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1573A - 탭핑로드 - Google Patents

탭핑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1573A
KR20040051573A KR10-2003-7006931A KR20037006931A KR20040051573A KR 20040051573 A KR20040051573 A KR 20040051573A KR 20037006931 A KR20037006931 A KR 20037006931A KR 20040051573 A KR20040051573 A KR 20040051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valve
gas
tapp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9080B1 (ko
Inventor
구이도 페트루스 요하네스 반데르클라아우프
바트 얀 박스
마리우스 코르스티안 반듀우렌
아리에-마아르텐 파아우베
Original Assignee
하이네켄 테크니컬 서비시스 비.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7724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5157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네켄 테크니컬 서비시스 비. 브이. filed Critical 하이네켄 테크니컬 서비시스 비. 브이.
Publication of KR20040051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31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 B67D1/0832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with two valves disposed concen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41Details
    • B67D1/0848Lock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115Gas pressure storage over or displacement of liquid
    • Y10T137/3127With gas maintenance or application
    • Y10T137/314Unitary mounting for gas pressure inlet and liquid out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 Y10T137/612Tapping a pipe, keg, or apertured tank under pressure
    • Y10T137/613With valved closure or bung
    • Y10T137/6137Longitudinal movement of valve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Lift Valve (AREA)
  • Vacuum Packag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Contact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탭핑로드(2)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음료밸브(16)와 이에 상호작용하는 가스밸브(14) 및 칼라(24)를 갖추고서, 이 칼라에는 상기 음료밸브(16)와 가스밸브(14)를 개방시키기 위한 압력본체(30)를 구비한 연결장치(26)가 고정되되, 상기 압력본체(30)는 음료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통의 내부공간, 특히 탭핑로드의 라이저를 음료분배라인과 유체가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음료채널(50)을 구비하고, 상기 압력본체는 가스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통의 내부공간을 가스공급라인과 유체가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채널(48)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탭핑로드 {Tapping rod}
공지된 탭핑로드에는 칼라를 갖춘 대체로 원통형의 체임버가 구비되는데, 이는 체임버내에 동심으로 뻗는 라이저(riser)의 상단을 갖추고 있다. 음료밸브는 체임버내에 위치된 라이저의 끝내에 구비되는 바, 이는 둥근 컵형상으로 되어 있다. 환형상의 가스밸브는 음료밸브의 상부면상에 동심적으로, 그리고 음료밸브의 길이방향의 외부선단에 접하는 폐쇄위치에 정렬되는 한편, 가스밸브는 라이저의 상단의 바깥으로 플랜지가 형성된 길이방향의 상단에 밀봉가능하게 접하게 된다. 폐쇄위치에 있는 환형상의 가스밸브의 종방향의 외부선단은 칼라의 밑면에서 밸브안착부에 밀봉가능하게 접한다. 라이저에는 가스밸브에 음료밸브를 가압하는 제 1스프링이 구비되는 한편, 라이저와 체임버 사이에는 제 2스프링이 정렬되는 바, 이 제 2스프링은 한쪽이 라이저의 상기 플랜지가 형성된 길이방향의 선단에 접하고, 다른 쪽이체임버의 바닥에서 체결판에 접하게 되어, 가스밸브가 밸브안착부에 눌려져서 음료밸브와 가스밸브 모두 폐쇄된다.
종래의 탭핑로드는 바닥에 인접한 점까지 라이저가 통내로 뻗도록 통의 목부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만일 통이 탭핑설비에 연결, 즉 구멍이 뚫리면, 탭핑헤드는 목부에 압력본체가 압박되는 핸들에 의해 고정된다. 압력본체는 환형상의 가스밸브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이동될 수 있고, 음료밸브가 가스밸브에서 떨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는 제 1압력부를 구비하는 한편, 안착부에서 떨어져 있는 가스밸브를 가압할 수 있는 제 2압력부를 구비하며, 이에 따라 탭핑헤드에 의해 2개의 밸브가 개방될 수 있다.
이 공지된 탭핑헤드는 탭핑장치의 음료라인과 견고하게 연결되는 제 1음료채널을 구비하는 한편, 이 가스채널은 이산화탄소 실린더와 같은 압력가스원과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통에 구멍이 뚫릴 때, 음료는 통에서 음료라인으로 가스채널을 통해 통으로 향하는 가스의 안내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통을 분리하면, 음료는 음료채널에서 가스채널로 흐를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이, 원칙적으로는 적어도 매번 규칙적으로, 예컨대 새로운 통에 구멍이 뚫릴 때마다, 예컨대 바나 레스토랑 등이 닫힌 시간 동안 탭핑장치가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확실하게, 적어도 음료라인과 탭핑헤드가 세척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세척은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시간이 소요되고 환경친화적이 아니다. 이러한 공지된 탭핑로드의 다른 단점은 함께 사용될 탭핑헤드가 적어도 2개의 라인이 서로 연결되어 유지되어 사용할 때와, 통을 교환할 때에는 편리하지 않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호작용하는 음료밸브, 가스밸브 및, 칼라(collar)를 갖춘 탭핑로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탭핑로드는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맥주통(beer kegs)과, 음료 특히 탄산음료용의 용기로 이용된다.
도 1은 폐쇄상태에서 탭핑헤드를 갖춘 통의 목부에 있는 탭핑로드의 상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개방상태에서 도 1의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고정본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서 본 고정본체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고정본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고정본체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본체의 평면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서 본 압력본체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Ⅷ-Ⅷ선에서 본 압력본체의 단면도,
도 9는 탭핑로드의 목부에 수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의단면도,
도 9a는 탭핑로드의 목부에 수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다른 일체형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연결장치의 저면사시도,
도 12는 폐쇄위치에서 평평한 상부를 갖춘 탭핑로드의 일부로서 탭핑헤드의 일부를 구비한 도 10과 도 11의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90°회전된 개방상태에서 도 12의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a 내지 도 14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측면도, 평면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연결장치의 밀봉수단을 도시한 평면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연결장치의 플라스틱부를 나타낸 평면사시도와 저면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플라스틱부를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18은 통의 목부에 위치된 도 14 내지 도 17의 연결장치의 평면사시도,
도 19는 덮는 뚜껑을 갖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평면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설명된 단점을 피하는 한편 장점이 유지되는 서두에서 설명된 형태의 탭핑로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탭핑로드는 청구항 1로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탭핑로드는, 가스밸브 및/또는 음료밸브에 대해 또는 부근의 칼라에 연결장치를 구비한다. 그 다음, 압력본체는 한편으로는 음료밸브와 가스밸브를 개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적어도 연결장치내에서 각 음료채널과, 적어도 사용하는 동안 거기에 연결되는 음료라인 및, 각 가스채널, 바람직하게는 개방된 밸브와 폐쇄된 밸브 모두를 분리하도록 정렬된다. 연결장치는 탭핑로드와 함께 공급되고 제거되는 한편, 탭핑헤드는 단지 가스라인과 연결된다. 사용하는 동안 음료와 탭핑헤드 사이의 접촉이 완전히 없어지도록 음료라인은 연결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는 탭핑헤드가 실제로 세척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더욱이, 그 결과로서 탭핑헤드는 취급하기가 더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탭핑로드에서, 음료밸브와 가스밸브는 저장 및 이송하는 동안 연결장치로 씌워진다. 그 결과, 밸브의 오염이 더 우수하게 방지될 수 있으며, 탭핑로드는 특별한 탭핑헤드, 즉 탭핑라인이 아니라 단지 가스라인을 연결하는 데에 적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급된 제품의 신뢰성은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훨씬 더 보증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단점을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탭핑로드는 청구항 4로 특징지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장치는 대체로 음료채널을 구비하는 고정부재 및 압력본체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는데, 이 음료채널들은 밸브가 개방될 때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음료분배라인이 제 2음료채널과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고, 압력본체와 함께 이동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성취되며, 비교적 전체 높이가 낮은 연결장치가 얻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탭핑로드는 청구항 6으로 특징지어진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음료분배라인은 압력본체와 함꼐 이동될 것이며, 이에 따라 누수율이 더 줄어든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탭핑로드는 청구항 20으로 특징지어진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압력본체로서의 연결장치는 대체로 일체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특히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장치가 얻어지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연결장치 적어도 압력본체는 비교적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조립이 간단한 반면, 이러한 연결장치의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끼워지는 함께 견고하게 연결된 음료분배라인을 제외하고는 조립체가 필요없기 때문에 조립상의 단점이 훨씬 잘 방지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탭핑로드는 청구항 21로 특징지어진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연결장치는 견고하게 끼워진 다음 필요에 따라 연결될 음료분배라인을 제외하고는 다시 일체로 제조될 수 있는 반면, 가스통로와 음료통로를 폐쇄하거나 비울 수 있는 단지 1개의 이동부를 갖추고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밸브조립체가 이용된다. 그 다음, 체결링과 체결판이 폐쇄위치에 있는 밸브본체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동일한 평면내 가까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번거롭지 않고 세척이 간단한 비교적 평평한 상부면이 얻어진다. 여기서 설명된 일체의 연결장치와 조합하여 이는 바람직한데, 이러한 연결장치는 단지 전체 높이가 특별히 낮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탭핑로드를 구비한 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의 조립체와 탭핑헤드에 관한 것으로, 이는 청구항 29로 특징지어진다.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이와 같은 탭핑헤드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통에 구멍이 뚫려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탭핑로드를 갖춘 통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청구항 31로 특징지어진다.
특히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통에 구멍이 뚫려질 수 있는 반면, 통내에서보다는 다른 곳에서 음료와 압력가스의 바람직하지 않은 혼합이 방지된다. 더욱이,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실제로 세척이 필요없게 되므로 사용이 현저히 간단해진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탭핑로드를 갖추어 이용되는 연결장치, 통, 조립체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음료통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청구항 38로 특징지어진다.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통은 간단한 방식으로 충전되고 탭핑로드를 구비하는 반면, 각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예컨대 밀봉수단과 같은 덮개수단에 의해 덮여져서, 그 신뢰성이 더 양호하게 보증될 수 있다.
탭핑로드, 통, 조립체, 방법, 연결장치 및, 음료통을 제조하는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종속항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부분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참조부호를 갖는다. 설명에서, 시작점은 연결된 탭핑장치를 갖춘 맥주통이 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탭핑로드는 다른 음료, 특히 탄산음료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설명에서, 탭핑헤드와 통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는 데에 유용한 한에서는 단지 제한된 범위로만 설명될 것이며, 이는 사용된 밸브기구에도 적용된다. 이와 같은 탭핑헤드와 통 및 밸브기구는 특히 맥주탭핑장치로 사용되는 실제에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목부(1)와 탭핑로드(2)가 나사결합되거나 다르게 고정되는 맥주통의 목부(1)를 도시한 것이다. 탭핑로드는 밸브안착부(8)에 의해 상부에 경계가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4)을 구비한다. 통의 아래로 뻗는 라이저(10)는 체임버(6)내에 정렬되고, 체임버(6)의 외부로 뻗는 부분은 감소된다. 라이저(10)의 길이방향 상단(12)은 바깥으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길이방향 선단(12)과 밸브안착부(8) 사이에는 라이저(10)내에 적당하게 끼워지도록 배치된 하단을 갖춘 대체로 환형상의 가스밸브(14)가 끼워진다. 가스밸브(14)의 바닥면에는 컵형상의 음료밸브(16)가 배치되는데, 이 음료밸브(16)는 라이저(10)의 폭이 넓은 부분에 끼워진 제 1스프링(18)에 의해 가스밸브(14)에 밀봉가능하게 가압된다. 체임버(6)는 체결판(20)에 의해 바닥면이 폐쇄된다. 체결판(20)과 길이방향 선단(12)의 사이에는 밸브안착부(8)에 가스밸브를 가압하여 누르는 제 2스프링(22)이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가스밸브(14)와 음료밸브(16) 모두 폐쇄된다.
조임핑거(28)와 함께 둘레홈(30)에 고정되는 연결장치(26)가 탭핑로드(2)의칼라(24)에 체결된다. 이 연결장치(26)는 고정본체(32)내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본체(30)를 구비한다. 탭핑헤드(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밸브(16)와 가스밸브(14)에 대해 압력본체(30)가 고정본체(32)에 대해 상대이동할 수 있게 하는 작동로드를 구비하여 목부(1)에 고정된다. 그에 따라, 돌출부(40) 아래에 고정되는 받침핸들(38)을 구비한 핸들(36)은 아래로 이동된다. 핸들(36)과 받침핸들(38) 사이에는 탭핑헤드의 의도하지 않은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인장스프링(42)이 구비된다. 탭핑헤드(34)는 대체로 연결장치(26) 위의 마제형(horseshoe-shaped) 커버(35)를 통해 목부(1)의 슬롯(25)에 고정된다. 핸들(36)에 의해 탭핑헤드(34)의 작동로드(44)는 압력본체(30)에 대해 이동되어 아래로 가압된다. 압력본체(30)에 의해 먼저 음료밸브(16)가 가스밸브(14)에서 떨어지게 이동되고, 그 후 더 이동될 때 가스밸브(14)는 압력본체(30)의 폭이 더 넓은 부분에 의해 안착부(8)로부터 밀리게 된다. 탭핑헤드(34)는 이산화탄소나 이와 유사한 압력가스원에 연결가능한 가스입구(46)를 구비하는데, 이 가스입구(46)에서 가스는 작동로드(44)를 따라 압력본체(30)로 흐를 수 있다. 압력본체(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개구부를 구비한 가스채널(48)이 형성되며, 가스는 가스밸브(14)와 안착부(8) 사이에서 가스입구(46)에서 통의 내부로 가스채널(48)을 통해 흐를 수 있다. 압력본체(30)에는 제 1음료채널(50)이 형성되는 바, 이는 통의 방향으로 면해 있는 축방향의 음료입구(54) 뿐만 아니라 방사상의 출구(52)를 구비한다. 음료입구(54)의 주위에는 정사각형의 치형상부(56)가 정렬되는데, 이는 음료입구(54)를 음료밸브(16)로부터 이격시키게 되어, 음료가 정사각형의 치형상부 사이에서 음료분배라인(52)의 방향으로 음료채널(50)로 흐를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음료채널(50)과 가스채널(48)이 서로 분리된 결과로 다양한 패킹이 구비됨으로써 오염이 간단히 방지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과 도 2에 따른 분배장치용의 고정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고정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고정본체(32)는 대체로 환형상이고 홈(30)에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28)와 함께 길이방향의 선단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28)는 약간 유연성이 있어서 홈(30)내로 가압될 수 있는 한편 돌출부의 형상 때문에 제거가 간단히 방지된다. 고정본체는 폭이 좁은 제 1부(60)와, 사용할 때 하부에 배치되고 함께 연결되는 동심의 제 2부(62)를 갖춘 중심보어(58)를 구비한다. 제 2음료채널(64)은 약간 엘보우형상이며, 폭이 넓은 제 2부(62)와 함께 연결되는 제 1다리부(66)를 구비하는 반면, 제 2다리부(68)의 음료분배라인(도시되지 않음)은 예컨대 접착, 용접 등으로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이 음료분배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유연성이 있는 튜브로 이루어진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고정본체(32)를 구비하여 사용되는 압력본체(30)를 나타낸다. 압력본체(30)는 대체로 원통형상이고, 중앙부에 인접한 곳에 바깥쪽으로 뻗는 플랜지(70)를 포함한다. 제 1음료채널(50)은 압력본체(30)의 중심으로 뻗는 바, 이 채널은 약간 엘보우형상이고, 압력본체(30)와 동축으로 뻗는 제 1다리부(50a)를 구비하는 한편, 제 2다리부(50b)는 이에 직각을 이루며 뻗는다. 제 2다리부(50b)는 플랜지(70) 위의 제 1원통형상부(72)에서 끝나고, 제 1다리부(50a)는 플랜지(70) 아래의 제 2원통형상부(74)에서 끝난다. 제 1패킹(76A)은 제 2원통형상부(74)의 길이방향 하단에 인접한 패킹홈(76)내에 위치되고, 제 2패킹(78A)은 플랜지의 외부선단의 제 2패킹홈(78)내에 위치되는 한편, 제 3패킹(80A)은 제 1원통형상부(72)의 길이방향 상단에 인접한 제 3패킹홈(80)에 형성되어 있다. 제 1원통형상부(72)의 단면은 중심보어(58)의 제 1부(60)에 적절히 끼워져 수용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한편, 플랜지(70)는 고정본체(32)의 중심보어(58)의 제 2부분(62)에 적절히 끼워져 수용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제 2패킹홈(78)과 제 3패킹홈(80)의 패킹들은 제 1부(60)와 제 2부(62)의 각 벽과 미끄럼 및 밀봉결합되어 있다. 2개의 가스채널(48)은 압력본체의 상부표면(82)의 가스입구(47)로부터 플랜지(70) 바로 아래의 가스출구(49)까지 뻗는다. 그 다음, 압력본체(30)의 제 2원통형상부(74)는 가스밸브(14)의 환형상의 개구부내에 적절하게 밀봉결합될 수 있다.
도 9의 좌측은 폐쇄상태에서 도 1의 연결장치(26)를 나타내고, 도 9의 우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상태에서 동일한 연결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명료하게 하기 위해 라이저는 생략되어 있다.
도 9의 좌측에서 볼 수 있듯이, 압력본체(30)는 완전히 상승되어, 플랜지(70)가 중심보어(58)의 제 1부(60)와 제 2부(62) 사이의 변화부로 형성된 쇼울더(61)에 접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 2음료채널(64)은 폐쇄되고 제 1음료채널(50)로부터 분리되는 한편, 음료밸브(16)는 차례로 안착부(8)에 밀봉가능하게 접하는 가스밸브(14)에 밀봉가능하게 접하게 되며, 이에 따라 2개의 밸브는 폐쇄된다. 도 9의 우측에서 볼 수 있듯이, 압력본체(30)가 하강이동할 때, 음료밸브(16)는 가스밸브(14)에서 떨어지게 이동되는 한편, 가스밸브(14)는 안착부(8)와 떨어지게 이동된다. 가스체임버(77)는 제 1패킹(76A)과 제 2패킹(78A) 사이에 둘러싸여져 있고, 제 1음료채널(50)과 제 2음료채널(64)을 연결하는 음료체임버(79)는 제 2패킹(78A)과 제 3패킹(80A) 사이에 둘러싸여져 있다. 도 9에는 음료분배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돌출부(65)가 제 2음료채널(64)의 제 2다리부(66)내에 도시되어 있다. 가스체임버(77)와 음료체임버(79)는 서로 완전히 분리된다. 이 실시예에서, 탄성이 있는 환형상부재(84)가 압력본체(30)의 제 2부(74)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가스출구 개구부(49)를 둘러싸고 비순환밸브로 작용한다. 이 탄성부재(84)는 가스채널에 가스압력이 없을 때 적어도 저가스압력이 우월할 때, 가스출구 개구부(49)가 이에 의해 폐쇄되는 한편, 이 탄성부재(84)는 가스출구(49)를 비우도록 가스압력에 의해 밀려질 수 있게 선택된다. 이는 가스압력이 떨어지는 경우에 가스채널(48)로 음료의 의도하지 않은 유동의 가능성을 방지하게 된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2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 여기서 압력본체와 고정본체는 단일부(31)로 일체형성되어 있다. 원통형의 중심부(30A)는 둘레의 제동선단(29)과 함께 길이방향 외부선단에 형성된 방사상으로 뻗는 플랜지(70)가 축방향의 중앙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제동선단(29)은 홈(31)에 맞물리고, 홈(31)과 선단(29)의 높이에 의해 제한된 연결장치(26)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높이를 갖는다. 가스채널(48) 뿐만 아니라 음료채널(50)은 원통형상부(30A)에 결합된다. 다시 도 9a에서, 라이저와 가스밸브는 생략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음료분배라인(5)은 예컨대 120°의 각도로 음료채널(50)과 연결되어 있어서, 통의 목부(1)에 부딪히지 않게 된다. 홈(31) 아래로 뻗는 목부(1)의 벽부(88)와 밀봉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패킹(78A)이 플랜지(70)의 외부선단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서, 가스와 액체의 기밀이 성취된다. 플랜지(70)의 아래로 뻗는 원통형상부(74a)는 대체로 도 6 내지 도 9에 따른 압력본체(30)의 하부 원통형상부(74)에 대응되고,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전체 연결장치(26)는 밸브가 개방되고 폐쇄될 때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0과 도 11에는, 견고하게 연결된 음료라인(105)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126)의 다른 실시예가 각각 평면사시도 및 저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패킹링(17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연결장치(126)는 일체로 제조된다. 선택적으로, 패킹링(170)은 예컨대 2K 사출성형기술에 의해 연결장치(126)의 안착부에 사출성형되지만, 느슨한 패킹링(170)으로도 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에는, 이러한 연결장치가 각각 개방 및 폐쇄상태일 때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탭핑헤드(34)가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여기에는 탭핑헤드(34)가 이용되고 있다. 이 연결장치(126)는, 연결장치(126)를 위한 이동수단을 구성하는 유연성 있는 제 2부(132)에 의해 둘러싸이고서 중앙에 위치되며 비교적 딱딱한 제 1부(130)를 구비한다. 탭핑로드의 이 실시예에서, 라이저(110)는 체임버(106)의 하단에 인접하게 고정된 체결판(120)과 일체로 되어 있다. 스프링(122)이 체임버(106)내에 박혀 있는데, 이에 의해 밸브(114)는 폐쇄위치로 편향되고 이 밸브(114)는 가스밸브와 음료밸브를 동시에 구성한다. 이 밸브(114)는 대체로 환형상이며, 스프링(122)에 의해 이동되고 그 위에 패킹(171)을 갖춘 딱딱한 부분을 구비한다. 이 패킹은 환형상이고, 상기 라이저(110)의 상단에 있는 체결판(192)과 이 체결판(192)을 둘러싸는 체결링(194) 사이에 구비된 슬릿형상의 개구부(190)에 끼워지는데, 체결링(194)은 체임버(106)의 길이방향 벽(107)과 연결된다. 상기 패킹(171)은 알맞은 끼움에 의해 환형상의 개구부(190)를 폐쇄하고, 아래로 향한 스커트(173)를 구비한다. 체결판(192)의 아래에서, 통로개구부(196)가 라이저(110)의 벽에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스커트(173)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다. 이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체결판(192)과 체결링(194)의 서로 면해 있는 길이방향 선단이 밸브(114)를 위한 제 1 및 제 2밸브안착부를 구성한다.
제 1선단(198)이 딱딱한 제 1부(130)의 하부로부터 뻗어 있는데, 그 직경은 이 제 1선단(198)이 환형상의 개부부(190)내에서 패킹(171)의 상부쪽과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얼마간 간격을 두고서, 상기 제 1선단(198)은 상기 패킹(170)으로 형성된 제 2선단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 패킹(170)은 제 1선단(198)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 가스채널들(148)이 제 1선단(198)과 제 2선단(170) 사이에 뻗어 있는데, 이들은 제 1선단(198)과 패킹(170) 사이에 형성된 가스공급체임버(77)에서 끝나게 된다. 제 1선단(198)내에는 음료체임버(179)가 형성된다. 이동수단(132)은 조임선단(197)을 갖춘 길이방향의 자유선단에 구비되어,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장치(126)가 체결링(194)의 길이방향 선단 아래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으로 작용한다. 음료분배라인(105)은 제 1음료채널(150)을 거쳐 음료체임버(179)와 연결된다. 탭핑헤드(134)는 폐쇄부(194)의 길이방향의 자유선단과 고정수단(197) 아래에서 다소 마제형인 커버(35)를 통해 고정된다. 다시, 비교적 딱딱한 제 1부(130)에 대해 전술된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작동로드(144)가 구비된다. 이 작동로드(144)를 통해, 특히 이산화탄소와 같은 압력가스가 가스채널(148)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3은 밸브가 개방되어 있는 연결장치를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로드(144)는 아래로 이동되어, 제 1선단(198)이 패킹(171)에 접하고, 밸브(114)는 상기 스커트(173)가 통로(196)의 길이방향 하단 아래에 연결되도록 아래로 이동된다. 스커트(173)의 위에서는, 통로개구부(196)의 일부가 떨어져 있게 된다. 따라서, 화살표(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가 라이저(110)를 통해 제 1선단(198)을 따라 통로개구부(196)를 거쳐 음료체임버(179)쪽으로 흐를 수 있게 되고, 제 1음료채널(150)과 음료라인(105)을 거쳐 흘러나오게 된다. 동시에, 이산화탄소와 같은 압력가스가 가스채널(148)을 통해 작동로드(144)로부터 가스공급체임버(177)로 흐른 후, 환형상의 개구부(190)와 밸브(114)를 통해 체임버(106)로 흘러서 통(V)의 내부공간(Z)으로 흐를 수 있다. 압력가스의 흐름은 도 13에 화살표(C)로 나타나 있다. 패킹(171)과 이에 밀봉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 1선단(198)의 위치에 의해, 압력가스의 흐름(C)과 음료의 흐름(B) 사이에 완전한 분리가 성취된다.
도 14 내지 도 18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탭핑헤드를 위한 연결장치(226)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실시예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연결장치(26) 대신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4a는 이러한 연결장치(226)의 하부를 도시하고, 도 14b에는 대체로 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왼쪽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24)와 가스밸브(14) 및 음료밸브(16)를 갖춘 목부(1)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4c에는 일체로 사출성형된 커버(227)를 갖춘 연결장치(226)가 평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연결장치(226)는 바람직하기로 도 16 및 도 15에 각각 도시된 비교적 단단한 플라스틱부와 비교적 부드러운 밀봉부를 형성하는 2부품기술(2K)로 사출성형된다. 도 17은 비교적 딱딱한 부분(230)의 단면을 사시도로 도시하는 바, 이 부분(230)은 다소 경사진 음료채널(250)을 구비하고, 제 1축방향부(250A)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예컨대 30°내지 45°의 각도로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제 2채널부(250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채널부(250B)에 음료분배라인이 고정될 수 있다. 방사상으로 볼 때, 음료채널(250)로부터 얼마간 떨어져 가스채널(248)이 뻗어 있는데, 이는 가스입구(247)가 연결장치(226)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가스채널(248)의 경사부(248A)는 벽(251)에 의해 음료채널의 제 2부(250B)로부터 분리된다. 음료채널(250)은 원통형벽(253)으로 둘러싸이는 한편, 제 1원통형벽(298)은 동심적으로 얼마간 떨어져 이 벽(253)을 둘러싼다. 제 1선단(298)의 축방향 높이는 벽(253)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아서, 음료채널은 제 1선단(298)의 하단(298A)보다 현저히 낮게 위치된 음료입구개구부(254)를 갖는다. 또, 상기 제 1선단(298)은 음료채널(250A)의 길이방향축에 직각으로 뻗어 있는 대체로 원형인 표면(301)에 의해 벽(253)과 제 1벽(298)에 연결된 제 2선단(300)에 의해 방사상으로 얼마간 떨어져 둘러싸여 있는데, 상기 표면은 비교적 얇고 간단히 깨질 수 있는 절단선단(305)에 의해 표면(301)과 연결된 절단링(303)으로 둘러싸여 있다. 상기 절단선단(305)은 바깥쪽으로 얇아지는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부(1)의 상부쪽에 적당히 접할 수있다. 그 결과, 목부(1)의 완전한 폐쇄가 이루어지며, 이는 도 18에서 명확히 볼 수 있다. 도 15에는 도 14에 따른 연결장치(226)와 사용되는 비교적 유연성 있는 밀봉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정사각형 치형상부(256)를 구비하면서 제 1선단(298)과 적당히 연결되고 벽(253)을 완전히 둘러싸는 제 1패킹(276A)을 구비한다. 상기 선단(300)에 대해 고정되는 제 2패킹(278A)이 구비된다. 이 패킹은 도 15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을 갖춘다. 비교적 크게 선택된 높이를 갖는 유연성 있는 립(lip:307)이 사용되는 동안 아래로 향하는 길이방향의 외부선단을 따라 구비된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부(1)에 연결장치(226)를 놓을 때,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29)에 비해 둘레의 돌출선단(229)이 홈(31)에 맞물리게 된다. 그 후에, 상기 패킹(278A)은 홈(31) 아래에 뻗어 있는 벽부(233)에 접하게 된다. 립(307)의 높이는 적어도 벽부(233)의 높이와 같으면서 바람직하기로 이 보다 다소 높으며, 적어도 상기 돌출선단(229)이 홈(31)의 상단에 접할 때 상기 립(307)이 벽부(233)에 밀봉가능하게 접하게 되도록 선택된다. 가스밸브(14)와 음료밸브(16)에 대해 상기 연결장치(226)가 축방향 아래로 이동될 때, 립(307)은 안착부(8)의 상부면(235)과 부딪친다. 더욱 아래로 이동할 때, 립(307)은 상부면(235)에 대해 직립하게 되어 완전한 밀봉이 이루어진다. 그 후에, 제 1패킹부(276A)는 가스밸브(14)의 내부면(14A)과 맞물리는 한편, 정사각형 치형상부(256)는 음료밸브(16)에 접하게 된다. 그 결과, 음료채널(250)과 가스채널(248) 사이의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진다. 물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분들도 느슨한 품목으로 사출성형될 수 있고, 이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딱딱한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뚜껑(227)은 도 19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226)의 상부면에 가압되어 적어도 가스입구(247)가 오염물질로부터 보호되게 한다. 다른 실시예로 도 19에 동일한 커버가 개방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도 19에는 음료라인(205)이 더욱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장치(226)는 상부에서 다소 오목하게 되어 있다.
처음에 축방향 아래로 연결장치(226)를 이동시킬 때, 절단링(303)은 절단선단(305)을 따라 파손되고 적어도 느슨하게 찢어지게 되어, 이 연결장치(226)를 구비한 통이 이미 처리되었는지를 바로 명확히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절단링(303)은 밀봉수단으로 작용한다. 이 연결장치는 아주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되고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사출성형되고, 사용시 특히 위생적이다.
도 2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연결장치 대신에 이에 따른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32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는, 적당하게 끼워져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본체(330) 뿐만 아니라 대체로 원통형인 고정본체(332)가 구비된다. 이 압력본체(330)는 고정부(332)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패킹(378)을 통해 밀봉접촉하는 대체로 원통형인 제 1부(372)를 구비한다. 이 제 1부(372)보다 현저하게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제 2부(374)는 상기 원통형의 제 1부(372)로부터 아래로 뻗어 있다. 음료채널(350)은 압력부(330)를 통해 뻗어 있고, 축방향 제 1부(350A)와 방사상 제 2부(350B)를 갖춘 엘보우형상인데, 여기서 다시 음료분배라인(105:점선으로 나타냄)이 고정될 수 있다. 압력본체(330)의 제 1부(372)의 돌출선단(329)이 맞물릴 수있는 홈(328)이 고정부재(332)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압력본체(330)는 고정본체(332)의 밖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음료채널(350)의 제 2부(350B)의 끝(350C)이 이동할 수 있는 오목부(333)가 고정본체(332)의 벽에 구비된다. 도 20에 도시된 상부위치에서, 압력본체(330)의 상부면(382)은 고정본체(332)의 상단과 같은 높이이다. 압력본체(330)는 전술된 방식으로 음료채널(350)의 끝(350C)이 오목부(333)의 바닥에 접하는 연장부를 향해 축방향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본체(332)는 칼라(24)에 고정될 수 있는데, 제 2패킹은 이에 대해 밀봉부를 제공한다. 전술된 방식으로 가스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는 압력링(375)이 제 2원통형상부(374) 주위에 구비된다. 이 압력링(375)은 바람직하기로 다소 탄성을 가져서, 가스밸브에 대해 밀봉부를 제공한다. 이 압력링(375)에 인접한 가스출구(349)와 상부면(382) 및 가스입구(347)를 갖춘 가스채널(348)은 원통형의 제 1부(372)를 통해 뻗어 있다. 2개의 정사각형 치형상부(356)는 전술된 용도를 위해 원통형의 제 2부(374)에 구비된다.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탭핑헤드에 의해 가스연결관은 탭핑헤드와 연결되는 한편, 음료분배라인이 연결장치에 연결된다. 음료의 흐름경로는 가스의 흐름경로와 분리되어서, 탭핑헤드의 오염이 방지된다. 탭핑로드는 통을 따라 설치되고 동시에 연결장치가 설치된다. 이는 탭핑헤드가 음료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서, 청소되어야 할 필요가 없거나, 최소로 하게 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예컨대 참조로 여기에 포함된 2000년 5월 31일자로 출원된 "탭핑장치와 이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의 비공개된 본 출원인의 네덜란드 특허출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음료분배라인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 설명과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밸브시스템과 탭핑헤드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음료채널과 가스채널 및 고정수단이 여러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음료가 가스채널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비순환식 밸브와 유사한 수단, 예컨대 가스채널내의 비순환식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총검착탈, 접착결합, 조임결합, 또는 유사한 다른 종류의 고정수단이 통에 탭핑로드를 고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변형예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38)

  1. 음료밸브와 이에 상호작용하는 가스밸브 및 칼라를 갖추고서, 이 칼라에는 상기 음료밸브와 가스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압력본체를 구비한 연결장치가 고정되되,
    상기 압력본체는 음료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통의 내부공간, 특히 탭핑로드의 라이저를 음료분배라인과 유체가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음료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압력본체는 가스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통의 내부공간을 가스공급라인과 유체가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채널을 구비하는 탭핑로드.
  2.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연결장치에 있는 제 1음료채널과 가스채널은 음료밸브와 가스밸브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모두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탭핑로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본체는 칼라에 체결될 수 있는 고정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서, 적어도 축방향 위치에 고정되도록 놓일 수 있는 탭핑로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음료밸브가 개방될 때 압력본체에 있는 상기 제 1음료채널과 연결되는 제 2음료채널을 구비하는 탭핑로드.
  5. 제 4항에 있어서, 음료분배라인이 상기 제 2음료채널과 견고하게 연결되는 탭핑로드.
  6. 제 1항에 있어서, 음료분배라인이 상기 제 1음료채널과 직접 견고하게 연결되는 탭핑로드.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본체는 이 압력본체가 적어도 칼라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탭핑로드.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밸브는 적어도 가스밸브에 대해 밀봉하는 한편, 상기 가스밸브는 적어도 칼라에 대해 밀봉하고;
    상기 가스밸브가 칼라로부터 떨어져 이동할 때 가스밸브는 개방되며, 음료밸브가 가스밸브에 대해 이동할 때 음료밸브는 개방되되, 상기 가스밸브는 압력본체가 음료밸브를 개방시키는 음료밸브의 음료밸브본체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하는 개구부를 갖춘 가스밸브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본체는 가스밸브를 개방시키는 가스밸브본체에 대해 이동가능한 압력선단을 구비하는 탭핑로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선단은 가스밸브를 개방시키는 상기 개구부의 길이방향 선단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압력선단은 길이방향 선단에 대해 기밀하게 밀봉하는 탭핑로드.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선단과 음료밸브본체에 대해 음료밸브의 개방동안 위치된 압력본체의 끝 사이의 거리는, 압력본체가 접하는 음료밸브본체와 가스밸브의 개방동안 압력본체가 접하는 가스밸브의 부분 사이의 해당 거리보다 멀게 되도록 선택되고, 이러한 배치는 밸브들을 개방시키는 압력본체가 이동할 때 먼저 음료밸브가 개방되고 다음으로 가스밸브가 개방되게 하는 탭핑로드.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채널은 적어도 압력본체의 상부면 근처에서 끝나는 제 1끝을 갖추는 한편, 상기 음료분배라인은 길이방향축에서부터 상기 상부면 또는 그 근처의 가스채널의 종결부까지의 방사상 거리보다 먼 압력본체의 길이방향축에서부터의 방사상의 거리로 압력본체에 적어도 연결될 수 있는 탭핑로드.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분배라인이 연결되는 제 1 및 제 2음료채널은 압력본체의 길이방향축과 적어도 상기 연결부 근처에서 약 30 내지 90°사이의 각도를 갖고, 이러한 배치는 상기 음료분배라인이 적어도 방사상의 성분을 갖는 상기 연결부에 인접한 공급방향으로 각각의 음료채널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탭핑로드.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본체는 탭핑로드의 길이방향축에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그 안에 장착된 적어도 고정본체를 칼라에 대해 적어도 기밀하게 밀봉하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가스채널은 상기 플랜지, 적어도 밀봉부와 가스밸브, 적어도 가스밸브본체 사이에서 끝나는 제 2끝을 갖추는 탭핑로드.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채널은, 사용동안음료밸브본체, 적어도 음료밸브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 1끝을 유지하는 정사각형 치형상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압력본체의 적어도 하부면 근처에 있는 제 1끝에 의해 압력본체의 중앙에 위치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탭핑로드.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채널 또는 연결가스채널의 통로는 음료채널 또는 연결음료채널의 통로보다 작은 탭핑로드.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본체 또는 칼라는 상호작용하는 밀봉수단을 구비하여, 이 밀봉수단의 파괴 또는 느슨함에 의해, 압력본체가 음료밸브 또는 가스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해 필요한 위치의 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이동되었음을 볼 수 있게 하는 탭핑로드.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상기 음료밸브 또는 가스밸브의 사용동안 상기 연결장치에 있는 가스채널로 음료의 진입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탭핑로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채널은 비순환밸브를 구비하는 탭핑로드.
  19.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유연성 있는 부재가 상기 연결장치의 적어도 일부 주위로 뻗어 있어, 가스가 공급이 안될 때 가스채널의 출구개구부가 폐쇄되는 한편, 상기 유연성 있는 부재는 압력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압력하의 가스가 가스채널을 통해 공급될 때 다소 밀려 나올 수 있는 탭핑로드.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밸브는 환형상이고, 폐쇄위치에서 음료밸브가 밀봉되게 접하는 음료밸브안착부를 그 하부에 구비하며, 상기 칼라는 폐쇄위치에서 가스밸브가 밀봉되게 접하는 가스밸브안착부를 그 하부에 구비하고, 상기 압력본체는 제 1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에 탭핑로드가 사용되는 적어도 통에서 칼라에 압력본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연결하는 이동수단에 의해 둘러싸인 비교적 딱딱한 제 1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부는 음료밸브에서 가까운 쪽에 제 1선단을 구비하되, 이 선단은 가스밸브에 대해 밀봉되게 접할 수 있고, 상기 제 1선단에는 가스밸브로부터 멀리 음료밸브를 밀어부치는 압력부재가 구비되며, 방사상으로 볼 때 상기 제 1선단의 외부에는 가스채널이 끝나는 한편, 상기 제 1선단내에는 제 1음료채널이 끝나고, 이러한 배치는 압력본체가 음료밸브의 방향으로 휴지(休止)위치에서부터 밀릴 때 상기 제 1선단이 가스밸브에 대해 밀봉하여서가스밸브가 가스밸브안착부로부터 밀려나오고 음료밸브가 음료밸브안착부로부터 밀려나와, 상기 제 1선단에서 사용동안 음료가 맥주통으로부터 제 1음료채널로 흐를 수 있게 하는 음료체임버가 형성되는 한편, 방사상으로 볼 때 상기 제 1선단의 외부에는 주위에 대해 폐쇄되고서 가스가 가스채널로부터 맥주통으로 통과될 수 있는 가스공급체임버가 형성되는 탭핑로드.
  21. 제 1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밸브와 음료밸브는 라이저의 상단을 둘러싸는 환형상의 밸브본체에 일체로 되되, 상기 라이저는 제 1밸브안착부를 형성하는 체결판에 의해 상단에 인접하게 폐쇄되고, 상기 칼라는 얼마간 떨어져 라이저의 상단을 둘러싸면서 상단에 체결링을 구비하여, 체결링과 체결판 사이에는 환형상의 개구부가 떨어져 있는 한편, 안을 향한 쪽에서 체결링은 제 2밸브안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본체는 그 아래로부터 환형상의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며, 라이저에 있는 체결판에 인접하게 적어도 하나의 통로개구부가 구비되어 환형상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밸브본체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쇄되고, 상기 압력본체는 제 1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에 탭핑로드가 사용되는 적어도 통에서 칼라에 압력본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연결하는 이동수단에 의해 둘러싸인 비교적 딱딱한 제 1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부는 밸브본체에서 가까운 쪽에 제 1선단을 구비하되, 이 제 1선단은 밸브본체에 대해 밀봉되게 접할 수 있고, 방사상으로 볼 때 상기 제 1선단의 외부에는 가스채널이 끝나는 한편, 상기 제 1선단내에는제 1음료채널이 끝나고, 이러한 배치는 압력본체가 체결판의 방향으로 휴지위치에서부터 밀릴 때 상기 제 1선단이 밸브본체에 대해 밀봉하여서 밸브본체가 제 1 및 제 2안착부로부터 라이저에 있는 개구부가 밸브본체 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떨어져 있게 되는 위치로 밀려나와, 상기 제 1선단에서 사용동안 음료가 통으로부터 제 1음료채널로 흐를 수 있게 하는 음료체임버가 형성되는 한편, 방사상으로 볼 때 상기 제 1선단의 외부에는 주위에 대해 폐쇄되고서 가스가 가스채널로부터 통으로 통과될 수 있는 가스공급체임버가 형성되는 탭핑로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선단은 체결링에 대해 밀봉할 수 있는 제 2선단에 의해 얼마간 떨어져 둘러싸이는 한편, 가스공급체임버는 제 1선단과 제 2선단 사이에 형성되는 탭핑로드.
  23. 제 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근처에는 안으로 개방되는 홈이 구비되는 한편, 이동수단은 가스공급체임버를 밀봉하는 상기 홈을 밀봉하는 밀봉수단으로 외부선단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탭핑로드.
  24. 제 20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제 1선단과외부선단 사이에 유연성 있는 부분을 구비하여서, 탭핑로드의 축방향에서 볼 때 제 1부가 외부선단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탭핑로드.
  25. 제 23항 또는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선단은 홈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있어서, 외부선단이 탭핑로드의 축방향으로 홈안에서 이동할 수 있는 탭핑로드.
  26. 제 20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통의 목부 또는 칼라 위에 연결장치를 고정하도록 된 탭핑로드.
  27. 제 20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탭핑장치에 또는 이에 인접하게 사용되는 음료분배라인은 연결장치와 견고하게 연결되는 탭핑로드.
  28. 제 1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탭핑로드를 구비한 통.
  29. 탭핑헤드는 탭핑로드의 칼라 또는 이 칼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목부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작동로드는 가스밸브와 음료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아래로 압력본체를 누르도록 구비되며, 작동로드에 또는 이를 따라 가스통로개구부가 적어도 가스밸브가 개방될 때 통으로 가스채널을 통해 압력하에서 가스를 통과시키도록 구비되는, 제 28항에 따른 통과 탭핑헤드의 조립체.
  30. 통은 탭핑헤드와 상호작용하는 연결장치를 구비하고, 연결장치는 음료분배라인을 연결하는 수단을 구비하거나 이러한 음료분배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적어도 사용동안 음료분배라인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료채널을 구비하고서 적어도 사용동안 압력가스용 공급라인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채널을 구비하는, 압력가스용 공급라인에 연결하기 위해 탭핑헤드와 탭핑로드를 갖춘 통조립체.
  31. 통의 탭핑로드에 통으로부터 음료분배라인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구비하는 단계와, 압력유체용 공급라인을 구비한 탭핑헤드가 적어도 상기 연결장치 위에서 통에 고정되는 단계, 상기 연결장치의 도움으로 통의 탭핑로드에 있는 음료밸브와 가스밸브가 개방되도록 탭핑헤드가 작동하는 단계, 상기 연결장치를 매개로 하여 압력가스가 통으로 넣어지면서 음료는 압력가스의 흐름과는 별개로 통의 밖으로 나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탭핑로드를 갖춘 통의 사용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통은 탭핑장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그 후에 음료분배라인이 특히 탭핑꼭지에 연결되는 탭핑로드를 갖춘 통의 사용방법.
  33. 제 31항 또는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탭핑헤드가 작동된 후 음료밸브와 가스밸브는 폐쇄되고, 그 후에 탭핑헤드가 통으로부터 분리되고 음료분배라인이 탭핑장치로부터 분리된 다음, 음료분배라인과 연결장치를 갖춘 통이 제거되어 이송되는, 탭핑로드를 갖춘 통의 사용방법.
  34. 제 32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분배라인이 공급되고 연결장치에 연결되되, 음료분배라인은 특히 음료와 탭핑장치 사이에 출구들과 접촉하지 않도록 탭핑장치에 연결되는, 탭핑로드를 갖춘 통의 사용방법.
  35. 제 32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통이 공급된 후, 탭핑장치의 음료분배라인이 연결장치와 연결되는, 탭핑로드를 갖춘 통의 사용방법.
  36. 통은 음료로 채워지고 종래의 방식대로 탭핑로드를 구비하며, 연결장치는 탭핑로드에 고정되고 탭핑로드의 가스밸브와 음료밸브의 작동을 위해 배치된 후에 커버부재가 맥주통의 이송 및 보관을 위해 연결장치 위에 고정되는, 음료가 준비된 통을 제조하는 방법.
  37. 제 1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탭핑로드와 제 28항에 따른 통, 제 29항 또는 제 30항에 따른 조립체, 제 31항 내지 제 3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는 연결장치.
  38. 통을 채우고서 이 통에 적어도 탭핑로드의 부품을 종래의 방식대로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탭핑로드의 가스밸브와 음료밸브의 작동을 위해 배치된 연결장치를 탭핑로드에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통의 이송 및 보관을 위해 연결장치 위에 커버부재를 놓는 수단을 구비하는, 음료가 준비된 통을 제조하는 장치.
KR1020037006931A 2000-11-23 2001-11-21 탭핑로드 KR100889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16687 2000-11-23
NL1016687A NL1016687C2 (nl) 2000-11-23 2000-11-23 Tapstang.
PCT/NL2001/000847 WO2002048019A1 (en) 2000-11-23 2001-11-21 Tapping r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573A true KR20040051573A (ko) 2004-06-18
KR100889080B1 KR100889080B1 (ko) 2009-03-17

Family

ID=1977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931A KR100889080B1 (ko) 2000-11-23 2001-11-21 탭핑로드

Country Status (42)

Country Link
US (1) US7832596B2 (ko)
EP (1) EP1347936B1 (ko)
JP (2) JP4309457B1 (ko)
KR (1) KR100889080B1 (ko)
CN (1) CN100519401C (ko)
AP (1) AP2003002813A0 (ko)
AR (1) AR031502A1 (ko)
AT (1) ATE541810T1 (ko)
AU (2) AU2002222793B2 (ko)
BG (1) BG107870A (ko)
BR (1) BR0115614B1 (ko)
CA (1) CA2429851A1 (ko)
CZ (1) CZ20031600A3 (ko)
DK (2) DK1347936T3 (ko)
EA (1) EA005057B1 (ko)
EC (1) ECSP034645A (ko)
EE (1) EE05132B1 (ko)
EG (1) EG22785A (ko)
ES (1) ES2380361T3 (ko)
HK (1) HK1075241A1 (ko)
HR (1) HRP20030491B1 (ko)
HU (1) HUP0303501A3 (ko)
IL (2) IL156049A0 (ko)
IS (1) IS6825A (ko)
JO (1) JO2189B1 (ko)
MA (1) MA25857A1 (ko)
MX (1) MXPA03004584A (ko)
MY (1) MY156982A (ko)
NL (1) NL1016687C2 (ko)
NO (1) NO20032338L (ko)
NZ (1) NZ526139A (ko)
OA (1) OA12535A (ko)
PE (1) PE20020528A1 (ko)
PL (1) PL203265B1 (ko)
PT (1) PT1347936E (ko)
RS (1) RS50319B (ko)
SK (1) SK287847B6 (ko)
SV (1) SV2002000745A (ko)
UA (1) UA87092C2 (ko)
UY (1) UY27036A1 (ko)
WO (1) WO2002048019A1 (ko)
ZA (1) ZA2003041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7742C2 (nl) * 2001-03-30 2002-10-03 Heineken Tech Services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aansluiten van een container op een drukbron.
NL1020202C2 (nl) * 2002-03-19 2003-09-30 Heineken Tech Services Samenstel van een tapvat met een nek en een aansluitinrichting en delen daarvoor.
ITRN20060041A1 (it) * 2006-06-23 2007-12-24 Celli Spa Dispositivo di spillatura e dispositivo di erogazione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di spillatura
NL1032098C2 (nl) 2006-06-30 2008-01-02 Heineken Supply Chain Bv Tapinrichting, drankcontainer, koppelingsinrichting en werkwijze met reinigingselement.
DE102007005104A1 (de) 2007-02-01 2008-08-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Zapfer für ein Getränkefass
SI2014608T1 (sl) 2007-07-10 2017-01-31 Eurokeg B.V. Dajalna glava
WO2009074164A1 (de) * 2007-12-10 2009-06-18 Coster Tecnologie Speciali S.P.A. Behälterventil
US8777067B2 (en) * 2010-06-18 2014-07-15 James A. Trulaske Beverage dispensing system with apparatus for controlling foaming and flow rate
RS58824B1 (sr) * 2011-06-28 2019-07-31 Micro Matic As Sistem za točenje pića
NL2009234C2 (en) * 2012-07-26 2014-02-06 Heineken Supply Chain Bv Tapping assembly and connecting device, as well as a container and method for beverage dispensing.
EP2845836A1 (en) 2013-09-10 2015-03-11 Micro Matic A/S An extractor tube element
EP2923998A1 (en) 2014-03-24 2015-09-30 Anheuser-Busch InBev S.A. Integral KEG connector
EP2987767A1 (en) 2014-08-19 2016-02-24 Anheuser-Busch InBev S.A.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for multiple containers
CA3005108A1 (en) * 2015-11-17 2017-05-26 Coravin, Inc. Beverage extractor for sparkling beverages
WO2018212349A1 (ja) * 2017-05-19 2018-11-22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ディスペンスヘッド及びそれを利用した飲料注出路の洗浄方法
DE102017129912B3 (de) * 2017-10-27 2019-01-03 Dsi Getränkearmaturen Gmbh Zapfkopf mit 3/2 Wege-Ventil
CN108163798B (zh) * 2017-12-27 2019-11-05 塔罗斯控股有限公司 一种酒矛
TWI697452B (zh) * 2019-08-02 2020-07-01 立晏企業有限公司 輸液桶
US11530126B2 (en) * 2021-03-22 2022-12-20 Ningbo Major Draft Beer Equipment Co., Ltd Distributor
RU210670U1 (ru) * 2021-11-08 2022-04-26 Алекс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Шульпин Заборная головка для выдачи напитка из емкости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3556A (en) * 1967-04-03 1969-10-21 Polytop Corp Beer keg tapping device and seal
US3868049A (en) * 1970-10-23 1975-02-25 Mack S Johnston Keg tapping device
US4305421A (en) * 1977-09-28 1981-12-15 Draft Systems, Inc. Fluid dispensing system
US4291821A (en) * 1979-10-04 1981-09-29 The Perlick Company, Inc. Keg tapping system unit and valve interlock
JPS5665850U (ko) * 1979-10-24 1981-06-02
US5199609A (en) * 1991-09-11 1993-04-06 Ash Jr William O Portable dispensing system
BR9206635A (pt) * 1991-10-18 1995-10-24 Leer Koninklijke Emballage Sistema de distribuição de fluido
US5944229A (en) * 1997-10-30 1999-08-31 Micro Matic Usa, Inc. Drum valve system with tamper evident cap
NL1009654C2 (nl) * 1998-07-15 2000-01-19 Heineken Tech Services Klepsamenstel voor een drankcontainer, container voor drank en werkwijze voor het vullen en legen van een drankcontainer.
NL1014081C2 (nl) * 1998-07-15 2000-06-19 Heineken Tech Services Container voor dr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E20020528A1 (es) 2002-07-19
EE200300241A (et) 2003-08-15
EP1347936A1 (en) 2003-10-01
DK1347936T3 (da) 2012-05-14
MA25857A1 (fr) 2003-07-01
SK287847B6 (sk) 2012-01-04
JP4972635B2 (ja) 2012-07-11
IL156049A0 (en) 2003-12-23
WO2002048019A9 (en) 2003-12-11
EG22785A (en) 2003-08-31
EE05132B1 (et) 2009-02-16
HUP0303501A3 (en) 2005-10-28
PT1347936E (pt) 2012-03-19
DK200800068U3 (da) 2008-09-12
JP2009083938A (ja) 2009-04-23
IS6825A (is) 2003-05-22
HRP20030491A2 (en) 2005-06-30
MY156982A (en) 2016-04-15
JO2189B1 (en) 2003-12-23
AR031502A1 (es) 2003-09-24
HUP0303501A2 (hu) 2004-03-01
US20040045988A1 (en) 2004-03-11
CA2429851A1 (en) 2002-06-20
OA12535A (en) 2006-06-05
WO2002048019A8 (en) 2004-05-13
AU2279302A (en) 2002-06-24
WO2002048019A1 (en) 2002-06-20
UY27036A1 (es) 2002-02-28
IL156049A (en) 2009-12-24
CN100519401C (zh) 2009-07-29
BR0115614A (pt) 2003-09-16
ECSP034645A (es) 2003-07-25
AU2002222793B2 (en) 2007-12-06
PL203265B1 (pl) 2009-09-30
ES2380361T3 (es) 2012-05-11
SK7552003A3 (en) 2004-04-06
NZ526139A (ko) 2006-01-27
UA87092C2 (en) 2009-06-25
BG107870A (bg) 2004-03-31
EA200300600A1 (ru) 2003-10-30
EP1347936B1 (en) 2012-01-18
HK1075241A1 (en) 2005-12-09
US7832596B2 (en) 2010-11-16
JP4309457B1 (ja) 2009-08-05
JP2010509137A (ja) 2010-03-25
NL1016687C2 (nl) 2002-05-24
NO20032338D0 (no) 2003-05-23
AP2003002813A0 (en) 2003-06-30
BR0115614B1 (pt) 2010-11-16
ATE541810T1 (de) 2012-02-15
SV2002000745A (es) 2002-12-02
DK200800068U1 (da) 2008-08-08
EA005057B1 (ru) 2004-10-28
PL365903A1 (en) 2005-01-10
NO20032338L (no) 2003-07-23
CN1608027A (zh) 2005-04-20
YU51003A (sh) 2004-05-12
MXPA03004584A (es) 2004-05-05
RS50319B (sr) 2009-09-08
KR100889080B1 (ko) 2009-03-17
HRP20030491B1 (en) 2010-03-31
ZA200304134B (en) 2004-02-23
CZ20031600A3 (en) 200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080B1 (ko) 탭핑로드
JP4348191B2 (ja) 飲料の分配に使用される弁アセンブリ
US8851340B2 (en) Container for beverage
AU2007227831B2 (en) Beverage container and assembly of such a container and a tapping device
KR20010079531A (ko) 음료수 용기와 이의 밸브조립체 및 이 음료수 용기를채우거나 비우는 방법
AU2002222793A1 (en) Tapping rod
WO2004063087A1 (en) Keg filling and dispensing system with valve assembly fitted from exterior
US6705592B2 (en) Closure for a container to be pressurized, as well as such a container
KR850001456Y1 (ko) 액체 공급기용 신속 분리가능한 연결구(Coupling)
EP1152973B1 (en) Valve fitting for ke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