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456Y1 - 액체 공급기용 신속 분리가능한 연결구(Coupling) - Google Patents

액체 공급기용 신속 분리가능한 연결구(Coup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456Y1
KR850001456Y1 KR2019840010575U KR840010575U KR850001456Y1 KR 850001456 Y1 KR850001456 Y1 KR 850001456Y1 KR 2019840010575 U KR2019840010575 U KR 2019840010575U KR 840010575 U KR840010575 U KR 840010575U KR 850001456 Y1 KR850001456 Y1 KR 850001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valve
valve member
operation sec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0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윈델 크레들 주니어 윌리암
Original Assignee
더 코카-콜라 캄파니
로버트 에이켈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058,866 external-priority patent/US4286636A/en
Application filed by 더 코카-콜라 캄파니, 로버트 에이켈러 filed Critical 더 코카-콜라 캄파니
Priority to KR2019840010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4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4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07Tempering units for temperature control of moulds or cores, e.g. comprising heat exchangers, controlled valves, temperature-controlled circuits for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29C33/0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18Slush casting, i.e. pouring moulding material into a hollow mould with excess material being poured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3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1/46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Colou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 공급기용 신속 분리가능한 연결구(Coupling)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의 여로가지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여러가지 장착물들이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에 결합되는 상태를 표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연결구의 외관구조를 다르게 변형 실시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으로, 연결구가 용기등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로서,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체가 닫혀있는 것을 표시한 것임.
제3(a)도는 제3도의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상부에 다른 연결구가 결합되었을 때의 종단면도로서,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체가 열려있는 것을 표시한 것임.
제5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로서, 그 내부에 설치된 밸브체가 다른 것임을 표시한 것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7도는 다른 장착물이 내부에서 부착된 것을 표시한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본 고안은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 생산물을 외부로 분배되도록 방출시키기 위하여 신축가능하며 밀폐되어 있는 용기(일종의 백(Bag)임)와 같이 사용하는 신속히 분리할 수 있도록 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상기한 신속히 분리할 수 있도록 된 연결구들은 다용도 사용목적으로 제공되어 왔으나, 어느 것도 포스트믹스(Post-Mix) 음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시럽(syurp)과 같은 높은 점성을 지닌 액체생산물을 자유롭게 유동시키게 함에는 전적으로 만족되지 못하였으며, 이러한 연결구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밸브 구조 역시 그곳을 통해서 고점성 액체생산물의 자유롭게 유동을 함에 많은 방해를 주고있고, 또한 그 연결구 내부에 설치된 밸브에의 굴곡된 유로(流路)와 일반적으로 배치된 부품들 때문에 연결구의 내부를 게끗하게 세척하는데 많은 어려움과 불편이 있다.
이러한 연결구의 굴곡된 유로들은 또한 연결구를 횡단하는 유로에 요구되는 것보다 더 높은 압력이 작용되어야 하는 원인으로 되며, 더우기 종래 연결구 조립체의 전체 구조는 값이 저렴한 플라스틱 재료들로서의 제작이 어려웠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연결구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키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제1목적은 시럽종류의 액체생산물을 전달함에 전연 방해를 주지 않는 유로를 형성한 신속분리 가능한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부를 아주 용이하게 깨끗히 세척할 수 있는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적은 비용의 값싼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가능하며 충분한 내구성을 지니는 구조적인 강도를 보유하는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즉,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액체음료가 통과되는 개구부를 갖춘 부착구를 포함하는 용기와, 이 용기로 부터 액체음료를 분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내부를 관통하는 중앙구멍에 의해서 상·하 개구단부가 형성되어 하부의 개구단부는 전기한 부착구에 연결되고, 상부의 개구단부는 제2연결구에 연결되는 제1연결구와, 이 제1연결구의 중앙구멍내에 위치하며 삼발이부재에 형성된 밸브자리와, 이 밸브 자리와 밀폐계합을 위해 개폐가능하게된 원추형 밸브부재와, 이 원추형 밸브부재를 전기한 밸브자리와 밀봉계합되도록 항상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전기한 원추형 밸브부재에 연결되고 전기한 제1연결구의 상부 개구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내부작동간으로 부터 이루어지는 밸브로서 구성된 연결구에 있어서, 전기한 내부작동간과 인접되도록 중앙구멍의 벽내를 향하여 강고하게 부착한 외부 작동간이 전기한 제1연결구의 상부 개구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전기한 외부작동간은 제1연결구의 중앙구멍 벽으로부터 연장되며 유체통로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스포크에 의해서 지지되고, 전기한 내부 작동간을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한 통로가 전기한 외부작동간에 설치되며, 전기한 제1연결구의 상부 개구단부와 계합되는 제2연결구에는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가 완전히 결합될 때 원추형 밸브부재가 밸브자리와 계합해서 전탈되도록 전기한 내부 작동간과 계합되며, 전기한 외부 작동간에 의해 개방되는 계합 밸브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7도는 신축 가능하며 밀폐된 용기(16)에 연결되는 제1연결구(50) 내에 부착되어 있는 밸브체 및 그 밸브체 내에 결합되는 수직관(10)을 포함하는 각종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표시한 제1도를 참조하여 용기(16)에 연결되는 제1연결구(5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16)에 연결되는 제1연결구(50)는 내부에 밸브체를 수용하고 있으며, 또한 후술될 액체생산물 방출호스의 호스연결부재와 용기(16)의 부착구 사이의 각단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제1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연결구(50)는 그 양단이 개구되어 있고, 그 개구통로를 따라서 액체 생산물을 흐르게 하며, 또한 나사부가 설치되어 있는 호스 연결부재를 나사부착 시키기 위하여 상단부의 외주벽에 설치한 나선부(50A)와, 호스 연결부재의 밑바닥부의 연(緣)부와 계합되도록 하기 위한 단(段)부(50B)와, 용기(16)의 부착구(54)의 소켓(54A) 안으로 고정되는 요홈부(50C)와, 전기한 소켓(54A) 밑바닥부에 설치된 것은 지지용 삼발이부재(56)이며, 이 삼발이부재(56)는 부착구(54)와 완전히 일체적으로 주조된다.
또한 소켓(54A)의 밑바닥부내에 삼발이 부재(56)는 그 소켓(54A)의 중앙에 위치하며 환상의 링(56A)으로서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을 통하여서 용기(16) 내로 수직관(10)을 삽입하도록 하였으며, 환상의 링(56A)으로부터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스포크(spoke)(56B)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 환상의 링(56A)에 의하여 형성되는 삼발이부재(56)의 중앙 구멍은 전기한 수직관(10)이 용기(16)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충분히 크게 설치하였으며, 그리고 와셔(52)는 용기(16)의 중앙구멍을 통하여 수직관(10)이 그 내부로 떨어져 들어가지 못하도록 보전지지하는 것이다.
전기한 삼발이부재(56)의 중앙구멍은 그 구멍내에 삽입되는 수직관(10)이 어느 정도 회전가능한 크기로 설치하면 된다.
전기한 내부에 후술할 밸브를 수용하고 있는 제1연결구(50)는 부착구(54)의 소켓(54A)내에 삽입되는데 이것을 표시한 제1도를 보면, 수직관(10)과 그 상단부에 설치된 와셔(52)는 제1연결구(50)와 삼발이 부재(56) 사이에 끼워지게 되며, 삼발이 부재(56)의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다수의 스포크(57B) 사이의 공간부로 신축가능한 용기가 설치되고, 그 용기 내로 액체가 충반되기 전에 수직관(10)은 액체 생산물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게끔 용기내로 삽입된다.
전기한 삼발이 부재(56)는, 이 삼발이 부재(56)에 접촉되지 않으며 소켓(54A)의 위에서 밀봉되는 액체 생산물을 충만시키는 기계의 연결을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 부착구(54)의 환상의 소켓(54A)의 밑바닥부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삼발이 부재(56)는 대체로 무균(無菌)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삼발이 부재(56)를 사용하는 것은 부착구(54) 내에 수직관(10)을 지지하기 위한 특별한 지지용 부재가 필요없게 되는 것이다.
제2도는 신축 가능한 용기(16)의 부착구(54) 내에 상부에서 하부까지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
제1도와 동일 부호에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제1도의 제1연결구(50)의 내부에 수용된 밸브(60)를 표시하고져 한 단면도로서, 밸브가 닫혀있거나 혹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에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제1연결구(50)는 밸브(60)의 본체와 같은 역할을 한다.
그 밸브(60)는 제1연결구(50)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그 밸브는 환상의 기부(基部)(70)가 종착지점을 이루며 완전히 일체로 주조된 스프링(66)의 작동힘으로서, 그 스프링(66)의 상단부에 설치된 원추형 밸브부재(62)가 제1연결구(50)의 밸브자리(63)와 결합되어서 밀폐된 상태로 되므로, 통상밸브가 닫혀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면 그 밸브는 한쪽으로 경사져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전기한 스프링(60)의 기부(70)는 제1연결구(50)의 내부벽속의 홈내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밸브(60)는 원추형 밸브부재(62), 스프링(66) 및 기부(70)와 같이 일체로 주조되어 있는 내부 작동간(杆)(6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 작동간(68)은 제1연결구(50)와 일체로 주조되며, 이 외부 작동간(68)은 그 주위의 유체통로(67)에 설치된 방사상의 스포크(68A)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3되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밸브(60)는 제1연결구(50)의 밸브 본체를 통하는 유체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밸브자리(63) 내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에 대하여 제4도는 제1연결구(50)의 상부에 제2연결구(72)의 삽입에 따른 밸브(60)의 작동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이 제2연결구(72)는 액체 음료분배 기계에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휘이갈(FIGAL) 시럽용기를 연결하기 위하여 포스트-믹서 음료산업(post-mix beverage industry)에서 설명되고 있는 바와 같이 재래식 연결장치이며, 제2연결구(72)의 상부는 톱니 모양의 호스연결체(76)를 가지며, 또한 저부는 제1연결구(50)의 측면벽 위에 고정된 아래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주연부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제2연결구(72)는 나선부(50A)에 의하여 제1연결구(50)에 나사부착되어진다.
제4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제2연결구(72)가 그 위치에서 제연결구(50)쪽으로 작동되어지면 내부작동간(64)을 압압하여 스프링(66)을 압축되게 하고 따라서 밸브자리(63)에 교합되어서 밀폐되고 있던 원추형 밸브부재(62)가 움직여서 하부로 이격되어진다.
이때 외부 작동간(68)도 동시에 개구부가 열리도록 하기 위하여 계합밸브부재(72A)에 대하여 제2연결구(72) 내로 밀어올린다. 그러면 제1연결구(50) 내에 수용되어 있는 밸브(60)는 열리게 되며, 이때 용기 내무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는 제1연결구(50)의 저부로부터 흘러서 제2연결구(72)의 내부를 경유하여 호스연결체(76)를 통하여 분배장치를 흘러나가게 된다.
전기한 한 쌍의 내부 작동간(64) 및 외부 작동간(68)은 독특한 잇점을 주는데, 제2연결구(72)에 의하여 압압될 때 전기한 내부 작동간(64)은 밸브(60)를 여는데 도움을 주며, 반면에 외부 작동간(68)은 제2연결구(72) 내에 계합밸브부재(72A)를 그 제2연결구(72) 내로 밀어올려서 계합밸브부재(72A)에 의하여 폐쇄되었던 통로를 여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밸브(60)의 스프링(66)은 제2연결구(72)의 계합밸브 부재(72A)를 압압하도록 하는 충분한 힘을 가지고 있지 않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작용을 하기 위해서 외부 작동간(68)이 제1연결구(50)와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연결구(50)와 일체로 되어 있는 외부 작동간(68)은 제2연결구(72)에서 요하는 것과 같은 강력한 힘으로서 그 제2연결구(72)를 작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에 의해서 본 고안에 의한 제1연결구(50)와 같이 제2연결구(72)의 다양한 설계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 부가적인 잇점으로는 제2연결구(72) 내에 강력한 스프링의 힘이 음료분배기에 의해서 발생되는 높은 진공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밀봉을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만일 외부 작동간(68)이 없다면 스프링(66)은 제2연결구(72)를 여는데 충분히 강한 힘을 가져야만 하며, 또는 그 스프링(66)의 힘에 의해서 제2연결구(72)를 밀어올린다해도 다시 복귀될 때는 고정되도록 제한하는 밑바닥부를 보유하고 있어야만 한다. 그래야만 내부 작동간(64)이 제2연결구(72)의 구멍을 열 수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와 같이 추가로 설치되는 부분은 제1연결구(50)를 복잡하게 하기 때문에 보통으로 요구되지는 않고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전체의 제1연결구(50) 그 내부에 설치된 밸브(60)는 값이 저렴한 플라스틱물질로 제작된다.
제3도 및 제4도의 실시예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밸브(60)의 스프링(66)은 환상의 기부(70)가 끝 부분이 되는 나선형으로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이 스프링(66)은 코일스프링의 형상과 유사하고 그 스프링(66)을 통하는 유체의 흐름은 방해하지 않고 자유롭게 흐르도록 한다. 이 스프링의 변형된 실시예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80B)은 원추형 밸브부재(80)로부터 연장되며, 대체로 다수의 주름이 잡혀있는 원통형이다.
내부의 작동간(80A)은 제3도 및 제4도의 실시예의 내부 작동간(64)과 동일한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또한 동일한 역할을 한다. 제5도의 주름이 잡혀있는 통형상의 스프링(80B)의 밑바닥부는, 제1연결구(50)의 내벽에 설치된 홈에 끼워져 있는 환상의 플랜지(80C)이며, 이 플랜지(80C)는 유체의 흐름을 자유롭게하기 위하여 그 주위에 다수의 유체통로(82)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였다.
제5도의 밸브는 제3도 및 제4도의 실시예에서 제1연결구(50)내에 설치된 밸브(62)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제6도를 보면 여기서는 제3도 및 제4도의 스프링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연결구를 표시하고 있다.
제6도의 제1연결구(50)는 제2연결구(72)의 다른 형태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부형태를 조금 다르게한 것으로서 즉, 연결구 위에서 나사부를 설치하여 조이도록 한 것보다 오히려 제1연결구(50)의 상단부에 홈을 설치하였으며, 이 제1연결구(50)는 상부는 좁은 직경부로 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경사가 진 단(段)부(92)와 바깥쪽으로 연장된 다수의 돌출핀(9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연결구가 제1연결구(50)의 감소된 단부에 연결되었을 때에는 "0"링 밀봉부재(90)와 같이 그 상부에 밀봉 결합되고, 완전히 연결된 위치에서 외부로 연장된 핀(94)에 연결되는 것이다. 또, 제1연결구(50)에는 부착구내로 삽입을 하거나 도는 제2연결구에 부착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손에 의해서 지지하여 연결되는 플랜지(96)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제7도에서 표시된 제1연결구(50)는 수직관(10)의 보전구(98)에 의하여 전기한 제1연결구(50)나 밸브본체의 밑바닥부에서 보전지지된 수직관(10)과 같이 제3도 및 제4도에서 표시한 형태의 밸브(60)를 보유하고 있다.
전기한 수직관 보전구(98)는 일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된 일종의 와셔이다.
그러나 제7도 실시예에서 수직관 보전구(98)는 용기의 부착구에서 보다 더 오히려(제1연결구(50)) 밸브 본체의 밑바닥부에서 수직관(10)을 보전 지지하고 있다.
이처럼 부착구에서 보다 더 오히려 밸브 본체나 혹은 제1연결구(50)에서 수직관(10)을 보전지지하는 데에는 다른 잇점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제7도에서 밸브 또는 수직관 조립체는 수직관(10) 또는 연결구의 일부분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신축가능한 용기(16)의 보조구 내로 삽입시킬 수가 있다.
이렇게 한 후 플랜지(96)에 의하여 액체 생산물과 직접 접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7도의 밸브 도는 수직관 조립체는 제1도의 삼발이부재(56)와 같은 보전지지구가 필요없이 표준규격의 용기 입구 또는 부착구에 연결하여 같이 사용할 수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부착구나 입구를 통하여서 용기내로 액체 생산물을 채우는 데에도 전혀 이상이 없다.
또한, 제7도에 표시한 밸브 또는 수직관 조립체를 보유하는 연결구의 또다른 잇점은 한개의 조립체로서 공급자로 부터 용기내에 액체생산물을 충만시키는 장소에까지 탁송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용기내에 액체생산물을 충전시키는 장소에 도착하더라도 제2차 조립단게 등이 필요없이 직접 용기내에 액체생산물등인 음료수를 채울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은 여러가지 방법으로서 변형실시 가능한 것이며, 이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근본적인 청구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액체음료가 통과되는 개구부를 갖는 부착구(54)를 포함하는 용기(16)와, 이 용기(16)로 부터 액체 음료를 분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내부를 관통하는 중앙구멍에 의해서 상, 하 개구단부가 형성되어 하부의 개구단부는 전기한 부착구(54)에 연결되고, 상부의 개구단부는 제2연결구(72)에 연결되는 제1연결구(50)와, 이 제1연결구(50)의 중앙구멍내에 위치하며 삼발이부재(56)에 형성된 밸브자리(63)와, 이 밸브자리(63)와 밀폐계합을 위해 개폐가능하게된 원추형 밸브부재(62)와, 이 원추형 밸브부재(62)를 전기한 밸브자리(63)와 밀봉계합 되도록 항상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66)과, 전기한 원추형 밸브부재(62)에 연결되고 전기한 제1연결구(50)의 상부개구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내부작동간(64)으로 부터 이루어지는 밸브(60)로서 구성된 연결구에 있어서, 전기한 내부 작동간(64)과 인접되도록 중앙구멍의 벽내를 향하여 강고하게 부착한 외부작동간(68)이 전기한 제1연결구(50)의 상부 개구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전기한 외부 작동간(68)은 제1연결구(50)의 중앙구멍의 벽으로 부터 연장되며 유체통로(67)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스포크(68A)에 의해서 지지되고, 전기한 내부작동간(64)을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한 통로가 전기한 외부 작동간(68)에 설치되며, 전기한 제1연결구(50)의 상부 개구단부와 계합되는 제2연결구(72)에는,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가 완전히 결합될 때 원추형 밸브부재(62)가 밸브자리(63)와 계합에서 이탈되도록 전기한 내부 작동간(64)과 계합되며, 전기한 외부작동간(68)에 의해 개방되는 계합밸브부재(7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체공급기용 신속분리 가능한 연결구.
KR2019840010575U 1979-07-19 1984-10-25 액체 공급기용 신속 분리가능한 연결구(Coupling) KR8500014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575U KR850001456Y1 (ko) 1979-07-19 1984-10-25 액체 공급기용 신속 분리가능한 연결구(Coup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058,866 US4286636A (en) 1979-07-19 1979-07-19 Dip tube and valve with quick-disconnect coupling for a collapsible container
US58,866 1979-07-19
KR1019800002875A KR830003338A (ko) 1979-07-19 1980-07-19 접을 수 있는 용기에서 신속히 분리할 수 있는 연결장치를 가지는 경사관과 밸브
KR830003678 1983-08-03
KR2019840010575U KR850001456Y1 (ko) 1979-07-19 1984-10-25 액체 공급기용 신속 분리가능한 연결구(Coupl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875A Division KR830003338A (ko) 1979-07-19 1980-07-19 접을 수 있는 용기에서 신속히 분리할 수 있는 연결장치를 가지는 경사관과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456Y1 true KR850001456Y1 (ko) 1985-07-15

Family

ID=2748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0575U KR850001456Y1 (ko) 1979-07-19 1984-10-25 액체 공급기용 신속 분리가능한 연결구(Coup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4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679A (ko) * 2000-06-16 2000-09-05 김재욱 교체형 샤프용 지우개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679A (ko) * 2000-06-16 2000-09-05 김재욱 교체형 샤프용 지우개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8979B2 (en) Process for dispensing fluid with a slider valve fitment and collar
CA2520324C (en) Double slider valve fitment
US9862588B2 (en) Fitment for dispensing fluids from a flexible container
US4564132A (en) Fluid dispensing assembly
US4286636A (en) Dip tube and valve with quick-disconnect coupling for a collapsible container
US6637725B2 (en) Universal quick-disconnect coupling and valve
US10906716B2 (en) Spout-connector assembly for fluid dispensing from flexible bags
US6347785B1 (en) Universal quick-disconnect coupling and valve
US4510969A (en) Connector for pressurized source of beverage concentrate
JP2009083938A (ja) タッピングロッド
AU2002222793A1 (en) Tapping rod
US3861569A (en) Beer tap
KR850001456Y1 (ko) 액체 공급기용 신속 분리가능한 연결구(Coupling)
FI72704C (fi) Snabbkopplings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6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