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423A -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 - Google Patents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0423A
KR20040070423A KR1020030057490A KR20030057490A KR20040070423A KR 20040070423 A KR20040070423 A KR 20040070423A KR 1020030057490 A KR1020030057490 A KR 1020030057490A KR 20030057490 A KR20030057490 A KR 20030057490A KR 20040070423 A KR20040070423 A KR 20040070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latch
main bod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1700B1 (ko
Inventor
세가와시로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0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05B65/0078Safety means for persons trapped within the safe, e.g. release from inside, ven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92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or only rotatively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문에 핸들을 설치하여, 기둥 등 본체에 빗장을 걸거나 벗기거나 하는 문구조에 있어서, 문의 내부에 핸들의 후크의 상하 이동에 의해 회전 이동하는 기초판과 앞부분에 빗장을 설치한 조작판을 스프링을 개재하여 설치하고, 긴급시에 조작판을 가로로 이동하여 빗장을 본체로부터 벗겨서 문 밖으로 탈출가능하게 한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 통상 외측으로부터 문안에 출입하는 문구조에 있어서, 긴급시에 문안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탈출가능한 내부 해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INTERNAL UNLOCKING DEVICE FOR DOOR STRUCTURE}
본 발명은, 평면 핸들이나 레버 핸들등 외측 핸들을 문의 외측으로부터 돌려서, 몸체나 케이스체 또는 기둥 등의 본체로부터 빗장이 아닌 것으로, 문을 개폐하는 문구조에 있어서, 문의 내측으로부터에서도 긴급탈출가능한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解錠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레버 핸들은, 일본국 특개 2003-3700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평 9-32382호 공보 등이나, 첨부 도면의 도 7내지 도 10과 같이, 문짝면과 대략 동일면으로서의 평면 핸들을 원칙으로 하여 문의 바깥쪽으로부터 핸들을 조작하여(열쇠 있는 것과 열쇠 없는 것이 있다), 문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이 평면 핸들과는 별개로, 특개평 6-346641호 공보 등의 문의 바깥쪽으로부터 돌출한 레버 핸들 등 문짝면으로부터 돌출한 핸들을 조작하여 문 안으로 들어가는 것도 존재하였다.
상기 평면 핸들의 종래예를, 첨부한 도 7 내지 도 10에 의해 설명한다. 이들 그림 중 도 7은 잠그기 전의 평면 핸들(50)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 핸들(50)을 문(51)에 부착하여, 그 빗장(59)을 기둥 등 고정측의 본체(52)에 걸어 놓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상태로부터 후크(53)를 매단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도 9의 평면핸들(50)을 문에 부착하여 본체로부터 빗장(59)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에서는, 평면 핸들(50)의 케이스체(54)에 나사구멍(55, 56)을 가지고, 이것들에 도 8에 도시한 나사(57, 58)를 끼워서 문(51)에 붙인다. 여기서, 평면 핸들(50)이 문(51)의 세로로 긴 홈(65)과 본체(50)의 세로로 긴 홈(66)에 빗장(59)이 걸려지고, 문(51)을 본체(50)에 잠근 상태를 설명한다. 핸들(60)은 열쇠를 회전하여 판을 돌려서, 판을 케이스체(54)보다 벗어나게 하여도 핸들(60)은 스프링(62)이 케이스체(54)에 전후방향으로 피벗 부착되어 있는(도시생략) 누름 버턴(67)을 시계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것으로, 노치부(63)에서, 핸들(60)은 그 축(64)에 부착한 스프링(61)에 대항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움직이지 않는다.
다음에, 상기 도 7과 도 8에서, 고정한 핸들(60)을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핸들(60)을 올리고 축(6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후크(53)에 의해, 빗장(59)을 본체(52)의 세로로 긴 홈(66)으로부터 벗겨서 문(51)을 본체(52)로부터 개방한다.
이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열쇠를 열어서 자물쇠를 케이스체(54)로부터 벗어난 후의 핸들(60)은 도 7과 도 8의 상태에 있지만, 이 상태에서 누름 버턴(67)을 스프링(62)의 반발력에 대항하여 도 9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서,누름 버튼(67)이 스프링(62)의 축(68)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노치부(63)에서 걸어맞춤 하고 있는 핸들(60)은 누름 버튼(67)으로부터 벗어나고, 스프링(61)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하여 핸들(60)은 튀어 오른다. 이 핸들(60)의 튀어 오름에 의하여 후크(53)는 축(6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내려간다. 이 후크(53)가 내려가서, 평면 핸들의 케이스체(54)에 피벗 부착되어 있는 빗장(59)은 비스(70)를 중심으로 나사(71)가 구름모양의 구멍부(69) 안의 아래쪽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시계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빗장(59)은 본체(52)의 세로로 긴 홈(66)으로부터 벗어나서, 문(51)은 핸들(60)이 나가는 방향으로 열릴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것은 분전반이나 금고 등 외측으로부터 해정하여서 용이하게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것의, 내측에 사람이 들어가 있는데도 실수로 열쇠를 걸어 버리거나, 자동적으로 문이 닫힌 경우에는, 안쪽으로부터 자물쇠 전방을 분해하는 등 공구를 사용하여 밖으로 나가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지만, 공구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내부가 어두워서 밖으로 탈출이 곤란하게 되고, 무엇보다도 화재 등 긴급시에 신속하게 탈출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고, 그 제 1의 목적은 실수로 문이 닫힌 경우에, 암실에서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외부로 용이하게 탈출가능한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소 상태에서는 방의 외부로부터는 해정하여 내부로 들어가지만, 불행히도 자물쇠가 잠겨 있고, 화재가 발생하는 등 비상시에, 방의내부로부터 외부로 신속하게 나가는 것이 가능한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문의 안쪽 표면에 본 발명의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깥쪽에서 열쇠가 걸려 있는 등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탈출가능하지 않은 경우, 조작판을 스프링에 대항하여 미끄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빗장을 본체로부터 벗기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문 속에 있는 본 발명 장치의 일부 투시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긴급시에 문 안에서 탈출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일부 투시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통상시의 문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 내지 도 3과는 별도의 실시예인 본 발명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를 이용한 일부 투시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를 긴급시에 문 안에서 탈출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일부 투시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평면 핸들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을 이용한 문의 빗장이 본체에 걸려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로부터 평면 핸들의 핸들을 튀어 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는 문의 빗장이 본체로부터 벗겨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기초체 2, 2' : 가이드 판
3 : 조작판 4 : 스프링
5 : 후크 부 6 : 구름모양 구멍
7 : 조작 핀 8 : 작용 핀
11, 11' : 문 13 : 본체
14 : 본체의 세로로 긴 홈 15 : 빗장
본 발명은, 상기 목적에 맞게 이루어진 것이고, 그 요지는 문의 바깥쪽의 핸들을 조작하여 빗장을 상자체나 몸체 또는 기둥 등 고정측의 본체에 걸거나 벗기거나 하는 문구조에 있어서, 상기 문의 내측에 조작 핀으로 피벗 부착시킨 기초체와, 이 기초체에 설치한 가이드 판에 따라서 미끄럼 이동 자유로이 배치한 상기 빗장을 앞부분에 가지는 조작판과 이 조작판과 상기 기초체 혹은 가이드 판에 개재(介在)한 스프링과, 상기 기초체에는 상기 빗장을 상기 기초체로부터 걸거나 벗기거나 하기 위해 상기 바깥쪽 핸들에 연결하여 설치하여 상하 이동하는 후크 부재와, 이 후크 부재와 함께 상기 기초체에 설치한 구름 모양의 구멍내에 설치하여 상기 빗장을 본체에 거는 위치로부터 벗기는 위치까지 상기 기초체와 조작판의 회전이동거리를 규제하는 작용 핀으로 이루어지고,
평소에는 상기 바깥쪽 핸들을 문의 바깥쪽으로부터 조작하여 상기 후크 부재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기초판과 조작판을 상기 조작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에 걸거나 벗기거나 하는 것과 함께, 비상시에는 문의 안쪽으로부터 상기 조작판을 상기 스프링에 대항하여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로부터 벗겨서 문을 밀고 나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주요부인 기초체와 가이드 판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빗장을 가지는 조작판을, 문의 판두께내에 넣어서 이것을 안쪽 핸들에 부착한 캠 부에 의해 상기 조작판을 가로로 이동하여 빗장을 본체로부터 벗기도록 하였다.
(작용)
문의 바깥쪽으로부터 문을 열어서 안쪽으로 들어가는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에 있어서, 문의 바깥쪽으로부터 자물쇠가 걸려 있어도 조작판을 직접 잡아 당겨서 빗장을 본체로부터 벗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작판이 문내에 설치되어 직접 잡아 당기는 조작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문 안쪽의 핸들에 설치한 조작간에 의해, 빗장을 스프링에 대항하여 가로로 이동하여 본체로부터 벗긴다.
(실시예 1)
도 1은, 본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를 나타낸 일부 투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비상시에 문의 안쪽에서 해정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해정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기초체이고, 나사(16, 17)로 문(11)에 표면을 동일면으로 매설되어 있는 평면 핸들(9)의 안쪽에는, 핀으로 한 나사(7)에 의해 기초체(1)가 피벗 부착되어 있다. 기초체(1)는, 그 상하에 위치하는 좌우로 평행하게 접어 구부린 가이드 판(2, 2')으로 전체를 채널형상으로 하고 있다. 상하의 가이드 판(2, 2')에는 각각 2개의 가이드 핀(18, 18')이 설치되고, 각 핀은 채널형상의 가이드 판(2,2')이 부착된 기초체(1) 안에서 좌우로 미끄럼 이동하는 조작판(3)의 상하에 설치한 미끄럼 이동판(19, 19')에 설치한 상하 2개의 가로로 긴 홈(20, 20')내를 규제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조작판(3)에는 구름 모양의 구멍(6)이 뚫려서, 이 구멍에는 종래예로서의 도 7이나 도 8에 나타난 핸들(60)과 일체로 설치하여 상하 이동하는 후크 부(5)와, 나사로서의 작용핀(8)이 헐겁게 끼운 상태에서 돌출해 있다.
또한 기초판(1)의 내부와 후술하는 조작판(3)과 일체로 설치한 빗장(15)과는 반대쪽의 미끄럼 이동판(19,19')에는, 인장 스프링(4)의 양단을 고정하여 있는 구멍(22, 23) 부착 돌기(20 및 21)를 설치했다.
더욱이, 조작판의 한쪽부(도면상 좌측)에는 문(11)과 세로로 긴 홈(12) 및 이 세로로 긴 홈(12)과 대응하는 위치에 기둥 등 고정측의 본체(13)에 설치한 세로로 긴 홈(14)을 관통하여 문을 본체에 고정했다.
통상의 상태에서는 문(11)의 바깥쪽에 있는 평면 핸들의 핸들(60)을, 서술한 종래기술에서 기재한 것처럼 튀어 올려서, 핸들 상부에 설치한 후크 부(5)를 구름모양 구멍(6)내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내리고, 구름모양 구멍에 마주보고 더욱 눌러 내려서 조작판(3)을, 조작 핀(7)을 축으로 하여 구름모양 구멍의 위쪽 변에 작용 핀(8)이 마주볼 때까지 눌러 내린다(도 1 및 도 3). 이와 같이, 통상의 상태에서는 열쇠가 있든 없든 상관없이 핸들을 튀어 올려서, 문(11)을 본체(13)로부터 열어서 문내로 들어간다. 즉, 이 경우에 문내로부터 바깥쪽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문이 열린 상태에 있기 때문에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단, 안에 사람이 들어가 있는 것을 모르거나 자연상태에서 문을 닫고 핸들을 내려서 자물쇠를 잠근 경우, 지금까지는 도 8의 상태에서 그대로 밖으로 나가지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문의 안쪽으로부터 조작판(3)의 당김쇠인 돌출부(10)를 잡아 당겨 스프링(4)에 대항하여 화살표의 방향으로 당겨서 빗장(15)은 본체(13)에 있는 세로로 긴 홈(14)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에 의해, 그 대로 문(11)을 바깥쪽으로 밀고 나가는 것으로 용이하게 문을 본체로부터 열고 나서 외부로 탈출가능하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의 문구조의 내부 해제장치이고, 평소 상태에서의 문(11')을 본체(13')에 빗장(15)을 건 상태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고, 도 6은 문의 내부로부터 문을 열어 탈출가능하게 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이하에 설명한다.
평면 핸들(9)은 문(11')에 표면을 동일면으로 매설하고, 그 표면에 채널 형상의 기초체(1)가 피벗 부착되어 있다(피벗 부착 위치는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기초체(1)의 가이드 판(2, 2')의 안쪽에는 미끄럼 이동판(19, 19')을 설치한 조작판(3)이 좌우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초체(1)와 조작판(3)의 사이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인장 스프링(4)이 배치되어,조작판(3)을 스프링(4)을 당겨서, 도 6에 도시하였듯이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것으로, 조작판의 선단에 위치한 빗장은 문(11')과 본체(13)의 각각의 세로로 긴 홈(12, 14)을 관통하여, 문(11)을 전체로 고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가 실시예 1과 다른 구조를 이하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평면 핸들(9)의 안쪽에 있는 기초체(1)와 조작판(3) 등은 실시예 1에서는 문(11)의 안쪽에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는 이들을 문(11') 안에 매설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판(3)에 설치한 돌출부(10)는 문(11') 속에 있고, 이것을 문(11')의 안쪽으로부터 조작할 수 없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인 문(11')이 빗장(15)에 의해 본체(15)에 정지된 상태로 닫혀 있는 경우에, 문(11')의 안쪽으로부터 빗장(15)을 벗기는 구조로서는, 이중문(11')의 안쪽 바깥면에 나사(24)에 의해 고정된 평판(25)에 레버 핸들(26)을 관통하여 설치하고, 그 선단의 문(11')내에 종단면이 열쇠모양인 작동간으로서의 캠(27)을 부설한 점이다.
이 레버 핸들(26)로서의 핸들이나 작동간으로서의 캠(27)은, 통상의 상태, 즉 문(11')의 바깥쪽의 핸들(9)을 조작하여 문을 개폐하여 출입하는 경우는 도 7 내지 도 10과 다르지 않지만, 사람이 문안에 들어가 있는 경우에 빗장(15)이 걸려 있는 비상시에는 도 6에 도시한 조작이 필요하다. 이 조작은 문(11')의 안쪽에 돌출하여 있는 레버 핸들(2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작동간(27)을 돌려서, 이것을 조작판(3)의 돌기부(10)에 맞닿게 하고, 작동간으로서의 캠(27)의 선단의 원호부(28)를 따라 조작판(3)을 스프링(4)의 인장력에 대항하여 좌우로 가로로이동하여 빗장(15)을 본체(13)의 세로로 긴 구멍(14)으로부터 벗겨서, 문(11')을 도면 상 맞은편으로 밀어서 열고, 바깥으로 탈출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실시예 2의 요부를 도시한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의 분해도이다.
이상 서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핸들의 안쪽에 기초체로 조작판과 그 양자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문의 안쪽으로부터 이 스프링의 인장력에 대항하여 상기 조작판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긴급시에 빗장을 본체로부터 벗기는 것에 의해, 문의 안쪽으로 닫고 들어간 사람을 탈출가능하게 하였다.

Claims (4)

  1. 문의 바깥쪽의 핸들을 조작하여 빗장을 케이스체나 몸체 또는 기둥 등 고정측의 본체에 걸거나 벗기거나 하는 문구조에 있어서, 상기 문의 안쪽에 조작핀으로 피벗 부착한 기초체와, 이 기초체에 설치한 가이드 판을 따라 미끄럼 자유로이 배치한 상기 빗장을 앞부분에 가지는 조작판과, 이 조작판과 상기 기초체 또는 가이드 판에 개재한 스프링과, 상기 기초체에는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로부터 걸거나 벗기거나 하기 위하여 상기 바깥쪽 핸들에 연결하여 설치하여 상하 이동하는 후크 부재와, 이 후크 부재와 함께 상기 기초체에 설치한 구름모양 구멍 내에 설치하여 상기 빗장을 본체에 거는 위치로부터 벗기는 위치까지 상기 기초체와 조작판의 회전이동 거리를 규제하는 작용핀으로 이루어지고,
    평상시에는 상기 바깥쪽 핸들을 문의 바깥쪽으로부터 조작하여 상기 후크 부재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기초판과 상기 조작판을 상기 조작핀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에 걸거나 벗기거나 하면서, 비상시에는 문의 안쪽으로부터 상기 조작판을 상기 스프링에 대항하여 미끄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로부터 벗겨서 문을 밀고 나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
  2. 문의 바깥쪽 핸들을 조작하여 빗장을 케이스체나 몸체 또는 기둥 등 고정측의 본체에 걸거나 벗기거나 하는 문구조에 있어서, 상기 문의 내부에 조작 핀으로피벗 부착한 기초체와, 상기 기초체에 설치한 가이드 판을 따라 미끄럼 이동 자유로이 배치한 상기 빗장을 앞부분에 가지는 조작판과, 이 조작판과 상기 기초체 또는 가이드 판에 개재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에 대항하여 상기 조작판을 가로로 이동하여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에서 벗기기 위해, 상기 조작판에 맞닿아 가로로 이동시키는 이동간을 상기 문의 안쪽 핸들에 설치한 것에 의해,
    평상시에는, 상기 핸들을 문의 바깥쪽으로부터 조작하여 상기 후크 부재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기초판과 조작판을 상기 조작핀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에 걸거나 벗기거나 하면서, 비상시에는 문의 안쪽으로부터 상기 조작판을 상기 스프링에 대항하여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로부터 벗겨서 문을 밀고 나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빗장과 반대쪽의 조작판에는 돌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과 상기 본체에는, 상기 빗장을 회전이동과 왕복이동이 가능한 세로로 긴 걸어 잠그는 홈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
KR1020030057490A 2003-02-03 2003-08-20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 KR100571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25840A JP4009538B2 (ja) 2003-02-03 2003-02-03 戸構造の内部解錠装置
JPJP-P-2003-00025840 2003-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423A true KR20040070423A (ko) 2004-08-09
KR100571700B1 KR100571700B1 (ko) 2006-04-17

Family

ID=3295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490A KR100571700B1 (ko) 2003-02-03 2003-08-20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009538B2 (ko)
KR (1) KR100571700B1 (ko)
CN (1) CN100557180C (ko)
HK (1) HK1067680A1 (ko)
TW (1) TWI22416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50659A1 (de) * 2017-08-29 2019-03-06 EMKA BESCHLAGTEILE GmbH & Co. KG Verschlussvorricht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1342B2 (ja) * 2009-06-18 2013-07-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運転室仕切りドア開放錠装置
JP5813541B2 (ja) * 2012-03-16 2015-11-17 Ykk Ap株式会社 建具
CN105386703A (zh) * 2015-11-25 2016-03-09 重庆昊江耐火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防火隔音门结构
JP7086639B2 (ja) * 2018-02-27 2022-06-20 株式会社Lixil 収納ボック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50659A1 (de) * 2017-08-29 2019-03-06 EMKA BESCHLAGTEILE GmbH & Co. KG Verschluss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09538B2 (ja) 2007-11-14
TW200415294A (en) 2004-08-16
CN1519452A (zh) 2004-08-11
HK1067680A1 (en) 2005-04-15
JP2004238799A (ja) 2004-08-26
KR100571700B1 (ko) 2006-04-17
CN100557180C (zh) 2009-11-04
TWI224166B (en) 200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5979B1 (ko) 잠금 여부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JP2002177586A (ja) パチンコ機の錠装置
KR100571700B1 (ko)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
US8240177B2 (en) Keyed lock door handle
JPWO2006022240A1 (ja) かばんの錠装置
JP5044951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天井照明装置
KR101446682B1 (ko)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장치
KR100855307B1 (ko)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KR100778539B1 (ko) 푸쉬-풀-푸쉬 도어록 장치
JP3133714U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20041978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398143B1 (ko) 도어의 일부 개방형 도어 잠금구
KR0139218Y1 (ko)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RU176247U1 (ru) Замок с функцией блокировки и отключения защелки
KR102315686B1 (ko) 문손잡이 잠김 해제장치
KR200187425Y1 (ko) 셔터용 잠금장치
JP4850037B2 (ja) カードキー・テンキー式錠前装置
KR102161530B1 (ko) 샤프트 분리형 도어 안전 손잡이
KR20020057878A (ko) 비상구용 도어 잠금장치
KR100903061B1 (ko) 사물함용 록커의 해정장치
KR200199411Y1 (ko) 포터블피시의 자동열림장치
JP2520147Y2 (ja) 保管庫の扉開閉機構
JPH07269210A (ja) 落し錠装置
JPH0427983Y2 (ko)
KR900010932Y1 (ko) 목욕탕용 옷장 자물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