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5718A -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 Google Patents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5718A
KR20040065718A KR1020030002869A KR20030002869A KR20040065718A KR 20040065718 A KR20040065718 A KR 20040065718A KR 1020030002869 A KR1020030002869 A KR 1020030002869A KR 20030002869 A KR20030002869 A KR 20030002869A KR 20040065718 A KR20040065718 A KR 2004006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re
insert core
insert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0028B1 (ko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2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028B1/ko
Publication of KR2004006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2045/44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the movable undercut forming element for ejection of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45/332Mountings or guides therefor; Driv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058Underc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금형의 형개에 따른 제품의 취출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캐비티 블럭과; 캐비티 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형판과; 캐비티 블럭과 대향하여 설치되는 코어 블럭과; 캐비티 블럭과 코어 블럭의 사이에 개재되는 인서트 코어와; 코어 블럭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페이서 블럭과; 스페이서 블럭 내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젝터 플레이트와; 코어 블럭에 삽입되는 이젝터 핀; 및 캐비티 블럭 내에서 상단은 고정형판에 고정되고 하단은 인서트 코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인서트코어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캐비티 블럭의 형개시 인서트코어 고정장치가 인서트 코어의 상면을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여 인서트코어의 상측 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금형의 형개시 인서트 코어가 제품과 함께 캐비티 블럭측으로 딸려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젝트 핀만으로도 제품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Structure of a injection metalic mold having an advanced product ejection}
본 발명은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의 형개에 따른 제품의 취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더 컷(Under cut)이란 사출금형에서 기본 금형의 단순 개형만으로 제품을 취출하기 곤란한 오목한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언더 컷 구조를 갖는 제품을 사출 성형하는 사출금형의 한 예가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10-0201559호(1999.6.15)의 종래기술로서 기재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캐비티 블럭(Cavity Block;15)을 중앙에 형성한 캐비티 플레이트(10)와, 상기 캐비티 블럭(15)과 대향되는 코어블럭(Core block;16)을 형성한 코어 플레이트(11)와, 상기 코어 플레이트(11)에 대각선상으로 삽입되고 단부가 제품성형부(22)에 위치하는 경사코어(16)와, 상기 코어 플레이트(11)에 직선상으로 삽입되고 단부가 제품성형부(22)에 위치하는 이젝터 핀(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3)은 스페이스 블럭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캐비티 플레이트(10)와 코어 플레이트(11)를 닫고, 게이트를 통하여 성형 재료를 제품성형부(22)에 주입하고, 제품(23)의 성형이 완료되면 캐비티 플레이트(10)와 코어 플레이트(11)를 분리하고, 동시에 코어 플레이트(11)와 리테인너 플레이트(14)의 간격만큼 이젝터 플레이트(13)가 전진하면 이젝터 핀(21)에 의하여 제품이 분리되고, 경사코어(16)가 코어 플레이트(11)에 경사면에서 가이드되어 제품(22)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한편, 종래의 또 다른 사출금형의 한 예로서, 예컨대,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되는 오디오 트레이(Audio Tray) 제품을 성형할 경우, 인서트 코어(Insert core)를 적용하여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출금형 구조가 도 1b에 보여지고 있다.
도 1b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캐비티 블럭(30)과, 캐비티 블럭(30)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형판(32), 캐비티 블럭(30)과 대향하여 설치되는 코어 블럭(34)과, 캐비티 블럭(30)과 코어 블럭(34)의 사이에 설치되는 인서트 코어(36)와, 코어 블럭(34) 하부에 설치되는 스페이서 블럭(38)과, 스페이서 블럭(38) 내에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젝터 플레이트(39a)(39b)와, 일단은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39a)(39b)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품(46)측에 위치하도록 코어 블럭(34)에 직선상으로 설치되는 이젝터 핀(4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캐비티 블럭(30)과 코어 블럭(34)을 닫고 수지 주입부(44)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제품성형부(45)에 주입하게 되면 소정형상의 제품(46)이 성형된다.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제품(46)이 경화되면, 캐비티 블럭(30)과 코어 블럭(34)을 분리한 후, 인서트 코어(36)를 제품(46)으로부터 빼내고, 다음으로 이젝터 플레이트(39a)(39b)를 스페이서 블럭(38) 내에서 상방으로 전진하여 이젝터 핀(42)을 통해 제품(46)을 취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사출금형 구조는 성형이 완료된 제품(46)의 취출을 위해 캐비티 블럭(30)과 코어 블럭(34)을 분리시키는 경우, 인서트 코어(36) 및 제품(46)이 코어 블럭(34)측에 고정되지 않고 캐비티 블럭(30)측으로 함께 딸려 나오게 되어 제품(46)의 취출작업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인서트 코어 대신 경사코어를 적용하게 되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코어(48)의 상단은 제품(46)의 언더 컷 부위와 맞물려 있고 그 하단은 이젝터 플레이트(39a)상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제품(46)의 성형 완료후 캐비티 블럭(30)이 코어 블럭(34)으로부터 분리될 경우에도 제품(46)이 캐비티 블럭(30)측으로 딸려 나가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경사코어(48)를 적용하여 제품(46)을 취출하는 경우에는 경사코어(48)의 적절한 경사각(θ) 설정이 매우 중요한데, 만일, 제품(46)의 (A)폭이 어느 한도 이상으로 짧아지게 되면 경사코어(48)의 경사각(θ)이 커지게 되어 경사코어(48)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기 힘들다.
반면, 제품(46)의 (B)폭이 어느 한도 이상으로 길어지게 되면 상기와 반대로 경사코어(48)의 경사각(θ)이 작아지게 되므로 양쪽 경사코어(48)의 하단부가 서로중첩되거나 이젝터 핀(48)과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 또한 경사코어(48)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제품(46)의 취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이 종래의 인서트 코어를 대체하여 경사코어(48)를 적용하는 경우 경사코어(48)의 제작에 따른 금형의 가공 및 제작일정이 길어지고 금형 자체의 구조 또한 복잡해지기 때문에, 결국, 완성제품의 비용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서트 코어를 고정하는 인서트코어 고정장치를 캐비티 블럭 내에 구비하여 금형의 형개시 인서트 코어 및 제품이 캐비티 블럭측으로 딸려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젝트 핀만으로도 제품의 취출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비티 블럭의 형개시 인서트 코어를 코어 블럭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인서트 코어 및 제품이 캐비티 블럭측으로 딸려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서트코어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종래의 경사코어가 적용된 사출금형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b는 종래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c는 종래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의한 사출금형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서트코어 고정장치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은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캐비티 블럭 110 : 제품
200 : 코어 블럭 300 : 인서트 코어
400 : 고정형판 420 : 수지 주입부
500 : 인서트코어 고정장치 510 ; 몸통부
512 : 걸림턱 514,516 : 나사홈
520 : 헤드부 523,532,562 : 나사공
524 : 플랜지 525,550,570 : 볼트
530 : 슬라이드 블럭 540 : 스프링
560 : 코어 지지부 600 : 스페이서 블럭
620 : 이젝터 플레이트 640 : 이젝터 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캐비티 블럭; 상기 캐비티 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형판; 상기 캐비티 블럭과 대향하여 설치되는 코어 블럭; 상기 캐비티 블럭과 상기 코어 블럭의 사이에 개재되는 인서트 코어; 상기 코어 블럭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페이서 블럭; 상기 스페이스 블럭 내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젝터 플레이트; 일단은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품 성형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코어 블럭에 삽입 설치되는 이젝터 핀 및 상기 캐비티 블럭 내에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고정형판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인서트 코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인서트코어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캐비티 블럭의 형개시 상기 인서트코어 고정수단이 상기 인서트 코어의 상면을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인서트코어의 상측 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서트코어 고정수단은, 외주면상에 걸림턱이 마련된 몸통부와; 상단부에는 고정형판에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중앙부 내측에는 안내홈이 마련되며, 하단부를 통해 상기 몸통부의 상단이 수용되어 상기 안내홈 내에서 수직 이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저면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지지되는 스프링 및 상기 인서트 코어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코어 지지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 내에는 상기 몸통부의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수직 이동되는 슬라이드 블럭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블럭과 상기 몸통부는 볼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상기 코어 지지부는 상기 몸통부 하단에 볼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 블럭의 직경은 안내홈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관통공의 직경 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서트코어 고정장치는 외주면상에 걸림턱이 마련된 몸통부; 상단부에 다수의 나사공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중앙부 내측에는 안내홈이 마련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몸통부의 상단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몸통부가 상기 안내홈 내에서 수직 이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저면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지지되는 스프링 및 인서트 코어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코어 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부 내에는 상기 몸통부의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수직 이동되는 슬라이드 블럭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 블럭과 상기 몸통부는 볼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상기 코어 지지부는 상기 몸통부 하단에 볼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 블럭의 직경은 안내홈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관통공의 직경 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출금형은 제품(110)과 직접적으로 맞닿으며 이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캐비티 블럭(100), 코어 블럭(200) 및 인서트 코어(300)와, 캐비티 블럭(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형판(400)과, 캐비티 블럭(100) 내에서 상기 인서트 코어(300)를 가압하며 위치를 고정하는 인서트코어 고정장치(500)를 포함한다.
코어 블럭(200) 하부에는 내측에 일정 공간부(도시안됨)가 형성되어 상기 코어 블럭(200)을 하부에서 지지토록 하는 스페이서 블럭(600)이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 블럭(600) 내에는 이젝터 플레이트(620)가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코어 블럭(200) 내에는 이젝터 핀(640)이 제품(110)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젝터 핀(640)은 이젝터 플레이트(620)의 상하 이동에 의한 제품(110)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일단은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620)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품(110)측에 위치되어 있다.
캐비티 블럭(100)은 코어 블럭(200)에 대하여 도시되지 않은 승강수단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형합 또는 형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티 블럭(100)의 저면부와 상기 코어 블럭(200)의 상면부에는 각각 제품(110)의 외곽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품(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소정의 곡면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캐비티 블럭(100)과 코어 블럭(200)의 사이에는 이들의 형개만으로 제품(110)의 취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품(110)의 좌,우측 언더 컷 부위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도록 인서트 코어(300)가 개재되어 있다.
한편, 캐비티 블럭(100) 내에는 캐비티 블럭(100)의 형개시 인서트코어(300)를 코어 블럭(200)측에 탄성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서트코어 고정장치(5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코어 고정장치(500)는 상단부가 고정형판(400)상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인서트 코어(300)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다. 물론, 도면상에 표현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캐비티 블럭(100) 내에는 상기 인서트코어 고정장치(500)가 수납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고정형판(400)의 중앙에는 외부로부터 용융상태의 수지를 주입할 수 있도록 캐비티 블럭(100) 내의 제품(110) 위치까지 연통된 수지 주입부(42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서트코어 고정장치(5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코어 고정장치(500)는 크게 몸통부(510)와 상기 몸통부(510)와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520)로 구성되어 있다.
몸통부(510)는 일정길이를 갖는 원통형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는 걸림턱(5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510)의 양단에는 후술되는 볼트(570)(550)를 각각 체결하기 위한 나사홈(514)(516)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520)는 하단에 몸통부(51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521)이 형성되어 있고, 헤드부(520)의 중앙 내측에는 슬라이드 블럭(530)이 수용되는안내홈(522)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블럭(530)의 직경은 상기 안내홈(522)의 직경 보다는 작고 관통공(521)의 직경 보다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되면, 슬라이드 블럭(530)이 헤드부(52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헤드부(520) 하단에 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 블럭(530)이 헤드부(520)의 관통공(521)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520)의 상단에는 인서트코어 고정장치(500)를 고정형판(400)에 고정시키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나사공(523)이 구비된 플랜지(524)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524)를 고정형판(400)의 상면에 안착시킨 후, 나사공(523)에 볼트(525)를 체결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도면상에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플랜지(524)가 고정형판(400)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형판(400) 상면에 플랜지(524)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상기 플랜지(524)가 안착되는 고정형판(400) 상에는 볼트(525)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공(523)과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프링(540)은 걸림턱(512) 위에 위치한 몸통부(510)에 외주부상에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540)의 일단은 상기 걸림턱(512) 상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헤드부(520)의 저면부상에 지지된다.
또한, 슬라이드 블럭(530)은 헤드부(530)의 안내홈(522)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몸통부(510)의 일단과 결합된다. 이를 위해, 슬라이드 블럭(530) 내에는볼트(550)의 체결을 위한 나사공(5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공(532)과 상기 몸통부(510)의 나사홈(516)에 볼트(550)를 체결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몸통부(510)의 일단은 헤드부(520) 내에서 스프링(540)에 의한 탄성을 받으며 슬라이드 블럭(530)과 함께 안내홈(52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인서트코어 고정장치(500)의 전체적인 길이가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540)이 완전히 압축된 상태에서는 몸통부(510)의 단부가 슬라이드 블럭(530)과 함께 헤드부(520)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반대로, 스프링(540)의 압축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블럭(530)은 헤드부(520) 내측 하단에 맞닿아 걸려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헤드부(520)와 대향하는 몸통부(510)의 끝단에는 인서트 코어(300)와 직접적으로 맞닿아 지지되는 코어 지지부(56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코어 지지부(560) 내에는 볼트(570)의 체결을 위한 나사공(5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어 지지부(560) 외측에서 상기 나사공(562) 및 몸통부(510)의 나사홈(514)에 볼트(570)를 체결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코어 지지부(560)는 볼트(570)가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볼트(570)의 머리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56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코어 지지부(560)를 상기 볼트(570)를 통해 몸통부(510)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요시 상기 코어 지지부(56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110)의 사양에 따라 그에 맞는 인서트코어 고정장치(500)를 일일이 교체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캐비티 블럭(100)이 코어 블럭(200)으로부터 형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캐비티 블럭(100)과 코어 블럭(200) 및 인서트 코어(300)를 형합한 후, 수지 주입부(420)를 통하여 용융상태의 수지를 주입시켜 제품(110)을 성형하게 된다. 이때, 인서트코어 고정장치(500)는 전술한 도 2에서와 같이 스프링(540)이 압축되어 전체적인 길이가 축소된 상태에서 인서트 코어(300)의 상면을 계속적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제품(110)이 경화가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도시안됨)를 통해 캐비티 블럭(100)과 코어 블럭(200)을 형개하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상기 캐비티 블럭(100)이 코어 블럭(200)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되면서 캐비티 블럭(100) 내에 고정된 인서트코어 고정장치(500)도 함께 연동하게 된다.
이때,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540)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형판(400)에 고정된 헤드부(520)를 중심으로 몸통부(510)가 하방으로 전진하면서 결국 인서트코어 고정장치(500)의 전체적인 길이가 확장되기 때문에 코어 지지부(560)가 인서트 코어(300)의 상면을 지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캐비티 블럭(100)의 분리과정에서도 인서트 코어(300) 및 이에 맞물려 있는 제품(110)이 캐비티 블럭(100)쪽으로 딸려 가지 않고 코어 블럭(200)측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캐비티 블럭(100)이 코어 블럭(200)으로부터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지면, 인서틀 코어(300)를 제품(11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빼낸 다음, 이젝터 플레이트(620)를 스페이서 블럭(600) 내에서 상방으로 전진하여 이젝터 핀(640)을 통해 제품(110)을 취출시키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제품의 경화가 완료된 후 캐비티 블럭을 코어 블럭으로부터 형개시킬 경우, 인서트코어 고정장치를 통해 인서트 코아 상면이 탄성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인서트 코어가 제품과 함께 캐비티 블럭측으로 딸려 나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캐비티 블럭이 코어 블럭으로부터의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진 후에는 인서트 코어를 제품으로부터 빼낸 다음에 이젝터 핀만 사용하여 제품을 용이하게 취출시킬 수 있다.
셋째, 이젝터 핀만 가지고도 제품의 취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사출금형 내에 별도의 경사코어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출금형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넷째, 사출금형 내에 경사코어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출금형의제작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완성제품의 비용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외주면상에 걸림턱이 마련된 몸통부; 상단부에는 고정형판에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중앙부 내측에는 안내홈이 마련되며, 하단부를 통해 상기 몸통부의 상단이 수용되어 상기 안내홈 내에서 수직 이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저면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지지되는 스프링; 및 상기 인서트 코어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코어 지지부로 구성됨에 따라, 사출금형의 형합 또는 형개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인서트코어 고정장치의 전체적인 길이가 탄력적으로 가변되면서 코어 지지부를 통해 인서트 코어의 상면을 지속적으로 가압시킬 수 있다.
여섯째, 헤드부 내에 몸통부의 상단과 결합되고 안내홈을 따라 수직 이동되는 슬라이드 블럭을 구비함으로써, 몸통부가 상하 이동될 경우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곱째, 슬라이드 블럭과 몸통부를 볼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헤드부나 몸통부 또는 스프링의 파손시 볼트를 분리하여 파손된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인서트코어 고정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여덟째, 코어 지지부를 몸통부 하단에 볼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인서트코어 고정장치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인서트 코어의 형상에 맞는 코어 지지부만을 교체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홉째, 슬라이드 블럭의 직경을 안내홈의 직경 보다는 작고 관통공의 직경 보다는 크게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드 블럭이 안내홈을 따라 가이드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성 반력에 의한 몸통부의 하방 이동시 슬라이드 블럭이 헤드부 하단에 걸리도록 하여 몸통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캐비티 블럭;
    상기 캐비티 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형판;
    상기 캐비티 블럭과 대향하여 설치되는 코어 블럭;
    상기 캐비티 블럭과 상기 코어 블럭의 사이에 개재되는 인서트 코어;
    상기 코어 블럭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페이서 블럭;
    상기 스페이스 블럭 내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젝터 플레이트;
    일단은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품 성형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코어 블럭에 삽입 설치되는 이젝터 핀; 및
    상기 캐비티 블럭 내에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고정형판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인서트 코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인서트코어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캐비티 블럭의 형개시 상기 인서트코어 고정수단이 상기 인서트 코어의 상면을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인서트코어의 상측 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코어 고정수단은,
    외주면상에 걸림턱이 마련된 몸통부와,
    상단부에는 고정형판에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중앙부 내측에는 안내홈이 마련되며, 하단부를 통해 상기 몸통부의 상단이 수용되어 상기 안내홈 내에서 수직 이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저면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지지되는 스프링; 및
    상기 인서트 코어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코어 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내에는 상기 몸통부의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수직 이동되는 슬라이드 블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럭과 상기 몸통부는 볼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지지부는 상기 몸통부 하단에 볼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럭의 직경은 안내홈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관통공의 직경 보다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7. 외주면상에 걸림턱이 마련된 몸통부;
    상단부에 다수의 나사공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중앙부 내측에는 안내홈이 마련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몸통부의 상단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몸통부가 상기 안내홈 내에서 수직 이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저면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지지되는 스프링; 및
    인서트 코어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코어 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코어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내에는 상기 몸통부의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수직 이동되는 슬라이드 블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코어 고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럭과 상기 몸통부는 볼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코어 고정장치.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지지부는 상기 몸통부 하단에 볼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코어 고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럭의 직경은 안내홈의 직경보다는 작고,상기 관통공의 직경 보다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코어 고정장치.
KR10-2003-0002869A 2003-01-16 2003-01-16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KR100530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869A KR100530028B1 (ko) 2003-01-16 2003-01-16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869A KR100530028B1 (ko) 2003-01-16 2003-01-16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718A true KR20040065718A (ko) 2004-07-23
KR100530028B1 KR100530028B1 (ko) 2005-11-21

Family

ID=3735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869A KR100530028B1 (ko) 2003-01-16 2003-01-16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0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871B1 (ko) * 2005-12-28 2007-07-02 전병규 리벳볼트의 리테이너 성형용 몰드
KR101215296B1 (ko) * 2010-10-25 2013-01-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사출물 취출장치
CN109109279A (zh) * 2018-10-22 2019-01-01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定模抽芯成型机构以及注塑模具
CN110281484A (zh) * 2019-07-02 2019-09-27 上海风华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斜顶杆结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871B1 (ko) * 2005-12-28 2007-07-02 전병규 리벳볼트의 리테이너 성형용 몰드
KR101215296B1 (ko) * 2010-10-25 2013-01-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사출물 취출장치
CN109109279A (zh) * 2018-10-22 2019-01-01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定模抽芯成型机构以及注塑模具
CN109109279B (zh) * 2018-10-22 2024-05-14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定模抽芯成型机构以及注塑模具
CN110281484A (zh) * 2019-07-02 2019-09-27 上海风华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斜顶杆结构
CN110281484B (zh) * 2019-07-02 2024-06-04 上海风华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斜顶杆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0028B1 (ko) 2005-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0028B1 (ko)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KR20060081248A (ko) 금형조립체
US5962042A (en) Injection mold
KR0138133Y1 (ko)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JP3055724B2 (ja) 金型装置
KR101179388B1 (ko) 금형조립체
CN215396622U (zh) 显示屏胶框注塑模具
CN212045246U (zh) 一种陶瓷板模具
JP2002347085A (ja) 射出成形金型
KR102131208B1 (ko) 내측 언더컷을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JP4005195B2 (ja) 射出成形金型におけるスライド機構
JPH04327921A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391574B1 (ko)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JPH07266344A (ja) 成形用金型
JP3250897B2 (ja) 嵌合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成形連結方法及びその金型装置
KR200384159Y1 (ko) 사출물의 취출불량 방지기능이 구비된 금형장치
KR200280828Y1 (ko) 원료주입 게이트 기능을 갖는 슬라이더가 구비된 금형장치
CN210817471U (zh) 一种模具
CN219543948U (zh) 一种血液柜用抽屉的注塑模具
JPH11192623A (ja) 樹脂成形体製造用金型
KR900004223Y1 (ko) 사출 금형의 캐비티측 언더컷 처리장치
KR101013360B1 (ko) 사출금형
KR100611380B1 (ko) 이형 불량을 방지하는 슬라이드 코어 구조
KR900005726Y1 (ko)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한 언더컷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