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697B1 - 사출금형 - Google Patents

사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697B1
KR102208697B1 KR1020190144468A KR20190144468A KR102208697B1 KR 102208697 B1 KR102208697 B1 KR 102208697B1 KR 1020190144468 A KR1020190144468 A KR 1020190144468A KR 20190144468 A KR20190144468 A KR 20190144468A KR 102208697 B1 KR102208697 B1 KR 102208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or pin
boss
elastic pieces
sealing plat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민
남우석
원용기
김의겸
Original Assignee
홍용민
남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용민, 남우석 filed Critical 홍용민
Priority to KR1020190144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98Using spring tension to drive movable machin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갈라진 다수의 탄성편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편들이 사출물의 성형 시 보스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아웃터이젝터핀과; 상기 사출물의 성형 시, 상기 아웃터이젝터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아웃터이젝터핀의 탄성편들을 보스의 외측방향으로 벌려 상기 보스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성형이 완료된 사출물의 취출 시 상기 아웃터이젝터핀에 앞서 사출물을 밀어내도록 설치된 이너이젝터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사출금형{INJECTION MOLD}
본 발명은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물의 품질 향상을 위한 사출금형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사출금형에 의해 성형된 사출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주된 현상들 중 하나는 수축(shrinkage)에 의한 사출물 표면의 싱크마크(Sink Mark)이다.
상기와 같은 사출물의 수축 현상은 주로 내측에 보스나 리브가 형성된 사출물의 표면에서 발생되며, 그 주된 원인은 사출물의 단면두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사출물에서 사출물의 외관 형성부(500)의 두께 K에 비해 보스(502)의 단면 두께 U가 상기 외관 형성부(500) 두께 K의 6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외관 형성부(500)에 싱크마크의 발생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수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도 2와 같이 외관 형성부(500) 내측의 보스(502) 주변에 함몰부(504)를 형성하는 방법과, 도 3과 같이 외관 형성부(500)의 두께 자체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도 2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스(502) 주변의 얇아진 부분의 강도가 저하되어, 상기 보스(502)를 이용한 조립 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도 3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꺼운 사출물의 두께로 인하여 성형 사이클 타임이 증가하고 사출물의 중량 증가에 따른 원가의 상승이 수반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4544390000 B1
본 발명은 사출물의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스 주변에 함몰부를 형성하거나 외관 형성부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도 내측에 보스가 형성된 사출물의 외관 형성부에 수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출물의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성형 사이클 타임의 불필요한 증가를 배제하며, 사출물의 불필요한 중량 증가를 방지하면서 사출물의 품질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사출금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사출금형은,
일측에 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갈라진 다수의 탄성편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편들이 사출물의 성형 시 보스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아웃터이젝터핀;
상기 사출물의 성형 시, 상기 아웃터이젝터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아웃터이젝터핀의 탄성편들을 보스의 외측방향으로 벌려 상기 보스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성형이 완료된 사출물의 취출 시 상기 아웃터이젝터핀에 앞서 사출물을 밀어내도록 설치된 이너이젝터핀;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편들은 상기 사출물의 성형 시 보스의 내주면에 보스의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함몰부를 형성하도록 단부에 각각 외향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편들에는 상기 외향돌기들이 상기 탄성편들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방향의 탄성력이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이젝터핀의 일측에는 상기 사출물의 성형 시 상기 아웃터이젝터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아웃터이젝터핀의 탄성편들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단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이 확대되는 단면확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이젝터핀의 단면확대부에는 상기 아웃터이젝터핀의 탄성편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사출물의 성형 시 상기 탄성편들과 함께 보스의 내주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돌출된 다수의 틈새메움돌기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이젝터핀의 외측에는 상기 보스의 단부를 형성하도록 코어에 고정되는 슬리브핀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코어는 가동측형판에 고정되고;
상기 이너이젝터핀은 상기 가동측형판 및 코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1차밀판에 의해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아웃터이젝터핀은 상기 가동측형판 및 코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2차밀판에 의해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2차밀판은 상기 1차밀판의 후방에서 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1차밀판이 소정의 제1스트로크만큼 이동하는 동안 고정되었다가, 상기 1차밀판이 상기 제1스트로크를 초과하여 이동될 때 함께 이동하여 상기 가동측형판 및 코어를 향해 전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1차밀판과 2차밀판 사이에는 제1리턴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2차밀판과 가동측형판 사이에는 제2리턴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제2리턴스프링은 상기 1차밀판이 상기 제1리턴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제1스트로크만큼 이동하는 동안 상기 2차밀판이 상기 가동측형판을 향해 전진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아웃터이젝터핀은,
일측에 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갈라진 다수의 탄성편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편들이 사출물의 성형 시 보스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성편들은 상기 사출물의 성형 시 보스의 내주면에 보스의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함몰부를 형성하도록 단부에 각각 외향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편들에는 상기 외향돌기들이 상기 탄성편들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방향의 탄성력이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이너이젝터핀은,
사출물의 성형 시, 상기 아웃터이젝터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아웃터이젝터핀의 탄성편들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단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이 확대되는 단면확대부가 구비되고;
상기 단면확대부에는 상기 아웃터이젝터핀의 탄성편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사출물의 성형 시 상기 탄성편들과 함께 보스의 내주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돌출된 다수의 틈새메움돌기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출물의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스 주변에 함몰부를 형성하거나 외관 형성부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도 내측에 보스가 형성된 사출물의 외관 형성부에 수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출물의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성형 사이클 타임의 불필요한 증가를 배제하며, 사출물의 불필요한 중량 증가를 방지하면서 사출물의 품질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출물의 보스가 형성된 부분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사출물의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보스 주변에 함몰부를 형성한 것을 설명한 도면,
도 3은 종래 사출물의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사출물의 외관 형성부의 두께를 증가시킨 것을 설명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에 의해 수축현상이 방지되도록 성형된 사출물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사출금형의 주요부품들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부품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Ⅷ-Ⅷ선 단면도,
도 9는 도 5의 사출금형의 작동을 차례로 설명한 도면,
도 10은 도 9와 같은 사출금형의 작동 시 주요부품들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 도 4와 같은 함몰부(1)를 가진 단면 구조의 사출물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측에 보스(3)가 형성된 사출물의 외관 형성부(5)에 수축에 의한 싱크마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도 4와 같은 단면 구조의 보스를 가진 사출물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 사출금형의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일측에 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갈라진 다수의 탄성편(7)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편(7)들이 사출물의 성형 시 보스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아웃터이젝터핀(9); 상기 사출물의 성형 시,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의 탄성편(7)들을 보스의 외측방향으로 벌려 상기 보스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성형이 완료된 사출물의 취출 시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에 앞서 사출물을 밀어내도록 설치된 이너이젝터핀(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편(7)들은 상기 사출물의 성형 시 보스(3)의 내주면에 보스의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함몰부(1)를 형성하도록 단부에 각각 외향돌기(13)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편(7)들에는 상기 외향돌기(13)들이 상기 탄성편(7)들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방향의 탄성력이 부여된 것이다.
즉, 상기 외향돌기(13)들에 의해 상기 도 4와 같이 보스(3)의 뿌리 부분, 즉 보스와 외관 형성부가 서로 만나는 부분의 보스 내측에 보스의 내주면으로부터 보스의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함몰된 상기 함몰부(1)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스 주변에 사출물을 성형하는 수지가 집중적으로 모여서 두께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하는 부분을 제거 내지는 최소화하여, 사출물의 외관에 수축에 의한 싱크마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보스의 내측에 형성되는 함몰부의 형상이 언더컷을 형성하므로, 이를 상기한 바와 같은 탄성편(7)을 포함한 아웃터이젝터핀(9)과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의 구성 및 작동에 의해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의 일측에는 상기 사출물의 성형 시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의 탄성편(7)들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단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이 확대되는 단면확대부(15)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의 단면확대부(15)가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의 탄성편(7)들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면, 상기 탄성편(7)들은 탄성적으로 밖으로 벌어지면서 도 6과 같은 상태를 형성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사출물의 성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사출물의 보스 내측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함몰부(1)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의 단면확대부(15)에는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의 탄성편(7)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사출물의 성형 시 상기 탄성편(7)들과 함께 보스의 내주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돌출된 다수의 틈새메움돌기(17)가 일체로 구비된 구성이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의 탄성편(7)들이 형성하는 외주면과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의 틈새메움돌기(17)들이 형성하는 외주면은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원주면을 형성하여 보스의 내부에 부드러운 원형단면의 홈을 형성하게 되어, 보스의 균일한 두께를 형성하여 강도저하를 방지하고, 추후 나사 등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틈새메움돌기(17)와 상기 탄성편(7)들의 외향돌기(13)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A) 들은 성형 시 수지가 채워져서 보스와 외관 형성부 사이의 강도 향상에 도움을 주게 된다.
참고로, 도 4와 같이 보스(3) 내부에 함몰부(1)가 형성된 구조는 도 2의 종래 기술에서 보스의 외부에 함몰부를 형성하는 구조에서 문제가 되는 강도 저하의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보스와 외관 형성부 사이의 연결강도를 결정짓는 주요한 부분은 보스의 외측이 외관 형성부와 만나는 부분이기 때문이고, 보스의 내측은 실질적으로 보스와 외관 형성부 사이의 연결 강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인 수축 현상에 따른 싱크마크의 방지라는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보스 형성부분의 강도 저하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의 외측에는 상기 보스(3)의 단부를 형성하도록 코어(19)에 고정되는 슬리브핀(21)이 삽입된다.
즉, 상기 슬리브핀(21)은 코어(19)에 고정되어 사출물의 보스(3) 높이를 결정함과 아울러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이 내측으로 가이드되면서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코어(19)는 가동측형판(23)에 고정되고;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은 상기 가동측형판(23) 및 코어(19)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1차밀판(25)에 의해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은 상기 가동측형판(23) 및 코어(19)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2차밀판(27)에 의해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과 이너이젝터핀(11)은 별도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물론, 상기 코어(19)와 가동측형판(23)의 맞은편에는 도시되지 않은 캐비티를 구비한 고정측형판이 구비되어, 상기 가동측형판(23)과 고정측형판이 합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측형판이 제공하는 캐비티와 상기 코어(19) 및 가동측형판(23) 사이의 공간에 수지를 압입하여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도 5와 도 9에서 전진 방향은 우측 방향으로 상기 고정측형판을 향하는 방향이며, 후진은 그 반대 방향을 말한다.
상기 1차밀판(25)과 2차밀판(27)은 각각 2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리턴핀(29)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가동측형판(23)에 대해 전진 및 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2차밀판(27)은 상기 1차밀판(25)의 후방에서 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1차밀판(25)이 소정의 제1스트로크만큼 이동하는 동안 고정되었다가, 상기 1차밀판(25)이 상기 제1스트로크를 초과하여 이동될 때 함께 이동하여 상기 가동측형판(23) 및 코어(19)를 향해 전진하도록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은 도 9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 후 사출물의 취출 시, 상기 1차밀판(25)이 상기 제1스트로크만큼 먼저 이동하면서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이 먼저 전진하도록 한 후, 상기 2차밀판(27)이 1차밀판(25)과 함께 제2스트로크만큼 이동하여 상기 이너이젝터핀(11)과 아웃터이젝터핀(9)이 함께 전진하여 사출물을 최종적으로 취출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1차밀판(25)이 제1스트로크만큼 먼저 이동함에 의해,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의 단면확대부(15)가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의 탄성편(7)들 사이에서 빠져나오고, 이에 의해 상기 탄성편(7)들은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탄성편(7)들의 중심을 향해 모여서 도 10의 중앙과 같은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외향돌기(13)들이 보스(3)의 내측에 함몰부(1)를 형성한 후 보스(3)의 내측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빠지도록 하여 언더컷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사출물의 취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은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보다 제1스트로크만큼 먼저 이동하고,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의 탄성편(7)들은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의 상기 이동에 의해 점차 중심으로 모이게 되는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이 상기 제1스트로크만큼 이동하는 초기에는 사출물을 강제로 밀어내는 구간이 일정 부분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트로크는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이 아웃터이젝터핀(9) 보다 먼저 전진하면서, 초기에 상기 외향돌기(13)들이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은 수준으로 내측으로 모이도록 할 수 있는 정도를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스트로크는 이후 이너이젝터핀(11)과 아웃터이젝터핀(9)이 함께 전진하면서 사출물의 완전한 취출을 도모하기에 적합한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1차밀판(25)과 2차밀판(27) 사이에는 제1리턴스프링(31)이 설치되고; 상기 2차밀판(27)과 가동측형판(23) 사이에는 제2리턴스프링(33)이 설치되며; 상기 제2리턴스프링(33)은 상기 1차밀판(25)이 상기 제1리턴스프링(31)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제1스트로크만큼 이동하는 동안 상기 2차밀판(27)이 상기 가동측형판(23)을 향해 전진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1차밀판(25)의 후방에서 상기 1차밀판(25)을 전진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1리턴스프링(31)만 먼저 압축되면서 상기 1차밀판(25)과 아웃터이젝터핀(9)만 이동하고, 이후 상기 제2리턴스프링(33)이 압축되기 시작하면 상기 2차밀판(27)이 1차밀판(25)과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함몰부
3; 보스
5; 외관 형성부
7; 탄성편
9; 아웃터이젝터핀
11; 이너이젝터핀
13; 외향돌기
15; 단면확대부
17; 틈새메움돌기
19; 코어
21; 슬리브핀
23; 가동측형판
25; 1차밀판
27; 2차밀판
29; 리턴핀
31; 제1리턴스프링
33; 제2리턴스프링

Claims (8)

  1. 일측에 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갈라진 다수의 탄성편(7)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편(7)들이 사출물의 성형 시 보스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아웃터이젝터핀(9);
    상기 사출물의 성형 시,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의 탄성편(7)들을 보스의 외측방향으로 벌려 상기 보스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성형이 완료된 사출물의 취출 시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에 앞서 사출물을 밀어내도록 설치된 이너이젝터핀(1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편(7)들은 상기 사출물의 성형 시 보스의 내주면에 보스의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함몰부를 형성하도록 단부에 각각 외향돌기(13)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편(7)들에는 상기 외향돌기(13)들이 상기 탄성편(7)들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방향의 탄성력이 부여되어,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이 아웃터이젝터핀(9)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편(7)들이 중심을 향하여 탄성 복귀하기 시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의 일측에는 상기 사출물의 성형 시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의 탄성편(7)들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단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이 확대되는 단면확대부(15)가 구비되고,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의 단면확대부(15)에는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의 탄성편(7)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사출물의 성형 시 상기 탄성편(7)들과 함께 보스의 내주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돌출된 다수의 틈새메움돌기(17)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틈새메움돌기(17)와 상기 탄성편(7)들의 외향돌기(13)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A)들이 성형 시 수지가 채워져서 보스와 외관 형성부 사이의 강도 향상에 도움을 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의 외측에는 상기 보스의 단부를 형성하도록 코어(19)에 고정되는 슬리브핀(21)이 삽입되고,
    상기 코어(19)는 가동측형판(23)에 고정되고;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은 상기 가동측형판(23) 및 코어(19)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1차밀판(25)에 의해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아웃터이젝터핀(9)은 상기 가동측형판(23) 및 코어(19)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동측형판(23)과 상기 1차밀판(25) 사이에 설치된 2차밀판(27)에 의해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2차밀판(27)은 상기 1차밀판(25)의 후방에서 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1차밀판(25)이 소정의 제1스트로크만큼 이동하는 동안 고정되었다가, 상기 1차밀판(25)이 상기 제1스트로크를 초과하여 이동될 때 함께 이동하여 상기 가동측형판(23) 및 코어(19)를 향해 전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너이젝터핀(11)이 상기 제1스트로크만큼 이동하는 초기에는 상기 외향돌기(13)에 의한 사출물의 걸림이 발생함에도, 상기 사출물을 강제로 밀어내는 구간이 일정 부분 존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밀판(25)과 2차밀판(27) 사이에는 제1리턴스프링(31)이 설치되고;
    상기 2차밀판(27)과 가동측형판(23) 사이에는 제2리턴스프링(33)이 설치되며;
    상기 제2리턴스프링(33)은 상기 1차밀판(25)이 상기 제1리턴스프링(31)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제1스트로크만큼 이동하는 동안 상기 2차밀판(27)이 상기 가동측형판(23)을 향해 전진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7. 삭제
  8. 삭제
KR1020190144468A 2019-11-12 2019-11-12 사출금형 KR102208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468A KR102208697B1 (ko) 2019-11-12 2019-11-12 사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468A KR102208697B1 (ko) 2019-11-12 2019-11-12 사출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697B1 true KR102208697B1 (ko) 2021-01-29

Family

ID=7423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468A KR102208697B1 (ko) 2019-11-12 2019-11-12 사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69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9608A (en) * 1988-10-04 1990-04-24 Roehr Tool Corporation Molding apparatus with collapsible core
JPH05261776A (ja) * 1992-03-17 1993-10-12 Olympus Optical Co Ltd 内径アンダーカットを有する円筒状物の成形金型
JPH08216203A (ja) * 1995-02-09 1996-08-27 Fujitsu Ltd 射出成形用金型と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US5630977A (en) * 1993-12-23 1997-05-20 Roehr Tool Corporation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system with expandable cavity element
KR0138133Y1 (ko) * 1995-12-22 1999-05-15 김주용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JP2003311793A (ja) * 2002-04-23 2003-11-05 Asmo Co Ltd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90121115A1 (en) * 2007-11-13 2009-05-14 Garry Zydron Collapsible core assembly for a molding apparatus
JP2010155381A (ja) * 2008-12-26 2010-07-15 Technocrats Corp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KR101454439B1 (ko) 2013-06-03 2014-11-04 (주) 부광테크 사출금형의 언더컷 취출장치
KR101970283B1 (ko) * 2018-11-21 2019-08-13 주식회사 메인텍 언더컷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금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9608A (en) * 1988-10-04 1990-04-24 Roehr Tool Corporation Molding apparatus with collapsible core
JPH05261776A (ja) * 1992-03-17 1993-10-12 Olympus Optical Co Ltd 内径アンダーカットを有する円筒状物の成形金型
US5630977A (en) * 1993-12-23 1997-05-20 Roehr Tool Corporation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system with expandable cavity element
JPH08216203A (ja) * 1995-02-09 1996-08-27 Fujitsu Ltd 射出成形用金型と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0138133Y1 (ko) * 1995-12-22 1999-05-15 김주용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JP2003311793A (ja) * 2002-04-23 2003-11-05 Asmo Co Ltd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90121115A1 (en) * 2007-11-13 2009-05-14 Garry Zydron Collapsible core assembly for a molding apparatus
JP2010155381A (ja) * 2008-12-26 2010-07-15 Technocrats Corp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KR101454439B1 (ko) 2013-06-03 2014-11-04 (주) 부광테크 사출금형의 언더컷 취출장치
KR101970283B1 (ko) * 2018-11-21 2019-08-13 주식회사 메인텍 언더컷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12610A1 (en) Foam-molding parts manufacturing method, foam-molding part, and foam-mold
CN101351321B (zh) 用于模制件的金属模具
KR102208697B1 (ko) 사출금형
KR20070104831A (ko) 타이어 트레드 성형용 타이어 금형 및 이 금형에 의해성형된 공기 주입 타이어
US3672807A (en) Mold construction
KR101716065B1 (ko) 밀봉장치의 제조방법 및 밀봉장치
KR101915791B1 (ko) 이중사출 금형용 슬라이드 코어의 작동구조
CN210362226U (zh) 一种光学镜头镜筒塑胶模具
JP2018034390A (ja) 射出圧縮成形金型および射出圧縮成形方法
CN106863708B (zh) 模具及其行位组件
US3519280A (en) Piston bearing and sealing means
CN105058694A (zh) 一种单型腔内实现双色注射的腔内切换机构
CN209176094U (zh) 油缸的防退机构
CN210453548U (zh) 用于制造笔记本电脑后盖的模具
JP3111015B2 (ja) 射出・圧縮成形用金型
CN209794416U (zh) 注塑模具的公模
JP2011218643A (ja) シール構造
KR101456999B1 (ko) 웰드라인 없이 성형제품의 일면에 홈을 형성시킬 수 있는 사출성형 제어방법
JP2002292687A (ja) 厚みが一端部から他端部に向けて漸減するくさび形状の導光板の射出圧縮成形用金型及びこれを用いる導光板の製造方法
CN108454032B (zh) 模具抽芯防退机构及模具
KR101934359B1 (ko) 굴곡 튜브 사출 성형 금형
CN219213927U (zh) 一种镜筒模具
CN110978416A (zh) 精密塑胶模具的小空间分体式倒扣缩柯机构
CN210880635U (zh) 保护弹簧的注塑模具
CN220008659U (zh) 叠层模热流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