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278A -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69278A KR20040069278A KR1020040005030A KR20040005030A KR20040069278A KR 20040069278 A KR20040069278 A KR 20040069278A KR 1020040005030 A KR1020040005030 A KR 1020040005030A KR 20040005030 A KR20040005030 A KR 20040005030A KR 20040069278 A KR20040069278 A KR 200400692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itted fabric
- press felt
- dimensional knitted
- dimensional
- wetlan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3/02—Wet presses
- D21F3/0209—Wet presses with extended press nip
- D21F3/0218—Shoe presses
- D21F3/0227—Belts or sleeve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3/02—Wet presses
- D21F3/029—Wet presses using special water-receiving belt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D21F7/083—Multi-layer fel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Papermaking press fel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707—Woven fabric 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other than paper
- Y10T442/3724—Needled
- Y10T442/3732—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88—Including an additional knit fabric layer
Landscapes
- Paper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압축회복성이 우수하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서 그 압축회복성이 높은 레벨을 유지할 수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초지용 프레스펠트(10)는 기체(20), 섬유집합체(30) 및 입체편물층(40)으로 구성된다. 이 초지용 프레스펠트(10)는 습지접촉면(11)과 기계접촉면(12)을 구비하고 있다. 입체편물층(40)의 배치형태로서는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을 접촉시키는 경우,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 사이에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키는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입체편물층(40)을 초지용 프레스펠트 내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지속성이 우수한 압축회복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지기계에 사용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이하 단순히 「펠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초지공정의 프레스파트에 있어서는 습지로부터 수분을 착수하기 위하여, 초지용 프레스펠트가 사용되고 있다.
초지공정의 프레스파트에 있어서 프레스부의 개략을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장치는, 한 쌍의 프레스롤러(PR, PR)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스부(PP)내에서 단일 펠트(10A)에 의해 습지(WW)로부터 수분을 착수하는 것이다.
한편, 도 18에 도시하는 장치는, 프레스부(PP)내에서, 2매의 펠트(10A, 10A)에 의해 습지(WW)를 협지하는 것에 의해, 습지(WW)로부터 수분을 착수하는 구조다.
또한, 도 19에는, 프레스롤러(PR)와 수지제 벨트(SB)를 개재시킨 프레스 슈우(PS)에 의해 프레스부(PP)를 구성한 장치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도 2매의 펠트(10A, 10A)에 의해 습지(WW)로부터 수분을 착수한다.
상기 도 17 내지 도 19의 어느 경우라도 펠트(10A)는 회전하는 프레스롤러(PR)에 연동 회전하는 것에 의해 구동되고, 프레스부(PP)내 에서 가압된다.
다음으로, 도 20에 의거하여 일반적인 펠트의 구조를 설명한다.
펠트(10A)는 무단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펠트(10A)는 직포 등에 의해 펠트 전체의 강도를 발현시키는 기체(20A)와 기체(20A)에 연결된 섬유집합체(30A)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펠트(1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습지와 접촉한 상태로 프레스부(PP)내로 돌입한다. 그래서 펠트(10A)는 프레스부(PP)에서 가압에 의해 압축되고, 프레스부 탈출 후 다시 압축되기 전의 상태로 회복한다.
여기서, 가령 펠트(10A)가 프레스부(PP)내로 돌입할 때 압축되지 않으면, 습지(WW)가 프레스 압력을 강하게 받아 파손 등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펠트에 요구되는 기능으로서 압축성 및 압축회복성이 요구되었다.
특히, 근년의 초지속도의 고속화에 따라서 펠트의 구동속도나 프레스 압력이 각각 고속, 고속화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펠트의 사용 환경이 점점 더 가혹한 것으로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펠트의 수명을 길게 하기 위하여 상술한 압축회복기능을 지속시키는 것이 과제로 되어 있다.
그래서 압축회복성의 지속을 목적으로 한 구조의 제안이 종래로부터 행하여지고 있다.
그 하나로서, 사재를 직제하여 만든 기포와 기포에 스테이플 화이버를 니들펀칭하여 연결하는 것에 의해 구성한 초지용 프레스펠트가 있다(예, 특허문헌1 참조).
이것은 기포의 사재 또는 스테이플 화이버로써, 탄성을 갖는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탄성섬유로서는 폴리아미드로 된 하드세그멘트와 폴리에테르로 된 소프트세그멘트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블록코폴리마로 된 섬유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압축회복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기포와 스테이플 화이버 이외의 구성을 초지용 프레스펠트 내에 배치하는 구성도 제안되고 있다(예, 특허문헌2 참조). 이 펠트에 있어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A)가 직포(20A1)만 으로 되지 않고, 열가소성수지망 성형체 시트(20A2)와 합성고무재료에 의해 완전히 포위된 마르티 필라멘트로 되는 보강사(20A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등록 251450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 2001-50416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구조로서는, 기포와 스테이플 화이버로 이루어진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구조자체가 종래로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가 없었다. 즉, 프레스 압력에 의한 압축이 계속 반복하여 가해져서 스테이플 화이버 사이에 형성된 공극이 찌부러져 버리고, 나아가서는 압축회복성이 저하했다.
또한, 도 21에 보인 특허문헌 2의 구성에 있어서는, 탄성이 있는구성[시트(20A2), 보강사(20A3)]을 갖는 것으로 두께의 지속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 「탄성이 있는 구성」은 비교적 압축되기 어려운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압축회복성」이라고 하는 의미로는 「탄성이 있는 구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도 20의 구성과 그다지 다름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압축회복성이 우수하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서 그 압축회복성이 높은 레벨을 유지할 수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입체편물의 배치형태의 설명
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입체편물의 배치형태의 설명
도,
도 3a 내지 도 3d는 발명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입체편물의 배치형태의 설명
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입체편물의 배치형태의 설
명도,
도 5는 본 발명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입체편물의 배치형태의 설명도,
도 6은 입체편물의 사시도,
도 7은 입체편물의 측면도,
도 8은 입체편물의 편지의 평면도,
도 9는 입체편물의 편지의 평면도,
도 10은 입체편물의 측면도,
도 11은 입체편물의 측면도,
도 12는 입체편물의 배치방법의 설명도,
도 13은 입체편물의 배치방법의 설명도,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단면도,
도 15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대하여, 압축회복성 및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의 개요도,
도 16은 도 15의 장치에 의하여 평가한 결과를 보인 도면,
도 17은 초지공정의 프레스 파트에 있어서 프레스부의 개요도,
도 18은 초지공정의 프레스 파트에 있어서 프레스부의 개요도,
도 19는 초지공정의 프레스 파트에 있어서 프레스부의 개요도,
도 20은 종래의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단면도,
도 21은 종래의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초지용 프레스펠트
11 : 습지접촉면
12 : 기계접촉면
20 : 기체
30 : 섬유집합체
40 : 입체편물층
42 : 입체편물
44, 46 : 편지
48 : 연결사
본 발명은 기체와, 섬유집합체를 갖고,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을 구비한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있어서, 2매의 편지(編地)와 이 2매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되는 입체편물층을 상기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의 어느 쪽에도 간격을 갖는 것을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의해 상기의 과제를 해결했다.
또한, 청구항 11, 12는 이와 같은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지용 프레스펠트 중에 한 쌍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되는 입체편물층을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압축회복성이 우수하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서 그 압축회복성이 높은 레벨을 유지할 수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프레스펠트의 실시형태를, 도 6 내지 도 13에 의하여 설명한다.도 6은 입체편직물의 사시도, 도 7은 입체편직물의 측면도이다. 입체편직물(42)은 제1편지(44)와 제2편지(46), 이들 제1편지(44)와 제2편지(46)를 연결하는 연결사(48)를 갖고 있다.
편의상 도 6 및 도 7에 있어서는, 제1편지(44)를 연속하는 검은 구슬로, 제2편지(46)를 연속하는 흰 구슬로 표현하고 있다.
입체편직물(42)의 구조 그 자체로서는, 예를 들어 특개소 61-31241호, 특개평 2-229247호, 특개 2001-234456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주지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및 제2편지로서는 도 8에 도시한 6각 메시나 도 9에 보인 마름모꼴 메시 등을 적의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연결사(48)의 구성으로서도 각종의 구성을 선택할 수가 있다. 즉, 도 10에 도시하는 제1편지와 제2편지를 거의 평행한 연결사(48)로 연결하는 구조나, 도 11에서 도시하는 연결사(48)가 교차하는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입체편물층(40)을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지속성이 우수한 압축회복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왜냐하면, 입체편직물(42)은 두께방향으로 배열된 연결사(48)가 제1 및 제2편지(44, 46)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부하에 의해 입체편직물(42)이 압축된 경우라도, 부하가 해제되면 연결사(48)가 두께방향의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압축회복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즉, 입체편물층(40)이 배치된 초지용 프레스펠트는, 펠트 전체에 있어서 「압축회복 효과가 높은 구성이 점하는 비율」이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늘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지용 프레스펠트는 압축회복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고 있다.
여기서, 연결사(48)로서는 내굴곡피로성이 우수한 나이론의 모노필라멘트가 좋고, 또한 10~500 d tex의 섬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체편직물은 100~800 g/㎡, 바람직하게는 300~600 g/㎡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a 내지 도 5에 따라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대한 구체적인 입체편물층(40)의 배치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초지용 프레스펠트(10)는 기체(20), 섬유집합체(30) 및 입체편물층(40)으로 구성된다. 그래서 초지용 프레스펠트(10)는 습지접촉면(11)과 기계접촉면(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입체편물층(40)의 배치형태로서는 다양한 구성을 적의 선택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a와 도 1b에 보인 것과 같이, 기체(20)와 습지접촉면(11)과의 사이에 입체편물층(40)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을 접촉시켜도,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 사이에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도 2a와 도 2b에 보인 것과 같이, 기체(20)와 기계접촉면(12)과의 사이에 입체편물층(40)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을 접촉시켜도,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 사이에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기체(20, 20)를 갖는 초지용 프레스펠트(10)에 있어서도, 입체편물층(40)을 배치할 수가 있다. 이 때, 한 쪽의 기체(20)와 습지접촉면(11)과의 사이, 또는 타 쪽의 기체(20)와 기계접촉면(12)과의 사이에 입체편물층(40)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도 1a 내지 도 2b에서 설명한 구성을 적의 선택할 수가 있다.
한편, 기체(20, 20)사이에 입체편물층(40)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도 3a 내지 도 3d에 보인 구성을 채용할 수가 있다. 즉,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을 접촉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 사이에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지접촉면(11)측의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과의 사이에는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켜 기계접촉면(12)측의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을 접촉시키는 구조로 하여도 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지접촉면(11)측의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을 접촉시켜 기계접촉면(12)측의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과의 사이에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키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와 습지접촉면(11)사이에 또는 기체(20)와 기계접촉면(12)사이에 각각 입체편물층(40)을 배치할 수가 있다. 이 때,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각의 기체(20)와 각 각의 입체편물층(40)을 접촉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와 각 각의 입체편물층(40)사이에 각 각의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지접촉면(11)측의입체편물층(40)과 기체(20)와의 사이에는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켜 기계접촉면(12)측의 입체편물층(40)과 기체(20)를 접촉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과는 반대로,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지접촉면(11)측의 입체편물층(40)과 기체(20)를 접촉시켜 기계접촉면(12)측의 입체편물층(40)과 기체(20)와 의 사이에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키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와 습지접촉면(11) 또는 기체(20)와 기계접촉면(12)사이에 입체편물층을 복수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때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사이나 입체편물층(40)들 사이를 접촉시키던가 또는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키던가는 적의 선택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있어서는 각 종의 구성을 선택 ·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먼저 기계접촉면(12)측에 입체편물층(4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문제점과 대책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기계접촉면(12)에 당접하는 기계구성으로서 홈이 있는 롤러(그루브 롤러) 등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사용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있어서는, 기계접촉면(12)을 구성하는 섬유집합체의 섬유량을 증가시키는 등에 의하여 마모에 의한 입체편물층(40)의 노출 · 파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습식접촉면(11)측에 입체편물층(40)을 형성한 경우에는, 상술한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고 호적한 것으로 된다. 그러나 이 경우는 입체편물(42)의 편지가 습지로 전사하는 우려가 생긴다.
따라서 습식접촉면(11)측에 입체편물층(4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습식접촉면(11)을 구성하는 섬유집합체의 섬유량을 증가시키는, 편지의 눈을 촘촘하게 하는 등의 구성을 선택하여야 한다. 바람직한 구성으로서는 표편지(表編地)의 개공율이 50%이하이고, 또한, 섬유에 둘러싸여진 하나의 구멍의 크기가 0.03㎠ 이하이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도 3a 내지 도 3d와 같이 입체편물층(42)에 있어서, 습식접촉면(11)측 및 기계접촉면(12)측에 각 각 기체(20)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기계접촉면(12)의 마모문제나 습식접촉면(11)측의 전사문제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또한, 입체편물층(42)과 기체(20)와의 사이에 섬유집합체(30)가 배치한 구성에 있어서도, 이 섬유집합체(30)에 의해 입체편물층(40)과 기체(20)가 강고히 연결된다. 즉, 입체편물층(42)과 기체(20)와의 사이에 섬유집합체(30)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은, 이 개소에 섬유집합체(30)가 배치되어 있지 않는 구성에 비하여 보다 높은 강도의 구성으로 된다.
한편, 기체(20)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전체의 강도를 발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MD방향 사재와 CMD방향 사재를 직제하여 얻은 직포나 MD방향 사재와 CMD방향 사재를 직제하지 않고 중첩하여 얻은 구성, 유단상(有端狀)의 포체를 권회하여 얻는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섬유집합체(30)는 스테이플 화이버의 집합체이다.
이 섬유집합체(30)의 초지용 프레스펠트(10)에의 구체적인 배치형태에 있어서는 기체(20) 또는 입체편물층(40)상에 카딩장치에 의하여 스테이플 화이버를 적층하고 니들 펀칭에 의하여 결합 일체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스테이플 화이버의 집합체만을 니들 펀칭에 의하여 결합 일체화 시킨 부직포를 기체(20) 또는 입체편물층(40)상에 적치하고, 이 부직포와 기체(20) 또는 입체편물층(40)을 니들 펀칭에 의하여 결합 일체화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섬유집합체(30)를 접착에 의하여 기체(20) 또는 입체편물층(40)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기체(20), 섬유집합체(30) 및 입체편물(40)의 연결강도 등을 고려하면, 니들 펀칭에 의한 연결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입체편물(42)과 섬유집합체(30)를 니들 펀칭에 의하여 연결한 경우에는, 입체편물 내에 섬유가 들어가는 것으로 된다. 이때, 입체편물 내에 들어간 섬유량이 많으면 입체편물(40)의 연결사(48)가 발휘하는 작용, 효과가 감소한다.
따라서 입체편물 내에 들어가는 섬유량에 주의하여야 한다. 여기서, 구체적으로는 섬유가 들어간 상태의 입체편물(40)이라도 그 밀도가 0.1g/㎤ 이상 0.4g/㎤ 이하로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체편물(42)과 섬유집합체(30)를 니들 펀칭에 의하여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사(48)가 현저하게 만곡하거나, 절곡하거나 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조공정에 있어서, 입체편물층(40)의 배치형태이지만,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폭과 같은 폭의 유단상 입체편물을 권회하는 것에 의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유단상 입체편물(42)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12에 보인바와 같이, 2개의 롤러 상에 긴장된 무단상의 기체(20) 또는 섬유집합체(30)상에 입체편물(42)을 스파이럴 형상으로 배치하고, 서로 인접한 입체편물(42)들을 연결하는 것에 의해,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폭 방향으로 입체편물층(40)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예는, 입체편물(42)을 단독으로 배치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입체편물(42)을 배치한 공정 후에, 이 입체편물(42)상에 섬유집합체(30)를 연결하는 공정을 갖는다.
한편, 입체편물(42)을 기체(20)등에 배치하기 전의 공정으로서는, 입체편물(42)에 섬유집합체(30)를 연결하여 복합체를 얻는 공정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공정을 선택한 경우, 복합체를 기체 등의 상측에 배치,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이 복합체상에 섬유집합체(30)의 연결작업이 생략 또는 간소화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4a 내지 도 16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4a 내지 도 14e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을 도시한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단면도이다. 펠트(10)는 MD방향 사재와 CMD방향 사재를 직제하여 얻은 직포에 의해 구성된 기체(20)와 기체(20)에 접촉하여 연결된 입체편물층(40)과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에 니들 펀칭에 의해 결합 일체화 된 스테이플 화이버(30)에 의해 구성된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단면도이고,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펠트(10)는, 기본적으로는, 2매의 기체(20)와 2매의 기체(20)사이에 배치된 입체편물층(40)과 기체(20) 및 입체편물층(40)에 니들 펀칭에 의해 결합 일체화 된 스테이플 화이버(30)에 의해 구성된다.
이때,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입체편물(40)에 있어서 습지접촉면(11) 및 기체접촉면(12)측에 각각의 기체(20)가 직접 접촉하고 있다. 한편, 실시예 3에 있어서는, 입체편물(40)의 습지접촉면(11)측에 기체(20)가 직접 접촉하고 있다. 그러나
입체편물(40)의 습지접촉면(11)측과 이 습지접촉면(11)측에서 기체(20)와의 사이에는 섬유집합체(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d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의 단면도이다. 펠트(10B)는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성으로, 기체(20)와 기체(20)의 양면 측에 니들 펀칭에 의해 결합 일체화 된 스테이플 화이버(30)에 의해 구성된다.
도 14e는 본 발명의 비교예 2의 단면도이다. 펠트(10C)는 중첩된 2매의 기체(20, 20)와 기체(20, 20)의 양면 측에 니들 펀칭에 의해 연결된 스테이플 화이버(30)에 의해 구성된다. 이때, 니들 펀칭에 의해 들어간 스테이플 화이버에 의하여 2매의 기체는 연결된다.
여기에서, 실시예 1~3, 비교예 1, 비교예 2의 조건을 통일하기 위하여, 전 펠트(10, 10B, 10C)의 중량(g/㎡)을 동일하게 했다. 즉, 실시예 1~3에 있어서는 전부 동일한 입체편물(40)을 채용했다. 그래서 섬유집합체의 총 중량도 동일의 수치로 했다. 한편, 실시예 2, 3에 사용된 기체(20)는 전부 동일한 것으로 사용하고, 그 1매의 기체의 중량을, 실시예 1에 사용된 기체(20) 중량의 「1/2 수치」로 했다.
또한, 비교예 1의 펠트(10B)에 있어서는, 실시예의 입체편물(42)에 상당하는 중량의 섬유집합체(30)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실시예의 중량과 동일하게 했다. 또한, 비교예 2의 펠트(10C)에 있어서는, 한쪽의 기체(20) 및 섬유집합체(30)의 중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실시예의 중량과 동일하게 하고 있다.
한편,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에 있어서, 기체(20)와 섬유집합체(30)를 구성하는 스테이플 화이버로서는 전부 동일의 구성을 사용했다.
여기에서, 도 15에 도시한 실험장치에 의하여 제1의 실험을 행하였다. 즉, 제1의 실험에 있어서는 실시예 1~3, 비교예 1, 비교예 2의 펠트의 압축회복성과 지속성능의 비교를 행하였다.
도 15의 실험장치는 한 쌍의 프레스 롤러(PR, PR)와, 펠트에 일정의 장력을 가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GR)와 한 쌍의 프레스 롤러(PR, PR)에 의한 압력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의 펠트의 두께를 계측하는 제1센서(SE1)와 이 압력을 이탈한 직후의 펠트의 두께를 계측하는 제2센서(SE2)를 갖고 있다.
한 쌍의 프레스 롤러(PR, PR)에서, 상측 프레스 롤러(PR)는 회전함과 동시에 하측 프레스 롤러(PR)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해, 펠트(10, 10B, 10C)는 가이드 롤러(GR)에 지지됨과 동시에 프레스 롤러(PR, PR)의 회전에 따라 구동되게 된다. 실험장치의 구동조건은, 프레스압력이 100㎏/㎝, 펠트의구동속도가 1000 m/min 이고 120시간 계속하여 행하였다.
그래서 다음 식에 의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펠트 압축회복성능을 산출했다.
(t2-t1)/t1×100
t1센서 SE1에 의해, 닛프 가압 하에서의 펠트의 두께(㎜)이고, t2는 센서 SE1에 의해, 닛프 가압을 벗어난 직후의 펠트의 두께(㎜)이다.
실험으로 계측된 수치를 이 식에 대입하는 것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 1, 2의 펠트의 압축회복성능을 산출했다. 계측 시에는 실험개시 직후의 수치와, 실험종료 시의 수치를 각 각 구했다. 그래서 실험개시에 있어서의 비교예 1의 수치를 평점 3으로 했다. 그리고 이 평점 3을 기준으로 그것 이상이면 양호한 것으로 하고, 수치가 높을수록 좋은 평점으로 했다(평점4, 5). 한편, 그것 이하이면 불량한 것으로 하고, 수치가 낮을수록 나쁜 평점으로 했다(평점2, 1).
또한, 지속성능으로서 실험중의 펠트 밀도의 유지율, 압축회복성능의 유지율에 보다 평가했다. 비교예 1의 수치를 평점 3으로 했다. 그리고 이 평점 3을 기준으로 그것 이상이면 양호한 것으로 하고, 수치가 높을수록 좋은 평점으로 했다.(평점4, 5). 한편, 그것 이하이면 불량한 것으로 하고, 수치가 낮을수록 나쁜 평점으로 했다.(평점2, 1).
또한, 습지에 대한 파단(破斷)의 영향을 알기 위하여, 제 2의 실험을 행하였다. 이것은 상기 실험을 120시간 행한 펠트에 대하여 같은 실험 장치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즉, 실험장치의 프레스부에 비교적 얇은 습지(중량 40 g/㎡)를 통과시켜, 프레스 후에 회수한 습지를 눈으로 보아서 확인하는 것으로 실험을 행하였다.
이 때, 습지에 주름, 파손이 없는 것을 양호한 것으로 평가 ○을 했다. 이것에 반하여, 습지에 주름이 보인 것을 양간 불량으로서 △를, 파손이 보인 것을 불량한 것으로서 평가하여 ×를 했다.
본 실험은 습지가 손상되기 쉬운 상태로 한 경우의 실험으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헤아리는 데에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 3실험으로서, 기체(20)와 입체편물(40)의 연결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박리실험을 행하였다. 이것은 실시예 1~3, 비교예 1, 비교예 2에 대하여 이스트론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이 때, 비교예 2에 있어서, 기체(20)들의 박리강도에서의 수치를 3으로 하고, 수치가 높을수록 높은 평점을 했다. 한편, 수치가 낮을수록 낮은 평점을 했다.
그 결과를 도 16에 도시한다.
실험 1의 결과로부터, 비교예 1은 초기의 압축회복성이 우수하지만, 반복 가압에 대하여서는 압축회복성능 및 지속성능이 열등함이 확인됐다. 또한, 비교예 1은 초기의 압축회복성은 열등하지만, 반복 가압에 대하여서는 지속성능이 우수함이 확인됐다.
한편, 실시예 1~3에 있어서는 압축회복성능도 높은 레벨을 유지할 수 있고 반복 가압에 대한 지속성능도 우수하여, 초지용 프레스펠트로서 최적 특성을 갖고 있음이 확인됐다. 압축회복성이 우수한 것은 실시예 1이고, 지속성능이 우수한 것은 실시예 2 및 3인 것이 확인됐다. 이것은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대하여 입체편물이 점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실험 2에 있어서는, 전 실시예에서 습지에의 파단 영향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실시예 1~3 쪽이 비교예 1, 2보다 좋은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험 3에 있어서는, 실시예 2가 약간 열등하지만, 어느 실시예도 실용상 지장이 없는 박리강도를 갖는 것으로 확인 가능 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지용 프레스펠트 중에 2매의 편지(編地)와 연결사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입체편물층을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압축회복성능 및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 기체와, 섬유집합체를 갖고,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을 구비한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있어서, 2매의 편지와 이 2매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되는 입체편물층을 상기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의 어느 쪽에도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사가 모노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제 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편물층이 상기 기체로부터 보아서 상기 습지접촉면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제 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편물층이 상기 기체로부터 보아서 상기 기계접촉면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입체편물층이 상기 복수의 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편물층과 상기 기체가접촉하여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편물층과 상기 기체와의 사이에 상기 섬유집합체가 배치되어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제 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편물층과 상기 섬유집합체가 접착되어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제 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편물층과 상기 섬유집합체가 니들 펀칭에 의하여 일체화 되어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기체와, 섬유집합체를 갖고,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을 구비하고, 2매의 편지와 이 2매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되는 입체편물층을 상기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의 어느 쪽에도 간격을 갖고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초지용 프레스펠트 보다도 폭이 좁은 입체편물을 스파이럴 형상으로 권회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입체편물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제조방법.
- 기체와, 섬유집합체를 갖고,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을 구비하고, 2매의 편지와 이 2매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되는 입체편물층을 상기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의 어느 쪽에도 간격을 갖고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초지용 프레스펠트 보다도 폭이 좁은 입체편물을 동축상으로 권회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입체편물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제조방법.
- 기체와, 섬유집합체를 갖고,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을 구비하고, 2매의 편지와 이 2매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되는 입체편물층을 상기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의 어느 쪽에도 간격을 갖고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초지용 프레스펠트와 같은 폭의 입체편물층을 동축상으로 권회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입체편물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019362A JP2004232098A (ja) | 2003-01-28 | 2003-01-28 | 抄紙用プレスフェ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
JPJP-P-2003-00019362 | 2003-01-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69278A true KR20040069278A (ko) | 2004-08-05 |
Family
ID=3265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05030A KR20040069278A (ko) | 2003-01-28 | 2004-01-27 |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105077B2 (ko) |
EP (1) | EP1443146A1 (ko) |
JP (1) | JP2004232098A (ko) |
KR (1) | KR20040069278A (ko) |
CN (1) | CN100372998C (ko) |
CA (1) | CA2456022A1 (ko) |
TW (1) | TW20042245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8952B1 (ko) * | 2009-11-10 | 2011-06-03 | 이치가와 가부시키가이샤 | 초지용 프레스 펠트 및 초지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37270A (ja) * | 2004-07-26 | 2006-02-09 | Ichikawa Co Ltd | 抄紙用プレスフェ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
EP1775364A1 (en) * | 2004-07-27 | 2007-04-18 | Asahi Kasei Fibers Corporation | Three-dimensional knit fabric, interlining material and complex fabric |
JP2007009389A (ja) * | 2005-05-31 | 2007-01-18 | Ichikawa Co Ltd | スムージングプレス装置 |
DE102005045428A1 (de) * | 2005-09-23 | 2007-03-29 | Voith Patent Gmbh | Transferband |
US20070207691A1 (en) * | 2006-03-03 | 2007-09-06 | Thomas Cobbett Wiles | Needled three layered composite |
EP2895322B1 (en) * | 2013-04-19 | 2016-12-21 | AstenJohnson, Inc. | Seamed press felt including an elastic carrier layer and method of making |
WO2018064595A1 (en) | 2016-09-30 | 2018-04-05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Non-planar nonwoven fabric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US10385510B2 (en) * | 2016-11-16 | 2019-08-20 | Astenjohnson, Inc. | Seamless press felt with intermediate elastic carrier layer |
US11098450B2 (en) * | 2017-10-27 | 2021-08-24 | Albany International Corp. | Methods for making improved cellulosic products using novel press felt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64825C (fi) * | 1981-03-11 | 1986-12-01 | Cofpa | Pappersmaskinfilt speciellt foer dess vaotparti |
US4806413A (en) * | 1986-03-26 | 1989-02-21 | Asten Group, Inc. | Papermaker's felt containing scrim material |
DE3632386A1 (de) * | 1986-09-24 | 1988-04-07 | Heimbach Gmbh Thomas Josef | Maschinenfilz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
JP2847651B2 (ja) * | 1989-03-03 | 1999-01-20 | 旭化成工業株式会社 | 二重編地 |
SE468602B (sv) * | 1990-12-17 | 1993-02-15 | Albany Int Corp | Pressfilt samt saett att framstaella densamma |
JP2514509B2 (ja) | 1991-11-16 | 1996-07-10 | 飛島建設株式会社 | 探知素子自在設置装置 |
FR2727442B1 (fr) * | 1994-11-24 | 1997-01-03 | Cofpa | Feutre de papeterie pour partie humide de machine de fabrication de papier |
GB9713309D0 (en) | 1996-11-08 | 1997-08-27 | Scapa Group Plc | Papermachine clothing |
US5945357A (en) * | 1997-10-07 | 1999-08-31 | Wangner Systems Corporation | Multi-layer press fabric comprising looped, knit yarns woven in an upper layer of fabric |
GB9811082D0 (en) * | 1998-05-23 | 1998-07-22 | Scapa Group Plc | Improvements in phase-separation etc.members |
US6240608B1 (en) | 1999-04-12 | 2001-06-05 | Albany International Corp. | Method for joining nonwoven mesh products |
AT410682B (de) * | 1999-09-01 | 2003-06-25 | Huyck Austria | Textilmaschinenfilz |
JP4402241B2 (ja) * | 2000-02-22 | 2010-01-20 | 住江織物株式会社 | 三次元立体シート |
EP1209283B1 (de) * | 2000-11-23 | 2003-12-17 | Thomas Josef Heimba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Textilbahn, insbesondere Papiermaschinenbespannung |
-
2003
- 2003-01-28 JP JP2003019362A patent/JP2004232098A/ja active Pending
-
2004
- 2004-01-02 TW TW93100044A patent/TW200422456A/zh unknown
- 2004-01-13 CN CNB2004100006216A patent/CN10037299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1-26 US US10/764,847 patent/US710507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1-27 CA CA 2456022 patent/CA245602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01-27 KR KR1020040005030A patent/KR2004006927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1-28 EP EP20040250472 patent/EP1443146A1/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8952B1 (ko) * | 2009-11-10 | 2011-06-03 | 이치가와 가부시키가이샤 | 초지용 프레스 펠트 및 초지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443146A1 (en) | 2004-08-04 |
JP2004232098A (ja) | 2004-08-19 |
TW200422456A (en) | 2004-11-01 |
CA2456022A1 (en) | 2004-07-28 |
US20040173274A1 (en) | 2004-09-09 |
US7105077B2 (en) | 2006-09-12 |
CN100372998C (zh) | 2008-03-05 |
CN1517489A (zh) | 2004-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0069278A (ko) |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그 제조방법 | |
WO2008022034A2 (en) | Laterally flexible reinforced structure | |
EP2204492B1 (en) | Felt for papermaking | |
CA2066256C (en) | Press section dewatering fabric | |
CA2442440C (en) | Wet paper web transfer belt | |
KR20060009802A (ko) |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그 제조방법 | |
JP2010196206A (ja) | 抄紙用フェルト | |
KR100612637B1 (ko) | 슈 프레스용 벨트 및 그것을 사용한 슈 프레스 장치 | |
US20070084029A1 (en) | Paper machine belt | |
US8449723B2 (en) | Shoe press belt | |
US6979387B2 (en) | Doctor blade for removing water | |
ATE401452T1 (de) | Filz für die papierherstellung | |
KR20040004061A (ko) | 슈우프레스벨트 | |
US5135802A (en) | Absorber felt | |
JPH0229793B2 (ko) | ||
JP4852049B2 (ja) | プレスベルト | |
CN212771738U (zh) | 基于单丝型弹性体的造纸毛毯 | |
CN212889326U (zh) | 一种造纸压榨毛毯 | |
JP2003082594A (ja) | 製紙機械用ドライヤーフェルト | |
JP4332014B2 (ja) | 抄紙用プレスフェ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9068155A (ja) | 抄紙用フェル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