 긍정적 효과를 유발하기 위한 활성제가 결합 대상 물질로서 매우 적합하다. 특히 바람직한 활성제로는 바이오 퀴논, 특히 유비퀴논 Q10, 크레아틴, 크레아티닌, 카니틴, 아세틸카니틴, 비오틴, 이소플라본-150(Lucas Meyer Cosmetics사) 및 이소플라보노이드, 제니스테인, 악틴(arctiin), 카디올리핀, 리포익산, 항동결(anti-freezing) 단백질, 홉 추출물 및 맥아 추출물, 및/또는 결합 조직의 재생을 촉진하는 물질, 이소플라보노이드 및 예컨대 콩 추출물 및 클로버 추출물과 같이 이소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식물 추출물이 적용되며, 이러한 물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은 예컨대 비타민 C, 비오틴, 카니틴, 크레아틴, 크레아티닌, 프로핀산, 글리세린, 녹차 추출물, 유칼립투스 오일, 요소 및 예컨대 NaCl과 같은 무기염, 해양 광물질 및 예컨대 타우린, 이노시톨, 베타인, 4기(基)-암모니아 화합물과 같은, 건조해진 피부의 피부 기능을 돕기 위한 활성제와 결합되는 것이 매우 유리한 것으로 밝혀져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이, 일반적으로 민감한 피부나 유해 물질(UV 광, 화학 약품)에 의해 자극을 받은 피부와 같은 자극 상태의 피부를 진정시키고 긍정적인 효과를 유발하기 위한 활성제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활성제로는 세리코사이드, 다양한 감초 추출물, 리코칼콘 A, 실리마린 또는 실리포스, 덱스판테놀, 에탄올, 프로스타글란딘 대사 억제제, 특히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억제제 및 류코트리엔 대사 억제제, 특히 5-리폭시게나제 또는 5-리폭시게나제 활성자 단백질(FLAP)을 들 수 있다. 또한 색소 침착 조절 인자가 관여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관련하여, 일부는 상용화된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 내 첨가 물질로도 간주되고, 피부의 색소 침착을 감소시켜 미용상 바람직한 맑은 피부로 되돌려주며, 및/또는 검버섯의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기존의 검버섯을 엷어지게 하는 추가의 활성제로 티로신 황산염, 다양한 포화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특히 C8-C24-디카르복실산, 리포익산 및 리포익아마이드, 다양한 감초 추출물, 코지산, 하이드로퀴논, 알부틴, 과일산, 특히 알파하이드록시산(AHA), 비어베리(bearberry)(uvae ursi), 우르솔릭산, 아스코르브산, 녹차 추출물, 아미노구아니딘 및/또는 피리독사민이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피부 표면을 더욱 매끄럽게 하기 위해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이 UV 광의 영향으로 인한 또는 UV 광에 기인하지 않은 피부 그을림(갈색화)을 더욱 촉진시키거나 가속화하는 활성제들, 즉 최종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AGE), 리포푸신, 핵산-올리고뉴클레오티드, 퓨린 및 피리미딘, NO-유리기 물질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들은 바람직하게 아래와 같은 용도, 즉
- 피부 재생과 세포 재생의 촉진 및 개선
- 혈액순환을 개선시켜 피부에 산소와 영양분을 원활하게 공급
- 피부 활력의 회복
- 표피/진피 접합 영역(dermoepidermal junction)(표피 유두층)의 강화
- 피부의 정화
- 피부 긴장
- 피부 고유의 신진 대사 활성화
- 피부의 에너지 대사 활성화
- 콜라겐 합성, 히알루론산 합성, 엘라스틴 합성의 유도
- 피부 탄력의 촉진 및 개선
- 피부 강도의 촉진 및 개선
의 용도로 쓰일 뿐만 아니라,
- 피부 쳐짐
- 피부 주름
- 노화로 인한 피부 주름
- 일광으로 인한 피부 노화
- 피부 탄력 저하(특히 오렌지 껍질 모양의 피부, 셀룰라이트)
- 살트임 흔적(stretch mark)
- 임신으로 인한 살트임 흔적
- 고르지 못한 혈색
- 피부가 피로해보이거나 지쳐보임
- 피부 항상성 기능 이상
- 피부 및/또는 피부 부속기의 조기 노화(검버섯, 모세혈관 확장증)
와 같은 현상들을 방지하는 용도, 더 정확히 말하면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효 함량의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이 들어있는 제품을 사용하면 놀랍게도 아래와 같은 현상, 즉
- 피부 또는 피부 부속기가 결핍성, 민감성 또는 둔감성을 나타내는 상태
- 피부의 유분이 많아지거나 불결해짐
- UV광에 노출된 후의 피부 반응(피부 그을림)
- 면도(면도 염증) 후의 피부 반응
- 세라마이드-, 리피드- 및 피부장벽 대사의 트러블
- 수분결핍성 피부
- 피부장벽 및 피부장벽 기능의 결핍
- 경피수분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변화
-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함량 변화
- 두피의 비듬형성
- 환경적 조건(흡연, 스모그, 활성산소종, 프리 라디칼) 및 특히 광조건에 따른 부정적인 피부 및 피부 부속기 변화
- 광조건에 따른 피부 손상
- 색소침착 트러블
- 가려움증
- 건조한 피부상태 및 각질층 장벽 트러블(갈라진 피부, 거칠은 피부)
- 탈모 예방(및 모발성장 회복)
- 염증성 피부상태 및 아토피 습진, 지루성 습진, 다형 광발진, 건선, 백반증 등의 효과적인 치료 및 예방이 가능하다. 그러나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 또는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의 유효함량을 갖는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는 또한 다음과 같은 목적, 즉
- 민감성 피부 또는 과민성 피부의 진정
- 특히 결핍성 또는 둔감성 피부 상태일 경우, 세포 내 DNA 합성의 자극
- 세포간 결합의 개선
- 피부 자체의 보호/복구 메카니즘(예컨대 기능장애 효소, DNA, 리피드, 단백질)의 향상
- 예컨대 피부결점 및 흉터의 감소, 그리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피부 염증의 완화 및 손상된 피부의 재생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국소적인 레이저 치료 및 연마(polishing) 치료에 있어서의 예방치료 및 사후치료
의 목적으로도 매우 탁월하게 사용된다.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 또는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의 유효 함량을 갖는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에 의한, 예방법 또는 미용/피부치료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특히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 또는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의 유효 함량을 갖는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를 관련 피부 부위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놀랍게도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 산이 본 발명의 목적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바람직하게는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이 상이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통상의 화장품 및 피부제제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용액, 워터 인 오일(W/O)형 또는 오일 인 워터(O/W)형 에멀젼, 또는 워터 인 오일 인 워터(W/O/W)형 또는 오일 인 워터 인 오일(O/W/O)형 복합 에멀젼, 하이드로디스퍼션(hydrodispersion) 또는 리포디스퍼션(lipodispersion), 겔, 고형핀, 경피약물전달체(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또는 에어로솔(Aerosol)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 따른 에멀젼(emulsion)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크림, 로션 또는 화장품 유액의 형태를 가지며, 예컨대 지방(fat), 오일(oil), 왁스(wax) 및/또는 이 외의 다른 지방조직, 그리고 물 및 이러한 형태의 제품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미에서는, 피부 및 헤어의 소제 및 손질을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활성제를 수용액 또는 계면활성제 내에 바람직하게 삽입할 수도 있다. 이는 샤워젤, 샴푸 뿐만 아니라, 컨디셔너, 헤어케어 제품, 헤어린스, 헤어토닉, 스프레이등을 포함한다.
물론, 대개 복잡한 화장품은 통상의 보조제 및 첨가제없이는 생성불가능하다는 사실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제 및 첨가제로는 예컨대 점증제(thickening agent), 충전재, 향수, 염료, 유화제, 비타민 또는 단백질과 같은 추가 활성제, 자외선차단제, 안정제, 곤충기피제, 알코올, 물, 소금, 방부제, 단백질 분해제 또는 각질 용해제 등이 있다.
또한 활성제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을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분자 첨가생성물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시클로덱스트린 기지는 주인분자로서,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은 나그네 분자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제품 생성을 위해서 시클로덱스트린이 물에 용해되고 8-헥사데센-1.16-디카르복실산이 첨가된다. 그리고 나서 분자 첨가생성물이 고체로서 침전되어서, 통상의 세정 및 세광 단계를 거치게 될 수 있다. 상응하는 용매(예컨대 물) 내에 있는 시클로덱스트린-게스트(guest) 착물이 고형의 게스트-시클로덱스트린 착물과 해리된 외형 간의 평형을 이룬다는 사실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때 시클로덱스트린 및 게스트가 일정량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는 이러한 평형계도 바람직하다.
시클로덱스트린(시클로아밀로오스, 시클로글루칸)이 그 자체로 화장품 및 약제로 공지되어 있다.
각각의 물질에 있어서 수성 시클로덱스트린에 대한 난용해성 물질의 용해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게스트(guest)라고 표기되는 물질과 시클로덱스트린종 간의 내포 화합물(inclusion compound)이 제공되는데, 이때게스트 대 시클로덱스트린 몰비가 1:1 또는 1:2이거나 그 외 다른 몰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의 물리적인 혼합도 가능하다.
시클로덱스트린은-1.4 가교 포도당 성분으로 이루어진 시클로올리고당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6개 내지 8개의 포도당 성분(-시클로덱스트린,-시클로덱스트린 또는-시클로덱스트린)이 서로 결합된다.
시클로덱스트린은 농도에Bacillus macerans가 반응할 때 얻어진다. 이러한 시클로덱스트린은 소수성 내부와 친수성 외부를 갖는다. 시클로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는 구조적 형태로 인해 내포 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시클로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는 활성제의 "분자 캡슐화"를 위해, 예컨대 화장품 및 약품 조제시에 민감성 분자의 외피로서 적합하다.
이러한 용도가 예컨대 WO 98/55148, EP 0 579 435, EP 0 392 608와 같은 특허 계열에서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서에서는, 대개 단 하나의 활성제 만이 시클로덱스트린(-유도체)에 의해 착물화된다. 복합성분 내포 착물이 EP 0756 493에 공지되어 있긴 하지만, 자세히 검토해보면 여기서는 산(acid)과 염기(base)로 이루어진 2성분 혼합물이 아니라 염(salt)을 가리킨다.
"시클로덱스트린 및/또는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라는 말은 고리형 분자로 이루어진 다수의 포도당 성분을 갖는 시클로덱스트린 및 이러한 화합물의 유도체를말하는데, 이를 구조식으로 나타내면 하기와 같다. 즉
-시클로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시클로덱스트린이 바람직하게 화장품 또는 약제 제품 내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0.0005 내지 20.0 중량%, 특히 0.01 내지 1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의 농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고유-, 극성- 및/또는 비극성- 치환 시클로덱스트린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클로덱스트린에는 메틸--시클로덱스트린, 특히 랜덤-메틸--시클로덱스트린, 에틸-시클로덱스트린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시클로덱스트린 이외에도 예컨대 HP--시클로덱스트린 또는 HP--시클로덱스트린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시클로덱스트린종은-시클로덱스트린 및하이드록시프로필--시클로덱스트린이다.
이 외의 다른 종래기술이 공지된 문서는 다음과 같다:
K.Uekama et al., Chemical Reviews, 1998, 98, 2045-2076, "Cyclodextrin drug carrier systems".
T.Loftsson, Int. J. Dermatology, 1998, 37, 241-246, "Cyclodextrins:new drugdelivery systems in dermatology".
J.Zatz et al. Cosmetics & Toiletries, 1997, 112, Juli, 39ff, "Applications of cyclodextrins in skin products.
U.Citernesi, Cosmetics & Toiletries, 1995, 110, March, 53ff, Cyclodextrins in functional dermocosmetics.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시클로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게스트-내포 착물, 또는 시클로덱스트린-물질 혼합물이 어려움없이 고분자 기지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필요시에는 의약품 조제에 대한 상응하는 요구들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외용 약제의 제품은 통상적으로 유효농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약물을 포함한다. 편의상 화장품용과 의료용,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제품들을 정확하게 구분짓기 위해서는 독일 연방공화국의 법규정(예컨대 화장품법, 식품위생법 및 약품법)을 참조하길 바란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활성제를 제품에 대한 첨가제로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제품은 이미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다른 활성제를 이미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또는 너트추출물, 그리고 인후염을 유지하거나 생성하거나 또는 더 강화시키는 추가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바람직한 보습제로는 예컨대 글리세린, 유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 요소가 있다. 또한 특히 수용성 다당류 및/또는 물에서 부풀어오르는 다당류 및/또는 물에 의해 엉길수 있는 다당류 중 하나로 이루어진 고분자 보습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히알루론산 및/또는 푸코오스 다량 함유 다당류가 특히 바람직하며, 이들은 화학초록에서 등록번호 178463-23-5로 정리되어 있으며 예컨대 SOLABIA S.A 회사의 Fucogel?1000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글리세린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보습제로서 0.05 내지 3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 제품은 각각의 구성에 따라서 피부보호 크림, 세안유액, 자외선차단제, 영양크림, 데이크림 또는 나이트크림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약제의 기본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미에서는, 자외선 차단이 주용도는 아니지만 UV 차단물질을 일부 함량하고 있는 화장품 및 피부약제를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컨대 데이크림 또는 메이크업 제품들에는 통상적으로 UV-A 필터 물질이나 UV-B 필터 물질이 함유된다. 또한 산화방지제와 비슷한 UV 차단 물질, 그리고 소정의방부제는 부식을 직접적으로 막아주는 제제이다. 또한 자외선차단제의 형태로 존재하는 화장품 및 피부약제가 바람직하다.
이에 상응하여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제제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추가 UV-A 필터 물질, UV-B 필터 물질 및/또는 광대역 필터 물질을 함유한다. 제제는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워터페이즈(waterphase) 및/또는 오일페이즈(oilphase)로 존재하는 UV 필터 물질로서 하나 이상의 유기염료 및/또는 무기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화장품 또는 피부약제에서 소위 오일프리 에멀젼의 형태로 바람직하게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에멀젼은 워터페이즈, 그리고 추가의 페이즈로서 실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UV 필터 물질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는 특히 바람직하게 실온에서 액상인 UV 필터 물질로는 호모메틸살리실레이트(INCI:호모살레이트),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INCI:옥토크릴렌), 2-에틸헥실-2-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2-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INCI: 옥틸 살리실레이트) 및 계피산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4-메톡시시나메이트(2-에틸헥실)에스테르(2-에틸헥실-4-메톡시시나메이트, INCI:옥틸 메톡시시나메이트) 및 4-메톡시시나메틱액시드이소펜틸에스테르(이소펜틸-4-메톡시시나메이트, INCI:이소아밀 p-메톡시시나메이트)가 있다.
바람직한 무기염료에는 산화금속 및/또는 물에서 용해되기 어렵거나 용해될수 없는 금속 화합물, 특히 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산화철(Fe2O3),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규소(SiO2), 산화망간(MnO),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세륨(Ce2O3), 이에 상응하는 금속들의 혼합 산화물 및 이러한 산화물의 혼합물 및 황산바륨(BaSO4)이 있다.
염료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의미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유성 또는 수성 분산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산물에는 바람직하게 분산매(dispersing agent) 및/또는 용해제가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염료는 바람직하게 표면처리(코팅)될 수 있는데, 이때 예컨대 친수성(hydrophile), 양친화성(amphiphile) 또는 소수성(hydrophobic)이 형성되거나 또는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표면처리는, 염료가 자체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얇은 친수성 및/또는 소수성의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을 갖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이러한 상이한 표면 코팅은 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무기질 표면 코팅은 산화알루미늄(Al2O3), 수산화알루미늄(Al(OH)3)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하이드래이트(알루미나, CAS No.: 1333-84-2), 나트륨헥사메타포스패이트(NaPO3)6, 나트륨메타포스패이트(NaPO3)n, 이산화규소(SiO2)(실리카, CAS No.:7631-86-9), 또는 산화철(Fe2O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무기질 표면 코팅은 단독으로, 서로 결합되어서 및/또는 유기질 코팅 재료와 결합되어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유기질 표면 코팅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식물성 또는 동물성 스테아린산, 라우르산, 디메틸폴리실록산(디메티콘), 메틸폴리실록산(메티콘), 시메티콘(평균 사슬길이가 200 내지 300인 하나의 디메틸실록산과 실리카겔의 혼합물) 또는 알길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기질 표면 코팅은 단독으로, 서로 결합되어서 및/또는 무기질 코팅 재료와 결합되어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산화아연 입자 및 산화아연 입자의 분산물은 아래의 표에 거명된 회사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상품명 코팅 제조사
Z-Cote HP1 2% 디메티콘 BASF
Z-Cote / BASF
ZnO NDM 5% 디메티콘 H&R
적합한 이산화티탄 입자 및 이산화티탄 입자 분산물은 아래의 표에 거명된 회사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상품명 코팅 제조사
MT-100TV 수산화알루미늄/스테아린산 Tayca Corporation
MT-100Z 수산화알루미늄/스테아린산 Tayca Corporation
Eusolex T-2000 알루미나/시메티콘 Merck KgaA
이산화티탄 T805(Uvivul TiO2) 옥틸트리메틸실란 Degussa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바람직한 UV-A 필터 물질은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특히 Givaudan사의 Parsol?1789 및 Merck사의 Eusolex?9020으로 시판되는 4-(터트.-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CAS No.70356-09-1)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바람직한 추가 UV 필터 물질은 술포화된 수용성 UV 필터이며, 예를 들면 하기와 같다. 즉
- 페닐렌-1.4-비스-(2-벤지미다질)-3.3'-5.5'-테트라술폰산 및 그의 염, 특히 상응하는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트리에탄올암모늄염, 특히 INCI 명칭이 비지미다질래이트(CAS No.:180898-37-7)인 페닐렌-1.4-비스-(2-벤지미다질)-3.3'-5.5'-테트라술폰산-비스-나트륨염이 있으며, 이는 Haarmann & Reimer사의 Neo Heliopan으로 시판되고 있다;
- 2-페닐벤지미다졸-5-술폰산염, 그의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트리에탄올암모늄염, 그리고 INCI 명칭이 페닐벤지미다졸 술폰산(CAS No.27503-81-7)인 술폰산 자체가 있으며, 이는 Merck사의 Eusolex 232 및 Haarmann & Reimer사의 Neo Heliopan으로 시판되고 있다;
- 1.4-디(2-옥소-10-술포-3-보닐리덴메틸)-벤졸(3.3'-(1.4-페닐렌디메틸렌)-비스-(7.7-디메틸-2-옥소-비시클로-[2.2.1]헵트-1-일메탄 술폰산) 및 그의 염(특히 상응하는 10-황산염 화합물, 특히 상응하는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트리에탄올암모늄염)이 있으며, 이는 벤졸-1.4-디(2-옥소-3-보닐리덴메틸-10-술폰산이라고도 한다. 벤졸-1.4-디(2-옥소-3-보닐리덴메틸-10-술폰산)의 ICNI 명칭은 테레프탈리덴 디캄파 술폰산(CAS No.:90457-82-2)이며 예컨대 Chimex사의 Mexoryl SX로 시판되고 있다;
- 예컨대 4-(2-옥소-3-보닐리덴메틸)벤졸술폰산, 2-메틸-5-(2-옥소-3-보닐리덴메틸)술폰산 및 그의 염과 같은, 3-벤질리덴캄파 술폰산 유도체가 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UV-A-필터 물질로는 하이드록시벤조페논이 제공되며, 이를구조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인 수소, C1-C20-알킬, C3-C10-시크로알킬 또는 C3-C10-시크로알케닐을 의미하며, 치환체인 R1및 R2는 거기에 결합된 질소원자와 함께 5- 또는 6-링을 형성할 수 있으며,
● R3은 C1-C20-알킬 잔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특히 바람직한 하이드록시벤조페논은 2-(4'-디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안식향산헥실에스테르(또한: 아미노벤조페논)이며, 상기 에스테르는 하기의 구조식으로 표기되고:
Uvinul A Plus라는 이름으로 BASF 社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바람직한 UV-필터 물질도 또한 소위 광대역 필터, 즉UV-A- 및 UV-B-광선을 흡수하는 필터 물질이다.
바람직한 광대역 필터 또는 UV-B-필터 물질은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트리아진 유도체이다.
● TinosorbS라는 명칭으로 CIBA-Chemikalien GmbH 社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실]-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INCI: 아니소 트리아진),
● UVASORB HEB라는 명칭으로 Sigma 3V 社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디에틸헥실부틸아미도트리아존 (INCI: 디에틸헥실부트아미도트리아존),
● 4,4',4"-(1,3,5-트리아진-2,4,6-트리일트리이미노)-트리스-안식향산-트리스(2-에틸헥실에스테르), 및: BASF Aktiengesellschaft 社로부터 UVINULT 150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2,4,6-트리스-[아닐리노-(p-카르보-2'-에틸-1'-헥실옥시)]-1,3,5-트리아진 (INCI: 에틸헥실 트리아존).
본 발명의 의미에서 바람직한 광대역 필터로는 TinosorbM이라는 명칭으로 CIBA-Chemikalien GmbH 社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3,3,3-테트라메틸부틸)-페놀)도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바람직한 광대역 필터로는 또한 MexorylXL이라는 명칭으로 Chimex 社로부터 구입할 수 있고 INCI-명칭이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인 2-(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2-메틸-3-[1,3,3,3-테트라메틸-1-[(트리메틸실일)옥시]디실록산일]프로필]-페놀 (CAS-Nr.: 155635-54-8)이 있다.
추가의 UV-필터 물질은 지용성 또는 수용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바람직한 지용성 UV-B- 및/또는 광대역-필터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 3-벤질리덴캠퍼-유도체, 바람직하게는 3-(4-메틸벤질리덴)캠퍼, 3-벤질리덴캠퍼;
■ 4-아미노안식향산-유도체, 바람직하게는 4-(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2-에틸헥실)에스테르, 4-(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아밀에스테르;
■ 벤조페논의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베조페논
■ 그리고 중합체에 결합된 UV-필터.
■ 예를 들어 ParsolSLX라는 명칭으로 Hoffmann La Roche 社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3-(4-(2,2-비스 에톡시카르보닐비닐)-페녹시)프로페닐)-메톡시실록산/디메틸실록산 - 공중합체.
바람직한 수용성 필터 물질의 예로서는:
예컨대 4-(2-옥소-3-보르닐리덴메틸)-벤졸술폰산, 2-메틸-5-(2-옥소-3-보르닐리덴메틸)술폰산 및 그의 염과 같은 3-벤질리덴캠퍼의 술폰산-유도체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될 추가의 광에 안정한 필터 물질은 UvinulN 539라는 명칭으로 BASF 社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옥토크릴렌)이다.
높은 또는 매우 높은 UV-A- 및/또는 UV-B-보호를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의의미에서 특히 바람직한 제품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물질(들) 외에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UV-A- 및/또는 광대역 필터, 특히 디벤조일메탄유도체 [예컨대 4-(3차-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페닐렌-1,4-비스-(2-벤츠이미다질)-3,3/-5,5'-테트라술폰산 및/또는 그의 염, 1,4-디(2-옥소-10-술포-3-보르닐리덴메틸)-벤졸 및/또는 그의 염 및/또는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을 각각 개별적으로 함유하거나 또는 서로 임의로 조합하여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언급한 UV-필터의 리스트는 당연히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헤어 또는 피부를 자외 광선의 전체 범위에 대해 보호하는 화장품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품들은 바람직하게 UV-A- 및/또는 UV-B-범위의 UV-광선을 흡수하는 물질을 예컨대 제품의 전체 중량에 대해 각각 0.1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중량%, 특히 1.0 내지 15.0 중량%의 전체량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품 및 피부질환용 제품들은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 방부제, 살균제, 방향제, 소포제, 착색제, 염색 작용을 하는 색소, 농후화제, 표면활성제, 유화제, 연화제, 습기제 및/또는 습기 함유제, 지방, 오일, 왁스 또는 알코올, 폴리올, 중합게, 거품 안정화제, 전해질, 유기 용매 또는 실리콘 유도체와 같은 화장품 또는 피부질환용 형성제의 다른 통상의 성분과 같이 통상적으로 상기 제품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화장용 활성 물질, 보조 물질 및/또는 첨가 물질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상기 제품에 통상의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유리한 산화방지제로서는 화장품 및/또는 피부질환용 적용을 위해 적합하거나 또는 통상적인 모든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바람직하게 아미노산(예컨대 글리신, 히스티딘, 티로신, 트립토판) 및 그의 유도체, 이미다졸(예컨대 유로카닌산) 및 그의 유도체, D,L-카르노신, D-카르노신, L-카르노신과 같은 펩타이드 및 그의 유도체(예컨대 안세린), 카로티노이드, 카로틴(예컨대 α-카로틴, β-카로틴, 리코핀) 및 그의 유도체, 예컨대 레티놀, 레티날 및/또는 레티노에산과 같은 레티노이드 및 개별 에스테르, α-리폰산 및 그의 유도체(예컨대 디하이드로리폰산), 오로티오글루코오스, 프로필티오우라실 및 다른 티올(예컨대 티오레독신, 글루타시온, 시스테인, 시스틴, 시스타민 및 그의 글리코실-, N-아세틸-, 메틸-, 에틸-, 프로필-, 아밀-, 부틸- 및 로릴-, 팔미토일-, 올레일-, γ-리놀레일-, 콜레스테릴- 및 글리세릴에스테르) 그리고 그의 염, 딜로릴시오디프로피로네이트, 디스테아릴시오프로피오네이트, 시오디프로피온산 및 그의 유도체(에스테르, 에테르, 펩타이드, 립파이드, 뉴클레오타이드, 뉴클레오사이드 및 염) 그리고 매우 적은 상화성 도우징으로(예컨대 pmol 내지 μmol/kg) 술폭시이민 화합물(예컨대 부티오닌술폭시이민, 호모시스테인술폭시이민, 부티오닌술폰, 펜타-, 헥사-, 헵타시오닌술폭시이민), 또한 (금속)-킬레이트(예컨대 α-하이드록시지방산, 팔미틴산, 피틴산, 락토페린), α-하이드록시산(예컨대 레몬산, 젖산, 사과산), 부식산, 담즙산, 담즙 추출물, 빌리루빈, 빌리베르딘,EDTA, EGTA 및 그의 유도체, BHT, 불포화 지방산 및 그의 유도체(예컨대 γ-리놀렌산, 리놀산, 유산), 엽산 및 그의 유도체, -2-아미노프로피온산디아세트산,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카테신, 우비키논 및 우비키놀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C 및 유도체(예컨대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Mg-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아세테이트), 토코페롤 및 유도체(예컨대 비타민-E-아세테이트), 그리고 벤조에수지의 코니페릴벤조에이트, 루틴산 및 그의 유도체, 페룰라산 및 그의 유도체, 부틸하이드록시톨루올, 부틸하이드록시아니졸, 노르디하이드로구아약수지산, 노르디하이드로구아야렛트산, 트리하이드록시부티로페논, 요산 및 그의 유도체, 만노우즈 및 그의 유도체, 아연 및 그의 유도체(예컨대 ZnO, ZnSo4), 셀렌 및 그의 유도체(예컨대 셀렌메티오닌), 스틸벤 및 그의 유도체(예컨대 산화스틸벤, 트랜스-산화스틸벤) 및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한 상기 활성 물질의 유도체(염, 에스테르, 에테르, 설탕, 뉴클레오티드, 뉴클레오시드, 펩타이드 및 립타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제품 내에 함유된 산화방지제(하나 또는 다수의 화합물)의 양은 제품의 전체 중량에 대해 바람직하게 0.001 내지 3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 20 중량%, 특히 0.1 - 10 중량%에 달한다.
비타민 E 및/또는 그의 유도체가 산화방지제(들)인 경우에는, 상기 성분들의 개별 농도를 성형제의 전제 중량에 대해 0.001 - 10 중량%의 범위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품 또는 피부질환 제품이 본 발명의 의미에서 용액 또는 에멀젼 또는 분산액인 경우에는,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 물 또는 수용액
- 카프린- 또는 카프릴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오일,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리지누스 오일;
- 지방, 왁스 및 다른 천연 및 합성 지방체, 바람직하게는 C-수가 낮은 알코올, 예컨대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지방산의 에스테르, 또는 C-수가 낮은 알칸산 및 지방산을 함유하는 지방알코올의 에스테르;
- C-수가 낮은 알코올, 디올 또는 폴리올, 그리고 그의 에테르,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 또는 -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 -모노에틸- 또는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렌- 또는 -모노에틸에테르 및 유사한 생성물.
특히 전술한 용매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알코올 용매의 경우에는 물이 추가 성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에멀젼, 올레오겔 또는 하이드로분산액 또는 리포분산액의 오일 상태는 바람직하게 사슬 길이가 3 내지 30 C-원자인 포화 및/또는 불포화의, 분지된 및/또는 분지되지 않은 알칸카르복실산 및 사슬 길이가 3 내지 30 C-원자인 포화 및/또는 불포화의, 분지된 및/또는 분지되지 않은 알코올로 이루어진 에스테르의 그룹으로부터, 방향족 카르복실산 및 사슬 길이가 3 내지 30 C-원자인 포화 및/또는 불포화의, 분지된 및/또는 분지되지 않은 알코올로 이루어진 에스테르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그 경우 상기 에스테르 오일은 바람직하게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2-에틸헥실로레이트, 2-헥실데실스테아레이트, 2-옥틸도데실팔미테이트, 올레일올레에이트, 올레일에루케이트, 에루실롤레에이트, 에루실레루케이트 그리고 예컨대 요요바 오일과 같은 상기 에스테르의 합성, 반합성 및 천연 혼합물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오일 상태는 바람직하게 분지된 및 분지되지 않은 탄화수소 및 -왁스, 실리콘유, 디알킬에테르의 그룹, 포화 및/또는 불포화의, 분지된 또는 분지되지 않은 알코올, 그리고 지방산트리글리세라이드, 즉 사슬 길이가 8 내지 24, 특히 12 - 18 C-원자인 포화 및/또는 불포화의, 분지된 및/또는 분지되지 않은 알칸카르복실산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지방산트리글리세라이드는 예를 들어 합성, 반합성 및 천연 오일, 예컨대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콩기름, 땅콩 기름, 평지씨 기름, 아먼드유, 종려기름, 야자유, 종려씨 기름 등의 그릅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오일- 및 왁스 성분들의 임의의 혼합도 본 발명의 의미에서는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왁스, 예컨대 세틸팔미테이트도 오일 상태의 단독 리피드 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오일 상태는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칸올, 이소트리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에이코산, 2-에틸헥실코코에이트, C12-15-알킬벤조에이트, 카프릴-카프린산-트리글리세라이드, 디카프릴일에테르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C12-15-알킬벤조에이트와 2-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 C12-15-알킬벤조에이트와 이소트리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의 혼합물 그리고 C12-15-알킬벤조에이트, 2-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이소트리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이다.
탄화수소 중에서는 파라핀유, 스쿠알란 및 스쿠알렌이 본 발명의 의미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오일 상태는 또한 바람직하게 환형 또는 선형의 실리콘유를 함유할 수 있거나 또는 완전히 상기 오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물론 실리콘유(들) 외에 다른 오일 상태의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클로메시콘(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실리콘유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과 같은 다른 실리콘유도 또한 본 발명의 의미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시클로메시콘과 이소트리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의 혼합물, 시클로메시콘과 2-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도 또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겔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1,2-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및 물 또는 전술한 오일과 같은 낮은 C-수의 알코올을 농후화제의 존재하에 함유하며, 상기 농후화제는 유성-알코올 겔 상태에서는 바람직하게 이산화실리콘 또는 알루미늄실리케이트이고, 수성-알코올 또는 알코올 겔 상태에서는 바람직하게 폴리아크릴레이트이다.
고체의 스틱은 예컨대 천연 또는 합성의 왁스, 지방알코올 또는 지방산에스테르를 함유한다. 입술 손질용 스틱 및 스틱 형성제가 바람직하게 체취 제거용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화장용 스틱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통상의 기본 재료들은 액상 오일(예컨대 파라핀유, 리시누스유,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반고체 성분(예컨대 바셀린, 라놀린), 고체 성분(예컨대 밀랍, 세레신 및 미세 결정 왁스 또는 지랍) 그리고 고용융 왁스(예컨대 카르나우바왁스, 칸델릴라왁스)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에어졸 용기로부터 분무 가능한 화장품 및/또는 피부질환 제품용 작동 유체로서는 휘발이 용이하고 액화 상태인 통상의 공지된 작동 유체, 예컨대 탄화수소(프로판, 부탄, 이소부탄)가 적합하며, 상기 탄소수소는 단독으로 또는 상호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압축 공기도 또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당업자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에어로졸 제조물의 형태로 적합한 비독성 작동 가스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에 미치는 위험한 영향 또는 그밖의 부수적인 상황들 때문에 특히 플루오르탄화수소 및 플루오르클로르탄화수소(FCKW)는 포기되어야 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화장품 제품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 물질 및 그 대신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을 작용 함량으로 함유하는 외에, 예컨대 아라비아산 고무, 크산탄고무, 나트륨알기네이트, 셀룰로오스-유도체, 바람직하게는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유기 농후화제 또는 예컨대 벤토나이트와 같은 알루미늄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또는 -디스테아레이트와 같은 무기 농후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농후화제는 예컨대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겔 상태로 함유되어 있다.
헤어 또는 두피를 위한 헤어 화장용 세척 제품인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액체 상태 또는 고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품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무기, 비이온성 또는 양성적인 표면 활성 물질 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통상적으로 그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전해질 및 보조제를 함유한다. 상기 표면 활성 물질은 제품의 전체 중량에 대해 1 내지 94 중량%의 농도로, 특히 1 내지 50 중량%의 농도로 세척 제품 내에 존재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성의 화장용 세척제 또는 수성 세척을 위해 규정된 수분이 적거나 수분이 없는 세척제 농축물은 무기, 비이온성 및/또는 양성적인 표면 활성제, 예컨대 종래의 비누를 함유하며, 그에 대한 예로서는 나트륨의 지방산염, 알킬술페이트, 알킬에테르술페이트, 알칸- 및 알킬벤졸술포네이트, 술포아세테이트, 술포베테인, 사르코시네이트, 아미도술포베테인, 술포숙시네이트, 술포숙신산 절반에스테르, 알킬에테르카르복실레이트, 단백질-지방산-응축물, 알킬베테인 및 아미도베테인, 지방산알칸올아미드, 폴리글리콜에테르-유도체가 있다.
무기 표면 활성제는 바람직하게 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Texapon N 70의 명칭으로 henkel 社로부터 제공되는 것과 같은 소듐 로레트 술페이트 또는 Rewopol SBFA 30의 명칭으로 Witco 社로부터 제공되는 것과 같은 디소듐 로레트 술포숙시네이트가 언급된다. 비이온성 표면 활성제는 바람직하게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그에 대한 예로서는 Oramix NS 10이라는 명칭으로 Seppic 社로부터 제공되는 것과 같은 데실 글루코사이드 또는 Tween 80이라는 명칭으로 ICI 社로부터 제공되는 것과 같은 폴리소르베이트 80이 있다. 양성의 표면 활성제는 바람직하게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그에 대한 예로서는 Tego Betain으로서 Goldschmidt 社로부터 제공되는 것과 같은 코크아미도프로필 또는 Miranol Ultra라는 명칭으로 Rhone Poulenc 社로부터 제공되는 것과 같은 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트가 있다.
퍼센트 자료는 제품의 전체 중량과 관련이 있다.
또한 헤어 화장용 세척제 내에는 컨디셔닝제가 제품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한 컨디셔닝제에는 중합체 4차 화합물이 속한다. 폴리머 4차 화합물은 예컨대 0.01 내지 2 중량%의 농도로 샴푸 내에 다중으로 사용된다. Polymer JR 400이라는 명칭으로 Amerchol 社로부터 제공되는 것과 같은 폴리 4차 화합물-10 또는 Jaguar C 162라는 명칭으로 Rhone-Poulenc 社로부터 제공되는 것과 같은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르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가 상기 화합물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예컨대 방부제, 방향제, 소포제, 거품 안정화제, 착색제, 염색 작용을 하는 색소, 농후화제, 표면활성제, 유화제, 연화제, 습기제 및/또는 습기 함유제, 지방 제거제, 지방, 오일, 왁스, 알코올, 폴리올 및 독성의 상화성 에테르 및 에스테르, 분지된 및/또는 분지되지 않은 탄화수소, 추가의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pH-값-조절체, 농도 형성제, 살균제, 체취 제거제, 미생물 방지제, 정전기 방지제, UV-흡수제, 착화합물 형성제 및 부골 형성제, 광택제, 중합체, 전해질, 유기 용매, 실리콘 유도체, 식물 추출물, 비타민 및/또는 다른 활성 물질 또는 화장용 또는 피부질환용의 통상의 다른 제형 성분과 같이 통상적으로 상기 제품에 사용되는 화장품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보조제의 전체 양은 예를 들어 제품의 전제 중량에 대해 각각 0.0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이다.
제품의 수분 함량은 예를 들어 제품의 전제 중량에 대해 각각 50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90 중량%이다.
제품의 pH-값은 공지된 방식으로 산 또는 염기를 첨가하여 조절될 수 있고, 특히 레몬산/시트레이트를 기재로 하는 완충 혼합물 또는 인산 포스페이트-완충 화합물이 첨가된다. 바람직하게 pH-값은 10 미만, 예컨대 4-8의 범위, 특히 5-7의 범위에 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해준다.
모든 함량 자료, 퍼센트 자료 또는 부분들은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한 제품의 전체 중량 또는 개별 혼합물의 전체 중량과 관련이 있다.
1. PIT-에멀젼
실시예 1 2 3 4 5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자체 에멀젼화 0.50 3.00 2.00 4.00
폴리옥시에틸렌(12)세틸스테아릴에테르 5.00 1.00 1.50
폴리옥시에틸렌(20)세틸스테아릴에테르 2.00
폴리옥시에틸렌(30)세틸스테아릴에테르 5.00 1.00
스테아릴에테르 3.00 0.50
세틸알코올 2.50 1.00 1.50
2-에틸헥실 메톡시주석아마이트 5.00 8.00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실)-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1.50 2.00 2.50
1-(4-3차부틸페닐)-3-(4-메톡시페닐)-1,3-프로판디온 2.00
디에틸헥실 부타미도트리아존 1.00 2.00 2.00
에틸헥실 트리아졸 4.00 3.00 4.00
4-메틸벤질리덴 캠퍼 4.00 2.00
옥토크릴렌 4.00 2.50
페닐렌-1,4-비스-(모노나트륨, 2-벤츠이미다질-5,7-디술폰산) 0.50 1.50
페닐벤츠이미다졸 술폰산 0.50 3.00
C 12-15 알킬 벤조에이트 2.50 5.00
이산화티탄 0.50 1.00 3.00 2.00
산화아연 2.00 3.00 0.50 1.00
디카프릴에테르 3.50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5.00 6.00
디카프릴일카르보네이트 6.00 2.00
디메시콘 폴리디메틸실록산 0.50 1.00
페닐메틸폴리실록산 2.00 0.50 0.50
세아-버터(Sheabutter) 2.00 0.50
PVP 헥사데켄공중합체 0.50 0.50 1.00
글리세린 3.00 4.00 3.00 2.00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50 0.25 1.0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1.00 1.50 0.50 1.00 2.00
이소플라본-150 0.30 0.20
알파-글루코실루틴 0.10 0.20
방부제 q.s. q.s. q.s. q.s. q.s.
에탄올 3.00 2.00 1.50 1.00
방향제 q.s. q.s. q.s. q.s. q.s.
ad.100 ad.100 ad.100 ad.100 ad.100
실시예 6 7 8 9 10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자체 에멀젼화 0.50 3.00 2.00 4.00
폴리옥시에틸렌(12)세틸스테아릴에테르 5.00 1.00 1.50
폴리옥시에틸렌(20)세틸스테아릴에테르 2.00
폴리옥시에틸렌(30)세틸스테아릴에테르 5.00 1.00
스테아릴에테르 3.00 0.50
세틸알코올 2.50 1.00 1.50
2-에틸헥실 메톡시주석아마이트 5.00 8.00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실)-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1.50 2.00 2.50
1-(4-3차부틸페닐)-3-(4-메톡시페닐)-1,3-프로판디온 2.00
디에틸헥실 부타미도트리아존 1.00 2.00 2.00
에틸헥실 트리아졸 4.00 3.00 4.00
4-메틸벤질리덴 캠퍼 4.00 2.00
옥토크릴렌 4.00 2.50
페닐렌-1,4-비스-(모노나트륨, 2-벤츠이미다졸-5,7-디술폰산) 0.50 1.50
페닐벤츠이미다졸 술폰산 0.50 3.00
C 12-15 알킬 벤조에이트 2.50 5.00
이산화티탄 0.50 1.00 3.00 2.00
산화아연 2.00 3.00 0.50 1.00
디카프릴에테르 3.50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5.00 6.00
디카프릴일카르보네이트 6.00 2.00
디메시콘 폴리디메틸실록산 0.50 1.00
페닐메틸폴리실록산 2.00 0.50 0.50
세아-버터(Sheabutter) 2.00 0.50
PVP 헥사데켄공중합체 0.50 0.50 1.00
글리세린 3.00 4.00 3.00 2.00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50 0.25 1.0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3.00 1.50 0.50 1.00 2.00
이소플라본-150 1.30 0.10 0.50
리폰아미드 0.30 0.025
알파-글루코실루틴 0.10 0.20
방부제 q.s. q.s. q.s. q.s. q.s.
에탄올 3.00 2.00 1.50 1.00
방향제 q.s. q.s. q.s. q.s. q.s.
ad.100 ad.100 ad.100 ad.100 ad.100
2. O/W 크림 예
실시예 1 2 3 4 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치트레이트 2.00 2.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자체 에멀젼화 4.00 3.00
PEG-40-스테아레이트 1.00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3.0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2.00
스테아린산 1.00
폴리옥시에틸렌(20)-세틸스테아릴에테르
스테아릴알코올 5.00
세틸알코올 3.00 2.00 3.00
세틸스테아릴알코올 2.00
C 12-15 알킬벤조에이트
카프릴-/카프리-트리글리세리드 5.00 3.00 4.00 3.00 3.00
옥틸도데칸올 2.00 2.00
디카프릴일에테르 4.00 2.00 1.00
액상 파라핀 5.00 2.00 3.00
이산화티탄 1.00
4-메틸벤질리덴 캠퍼 1.00
1-(4-3차-부틸페닐)-3-(4-메톡시페닐)-1,3-프로판디온 0.50
8-헥사테켄-1,16-디카르복실산 1.50 0.30 1.00 1.00 2.00
이소플라본-150 0.50 1.00 0.50
우비퀴논(Q10) 0.30 0.05
토코페롤 0.1 0.20
비오틴 0.0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트리나트륨 0.1 0.10 0.1
방부제 q.s. q.s. q.s. q.s. q.s.
크산탄 고무
폴리아크릴산 3.00 0.1 0.1 0.1
수산화나트륨 용액 45% q.s. q.s. q.s. q.s. q.s.
글리세린 1.00 1.00 5.00 3.00
부틸렌글리콜 3.00
방향제 q.s. q.s. q.s. q.s. q.s.
ad 100 Ad 100 Ad 100 Ad 100 Ad 100
실시예 6 7 8 9 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2.00 2.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자체 에멀젼화 4.00 3.00
PEG-40-스테아레이트 1.00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3.0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2.00
스테아린산 1.00
폴리옥시에틸렌(20)-세틸스테아릴에테르
스테아릴알코올 5.00
세틸알코올 3.00 2.00 3.00
세틸스테아릴알코올 2.00
C 12-15 알킬벤조에이트
카프릴-/카프리-트리글리세리드 5.00 3.00 4.00 3.00 3.00
옥틸도데칸올 2.00 2.00
디카프릴일에테르 4.00 2.00 1.00
액상 파라핀 5.00 2.00 3.00
이산화티탄 1.00
4-메틸벤질리덴 캠퍼 1.00
1-(4-3차-부틸페닐)-3-(4-메톡시페닐)-1,3-프로판디온 0.50
8-헥사데칸-1,16-디카르복실산 1.50 1.50 2.00 1.00 1.00
이소플라본-150 0.45 2.00 0.50
디하이드록시아세톤 0.7 0.7
토코페롤 0.1 0.2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트리나트륨 0.1 0.10 0.1
방부제 q.s. q.s. q.s. q.s. q.s.
크산탄 고무
폴리아크릴산 3.00 0.1 0.1 0.1
수산화나트륨 용액 45% q.s. q.s. q.s. q.s. q.s.
글리세린 1.00 1.00 5.00 3.00
부틸렌글리콜 3.00
방향제 q.s. q.s. q.s. q.s. q.s.
ad 100 Ad 100 Ad 100 Ad 100 Ad 100
3. O/W 크림 예
실시예 1 2 3 4 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2.00 2.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자체 에멀젼화 5.00
스테아린산 2.50 3.50
스테아릴알코올 2.00
세틸알코올 3.00 4.50
세틸스테아릴알코올 3.00 1.00 0.50
C 12-15 알킬벤조에이트 2.00 3.00
카프릴-/카프리-트리글리세리드 2.00
옥틸도데칸올 2.00 2.00 4.00 6.00
디카프릴일에테르
액상 파라핀 4.00 2.00
환형 디메틸폴리실록산 0.50 2.00
디메시콘 폴리디메틸실록산 2.00
이산화티탄 2.00
4-메틸벤질리덴 캠퍼 1.00 1.00
1-(4-3차-부틸페닐)-3-(4-메톡시페닐)-1,3-프로판디온 0.50 0.5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2.00 1.50 1.50 1.00 2.00
이소플라본-150 0.90 0.45
토코페롤 0.0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트리나트륨 0.20 0.20
방부제 q.s. q.s. q.s. q.s. q.s.
크산탄 고무 0.20
폴리아크릴산 0.15 0.1 0.05 0.05
수산화나트륨 용액 45% q.s. q.s. q.s. q.s. q.s.
글리세린 5.00 2.00 4.00 3.50
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3.00 3.00
방향제 q.s. q.s. q.s. q.s. q.s.
Ad 100 Ad 100 Ad 100 Ad 100 Ad 100
실시예 6 7 8 9 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2.00 2.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자체 에멀젼화 5.00
스테아린산 2.50 3.50
스테아릴알코올 2.00
세틸알코올 3.00 4.50
세틸스테아릴알코올 3.00 1.00 0.50
C 12-15 알킬벤조에이트 2.00 3.00
카프릴-/카프리-트리글리세리드 2.00
옥틸도데칸올 2.00 2.00 4.00 6.00
디카프릴일에테르
액상 파라핀 4.00 2.00
환형 디메틸폴리실록산 0.50 2.00
디메시콘 폴리디메틸실록산 2.00
이산화티탄 2.00
4-메틸벤질리덴 캠퍼 1.00 1.00
1-(4-3차-부틸페닐)-3-(4-메톡시페닐)-1,3-프로판디온 0.50 0.5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1.00 1.50 0.50 1.00 2.00
2.00 0.50 0.50
이소플라본-150 0.5 0.7
토코페롤 0.0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트리나트륨 0.20 0.20
방부제 q.s. q.s. q.s. q.s. q.s.
크산탄 고무 0.20
폴리아크릴산 0.15 0.1 0.05 0.05
수산화나트륨 용액 45% q.s. q.s. q.s. q.s. q.s.
글리세린 5.00 2.00 4.00 3.50
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3.00 3.00
방향제 q.s. q.s. q.s. q.s. q.s.
Ad 100 Ad 100 Ad 100 Ad 100 Ad 100
실시예 11 12 13 14 1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3.00 2.40 3.00
세틸알코올 3.00 2.40 2.4 2.4 3.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PEG-100 스테아레이트 1.20
PEG-40 스테아레이트 3.50 3.50
스테아레트-21 1.2 1.20
스테아레트-2 2.4 2.40
옥틸도데칸올 0.10
PPG-14 부틸 에테르 5.00
시클로메시콘 5.00 5.00
액상 파라핀 5.00 15.00 15.00 5.00
크산탄 고무 0.20 0.20
C 12-15 알킬 벤조에이트 0.50 0.50
시클로메시콘 5.00
글리세린 6.50 6.00 5.00 3.00 5.00
트리소듐 EDTA 1.5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3.00 1.50 0.50 2.00 2.00
이소플라본-150 0.90 2.00 0.75
카르니틴 0.30
디아졸리디닐 요소 0.30 0.30 0.30
색소/방향제 q.s. q.s. q.s. q.s. q.s.
방부제 q.s. q.s. q.s. q.s. q.s.
Ad 100 Ad 100 Ad 100 Ad 100 Ad 100
실시예 16 17 18 19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3.00 2.40 3.00
세틸알코올 3.00 2.40 2.4 2.4 3.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PEG-100 스테아레이트 1.20
PEG-40 스테아레이트 3.50 3.50
스테아레트-21 1.2 1.20
스테아레트-2 2.4 2.40
옥틸도데칸올 0.10
PPG-14 부틸 에테르 5.00
시클로메시콘 5.00 5.00
액상 파라핀 5.00 15.00 15.00 5.00
크산탄 고무 0.20 0.20
C 12-15 알킬 벤조에이트 0.50 0.50
시클로메시콘 5.00
글리세린 6.50 6.00 5.00 3.00 5.00
트리소듐 EDTA 1.50
염화나트륨 5.00 1.00 2.50 2.50
1-아미노-2,3-프로판디올 1.00 1.50 2.50 3.00 1.0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0.50 1.50 0.50 1.00 2.00
이소플라본-150 2.00 0.50
우비퀴논(Q10) 0.1 0.025
디아졸리디닐 요소 0.30 0.30 0.30
색소/방향제 q.s. q.s. q.s. q.s. q.s.
방부제 q.s. q.s. q.s. q.s. q.s
Ad 100 Ad 100 Ad 100 Ad 100 Ad 100
실시예 21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0
세틸 알코올 2.00
PEG-40-스테아레이트 2.00
카프릴/카프리 트리글리세리드 6.50
디메시콘 2.00
액상 파라핀 6.50
크산톤 고무 0.10
글리세린 10.0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1.00
이소플라본-150 0.50
색소/방향제 q.s.
방부제 q.s.
Ad 100
실시예 22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0
세틸 알코올 2.00
PEG-40-스테아레이트 2.00
카프릴/카프리 트리글리세리드 6.50
디메시콘 2.00
액상 파라핀 6.50
크산톤 고무 0.10
글리세린 10.0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1.00
이소플라본-150 2.00
색소/방향제 q.s.
방부제 q.s.
Ad 100
4. W/O 에멀젼 예
실시예 1 2 3 4 5
세틸디메시콘코폴리올 2.50 4.00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5.00 4.50
PEG-30-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5.00
2-에틸헥실 메톡시주석아마이트 8.00 5.00 4.00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실)-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00 2.50 2.00 2.50
1-(4-3차-부틸페닐)-3-(4-메톡시페닐)-1,3-프로판디온 2.00 1.00
디에틸헥실 부타미도트리아존 3.00 1.00 3.00
에틸헥실 트리아존 3.00 4.00
4-메틸벤질리덴 캠퍼 2.00 4.00 2.00
옥토크릴렌 7.00 2.50 4.00 2.50
디에틸헥실 부타미도트리아존 1.00 2.00
페닐렌-1,4-비스-(모노나트륨, 2-벤츠이미다질-5,7-디술폰산 1.00 2.00 0.50
페닐벤츠이미다졸 술폰산 0.50 3.00 2.00
이산화티탄 2.00 1.50 3.00
산화아연 3.00 1.00 2.00 0.50
액상 파라핀 10.0 8.00
C 12-15 알킬-벤조에이트 9.00
디카프릴일에테르 10.00 7.00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2.00 8.00 4.00
디카프릴일카르보네이트 5.00 6.00
디메시콘 폴리디메틸실록산 4.00 1.00 5.00
페닐메틸폴리실록산 2.00 25.00 2.00
세아-버터 3.00
PVP 헥사데켄공중합체 0.50 0.50 1.00
옥톡시글리세린 0.30 1.00 0.50
글리세린 3.00 5.00 5.00 4.00 3.50
글리신 콩 1.00 1.50
마그네슘술페이트 1.00 0.50 0.50
염화마그네슘 1.00 0.70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50 0.25 1.00
크레아틴 1.50 2.0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0.80 0.45 0.50 1.00 0.50
이소플라본-150 2.00 0.50
방부제 q.s. q.s. q.s. q.s. q.s.
에탄올 3.00 1.50 1.00
방향제 q.s. q.s. q.s. q.s. q.s.
ad.100 ad.100 ad.100 ad.100 ad.100
실시예 6 7 8 9 10
세틸디메시콘코폴리올 2.50 4.00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5.00 4.50
PEG-30-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5.00
2-에틸헥실 메톡시주석아마이트 8.00 5.00 4.00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실)-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00 2.50 2.00 2.50
1-(4-3차-부틸페닐)-3-(4-메톡시페닐)-1,3-프로판디온 2.00 1.00
디에틸헥실 부타미도트라이존 3.00 1.00 3.00
에틸헥실 트리아존 3.00 4.00
4-메틸벤질리덴 캠퍼 2.00 4.00 2.00
옥토크릴렌 7.00 2.50 4.00 2.50
디에틸헥실 부타미도트리아존 1.00 2.00
페닐렌-1,4-비스-(모노나트륨, 2-벤츠이미다질-5,7-디술폰산) 1.00 2.00 0.50
페닐벤츠이미다졸 술폰산 0.50 3.00 2.00
이산화티탄 2.00 1.50 3.00
산화아연 3.00 1.00 2.00 0.50
액상 파리핀 10.0 8.00
C 12-15 알킬-벤조에이트 9.00
디카프릴일에테르 10.00 7.00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2.00 8.00 4.00
디카프릴일카르보네이트 5.00 6.00
디메시콘 폴리디메틸실록산 4.00 1.00 5.00
페닐메틸폴리실록산 2.00 25.00 2.00
세아 버터 3.00
PVP 헥사데켄공중합체 0.50 0.50 1.00
옥토시글리세린 0.30 1.00 0.50
글리세린 3.00 5.00 5.00 4.00 3.50
글리신 콩 1.00 1.50
마그네슘술포네이트 1.00 0.50 0.50
염화마그네슘 1.00 0.70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50 0.25 1.00
디하이드록시아세톤 0.50 1.0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0.50 1.50 0.50 1.00 2.00
이소플라본-150 0.45
크레아틴 0.50 0.05 0.25
방부제 q.s. q.s. q.s. q.s. q.s.
에탄올 3.00 1.50 1.00
방향제 q.s. q.s. q.s. q.s. q.s.
ad.100 ad.100 ad.100 ad.100 ad.100
5. W/O 에멀젼 예
실시예 1 2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4.00 5.00
PEG-30-다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라놀린알코올 0.50 1.50
이소헥사데켄 1.00 2.00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0.50 1.50
바셀린 1.00 2.00
1-(4-3차-부틸페닐)-3-(4-메톡시페닐)-1,3-프로판디온 0.50 1.50
4-메틸벤질리덴 캠퍼 1.00 3.00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4.00 5.00
세아-버터 0.50
부틸렌글리콜 6.00
옥톡시글리콜 3.00
글리세린 5.00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50 1.0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1.50 2.00
이소플라본-150 2.00
트리소듐 EDTA 0.20 0.20
방부제 q.s. q.s.
에탄올 3.00
방향제 q.s. q.s.
ad. 100 ad. 100
실시예 3 4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4.00 5.00
PEG-30-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라놀린알코올 0.50 1.50
이소헥사데켄 1.00 2.00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0.50 1.50
바셀린 1.00 2.00
1-(4-3차-부틸페닐)-3-(4-메톡시페닐)-1,3-프로판디올 0.50 1.50
4-메틸벤질리덴 캠퍼 1.00 3.00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4.00 5.00
세어 버터 0.50
부틸렌글리콜 6.00
옥톡시글리세린 3.00
글리세린 5.00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50 1.0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1.00 2.00
이소플라본-150 0.50
트리소듐 EDTA 0.20 0.20
방부제 q.s. q.s.
에탄올 3.00
방향제 q.s. q.s.
ad. 100 ad. 100
6. 하이드로디스퍼션 예
실시예 1 2 3 4 5
폴리옥시에틸렌(20)세틸스테아릴에테르 1.00 0.5
세틸알코올 1.00
나트륨폴리아크릴레이트 0.20 0.30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교차 중합체 0.50 0.40 0.10 0.10
크산탄 고무 0.30 0.15 0.50
2-에틸헥실 메톡시주석아마이트 5.00 8.00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실)-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1.50 2.00 2.50
1-(4-3차-부틸페닐)-3-(4-메톡시페닐)-1,3-프로판디온 1.00 2.00
디에틸헥실 부타미도트리아존 2.00 2.00 1.00
에틸헥실 트리아존 4.00 3.00 4.00
4-메틸벤질리덴 캠퍼 4.00 4.00 2.00
옥토크릴렌 4.00 4.00 2.50
페닐렌-1,4-비스-(모노나트륨, 2-벤츠이미다질-5,7-디술폰산) 1.00 0.50 2.00
페닐벤츠이미다졸 술폰산 0.50 3.00
이산화티탄 0.50 2.00 3.00 1.00
산화아연 0.50 1.00 3.00 2.00
C 12-15 알킬 벤조에이트 2.00 2.50
디카프릴일에테르 4.00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4.00 2.00 6.00
디카프릴일카르보네이트 2.00 6.00
디메시콘 폴리디메틸실록산 0.50 1.00
페닐메틸폴리실록산 2.00 0.50 2.00
세어 버터 2.00
PVP 헥사데켄공중합체 0.50 0.50 1.00
옥톡시글리세린 1.00 0.50
글리세린 3.00 6.50 5.00 5.50 1.50
글리신 콩 1.50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50 0.25 1.0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0.50 1.50 0.50 1.00 2.00
이소플라본-150 2.10 0.45 1.00 0.30
방부제 q.s. q.s. q.s. q.s. q.s.
에탄올 3.00 2.00 0.50 1.00
방향제 q.s. q.s. q.s. q.s. q.s.
ad.100 ad.100 ad.100 ad.100 ad.100
실시예 6 7 8 9 10
폴리옥시에틸렌(20)세틸스테아릴에테르 1.00 0.5
세틸알코올 1.00
나트륨폴리아크릴레이트 0.20 0.30
아크릴레이트/C 10-30-알킬--아크릴레이트 교차 중합체 0.50 0.40 0.10 0.10
크산탄 고무 0.30 0.15 0.50
2-에틸헥실 메톡시주석아마이트 5.00 8.00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실)-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1.50 2.00 2.50
1-(4-3차-부틸페닐)-3-(4-메톡시페닐)-1,3-프로판디온 1.00 2.00
디에틸헥실 부타미도트리아존 2.00 2.00 1.00
에틸헥실 트리아존 4.00 3.00 4.00
4-메틸벤질리덴 캠퍼 4.00 4.00 2.00
옥토크릴렌 4.00 4.00 2.50
페닐렌-1,4-비스-(모노나트륨, 2-벤츠이미다질-5,7-디술폰산) 1.00 0.50 2.00
페닐벤츠이미다졸 술폰산 0.50 3.00
이산화티탄 0.50 2.00 3.00 1.00
산화아연 0.50 1.00 3.00 2.00
C 12-15 알킬 벤조에이트 2.00 2.50
디카프릴일에테르 4.00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4.00 2.00 6.00
디카프릴일카르보네이트 2.00 6.00
디메시콘 폴리디메틸실록산 0.50 1.00
페닐메틸폴리실록산 2.00 0.50 2.00
세어 버터 2.00
PVP 헥사데켄공중합체 0.50 0.50 1.00
옥톡시글리세린 1.00 0.50
글리세린 3.00 6.50 5.00 5.50 1.50
글리신 콩 1.50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50 0.25 1.0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0.30 0.75 0.20 0.50 1.0
이소플라본-150 2.00 0.40 0.02
방부제 q.s. q.s. q.s. q.s. q.s.
에탄올 3.00 2.00 1.40 1.00
방향제 q.s. q.s. q.s. q.s. q.s.
ad.100 ad.100 ad.100 ad.100 ad.100
7. 예(젤크림)
실시예 1
아크릴레이트/C 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교차 중합체 0.40
폴리아크릴산 0.20
크산탄 고무 0.10
세테아릴알코올 3.00
C 12-15 알킬벤조에이트 4.00
카프릴/카프리 트리글리세리드 3.00
환형 디메틸폴리실록산 5.00
디메시콘 폴리디메틸실록산 1.0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1.50
이소플라본-150 1.00
나트륨하이드록시 q.s.
방부제 q.s.
방향제 q.s.
ad 100.0
pH-값이 6.0으로 설정됨
실시예 2
아크릴레이트/C 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교차 중합체 0.40
폴리아크릴산 0.20
크산탄 고무 0.10
세테아릴알코올 3.00
C 12-15 알킬벤조에이트 4.00
카프릴/카프리 트리글리세리드 3.00
환형 디메틸폴리실록산 5.00
디메시콘 폴리디메틸실록산 1.0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0.8
이소플라본-150 0.5
글리세린 2.00
나트륨하이드록시 q.s.
방부제 q.s.
방향제 q.s.
ad 100.0
8. 예(W/O 크림 )
실시예 1
폴리글리세릴-3-디이소스테아레이트 3.50
글리세린 3.00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3.5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1.00
이소플라본-150 2.00
방부제 q.s.
방향제 q.s.
ad 100.0
마그네슘술로네이트 0.6
이소프로필스테아레이트 2.0
카프릴일에테르 8.0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6.0
실시예 2
폴리글리세릴-3-디이소스테아레이트 3.50
글리세린 3.00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3.5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1.0
이소플라본-150 0.3
방부제 q.s.
방향제 q.s.
ad 100.0
마그네슘술포네이트 0.6
이소프로필스테아레이트 2.0
카프릴일에테르 8.0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6.0
9. 예(W/O/W 크림)
실시예 1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3.00
PEG-100-스테아레이트 0.75
베헤닐알코올 2.00
카프릴/카프리-트리글리세리드 8.0
옥틸도데칸올 5.00
C 12-15 알킬벤조에이트 3.0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0.70
이소플라본-150 0.2
마그네슘술포네이트 (MgSO4) 0.8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10
방부제 q.s.
방향제 q.s.
ad 100.0
pH-값이 6.0으로 조절됨
실시예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3.00
PEG-100-스테아레이트 0.75
베헤닐알코올 2.00
카프릴/카프리-트리글리세리드 8.0
옥틸도데칸올 5.00
C 12-15 알킬벤조에이트 3.00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 1.00
이소플라본-150 2.10
마그네슘술포네이트 (MgSO4) 0.8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10
방부제 q.s.
방향제 q.s.
ad 100.0
본 발명에 의해 노화된 피부, 민감한 피부, 햇볕에 그을린 피부 또는 면도에 의해 자극된 피부를 손질하기 위하여, 짧게는 미용적 피부 관리를 위하여 피부 미백 기능을 가진 화장용 활성제 및 피부 외용 활성제 또는 피부 그을림 예방용 활성 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8)

  1.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질환 제품에 있어서,
    상기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이 제품의 전제 중량에 대해 0.005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 5 중량%, 특히 0.1 - 3 중량%의 전체 농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질환 제품.
  2. 크레아틴, 크레아티닌, 이소플라본-150과 같은 대두씨 추출물, 아세틸카르니틴 및/또는 카르니틴과 조합된 제 1 항에 따른 8-헥사데켄-1,16-디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질환 제품.
  3. 피부를 재구성 및/또는 젊게 하기 위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제품의 용도.
  4. 피부에 생기를 회복시키고 피부 성분 교체의 증가 및/또는 피부 혈액 순환의 개선을 위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품의 용도.
  5. 피부를 팽팽하게 하고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품의 용도.
  6. 주름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품의 용도.
  7. 콜라겐 합성을 자극하기 위한, 특히 진피-표피-결합 장소의 3차원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그리고 표피 손상시 딱지 형성이 감소된 경우에 딱지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품의 용도.
  8. 인간의 몸과 마음을 자극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품의 용도.
KR1020040009340A 2003-02-12 2004-02-12 화장품 및/또는 피부질환용 제품 KR200400733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05965A DE10305965A1 (de) 2003-02-12 2003-02-12 Kosme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
DE10305965.2 2003-0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385A true KR20040073385A (ko) 2004-08-19

Family

ID=3274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340A KR20040073385A (ko) 2003-02-12 2004-02-12 화장품 및/또는 피부질환용 제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0073385A (ko)
CN (1) CN1535676A (ko)
DE (1) DE103059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7568A1 (ko) * 2012-11-13 2014-05-22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티오레독신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6864A1 (de) * 2003-12-03 2005-07-07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Licochalcon A und Sojabohnenkeimextrakten
DE102005032307A1 (de) 2005-07-11 2007-01-18 Plt Patent & Licence Trading Ltd. Oligomere freier Fettsäuren und diese enthaltende Arzneimittel
FR2889808B1 (fr) * 2005-08-17 2011-07-22 Oreal Utilisation de l'acide 8-hexadecene-1,16-dicarboxylique comme agent de soin destine a favoriser la cohesion de la couche cornee
DE102005048779A1 (de) * 2005-10-10 2007-04-12 Beiersdorf Ag Kosmetische Formulierungen zur Verbesserung der Hautbarrierefunktion
KR100855457B1 (ko) * 2007-02-28 2008-09-0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EP2133080A1 (de) * 2008-06-13 2009-12-16 Haelan Schweiz GmbH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Equol
ITUD20080153A1 (it) 2008-06-26 2009-12-27 Biofarma S P A Composizione cosmetica, uso e relativo procedimento di produzione
EP2418004A1 (en) * 2010-08-10 2012-02-15 Hungkuang University Essential oil composition with anti-free radical ability
KR20130140100A (ko) * 2010-12-09 2013-12-23 씨그마-토 인더스트리에 파마슈티체 리유니테 에스. 피. 에이. 피부 장애 치료용 국소 사용을 위한 조성물
ITRM20130030A1 (it) * 2013-01-18 2014-07-19 Lab Farmaceutici Krymi S P A Emulsione stabile olio in acqua contenente elevate concentrazioni di sodio cloruro.
FR3024037B1 (fr) 2014-07-25 2018-03-02 Sederma Ingredient actif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comprenant un melange d'acides dicarboxyliques gras insatures, compositions le comprenant et utilisations cosmetiques ou dermatologiques
GB201413216D0 (en) * 2014-07-25 2014-09-10 Croda Internat Plc And Sederma Sas Anti-Dandruff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20667D0 (en) * 1992-09-30 1992-11-11 Unilever P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ioic acids
GB9220670D0 (en) * 1992-09-30 1992-11-11 Unilever Plc Cosmetic composition
GB9322007D0 (en) * 1993-10-26 1993-12-15 Unilever Plc Cosmetic composition
DE10163786A1 (de) * 2001-12-22 2003-07-03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Wirkstoffkombination
DE10150731A1 (de) * 2001-10-13 2003-04-17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 zur Verhinderung unerwünschter Hautpigmentierung
DE10150735A1 (de) * 2001-10-13 2003-04-17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 zur Verhinderung unerwünschter Hautpigmentierung
DE10150734A1 (de) * 2001-10-13 2003-04-17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
DE10150732A1 (de) * 2001-10-13 2003-04-17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 zur Verhinderung unerwünschter Hautpigmentierung
DE10150742A1 (de) * 2001-10-13 2003-04-24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 zur Verhinderung unerwünschter Hautpigmentierung
DE10155961A1 (de) * 2001-11-09 2003-05-22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Wirkstoffkombination
DE10155959A1 (de) * 2001-11-09 2003-05-22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Wirkstoffkombination
DE10249367A1 (de) * 2001-12-20 2003-07-17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mit einem Gehalt an Hydroxybenzophenonen und Benzoxazol-Derivaten
DE10213957A1 (de) * 2002-03-28 2003-10-09 Beiersdorf Ag Vernetzte kosmetische oder pharmazeutische phospholipidhaltige Gele und Emulsionen auf der Basis von ethylenoxidhaltigen oder propylenoxidhaltigen Emulgator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7568A1 (ko) * 2012-11-13 2014-05-22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티오레독신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35676A (zh) 2004-10-13
DE10305965A1 (de) 200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00695A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preparation with a content of creatine, creatinine or derivatives thereof in combination with soybean germ extract
US20070243147A1 (en) Skin and/or Hair Composition Containing Compounds for Increasing The Tanning of Skin
US20040029969A1 (en) Use of creatine or creatine derivatives in cosmetic or dematological preparations
JP5113755B2 (ja) ヒドロキシ脂肪酸を含む化粧品組成物
CH697731B1 (de) Haut- und/oder Haarmittel enthaltend Verbindungen mit isoprenoider Struktur.
DE10341654A1 (de) Mittel zur Anwendung auf der Haut und/oder dem Haar enthaltend 4-fach substituierte Cyclohexen-Verbindungen
EP1455744A2 (de) Kosme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wirkstoffkombination
DE10121375B4 (de) Verwendung von Isoflavonoiden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zur Prophylaxe vor und Behandlung von sensibler Haut
JP2008502635A (ja) 化粧品配合物中の賦活剤としてのビタミンk1
US20040241197A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preparations including creatinin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creatin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methods of applying the preparations to the skin
KR20040073385A (ko) 화장품 및/또는 피부질환용 제품
US20050031572A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preparations including hops or hop-malt extracts and methods of using same for the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skin symptoms
US20070028400A1 (en) Skin and/or hair treatment agent containing tetrasubstituted cyclohexene compounds
JP4365078B2 (ja) パンテチンスルホン酸及び/またはその塩の、フリーラジカル捕捉剤としての使用
JP2003040729A (ja) 皮膚化粧用組成物における5’−デオキシ−5’−メチルチオアデノシンの使用
US20060008440A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preparations having a content of anti-freezing proteins and/or anti-freezing glycoproteins
JP2017530975A (ja) 10−ヒドロキシステアリン酸を含む化粧用組成物の使用
WO2002089757A2 (de) Verwendung von isoflavonen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JPH11505818A (ja) フィチン酸含有の化粧品又は皮膚科学的調製物
JP2004538299A (ja) クレアチニンおよび/またはクレアチニン誘導体を化粧用および皮膚科学用調剤で用いる使用
JP2002226318A (ja) 表面活性をもったクエン酸エステルとα−リポ酸との活性成分の組合わせおよび該混合物を含む化粧品用および皮膚科用調合物
DE10120315A1 (de) Verwendung von Klee-Extrakt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zur Prophylaxe gegen und Behandlung von degenerativen Hauterscheinungen
DE10212865A1 (de) 9-Retinal-alkanolamin Schiffsche Base und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Formulierungen diese enthaltend
DE10150734A1 (de) Kosme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
DE10150732A1 (de) Wirkstoffkombination zur Verhinderung unerwünschter Hautpigmentier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