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981A - 약제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981A
KR20040057981A KR1020030095933A KR20030095933A KR20040057981A KR 20040057981 A KR20040057981 A KR 20040057981A KR 1020030095933 A KR1020030095933 A KR 1020030095933A KR 20030095933 A KR20030095933 A KR 20030095933A KR 20040057981 A KR20040057981 A KR 20040057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medicine
nozzle
shutter plate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965B1 (ko
Inventor
이나무라아쯔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 바이오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74889A external-priority patent/JP41593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7486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03431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 바이오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포장지에 약제를 방출하는 노즐 내에 있어서의 약제 막힘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약제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정제 케이스로 배출된 약제를 방출하기 위한 노즐과, 이 노즐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 내의 약제 낙하 통로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한다. 셔터는 노즐 내를 폐쇄 할 수 있는 치수를 가지며 회전되는 제1 셔터판과, 이 제1 셔터판의 선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셔터판과, 제1 셔터판이 개방되는 최종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판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제2 셔터판을 요동 회전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다. 제1 셔터판이 개방된 시점에서 제2 셔터판 선단부는 약제 낙하 통로의 출구를 좁히는 위치에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약제 공급 장치{Medicine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병원이나 조제 약국 등에 있어서, 정제 케이스에 수납된 약제를 의사의 처방전에 의해 지정된 수량만 공급하고, 또는 공급하여 포장하는 약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병원이나 조제 약국에 있어서는, 약제 공급 장치(정제 포장 장치)를 이용하여, 의사에 의해 처방된 약제를 환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서는 처방전에 기재된 수량의 약제(정제, 캡슐제 등)를 정제 케이스(정제 수납 공급체) 내의 배출 드럼(정렬반)으로부터 1개씩 배출하여 호퍼에 의해 모으고, 그 후 노즐을 거쳐서 절반 접힌 포장지(약 포장 시트) 사이에 방출하여 투입하고, 1포마다 포장하는 것이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8-11805호 공보 참조).
그런데, 절반 접힌 포장지 사이에 약제를 방출하여 투입하기 위한 노즐 내에는, 상기 노즐 내의 약제 낙하 통로를 개폐하여 약제의 투입을 제어하기 위한 셔터가 설치된다. 한편으로, 노즐 내의 약제 낙하 통로는 깊이(폭)가 얕은 포장지 내에서도 약제를 투입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출구가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치수가 긴 캡슐 등의 약제를 배출할 때, 노즐 내에 약제가 막혀 버리는 일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롤형으로 권취된 포장지는 통상 상단부가 개방되고, 하단부에 접힌(절반 접음) 단면 대략 V자형을 이루고 있고, 노즐은 이러한 포장지 내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이지만, 이 노즐의 치수에 의해 포장지에 이완이나 주름이 발생하여 포장 상태가 불량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포장지에 약제를 방출하는 노즐 내에 있어서의 약제 막힘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있는 약제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에 의해 포장지에 이완이나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로 한 약제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는, 약제를 수납하는 정제 케이스로 배출된 약제를 공급하는 것이며, 정제 케이스로 배출된 약제를 방출하기 위한 노즐과, 이 노즐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 내의 약제 낙하 통로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셔터는 노즐 내를 폐쇄할 수 있는 치수를 가지며 회전되는 제1 셔터판과, 이 제1 셔터판의 선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셔터판과, 제1 셔터판이 개방되는 최종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판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제2 셔터판을 요동 회전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구비하고, 제1 셔터판이 개방된 시점에서 제2 셔터판 선단부는 약제 낙하 통로의 출구를 좁히는 위치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는 약제를 수납하는 정제 케이스와, 상단부가 개방되고, 하단부에 접힌 상태에서 롤형으로 권취된 포장지를 구비하고, 정제 케이스로 배출된 약제를 포장지로 포장하는 것이며, 연속하여 인출된 포장지 내에 정제 케이스로 배출된 약제를 투입하기 위한 노즐과, 상기 노즐로부터 약제가 투입된 포장지의 상단부 개구를 열용착에 의해 밀봉하고, 또한, 1포마다 구획하기 위한 열밀봉 수단과, 상기 열밀봉 수단에 의해 용착되는 포장지의 상단부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포장지에 장력을 가하는 장력 부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는 상기에 있어서, 장력 부여 수단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재에 의해 포장지측에 압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약제 공급 장치의 사시도(천정판을 제외함).
도2는 각 선반의 도어 패널을 떼어내고, 하부 패널을 개방한 상태의 도1의 약제 공급 장치의 정면도.
도3은 도1의 약제 공급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4는 도1의 약제 공급 장치의 포장기의 정면도.
도5는 도1의 약제 공급 장치의 포장지 송출 기구로의 포장지의 롤을 부착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6은 도5의 포장지 송출 기구의 베이스판의 사시도.
도7은 도1의 약제 공급 장치의 포장지의 롤과 상기 포장지로의 장력 부여 기구의 정면도.
도8은 도1의 약제 공급 장치의 노즐의 사시도.
도9는 도1의 약제 공급 장치의 노즐의 정면도.
도10은 도1의 약제 공급 장치의 노즐의 종단 측면도.
도11은 도1의 약제 공급 장치의 노즐의 또 하나의 종단 측면도.
도12는 도1의 약제 공급 장치의 노즐의 또 하나의 종단 측면도.
도13은 도1의 약제 공급 장치의 노즐의 또 하나의 종단 측면도.
도14는 열밀봉 헤드 부분의 측면도.
도15는 도14의 열밀봉 헤드 부분의 하부면도(다른 쪽 히터를 제외함).
도16은 열밀봉 헤드 부분의 포장지의 진행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7은 도16의 열밀봉 헤드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이미 하나의 열밀봉 헤드 부분의 포장지의 진행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도18의 열밀봉 헤드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0은 도1의 약제 공급 장치의 프린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약제 공급 장치
3 : 정제 케이스
4 : 하부 패널
6 : 도어 패널
7 : 본체
8 : 케이스 수납부
9 : 통로
13 : 포장기
29, 30 : 히터
47, 56 : 인출 레일
53 : 개폐판
54 : 호퍼
57 : 피더
71 : 롤
72 : 포장지
76 : 열밀봉 헤드
77 : 롤러
81 : 컨베어
101 : 부착판
102 : 포장지 송출 기구
103 : 베이스판
104 : 결합축
106 : 가이드판
107 : 결합 돌기조
108 : 테이퍼부
109 : 결합 홈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약제 공급 장치(1)의 사시도[천정판(1A)을 제외함], 도2는 각 선반(2 …)의 도어 패널(6)을 떼어내고, 하부 패널(4)을 개방한 상태의 약제 공급 장치(1)의 정면도, 도3은 약제 공급 장치(1)의 종단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1)는 병원이나 조제 약국 등에 설치되는 것이며,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의 본체(7)와 후술하는 제어용의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된다. 본체(7)는 서로 분리 가능한 상부 구조체(7A)와 하부 구조체(7B)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 구조체(7B) 상에 상부 구조체(7A)가 적층되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부 구조체(7A) 내에는 후술하는 정제 케이스(3)를 수납하기 위해 전방 및 상하가 개방된 케이스 수납부(8)가 구성되고, 이 케이스 수납부(8)의 천정면은 착탈 가능한 천정판(1A)으로 폐색되어 있다.
또한, 하부 구조체(7B)는 전방면 및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부면에 있어서 상부 구조체(7A)와 연통한다. 그리고, 이 하부 구조체(7B) 내에는 후술하는 충전 장치로서 포장기(13) 등이 수납 설치되는 동시에, 전방면의 개구는 관음 개방식의 하부 패널(4, 4)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폐색되어 있다.
상기 상부 구조체(7A)의 케이스 수납부(8) 내에는, 좌우 4열, 상하 5단(합쳐서 20개)의 선반(2 …)이 가설되어 있다. 각 선반(2)의 전방 단부에는 도어 패널(6)이 각각 부착되어 있고, 모든 선반(2 …)이 케이스 수납부(8) 내에 수납된상태에서 각 도어 패널(6 …)이 상부 구조체(7A)[케이스 수납부(8)]의 전방면 개구를 폐색한다. 선반(2)의 중앙에는 상하로 개방한 통로(9)가 전후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이 통로(9)의 좌우 양측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정제 케이스(3)의 구동 베이스가 8개씩(합계 16개) 전후 방향으로 병설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정제 케이스(3)는 이 구동 베이스와 그 위에 연결되는 착탈 가능한 도시하지 않은 수납 용기로 구성된다. 이 정제 케이스(3)의 구동 베이스 내에는 이것도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드럼 모터와 광학식의 약제 검출 센서가 부착되고, 또한 배출 슈트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출 슈트는 상기 통로(9) 내에 연통 개구하고 있다. 또, 도1에 있어서 부호 111은 제어 패널이다.
한편, 정제 케이스(3)의 수납 용기는 상부면을 개구하고 있고, 이 개구는 개폐 가능한 덮개로 폐색되어 있다. 또한, 수납 용기 내 바닥부에는 배출 드럼이 부착되어 있고, 이 배출 드럼의 측면 주위에는 복수의 세로 홈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 드럼이 상기 드럼 모터로 회전되어 약제가 1개씩 배출 슈트로부터 통로(9)에 배출된다. 이 약제의 배출은 상기 약제 검출 센서로 검출되어 카운트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정제 케이스(3 …)가 부착된 선반(2)은, 케이스 수납부(8) 내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이 선반(2)의 후단부에는 정제 케이스(3 …)의 드럼 모터에 통전을 행하고, 약제 검출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전달하기 위한 하네스(2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선반(2 …)이 케이스 수납부(8)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하에 위치하는 각 선반(2 …)의 통로(9)는 서로 대응하고, 그에 의해 상하에 연통한 일련의 슈트(32)를 구성한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상하에 걸친 좌우 4열의 슈트(32 …)가 케이스 수납부(8) 내에 구성되게 된다.
한편, 본체(7)의 하부 구조체(7B) 내 하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기(13)(충전 장치)가 수납되어 있다. 이 포장기(13)의 구조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하게 서술하지만, 포장기(13)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구조체(7B) 내의 바닥면 좌우에 부착된 인출 레일(47, 47)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포장기(13)는 하부 패널(4, 4)을 개방한 상태에서 하부 구조체(7B) 내로부터 전방에 인출 가능하게 취급되고, 또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인출 레일(47, 47)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부호 48은 이 포장기(13)와 하부 구조체(7B)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커넥터 접속된 포장기용의 하네스이고, 상기 포장기(13)의 인출량을 충분히 허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갖고 있다.
이 하부 구조체(7B) 내의 상부에는 2개의 개폐판(53, 53)이 좌우로 병설되어 있다. 각 개폐판(53, 53)은 그 상방의 상기 슈트(32 …)의 하방에 대응하고 있고, 대향 우측 개폐판(53)은 대향 우측 단부 및 그 좌측의 슈트(32, 32)에, 대향 좌측 개폐판(53)은 대향 좌측 단부 및 그 우측의 슈트(32, 32)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각 슈트(32 …)로부터 후술하는 호퍼(54)에 낙하하는 약제를 일시에 받아내는 역할을 감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 개폐판(53, 53)의 하방에 대응하여 상기 호퍼(54)가 하부 구조체(7B)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호퍼(54)는 상부면이 넓게 개구하고, 하단부를 향해 오므라진 직사각형 깔때기를 이루고 있고, 상기 각 슈트(32 …)로부터 낙하하여 개폐판(53, 53)을 통과한 약제를 받아내고, 하단부 개구(54A)로 배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호퍼(54)의 상단부 좌우는 하부 구조체(7B) 내의 상부 좌우에 부착된 인출 레일(56, 56)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고정되는 동시에, 각 개폐판(53, 53)도 인출 레일(56, 56)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인출 레일(56, 56)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고정된다. 이에 의해, 호퍼(54) 및 개폐판(53, 53)은 하부 패널(4, 4)을 개방한 상태에서, 하부 구조체(7B) 내로부터 전방에 함께 인출 가능하게 취급되고, 또한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인출 레일(56, 56)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개폐판(53)용의 착탈 가능한 하네스도 설치되어 있고, 이 하네스도 상기 개폐판(53)의 인출량을 충분히 허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정제 케이스(3)의 교환이나 각 통로(9 …)에 의해 구성되는 슈트(32 …), 호퍼(54)의 청소, 포장기(13)의 부품 교환 등의 보수를 행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본체(7)의 상부 구조체(7A) 혹은 하부 구조체(7B)로부터 인출해 두어 착탈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약제 공급 장치(1)의 보수 작업성을 현저히 개선하고, 원활한 약제 충전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정제 케이스(3)는 선반(2)마다 상부 구조체(7A)로부터 복수 동시에 인출하고, 또한 그 수납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정제 케이스(3)의 수납 용기의 교환 작업성이 한층 향상된다.
또한, 개폐판(53, 53)도 하부 구조체(7B)로부터 인출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였으므로, 호퍼(54)에 낙하하는 약제를 일시에 받아내기 위한 개폐판(53, 53)의 보수 작업성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개폐판(53, 53)과 호퍼(54)를 하부 구조체(7B)로부터 동시에 인출 가능하게 부착하였으므로, 개폐판(53) 및 호퍼(54)를 보수할 때의 작업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 구조체(7B) 내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양 개폐판(53, 53) 사이에 위치하여 추가 약제 피더(UTC)(57)가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추가 약제 피더(57)는 하부 패널(4, 4)에 덮이지 않고 독자적으로 전방으로 인출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도1). 이 추가 약제 피더(57)는 추가의 약제를 임의로 공급하기 위한 피더이며, 이 피더(57)는 상기 호퍼(54) 내에 연통하고 있다.
다음에, 도4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기(1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부호 71은 열용착 가능한 포장지(72)(용기를 구성함)를 권취한 롤이며, 73은 프린터, 74는 호퍼(54)의 하단부 개구(54A)에 부착된 노즐, 76은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열밀봉 헤드, 77은 롤(71)로부터 인출된 포장지(72)를 반송하는 롤러, 79는 포장지(72)를 절단하는 커터, 81은 분포화되어 절단된 포장지(72)를 하부 패널(4)에 설치된 취출구(82)(도1)까지 반송하는 컨베어이며, 포장지(72)의 반송 경로에 따라서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호 83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히터(29, 30)를 갖는 열밀봉 헤드(76)(본 발명의 열밀봉 수단에 상당)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이고, 부호 78은 롤러(77)를 구동하는 모터, 84는 컨베어(81)의 모터이다.
롤(71)에 권취된 포장지(72)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하단부에 접힌(절반 접음) 단면 대략 V자형을 이루고 있고, 롤러(77) 등에 의해 롤(71)로부터 일단 우측경사 상방으로 인출되고, 또한 그곳으로부터 대향 우측 경사 하방으로 인출된 후, 프린터(73)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표면에 인쇄가 이루어진다. 다음에, 노즐(74)로 방출된 약제가 포장지(72) 내에 투입되고, 열밀봉 헤드(76)에 의한 열용착으로 포장지(72)는 1포마다로 구획된다. 구획되어 분포화된 포장지(72)는 다음에 커터(79)로 절단되고, 컨베어(81)로 대향 좌측 상방의 취출구(82)로 반송되는 것이다.
이 경우, 포장지(72)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의 축관(70)(합성 수지제) 주위에 권취되어 롤(71)로 되어 있고, 이러한 롤(71)은 전방으로부터 보아 우측 경사 상방에 약 20도의 각도로 경사진 부착판(101)의 하부에 설치된 포장지 송출 기구(10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포장지 송출 기구(102)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반형 베이스판(103)과, 이 베이스판(103)의 중심으로부터 돌출한 결합축(104)과, 베이스판(103)의 하측에 대응하여 설치된 가이드판(106)과, 베이스판(103)의 하측에 접촉하는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크 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축(104)은 금속 혹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그 측면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 돌기조(107 …)가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 돌기조(107 …)는 결합축(104)의 축 방향(결합축(104)은 도4, 도5에서 베이스판(103)으로부터 경사 좌측 상부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음)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동시에, 이 경사는 결합축(104)의 선단부로부터 베이스판(103)을 향해, 결합축(104) 및 베이스판(103)의 회전 방향(도6에 화살표로나타냄)을 향해 연장되도록 부여되어 있다. 또한, 결합축(104)의 선단부는 끝이 가늘어지도록 소정의 테이퍼 형상으로 되고, 거기에 테이퍼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포장지(72)가 권취된 롤(71)의 축관(70)의 내경은 상기 결합축(104)의 측면에 밀봉 접착하여 결합 가능한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축관(70)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축(104)의 각 결합 돌기조(107 …)가 결합 가능한 깊이를 갖고, 또한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결합 홈(109 …)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도5에 있어서의 파선은 전방의 결합 홈(109)을 나타내는 가상선임].
다른 한편, 가이드판(106)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3)으로부터 조금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결합축(104)의 하방(도5에서는 좌측 경사 하방)에 대응하고 있고, 이러한 포장지 송출 기구(102)에 포장지(72)의 롤(71)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우선 도5의 상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71)을 가이드판(106)에 적재하여, 축관(70)과 결합축(104)과의 위치 맞춤을 한다. 또한, 이 경우 가이드판(106)을 결합축(104)에 대응 부분이 가장 낮아지는 만곡 형상으로서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고 하면 위치 맞춤은 한층 용이해진다.
이 상태에서 롤(71)을 베이스판(103)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축관(70)의 하부면 상측의 내부 모서리가 도5의 상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축(104)의 테이퍼부(108)에 접촉한다[베이스판(103)과 가이드판(106)의 위치 관계는 롤(71)의 치수에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되도록 적당히 설정되어 있음]. 그리고, 또한 포장지(72)의 롤(71)을 베이스판(103)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축관(70)은테이퍼부(108)에 안내되고, 가이드판(106)으로부터 떨어져 들어 올려져, 그 축 중심이 결합축(104)의 축 중심에 합치된다. 이와 같이 테이퍼부(108)와 가이드판(106)을 설치함으로써, 롤(71)의 위치 맞춤이 매우 용이해진다.
다음에, 롤(71)을 다소 도6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윽고 축관(70)내면의 결합 홈(109 …)이 결합축(104)의 결합 돌기조(107 …)에 합치되므로, 롤(71)을 도6의 화살표 방향으로 나사 삽입하도록 회전시켜 압입하면, 결합 돌기조(107 …)는 결합 홈(109 …) 내에 진입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도5의 우측 상태). 그리고, 롤(71)은 최종적으로 베이스판(103)의 상부면에 적재되어 장착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축(104)의 결합 돌기조(107 …)는 베이스판(103) 및 결합축(104)의 회전 방향을 향해서 베이스판(103)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하고 있으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포장지(72)가 송출될 때에 축관(70) 및 결합축(104)에 작용하는 힘은 결합 돌기조(107 …)와 결합 홈(109 …)의 맞물리는 결합을 더 체결하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에 의해, 결합축(104)이 적은 돌출 치수[실시예에서는 테이퍼부(108)의 하단부까지의 높이 치수는 10 ㎜]라도 롤(71)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판(101)의 경사에 의해, 결합축(104)은 45도로 경사 상방에 돌출하고 있지만,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평[그 경우는 베이스판(103)은 수직 방향이 됨]을 포함하는 더 적은 각도로 경사 상방에 돌출하는 구조라도 좋다.
다음에, 도7은 롤(71)을 도4의 경사 좌측 상방으로부터 바르게 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롤(71)과 프린터(73) 사이의 경로에 있어서의 부착판(101) 상에는 장력 부여 기구(1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력 부여 기구(113)는 금속제의 기초부(114) 및 이 기초부(114)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포장지(72)의 폭보다도 충분히 긴 치수를 갖는 금속제의 둥근 막대(단면이 원형)로 이루어지는 막대형 부재(116)로 이루어지는 작용부(121)와, 상기 기초부(114)로부터 양측에 돌출하여 설치된 한 쌍의 롤러(117, 117)와, 각 롤러(117, 117)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레일(118, 118)과, 장력 핀(1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용부(121)는 그 자체 소정의 중량을 갖고 있다. 또한, 레일(118, 118)은 부착판(101)의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고, 도4에서는 우측 상부로부터 좌측 하부(상하 방향. 또한, 수직 방향이라도 좋음)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막대형 부재(116)를 포함하는 작용부(121)는 롤러(117, 117)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레일(118, 118)에 따라서 자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장력 핀(119)은 레일(118, 118)을 협지하여 롤(71)의 반대측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막대형 부재(116)가 포장지(72)를 밀어 내리는 상태에서, 그 좌우가 대략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7). 이에 의해, 막대형 부재(116)의 좌우 포장지(72)에 대략 균등한 힘이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롤(71)로부터 인출된 포장지(72)는 장력 부여 기구(113)의 막대형 부재(116)의 하측을 통해, 장력 핀(119)의 상측으로부터 프린터(73)에 이르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작용부(121)가 자중에 의해 강하하는 힘은 막대형 부재(116)가 포장지(72)를 밀어 내리는 힘이 되므로, 포장지(72)에는 장력이 부여된다.
그리고, 전술한 롤러(77) 등에 의해 롤(71)로부터 포장지(72)가 인출될 때, 그 인장력에 의해 작용부(121)는 도7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지(72)로 들어 올려진다. 또한, 인장력이 약해지면 작용부(121)는 다시 강하한다(도7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 이에 의해, 포장지(72)에 장력을 부여하여 주름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장력 부여 기구(113)의 작용부(12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중에 의해, 인출된 포장지(72)에 장력을 부여하므로, 포장지(72)에 부여되는 장력은 작용부(121)의 동작 위치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롤형으로 권취되고 연속하여 인출된 포장지(72)에 항상 일정한 장력을 균일하게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주름 발생과, 지나친 장력에 의한 절단 발생의 쌍방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특히, 장력 부여 기구(113)를, 포장지를 밀어 내리는 작용부(121)와, 이 작용부(121)에 설치된 롤러(117, 117)와, 롤러(117, 117)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하 방향의 레일(118, 118)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용부(121) 및 롤러(117, 117)는 레일(118, 118)에 따라서 자중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하고, 항상 안정된 장력을 포장지(72)에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상기 노즐(74)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노즐(74)은 상하가 개구된 직사각형 통형을 이루고 있고, 그 선단부(하부)의 출구 부분은 전방으로 치우쳐 전후의 폭이 입구보다 좁은 협폭부(122)로 되고, 이 협폭부(122)의 하단부가 노즐(74) 내에 구성되는 약제 낙하 통로(75) 출구로서 개구하고 있다[실시예의 노즐(74) 내 상부의 약제 낙하 통로(75)의 깊이 내부 치수는 30 ㎜, 협폭부(122)는 18 ㎜]. 포장지(72)의 깊이(폭) 치수는 통상 74 ㎜와 43 ㎜의 것이 사용되지만, 이 얕은 쪽의 포장지(72)라도 노즐(74)을 삽입할 수 있게 협폭부(122)는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협폭부(122)에는 포장지 가이드(123)가 외측에 부착되어 있다. 이 포장지 가이드(123)는 끝이 가는 단면 대략 V자형을 이루고 있고, 포장지(72)의 진행 방향(좌측 상부로부터 우측 하부로의 45도 경사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도9). 또한, 포장지 가이드(123)는 포장지(72)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전후면(도4에서는 좌우면)이 개방되어 있고, 이에 의해 노즐(74) 내에 낙하한 약제는 포장지 가이드(123)의 전방측(도9에서는 우측 하부측, 도8에서는 전방측에 123A로 나타냄)의 개구면으로부터 하방에 통과 가능해진다(도9에 파선 화살표로 나타냄).
그리고, 이러한 노즐(74)의 상단부 개구는 상기 호퍼(54)의 하단부 개구(54A)에 대향하고, 노즐(74)은 포장지 가이드(123)의 하단부로부터 포장지(72) 내에 삽입된다. 이 경우, 포장지 가이드(123)는 단면 V자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절반 접힌 포장지(72)의 상면 개구측으로부터 삽입하기 쉽다. 또한, 이 경우 노즐(74)을 포장지(72)의 진행 방향에 대해 슬라이드할 수 있게 해 두면, 포장지 가이드(123)를 포장지(72) 내에 삽입하는 작업이 더 용이해진다.
또한, 노즐(74)이 포장지(72) 내에 삽입됨으로써 그 전후 방향의 치수만큼, 포장지(72)는 도8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진행 방향 좌우로 팽창되는 형태로 되지만, 끝이 가는 포장지 가이드(123)가 부착되어 포장지(72) 내에 삽입되므로, 포장지 가이드(123)가 포장지(72)를 팽창시킨 상태에서 유지할 수 있어 포장지(72)에 생기는 주름이나 이완은 방지 혹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이와 같이 노즐(74)이 포장지(72) 내에 삽입됨으로써 호퍼(54)로 받아내여진 약제는 노즐(74) 내에 들어간 후, 내부에 구성되는 약제 낙하 통로(75)를 지나서 포장지 가이드(123)의 상기 개구면을 통과하고, 포장지(72) 내에 투입되게 된다(도9). 이 때, 포장지(72)의 바닥부는 포장지 가이드(123)에 의해 팽창되게 되므로, 다량의 약제를 투입해도 이완이나 주름이 생기는 문제점이 방지 혹은 억제된다.
상기 노즐(74)의 협폭부(122) 하단부에 있어서의 열밀봉 헤드(76)측에는 포장지 정형판(포장지 정형 수단)(140)이 설치되어 있다(도8). 여기서, 포장지(72)는 바닥부에 다량의 약제가 투입된 상태에서 열밀봉 헤드(76)[히터(29, 30)]에 의해 개구부가 폐쇄되어 열용착(개구부의 열용착은 다음에 상세하게 서술함)되면, 투입된 다량의 약제에 의해 포장지(72)의 개구부는 포장지 가이드(123)로 밀어 확대되어 있으므로, 아무리 해도 곱게 폐쇄되지 않는다. 그래서, 포장지 정형판(140)은 바닥부에 다량의 약제가 투입된 포장지(72)의 개구를 미리 소정의 간격까지 폐쇄하고 나서, 열밀봉 헤드(76)에 이송하고, 거기서 개구부를 폐쇄하여 열용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포장지 정형판(140)은 상부판(141)과, 이 상부판(141)의 열밀봉 헤드(76)측의 단부에 연속하여 설치된 종방향 판(1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판(141)의 일단부측은 협폭부(122)의 하단부에 접속되어 포장지(72)의 진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종방향 판(142)은 상부판(141)의 타단부측이 절곡되어 하방의 포장지(72)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포장지(72)와 직교하고 있다. 이 종방향 판(142)에는 정형부(142A)가 하부로부터 절입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정형부(142A)의 상부[상부판(141)측]로 개구한 포장지(72) 상부 모서리를 열밀봉 헤드(76)로 곱게 폐쇄할 수 있게, 상기 정형부(142A)의 상부는 오므라지고, 하부는 바닥부에 다량의 약제가 투입된 포장지(72)에 접촉하지 않는 정도로 확대 개방하고 있다. 즉, 정형부(142A)는 종방향 판(142)의 하측으로부터 역 V자형으로 절결되어 있다. 또한, 정형부(142A)의 상부는 포장지(72)의 상단부보다 소정 거리 이격하여 포장지(72)의 개구단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정형부(142A)는 포장지 가이드(123)의 전방 하부측(123A)과 열밀봉 헤드(76)와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이러한 노즐(74) 내에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셔터(1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126)는 노즐(74) 내 안쪽 상부에 위치하는 구동축(127)으로 상단부가 회전 구동되어 약제 낙하 통로(75)를 폐색하는 제1 셔터판(128)과, 회전축(129)으로 이 제1 셔터판(128)의 선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셔터판(13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셔터판(131)에는 회전축(129) 근방에 위치하여 가이드 핀(131A)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 핀(131A)은 후술하는 가이드(132) 내에 삽입된다.또한, 노즐(74)의 측벽에는 가이드(132)가 돌출 형성되는 동시에, 가이드(132)는 노즐(74)의 양 측벽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132)는 수직으로 형성된 측부 종방향 변(132A)과, 좌측 상방으로부터 우측 경사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 변(132B)과, 좌측 하방으로부터 우측 경사 상부 방향을 향해 경사지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핀(131A)보다 조금 폭이 넓은 경사 홈(132C)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핀(131A)은 경사 홈(132C) 내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경사 홈(132C)은 제1 및 제2 셔터판(128, 131)이 직선으로 늘어선 상태에서 구동축(127)을 중심으로 하여 가이드 핀(132)이 회전하는 궤적보다도 내측, 즉 상측의 경사 우측 상에 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측부 종방향 변(132A)은 구동축(127)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셔터판(128)이 상기 약제 낙하 통로(75)를 폐색한 상태에서 회전축(129)측의 하방으로 위치하여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측부 종방향 변(132A)은 회전축(129)보다 약간 구동축(127)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경사 변(132B)은 측부 종방향 변(132A)의 상단부로부터 도면 중 우측 경사 하방[제1 셔터판(128)이 개방되는 방향]을 향해 형성되고, 이 경사 변(132B)의 하단부에는 우측 경사 상부 방향을 향해 경사 홈(132C)이 형성되는 동시에, 경사 변(132B)의 하단부에 경사 홈(132C)의 상측 변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경사 홈(132C)의 하단부의 하부 종방향 변(132D)은 하방으로 소정 거리 연장된 후 좌측에 연장되어 상기 측부 종방향 변(132A)의 하단부에 접속되고, 가이드(132)는 이들로 둘러싸인 부분이 측벽측에 함몰하는 동시에, 경사 홈(132C)도 측벽측에 함몰하고, 가이드 핀(131A)은 이 함몰 부분에 진입하고 있다.
그리고, 셔터(126)의 제1 셔터판(128)은 도10과 같이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그 선단부의 회전축(129)이 노즐(74) 내벽에 접촉하고, 이에 의해 제1 셔터판(128)은 노즐(74) 내의 약제 낙하 통로(75)를 폐쇄한다(도10). 이 때, 제2 셔터판(131)의 가이드 핀(131A)은 회전축(129)보다 약간 구동축(127)측에 위치하는 측부 종방향 변(132A)에 접하기 때문에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셔터판(131)의 하단부측이 측벽 내측에 조금 경사진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매달아 내려져 있다.
이러한 셔터(126)는 호퍼(54)로부터 노즐(74) 내에 배출된 약제를 일시에 받아내는 것이지만, 포장할 때 이 셔터(126)를 개방하여 약제를 낙하시킬 때, 제1 셔터판(128)은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축(127)을 중심으로 하여 도10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도10의 폐쇄 상태로부터 구동축(127)이 더 회전되고, 회전축(129)이 측벽으로부터 이격하여 측부 종방향 변(132A)으로부터 가이드 핀(131A)이 이격하면 제2 셔터판(131)은 회전축(129)으로부터 수직 하강하고, 더 이격하면 제2 셔터판(131)은 회전축(129)으로부터 수직 하강한 상태로 가이드 핀(131A)은 약제 낙하 통로(75)의 대략 중간까지 이동한다(도11).
이에 의해, 제2 셔터판(131)은 측벽보다 소정 거리 이격하여 노즐(74) 내의 약제 낙하 통로(75)는 소정 치수 개방된다. 이 때, 가이드 핀(131A)은 측부 종방향 변(132A) 및 경사 변(132B)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제2 셔터판(131)과 측벽과의 간극을 통과 가능한 약제 낙하 통로(75) 내의 세로 혹은 가로 방향의 약제는 협폭부(122) 내에 낙하해 간다.
그리고, 도11의 상태로부터 구동축(127)이 더 회전되면, 제1 셔터판(128)이 개방되는 최종 단계에 있어서 가이드 핀(131A)은 경사 홈(132C)과 경사 홈(132C) 하단부의 하부 종방향 변(132D)에 접촉하고, 제2 셔터판(131)의 하단부는 협폭부(122)의 모서리부(122A)에 접촉한다(도12). 이 경우, 가이드 핀(131A)은 경사 홈(132C)의 입구 혹은 경사 홈(132C)보다 불과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셔터판(128)과 측벽과의 간극을 기울인 자세로 낙하하는 약제 낙하 통로(75) 내의 약제[이 상태에서 제2 셔터판(131)과 측벽과의 간극에 약제]는 협폭부(122) 내에 낙하해 간다.
그리고, 그 상태로부터 구동축(127)이 회전되면, 회전축(129)은 측벽보다 더 이격하지만, 가이드 핀(131A)은 하부 종방향 변(132D)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어 있으므로, 제2 셔터판(128)은 회전축(129)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가이드 핀(131A)이 하부 종방향 변(132D)에 의해 회전이 저지된 상태에서 더 제1 셔터판(128)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해 가면, 가이드 핀(131A)은 경사 홈(132C) 내에 진입해 가고, 가이드 핀(131A)이 경사 홈(132C)의 하측 변에 접촉하여 제2 셔터판(131)은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최종적으로 제1 셔터판(128)과 제2 셔터판(131)은 회전축(129)을 지지점에 반대로「く」자형으로 절곡된다(도13).
즉, 도10의 약제 낙하 통로(75)의 폐쇄 상태로부터 약제 낙하 통로(75)가 개방되는 최종 단계에 있어서는 도13과 같이 제1 셔터판(128)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제2 셔터판(131)의 하단부는 요동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노즐(74) 내의 약제 낙하 통로(75)는 제2 셔터판(131)의 선단부(하단부)로 약제 낙하 통로(75)의 출구가 좁혀진다. 이에 의해, 약제 낙하 통로(75)의 출구에 때때로 막히는 자세로 낙하해 온 약제는, 제2 셔터판(131)의 선단부와 측벽 사이에 막힌다. 또한, 도10 내지 도13에서는 도9의 노즐(74) 상부의 플랜지부는 생략하고 있다.
여기서, 약제는 최대의 것이 되면 25 mm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셔터(126)를 개방하여 약제를 낙하시킬 때,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약제가 대략 수평인 상태에서 협폭부(122)에 진입하고자 하면, 그 폭을 좁게 하고 있기 때문에 막힌다. 즉, 셔터(126)를 개방하여 약제 낙하 통로(75)가 개방되는 최종 단계에서 제1 셔터판(128)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제2 셔터판(131)의 하단부를 요동 회전시켜, 대략 수평인 상태에서 협폭부(122)에 진입하고자 하는 약제를 적극적으로 막히게 하고 있다. 이 때, 막힌 약제는 제2 셔터판(131)의 하단부 상에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제1 셔터판(128)이 폐쇄 방향(시계 방향)에 회전되면, 가이드 핀(131A)은 경사 홈(132C)의 상측 변에 접촉하면서 경사 홈(132C) 내를 전술과는 반대의 우측 상부로부터 좌측 경사 하부 방향으로 이동해 간다. 이에 의해, 제2 셔터판(131)은 도13 상태로부터 제1 셔터판(128)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의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도13의 약제 상태의 대향 우측 단부를 낮추는 등의 작용력을 미친다. 이에 의해, 막힌 약제는 자세를 무너뜨려 협폭부(122) 내에 인입하는 자세가 되어 협폭부(122) 내에 낙하해 가게 된다.
또한, 도10 내지 도13에서는 1개의 약제가 막히게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여러개 막혔을 때에는 제2 셔터판(131)의 요동이 이들 여러개 막힌 약제의 자세를 무너뜨리는 형태가 된다. 어떻게 해도, 이러한 셔터(126)의 구조에 의해 대형 약제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단, 이것으로서도 막힘이 해소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는 제어 장치가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이러한 약제가 막히기 어려운 타이밍에서 셔터(126)를 개폐하는 것이지만, 상기 구동 수단을 완만하게 동작시킴으로써, 약제로의 충격을 완화하고, 또한 반동을 방지한다. 이 방법으로서는 솔레노이드에의 입력 전압을 서서히 인가하는 방법이나, 소정의 기계적 댐퍼를 설치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한편, 열밀봉 헤드(76)에는 본 발명의 장력 부여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 장력 부여 수단은 열밀봉 헤드(76)에 의해 용착되는 포장지(72)의 상단부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는 것이며, 이동 부재(143)와 이 이동 부재(143)를 포장지(72)측으로 압박하는 판 스프링(144)(본 발명의 탄성재에 상당)으로 구성되어 있다(도14).
이동 부재(143)는 열밀봉 헤드(76)의 한 쪽 히터(30)의 노즐(74)측의 측면에 위치하여 다른 쪽 히터(29)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동 부재(143)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긴 구멍(145, 145)[다른 쪽 히터(29) 방향으로 길다]이 마련되어 있고, 이 긴 구멍(145, 145)에는 나사(146, 146)가 이동 가능하게 삽통되어 한 쪽 히터(30)의 측면[정형부(142A)측]에 고정되는 동시에, 절반 접힌 포장지(72)의 절곡부측(하단부)으로부터 상단부 개구에 걸친 치수를 갖고 있다.
이동 부재(143)의 양 긴 구멍(145, 145) 사이에는 대략 직각으로 절곡 기립된 받침벽(143A)이 상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받침벽(143A)에는 판 스프링(144)이 접촉하고, 이에 의해 이동 부재(143)는 항상 다른 쪽 히터(29)측으로 압박된다. 이동 부재(143)의 다른 측은 판 스프링(144)으로 받침벽(143A)이 다른 쪽 히터(29)측으로 압박된 상태에서, 한 쪽 히터(30)보다 소정 치수 다른 쪽 히터(29)측으로 연장된다.
또, 판 스프링(144)은 산 형태로 접힌 수지제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이 한 쪽 히터(30)에 나사(도시하지 않음)로 고정되어 있다[도15, 다른 쪽 히터(29)는 도시하지 않음]. 이 판 스프링(144)은 이동 부재(143)로 포장지(72)를 압박했을 때, 포장지(72)가 손상되지 않는 장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판 스프링(144)은 히터(29, 30)의 온도로 용이하게 변형하지 않는 합성 수지의 판 스프링이 이용된다. 또한, 판 스프링(144)을 금속으로 구성해도 좋고, 또한 코일 스프링을 이용해도 지장이 없다.
그리고, 롤러(77)에 의해 롤(71)로부터 포장지(72)가 인출되어 포장지 가이드(123)로부터 포장지(72) 내에 약제가 투입되고, 상단부 개구가 개방된 포장지(72)는 포장지 정형판(14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형부(142A)에 의해 개구가 좁혀져 소정 폭에 폐쇄된다(도16). 이 때, 정형부(142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절반 접힌 포장지(72)의 바닥부측을 확대 개방되어 있으므로, 다량의 약제가 투입된 포장지(72)라도 용이하게 열밀봉 헤드(76)측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143)의 일측은 한 쪽 히터(30)보다 소정 치수 다른 쪽 히터(29)측으로 돌출하고 있을 뿐이므로 포장지(72)에 접촉하지 않거나 혹은 약간 접촉하는 정도이고, 포장지(72)의 진행이 방해되지 않는다.
그리고, 양 히터(29, 30)가 폐쇄되어, 이에 의해 포장지(72)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열용착하게 되지만, 이동 부재(143)의 다른 측을 한 쪽 히터(30)보다 소정 치수 다른 쪽 히터(29)측으로 돌출시키고 있으므로, 포장지(72)의 개구는 이동 부재(143)에 의해 다른 쪽 히터(29)의 접촉면[히터(30)와의 접촉면. 가열면)]보다 더 안쪽까지 판 스프링(144)의 탄성 압력으로 압박된다. 이에 의해, 포장지(72)의 개구는 다른 쪽 히터(29)의 접촉면에 압박된다. 따라서, 포장지(72)의 개구부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개구부에 이완이 생긴 경우라도, 이동 부재(143)로 포장지(72)를 판 스프링(144)의 탄성 압력으로 다른 쪽 히터(29)의 접촉면보다 안쪽에 압박하여 이완을 흡수할 수 있다(도 17). 이에 의해, 포장지(72)를 열용착했을 때 개구부(열용착부)에 생기는 주름이나 이완을 열용착하는 이전에 연장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1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약제 공급 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포장지 가이드(123)의 협폭부(122) 하단 근방에는 포장지 정형판(140)을 설치하고 있지 않다. 다른 것은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약제 공급 장치(1)는, 전술한 약제 공급 장치(1)로부터 포장지 정형판(140)을 제거한 것으로, 포장지(72)의 상단부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는 장력 부여 수단만 마련하고 있다. 이 경우도 롤러(77)에 의해 롤(71)로부터 포장지(72)가 인출되고, 포장지 가이드(123)로부터 포장지(72) 내에 약제가투입되어 상단부 개구가 개방된 포장지(72)는 양 히터(29, 30)가 폐쇄되면 이동 부재(143)로 전술한 바와 같은 포장지(72)의 개구는 다른 쪽 히터(29)의 접촉면보다 더 안쪽에 판 스프링(144)의 탄성 압력으로 압박된다.
이에 의해, 포장지(72)의 개구는 다른 쪽 히터(29)의 접촉면에 압박되므로, 포장지(72)의 개구부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개구부에 이완이 생긴 경우라도, 이동 부재(143)로 포장지(72)를 판 스프링(144)의 탄성 압력으로 다른 쪽 히터(29)면보다 히터(30)의 이격측에 압박하여 이완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지(72)를 열용착했을 때 개구부(열용착부)에 생기는 주름이나 이완을 열용착하기 이전에 연장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프린터(73)에 대해 설명한다. 프린터(73)는 잉크 리본(91)을 이용한 열전사식의 프린터이며,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라의 잉크 리본(91)에 압박판(92)으로 포장지(72)를 압박하고, 열전사 헤드(93)에 의해 포장지(72) 표면에 소정의 인쇄를 한다.
또한, 부호 94는 프린터(73)의 개폐 덮개이다. 또, 잉크 리본(91) 및 포장지(72)의 진행 방향은 도면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다. 또, 도면 중 부호 134는 프린터(73)의 잉크 리본(91)의 공급측 보빈이며, 부호 136은 잉크 리본(91)의 권취측 보빈이다. 또, 부호 137, 138은 잉크 리본(91)을 열전사 헤드(93)에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핀이다. 잉크 리본(91)의 공급측(91A)은 상기 공급측 보빈(134)에 부착되고, 권취측(91B)은 권취측 보빈(136)에 부착된다. 그리고, 가이드 핀(137), 열전사 헤드(93) 및 가이드 핀(138)에 잉크 리본(91)이 차례로 걸쳐져 있다(도20).
이상의 구성으로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전원 투입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각 개폐판(53, 53)은 폐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부 구조체(7A)의 케이스 수납부(8) 내에는, 각각 소정의 약제가 수납된 상기 정제 케이스(3 …)가 부착된 선반(2 …)이 전술한 바와 같이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작업자가 의사의 처방전을 기초로 하여, 상기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처방 데이터를 입력하면, 약제 공급 장치(1)의 제어 장치는 상기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지정된 약제가 수납된 정제 케이스(3)를 특정하고, 그 드럼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배출 드럼을 회전시켜 약제를 1개씩 배출한다. 이 때 배출된 약제는, 상기 약제 검출 센서로 검출되어 카운트된다. 그리고, 소정량이 배출된 단계에서 드럼 모터를 정지한다. 배출된 약제는 정제 케이스(3)의 배출 슈트로부터 통로(9)에 의해 구성되는 슈트(32) 내에 들어가, 개폐판(53)에 일시에 받아내어진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개폐판(53)을 개방하여 약제를 호퍼(54) 내에 낙하시킨다. 호퍼(54)에 낙하한 약제는 하단부 개구(54A)로부터 나와 노즐(74) 내에 들어가고, 도10과 같이 폐쇄되어 있는 셔터(126)의 제1 셔터판(128) 상에 받아내어진다. 다음에 제어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수단에 의해 제1 셔터판(128)을 개방하고, 포장지 가이드(123) 내를 통과시켜 약제를 포장지(72) 내에 투입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기(13)로 포장한 후, 취출구(82)보다 외부로 송출하는 것이다. 이 때, 개폐판(53)으로부터 호퍼(54)에 약제가 낙하한 시점에서 다음 약제의 배출을 실행함으로써, 제어 장치는 포장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한다. 또한,포장하는 약제에 관한 전술한 인쇄는 약제를 투입하기 이전에 프린터(73)에 의해 행해 두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장력 부여 수단을 판 스프링(144)과 이동 부재(143)로 구성하였지만, 장력 부여 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 부재(143)만이라도 지장이 없다. 이 경우, 이동 부재(143)의 다른 측을 한 쪽 히터(30)보다 소정 거리 다른 쪽 히터(29)측으로 돌출시킨 한 상태에서 한 쪽 히터(30)에 나사 고정한다. 이에 의해, 포장지(72)의 개구는 다른 쪽 히터(29) 방향으로 압박되므로, 포장지(72)의 개구부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개구부에 이완이 생긴 경우라도, 이동 부재(143)로 포장지(72)를 다른 쪽 히터(29)면보다 히터(30)의 이격측에 압박하여 이완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장력 부여 수단은 스프링성을 갖는 탄성 부재만이라도 지장이 없다. 이 경우, 탄성 부재의 일측을 판 스프링(144)과 같은 한 쪽 히터(30)에 나사 고정하고, 다른 측을 이동 부재(143)의 다른 측 위치까지 형성하면, 포장지(72)를 판 스프링(144)의 탄성 압력으로 다른 쪽 히터(29)면보다 히터(30)의 이격측으로 압박하여 이완을 흡수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를 수납하는 정제 케이스로 배출된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정제 케이스로 배출된 약제를 방출하기 위한 노즐과, 이 노즐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 내의 약제 낙하 통로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셔터는 노즐 내를 폐쇄할 수 있는 치수를 가지며 회전되는 제1 셔터판과, 이 제1 셔터판의 선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셔터판과, 제1 셔터판이 개방되는 최종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판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제2 셔터판을 요동 회전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구비하고, 제1 셔터판이 개방된 시점에서 제2 셔터판 선단부는 약제 낙하 통로의 출구를 좁히는 위치에 있으므로, 제1 셔터판이 개방된 시점에서 약제가 약제 낙하 통로의 출구에 막히는 자세로 낙하해 왔을 때에는, 제2 셔터판의 선단부에 약제를 막히게 하고, 계속해서 제1 셔터판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셔터판은 그것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요동 회전한다. 이 제2 셔터판의 요동 회전에 의해 제2 셔터판의 선단부에 막히게 한 약제를 움직여 자세를 바꿀 수 있다. 이에 의해, 노즐 내에 있어서의 약제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해소하여 원활하게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제1 셔터판이 개방되었을 때, 제2 셔터판의 선단부에 약제를 강제적으로 막히게 하고, 제1 셔터판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제2 셔터판을 제1 셔터판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셔터판의 선단부에 막히게 한 약제를 요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막히게 한 약제의 자세를 매우 용이하게 바꿀 수 있어, 노즐 내에 있어서의 약제 막힘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하여 인출된 포장지 내에 정제 케이스로 배출된 약제를 투입하기 위한 노즐과, 이 노즐로부터 약제가 투입되어 온 포장지의 상단부 개구를 열용착에 의해 밀봉하고, 또한 1포마다 구획하기 위한 열밀봉 수단과, 이 열밀봉 수단에 의해 용착되는 포장지의 상단부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포장지에 장력을 가하는 장력 부여 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포장지의 열용착시에주름이 생겨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포장지의 상단부 개구의 밀봉성을 적절하게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있어서 장력 부여 수단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탄성재에 의해 포장지측에 압박되어 있으므로, 포장지에 필요 이상의 장력이 가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부여한 장력에 의해 포장지가 손상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탄성재를 장력 부여 수단에 의해 포장지측에 압박하고 있으므로, 포장지에 투입된 약제의 크기나 수량이 다르더라도 포장 불량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약제를 수납하는 정제 케이스로 배출된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케이스로 배출된 약제를 방출하기 위한 노즐과, 상기 노즐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 내의 약제 낙하 통로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노즐 내를 폐쇄할 수 있는 치수를 가지며 회전되는 제1 셔터판과, 상기 제1 셔터판의 선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셔터판과, 상기 제1 셔터판이 개방되는 최종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판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기 제2 셔터판을 요동 회전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셔터판이 개방된 시점에서, 상기 제2 셔터판 선부는 상기 약제 낙하 통로의 출구를 좁히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
  2. 약제를 수납하는 정제 케이스와, 상단부가 개방하여 하단부에 접힌 상태에서 롤형으로 권취된 포장지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 케이스로 배출된 약제를 상기 포장지로 포장하는 약제 공급 장치에 있어서,
    연속하여 인출된 상기 포장지 내에, 상기 정제 케이스로 배출된 약제를 투입하기 위한 노즐과,
    상기 노즐로부터 약제가 투입된 상기 포장지의 상단부 개구를 열용착에 의해밀봉하고, 또한 1포마다 구획하기 위한 열밀봉 수단과,
    상기 열밀봉 수단에 의해 용착되는 상기 포장지의 상단부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포장지에 장력을 가하는 장력 부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부여 수단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재에 의해 상기 포장지측에 압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
KR1020030095933A 2002-12-25 2003-12-24 약제 공급 장치 KR101122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74869 2002-12-25
JP2002374889A JP4159349B2 (ja) 2002-12-25 2002-12-25 薬剤供給装置
JPJP-P-2002-00374889 2002-12-25
JP2002374869A JP2004203431A (ja) 2002-12-25 2002-12-25 薬剤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981A true KR20040057981A (ko) 2004-07-02
KR101122965B1 KR101122965B1 (ko) 2012-03-15

Family

ID=3271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933A KR101122965B1 (ko) 2002-12-25 2003-12-24 약제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228988B2 (ko)
KR (1) KR101122965B1 (ko)
CN (1) CN10035273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2024A (zh) * 2016-06-07 2019-04-02 Gra医学有限责任公司 药片分发器,系统和(或)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0355B2 (en) * 2002-09-27 2010-08-10 Sanyo Electric Co., Ltd. Medicine feeding device
JP4544929B2 (ja) * 2004-07-21 2010-09-15 三洋電機株式会社 薬剤供給装置
US20060201962A1 (en) * 2005-03-10 2006-09-14 Cvc Technologies, Inc. Automated capsule counting apparatus
WO2006112075A1 (ja) * 2005-04-08 2006-10-26 Tosho Inc. 薬品類カセット、薬品類払出装置、および薬品類払出システム
KR100591519B1 (ko) * 2005-06-01 2006-06-20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알약 투입 감지장치
JP4802856B2 (ja) * 2006-05-24 2011-10-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供給装置
EP3130324A1 (en) * 2007-10-23 2017-02-15 Yuyama Mfg. Co., Ltd. Drug delivery system, and drug delivery device
US8380346B2 (en) 2008-02-20 2013-02-19 Chundy Group, LLC System and apparatus for item management
US11264124B2 (en) 2008-02-20 2022-03-01 Chudy Group, LLC System and apparatus for item management
CN101712384A (zh) * 2008-09-30 2010-05-26 三洋电机株式会社 药品包装机
KR101529702B1 (ko) * 2008-10-09 2015-06-17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포장유니트 및 이의 포장 제어방법
JP5782309B2 (ja) * 2011-06-30 2015-09-24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薬剤包装装置
CN103158945B (zh) * 2012-09-03 2016-02-03 苏州艾隆科技股份有限公司 点药机
US20150344212A1 (en) * 2014-06-03 2015-12-03 John Melendez Single-use pill dispenser
CA2939591C (en) 2015-08-25 2021-11-09 Chudy Group, LLC Plural-mode automatic medicament packaging system
US10358247B2 (en) 2017-10-27 2019-07-23 Chudy Group, LLC Compartmentalized container loading and management system
CN111063415B (zh) * 2019-12-31 2021-03-26 浙江银信博荣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精准调整颗粒型制剂的输出量的方法、系统、装置及装置的实现方法
CN113506406B (zh) * 2021-07-13 2022-07-15 九州大健康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自助售药机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5918A (en) * 1978-06-01 1981-03-17 Lantech Inc. Collapsible web apparatus
US4653668A (en) * 1980-11-10 1987-03-31 Merck & Co., Inc. Medicament dispensing container
JPH02401U (ko) * 1988-06-14 1990-01-05
JPH0811805A (ja) * 1994-06-30 1996-01-16 Sanyo Electric Co Ltd 錠剤包装装置
JP2933837B2 (ja) * 1994-10-21 1999-08-1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JP2872603B2 (ja) * 1995-01-10 1999-03-17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JP2942769B2 (ja) * 1995-03-02 1999-08-30 正二 湯山 シール装置
JPH09215728A (ja) * 1996-02-07 1997-08-19 Yuyama Seisakusho:Kk 錠剤払出し方法
JPH1033636A (ja) * 1996-05-03 1998-02-10 Yuyama Seisakusho:Kk 薬剤分包装置、薬瓶及び薬剤検査方法
JP3524680B2 (ja) * 1996-06-26 2004-05-1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US5829632A (en) * 1997-02-11 1998-11-03 Gemel Precision Tool Co., Inc. Flexible band pharmaceutical product feeder gate assembly
SE516650C2 (sv) * 1997-11-04 2002-02-05 Sensidos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dosering och dispensering av läkemedel
JP2000103405A (ja) * 1998-09-29 2000-04-11 Sanyo Electric Co Ltd 薬剤供給装置
KR100818846B1 (ko) * 2000-02-16 2008-04-02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약제 공급장치
US6497342B2 (en) * 2000-11-30 2002-12-24 Mckesson Automated Healthcare, Inc. Medicine fee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2024A (zh) * 2016-06-07 2019-04-02 Gra医学有限责任公司 药片分发器,系统和(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34925A1 (en) 2004-07-15
US20070107387A1 (en) 2007-05-17
US7395944B2 (en) 2008-07-08
US7228988B2 (en) 2007-06-12
CN100352734C (zh) 2007-12-05
CN1509942A (zh) 2004-07-07
KR101122965B1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277B1 (ko) 약제 공급 장치
KR101122965B1 (ko) 약제 공급 장치
US7334700B2 (en) Medicine supplying apparatus
KR100979611B1 (ko) 약제 포장 장치
KR20040094427A (ko) 약제 공급 장치
KR20100059644A (ko)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4159349B2 (ja) 薬剤供給装置
JP2004203431A (ja) 薬剤供給装置
JP4958871B2 (ja) 薬剤供給装置
JP3936985B2 (ja) 薬剤供給装置
JP4307044B2 (ja) 薬剤供給装置用インクリボン装着治具
JP3937160B2 (ja) 薬剤供給装置
JP4401064B2 (ja) 薬剤供給装置
JP2004115104A (ja) 薬剤供給装置
JP2003237708A (ja) 薬剤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