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1974U -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 - Google Patents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974U
KR19980021974U KR2019960035302U KR19960035302U KR19980021974U KR 19980021974 U KR19980021974 U KR 19980021974U KR 2019960035302 U KR2019960035302 U KR 2019960035302U KR 19960035302 U KR19960035302 U KR 19960035302U KR 19980021974 U KR19980021974 U KR 199800219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mold
ejector pin
center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36498Y1 (ko
Inventor
김충섭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35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498Y1/ko
Publication of KR199800219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9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4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38Cutting-off equipment for sprues or in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게이트가 금형의 형개시에 자동으로 제거되어 후가공이 요구되지 않도록 한 사출물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장치는 상호 결합되어 소정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하 형판(310)(320)과, 캐비티의 중심을 통해 수지가 공급되는 공급로가 형성된 고정측부착판(200)과, 수지의 중심을 관통하여 기어의 축결합공을 형성시키는 제1이젝터핀(510)과, 축결합공이 형성된 수지를 하형판(320)으로부터 취출시키는 제2이젝터핀(520)을 구비한다. 따라서 게이트의 후가공 처리를 요구하지 않는다.

Description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
본 고안은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어 등의 사출금형작업시 형성되는 게이트를 금형내부에서 자동적으로 절단하여 후가공이 필요없도록 된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 금형은 플라스틱 수지를 금형의 캐비티(cavity)에 용입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한 뒤에 형틀을 개방시켜 고체상태의 수지로 형성시키는 플라스틱 가공법으로서, 플라스틱의 양산에 적합하다.
종래의 사출 금형으로 제작한 기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개시 게이트의 절단자국인 돌기(14a)가 형성된 몸체(14)와, 상기 몸체(14)의 중앙에 샤프트(20)가 끼움결합되는 중공(12)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몸체(14)의 돌기(14a)는 사출 금형공정시 게이트를 통해 용입된 수지가 형틀의 상, 하 분리작업으로 인해 절단될 때 형성되는 것으로, 타발 또는 절단하는 후가공처리를 거쳐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후가공 처리는 기어(10) 정밀도의 기준인 진원도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기어(10)의 특성상 가장 이상적인 게이트 위치는 중앙이지만, 그 중앙에는 샤프트(20)가 끼움결합되는 중공(12)이 형성되는 위치이므로 게이트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과, 설사 그 위치에 설치하더라도 후가공처리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첫째, 게이트가 금형 형개시 자동으로 절단되도록 하고 게이트를 다듬질하기 위한 후가공이 요구되지 않는 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둘째, 기어의 진원도를 유지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출금형으로 제작한 기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형틀이 형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이젝터 핀에 의해 게이트가 절단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이젝터 핀에 의해 기어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게이트200 : 고정측 부착판
310, 320 : 상, 하 형판400 : 기어
510 : 제 1이젝터 핀520 : 제 2이젝터 핀
610, 620 : 상, 하 이젝터 플레이트
700 : 가동측 부착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심부에 축 결합공이 형성된 기어의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호 결합되어 기어 사출물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하 형판과, 상기 캐비티의 중심을 통해 수지가 공급되는 공급로가 형성된 고정측부착판과, 상기 캐비티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축결합공에 대응하는 사출물의 일부를 취출시키는 제1이젝터핀과, 상기 축결합공이 형성된 사출물을 하형판으로부터 취출시키는 제2이젝터핀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가 채용된 기어의 사출금형을 단면도로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플라스틱 수지가 용입되는 스프루부쉬가 마련되는 고정측 부착판(200)과, 상기 고정측 부착판(200)의 하측에 상호 결합되어 소정형상의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는 상, 하 형판(310, 320)과, 상기 상, 하 형판(310, 320)에 의해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된 기어(400)의 중앙 하측에 설치되어 게이트(100)를 타발하는 제 1이젝터 핀(510)과, 상기 제 1이젝터 핀(510)과 연설되고 상, 하로 승강되는 상, 하 이젝터 플레이트(610, 620)와, 상기 상, 하 이젝터 플레이트(610, 620)의 내부에 축설되어 상기 기어(400)를 이탈시키는 제 2이젝터 핀(520)과, 상기 상, 하 형판(310, 320)을 형개하는 가동측 부착판(700)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기어는 통상 축이 결합되는 결합공을 가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 하 형판(310, 320)은 상기 플라스틱 수지가 일정한 시간을 거쳐 경화되고 난 후에 상, 하로 형개(型開)되도록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제 1이젝터 핀(510)은 상기 기어의 결합공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게이트(100)를 타발하도록 상, 하 형판(310, 320)이 형개된 후에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승강하는 상, 하 이젝터 플레이트(610, 620)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이젝터 핀(520)은 제 1이젝터 핀(510)이 동작된 후에 순차적으로 동작되도록 상기 제 1이젝터 핀(510)과 소정 거리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 하 이젝터 플레이트(610, 6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A)에 축설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제 2이젝터 핀(520)은 공간부(A)의 행정 길이에 따라 상기 상, 하 이젝터 플레이트(610, 620)와 함께 상승하는 시간이 제 1이젝터 핀(510)과는 소정의 차이를 갖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참조, 먼저 가열된 액체상태의 플라스틱 수지를 금형 내부에 용입하여 냉각되도록 하여 경화시킨다.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가동측 부착판(700)의 이동으로 상, 하 형판(310, 320)이 형개되면, 상기 경화된 수지제품인 기어(400)는 하측 형판(320)에 밀착된 채로 있게 된다.
이 후에 상, 하 이젝터 플레이트(610, 620)가 상승하면, 이에 연동되는 제 1이젝터 핀(510)이 함께 상승하여 상기 기어의 결합공부분을 관통시켜서 상기 게이트(100)를 타발한다.
이후 제 2이젝터 핀(520)이 상, 하 이젝터 플레이트(610, 620)에 의해 제 1이젝터 핀(510)의 타발동작이 완료된 후에 상승하여 기어(400)를 하측 형판(320)으로부터 이젝팅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금형의 형개시에 기어의 결합공부분에 함께 형성되는 게이트(100)를 분리시킴으로써, 게이트를 다듬질하기 위한 후가공이 필요없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첫째, 금형의 형개와 함께 게이트를 절단할 수 있으므로, 후가공 처리가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갖는다.
둘째, 기어의 중앙에 게이트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어의 진원도를 유지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앞서 기술한 일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해당되는 그외 변형된 다른 실시예도 포함되는 것이 당연하다.

Claims (1)

  1. 중심부에 축 결합공이 형성된 사출물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에 있어서,
    상호 결합되어 상기 사출물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하 형판과,
    상기 캐비티의 중심을 통해 수지가 공급되는 공급로가 형성된 고정측부착판과,
    상기 캐비티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축결합공에 대응하는 사출물의 일부를 취출시키는 제1이젝터핀과,
    상기 축결합공이 형성된 사출물을 하형판으로부터 취출시키는 제2이젝터핀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
KR2019960035302U 1996-10-24 1996-10-24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 KR0136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302U KR0136498Y1 (ko) 1996-10-24 1996-10-24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302U KR0136498Y1 (ko) 1996-10-24 1996-10-24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974U true KR19980021974U (ko) 1998-07-15
KR0136498Y1 KR0136498Y1 (ko) 1999-05-15

Family

ID=1947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302U KR0136498Y1 (ko) 1996-10-24 1996-10-24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49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7796A (zh) * 2017-12-05 2018-04-06 镒生电线塑料(昆山)有限公司 一种自动切割浇口的模具
KR102380445B1 (ko) 2020-09-29 2022-03-31 (주)엔케이 자동차 내장재용 사출성형품 게이트 절단장치
KR20220169139A (ko) 2021-06-18 2022-12-27 에스엘 주식회사 금형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13434A (ko) 2021-07-19 2023-01-26 최용문 런너 없는 용기입구 사출금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7796A (zh) * 2017-12-05 2018-04-06 镒生电线塑料(昆山)有限公司 一种自动切割浇口的模具
KR102380445B1 (ko) 2020-09-29 2022-03-31 (주)엔케이 자동차 내장재용 사출성형품 게이트 절단장치
KR20220169139A (ko) 2021-06-18 2022-12-27 에스엘 주식회사 금형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13434A (ko) 2021-07-19 2023-01-26 최용문 런너 없는 용기입구 사출금형
KR20230066295A (ko) 2021-07-19 2023-05-15 최용문 런너 없는 용기입구 사출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6498Y1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5947A1 (en) Cut structure for mold
KR0136498Y1 (ko)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
KR200421064Y1 (ko) 경사면 언더컷 처리 구조
KR101683032B1 (ko) 사출 금형장치의 사이드 게이트의 자동절단 및 성형물의 취출 방법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JPH10656A (ja) 樹脂成形装置
CN209832483U (zh) 模内切浇口模具
JP2002347085A (ja) 射出成形金型
KR100533599B1 (ko) 휴대폰 엘씨디 윈도우의 인서트 인몰딩용 금형
KR20080004359U (ko) 금형 조립체
JPH06720U (ja) 射出成形用金型
JP3701229B2 (ja) 射出成形装置
CN219600284U (zh) 一种模内切装置
CN220995317U (zh) 带嵌件产品的注塑模具
CN213618151U (zh) 一种可多次顶出的脱模用方铁
JPS6222345Y2 (ko)
KR19990018247A (ko) 사출 성형 금형의 게이트 절단장치
CN220429147U (zh) 一种注塑机自动脱模模具
CN217414776U (zh) 模具斜顶结构
CN217414774U (zh) 先顶料头注塑模具
CN218985566U (zh) 精密零件的注塑模具
CN211640768U (zh) 一种汽车内饰件注塑模具
JPH0321325B2 (ko)
JPH0518115Y2 (ko)
CN114763009A (zh) 注射成型装置和由注射成型装置获得的成型品的顶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