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585Y1 - 사출금형 - Google Patents

사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585Y1
KR0131585Y1 KR2019930022316U KR930022316U KR0131585Y1 KR 0131585 Y1 KR0131585 Y1 KR 0131585Y1 KR 2019930022316 U KR2019930022316 U KR 2019930022316U KR 930022316 U KR930022316 U KR 930022316U KR 0131585 Y1 KR0131585 Y1 KR 01315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ovable side
plate
side templat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123U (ko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2019930022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585Y1/ko
Publication of KR9500111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1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5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5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Abstract

본 고안은 사출금형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은, 고정측 형판과, 이 고정측 형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그 중심부에 수지를 공급하는 스프루 부쉬가 가정설치된 고정측 부착판과, 가동측 형판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가동측 형판의 하부에 위치된 받는판과 형합되어 소정 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다수의 코어와, 상기 가동측 형판과 스페이서 블록에 의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가동측 부착판과, 상기 가동측 형판과 가동측 부착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캐비티 내의 제품을 취출하는 이젝터 핀이 고정 설치된 상, 하 이젝터 플레이터와, 상기 코어를 캐비티내의 제품으로 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으로서, 캐비티내에 성형되며 그 내측에 나사부를 가지는 제품을 취출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랙크와 피니언을 이용하지 않고 각 금형의 형분리에 의해서 제품을 취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금형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이에 따른 단가절감을 도모 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출금형
제1도는 종래 사출금형의 개략적 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개략적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일부 발췌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측 형판 20 : 가동측 형판
30 : 받는판 50 : 코어
51,52,53 : 제1,2,3코어 90 : 지지블록
100 : 스프링
본 고안은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그 내측에 나사가 형성되는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그 내측에 나사가 형성되는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크게 고정측 형판(1)과, 이 고정측 형판(1)과 형합되어 소정의 캐비티(3)를 형성하는 코어(2a)가 고정설치된 가동측 형판(2)으로 대별된다.
상기 고정측 형판(1)의 상부에는 그 중심부에 사출용 소지를 캐비티(3)내로 공급하는 스프루 부쉬(미도시)가 고정설치된 고정측 부착판(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측 형판(2)의 하부에는 그 일측면으로 부터 그 타측면을 향하여 관통홈(5a)이 형성된 가동측 받침판(5)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3)에 주입되어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제품(6)의 내측에 나사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고정측 형판(1)과 형합되어 소정의 캐비티(3)를 형성하는 코어(2a)의 내부에는 나사부(2b)가 마련되며 그 하부에는 피니언(2c)이 일체로 마련된다.
상기 코어(2a)는 상기 가동측 받침판(5)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품(6)을 취출 시키는 이젝터 핀(7a)이 고정 설치된 이젝터 플레이터(7)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가동측 받침판(5)의 일측면에는 실린더(8)가 고정 설치된 브라켓(9)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8)의 로드(8a)는 상기 가동측 받침판(5)의 관통홈(5a)으로 삽입되는 택크(8b)가 마련된 지지판(8c)과 고정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사출금형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스프루를 통해 상기 고정측 형판(1)과 코어(2a)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3)내로 사출수지를 주입한 후 냉각시킴으로써 그 내측에 나사부가 마련된 제품(6)이 완성된다.
이 제품(6)을 취출하기 위해서 먼저 상기 고정측 형판(1)을 형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가동측 받침판(5)의 내부에 마련된 이젝터 플레이트(7)의 이젝터 핀(7a)으로써 상기 제품(6)을 직접 취출하게 되면 상기 제품(6)의 내측에 마련된 나사부에 손상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가동측 받침판(5)의 일측면에 브라켓(9)에 의해 고정설치된 실린더(8)를 작동항 로드(8a)를 전진 시킨다. 이때 상기 실린더(8)의 로드(8a) 일측면에는 상기 코어(2a)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2c)과 치합되는 래크(8b)가 마련된 지지판(8c)이 고정되어 있어 상기 로드(8a)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코어(2a)가 그 하부에 마련된 피니언(2c)에 의해 회전된다. 즉, 상기 제품(6)과 코어(2a)가 나사분리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이젝터 플레이터(7)에 설치된 이젝터 핀(7a)을 소정의 승하강 수단에 의해 전진시켜 상기 제품(6)을 취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사출금형에 있어서는, 그 내측에 나사부가 마련된 제품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나사를 회전시키면서 취출하기 때문에 그 취출시간이 길어져 결과적으로 작업시간이 길어짐으로서 효율적인 작업이 이우러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사부의 언더컷을 배제 시키기 위해서 래트와 피니언 및 실리니더 등의 장치가 필요함으로써 금형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사출금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제품을 형분리만으로 취출 가능하여 그 작업시간의 단축 및 금형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사출금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층 형판과, 이 고정측 형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그 중심부에 수지를 공급하는 스프루 부쉬가 고정 설치된 고정측 부착판과, 가동측 형판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가동측 형판의 하부에 위치된 받는판과 형합되어 소정 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다수의 코어와, 상기 가동측 형판과 스페이서 블록에 의해 소정간격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가동측 부착판과, 상기 가동측 형판과 가동측 부착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캐비티 내의 제품을 취출하는 이젝터 핀이 고정 설치된 상, 하 이젝터 플레이터와, 상기 코어를 캐비티내의 제품으로 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제품의 내측에 나사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제품을 손쉽게 이젝터 핀에 의해 취출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나사를 가지는 제품을 형분리에 의해 금형으로 부터 분리 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금형의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입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일부발췌 확대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은, 크게 고정측 형판(10)과 가동측 형판(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측 형판(10)의 상부에는 그 중심부에 수지를 공급하는 스프루 부쉬(11)가 고정설치된 고정측 부착판(12)이 위치되며 상기 가동측 형판(20)의 하부에는 받는판(30)이 위치된다. 또한 그 상기 가동측 형판(20)의 내부에는 상기 받는판(30)과 형합되어 소정 형상의 캐비티(40)를 형성하는 다수의 코어(50)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가동측 형판(20)의 하부에는 스페이서 블록(60)에 의해 소정간격이격되도록 가동측 부착판(7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측 형판(20)과 가동측 부착판(70) 사이에는 상기 캐비티(40) 내의 제품(40')을 취출하는 이젝터핀(81)이 고정 설치된 상, 하 이젝터 플레이터(80)(8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가동측 형판(20)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내측에 나사부를 가지는 캐비티(40)를 형성하는 다수의 코어(50)는, 분리수단에 의해 상기 캐비티(40)내에 형성된 제품(4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동측 형판(2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받는판(30)과 형합되어 소정형상의 캐비티(40)를 형성하는 다수의 코어(50)는, 상기 가동측 형판(20)의 내측에는 그 일측면에 나사부(51a)가 마련되고 그 중심 내면에는 소정각도 테이퍼진 경사홈(51b)이 대칭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2개의 몸체부(51')가 서로 소정간격이격되도록 설치된 제1코어(51)가 상기 받는판(30)과 인접된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 제1커어(51)는 분리수단에 의해 상기 캐비티(40)내의 제품(4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받는판(30)에는, 상기 제1코어(51)의 상부와 면접되는 제2코어(52)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측 형판(10)에는, 그 일측에 상기 제1코어(51)의 경사홈(51b)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소정각도 경사진 몸체부(53a)를 가지는 제3코어(53)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코어(51)가 캐비티(40)내의 제품(40')내측으로 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측 형판(20)의 일측에는 지지블록(9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90)과 상기 제1코어(51) 사이에는 상기 제1코어(51)의 몸체부(51')를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00)이 개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에서, 상기 코어(50) 및 받는판(30)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40)내로 스프루 부쉬(11)를 통해 사출수지를 주입한 후 냉각한다. 이에 의해서 상기 캐비티(40)내에 그 내측에 나사부(41)를 가지는 제품(40')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코어(50)중 상기 가동측 형판(20)의 내측에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제1코어(51)의 일측에 나사부(51a)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40)내로 부터 제품(40')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고정측 형판(10)을 가동측 형판(20)으로 부터 형분리 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측 형판(10)에 고정 설치된 제3코어(53)가 상기 고정측 형판(10)과 함께 형 분리되고 상기 제3코어(53)의 경사진 몸체부(53a)가 상기 제1코어(51)의 경사홈(51a)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상기 제1코어(51)는 상기 가동측 형판(20)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블록(90)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100)에 의해 그 각각의 몸체부(51')가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코어(53)의 몸체부(53a)가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제1코어(51)의 각 몸체부(51')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즉, 그 내측으로 수축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40)내부에 형성된 제품(40')의 나사부(41)로 부터 이탈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동측 부착판(70)의 상면에 위치된 상, 하 이젝터 플레이터(80)(80')의 이젝터 핀(81)을 소정의 상승수단에 의해 상승시켜 상기 캐비티(40)내의 제품(40')을 취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에 의하면, 캐비티내에 성형되며 그 내측에 나사부를 가지는 제품을 취출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랙크와 피니언을 이용하지 않고 각 금형의 형분리에 의해서 제품을 취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금형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이에따른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고정측 형판(10)과, 이 고정측 형판(10)의 상부에 설치되며 그 중심부에 수지를 공급하는 스프루 부쉬(11)가 고정 설치된 고정측 부착판(12)과, 가동측 형판(20)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가동측 형판(20)의 하부에 위치된 받는판(30)과 형합되어 소정 형상의 캐비티(40)를 형성하는 다수의 코어(50)와, 상기 가동측 형판(20)과 가동측 부착판(7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캐비티(40) 내의 제품(40')을 취출하는 이젝터 핀(81)이 고정 설치된 상, 하 이젝터 플레이터(80)(80')와, 상기 코어(50)를 캐비티(40)내의 제품(4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50)가, 상기 가동측 형판(20)의 내측에 위치되며 그 일측면에 나사부(51a)가 마련되고 그 중심 내면에는 소정각도 테이퍼진 경사홈(51b)이 대칭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2개의 몸체부(51')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1코어(51)와, 상기 제1코어(51)의 일측단부와 면접되며 상기 받는판(30)에 고정 설치된 제2코어(52)와, 그 일측에 상기 제1코어(51)의 경사홈(51b)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소정각도 경사진 몸체부(53a)를 가지며 상기 고정측 형판(10)에 고정설치된 제3코어(53)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50)를 제품(40')으로부터 분리 시키는 분리수단이, 상기 가동측 형판(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블록(90)과, 상기 지지블록(90)과 제1코어(51)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코어(51) 몸체부(51')를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0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KR2019930022316U 1993-10-28 1993-10-28 사출금형 KR01315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316U KR0131585Y1 (ko) 1993-10-28 1993-10-28 사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316U KR0131585Y1 (ko) 1993-10-28 1993-10-28 사출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123U KR950011123U (ko) 1995-05-15
KR0131585Y1 true KR0131585Y1 (ko) 1999-01-15

Family

ID=1936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316U KR0131585Y1 (ko) 1993-10-28 1993-10-28 사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5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123U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296B1 (ko) 성형용금형장치 그 인서어트 착탈방법 및 사출방법
US4938679A (en) Collapsible core for molding closures having interrupted interior threads and the like
US5738883A (en) Injection molding cassette mold holder
KR0131585Y1 (ko) 사출금형
US5962042A (en) Injection mold
KR0138133Y1 (ko)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KR20050064973A (ko) 슬라이드캠을 이용한 사출 성형장치
KR200155571Y1 (ko) 사출금형의 사이드게이트 절단장치
KR100232820B1 (ko) 슬라이드코아를 이용한 사출 성형 금형 및 사출방법
JPH0426290B2 (ko)
KR100391574B1 (ko)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KR900003740Y1 (ko)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 장치
JPH03230928A (ja) 射出成形用金型ユニット
KR19980049405U (ko) 사출 금형의 이젝트 보조장치
KR940007325Y1 (ko) 사출성형기의 언더커트형상이 성형된 제품의 추출장치
JP2742295B2 (ja) 斜孔を有する成形品の成形装置
KR950009202Y1 (ko) 런너(Runner) 취출장치
KR900005720Y1 (ko) 사출금형의 자석을 이용한 볼트인서트장치
JP2608846B2 (ja) 射出成形金型装置
KR200154400Y1 (ko) 사출금형의 제품취출장치
KR200144293Y1 (ko) 사출성형금형의 구조
KR19990026883U (ko)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
KR950004240Y1 (ko) 사출금형의 문자코어(core)착탈구조
KR950000084Y1 (ko) 사출금형의 제품 취출장치
KR200194538Y1 (ko) 사출금형의 콜드 슬러그 밀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