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9046A - 저장팩 - Google Patents

저장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9046A
KR20040049046A KR1020020076233A KR20020076233A KR20040049046A KR 20040049046 A KR20040049046 A KR 20040049046A KR 1020020076233 A KR1020020076233 A KR 1020020076233A KR 20020076233 A KR20020076233 A KR 20020076233A KR 20040049046 A KR20040049046 A KR 20040049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as
flow path
discharge valv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김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성 filed Critical 김대성
Priority to KR102002007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9046A/ko
Publication of KR20040049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04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팩에 관한 것으로서, 저장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수용부를 밀폐하는 본체와; 수용부에 내장되며 본체의 일영역에 결합되고, 수용부에서 발생된 기체를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저장팩 내에서 발생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팩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저장물을 신선하고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저장팩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저장팩{STORAGE PACKAGE}
본 발명은, 저장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팩 내에서 발생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저장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장팩은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상품가치를 높이며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특히, 김치, 퇴비, 사료 등과 같은 발효성 저장물을 저장팩에 저장하는 경우, 발효성 저장물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하여 발생하는 가스를 이겨내지 못해 폭발하는 일이 자주 발생된다.
한편, 밀봉되는 저장팩은 발효성 저장물에 의해 저장팩 내에 발생되는 가스를 줄이기 위해 발효성 저장물과 함께 가스흡수제 등을 넣어 냉장 보관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저장팩에 있어서는, 발효성 저장물의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성 저장물에서 발생된 가스가 가스흡수제 등에 의해 흡수되므로, 이에 가스흡수제의 가스 흡수용량에 따라 저장팩의 저장용량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저장팩은, 가스흡수제가 가스 흡수용량의 한계를 벗어나는 경우, 저장팩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저장팩 내의 압력이 증대하여 저장물이 손상되는 등의 저장물을 안정적으로 저장하기 곤란하며, 가스를 저장팩에 억지로 가두어 두기 때문에 제품의 신선도 및 발효식품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팩 내에서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발효제품을 신선하게 저장하며, 또한 저장팩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있고, 저장물을 안정적이며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팩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저장팩 11 : 본체
13 : 수용부 21,21' : 배출밸브
27 : 유입구 29 : 유입로
31 : 유동로 33 : 배출공
35 : 안내공 41 : 이격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팩에 있어서, 저장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를 밀폐하는 본체와;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며 상기 본체의 일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에서 발생된 기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팩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밸브는, 상호 결합하여 상기 수용부에서 발생된 기체가 유동하는 유동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동로의 기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을 가지며, 상기 배출공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밀봉하는 한쌍의 시트와; 상기 각 시트의 판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유동로와 상기 수용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수용부의 기체를 상기 유동로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밸브는, 상기 수용부에서 발생된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유동하는 유입로를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된 한쌍의 내부시트와; 상기 내부시트들을 수용하며, 상기 내부시트들과 함께 상기 유입로로부터의 기체가 유동하는 유동로와, 상기 유동로의 기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을 형성하며,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공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밀봉하는 한쌍의 외부시트와; 상기 각 내부시트의 판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유입로와 상기 유동로를 연통하며, 상기 유입로의 기체를 상기 유동로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공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로에 수용되어, 상기 유동로를 유동하는 상기 기체의 유동공간을 확보하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및 상기 배출밸브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본체 및 상기 배출밸브의 열융착 온도 보다 높은 재질로 제조함으로써, 상기 배출밸브를 상기 본체의 일 영역에 결합할 때 상기 유동로가 밀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팩(10)은, 저장물이 수용되는 수용부(13)를 가지며 수용부(13)를 밀폐하는 본체(11)와, 수용부(13)에 내장되며 본체(11)의 일영역에 결합되고 수용부(13)에서 발생된 기체를 본체(1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밸브(21)를 가진다.
본체(11)는 상부시트(15a) 및 하부시트(15b)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저장물이 수용되는 수용부(13)를 형성하며 밀폐하도록 상부시트(15a) 및 하부시트(15b)를 적층한 상태에서 각 둘레를 따라 열융착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시트(15a) 및 하부시트(15b)는 열융착이 우수하고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그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배출밸브(21)는 한쌍의 시트(23a,23b)로 이루어지며, 각 시트(23a,23b)는 수용부(13)에서 발생된 기체가 유동하는 유동로(31)를 형성함과 동시에, 유동로(31)의 기체를 본체(1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33)을 형성하도록 각 시트(23a,23b)를 적층한 상태에서 배출공(33)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를 따라 열융착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여기서, 배출밸브(21)의 각 시트(23a,23b)는 열융착이 우수한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배출밸브(21)의 재질은 본체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생산성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배출밸브(21)의 각 시트(23a,23b)의 판면에는 수용부(13)와 유동로(31)를 연통하며, 수용부(13)의 기체를 유동로(31)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공(3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안내공(35)은 수용부(13) 내에 수용된 저장물의 액체 및 고체가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미세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출밸브(21)의 유동로(31)에는 유동로(31)를 유동하는 기체의 유동공간을 확보하는 이격부재(41)가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이격부재(41)는 배출밸브(21)의 유동로(31)에 본체(11) 및 배출밸브(21)의 열융착 온도 보다 높은 재질, 일예로 테프론 또는 은박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배출밸브(21)를 본체(11)의 일측 둘레에 열융착하여도 배출밸브(21)의 유동로(31)는 접착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팩(10)의 포장과정 및 저장팩(10) 내의 기체의 배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장팩(10)의 포장과정을 살펴보면, 본체(11)를 구성하는 상부시트(15a) 및 하부시트(15b)를 적층하고, 상부시트(15a) 및 하부시트(15b)의 일측 둘레에 배출밸브(21)를 놓은 후, 저장물이 수용되는 수용부(13)를 형성하도록 본체(11)의 일측에 개구영역을 형성하며 본체(11)의 개구영역을 제외한 본체의 나머지 둘레를 따라 열융착을 한다. 이 때, 배출밸브(21)의 유동로(31)에는 본체(11) 및 배출밸브(21)의 열융착 온도 보다 높은 재질의 이격부재(41)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배출밸브(21)를 본체(11)의 일측 둘레에 열융착하여도 배출밸브(21)의 유동로(31)는 접착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수용부(13)에 원하는 저장물을 담고, 본체(11)의 개구영역의 둘레를 열융착함으로써, 수용부(13)를 밀폐함과 동시에 저장물의 포장이 완료된다.
한편, 수용부(13)의 저장물이 소정의 시간을 경과함에 따라 저장물로부터 가스 등과 같은 기체가 발생하여 저장팩(10)이 팽대해지고, 이에 저장팩(10)을 가압하면 수용부(13) 내의 기체는 배출밸브(21)의 안내공(35)을 거쳐 유동로(31)로 유입된 후, 배출공(33)을 통해 본체(1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안내공(35)은 수용부(13) 내의 액체 및 고체가 통과하지 않는 정도의 미세한 크기를 가지므로, 수용부(13) 내의 기체만이 유동로(31)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팩은 저장팩 내에서 발생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팩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저장물을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팩에 관한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팩(10')은 배출밸브(21')가 두겹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배출밸브(21')는 한쌍의 내부시트(23a,23b)와, 내부시트(23a,23b)들을 수용하는 한쌍의 외부시트(25a,25b)로 이루어진다.
한쌍의 내부시트(23a,23b)는, 수용부(13)에서 발생된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27)와, 유입구(27)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유동하는 유입로(29)를 형성하도록, 각 내부시트(23a,23b)를 적층한 상태에서 유입구(27)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를 따라 열융착에 의해 접착되어 있으며, 특히 유입구(27)를 형성하는 각 내부시트(23a,23b)의 둘레 영역은 수용부(13) 내의 기체가 유동로(31)로 유입되지 않도록 각 내부시트(23a,23b)의 외측 둘레와 각 외부시트(25a,25b)의 내측 둘레가 함께 열융착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한쌍의 외부시트(25a,25b)는, 내부시트(23a,23b)들과 함께 유입로(29)로부터의 기체가 유동하는 유동로(31)를 형성하고, 유동로(31)의 기체를 본체(1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33)을 형성하도록, 각 외부시트(25a,25b)를 적층한 상태에서 유입구(27) 및 배출공(33)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가 열융착에 의해 접착되어 있으며, 특히 유입구(27)를 형성하는 각 내부시트(23a,23b)의 둘레 영역은 수용부(13) 내의 기체가 유동로(31)로 유입되지 않도록 각 외부시트(25a,25b)의 내측 둘레와 각 내부시트(23a,23b)의 외측 둘레가 함께 열융착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또한, 배출밸브(21')의 각 내부시트(23a,23b)의 판면에는 유입로(29)와 유동로(31)를 연통하며, 유입로(29)의 기체를 유동로(31)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공(3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안내공(35)은 수용부(13) 내에 수용된 저장물의 액체 및 고체가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미세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출밸브(21')의 유동로(31)에는 유동로(31)를 유동하는 기체의 유동공간을 확보하는 이격부재(41)가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이격부재(41)는 배출밸브(21')의 유동로(31)에 본체(11) 및 배출밸브(21')의 열융착 온도 보다 높은 재질, 일예로 테프론 또는 은박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배출밸브(21')를 본체(11)의 일측 둘레에 열융착하여도 배출밸브(21')의 유동로(31)는 접착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배출밸브(21')의 배출공(33)이 외부로 향하도록 배출밸브(21')를 수용부(13)에 내장시킴과 동시에, 저장물을 담을 수 있도록 본체(11)의 일영역이 개구되도록 본체(11)의 개구영역을 제외한 본체(11)의 나머지 둘레를 따라 열융착하고, 원하는 저장물을 담고 본체(11)의 개구영역의 둘레를 열융착함으로써, 수용부(13)를 밀폐함과 동시에 저장물의 포장이 완료된다.
한편, 수용부(13)의 저장물이 소정의 시간을 경과함에 따라 저장물로부터 가스 등과 같은 기체가 발생하여 저장팩(10')이 팽대해지고, 이에 저장팩(10')을 가압하면 수용부(13) 내의 기체는 배출밸브(21')의 유입로(29)로 유입된 후 안내공(35)을 거쳐 유동로(31)로 유동하여 배출공(33)을 통해 본체(11)의 외부로배출된다. 이 때, 안내공(35)은 수용부(13) 내의 액체 및 고체가 통과하지 않는 정도의 미세한 크기를 가지므로, 수용부(13) 내의 기체만이 유동로(31)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로써, 본원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저장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내에 내장되며 본체의 일영역에 결합되는 배출밸브를 마련함으로써, 저장팩 내에서 발생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팩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저장물을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본체 및 배출밸브의 각 접합영역이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체 및 배출밸브의 각 접합영역은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팩 내에서 발생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팩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저장물을 신선하고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저장팩이 제공된다.

Claims (5)

  1. 저장팩에 있어서,
    저장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를 밀폐하는 본체와;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며 상기 본체의 일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에서 발생된 기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는,
    상호 결합하여 상기 수용부에서 발생된 기체가 유동하는 유동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동로의 기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을 가지며, 상기 배출공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밀봉하는 한쌍의 시트와;
    상기 각 시트의 판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유동로와 상기 수용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수용부의 기체를 상기 유동로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는,
    상기 수용부에서 발생된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유동하는 유입로를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된 한쌍의 내부시트와;
    상기 내부시트들을 수용하며, 상기 내부시트들과 함께 상기 유입로로부터의 기체가 유동하는 유동로와, 상기 유동로의 기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을 형성하며,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공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밀봉하는 한쌍의 외부시트와;
    상기 각 내부시트의 판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유입로와 상기 유동로를 연통하며, 상기 유입로의 기체를 상기 유동로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팩.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로에 수용되어, 상기 유동로를 유동하는 상기 기체의 유동공간을 확보하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배출밸브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본체 및 상기 배출밸브의 열융착 온도 보다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팩.
KR1020020076233A 2002-12-03 2002-12-03 저장팩 KR20040049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233A KR20040049046A (ko) 2002-12-03 2002-12-03 저장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233A KR20040049046A (ko) 2002-12-03 2002-12-03 저장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046A true KR20040049046A (ko) 2004-06-11

Family

ID=3734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233A KR20040049046A (ko) 2002-12-03 2002-12-03 저장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904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65U (ja) * 1991-07-05 1993-01-29 株式会社柏原製袋 逆止弁
KR950011498U (ko) * 1993-10-14 1995-05-16 박찬경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는 구조를 갖는 포대
JPH09132248A (ja) * 1995-11-10 1997-05-20 Kashiwabara Seitai:Kk 粉末状、粒状物質の包装袋
JPH11201307A (ja) * 1998-01-12 1999-07-30 Kawakami Sangyo Kk 自封式逆止弁、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空気緩衝材
JP2000191055A (ja) * 1998-12-24 2000-07-11 Gunze Ltd 電子レンジ用ラミネ―ト体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65U (ja) * 1991-07-05 1993-01-29 株式会社柏原製袋 逆止弁
KR950011498U (ko) * 1993-10-14 1995-05-16 박찬경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는 구조를 갖는 포대
JPH09132248A (ja) * 1995-11-10 1997-05-20 Kashiwabara Seitai:Kk 粉末状、粒状物質の包装袋
JPH11201307A (ja) * 1998-01-12 1999-07-30 Kawakami Sangyo Kk 自封式逆止弁、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空気緩衝材
JP2000191055A (ja) * 1998-12-24 2000-07-11 Gunze Ltd 電子レンジ用ラミネ―ト体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59083A1 (en) Container for cooking foodstuff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484874B1 (en) Medical container with multiple chamber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130251289A1 (en) Packaging Container
WO2011052000A1 (ja) 輸送用包装袋
SK279183B6 (sk) Vložka z plastu od zásobníka
JP3815866B2 (ja) プラスチックパウチ
JP2007186256A (ja) 自立袋
KR880000175B1 (ko) 복합포장 용기
EP2006208B1 (en) Package body
KR20040049046A (ko) 저장팩
JPH11240579A (ja) 袋又は容器に備えるガス抜き機能フイルム材
KR200318529Y1 (ko) 저장팩
JP4142775B2 (ja) 粒状物用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18814A (ja) 物品収容袋
JP6583720B2 (ja) 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注出口と保持具の組合体およびその組立方法および保持具
CN116583463A (zh) 压力调节装置及包括其的密封盛装系统
KR101587164B1 (ko) 수납 포대
JPH09240683A (ja) フレキシブル容器
KR200231429Y1 (ko)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 포장용기
JPH1081347A (ja) 小出し機能付き袋
JPH01199857A (ja) 収納容器袋
JP6843408B2 (ja) 食品保存用容器
KR101949778B1 (ko) 가압배출 비닐포장봉지
JPH10167290A (ja) 易開封性詰替え用包装袋
JP6710047B2 (ja) セパレートシール付収容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