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825A -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825A
KR20040071825A KR1020030007719A KR20030007719A KR20040071825A KR 20040071825 A KR20040071825 A KR 20040071825A KR 1020030007719 A KR1020030007719 A KR 1020030007719A KR 20030007719 A KR20030007719 A KR 20030007719A KR 20040071825 A KR20040071825 A KR 20040071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steel plate
supply
conveyo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연호
김상영
Original Assignee
대구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구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1825A/ko
Publication of KR20040071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82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0/00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stacking and de-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의 공급을 완전 자동화 하고,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의 공급방향 또한 양방향으로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동박적층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및 배출장치(100)는 후방에 공급할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적재할 수 있도록 다수개 구비되는 공급적재대(102)와 공급되어 배출되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회수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수적재대(103)를 구비하고;
상기 회수적재대(103)의 전방에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용이하게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공급로울러(104)와 회수로울러(105);
상기 공급적재대(102)와 회수적재대(103), 공급로울러(104) 및 회수로울러(105)의 상방에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한쌍의 호이스트(110)와;
상기 호이스트(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급 및 회수되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공급하고 배출할 방향으로 공급하는 다방향컨베이어(150)와;
상기 다방향컨베이어(150)의 측방에 설치되어 회수되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다방향컨베이어(150)의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공급할 수 있는 업다운컨베이어(200)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Loading and unloading system of stainless steel for copper clad laminate}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박적층판 제조에 필요한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의 공급과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동박적층판은 피시비를 생산하기 전 단계로 다수매의 동박시트를 프레싱으로 결합한 것이며, 이러한 동박적층판은 프레싱 상태에서 필요한 규격에 적합하도록 하면서 프레싱 과정에서 사면(四面)에 형성된 요철부를 제거하여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절단을 수행하여 피시비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박시트를 적층하여 동박적층판을 만들 때에는 적층되어 프레싱되는 동박시트의 상,하단에 위치한 공박시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프레싱되는 동박시트의 상,하측에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를 개재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되어 동박시트를 적층하고 난 후에는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를 회수하여 차기 사용을 대기하게 되는데, 이러한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의 공급과 회수를 위한 작업이 종래에는 일부 자동화 되어 있었으나 일부 작업을 작업자들이 직접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들이 수작업으로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의 공급과 배출을 하는 단순한 작업의 연속과 반복으로 인하여 작업자들의 안전의식 결여와 작업여건 등으로 인하여 절단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작업자에 의한 작업량이 많아질 경우에는 작업자의 컨디션에 따라 작업의 진척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과 품질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어 결과적으로는 생산성과 품질이 저하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적재된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를 공급하고 동박적층판을 만들고 회수되는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를 적재하기 위한 라인이 하나이기 때문에 동일방향으로만 공급하고 회수하여야 하는 일률적인 작업만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 측면에서도 도움을 주지 못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의 공급을 완전 자동화 하고,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의 공급방향 또한 양방향으로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동박적층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목적을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의 간략적인 구성흐름 정방향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의 간략적인 구성흐름 역방향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적용된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에 적용된 적용된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호이스트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적용된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의 호이스트를 B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에 적용되는 다방향컨베이어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에 적용되는 다방향컨베이어의 C부위를 발췌한 일부생략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에적용되는 업다운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공급 및 배출장치
102; 공급적재대
103; 회수적재대
104; 공급로울러
105; 회수로울러
110; 호이스트
112; 운송수단
113; 호이스트바디
121; 클램프
150; 다방향컨베이어
154; 컨베이어
162; 로울러
170; 하부컨베이어
175; 상부컨베이어
200; 업다운컨베이어
207; 격자
208; 컨베이어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의 간략적인 구성흐름 정방향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의 간략적인 구성흐름 역방향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적용된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에 적용된 적용된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호이스트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적용된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의 호이스트를 B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에 적용되는 다방향컨베이어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에 적용되는 다방향컨베이어의 C부위를 발췌한 일부생략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에 적용되는 업다운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100)는,
후방에 공급할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적재할 수 있도록 다수개 구비되는 공급적재대(102)와 공급되어 배출되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회수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수적재대(103)를 구비한다.
상기 회수적재대(103)의 전방에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용이하게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공급로울러(104)와 회수로울러(105)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적재대(102)와 회수적재대(103), 공급로울러(104) 및 회수로울러(105)의 상방에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호이스트(110)를 설치한다.
상기 호이스트(110)의 전방에는 공급 및 회수되는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공급하고 배출할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는 다방향컨베이어(150)가 설치되고, 상기 다방향컨베이어(150)의 측방에는 회수되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다방향컨베이어(150)의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공급할 수 있는 업다운컨베이어(20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호이스트(110)는 공급적재대(102)와 회수적재대(103), 공급로울러(104) 및 회수로울러(105)의 상방에 세워지는 한쌍의 호이스트프레임(111)의 상방에 구비되는 운송수단(112)에 의하여 호이스트프레임(111)의 양측을 왕복운동하는 호이스트바디(113)을 구비한다.
상기 운송수단(112)은 호이스트프레임(111)의 상방 양측에 설치되어 모터(114)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타이밍풀리(115)에 연결되는 타이밍밸트(116)와, 상기 호이스트프레임(1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레일(117)로 구성한다.
상기 운송수단(112)의 타이밍밸트(116)의 양단부는 호이스트바디(113)를 구성하는 상부바디(118)의 양측과 연결하고, 상부바디(118)의 저면에는 슬라이딩블럭(119)을 설치하여 슬라이딩레일(117)과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바디(118)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부바디(120)에는 적재된 상태의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공급하거나 회수되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121)를 구비한다.
상기 클램프(121)는 하부바디(120)양측면 중앙에 메인실린더(122)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실린더(122)의 로드는 메인실린더(122)의 양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레일(123)과 결합되는 슬라이딩블럭(124)을 배면에 가지는 승,강판(125)과 연결한다.
상기 승,강판(125)의 양측에는 브라켓(126)을 이용하여 하단에 흡판(127)을 가지는 다수개의 흡착핑거(128)을 고정한 흡착바(129)와 고정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적재되거나 회수하여 적재할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다방향컨베이어(150)는 개략 정방형으로 구비되는 프레임(151)의 상면에 길이방향에 구비되는 채널(152)에는 일정폭을 유지하도록 한 다수개의 컨베이어프레임(153)을 설치한다.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53)의 내부에는 컨베이어(154)를 설치하고 상기 컨베이어(154)의 일측에는 컨베이어프레임(153)의 저면에 설치되는 모터(155)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구동축(156)을 설치하여 공급 및 배출되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프레임(151)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51)의 4모서리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브라켓(157)에는 실린더(158)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158)의 로더에는 승강판(159)를 설치하고, 프레임(151)의 길이방향에 위치한 승강판(159) 상간에는 로울러프레임(160)을 연결한다.
상기 로울러프레임(160)의 중도(컨베이어의 사이사이)에는 로울러받침대(161)를 설치하고, 상기 로울러받침대(161)에는 다수개의 로울러(162)를 배열한 로울러축(163)을 설치한다.
상기 로울러축(163)의 일측에는 체인(164)으로 연결되는 체인기어(165)를 설치하여 일측의 실린더(158) 저면에 설치되는 모터(166)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실린더(158)에 의하여 승,강하여 프레임(151)의 길이방향으로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컨베이어(170)를 구성한다.
상기 하부컨베이어(170)의 상방에는 하부컨베이어(170)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서포터(171)로 지지되는 상부컨베이어(175)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업다운컨베이어(200)는 다방향컨베이어(150)의 측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4곳에 세워지는 포스트(201)의 상,하측에 체인기어(202,202')를 설치하여 체인(203)으로 연결하고, 상기 체인(203)은 포스트(201)의 중도에 구비되는 가이드(204)를 경유하도록 한다.
상기 체인(203)의 중도에는 고정판(205)을 연결하여 체인(203)과 함께 포스트(201)를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판(205)에는 포스트(20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치판(206)을 고정한다.
상기 안치판(206)에는 장방형상의 격자(207)를 고정하고, 상기 격자(207)의 상방에는 컨베이어(208)를 설치한 다수개의 컨베이어프레임(210)을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고정한다.
상기 컨베이어(208)의 일측에는 격자(207)에 설치되는 모터(211)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동축(212)으로 연결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인(203)의 구동은 바닥면 중앙에 설치된 모터(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감속기(221)의 출력축(222)을 전,후방으로 길게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201)의 하방에 구비되는 체인기어(202)상간을 구동축(223)으로 연결한다.
상기 출력축(222)의 양단부와 구동축(223)의 중간부에는 베벨기어(224,225)를 고정하여 모터(22)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컨베이어(208)를 설치한 격자(207)가 승,강하여 다방향컨베이어(150)의 하부 또는 상부컨베이어(170,175)에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공급하거나 배출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공급적재대(102)에 공급할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적재하여 공급할 준비를 완료한 상태에서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의 공급작업과 공급되어 사용 후 배출되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한쌍으로 구비되는 호이스트(110)를 이용하여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의 공급과 회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되는데, 이를 도 1,2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경우에는 정방향 공급의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호이스트(110)를 이용하여 공급적재대(103)상의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공급로울러(104)에 안치함으로서 공급로울러(104)상의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이 다방향컨베이어(150)를 통하여 동박적층시스템으로 공급되고, 동박적층에 사용된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는 업다운컨베이어(200)와 다방향컨베이어(150)를 통하여 회수로울러(105)로 인입되면 호이스트(110)를 이용하여 회수적재대(103)에 순차적으로 적재하면 된다.
도 2의 경우에는 역방향 공급의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공급적재대(103)상의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호이스트(110)를 이용하여 회수로울러(105)에 안치함으로서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는 업다운컨베이어(200)를 거처 다방향컨베이어(150)를 통하여 동박적층시스템으로 공급되고, 동박적층에 사용된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는 업다운컨베이어(200)와 다방향컨베이어(150)를 통하여 공급로울러(104)로 공급되면 호이스트(110)를 이용하여 회수적재대(103)에 순차적으로 적재하면 된다.
공급적재대(103)상의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공급로울러(104)로 이송하고 동박적층에 사용되어 회수되는 과정에서 회수적재대(105)상에 위치하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회수적재대(103)으로 이송하는 호이스트(11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호이스트(110)의 작동은 호이스트프레임(111)의 상방에 구비되는 운송수단(112)에 의하여 호이스트바디(113)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되는데, 운송수단(112)을 구성하는 모터(114)에 의하여 타이밍풀리(115)가 회전하여 호이스트바디(113)와 연결된 타이밍밸트(116)가 슬라이딩레일(117)과 슬라이딩블러(119)과 협조하여 보다 용이하게 호이스트바디(113)를 공급적재대(102)에서 공급 및 회수로울러(104,105)까지 왕복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공급적재대(102) 와 공급 및 회수로울러(104,105)상에 위치하게 되면, 호이스트(110)의 하부바디(120)에 설치되는 메인실린더(122)의 신장작동으로 승,강판(125)이 하강한다.
상기 승,강판(125)의 하강으로 승,강판(125)과 브라켁(126)으로 연결되는 흡착바(129)에 고정되는 흡착핑거(128)의 흡판(127)이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흡착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흡착완료하면 메인실린더(122)의 수축작동으로 초기상태로 복귀함으로서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는 상승된 상태에서 공급로울러(104)나 회수적재대(103)로 이동하여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흡착할 때의 역순으로 작동하여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공급로울러(104)상에 안치하거나 회수적재대(103)상에 안치하여 한사이클을 마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흡착할 때에는 호이스트바디(113)의 일측에 구비되는 메인실린더(122)를 먼저 작동시켜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흡착하여 일부 이격시켜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간의 밀착상태를 해소하면 다른측의 메인실린더(122)가 작동하여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완전히 이격시키도록 하고, 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로울러(103)나 업다운컨베이어(200)로 부터 공급되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동박적층시스템과 공급로울러(103)방향으로 공급하는 다방향컨베이어(15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방향컨베이어(150)의 경우에는 공급되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가 공급될 것인가 또는 공급되어 회수되는 것인가에 따라 컨베이어프레임(153)의 폭방향이나 길이방향으로 선택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되고, 동일한 구성의 하부및 상부컨베이어(170,175)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서 공급과 회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일시적인 저장(Buffer)기능을 겸할 수 있게된다.
상기 다방향컨베이어(150)는 켄베이어프레임(153)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컨베이어(154)를 구동시킬 경우에는 다방향컨베이어(150)의 폭방향으로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이송시킬 수 있게됨으로서 역방향으로 공급할 때 회수되거나 공급할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이송하는데 사용한다.
반대로 상기 컨베이어(154)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로울러(165)를 작동시키면 다방향컨베이어(150)의 길이방향으로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방향 공급시 공급로울러(104)상의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공급받아 동박적층시스템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동박적층시스템을 경유하여 회수되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의 경우에는 업다운컨베이어(200)를 통하여 공급받은 후 회수로울러(105)로 공급함으로서 호이스트(110)로 하여금 회수적재대(103)에 적재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 로울러(165)의 작동은 로울러(165)를 설치하고 있는 로울러받침대(161)가 로울러프레임(160)에 설치되고, 상기 로울러프레임(160)은 프레임(151)에 설치되는 실린더(158)와 연결되는 승강판(159)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시 실린더(158)을 신장작동시켜 로울러(165)의 상면이 컨베이어(154)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한 상태에서 작동시킴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동박적층시스템에 사용된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다방향컨베이어(150)나 회수로울러(105)방향으로 공급하여 회수적재대(103)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업다운컨베이어(2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격자(207)상에 구비되는 컨베이어(208)를 모터(211)를 이용하여 구동시킨 상태에고 회수되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공급받아 측방의 다방향컨베이어(150)로 넘겨주게 되는 동작을 취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다방향컨베이어(150)의 하부컨베이어(170)와 상부컨베이어(175)에 번걸아 가면서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공급하여야 할 경우에는 컨베이어(208)를 가지는 격자(207)를 다방향컨베이어(150)의 하부컨베이어(170)와 상부컨베이어(175)의 높이에 맞게 조절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절은 포스트(201)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는 모터(2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감속기(221)의 출력축(222)이 전,후방으로 취출되고, 상기 출력축(222)의 양단부에는 베벨기어(224)를 고정하고, 상기 베벨기어(224)는 동일라인의 포스트(201)의 하측에 설치되는 체인기어(202)상간의 연결하는 구동축(223)에 고정되는 베벨기어(225)와 맞물리도록 하고있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220)의 정,역회전으로 체인기어(202,202')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체인기어(202,202')상간을 연결하고 있는 체인(203)의 중도에 고정된 고정판(205)과 상기 고정판(205)에 고정되어 격자(207)를 고정한 안치판(206)이 승,강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의 공급을 완전 자동화 하고,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의 공급방향 또한 양방향으로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동박적층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9)

  1.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및 배출장치(100)는 후방에 공급할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적재할 수 있도록 다수개 구비되는 공급적재대(102)와 공급되어 배출되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회수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수적재대(103)를 구비하고;
    상기 회수적재대(103)의 전방에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용이하게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공급로울러(104)와 회수로울러(105);
    상기 공급적재대(102)와 회수적재대(103), 공급로울러(104) 및 회수로울러(105)의 상방에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한쌍의 호이스트(110)와;
    상기 호이스트(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급 및 회수되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공급하고 배출할 방향으로 공급하는 다방향컨베이어(150)와;
    상기 다방향컨베이어(150)의 측방에 설치되어 회수되는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다방향컨베이어(150)의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공급할 수 있는 업다운컨베이어(200)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110)는 공급적재대(102)와 회수적재대(103), 공급로울러(104) 및 회수로울러(105)의 상방에 세워지는 한쌍의 호이스트프레임(111)과;
    상기 호이스트프레임(111)의 상방에 구비되는 운송수단(112)과 연결되는 상부바디(118)와 상기 하부바디(118)의 하방에 일체로 구비되어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들어올리는 클램프(121)를 가지고 호이스트프레임(111)의 양측을 왕복운동하는 호이스트바디(113)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방향컨베이어(150)는 개략 정방형으로 구비되는 프레임(151)의 상면에 길이방향에 구비되는 채널(152)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와;
    일정폭을 유지시켜 설치되는 다수개의 컨베이어프레임(153)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53)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154)와;
    상기 컨베이어(154)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축(156)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53)의 저면에 설치되어 구동축(156)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프레임(151)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터(155)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51)의 4모서리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브라켓(157)에 설치되는 실린더(158)와;
    상기 실린더(158)의 로더에 설치되는 승강판(159)에 연결되는로울러프레임(160)과;
    상기 로울러프레임(160)의 중도의 컨베이어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로울러받침대(161)와;
    상기 로울러받침대(161)에 다수개의 로울러(162)를 가지고 설치되는 로울러축(163)과;
    상기 로울러축(163)의 일측에 설치된은 체인기어(165)에는 체인(164)으로 연결하여 일측 실린더(158) 저면에 설치되는 모터(166)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프레임(151)의 길이방향으로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컨베이어(17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컨베이어(200)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세워지는 포스트(201)와;
    상기 포스트(201)의 상,하측에 설치되어 가이드(204)로 유지되는 체인(203)으로 연결되는 체인기어(202,202')와;
    상기 체인(203)의 중도에 연결되어 체인(203)과 함께 포스트(201)의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고정판(205)과;
    상기 고정판(205)에 고정되어 포스트(20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치판(206)과;
    상기 안치판(206)에 고정되는 장방형상의 격자(207)와;
    상기 격자(207)의 상방에는 컨베이어(208)를 설치한 다수개의 컨베이어프레임(210)을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상기 컨베이어(208)의 일측에는 격자(207)에 설치되는 모터(211)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동축(212)을 연결하고;
    상기 체인(203)의 구동은 포스트(201)의 하방에 구비되는 체인기어(202)상간을 구동축(223)으로 연결하고;
    상기 구동축(223)의 중앙에 베벨기어(225)를 고정하여 바닥면 중앙에 설치되는 모터(220)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감속기(221)의 전,후방으로 취출되는 출력축(222)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베벨기어(224)와 맞물려 승,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112)은 호이스트프레임(111)의 상방 양측에 설치되어 모터(114)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타이밍풀리(115)에 연결되는 타이밍밸트(116)와;
    상기 호이스트프레임(1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레일(117)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밸트(116)의 양단부는 상부바디(118)의 양측과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117)은 상부바디(118)의 저면에 설치되는슬라이딩블럭(119)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21)는 하부바디(120)양측면 중앙에 설치되는 메인실린더(122)와;
    상기 메인실린더(122)는 배면에 메인실린더(122)의 양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레일(123)과 결합되는 슬라이딩블럭(124)을 가지는 승,강판(125)과 연결하고;
    상기 승,강판(125)의 양측에는 브라켓(126)으로 고정되는 흡착바(129)와;
    상기 흡착바(129)에 고정되는 다수대의 흡착핑거(128)와;
    상기 흡착핑거(128)의 하단에 구비되어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를 흡착하는 흡판(1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스틸플레이트(101)는 일측을 먼저 흡착하여 일정간격 이격시킨 후 다른측을 흡착하여 완전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컨베이어(170)의 상방에는 하부컨베이어(17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서포터(171)로 지지되는 상부컨베이어(175)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컨베이어(170,175)의 로울러(162)는 실린더(158)에 의하여 승,강하여 선택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
KR1020030007719A 2003-02-07 2003-02-07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 KR20040071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719A KR20040071825A (ko) 2003-02-07 2003-02-07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719A KR20040071825A (ko) 2003-02-07 2003-02-07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825A true KR20040071825A (ko) 2004-08-16

Family

ID=37359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719A KR20040071825A (ko) 2003-02-07 2003-02-07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18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879B1 (ko) * 2010-05-11 2011-02-23 명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데크플레이트 베이스판의 자동공급장치
KR101529483B1 (ko) * 2013-11-18 2015-06-17 오토윈주식회사 필름이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879B1 (ko) * 2010-05-11 2011-02-23 명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데크플레이트 베이스판의 자동공급장치
KR101529483B1 (ko) * 2013-11-18 2015-06-17 오토윈주식회사 필름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381B1 (ko) 판재 적재 시스템
CN110814774A (zh) 一种全自动角钢加工装置和加工方法
CN109823833B (zh) 自动分板设备及其操作方法
EP4023570A1 (en) Sorting robot and sorting method
CN105000394A (zh) 一种智能型自动化堆垛设备及其操作方法
CN210824312U (zh) 龙门式循环提升输送结构及运输系统
CN207698809U (zh) 集装箱内物料搬运装置
CN107934513A (zh) 一种全自动卸砖生产线
CN109650025A (zh) 用于全自动激光刻印装置的下料机构
CN202046731U (zh) 砌块成型机自动送板装置
CN210824313U (zh) 循环升降式输送结构及运输系统
KR20040071825A (ko) 동박적층용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공급 및 배출장치
CN210064337U (zh) 用于玻镁板生产的分流输送线
CN109941809B (zh) 一种纸张码垛机
CN201473042U (zh) 180度转板装置
CN114348593A (zh) 牙签圆棒机自动上料装置
CN209851335U (zh) 一种用于lcd的自动上下料装置
CN211100935U (zh) 一种全自动板材滚圆机
KR200244501Y1 (ko) 피씨비와 간지의 분리공급 및 적재장치
KR100743398B1 (ko) 패널의 라미네이팅 장치 및 방법
CN214814381U (zh) 一种带有自动上料功能的钢筋弯曲机
CN214452132U (zh) L型砌块循环输送系统
CN218319287U (zh) 一种pcba板送料设备
CN218114212U (zh) 一种游戏方向盘组装治具循环装置
CN220744552U (zh) 太阳能电池片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