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680A - 전기 커넥터 그리드 앵커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그리드 앵커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680A
KR20040071680A KR10-2004-7005627A KR20047005627A KR20040071680A KR 20040071680 A KR20040071680 A KR 20040071680A KR 20047005627 A KR20047005627 A KR 20047005627A KR 20040071680 A KR20040071680 A KR 20040071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ore
contact strip
contact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0703B1 (ko
Inventor
스웨어링엔딘디.(사망)
Original Assignee
코넥테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넥테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코넥테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7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permanent deformation of contac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81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ouver typ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33Contact members made of resilient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하우징의 개방 단부(도 9의 66)로부터 대향 제2 단부(도 9의 70)로 뻗는 보어(도 88의 68)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도 88의 62)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었다. 내부 단부 앵커(도 25-89) 및 외부 단부 앵커(도 9-24)에 의해 각을 이룬 오프셋트 위치에서 하우징과 전기적 콘택트로 고정 체결되고 대향하여 각을 이룬 오프셋트 단부를 갖춘 복수의 콘택트 스트립으로 형성된다. 한 태양에서, 데탕트가 하우징에 도전성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콘택트와 보어내에 삽입가능한 도전성 부재에 보상 리세스를 맞물림하기 위해 콘택트 스트립중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그리드 앵커 및 그 제조 방법{ELECTRICAL CONNECTOR GRID ANCH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방사상 탄성 전기 소켓 또는 배럴 단자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특허 제 4,657,335호 및 4,734,063호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전기 커넥터의 유형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기 소켓 또는 배럴 단자에서, 장방형 스탬핑이 시트의 대향 단부 에지에 평행하거나 이로부터 내부로 이격된 두 개의 가로방향으로 뻗는 웹으로 형성된다. 가로방향 웹의 내측
에지 사이에, 병렬 슬롯이 형성되어 두 가로방향으로 뻗는 웹의 내측 에지에 대해 대향 단부에서 결합되는 복수의 균등한 간격을 이루고 병렬이며 길이방향으로 뻗는 스트립을 한정한다. 기타 길이방향으로 뻗는 슬롯은 시트에서 동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가로방향 웹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균등한 간격을 이루고 길이방향으로 뻗는 탭을 형성하기 위해 블랭크의 단부에지로부터 가로방향 웹의 외측에지로 내향으로 뻗는다.
블랭크 또는 시트는 실린더형 시트의 축에 평행하게 뻗는 길이방향 스트립으로 실린더내에 형성된다. 밀 피팅 실린더형 슬리브는 실린더형 블랭크의 외주 둘레로 동축방향으로 미끄러지고, 가로방향 웹의 외부 에지사이에서 축선방향으로 뻗는다. 블랭크의 각각의 단부에 있는 장착 탭은 그후 슬리브의 단부 에지를 가로질러 외방으로 구부러져서 슬리브에 대해 방사상으로 뻗는다.
비교적 기밀하고 타이트한 피팅 환형 컬러 또는 외부 배럴은 슬리브의 한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탭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진행되고 슬리브의 그 단부에 있는 탭을 슬리브의 한 단부의 외면과 대면관계로 맞물림하도록 하향으로 구동하는 슬리브의 한 단부위에서 미끄러진다. 슬리브에 대한 환형 컬러의 정합은 슬리브에 대한 축선방향 또는 회전 이동에 대해 컬러가 위치된 슬리브에서 실린더형 블랭크의 단부가 슬리브에 고정 클램핑되도록 선택된다. 균등한 간격을 이루고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티쓰를 갖는 툴은 슬리브의 대향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탭과 맞물림된다. 툴상의 티쓰는 실린더형 슬리브의 외면에 인접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탭사이에서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위치된다. 툴은 실린더형 슬리브의 길이방향 축 둘레로 회전하고 슬리브는 맞물림된 툴을 슬리브에 대해 본래 회전방향으로부터 약 15도 내지 45도로 회전가능하게 위치시키도록 고정되고 슬리브의 대향 단부에 있는 탭 위에서 구부러진다. 툴은 그후 퇴거되고 제2 환형 컬러 또는 외부 배럴은 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수립된 오프셋트 위치에 블랭크의 대향 단부를 고정 위치시키기 위해 슬리브와 탭 상부에서 피팅되도록 강제된다. 완료되었을 때, 그러한 전기소켓은 실린더형 슬리브의 대향 단부에 인접한 각을 이룬 오프셋트 위치사이에서 직선을 따라 뻗는 길이방향 스트립을 갖는다. 길이방향 스트립에 의해 협동적으로형성된 내부 앤벌로프는 스트립이 각각의 웹에 결합되고 스트립의 길이의 중간에서 약간 작은 반경인 지점에서 등가의 최대 반경을 갖는 실린더형 슬리브의 축에 동축인 회전면이다. 스트립의 대향 단부사이의 중간에서 최소 반경은, 핀이 배럴 소켓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 핀을 마찰식으로 견고하게 쥐기 위해 약간 늘이기 위해 개별 길이방향 스트립이 필요하도록 배럴 소켓에 삽입되어야 할 실린더형 커넥터 핀의 반경 보다 약간 작도록 선택된다.
다른 말로 하면, 각각의 스트립의 대향 단부의 각도 오프셋트 위치로 인해, 각각의 스트립은 슬리브의 단부사이의 중간에서 외부 슬리브에 대해 최대 방사상 간격에 점진적으로 달하는 방사상 방향으로 슬리브의 내벽으로부터 간격을 이룬다.
이러한 방사상 탄성 전기 배럴 소켓은 삽입가능한 핀과의 단단한 맞물림을 제공하는 효과적인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고, 한편, 소켓에 대한 핀의 용이한 수동 퇴거 및 삽입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또한 커넥터가 고전류 응용분야에서 채용되어질 수 있게하는 소켓과 핀 사이에 대형 전기 콘택트 영역을 제공한다.
컬러중 하나가 전체 커넥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지지부재의 확장부 도는 일체부로서 형성되는 방식으로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조립 프로세스는 소켓의 양단부에 있는 개별 소켓이 한 단부에 있는 한 컬러에 의해 대체되고, 커넥터의 실린더형 확장부가 삽입될 수 있거나 자동차 발전기와 같은 전기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곤 동일하다. 지지체의 중공 실린더형 단부는 회전에 대해 슬리브 타이트의 제1 단부를 수용하여 유지하고 대향 탭은 각을 이루어 회전한다. 컬러 또는 단부 캡은 회전방향으로 탭을 유지시키기 위해 회전된 탭 위에 클램핑된다.
그러나, 추가의 수정예 또는 개량예가, 단자 또는 소켓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디바이스에 그러한 단자 또는 소켓의 장착 또는 부착을 단순화하고 제조단가를 감소시키도록 그러한 방사상 탄성 전기 소켓에 대해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각을 이룬 오프셋트 단부사이에서 경사지고 실린더형 슬리브내부에 장착된 와이어에 의해 또는 복수의 콘택트 스트립에 그 내면이 형성된 소켓내부로 실린더형 전기 프롱 또는 핀이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배럴 단자로 참조되는, 방사상 탄성 전기 소켓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배럴 단자의 구성에서 채용된 편평형 시트 금속 블랭트의 평면도.
도 2는 실린더에 형성된 도 1의 블랭크의 측입면도.
도 3은 도 2의 블랭크 주위에 배치된 클로우즈 피팅 실린더형 슬리브의 사시도.
도 4는 배럴 단자의 구성에서 후속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구성 방법에서 후속 단계를 나타내는 확대된 측부 입단면도.
도 6은 구성 방법에서 또다른 후속 단계를 나타내는 확대된 측부 입단면도.
도 7은 구성 방법에서 또다른 후속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배럴 단자의 최종 조립상태의 측부 입면 길이방향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배럴 단자를 갖는 종래기술의 커넥터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배럴 단자의 조립에서의 한 단계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배럴 단자의 완료된 외부 그리드 앵커단부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12는 외부 그리드 앵커의 다른 다른 태양에 대한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외부 앵커와 그리드의 조립에서의 부분 단계의 부분평면도.
도 14는 도 13과 유사하지만, 도 12 및 도 13에 따른 외부 앵커와 그리드의 완료된 조립상태를 도시하는, 길이방향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완료된 외부 그리드 앵커의 부분 평면도.
도 16 및 17은 도 12와 유사하지만, 부분적 조립 및 완전 조립상태에서의 루버 외부 그리드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길이방향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멀티-로우 루버 외부 그리드 앵커의 대안 태양을 도시하는, 길이방향 단면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부분 조립된 루버 외부 그리드 앵커의 부분 평면도.
도 20은 도 18과 유사하지만, 완료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태양의 외부 그리드 앵커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외부 그리드 앵커의 완료된 상태의 부분 평면도.
도 22는 도 20과 유사하지만, 부분 완료된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로우 루버 외부 그리드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길이방향 단면도.
도 23은 도 22와 유사하지만, 완료된 상태에서의 도 22의 외부 그리드 앵커의 부분, 길이방향 단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외부 그리드 앵커의 완료된 상태의 평면 입면도.
도 25 및 26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27 및 28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29 및 30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31 및 32는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33 및 34는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35 및 36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37 및 38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39 및 40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41 및 42는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43 및 44는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45 및 46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47 및 48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49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예비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분해된 사시도.
도 50은 도 51의 선 50-50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1은 단자 몸체내에 도 49 및 50에 도시된 내부 앵커의 장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길이방향 단면도.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의 단부를 나타낸 도.
도 53은 도 52에 도시된 내부 그리드 앵커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54는 도 53과 유사하지만, 도 52 및 53에 도시된 내부 앵커의 수정예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길이방향 단면도.
도 55 및 56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57은 도 65에 도시된 내부 앵커와 유사한 초기, 예비상태에 있는,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58 및 59는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60 및 61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62 및 63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64 및 65는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66 및 67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68 및 69는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70 및 71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72 및 73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74 및 75는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76 및 77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78 및 79는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80 및 81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82 및 83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84 및 85는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86 및 87은 각각,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88은 삽입가능한 핀에 의한 맞물림을 위해 내부 데탕트를 갖는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배럴 단자를 위한 그리드의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89는 도 88에 도시된그리드 데탕트에 대한 핀의 완전 삽입된 위치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전기적 도전 엘리먼트를 연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이다.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각각이 콘택트의 대향 단부사이에서 뻗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복수의 간격을 이룬 콘택트 스트립으로 실린더형 콘택트를 형성하는 단계; 콘택트를 하우징의 보어의 개방 단부내부로 보어의 제2 단부까지 삽입하는 단계; 한 부재를 보어에 삽입하는 단계; 하우징과 전기 콘택트된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를 고정위치시키기 위해 하우징에 대해 부재를 강제로 고정하는 단계; 서로에 대해 각각의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및 제2 단부를 각을 이뤄 오프셋팅하는 단계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하이퍼볼릭 프로파일로 각각의 콘택트 스트립을 형성하도록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제조방법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뻗는 보어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내에 보어에 의해 장착된 복수의 신장된 콘택트 스트립으로 형성된 콘택트;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하이퍼볼릭 프로파일로 각각의 콘택트 스트립을 형성하도록 각을 이뤄 오프셋팅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콘택트, 콘택트의 제1 단부를 하우징의 제1 단부에 고정 연결시키기 위한 외부 단부 앵커 수단; 및 콘택트의 제2 단부를 하우징에 내부적으로 고정 연결시키기 위한 내부 단부 앵커 수단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이다.
복수의 상이한 내부 단부 앵커 및 외부 단부 앵커는 본 발명의 일부로서 개시된다. 내부 단부 앵커의 각각은 임의의 외부 앵커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가능하다.
데탕트 콘택트 스트립 구성은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로 삽입가능한 도전성 부재를 고정 유지시키도록 커넥터의 풀-아웃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로서 개시된 다양한 내부 단부 앵커 및 외부 단부 앵커는 하이퍼볼릭 프로파일로로 콘택트의 개별 콘택트 스트립을 한정하는 각을 이룬 오프셋트 단부를 갖는 전기 콘택트가 최근접된 내부 단부를 갖는 하우징내의 보어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게한다. 내부 단부 앵커는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와 하우징과 소정적 및 전기적 맞물림에 의해 고정 위치에 콘택트의 최내부 단부를 체결한다. 외부 단부 앵커는 하우징에 대해 정지된 고정 위치에 콘택트 스트립의 제1 ㄷ를 체결하고, 동시에 콘택트 스트립의 대향 제2 단부에 대해 각을 이룬 오프셋트 위치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배럴 소켓의 구조는 그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잘 이해된다.
배럴 소켓의 제조의 제1 단계는 본 응용분야에 양호하게 적용되는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을 갖는 베릴륨 구리 합금인 편평한 시트 금속편으로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블랭크를 스탬핑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재번호 20으로 지정된 블랭크는 일반적으로 장방형 구성으로 스탬핑되고 웹(22)의 각각의 내부 에지 사이에서 뻗는 복수의 균등하게 이격된 병렬이고 길이방향으로 뻗는 스트립(24)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한 쌍의 이격된 병렬이고 가로방향으로 뻗는 연결 웹부(22)로 형성된다. 복수의 이격된 병렬 탭(26)은 각각의 가로방향 웹(22)의 외부 에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외방으로 뻗는다.
제조 공정의 제2 단계는 도 2에 도시되어 있고 블랭크(20)는, 실린더형 튜브의 축이 길이방향 스트립(24)과 탭(26)에 병렬로 뻗는, 수평방향, 실린더형 관형상 구성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블랭크(20)가 도 2의 실린더형 관형상 구성으로 형성된 후, 밀정합 실린더형 슬리브(2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위에서 슬립되고, 슬리브(28)의 축 길이는 슬리브(28)의 대향 단부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탭(26)을 남겨두는 가로방향 웹(22)의 위로 뻗는 데에 충분하다.
도 4에 도시된 다음 단계에서, 돌출 탭(26)은 슬리브의 축의 방사상 외방으로으로 돌출하기 위해 슬리브(28)의 한 단부 에지를 가로질러 외방으로 구부러지거나 플레어된다.
도 5에 도시된 다음 단계에서, 임시 제1 하우징 또는 고정구(30)는 제1 단부(34)로부터 대향 단부(36)로 뻗는 중앙 보어(32)를 갖는다. 보어(32)는 탭(26)의 두께와 동일 간격 만큼 실린더형 슬리브(28)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제1 하우징(30)은 슬리브(28)의 한 단부 위에서 축방향으로 구동되거나 슬리브(28)는 제1 하우징(30)의 제1 및 제2 단부(34, 36)의 하나내로 구동된다. 슬리브(28)의 제1 하우징(30)의 효과적인 상호연결은 슬리브(28)의 한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플레어된 탭(26)을 슬리브(28)의 외면과 오버래핑하는 대면관계로 구부린다. 보어(32)의 내경은 블랭크(20)의 제1 단부와 제1 하우징(30)의이 도 5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슬리브(28)에 대한 탭(26)의 임의의 축방향 또는 회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슬리브(28)의 외면에 대해 탭(26)을 클램핑시키기 위해 탭(26)상에 충분한 힘을 가하도록 선택된다.
다음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28)의 대향 단부에 있는 탭(26)은 슬리브의 축으로부터 방사상 외방으로 돌출하기 위해 슬리브(28)의 대향 단부 에지를 가로질러 외방으로 구부러지거나 플레어된다.
도 7에 도시된 다음 단계에서, 한 단부에 균등하게 이격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티쓰(52)를 갖는 관형상 툴(50)은 슬리브(28)의 한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탭(26)과 맞물림된다. 툴(50)의 내경은 슬리브(28)의 외경과 느슨한 슬라이딩 정합되고 티쓰(52)는 인접한 방사상으로 뻗는 돌출 탭(26)간의 간격을 통해 돌출하도록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툴(50)이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탭(26)사이의 티쓰(52)와 결합될 때, 제1 하우징(30)은 클램핑되거나 회전에 대해 유지되고 툴(50)은 약 15도 내지 45도인, 소정각도로 슬리브(28)에 대해 동축으로 회전된다. 툴(50)의 이러한 작용은 슬리브(28)에 대해 제1 하우징(30)에 의한 회전에 대해 유지된 이전에 고정된 단부로부터 블랭크 또는 시트(20)의 한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오프셋팅한다. 블랭크 또는 시트(20)의 베릴륨 구리 합금의 특성은 탄성을 갖는 경우에도 툴(50)에 의해 부여된 회전이 회전 위치에 블랭크(20)를 영구적으로 세팅시키도록 제조된다.
다음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44)로부터 대향 제2 단부(46)로 뻗는 관통 보어(42)를 갖는 제2 하우징(40)은 슬리브(28)위에서 축방향으로 구동되어 방사상 외방으로 뻗는 탭(26)과 간섭하게되거나 혹은 제1 하우징(30)으로부터 외방으로 뻗는 블랭크(20)와 슬리브(28)의 단부는 제2 하우징(40)에서 보어(42)내로 축방향으로 구동되어진다. 제2 하우징(40)은 제2 하우징(40)내의 보어(42)의 내면을 방사상으로 뻗는 각을 이룬 오프셋트 탭(26)과 맞물림되어 정합되도록 힘을 가하기 위해 제1 하우징(30)에 대해 진행함으로써 슬리브(28)의 타단부의 외면과 대면관계로 맞물림되어진다.
제2 하우징(40)과 제1 하우징(30)은 슬리브(28)의 외면에 대해 이동불가능하게 슬리브(28)의 각각의 단부에서 각을 이룬 오프셋트 탭(26)을 유지시키기 위해 접부내로 서로에 대해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배럴 단자는 상기한 구부림, 삽입 및 잠금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한 단부로부터 블랭크 또는 그리드(20)상의 탭(26)에 액세스를 허용하는 대향 개방 단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라, 수정된 배럴 단자는 배럴 단자 수용부 또는 보디(62) 및 연속하고, 일반적으로 축방향으로 또는 각을 이루어 이격된 컨덕터 또는 핀 수용부(64)를 갖고 도 9에 도시된 단자 하우징(60)에 장착된다. 따라서, 배럴 단자 수용부 또는 하우징(62)이 핀 또는 컨덕터 수용부 또는 보디(64)와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연속적으로 또는 연결되어 있는 두 보디부(62 및 64)는 45도, 90도 등과 같은 임의의 각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배럴 단자 수용부 또는 보디(62)는 이후에 "제1 또는 외부 단부"로 칭하는 제1 개방 단부(66)를 갖는다. 보어(68)는 제1 외부 단부(66)로부터 이후에 "블라인드 단부"로 칭하는, 내벽으로 뻗는다.
핀 수용 보디(64)는 마찬가지로 제1 개방 단부(72)로부터 내벽(76)으로 뻗는관통 보어(74)와 제1 개방 단부(72)를 갖는다. 보어(74)는 전기 연결에서 핀 또는 컨덕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핀 수용 보디(64)는 배터리와 같은 전기 사용 디바이스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보디(64)는 보디(64)에 대한 적절한 수단에 의해 행해진 내부 전기 연결부내에서 배터리의 통합부로서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단자 하우징(60)은 편평 금속 스톡으로부터 형성되고 소망하는 실린더형 구성으로 형성된 스탬핑되거나 금속 바아 스톡으로부터 기계가공된 부품일 수 있다.
여러 상이한 방법 중의 하나에 따라 구성된 배럴 단자(80)는 배럴 단자 보디(62)의 보어(68)에 장착가능하다.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배럴 단자(80)는 복수의 상호연결 스트립(86)의 대향 단부에 웹(82 및 84)을 갖는 스탬핑된 그리드로 형성된다. 탭(88)은 각각 웹(82 및 84)으로부터 반대로 뻗고 하기에 설명하는 외부 단부 앵커 및 내부 단부 앵커에 의해 배럴 단자 보디(62)에 대해 제위치에 체결된다. 스트립(86)이, 단부로부터 스트립(82)의 정상, 비하이퍼볼릭 상태 보다 일반적으로 중심 지점에서 작은 내경을 갖는 단부로 하이퍼볼릭 형태로 각각의 스트립을 배치시키기 위해 단부로부터 단부로 각을 이루어 오프셋팅된다. 이 직경은 배럴 단자와 삽입된 핀간의 체결 전기 콘택트 및 고 핀 풀-아웃 유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배럴 단자(80)에 삽입된 컨덕터 또는 핀의 외경 보다 작다.
대안으로, 배럴 단자(80)의 스트립(86)은 하이퍼볼릭 각도 오프셋 프로세스 동안 분리된 와이어의 대향 단부사이의 리브 또는 좁은 목부에 의해 제위치에 초기에 유지되는 개별 와이어로 대체될 수 있다. 와이어의 각각의 단부는 하기에 설명되는 외부 및 내부 앵커에 의해 배럴 단자 보디(62)에 체결을 위한 탭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와이어 배열은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그리드"를 구성함을 이해할 것이다. 하기의, 배럴 단자의 여러 양태는 배럴 단자(80)의 외부 또는 내부 단부에 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외부 그리드 앵커
다음 설명은 하이퍼볼릭 각도 오프셋트가 도면에 부분적으로만 도시된 배럴 단자(80)의 스트립(86)에 인가된 후 배럴 단자 보디(62)에 대한 고정 위치에 배럴 단자(80)의 한 단부에 장착되는 데에 사용되는 외부 그리드 앵커의 여러 상이한 태양을 포함한다.
배럴 단자 보디(62)내의 배럴 단자(80)의 외부 단부를 고정 장착하기 위해 채용된 외부 그리드 앵커의 한 태양이 도 9,10 및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배럴 단자 보디(62)의 외부 단부(66)는 배럴 단자 보디(62)의 나머지 부분의 외경 보다 작은 직경의 목 단부(100)를 갖는다. 도 10 및 11에 도시된 태양에서, 배럴 단자 보디(62)의 벽의 단부(101)는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의 나머지 부분(동일 또는 작은 직경으로)과 연속한다. 외부 밴드 슬리브 또는 앵커(102)는 배럴 단자(80)의 구부러진 단부 위로 강제된다.
도 10은 초기 조립 단계를 도시하고 배럴 단자(80)는 배럴 단자 보디(62)내의 보어(68)에 삽입된다. 탭(88)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30도-45도 각도로 각을 이뤄 외방으로 구부러지거나 플레어된다. 도 9에 도시된 태양에서 외부 슬리브 또는 밴드(102)는 탭(88)의 내측에 강제된다. 도 9에 도시된 태양에서 밴드(102)는 체결, 압착 정합으로 배럴 단자 보디(62)의 목부 단부(100)의 외면위에 및 외면에 접촉하는 배럴 단자(80)의 탭(88)을 구부리는 사이즈로 된 내경을 갖는다. 밴드 또는 앵커(102)의 압착 정합은 배럴 단자(80)의 타단부상의 탭으로부터 소망 각도 오프셋트로 비회전 위치에서 탭(88)을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것으로 여겨진다. 추가의 비회전 힘이 요구되면, 기계적 패스닝 또는 형성 수단은 배럴 단자(80) 자체 및 배럴 단자 보디(62)의 외부 단부에 대해 제위치에 밴드(102)를 고정시키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도 12-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부 그리드 앵커는 상기한 외부 그리드 앵커로부터 상이한 앵커링 기술을 채용한다. 외부 그리드 앵커의 이러한 태양은 배럴 단자(80)의 반대 단부에 동일한 루버 구성을 제공함에 의해 내부 단부 그리드 앵커로서 채용된다. 따라서, 도 12-17의 그리드 앵커 기술에 대한 하기의 설명은 배럴 단자(80)의 외부 그리드 앵커 및 외부 그리드 앵커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됨을 알게 될 것이다.
도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소위 "루버"(120)는 스탬핑에 의해, 배럴 단자 보디(62)의 외벽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태양에서, 루버(120)는 배럴 단자 보디(62)에 대해 단일 원주 배열로 원주방향으로 정렬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루버(120)의 내부 단부(122)는 스탬핑 또는 기타 형성 후에,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의 인접부의 내부 에지(124)로부터 이격된다. 에지(124)는 그리드 탭(88 또는 90)상에 피어싱 에지를 제공하지 않도록 평활되거나 라운딩된다. 탭(88 또는 90)은 그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의 인접 에지(124)와 각각의 루버(120)의 내부 단부사이의 개구를 통해 삽입된다. 다음에, 도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핀 또는 플러그는 내부로 각을 이룬 루버(120)를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과 방사상 외방으로 정렬되도록 힘을 가하기 위해 배럴 단자 보디(62)의 한 단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이것은 소망하는 각도 오프셋트 위치에서 배럴 단자(80)의 탭(88 또는 90)을 유지시키는 체결 기계식 피트내로 각각의 루버(120)의 내부 단부(122)내의 탭(88 또는 90)의 단부를 기계적으로 구부리거나 변형시킨다.
도 16 및 17은 대안 루버 구성을 도시하고 여기서 루버(120)는 배럴 단자 보디의 측벽에 측부 리브(128)에 의해 연결된 공핍부로서 형성된다. 루버(120)는 탭(88 또는 90)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제공하도록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124)의 인접 에지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된다. 루버(120)에 가해진 방사상 외방력은 체결된 비회전 상태에서 배럴 단자(80)상의 탭(88 또는 90)을 기계적으로 변형시켜 고정하도록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과 정렬되도록 외방으로 강제된다.
외부 그리드 앵커를 위한 대안 루버가 도 18-21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그리드 앵커를 위한 대안 루버 구성에서, 루버(120)는, 루버(120)가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124)의주위로 적어도 두 개의 원주 밴드 또는 로우(132 및 134)로 배열되는 것을 제외하곤, 도 12-15 및 도 16 및 17과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다. 배럴 단자(80)상의 교대하는 탭(88 또는 90)은 축방향 최내부루버(120)를 위해 제거된 탭(88 또는 90)의 임의의 초과길이로 선택된 루버(120)사이에 삽입된다. 외방력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 단자 보디(62)의 인접 측벽과 루버(120)사이에 탭(88 또는 90)을 트랩시키기 위해 루버(120)를 방사상 외방으로 구부리기 위해 루버(120)상에 가해진다.
도 22-24는 제1 환형 밴드(140)로 배열된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루버(138)가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에 대해 환형 형상으로, 예를들어 스탬핑과 같은 적절한 형성 프로세스로 형성되어, 내부 단부(144)는 측벽 배럴 단자 보디(62)로부터 방사상 내방으로 돌출하고 외부 단부(146)는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으로부터 방사상 외방으로 뻗는다. 이것은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의 인접부와 각각의 루버(138)의 외부 단부(146)와 내부 단부(144) 사이에 두 개의 인접 탭(88 또는 90)을 수용하는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의 인접부와 각각의 루버(138) 사이에 두 개의 대향 개구를 한정한다. 배럴 단자 보디(62)의 내외측으로부터의 회전력은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의 인접부와 한 루버(138) 사이에 각각의 탭(88 또는 90)의 단부를 기계적으로 트랩 및 고정시키고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과 정렬되도록 각각의 루버(138)가 회전되어지게 한다. 도 22-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 탭(88 또는 90)은 두 개의 원주 밴드(140 및 148)에 배치된다.
도 25 및 26을 참조하면, 내부 또는 블라인드 단부 앵커(152)의 한 태양이 도시되어 있다. 앵커(152)는 배럴 단자 보디(62)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된 재료 보다 연성의 재료로 형성된 원추형상, 환형 디스크(154)로 형성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54)는 대향된 제1 및 제2 V-형상 벽(156 및 158)으로 형성된 V-형상이다.
이러한 태양에서, 탭(90)은 배럴 단자 보디(62)내의 보어(68)의 내벽(70)에 대해 설치되도록 위해 스트립(86)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각도를 이룬 또는 수직 형인 형태로 미리 구부려진다. 배럴 단자(80)가 보어(68)에 삽입된 후, 내벽(70)에 인접하여 위치된 탭(90)으로, 힘은, 배럴 단자(80)의 스트립(86)의 내부로 보어(68)에 삽입된 펀치 또는 기타 툴 부재에 의해, V-형상 디스크(154)를 도 26에 도시된 편평 또는 평면 형상으로 변형시키기 위해 디스크(154)의 제1 표면(156)에 대해 도 26의 화살표 방향으로 인가된다. 이것은 보어(68)의 인접 측벽과 내벽(70)에 대한 배럴 단자(80)상의 탭(90)을 압착 트랩하기 위해 가해진 힘의 방향으로부터 방사상 방향 및 축방향 외방으로 멀어지는 디스크(154)의 연성 재료를 변위시킨다.
도 27 및 28에 도시된 내부 그리드 앵커(162)는 디스크형상 그리드 앵커(162)가 초기에 도 27에 도시된 편평, 평면형상을 갖는 것을 제외하곤 그리드 앵커(152)와 유사하다. 디스크형상 그리드 앵커(162)는 배럴 단자(80)의 한 단부에서 내방으로 각을 이룬 탭(90)에 대해 배럴 단자의 스트립(86)의 배럴 단자 보디(62)내부로 삽입된다. 도시되지 않은 V-형상 다이 또는 펀치는 앵커(162)의 재료를 다이 또는 펀치에 의해 형성된 변위 보어 영역(164)으로부터 방사상 및 축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앵커(162)의 한 표면내로 눌려진다. 펀치에 의해 변위된 앵커(162)의 재료의 볼륨은 방사상 방향 및 축방향 외방으로 구동되어스트립(86)의 인접단부와 탭(90)을 배럴 단자 보디(62)에 잠금한다.
내부 그리드 앵커(152 및 162)에서, 앵커(152 및 162)의 방사상 및 축방향 외방 팽창은 배럴 단자 스트립(86)의 단부를, 각을 이룬 구부려진 탭(90)의 필요를 제거하기 위해 배럴 단자 보디(62)와의 체결 전기 콘택트내로 압착하기에 충분한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것은 스트립(86)의 단부가, 배럴 단자 보디(62)의 보어(68)의 측벽에 대해 방사상 외방으로 앵커(152 및 162)에 의해 눌려지고 스트립(86)의 나머지 부분과 일반적으로 선형 형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9 및 30에서, 상이한 내부 그리드 앵커(168)가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태양에서, 내부 그리드 앵커(168)는 관통하여 형성된 중앙 보어 또는 애퍼어처(172)를 갖는 편평 와셔(170)를 포함한다. 와셔(170)내의 애퍼어처(172)는 내벽(70)을 형성하는 배럴 단자 보디(62)의 솔리드 부의 일체적 확장부인 닙 또는 돌출부(174)를 수용한다. 닙(174)은 초기에 닙(174)이 와셔(170)내의 중앙보어(172)를 통하여 용이하게 뻗을 수 있도록 하는 길이 및 실린더형 형태를 갖는다.
조립 프로세스 동안, 배럴 단자(80)가, 스트립(86)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각을 이뤄 구부러 진 배럴 단자(80)의 한 스트립(86)상에 탭(90)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채, 블랭크 보디(62)내의 보어(68)에 삽입된 후, 닙(174)의 외부 표면에 도 30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인가된다. 이것은 닙(174)의 재료의 외방 확장하여 닙(174)이 방사상 외방으로 머쉬룸되고 이렇게하여 탭(90) 또는 스트립(86)의 인접부를 배럴 단자 보디(62)의 벽에 확장잠금하도록 힘을 가한다. 이러한닙(174)의 방사상 외방 머쉬룸되는 것은 닙(174)의 외부 단부 표면이 와셔(170)내의 보어(72)에 인접한 와셔(70)의 인접부 위로 방사상 확장되데 한다. 이러한 간섭은 보디(62)로부터의 배럴 단자(80) 및 와셔(70)의 선형 풀아웃을 방지한다.
마찬가지의 수정된 그리드 앵커(178)가 도 31 및 32에 도시되어 있다. 내부 그리드 앵커(178)는 배럴 단자 보디(62)의 중앙부내의 내벽(178)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돌출하는 실린더형 닙(180)을 포함한다. 닙(180)의 외연은 내벽(70), 보어(68)에 의해 배럴 단자 보디(62)에 형성된 내부 측벽 및 닙(180)의 외연사이에 외연 환형 리세스(182)를 형성한다. 리세스(182)는 배럴 단자 보디(80)의 스트립(86)의 단부상에 각을 이뤄 구부러진 탭(90)을 수용한다.
배럴 단자(80)의 탭(90)이 리세스(182)에 삽입된 후, 닙(180)내의 V-형상 공핍부를 형성하는 도시되지 않은, V-형상 펀치에 의해 도 38의 화살표 방향으로 힘이 인가된다. 이 공핍력은 배럴 단자(80)의 내부 단부를 배럴 단자 보디(62)에 잠금하는 배럴 단자(80)의 스트립(86)의 단부와 탭(90)에 대해 방사상 방향 및 외방으로 닙(180)의 전성가능한 금속에 힘을 가한다.
도 33 및 34에 도시된 내부 그리드 앵커는 앵커(188)가 배럴 단자 보디(62)내의 보어(68)의 내벽(70)을 일체적으로 돌출시키는 실링더형 닙(190)을 포함하기 때문에 도 37 및 38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유사하다. 닙(190)은 카운터 보어(192)를 갖는다. 카운터 보어(192)에 과도한 사이즈로된, 도시되지 않은, 직경 펀치에 의해 인가된 압축력은 배럴 단자 보디(62)의 내면에 대해 배럴 단자(80)의 스트립(80)의 단부 및/또는 탭(90)을 기계적으로 잠금하는 카운터 보어(192)를둘러싸는 닙(190)의 금속을 방사상 및 축방 외방으로 힘을 가한다.
내부 그리드 앵커(196)의 다른 태양이 도 35 및 36에 도시되어 있다. 앵커(196)는 커넥터 응용분야에 유용하고 여기서 배럴 단자 보디(62)를 형성하는 재료는 닙(168, 178 및 188)과 같은 일체로 형성된 닙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전성이 아니다.
이 응용분야에서, 보어(198)는 내벽(70)과 대향 내벽(76)사이의 단자 하우징(60)의 중앙 솔리드부를 통해 형성된다. 실린더형 리벳 형상 보디(200)는 한 단부에 확대된 단부 플랜지(202)를 갖는다. 보디(200)는 단자 하우징(60)내의 보어(74)의 내벽(70)에 인접하여 배치된 확대된 단부 플랜지(202)로 보어(198)를 통해 삽입된다. 보디(200)의 단부는 배럴 단자(80)의 스트립(86)의 단부상에 탭(90)을 넘어 내벽(70)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뻗는 카운터보어(204)를 갖는다. 카운터보어(204)에서 도 36의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되지 않은, 펀치 또는 다이에 의해 인가된 압축력은 전성가능 보디(200)의 한 단부를 변형시키고, 보디(200)의 단부의 다른 플랜지(202)는 내벽(76)에 대해 고정 위치에 유지된다. 이것은 배럴 단자(62)의 내벽과 접촉하여 배럴 단자(80)를 잠금하는 배럴 단자(80)의 스트립(86)의 인접 단부와 탭(90)사이의 리벳형상 기계적 상호잠금 연결부내부로 보디(200)의 단부가 방사상 외방으로 변형되는 결과로 된다.
내부 그리드 앵커(210)의 다른 태양이 도 37 및 38에 도시되어 있다. 내부 그리드 앵커(210)는 도 35 및 36에 도시된 앵커(168)와 도 31 및 32에 도시된 앵커(178)의 조합이다. 내부 그리드 앵커(210)는 내벽(70)으로부터 보어(68)내로돌출하는 배럴 단자 보디(62)의 내부 솔리드부의 일체 확장부로서 형성된 실린더형 닙(216)를 수용하는 중앙 보어(214)를 갖는 편평 디스크형상 와셔(212)를 포함한다. 배럴 단자(80)가 보어(68)에 삽입된 후, 와셔(212)는 배럴 단자(80)의 스트립(86)상의 각을 이루어 내방으로 뻗는 탭(90)에 인접한 배럴 단자(80)으,ㅣ 내방으로 삽입된다. 도 38의 화살표 방향으로의 압축력은, 배럴 단자(80)의 인접 단부(86)과 돌출부(90)가 배럴 단자(62)의 보어(68)의 내면 및 내벽(70)과 맞물림하도록 잠금하고 와셔(212)가 돌출부(90)와 맞물림하도록 힘을 가하는 와셔(212)의 한 단부 표면 위로 외방으로 닙(216)의 전성가능한 재료를 방사상방향으로 확장시키는 V-형상 펀치에 의해 인가된다.
도 39 및 40에 도시된 내부 그리드 앵커에서, 통합 닙(222)은 배럴 단자 보디(62)의 중앙부로부터 보어(68)내부로 돌출하고 배럴 단자 보디(62)내의 보어(68)의 인접 측부와 닙(226)의 외주부사이에 깊고, 좁은 환형 리세스(224)를 형성한다. 배럴 단자 보디(80)의 구부러지지 않은 단부 또는 탭(90)은 리세스(224)에 삽입된다. 원형의 V-형상 펀치는, 도시되지 않은, 닙(222)에 V-형상 노치(226)을 형성하고 방사상 외방으로 리세스(224)를 폐쇄하는 닙(222)의 재료를 업셋팅하는 닙(222)의 단부 표면에 대해 선형으로 작용되어지고 배럴 단자(80)의 스트립(86)의 단부 또는 탭(90)을 배럴 단자 보디(62)의 인접 측벽과 고정 연결한다.
도 41 및 42에 도시된 내부 그리드 앵커(230)는 상기한 확장가능한 닙 앵커로부터의 변형이다. 앵커(230)는 내벽(70)으로부터 보어(68) 내부로 축방향 내부로 돌출시키는 실린더형 닙232)을 포함한다. 닙(232)의 외부 표면은 배럴 단자 보디(62)내의 보어(68)의 내측벽으로 환형 리세스(234)를 형성한다. 배럴 단자(80)의 스트립(86)의 단부 또는 탭(90)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234)에 삽입된다. 다음에, 도 42의 화살표 방향에서의 외력은 적어도 두 개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부, 또는 리세스(234)와 내벽(70)의 위치에서 배럴 단자 보디(80)의 외면의 전체 원주부에 인가된다. 이 압축력은 배럴 단자 보디(62)를 도 42에 도시된 공핍부(236)내부로 형성하는 재료를 변형시키고 리세스(234)를 강제적으로 폐쇄시키고 닙(230)의 외주부와 배럴 단자 보디(62)의 내벽 사이의 배럴 단자(80)의 스트립(86)의 단부상에 있는 탭(90)을 잠금한다.
도 43 및 44에 도시된 내부 그리드 앵커(240)는 앵커(230)와 유사하고, 배럴 단자 보디(62)의 보어(68)내부로 삽입된 환형이고 편평한 디스크 또는 와셔(242)를 포함한다. 도 50에 화살표로 도시된 외부 압축 원주방향힘이 와셔(242)의 위치에서 배럴 단자 보디(62)의 외면에 인가된다. 이들 힘은 배럴 단자 보디(62)의 보어(68)의 측벽과 와셔(242)의 배럴 단자 보디(62)의 단부 및/또는 탭(90)을 기계적으로 상호잠금하기 위해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을 형성하는 금속이 변형되는 결과로 되는 공핍부(244)가 되게 한다.
다른 내부 그리드 앵커(248)가 도 45 및 46에 도시되어 있다. 앵커(248)는 상기한 바와 같은, 앵커(240)와 앵커(168)의 조합이다. 앵커(248)는 배럴 단자 보디(62)의 내벽(70)으로부터 보어(68) 내부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닙(250)을 포함한다. 닙(250)은 단자 하우징(60)의 블라인드 단부에 리세스를 기계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이 리세스는 보어(68)의 인접 측부와 닙(250)의 외주사이에 환형리세스(252)의 형태이다. 와셔 또는 편평형 디스크(254)는 와셔(242)가 내벽(70)에 인접한 보어(68)의 내부 단부에 배치되얼 때 닙(250)의 외주부 주위로 처분가능한 중앙 보어(256)를 갖는다. 도 46의 화살표 방향의 외부원주방향 힘은 와셔(254)와 일치하여 배럴 단자 보디(62)의 외부에 인가된다. 이 힘은 상용가능한 회전식 스웨이징 수단 또는 기타 적절한 스웨이징 수단에 의해 인가될 수 있다. 압축력은 측벽, 탭(90) 및 배럴 단자(80)의 스트립(86)의 단부, 와셔(242) 및 닙(250)을 체결, 고정 연결부에 기계적으로 상호잠금하도록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을 변형시킨다.
선형 힘은 높은 풀-아웃 보유력으로 보어(68)의 와셔(254)를 잠금하기 위해 와셔(254)의 인접 외면 주위에 닙(250)의 단부를 변형시키도록 인가된다.
도 47 및 48에 도시된 내부 그리드 앵커(270)의 다른 태양은 배럴 단자 보디(62)의 중앙부(274)로부터 일체로 뻗는 콘-형상 닙(272)를 포함한다. 닙(272)은 내벽(70)으로부터 보어((68)로 멀어지게 돌출하는 원추형 외면을 갖는다. 중앙 보어((278)를 갖는 환형 와셔 또는 디스크(276)는 닙(272) 위에 장착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태양에서, 와셔(276)내의 보어(278)의 내경은 닙(272)의 최소 직경 보다 약간 크지만 닙(278)의 최대 직경 보단 작다. 이것은 와셔(276)가 닙(272) 위에서 최단 거리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도 48의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되지 않은, 펀치에 의한 선형력은 닙(272)의 축방향 최내부, 최대 직경부를 변형시키는 와셔(276)의 환형 면에 인가된다. 원추형 닙(272)은 와셔(276)의 방사상외방으로 힘을 가하고 스트립(86)의 단부를 고정 위치에 잠금하기 위해 보어(68)의 내측면에 대해 그 단부에서 돌출부(90)와 스트립(86) 또는 그리드 부재에 힘을 가한다. 와셔 팽창 완료시, 도시되지 않은, 제2 펀치는 와셔(276)가 닙(27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셔(276) 위에 닙(272)의 노출 단부를 확장 또는 머쉬룸시킨다.
내부 앵커의 다른 태양이 도 49-51에 도시되어 있다. 배럴 단자(80)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된 복수의 개별 와이어 또는 그리드 대신에, 배럴 단자(284)가 편평형 또는 라운드형 와이어로 형성된 복수의 인터레이싱된 U-형상 와이어 콘택트로 형성된다. 각각의 콘택트(286)는 단부 레그(290)에 의해 한 단부에서 상호연결된 측 레그(288)로 형성된다.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콘택트(286)의 각각의 단부 레그(290)는 인접 콘택트(286)의 측 레그(288)로부터 각을 이루어 떼어진 각각의 콘택트(286)상의 측 레그(288)를 이격시키기 위해 각도 오프셋트로 측 레그(288)와 다른 레그상의 최상부에 배치된다.
단부 레그(290)의 접촉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용접 또는 저온 브레이징/솔더링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용접 포인트는 전체 콘택트가 보어(68) 내부로 단일 유닛으로서 삽입되어 질 수 있도록 배럴 단자 하우징(62) 외방에 형성된다.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52 또는 162)와 유사하게, 확장 앵커 너트(294)는 배럴 단자 하우징(62) 의 내벽(70)과 보어((68)의 측벽의 내면에 대해 최외각 콘택트(286)의 최외단 레그(290) 및 각각의 콘택트(286)의 측 레그(288)의 하부를 기계적으로 핀칭하고 힘을 가하기 위해 방사상 및 축방향 외방으로 앵커 너트(294)를 확장시키기 위해 선형 또는 축방향 힘에 종속되고 콘택트 어셈블리의 내면에 삽입된다.
또다른 내부 앵커(298)가 도 52-54에 도시된다. 이 앵커(298)에서, 확장가능 디스크(152 및 162)와 유사한, 확장가능 앵커 너트(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초음ㅍ 또는 커패시터 방전 용접 또는 저온 브레이징/솔더링과 같은 적절한 결합 공정에 의해 한 표면에 체결된 복수의 신장되고, 이산형 콘택트 또는 와이어 스트립(302)을 갖는다. 도 52 및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와이어(302)가 단부(304)에서 앵커 너트(300)에 용접된 후, 와이어(302)는 앵커 너트(300)의 외주면 둘레로 구부러 지고 앵커 너트(300)로부터 단자 하우징(60)의 입구 단부에 축방향으로 멀어지게 뻗는다. 대안으로, 콘택트 와이어(302)의 단부(304)는 너트(300)에 부착되기 이전에 도 54에 도시된 각을 이룬 또는 수직 구성으로 미리형성될 수 있다.
대안 구성에서, 도 53에 도시된 콘택트(302)는 단부(304)가 앵커 너트(300)의 대향 표면에 단부(304)에서 용접된 후 구부러지거나 또는 예시된 각도 위치에 있도록 미리형성될 수 있다.
대안 배열에서, 콘택트 와이어(302)는 낭비없는 길이로 절단될 수 있고 앵커 너트(300)에 인접하기 전에 선형구성으로 미리형성되거나 스탬핑되거나 제공된다.
도 53 또는 54에 도시된 형태로 콘택트 와이어(302)에 대한 임의의 형성 또는 용접 후에, 전체 콘택트 어셈블리는 배럴 단자 하우징(62)에 보어(68) 내부로 삽입된다. 앵커 너트(300)는 배럴 단자 하우징(62)의 내벽(70)과 보어(68)의 주위벽과의 고정 콘택트되도록 도 54에 도시된 태양으로 콘택트 와이어(302)의 단부(304)를 구동하기 위해 선형력을 인가함으로써 확장된다.
도 53에 도시된 태양에서, 앵커 너트(300)의 확장부는 배럴 단자 하우징(62)내의 제위치에 콘택트 어셈블리를 단순히 유지한다. 도 54에 도시된 배열에 비해 보어(68)의 주위벽과 콘택트 와이어(302)사이에 더 적은 콘택트가 제공된다.
전체 콘택트 어셈블리는 전자-플레이팅 부식 저항 필요조건 및/또는 용접 인터페이스 성능에 종속하는 개별 엘리먼트로서 또는 한 유닛으로서 전자-플레이팅될 수 있다.
도 53 및 54에 도시된 앵커 너트(300) 배열에 다양한 콘택트 와이어(302)는 앵커 너트 및 전체 콘택트 어셈블리를 배럴 단자 보디(62)에 체결시키기 위해 대안 결합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수정된 앵커 너트로 연결지어 설명된다.
도 55 및 56에서, 앵커 너트(300)는 실린더형 샤프트(314)가 뻗는 환형 디스크형상 단부(3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태양에서, 콘택트 와이어(302)는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디스크(312)의 내면으로서 참조된 것들이 용접 또는 결합된다. 리세스(316)는 보어((68)의 내면과 배럴 단자 보디(62)의 내벽(70)과 기계적 피팅 및 전기적 콘택트를 체결되도록 콘택트 와이어(302)의 단부(304)와 환형 디스크(312)를 드로우시키기 위해 보어(74)내의 인접하는 내벽(76)과 방사상 외방으로 콘택트하는 리세스(316)를 둘러싸는 측벽을 확장시키는, 도시되지 않은, 리벳 펀치를 수용하고 샤프트의 대향 단부에 형성된다.
도 57에서, 동일한 리벳형 결합 기술은 앵커(320)를 보어(74)의 내벽(76)에고정 체결시키도록 채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 태양에서, 콘택트 와이어(302)는 도 53에 도시되고 상기와 동일 방식으로 환형 디스크(312)의 대향 또는 외면에 결합 또는 용접된다. 이 태양에서, 콘택트 부재(302)는 환형 디스크(312)의 외주를 둘러싸지 않는다. 도전성은 도 55 및 56에 도시된 앵커(320)에 비해 적다.
도 58 및 59에 도시된 앵커 너트(310)는 공핍부(324)가 환형 디스크(312)의 단부면(326)에 형성된 것을 제외하곤, 도 55 및 56에 도시되고 상기한 것과 동일하다. 공핍부는 용접 이전에 앵커 너트(310)의 단부에 형성된, Allen-head, Positive 스퀘어등과 같은 패스너 구동 장치를 수용한다. 후에, 콘택트 어셈블리가 단자보디(60)의 보어(68)내에 위치된 후, 적절한 패스너 구동 장치는 하이퍼볼릭 형태를 콘택트 와이어(302)에 트위스팅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콘택트 와이어(302)와 환형 디스크(312)가 트위스팅된 또는 각도 회전된 위치에 있는 동안 앵커 너트(310)의 대향 단부는 확장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하이퍼볼릭 트위스트를 제위치에 앵커링시킨다.
도 60 및 61에서, 앵커는 도 25 및 26에 도시되고 상기한 바와 동일하게 원추형 디스크(154)의 형태이다. 그러나, 내부 앵커의 이 태양에서 개별 콘택트 스트립 또는 와이어(302)는 원추형 디스크(154)의 제2 표면(158)에 각을 이뤄 배치된 단부(304)에 용접등에 의해 결합된다.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54)는 내벽(70)과 디스크(154)와 배럴 단자 보디 보어(68)의 내측 사이에 견고하게 콘택트 와이어(302)와 단부(304)를 샌드위칭하도록 확장된다.
도 62 및 63에 도시된 앵커(334)는 콘택트 와이어(302)의 단부(304)가 앵커 디스크 또는 너트(154)의 대향면에 용접 또는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곤 앵커(330)와 유사하다. 결과적으로, 콘택트 부재(302)와 너트(300)간의 전류 경로는 배럴 단자 보디(62)이고 전기 전도도 및 기계적 강도는 도 61 및 62에 도시된 내부 앵커 보다 작다.
도 64 및 65에 도시된 내부 앵커의 태양에서, 앵커 너트(300)는 도 22 및 28에 도시되고 설명된 환형 디스크(162)와 유사하다. 콘택트 와이어(302)의 단부(304)는 내벽(70)과 대면하는 앵커 너트(300)의 표면에, 용접등에 의해 둘러싸이고 결합된다. 앵커 너트에 V-형상 리세스를 형성하는 V-형상 펀치에 의해 앵커 너트(300)의 확장은 배럴 단자 보디(62)의 내벽(70)과 보어(68)의 내벽에 앵커 너트(300)의 재료를 방사상 및 축방향 외방으로 타이트하게 압착하도록 힘을 가한다.
도 66 및 67에 도시된 앵커(346)는 배럴 단자 보디(62)의 내벽(7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앵커 너트(300)의 대향면에, 용접등에 의해 콘택트 와이어(302)의 단부(304)가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곤 도 64에 도시된 앵커(338)와 유사하다.
도 68 및 69는 도 29 및 30에 도시된 앵커내의 앵커 와셔(170)와 유사한 앵커 너트(300)를 갖는 다른 앵커를 도시한다. 앵커 너트(300)내의 보어(352)는 닙(174) 둘레로 배치가능하고 도 29 및 30에 도시된 앵커와 연결지어 상기한 바와 같이 닙(174)의 확장에 의해 제위치에 고정된다. 콘택트 와이어(302)는 너트(300)를 둘러싸고 벽(70)을 대면하는 너트의 표면상에서 너트(300)에 결합된다.
도 70 및 71에 도시된 앵커(356)는 앵커 너트(300)의 대향면에 용접등에 의해 콘택트 와이어(302)의 단부(304)가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곤 앵커(352)와 유사하다.
도 72 및 73, 74 및 75는 각각 거의 동일한 앵커 너트(360 및 366)을 도시한다. 각각의 앵커(360 및 362)는 앵커 디스크 또는 너트(300)를 포함한다. 앵커(360)에서, 콘택트 와이어(302)의 단부(304)는 앵커 너트(300)의 표면(362)에 용접등에 의해 결합된다. 도 74 및 75에 도시된 앵커(366)에서, 콘택트 와이어(302)의 단부(304)는 앵커 너트(300)의 대향 표면(368)에 용접등에 의해 결합된다.
앵커(360)에서, 상승된 돌출부(364)는 배럴 단자 보디(62)의 내벽(70)의 중앙부로부터 뻗는다. 돌출부(364)는 콘택트 와이어(302)의 방사상 내부 단부(304) 사이에 위치되고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너트(300)의 표면(362)에 용접등에 의해 결합된다.
도 74 및 75에 도시된 앵커(366)의 앵커 너트(300)는 콘택트 와이어(302)의 단부(304)가 앵커 너트(300)의 대향 표면(368)에 결합되기 때문에 편평 표면(362)을 갖는다. 표면(362)은 용접되거나 아니면 도 8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 단자 보디(62)의 보어(68)의 단부에서 내벽(70)에 고정결합된다.
도 76 및 77에 도시된 앵커(372)는 앵커(360)에서와 같이 내벽(70)으로부터 뻗는 돌출부로서 앵커(360)와 동일하다. 그러나,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 단자 보디(62)의 앵커 너트(300)를 용접하는 대신에, 배럴 단자 보디(62)의내벽(70)과 보어(68)의 측벽의 둘레 내부표면으로 콘택트 와이어(302)의 단부를 측벽의 금속이 확장 및 고정연결시키게 하는 보어(68)의 내부 단부의 영역내의 측벽을 누르기 위해 배럴 단자 보디(62)의 외부 측벽에 원주방향 힘이 인가된다.
도 78 및 79에 도시된 앵커(376)는 콘택트 와이어(302)의 단부(304)가 앵커 너트(300)의 대향표면(368)에 용접등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곤 도 74 및 75에 도시된 앵커(366)와 동일하다. 배럴 단자 보디(62)의 보어(68)의 콘택트 와이어(302)와 앵커 너트(300)를 유지시키기 위해 앵커 너트(300)와 콘택트 와이어(302)로 체결 콘택트내에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을 변형시키도록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너트(300)와 일치하여, 배럴 단자 보디(62)의 측벽에 원주방향 힘이 인가된다.
도 80 및 81에 도시된 앵커(380)는 콘택트 와이어(302)의 단부(304)가 앵커 너트(300)의 한 단부 표면에 결합 또는 용접되고 측부 에지를 둘러싼다는 점에서 앵커(350)와 동일하다. 앵커 너트(300)의 보어는 돌출부 또는 닙(174)을 수용한다. 닙(174)은 내벽(70)으로부터 배럴 단자 보디(62)의 보어(68)로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닙(174)의 변형은 배럴 단자 보디(62)의 보어(68)의 주위 벽과의 안전한 기계적 전기적 연결로 콘택트 와이어(302)의 단부(304)를 방사상 및 측방향 외방으로 강제로 구동하는 앵커 너트(300)를 확장시킨다. 원주방향 힘이 앵커 너트(300), 콘택트 와이어(302)의 단부(304) 및 닙(174)을 기계적으로 결합하고 누르기 위해 배럴 단자 보디(62)에 인가된다. 닙(174)의 외부 단부의 머쉬루밍은 보어(68)내에 앵커 너트(300)를 기계적으로 잠금한다.
도 82 및 83에 도시된 앵커(384)는 콘택트 와이어(302)의 단부(304)가 앵커 너트(300)의 대향 표면에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곤, 원주방향 변형력의 사용에 의해 앵커(380)와 동일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84 및 85에 도시된 앵커(388)와 도 86 및 87에 도시된 앵커(392)는 각각 도 80과 82에 도시된 앵커 너트(300)와 콘택트(302)와 동일하다. 닙(272)은 닙(272)이, 닙(372)의 최소 외경 보다 크고 닙(372)의 최대 외경 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앵커 너트(300)의 내부 보어(68)로 원추형을 갖는다는 점에서 도 47 및 48에 도시된 앵커(270)에 대해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도 85 및 8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너트(300)에 대한 가압 축방향 힘은 도 85에 도시된 앵커(388)의 경우에 콘택트(302)의 단부(304) 및 도 87에 도시된 앵커(392)의 경우에 단지 앵커 너트(300) 자체를 배럴 단자 보디(62)의 보어(68)의 벽 내부로 구동시킨다.
도 88 및 89는 콘택트(302)와 맞물림하여 배럴 단자 보디(62)의 보어(68) 내부로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연결핀(400)에 메이팅 리세스(398)를 맞물림하도록 위치에 데탕트(396)를 포함하도록 콘택트 와이어(302)에 대한 수정예를 도시한다. 데탕트(396)는 앵커 너트(30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콘택트(302) 및 앵커 너트(300)는 상기한 내부 앵커 기술과 프로세스중 임의의 것에 의해 배럴 단자 보디에 내부 단부에 앵커된다.
데탕트(396)는 도 88에 도시된 평활한 아크형상 또는 더욱 각을 이룬 경사진 형상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핀(400)의 메이팅 삽입 단부의각도 및 데탕트(396)의 각도 및 높이는 커넥터를 위해 제공된 여분의 보유력 및 삽입력을 결정한다.
상기한 외부 단부 그리드 앵커 기술 및 내부 단부 그리드 앵커 기술은 특히 특정한 응용 필요조건, 단자의 전체 사이즈등과 같은 것에 종속하여 임의의 특정한 조합으로 서로 채용될 수 있다.

Claims (72)

  1. 제1 도전 엘리먼트와 제2 도전 엘리먼트를 연결시키기 위한 전기 커넥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실린더형 콘택트의 대향 단부사이에서 뻗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이격된 콘택트 스트립으로 실린더형 콘택트를 형성하는 단계;
    콘택트를 보어의 개방 제1 단부를 통해 보어의 제2 단부에 삽입하는 단계;
    부재를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
    보어의 제2 단부에 대한 부재를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가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콘택트하는 정지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각각의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및 제2 단부를 서로에 대해 각을 이뤄 오프셋팅하는 단계; 및
    각각의 콘택트 스트립을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하이퍼볼릭 프로파일에 형성하기 위해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를 각을 이룬 오프셋 위치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부재를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를 하우징과 구별되는 부재로서 하우징의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부재를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를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에 인접한 콘택트의 내부에 별개 부재로서 하우징의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 및
    고정된 전기 연결부에서 하우징,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 및 상기 부재를 강제로 맞물림하도록 상기 부재를 확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부재를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를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에 인접한 하우징의 보어에 별개 부재로서 배치하는 단계; 및
    고정된 전기 연결부에서 부재,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 및 하우징을 고정하여 맞물림하도록 하우징을 강제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에 인접한 부재를 하우징의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를 하우징의 보어에 삽입하기 이전에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를 상기 부재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부재를 하우징의 보어에 삽입하는 단계; 및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를 하우징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고정 연결부에서 부재와 하우징을 강제적으로 맞물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제2 단부를 통하여 하우징내의 보어 보다 작은 직경의 제2 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부재를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는,
    하우징의 제2 단부에 제2 보어를 통해 부재의 일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재는 제2 보어로부터 제1 단부로부터 뻗는 하우징내의 보어내부로 뻗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부재를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의 일부분을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에 인접한 콘택트의 내부에 별개 부재로서 하우징의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 및
    고정된 전기 연결부에서 하우징,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 및 상기 부재를 강제로 맞물림하도록 상기 부재의 일부분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부재를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의 일부분을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에 인접한 하우징의 보어에 별개 부재로서 배치하는 단계; 및
    고정된 전기 연결부에서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 및 하우징을 고정적으로 맞물림하도록 하우징을 강제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에 인접한 부재의 일부분을 하우징의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를 하우징의 보어에 삽입하기 이전에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를 상기 부재의 일부분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부재를 하우징의 보어에 삽입하는 단계; 및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를 하우징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고정 연결부에서 부재의 일부분과 하우징을 강제적으로 맞물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부재를 하우징의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는,
    하우징내의 보어의 제2 단부로부터 뻗는 부분으로 하우징의 일체부로서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부재를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는,
    고정된 전기 연결부에서 하우징,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 및 상기 부재를 강제로 맞물림하도록 상기 부재를 확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부재를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는,
    고정된 전기 연결부에서 부재,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 및 하우징을 고정적으로 맞물림하도록 하우징을 강제적으로 압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에 인접한 부재를 하우징의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를 하우징의 보어에 삽입하기 이전에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를 상기 부재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부재를 하우징의 보어에 삽입하는 단계; 및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를 하우징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고정 연결부에서 상기 부재와 하우징을 강제적으로 맞물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 항에 있어서,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를 고정하는 단계는,
    보어의 제1 단부로부터 보어의 제2 단부와 제1 단부의 중간인 큰 제2 직경으로 뻗는 감소된 직경부로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
    하우징의 감소된 직경부 위에걸쳐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를 만곡시키는 단계; 및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를 하우징의 감소된 직경부 위에 걸쳐 환형 칼라를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 항에 있어서,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를 고정하는 단계는,
    보어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사이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으로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
    하우징의 제1 단부 위에걸쳐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를 만곡시키는 단계; 및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를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 위에 걸쳐 칼라를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이격된 측부 레그의 단부사이의 단부 레그로 별개의 U-형상 부재로서 콘택트 스트립을 형성하는 단계;
    인접한 콘택트 스트립의 측부 레그를 원주방향으로 이격시키기 위해 콘택트 스트립의 단부 레그를 상부에 오버레잉하고 콘택트 스트립의 단부 레그를 각을 이뤄 오프셋팅하는 단계;
    콘택트 스트립의 단부 레그를 함께 고정시키는 단계; 및
    콘택트 스트립을 하우징의 보어내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후, 부재를 보어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부재를 강제적으로 고정하는 단계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콘택트 스트립의 단부 레그를 고정시키는 단계는,
    콘택트 스트립의 오버레잉된 단부 레그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 항에 있어서,
    대향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개별 부재로서 콘택트 스트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방향으로 콘택트 스트립의 한 단부를 부재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스트립에 방사상 내방으로 뻗는 데탕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데탕트를 하우징에서 도전성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환형 리세스와 해제가능하도록 하우징의 보어내부로의 삽입에 적합한 도전성 부재에 환형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1 항에 있어서, 데탕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콘택트 스트립에 환형으로 정렬된 데탕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데탕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데탕트를 아치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데탕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데탕트를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1 항에 있어서,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중의 하나를 고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루버를 보어를 둘러싸는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하는 단계로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루버는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고 하우징의 보어에 배치된 제2 부분과 하우징의 측벽과 연속하는 제1 부분을 갖고 상기 제2 부분은 하우징의 측벽에 애퍼어처를 형성하는, 상기 단계;
    하우징의 측벽내의 개구를 통해 콘택트 스트립중 하나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중의 하나를 삽입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루버의 제2 부분을 하우징의 측벽과의 전기적 콘택트로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중의 하나를 고정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맞물림되도록 하우징의 개구내로 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6 항에 있어서, 루버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루버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사이에 연속하는 편평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6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측벽에 복수의 루버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루버는 하우징의 측벽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환형 밴드에 배치되고, 각각의 루버는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및 제2 단부중 하나의 단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8 항에 있어서, 복수의 루버를 형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루버를 하우징의 측벽에 적어도 두 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환형 밴드에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6 항에 있어서, 복수의 루버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플랜지ㄹ 연속하여 뻗는 두 개의 측부 레그에 의해 형성된 제1 부분에 의해 하우징에 연결되고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플랜지로서 루버의 제2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하우징의 측벽내의 제2 부분에 의해 한정된 애퍼어처와 루버의 제2 부분 사이에 콘택트 스트립중 하나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중 하나를 삽입하는 단계; 및
    하우징의 측벽과의 전기적 콘택트에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중 하나를 고정적으로 전기적 맞물림되도록 하우징의 측벽의 애퍼어처내로 제2 부분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26 항에 있어서, 복수의 루버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우징의 측벽에 대한 대향 측부에 의해 한정된 제1 부분에 의해 결합된 플랜지로서 루버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플랜지는 하우징의 측벽에 대해 대향하고 각을 이뤄 배치된 제1 및 제2 단부에 의해 한정된 대향한 제2 부분을 갖고, 플랜지의 제1 및 제2 단부는 플랜지에 의해 분리된 하우징의 측벽에 대향한 제1 및 제2 애퍼어처를 한정하는, 상기 단계;
    두 개의 콘택트 스트립의 단부를 대향한 제1 및 제2 애퍼어처에 삽입하는 단계; 및
    두 개의 콘택트 스트립의 단부를 하우징에 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1 및 제2 애퍼어처를 폐쇄하는 하우징의 측벽을 갖추어 레지스트리 내부로 플랜지를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1 항에 있어서, 보어에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는,
    애퍼어처를 부재에 제공하는 단계;
    보어의 제2 단부로부터 보어내로 뻗는 하우징에 돌출부를 배치하는 단계; 및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를 고정하여 하우징에 체결하기 위해 돌출부에 대해 부재를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2 항에 있어서, 보어에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는,
    하우징과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 내부로 부재를 강제적으로 확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32 항에 있어서, 보어에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는,
    하우징과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와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돌출부를 강제적으로 확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2 항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뻗는 테이퍼된 측벽으로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부재가 돌출부 위로 힘이 가해짐에 따라 부재를 방사상 외방으로 확장하는 단계; 및
    돌출부와 부재를 하우징과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1 항에 있어서, 보어의 제2 단부에 대해 부재를 고정하는 단계는,
    보어의 제2 단부로부터 뻗는 돌출부를 보어내부에 제공하는 단계; 및
    돌출부를 부재에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1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전기 커넥터.
  38. 제1 도전 엘리먼트와 제2 도전 엘리먼트를 연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뻗는 보어를 갖는 하우징;
    제1 단부를 통해 하우징내의 보어에 장착된 복수의 신장된 콘택트 스트립으로 형성된 콘택트로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사이에 하이퍼볼릭 형상으로 각각의 콘택트 스트립을 형성하도록 각을 이뤄 오프셋팅되는, 상기 콘택트;
    콘택트의 제1 단부를 하우징의 제1 단부에 고정하여 연결하기 위한 외부 단부 앵커 수단; 및
    콘택트의 제2 단부를 하우징의 보어 내부에 내부적으로 고정하여 연결하기 위한 내부 앵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9. 제38 항에 있어서, 내부 앵커 수단은,
    하우징의 보어에 하우징과 구별되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0. 제39 항에 있어서,
    고정된 전기 연결부에서 하우징,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 및 부재를 강제적으로 맞물림하도록 확장될 수 있는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1. 제38 항에 있어서,
    고정된 전기 연결부에서 하우징,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 및 부재를 고정적으로 맞물림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2. 제38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보어에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3. 제38 항에 있어서,
    부재를 하우징의 보어에 삽입하기 이전에 부재에 고정된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4. 제38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제2 단부를 통해 형성된 하우징의 보어 보다 작은 직경의 제2 보어를 더 포함하고,
    부재는 하우징의 제2 단부에서 보어 보다 작은 직경을 통해 배치되고, 제1 단부로부터 뻗는 보어 내부로 뻗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5. 제44 항에 있어서,
    하우징과 구별되는 부재; 및
    고정된 전기 연결부에서 하우징,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 및 부재를 강제적으로 맞물림하도록 확장될 수 있는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6. 제44 항에 있어서,
    하우징과 구별되고,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에 인접한 부재; 및
    고정된 전기 연결부에서 하우징,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 및 부재를 고정적으로 맞물림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7. 제44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보어에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8. 제44 항에 있어서,
    부재를 하우징의 보어에 삽입하기 이전에 부재에 고정된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9. 제38 항에 있어서,
    애퍼어처를 갖는 부재;
    하우징의 보어의 제2 단부로부터 뻗고 하우징상에서 이송되는 돌출부; 및
    애퍼어처를 통해 돌출부와 맞물림되고, 하우징과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로 고정된 전기 연결부 내부로 강제적으로 확장가능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0. 제38 항에 있어서,
    애퍼어처를 갖는 부재;
    하우징의 보어의 제2 단부로부터 뻗고 하우징상에서 이송되는 돌출부; 및 를 더 포함하고,
    애퍼어처를 통해 돌출부와 맞물림된 부재와 전기 연결부에서 하우징과 콘택트 스트립과 부재를 고정하도록 강제적으로 변형가능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1. 제49 항에 있어서,
    보어의 제2 단부로부터 원격에 있는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방사상 외방으로 테이퍼링하는 측벽을 갖는 돌출부; 및
    돌출부에 걸쳐 강제적으로 삽입되었을 때 방사상으로 확장가능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2. 제38 항에 있어서,
    보어의 제2 단부로부터 하우징의 보어 내부로 뻗는 돌출부; 및
    돌출부에 고정 용접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3. 제3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하우징의 일체부이고, 상기 부재는 보어의 제2 단부로부터 보어내부로 뻗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4. 제53 항에 있어서,
    고정된 전기 연결부에서 하우징과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를 강제적으로 맞물림하도록 확장가능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5. 제53 항에 있어서,
    고정된 전기 연결부에서 하우징과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를 고정하여 맞물림하도록 변형가능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6. 제53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보어에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7. 제38 항에 있어서,
    부재가 하우징의 보어에 삽입되기 이전에 부재에 고정된 콘택트 스트립의 제2 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8. 제38 항에 있어서,
    보어의 제1 단부로부터 보어의 제2 단부와 제1 단부의 중간인 큰 제2 직경으로 뻗는 감소된 직경부로 하우징;
    하우징의 감소된 직경부 위에걸쳐 만곡된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 및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를 하우징의 감소된 직경에 정지 고정하도록 콘택트 스트립의 만곡된 제1 단부 위에 걸쳐 장착된 환형 칼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9. 제38 항에 있어서,
    보어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사이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제1 단부 위에걸쳐 만곡된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 및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를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 위에 걸쳐 고정된 칼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0. 제38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이격된 측부 레그의 단부사이에 결합된 단부 레그로 별개의 U-형상 부재로서 콘택트 스트립;
    인접한 콘택트 스트립의 측부 레그를 원주방향으로 이격시키도록 각을 이뤄 오프셋트된 콘택트 스트립과 오버레잉된 복수의 콘택트 스트립의 각각의 단부 레그; 및
    함께 고정된 콘택트 스트립의 단부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1. 제60 항에 있어서,
    함께 용접된 콘택트 스트립의 오버레잉된 단부 레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2. 제38 항에 있어서,
    대향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개별 부재로서 형성된 콘택트 스트립; 및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방향으로 고정된 콘택트 스트립의 한 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3. 제38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스트립에 방사상 내방으로 뻗고, 대향한 콘택트 스트립을 향하여 뻗는 데탕트; 및
    적어도 하나의 데탕트를 하우징에서 도전성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환형 리세스와 해제가능하도록 하우징의 보어내부로의 삽입에 적합한 도전성 부재로 형성된 환형 리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4. 제63 항에 있어서, 데탕트는,
    복수의 콘택트 스트립에 형성된 복수의 환형으로 정렬된 데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5. 제6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데탕트는 아치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6. 제38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데탕트는 경사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7. 제38 항에 있어서,
    보어를 둘러싸는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루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루버는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고 하우징의 보어에 배치된 제2 단부와 하우징의 측벽과 연속하는 제1 단부를 갖고, 루버의 자유단부는 하우징의 측벽에 애퍼어처를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루버;
    하우징의 측벽의 애퍼어처에 배치된 콘택트 스트립중 제1 단부와 제2 단부중하나의 단부; 및
    전기적 콘택트 상태의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중의 하나를 하우징의 측벽과 고정하여 전기적으로 맞물림되도록 하우징의 애퍼어처에 강제로 삽입된 루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8. 제67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사이에 연속하는 편평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9. 제6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루버는,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루버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루버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하우징의 측벽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환형 밴드에 배치되며, 각각의 루버는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및 제2 단부중 하나의 단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0. 제69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측벽에 적어도 두 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환형 밴드에 배치된 복수의 루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1. 제67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는,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플랜지로 연속하여 뻗는 주 측부 레그에 의해 하우징에 연결되고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플랜지; 및
    하우징의 측벽에 플랜지에 의해 한정된 애퍼어처와 루버의 플랜지사이에 배치된 콘택트 스트립중 하나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중 하나의 단부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하우징의 측벽과 전기적 콘택트로 콘택트 스트립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중의 하나를 고정 및 전기적으로 맞물림되도록 하우징의 측벽의 애퍼어처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2. 제67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는,
    하우징의 측벽에 대향 측부에서 결합되고, 하우징의 측벽에 대해 대향하고 각을 이뤄 배치된 대향한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플랜지로서, 플랜지의 제1 및 제2 단부는 플랜지에 의해 분리된 하우징의 측벽에 대향한 제1 및 제2 애퍼어처를 한정하는, 상기 플랜지; 및
    제1 및 제2 대향 애퍼어처에 배치된 두 콘택트 스트립의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두 콘택트 스트립의 단부를 하우징에 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1 및 제2 애퍼어처를 페쇄하는 하우징의 측벽을 갖춘 레지스트리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47005627A 2001-10-18 2002-10-18 전기 커넥터 그리드 앵커 및 그 제조 방법 KR100950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018801P 2001-10-18 2001-10-18
US60/330,188 2001-10-18
PCT/US2002/033449 WO2003044901A1 (en) 2001-10-18 2002-10-18 Electrical connector grid anch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680A true KR20040071680A (ko) 2004-08-12
KR100950703B1 KR100950703B1 (ko) 2010-03-31

Family

ID=2328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627A KR100950703B1 (ko) 2001-10-18 2002-10-18 전기 커넥터 그리드 앵커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048596B2 (ko)
EP (1) EP1442504B1 (ko)
JP (1) JP2005510038A (ko)
KR (1) KR100950703B1 (ko)
CN (1) CN100470945C (ko)
AU (1) AU2002347965B2 (ko)
CA (1) CA2463153C (ko)
ES (1) ES2446985T3 (ko)
HK (1) HK1069924A1 (ko)
WO (1) WO20030449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905A (ko) * 2014-10-16 2016-04-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단자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9571B1 (en) * 2000-05-11 2005-05-31 Konnektech Ltd. Radially resilient electrical connector with welded grid
US6767260B2 (en) 2002-02-28 2004-07-27 Qa Technology Company, Inc. Hyperboloid electrical contact
FR2889625B1 (fr) * 2005-08-04 2014-01-24 Souriau Element de contact femelle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 element de contact femelle
DE102006029788A1 (de) * 2006-03-13 2007-09-2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an Buren Leistungsschalter für den Niederspannungsbereich und elektrisches Heizelement mit integriertem Leistungsschalter
DE102006015502B4 (de) * 2006-03-13 2008-06-1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an Buren Gestufte Drehzahlverstellung für einen Niederspannungselektromotor
DE102006012434A1 (de) * 2006-03-17 2007-09-20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Rastbarer Radsok-Steckverbinder
WO2010068596A1 (en) * 2008-12-11 2010-06-17 Pulse Engineering, Inc. Connector shielding apparatus and methods
EP2209167B1 (en) * 2009-01-20 2012-05-23 ODU- Steckverbindungssysteme GmbH & Co. KG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temperature environments
US8029326B2 (en) * 2009-07-28 2011-10-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electrical contact with a contact arm
DE202010003649U1 (de) * 2010-03-16 2010-07-1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Hochstromsteckverbinder
FR2960103B1 (fr) 2010-05-11 2013-05-31 Souriau Ensemble connecteur pour connexion sous tension
CN101938056B (zh) * 2010-07-06 2013-09-04 吴远泽 一种插孔电连接器制造方法
FR2970605B1 (fr) * 2011-01-14 2013-02-08 Radiall Sa Manchon pour connecteur electrique et son procede d'assemblage.
US8152572B1 (en) * 2011-03-16 2012-04-10 Yang-Ru Liu Connector with an insulating body with a recess with a protrusion forming an annular gap between the recess and the protrusion
US8840436B2 (en) 2011-05-05 2014-09-23 Lear Corporation Electrically conducting terminal
US9325095B2 (en) 2011-05-05 2016-04-26 Lear Corporation Female typ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8876562B2 (en) 2011-05-05 2014-11-04 Lear Corporation Female typ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8808039B2 (en) * 2011-08-22 2014-08-19 Lear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and terminal retainer
DE102012001560B4 (de) * 2012-01-27 2013-08-29 Schaltbau Gmbh Steckkontaktbuchse
CN102769220A (zh) * 2012-07-20 2012-11-07 叶舒展 一种电路连接器
US8888537B2 (en) * 2012-11-16 2014-11-18 Apple Inc. Audio jack with multiple points of contact
US8858264B2 (en) 2012-11-28 2014-10-14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retainer and receptacle assembly
KR101413432B1 (ko) 2013-03-12 2014-07-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JP6053613B2 (ja) 2013-06-07 2016-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
JP6389598B2 (ja) 2013-07-05 2018-09-12 矢崎総業株式会社 メス端子アセンブリ
JP6154270B2 (ja) 2013-09-24 2017-06-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311939B2 (ja) * 2015-03-19 2018-04-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雌端子の製造方法、及び、雌端子
US9559452B1 (en) * 2015-08-07 2017-01-31 Amphenol Corporation Housing for electrical contact
DE102015122303B3 (de) 2015-12-15 2017-04-20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buchse
DE102016011413A1 (de) 2016-09-22 2017-03-30 Daimler Ag Elektrische Steckverbindungs-Komponente, insbesondere für Hochstrom-Anwendungen
DE102016012018A1 (de) 2016-10-07 2017-04-27 Daimler Ag Elektrisches Steckverbindungs-System und Ladestation mit dem Steckverbindungs-System
WO2018203105A1 (fr) * 2017-05-02 2018-11-08 Lemco Precision Sa Contact electrique femel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6564810B2 (ja) * 2017-05-18 2019-08-21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US10516238B2 (en) * 2017-06-08 2019-12-24 Delphi Technologies, Llc Method for forming a shielded electrical terminal and an electrical terminal formed by said method
CN109256637A (zh) * 2017-07-13 2019-01-2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插座连接器和插拔插头连接器的方法
JP6721622B2 (ja) * 2018-03-01 2020-07-15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CN110289511A (zh) * 2019-06-13 2019-09-27 株洲时代龙友科技有限公司 连接器及连接器的制作方法
FR3102015B1 (fr) * 2019-10-10 2023-10-20 Baud Ind Contact électrique de puissance en deux pièces pour un circuit de recharge d’un véhicule électrique
NO347723B1 (en) * 2021-11-12 2024-03-11 Easee As Electrical connector for an electric socket for an electric plug of a charging cable, an electric socket comprising such electrical connector, a charging station comprising such electric socket and methods of connecting an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3145A (en) 1925-07-07 1931-11-24 Wilhelm Harold Frederick Connecter
FR1426379A (fr) 1964-12-18 1966-01-28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organes de contact électrique
FR1456535A (fr) 1965-06-23 1966-07-08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douilles de contact électrique à fils élastiques inclinés, et aux procédés et machines pour leur fabrication
US3557428A (en) 1965-06-23 1971-01-26 Connectronics Corp Machines for manufacturing electric connector sockets
FR1464741A (fr) 1965-11-15 1967-01-06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douilles, pour contacts électriques à fiches et douilles, et à leurs procédés de fabrication
FR2031705A5 (ko) 1969-02-04 1970-11-20 Bonhomme F R
FR2052019A5 (ko) 1969-07-04 1971-04-09 Bonhomme F R
US3686622A (en) 1970-11-18 1972-08-22 Connectronics Corp Rapid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al conductor
FR2165117A6 (ko) 1971-12-17 1973-08-03 Bonhomme F R
US3808589A (en) 1972-04-06 1974-04-30 Connectronics Corp Electric contact makers and connectors fitted with such devices
US4128293A (en) 1977-11-02 1978-12-05 Akzona Incorporated Conductive strip
FR2415889A1 (fr) 1978-01-25 1979-08-24 Bonhomme F R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douilles, pour dispositifs de contact electrique a fiche et douille, et a leurs procedes de fabrication
US4175821A (en) 1978-05-15 1979-11-27 Teradyne, Inc. Electrical connector
GB2065993A (en) 1979-12-04 1981-07-01 Pa Management Consult Electrical connector
US4734063A (en) * 1986-01-30 1988-03-29 Joseph J. Koch Radially resilient electric socket
US4657335A (en) 1986-01-30 1987-04-14 K & K Stamping Radially resilient electrical socket
US4720157A (en) 1986-10-30 1988-01-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silient contact means
IT1208261B (it) 1987-03-25 1989-06-12 Connei Spa Contatto femmina composito atto a ricevere un contatto maschio del tipo a spinotto
JPS6435879A (en) 1987-07-31 1989-02-06 Texas Instruments Japan Socket
US5147229A (en) 1989-12-11 1992-09-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High current electrical connector
JPH0749736Y2 (ja) 1990-03-22 1995-11-13 矢崎総業株式会社 保護スリーブ付雌端子金具
US5033982A (en) 1990-05-31 1991-07-23 Sun Microstamping, Inc. Electrical connector
DE4112035A1 (de) 1991-04-12 1992-10-15 Dunkel Otto Gmbh Kontaktbuchse fuer den anschluss von flachkontaktzungen
US5203813A (en) * 1991-08-06 1993-04-20 Airborn, Inc. Low entry force connector socket method of manufacture
US5326289A (en) 1993-07-12 1994-07-05 Leisey Donald R Female hyperboloid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5416286A (en) 1993-10-19 1995-05-16 Dixon, Jr.; Alfred R. High amperage, high efficiency electrical slide switch assembly with plug and socket contacts
US5511307A (en) 1993-12-02 1996-04-30 Gaard Autom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terminal to a wire end
US5378552A (en) 1994-03-16 1995-01-03 Dixon, Jr.; Alfred R. Modular battery system comprising individual interconnected modules
US5474479A (en) * 1994-09-28 1995-12-12 The Whitaker Corporation Louvered contact electrical connector
FR2730864B3 (fr) 1995-02-17 1997-04-30 Amp France Borne femelle electrique d'une seule piece
US5662497A (en) 1995-11-03 1997-09-02 New York State Electric & Gas Corporation Modular battery terminal connector assembly
US5667413A (en) * 1995-11-13 1997-09-16 Alcoa Fujikura Ltd. Socket-type electrical connector
US5735716A (en) 1996-09-18 1998-04-07 Yazaki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s with delayed insertion force
DE29705134U1 (de) 1997-03-20 1997-05-07 Ingos Elektronik Handelsgesell Steckerbuchse
CA2272458C (en) 1998-06-25 2008-03-18 Leslie Laszlo Kerek Hoodless electrical socket connector
US6482049B1 (en) * 1999-07-16 2002-11-19 Amphenol Corporation Radially resilient electrical connector
DE19941515A1 (de) * 1999-08-31 2001-03-01 Interconnectron Gmbh Hochstromkontak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905A (ko) * 2014-10-16 2016-04-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단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347965A1 (en) 2003-06-10
EP1442504A1 (en) 2004-08-04
JP2005510038A (ja) 2005-04-14
KR100950703B1 (ko) 2010-03-31
AU2002347965B2 (en) 2008-04-03
US7048596B2 (en) 2006-05-23
US20030077950A1 (en) 2003-04-24
CA2463153C (en) 2008-01-29
CA2463153A1 (en) 2003-05-30
ES2446985T3 (es) 2014-03-11
WO2003044901A1 (en) 2003-05-30
EP1442504B1 (en) 2013-11-20
HK1069924A1 (en) 2005-06-03
CN100470945C (zh) 2009-03-18
CN1605138A (zh) 2005-04-06
EP1442504A4 (en) 201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703B1 (ko) 전기 커넥터 그리드 앵커 및 그 제조 방법
EP1535366B1 (en) Electrical connector
AU2008229889B2 (en) Improved radially resilient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899571B1 (en) Radially resilient electrical connector with welded grid
EP2398117B1 (en) Connector for coaxial cable
JP2002134221A (ja) 高電流接続装置
JPH05251126A (ja) 雌型電気端子
US20020050385A1 (en) Structure of mounting terminal to covered electric wire and method thereof
EP3096404A1 (en) Crimp connection system for electrical cables, comprising a fastening sleeve
CA2466125A1 (en) Combination sleeve and spring cage incorporated into a one-piece female terminal for interengaging a corresponding male terminal and method of configuring such a sleeve and springcage from a blank shape
JPS6217826B2 (ko)
JP2004197932A (ja) ばね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31951A (ja) 電気コネクタ用端子
JP3170230B2 (ja) 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
AU2002334880A1 (en) Improved radially resilient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13963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