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085A - 인증처리 시스템, 단말 인증장치, 인증처리 방법 및인증처리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인증처리 시스템, 단말 인증장치, 인증처리 방법 및인증처리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0085A
KR20040070085A KR1020040006100A KR20040006100A KR20040070085A KR 20040070085 A KR20040070085 A KR 20040070085A KR 1020040006100 A KR1020040006100 A KR 1020040006100A KR 20040006100 A KR20040006100 A KR 20040006100A KR 20040070085 A KR20040070085 A KR 20040070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terminal
portable information
information terminal
exist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719B1 (ko
Inventor
사타유타카
수기카와아키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4007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7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6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in combination with a wake-up circu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579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 G07C2009/00587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by batte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 G07C2009/00642Power supply for the lock by batte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인증장치는, 제1시간간격에서 휴대용 정보단말로부터 출력된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2시간간격에서, 상기 제1시간간격과 동일하거나 더 긴 제3시간간격 동안에만 상기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모드로 설정된 존재확인신호 수신기, 상기 존재확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존재확인신호의 응답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존재통지신호를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로 송신하는 존재통지신호 송신기, 상기 존재통지신호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에 의해 수신된 후에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무선링크를 확립하도록 구성된 링크접속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상기 무선링크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인증부 및,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 규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제어명령 송신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인증처리 시스템, 단말 인증장치, 인증처리 방법 및 인증처리 프로그램{AUTHENTICATION PROCESSING SYSTEM, TERMINAL AUTHENTICATION APPARATUS, AUTHENT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AUTHENTICATION PROCESSING PROGRAM}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단말과 단말 인증장치 사이에서 인증이 수행되는 인증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증이 성공하면 예정된 동작이 허가되는 인증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리적인 키를 이용한 잠금과 해제가 필요없고, 일정한 거리에서 자동차의 문을 잠그거나 해제하는, 키가 없는(keyless) 시스템이 많이 사용된다. 일반적인 키 없는 시스템은 자동차에 설치된 무선 인증모듈과 키 사용자 사이에서 주파수 300MHz 또는 그 이하의 약한 무선파를 이용하여 인증 프로토콜을 수행한다. 인증이 성공적이면, 일반적인 키 없는 시스템은 무선 인증모듈로부터 자동차로 문 잠금신호(door locking signal)나 문 잠금의 해제신호(door unlocking signal)를 전송한다. 약한 무선파 기지국(base station)은 법에 의해 규정되며, 무선 기지국에 대한 라이센스(license) 없이 주파수가 약 300MHz인 한 약 10m의 범위 내에서 무선파를송신하도록 허가된다.
널리 사용되는 키 없는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문을 해제하고자(잠그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키에 배치된 버튼을 눌러야 한다. 즉, 다음의 단계에 따라 사용자의 경험이 수행된다.
(1) 사용자가 자동차에 다가간다. (2) 사용자가 키를 위해 주머니 또는 가방을 찾는다. (3) 사용자가 키를 꺼낸다. (4) 사용자가 키의 버튼을 누른다(잠금의 해제). (5) 사용자가 버튼을 작동시키면, 무선파가 키에 있는 무선모듈(radio module)로부터 전송된다.
반면에, 자동차에 설치된 무선 인증모듈은 정기적인 시간 간격동안 키로부터의 무선파를 수신하기 위해 시도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키의 버튼을 동작시키고, 키로부터 송신된 무선파가 무선 인증모듈에 의해 수신된다면, 인증 프로토콜이 실행되고 문의 잠금이 해제된다(잠겨진다). 키의 버튼이 동작되지 않으면, 무선파가 키로부터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키에 있는 배터리의 수명(일반적인 사용에 있어서 2년 내지 5년의 범위)이 연장될 수 있다.
무선파를 이용하여 문의 잠금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 문제가 존재한다. 예컨대, 잘못된 해제를 방지하기 위해, 해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문이 자동적으로 잠겨진다. 예컨대, 자동차에 타기 위해 문의 잠금이 해제된 후 짐을 자동차로 싣는데 긴 시간이 걸린다면, 문이 자동적으로 잠겨지고, 이는 매우 불편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이 이미 개시되었다(일본국 특허출원 제2001-115707 참조).
키에 있는 버튼의 동작은 키 배터리의 전력소비를 억제하기 위한 동작이고,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의 편의를 저하시킨다. 즉, 사용자가 키가 있는 주머니 옆의 손에 우산이나 짐을 가지고 있을 경우, 또는 사용자의 양손이 모두 짐 등을 잡기 위해 사용되고 있을 경우, 사용자는 우산이나 짐을 다시 가져다 놓거나 짐을 어딘가에 놓아야 한다.
이러한 불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버튼 동작을 불필요하게 하는 키 없는 시스템이 역시 제안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상기에서 서술된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약한 무선파가 사용되고, 또한 키 측은 일정 시간 간격에서 무선파 송신 모드 및 수신 모드가 된다. 자동차가 키에 대한 무선파 도달범위에 들어온다면, 인증 프로토콜이 자동적으로 실행되고 문의 잠금이 해제된다.
상기 서술된 키 없는 시스템을 위해 인증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인증(암호) 알고리즘으로서, 일반적인 키 시스템이 보통 사용된다. 가장 진보된 암호 알고리즘, 예컨대 AES와, 충분히 긴 키 길이(key length)를 갖는 키를 이용하여 시스템이 구성된다면, 실제 시간 동안 키를 찾고 현존하는 컴퓨터의 계산능력을 이용하여 문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것은 또한 기존의 물리적인 키와 비교하여 안전도가 더 높다는 특징을 가능하게 한다.
암호 알고리즘을 최대한 이용하고,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동차 엔진을 점화하는 제품도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라고 불리우는 이러한 점화 키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점화 구멍에 키를 삽입하고 미리 결정된 위치에 도달하도록 키를 돌리면, 전류 신호가 키 구멍과 키 사이에서 흐르고, 엔진 ECU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이모빌라이저 ECU와 키에 있는 인증 모듈 사이에서 인증프로토콜이 실행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동차 키에 다양한 기술들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자동차 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자동차에 사용되는 키를 갖고 있지 않으면, 문 잠금, 문 잠금의 해제, 엔진 시동은 수행될 수 없다. 현재 사용자가 매일 가지고 다니는 것으로서, 휴대용 전화나 PDA로 대표되는 휴대용 정보단말이 있다. 휴대용 전화는 고정된 전화 또는 다른 휴대용 전화와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고, 휴대전화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설치된 무선 기지국을 통해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최근, 제2무선통신 장치를 휴대전화에 장착하는 경향이 확대되었다. 제2무선통신 장치는, 원칙적으로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약 100m 까지의 무선파 도달범위를 갖고, 무선전화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제공되는 기지국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단말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2.4GHz 근처의 ISM 대역과 인접한 주파수가 사용되고, 약한 전력의 무선기기와 같이 무선 라이센스가 필요 없는 블루투스(Bluetooth)에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종래의 무선 LAN에서 유효한 전송 거리의 범위는 적어도 100m이다. 반면에, 블루투스에서 전송 범위는 좁고, 따라서 전력소비가 낮다. 그러므로, 블루투스는 배터리가 제한되는 휴대전화와 같은 정보처리장치에 적합하다. 최근, 블루투스 통신수단이 장착된 휴대전화와 PDA 등의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이후에는 간단히 휴대용 정보단말이라고 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블루투스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웹 사이트(http://www.bluetooth.org)에서 얻을 수 있다.
만일 자동차 등에서 키 없는 시스템으로서 휴대용 정보단말에 장착된 블루투스나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하여 문 잠금과 해제 및 엔진점화 시동이 수행된다면, 사용자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키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게 되고,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휴대용 정보단말에 장착된 무선통신장치의 주된 목적은 문을 잠그거나 해제하는 것이 아니고, 높은 전송율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을 키 없는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번째 문제는 전력소비이다. 상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정보단말에 장착된 무선통신장치는 높은 데이터 전송율의 목표를 가지고 설계되었다. 현재 키 없는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는 낮은 전송율, 저주파 무선모듈과 비교할 때, 전력소비가 매우 높다. 따라서, 휴대용 정보단말의 전력소비와 배터리 수명의 관점에서 볼 때, 사용자가 자동차에 접근할 경우 문의 잠금이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시스템을 구현하기 어렵다. 블루투스가 사용될 경우, 특히 특정 단말이 검색되고 무선 링크가 확립되는 동안 소비되는 전력은 적어도 평소의 1.5배 만큼 크다.
두번째 문제는 무선파 도달범위이다. 문을 잠그거나 해제할 목적을 가지고 최적의, 예컨대 약 10m의 무선파 도달범위를 갖는 평범한 키 없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휴대용 정보단말에서 무선통신장치는 데이터 전송의 목적을 가지고 설계된다. 더욱이, 많은 경우에서 무선파 도달범위는 거의 전적으로 무선 표준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키 없는 시스템으로서 최적인 무선파 도달범위를 설정하는 것은 어렵다. 블루투스의 경우, 등급(class) 3의 표준에 따른 모듈이 휴대용 정보단말에 보통 장착된다. 그러나, 이것의 무선파 도달범위는 실제로 약 20m 만큼 크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동차에 접근하려는 의도 없이 자동차에 가까운 거리에 있는 지역을 단순히 지나간다고 하더라도, 인증 프로토콜이 실행되어 문의 잠금이 해제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높은 안전성을 가지며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인증처리 시스템, 단말 인증장치, 인증처리 방법 및, 인증처리 프로그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인증처리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휴대용 정보단말(1), 단말 인증모듈(2) 및 엔트리 단말(3)의 동작 타이밍도,
도 3은 단말 인증모듈(2)에 대한 무선파 도달범위를 나타내는 대표 반경과 휴대용 정보단말(1)의 대표 이동속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인증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인증처리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도 5의 인증처리 시스템에 대한 시퀀스 도(sequance diagram),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인증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휴대용 정보단말(1)의 간격제어부(19)에서 수행되는 처리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처리 시스템의 제5실시형태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제5실시형태의 인증처리 시스템에서 처리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1은 단말 인증모듈에서 접촉식 접근 감지센서를 제공하는 경우의 종합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인증처리 시스템은,
휴대용 정보단말;
무선으로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단말 인증장치 및;
상기 단말 인증장치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의 인증에 성공하였을 때 규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이, 제1시간간격에서 상기 단말 인증장치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존재확인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존재확인신호 송신부; 상기 존재확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 인증장치로부터 송신된 존재통지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존재통지신호 수신부; 상기 존재통지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존재통지신호를 송신한 상기 단말 인증장치와 무선링크를 확립하도록 구성된 제1링크접속부 및; 상기 단말 인증장치와 상기 무선링크를 통해 첫번째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인증장치가, 제2시간간격에서 상기 제1시간간격과 동일하거나 더긴 제3시간간격 동안에만 상기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모드로 설정된 존재확인신호 수신부; 상기 존재확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에 대해 상기 존재확인신호의 응답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존재통지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존재통지신호 송신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이 상기 존재통지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무선링크를 확립하도록 구성된 제2링크접속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상기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첫번째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인증부 및; 상기 제1 및 제2인증부가 상기 첫번째 인증을 성공한 경우 상기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어명령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가,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어명령 수신부 및; 상기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동작수행부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인증장치는,
제1시간간격에서 휴대용 정보단말로부터 출력된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2시간간격에서, 상기 제1시간간격과 동일하거나 더 긴 제3시간간격 동안에만 상기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모드로 설정된 존재확인신호 수신기; 상기 존재확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존재확인신호의 응답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존재통지신호를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로 송신하는 존재통지신호 송신기; 상기 존재통지신호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에 의해 수신된 후에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무선링크를 확립하도록 구성된 링크접속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상기 무선링크를통해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인증부 및;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 규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에 대해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제어명령 송신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실시형태)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증처리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인증처리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자동차에 키 없이 승차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인증처리 시스템은 휴대용 정보단말(1;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무선에 의해 휴대용 정보단말(1)과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단말 인증모듈(2;terminal authentication module) 및, 단말 인증모듈(2)이 휴대용 정보단말(1)과의 인증에 성공할 때 자동차에 대한 엔트리 동작을 수행하는 엔트리 단말(3;entry terminal)을 포함한다.
휴대용 정보단말(1)은 단말 인증모듈(2)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존재확인신호를 송신하는 존재확인신호 송신부(11;existence confirm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존재확인신호에 응답하여 단말 인증모듈(2)로부터 송신된 존재통지신호를 수신하는 존재통지신호 수신부(12;existence notice signal reception unit), 존재통지신호를 송신한 단말 인증모듈(2)과의 무선링크를 가능하게 하는 링크 접속부(13;link connection unit) 및, 무선링크를 통해 단말 인증모듈(2)과 첫번째 인증을 수행하는 제1인증부(14)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 인증모듈(2)은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하는 존재확인신호 수신부(21), 존재확인신호에 응답하여 존재통지신호를 송신하는 존재통지신호 송신부(22), 휴대용 정보단말(1)에 의해 존재통지신호가 수신된 후에 휴대용 정보단말(1)과 무선링크를 가능하게 하는 링크 접속부(23), 무선링크를 통해 휴대용 정보단말(1)과 첫번째 인증을 수행하는 제2인증부(24) 및, 첫번째 인증이 성공한 경우 엔트리 단말(3)로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제어명령 송신부(25)를 포함한다.
엔트리 단말(3)은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제어명령 수신부(31) 및,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예정된 엔트리 동작을 실행하는 엔트리부(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예정된 엔트리 동작은 문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점화 시동 등과 같은 동작이다.
도 2는 휴대용 정보단말(1), 단말 인증모듈(2) 및 엔트리 단말(3)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정보단말(1)은 제1시간간격(first time interval)에서 존재확인신호를 송신한다. 단말 인증모듈(2)은 제2시간간격에서, 제1시간간격과 동일하거나 더 긴 제3시간간격 동안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모드가 된다. 단말 인증모듈(2)은 수신모드로 설정된 때에만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한다.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간격에서, 단말 인증모듈(2)은 휴대용 정보단말(1)에 대해 무선파 도달범위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어 진다. 따라서, 휴대용 정보단말이 점선으로 표시된 간격 동안 존재확인신호를 송신한다고 하더라도, 단말 인증모듈(2)은 존재통지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휴대용 정보단말(1)은 존재확인신호를 반복하여 송신한다.
그러나, 제3시간간격은 제1시간간격과 동일하거나 더 길게 설정된다. 따라서, 만일 휴대용 정보단말(1)과 단말 인증모듈(2)이 함께 무선파 도달범위에 위치한다면, 단말 인증모듈(2)은 예정된 시간 내에서 휴대용 정보단말(1)로부터 존재확인신호를 확실히 수신할 수 있다.
휴대용 정보단말(1)과 단말 인증모듈(2)은, 예컨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파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한다. 블루투스에서, 존재확인신호의 송신은 페이지 모드(page mode)에 대응하고, 존재확인신호의 수신은 페이지 스캔모드(page scan mode)에 대응한다. 그러나, 만일 시간적으로 계속하여 페이지 모드나 페이지 스캔모드로 가정된다면, 블루투스 모듈에서 전력소비가 커진다. 반면에, 본 실시형태에서, 휴대용 정보단말(1)은 제1시간간격에서 존재확인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인증모듈(2)은 제2시간간격에서 제3시간간격 동안에만 수신모드로 설정된다. 따라서, 존재확인신호가 시간적으로 계속하여 송신되고 수신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전력소비는 감소될 수 있다.
휴대용 정보단말(1)로부터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하자 마자, 단말 인증모듈(2)의 존재확인신호 수신부(21)는 휴대용 정보단말(1)로 존재통지신호를 즉각 송신한다. 단말 인증모듈(2)로부터 존재통지신호를 수신하자 마자, 휴대용 정보단말(1)은 링크접속부(13)를 이용하여 단말 인증모듈(2)로 링크접속요구를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단말 인증모듈(2)의 링크접속부(23)와 무선 링크접속 트랜잭션(transaction)이 실행되고, 무선 링크가 확립된다.
계속하여, 무선 링크에서, 쌍방향 인증(첫번째 인증)에 대한 트랜잭션이 휴대용 정보단말(1)의 제1인증부(14)와 단말 인증모듈(2)의 제2인증부(24) 사이에서 실행된다. 쌍방향 인증이 성공했다면, 단말 인증모듈(2)의 제어명령 송신부(25)는 제1인증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고 통지받는다. 제어명령 송신부(25)는 엔트리 단말(3)의 제어명령 수신부(31)로 제어명령을 송신한다. 제어명령을 수신하자 마자, 엔트리 단말(3)은 예정된 엔트리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만일 엔트리 단말(3)이 자동차이고, 엔트리부(32)가 문 잠금 제어부라면, 제어명령이 수신된 후에 문의 잠금이 해제된다.
도 3은 단말 인증모듈(2)에 대한 무선파 도달범위를 나타내는 대표 반경과 휴대용 정보단말(1)의 대표 이동속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제1~제3시간간격이 설정된다면, 휴대용 정보단말이 무선파 도달범위에 들어간 이후에 휴대용 정보단말(1)이 단말 인증모듈(2)로부터 존재통지신호를 수신할 때 까지 통계적 평균시간과 통계적 최대시간은 각각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나타내어 진다.
평균 수신시간 = (제1시간간격 + 제2시간간격)/2
최대시간 = (제1시간간격 + 제2시간간격)
도시되지 않은 엔트리 단말(3)로 엔트리를 수행하기 위해 휴대용 정보단말(2)이 대표 속도로 단말 인증모듈(2)에 접근한다고 가정된다. 만일 이러한경우에, 무선파 도달범위의 대표 반경이 수학식 2에 의해 표시된 최대시간과 대표속도(representative speed)의 곱 보다 더 크다면, 휴대용 정보단말(1)이 엔트리 단말(3)에 접근하기 전에 휴대용 정보단말(1)은 단말 인증모듈(2)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고, 예정된 인증 프로토콜을 실행하며, 엔트리 단말(3)이 엔트리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따라서, 제1실시형태에서, 휴대용 정보단말(1)은 제1시간간격에서 존재확인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인증모듈(2)은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2시간간격에서 제3시간간격 동안에만 수신모드로 설정된다. 결과적으로, 휴대용 정보단말(1) 및 단말 인증모듈(2)에서 전력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휴대용 정보단말(1)과 단말 인증모듈(2) 사이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엔트리 단말(3)에서 엔트리 동작이 허가되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3시간간격이 제1시간간격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설정되기 때문에, 단말 인증모듈(2)은 예정된 시간 내에서 확실히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휴대용 정보단말(1)과 단말 인증모듈(2) 사이에 링크를 확립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제1실시형태에서, 휴대용 정보단말(1)이 존재확인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인증모듈(2)이 존재확인신호에 응답하여 존재통지신호를 송신하는 예가 서술되었다. 이하에 서술되는 제2실시형태에서, 단말 인증모듈(2)은 존재확인신호를 송신하고, 휴대용 정보단말(1)은 존재통지신호를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인증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서, 도 1에 도시된 것들과 공통인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주로 다른 점들이 설명된다.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단말은 존재확인신호 수신부(15), 존재통지신호 송신부(16), 링크접속부(13) 및, 제1인증부(14)를 포함한다. 단말 인증모듈(2)은 존재확인신호 송신부(26), 존재통지신호 수신부(27), 링크접속부(23) 및, 제2인증부(24)를 포함한다.
단말 인증모듈(2)의 존재확인신호 송신부(26)는 제1시간간격에서 존재확인신호를 휴대용 정보단말(1)로 송신한다. 휴대용 정보단말(1)은 수신모드로 설정되고, 제2시간간격에서 제3시간간격 동안에만, 휴대용 정보단말(1)은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수신모드 간격에서 존재확인신호가 휴대용 정보단말(1)의 존재확인신호 수신부(15)에 의해 수신된다면, 존재통지신호 송신부(16)는 존재통지신호를 송신한다. 만일 단말 인증모듈(2)의 존재통지신호 수신부(27)가 존재통지신호를 수신한다면, 휴대용 정보단말(1)과 단말 인증모듈(2)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접속하는 처리가 수행된다.
따라서, 제2실시형태에서도, 예정된 시간간격에서 존재확인신호의 전달이 휴대용 정보단말(1)과 단말 인증모듈(2) 사이에서 수행된다. 전력소비는 휴대용 정보단말(1) 및 단말 인증모듈(2)에서 감소될 수 있다.
제3실시형태
제3실시형태에서, 휴대용 정보단말(1)과 단말 인증모듈(2) 사이의 거리가 탐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인증처리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인증처리 시스템에 대한 시퀀스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인증처리 시스템의 단말 인증모듈(2)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부가하여 무선전파강도 계측부(28;field intensity measurement unit)를 더 포함한다.
무선전파강도 계측부(28)는 휴대용 정보단말(1)로부터 송신된 참조신호의 전파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threshold value)과 비교한다(도 6에 도시된 시간 t1과 t2). 만일 전파강도의 측정값이 임계값 보다 크다면, 휴대용 정보단말(1)이 단말 인증모듈(2)에 접근했다고 판단하고, 무선전파강도 계측부(28)는 제어명령 송신부(25)에 그 효과를 통지한다. 만일 첫번째 인증이 성공하고, 휴대용 정보단말(1)이 단말 인증모듈(2)에 접근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명령 송신부(25)는 제어명령을 엔트리 단말(3)의 제어명령 수신부(31)로 송신한다.
만일 휴대용 정보단말(1)과 단말 인증모듈(2)의 무선파 도달 범위가 엔트리 단말(3)의 동작에 최적인 거리 보다 크다면, 휴대용 정보단말(1)이 최적 거리인 경우에만 엔트리 단말(3)의 엔트리 동작을 허가하기 위해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전파강도 계측부(28)는 단말 인증모듈(2) 대신에 휴대용 정보단말(1)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휴대용 정보단말(1)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가 엔트리 단말(3)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거리측정부는 무선전파강도 계측부(28)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파강도에 기초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송신된 무선파가 돌아오는데 걸리는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또는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거리측정부는 휴대용 정보단말(1)을 갖는 사용자가 접촉감지센서(contact sensing sensor)를 이용하여 접촉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차의 경우에, 더욱 구체적으로 접촉감지센서는 문의 손잡이에 제공되는 터치센서(touch sensor)이거나 엔트리 단말(3)에 제공되는 적외선 센서이다.
만일 거리측정부가 엔트리 단말(3) 내에 제공된다면, 휴대용 정보단말(1)과 단말 인증모듈(2) 사이의 쌍방향 인증이 정상적으로 종료된 후, 단말 인증모듈(2)은 엔트리 단말(3)로 제어명령을 송신한다. 엔트리 단말(3)이 제어명령 수신부(31)에서 제어명령을 수신한 후에, 엔트리 단말(3)은 거리측정부를 이용하여 휴대용 정보단말(1)의 접근을 감지하고, 예정된 엔트리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제3실시형태에서, 감지는 휴대용 정보단말(1)이 접근하였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고, 엔트리 단말(3)의 엔트리 동작은 휴대용 정보단말(1)이 예정된 거리 내로 접근한 경우에만 허가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무선파 도달범위가 넓어, 휴대용 정보단말(1)이 멀리 있는데도 불구하고 인증이 성공했다고 하더라도, 엔트리 단말(3)의 엔트리 동작은 휴대용 정보단말(1)이 접근할 때 까지 금지될 수 있으므로, 결국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4실시형태
제4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1~제3시간간격이 배터리의 남은 전기용량에 따라 제어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인증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에 부가하여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단말(1)은 휴대용 정보단말(1)에 대해 주 전원으로 기능하는 배터리(17), 배터리(17)의 남은 전기용량을 모니터하는 배터리 모니터부(18;monitor unit) 및, 존재확인신호를 송신할 때 시간간격으로 기능하는 제1시간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제어부(19)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에 부가하여 도 7에 도시된 단말 인증모듈(2)은 단말 인증모듈(2)에 대해 주 전원으로 기능하는 배터리(29), 배터리(29)에 남은 전기용량을 모니터하는 배터리 모니터부(41) 및, 간격제어부(42)를 포함한다. 간격제어부(42)는 수신모드가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때 시간간격으로 기능하는 제2시간간격과, 수신모드에 대해 간격으로 기능하는 제3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길이(time length)를 조절한다.
도 8은 휴대용 정보단말(1)의 간격제어부(19)에서 수행되는 처리 단계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무선링크가 단말 인증모듈(2)에 접속되었는지 결정된다(단계 S1). 만일 무선링크가 접속중이라면, 처리는 단계 S1에서 지속된다. 만일 무선링크가 접속중이 아니라면, 배터리 모니터부(18)는 배터리(17)의 남은 전기용량을 확인한다(단계 S2).
계속하여, 배터리(17)에 남은 전기용량이 예정된 임계값 보다 큰지 크지 않은지 결정된다(단계 S3). 만일 배터리(17)에 남은 전기용량이 예정된 임계값 보다 크다면, 제1시간간격이 예정된 값 T1과 동일한지 결정된다(단계 S4). 만일 제1시간간격이 예정된 값 T1과 동일하다면, 제1시간간격을 변경하지 않고, 처리는 단계 S1으로 돌아간다. 만일 제1시간간격이 예정된 값 T1과 동일하지 않다면, 제1시간간격은 예정된 값 T1과 동일하게 설정되고(단계 S5), 처리는 단계 S1으로 돌아간다.
반면에, 만일 단계 S3에서 배터리(17)에 남은 전기용량이 예정된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작다고 판단되면, 제1시간간격이 예정된 값 T2와 동일한지 결정된다(단계 S6). 만일 제1시간간격이 예정된 값 T2와 동일하다면, 제1시간간격을 변경하지 않고, 처리는 단계 S1으로 돌아간다. 만일 제1시간간격이 예정된 값 T2와 동일하지 않다면, 제1시간간격은 예정된 값 T2와 동일하게 설정되고(단계 S7), 처리는 단계 S1으로 돌아간다.
더욱 구체적으로, 배터리(17)에 남은 전기용량이 감소할수록, 휴대 정보단말(1)의 간격제어부(19)는 제1시간간격을 연장하고, 따라서 휴대 정보단말(1)에서의 전력소비를 감소시킨다. 반면에, 배터리(17)의 남은 전기용량에 여분이 있다면, 제1시간간격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단말 인증모듈(2)로의 무선링크가 확립될 때 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단말 인증모듈(2)의 간격제어부(42)는 도 6과 유사한 처리를 수행한다. 동시에, 간격제어부는 휴대용 정보단말(1)과 단말 인증모듈(2) 중 하나에만 제공될 수 있다.
만일 휴대용 정보단말(1)과 단말 인증모듈(2)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1~제3시간간격을 조절한다면, 존재확인신호에 대해 송신간격으로 기능하는 제1시간간격이 단말 인증모듈(2)에 대해 수신모드 지속간격(duration interval)으로 기능하는 제3시간간격 보다 길어질 것이다. 이러한 경우, 단말 인증모듈(1)이 휴대용 정보단말(2)로부터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휴대용 정보단말(1)의 간격제어부(19)는 제1시간간격이 제3시간간격 보다 작아지거나 동일한 범위 내로 제1시간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제3실시형태에서, 휴대용 정보단말(1)의 간격제어부(19)와 단말 인증모듈(2)의 간격제어부(42)는 배터리(17,29)에 남은 전기용량에 따라 제1~제3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따라서, 배터리(17,29)에 남은 전기용량이 감소되었을 경우 휴대용 정보단말(1)과 단말 인증모듈(2)에서 전력소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타이머(43 또는 44;timer)가 휴대용 정보단말(1)과 단말 인증모듈(2)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타이머(43,44)는, 예컨대 무선링크가 절단된 후 부터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고, 제1~제3시간간격은 측정된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제5실시형태
제5실시형태에서는 인증이 이중으로 수행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처리 시스템의 제5실시형태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부가하여, 도 9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단말(1)은, 단말 인증모듈(2)이 엔트리 단말(3)로 제어명령을 송신한 후에 단말 인증모듈(2)과 두번째 인증을 행하는 제3인증부(44)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부가하여, 도 9에 도시된 단말 인증모듈(2)은 엔트리 단말(3)로부터 인증요구를 수신하는 인증요구 수신부(45) 및, 제어명령이 엔트리 단말(3)로 송신된 후에 휴대용 정보단말(1)과 두번째 인증을 수행하는제4인증부(46)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부가하여, 도 9에 도시된 엔트리 단말(3)은 휴대용 정보단말(1)의 사용자가 에트리 단말(3)에 접촉하였는가를 탐지하는 접촉식 근접 감지센서(33;접촉 탐지센서) 및, 단말 인증모듈(2)로 인증요구를 송신하는 인증요구부(34)를 포함한다.
도 10은 제5실시형태의 인증처리 시스템에서 처리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단말 인증모듈(2)이 제2시간간격에서 제3시간간격 동안에만 수신모드로 가정되고, 존재확인신호가 휴대용 정보단말(1)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한다(단계 S21).
만일 존재확인신호가 수신되었다면, 존재통지신호가 휴대용 정보단말(1)로 송신되고, 휴대용 정보단말(1)로의 무선링크가 확립되며(단계 S22), 제2인증부(24)가, 예컨대 블루투스에 대한 링크 인증을 실행한다(단계 S23). 만일 쌍방향 인증(첫번째 인증)이 링크 인증에 의해 확인되었다면, 엔트리 단말(3)에서 첫번째 인증에 대응하는 첫번째 엔트리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제어명령 송신부(25)는 엔트리 단말(3)로 제어명령을 송신한다(단계 S24).
단말 인증모듈(2)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자 마자(단계 S25), 엔트리 단말(3)은 첫번째 엔트리 동작을 실행하고(단계 S26), 동시에 접촉식 근접 감지센서(33;contact type approach sensing sensor)를 활성화한다(단계 S27). 여기서, 첫번째 엔트리 동작은, 예컨대 자동차의 문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이다. 이때, 문의 잠금이 해제된다고 할지라도, 점화 시동은 허가되지 않는다.
만일 접촉식 접근 감지센서(33)가 휴대용 정보단말(1)의 접근을 감지한다면(단계 S28), 엔트리 단말(3)의 인증요구부(34)는 단말 인증모듈(2)로 두번째 인증요구(응용 인증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29).
만일 단말 인증모듈(2)의 인증요구 수신부가 이러한 인증요구를 수신하면, 제4인증부(46)는 블루투스 링크 보다 더 높은 랭크(rank)에서 응용 인증(두번째 인증 또는 응용 인증)을 실행한다(단계 S30). 이러한 응용 인증은 제2인증부(24)에 의해 수행되는 인증보다 안전성이 더 높은 인증 절차이다.
만일 휴대용 정보단말(1)과 다시 시도된 인증이 성공했다면(단계 S31), 두번째 인증에 대응하는 두번째 엔트리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제어명령 송신부(25)는 제어명령을 엔트리 단말(3)로 송신한다(단계 S32).
만일 엔트리 단말(3)의 제어명령 수신부(31)가 이러한 제어명령을 수신했다면(단계 S33), 엔트리부(32)는 두번째 엔트리 동작을 실행한다(단계 S34). 여기서, 두번째 엔트리 동작은 점화 시동을 허가하는 동작이다. 휴대용 정보단말(1)의 사용자는 단계 S34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자동차 엔진의 시동을 걸 수 있다.
따라서, 제4실시형태에서, 개별적인 인증 동작이 복수의 엔트리 동작에 대해 각각 수행되고, 결국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서술된 도 9의 인증처리 시스템에서, 접촉식 접근 감지센서(33)가 엔트리 단말(3)에 제공된다. 그러나, 접촉식 접근 감지센서는 단말 인증모듈(2)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구성은 도 11에 도시된 블록도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식 접근 감지센서(47)가 단말 인증모듈(2)에 제공된다. 만일, 휴대용 정보단말(1)의 접촉이 접촉식 접근감지센서(47)에 의해 감지된다면, 제4인증부(46)는 접촉을 통지받고, 제4인증부(46)는 두번째 인증을 수행한다.
도 11의 경우, 엔트리 단말(3)로부터 단말 인증모듈(2)로 인증요구를 보내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따라서 엔트리 단말(3)의 구성은 단순화될 수 있다.
제4실시형태에서, 3개 이상의 엔트리 동작을 제공하고, 엔트리 동작에 대해 각각 개별적인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서술된 인증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인증처리 시스템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인증처리 시스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플로피 디스크나 CD-ROM과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실행되기 위해 컴퓨터에 의해 독출될 수 있다. 저장매체는 자기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 등의 휴대용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하드 디스크 장치나 메모리 같은 고정식 저장매체도 가능하다.
더욱이, 인증처리 시스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 라인(무선 통신을 포함)을 통해서도 배포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등의 유선, 무선을 통해, 또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형태로, 프로그램이 암호화되거나, 변조되거나, 압축된 상태로 배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안전성을 가지며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인증처리 시스템, 단말 인증장치, 인증처리 방법 및, 인증처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휴대용 정보단말;
    무선으로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단말 인증장치 및;
    상기 단말 인증장치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의 인증에 성공하였을 때 규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이,
    제1시간간격에서 상기 단말 인증장치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존재확인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존재확인신호 송신부;
    상기 존재확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 인증장치로부터 송신된 존재통지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존재통지신호 수신부;
    상기 존재통지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존재통지신호를 송신한 상기 단말 인증장치와 무선링크를 확립하도록 구성된 제1링크접속부 및;
    상기 단말 인증장치와 상기 무선링크를 통해 첫번째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인증장치가,
    제2시간간격에서 상기 제1시간간격과 동일하거나 더 긴 제3시간간격 동안에만 상기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모드로 설정된 존재확인신호 수신부;
    상기 존재확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에 대해 상기 존재확인신호의 응답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존재통지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존재통지신호 송신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이 상기 존재통지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무선링크를 확립하도록 구성된 제2링크접속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상기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첫번째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인증부 및;
    상기 제1 및 제2인증부가 상기 첫번째 인증을 성공한 경우 상기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어명령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가,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어명령 수신부 및;
    상기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동작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확인신호 및 상기 존재통지신호의 무선파 도달범위가 상기 제1 및 제2시간간격의 합을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의 평균 이동속도와 곱합으로써 얻어진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 및 상기 단말 인증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상기 단말 인증장치 사이의 거리를 탐지하도록 구성된 거리탐지부를 갖고,
    상기 첫번째 인증이 성공하고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상기 단말 인증장치 사이의 거리가 규정된 값과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 상기 제어명령 송신부가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탐지부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상기 단말 인증장치 사이에 송신된 무선파의 전파강도에 기초하여 거리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인증장치 및 상기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이나 그 사용자가 접근했는지를 탐지하는 접근탐지기를 갖고,
    상기 첫번째 인증이 성공하고, 상기 제어명령이 상기 제어명령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며, 상기 접근탐지기가 규정된 거리 내의 접근을 탐지한 경우, 상기 동작수행장치가 상기 규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탐지기는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단말 인증장치 또는 상기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에 접촉하였는지를 탐지하는 접촉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 및 상기 단말 인증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3시간간격이 상기 제1시간간격보다 길도록 상기 제1, 제2 및 제3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간격 제어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 및 상기 단말 인증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배터리의 남은 전기용량을 탐지하는 배터리 모니터를 갖고,
    상기 간격제어기가, 상기 제1 및 제2시간간격이 서로 동일하도록, 또는 상기 제3시간간격이 상기 제1시간간격보다 길도록 상기 배터리 모니터에 의해 탐지된 배터리의 남은 전기용량에 따라, 상기 제1, 제2 및 제3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 및 상기 단말 인증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통신 파트너를 탐지하기가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 부터 경과된 시간, 또는 상기 단말 인증장치와의 무선링크가 절단된 때 부터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시간측정부를 갖고,
    상기 간격제어기가, 상기 제1 및 제2시간간격이 서로 동일하도록, 또는 상기 제3시간간격이 상기 제1시간간격보다 길도록 상기 제1, 제2 및 제3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은 상기 단말 인증장치가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로 전송한 후에 상기 단말 인증장치와 두번째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3인증부를 갖고,
    상기 단말 인증장치는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로 송신한 후에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상기 두번째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4인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인증이 블루투스의 링크 인증이고,
    상기 두번째 인증이 블루투스의 링크보다 상위인 인증 프로토콜에 의한 인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정된 동작이 자동차 문을 잠그고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 시스템.
  13. 제1시간간격에서 휴대용 정보단말로부터 출력된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2시간간격에서, 상기 제1시간간격과 동일하거나 더 긴 제3시간간격 동안에만 상기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모드로 설정된 존재확인신호 수신기;
    상기 존재확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존재확인신호의 응답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존재통지신호를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로 송신하는 존재통지신호 송신기;
    상기 존재통지신호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에 의해 수신된 후에 상기 휴대용정보단말과 무선링크를 확립하도록 구성된 링크접속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상기 무선링크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인증부 및;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 규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에 대해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제어명령 송신기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상기 단말 인증장치 사이의 거리를 탐지하도록 구성된 거리탐지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첫번째 인증이 성공한 경우 및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상기 단말 인증장치 사이의 거리가 규정된 값과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 상기 제어명령 송신부가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시간간격이 상기 제1시간간격보다 길도록 제1, 제2 및 제3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간격제어기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배터리의 남은 전기용량을 탐지하는 배터리 모니터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간격제어기가, 상기 제1 및 제2시간간격이 서로 동일하도록, 또는 상기 제3시간간격이 상기 제1시간간격보다 길도록 상기 배터리 모니터에 의해 탐지된 배터리의 남은 전기용량에 따라, 상기 제1, 제2 및 제3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통신 파트너를 탐지하기가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 부터 경과된 시간, 또는 상기 단말 인증장치와의 무선링크가 절단된 때 부터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시간측정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간격제어기가, 상기 제1 및 제2시간간격이 서로 동일하도록, 또는 상기 제3시간간격이 상기 제1시간간격보다 길도록 상기 제1, 제2 및 제3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정된 동작이 자동차 문을 잠그고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장치.
  19. 휴대용 정보단말; 무선으로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단말 인증장치 및; 상기 단말 인증장치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의 인증에 성공하였을 때 규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인증처리 시스템의 인증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이,
    제1시간간격에서 상기 단말 인증장치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존재확인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존재확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 인증장치로부터 송신된 존재통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존재통지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존재통지신호를 송신한 상기 단말 인증장치와 무선링크를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인증장치와 상기 무선링크를 통해 첫번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인증장치가,
    제2시간간격에서 상기 제1시간간격과 동일하거나 더 긴 제3시간간격 동안에만 상기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존재확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에 대해 상기 존재확인신호의 응답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존재통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이 상기 존재통지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무선링크를 확립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상기 무선링크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인증을 성공한 경우 상기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에 대해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가,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 방법.
  20. 제1시간간격에서 휴대용 정보단말로부터 출력된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2시간간격에서, 상기 제1시간간격과 동일하거나 더 긴 제3시간간격 동안에만 상기 존재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존재확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존재확인신호의 응답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존재통지신호를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이 상기 존재통지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무선링크를 확립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과 상기 무선링크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가 규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기 인증을 성공한 경우 상기 인증이 필요한 동작수행장치에 대해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허용하는 인증처리 프로그램.
KR1020040006100A 2003-01-31 2004-01-30 인증처리 시스템, 단말 인증장치, 인증처리 방법 및 인증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0573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4501 2003-01-31
JP2003024501A JP3944089B2 (ja) 2003-01-31 2003-01-31 認証処理システム、端末認証装置、認証処理方法及び認証処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085A true KR20040070085A (ko) 2004-08-06
KR100573719B1 KR100573719B1 (ko) 2006-04-26

Family

ID=3265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100A KR100573719B1 (ko) 2003-01-31 2004-01-30 인증처리 시스템, 단말 인증장치, 인증처리 방법 및 인증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205189A1 (ko)
EP (1) EP1443471A3 (ko)
JP (1) JP3944089B2 (ko)
KR (1) KR100573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953B1 (ko) * 2005-01-13 2007-07-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블루투쓰 모듈을 탑재한 외부기기 인증 방법과 그를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6569B2 (en) * 2004-02-25 2008-09-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network connection
US8380125B2 (en) * 2004-09-01 2013-02-19 Kyocer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bluetooth resource conservation
JP4581979B2 (ja) * 2005-03-15 2010-11-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機器制御システム
JP4679205B2 (ja) * 2005-03-31 2011-04-27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端末
MY144794A (en) 2005-07-28 2011-11-15 Inventio Ag Data exchange method
US8731542B2 (en) 2005-08-11 2014-05-20 Seven Networks International Oy Dynamic adjustment of keep-alive message intervals in a mobile network
JP4750509B2 (ja) * 2005-08-18 2011-08-17 株式会社サミーネットワークス 近距離無線通信装置、近距離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201851A (ja) * 2006-01-27 2007-08-0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無線通信装置
JP2007206739A (ja) * 2006-01-30 2007-08-1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認証制御方法
US8886125B2 (en) * 2006-04-14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Distance-based association
US9215581B2 (en) 2006-04-14 2015-12-15 Qualcomm Incorported Distance-based presence management
US8552903B2 (en) 2006-04-18 2013-10-08 Qualcomm Incorporated Verified distance ranging
WO2007128319A2 (en) * 2006-06-14 2007-11-15 Scandlife Italia Aps Locking system and remote-controlled entry system
JP4830684B2 (ja) * 2006-07-12 2011-1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無線警報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DE102006042974B4 (de) * 2006-09-13 2009-07-2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Zugangssteuerung zu einem Fahrzeug
JP5067074B2 (ja) * 2006-10-06 2012-1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8084794A1 (ja) * 2007-01-12 2008-07-1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通信システム
US8837724B2 (en) 2007-03-27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test for device authentication
JP5154135B2 (ja) * 2007-04-24 2013-02-27 美和ロック株式会社 電池残量確認システム
US9141961B2 (en) 2007-06-20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dynamic mobile coupons
US9483769B2 (en) 2007-06-20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electronic coupon for a mobile environment
US9524502B2 (en) 2007-06-20 2016-12-20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dynamic electronic coupons
JP5237909B2 (ja) * 2009-09-16 2013-07-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キー
DE102010010057B4 (de) * 2010-03-03 2012-09-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r Tür eines Fahrzeugs
US8869248B2 (en) * 2010-08-16 2014-10-21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wireless authentication for private data access and related methods
CN102529962B (zh) * 2010-12-08 2014-11-05 安尼株式会社 移动体防碰撞装置和移动体
US10542372B2 (en) 2011-03-15 2020-01-21 Qualcomm Incorporated User identification within a physical merchant location through the use of a wireless network
GB201119792D0 (en) 2011-11-16 2011-12-28 Jaguar Cars Vehicle access system
US9219966B2 (en) 2013-01-28 2015-12-22 Starkey Laboratories, Inc. Location based assistance using hearing instruments
KR20140105967A (ko) 2013-02-25 2014-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50102902A1 (en) * 2013-10-16 2015-04-16 Jie-Fu Chen Bluetooth Remote-Control Electronic Lock
DE102014101198A1 (de) * 2014-01-31 2015-08-0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Emblem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optischen Sensorsystem sowie Verfahren hierzu
JP2018101871A (ja) 2016-12-20 2018-06-28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機検出装置、携帯機検出方法
JP6733539B2 (ja) * 2016-12-27 2020-08-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認証システム
KR20180123391A (ko) * 2017-05-08 2018-11-16 (주)에프씨아이 접속확인 패킷 전송 제어방법 및 장치
WO2020054333A1 (ja) * 2018-09-11 2020-03-19 ボッシュ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車両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2483794B1 (ko) * 2019-06-05 2023-01-03 주식회사 모카시스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6852777B2 (ja) * 2019-11-29 2021-03-31 ヤマハ株式会社 端末装置、端末装置の動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636A (ja) * 1994-12-09 1996-06-21 Sony Corp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8277664A (ja) * 1995-04-05 1996-10-22 Oki Electric Ind Co Ltd 電子キーシステム
JP4167320B2 (ja) * 1998-03-31 2008-10-15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ヤレス制御装置およびその携帯機
BR9913440B1 (pt) * 1998-09-01 2008-11-18 processo para a realizaÇço de um controle de autorizaÇço de acesso sem chave e equipamento de controle de autorizaÇço de acesso sem chave.
FR2800782B1 (fr) * 1999-11-10 2001-12-21 Valeo Securite Habitacle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systeme d'acces et/ou de demarrage dit "mains libres"
JP4116212B2 (ja) * 1999-12-28 2008-07-09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873824B2 (en) * 2000-08-22 2005-03-29 Omega Patents, L.L.C.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cellular telephone and associated methods
JP4187935B2 (ja) * 2000-08-23 2008-11-26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転送方法
AU2002225768A1 (en) * 2000-11-28 2002-06-11 Rcd Technology, Inc. Replacing stored code with user inputting code on the rf id card
US6424056B1 (en) * 2000-11-30 2002-07-23 Telefonaktiebolaget (Lme) Keyless entry system for a vehicle
JP2002353868A (ja) * 2001-05-25 2002-12-06 Minolta Co Ltd 表示情報の自動複写装置及び方法、自動複写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215923B2 (en) * 2001-08-06 2007-05-08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953B1 (ko) * 2005-01-13 2007-07-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블루투쓰 모듈을 탑재한 외부기기 인증 방법과 그를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3719B1 (ko) 2006-04-26
US20040205189A1 (en) 2004-10-14
JP2004236166A (ja) 2004-08-19
EP1443471A3 (en) 2005-10-19
EP1443471A2 (en) 2004-08-04
JP3944089B2 (ja) 200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719B1 (ko) 인증처리 시스템, 단말 인증장치, 인증처리 방법 및 인증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JP4068512B2 (ja) 通信装置、携帯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制御方法
US202103662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US9672671B2 (en) Relay attack prevention for passive entry/passive start systems
US101960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keyless entry and remote starting vehicle with an OEM remote embedded in vehicle
US10315623B2 (en) Mobile electronic key device and electronic key system
US20200156591A1 (en) Car sharing system and car sharing program
WO2015174012A1 (ja) 電子キーシステム
US20030001723A1 (en) Passive entry with anti-theft function
US8183978B2 (en) Electronic key apparatus for a vehicle
US8818335B2 (en) Device security
US20140368313A1 (en) Vehicle keyfob with accelerometer to extend battery life
JP2008532458A (ja) Lf遠隔信号強度をrfリンクを介して電子制御ユニットに報告する方法
EP21936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the sender of a frequency hopping radio signal
CN110710117B (zh) 便携设备、便携设备的控制方法
JP4145809B2 (ja) 通信装置、移動端末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6702840B2 (ja) 無線通信正否判定システム
JP5195496B2 (ja) 認証対象装置およびキー、並びに無線認証システム
JP2019062307A (ja) 車載機制御装置、車載機制御方法
JP6507042B2 (ja) 通信不正成立防止システム
JP2008106577A (ja) パッシブ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CN115380149A (zh) 通信系统及通信方法
JP2022108596A (ja) 端末キーシステム、無線認証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KR20200126305A (ko) 스마트 키 및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
KR20240000733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