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9802A -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09802A KR20060009802A KR1020050007906A KR20050007906A KR20060009802A KR 20060009802 A KR20060009802 A KR 20060009802A KR 1020050007906 A KR1020050007906 A KR 1020050007906A KR 20050007906 A KR20050007906 A KR 20050007906A KR 20060009802 A KR20060009802 A KR 200600098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 felt
- knitted fabric
- dimensional knitted
- letters
- paperma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D21F7/083—Multi-layer felt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Papermaking press fel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5—Knit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knit pattern other than open knit fabric or a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is specifi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94—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other than paper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압축회복성 및 두께유지성이 우수한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초지용 프레스펠트(10)는 기체(20), 섬유집합체(30) 및 입체편물층(40)으로 구성된다. 이 초지용 프레스펠트(10)는 습지접촉면(11)과 기계접촉면(12)을 구비하고 있다. 입체편물층(40)은 2매의 편지(44, 46)와 이 2매의 편지(44, 46)를 연결하는 연결사(48)로 구성되며, 습지접촉면(11)과 기계접촉면(12)의 어느 것에도 간경을 두고 배치된다. 이 연결사(48)의 적어도 일부가 2매의 편지(44, 46)를 비스듬히 연결하는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사가 비스듬히 배열되어 있지 않는 입체편물층의 설치에 비하여 압축회복성이 우수하고, 장시간에 걸쳐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초지용 프레스펠트, 습지접촉면, 기계접촉면, 기체, 섬유집합체, 입체편물층, 입체편물, 편지, 연결사
Description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입체편물의 배치형태의
설명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입체편물의 배치형태의
설명도,
도 3a 내지 도 3d는 발명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입체편물의 배치형태의
설명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입체편물의 배치형태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입체편물의 배치형태의 설명도,
도 6a는 입체편물의 사시도,
도 6b는 도 6a를 화살표 b로부터 본 측면도,
도 6c는 도 6a를 화살표 c로부터 본 측면도,
도 7은 입체편물의 측면도,
도 8은 입체편물의 편지의 평면도,
도 9는 입체편물의 편지의 평면도,
도 10은 입체편물의 배치방법의 설명도,
도 11은 입체편물의 배치방법의 설명도,
도 12a와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단면도,
도 13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대하여, 압축회복성 및
두께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의 개요도,
도 14는 초지공정의 프레스 파트에 있어서 프레스부의 개략도,
도 15는 초지공정의 프레스 파트에 있어서 프레스부의 개략도,
도 16은 초지공정의 프레스 파트에 있어서 프레스부의 개략도,
도 17은 종래의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단면도,
도 18은 종래의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사시도,
도 19는 종래의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설치된 입체편물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초지용 프레스펠트
11 : 습지접촉면
12 : 기계접촉면
20 : 기체
30 : 섬유집합체
40 : 입체편물층
42 : 입체편물
44, 46 : 편지
48, 48A, 48B : 연결사
본 발명은 초지기계에 사용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이하 단순히 「펠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초지공정의 프레스파트에 있어서는 습지로부터 수분을 착수하도록, 초지용 프레스펠트가 사용되고 있다.
초지공정의 프레스파트에 있어서 프레스부의 개략을 도 14도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장치는, 한 쌍의 프레스롤러(PR, PR)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스부(PP)내에서 단일 펠트(10A)에 의해 습지(WW)로부터 수분을 착수한다.
한편, 도 15에 도시하는 장치는, 프레스부(PP)내에서, 2매의 펠트(10A, 10A)에 의해 습지(WW)를 협지하는 것에 의해, 습지(WW)로부터 수분을 착수하는 구조다.
또한, 도 16에는, 프레스롤러(PR)와 수지제 벨트(SB)를 개재시킨 프레스 슈우(PS)에 의해 프레스부(PP)를 구성한 장치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도 2매의 펠트(10A, 10A)에 의해 습지(WW)로부터 수분을 착수한다.
상기 도 14 ~ 도 16의 어느 경우라도 펠트(10A)는 회전하는 프레스롤러(PR)에 연동 회전하는 것에 의해 구동되고, 프레스부(PP)내 에서 가압된다.
다음으로, 도 17에 의거하여 일반적인 펠트의 구조를 설명한다.
펠트(10A)는 무단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펠트(10A)는 직포 등에 의해 펠트 전체의 강도를 발현시키는 기체(20A)와 기체(20A)에 연결된 섬유집합체(30A)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펠트(1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습지와 접촉한 상태로 프레스부(PP)내로 돌입한다. 그래서 펠트(10A)는 프레스부(PP)에서 가압에 의해 압축되고, 프레스부 탈출 후 다시 압축되기 전의 상태로 회복된다.
여기서, 가령 펠트(10A)가 프레스부(PP)내로 돌입할 때 압축되지 않으면, 습지(WW)가 프레스 압력을 강하게 받아 파손 등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펠트에 요구되는 기능으로서 압축성 및 압축회복성이 요구되었다.
특히, 근년의 초지속도의 고속화에 따라서 펠트의 구동속도나 프레스 압력이 각각 고속, 고압화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펠트의 사용 환경이 점점 더 가혹한 것으로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펠트의 수명을 길게 하기 위하여 상술한 압축회복기능을 지속시켜서 두께를 유지시키는 것이 과제로 되어 있다.
그래서 압축회복성을 지속시켜서 두께를 유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구조의 제안이 종래로부터 행하여지고 있다.
그 하나로서, 사재를 직제하여 만든 기포와 기포에 스테이플 화이버를 니들펀칭하여 연결하는 것에 의해 구성한 초지용 프레스펠트가 있다(예, 특허문헌1 참조).
이것은 기포의 사재 또는 스테이플 화이버로써, 탄성을 갖는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탄성섬유로서는 폴리아미드로 된 하드세그멘트와 폴리에테르 성분으로 된 소프트세그멘트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블록코폴리마로 된 섬유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압축회복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기포와 스테이플 화이버 이외의 구성을 초지용 프레스펠트 내에 배치하는 구성도 제안되고 있다(예, 특허문헌2 참조). 이 펠트에 있어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A)가 직포(20A1)만 으로 되지 않고, 열가소성수지망 성형체 시트(20A2)와 합성고무재료에 의해 완전히 포위된 마르티 필라멘트로 되는 보강사(20A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2매의 편지(44A, 46A)와, 2매의 편지(44A, 46A)를 연결하는 연결사(48A)로 되는 입체편물층을 설치한 초지용 프레스펠트가 있다. 이 연결사(48A)는 2매의 편지(44A, 46A)의 마주보는 표편목(表編目)과 이편목(裏編目)을 연결하며, 2매의 편지(44A, 46A)는 이 연결사(48A)에 지지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입체편물을 구성하는 것으로, 부하에 의하여 입체편물이 압축된 경우에도 부하가 제거되면 연결사(48A)가 두께방향의 본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압축성 및 두께유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등록 251450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 2001-50416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구조로서는, 기포와 스테이플 화이버로 이루어진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구조자체가 종래로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가 없었다. 즉, 프레스 압력에 의한 압축이 계속 반복하여 가해져서 스테이플화이버 사이에 형성된 공극이 찌부러져 버리고, 나아가서는 압축회복성이 저하했다.
또한, 도 18에 보인 특허문헌 2의 구성에 있어서는, 탄성이 있는 구성(시트(20A2), 보강사(20A3)〕을 갖는 것으로 두께의 지속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 「탄성이 있는 구성」은 비교적 압축되기 어려운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압축회복성」이라고 하는 의미로는 「탄성이 있는 구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도 17의 구성과 그다지 다름이 없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편물층을 설치한 초지용 프레스펠트는 압축회복성 및 두께유지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도 19의 연결사(48A)는 2매의 편지(44A, 46A) 사이에서 단순히 마주보는 표편목(表編目)과 이편목(裏編目)을 연결하여 있는 것뿐이기 때문에 가압될 때에 연결사를 편목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넘어트리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여 연결사가 일 방향으로 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충분한 탄성이 얻어지지 않아서, 펠트의 압축회복성 및 두께유지성을 충분히 만족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이 연결사의 넘어트림이 펠트의 폭 방향으로 생긴 경우 프레스 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의 흔들림이 생기는 문제가 인지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압축회복성 및 두께유지성이 우수한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체와, 섬유집합체를 갖고,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을 구비한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있어서, 2매의 편지(編地)와 이 2매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되는 입체편물층을 상기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의 어느 쪽에도 간격을 갖고, 상기 연결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2매의 편지를 비스듬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의해 상기의 과제를 해결했다.
본 발명의 포인트는 펠트 내에 배치된 입체편물의 층에서 표면, 이면의 편목을 연결하는 연결사에 경사방향으로 배치된 연결사가 있으며, 이 경사된 연결사가 마주보는 편목을 연결하는 연결사가 외력에 의하여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작용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입체편물의 층을 펠트 내에 배치하는 것으로 압축회복성 및 두께유지성이 우수한 초지용 프레스펠트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청구항 11 ~ 청구항 13은 이와 같은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펠트 내에 배치되는 입체편물의 연결사의 적어도 일부를 표면, 이면 편지의 마주보는 편목에서 떨어진 웨일이나 코스 열의 편목을 비스듬하게 연결하는 구성에 의하여 연결사의 무너짐을 방지하는 것으로, 연결사가 비스듬하게 배열되어 있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압축회복성이 우수하고 또한, 장시간에 걸쳐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사가 넘어지려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연결사가 비스듬하게 배열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인지되었던 프레스 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의 흔들림도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먼저 도 6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입체편물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6a는 입체편직물의 사시도, 도 6b는 도 6a를 화살표 방향으로 본 측면도, 도 6c는 도 6a를 화살표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입체편직물(42)은 제1편지(44)와 제2편지(46), 이들 제1편지(44)와 제2편지(46)를 연결하는 연결사(48)를 갖고 있다. 즉, 입체편직물(42)에 있어서는, 연결사(48)가 제1편지(44)와 제2편지(46)의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입체편직물(42)을 구성하는 제1편지(44)와 제2편지(46)라는 것은 각각 직포의 길이방향의 편목열(웨일)과 폭 방향의 편목열(코스)로 짜여 있다. 연결사(48)는 2매의 편지(44)(46)의 마주보는 표편목과 이편목을 연결하는 연결사(48A)와, 표, 이편목의 마주하는 편목에서 떨어진 웨일과 코스열의 편목을 지주에 연결하는 연결사(48B)로 구성되어 있다.
편의상 도 6a 내지 도 6c에 있어서는, 제1편지(44)를 연속하는 검은 구슬로, 제2편지(46)를 연속하는 흰 구슬로 표현하고 있다.
입체편직물(42)의 구조 그 자체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개소 61-31241호, 특개평 2-74648호, 특개평 2-229247호, 특개 2001-234456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주지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및 제2편지로서는 도 8에 도시한 6 각 메시나 도 9에 보인 마름모꼴 메시 등을 적의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비스듬하게 연결하는 연결사의 배치 등에 있어서도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도 7에 보시한 바와 같이, 연결사(48)를 지주에 연결하는 연결사 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입체편물층(40)을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압축회복성 및 두께유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왜냐하면, 입체편직물(42)은 두께방향으로 비스듬히 배열된 연결사(48)가 제1 및 제2편지(44, 46)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부하에 의해 입체편직물(42)이 압축된 경우라도, 부하가 해제되면 연결사(48)가 두께방향의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압축회복성 및 두께유지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특히, 연결사(48)의 일부를 제1편지(44)와 제2편지(46)의 사이에 비스듬하게 배열하는 것으로, 연결사를 비스듬하게 배열하지 않는 것에 비하여 압축회복성 및 두께유지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고 있다.
즉, 입체편물층(40)이 배치된 초지용 프레스펠트는, 펠트 전체에 있어서 「압축회복 효과가 높은 구성이 점하는 비율」이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늘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지용 프레스펠트는 압축회복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고 있다.
연결사(48)의 일부를 비스듬하게 배열하여 제1편지(44)와 제2편지(46)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압축 시에 연결사의 넘어짐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연결사를 비스듬하게 배열하지 않는 입체편물을 배치한 펠트에서 보여진 프레스 롤러의 축방향의 떨림을 억제할 수가 있었다.
여기서, 연결사(48)로서는 내굴곡피로성이 우수한 나이론의 모노필라멘트가 좋고, 또한 50~500 dtex의 섬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체편직물은 100~800 g/㎡, 바람직하게는 300~600 g/㎡의 평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따라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대한 구체적인 입체편물층(40)의 배치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초지용 프레스펠트(10)는 기체(20), 섬유집합체(30) 및 입체편물층(40)으로 구성된다. 그래서 초지용 프레스펠트(10)는 습지접촉면(11)과 기계접촉면(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입체편물층(40)의 배치형태로서는 다양한 구성을 적의 선택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보인 것과 같이, 기체(20)와 습지접촉면(11)과의 사이에 입체편물층(40)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을 접촉시켜도,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 사이에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보인 것과 같이, 기체(20)와 기계접촉면(12)과의 사이에 입체편물층(40)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을 접촉시켜도,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 사이에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기체(20, 20)를 갖는 초지용 프레스펠트(10)에 있어서도, 입체편물층(40)을 배치할 수가 있다. 이 때, 한 쪽의 기체(20)와 습지접촉면(11)과의 사이, 또는 타 쪽의 기체(20)와 기계접촉면(12)과의 사이에 입체편물층(40)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도 1a 내지 도 2b에서 설명한 구성을 적의 선택할 수가 있다.
한편, 기체(20, 20)사이에 입체편물층(40)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도 3a 내지 도 3d에 보인 구성을 채용할 수가 있다. 즉,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각의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을 접촉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 사이에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지접촉면(11)측의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과의 사이에는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켜 기계접촉면(12)측의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을 접촉시키는 구조로 하여도 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지접촉면(11)측의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을 접촉시켜 기계접촉면(12)측의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과의 사이에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키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와 습지접촉면(11)사이에 또는 기체(20)와 기계접촉면(12)사이에 각각 입체편물층(40)을 배치할 수가 있다. 이 때,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각의 기체(20)와 각 각의 입체편물층(40)을 접촉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와 각 각의 입체편물층(40)사이에 각 각의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지접촉면(11)측의 입체편물층(40)과 기체(20)와의 사이에는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켜 기계접촉면(12)측의 입 체편물층(40)과 기체(20)를 접촉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과는 반대로,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지접촉면(11)측의 입체편물층(40)과 기체(20)를 접촉시켜 기계접촉면(12)측의 입체편물층(40)과 기체(20)와 의 사이에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키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0)와 습지접촉면(11) 또는 기체(20)와 기계접촉면(12)사이에 입체편물층을 복수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때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사이나 입체편물층(40)들 사이를 접촉시키든가 또는 섬유집합체(30)를 개재시키던가는 적의 선택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있어서는 각 종의 구성을 선택 ·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먼저 기계접촉면(12)측에 입체편물층(4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문제점과 대책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기계접촉면(12)에 당접하는 기계구성으로서 홈이 있는 롤러(그루브 롤러)등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사용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있어서는, 기계접촉면(12)을 구성하는 섬유집합체의 섬유량을 증가시키는 등에 의하여 마모에 의한 입체편물층(40)의 노출 · 파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한편, 습식접촉면(11)측에 입체편물층(40)을 형성한 경우에는, 상술한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고 호적한 것으로 된다. 그러나 이 경우는 입체편물(42)의 편지가 습지로 전사하는 우려가 생긴다.
따라서 습식접촉면(11)측에 입체편물층(4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습식접촉면(11)을 구성하는 섬유집합체의 섬유량을 증가시키는, 편지의 눈을 촘촘하게 하는 등의 구성을 선택하여야 한다. 바람직한 구성으로서는 표편지(表編地)의 개공율이 50%이하이고, 또한, 섬유에 둘러싸여진 하나의 구멍의 크기가 0.03㎠ 이하이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도 3a 내지 도 3d와 같이 입체편물층(42)에 있어서, 습식접촉면(11)측 및 기계접촉면(12)측에 각 각 기체(20)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기계접촉면(12)의 마모문제나 습식접촉면(11)측의 전사문제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또한, 입체편물층(40)과 기체(20)와의 사이에 섬유집합체(30)가 배치한 구성에 있어서도, 이 섬유집합체(30)에 의해 입체편물층(40)과 기체(20)가 강고히 연결된다. 즉, 입체편물층(40)과 기체(20)와의 사이에 섬유집합체(30)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은, 이 개소에 섬유집합체(30)가 배치되어 있지 않는 구성에 비하여 보다 높은 강도의 구성으로 된다.
한편, 기체(20)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전체의 강도를 발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MD방향 사재와 CMD방향 사재를 직제하여 얻은 직포나 MD방향 사재와 CMD방향 사재를 직제하지 않고 중첩하여 얻은 구성, 유단상(有端狀)의 포체를 권회하여 얻는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섬유집합체(30)는 스테이플 화이버의 집합체이다.
이 섬유집합체(30)의 초지용 프레스펠트(10)에의 구체적인 배치형태에 있어서는 기체(20) 또는 입체편물층(40)상에 스테이플 화이버를 적층하고 니들 펀칭에 의하여 결합 일체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스테이플 화이버의 집합체만을 니들 펀칭에 의하여 결합 일체화 시킨 부직포를 기체(20) 또는 입체편물층(40)상에 적치하고, 이 부직포와 기체(20) 또는 입체편물층(40)을 니들 펀칭에 의하여 결합 일체화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섬유집합체(30)를 접착에 의하여 기체(20) 또는 입체편물층(40)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기체(20), 섬유집합체(30) 및 입체편물(42)의 연결강도 등을 고려하면, 니들 펀칭에 의한 연결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입체편물(42)과 섬유집합체(30)를 니들 펀칭에 의하여 연결한 경우에는, 입체편물 내에 섬유가 들어가는 것으로 된다. 이때, 입체편물 내에 들어간 섬유량이 많으면 입체편물(40)의 연결사(48)가 발휘하는 작용, 효과가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펠트 전체가 발휘하는 압축회복성 및 그 지속성(두께유지성)의 작용, 효과가 감소한다.
따라서 입체편물(42) 내에 들어가는 섬유량에 주의 하여야 한다. 여기서, 구체적으로는 섬유가 들어간 상태의 입체편물(42)이라도 그 밀도가 0.1g/㎤ 이상 0.4g/㎤ 이하로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체편물(42)과 섬유집합체(30)를 니들 펀칭에 의하여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사(48)가 현저하게 만곡하거나, 절곡하거나 하지 않도록 주의 하여야 한다. 또한, 제조공정에 있어서, 입체편물층(40)의 배치형태이지만,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폭과 같은 폭의 유단상 입체편물을 권회하는 것에 의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유단상 입체편물(42)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10에 보인바와 같이, 2개의 롤러 상에 긴장된 무단상의 기체(20) 또는 섬유집합체(30)상에 입체편물(42)을 스파이럴 형상으로 배치하고, 서로 인접한 입체편물(42)들을 연결하는 것에 의해,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폭 방향으로 입체편물층(40)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입체편물(42)을 동축상으로 권회하여 무단상으로 한 것을, 병열하는 것에 의하여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폭 방향으로 입체편물층(42)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예는, 입체편물(42)을 단독으로 배치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입체편물(42)을 배치한 공정 후에, 이 입체편물(42)상에 섬유집합체(30)를 연결하는 공정을 갖는다.
한편, 입체편물(42)을 기체(20)등에 배치하기 전의 공정으로서는, 입체편물(42)에 섬유집합체(30)를 연결하여 복합체를 얻는 공정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공정을 선택한 경우, 복합체를 기체 등의 상측에 배치,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이 복합체상에 섬유집합체(30)의 연결작업이 생략 또는 간소화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2 및 도 13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2a 및 도 12b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도시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펠트(10) 는 MD방향 사재와 CMD방향 사재를 직제하여 얻은 직포에 의해 구성된 기체(20)와, 기체(20)에 접촉하여 연결된 입체편물층(40)과 기체(20)와 입체편물층(40)에 니들 펀칭에 의해 결합 일체화 된 스테이플 화이버(30)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입체편물층(40)을 2매의 편지와 2매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하여, 연결사의 일부를 2매의 편지 사이에서 비스듬이 배열하고, 2매의 편지를 멀티 필리멘트로 구성하고 연결사를 모노 필라멘트로 구성했다. 연결사 중, 표면, 이면 편지의 마주보는 편목을 연결한 것과 비스듬이 연결한 것의 수의 비율의 거의 1:1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기본적 펠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고, 입체편물층의 2매의 편지 및 연결사를 모두 모노 필라멘트로 구성했다.
비교예 1은, 기본적 펠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고, 입체편물층의 연결사의 전부를 2매의 편지 사이에서 비스듬하게 연결하지 않고 거의 평행으로 배열하여 2매의 편지를 멀티 필라멘트로 구성했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비교예 2의 단면도이다. 비교예 2의 펠트(10B)는 중첩된 2매의 기체(20),(20)와 이 2매의 기체(20),(20)의 양면 측에 니들 펀칭에 의해 결합 일체화 된 스테이플 화이버(30)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니들 펀칭에 의해 들어간 스테이플 화이버에 의하여 2매의 기체는 연결된다.
여기에서, 실시예 1, 2, 비교예 1, 2의 조건을 통일하기 위하여, 전 펠트의 평량(g/㎡)을 동일하게 했다.
또한, 비교예 2의 펠트(10B)에 있어서는, 한쪽의 기체(20) 및 섬유집합체(30)의 중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실시예1, 2, 비교예 1의 평량과 동일하게 하 고 있다.
한편, 실시예 1, 2, 비교예 1, 2에 있어서, 기체(20)와 섬유집합체(30)를 구성하는 스테이플 화이버로서는 전부 동일의 구성을 사용했다.
여기에서, 도 13에 도시한 실험장치에 의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즉, 이 실험에 있어서는 실시예 1, 2 비교예 1, 2의 펠트의 압축회복성과 두께유지성, 프레스 롤러의 가압방향 및 축방향의 진동 및 누수성을 조사했다.
도 13의 실험장치는 한 쌍의 프레스 롤러(PR, PR)와, 펠트에 일정의 장력을 가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GR)와 한 쌍의 프레스 롤러(PR, PR)에 의한 압력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의 펠트의 두께를 계측하는 제1센서(SE1)와 이 압력을 이탈한 직후의 펠트의 두께를 계측하는 제2센서(SE2)를 갖고 있다.
한 쌍의 프레스 롤러(PR, PR)에서, 상측 프레스 롤러(PR)는 회전함과 동시에 하측 프레스 롤러(PR)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해, 펠트(10, 10B)는 가이드 롤러(GR)에 지지됨과 동시에 프레스 롤러(PR, PR)의 회전에 따라 구동되게 된다.
실험장치의 구동조건은, 프레스압력이 100㎏/㎝, 펠트의 구동속도가 1000 m/min 이고 120시간 계속하여 행하였다.
그래서 다음 식에 의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펠트 압축회복성능을 산출했다.
(t2-t1)/t1×100
상기 식에서, t1은 센서 SE1에 의해, 닛프 가압 하에서의 펠트의 두께(㎜)이 고, t2는 센서 SE1에 의해, 닛프 가압을 벗어난 직후의 펠트의 두께(㎜)이다.
실험으로 계측된 수치를 이 식에 대입하는 것으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펠트의 압축회복성능을 산출했다. 계측 시에는 실험개시 직후의 수치와, 실험종료 시의 수치를 각 각 구했다. 그래서 실험개시에 있어서의 비교예 1의 수치를 100으로 하고 이 수치를 기준으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2의 압축회복성능을 상대적으로 평가했다. 그래서 이 100을 기준으로 그것 이상이면 양호한 것으로 하고, 수치가 낮은 만큼 불량으로 했다.
또한, 다음 식에 의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펠트의 두께유지성을 산출했다.
u2/u1×100
상기 식에서, u1은 실험 개시 시의 펠트의 두께(㎜)이고, u2는 실험 종료 시의 펠트의 두께(㎜)이고, 모두 센서 SE2에 의해, 닛프 가압을 벗어난 직후의 펠트의 두께(㎜)이다.
실험으로 계측된 수치를 이 식에 대입하는 것으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펠트의 두께유지성을 산출했다. 그래서 실험개시에 있어서의 비교예 1의 수치를 100으로 하고 이 수치를 기준으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2의 두께유지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했다. 그래서 이 100을 기준으로 그것 이상이면 양호한 것으로 하고, 수치가 낮은 만큼 불량으로 했다.
또한, 프레스 파트에 있어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펠트의 진동을 측정했다. 측정은, 실험 개시 시에 진동 측정장치(川鐵어드반테크제 Mk-300형)를 사용했고, 펠트의 진동으로서, 프레스롤러의 가압방향 및 축방향의 2개의 진동치(중력가속도 G)를 측정했다.
또한, 가압하에 있어서, 일정의 수분이 펠트를 투과하는 시간을 계측하고, 그 역수를 구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펠트의 누수성을 산출했다. 계측시에는 실험 개시 직후의 수치와 종료 시의 수치를 각 각 구했다. 그래서 비교예 1의 누수성을 100으로 하고 이 수치를 기준으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2의 누수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했다.
이들의 결과를 표 1에 보인다.
이들 실험에 의해, 실시예 1, 2에 있어서는, 압축회복성능도 높은 레벨을 유지할 수 있고, 반복 가압에 대한 두께유지성도 우수하여, 초지용 프레스펠트로서 최적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실시예 2가 누수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됐지만, 이것은 실시예 2의 입체편물층의 2매의 편지 및 연결사를 모노 필라멘트로 구성했기 때문이라고 판단 되어 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사의 적어도 일부를 2매의 편지 사이에서 비스듬하게 배열한 입체편물층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사가 비스듬하게 배열되어 있지 않는 입체편물층을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압축회복성이 우수하고 또한, 장시간에 걸쳐서 두께를 유지할 구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사의 적어도 일부를 비스듬하게 배열하고, 2매의 편지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것으로 압축 시에 연결사가 넘어지려는 것을 방지하고, 비스듬하게 배열한 연결사를 갖지 않는 입체편물층을 배치한 펠트에서 보여진 프레스 롤러의 축방향의 떨림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 기체와, 섬유집합체를 갖고,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을 구비한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있어서, 2매의 편지와 이 2매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되는 입체편물층을 상기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의 어느 쪽에도 간격을 갖고, 상기 연결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2매의 편지를 비스듬히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사가 모노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매의 편지가 모노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편물층이 상기 기체로부터 보아서 상기 습지접촉면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편물층이 상기 기체로부터 보아서 상기 기계접촉면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 스펠트.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입체편물층이 상기 복수의 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편물층과 상기 기체가 접촉하여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편물층과 상기 기체와의 사이에 상기 섬유집합체가 배치되어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편물층과 상기 섬유집합체가 접착되어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편물층과 상기 섬유집합체가 니들 펀칭에 의하여 일체화 되어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 기체와, 섬유집합체를 갖고,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을 구비하고, 2매의 편지와 이 2매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되는 입체편물층을 상기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의 어느 쪽에도 간격을 갖고, 상기 연결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2매 의 편지를 비스듬히 연결하고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초지용 프레스펠트 보다도 폭이 좁은 입체편물을 스파이럴 형상으로 권회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입체편물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제조방법.
- 기체와, 섬유집합체를 갖고,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을 구비하고, 2매의 편지와 이 2매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되는 입체편물층을 상기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의 어느 쪽에도 간격을 갖고, 상기 연결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2매의 편지를 비스듬히 연결하고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초지용 프레스펠트 보다도 폭이 좁은 입체편물을 동축상으로 권회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입체편물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제조방법.
- 기체와, 섬유집합체를 갖고,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을 구비하고, 2매의 편지와 이 2매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되는 입체편물층을 상기 습지접촉면과 기계접촉면의 어느 쪽에도 간격을 갖고, 상기 연결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2매의 편지를 비스듬히 연결하고 있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초지용 프레스펠트와 같은 폭의 입체편물층을 동축상으로 권회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입체편물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217489A JP2006037270A (ja) | 2004-07-26 | 2004-07-26 | 抄紙用プレスフェ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
JPJP-P-2004-00217489 | 2004-07-2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9802A true KR20060009802A (ko) | 2006-02-01 |
Family
ID=3521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7906A KR20060009802A (ko) | 2004-07-26 | 2005-01-28 |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381665B2 (ko) |
EP (1) | EP1621667A3 (ko) |
JP (1) | JP2006037270A (ko) |
KR (1) | KR20060009802A (ko) |
CN (1) | CN1727574A (ko) |
CA (1) | CA2491768A1 (ko) |
TW (1) | TW20060440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12007510U1 (de) * | 2012-08-03 | 2012-08-13 | J.H. Ziegler Gmbh | Schichtaufbau für ein Sitzpolster |
KR20180134855A (ko) | 2016-02-11 | 2018-12-19 | 스트럭?드 아이, 엘엘씨 | 제지 기계를 위한 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벨트 또는 직물 |
US11098450B2 (en) | 2017-10-27 | 2021-08-24 | Albany International Corp. | Methods for making improved cellulosic products using novel press felt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
DE102018114748A1 (de) | 2018-06-20 | 2019-12-24 | Voith Patent Gmbh | Laminierte Papiermaschinenbespannung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90406A (en) * | 1961-02-23 | 1963-05-21 | Raymond Dev Ind Inc | Woven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
FI64825C (fi) * | 1981-03-11 | 1986-12-01 | Cofpa | Pappersmaskinfilt speciellt foer dess vaotparti |
JPS5970000U (ja) * | 1982-10-29 | 1984-05-12 | 市川毛織株式会社 | 製紙用無端ニ−ドルフエルト |
JP2847651B2 (ja) * | 1989-03-03 | 1999-01-20 | 旭化成工業株式会社 | 二重編地 |
FR2727442B1 (fr) * | 1994-11-24 | 1997-01-03 | Cofpa | Feutre de papeterie pour partie humide de machine de fabrication de papier |
US6240608B1 (en) * | 1999-04-12 | 2001-06-05 | Albany International Corp. | Method for joining nonwoven mesh products |
AU5951799A (en) * | 1999-07-09 | 2001-01-11 | Albany International Corp. | Multi-axial press fabric with angular web |
AT410682B (de) * | 1999-09-01 | 2003-06-25 | Huyck Austria | Textilmaschinenfilz |
JP4402241B2 (ja) * | 2000-02-22 | 2010-01-20 | 住江織物株式会社 | 三次元立体シート |
JP2002004190A (ja) * | 2000-06-19 | 2002-01-09 | Ichikawa Woolen Textile Co Ltd | 抄紙用フェルト |
JP2004232098A (ja) * | 2003-01-28 | 2004-08-19 | Ichikawa Woolen Textile Co Ltd | 抄紙用プレスフェ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
-
2004
- 2004-07-26 JP JP2004217489A patent/JP2006037270A/ja active Pending
-
2005
- 2005-01-10 CA CA 2491768 patent/CA249176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01-10 US US11/032,583 patent/US738166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1-21 EP EP20050001190 patent/EP1621667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5-01-24 TW TW094101962A patent/TW200604406A/zh unknown
- 2005-01-28 KR KR1020050007906A patent/KR2006000980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5-01-31 CN CNA2005100050463A patent/CN1727574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621667A3 (en) | 2006-09-27 |
TW200604406A (en) | 2006-02-01 |
CA2491768A1 (en) | 2006-01-26 |
CN1727574A (zh) | 2006-02-01 |
US7381665B2 (en) | 2008-06-03 |
US20060016572A1 (en) | 2006-01-26 |
EP1621667A2 (en) | 2006-02-01 |
JP2006037270A (ja) | 2006-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34064C2 (ru) | Сверхэластичная ткань | |
KR101600921B1 (ko) | 초고탄력 직물 | |
EP1085124A2 (en) | Web transfer belt and production process for the same | |
EP2096206A1 (en) | Wet paper conveyance belt | |
KR101006295B1 (ko) |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초지용 프레스장치 | |
KR20140004727A (ko) | 초레질리언스 직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EP0186900B1 (en) | Multilayered press felt | |
KR20060009802A (ko) |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그 제조방법 | |
KR20040069278A (ko) |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그 제조방법 | |
EP2204492B1 (en) | Felt for papermaking | |
KR20050060025A (ko) |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초지용 프레스장치 | |
US20040065528A1 (en) | Wet paper web transfer belt | |
EP1956139A1 (en) | Paper machine clothing with auxetic fibers and/or yarns | |
MXPA01008340A (es) | Fieltro para uso en una maquina para elaborar papel. | |
EP0549917A1 (en) | Absorbing felt | |
CA2070303C (en) | Absorber felt | |
EP1067238A3 (en) | Multi-axial press fabric | |
EP2759637A1 (en) | Press Felt For Papermaking | |
KR100528370B1 (ko) | 다층 다공성 직물 | |
CA1158903A (en) | Needle punched papermaking fel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050004697A (ko) | 초지용 펠트 | |
JP4566484B2 (ja) | 製紙機械用ドライヤーフェルト | |
CN212889326U (zh) | 一种造纸压榨毛毯 | |
US20030181117A1 (en) | Doctor blade for removing water | |
CN111806034A (zh) | 一种造纸压榨毛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