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6612A -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6612A
KR20040046612A KR1020020074592A KR20020074592A KR20040046612A KR 20040046612 A KR20040046612 A KR 20040046612A KR 1020020074592 A KR1020020074592 A KR 1020020074592A KR 20020074592 A KR20020074592 A KR 20020074592A KR 20040046612 A KR20040046612 A KR 20040046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upport bracket
seat cushion
leaf spring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신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4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6612A/ko
Publication of KR2004004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61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4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mechanical springs
    • B60N2/546Leaf- or flexion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2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4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mechanical springs
    • B60N2/544Compression or tension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내구력과 탄력감을 확보하기 위한 콘스프링을 장착한 시트쿠션에 있어서, 스프링의 열화에 따른 처짐을 보완하고, 시트쿠션의 탄력감을 사용자가 마음대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판스프링부재의 굴곡률을 조절하여 콘스프링 지지브라켓을 상하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주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Structure of seatcusion for adjusting sitting-sense i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구력과 탄력감을 확보하기 위한 콘스프링을 장착한 시트쿠션에 있어서, 스프링의 열화에 따른 처짐을 보완하고, 시트쿠션의 탄력감을 사용자가 마음대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운행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피로감을 덜어주고 편안함을 느끼도록 하는데, 시트의 기능은 절대적이다.
상기 시트는 운전자의 신체와 직접적이고, 계속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부품이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기능을 한다.
도 3과 도 4는 시트의 내구력과 탄력감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시트로써, 도면부호 140은 콘스프링을 나타낸다.
도 3과 도 4의 각각의 부품의 조립구조 및 기능을 보면, 우선 메인 프레임(100)은 시트트랙(110)에 고정되어 시트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시트트랙(110)은 차체의 플로워 패널에 고정된다.
상기 콘스프링 지지용 브라켓(12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용접되어 있으면서, 콘스프링(1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 프레임(130)은 S스프링(150)을 잡아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콘스프링(140)을 위에서 잡아주도록 하는 역할도 함께 하고 있다.
상기 콘스프링(140)은 내구력과 탄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S스프링(150)에 추가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시트쿠션 구조는 콘스프링 지지용 브라켓(120)이 메인 프레임(100)에 용접되어 고정된 타입으로 콘스프링(140)과 S스프링(150)이 열화됨에 따라 쳐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한편, 운전자에 따라 시트쿠션이 딱딱한(hard) 것을 선호하는 사람과 소프트한(soft) 것을 선호하는 사람의 부류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이렇게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시트쿠션 구조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내구력과 탄력감을 확보하기 위한 콘스프링을 장착한 시트쿠션에 있어서, 스프링의 열화에 따른 처짐을 보완하고, 시트쿠션의 탄력감을 사용자가 마음대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판재의 굴곡률을 조절하여 콘스프링 지지브라켓을 상하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의 시트쿠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4는 종래의 자동차의 시트쿠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 프레임10a : 원형홀
11 : 시트트랙11a : 가이드홈
12 : 콘스프링 지지브라켓13 : 가이드
14 : 콘스프링15 : S스프링
16 : 판스프링17 : 가이드핀
18 : 조절레버19 : 로드
19a : 나사산20 : 너트
21 : 베어링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S스프링(15)을 지지하는 별도의 콘스프링 지지브라켓(12)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을 메인 프레임(10)상에서 원형홀(10a)과 가이드(13)를 통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S스프링(15)을 포함하는 콘스프링 지지브라켓(12)은 그 저부의 판스프링 부재와 이것의 굴곡률을 조절하는 레버수단으로 이루어진 상하조절수단에 의해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되면서 콘스프링(14)의 압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상하조절수단은 그 일측이 시트트랙(11) 상에 고정되고, 타측은 시트트랙(11) 상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핀(17)이 고정된 판스프링(16)과;
상기 가이드핀(17)에 조합되는 로드(19)와 일체로 연결되어 나사산(19a)이 형성된 너트구조를 이용한 회전방식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16)의 굴곡률을 조절하는 조절레버(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스프링 지지브라켓(12)과 판스프링(16) 사이에는 상기 판스프링(16)의 굴곡률에 따라 중심점이 이동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베어링(2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의 각각의 부품의 조립구조 및 기능을 보면, 메인 프레임(10)은 장방형 형태의 프레임으로 시트쿠션의 뼈대를 이루는 한편, 시트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10)의 양측부위에 원형홀(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홀(10a)에는 콘스프링 지지브라켓(12)이 상하로 조절가능하도록 이 콘스프링 지지브라켓(12)과 수직으로 일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가이드(13)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콘스프링 지지브라켓(12) 상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콘스프링(14)과 S스프링(15)이 융착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콘스프링 지지브라켓(12)을 상하로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상하조절수단은 판스프링 부재로 이것의 굴곡률을 조절하여 상기 콘스프링 지지브라켓(12)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16)은 그 일측이 시트트랙(11) 상에 고정되고, 타측은 시트트랙(11) 상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a)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핀(17)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핀(17)과 가이드홈(11a)은 상기 판스프링(16)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갯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16)의 굴곡률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레버(18)가 상기 가이드수단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조절레버(18)는 로드(19)와 일체로 되어 연장되고, 그 연장된 로드(19)는 상기 가이드핀(17)에 조합되어 한개의 조절레버(18)로 일괄적으로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로드(19)에는 일정간격으로 나사산(19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나사산(19a)이 형성된 부위에 너트(20)가 삽입되어 상기 시트트랙(11)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21은 판스프링(16)이 활처럼 휘는 정도에 따라 중심점이 좌우로 약간씩 이동가능하므로 이러한 작용에 의한 마찰을 없애주기 위해 적용된 베어링이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시트쿠션의 탄력감을 마음대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조절레버(18)를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레버(18)와 일체로 연결된 로드(19)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너트(20)의 나사작용으로 전후로 조절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시트쿠션을, 딱딱한 착좌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면, 조절레버(18)를 회전시켜 로드(19)를 시트쿠션 쪽으로 이동시켜 판스프링(16)의 굴곡률을 증대시켜 상기 판스프링(16)이 상방으로 휠 수 있도록 하고, 소프트한 착좌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면, 상기 로드(19)를 시트쿠션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판스프링(16)의 굴곡률을 축소시켜 상기와 같은 굴곡상태보다 상대적으로 아랫방향으로의 굴곡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메인 프레임(10) 상에 상하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콘스프링 지지브라켓(12)이 작동하게 되어 시트쿠션의 착좌감을 조절하여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는 시트 착좌감의 내구열화에 따른 착좌감을 원래 상태로 복원가능하게 할 수 있고, 착좌감을 운전자의 특성에 맞게 하드(hard)하고 소프트(soft)한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하게 해주어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한편, 기능상의 고급화로 차량의 품질을 한단계 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S스프링(15)을 지지하는 별도의 콘스프링 지지브라켓(12)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을 메인 프레임(10)상에서 원형홀(10a)과 가이드(13)를 통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S스프링(15)을 포함하는 콘스프링 지지브라켓(12)은 그 저부의 판스프링 부재와 이것의 굴곡률을 조절하는 레버수단으로 이루어진 상하조절수단에 의해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되면서 콘스프링(14)의 압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조절수단은 그 일측이 시트트랙(11) 상에 고정되고, 타측은 시트트랙(11) 상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핀(17)이 고정된 판스프링(16)과;
    상기 가이드핀(17)에 조합되는 로드(19)와 일체로 연결되어 나사산(19a)이 형성된 너트구조를 이용한 회전방식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16)의 굴곡률을 조절하는 조절레버(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스프링 지지브라켓(12)과 판스프링(16) 사이에는 상기 판스프링(16)의 굴곡률에 따라 중심점이 이동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베어링(2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
KR1020020074592A 2002-11-28 2002-11-28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 KR20040046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592A KR20040046612A (ko) 2002-11-28 2002-11-28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592A KR20040046612A (ko) 2002-11-28 2002-11-28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612A true KR20040046612A (ko) 2004-06-05

Family

ID=3734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592A KR20040046612A (ko) 2002-11-28 2002-11-28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661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4494A (zh) * 2014-05-16 2014-09-17 苏州标图高级座椅有限公司 一种减振座椅
KR20180042547A (ko) 2016-10-18 2018-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미립자 재밍을 이용한 체형 맞춤형 시트폼 조절 장치 및 방법
CN110733389A (zh) * 2019-10-18 2020-01-31 徐州德通汽车服务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垫用抗压弹簧
CN111605447A (zh) * 2019-02-26 2020-09-0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座椅
KR102199150B1 (ko) * 2020-09-17 2021-01-06 주식회사 카인드아크코리아 캠핑카용 2열시트 겸용 침대의 쿠션 부재 받침판 완충 구조
KR20210123755A (ko) 2020-04-06 2021-10-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좌감 개선을 위한 자동차 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6328A (ja) * 1982-12-09 1984-06-20 Ikeda Bussan Co Ltd サポ−ト機構
KR0115728Y1 (ko) * 1995-08-30 1998-04-21 김태구 쿠션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프런트 시트
KR19990021284U (ko) * 1997-11-29 1999-06-25 양재신 차량용 시트의 쿠션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6328A (ja) * 1982-12-09 1984-06-20 Ikeda Bussan Co Ltd サポ−ト機構
KR0115728Y1 (ko) * 1995-08-30 1998-04-21 김태구 쿠션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프런트 시트
KR19990021284U (ko) * 1997-11-29 1999-06-25 양재신 차량용 시트의 쿠션 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4494A (zh) * 2014-05-16 2014-09-17 苏州标图高级座椅有限公司 一种减振座椅
KR20180042547A (ko) 2016-10-18 2018-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미립자 재밍을 이용한 체형 맞춤형 시트폼 조절 장치 및 방법
CN111605447A (zh) * 2019-02-26 2020-09-0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座椅
CN110733389A (zh) * 2019-10-18 2020-01-31 徐州德通汽车服务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垫用抗压弹簧
KR20210123755A (ko) 2020-04-06 2021-10-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좌감 개선을 위한 자동차 시트
KR102199150B1 (ko) * 2020-09-17 2021-01-06 주식회사 카인드아크코리아 캠핑카용 2열시트 겸용 침대의 쿠션 부재 받침판 완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9972B1 (en) Lumbar support adjustment mechanism
US4334709A (en) Seat for vehicle
US7874618B2 (en) Vehicle seat with a deformable backrest
US5938284A (en) Seat bolster adjustment assembly
GB2277021A (en) A height adjustable automotive vehicle seat
WO2012023520A1 (ja) シートクッションシェルユニット及び車両用シェル型シート
JPH03222907A (ja) 椅子の弾力調節装置
JPH06261818A (ja) 椅子の背凭れの傾動緩衝装置
US6485443B1 (en) Seating products with self powered dynamic massage units
JP2008538945A (ja) シンクロ機構
KR10147021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20040046612A (ko) 자동차의 착좌감 조절용 시트쿠션 구조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20040043025A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102415251B1 (ko) 푸시형 작동블록을 구비한 차량용 럼버서포트
CN213429248U (zh) 防搓背靠背装置及具有其的椅子、床
JP2005206028A (ja) サスペンションシート
KR200174888Y1 (ko) 자동차 시트 등받이 쿠션장치
JP2008154920A (ja) 自動車シートに用いるランバー・サポート
CN113498944B (zh) 椅子及其支撑机构
KR20030021087A (ko)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JP3156982U (ja) ベッド、椅子の腰部支持構造
JPH0311079Y2 (ko)
JPH085638Y2 (ja) 椅子の傾動制御装置
KR19990021284U (ko) 차량용 시트의 쿠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