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318B1 - 나사성형용 사출금형 - Google Patents

나사성형용 사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318B1
KR101277318B1 KR1020110129285A KR20110129285A KR101277318B1 KR 101277318 B1 KR101277318 B1 KR 101277318B1 KR 1020110129285 A KR1020110129285 A KR 1020110129285A KR 20110129285 A KR20110129285 A KR 20110129285A KR 101277318 B1 KR101277318 B1 KR 101277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ld
rotating
block memb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2815A (ko
Inventor
이미숙
박오주
Original Assignee
이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숙 filed Critical 이미숙
Priority to KR1020110129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318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71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flexible or pivota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8Moulds having screw-threaded moul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81Moulds with rotat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92Machine parts driven by an electric motor, e.g. electric servo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사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는 회동유니트를 구비하는 나사성형용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사성형용 사출금형은 제1 금형과, 상기 제1 금형과 형합 및 형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형합시 상기 제1 금형과 함께 성형대상 제품에 대응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에 설치되며, 상기 캐비티로 진입하여 성형대상 제품의 나사산을 성형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돌기가 마련된 회전코어를 구비하는 회전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제2 금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로드와, 상기 회전로드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금형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본체와, 상기 회전본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로 진입하는 상기 회전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로드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금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종동스프로킷과, 상기 종동스프로킷과 체인을 통해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금형은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밀판블럭과, 상기 밀판블럭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간블럭과, 상기 중간블럭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면이 상기 제1 금형과 접촉하는 가동블럭과, 상기 가동블럭과 중간블럭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블럭에 대해 상기 가동블럭을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메인탄성부재와, 상기 고정블럭과 상기 밀판블럭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밀판블럭, 중간블럭 및 가동블럭을 상기 고정블럭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보조탄성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나사성형용 사출금형 {screw thread maker of injection mold}
본 발명은 나사성형용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금형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사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는 회동유니트를 구비하는 나사성형용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은 동일 규격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만드는 금속성의 형을 말하는 것으로, 전기·전자 제품을 비롯하여 자동차·항공기·반도체·통신기기·정밀기계 등 일상용품에서 초정밀 제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쓰인다.
상기 금형 중에서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사출금형이 있으며, 상기 사출금형으로 생산하는 제품중에서 특성상 체결공에 나사산이 성형되어야 하는 제품도 있는데, 이러한 나사산을 성형하기 위하여 체결공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사출성형이 완료된 제품의 체결공에는 내주면에 다수개의 피치를 갖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사출 성형시에는 용융된 수지가 응고된 후, 상·하부금형이 분리되면 응고된 제품을 취출핀으로 밀어올려 제품을 취출하게 되지만, 나사산이 형성된 사출금형의 경우에는, 체결공의 나사산과 코어의 나사산이 체결된 상태이므로 수직방향의 형분리를 통해서는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코어와 사출품의 분리를 위해 코어를 회동시킬 수 있는 회전유니트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나사부를 갖는 사출제품의 성형 후 성형제품의 취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성형제품의 취출과정에서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나사성형용 사출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사성형용 사출금형은 제1 금형과, 상기 제1 금형과 형합 및 형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형합시 상기 제1 금형과 함께 성형대상 제품에 대응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에 설치되며, 상기 캐비티로 진입하여 성형대상 제품의 나사산을 성형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돌기가 마련된 회전코어를 구비하는 회전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제2 금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로드와, 상기 회전로드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금형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본체와, 상기 회전본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로 진입하는 상기 회전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로드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금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종동스프로킷과, 상기 종동스프로킷과 체인을 통해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금형은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밀판블럭과, 상기 밀판블럭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간블럭과, 상기 중간블럭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면이 상기 제1 금형과 접촉하는 가동블럭과, 상기 가동블럭과 중간블럭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블럭에 대해 상기 가동블럭을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메인탄성부재와, 상기 고정블럭과 상기 밀판블럭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밀판블럭, 중간블럭 및 가동블럭을 상기 고정블럭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보조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블럭은 상기 제1 금형과 함께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상면에 성형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블럭부재와, 상기 제2 블럭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에 블럭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블럭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블럭은 상기 제1 블럭부재와 체결부재를 통해 소정간격 이격 되거나 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로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지지홀이 마련되어 있는 제3 블럭부재와, 상기 제3 블럭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종동스프로킷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면에 하방으로 인입된 인입홈이 마련되어 있는 제4 블럭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판블럭은 상기 제4 블럭부재의 하단에 설치된 상밀판과, 상기 상밀판의 하단에 설치된 하밀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블럭부재는 상기 제1 블럭부재와, 제3, 제4 블럭부재 및 상밀판을 관통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로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밀판에는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며 상기 연결로드가 관통하는 관통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승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로드의 하단에는 상기 승강홈의 직경에 대응하며, 상기 승강홈의 깊이보다는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로드와 연결된 제2 블럭부재가 상기 제1 블럭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블럭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캐비티에서 성형되는 성형제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코어가 회전할 때 상기 성형제품의 회전을 차단하는 고정돌기가 소정길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나사성형용 사출금형은 성형제품의 취출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제품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사성형용 사출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사출제품을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사성형용 사출금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나사성형용 사출금형의 제2 금형을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4는 성형제품의 취출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나사성형용 사출금형의 단면도,
도 5는 성형제품의 취출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나사성형용 사출금형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사성형용 사출금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나사성형용 사출금형(10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품을 사출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의 사출제품(10)은 상하면을 관통하는 중공을 갖는 중공체이며, 하단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나사성형용 사출금형(100)은 상호 형합 및 형분리되며 제품 성형을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1, 제2 금형(110,120)과, 상기 제2 금형(120)에 설치되며 캐비티로 진입하는 회전코어(175)를 포함하는 회전유닛(170)과, 상기 회전유닛(170)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부(180)를 포함한다.
제1 금형(110)은 통상적인 사출금형과 마찬가지로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스프루부시(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런너(112)와 게이트(113)가 마련되어 있어서 캐비티로 용융된 수지가 주입될 수 있는 주입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유닛(170)은 제2 금형(120)에 설치되는데, 제2 금형(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로드(171)와, 상기 회전로드(171)를 제2 금형(1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베어링(177)과, 상기 회전로드(171)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본체(172)와, 상시 회전본체(172)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코어(175)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코어(175)는 제2 금형(120)의 상면을 관통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제2 금형(120)이 상기 제1 금형(110)과 형합되어 형성되는 캐비티의 내부로 진입하며, 외주면에 상기 사출제품(10)의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해 돌출된 나사산돌기(176)가 나선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본체(172)는 제2 금형(1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회전코어(175)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는 테이퍼부(173)와, 상기 테이퍼부(173)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원통형의 원통부(174)를 갖는다.
상기 구동부(180)는 회전유닛(170)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유닛(170)의 회전로드(171)에 장착된 종동스프로킷(181)과, 제2 금형(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아이들스프로킷(182)과, 제2 금형(120)의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85)와, 상기 구동모터(185)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구동스프로킷(184) 및 구동스프로킷(184)과 종동스프로킷(181) 및 아이들스프로킷(182)을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체인(183)을 포함한다.
제2 금형(120)에는 상기 체인(183)이 설치될 수 있도록 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착공간에 상기 종동스프로킷(181)과 아이들스프로킷(182)이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180)는 구동모터(185)의 구동력을 구동스프로킷(184)과 체인(183), 종동스프로킷(181)을 통해 회전로드(171)에 전달하게 되며, 이 회전로드(17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코어(175)도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출제품(10)의 성형 후 사출제품(10)의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금형(120)은 상기 제1 금형(110)에 액추에이터에 의해 형합 및 형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며, 중간블럭(131)과, 상기 중간블럭(131)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금형(110)의 하면에 상면이 결합되는 가동블럭(121)과, 상기 중간블럭(131)에 대하여 가동블럭(121)을 상방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도록 설치된 메인탄성부재(161)와, 중간블럭(131)의 하부에 설치된 밀판블럭(141)과, 상기 밀판블럭(141)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블럭(151)과, 상기 고정블럭(151)에 대하여 상기 밀판블럭(141)을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보조탄성부재(162)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블럭(121)은 중간블럭(131)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블럭부재(122)와, 상기 제1 블럭부재(122)의 상부에 제1 블럭부재(122)와 독립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블럭부재(1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블럭부재(122)는 체결부재(128)를 통해 중간블럭(131)과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중간블럭(131)에 대하여 제1 블럭부재(122)가 상방으로 소정거리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블럭부재(122)와 중간블럭(131)의 사이에는 메인탄성부재(161)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메인탄성부재(161)에 의해 제1 블럭부재(122)는 중간블럭(131)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기 때문에 제1 금형(110)이 제2 금형(120)과 분리되면 메인탄성부재(161)에 의해 제1 블럭부재(122)가 중간블럭(131)으로부터 분리되어 상방으로 승강하게 된다.
아울러 제1 블럭부재(122)의 상면에는 캐비티가 성형되는 영역에 상기 제2 블럭부재(125)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인입된 블럭장착홈(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블럭장착홈(123)이 형성된 위치에 상기 회전본체(172)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원통부(174)의 직경에 대응하는 제1 회전홀(1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블럭부재(125)는 상기 블럭장착홈(123)에 장착되며, 제1 블럭부재(122)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방으로 승강 가능하다. 제2 블럭부재(125)에는 상기 제1 회전홀(124)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회전홀(126)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회전홀(126)을 통해 회전코어(175)가 제2 블럭부재(125)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특히 제2 회전홀(126)은 상기 회전본체(172)의 테이퍼부(173)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제2 블럭부재(125)가 제1 블럭부재(122)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되는 과정에서 회전본체(172)와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블럭부재(125)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코어(175)와 인접한 위치에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27)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돌기(127)는 사출제품(10)의 성형 후 회동코어가 회전하여 사출제품(1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사출제품(10)이 회전하지 않고 제2 블럭부재(125)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중간블럭(131)은 상기 제1 블럭부재(122)와 결합되는 제3 블럭부재(132)와, 상기 제3 블럭부재(132)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4 블럭부재(135)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블럭부재(132)는 일측에 상기 메인탄성부재(161)가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홈(1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로드(171)가 관통하는 회전지지홀(134)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홀(134)이 형성된 위치에는 회전로드(171)를 지지하기 위해 상단과 하단에 각각 지지베어링(17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4 블럭부재(135)는 제3 블럭부재(132)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제4 블럭부재(135)와 제3 블럭부재(132)의 사이에는 상기 장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4 블럭부재(135)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인입된 인입홈(1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술한 것처럼 구동부(180)의 종동스프로킷(181)이 설치되어 있고, 제4 블럭부재(135)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로드(171)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울러 장착공간에는 상술한 것처럼 아이들 스프로킷이 설치되어 있는데, 아이들 스프로킷은 그 회전축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제3 블럭부재(132)의 하단과 제4 블럭부재(135)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해당 위치에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베어링(17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밀판블럭(141)은 중간블럭(131)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제4 블럭부재(135)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밀판(142)과, 상밀판(142)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밀판(145)을 포함한다.
상기 하밀판(145)은 고정블럭(151)에 대하여 보조탄성부재(162)를 통해 지지되어 있어서 보조탄성부재(162)의 탄성력에 의해 중간블럭(131)과 가동블럭(121)을 상방으로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상밀판(142)에는 상기 제2 블럭부재(125)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로드(137)가 관통하는 관통홀(14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밀판(142) 외에도 제1 블럭부재(122)와, 제3 블럭부재(132), 제4 블럭부재(135)에도 연결로드(137)가 관통할 수 있게 관통홀(14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홀(143)의 하단은 하밀판(145)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상밀판(142)의 하면에는 상기 관통홀(143)이 형성된 위치에 상방으로 인입된 승강홈(144)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137)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138)가 상방으로 소정거리 승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연결로드(137)와 제2 블럭부재(125)가 제1 블럭부재(122)와는 개별적으로 상방으로 승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나사성형용 사출금형(100)을 통한 사출제품(10)의 성형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이 형합되면 제1 금형(110)이 제2 금형(120)을 가압하기 때문에 메인탄성부재(161)와 보조탄성부재(162)가 압축된 상태가 되며, 가동블럭(121)과 중간블럭(131)이 상호 밀착되고 밀판블럭(141)도 고정블럭(151)과 인접하도록 가압된다.
용융수지의 주입으로 캐비티에 용융수지가 충진된 후 냉각되면 제1 금형(110)을 제2 금형(120)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는데, 제2 금형(120)이 분리되면서 가동블럭(121)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상쇄됨에 따라 메인탄성부재(161)에 의해 가동블럭(121)이 중간블럭(131)에 대하여 상승하게 된다.
상기 사출제품(10)의 나사산을 성형하는 회전코어(175)는 회전본체(172) 및 회전로드(171)와 함께 중간블럭(131)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사출제품(1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가동블럭(121)이 중간블럭(131)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되면서 사출제품(10)이 성형코어와 분리되도록 상방으로 승강시키게 되며, 이 과정 중 상기 회전코어(175)가 나사산을 유지하면서 사출제품(10)이 분리될 수 있도록 구동부(180)가 회전유닛(170)을 회전시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사출제품(10)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분리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제1 금형(110)이 제2 금형(120)과 분리되는 초기에 상기 메인탄성부재(161)에 의해 가동블럭(121)이 중간블럭(131)과 급격하게 이격되면서 나사산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탄성부재(162)에 의해 중간블럭(131)이 소정구간 상방으로 승강하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유닛(170)이 회전되어 사출제품(10)의 나사산과 분리되는 시간과 가동블럭(121)이 중간블럭(131)에 대하여 상승하면서 사출제품(10)을 회동코어로부터 분리하는 시간 사이의 편차에 의한 파손 발생 위험을 상쇄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것처럼 사출제품(10)을 지지하는 제2 블럭부재(125)가 연결로드(137)를 통해 상밀판(142)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상밀판(142)에 연결로드(137)의 하단부가 상방으로 소정거리 승강할 수 있게 승강홈(14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블럭부재(122)와는 별개로 제2 블럭부재(125)가 상승할 수 있으며, 메인탄성부재(161)에 의해 제1 블럭부재(122)가 완전히 상승한 후에도 상기 사출제품(10)과 회전코어(175)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회전코어(175)가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동안 제2 블럭부재(125)가 추가적으로 상승할 수 있어 나사산이 파손되지 않고 사출제품(10)이 회전코어(175)와 안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나사성형용 사출금형
110; 제1 금형
120; 제2 금형
121; 가동블럭
122; 제1 블럭부재 125; 제2 블럭부재
131; 중간블럭
132; 제3 블럭부재 135; 제4 블럭부재
141; 밀판블럭
142; 상밀판 145; 하밀판
151; 고정블럭
161; 메인탄성부재 162; 보조탄성부재
170; 회전유닛
171; 회전로드 172; 회전본체
175; 회전코어 177; 지지베어링
180; 구동부

Claims (3)

  1. 삭제
  2. 제1 금형과;
    상기 제1 금형과 형합 및 형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형합시 상기 제1 금형과 함께 성형대상 제품에 대응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에 설치되며, 상기 캐비티로 진입하여 성형대상 제품의 나사산을 성형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돌기가 마련된 회전코어를 구비하는 회전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제2 금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로드와, 상기 회전로드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금형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본체와, 상기 회전본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로 진입하는 상기 회전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로드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금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종동스프로킷과, 상기 종동스프로킷과 체인을 통해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금형은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밀판블럭과, 상기 밀판블럭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간블럭과, 상기 중간블럭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면이 상기 제1 금형과 접촉하는 가동블럭과, 상기 가동블럭과 중간블럭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블럭에 대해 상기 가동블럭을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메인탄성부재와, 상기 고정블럭과 상기 밀판블럭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밀판블럭, 중간블럭 및 가동블럭을 상기 고정블럭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보조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블럭은 상기 제1 금형과 함께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상면에 성형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블럭부재와, 상기 제2 블럭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에 블럭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블럭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블럭은 상기 제1 블럭부재와 체결부재를 통해 소정간격 이격 되거나 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로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지지홀이 마련되어 있는 제3 블럭부재와, 상기 제3 블럭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종동스프로킷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면에 하방으로 인입된 인입홈이 마련되어 있는 제4 블럭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판블럭은 상기 제4 블럭부재의 하단에 설치된 상밀판과, 상기 상밀판의 하단에 설치된 하밀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블럭부재는 상기 제1 블럭부재와, 제3, 제4 블럭부재 및 상밀판을 관통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로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성형용 사출금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밀판에는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며 상기 연결로드가 관통하는 관통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승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로드의 하단에는 상기 승강홈의 직경에 대응하며, 상기 승강홈의 깊이보다는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로드와 연결된 제2 블럭부재가 상기 제1 블럭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블럭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캐비티에서 성형되는 성형제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코어가 회전할 때 상기 성형제품의 회전을 차단하는 고정돌기가 소정길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성형용 사출금형.
KR1020110129285A 2011-12-05 2011-12-05 나사성형용 사출금형 KR101277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285A KR101277318B1 (ko) 2011-12-05 2011-12-05 나사성형용 사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285A KR101277318B1 (ko) 2011-12-05 2011-12-05 나사성형용 사출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815A KR20130062815A (ko) 2013-06-13
KR101277318B1 true KR101277318B1 (ko) 2013-06-20

Family

ID=4886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285A KR101277318B1 (ko) 2011-12-05 2011-12-05 나사성형용 사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3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009B1 (ko) 2017-10-30 2019-04-10 박현철 무동력 나사제품 취출 금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2835B (zh) * 2017-12-20 2023-11-14 佛山市顺德区天玛仕电子有限公司 连接座注塑模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111U (ko) * 1995-12-22 1997-07-24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KR20110021593A (ko) * 2009-08-26 2011-03-04 창성정밀(주) 사출금형의 나사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111U (ko) * 1995-12-22 1997-07-24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KR20110021593A (ko) * 2009-08-26 2011-03-04 창성정밀(주) 사출금형의 나사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009B1 (ko) 2017-10-30 2019-04-10 박현철 무동력 나사제품 취출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815A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1593A (ko) 사출금형의 나사 성형장치
KR101362393B1 (ko) 사출금형장치
KR101183171B1 (ko)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KR100880970B1 (ko) 수지 밀봉 금형
KR101178943B1 (ko) 사출물의 게이트 절단 및 연마장치
KR101962015B1 (ko) 화장용 연필 제조장치
KR101277318B1 (ko) 나사성형용 사출금형
KR100800257B1 (ko) 플라스틱 나사 제품 사출금형
KR101145107B1 (ko) 워엄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KR101935505B1 (ko) 사출 금형의 이젝트 장치
CN113306095A (zh) 一种野营灯主壳体的制备工艺
CN209580405U (zh) 一种齿轮组侧向抽芯结构
KR100930655B1 (ko)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용 금형
JP2014233976A (ja) 射出金型のアンダーカット取出し装置
KR20150002220U (ko) 언더컷 회전 금형 취출장치
KR200418297Y1 (ko) 에어 밀핀 장치를 갖는 사출금형
KR102222831B1 (ko) 나사 캡 사출 금형 장치
CN210851186U (zh) 一种带电动马达的顶出模具
KR20220022742A (ko) 사출물 취출장치
KR102165732B1 (ko) 나사가 형성된 사출품 제조금형
KR101968009B1 (ko) 무동력 나사제품 취출 금형
KR0136498Y1 (ko)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
KR20160094630A (ko) 런너게이트 취출시 성형품 손상방지를 위한 2단 취출장치
KR20150033860A (ko) 사출성형장치
KR20210051437A (ko) 나사 캡 사출 금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