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980A - 소형 확성기들을 위한 고효율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소형 확성기들을 위한 고효율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980A
KR20040063980A KR10-2004-7008275A KR20047008275A KR20040063980A KR 20040063980 A KR20040063980 A KR 20040063980A KR 20047008275 A KR20047008275 A KR 20047008275A KR 20040063980 A KR20040063980 A KR 20040063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dspeaker
driver
driving
level
co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8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6007B1 (ko
Inventor
푸르스트클라우스에드만
톰센헨리크
스텐버그라스젠
폴센젠스크리스티안
Original Assignee
소니온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온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소니온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4006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05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using digitally weighted transduc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04R25/505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Abstract

일 양상에서, 본 발명은 확성기, 예컨대 이동성전화기들 또는 보청기들용 소형확성기들을 구동하는 데 적합한 고효율 소형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드라이버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3-레벨 변조기, 및 3-레벨 H-브릿지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는 디지털입력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드라이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H-브릿지는 RTZ(Return-To-Zero)체제에 의해 동작되는 보정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드라이버는 H-브릿지에 공급된 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력공급승압회로를 포함한다. 제 2양상에서, 본 발명은 장착된 드라이버를 가진 소형확성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제 3양상에서, 본 발명은 장착된 소형확성기 어셈블리를 가진 이동성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형 확성기들을 위한 고효율 드라이버{A HIGH EFFICIENCY DRIVER FOR MINIATURE LOUDSPEAKERS}
소형 확성기들은 크기가 소형인 것이 탁월한 것으로 여겨지는, 소형 휴대용 장치들 예컨대, 이동전화(mobile phones), 뮤직 플레이어(music players),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보청기, 이어폰(earphones), 휴대용 초음파 장비(portable ultrasonic equipment), 등에 다양하게 널리 사용된다. 이런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은 크기를 소형으로 한것을 높이 평가하지만, 음질을 고려하지 않은 것은 좋아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런 디바이스들은 전형적으로 배터리로 동작되고, 배터리는 소형 확성기를 구동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전력의 양을 매우 제한한다. 또한 이런 많은 응용들이 비용책정에 매우 민감하다는 사실은 제조비용을 상당히 낮출 수 있어야만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런 제품들의 라이프 사이클은 매우 짧으며, 따라서 새로운 제품의 디자인 시간은 매우 짧게 된다.
현재 다수의 이런 소형확성기들은 외부연결들로 확성기에 연결된 A/B급 아날로그증폭기들에 의해 구동된다. 이런 A/B급 아날로그증폭기들은 부피가 크고, 비효율적이며,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이런 증폭기들의 사용 즉, 인터페이스 등을 표준에 맞추기를 원한다면, 많은 제한들이 있게 된다.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는 미소전자학에서 더욱 증대하는 문제, 예를 들어 소음을 가지는 문제점들을 초래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은 확성기 드라이버를 소형확성기로 통합하는 데 적합한 해결책들을 요구한다. 능동신호처리회로를 소형확성기케이스내로 통합함으로써, 회로는 효과적으로 EMI에 대해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의 성능감소없이 최소크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디지털드라이버가 필요하다. 또한, 이런 드라이버들은 저비용생산에 적합해야만 한다.
가장 자연적인 해결책은 아날로그증폭기들을 높은 효율로, 상당히 작고, 그리고 매우 높은 품질로 만들어 질수 있는 디지털 드라이버회로로 대체하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드라이버회로를 사용할 때, 표준디지털인터페이스는 매우 쉽게 구현된다.
전력증폭기들을 디지털드라이버회로들로 대체하는 쟁점의 몇가지 해결책들은 종래기술의 문서에 이미 존재한다. 이런 문서들의 예에는 Apogee Technology의 US 5077539, Tripath Technology의 US5777512, 및 Wei-Chan HSU의 US2002/0075068이 있다.
상술된 문서들은 몇 와트의 전력레벨에서의 응용들, 예컨대 Hi-Fi 음질시스템들을 지향한다. 또한, 이런 해결책들은 매우 복잡하고, 종종 많은 외부구성요소들을 요구하며 따라서 높은 볼륨의 낮은 비용이 드는 응용들에서는 너무 많은 비용이 들어 구현할 수 없다. 또한, 만약 드라이버회로가 소형확성기에 통합되면, 외부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회로의 크기는 가능한한 작아질 수 있어야한다는 점이 가장중요하다. 상술한 해결책들의 어느 것도 이런 기준들을 만족하지 않는다.
Mitel Semiconductor의 US 5815581 및 G/N Netcom의 US 6191650은 PWM(Pulse Width Modulation)과 결합한 D급증폭기들을 포함하는 보청기용 드라이버를 기술한다. 이 두 해결책들 모두는 일그러짐을 최소화하기 위한 피드백루프들(feedback loops)을 그 특색으로 한다. US 5815581 및 US 6191650에서 기술된 발명이 보청기에서의 사용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들은 소형응용들에 적합하다. 하지만, 회로구조들은 다소 복잡하고, 따라서 낮은 비용의 생산에 적합하지 않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몇가지 문서들은 드라이버들 또는 증폭기들을 기초로하여 3-레벨 시그마 - 델타 변조를 기술하며, 3-레벨 시그마 - 델타 변조는 2레벨(1-비트)시그마-델타 변조시스템에 비해서 뛰어난 효율을 제공한다. 보통, 3-레벨 드라이버는 PWM과 결합한다.
DE44 41 996 A1은 보청기용 2-레벨 PDM(Pulse Density Modulation)드라이버를 기술한다. PWM은 구현하는 데는 너무 복잡하지만 PDM보다 낮은 클럭 주파수에서 작동할 수 있어, 만약 클럭 주파수가 낮다면 H-브릿지가 디지털신호를 적은 에러를 가진 아날로그출력신호로 변환시키는 것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복잡함이 더욱 낮춰질수록 낮은 생산비용으로 결과가 나오듯이, PDM의 복잡함이 낮춰지는 것은 높은 볼륨의 응용들에서 매우 매력적인 점이다. 하지만, PDM구현은 스위칭 라이즈(switching rise) 및 스위칭 펄(switching fall) 시간들에 기인한 일그러짐과 같은 단점들을 가진 매우 높은 클럭 주파수를 요구하며, 만약 표준화된 구성요소가 사용된다면 스위칭손실은 저하된 효율로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높은 효율 및 낮은 생산비용에 적합한 작은 크기를 제공하고 SNR(Signal-to-Noise-Ratio) 및 일그러짐에 관해서 높은 품질의 성능을 제공하는 소형확성기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를 가능한 가장 낮은 클럭주파수를 가지며, 가장 낮은 복잡성을 가진 디지털적으로 변조된 신호로 변환하고, 그리고 좋은 성능을 얻을 수 있는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성된 시스템에서 드라이버를 소형확성기와 함께 결합하는 것이고, 그러므로 가능한 가장 작은 크기를 획득하며, 그것으로 매우 제한된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응용들에 적합한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적, 차폐 및 조밀한 성질로 인해 EMI의 방출을 최소화하고 또한 EMI에 대한 민감도를 낮출 수 있는 소형확성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형음향변환기용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 효율을 제공하는 확성기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장형(built-in) 드라이버를 가진 소형 확성기 어셈블리(assembly)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 드라이버의 예시의 블록도이고, 그리고
도 2는 RTZ(Return-To-Zero)변조체제에 의존하는 바람직한 레벨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과 대안적인 형태가 가능하나,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면에서 예시로서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그러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본 명세서의 설명은 개시된 특정한 형태로만 본 발명을 한정시키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주에 드는 모든 수정물, 균등물 및 대안물을 커버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은 제 1양상에서, 확성기를 구동하는데 적합한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으로 따르고, 상기 드라이버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3-레벨 변조기, 및 3-레벨 H-브릿지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는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입력신호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일 수도 있다. 3-레벨 변조기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영역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는 SPDIF, AES/EBU, PCM, SSI 및I2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신호포맷들을 수신하고 처리하는데 적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드라이버는 또한 보간자(interpolator)를 더 포함한다. 드라이버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3-레벨 변조기는 3-레벨 시그마 - 델타 변조기를 포함한다. 드라이버는 전력공급전압조정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드라이버는 PLL(Phase Locked Loop)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H-브릿지는 보정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보정회로는 RTZ(Return-To-Zero)체제에 따라서 동작될 수도 있다. RTZ체제는 레벨에 좌우될 수도 있다. 보정회로는 디지털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디지털필터는 1+Z-1필터일 수도 있다. 보정회로는 패턴발생기(pattern generato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정회로는 피드백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수도 멀티비트 코딩(pseudo multibit coding)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3-레벨 H-브릿지는 독립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4개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드라이버는 드라이버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입력단자를 가진 필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필터는 저역필터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고, 코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드라이버는 3-레벨 H-브릿지에 공급되는 전압의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력공급승압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양상에서, 본 발명은 제 1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소형확성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소형확성기 어셈블리는 제1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제1전기신호에 응답하여 변조된 제1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양상에 따른 드라이버, 및변조된 제1전기신호를 수신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확성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모터는 음향신호를 발생하기 위해서 다이어프램(diaphragm)을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소형확성기 어셈블리는 제어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제어신호는 전기적으로 드라이버 및 모터사이를 연결한다. 모터는 코일 및 자기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모터는 피에조소자(piezo element)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신호는 피에조소자를 충전 및 방전할 수도 있다. 충전 및 방전은 피에조소자 및 전압공급기사이의 코일을 스위칭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충전 및 방전은 피에조소자 및 전압공급기사이의 캐패시터를 스위칭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드라이버는 EMI차폐재료로 제작된 케이싱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제 3양상에서, 본 발명은 제 2양상에 따른 소형확성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이동성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 디바이스는 이동성 전화기들, 보청기들, 청각보조장치들, 헤드-셋들(head-sets), 팜(palm) 컴퓨터들, 및 랩탑(laptop) 컴퓨터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 드라이버의 블록도의 예가 묘사되어 있다. 가장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신호처리블록들만이 도시되었다. 능동신호처리회로가 주로 디지털이기 때문에 부가적인 기능들을 부가하는 것은 매우 쉽다. 부가적인 기능들은 예를 들면 볼륨제어, PLL필터들이 될 수 있다. 입력신호는 디지털신호이다. 바람직하게, 부분들은 단일칩, 예컨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상에서 구현된다. 이런 부분들중에는 디지털인터페이스, 보간자, 시그마-델타 변조기, 조정기 및 H-브릿지가 있다. 보정블록은 비선형들을 보상하기 위해서 H-브릿지의 제어를 촉진한다. 이 블록은 필수적이고 도 2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에서, 칩으로부터의 출력단자는 확성기드라이버에 의해 초래되는 고주파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저역필터를 거쳐서 확성기에 연결된다. 이 필터는 선택적이고 어떤 환경에서는 회피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변조기 및 변조기의 수행에 대한 원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수행의 특정한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인터페이스블록의 기능은 외부로 표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몇가지디지털인터페이스표준들, 예를 들어 SPDIF, AES/EBU, PCM, SSI 및 I2S 가 존재한다. 인터페이스블록은 전형적으로 보간자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포맷(format)에서의 클럭 및 데이타신호를 공급한다. 보간자의 기능은 변조기의 클럭보다 낮은 클럭속도로 데이타가 정상적으로 도착하는 업컨버젼(up-conversion)과 같은 샘플비율컨버젼(sample rate conversion)을 만드는 것이다. 변조기는 진폭이 양자화된 신호를 시간으로 양자화된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신호는 2(또는 3)레벨을 가진다. 이것은 H-브릿지가 변조기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H-브릿지는 오직 최대 3의 진폭을 가진 신호들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H-브릿지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소위 브릿지내에 연결된 네개의 스위치로 구성된다. 이런 스위치들은 확성기를 전력공급기(VDD) 및 접지(GND)에 연결한다. 따라서, 확성기를 지나는 전압들, -VDD, 0 및 VDD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레벨 H-브릿지는 다른 한편으로는 -VDD 및 VDD에 제한된다. 시간적으로 스위칭을 제어하여, 저주파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시간개별PWM(time discrete Pulse Width Modulation) 또는 PDM(Pulse Density Modulation)을 사용하여 진폭이 양자화된 신호를 시간이 양자화된 신호로 변환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PWM 또는 PDM변조신호는 요망되는 저주파신호뿐만이 아니라, 실제로 고주파잡음을 또한 포함한다. 이 고주파잡음은 H-브릿지의 출력단자 및 확성기사이에 연결된 필터, 예를 들어 아날로그 저역필터에 의해 정상적으로 제거된다. 필터는 능동부품들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분석을 통해서 3-레벨 시그마-델타 변조는 두개의 요소에 의해 주어진 SNR을 획득하거나, 또는 주어진 클럭 주파수에서 SNR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클럭주파수를 줄이고, 따라서 매우 첨예한 출력필터에 관한 필요성을 줄이고, 출력필터에 관한 필요성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만약 전류적계형 확성기가 사용된다면, 확성기의 전기적 및 기계적 반응 모두는 저역필터링을 제공하기 때문에, 출력필터는 대부분의 케이스들에서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3-레벨 변조기의 최적화는 양자기의 레벨들과 같이 변조기의 잡음전송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3-레벨 시그마-델타 변조 체제는 낮은 복잡성의 큰장점을 가지며 따라서 예를 들어, 실리콘에서 수행하는데 비용이 덜든다. PWM변조 및 PDM변조를 비교하면, 본래 선형이고 비선형변조를 보정하기 위한 여타의 보정체제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3-레벨 시그마-델타 변조기는 PWM의 낮은 클럭주파수를 가진 PDM변조체제의 낮은 복잡함 및 직선성을 결합한다.
본 발명은 또한 H-브릿지의 출력펄스들의 낮은 주파수신호들로의 비선형변환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체제를 제공한다. 이것은 도 2에서 예시한다.
낮은 주파수신호들로의 펄스들의 H-브릿지 변환은 H-브릿지의 0과 같지 않은 상승 및 하강시간들에 의해 일그러진다. 그후 이상적으로 두개의 펄스들은 서로 각각 단일 펄스에너지의 두배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트랜지스터들의 0과 같지 않은 상승 및 하강시간들은 펄스들에게 에너지를 부가하지만, 에너지는 오직 한번만 부가된다. 외부에너지가 두번이 아닌 오직 한번만 부가된 두개의 후속펄스들의 연속에서, 각 펄스의 에너지표시는 보정되지 않는다. 다른 말로, 변환은 비선형이다.이런 비선형은 RTZ상태들을 부가하여 보상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H-브릿지로부터 전달된 최대출력이 줄어드는 효과를 가진다. 또 다른 개념은 입력신호레벨에 의존하는 RTZ체제를 적용하는 것이다. 개념에 따르면 작은 신호레벨들에서는 RTZ체제를 적용하고 높은 신호레벨들에서는 RTZ체제를 버린다. RTZ체제에 의존하는 레벨을 어떻게 수행할 지의 일 예는 출력신호를 여과하기 위한 매우 간단한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고 결론적으로 필터로부터의 출력을 RTZ상태들을 가진 펄스들의 패턴으로 변환한다. 이런 필터 및 RTZ체제의 일 예가 도 2에서 도시된다. 필터는 많은 상태들, 일예로서 -3 내지 +3의 출력상태들을 부여하는 1+Z-1+Z-2에 관여하기 위해 확장될 수도 있다. 그 후 패턴발생기는 이런 레벨들을 받아야만 한다. 기본적으로, 가능한 수의 상태들로 제한설정하는 것은 오직 클럭주파수만이다. 원리는 간단한 필터보다 더 많은 상태들을 가진 멀티비트 시그마-델타 변조, 및 이런 상태들을 RTZ를 가진 패턴들로 후속 변환하는 것을 결합하기 위해 확장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3-레벨 변조기를 가진 간단한 체제를 능가하는 특징적인 개선점들을 제공하지 않으며, 증대된 복잡성과 H-브릿지의 결과적인 출력신호의 매우 높은 클럭주파수에 관한 단점들을 가진다.
출력신호의 코딩(coding)은 피드포워드 보상 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영역에서 비선형의 피드백보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출력신호의 각 클럭샘플을 더 많은 클럭샘플들로 분할하여 변조기(또는 후속 필터)로부터의 n레벨출력은 수도멀티비트신호로서 코딩될 수 있다. 즉, 멀티비트신호는 높은 클럭주파수에서 +1, 0, -1의 연속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멀티비트신호를 표현하는 것은 합리적인 해결을 얻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클럭주파수를 요구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멀티비트출력의 상이한 코딩은 출력신호의 다수의 하강 및 상승에지들(edges)의 보상가능성은 열려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시스템은 다수의 하강 및 상승에지들을 계산하고, 수도멀티비트체제의 코딩를 제어하여 다수의 하강 및 상승에지들이 균등한지를 확실히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은 -1이 +1을 수반하거나 또는 +1이 -1을 수반한 후에, 이 두개의 0들로서 수행될 수 있다. 0을 코딩하는 이런 세가지 방법의 에너지는 이론상으로 동일하다. 하지만, 실제로 세가지경우에 다수의 하강 및 상승에지들에 의해 쉽게 균일해지지 않는 작은 차이점들이 있다. 동일한 클럭주기에서 +1이 -1을 수반(또는 -1이 +1을 수반)하는 0의 코딩은 수도 3-레벨 모드에서 2레벨 H-브릿지를 구동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장점들 모두는 또한 RTZ코딩에 의존하는 레벨에 적용된다. 하지만, 수행은 수도 멀티비트해결책보다 더욱 간단하다.
본 발명은 또한 소형 확성기를 구동하는 3-레벨 H-브릿지를 제공한다. H-브릿지는 확성기를 전력공급기(VDD) 및 접지(GND)에 연결하는 네개의 스위치들로 구성되고, 따라서 확성기를 지나는 세가지 다른 전압레벨들(-VDD, 0, +VDD)을 발생시키는 네가지 다른 방법들로 확성기를 전력공급기 및 접지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3-레벨 시그마-델타 변조체제가 사용되고 동시에 낮은 클럭 주파수를 사용한다면, 3-레벨 H-브릿지는 필요한 조건이다. 3-레벨 H-브릿지는 정상 2-레벨 H-브릿지에 비교해서 극히 적은 복잡성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소형확성기 내부에 능동신호처리부분들이 배열된 소형확성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따라서 EMI의 최소방출 및 자화율을 가진 소형 확성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만약 신호선들이 길고, 에지들이 첨예하며 큰전류가 전달된다면, 디지털신호들은 EMI 뿐만아니라 EMI의 상당한 방사체들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만약 확성기 케이싱이 전기적으로 전도성 재료, 예컨대 금속, 또는 EMI를 차폐하는 여타의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다면, 능동신호처리부분에 대한 모든 아날로그연결들은 효과적으로 EMI를 차폐한다. 확성기로의 모든 연결선들은 상술한 소형어셈블리에서 짧게 유지되고 주위환경에 대해 만족스럽게 차폐된다. 그후 EMI에 대한 낮은 자화율을 저하시킴이 없이, 칩에 대한 디지털인터페이스는 케이스외부로 끌어낼 수 있다. EMI에 자화될 수 있는, 외부로의 주요연결들은 전력공급선들(VDD 및 GND)이다. 이 선들은 확성기 케이스 외부에서, 또는 더욱 좋게는 확성기 케이싱 내부에서 전력공급선들상에 감결합 캐패시터(decoupling capacitor)를 도입하여 EMI에 대해 효과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조정기 또는 확성기 케이싱내에 위치한 피드백루프는 바라지 않는 EMI를 억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로서 피드백신호는 H-브릿지의 출력상의 전압, 부하에 흐르는 전류, 부하에 전달되는 전하로서 측정될 수 있다. 또는 이 피드백신호는 클럭상의 지터(jitter) 또는 전력공급상의 잡음과 같은 다른 제어신호들이 될 수 있다. 여기에는 피드백을 공급하는 많은 가능한 방법들이 있다. 펄스들의 폭은 제어된다. 피드백제어신호는 변조후 또는 멀티비트코딩블록에서, 디지털신호(일비트 또는 멀티비트)로 변환되고 디지털변조 전에 공급될 수 있다.
소형확성기내부에 능동신호처리부분들을 장착하기 위해서, 능동신호처리부분들은 가능한 작은 것이 가장 중요하다. 3-레벨 H-브릿지를 가진 3-레벨 변조기체제는 낮은 복잡성을 가지며 또한 최소의 외부구성요소들을 요구하기 때문에, 소형확성기로의 완벽한 통합에 매우 적합하다. 어떤 경우에는, 외부출력필터는 완전히 제거될 수 있어서, 소형확성기로의 완벽한 통합에 매우 적합하게 된다.
소형확성기는 예를 들어 전류력계형 확성기(electrodynamic loudspeaker) 또는 피에조(piezo)구동원리에 기초한 확성기가 될 수도 있다. 피에조 확성기의 경우에, 저역필터를 포함하는 아날로그필터는 H-브릿지출력단자 및 확성기사이에 삽입되어야 한다. 이런 것의 이유는 피에조 확성기가 H-브릿지를 위한 매우 큰 캐패시터의 부하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H-브릿지로부터의 출력신호가 고주파잡음의 큰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 고주파잡음이 제거되지 않는다면 효율은 매우 나빠지게 될 것이다. 아날로그필터는 확성기에 직렬연결된 코일처럼 간단한 수동필터일 수 있다. 만약 바람직하다면 필터는 능동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가지 경우들에서는 만약 전류력계형 확성기가 상용된다면,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드라이버 인터페이스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입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수행될 수도 있다.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경우에, 변조회로는 디지털입력신호로 작동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의 경우에, 분리된 아날로그ㆍ디지털 변환기가 필요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변조회로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다면,인터페이스와 통합된 또는 인터페이스 및 변조기사이에 연결된 아날로그ㆍ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술된 실시예들은 디지털수행들에 기초하지만 원리는 아날로그수행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능동신호처리회로가 아날로그 뿐만 아니라 디지털로 모든 기능들이 수행되는 단일 ASIC로서의 소형확성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최소비용으로 획득하기 위해서, 능동신호처리회로가 수행되는 칩의 전체면적이 가능한 작아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칩상의 능동회로의 각 부분을 수행하여 획득된다. 또한, 능동신호처리부분들의 아날로그부분들의 성능은 칩상에 모든 것을 통합하여 많이 개선된다. 예를 들어, 만약 H-브릿지의 트랜지스터들이 매우 잘 정합(match)되지 않는다면, H-브릿지의 출력은 필연적으로 저하될 것이다. 좋은 정합은 이런 디바이스들을 동일한 칩상에 위치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신호들의 기생 캐패시터의 로딩(loading)은 일반적으로 칩상에서 더욱 잘 제어된다. 이것은 또한 정방향에서의 동작에 영향을 준다. 동일한 IC상의 모든 아날로그 동작블록들을 디지털부분들로서 수행하여, 오직 최소의 아날로그연결들만이 칩의 외부로 나오는 것이 확실하게 된다. 이것은 EMI의 억제에 유효해 질수 있다. 비록 능동신호처리부분들이 확성기내부에 장착될 수 있을 지라도, 이렇게 EMI로부터 확성기를 차폐하는 것은 결코 완전하지 않다. 여기서 EMI에 대해 칩외부로 방출되는 차폐신호들에 대한 방책, 예를 들어 RC-필터들, 피드백 등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소형확성기 어셈블리, 및 확성기는 상이한 많은 분야들의 다양한 응용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중요한 일 분야는 이동성 디바이스들이다. 이동성 디바이스들은 이동성 전화기들, 보청기들, 청각보조장치들, 헤드-셋들, 팜 컴퓨터, 및 랩탑 컴퓨터가 될 수 있다.

Claims (33)

  1.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와,
    3-레벨 변조기와, 그리고
    3-레벨 H-브릿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아날로그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디지털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SPDIF, AES/EBU, PCM, SSI 및 I2S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신호포맷들을 수신하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5. 선행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3-레벨 변조기는 디지털영역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6.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레벨 변조기는 아날로그영역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7. 선행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보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8. 선행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3-레벨 변조기는 3-레벨 시그마-델타 변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9. 선행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전력공급전압조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10. 선행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PL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11. 선행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H-브릿지는 보정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회로는 RTZ체제에 따라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RTZ체제는 레벨에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14. 제 11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회로는 디지털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필터는 1+Z-1필터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16. 제 11항 내지 제 1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회로는 패턴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17. 제 11항 내지 제 1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회로는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18. 제 11항 내지 제 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회로는 수도 멀티비트 코딩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19. 선행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3-레벨 H-브릿지는 독립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4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20. 선행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드라이버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입력단자를 가지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21. 제 20항에 있어서, 필터는 저역필터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22. 제 20항 또는 제 2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23. 선행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3-레벨 H-브릿지에 공급된 공급전압의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력공급승압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용 드라이버.
  24. 제 1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소형확성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소형확성기 어셈블리는
    제 1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제 1전기신호에 응답하여 수정된 제 1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선행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드라이버와, 그리고
    수정된 제 1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음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다이어프램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확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형확성기 어셈블리.
  25. 제 24항에 있어서, 드라이버와 모터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형확성기 어셈블리.
  26. 제 24항 또는 제 2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터는 코일 및 자기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형확성기 어셈블리.
  27. 제 24항 또는 제 2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터는 피에조 소자(eleme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형확성기 어셈블리.
  28. 제 27항에 있어서, 제어회로는 피에조 소자를 충전 및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형확성기 어셈블리.
  29. 제 28항에 있어서, 충전 및 방전이 피에조소자 및 전압공급기사이의 코일을 스위칭(switching)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형확성기 어셈블리.
  30. 제 29항에 있어서, 충전 및 방전이 피에조소자 및 전압공급기사이의 캐패시터를 스위칭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형확성기 어셈블리.
  31. 제 24항 내지 제 3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는 EMI차폐재료로 제작된 케이스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형확성기 어셈블리.
  32. 제 24항 내지 제 31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형확성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이동성 디바이스.
  33. 제 32항에 있어서, 이동성 디바이스는 이동성 전화기들, 보청기들, 청각보조장치들, 헤드-셋들(head-sets), 팜(palm) 컴퓨터, 및 랩탑(laptop) 컴퓨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형확성기 어셈블리.
KR1020047008275A 2001-11-30 2002-12-02 소형 확성기들을 위한 고효율 드라이버 KR100916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435801P 2001-11-30 2001-11-30
US60/334,358 2001-11-30
US40438902P 2002-08-20 2002-08-20
US60/404,389 2002-08-20
PCT/DK2002/000811 WO2003047309A1 (en) 2001-11-30 2002-12-02 A high efficiency driver for miniature loudspeak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980A true KR20040063980A (ko) 2004-07-15
KR100916007B1 KR100916007B1 (ko) 2009-09-10

Family

ID=2698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275A KR100916007B1 (ko) 2001-11-30 2002-12-02 소형 확성기들을 위한 고효율 드라이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36794B2 (ko)
EP (1) EP1449404B1 (ko)
KR (1) KR100916007B1 (ko)
CN (1) CN1608393B (ko)
AT (1) ATE338440T1 (ko)
AU (1) AU2002358454A1 (ko)
DE (1) DE60214417T2 (ko)
WO (1) WO200304730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03B1 (ko) * 2008-06-03 2010-07-0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US8115541B2 (en) 2009-03-03 2012-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level half-bridge pulse-width modulation amplifie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7722B2 (en) * 2003-02-13 2005-03-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bridge common-mode noise reduction circuit
DK1661373T6 (da) * 2003-08-26 2019-10-21 Oticon As Digital kommunikationsanordning
FR2866166B1 (fr) * 2004-02-06 2006-06-16 Anagram Technologies Sa Modulateur en treillis vectoriel
ATE413788T1 (de) * 2004-02-08 2008-11-15 Widex As Ausgangsstufe für ein hörgerät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ausgangsstufe
DE102005006858A1 (de) * 2005-02-15 2006-09-07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örhilfegerät mit einem Ausgangsverstärker, der einen Sigma-Delta-Modulator umfasst
US7746935B2 (en) * 2005-05-13 2010-06-29 Xienetics, Inc. Digital amplifier system for driving a capacitive load
DK2226951T3 (en) * 2005-08-22 2017-03-27 Oticon As A system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ductively coupled data
US7715578B2 (en) * 2005-11-30 2010-05-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Hearing aid having improved RF immunity to R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produced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JP2007166190A (ja) * 2005-12-13 2007-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級アンプ
KR101341761B1 (ko) 2006-05-21 2013-12-13 트라이젠스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장치
JP5396588B2 (ja) * 2008-06-16 2014-01-22 株式会社 Trigence Semiconductor デジタルスピーカー駆動装置,デジタルスピーカー装置,アクチュエータ,平面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携帯電子機器
WO2011070810A1 (ja) 2009-12-09 2011-06-16 株式会社 Trigence Semiconductor 選択装置
CN103096217B (zh) 2009-12-16 2016-09-28 株式会社特瑞君思半导体 音响系统
JP2011182263A (ja) * 2010-03-02 2011-09-15 Panasonic Corp スピーカ駆動集積回路
DE102010039303A1 (de) * 2010-08-13 2012-02-16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Verfahren zum Reduzieren von Interferenzen und Hörvorrichtung
JP5580946B2 (ja) 2011-02-28 2014-08-27 ヴェーデクス・アクティーセルスカプ 補聴器および出力段を駆動する方法
WO2012116720A1 (en) 2011-02-28 2012-09-07 Widex A/S Hearing aid with an h-bridge output stage and a method of driving an output stage
EP2730097B1 (en) 2011-07-07 2019-09-18 Sonion Nederland B.V. A multiple receiver assembly and a method for assembly thereof
US9084061B2 (en) 2012-08-08 2015-07-14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quality of audio sound
US9066187B2 (en) 2012-10-18 2015-06-23 Sonion Nederland Bv Dual transducer with shared diaphragm
US9247359B2 (en) 2012-10-18 2016-01-26 Sonion Nederland Bv Transducer, a hearing aid comprising the transduc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transducer
DK2747459T3 (en) 2012-12-21 2018-12-17 Sonion Nederland Bv RIC unit with Thuras tube
EP2750413B1 (en) 2012-12-28 2017-02-22 Sonion Nederland B.V. Hearing aid device
US9401575B2 (en) 2013-05-29 2016-07-26 Sonion Nederland Bv Method of assembling a transducer assembly
DK2849463T3 (en) 2013-09-16 2018-06-25 Sonion Nederland Bv Transducer with moisture transporting element
EP2908551A1 (en) 2014-02-14 2015-08-19 Sonion Nederland B.V. A joiner for a receiver assembly
US10021498B2 (en) 2014-02-18 2018-07-10 Sonion A/S Method of manufacturing assemblies for hearing aids
DK2914018T3 (en) 2014-02-26 2017-01-30 Sonion Nederland Bv Speaker, luminaire and method
US9432774B2 (en) 2014-04-02 2016-08-30 Sonion Nederland B.V. Transducer with a bent armature
EP2953380A1 (en) 2014-06-04 2015-12-09 Sonion Nederland B.V. Acoustical crosstalk compensation
EP3041263B1 (en) 2014-12-30 2022-01-05 Sonion Nederland B.V. Hybrid receiver module
US10009693B2 (en) 2015-01-30 2018-06-26 Sonion Nederland B.V. Receiver having a suspended motor assembly
EP3057339B1 (en) 2015-02-10 2020-09-23 Sonion Nederland B.V. Microphone module with shared middle sound inlet arrangement
DK3073764T3 (en) 2015-03-25 2021-05-10 Sonion Nederland Bv A hearing aid comprising an insert member
US9980029B2 (en) 2015-03-25 2018-05-22 Sonion Nederland B.V. Receiver-in-canal assembly comprising a diaphragm and a cable connection
DK3133829T3 (da) 2015-08-19 2020-06-22 Sonion Nederland Bv Lydgiverenhed med forbedret frekvensrespons
EP3139627B1 (en) 2015-09-02 2019-02-13 Sonion Nederland B.V. Ear phone with multi-way speakers
US9668065B2 (en) 2015-09-18 2017-05-30 Sonion Nederland B.V. Acoustical module with acoustical filter
EP3157270B1 (en) 2015-10-14 2021-03-31 Sonion Nederland B.V. Hearing device with vibration sensitive transducer
EP3160157B1 (en) 2015-10-21 2018-09-26 Sonion Nederland B.V. Vibration compensated vibro acoustical assembly
EP3177037B1 (en) 2015-12-04 2020-09-30 Sonion Nederland B.V. Balanced armature receiver with bi-stable balanced armature
EP3185584B1 (en) 2015-12-21 2020-04-22 Sonion Nederland B.V. Receiver assembly having a distinct longitudinal direction
DK3197046T3 (da) 2016-01-25 2021-07-05 Sonion Nederland Bv Selvforspændt output booster forstærker samt anvendelse deraf
EP3200479A3 (en) 2016-01-28 2017-08-30 Sonion Nederland B.V. An assembly comprising an electrostatic sound generator and a transformer
DK3232685T3 (en) 2016-04-13 2021-04-19 Sonion Nederland Bv A dome for a personal audio device
US10078097B2 (en) 2016-06-01 2018-09-18 Sonion Nederland B.V. Vibration or acceleration sensor applying squeeze film damping
DK3703389T1 (en) 2016-08-26 2020-11-09 Sonion Nederland Bv Vibration sensor with low-frequency roll-off response curve
EP3293985B1 (en) 2016-09-12 2021-03-24 Sonion Nederland B.V. Receiver with integrated membrane movement detection
US10425714B2 (en) 2016-10-19 2019-09-24 Sonion Nederland B.V. Ear bud or dome
US20180145643A1 (en) 2016-11-18 2018-05-24 Sonion Nederland B.V. Circuit for providing a high and a low impedance and a system comprising the circuit
EP3324645A1 (en) 2016-11-18 2018-05-23 Sonion Nederland B.V. A phase correcting system and a phase correctable transducer system
EP3324649A1 (en) 2016-11-18 2018-05-23 Sonion Nederland B.V. A transducer with a high sensitivity
US10656006B2 (en) 2016-11-18 2020-05-19 Sonion Nederland B.V. Sensing circuit comprising an amplifying circuit and an amplifying circuit
EP3337184B1 (en) 2016-12-14 2020-03-25 Sonion Nederland B.V. An armature and a transducer comprising the armature
DK3337192T3 (en) 2016-12-16 2021-05-10 Sonion Nederland Bv A receiver assembly
US10616680B2 (en) 2016-12-16 2020-04-07 Sonion Nederland B.V. Receiver assembly
EP3343950A1 (en) 2016-12-28 2018-07-04 Sonion Nederland B.V. A magnet assembly
DK3343956T3 (en) 2016-12-30 2021-05-03 Sonion Nederland Bv A circuit and a receiver comprising the circuit
EP3342749A3 (en) 2016-12-30 2018-09-12 Sonion Nederland B.V. Micro-electromechanical transducer
DK3407626T3 (en) 2017-05-26 2020-07-27 Sonion Nederland Bv A receiver assembly comprising an armature and a diaphragm
EP3407625B1 (en) 2017-05-26 2021-05-05 Sonion Nederland B.V. Receiver with venting opening
EP3429231B1 (en) 2017-07-13 2023-01-25 Sonion Nederland B.V. Hearing device including a vibration preventing arrangement
US10820104B2 (en) 2017-08-31 2020-10-27 Sonion Nederland B.V. Diaphragm, a sound generator, a hearing device and a method
US10560767B2 (en) 2017-09-04 2020-02-11 Sonion Nederland B.V. Sound generator, a shielding and a spout
GB201714956D0 (en) 2017-09-18 2017-11-01 Sonova Ag Hearing device with adjustable venting
CN109672963B (zh) 2017-10-16 2021-04-30 声扬荷兰有限公司 具有阀的声道元件和具有声道元件的换能器
CN109672967B (zh) 2017-10-16 2021-09-17 声扬荷兰有限公司 个人听力装置
EP3471437B1 (en) 2017-10-16 2020-12-23 Sonion Nederland B.V. A valve, a transducer comprising a valve, a hearing device and a method
DK3567873T3 (en) 2018-02-06 2021-11-15 Sonion Nederland Bv Method for controlling an acoustic valve of a hearing device
DK3531713T3 (en) 2018-02-26 2023-02-06 Sonion Nederland Bv Miniature Speaker with Acoustical Mass
DK3531720T3 (da) 2018-02-26 2021-11-15 Sonion Nederland Bv Anordning af en lydgiver og en mikrofon
EP3995795A1 (en) 2018-04-30 2022-05-11 Sonion Nederland B.V. Vibration sensor
EP3579578B1 (en) 2018-06-07 2022-02-23 Sonion Nederland B.V. Miniature receiver
US10951169B2 (en) 2018-07-20 2021-03-16 Sonion Nederland B.V. Amplifier comprising two parallel coupled amplifier units
DK3627856T3 (da) 2018-09-19 2023-11-13 Sonion Nederland Bv Hus, der omfatter en sensor
EP4300995A3 (en) 2018-12-19 2024-04-03 Sonion Nederland B.V. Miniature speaker with multiple sound cavities
EP3675522A1 (en) 2018-12-28 2020-07-01 Sonion Nederland B.V. Miniature speaker with essentially no acoustical leakage
US11190880B2 (en) 2018-12-28 2021-11-30 Sonion Nederland B.V. Diaphragm assembly, a transducer, a microphone, and a method of manufacture
EP3726855B1 (en) 2019-04-15 2021-09-01 Sonion Nederland B.V. A personal hearing device with a vent channel and acoustic separation
US11546709B2 (en) * 2019-09-23 2023-01-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udio playback under short circuit cond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7539A (en) * 1990-12-26 1991-12-31 Apogee Technology, Inc. Switching amplifier
DE4441996A1 (de) 1994-11-26 1996-05-30 Toepholm & Westermann Hörhilfsgerät
US5815581A (en) 1995-10-19 1998-09-29 Mitel Semiconductor, Inc. Class D hearing aid amplifier with feedback
US5617058A (en) * 1995-11-13 1997-04-01 Apogee Technology, Inc. Digital signal processing for linearization of small input signals to a tri-state power switch
US5815102A (en) * 1996-06-12 1998-09-29 Audiologic, Incorporated Delta sigma pwm dac to reduce switching
US5777512A (en) * 1996-06-20 1998-07-07 Tripath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sampled, noise-shaping, mixed-signal processing
ES2212082T3 (es) * 1996-10-31 2004-07-16 BANG & OLUFSEN A/S Amplificador de potencia con modulacion por impulsos con metodo mejorado de control en cascada.
DK0944956T3 (da) * 1996-12-11 2003-05-19 Gn Netcom As Klasse forstærker
US6408318B1 (en) * 1999-04-05 2002-06-18 Xiaoling Fang Multiple stage decimation filter
US6791404B1 (en) 1999-07-01 2004-09-14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mixed signal processing in a digital amplifier
US6472933B2 (en) * 1999-09-27 2002-10-29 Waytech Investment Co., Ltd. Switching amplifier incorporating return-to-zero quaternary power switch
US6430220B1 (en) 2000-09-19 2002-08-06 Apogee Technology Inc. Distortion re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arization of digital pulse width modulation by efficient calculation
US6362702B1 (en) * 2000-09-29 2002-03-26 Bang & Olufsen Powerhouse A/S Controlled self-oscillation modulator and power conversion system using such a modulator
US20030081803A1 (en) * 2001-10-31 2003-05-01 Petilli Eugene M. Low power, low noise, 3-level, H-bridge output coding for hearing aid applications
US6867722B2 (en) * 2003-02-13 2005-03-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bridge common-mode noise reduction circu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03B1 (ko) * 2008-06-03 2010-07-0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US8115541B2 (en) 2009-03-03 2012-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level half-bridge pulse-width modulation amplifie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7309A1 (en) 2003-06-05
EP1449404B1 (en) 2006-08-30
US20030123681A1 (en) 2003-07-03
US7336794B2 (en) 2008-02-26
DE60214417D1 (de) 2006-10-12
DE60214417T2 (de) 2007-10-18
ATE338440T1 (de) 2006-09-15
AU2002358454A1 (en) 2003-06-10
CN1608393A (zh) 2005-04-20
EP1449404A1 (en) 2004-08-25
KR100916007B1 (ko) 2009-09-10
CN1608393B (zh)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007B1 (ko) 소형 확성기들을 위한 고효율 드라이버
US10904672B2 (en) Digital microphone assembly with improved frequency response and noise characteristics
US20210112337A1 (en) Microphone assembly with digital feedback loop
US6466087B2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digital error correction for a class D power stage
US70584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class D driver and speaker system
Berkhout et al. Class-D audio amplifiers in mobile applications
US20030235315A1 (en) Digital microphone
US7253758B2 (en) Third order sigma-delta modulator
JP2007532033A (ja) 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CA2828263C (en) Hearing aid with an h-bridge output stage and a method of driving an output stage
US8299866B2 (en) Method and device including signal processing for pulse width modulation
CN110692195A (zh) 控制信号路径的噪声传递函数以减少电荷泵噪声
CN101459410A (zh) D类放大器
JP2007036736A (ja) デジタルスイッチングアンプ
US7064698B2 (en)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sigma-delta conversion with reduced idle tones
US6522273B1 (en)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digital-to-analog converter protection
Kulka Application of pulse modulation techniques for class-D audio power amplifiers
KR20230060265A (ko)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KULKA Acoustic energy distribution in space around the pipe outlet
JP2007028157A (ja) ヘッドフォン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