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137A -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 워크 행거 - Google Patents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 워크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137A
KR20040063137A KR10-2004-7006812A KR20047006812A KR20040063137A KR 20040063137 A KR20040063137 A KR 20040063137A KR 20047006812 A KR20047006812 A KR 20047006812A KR 20040063137 A KR20040063137 A KR 20040063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workpiece
work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1562B1 (ko
Inventor
나가쿠라마사츠구
Original Assignee
마루나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07238U external-priority patent/JP3085849U/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39183A external-priority patent/JP3677488B2/ja
Application filed by 마루나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루나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25D17/08Supporting racks, i.e. not for susp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평판 형상의 워크(W)를 현수 상태로 지지하는 클립식의 워크 행거이며, 이 워크 행거는 횡방향으로 긴 기판(3)에 복수의 협지용 클립(4)을 부착하고 있고, 상기 협지용 클립의 가동측 접점(8)을 가동체(13)의 대향면에 형성하고, 상기 가동체는 지지축(14)을 통하여 상기 가동측 접점이 워크면에 면접촉되는 회전각도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두께가 다른 워크에 대해서도 접점이 확실하게 면접촉되도록 했다. 또, 하단부에 가동측 접점(8)을 갖는 가동측 협지 레버(6)와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을 도전선(25)을 통하여 도전적으로 접속하고, 가동측 접점으로부터 워크에의 통전효율을 좋게 했다. 또, 상기 협지용 클립의 하부측은 각 접점을 제외하고 실리콘 고무제의 절연캡(20)으로 탈착 자유롭게 피복하고, 워크와의 접점을 제외하고 확실하게 절연 피복하고, 또 이 절연캡의 교환을 용이하게 했다.

Description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 워크 행거{CLIP-TYPE WORK HANGER FOR ELECTROPLATING DEVICE}
전기도금 장치에서 사용되는 워크 행거는, 도금액중에 넣어져서 도금처리되는 워크를 지지하고, 전류를 음극 바로부터 상기 워크로 통전하는 것이다. 인쇄 기판 등의 대략 평판형상의 워크에 사용되는 워크 행거로서, 본 출원인은 종래부터, 상기 음극 바에 횡이동 자유롭게 매달아 지지되는 지지 기능과 이 음극 바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는 접촉 기능을 함께 갖는 지지 부재와, 이 지지 부재의 하부에 이 지지 부재와 일체로 구성되든지 또는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도록 면접촉 상태에 고착되고, 상기 워크의 횡측 긴 변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횡방향으로 긴 기판과, 이 횡방향으로 긴 기판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워크의 상부를 협지(挾持)하고, 이 워크를 현수 상태로 매달아 지지하는 복수의 협지용 클립으로구성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협지용 클립으로서, 본 출원인은 종래부터, 상부를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도록 면접촉 상태로 고착되고 하부에 고정측 접점을 설치한 고정측 협지 레버와, 이 고정측 협지 레버의 중간부에 축 핀을 통하여 그 중간부를 피벗식부착한 가동측 협지 레버를 구비하고, 이 가동측 협지 레버의 하부에 상기 고정측 접점과 대향하는 가동측 접점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의 상부측과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의 상부측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사이에 설치하고, 이 탄성부재의 탄력에 의해 상기 축 핀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가동측 접점을 상기 고정측 접점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고, 상기 고정측 접점에 대해 닫힌 상기 가동측 접점과의 사이에서 상기 워크의 상부를 현수 상태로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본 출원인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전술한 클립식의 워크 행거는, 도 9에 그 접점부를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대략 평판형상의 워크(W)와 함께 도금액(A)중에 넣어지는 협지용 클립의 하부측 즉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5) 및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의 각 하부측을 각 접점(고정측 접점(7)과 가동측 접점(8))을 제외하고 염화비닐수지로 이루어지는 비도전성층(30)으로 피복하고, 각 접점(7, 8)을 상기 비도전성층(30)으로부터 약간 돌출시키든지, 또는 상기 비도전성층(30)의 표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9에 도시한 클립식의 워크 행거는, 각 접점(7, 8)을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5) 및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에 대해 양 접점 모두 고정적으로 설치된, 소위 양 접점 고정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기술한, 소위 양 접점 고정형의 클립식의 워크 행거는, 클램핑되는 워크의 두께가 일정한 경우에 면접촉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평판형상의 워크의 두께가 변화된 경우, 이 두께의 변화에 의해 협지 위치가 변위되는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의 가동측 접점(8)이 상기 워크(W)의 워크면과 면접촉되지 않고 선접촉 혹은 점접촉으로 되어버린다. 따라서, 워크가 설정 이외의 두께로 변화된 경우, 워크를 확실하게 협지할 수 없고 안정한 지지를 할 수 없고, 게다가, 음극 바로부터 협지용 클립을 거쳐서 워크에 전류를 통전하는 경우, 워크면에 대해 면접촉 상태에 있는 고정측 접점을 통하여 워크에 주로 통전되고, 워크면에 대해 선접촉 또는 점접촉 상태에 있는 가동측 접점으로부터는 워크에 그다지 통전되지 않고, 전체로서 협지용 클립으로부터 워크에의 통전효율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제 1 과제는 대략 평판형상의 워크를 설정 이외의 두께의 워크에 교환한 경우에도 가동측 접점이 워크면에 대해 확실하게 면접촉되도록 하고, 고정측 접점과의 사이에서 워크를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가동측 접점측으로부터도 워크에 효율 좋게 통전되도록 하여, 전체로서 상기 협지용 클립으로부터 워크에의 도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클립식의 워크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종래의 기술에서 기술한 클립식의 워크 행거는, 음극 바로부터 협지용 클립을 거쳐서 워크에 전류를 통전하는 경우, 음극 바로부터 도전성 부재(지지 부재나 횡방향으로 긴 기판)의 면접촉부를 경유하여 통전된 전류는, 상기 도전성 부재에 면접촉 상태로 고착된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5)를 통하여 워크에 주로 통전되고, 상기 도전성 부재와 면접촉 상태에 없는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로부터는 워크에 그다지 통전되지 않아, 전체로서 협지용 클립으로부터 워크에의 통전효율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제 2 과제는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로부터 워크에의 통전효율을 높이고, 협지용 클립으로부터 워크에의 통전효율을 올릴 수 있도록 한 클립식의 워크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종래의 기술에서 기술한 클립식의 워크 행거는, 워크와 함께 도금액중에 넣어지는 협지용 클립의 하부측 즉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5) 및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의 각 하부측을 각 접점(고정측 접점(7)과 가동측 접점(8))을 제외하고 염화비닐수지로 이루어지는 비도전성층(30)으로 피복하고, 각 접점(7, 8)을 상기 비도전성층(30)으로부터 약간 돌출시키든지, 또는 상기 비도전성층(30)의 표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도전성층(30)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각 접점(7, 8)에 의해 상기 워크(W)면과 상기 비도전성층(30)과의 사이에 각 접점(7, 8)의 둘레벽을 노출시킨 간극이 발생하고, 이 간극으로부터 절연되어 있지 않은 각 접점의 둘레벽은 물론 워크면에 접촉된 각 접점(7, 8)에도 도금액이 침입하고, 각 접점 및 각 접점의 둘레벽에 패각 형상의 도금 덩어리(P)가 생성되어 부착되는 폐해가 있었다. 이 때문에, 각 접점 및 각 접점의 둘레벽에 부착된 패각 형상의 도금 덩어리(P)에 의해 워크와의 접촉 불량이 발생하여 통전불량을 일으키는 폐해가 있었다. 게다가, 패각 형상의 도금 덩어리(P)를 각 접점 및 각 접점의 둘레벽으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데, 패각형상의 도금 덩어리(P)는 각 접점 및 각 접점의 둘레벽에 튼튼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거 작업은 극히 곤란했다. 또, 장기의 사용에 의해 열화된 피복체(상기 비도전성층(30))는 약 6개월의 사이클로 교환되고 있지만, 탄력성이 부족한 염화비닐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체에서는 교체 작업이 곤란했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제 3 과제는 도금액중에 넣어지는 협지용 클립의 하부측을 워크와 접촉되는 각 접점을 제외하고 확실하게 절연할 수 있게 하여, 종래의 워크 행거와 같이 각 접점 및 각 접점의 둘레벽에 패각 형상의 도금 덩어리가 생성되어 부착되는 폐해를 해소하고, 워크를 클램핑하는 각 접점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여 확실한 통전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이 소모품인 절연 피복체를 간단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한 클립식의 워크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의 워크 행거에 관계되는 것이며, 음극 바로부터 워크로의 통전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워크를 클램핑하는 접점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여 확실한 통전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대략 평판형상의 워크의 두께의 변화에 대해서도 안정하게 통전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워크 행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종단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얇은 판자 형상 워크의 협지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의 협지용 클립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후판 형상 워크의 협지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의 협지용 클립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협지용 클립부를 고정측과 가동측으로 분리하고, 각각 협지 방향에서 본 확대 분해 정면도이다.
도 6은 가동측 협지 레버의 하부측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가동측 협지 레버의 하부측을 협지 방향에서 본 확대 정면도이다.
도 8은 가동측 협지 레버의 하부측에 절연캡을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워크 행거의 접점부를 도시하는 확대 종단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의 워크 행거는, 도금액(A)중에 넣어서 도금처리되는 대략 평판 형상의 워크(W)를 현수 상태로 지지하고, 전류를 음극 바(B)로부터 상기 워크에 통전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워크 행거(1)이며, 이 워크 행거는, 상기 음극 바에 횡이동 하도록 매달아 지지되는 지지 기능과 이 음극 바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는 접촉 기능을 더불어 갖는 지지 부재(2)와, 이 지지 부재의 하부에 이 지지 부재와 일체로 구성되든지 또는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도록 면접촉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워크의 횡측 긴 변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횡방향으로 긴 기판(3)과, 이 횡방향으로 긴 기판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워크의 상부를 협지하고, 이 워크를 현수 상태로 매달아 지지하는 복수의 협지용 클립(4)으로 구성되고, 전류를 상기 음극 바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 상기횡방향으로 긴 기판, 상기 협지용 클립을 거쳐서, 각 협지용 클립으로부터 상기 워크에 통전되도록 상기 워크 행거의 상기 각 구성 부분인 상기 지지 부재,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 및 상기 협지용 클립을 도전성재료로 형성하고 있고, 상기 협지용 클립(4)은, 상부를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도록 면접촉 상태로 고정되어 하부에 고정측 접점(7)을 설치한 고정측 협지 레버(5)와, 이 고정측 협지 레버의 중간부에 축 핀(10)을 개재하고 그 중간부를 피벗식부착한 가동측 협지 레버(6)를 구비하고, 이 가동측 협지 레버의 하부에 상기 고정측 접점과 대향하는 가동측 접점(8)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의 상부측과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의 상부측 사이에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1)를 설치하고, 이 탄성부재의 탄력에 의해 상기 축 핀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가동측 접점을 상기 고정측 접점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고, 상기 고정측 접점에 대해 닫혀진 상기 가동측 접점과의 사이에서 상기 워크의 상부를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특히, 상기한 제 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측 접점을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의 하부로부터 대향 방향을 향해서 돌출된 돌출부(12)의 대향면에 형성하고, 상기 가동측 접점을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의 하부에 부착된 가동체(13)의 대향면에 형성하고, 상기 가동체의 대향면 즉 가동측 접점을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로부터 대향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가동체는 이 가동체의 대향면 즉 상기 가동측 접점을 상기 고정측 접점에 대해 상호의 접촉면이 정면으로 마주 향하는 각도로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의 하부에 지지축(14)을 통하여 이 가동체의 대향면 즉 가동측 접점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축지지되고, 상기 가동체의 대향면 즉 상기 가동측 접점을 상기 워크의 두께의 변화에 대응시켜서 상기 워크의 워크면과 면접촉되는 회전 각도에서 워크를 협지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워크와 함께 도금액중에 넣어지는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와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의 각 하부측을 각각 착탈 자유롭게 피복하는 절연캡(20)을 설치하고, 이들 절연캡은, 탄력성을 갖는 비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측 접점과 가동측 접점의 피복부에 이들 접점만 노출시키는 개구부(21)를 형성한 도구이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의 워크 행거는, 상기한 제 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협지용 클립(4)의 가동측 협지 레버(6)의 상부측과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3)을 도전선(25)을 통하여 각각 도전적으로 접속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의 워크 행거는, 상기한 제 3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절연캡(20)은 탄력성을 갖는 비도전성 물질인 고무재로 형성되고, 이 고무제의 절연캡에 상기 개구부(21)를 둘러싸는 돌출 가장자리부(2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돌출 가장자리부는, 상기 돌출부(12)의 둘레벽 또는 상기 가동체의 돌출 부분의 밀착하여 덥도록 형성되고, 또한 각 접점의 돌출 위치로부터 약간 돌출시켜서 형성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절연캡(20)은 탄력성을 갖는 비도전성 물질인 실리콘 고무로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1부터 도 8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중, 부호 1은 전기도금 장치에서 사용되는 워크 행거이며, 이 워크 행거(1)는, 도금액(A)중에 넣어져서 도금처리되는 인쇄 기판 등의 대략 평판 형상의 워크(W)를 현수 상태로 지지하고, 전류를 음극 바(B)로부터 상기 워크(W)에 통전하는 것이다. 이 워크 행거(1)는, 상기 음극 바(B)에 횡이동 하도록 매달아 지지되는 지지 기능과 이 음극 바(B)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는 접촉 기능을 더불어 갖는 지지 부재(2)와, 이 지지 부재(2)의 하부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도록 고정볼트(C1)에 의해 면접촉 상태로 고착되고, 상기 워크(W)의 횡측 긴 변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방형 형상의 횡방향으로 긴 기판(3)과, 이 횡방향으로 긴 기판(3)에 이 횡방향으로 긴 기판(3)의 횡방향으로 긴 방향으로 적당하게 간격을 배치하여 각각 부착되고, 상기 워크(W)의 상부를 협지하고, 이 워크(W)를 현수 상태로 매달아 지지하는 복수(도면에서는 4개)의 협지용 클립(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류를 상기 음극 바(B)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2),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3), 상기 협지용 클립(4)을 거쳐서, 각 협지용 클립(4)으로부터 상기 워크(W)에 통전되도록 상기 워크 행거(1)의 상기 각 구성 부분(상기 지지 부재(2),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3) 및 상기 협지용 클립(4))을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도도나 인장강도를 고려하여, 상기 지지 부재(2)와 상기 협지용 클립(4)은 스테인레스강,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3)은 동 또는 황동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협지용 클립(4)은, 상부를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3)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도록 면접촉 상태로 고정 볼트(C2)에 의해 고정되고, 하부에 고정측 접점(7)을 설치한 고정측 협지 레버(5)와, 이 고정측 협지 레버(5)의 중간부에 고정된 브래킷(9)에 축 핀(10)을 통하여 그 중간부를 피벗식부착한 가동측 협지 레버(6)를 구비하고, 이 가동측 협지 레버(6)의 하부에 상기 고정측 접점(7)과 대향하는 가동측 접점(8)을 설치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5)의 상부측과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의 상부측 사이에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11)를 설치하고, 이 탄성부재(코일 스프링)(11)의 탄력에 의해 상기 축 핀(10)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가동측 접점(8)을 상기 고정측 접점(7)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고, 상기 고정측 접점(7)에 대하여 닫혀진 상기 가동측 접점(8)과의 사이에서 상기 워크(W)의 상부를 현수 상태로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탄성부재(코일 스프링)(11)의 탄력에 저항하여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의 상부측을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5)의 상부측을 향해서 가압하면, 상기 가동측 접점(8)은 상기 고정측 접점(7)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각 접점은 개방된다. 또한, 상기 협지용 클립(4)에 대한 상기 워크(W)의 장착 또는 탈착때, 각 협지용 클립(4)의 가동측 협지 레버(6)의 상부측을 상기 탄성부재(코일 스프링)(11)의 탄력에 저항하여 동시에 가압해서 행하는데, 이 가압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기계적인 강제력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상기 고정측 접점(7)은,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5)의 하부로부터 대향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12)의 대향면(정상부면)으로 형성된다. 이 대향면(정상부면) 즉 상기 고정측 접점(7)은,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면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한 사각형 직사각형 형상 접점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2)(상기 고정측 접점(7))의 형성 수단으로서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5)로 이루어지는 스테인레스강제의 판체의 대향면측의 하방부를 상기 돌출부(12)의 형태를 남기고 절삭하고,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5)와 상기 돌출부(12)(상기 고정측 접점(7))을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12)(상기 고정측 접점(7))을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5)로부터 일체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동 협지 레버(6)에 비해 구조적으로 워크에의 통전효율이 본래 높은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5)측으로부터의 통전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또한, 도면에 도시한 상기 돌출부(12)의 돌출 폭은 약 3mm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측 접점(8)은,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의 하부에 부착된 가동체(13)의 대향면에 형성되고, 이 가동체(13)의 대향면 즉 가동측 접점(8)은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로부터 대향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배열설치된다. 이 설치 상태에서, 상기 가동체(13)는, 이 가동체(13)의 대향면 즉 가동측 접점(8)을 상기 고정측 접점(7)에 대해 상호의 접촉면이 정면으로 마주 향하는 각도로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의 하부에 지지축(14)을 통하여 이 가동체(13)의 대향면 즉 가동측 접점(8)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도 6에 화살표로 도시함) 되도록 축지지되고, 상기 가동체(13)의 대향면 즉 가동측 접점(8)을 상기 워크(W)의 두께의 변화에 대응시켜서 상기 워크(W)의 워크면과 면접촉되는 회전 각도에서 워크(W)를 협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체(13) 즉 가동측 접점(8)에 대하여 도시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가동체(13)는 직방형태로 형성되고, 이 가동체(13)의 일면을 상기 가동측 접점(8)으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이 가동측 접점(8)은 도 5(b) 및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면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한 직사각형 형상 접점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의 하단부에 대향 방향으로 향해진 단면 반대 역오목부 형상의 홈부(15)를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15)내에 상기 가동체(13)를 이 가동체(13)의 상기 가동측 접점(8)이 상기 홈부(15)내로부터 대향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배열 설치하고, 이 배열 설치 상태에서, 상기 홈부(15)내에 이 홈부(15)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설되어서 고착된 상기 지지축(14)을 상기 가동체(13)에 형성한 관통 구멍(16)내에 축통과 시킴으로써 이 가동체(13)의 상기 가동측 접점(8)이 상기 지지축(14)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도 6에 화살표로 도시함)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 구멍(16)의 내면은 상기 지지축(14)의 둘레를 회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고, 또 상기 가동체(13)는 이 가동체(13)의 양 측벽이 상기 홈부(15)의 대향 측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동체(13)를 슬라이딩되게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가동체(13)에의 도전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고 있다. 상기 홈부(15)내의 정상부면과 상기 가동체의 정상부면 사이에 상기 가동체의 회전을 허용하고 또한 그 회전 범위를 상기 가동측 접점(8)이 상기 고정측 접점(7)의 방향으로 향해진 상하 범위로 규제하는 간극(17)을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한 상기 가동체(13)의 돌출 폭은 약 3mm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워크(W)와 함께 도금액(A)중에 넣어지는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5)와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의 각 하부측을 각각 착탈 자유롭게 피복하는 절연캡(20)을 설치하고, 이들 절연캡(20)은, 탄력성을 갖는 비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측 접점(7)과 가동측 접점(8)의 피복 부위에 이들 접점만 노출시키는 개구부(21)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캡(20)은 탄력성을 갖는 비도전성 물질인 고무재(실리콘 고무)로 형성되고, 이 실리콘 고무제의 절연캡(20)에 상기 개구부(21)를 둘러싸는 돌출 가장자리부(22)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 가장자리부(22)는, 상기 돌출부(12)의 둘레벽 또는 상기 가동체(13)의 돌출 부분의 둘레벽을 밀착하여 덮도록 형성되고, 또한 각 접점(7, 8)의 돌출 위치로부터 약간돌출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 가장자리부(22)는, 각 접점(7, 8)의 돌출 위치로부터 약간 돌출시켜서 형성되어 있지만, 각 접점(7, 8)을 벌린 상태에서는 각 접점(7, 8)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 있고, 각 접점(7, 8)을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워크(W)를 끼워서 각 접점(7, 8)이 압접되도록 변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워크(W)와 함께 도금액(A)중에 넣어지는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5)와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의 각 하부측은, 각 접점(7, 8)을 제외하고 상기 절연캡(20)에 의해 도금액(A)으로부터 확실하게 떨어져 확실하게 절연된다. 또, 실리콘 고무제의 상기 캡(20)은, 특히 우수한 탄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장탈착할 때에는, 각 접점(7, 8)의 돌출 형태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변형되므로, 협지용 클립에의 장착 혹은 협지용 클립으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하여, 절연 피복체(절연캡)의 교환 작업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부호(25)는 도전선이며, 이 도전선(25)을 통하여 상기 협지용 클립(4)의 각 가동측 협지 레버(6)의 상부측과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3)을 각각 도전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상기 도전선(25)은 예를 들면 동선을 염화비닐수지로 피복한 것으로, 이 도전선(25)의 접속 단부는 고정 볼트를 통하여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3)이나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협지용 클립(4)의 각 가동측 협지 레버(6)의 상부측과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3)을 상기 도전선(25)을 통하여 각각 도전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음극 바(B)로부터 상기 협지용 클립(4)을 거쳐서 워크(W)에 전류를 통전하는 경우, 음극 바(B)로부터 도전성 부재(상기 지지 부재(2)나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3))의 면접촉부를 경유하여 통전된 전류는, 상기 도전성 부재에 면접촉 상태로 고착된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5)를 통하여 워크(W)에 통전되는 동시에,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로부터도 워크(W)에 효율 좋게 통전되어, 전체로서 상기 협지용 클립(4)으로부터 워크(W)에의 통전효율을 높일 수 있어, 음극 바(B)로부터 워크(W)에의 통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청구범위 제 1 항, 제 2 항에 기재된)에 관계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의 워크 행거에 의하면, 상기 고정측 접점을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의 하부로부터 대향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12)의 대향면에 형성하고, 상기 가동측 접점을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의 하부에 부착된 가동체(13)의 대향면에 형성하고, 상기 가동체의 대향면 즉 가동측 접점을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로부터 대향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배열 설치하고, 상기 가동체는 이 가동체의 대향면 즉 상기 가동측 접점을 상기 고정측 접점에 대해 상호의 접촉면이 정면으로 마주 향하는 각도로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의 하부에 지지축(14)을 통하여 이 가동체의 대향면 즉 가동측 접점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축지지되고, 상기 가동체의 대향면 즉 상기 가동측 접점을 상기 워크의 두께의 변화에 대응시켜서 상기 워크의 워크면과 면접촉되는 회전각도에서 워크를 협지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대략 평판 형상의 워크를 설정이외의 두께의 워크로 교환한 경우에도 가동측 접점이 워크면에 대해 확실하게 면접촉되고, 고정측 접점과의 사이에서 워크를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가동측 접점측으로부터도 워크에 효율 좋게 통전되어, 전체로서 상기 협지용 클립으로부터 워크에의 도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음극 바로부터 워크에의 도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청구범위 제 4 항에 기재된)에 관계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의 워크 행거에 의하면, 상기 협지용 클립(4)의 각 가동측 협지 레버(6)의 상부측과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3)을 도전선(25)을 통하여 각각 도전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음극 바로부터 상기 협지용 클립을 거쳐서 워크에 전류를 통전하는 경우, 음극 바로부터 도전성 부재(상기 지지 부재나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의 면접촉부를 경유하여 통전된 전류는, 상기 도전성 부재에 면접촉 상태로 고착된 상기 협지용 클립의 상기 고정 협지 레버를 통하여 워크(W)에 통전되는 동시에, 상기 협지용 클립의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로부터도 워크(W)에 효율 좋게 통전되고, 전체로서 상기 협지용 클립으로부터 워크에의 통전효율을 높일 수 있어, 음극 바로부터 워크(W)에의 통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청구범위 제 5 항, 제 6 항에 기재된)에 관계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의 워크 행거에 의하면, 워크와 함께 도금액중에 넣어지는 협지용 클립의 하부측에서, 각 접점(상기 고정측 접점, 상기 가동측 접점)은 워크면에 대해 확실하게 면접촉되어 있고, 각 접점을 제외하는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와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의 각 하부측은 탄력성을 갖는 비도전성 물질인 고무재(바람직하게는 우수한 탄력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 절연캡(20)으로 피복됨으로써, 각 접점을 포함하는 협지용 클립의 하부측을 도금액으로부터 확실하게 떨어뜨릴 수 있어 확실하게 절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워크 행거와같이 접점을 포함하는 접점 둘레에 패각 형상의 도금 덩어리가 생성되어 부착되는 폐해를 해소할 수 있고, 워크를 클램핑하는 접점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여 확실한 통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더욱이,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 상기 절연캡에 의하면, 특히 우수한 탄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장탈착시에는, 각 접점의 돌출 형태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변형되므로, 협지용 클립에의 장착 또는 협지용 클립으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하여, 절연 피복체(절연캡)의 교환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7)

  1. 도금액(A)중에 넣어져서 도금처리되는 대략 평판 형상의 워크(W)를 현수 상태로 지지하고, 전류를 음극 바(B)로부터 상기 워크에 통전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워크 행거(1)이며, 이 워크 행거는, 상기 음극 바에 횡이동 자유롭게 매달아 지지되는 지지 기능과 이 음극 바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는 접촉 기능을 더불어 갖는 지지 부재(2)와, 이 지지 부재의 하부에 이 지지 부재와 일체로 구성되든지 또는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도록 면접촉 상태로 고착되고, 상기 워크의 횡측 긴 변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횡방향으로 긴 기판(3)과, 이 횡방향으로 긴 기판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워크의 상부를 협지하고, 이 워크를 현수 상태로 매달아 지지하는 복수의 협지용 클립(4)으로 구성되고, 전류를 상기 음극 바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 상기 협지용 클립을 거쳐, 각 협지용 클립으로부터 상기 워크에 통전되도록 상기 워크 행거의 상기 각 구성 부분인 상기 지지 부재,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 및 상기 협지용 클립을 도전성 재료로 형성하고 있고, 상기 협지용 클립(4)은, 상부를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도록 면접촉 상태로 고착되어 하부에 고정측 접점(7)을 설치한 고정측 협지 레버(5)와, 이 고정측 협지 레버의 중간부에 축 핀(10)을 통하여 그 중간부를 피벗식부착한 가동측 협지 레버(6)를 구비하고, 이 가동측 협지 레버의 하부에 상기 고정측 접점과 대향하는 가동측 접점(8)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의 상부측과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의 상부측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1)를설치하고, 이 탄성부재의 탄력에 의해 상기 축 핀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가동측 접점을 상기 고정측 접점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고, 상기 고정측 접점에 대해 닫혀진 상기 가동측 접점과의 사이에서 상기 워크의 상부를 협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측 접점을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의 하부로부터 대향 방향을 향해서 돌출된 돌출부(12)의 대향면에 형성하고, 상기 가동측 접점을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의 하부에 부착된 가동체(13)의 대향면에 형성하고, 상기 가동체의 대향면 즉 가동측 접점을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로부터 대향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배열 설치하고, 상기 가동체는 이 가동체의 대향면 즉 상기 가동측 접점을 상기 고정측 접점에 대해 서로의 접촉면이 정면으로 마주 향하는 각도로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의 하부에 지지축(14)을 통하여 이 가동체의 대향면 즉 가동측 접점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축지지되고, 상기 가동체의 대향면 즉 상기 가동측 접점을 상기 워크의 두께의 변화에 대응시켜서 상기 워크의 워크면과 면접촉되는 회전각도에서 워크를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워크와 함께 도금액중에 넣어지는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와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의 각 하부측을 각각 착탈 자유롭게 피복하는 절연캡(20)을 설치하고, 이들 절연캡은, 탄력성을 갖는 비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측 접점과 가동측 접점의 피복부위에 이들의 접점만 노출시키는 개구부(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의 워크 행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13)를 직방 형태로 형성하고, 이 가동체의일 면을 상기 가동측 접점(8)으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6)의 하단부에 대향 방향으로 향해진 단면 역오목부 형상의 홈부(15)를 형성하고, 이 홈부내에 상기 가동체를 이 가동체의 상기 가동측 접점이 상기 홈부내로부터 대향 방향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배열 설치하고, 이 설치 상태에서 상기 홈부내에 이 홈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설되어서 고착된 상기 지지축(14)을 상기 가동체에 형성한 관통 구멍(16)내에 축통과시킴으로써 이 가동체의 상기 가동측 접점이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체는 이 가동체의 양 측벽이 상기 홈부의 대향 측벽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홈부내의 정상부면과 상기 가동체의 정상부면과의 사이에 상기 가동체의 회전을 허용하고 또한 회전범위를 규제하는 간극(1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의 워크 행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접점(7)은,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5)가 되는 판자 형상 부재의 대향면측의 하방부를 상기 돌출부(12)의 형태를 남기고 절삭하고, 그 돌출부의 정상부면을 고정측 접점(7)으로 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의 워크 행거.
  4. 도금액(A)중에 넣어져 도금처리되는 대략 평판 형상의 워크(W)를 현수 상태로 지지하고, 전류를 음극 바(B)로부터 상기 워크에 통전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워크 행거(1)이며, 이 워크 행거는, 상기 음극 바에 횡이동 자유롭게 매달아 지지되는 지지 기능과 이 음극 바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는 접촉 기능을 더불어 갖는 지지 부재(2)와, 이 지지 부재의 하부에 이 지지 부재와 일체로 구성되든지 또는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도록 면접촉 상태로 고착되고, 상기 워크의 횡측 긴 변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횡방향으로 긴 기판(3)과, 이 횡방향으로 긴 기판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워크의 상부를 협지하고, 이 워크를 현수 상태로 매달아 지지하는 복수의 협지용 클립(4)으로 구성되고, 전류를 상기 음극 바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 상기 협지용 클립을 거쳐, 각 협지용 클립으로부터 상기 워크에 통전되도록 상기 워크 행거의 상기 각 구성 부분인 상기 지지 부재,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 및 상기 협지용 클립을 도전성 재료로 형성하고 있고, 상기 협지용 클립(4)은, 상부를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도록 면접촉 상태로 고착되고 하부에 고정측 접점(7)을 설치한 고정측 협지 레버(5)와, 이 고정측 협지 레버의 중간부에 축 핀(10)을 통하여 그 중간부를 피벗식부착한 가동측 협지 레버(6)를 구비하고, 이 가동측 협지 레버의 하부에 상기 고정측 접점과 대향하는 가동측 접점(8)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의 상부측과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의 상부측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1)를 설치하고, 이 탄성부재의 탄력에 의해 상기 축 핀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가동측 접점을 상기 고정측 접점에 대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고, 상기 고정측 접점에 대해 닫혀진 상기 가동측 접점과의 사이에서 상기 워크의 상부를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서, 각 협지용 클립(4)의 가동측 협지 레버(6)의 상부측과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3)을 도전선(25)을 통하여 각각 도전적으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의 워크 행거.
  5. 도금액(A)중에 넣어져 도금처리되는 대략 평판 형상의 워크(W)를 현수 상태로 지지하고, 전류를 음극 바(B)로부터 상기 워크에 통전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워크 행거(1)이며, 이 워크 행거는, 상기 음극 바에 횡이동 자유롭게 매달아 지지되는 지지 기능과 이 음극 바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는 접촉 기능을 아울러 갖는 지지 부재(2)와, 이 지지 부재의 하부에 이 지지 부재와 일체로 구성되든지 또는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도록 면접촉 상태로 고착되고, 상기 워크의 횡측 긴 변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횡방향으로 긴 기판(3)과, 이 횡방향으로 긴 기판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워크의 상부를 협지하고, 이 워크를 현수 상태로 매달아 지지하는 복수의 협지용 클립(4)으로 구성되고, 전류를 상기 음극 바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 상기 협지용 클립을 거쳐, 각 협지용 클립으로부터 상기 워크에 통전되도록 상기 워크 행거의 상기 각 구성 부분인 상기 지지 부재,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 및 상기 협지용 클립을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협지용 클립(4)은, 상부를 상기 횡방향으로 긴 기판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도록 면접촉 상태로 고착되고 하부에 고정측 접점(7)을 설치한 고정측 협지 레버(5)와, 이 고정측 협지 레버의 중간부에 축 핀(10)을 통하여 그 중간부를 피벗식부착한 가동측 협지 레버(6)를 구비하고, 이 가동측 협지 레버의 하부에 상기 고정측 접점과 대향하는 가동측 접점(8)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의 상부측과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의 상부측 사이에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1)를 설치하고, 이 탄성부재의 탄력에 의해 상기 축 핀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가동측 접점을 상기 고정측 접점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고, 상기 고정측 접점에 대해 닫혀진 상기 가동측 접점과의 사이에서 상기 워크의 상부를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서, 상기 고정측 접점과 상기 가동측 접점은 대향 방향을 향해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워크와 함께 도금액중에 넣어지는 상기 고정측 협지 레버와 상기 가동측 협지 레버의 각 하부측을 각각 착탈자유롭게 피복하는 절연캡(20)을 설치하고, 이들 절연캡은, 탄력성을 갖는 비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이 절연캡에 각 접점을 노출시키는 개구부(21)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개구부를 둘러싸는 돌출 가장자리부(2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돌출 가장자리부는, 돌출 형성된 각 접점의 둘레벽을 밀착하여 덮도록 형성되고, 또한 각 접점의 돌출 위치보다 약간 돌출시켜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의 워크 행거.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캡(20)은 탄력성을 갖는 비도전성 물질인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의 워크 행거.
  7.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접점(7) 및 상기 가동측 접점(8)을 직사각형 형상 접점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의 워크 행거.
KR1020047006812A 2001-11-06 2002-11-05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 워크 행거 KR100591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07238U JP3085849U (ja) 2001-11-06 2001-11-06 メッキ装置におけるクランプ式のワークハンガー
JPJP-U-2001-00007238 2001-11-06
JPJP-P-2002-00139183 2002-05-14
JP2002139183A JP3677488B2 (ja) 2002-05-14 2002-05-14 電気メッキ装置におけるクリップ式のワークハンガー
PCT/JP2002/011499 WO2003040438A1 (fr) 2001-11-06 2002-11-05 Appareil de suspension de piece de type pince pour dispositif de galvanoplast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137A true KR20040063137A (ko) 2004-07-12
KR100591562B1 KR100591562B1 (ko) 2006-06-19

Family

ID=2660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812A KR100591562B1 (ko) 2001-11-06 2002-11-05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 워크 행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591562B1 (ko)
CN (1) CN1578852A (ko)
TW (1) TW200300178A (ko)
WO (1) WO20030404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5179A1 (en) * 2007-09-11 2009-03-19 Minokorea Co., Ltd. Bad hanger detecting and removal apparatus for curing machine
KR101242059B1 (ko) * 2011-01-31 2013-03-12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지지 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6520A1 (ja) 2004-03-09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ランダムアクセス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装置
CN102126668A (zh) * 2010-11-02 2011-07-20 无锡市星亿涂装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行车吊钩装置
KR101300325B1 (ko) * 2011-12-21 2013-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도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9645B1 (ko) 2015-07-30 2017-03-08 윤대식 도금 행거
RU2636341C2 (ru) * 2015-12-17 2017-11-22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Экран" (АО "НИИ "Экран") Подвес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лоских изделий (варианты)
CN105839133A (zh) * 2016-05-21 2016-08-10 江苏诚信药业有限公司 一种制备l-谷氨酰-l-半胱氨酰甘氨酸的工艺装置
CN105914177A (zh) * 2016-06-08 2016-08-31 广东科杰机械自动化有限公司 一种夹具
JP6793966B2 (ja) * 2016-09-29 2020-12-02 株式会社アルメックステクノロジーズ ワーク保持治具及び表面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8567U (ko) * 1988-12-07 1990-06-1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5179A1 (en) * 2007-09-11 2009-03-19 Minokorea Co., Ltd. Bad hanger detecting and removal apparatus for curing machine
KR101242059B1 (ko) * 2011-01-31 2013-03-12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지지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300178A (en) 2003-05-16
KR100591562B1 (ko) 2006-06-19
CN1578852A (zh) 2005-02-09
WO2003040438A1 (fr) 200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321242A (ja) 電気メッキ装置におけるクリップ式のワークハンガー
KR100591562B1 (ko) 전기도금 장치에서의 클립식 워크 행거
US6342138B1 (en) Clamp for electroplating articles
US10260161B2 (en) Substrate holder reception apparatus
KR101247298B1 (ko) 도금용 랙 어셈블리
JP3677488B2 (ja) 電気メッキ装置におけるクリップ式のワークハンガー
EP0938760A1 (en) Rolling electrical contactor
CA2405573A1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JPS587718B2 (ja) 電気メツキラツク
KR100586473B1 (ko) 웨이퍼의 도금지그
US6299745B1 (en) Flexible substrate plating rack
JP3629396B2 (ja) 基板めっき治具
US3970540A (en) Clamping device for use in electroplating
US4767146A (en) Holding tongs
JP5630000B2 (ja) メッキ用基板保持具
JPH10168600A (ja) 電気めっき処理装置のワーク支持具
JP6382096B2 (ja) めっき方法、めっき装置、および基板ホルダ
JPH0686676B2 (ja) メツキ用電極部
JP3085849U (ja) メッキ装置におけるクランプ式のワークハンガー
JP2004052092A (ja) プリント基板保持用治具の接合具
KR200347690Y1 (ko) 인쇄회로기판 도금용 클램프 구조
KR20050088620A (ko) 도금장치의 초박판형 기판 행거 랙구조
JP2002004092A (ja) メッキ板懸吊具
CN215377749U (zh) 用于连接电导体的连接端子和连接系统
KR200434363Y1 (ko) 도금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