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133Y1 -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133Y1
KR0138133Y1 KR2019950045949U KR19950045949U KR0138133Y1 KR 0138133 Y1 KR0138133 Y1 KR 0138133Y1 KR 2019950045949 U KR2019950045949 U KR 2019950045949U KR 19950045949 U KR19950045949 U KR 19950045949U KR 0138133 Y1 KR0138133 Y1 KR 0138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re pin
stopper
connecto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5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8111U (ko
Inventor
손중식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20199500459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133Y1/ko
Publication of KR9700281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81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7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non-rigid undercut forming elements, e.g. elastic or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2045/4036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driven by a screw and nut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2045/449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preventing damage or deformation of undercut articles during e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사출금형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언더컷을 처리하기 위해 형이 개방됨과 동시에 코어핀(P)이 탄성력에 의해 상승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개구된 하부에서 상향으로 소정높이로 수용홈(321)이 형성되어 대략 컵형상을 이루며 그 상단 소정위치에 상기 코어핀(P)의 하단부에 보울트(31)로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공(322)이 통공되는 연결구(32)와, 상기 코어핀(P) 및 연결구(32)와 일체로 체결되어 형 개방시 코어핀(P)의 상승높이를 한정할 수 있도록 연장된 상단부에 나사공(33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가동측 설치판(24) 안내홈(241)에 걸리도록 단턱(332)이 형성되는 스톱퍼(33)와, 상기 스톱퍼(33)에 끼워져 그 양단이 상기 연결구(32)의 저면과 가동축설치판(24)에 지지되어 가동측(2)이 하향으로 형이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밀판(27)을 탄성력으로 상승시키는 탄성부재(34)로 구성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Description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본 고안은 사출금형의 언더컷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형이 개방됨과 동시에 코어핀이 상승하여 언더컷 부분을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이젝터핀으로 제품을 강제로 탄력있게 취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금형은 고정부와 가동부 사이에 구비된 캐비티(cavity)에 고온의 액상수지물을 주입 냉각시켜 제품을 성형한 후, 상기 가동부를 하향이동으로 형(型)을 개방하여 캐비티에서 성형된 제품을 외부로 취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캐비티에서 성형된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단순히 상승하는 이젝터핀에 의해 제품을 취출할 수 없는 언더컷(undercut)이 형성되어 취출을 방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언더컷을 처리하여 제품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언더컷 부분에 슬라이드 코어(slide core)를 장착하여 제품이 성형된 후,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제품에서 빠져 나와 언더컷 부분과의 걸림에서 해제시킨 상태에서 이젝터핀(ejector pin)을 상승시켜 제품을 외부로 밀어내어 취출하였으나,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연질 염화비닐 등과 같이 유연하고 탄성이 풍부한 제품에 요입된 소구경의 내측 언더컷 부분의 처리에는 제품에 일체로 형성된 보스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성형된 언더컷 부분은 상기 보스의 내부 공간이 협소하여 내측 슬라이드 코어를 적용하지 못하고 코어핀(core pin)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소구경의 내측 언더컷을 처리하기 위해 코어핀이 적용된 사출금형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와 가동부(2)를 구성하고 있는데, 상기 고정부(1)는 스프루 부시(sprue bush)를 보유하는 고정측 설치판(11)과 고정측 형판(12)으로 구성되어 용융물의 주입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고정측 형판(12)의 저면에 제품의 외측부분을 형성하는 캐비티블록(1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가동부(2)는 가동측 설치판(21)에 구비된 스페이서블록(22) 상부에 받침판(23) 및 가동측 형판(24)이 일련되게 구성되어 상기 가동측 형판(24) 상부에 제품의 내측부분을 형성하는 코어블록(25)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가동측 형판(24)의 하부에 제품(M) 하부에 돌설된 보스(B)의 소구경 내측에 형성되는 언더컷을 처리할 수 있도록 코어핀(26A)이 장착되는 제1이젝터 플레이트(26)와, 상기 제1이젝터 플레이트(26)의 하부 소정위치에 코어핀(26A)에서 제품(M)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젝터핀(27A)이 장착되는 제2이젝터 플레이트(27)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품의 소수구경 내측 언더컷을 처리하는 종래의 사출금형은 캐비티에 고온의 사출수지물이 유입되어 제품(M)을 성형한 후, 가동부(2)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형이 개방되면, 제1이젝터 플레이트(26)의 코어핀(26A)에 고정된 제품(M)이 고정부(1)의 캐비티 블록(13)에서 분리되어 제품(M)의 상부가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가 외부에 노출된 제품(M)의 저면을 지지하는 이젝터핀(27A) 및 코어핀(26A)이 각각 장착된 제1,2이젝터 플레이트(26.27)는 사출성형기에 부착된 이젝터 로드(기계식 압출장치) 또는 유압 실린더장치(유압식 유압장치)에 의해 상호 일련되게 구동되어 상기 이젝터핀(27A) 및 코어핀(26A)이 제품(M)을 상방으로 밀어내어 가동측 형판(24)의 코어블록(25)에서 상기 제품을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코어핀(26A)이 삽입되어 고정된 제품(M)을 상기 코어핀(26A)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제1이젝터 플레이트(26)를 소정높이에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이젝터 플레이트(27)를 계속해서 상승시키게 되면, 언터컷에 의해 상기 제품(M)의 보스(B)에 삽입되어 고정된 코어핀(26A)의 걸림력을 극복하고 이젝터핀(27A)이 계속해서 제품(M)을 들어올리게 됨으로써 제품(M)의 보스(B)에서 코어핀(26A)이 빠지게 되어 제품(M)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언더컷 처리장치는 코어핀에 발생되는 언더컷을 처리하기 위해 코어핀을 상승시켜 제품을 분리한 후, 상기 제품에서 코어핀을 분리할 수 있도록 코어핀을 고정한 상태에서 이젝터핀을 상승시킴으로써 별도의 이젝터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구조가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젝터 플레이트를 동작시키는 유·공압 구동장치들을 설치해야 함으로서 금형이 대형화되어 제조원가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형이 개방됨과 동시에 코어핀이 탄력있게 상승하여 언더컷 부분을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이젝터핀으로 제품을 강제로 취출하는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는 가동측 설치판의 소정위치에 상방으로 직경이 적어지도록 중앙부의 내주연을 따라 단차진 안내공을 통해 선단에 나사공이 형성된 일측부가 관통되어 외부로 돌설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단차진 원통체의 스토퍼가 수용되고, 상기 스토퍼의 직경이 적어지게 단차되어 안내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일측부에 인장반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이 고정된 스토퍼의 일측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에 수용홈이 요입되어 타측면 중앙부에 상기 수용홈으로 관통되게 소정반경의 체결공이 통공되는 원통체의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에 일련된 이젝터 플레이트의 저면 소정위치에 상기 연결구를 수용하도록 소정반경으로 요입되어 그 폐쇄단부에 코어핀의 하단부가 관통되어 내장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직경이 적어지게 중앙부가 단차진 결합공이 통공되고, 상기 결합공의 내측으로 삽입된 코어핀의 나사공과 안내공을 통해 상부로 돌설된 스토퍼의 나사공을 상호 일련되게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나사가 연결구의 체결공에 고정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사출금형의 취출과정을 보인 정단면도로써,
제1a도는 취출 이전의 상태를 보인 것이고,
제1b도는 형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제1c도는 취출이 진행중인 상태를 보인 것이고,
제1d도는 언더컷이 처리되어 취출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련된 동작과정을 보인 정단면도로써,
제3a도는 취출 이전의 상태를 보인 것이고,
제3b도는 형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제3c도는 취출이 진행중인 상태를 보인 것이고,
제3d도는 언더컷이 처리되어 취출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가동측 설치판 22 : 스페이서블록
23 : 받침판 24 : 가동측 형판
25a : 코어핀 27a : 이젝터핀
300 : 스토퍼 400 : 스프링
500 : 연결구 600 : 고정나사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휴대용 개인 정보단말기의 덮개부 개폐제어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들어 구성, 동작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련된 동작과정을 보인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사출금형은 통상에서와 같이 가동측 설치판(21)에 구비된 스페이서블록(22) 상부에 받침판(23) 및 가동측 형판(24)이 일련되게 구성되어 상기 가동측 형판(24)의 하부에 코어핀(26A)과 이젝터핀(27A)이 장착되는 이젝터 플레이트(28)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사출금형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가동측 설치판(21)의 소정위치에 상방으로 직경이 적어지도록 중앙부의 내주연을 따라 단차진 안내공(210)이 통공되고, 안내공(210)에 상방으로 삽입되어 선단에 나사공(320)이 형성된 일측부가 관통되어 외부로 돌설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단차진 원통체(310)의 스토퍼(300)가 수용되고, 상기 스토퍼(300)의 직경이 적어지게 단차되어 안내공(21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일측부에 스프링(400)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400)이 고정된 스토퍼(300)의 일측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에 수용홈(520)이 요입되어 타측면 중앙부에 상기 수용홈(520)으로 관통되게 소정반경의 체결공(530)이 통공되는 원통체(510)의 연결구(50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500)에 일련된 이젝터 플레이트(28)의 저면 소정위치에 상기 연결구(500)를 수용하도록 요입되어 그 폐쇄단부에 코어핀(26A)의 하단부가 관통되어 내장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직경이 적어지게 중앙부가 단차진 결합공(280)이 통공되고, 상기 결합공(280)의 내측으로 삽입된 코어핀(26A)의 나사공(260A)과 안내공(210)을 통해 상부로 돌설된 스토퍼(300)의 나사공(320)을 상호 일련되게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나사(600)가 연결구(500)의 체결공(530)에 고정된다.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조립과정과 그에 따르는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연결구(500)의 체결공(530)에 고정나사(600)를 고정한 상태에서 가동측 설치판(21)의 소정위치에 단차지게 통공된 안내공(210)에 스토퍼(300)를 상방으로 삽입하여 선단에 나사공(320)이 형성된 소구경의 일측부를 상기 안내공(210)을 통해 외부로 돌설시킨 후, 상기 돌설된 소구경의 일측부에 스프링(400)을 끼워 연결구(500)의 수용홈(520)에 삽입되게 한다.
이때,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나사(600)를 연결구(500)의 체결공(530)에 고정하여 상기 고정나사(600)의 일측은 스토퍼(300)의 나사공(320)에 체결함과 동시에 고정나사(600)의 타측은 이젝터 플레이트(28)의 저면 소정위치에 통공된 결합공(280)에 삽입된 코어핀(26A)의 나사공(260A)에 체결하여 상기 코어핀(26A)과 스토퍼(300)를 탄력있게 고정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을 완료한 상태에서 캐비티 내부로 고온의 사출수지물이 유입되어 제품(M)을 성형한 다음 형이 개방되어 제품(M)의 상부를 외부로 노출시킨 후, 이젝터 플레이트(28)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이젝터 프레이트(28)에 장착된 이젝터핀(27A) 뿐만 아니라 연결구(500)에 내장된 스프링(400)의 탄성인장력으로 상기 연결구(500)에 체결되어 상호 고정핀 코어핀(26A) 및 스토퍼(30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제품(M)의 저면을 형에서 분리시킨다.
한편, 계속해서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28)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스토퍼(300)의 중앙 단턱부가 안내공(210)의 중앙 단턱부에 걸려 더 이상이 진행이 중지됨으로써 상기 연결구(500)가 이젝터 플레이트(21)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스토퍼(300)에 연결된 코어핀(26A)이 정지되는데 반하여, 계속적으로 진행하는 이젝터 플레이트(28)에 장착된 이젝터핀(27A)은 제품(M)의 저면을 가압하여 코어핀(26A)에서 제품(M)을 강제로 취출하여 언더컷을 처리하게 된다.
또한, 제품(M)의 취출을 완료하고 이젝터 플레이트(28)가 하강하게 되면 연결구(500)에 내장된 스프링(400)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된 연결구(500)의 상단면을 이젝터 플레이트(28)의 결합공(280) 단턱부가 가압하여 원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가동측 설치판(21)에 구비된 스페이서블록(22) 상부에 받침판(23) 및 가동측 형판(24)이 일련되게 구성되어 상기 가동측 형판(24)의 하부에 코어핀(26A)과 이젝터핀(27A)이 장착되는 이젝터 플레이트(28)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가동측 설치판(21)의 소정위치에 상방으로 직경이 적어지도록 중앙부의 내주연을 따라 단차진 안내공(210)이 통공되고, 안내공(210)에 상방으로 삽입되어 선단에 나사공(320)이 형성된 일측부가 관통되어 외부로 돌설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단차진 원통체(310)의 스토퍼(300)가 수용되고, 상기 스토퍼(300)의 직경이 적어지게 단차되어 안내공(21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일측부에 스프링(400)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400)이 고정된 스토퍼(300)의 일측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에 수용홈(520)이 요입되어 타측면 중앙부에 상기 수용홈(520)으로 관통되게 소정반경의 체결공(530)이 통공되는 원통체(510)의 연결구(50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500)에 일련된 이젝터 플레이트(28)의 저면 소정위치에 상기 연결구(500)를 수용하도록 요입되어 그 폐쇄단부에 코어핀(26A)의 하단부가 관통되어 내장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직경이 적어지게 중앙부가 단차진 결합공(280)이 통공되고, 상기 결합공(280)의 내측으로 삽입된 코어핀(26A)의 나사공(260A)과 안내공(210)을 통해 상부로 돌설된 스토퍼(300)의 나사공(320)을 상호 일련되게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나사(600)가 연결구(500)의 체결공(53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KR2019950045949U 1995-12-22 1995-12-22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KR0138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949U KR0138133Y1 (ko) 1995-12-22 1995-12-22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949U KR0138133Y1 (ko) 1995-12-22 1995-12-22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111U KR970028111U (ko) 1997-07-24
KR0138133Y1 true KR0138133Y1 (ko) 1999-05-15

Family

ID=19437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5949U KR0138133Y1 (ko) 1995-12-22 1995-12-22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13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073B1 (ko) * 2005-02-25 2007-10-30 주식회사 씨제이텍 사출물의 취출불량 방지기능이 구비된 금형장치
KR200468932Y1 (ko) * 2013-06-19 2013-09-09 정규섭 안경테 사출 금형 장치
KR101331614B1 (ko) * 2013-03-12 2013-11-22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강제 취출식 금형장치
KR101970283B1 (ko) 2018-11-21 2019-08-13 주식회사 메인텍 언더컷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금형
KR102208697B1 (ko) * 2019-11-12 2021-01-29 홍용민 사출금형
KR20210117090A (ko)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디엠씨 내부 및 외부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사출하는 금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851B1 (ko) * 2007-09-21 2009-06-24 유성근 플라스틱 제품의 사출 성형장치
KR101277318B1 (ko) * 2011-12-05 2013-06-20 이미숙 나사성형용 사출금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073B1 (ko) * 2005-02-25 2007-10-30 주식회사 씨제이텍 사출물의 취출불량 방지기능이 구비된 금형장치
KR101331614B1 (ko) * 2013-03-12 2013-11-22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강제 취출식 금형장치
KR200468932Y1 (ko) * 2013-06-19 2013-09-09 정규섭 안경테 사출 금형 장치
KR101970283B1 (ko) 2018-11-21 2019-08-13 주식회사 메인텍 언더컷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금형
KR102208697B1 (ko) * 2019-11-12 2021-01-29 홍용민 사출금형
KR20210117090A (ko)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디엠씨 내부 및 외부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사출하는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111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133Y1 (ko)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US3104425A (en) Molding apparatus for forming an undercut
CN107186960A (zh) 一种模具
CN212528564U (zh) 一种塑料模具延时抽芯机构以及具有其的模具
JP2002347085A (ja) 射出成形金型
JP4587433B2 (ja) 射出成形金型
KR102131208B1 (ko) 내측 언더컷을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KR20050064973A (ko) 슬라이드캠을 이용한 사출 성형장치
KR20040065718A (ko)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KR200280828Y1 (ko) 원료주입 게이트 기능을 갖는 슬라이더가 구비된 금형장치
KR0138134Y1 (ko) 3단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KR20190044035A (ko) 성형품의 변형 방지를 위한 상측 이젝팅 구조를 갖는 다이캐스팅 금형
CN212528565U (zh) 一种塑料扣位延时强脱模具结构
KR900010203Y1 (ko) 사출금형의 스프루와 런너 자동절단 취출장치
KR930002757Y1 (ko) 내측 언더컷 사출물의 취출장치
CN214448206U (zh) 一种模具组件
KR900005726Y1 (ko)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한 언더컷 처리 장치
JPS63172623A (ja) プラグ端子の射出成形方法
KR200418299Y1 (ko) 분리형 스프루 부시를 갖는 사출금형
KR900005720Y1 (ko) 사출금형의 자석을 이용한 볼트인서트장치
KR101975772B1 (ko) 성형품의 변형 방지를 위한 상측 이젝팅 구조를 갖는 다이캐스팅 금형
KR19980021974U (ko)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
KR950000083Y1 (ko) 2단 금형의 제품 착탈구조
KR0131585Y1 (ko) 사출금형
KR900004223Y1 (ko) 사출 금형의 캐비티측 언더컷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