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2646A - 암치료용 약초 화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암치료용 약초 화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2646A
KR20040072646A KR10-2004-7008727A KR20047008727A KR20040072646A KR 20040072646 A KR20040072646 A KR 20040072646A KR 20047008727 A KR20047008727 A KR 20047008727A KR 20040072646 A KR20040072646 A KR 20040072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ancer
cells
growth
synergi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8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나스와미 마드허수다나 라오
풀렐라 벤카타 스리니바스
질루 싱흐 야다브
콘다푸람 비자야 라그하반
에이. 케이. 삭세나
엠. 산무가벨
히마니 캄파시
굴람 나비 콰지
Original Assignee
카운실 오브 사이언티픽 엔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운실 오브 사이언티픽 엔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filed Critical 카운실 오브 사이언티픽 엔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Publication of KR20040072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64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e.g. ranitidine, furosemide, bufetolol, musca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Abstract

본 발명은 유방암, 자궁경부암, 신경모세포종, 결장암, 간암, 폐암, 구강암, 난소암 및 전립선암에 대하여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세드루스 데오드라(Cedrus deodra)의 식물 추출물로부터 수득된 리그난의 신규한 상승작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조성물은 9 내지 13 중량%의 (-)- 마타이레시놀, 75 내지 79 중량%의 (-)- 위크스트로몰, 7 내지 11 중량%의 디벤질부티로락톨 및 2.6 내지 3 중량%의 미확인 물질을 포함하고; 추가로, 리그난의 상승작용성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유방, 자궁경부, 신경모세포종, 결장, 간, 폐, 구강, 난소 및 전립선 조직으로부터 선택된 다양한 인간 암 세포주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암치료용 약초 화학 조성물 {A NOVEL HERBAL CHEM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CANCER}
암 또는 신생물은 신체의 어느 부위에서도 발생하는 악성의 신생 증식이다. 이는 세포의 조절되지 않는 증식을 특징으로 하며, 추정되는 세계적인 신규 발병율이 년간 약 6백만명에 이르는 커져가는 공중 보건 문제이다. 대부분의 국가의 경우, 암은 사망 원인으로서 심장 질환에 이어 두 번째이다. 이는 신체의 임의의 장기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유방, 후두, 장, 백혈구 등과 같은 일부 부위는 다른 부위 보다 공격당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각각의 암은 특정 단계에서 분열하는 하나의 세포로부터 전파되며, 이는 이의 영역적 속박으로부터 자유로워져서, 무제한으로 증식하는 세포의 패밀리를 형성하여 종양의 형태로 출현한다.
정상 세포가 종양 세포로 전이되는 동안, 종양 세포가 생물체내의 모든 정상 세포의 증식을 매우 정밀하게 지배하는 법칙과 거의 무관하게 이의 독자적인 활동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의미심장하고 유전성인 변화가 일어난다. 자율성으로서알려져 있는 이러한 새롭게 획득된 특성은 종양 세포의 가장 중요한 하나의 특징인데, 이는 이러한 특징이 없는 경우에는 종양이 아니기 때문이다. 종양 세포의 또 다른 구별되는 특징은 완벽한 형태의 기능을 결여한다는 점이다. 암세포와 정상 세포 간의 차이점은 정상 세포와 비교하여 암세포가 a) 낮은 pH b) 보다 큰 자유 라디칼 특성 c) 종양 생성된 호르몬 펩티드 d) 종양 관련 항원 e) 보다 낮은 칼슘 이온 및 보다 높은 칼륨 이온 농도 f) 다양한 칼륨 이소토프 비 g) 상승된 양의 메틸화된 누클레오티드 h) 보다 높은 혈장 미세단백질 및 뮤코폴리사카라이드 농도 i) 외인성 아연에 대한 보다 높은 필요성 및 j) 높은 생체수 함량을 지닌다는 것이다.
식이, 환경, 특정 화학물질 또는 전자기 방사선 형태에 대한 직업적 노출과 같은 암의 총체적 원인 중 다수가 유행병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따라서, 현대 산업 사회에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이들 원인은 확인되고 환경으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있다. 치료 연보를 참조하면, 암의 난국을 정복하기 위한 탐구는 항상 과학계의 대체로 모든 부문, 특히 천연물 화학자들을 매혹시켰다. 19세기 및 20세기에, 이러한 두려운 질병 배후의 구동력을 알아내기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약물이 이러한 위협에 대항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러한 중대한 시기에 인류 및 항암 약물의 합성과 단리에 적극 관여하고 있는 연구자에게도 매우 중요한 몇몇 가장 강력한 화학요법제를 잠시 살펴보는 것은 가치가 있다. 리그난은 다수의 식물로부터 단리되었다 (Achenbach, H., Waibel, R. 및 Meusah, I. Phytochemistry, 22 (3), 749-753 (1983); Nishibe, S., Hisada,S. 및 Inagaki, I. Phytochemistry, 10, 2231-2232 (1971); Barrero, A. F., Haidour, A. 및 Dorado, M. M. J. Nat. Prod. 42,159-162(1979)).
리그난의 생물학적 활성에 관한 최근 연구는 이러한 식물성화학물질(phytochemical)의 세포독성제로서의 효능을 의심할 여지가 없이 입증하고 있다 (Macrae, W. D. 및 Towers, G. H. N. Phytochemistry 23 (6), 1207-1220 (1984)). 또한, 최근에 리그난은 인간 뇨 및 혈액으로부터 단리되었다. 또한, 이러한 사실은 리그난이 인간 생리학에서 일정한 역할을 함을 암시한다.
상기 배경을 토대로 하여, 본 출원인은 식물로부터 효능있는 세포독성제를 확인하고 단리하는 것에 주의를 집중하였다. 문헌 데이터는 아마도 인공산물일 수 있는 입증된 산화방지제인 세코이솔라리시레시놀(secoisolariciresinol)이 세드루스 데오드라에 존재함을 암시한다 (Agarwal, P. K. 및 Rastogi, R. P. Phytochemistry, 21 (6), 1459-1461 (1982)). 본 출원인에 의해 수행된 세드루스 데오드라에 관한 추가의 연구는 본 출원인으로 하여금 본질적으로 (-)- 마타이레시놀(Matairesinol), (-)- 위크쉬트로놀(Wikshtronol) 및 디벤질부티로락톨을 포함하는 신규 리그난 혼합물을 매우 현저한 수율로 단리하게 해주었으며, 세드루스 데오드라는 또한 이러한 리그난을 위한 새로운 공급원이다.
(-)-위크스트로몰(Wikstromol)은 위크스트로에미아 비리디플로라 (wikstroemia viridiflora)로부터 최초로 보고되었다 (Nishibe, S., Hisada, S. 및 Inagaki, I. Phytochemistry, 10, 2231-2232 (1971)). 마타이레시놀은 이전에 다수의 공급원으로부터 단리되었다 (Nishibe, S., Hisada, S. 및 Inagaki, I.Phytochemistry, 10, 2231-2232 (1971); Tandon, S. 및 Rastogi, R. P. Phytochemistry, 15, 1789-1791 (1976)). 디벤질부티로락톨 [4,4',9-트리히드록시-3,3'-디메톡시-9,9'-에폭시 리그난]의 단리는 종래에 아비에스 핀사포 (Abies pinsapo)로부터 단 1회 보고되었다 (Barrero, A. F., Haidour, A. 및 Dorado, M. M. J. Nat. Prod. 42, 159-162 (1979)).
세드루스 데오드라로부터의 리그난의 높은 수율 및 일반적으로 리그난의 우수한 생물학적 활성에 유념하여야 한다 (Macrae, W.D. 및 Towers, G.H.N. Phytochemistry 23(6), 1207-1220 (1984)).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인간 암세포 치료용 약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되는, 인간 암세포 치료용 약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드루스 데오드라로부터 단리된 리그난 혼합물이 다수의 인간 암 세포주에 미치는 시험관내 세포독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드루스 데오드라로부터 단리된 개개의 리그난이 다수의 인간 암 세포주에 미치는 세포독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 공급원, 즉, 세드루스 데오드라로부터의 활성 리그난 혼합물을 단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간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한 세드루스 데오드라 식물로부터 수득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간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한 세드루스 데오드라 식물로부터 단리된 개개의 리그난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는 암에 걸린 포유동물, 특히 인간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은 세드루스 데오드라의 식물 추출물로부터 수득된, 유방암, 자궁경부암, 신경모세포종, 결장암, 간암, 폐암, 구강암, 난소암 및 전립선암에 대하여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리그난 상승작용성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러한 조성물은
(a) (-)- 마타이레시놀 9 내지 13 중량%,
(b) (-)- 위크스트로몰 75 내지 79 중량%,
(c) 디벤질부티로락톨 7 내지 11 중량%, 및
(d) 미확인 물질 2.6 내지 3 중량%를 포함한다.
추가로, 리그난 상승작용성 조성물은 다양한 인간 암 세포주를 억제하기 위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암치료용의 신규 약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세드루스 데오드라 (Cedrus Deodra) 식물로부터 단리된 리그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초 제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 마타이레시놀[1]; (-)- 위크스트로몰[2] 및 디벤질부티로락톨[3]의 구조식을 나타낸다.
세드루스 데오드라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혼합물에 대한 항암 활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세드루스 데오드라의 클로로포름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개개의 구성 요소는 시너지 이론을 확립하는 리그난 혼합물과 비교하여 활성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드루스 데오드라의 식물 추출물로부터 수득된, 유방암, 자궁경부암, 신경모세포종, 결장암, 간암, 폐암, 구강암, 난소암 및 전립선암에 대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리그난 상승작용성 조성물로서,
(e) (-)- 마타이레시놀 9 내지 13 중량%,
(f) (-)- 위크스트로몰 75 내지 79 중량%,
(g) 디벤질부티로락톨 7 내지 11 중량%, 및
(h) 미확인 물질 2.6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리그난 상승작용성 조성물은 30 내지 100㎍/ml의 농도에서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80%까지 억제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유방암 세포주는 MCF-7 및 T-47-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리그난 상승작용성 조성물은 30 내지 100㎍/ml의 농도에서 자궁경부암 세포의 성장을 89%까지 억제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자궁암 세포주는 Hela 및 SiH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리그난 상승작용성 조성물은 30 내지 100㎍/ml의 농도에서 신경모세포종 세포의 성장을 96%까지 억제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신경모세포종 세포주는 SF-539, SKNMC, IMR-32, SKNSH 및 SNB-7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리그난 상승작용성 조성물은 30 내지 100㎍/ml의 농도에서 결장암 세포의 성장을 97%까지 억제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결장암 세포주는 Colo-205, HCT-15, HT-29 및 SW-62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리그난 상승작용성 조성물은 30 내지 100㎍/ml의 농도에서 간암 세포의 성장을 73%까지 억제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간암 세포주는 Hep-2 및 Hep-G-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리그난 상승작용성 조성물은 30 내지 100㎍/ml의 농도에서 폐암 세포 성장을 83%까지 억제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폐암 세포주는 A-549, NCI-H23, 및 HOP-1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리그난 상승작용성 조성물은 30 내지 100㎍/ml의 농도에서 구강암 세포의 성장을 100%까지 억제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구강암 세포주는 KB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리그난 상승작용성 조성물은 30 내지 100㎍/ml의 농도에서 난소암 세포의 성장을 96%까지 억제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난소암 세포주는 OVCAR-5, NIH-OVCAR-3 및 SK-OV-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리그난 상승작용성 조성물은 30 내지 100㎍/ml의 농도에서 전립선암 세포의 성장을 98%까지 억제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전립선 조직의 암 세포주는 DU-145 및 PC-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리그난 상승작용성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담체, 희석제, 용매, 여과제, 윤활제, 부형제, 결합제 또는 안정화제와 함께 환자에게 투여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리그난 상승작용성 조성물은 전신적으로 및/또는 경구적으로 또는 여하한 그밖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피검체는 동물 또는 포유동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약제학적인 유효 용량의 (-)- 위크스트로몰 또는 (-)- 위크스트로몰을 함유하는 제형을 포함하며, 유방, 자궁경부, 신경모세포종, 결장, 간 및 폐로부터 주로 선택된 암 세포주에 대하여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사용되는 암 세포주는 유방 세포 MCF-7 및 ZR-75-1; 자궁경부 세포 SiHa; 신경모세포종 세포 SKNMC 및 IMR-32; 결장 세포 colo-205HT-29 및 SW-620; 간 세포 Hep-2; 및 폐 세포 A-549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100㎍/㎖의 농도에서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51%까지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100㎍/㎖의 농도에서 자궁경부암 세포의 성장을 37%까지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100㎍/㎖의 농도에서 신경모세포종 세포의 성장을 56%까지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100㎍/㎖의 농도에서 결장암 세포의 성장을 67%까지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100㎍/㎖의 농도에서 간암 세포의 성장을 46%까지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100㎍/㎖의 농도에서 폐암 세포의 성장을 56%까지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첨가제, 희석제, 용매, 여과제, 윤활제, 부형제, 결합제 및 안정화제와 함께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전신적으로 및/또는 경구적으로 또는 여하한 그밖의 적합한 투여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피검체는 동물 또는 포유동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또 다른 구체예는 주로 유방, 자궁경부, 신경모세포종, 결장, 간 및 폐로부터 선택되는 암세포에 대하여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로서, 약제학적 유효 용량의 (-)- 마타이레시놀 또는 (-)-마타이레시놀을 함유하는 제형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사용되는 암 세포주는 유방 세포 MCF-7 및 ZR-75-1; 자궁경부 세포 SiHa; 신경모세포종 세포 SKNMC 및 IMR-32; 결장 세포 Colo-205, HT-29 및 SW-620; 간 세포 Hep-2; 및 폐 세포 A-549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 마타이레시놀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약 100㎍/㎖의 농도에서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62%까지 억제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100㎍/㎖의 농도에서 자궁경부암 세포의 성장을 63%까지 억제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100㎍/㎖의 농도에서 신경모세포종 세포의 성장을 77%까지 억제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100㎍/㎖의 농도에서 결장암 세포의 성장을 93%까지 억제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100㎍/㎖의 농도에서 간암 세포의 성장을 64%까지 억제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100㎍/㎖의 농도에서 폐암 세포의 성장을 65%까지 억제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첨가제, 희석제, 용매, 여과제, 윤활제, 부형제, 결합제 및 안정화제와 함께 환자에게 투여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전신적으로 또는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피검체는 동물 또는 포유동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또 다른 구체예는,
(a) 식물 세드루스 데오드라를 분쇄하는 단계;
(b) 분쇄된 식물을 속슬렛 장치에서 탄화수소 용매에 이어 할로겐화 용매로 연속적으로 추출하는 단계;
(c) 탄화수소 용매 및 할로겐화 용매의 추출물을 개별적으로 농축시키는 단계; 및
(d) 할로겐화 용매 추출물을, 용리액으로서 유기 용매들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흡착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추출물에 대하여 1 내지 2 중량%의 (-)- 마타이레시놀, 10 내지 14 중량%의 (-)- 위크스트로몰, 1 내지 2 중량%의 디벤질부티로락톨 및 0.2 내지 0.3 중량%의 미확인 물질을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로서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세드루스 데오드라의 식물 추출물로부터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을 단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식물 부분이 나무이고, 단계 (b)에서 탄화수소 용매가 헥산 및 석유 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헥산이다.
본 발명의 더욱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할로겐화 용매가 탄소 테트라클로라이드,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로포름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단계 (c)에서 추출물이 진공하에서 농축되며, 흡착제로서 실리카 겔과 용리제로서 상이한 비율의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물을 사용하여 정제를 수행하여, 순수한 화합물을 수득한다. 위크스트로몰, (-)- 메타이레시놀, 디벤질부티로락톨, 미확인된 물질이 함께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는, 주로 유방암, 자궁경부암, 신경모세포종, 결장암, 간암, 폐암, 구강암, 난소암 및 전립선암을 앓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약제학적 유효량의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을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은 전신적으로 및/또는 경구적으로 또는 여하한 그밖의 적합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피검체는 동물 또는 포유 동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은 30 내지 100㎍/㎖의 농도에서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80%까지 억제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억제된 유방 세포주가 MCF-7 및 T-47-D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의 농도에서 자궁경부암 세포의 성장을 81%까지 억제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억제된 자궁경부 세포주가 Hela 및 SiHa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의 농도에서 신경모세포종의 성장을 92%까지 억제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억제된 신경모세포종 세포주가 SF-539, SKNMC, IMR-32, SKNSH 및 SNB-78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의 농도에서 결장암 세포의 성장을 95%까지 억제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억제된 결장 세포주가 Colo-205, HCT-15, HT-29 및 SW-620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의 농도에서 간암 세포의 성장을 73%까지 억제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억제된 간 세포주가 Hep-2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의 농도에서 폐암 세포의 성장을 92%까지 억제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억제된 폐암 세포주가 A-549 및 NCI-H23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의 농도에서 구강암 세포의 성장을 99%까지 억제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억제된 구강 세포주가 KB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의 농도에서 난소암 세포의 성장을 96%까지 억제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억제된 난소 세포주가 OVCAR5 및 SK-OV-3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의 농도에서 전립선암 세포의 성장을 98%까지 억제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억제된 전립선 세포주가 DU-145 및 PC-3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담체, 희석제, 용매, 여과제, 윤활제, 부형제, 결합제 또는 안정화제와 함께 환자에게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투여된 상승작용성 조성물의 양은 1일당 1회 이상의 용량에 대해 10 내지 500mg/체중 kg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투여된 상승작용성 조성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50mg/체중 kg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주로 유방암, 자궁경부암, 신경모세포종, 결장암, 간암, 폐암, 구강암, 난소암 및 전립선암에 걸린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약제학적 유효량의 (-)- 위크스트로몰 또는 (-)- 위크스트로몰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유방 세포, 자궁경부 세포, 신경모세포종 세포, 결장 세포, 간 세포 및 폐 세포로 이루어지는 암 세포의 성장을 각각 51%, 37%, 56%, 67%, 46% 및 56%까지 억제시킨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암 세포주는 유방 세포 MCF-7 및 ZR-75-1; 자궁경부 세포 SiHa; 신경모세포종 세포 SKNMC 및 IMR-32; 결장 세포 Colo-205, HT-29 및 SW-620; 간 세포 Hep-2; 및 폐 세포 A-549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사용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전신적으로 및/또는 경구적으로 또는 여하한 그밖의 적합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피검체는 동물 또는 포유동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1일당 1회 이상으로 10 내지 500mg/체중 kg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1일당 1회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300mg/체중 kg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 위크스트로몰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첨가물, 희석제, 용매, 여과제, 윤활제, 부형제, 결합제 및 안정화제와 혼합되어 환자에게 투여된다.
또 다른 구체예는 (-)- 마타이레시놀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약제학적 유효량으로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주로 유방암, 자궁경부암, 신경모세포종, 결장암, 간암 및 폐암에 걸린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조성물은 유방 세포, 자궁경부 세포, 신경모세포종 세포, 결장 세포, 간 세포 및 폐 세포로 구성된 암 세포의 성장을 각각 62%, 63%, 77%, 93%, 64% 및 65%까지 억제시킨다.
또 다른 구체에에서, 암 세포주는 유방 세포 MCF-7 및 ZR-75-1; 자궁경부 세포 SiHa; 신경모세포종 세포 SKNMC 및 IMR-32; 결장 세포 Colo-205, HT-29 및 SW-620; 간세포 Hep-2; 및 폐세포 A-549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사용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전신적으로 또는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피검체는 동물 또는 포유동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1일당 1회 이상으로 10 내지 500mg/체중 kg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1일당 1회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300mg/체중 kg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첨가제, 희석제, 용매, 여과제, 윤활제, 부형제, 결합제 및 안정화제와 함께 환자에게 투여된다.
본 발명은 완전히 신규한 공급원으로부터 신규한 세포파괴 혼합물을 분리해내는 것을 포함한다. 리그난 혼합물은 실험관내에서 상이한 기관을 나타내는 많은 사람 암 세포주(유방:MCF-7 및 T-47-D, 자궁경부:Hela 및 SiHa, 신경모세포종:SF-539, SKNSH, IMR-32, SKNMC 및 SNB-78; 결장:Colo-205, HCT-15, HT-29 및 SW-620, 간:Hep-2, 폐:A-549 및 NCI-H23, 구강:KB, 난소:OVCAR5 및 SK-OV-3, 및 전립선:DU-145 및 PC-3)를 억제시킨다.
본 발명은 유방, 자궁경부, 신경모세포종, 결장, 간, 폐, 구강, 난소 및 전립선 조직으로부터 선택된 암 세포주의 현저한 세포파괴에 의해 입증되는, 암 세포주에 대한 증가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예상치 못한 결과를 제공하는 (-)- 마타이레시놀, (-)- 위크스트로몰, 디벤질부티로락톨 및 미확인된 물질을 포함하는 상승작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실상, 본 조성물은 활성이 현저하며, 조성물의 이렇게 놀랍게 증가된 활성은 개별 성분의 특성의 단순한 조합에 의해서 예상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상승작용성 조성물이다. 즉, 본 조성물은 이들 성분의 특성이 단순히 부가된 것이 아니라, 증가된 활성을 가지며, 이는 분리된 상승작용성 조성물의 효능을 추가로 입증한다. 또한, 성분의 양은 조성물의 증가된 활성을 부여하고/증가된 활성에 기여한다.
하기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각각의 성분에 대한 분리 및 동정
세드루스 데오드라의 건조된 목질 조각을 분쇄하고 속슬렛 장치에 가하였다(200g). 분말을 먼저 헥산으로 추출하고 이어서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진공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60 내지 120 메쉬, 10g, 잔류물, 3.5cm 직경, 60cm 길이로 부하된 컬럼) 상에 부하시켰다. 먼저, 컬럼에 클로로포름을 용리시키고, 이어서 클로로포름 중의 3% 메탄올을 용리시켜 (-)- 마타이레시놀을 수득하였다.
클로로포름 중의 5% 메탄올로 컬럼을 추가로 용리시켜 (-)- 위크스트로몰을 수득하였다.
클로로포름 중의 7% 메탄올로 컬럼을 추가로 용리시켜 디벤질부티로락톨을 수득하였다.
마타이레시놀의 수율은 약 1 내지 2%이며; (-)- 위크스트로몰의 수율은 약 10 내지 14%이다.
디벤질부티로락톨의 수율은 약 1 내지 2%이다.
분자 1, 2 및 3의 특성
(-)- 마타이레시놀
1. 분자식: C20H22O6
2.1H-NMR: 2.53(4H,m), 2.95(2H,br), 3.86(6H,s), 4.2-4.4(2H,m), 5.5(2H,-OH), 6.4-6.8(6H,m)
3.13C-NMR: 34.48(C-8), 38.1(C-8'), 40.90(C-7), 46.60(C-7'), 55.74(2-OMe). 71.31(O-CH2), 111.011, 111.53, 114.11, 114.40, 121.21, 121.95, 129.45, 129.70, 144.30, 144.43, 146.58, 146.68(12*Ar-C), 178.94(-CO-)
4. MS: 358(M+)
5. IR: cm-1 3560(-OH), 1765(-락톤)
6. [α]d=-37.50°
(-)- 위크스트로몰
1. 분자식: C20H22O7
2.1H-NMR : 2.40-3.20(5H,m), 3.85(6H,d), 3.95(2H,bd), 5.60(2 -OH), 6.5-6.8(6H,m)
3.13C-NMR: 31.5(C-7), 41.9(C-8), 43.74(C-7'), 55.94(2-OMe), 70.26(-O-CH2), 76.33(08'), 111,55, 112.81, 114.35, 114.56, 116.82, 121.42, 123.12, 126.20, 130.35, 144.27, 144.95, 146.59(12xAr-C), 178.66(-CO).
4. MS- 374(M+)
5. [α]d= -30.90°.
디벤질부티로락톨:
1. 분자식: C20H24O6
2.1H NMR: 6.42-6.8l(H-2,m), 6.42-6.8l(H-5,m), 6.42-6.8l(H-6,m), 2.37-2.80(H-7,m), 1.94-2.18(H-8,m), 5.23(H-9a,m), 6.42-6.8 l(H-9b,m), 6.42-6.81(H-2',m), 6.42-6.81(H-5',m), 2.37-2.81(H-6',m), 2.37-2.8l(H-7'a,m), 1.94-2.18(H-7'b,m), 4.00-4.09(H-8',t), 3.47-3.57(H-9'a,m), 3.76(-OMe,s), 3.83(-OMe,s).
3. MS - 360(M+)
실시예-2
사람 암 세포주에 대한 (-)- 마타이레시놀의 시험관내 세포독성:
사람 세포주를 인도 푼 소재의 내셔날 센터 포 셀 사이언스(National center for cell science) 또는 미국 메릴랜드 프레더릭 소재의 내셔날 캔서 인스티튜트(National Cancer Institute)로부터 얻었다. 세포를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WTB binder, Germany)내의 5% CO2대기 및 90% 상대 습도에서 37℃의 조직배양 플라스크중의 완전성장 배지(여과에 의해서 무균화되고 사용전에 무균의 10% 소 태아 혈청 및 100단위/ml의 페니실린이 보충되는 2mM의 글루타민 및 100㎍/ml의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한 pH 7.4의 RPMI-1640 배지)에서 성장시켰다. 서브컨플루언트 단계의 세포를 트립신(0.02% EDTA를 함유하는 PBS중의 0.05% 트립신)에 의한 처리에 의해서 플라스크로부터 제거하여, 완전성장배지에 현탁시켰다. 트립판블루(trypan blue) 배제 기술에 의해서 97% 이상의 세포가 살아있는 세포를 세포독성 검사에 사용하였다.
(-)- 마타이레시놀을 DMSO(디메틸 술폭시드)에 용해시켜 20mg/ml의 원액을 얻었다. 원액을 50㎍/ml의 젠타마이신을 함유하는 완전성장배지로 연속적으로 희석시켜 200, 60 및 20㎍/ml의 세 개의 시험 용액을 얻었다.
완전성장배지에 현탁되는 요구된 세포 밀도의 사람 암 세포주의 현탁액을 제조하고 96-웰 조직배양 플레이트에 세포 현탁액(웰 당 100㎕의 각각의 세포주)을 평판시켰다. 각각의 세포주를 함유하는 세 개의 추가의 웰을 또한 대조군으로 제조하였다. 대조를 위한 두 개의 블랭크 웰 및 모든 세포주에 대한 각각의 실험 세트는 동일한 양의 완전성장배지를 포함하도록 제조하였다. 플레이트를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중의 5% CO2대기 및 90% 상대 습도에서 및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상이한 농도(100㎕)의 (-)- 마타이레시놀의 시험 용액을 24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에 실험 세트의 블랭크를 포함한 모든 웰에 가하였다. 동일한 양의 완전성장배지가 대조 세트에 첨가되었다.
시험 물질 등을 첨가한 후에 플레이트를 48 시간(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내의 5% CO2및 90% 상대 습도에서의 37℃에서)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세포 성장을 모든 웰내의 배지 상부에 50㎕의 TCA (50%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적층시킴으로써 중단시켰다. 플레이트를 4℃에서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켜 세포를 웰의 바닥에 결합 고정시켰다. 모든 웰의 액체를 피펫으로 제거하였다. 플레이트를 증류수로 5회 세척하여 TCA, 성장배지, 저분자량 대사물, 및 혈청 단백질 등을 제거하였다. 플레이트를 공기 건조하였다.
세포 성장을 술포르호다민 B 염료(SRB)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SRB 용액( 1% 아세트산중의 0.4% 용액 100㎕)을 각각의 웰에 가하고,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웰을 1-% 아세트산으로 5회 세척함으로써 비결합된 SRB를 신속하게 제거하고, 플레이트를 공기 건조시켰다. 트리스-완충액(Tris-buffer: 0.01M 용액 100㎕, pH 10.4)을 모든 웰에 가하고, 플레이트를 기계적 교반기에서 5분 동안 가볍게 교반하였다. 광학 밀도를 540 런(run)에서 ELISA 리더 상에 기록하였다.
시험 물질의 존재하의 세포 성장을 시험 세트의 평균 OD 값으로부터 각 블랭크의 평균 OD 값을 감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유사하게, 시험 물질의 부재(대조 세트) 및 양성 대조군의 존재하의 세포 성장을 또한 측정하였다. 시험 물질의 존재하의 세포 성장 백분율을, 시험 물질의 부재하의 세포 성장을 100%로서 고려함으로써 측정하고, 이어서 억제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인간 유방(MCF-7 & ZR-75-1), 신경모세포종(SK-N-MC & IMR-32), 자궁경부(SiHa), 결장(Colo-205, HT-29 & SW-620), 간(HEP-2) 및 폐(A-549) 암 세포주에 대하여 (-)- 마타이레시놀의 시험관내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요약하였다. (-)- 마타이레시놀은 연구된 인간 암 세포주의 세포 증식의 용량 의존적 억제를 보였다. 억제는 100㎍/㎖에서 54 내지 93%로 다양하였다. 인간 결장 암 세포주 Colo-205에 대해서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유방 세포주 MCF-7에 대해서가 가장 비효과적이었다.
실시예-3
인간 암 세포주에 대한 (-)- 위크스트로몰의 시험관내 세포독성:
인간 암 세포주를 증식시키고 회수하여 사용된 시험 물질이 DMSO 중에 용해되어 있는 (-)- 위크스트로몰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아주 동일하게 세포독성을 측정하였고, 3개의 작업 시험 용액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농도로 제조하였다.
인간 유방(MCF-7 & ZR-75-1), 신경모세포종(SK-N-MC & IMR-32), 자궁경부(SiHa), 결장(Colo-205, HT-29 & SW-620), 간(HEP-2) 및 폐(A-549) 암 세포주에 대해서 (-)- 위크스트로몰의 시험관내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요약하였다. (-)-위크스트로몰은 연구된 인간 암 세포주의 세포 증식의 용량 의존적 억제를 보였다. 억제는 100㎍/㎖에서 32 내지 67%로 다양하였다. 인간 결장암 세포주 Colo-205에 대해서 가장 효과적이었고 결장 세포주 HT-29에 대해서 가장 비효과적이었다.
실시예-4
세드루스 데오드라로부터의 리그난 혼합물을 함유하는 신규한 화학 조성물의 분리 방법
속슬렛 장치에 세드루스 데오드라의 건조된 목질 조각을 로딩하였다. 분말을 처음에는 헥산으로 추출하고 그 후에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진공 하에 농축하였다. 진한 시럽형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켰다(잔류물 약 50g에 대해서 에틸 아세테이트 약 60㎖).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잔류물 용액을 헥산(약 5㎖)에 소량씩 첨가하였다. 분리된 고형물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리그난 혼합물의 수율은 약 20g이었다.
리그난 혼합물의 조성물을 3개 회분에 대하여 HPLC에 의해 검정하였고 결과를 표 2에 요약하였다. HPLC에 대해 사용된 컬럼은 ODS이고, 225nm의 파장에서 1.5㎖의 유속으로 검정하였다.
실시예-5
인간 암 세포주에 대한 세드루스 데오드라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혼합물의 시험관내 세포독성:
인간 암 세포주를 증식시키고 회수하고 세포독성을 사용된 시험 물질이 DMSO에 따로따로 용해되어 있는 세드루스 데오드라로부터 분리된 3개의 리그난 혼합물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아주 동일하게 측정하였고, 3개의 작업 시험 용액이 실시예 1과 동일한 농도로 제조되었다.
농도가 표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3개의 회분으로부터 수득된 3개의 리그난 혼합물의 시험관내 세포독성을 유방(MCF-7 & T-47-D), 자궁경부(Hela & SiHa), 신경모세포종(SF-539, SK-N-MC, IMR-32, SK-N-SH & SNB-78), 결장(Colo-205, HCT-15, HT-29 & SW-620), 간(HEP-2 & HEP-G-2), 폐(A-549, HOP-18 & NCI-H23), 구강(KB), 난소(NIH-OVCAR-3, OVCAR-5 & SK-OV-3), 및 전립선(DU-145 & PC-3)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요약하였다. 리그난 혼합물은 연구된 인간 암 세포주의 세포 증식의 용량 의존성 억제를 보였다. 3개 혼합물 모두 다소유사한 패턴의 활성을 보였다. 억제는 100㎍/㎖에서 37 내지 100%로 다양하였다. 3개 혼합물 모두 인간 구강암 세포주 KB에 대해서 가장 효과적이었고, 자궁경부(SiHa), 신경모세포종(SK-N-MC), 결장(Colo-205, HCT-15, HT-29 & SW-620), 난소(OVCAR-5), 및 전립선(PC-3) 세포주에 대해서 상당히 높은 억제를 보였다. 사용된 결장 세포주 모두는 리그난 혼합물에 매우 민감한 것으로 밝혀졌고 결장에 대해서 조직 특이성이 있을 수 있다. 간 Hep-G-2, 페 HOP-18, 및 난소 NIH-OVCAR-3 세포주에 대하여 최대 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잇점
1. 세드루스 데오드라로부터 수득된 리그난 혼합물은 매우 많은 세포주에 대해 항암 활성을 보인다.
2. 리그난 혼합물은 단독으로 사용된 경우의 개별 성분과 비교하여 상승된 항암 활성을 보인다.
표 1. 인간 암 세포주에 대한 (-)- 마타이레시놀 및 위크스트로몰의 시험관내 세포독성
표 2: 리그난 혼합물의 3개 회분의 HPLC 검정
표 3: 인간 암 세포주에 대한 세드루스 데오드라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혼합물의 시험관내 세포독성.

Claims (93)

  1. (a) 9 내지 13 중량%의 (-)- 마타이레시놀(Matairesionol),
    (b) 75 내지 79 중량%의 (-)- 위크스트로몰(Wikstromol),
    (c) 7 내지 11 중량%의 디벤질부티로락톨, 및
    (d) 2.6 내지 3 중량%의 미확인 물질을 포함하며, 유방암, 자궁경부암, 신경모세포종, 결장암, 간암, 폐암, 구강암, 난소암 및 전립선암에 대하여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세드루스 데오드라(Cedrus deodra)의 식물 추출물로부터 수득된 리그난(lignan)의 상승작용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80%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유방 세포주가 MCF-7 및 T-47-D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자궁경부암 세포의 성장을 89%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자궁경부 세포주가 Hela 및 SiH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신경모세포종 세포의 성장을 96%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신경모세포종 세포주가 SF-539, SKNMC, IMR-32, SKNSH 및 SNB-78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결장암 세포의 성장을 97%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결장암 세포주가 Colo-205, HCT-15, HT-29 및 SW-620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간암 세포의 성장을 73%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간암 세포주가 Hep-2 및 Hep-G-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폐암 세포의 성장을 83%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폐암 세포주가 A-549, NCI-H23 및 HOP-18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구강암 세포의 성장을 100%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구강암 세포주가 KB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 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난소암 세포의 성장을 96%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난소암 세포주가 OVCAR-5, NIH-OVCAR-3 및 SK-OV-3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 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전립선암 세포의 성장을 98%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 18항에 있어서, 전립선암 세포주가 DU-145 및 PC-3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 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담체, 희석제, 용매, 여과제, 윤활제, 부형제, 결합제 또는 안정화제와 함께 환자에게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제 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전신적으로 및/또는 경구적으로 또는 여하한 그밖의 적합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제 1항에 있어서, 피검체가 동물 또는 포유동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인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3. 약제학적인 유효 용량의 (-)- 위크스트로몰 또는 (-)- 위크스트로몰을 함유하는 제형을 포함하며, 주로 유방, 자궁경부, 신경모세포종, 결장, 간 및 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암 세포주에 대하여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
  24. 제 23항에 있어서, 사용된 암 세포주가 유방 세포 MCF-7 및 ZR-75-1; 자궁경부 세포 SiHa; 신경모세포종 세포 SKNMC 및 IMR-32; 결장 세포 colo-205, HT-29 및 SW-620; 간 세포 Hep-2; 및 페 세포 A-549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하는 조성물.
  25. 제 23항에 있어서, (-)- 위크스트로몰이 약 100㎍/ml의 농도에서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51%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6. 제 23항에 있어서, (-)- 위크스트로몰이 약 100㎍/ml의 농도에서 자궁경부암 세포의 성장을 37%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7. 제 23항에 있어서, (-)- 위크스트로몰이 약 100㎍/ml의 농도에서 신경모세포종 세포의 성장을 56%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8. 제 23항에 있어서, (-)- 위크스트로몰이 약 100㎍/ml의 농도에서 결장암 세포의 성장을 67%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9. 제 23항에 있어서, (-)- 위크스트로몰이 약 100㎍/ml의 농도에서 간암 세포의 성장을 46%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0. 제 23항에 있어서, (-)- 위크스트로몰이 약 100㎍/ml의 농도에서 폐암 세포의 성장을 56%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1. 제 23항에 있어서, (-)- 위크스트로몰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첨가제, 희석제, 용매, 여과제, 윤활제, 부형제, 결합제 및 안정화제와 함께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2. 제 23항에 있어서, 전신적으로 및/또는 경구적으로 또는 여하한 그밖의 적합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3. 제 23항에 있어서, 피검체가 동물 또는 포유동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인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4. 약제학적인 유효 용량의 (-)- 마타이레시놀 또는 (-)- 마타이레시놀을 함유하는 제형을 포함하며, 주로 유방, 자궁경부, 신경모세포종, 결장, 간 및 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암 세포주에 대하여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
  35. 제 34항에 있어서, 사용된 암 세포주가 유방 세포 MCF-7 및 ZR-75-1; 자궁경부 세포 SiHa; 신경모세포종 세포 SKNMC 및 IMR-32; 결장 세포 colo-205, HT-29 및 SW-620; 간 세포 Hep-2; 및 페 세포 A-549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6. 제 34항에 있어서, (-)- 마타이레시놀이 약 100㎍/ml의 농도에서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62%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7. 제 34항에 있어서, (-)- 마타이레시놀이 약 100㎍/ml의 농도에서 자궁경부암 세포의 성장을 63%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8. 제 34항에 있어서, (-)- 마타이레시놀이 약 100㎍/ml의 농도에서 신경모세포종 세포의 성장을 77%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9. 제 34항에 있어서, (-)- 마타이레시놀이 약 100㎍/ml의 농도에서 결장암 세포의 성장을 93%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0. 제 34항에 있어서, (-)- 마타이레시놀이 약 100㎍/ml의 농도에서 간암 세포의 성장을 64%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1. 제 34항에 있어서, (-)- 마타이레시놀이 약 100㎍/ml의 농도에서 폐암 세포의 성장을 65%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2. 제 34항에 있어서, (-)- 마타이레시놀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첨가제, 희석제, 용매, 여과제, 윤활제, 부형제, 결합제 및 안정화제와 함께 환자에게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3. 제 34항에 있어서, (-)- 마타이레시놀이 전신적으로 또는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4. 제 34항에 있어서, 피검체가 동물 또는 포유동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인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5. (a) 식물 세드루스 데오드라를 분쇄하는 단계,
    (b) 분쇄된 식물을 속슬렛 장치에서 탄화수소 용매에 이어 할로겐화 용매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추출하는 단계,
    (c) 탄화수소 용매 및 할로겐화 용매의 추출물을 개별적으로 농축하는 단계,
    (d) 할로겐화 용매 추출물을 유기 용매의 혼합물로 용리시킴에 의해 흡착제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함께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로 구성하는, 추출물에 대하여 1 내지 2 중량%의 (-)- 마타이레시놀, 10 내지 14 중량%의 (-)- 위크스트로몰, 1 내지 2 중량%의 디벤질부티로락톨 및 0.2 내지 0.3 중량%의 미확인 물질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세드루스 데오드라의 식물 추출물로부터 제 1항에 청구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을 단리시키는 방법.
  46. 제 45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의 식물 부분이 나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 45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탄화수소 용매가 헥산 및 석유 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헥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 45항에 있어서, 할로겐화 용매가 탄소 테트라클로라이드,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로포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 45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추출물이 진공하에 농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 45항에 있어서, 단계 (d)에서 정제가 흡착제로서의 실리카 겔을 이용하여 상이한 비율의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물로 용리시킴에 의해 수행되어, 함께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을 구성하는 순수한 화합물 (-)- 위크스트로몰, (-)- 마타이레시놀, 디벤질부티로락톨, 미확인 물질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약제학적 유효 용량의 리그난의 상승작용성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주로 유방암, 자궁경부암, 신경모세포종, 결장암, 간암, 폐암, 구강암, 난소암 및 전립선암에 걸린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52. 제 5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제 5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전신적으로 및/또는 경구적으로 또는 여하한 그밖의 적합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제 51항에 있어서, 피검체가 동물 또는 포유동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인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5. 제 5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80%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제 55항에 있어서, 억제되는 유방 세포주가 MCF-7 및 T-47-D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7. 제 5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자궁경부암 세포의 성장을 81%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8. 제 57항에 있어서, 억제되는 자궁경부 세포주가 Hela 및 SiHa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9. 제 5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신경모세포종 세포의 성장을 92%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0. 제 59항에 있어서, 억제되는 신경모세포종 세포주가 SF-539, SKNMC, IMR-32, SKNSH 및 SNB-78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1. 제 5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결장암 세포의 성장을 95%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2. 제 61항에 있어서, 억제되는 결장 세포주가 Colo-205, HCT-15, HT-29 및 SW-62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3. 제 5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간암 세포의 성장을 73%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4. 제 63항에 있어서, 억제되는 간 세포주가 Hep-2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5. 제 5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폐암 세포의 성장을 92%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6. 제 65항에 있어서, 억제되는 폐 세포주가 A-549 및 NCI-H23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7. 제 5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구강암 세포의 성장을 99%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8. 제 67항에 있어서, 억제되는 구강 세포주가 KB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9. 제 5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난소암 세포의 성장을 96%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0. 제 69항에 있어서, 억제되는 난소 세포주가 OVCAR-5 및 SK-OV-3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1. 제 5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30 내지 100㎍/ml의 농도 범위에서 전립선암 세포의 성장을 98%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2. 제 71항에 있어서, 억제되는 전립선 세포주가 DU-145 및 PC-3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3. 제 51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담체, 희석제, 용매, 여과제, 윤활제, 부형제, 결합제 또는 안정화제와 함께 환자에게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4. 제 51항에 있어서, 투여되는 상승작용성 조성물의 양이 1일당 1회 이상의 용량으로 10 내지 500mg/체중 kg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5. 제 51항에 있어서, 투여되는 상승작용성 리그난 조성물의 양이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50mg/체중 kg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6. 약제학적인 유효 용량의 (-)- 위크스트로몰 또는 (-)- 위크스트로몰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주로 유방암, 자궁경부암, 신경모세포종, 결장암, 간암, 폐암, 구강암, 난소암 및 전립선암에 걸린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77. 제 76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유방 세포, 자궁경부 세포, 신경모세포종 세포, 결장 세포, 간 세포 및 폐 세포로 구성된 암 세포의 성장을 각각 51%, 37%, 56%, 67%, 46% 및 56%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8. 제 76항에 있어서, 암 세포주가 유방 세포 MCF-7 및 ZR-75-1; 자궁경부 세포 SiHa; 신경모세포종 세포 SKNMC 및 IMR-32; 결장 세포 colo-205, HT-29 및 SW-620; 간 세포 Hep-2; 및 폐 세포 A-549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9. 제 76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단독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0. 제 76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전신적으로 및/또는 경구적으로 또는 여하한 그밖의 적합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1. 제 76항에 있어서, 피검체가 동물 또는 포유동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인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2. 제 76항에 있어서, 투여되는 조성물의 양이 1일당 1회 이상으로 10 내지 500mg/체중 kg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3. 제 76항에 있어서, 투여되는 조성물의 양이 1일당 1회 이상으로 75 내지 300mg/체중 kg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4. 제 76항에 있어서, (-)- 위크스트로몰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첨가제, 희석제, 용매, 여과제, 윤활제, 부형제, 결합제 및 안정화제와 함께 환자에게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5. 약제학적인 유효 용량의 (-)- 마타이레시놀 또는 (-)- 마타이레시놀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주로 유방암, 자궁경부암, 신경모세포종, 결장암, 간암 및 폐암에 걸린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86. 제 85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유방 세포, 자궁경부 세포, 신경모세포종 세포, 결장 세포, 간 세포 및 폐 세포로 구성된 암 세포의 성장을 각각 62%, 63%, 77%, 93%, 64% 및 65%까지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7. 제 85항에 있어서, 암 세포주가 유방 세포 MCF-7 및 ZR-75-1; 자궁경부 세포 SiHa; 신경모세포종 세포 SKNMC 및 IMR-32; 결장 세포 colo-205, HT-29 및 SW-620; 간 세포 Hep-2; 및 폐 세포 A-549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8. 제 85항에 있어서, (-)- 마타이레시놀이 단독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9. 제 85항에 있어서, (-)- 마타이레시놀이 전신적으로 또는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0. 제 85항에 있어서, 피검체가 동물 또는 포유동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인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1. 제 76항에 있어서, 투여되는 조성물의 양이 1일당 1회 이상으로 10 내지 500mg/체중 kg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2. 제 76항에 있어서, 투여되는 조성물의 양이 1일당 1회 이상으로 75 내지 300mg/체중 kg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3. 제 85항에 있어서, (-)- 마타이레시놀 조성물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첨가제, 희석제, 용매, 여과제, 윤활제, 부형제, 결합제 및 안정화제와 함께 환자에게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7008727A 2001-12-05 2001-12-05 암치료용 약초 화학 조성물 KR200400726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N2001/000214 WO2003047608A1 (en) 2001-12-05 2001-12-05 A novel herbal chem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canc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646A true KR20040072646A (ko) 2004-08-18

Family

ID=1107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727A KR20040072646A (ko) 2001-12-05 2001-12-05 암치료용 약초 화학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465645A1 (ko)
JP (1) JP2005511659A (ko)
KR (1) KR20040072646A (ko)
CN (1) CN100444837C (ko)
AU (1) AU2002222501A1 (ko)
CA (1) CA2469093A1 (ko)
WO (1) WO20030476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505B1 (ko) * 2012-03-15 2014-07-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타이레시놀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106293A0 (fi) 2010-12-06 2010-12-06 Emilia Peuhu Uudet farmaseuttiset koostumukset
CN104523721A (zh) * 2014-11-11 2015-04-22 济南星懿医药技术有限公司 一种抗肿瘤的药物组合物
CN109206394B (zh) * 2018-08-16 2022-04-01 广西壮族自治区中国科学院广西植物研究所 一种倍半木脂素化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CN113633704B (zh) * 2021-08-23 2022-06-07 中山大学 一种细轴荛花叶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1565B1 (en) * 1996-03-13 2001-07-17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Method of preparing and using isoflavo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505B1 (ko) * 2012-03-15 2014-07-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타이레시놀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7608A1 (en) 2003-06-12
AU2002222501A1 (en) 2003-06-17
CN1582160A (zh) 2005-02-16
JP2005511659A (ja) 2005-04-28
CA2469093A1 (en) 2003-06-12
CN100444837C (zh) 2008-12-24
EP1465645A1 (en)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6115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brevifoliol for use in chemotherapeutic treatment of human beings, method therefor
KR20100137962A (ko)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을 포함하는 항암 치료를 위한 국소 투여용 주사제 조성물
US6649650B2 (en) Herbal chem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cancer
KR20040072646A (ko) 암치료용 약초 화학 조성물
JPS61109713A (ja) 抗腫瘍剤
JP2761876B2 (ja) 新規化合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AU605494B2 (en) The use of 15-deoxyspergualine as a pharmaceutical
KR20080022315A (ko) 미백활성 및 항염활성을 나타내는 비룡추출물
US5955497A (en) Bioactive acetogenins
CN112409439A (zh) 一种甘草酸衍生物、制备方法及应用
Lumonadio et al. Antitumor activity of quassinoids from Hannoa klaineana
JP2001527569A (ja) ウスカリジンまたはその類似体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KR100703597B1 (ko) 타크린 유도에 의한 HepG2 세포의 세포독성에 대한간보호 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한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TWI646966B (zh) 製備昭和草萃取物之方法,藉此製備的萃取物及該萃取物之用途
JP2988937B2 (ja) 海洋源由来の新規の抗腫瘍性及び抗ウイルス性組成物
US6458831B1 (en) Use of two plant phenols in the treatment of arteriosclerosis
KR101813112B1 (ko) 신규한 세스퀴터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470150B1 (ko) 간섬유화 억제 활성을 갖는 메소-디히드로구아이레트산유도체
KR0143718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신규 제리쿠드라닌 이 및 제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9503370A (ja) ベニバナボロギク抽出物を調製する方法、それにより調製された抽出物、及び抽出物の使用
KR100466522B1 (ko) 항암활성을 갖는 j 300 동충하초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0459088B1 (ko) 간세포 보호활성을 나타내는 비자나무의 수피로부터분리한 다이벤질부틸락톤 리그난 유도체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세포 보호 및 간 질환 치료용조성물
EP131349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wikstromol and/or matairesinol, its use as hepatoprotectant and process for their isolation from cedrus deodara
EP0486944A2 (en) Method of inhibiting tumor growth using xanthocillin X dimethylether
NZ510803A (en) Use of acylcarnitines as antitumour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