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883U -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883U
KR19990026883U KR2019970039432U KR19970039432U KR19990026883U KR 19990026883 U KR19990026883 U KR 19990026883U KR 2019970039432 U KR2019970039432 U KR 2019970039432U KR 19970039432 U KR19970039432 U KR 19970039432U KR 19990026883 U KR19990026883 U KR 199900268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ed article
injection molding
movable side
slide core
mold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39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883U/ko
Publication of KR19990026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883U/ko

Link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성형품을 취출하기 위해 금형을 개방할 때, 성형품의 보스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고정측 설치판에 설치된 앵귤러 핀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가 이동되어 성형품의 측부를 개방시키고, 별도로 마련된 승하강 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 밀핀에 의해 가동측 형판으로부터 상기 성형품이 취출되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코어 방식의 사출성형금형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의 하부면 소정 위치에 소정 크기의 홈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가동측 형판에 다수개의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이동시, 성형품이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가동측 형판의 돌기부와 상기 성형품과의 고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
본 고안은 슬라이드 코어 방식을 이용한 사출성형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품을 취출하기 위해 금형을 개방할 때, 성형품의 보스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프린터 및 팩시밀리 등을 총칭하는 사무기기는 본체와, 이 본체 내외부에 사무기기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로 크게 이루어져 있는 데, 이러한 본체는 사출성형금형에 의해 하나의 성형품으로 제작되고 있다.
상기 본체는 사출성형금형중에서 슬라이드 코어 방식이 적용된 금형에 의해 주로 제작되고 있는 데, 종래 슬라이드 코어 방식의 사출성형금형을 일례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슬라이드 코어 방식의 사출성형금형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 설치판(1)에는 성형수지 주입로인 런너(2)를 갖는 스푸루 부시(3)와, 스푸루 부시(3)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서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α)로 기울어진 앵귤러 핀(4)과, 록킹 블록(5) 등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측 설치판(1)의 하부에는 한쌍의 슬라이드 코어(6),(6')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착된 가동측 형판(7), 받침판(8), 스페이스 블록(9) 및 가동측 설치판(10) 등이 순서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코어(6),(6'), 가동측 형판(7), 받침판(8)의 양측 소정위치에는 고정측 설치판(1)에 설치된 앵귤러 핀(4)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 하로 관통 형성된 앵귤러 핀공(4a)이 연통되어 있다.
슬라이드 코어(6),(6')의 양측 소정 위치에는 고정측 설치판(1)에 설치된 록킹 블록(5)이 록킹되어 있는 바, 이 록킹 블록(5)과 슬라이드 코어에는 서로 소정의 각도(β)로 접촉되는 록킹면(6a),(6'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측 설치판(1)이 열리지 않거나 슬라이드 코어(6),(6')에 의해 록킹 블록(5)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록킹면(6a),(6'a)의 경사각(β)은 앵귤러 핀(4)의 경사각(α)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1은 스페이스 블록(9) 사이에 설치되는 이젝트 플레이트이고, 13,14는 이젝트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이젝트 핀, 밀핀이며, 13a,14a는 이젝트 핀과 밀핀이 상하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공이 형성된 슬리이브이다.
또한, 15는 고정측 설치판(1)과 슬라이드 코어(6),(6') 및 가동측 형판(7)에 의해 스푸루 부시(3)의 런너(2)를 통해 주입된 성형수지가 채워져 성형품이 형성되는 공간인 캐비티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동측 설치판(10) 하부에는 이젝트 핀(13)과 밀핀(14)을 상승시켜 받침판(8)으로부터 가동측 형판(7)이 분리되도록 하고, 가동측 형판(7) 상부면에 형성된 성형품을 취출하도록 하는 유압 실린더 등의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슬라이드 코어 방식을 이용한 사출성형금형의 작용을 금형의 작동 관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은 금형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용융된 성형수지는 스푸루 부시(3)의 런너(2)를 통과하여 고정측 설치판(1)과 가동측 형판(7) 및 슬라이드 코어(6),(6')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15)내에 채워져 일정 시간 동안 냉각고화된다.
성형수지의 냉각고화가 완료된 후, 캐비티(15)내의 성형품을 취출하기 위해 고정측 설치판(1)을 개방시키기 시작하면, 록킹면(6a),(6'a)의 경사각(β)이 앵귤러 핀(4)의 경사각(α)보다 크기 때문에, 앵귤러 핀(4)이 상기 앵귤러 핀공(4a)을 따라 소정 높이(h) 상승함과 동시에 록킹 블록(5)도 동일한 높이로 상승한다.
상기 록킹 블록(5)이 상승한 높이(h)는 슬라이드 코어(6),(6')와 접촉면이 록킹면(13a)을 벗어나는 높이에 해당되는 것으로, 록킹 블록(5)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6),(6')가 록킹 해제된다.
계속하여 고정측 설치판(1)을 개방시키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귤러 핀공(4a)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앵귤러 핀(4)의 나머지 부분이 천천히 인출되는 바, 앵귤러 핀(4)은 소정의 경사각(α)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앵귤러 핀(4)이 인출될 때 발생하는 힘은 슬라이드 코어(6),(6')에 형성된 앵귤러 핀공(6a)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수직 상방으로 작용하여 슬라이드 코어(6),(6')가 가동측 형판(7) 상에서 상호 마주보면서 멀어지게 한다.
즉, 슬라이드 코어(6),(6')는 캐비티(15)내에서 성형된 성형품의 측면과 접촉상태가 떨어지면서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이후, 성형품을 완전히 금형에서 취출하기 위해 가동측 평판(10)의 하부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 등의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면, 이젝트 핀(13)과 밀핀(14)이 동시에 소정 높이의 스트로크만큼 상승되어 받침판(8)으로부터 가동측 형판(7)이 분리됨과 동시에 밀핀(14)의 상승에 의해 성형품이 가동측 형판(7)으로부터 완전히 취출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형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슬라이드 코어 방식의 사출성형금형에 의해 제작된 성형품의 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홀(16)이 구비된 보스부(17)가 슬라이드 코어(6),(6')의 내측면 형상에 의해 다수개 형성되는 데, 이 보스부(17)는 고정측 설치판(1)을 개방함에 따른 앵귤러 핀(4)의 상승작용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6),(6')가 이동되면서 성형품 외측면과 슬라이드 코어 내측면과의 상호 고착상태가 해제됨으로 인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성형품중 가동측 형판(7)의 상부면에 고착된 부분은 대부분 면접촉 상태로 고착되어 있어, 슬라이드 코어(6),(6')가 이동되어 그 내측면이 성형품으로부터 이탈될 때, 성형품이 흔들리게 되어 성형품의 보스부(17)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손된 보스부(17)는 슬라이드 코어(6),(6')의 내측면에 찌꺼기로 남아있게 되어, 금형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이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품을 취출하기 위해 금형을 개방할 때, 성형품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성형품의 보스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예로 슬라이드 코어 방식의 사출성형금형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및 금형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a은 금형이 닫혔을 때를 나타낸 단면도.
도 1b은 금형이 열렸을 때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슬라이드 코어 방식의 사출성형금형에 의해 취출된 성형품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에 의해 취출된 성형품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측 설치판 4 : 앵귤러 핀 6,6': 슬라이드 코어
7 : 가동측 형판 7': 돌기부 18 : 홈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는, 고정측 설치판에 설치된 앵귤러 핀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가 이동되어 성형품의 측부를 개방시키고, 별도로 마련된 승하강 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 밀핀에 의해 가동측 형판으로부터 상기 성형품이 취출되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코어 방식의 사출성형금형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의 하부면 소정 위치에 소정 크기의 홈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가동측 형판에 다수개의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이동시, 성형품이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가동측 형판의 돌기부와 상기 성형품과의 고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에 의해 취출된 성형품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슬라이드 코어 방식의 사출성형금형에 적용되는 것으로,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 설치판(1)과 슬라이드 코어(6),(6') 및 가동측 형판(7)에 의해 마련된 공간인 캐비티 내부에 채워져 고화되는 성형품의 하부면 소정 위치에 소정 크기의 홈부(18)를 갖는 돌출부(19)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 성형품 하부면 소정 위치에 대응된 지점인 가동측 형판(7)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부(7')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7')에는 성형품 하부면이 고착된 상태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측 설치판(1)을 개방함에 따른 앵귤러 핀(4)의 상승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6),(6')가 상호 마주보면서 이동되어 그 내측면이 성형품으로부터 이탈될 때, 성형품이 흔들리지 않도록 충분히 성형품과 돌기부(7')의 고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성형품의 보스부(17)가 파손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5에서처럼, 본 고안에 의한 사출성형금형에 의해 제작된 성형품은 보스부(17)가 파손되지 않은 상태로 안전하게 금형에서 취출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장치에 따르면, 성형품을 취출하기 위해 금형을 개방할 때, 성형품의 보스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금형을 재사용하기 위해서 파손된 보스부의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해야 하는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품의 양산 효율이 높아지게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고정측 설치판에 설치된 앵귤러 핀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가 이동되어 성형품의 측부를 개방시키고, 별도로 마련된 승하강 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 밀핀에 의해 가동측 형판으로부터 상기 성형품이 취출되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코어 방식의 사출성형금형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의 하부면 소정 위치에 소정 크기의 홈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가동측 형판에 다수개의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이동시, 성형품이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가동측 형판의 돌기부와 상기 성형품과의 고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
KR2019970039432U 1997-12-20 1997-12-20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 KR199900268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432U KR19990026883U (ko) 1997-12-20 1997-12-20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432U KR19990026883U (ko) 1997-12-20 1997-12-20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883U true KR19990026883U (ko) 1999-07-15

Family

ID=6967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432U KR19990026883U (ko) 1997-12-20 1997-12-20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88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765B1 (ko) * 2007-05-29 2009-03-12 주식회사 한국몰드 슬라이드코어를 구비한 사출금형 및 그 제어방법
KR100906817B1 (ko) * 2008-04-07 2009-07-09 삼원금형정공주식회사 언더컷 처리를 위한 핫 런너 사출금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765B1 (ko) * 2007-05-29 2009-03-12 주식회사 한국몰드 슬라이드코어를 구비한 사출금형 및 그 제어방법
KR100906817B1 (ko) * 2008-04-07 2009-07-09 삼원금형정공주식회사 언더컷 처리를 위한 핫 런너 사출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6883U (ko)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
JP2005262781A (ja) 射出成形金型のスライド開き構造
KR100752745B1 (ko) 인서트 천 사출금형 장치
KR20050064973A (ko) 슬라이드캠을 이용한 사출 성형장치
KR102131208B1 (ko) 내측 언더컷을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KR200433757Y1 (ko) 내측 언더컷 처리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KR100565509B1 (ko) 사출 금형 장치
KR200172928Y1 (ko) 사출금형
KR200155571Y1 (ko) 사출금형의 사이드게이트 절단장치
KR100835615B1 (ko) 내측 언더컷 처리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KR19990002807A (ko) 슬라이드코아를 이용한 사출 성형 금형 및 사출방법
JP2020082598A (ja) 射出成形金型
KR101229309B1 (ko) 사출 금형
JPH06720U (ja) 射出成形用金型
KR0119923Y1 (ko) 사출금형
KR20060109140A (ko) 사출성형 금형의 가변코어
KR950009202Y1 (ko) 런너(Runner) 취출장치
KR910003317B1 (ko) 사출금형
KR100225401B1 (ko) 밀핀자국이 없는 사출 성형 금형
JPH09323342A (ja) 射出成形用金型
KR200194538Y1 (ko) 사출금형의 콜드 슬러그 밀핀구조
KR19990023721U (ko) 사출금형용 밀판의 복귀장치
KR930002757Y1 (ko) 내측 언더컷 사출물의 취출장치
KR19980064195U (ko) 사출금형의 제품취출장치
KR20050102953A (ko) 돌출 코어에 의한 사출 금형의 개선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