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733A -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733A
KR20240000733A KR1020220077254A KR20220077254A KR20240000733A KR 20240000733 A KR20240000733 A KR 20240000733A KR 1020220077254 A KR1020220077254 A KR 1020220077254A KR 20220077254 A KR20220077254 A KR 20220077254A KR 20240000733 A KR20240000733 A KR 20240000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way
mobile terminal
vehicle control
vehicle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락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220077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733A/ko
Publication of KR20240000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는 게이트웨이; 및 차량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게이트웨이는 모바일 단말과 차량 제어모듈 간의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통한 모바일 단말의 인증 여부에 따라 차량 제어모듈과 UWB(Ultra-Wide Band) 통신을 수행하여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차량 제어모듈은 모바일 단말과 BLE 통신을 수행하여 모바일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고, 게이트웨이와 UWB 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BLE(Bluetooth low energy)를 기반으로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대상 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제어대상 기기 내 구비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별도의 무선 조정 장치를 가지고 제어대상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대상 기기가 차량인 경우, 사용자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별도의 무선 조정 장치(스마트키)를 가지고 차량을 원격에서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차량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으며, 차량 도어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휴대해야 하고, 차량과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서 스마트키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 대부분의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소지하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 이외에 스마트키를 별도로 휴대하면서 필요 시 스마트키를 꺼내어 조작하는 것은 사용자 입장에서 번거로울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 설정 및 해제를 제어하거나 또는 시동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UWB(Ultra-Wide Band)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된 위치를 기반으로 차량의 문 개폐 및 엔진 시동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UWB를 지원하지 않고 BLE 통신만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는 디지털 키의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124552호(2021.10.15)의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방법, 차량, 차량 제어방법,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모바일 단말과 차량이 BLE 통신으로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이 게이트웨이와 UWB 통신을 수행하여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고 이 게이트웨이의 위치에 따라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게이트웨이; 및 차량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모바일 단말과 상기 차량 제어모듈 간의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통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인증 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 UWB(Ultra-Wide Band)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차량 제어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과 BLE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와 UWB 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차량 제어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BLE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 UWB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UWB 통신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의 UWB 통신을 위한 UWB 인증키를 생성하며, 상기 UWB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UWB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 송수신하는 게이트웨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게이트웨이 프로세서는 상기 BLE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BLE 통신에 따른 BLE 신호의 세기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차량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 제어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게이트웨이 중 적어도 하나와 BLE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 BLE 통신부; 상기 게이트웨이와 UWB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 UWB 통신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차량 BLE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과 BLE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와의 UWB 통신을 위한 UWB 인증키를 생성하며, 상기 UWB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UWB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와 송수신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BLE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게이트웨이의 거리를 전달받고,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게이트웨이의 거리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BLE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모바일 단말의 거리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모바일 단말과 차량 제어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BLE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 UWB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UWB 통신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의 UWB 통신을 위한 UWB 인증키를 생성하며, 상기 UWB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UWB 통신부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 송수신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게이트웨이 프로세서는 상기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BLE 통신에 따른 BLE 신호의 세기를 통해 게이트웨이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차량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는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 제어모듈이 모바일 단말과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 게이트웨이가 UWB(Ultra-Wide Band)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제어모듈이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 게이트웨이가 UWB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BLE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의 UWB 통신을 위한 UWB 인증키를 생성하며, 상기 UWB 인증키를 이용하여 UWB 통신을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 제어모듈이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 제어모듈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게이트웨이의 거리를 전달받고,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게이트웨이의 거리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 제어모듈이 BLE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모바일 단말의 거리를 측정하고, 차량과 상기 모바일 단말의 거리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모바일 단말과 차량이 BLE 통신으로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이 게이트웨이와 UWB 통신을 수행하여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고 이 게이트웨이의 위치에 따라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모듈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흐름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모바일 단말(10), 게이트웨이(20), 및 차량 제어모듈(30)을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10)은 게이트웨이(20) 및 차량 제어모듈(30)과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수행한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10)은 BLE 통신을 통해 차량 제어모듈(30)과 모바일 단말(10)의 인증을 수행한다. 모바일 단말(10)은 차량 제어모듈(30)과의 인증 결과에 따른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BLE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20)에 전달한다.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 예를 들어 운전자 또는 차량의 소유자가 조작하고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전자책 단말기,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모바일 단말(10)은 통신 기능 및/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10)은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징이 가능하고 휴대가 가능한 단말이라면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는 모바일 단말(10)과 차량 제어모듈(30) 간의 BLE 통신을 통한 모바일 단말(10)의 인증 여부에 따라 차량 제어모듈(30)과 UWB 통신을 수행하여 게이트웨이(2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게이트웨이(20)는 모바일 단말(10)과의 BLE 통신시 RSSI(Receiver Strength Signal Incator) 기능을 이용하여 BLE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이 BLE 신호의 세기를 통해 모바일 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게이트웨이(20)는 측정된 모바일 단말(10)과의 거리를 차량 제어모듈(30)에 전달한다.
게이트웨이(20)는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으나, 벽이나 기타 시설물에 고정될 수도 있다.
차량 제어모듈(30)은 차량에 탑재된다.
차량 제어모듈(30)은 모바일 단말(10)과 BLE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10)의 인증을 수행한다. 차량 제어모듈(30)은 게이트웨이(20)와 UWB 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20)의 위치를 측정한다.
차량에는 자율주행차량이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은 모바일 단말(10)의 위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록킹시키거나 언록킹시키는 도어 제어 즉, RKE(remote keyless entry) 제어를 수행하거나, 도어 제어 또는 시동을 거는 PASE(passive entry & start engine)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과 게이트웨이(20)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을 중심으로 설정된 동작감지영역에 위치하면, 차량 제어모듈(30)과 모바일 단말(10)이 BLE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10)의 인증을 수행한다.
모바일 단말(10)이 인증이 완료되면, 게이트웨이(20)가 차량 제어모듈(30)과 UWB 통신을 수행하여 게이트웨이(2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에 따라, 차량 제어모듈(30)이 게이트웨이(20)와 UWB 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의 ToF 측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0)과 게이트웨이(20) 및 차량 제어모듈(3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은 단말 BLE 통신부(11) 및 단말 프로세서(12)를 포함한다.
단말 BLE 통신부(11)는 게이트웨이(20) 또는 차량 제어모듈(30)과 BLE 통신을 수행한다. 이 경우, 단말 BLE 통신부(11)는 차량 제어모듈(30)과 인증정보를 송수신하여 모바일 단말(10)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단말 BLE 통신부(11)는 인증 결과에 따른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게이트웨이(20)에 전달한다.
단말 프로세서(12)는 단말 BLE 통신부(11)를 통해 차량 제어모듈(30)과 BLE 통신을 수행하여 모바일 단말(10)의 인증을 수행하고, 차량 제어모듈(30) 간에 인증된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생성한다.
단말 프로세서(12)는 단말 BLE 통신부(11)를 제어하여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게이트웨이(20)에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21), 게이트웨이 UWB 통신부(22) 및 게이트웨이 프로세서(23)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21)는 모바일 단말(10)과 차량 제어모듈(30) 중 적어도 하나와 BLE 통신을 수행한다.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21)는 모바일 단말(10)과의 BLE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10)로부터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전달받을 수 있다.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21)는 차량 제어모듈(30)과의 BLE 통신을 통해 UWB 인증키를 교환한다.
게이트웨이 UWB 통신부(22)는 차량 제어모듈(30)과 UWB 통신을 수행하여 게이트웨이(2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게이트웨이 프로세서(23)는 모바일 단말(10)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21)를 통해 모바일 단말(10)의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전달받는다.
게이트웨이 프로세서(23)는 해당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이용하여 차량 제어모듈(30)과의 UWB 통신을 위해 세션을 생성하기 위한 UWB 인증키를 생성한다.
게이트웨이 프로세서(23)는 생성된 UWB 인증키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 UWB 통신부(22)를 통해 차량 제어모듈(30)과 게이트웨이(2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프로세서(23)는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21)를 통해 모바일 단말(10)과의 BLE 통신에 따른 BLE 신호의 세기를 통해 게이트웨이(20)와 모바일 단말(10)의 거리를 측정하여 차량 제어모듈(30)에 전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모듈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제어모듈(30)은 차량 BLE 통신부(31), 차량 UWB 통신부(32), 및 차량 프로세서(33)를 포함한다.
차량 BLE 통신부(31)는 모바일 단말(10)과 게이트웨이(20) 중 적어도 하나와 BLE 통신을 수행한다.
차량 BLE 통신부(31)는 모바일 단말(10)과 BLE 통신을 통해 인증 정보를 송수신한다. 또한, 차량 BLE 통신부(31)는 게이트웨이(20)와 BLE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20)로부터 게이트웨이(20)와 모바일 단말(10) 간의 거리를 전달받는다.
차량 UWB 통신부(32)는 게이트웨이(20)와 UWB 통신을 수행하여 게이트웨이(2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차량 UWB 통신부(32)는 차량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UWB 통신부(32)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시간차에 따라 게이트웨이(2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차량 프로세서(33)는 모바일 단말(10)과 차량 BLE 통신부(31)를 통해 인증 정보를 송수신하여 모바일 단말(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후, 차량 프로세서(33)는 게이트웨이(20)와의 UWB 통신을 위한 UWB 인증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UWB 인증키를 이용하여 차량 UWB 통신부(32)를 통해 게이트웨이(20)와 게이트웨이(2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게이트웨이(20)의 위치를 측정한다.
즉, 차량 프로세서(33)는 게이트웨이(20)와의 UWB 통신을 위한 UWB 인증키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20)와 UWB 통신을 이용한 레인징 세션을 구성하고 시간 동기화를 수행한 후, UWB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차량 프로세서(33)는 게이트웨이(20)와의 UWB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20)로 송신되는 정보와 게이트웨이(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ToF(Time Of Flight)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게이트웨이(20)의 거리를 측정한다.
한편, 차량 UWB 통신부(32)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프로세서(33)는 차량 UWB 통신부(32)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게이트웨이(20)와의 거리를 복수 개 산출하고, 이들 복수 개의 게이트웨이(20)와의 거리를 통해 게이트웨이(20)의 위치를 측정한다.
차량 프로세서(33)는 측정된 게이트웨이(20)의 위치에 따라 차량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차량 프로세서(33)는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거나 차량의 엔진 시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차량 제어 동작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차량 프로세서(33)는 차량 BLE 통신부(31)를 통해 게이트웨이(20)로부터 게이트웨이(20)와 모바일 단말(10) 간의 거리를 전달받을 수 있다. 차량 프로세서(33)는 게이트웨이(20)와 모바일 단말(10) 간의 거리가 제1 설정거리, 예컨대 1m 이내이면 차량 동작을 제어하고, 제1 설정거리 이내가 아니면 차량 동작을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차량 프로세서(33)는 차량 BLE 통신부(31)를 통해 모바일 단말(10)과의 BLE 통신을 수행하고, 이 경우 RSSI 기능을 이용하여 BLE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이 BLE 신호의 세기를 통해 모바일 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차량 프로세서(33)는 차량과 모바일 단말(10)과의 거리가 제2 설정거리, 예컨대 3m 이내이면 차량 동작을 제어하고, 제2 설정거리 이내가 아니면 차량 동작을 제어하지 않는다.
더욱이, 차량 프로세서(33)는 게이트웨이(20)와 모바일 단말(10) 간의 거리가 제1 설정거리 이내이고, 차량과 모바일 단말(10)과의 거리가 제2 설정거리 이내인 경우를 모두 만족하면 차량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흐름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차량 프로세서(33)는 모바일 단말(10)과 BLE 통신을 통해 인증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때, 차량 프로세서(33)는 모바일 단말(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모바일 단말(10)의 인증을 수행(도 7의 ①)한다(S100).
모바일 단말(10)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단말 프로세서(12)는 BLE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20)에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전달(S200)하여 공유(도 7의 ②)한다.
이에 따라, 게이트웨이 프로세서(23)는 BLE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10)의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전달받고, 이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이용하여 차량 프로세서(33)와의 UWB 통신을 위해 세션을 생성하기 위한 UWB 인증키를 생성한다.
한편, 차량 프로세서(33)는 게이트웨이 프로세서(23)와의 UWB 통신을 위한 UWB 인증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UWB 인증키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20)와 UWB 통신을 이용한 레인징 세션을 구성하고 시간 동기화를 수행한 후, UWB 통신을 수행하여 게이트웨이(2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도 7의 ③)한다(S300).
이때, 차량 프로세서(33)는 게이트웨이(20)와의 UWB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20)로 송신되는 정보와 게이트웨이(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ToF(Time Of Flight)를 측정(S400)하고, 이를 통해 게이트웨이(20)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 경우, 차량 프로세서(33)는 차량 UWB 통신부(32)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게이트웨이(20)와의 거리를 복수 개 산출하고, 이들 복수 개의 게이트웨이(20)와의 거리를 통해 게이트웨이(20)의 위치를 측정한다.
이에 따라, 차량 프로세서(33)는 게이트웨이(20)의 위치에 따라 차량 동작을 제어한다(S500). 예컨대, 차량 프로세서(33)는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거나 차량의 엔진 시동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프로세서(33)는 게이트웨이(20)와 모바일 단말(10) 간의 거리 또는 차량과 모바일 단말(10) 간의 거리에 따라 차량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차량 프로세서(33)는 BLE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20)로부터 게이트웨이(20)와 모바일 단말(10) 간의 거리를 전달받고, 게이트웨이(20)와 모바일 단말(10) 간의 거리가 제1 설정거리 이내인지 판단한다(S410).
S410에서의 판단 결과 게이트웨이(20)와 모바일 단말(10) 간의 거리가 제1 설정거리 이내이면, 차량 프로세서(33)는 모바일 단말(10)과 BLE 통신을 수행하고, 이때 BLE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차량 프로세서(33)는 차량과 모바일 단말(10)과의 거리가 제2 설정거리 이내인지 판단한다(S420).
S420에서의 판단 결과 차량과 모바일 단말(10)과의 거리가 제2 설정거리 이내이며, 차량 프로세서(33)는 차량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모바일 단말과 차량이 BLE 통신으로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이 게이트웨이와 UWB 통신을 수행하여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고 이 게이트웨이의 위치에 따라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모바일 단말 11: 단말 BLE 통신부
12: 단말 프로세서 20: 게이트웨이
21: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 22: 게이트웨이 UWB 통신부
23: 게이트웨이 프로세서 30: 차량 제어모듈
31: 차량 BLE 통신부 32: 차량 UWB 통신부
33: 차량 프로세서

Claims (13)

  1. 게이트웨이; 및
    차량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모바일 단말과 상기 차량 제어모듈 간의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통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인증 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 UWB(Ultra-Wide Band)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차량 제어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과 BLE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와 UWB 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차량 제어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BLE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 UWB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UWB 통신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의 UWB 통신을 위한 UWB 인증키를 생성하며, 상기 UWB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UWB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 송수신하는 게이트웨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프로세서는
    상기 BLE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BLE 통신에 따른 BLE 신호의 세기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차량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게이트웨이 중 적어도 하나와 BLE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 BLE 통신부;
    상기 게이트웨이와 UWB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 UWB 통신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차량 BLE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과 BLE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와의 UWB 통신을 위한 UWB 인증키를 생성하며, 상기 UWB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UWB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와 송수신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BLE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게이트웨이의 거리를 전달받고,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게이트웨이의 거리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BLE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여 차량과 상기 모바일 단말의 거리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모바일 단말과 차량 제어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BLE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 UWB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UWB 통신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의 UWB 통신을 위한 UWB 인증키를 생성하며, 상기 UWB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UWB 통신부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 송수신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프로세서는
    상기 게이트웨이 BLE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BLE 통신에 따른 BLE 신호의 세기를 통해 게이트웨이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차량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9. 차량 제어모듈이 모바일 단말과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 게이트웨이가 UWB(Ultra-Wide Band)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제어모듈이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 게이트웨이가 UWB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BLE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모바일 단말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의 UWB 통신을 위한 UWB 인증키를 생성하며, 상기 UWB 인증키를 이용하여 UWB 통신을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차량 제어모듈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모듈이 상기 게이트웨이의 위치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모듈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게이트웨이의 거리를 전달받고,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게이트웨이의 거리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모듈이 BLE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모바일 단말의 거리를 측정하고, 차량과 상기 모바일 단말의 거리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220077254A 2022-06-24 2022-06-24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40000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254A KR20240000733A (ko) 2022-06-24 2022-06-24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254A KR20240000733A (ko) 2022-06-24 2022-06-24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733A true KR20240000733A (ko) 2024-01-03

Family

ID=8953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254A KR20240000733A (ko) 2022-06-24 2022-06-24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7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9561A1 (en) Smart lock unlock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US110941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US11007977B2 (en) Passive entry/passive start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s
US10311661B2 (en) Device for controlling locking/unlocking and/or starting of a vehicle
US10202100B1 (en) Accessing a vehicle using portable devices
JP3944089B2 (ja) 認証処理システム、端末認証装置、認証処理方法及び認証処理プログラム
US95336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egating control of vehicle features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JP7053216B2 (ja) 車両操作装置および車両システム
JP4186440B2 (ja) 車両搭載機器の制御システム、携帯電話機、及び車両搭載機器の制御方法
JP4068512B2 (ja) 通信装置、携帯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5174012A1 (ja) 電子キーシステム
US20090096575A1 (en) Vehicle remote access and control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gateway
KR102659794B1 (ko) 차량, 전자식 차량 무선 키 및 차량에 대한 패시브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이들을 위한 방법
US10706650B2 (en) Key unit,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JP7414158B2 (ja) 車両パッシブアクセスシステムのモバイルアクセスデバイスのための適応型ble及びuwbベースの接続レート制御
KR102354169B1 (ko) 차량의 스마트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9155864A (ja) 車両無線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1936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the sender of a frequency hopping radio signal
CN114842576A (zh) 锁定装置及该锁定装置的控制方法
KR20240000733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1071204A (zh) 移动体控制系统、移动体控制装置、以及移动体控制方法
JP6654258B2 (ja) 認証システム、携帯機、登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322029A1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real-time location
JP2008106577A (ja) パッシブ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WO2021118214A1 (ko) 운전석 주변에 모듈 형태로 장착되는 음파 통신을 이용한 차량 개폐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