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732A -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732A
KR20040055732A KR10-2003-7011428A KR20037011428A KR20040055732A KR 20040055732 A KR20040055732 A KR 20040055732A KR 20037011428 A KR20037011428 A KR 20037011428A KR 20040055732 A KR20040055732 A KR 20040055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recording
inquiry
user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와사키마사히로
이마다마사유키
스에토모도오루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5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73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파일을 소거하거나 보호하는 기록재생 장치가 개시되었다. 이 장치에서, 검출 수단은 기록된 파일의 재생종료를 검출한다.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파일의 종료를 검출하는 경우에, 문의 발행 수단은 상기 파일을 소거해야할지에 관한 문의를 유저에게 행한다. 유저가 소거를 지시하는 경우에, 소거 수단은 단지 상기 파일을 소거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유저는 파일을 용이하게 소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종래에, 가정에서 TV 방송을 기록재생하는 장치로서 테이프 미디어를 사용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가 대표적이었다. 최근에, 광학 디스크 및 하드디스크와 같은 디스크 미디어를 사용하는 DVD 레코더 및 하드디스크 레코더가 급속히 보급되어 왔다.
디스크 미디어를 사용함으로서, 테이프 미디어에서 행해지는 것과 같은 되감기 작업이 필요없게 되었다. 또한, 디스크 미디어를 사용하여, 기록된 프로그램을 유저가 원하는 순서로 보고 이미 본 프로그램을 소거하는 것등이 가능하게 되었다. 테이프 미디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 장치에서는, 기록완료된 프로그램을 소거하고 다른 프로그램을 겹쳐쓰기하여 실제로 기록완료된 프로그램을 소거하기 위해 유용한 기능이 전혀 없었다.
디스크 미디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 장치에서,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는 각각 파일 단위로 관리되어, 기록완료된 프로그램은 그 파일 관리 정보를 상기 기록완료된 프로그램상에 겹쳐쓰기함으로써 소거될 수 있다. 기록재생 장치는 2개의유형으로 구별되는데, 하나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하나의 파일로서 관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하나의 파일로서 관리하는 것(예를 들어, DVD-RAM 미디어를 사용하는 DVD 레코더)이다. 그러나, 후자의 유형에서, 예를 들어, 어디로부터 프로그램이 하나의 파일내에 기록되었는지등, 하나의 프로그램이 하나의 파일내에 하나의 파일로서 관리되는 경우와 동등하게 관리된다. 따라서, 하기 설명에서, 2개의 관리 유형에 관계없이, 디스크 미디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 장치가 하나의 프로그램을 하나의 파일로서 관리하는 경우와 같이 종래의 기록재생 장치를 설명할 것이다. 용어 "프로그램" 및 "파일"은 그 사이에 특정 구별없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을 것이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장면을 설명하는 관계에 있어서, 용어 "기록" 및 "녹화"가 특정 구별없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먼저, 디스크 미디어내에 기록된 파일을 소거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리모크 컨트롤러와 같은 조작 수단에 포함된, 네비게이션 버튼을 누른다. 아래에 설명된 다른 버튼이 또한 조작 수단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 버튼을 누른면, 기록완료된 프로그램의 타이틀 일람 화면 S1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고, 그중에 "소거를 원하는 프로그램"을 커서 버튼으로 선택한 후에 결정 버튼을 누른다. 예를 들어, 제2 위치에 기록된 프로그램 "애니메이션"을 소거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프로그램 "애니메이션"을 선택하기 위해 커서 버튼을 1회 누른 후에, 결정 버튼을 누른다. 그다음, 메뉴 M1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 경우에, 상부로부터 카운트하여 제3 메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커서 버튼(아래 버튼)을 2회 누른 후에, 결정 버튼을 누른다.
버튼을 누르면, 파일을 소거할지에 대한 문의를 행하는 다이얼로그를 표시한다. 통상의 경우에, 실수로 파일을 소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서는 "아니오"를 선택하는 상황에 있다. 따라서, "예"를 선택하기 위해 커서를 더 누른 후에 결정 버튼을 누른다.
이러한 예에서, 프로그램을 소거하기 위해,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을 총 8회(네이게이션 버튼 1회 → 커서 버튼 1회 → 결정 버튼 1회 → 커서 버튼 2회 → 결정 버튼 1회 → 커서 버튼 1회 → 결정 버튼 1회)를 누른다.
음성 데이터의 소거에 대해, 예를 들어, 일본 미심사된 특허 공개 제 2001-67838호 또는 일본 미심사 특허 공개 제 2002-162997호에 설명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테이프 미디어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이 보존되는 경우에, 테이프 미디어 커버의 안전 러그를 파괴함으로써 새로운 쓰기가 금지된다. DVD-RAM의 커버에 유사한 러그가 제공되어 모든 미디어는 새로운 쓰기가 금지될 수 있다. 그러나, DVD-RW 및 하드디스크에서는, 쓰기금지를 위한 이러한 방법 어떤 것도 채용될 수 없다. DVD-RW를 포함하는 디스크 미디어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쓰기 금지(이후로는 "보호"라고 부른다)가 가능하도록 연구되었다.
보호의 설정은 소거와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파일 단위로 행해질 수 있다. 즉, 타이틀 일람 화면 S1를 표시하기 위해 네비게이션 버튼을 누르고 "보호하기를 원하는 파일"을 커서 버튼으로 선택한 후에 결정 버튼을 누른다. 조작에 있어서,메뉴 M1이 표시되면, 그중에서 "잠금"을 커서 버튼으로 선택한 후에, 결정 버튼을 누른다. 그다음, 다이얼로그가 파일을 보호할지에 관한 문의를 행할 때, 커서가 "아니오"를 선택하는 상황에 있기 때문에 "예"를 선택하는 상황에 커서가 있도록 커서를 더 누른 후, 결정 버튼을 누른다. 이러한 방법으로, 흥미의 파일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종래 기록재생 장치에서는, 프로그램을 소거하거나 프로그램을 보호하기 위해 유저가 과다한 수순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거 전용 버튼으로 불리는 소거 버튼이 제공되어 소거하기를 원하는 타이틀을 선택한 후, 소거 버튼으로 누를 때, 파일을 소거할지에 관한 문의를 행하는 다이얼로그를 표시하는 기록재생 장치가 고안되었다. 이러한 기록재생 장치에 따르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 M1에서 "소거"가 선택되는 수순이 생략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보호 전용 버튼으로 불리는 잠금 버튼이 제공되고 보호하기를 원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이 선택된 후에 이 잠금 버튼으로 누를 때, 파일을 보호할지에 관한 문의를 행하는 다이얼로그를 표시하는 기록재생 장치가 또한 고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경우에서조차, 프로그램을 소거하거나 보호하기 위해 과다한 수순이 여전히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문제는 이러한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완전히 해결되었다고 말하기 곤란하다. 또한, 상기 특허 공개 공보에 설명된 발명을 채용하면, 재생종료시에 소거를 위해 과다한 수순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DVD 레코더와 같은 디스크 미디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 장치에서, 프로그램을 소거할 기회는 증가한다. 이것은 뉴스 및 스포츠의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동안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추적 재생의 기능이 DVD 레코더 또는 하드디스크 레코더에서 잘 사용되기 때문이다. 뉴스 또는 스포츠와 같이 즉시성이 강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일단 시청하고 나면, 제한된 용량의 디스크 미디어가 이미 시청한 이 프로그램을 보전하는 것보다는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다른 프로그램을 새로운 프로그램에 기록하도록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추적 재생은 유저에 의해 이미 시청된 프로그램 거의 모두를 소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프로그램을 소거할 기회가 증가하면, 상기 문제는 보다 중대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동영상, 음성등을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1b,1c는 파일 소거의 종래 수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서 기록재생 장치의 개략 기능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파일의 재생종료시의 순서도,
도 4는 종래기술에서 파일의 재생종료시의 순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서 파일의 재생종료시 디스플레이되는 다이얼로그(D)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파일의 재생종료시의 순서도,
도 7는 제3 실시예에서 기록재생 장치의 개략 기능 블록도,
도 8은 제4 실시예에서 기록재생 장치의 개략 기능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녹화 예약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및
도 10은 제5 실시예에서 기록재생 장치의 개략 기능 블록도.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에서의 상기와 문제점에 기초하여 제안되었고, 파일의 소거 및 보호를 단순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행할 수 잇는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기록재생 장치에서, 검출 수단은 기록된 파일의 재생종료를 검출한다. 문의 발행 수단은 검출 수단이 파일의 재생종료를 검출하는 경우에, 파일의 소거에 관한 문의를 유저에게 행한다. 소거 수단은 유저가 문의에 대한 소거를 지시하는 경우에 파일을 소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유저는 문의에 대하여 지시를 내리기만 하면 되고 그래서 파일의 소거를 단순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변경 수단은 또한 문의의 수순, 표시 방법 및 내용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문의 수순의 변경에서, 통상적인 문의가 행해지는 동안엔, 문의가 행해지지 않는 것이 포함된다.
변경 수단은 예를 들어, 파일의 재생이 추적 재생인지의 여부, 재생된 파일과 관련된 다른 파일이 소거되었는지의 여부, 또는 재생된 파일과 관련된 편집 조작의 내용에 기초하여 문의의 형태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문의의 형태가 재생된 파일이 소거될 가능성에 따라 변경되기 때문에, 또한 유저는 단순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파일을 소거할 수 있고, 더욱이, 실수로 파일을 잘못 소거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고 유저가 필요없이 문의에 응답하는 기회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변경 수단은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내의 빈 용량에 기초하여 문의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기록매체의 빈 용량이 충분히 유용한 경우에, 파일을 소거할 필요성은 보다 감소해진다. 따라서, 변경이 이 기록매체내의 빈 용량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경우에, 소거에 관한 문의는 필요가 높을 때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유저가 파일의 기록을 예약할 때, 기록재생 장치가 이 파일의 재생종료시에 처분의 내용을 설정하도록 조작가능한 예약 시간 처분 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에, 변경 수단은 처분의 내용에 기초하여 문의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유저는 예약시에 문의등의 필요성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검출 수단이 파일의 재생종료를 검출하지 못한다 할지라도 문의 발행 수단이 문의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유저는 그가 의도하는 경우에 파일의 처분을 단순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문의 발행 수단은 파일의 소거에 관한 문의 대신에 파일의 보호에 관한 문의를 행할 수 있다. 보호 수단은 유저가 문의에 응답하여 유저가 파일을 보호하도록 지시하는 경우에 이 파일을 보호하기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파일의 보호가 단순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기록재생 장치는 일정 문의에 대하여 파일 소거 지시가 유저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 기록된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파일의 소거예정을 나타내는 소거 예정 정보를 파일 관리 정보에 추가하는 수단; 및 소거 예정 정보가 설정된 파일을 일람에 표시할지를 제어하는 화상 출력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소거 예정 정보가 설정된 파일이 화상 출력 처리 수단의 제어하에 일람내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 파일은 유저가 볼 때 외관상 소거되어 있다. 파일의 실제 소거는 약간 시간이 지난 다음에 행해질 수 있기 때문에, 유저가 실수로 파일을 소거하였다면 부활시킬 수 있다. 파일이 부활된 경우, 소거 예정 설정된 파일만이 일람등에 표시되고, 유저는 그 파일을 일람내에서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화상 출력 처리 수단에 의해 아무런 제어도 행해지지 않은 다른 기기에서, 소거 예정 정보가 설정된 파일이 또한 표시되어, 기기내의 파일의 처리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기록재생 장치는 소거의 우선순위 및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내의 빈 용량에 기초하여 소거 예정 정보가 설정된 파일을 소거하는 소거 수단을구비할 수 있다.
소거 수단의 제공으로, 외관상으로 소거되었지만 실제로는 아직 소거되지 않은 파일을 필요할 때 소거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일의 부활의 충분한 가능성은 기록매체의 제한된 용량의 범위내에서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또한 기록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기록재생 방법에서, 기록된 파일의 재생종료를 검출하는 수순이 행해진 후에, 이 파일의 재생종료가 검출된 경우에, 이 파일의 소거에 관한 문의를 유저에게 행하는 수순이 행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당초 기록재생 장치로서 아무런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본래의 기기 및 컴퓨터가 기록재생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은 인터넷과 같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서 유통되고 CD-ROM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내에 기록되는 상태로 유통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상 모드
아래에, 도면을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실시예에서 기록재생 장치(10)의 개략 기능 블록도이고 상기 장치의 구성을 동작과 함께 설명할 것이다. 아래의 설명에서, 프로그램이 기록유닛(12)에 의해 디스크 미디어(이후로, 단순히 "미디어"로 부른다)(13)내에 파일 형식으로 기록되는 상황을 상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유저가 리모트 컨트롤러등과 같은 동작 유닛(11)을 사용하여,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도록 명령을 내릴 때, 이러한 명령을 수신한 재생 유닛(14)은 미디어(13)상의 특정 위치에 기록된 파일 관리 정보를 판독하여 목적의 파일이 미디어(13)상의 어떤 위치로부터 기록되어 있는지를 조사한다. 목적의 파일이 기록된 위치가 발견되었을 때, 이 위치로부터 데이터의 판독이 개시되고 판독된 데이터는 화면 출력 처리 유닛(16)으로 전송된다(도 3의 스텝 S41).
기록재생 장치(10)가 DVD 레코더 또는 하드디스크 레코더인 경우에, 미디어(13)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는 MPEG(2) 방식으로 압축되어서, MPEG(2)를 경유하여 데이터를 전개시킬 필요가 있지만, 이러한 기술은 본 발명에 아무런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여기에서 이에 대해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미디어(13)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프로세싱은 동작 유닛(11)내에 포함된 정지 버튼등을 유저가 누름으로써 재생 중단이 지시될 때까지 또는 판독 위치가 파일의 종료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도 3, 스텝 S42에서의 YES 또는 스텝 S43에서의 YES인 경우). 판독 위치가 파일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파일의 종료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종래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독 위치가 파일의 종료에 도달할 때 재생을 정지하였다(도 4, 스텝 S31 → S32: NO인 경우 → S33: YES인 경우 → S34). 재생이 종료되었을 때 스크린상에 아무런 이미지도 표시하지 않는 대신에 대기 화면을 계속하여 표시하는 기록재생 장치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기 화면은 재생과 상이한 동작이 개시될 때까지 스크린 상에 머문다. 재생된 파일을 소거하기 위하여, 유저는 도 1을 사용하여 이미 설명된 수순을 따라야 한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의 기록재생 장치(10)는 판독 위치가 파일의 종료에 도달하였다는 것이 검지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파일을 소거할까요?"라고 말하는 메시지등을 다이얼로그(D)상에 표시함으로써 재생된 후의 파일이 소거될 지에 대하여 유저에게 문의하게 된다(도 6, 스텝 S44 → S45).
판독 위치가 파일의 종료에 도달하거나 파일의 재생 종료를 검출하는 유닛은 재생 유닛(14) 또는 재생 유닛(14)과 상이한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다이얼로그(D)를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문의하는 유닛은 화면 출력 처리 유닛(16)또는 화면 출력 처리 유닛(16)과 상이한 유닛일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다이얼로그(D)가 표시될 때, 유저는 동작 유닛(11)내에 포함된 커서 키 및 결정 키를 사용함으로써, 파일을 소거하기를 원한다면 "예"를 또는 소거를 원치 않으면 "아니오"를 선택한다. "예"가 선택되었다는 것이 검지되면 소거 수단(15)은 재생된 바로 다음에 파일을 소거한다(도 3, 스텝 S46에서 YES이면 → S47).
이로부터 소거이후의 처리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프로세스는 화면 정지 상태에 있거나 타이틀 일람 화면(S1)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것은 "아니오" 이후의 처리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도 3, 스텝 S47에서 YES이면 → S48: 스텝 S46에서 NO이면 → S48).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기록재생 장치(10)는 재생이 종료될 때 유저에게 파일의 소거에 관련된 문의를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녹화가 완료된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조작하고, "소거하기를 원하는 프로그램"을 커서 버튼으로 선택한 후, 결정 버튼을 눌러, 메뉴 M1이 결정 버튼을 눌러 디스플레이될 때, "소거"가 커서 버튼으로 선택된 후 결정 버튼을 누르는 번거로운 조작을 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유저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알고난 후에 파일을 소거해야할 지를 판단하기 때문에, 실수로, 보존해야할 프로그램을 소거하는 불편을 회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재생이 종료될 때 파일의 소거에 관한 문의를 하는 기능의 유효 또는 무효가 조작 유닛(11) 및 설정 유닛(17)으로 유저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설정 수단(17)은 화면 출력 처리 수단(16)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설정 항목에 대해 조작 유닛(11)을 사용하여 유저에 의해 설명된 내용을 관리한다. 기록재생 장치(10)는 설정 내용에 기초하여 파일의 소거에 관련된 문의를 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거나 다른 조작을 행한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기능은 부주의한 파일의 소거를 방지하기 위해 초기 출하 단계에서 무효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외에, 조작에 보다 익숙해져 많은 수순으로 인한 불만족이 유저에게 발생할 때, 유저 자신이 상기 기능을 유효로 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 파일 재생의 종료가 검출될 때 파일 소거에 관한 문의가 있게 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와 같이, 판독 위치가 파일의 종료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도 유저가 파일의 소거를 원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의 본편의 종료후에 광고방송이 기록되는 경우에, 유저는 유저가 광고방송을 본 후에 파일을 소거하는 것보다는 프로그램의 본편이 종료된 즉시 파일의 소거를 원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하드디스크 레코더와 같은 대용량을 갖는 미디어(13)를 갖는 기록재생 장치(10)가 실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면, 나중에 보기를 원하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다수의 프로그램을 무조건적으로 기록한 후에, 이 기록된 프로그램중에서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보는 사용형태가 예상된다. 이러한 사용형태를 채용하는 경우에, 프로그램을 약간 본 후에, 흥미의 상실로 인해 시청을 이후에 중단하는 경우가 또한 예상된다.
이러한 경우에서와 같이, 프로그램의 종료에 도달하는 일 없이 유저가 파일의 소거를 원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파일의 재생 동안 "소거" 버튼을 1회 누르거나 "정지" 버튼을 2회 유저가 누름과 같은 유저의 특정 조작에 의해 프로그램을 종료할 것을 명백하게 지시하는 경우, 파일의 종료가 검출될 때 파일 소거에 관한 문의를 하지 않고, 이러한 지시에 대하여 파일 소거와 관련하여 문의할 수 있다.
특정 조작의 내용은 미리 기록재생 장치(10)내에 저장되어 있다. 저장 내용은 디폴트 또는 조작수단(11)을 사용하여 유저에 의해 설정된 것과 같은 내용일 수 있다. 조작 수단(11)은 특정 조작이 저장된 내용에 기초하여 실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특정 조작이 실행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아무런 파일 재생의 종료가 검출되지 않았을지라도 문의를 행하게 된다.
또한, 특정 조작에는 조작 대상 및 조작의 실행 횟수뿐만 아니라, 파일의 종료 보다 n 분 또는 n 초 앞서 "정지" 버튼이 눌려졌는지 및 조작 시기등의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방송의 프로그램의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가 나중에 추가되는 경우에, 프로그램의 종료 시점이 신호를 사용하여 판단되고 이 판단된 종료 시점에 도달하였을 때 파일 소거에 관하여 문의할 수 있는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록재생 장치(10)에 따라, 파일은 단순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소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 채용되는 경우에, 보존해야할 파일을 실수로 소거하였을 경우의 대응책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본 실시예의 부분만을 아래에 설명할 것이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 파일의 소거에 대한 요구가 있을 때, 요구의 파일에 대한 정보가 파일 관리 정보로부터 소거되어 파일 소거를 실현하게 된다. 즉, 파일의 데이터 자체는 미디어(13)상에 남아 있는 동안에, 이 데이터는 파일 관리 정보내에 미사용으로서(사실상, 소거된 것과 유사한 상태로) 취급되어, 영역은 다음 기록에서 겹쳐쓰기 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소거 수단(15)은 파일소거에 대한 필요가 발생할 때 파일 관리 정보에 소거 예정을 의미하는 정보(이후에, "소거 예정 정보"라고 부른다)를 추가한다.
소거가 예정된 파일이 파일관리 정보로부터 소거되지 않았기 때문에, 데이터 섹션이 겹쳐쓰기될 기회가 없다. 또한, 화상 출력 처리 수단(16)이 소거가 타이틀 일람 화상(S1)에 예정된 파일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의 수순으로 재생할 수 없다. 즉, 소거가 예정된 파일은 유저의 입장에서 종래 수법에 따라 소거된 것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 장치(10)에는 소거가 예정된 파일만을 일람 표시하는 기능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화상 출력 처리 수단(16)은 소거가 일람에 예정되어 있는 파일만을 표시 제어하게 된다. 그다음, 소거 예정 파일 일람 화면을 본 유저가 파일 부활을 지시할 때, 소거 수단(15)은 파일의 소거 예정 정보를 삭제한다. 소거예정 정보가 삭제된 파일은 통상 파일과 동일하기 때문에 파일의부활이 실제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당연히, 본 실시예에 따라, 파일이 소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존해야 하지만 실수로 소거된 파일을 부활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았지만, 파일이 기록된 미디어(13)의 빈 용량이 감소한다면, 소거 수단(15)은 통상 파일보다 높은 우선순위로 소거 예정된 파일을 소거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소거가 예정된 파일의 크기는 미디어(13)의 빈 용량에 포함되지 않는다.
소거가 예정된 복수의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 파일을 어떠한 기준으로 소거할지(소거의 우선순위)를 (녹화 개시 시간, 녹화 종료 시간, 녹화 모드등과 같은)녹화예약에 지정된 항목에 기초하여 결정하기만 한다. 이러한 정보를 참조함으로서, 어느 만큼의 빈 용량이 확보될 필요가 있는지가 판단될 수 있다.
소거 예정 시간(이후로, "소거 시간 정보"로 부른다)이 표시된 정보가 파일관리 정보에 추가되고, 다른 것보다 먼저 파일이 기록된 시점으로부터 일정기간이 경과한 순서대로 파일의 소거가 실행되는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오래된 소거 예정을 가지고 있는 파일이 먼저 소거되는 순으로 파일의 소거가 실행되어, 기록되는 동안 기록에 필요한 디스크 용량 또는 일정 디스크 용량이 확보되도록 하는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큰 파일 또는 필요한 디스크 용량에 가장 가까운 크기를 갖는 파일이 소거를 위해 검색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녹화를 위해 필요한 디스크 용량이 확보될 수 없을 때, 소거가 예정된 모든 파일을 소거하는 구성이 합리적이다. 이와 같이 하여, 소거가 예정된 파일이 추후에 무제한 기간 동안 미디어(13)에 존재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는다.
소거 시간은 년, 월, 일 및 시간 모두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월 및 일만이 포함될 수 있거나 소거 시간은 기록재생 장치(10)의 시스템내에 제공된 타이머의 값일 수 있다.
또한, 소거가 예정된 파일은 미디어(13)가 교환될 때 또는 기록재생 장치(10)의 전원이 턴오프 또는 턴온될 때 소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소거 예정 정보는 미디어(13)에 기록될 필요가 없고 기록재생 장치(10)의 메모리에만 보존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소거예정된 파일이 검색될 수 있는 기간이 소거 예정을 지시한 유저가 파악할 수 있는 기간이라면, 유저가 소거된 것으로 잘못 판단하였던 파일을 타인이 부활시켜 참조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기술과 유사한 기술로서, 퍼스널 컴퓨터용의 OS내에 포함된 "휴지통"으로 불리는 유용한 기능이 있다. 휴지통 기능에서, 유저에 의해 소거가 지시된 파일에 대한 관리 정보가 소거될지라도, 관리 정보 데이터 그 자체는 미리 전용의 디렉토리로 이동된다.
즉, 상기 휴지통 기능을 사용할지라도, 소거 지시된 파일은 전용 디렉토리내의 축적된 데이터량이 일정량을 초과하기 전에 유저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채용된 파일 소거/부활 기능은 부활가능하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의 휴지통과 유사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미디어(13)상의 파일이 휴지통 기능에 의해 소거될 때, 아무런 휴지통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퍼스널 컴퓨터는 미디어(13)를 장착한다할지라도 이미 소거된 파일을 볼 수 있도록 하지는 않는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이것은 휴지통 기능에서, 소거가 유저에 의해 지시된 파일상의 관리 정보가 소거되어 그 관리 정보의 데이터 자체가 미리 전용의 디렉토리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당연히, 아무런 휴지통을 지원하지 않는 퍼스널 컴퓨터가 휴지통을 비울 수 없다는 문제가 또한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새로이 소거 예정 정보를 파일 관리 정보에 추가할 뿐만 아니라 파일 관리 정보로부터 소거 예정 정보를 소거함으로써 파일의 부활이 실현되는 구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소거 예정되고 미디어(13)내에 기록된 파일이 본 발명에서 채용된 아무런 파일 소거/부활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DVD 레코더로부터 관찰될 때, 소거예정된 파일은 소거되지 않은 통상 파일로 여겨지게 된다. 따라서, 소거예정된 파일은 이러한 DVD 레코더로부터 또한 소거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채용된 파일 소거/부활 기능은 퍼스널 컴퓨터에 사용된 OS내에 포함된 휴지통 기능은 아니고 차라리 파일의 비표시 기능에 가깝다. 일반적인 범용 퍼스널 컴퓨터용 OS내의 필터로서 확장자 또는 다른 속성을 사용하는 파일의 비표시 기능이 또한 포함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포함된, 디스크가 용량부족할 때 파일을 소거하는 것과 같은 기능이 전혀 제공되지 않는 것이 현 상태이다.
상기 설명에서 아무런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지만, 소거가 실제로 실현될 지 또는 소거 예정에 따라 단지 외부적으로만 실행될 지에 관련하여 파일을 실제로 소거할 때 유저에게 문의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 소거 예정된 파일의 타이틀이 타이틀 일람 화면S1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소거 예정된 파일은 또한, 타이틀 일람 화면S1에 표시될 수 있고, 추가로, 소거 예정의 취소 또한 타이틀 일람 화면 S1을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소거 예정된 파일 및 통상 파일 사이의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거 예정을 표시하는 마크를 소거 예정된 파일의 표시된 파일의 근방에 부착하거나 다른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 장치(10)는 보호 수단(18)을 구비하여 미디어(13)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보호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소거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을 프로그램이 종료에 도달한 것으로 보여진 경우, 파일이 보존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파일의 재생의 종료가 검출되는 경우에, 파일의 보호와 관련된 문의는 파일의 소거와 관련된 문의 대신에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독 위치가 파일의 종료에 도달한 것이 검출될 때, "이 파일을 보호할까요?"와 같은 메시지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로그(D)에 표시된다.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재생직후에 파일을 보호할지에 관하여 문의하게 된다(도 6, 스텝 S51 → S52: S52에서 NO이면 → S53: S53에서 YES이면 → S54 → S55).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판독 위치가 파일의 종료에 도달한 것을검출하는 수단은 재생 수단(14)이거나 재생 수단(14)과 상이한 수단일 수 있다. 또한, 다이어얼로그 D를 표시하는 수단은 화면 출력 처리 수단(16)이거나 화면 출력 처리 수단(16)과 상이한 수단일 수 있다.
다이얼로그(D)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표시될 때, 유저는 조작 수단(11)내에 포함된 커서 키 및 결정 키를 사용하여 파일을 보호하기를 원하면 "예"를 선택하고 파일을 보호하기를 원치 않으면 "아니오"를 선택한다. 그다음, "예"가 선택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보호 수단(18)은 재생직후의 파일을 보호한다(도 6, 스텝 S56: S56에서 YES이면 → S57).
이러한 방식으로 보호가 실행된 후의 처리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처리는 화면 정지 상태에 머물거나 타이틀 일람 화면 S1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것은 "아니오"를 선택한 후의 처리와 유사하다(도 6, 스텝 S57 → S58 또는 S56: S56에서 NO이면 → S58).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 장치에서 파일 보호와 관련된 문의는 재생이 종료할 때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녹화된 프로그램에 대한 타이틀 일람 화면S1을 표시하고, "보호하기를 원하는 프로그램"이 커서 버튼으로 타이틀 화면 S1중에서 선택된 후, 결정 버튼을 눌러, 메뉴 M1이 디스플레이될 때, "잠금"이 메뉴중에 커서 버튼에 의해 선택된 후, 결정 버튼을 누르는 번거로운 조작을 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유저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알고 난 후에 파일을 보호할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실수로, 소거해야 하는 프로그램을 보호하는 불편을 회피할 수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재생이 종료될 때 파일의 보호와 관한 문의를 하는 기능의 유효 또는 무효가 조작 유닛(11) 및 설정 유닛(17)으로 유저에 의해 또한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기능은 부주의한 파일의 소거를 방지하기 위해 초기 출하 단계에서 무효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외에, 조작에 보다 익숙해져 많은 수순으로 인한 불만족이 유저에게 발생할 때, 유저 자신이 상기 기능을 유효로 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 파일 재생의 종료가 검출될 때 파일 보호에 관한 문의가 있게 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와 같이, 판독 위치가 파일의 종료에 도달하지 않을 때조차 유저가 파일의 보호를 원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의 본편의 종료후에 광고방송이 기록되는 경우에, 유저는 유저가 광고방송을 본 후에 파일을 보호하는 것보다는 프로그램의 본편이 종료된 즉시 파일의 보호를 원할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다수의 프로그램이 무조건적으로 녹화되는 사용형태가 채용되는 경우에, 나중에 보기를 원하는 프로그램만이 녹화되지 않고 나중에, 녹화된 프로그램중에서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본다 할지라도, 프로그램은 잠깐동안만 보여지고 흥미가 유저의 마음속에 일어나는 경우에 파일은 보호될 것이 예상된다.
상기 예를 든 것과 같이, 판독 위치가 프로그램의 종료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일지라도 파일을 보호하기를 유저가 원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파일의 재생동안 "보호" 버튼을 1회 누르거나 연속적으로 "정지" 버튼을 2회 유저가 누름과 같은 유저의 특정 조작에 의해 프로그램을 종료할 것을 명백하게 지시하는 경우에, 판독 위치가 파일의 종료를 검출할 때 파일에 관한 문의를 행함이 없이, 파일 보호와 관련된 문의를 유저에게 행할 수 있다.
소거의 경우와 유사하게, 특정 조작은 "정지" 버튼이 파일 종료 보다 n 분 또는 n(여기서 n은 0보다 큰 수) 초 앞서 눌려졌는지와 같은 조작 시간을 한 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방송내의 프로그램의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가 나중에 추가되는 경우에, 프로그램의 종료 시점이 신호를 사용하여 판단되고 파일 보호에 관하여 문의할 수 있는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상기 설명에서, 파일의 재생의 종료가 검출되었을 때, 파일이 소거될 지 또는 보호되어야 할 지에 대한 문의가 행해진다. 파일의 소거 또는 보호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문의의 폼이 존재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문의가 통상적으로 실행되는 경우에서, 문의는 또한 이와는 다른 형태로도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 장치(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경 수단(19)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변경 수단(19)은 문의의 수순, 표시 방법 및 내용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고, 문의 발행 수단(20)은 변경 수단(19)이 문의의 형태를 변경할 때 유저에게 변경된 문의를 행한다.
변경 수단(19)은 예를 들어, 파일의 재생이 추적 재생 또는 통상 재생인지에기초하여 문의의 형태를 변경한다. 또한, 변경 수단은 기록수단(12) 및 재생수단(14) 또는 조작 수단(11)로부터 파일의 재생이 추적 재생 또는 통상 재생인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문의 발행 수단(20)은 추적 재생의 경우에만 소거에 관한 문의를 행한다. 통상 재생의 경우에는, 문의 발행 수단(20)은 변경 수단(19)으로 문의의 수순을 변경함으로써 소거에 관한 문의를 행하지 않는다.
문의 수순의 변경은 이러한 방식으로 행해지거나 추적 재생의 경우에, 즉, 파일의 소거의 가능성이 높을 때에만 문의가 행해진다. 따라서, 소거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유저는 단순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파일을 소거할 수 있고, 파일의 소거의 가능성이 낮은 경우에는 유저가 문의에 응답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변경 수단(19)은 재생된 프로그램에 관련된 다른 프로그램이 소거되었는지 또는 보호되었는지에 기초하여 문의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프로그램이 연속 프로그램의 일부인 경우에, 연속 프로그램의 다른 프로그램이 재생되는 프로그램과 관련되어 있다. 장르 또는 키워드가 공통이거나 유사한 프로그램은 상호 관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문의 발행 수단(20)은 다른 프로그램의 화일이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프로그램이 기록되었거나 또는 소거되었으면, 소거에 관한 문의를 일회 행한다. 한편, 다른 프로그램의 파일이 소거되었다면, 변경 수단(19)은 문의의 수순 및 내용을 변경한다. 그래서, 문의 발행 수단(20)은 소거에 관한 문의를 행한 후에 재확인에 관한 문의를 행한다.
이것은 재생된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다른 파일이 어느 것도 소거되지 않았을 경우에, 재생된 프로그램은 소거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변경 수단(19)은 매주 방송되는 연속 프로그램중 하나가 재생될 때, 그 다른 프로그램을 미디어(13)내에 기록된 데이터의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다. 관리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시간대, 방송요일등의 정보를 모든 프로그램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변경 수단(19)은 다른 프로그램과 일치하는 3개의 정보를 각각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이 있는지를 확인하기만 한다. 방송 프로그램의 시리즈 식별자, 키워드, 장르등이 또한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정보들이 프로그램 기록시 관리 정보에 추가되는 경우에, 변경 수단(19)은 또한 키워드 또는 장르를 이용하여 시리즈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흥미 시간에만 기록된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 정보가 미디어(13)에 남아 있을 때, 변경 수단(19)은, 다른 프로그램이 한번이라도 기록되지 않았을 경우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기록된 후에 소거된 경우로부터 다른 프로그램이 소거되지 않은 경우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프로그램이 한번이라도 기록되지 않은 경우가, 다른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기록된 후에 소거된 경우로부터 구별될 필요가 있을 때, 예를 들어, 관리 정보는 프로그램의 본체 데이터가 소거되었을 지라도 관리정보가 남아있기만 하면 된다.
변경 수단(19)이 문의 수순 및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 문의 발행 수단(20)은 파일이 소거되었는지에 관한 문의뿐만 아니라, 제1 문의에 유저가 응답하여 파일이 소거되도록 하는 지시를 내릴 때 파일이 소거되었는지에 관한 제2 문의 또한 유저에게 행한다. 도 5a에 도시된 다이얼로그내의 "이 파일을 소거할까요?"와 같은 문의를 행하고 유저가 이 문의에 대해 "예"의 선택으로 응답하였을지라도, 예를 들어, "지난 주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아직 시청하지 않았습니다. 이 파일을 정말 소거할까요?"와 같은 코멘트를 포함하는 제2 문의를 행한다. 이러한 문의에 대하여, 유저가 "예"를 선택하지 않는다면, 소거 수단(15)은 흥미의 파일을 소거하지 않는다.
유저가 문의에 익숙해진 경우에, 문의의 형태가 여느 때와 동일하다면 여느 때와 같이 유저에 의해 소거 지시가 내려질 위험성이 있다. 문의의 형태를 변경하여 부주의한 소거를 검토하도록 함으로써, 유저의 의도와는 달리 프로그램을 실수로 잘못 소거하는 경우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재생된 프로그램과 연관된 다른 프로그램 파일이 소거되었거나 또는 기록되지 않았다면, 흥미의 프로그램의 재생종료되었을 때 자동 문의가 행해져서 유저는 단순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파일을 소거할 수 있다.
재생된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른 프로그램이 소거되었다면, 재생된 프로그램이 소거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재생된 프로그램과 연관된 다른 프로그램이 소거된 경우에, 변경 수단(19)은 추적 재생의 예에서의 변경과 유사한 방식으로 변경하고,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만, 문의 발행 수단(20)은 소거와 관련된 문의를 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변경 수단(19)으로써 문의의 내용을 변경함으로써, 문의 발행 수단(20)은 다른 프로그램 파일이 소거된 경우에 소거에 관련된 문의를 행할 수 있고, 문의 발행 수단(20)은 다른 프로그램이 소거되지 않은 경우에 보호에 관련된 문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타이틀이 입력되고, 썸네일 화면이 설정되고, 파일의 더빙 및 편집이 행해지는 경우와 같이, 파일이 재생되기 전에 파일과 관련된 특정 편집 조작이 유저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에 파일은 소거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또한, 변경 수단(19)은 재생된 파일과 관련된 편집 조작의 내용에 기초하여 문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변경 수단(19)은 예를 들어, 조작 수단(11)의 출력으로부터 편집 조작의 내용을 취득하고, 미리 기록된 내용과 편집 조작의 내용과의 비교하여 재생된 파일과 관련된 특정 조작이 행해졌는지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특정 조작이 재생된 파일과 관련되어 실행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변경 수단(19)은 문의 형태를 변경하여, 문의를 행한 후, 재생된 파일과 관련된 다른 파일이 소거되지 않은 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재확인을 행한다.
특정 조작이 재생된 프로그램과 관련되어 실행된 경우 및 재생된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른 프로그램 파일이 소거되지 않았을 경우에만 문의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자동 문의를 행하는 일 없이 문의가 행해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수순이 증가하기 때문에, 유저가 소거하지 않으려고 하는 파일을 소거하는 일을 피할 수 있다.
파일이 기록된 미디어(13)의 빈 용량이 충분한 경우에, 파일 소거의 필요성이 작아진다. 따라서, 변경 수단(19)은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의 빈 용량에 기초하여 문의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문의 발행 수단(20)은 파일의 재생이 종료되는 시점에 미디어(13)의 빈 용량이 소정 용량 이하일 경우에만 소거에 관한 문의를행한다. 소정 용량으로서, 디폴트값이 또한 사용될 수 있거나 유저에 의해 설정된 값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변경 수단(19)은 미디어(13)의 빈 용량이 프로그램의 재생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소정 용량보다 큰 경우에 문의의 수순을 변경하여서, 추적 재생의 예와 유사하게, 문의 발행 수단(20)은 소거와 관한 아무런 문의도 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문의에 응답하여 유저가 지시하는 기회 자체가 보다 적어져 유저에 부과된 부담을 경감시키게 된다.
상기 예에서, 문의의 수순 및 내용에서의 변경이 행해지지만, 변경 수단(19)은 문의의 표시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표시 방법에서의 변화는 다이얼로그의 위치, 형상, 색, 다이얼로그의 색 및 라인 폭, 다이얼로그의 점멸표시등을 포함한다. 또한, 문의 수순의 변경은 문의의 수와 더불어 문의의 순서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 재생된 파일을 소거할 지에 대한 문의를 행하고, 또한 다른 파일을 소거할 지에 대한 문의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프로그램의 기록 날짜 및 시간이 일년 이상 이전인 경우에, 프로그램의 재생이 종료하는 시점에 문의에 응답하여 유저가 "소거"를 선택하게 될 때, "일년 이상 이전에 기록된 다른 프로그램을 소거할까?"라고 묻는 문의를 포함하는 다이얼로그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른 파일에 관한 문의를 이러한 방식으로 행함으로써 유저에 부과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소거 또는 보호에 관한 문의에 대하여 "아니오"가 선택된 파일이 미래에 소거되지 않거나 보호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일단 "아니오"가 선택된파일은 "선택완료"를 의미하는 정보를 갖도록 파일관리정보에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하여, 이러한 파일의 종료가 검출된 경우일지라도,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파일 소거 또는 파일 보호에 관하여 아무런 문의도 행해지지 않도록 설정된다.
(제5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예약 설정 화면S2에서 재생종료시에 실행되는 처분의 내용을 설정하는 항목이 추가된다. 여기에서 처분의 대상은 녹화 예약이 행해진 파일이다.
이와 같이 하여, 유저는 파일이 보존되기를 원하면 흥미의 파일의 보호를 설정하고, 한편, 파일이 소거될 것이라면, 파일은 소거(또는 소거 예정)로 설정된다. 녹화 예약시에 처분의 내용을 유저가 결정하지 못한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가 설정되어 이 경우 설정은 소거 및 보호 설정이 아닌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 장치(10)는 예약 시간 처분 설정 수단(21)을 구비하고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설정은 예약시간 처분 설정 수단(21)에 의해 실현된다. 예약 시간 처분 설정 수단(21)은 유저가 파일 기록을 예약하는 경우에 파일 재생의 종료시에 처분의 내용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설정 장소는 녹화예약정보를 보존하는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또는 미디어(13)가 될 수 있다.
재생종료시에 유저가 보호를 지시하는 경우에, 이러한 지시를 받은 예약 시간 처분 설정 수단(21)은 프로그램의 파일 정보에 보호의 설정을 행한다. 당연히,파일 관리 정보에 보호가 설정되는 타이밍은 프로그램의 녹화개시시 또는 녹화종료시일 수 있고 이에 아무런 특정 제한이 없다. 보호가 설정된 프로그램이 프로그램의 종료에까지 재생된 경우에, 파일 소거에 대한 다이얼로그(D)의 아무런 표시도 제4 실시예에서 변경 수단(19)에 의해 표시되지 않았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변경 수단(19)은 설정 처분의 내용에 기초하여 문의의 형태를 변경하여, 유저는 예약시에 문의의 필요성등에 대하여 지시할 수 있다.
한편, 유저가 재생종료시에 소거를 지시하는 경우에, 이러한 지시를 수신한 예약 시간 처분 설정 수단(21)은 프로그램의 파일 관리 정보내에 소거의 설정을 행하게 된다. 당연히, 파일 관리 정보내에 소거가 설정된 타이밍은 프로그램의 녹화개시시 또는 녹화종료시가 될 수 있지만, 타이밍에 아무런 특정 제한이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거가 설정된 프로그램이 프로그램의 종료에까지 재생된 경우에, 파일은 소거될 수 있거나 이 파일에 소거 예정이 설정되어 외관상 소거될 수 있다는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와 같이, 재생종료시에 유저가 "소거 예정"을 지사하는 경우에, 이러한 지시를 수신한 예약 시간 처분 설정 수단(21)은 프로그램의 파일 관리 정보내에 소거 예정을 설정할 수 있다. 당연히, 파일 관리 정보내에 소거 예정을 설정하는 타이밍은 프로그램의 녹화개시시 또는 녹화종료시가 될 수 있지만, 타이밍에 특정 제한은 없다.
녹화 예약이 된 시점에 "소거 예정"가 설정된 파일은 재생의 기회가 전혀 주어지지 않았다 할 지라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거나 디스크가 용량 부족인 경우에소거된다. 이것을 고려할 때, 녹화 예약이 행해진 시점에 "소거 예정"이 행해지는 형태는, 프로그램이 유저가 정말 보기를 원하는 프로그램이 아닌 유저에게 시간이 있을 때 보기를 원하는 프로그램의 경우에, 즉, 재생 요구가 낮은 프로그램이 녹화가 행해진 경우에 유효하고 녹화된 파일의 중요도를 아는데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소거 설정 또는 보호 설정조차 되지 않은 프로그램에 대하여는 프로그램이 프로그램의 종료에까지 재생된 경우에, 파일 소거 또는 보호에 관한 문의를 행하는 다이얼로그(D)가 표시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녹화예약 설정 화면 S2에, 재생종료시에 실행될 처분 내용을 설정하는 항목이 추가된다. 이와 같이 하여, 파일이 소거될지 또는 보호될지에 대한 설정 및 녹화 예약의 설정이 집합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파일 소거 또는 파일 보호의 설정이 녹화 예약이 되는 시점에 행해진다면, 파일은 자동적으로 소거되거나 보호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정 제한이 없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즉, 파일 소거 또는 파일 보호에 관한 문의에 대한 다이얼로그(D)가 표시되고 유저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수순이 채용될 수 있다. 그다음, 유저가 아무 것도 설정하지 않을 경우, 파일 재생이 단순히 종료되고 다이얼로그(D)의 아무런 표시도 표시되지 않는 수순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하나의 항목에 대하여 "소거" "보호" 또는 "아무것도 행하지 않음"에 관하여 선택가능한 형태가 예시되어있지만, 복수의 설정 항목이 만들어질수 있고, 이 항목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당연히, "소거" 및 "보호"의 모두가 선택될 필요가 없다(즉, "소거" 및 "보호"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파일 소거에 관한 문의가 재생종료시에 행해지기 때문에, 파일을 소거하는 수순은 종래와 비교하여 대폭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프로그램의 내용이 유저에게 알려진 후에 파일이 소거되어야 하는지를 유저가 판단하기 때문에, 유저가 실수로 보존해야할 프로그램을 잘못 소거하는 불편함을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일 재생이 추적 재생인지 아닌지와 같이 재생된 파일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문의의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유저가 단순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파일을 소거할 수 있고, 또한 실수로 파일을 소거하는 일을 회피할 수 있고 유저가 필요성이 없는 문의에 대하여 응답하는 기회가 적어질 수 있다.
파일 녹화된 기록매체의 빈 용량에 기초하여 문의의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소거에 관한 문의는 그 필요성이 높을 때 실행될 수 있다.
문의의 형태의 변경이 파일의 기록의 예약시에 설정된 재생의 종료시에 처분의 내용에 기초하여 행해진 경우에, 유저는 예약시에 문의에 대한 필요성을 지시할 수 있다.
특정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파일의 처분은 파일의 재생종료가 검출되지 않았을지라도 문의를 행함으로써 유저가 의도하는 단순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파일 보호에 관한 문의가 재생종료시에 행해지기 때문에, 파일을 보호하는 수순은 종래와 비교하여 대폭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프로그램의 내용을 알고 파일이 보호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기 때문에, 소거되어야 하는 프로그램이 실수로 보호되는 불편을 회피하는 효과가 있다.
파일을 소거하는 지시가 유저로부터 수신된다 할지라도, 실제 소거가 일시적으로 행해지지 않고 파일의 소거가 예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소거 예정 정보가 파일 관린 정보에 추가되고, 또한, 소거 예정 정보가 설정된 파일의 일람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경우에, 유저가 실시로 파일을 소거한다할지라도 파일은 부활할 수 있다. 화상 출력 수단의 제어가 행해지지 않는 다른 기기에서, 소거 예정이 설정된 파일은 또한 표시될 수 있어, 이 기기내의 파일의 처분의 자유도는 또한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소거의 우선순위 및 기록매체의 빈 용량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소거 예정 정보가 설정된 파일을 소거함으로써, 파일의 부활의 충분한 가능성은 기록매체의 제한된 용량의 범위내에서 확보될 수 있다.

Claims (13)

  1. 기록된 파일의 재생종료를 검출하도록 조작가능한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파일의 재생종료를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파일의 소거에 관한 문의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는 문의 발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를 할지의 여부를 포함하는 문의의 수순, 상기 문의의 표시 방법, 및 상기 문의의 내용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조작가능한 변경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재생이 기록중에 파일을 재생하는 추적 재생인지 아닌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변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재생된 파일과 관련된 다른 파일이 소거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변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재생된 파일과 관련된 편집 조작의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내의 빈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유저가 파일의 기록을 예약하는 경우에 상기 파일의 재생종료시에 처분의 내용을 설정하도록 조작가능한 예약 시간 처분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처분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 발행 수단은 특정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상기 검출 수단이 파일의 재생종료를 검출하지 않을지라도 상기 문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 발행 수단은 파일의 소거에 관한 문의 대신에 상기 파일의 보호에 관한 문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에 대하여 파일을 소거하는 지시를 유저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파일의 소거가 예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소거 예정 정보를, 기록된 파일을 관리하는 파일 관리 정보에 추가하도록 조작가능한 수단; 및
    소거 예정 정보가 설정된 파일을 일람에 표시할 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화상 출력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소거의 우선순위 및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의 빈 용량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소거 예정 정보가 설정된 파일을 소거하도록 조작가능한 소거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2. 기록된 파일의 재생종료를 검출하는 수순; 및
    상기 파일의 재생종료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파일의 소거에 관한 문의를 유저에게 행하는 수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13. 컴퓨터가,
    기록된 파일의 재생종료를 검출하도록 조작가능한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파일의 재생종료를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파일의 소거에 관한 문의를 유저에게 행하도록 조작가능한 문의 발행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3-7011428A 2001-12-10 2002-12-09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KR200400557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75735 2001-12-10
JPJP-P-2001-00375735 2001-12-10
PCT/JP2002/012874 WO2003050809A1 (en) 2001-12-10 2002-12-09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732A true KR20040055732A (ko) 2004-06-26

Family

ID=1918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428A KR20040055732A (ko) 2001-12-10 2002-12-09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30108328A1 (ko)
EP (1) EP1451819B1 (ko)
KR (1) KR20040055732A (ko)
CN (1) CN1226734C (ko)
DE (1) DE60222463T2 (ko)
TW (1) TWI252474B (ko)
WO (1) WO200305080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175B1 (ko) * 2004-12-15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녹화물에 대한 타이틀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0692974B1 (ko) * 2006-02-24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락설정 기능을 구비한 영상 및 음향 기록/재생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853039B1 (ko) * 2007-07-09 2008-08-19 안대근 노트북 컴퓨터의 도난 방지 시스템
KR101632832B1 (ko) 2015-02-26 2016-06-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블루투스 통신 및 스마트폰 인증을 이용한 노트북 잠금방법
KR20160103891A (ko) 2015-02-25 2016-09-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노트북 잠금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263B1 (ko) * 2002-06-03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Pvr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925206B1 (ko) * 2003-01-16 2009-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삭제 예정 데이터정보 표시방법
KR20050026655A (ko) * 2003-09-09 2005-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기록 취소가 가능한 광기록재생장치 및 그의 기록취소 방법
WO2005064476A1 (ja) * 2003-12-25 2005-07-14 Sony Corporation 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記録再生方法、情報処理装置、並びにコンテンツ記録再生システム
JP4715100B2 (ja) * 2004-02-24 2011-07-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725827B2 (en) * 2004-08-26 2010-05-25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ne or more recorded media content instances
JP4709657B2 (ja) * 2006-02-20 2011-06-22 株式会社東芝 放送記録装置及び放送記録方法
US8261300B2 (en) * 2006-06-23 2012-09-04 Tiv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vertisement placement in a user dialog on a set-top box
CN103974129B (zh) * 2013-01-28 2017-06-30 赛恩倍吉科技顾问(深圳)有限公司 节目录制装置及方法
CN105630805A (zh) * 2014-10-30 2016-06-0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多媒体文件处理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7566B2 (en) * 1997-10-17 2004-02-24 Sony Corporation Encoded signal characteristic point recording apparatus
US20020054752A1 (en) * 1998-08-07 2002-05-09 Anthony Wood Video data recorder with personal channels
JP2000222863A (ja) * 1999-01-28 2000-08-11 Pioneer Electronic Corp 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CN101242515B (zh) * 1999-03-30 2013-03-13 提维股份有限公司 多媒体节目书签系统和方法
JP4592844B2 (ja) * 1999-08-27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再生方法
US6678463B1 (en) * 2000-08-02 2004-01-13 Opentv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previously broadcast content into program recording
US6985671B2 (en) * 2000-01-20 2006-01-10 Sony Corpor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superimposing method
JP4863540B2 (ja) * 2000-07-31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録画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JP4123327B2 (ja) * 2000-11-28 2008-07-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オーディオ再生機能付きカメ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175B1 (ko) * 2004-12-15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녹화물에 대한 타이틀 결정 방법 및 장치
US7970261B2 (en) 2004-12-15 2011-06-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itle of recorded content
KR100692974B1 (ko) * 2006-02-24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락설정 기능을 구비한 영상 및 음향 기록/재생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853039B1 (ko) * 2007-07-09 2008-08-19 안대근 노트북 컴퓨터의 도난 방지 시스템
KR20160103891A (ko) 2015-02-25 2016-09-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노트북 잠금 제어방법
KR101632832B1 (ko) 2015-02-26 2016-06-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블루투스 통신 및 스마트폰 인증을 이용한 노트북 잠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51819B1 (en) 2007-09-12
TW200301462A (en) 2003-07-01
CN1509472A (zh) 2004-06-30
DE60222463D1 (de) 2007-10-25
WO2003050809A1 (en) 2003-06-19
DE60222463T2 (de) 2008-06-19
TWI252474B (en) 2006-04-01
US20030108328A1 (en) 2003-06-12
EP1451819A1 (en) 2004-09-01
CN1226734C (zh) 200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902B1 (ko) 디지털 저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JP4676043B2 (ja) 録画予約管理装置
KR20040055732A (ko)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JP3894324B2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記録再生方法
KR100641853B1 (ko) 기록장치
JP4133273B2 (ja) 記録再生装置
JP2003289490A (ja) 放送番組記録装置及び放送番組記録方法
JP3905848B2 (ja) 録画中断防止装置
JP2001101793A (ja) 消去選択機能付録画再生装置
JP2002112150A (ja) 記録再生装置
JPH0991927A (ja) 簡単消去vtr
JP2006332740A (ja) 番組記録再生装置
US200900678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recordable discs in a disc library for available recording space
JP2006107571A (ja) 映像音声記録再生装置
JP2006325167A (ja) 記録装置、記憶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318522A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コンテンツ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