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845A -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845A
KR20040069845A KR1020030006398A KR20030006398A KR20040069845A KR 20040069845 A KR20040069845 A KR 20040069845A KR 1020030006398 A KR1020030006398 A KR 1020030006398A KR 20030006398 A KR20030006398 A KR 20030006398A KR 20040069845 A KR20040069845 A KR 20040069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etching
metal layer
semiconductor device
e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2011B1 (ko
Inventor
김백원
Original Assignee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6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011B1/ko
Publication of KR20040069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5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 H01L21/32136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using plasm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798Further details of plasma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J37/3244 - H01J37/32788; special provision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 H01J37/32853Hygiene
    • H01J37/32862In situ cleaning of vessels and/or intern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건식 식각 과정에서 생성되는 폴리머들이 챔버 내벽에 안정적으로 증착되도록 하여 파티클 발생에 의한 결함과 금속층 잔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식각 챔버 내부를 습식 세정하는 단계; 챔버 내부를 건식 식각이 진행되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일정 시간 가열하여 챔버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챔버 내부에 금속층과 식각 베리어가 형성된 웨이퍼를 로딩하는 단계; 챔버 내부에 채워진 식각 가스에 전원을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킴으로써 금속층을 식각하여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FABRIC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토레지스트를 식각 베리어로 사용하여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건식 식각 공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 과정 중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은 수직 방향으로 등방성 식각이 가능한 건식 식각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건식 식각 방법에 따르면, 챔버 내부에 채워진 식각 가스에 전원을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킴으로써 원하는 형태의 금속 배선을 형성하게 된다.
금속 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대부분의 건식 식각 공정에서는 전술한 플라즈마발생을 위해 Cl2및 BCl3와 같은 식각 가스를 사용하며, 이 가스가 금속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과 반응하면서 폴리머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식각 과정에서 생성되는 폴리머는 펌프에 의해 챔버 위부로 펌핑되거나, 챔버 내벽에 증착되는 형태로 제거되어 금속층의 식각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련의 건식 식각 공정을 진행한 다음 챔버(1) 내부를 습식 세정하면, 세정 후 챔버(1) 내부에 잔존하는 습기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챔버(1) 내벽에 수분(2)이 남아있게 된다.
이와 같이 챔버(1) 내벽에 수분(2)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금속층(3) 위에 식각 베리어(4)가 패터닝된 웨이퍼(5)를 투입하고, 챔버(1) 내부에 채워진 식각 가스를 이용해 건식 식각을 진행하면, 식각 과정에서 생성되는 폴리머가 상기 수분에 의해 챔버(1) 내벽에 불안정한 상태로 증착되는 결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1) 내벽에 불안정한 상태로 증착된 폴리머(6)의 일부가 식각 중 웨이퍼(5) 위로 떨어져 파티클(7)로 남게 된다.
그 결과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티클(7)에 의한 결함 또는 파티클(7)에 의해 가려진 금속층(3)이 식각되지 않고 잔류하는 식각 불량을 일으켜 금속 배선의 쇼트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이로서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과 반도체 소자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 식각 과정에서 생성되는 폴리머들이 챔버 내벽에 안정적으로 증착되도록 하여 파티클 발생에 의한 결함과 금속층 잔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도 1c는 종래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각 챔버 내부를 습식 세정하는 단계와, 챔버 내부를 건식 식각이 진행되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일정 시간 가열하여 챔버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와, 챔버 내부에 금속층과 식각 베리어가 형성된 웨이퍼를 로딩하는 단계와, 챔버 내부에 채워진 식각 가스에 전원을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킴으로써 금속층을 식각하여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챔버 내부를 가열할 때에는 100∼120℃ 온도에서 10∼30분 동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챔버에 웨이퍼를 로딩하기 전, 시즈닝 작업을 통해 챔버 내벽에 다량의 폴리머를 증착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련의 웨이퍼들(미도시)에 대한 건식 식각 공정을 완료한 후 웨이퍼를 챔버(11)로부터 언로딩하고, 챔버(11) 내부를 습식 세정한다. 습식 세정 후에는 도시하지 않은 펌프를 이용해 챔버(11) 내부에 잔존하는 습기를 챔버(11) 외부로 배기시킨다. 그러나 전술한 배기 작업에도 불구하고, 챔버(11) 내벽에는 일정량의 수분(12)이 잔존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11) 내부를 일정 시간, 바람직하게 10분∼30분 동안 가열하여 챔버(11)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는데, 이 때 챔버(11)의 가열 온도는 건식 식각이 진행되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하며, 일례로 100∼120℃의 온도로 챔버(11)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챔버(11) 내부를 식각 공정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일정 시간 가열함으로써 챔버(11)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 특히 챔버(11) 내벽에 부착되어 응고된 수분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이어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11) 내부에 금속층(13)과 식각 베리어(14)가 형성된 웨이퍼(15)를 로딩한다. 상기 금속층(13)은 금속 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금속층(13) 위에는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식각 베리어(14)가 위치하며, 식각 베리어(14)는 노광 및 현상을 이용한 공지의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해 임의의 패턴으로 완성된다.
다음으로 챔버(11) 내부에 채워진 식각 가스(Cl2또는 BCl3)에 전원을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킴으로써 식각 베리어(14)를 통해 노출된 금속층(13)의 일부를 식각으로 제거한다. 이러한 금속층(13)의 식각 과정에서 식각 가스와 알루미늄과의 반응에 의해 폴리머가 생성되고, 챔버(11) 내벽에 폴리머들(16)이 증착된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가열 작업을 통해 챔버(11) 내벽에 잔존하는 수분을 모두 제거하였기 때문에, 식각 과정에서 생성된 폴리머들은 챔버(11) 내벽에 안정된 상태로 증착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챔버(11) 내벽에 증착된 폴리머들(16)이 낙하하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라즈마를 이용해 금속층(13)을 식각한 다음, 식각 베리어(14)를 박리하여 제거하면,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배선(17)이 완성된다. 금속 배선(17)이 완성된 웨이퍼(15)는 챔버(11)로부터 언로딩되고, 전술한 공정을 이용해 다음 웨이퍼에 대한 건식 식각 과정을 진행한다.
한편, 전술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챔버(11) 내부를 가열하여 습기를 제거한 다음, 금속층(13)에 대한 건식 식각 공정을 진행하기 전, 시즈닝(seasoning) 작업을 진행하여 챔버(11) 내벽에 다량의 폴리머를 증착함으로써 챔버(11) 내부를 안정된 분위기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식각 과정에서 생성되는 폴리머들이 챔버 내벽에 안정적으로 증착됨에 따라, 파티클 발생에 의한 결함과 금속층 잔류 현상과 같은 식각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과 반도체 소자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Claims (3)

  1. 식각 챔버 내부를 습식 세정하는 단계;
    상기 챔버 내부를 건식 식각이 진행되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일정 시간 가열하여 챔버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챔버 내부에 금속층과 식각 베리어가 형성된 웨이퍼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챔버 내부에 채워진 식각 가스에 전원을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킴으로써 금속층을 식각하여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부를 가열할 때에는 100∼120℃ 온도에서 10∼30분 동안 가열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웨이퍼를 로딩하기 전, 시즈닝 작업을 통해 챔버 내벽에 다량의 폴리머를 증착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3-0006398A 2003-01-30 2003-01-30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72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398A KR100472011B1 (ko) 2003-01-30 2003-01-30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398A KR100472011B1 (ko) 2003-01-30 2003-01-30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845A true KR20040069845A (ko) 2004-08-06
KR100472011B1 KR100472011B1 (ko) 2005-03-10

Family

ID=3735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398A KR100472011B1 (ko) 2003-01-30 2003-01-30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354B1 (ko) * 2006-06-05 2009-08-28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Pecvd막에 대한 1차 웨이퍼 효과 제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381B1 (ko) 2013-03-15 2020-10-08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폴리머 관리를 통한 에칭 시스템의 생산성 개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354B1 (ko) * 2006-06-05 2009-08-28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Pecvd막에 대한 1차 웨이퍼 효과 제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2011B1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2493B2 (ja) フォトレジストおよびエッチング残渣の除去方法
JPH11260785A (ja) フォトレジスト材料とエッチング残留物の除去方法
TW202234140A (zh) 極紫外光(euv)光阻的圖案化顯影方法
JP2006148122A (ja) 半導体基板上の金属構造から残留物を除去するための方法
US20070093069A1 (en) Purge process after dry etching
JP2004517470A (ja) バイア形成工程において発生するエッチング残渣を除去する方法
JP200302307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
KR10047201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20060205232A1 (en) Film treatment method preventing blocked etch of low-K dielectrics
JPH06232098A (ja) 酸化防止方法および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JP2005302897A (ja) ハードエッチングマスクの除去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493165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214739B1 (en) Method of metal etching with in-situ plasma cleaning
US6660642B2 (en) Toxic residual gas removal by non-reactive ion sputtering
US751435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5899748A (en) Method for anchoring via/contact in semiconductor devices and devices formed
JP4559565B2 (ja) 金属配線の形成方法
JP349676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33901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reduced connection failure between wiring layers
CN104051322B (zh) 一种制作半导体器件的方法
JP311304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226875B2 (en) Method for enhancing FSG film stability
JPH05109673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52285B1 (ko) 포토레지스트 잔여물 제거 방법
KR100332647B1 (ko) 반도체소자의콘택홀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