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5814A - 광 제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 제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5814A
KR20040045814A KR10-2004-7005373A KR20047005373A KR20040045814A KR 20040045814 A KR20040045814 A KR 20040045814A KR 20047005373 A KR20047005373 A KR 20047005373A KR 20040045814 A KR20040045814 A KR 20040045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eet
light
shaped
ligh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께모또히로유끼
오니시마사나리
Original Assignee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8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5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creating an anisotropic diffusion characteristic, i.e. distributing output differently in two perpendicular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1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in the bulk of the light gu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판 형상 입자(운모 등)의 판면이 시트면을 따라 배향한 복수개의 투명 수지 시트를 적층하고, 상호 융착시킨 후, 적층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스하는 것에 의해, 투명 수지(2) 내에 판 형상 입자(3)가 배향하여 분산한 광 제어 시트(1)를 얻는다. 상기 판 형상 입자는, 투명성 판 형상 입자와 반사성 판 형상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립자의 판면은 시트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판 형상 입자(3)의 판면과 시트(1)면과의 각도 θ는 45∼90°정도이다. 얻어진 광 제어 시트는, 특정한 각도 범위의 입사광을 선택적으로 산란하는 기능과, 표시면 또는 도광판에 대하여 광원이 편재해 있어도, 각도-휘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Description

광 제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LIGHT CONTRO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HEET}
종래, 액정 표시 장치에서 휘도나 각도 휘도 특성, 휘도의 균일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 광 확산 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백 라이트의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광 확산 시트에 의해 확산하고, 표시 소자의 시야각 특성에 적합한 각도 휘도 특성을 공급하여, 백 라이트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최근, 표시 품위의 상승, 저소비 전력화 등에 수반하여, 한층더 휘도의 향상이나 휘도를 유지하는 각도 범위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각도 범위의 광만을 선택적으로 확산한 입사광 각도 선택성이나,입사 방향과 산란 강도의 극대 방향을 변이시키는 축 변이 산란 혹은 입사 방향에 대한 비대칭 산란 등과 같은 고도의 광 제어 기능을 갖추는 시트가 불가결로 되어 왔다. 그런데, 통상의 광 산란 시트는, 투명 수지 시트의 표면을 매트 형상으로 가공하거나, 투명 수지 시트 내부에 산란성 미립자를 분산시키거나 하여 제조되고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광 제어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일본 특허 제2691543호 명세서에는, 중합성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경화시키고, 굴절율이 상이한 층이 중첩되도록 배열한 구조의 시트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시트에 의해, 입사광 각도의 선택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트는, 홀로그래피 기술을 응용한 광 경화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간섭색이 나타나거나, 제조 비용이 현저히 높아진다.
일본 특개2000-171619호 공보에는, 필름 내부에, 굴절율이 상이한 부분이 불규칙한 형상 및 두께로 분포하는 것에 의해, 산란 인자에 의해 굴절율의 농담 상태가 형성되고, 상기 굴절율이 상이한 부분이 필름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여 층 형상으로 분포한 이방성광 산란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트는, 입사 각도의 선택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함께, 축 변이 산란 효과 등이 얻어진다. 이러한 광 제어 시트는, 일본 특개2000-214311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하면 밝고 고정밀한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산란 인자의 형상, 두께를 불규칙하게 하는 것에 의해, 간섭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산란 인자의 형상·두께의 불규칙성에 기인하여, 산란광의 지향성이 저하하거나, 입사광 각도의 선택성이 저하한다. 즉, 본래, 입사광이 산란하지 않고 투과하여야 할 각도 범위에서, 산란성이 여전히 발현한다. 또는, 이 시트도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현저히 높아진다.
한편, 일본 특개2000-338311호 공보에는, 시트 내에서, 타원형의 소편인 굴절율이 상이한 부분이 그 장축과 단축의 방향을 일치시켜 분산하고, 또한 굴절율 차이에 의한 농담으로서 형성된 구조의 광 산란 시트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입사 각도 선택성은 매우 부족하여, 실질적으로 등방성 산란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구조를 현실로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며, 홀로그래피 기술을 갖고 있어도 용이하지 않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품위의 향상뿐만 아니라, 박형 및 경량화, 저소비 전력화가 요구되고 있다. 액정 표시면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백 라이트 유닛에서도, 정면 휘도의 개량 및 박형화와, 저소비 전력화를 양립시키는 것이 불가결하다. 백 라이트 유닛에는, 예를 들면 냉음극관으로 구성된 관 형상 광원을 도광판의 편측에 배치한 편측 광원 램프형과, 관 형상 광원을 도광판의 양측에 배치한 양측 광원 램프형의 2 종류가 있지만, 경량화 및 저소비 전력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편측 광원 램프형이 유리하다. 이러한 편측 광원 램프형의 백 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표시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최대 휘도를 부여하기 위해, 광원 램프로부터의 광을 도광하기 위한 편측 광원 램프형 백 라이트의 도광판과, 이 도광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정면 방향으로 각도 변환하기 위한 프리즘 시트로 구성된 백 라이트 유닛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광원 램프가 도광판의 편측에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광원 램프의 관 방향으로 수직인 면 내에서, 패널에 대한 정면 방향의 각도를 0°로 하고, 또한 광원 램프를 배치하고 있는 측을 마이너스(-), 다른 쪽을 플러스(+)로 하여 출사 각도 좌표를 규정하면, 예를 들면 출사 각도 120∼-30°의 범위에서 휘도의 저하가 보인다는 결함이 있다. 그 때문에, 높은 표시 품위를 얻을 수 없다.
일본 특개2000-348515호 공보에는, 도광판과 프리즘 시트와의 사이에 광 확산 시트를 배치한 백 라이트 유닛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서도 정면 휘도의 저하가 현저하여, 상기 과제의 근본적 해결에는 이르지 않는다.
또, 상기한 관 형상 광원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광원 램프가 표시면에 대하여 편측에만 편재하면, 원리적으로 각도-휘도 특성이 정면 방향에 대하여 비대칭이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표시 품위를 손상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한 각도 범위의 입사광을 선택적으로, 또한 간섭색이 나타나지 않는 균일한 백색 산란광으로서 산란하는 광 제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사 방향이 변해도 특정한 방향으로 산란광을 지향할 수 있는 비대칭성 산란 기능을 갖는 광 제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면 또는 도광판에 대하여 광원이 편재하고 있어도, 각도-휘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광 제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측에 관 형상 광원을 구비한 백 라이트 유닛에서,도광판으로부터의 출사광의 각도-휘도 특성에서의 비대칭성을 저감할 수 있고, 표시면의 정면 휘도를 향상할 수 있는 광 제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지 않고, 광 제어 시트를 간편하면서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정면 휘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백 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소정의 어스펙트비를 갖는 판 형상 입자를 투명 수지에 분산하고, 압출 성형,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해 시트 성형하면, 입자의 판면이 시트면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배향하는 것, 이러한 배향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입자(특히 투명성 판 형상 입자)의 배향 방향을 제어하면, 특정한 각도 범위의 입사광을 선택적으로 산란함과 함께, 간섭색을 발생시키지 않고 균일하게 백색 산란시킬 수 있고, 입사 방향이 변해도 특정한 방향으로 산란광을 지향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상기 판 형상 입자를 반사성 판 형상 입자로 구성하고, 이 반사성 판 형상 입자의 배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도광판으로부터의 출사광의 각도-휘도 특성에서의 비대칭성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의 광 제어 시트(또는 광 산란 시트)는, 투명 수지 내에 판 형상 입자가 배향되어 분산하고 있으며, 입자의 판면이 시트면에 대하여 직교하거나 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고 있는 시트로서, 상기 판 형상 입자가 투명성 판 형상 입자 및 반사성 판 형상 입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입자는, 통상 시트 내에서 일정하게 배향되고 있다. 상기 입자의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또는 판면의 법선과 시트면 법선과의 각도)는, 통상 45∼90°(예를 들면, 70∼90°) 정도이다.
상기 판 형상 입자가 투명성 판 형상 입자인 경우, 상기 판 형상 입자의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는 70∼90°나 45∼90°정도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각도가 70∼90°일 때, 시트면에 대하여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선택적으로 산란하거나 또는 지향 가능하며, 상기 각도가 45∼75°일 때, 시트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선택적으로 산란 가능하다. 이러한 광 제어 시트에서, 상기 투명성 판 형상 입자는, 판면의 평균 직경이 5∼200㎛ 정도, 상기 입자의 평균 두께에 대한 상기 평균 직경의 비가 5∼1000(특히 40∼100) 정도이어도 된다. 또한, 투명 수지와 투명성 판 형상 입자와의 굴절율 차는, 통상 0.01∼0.2 정도이고, 시트 두께는 50∼2000㎛ 정도이다. 상기 투명 수지가 연속상(連續相)을 구성하고, 투명성 판 형상 입자가 분산상을 구성하는 광 제어 시트에 있어서, 투명 수지의 연속상은, 셀룰로스에스테르류, 올레핀계 수지, (메트) 아크릴계 수지, 스틸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투명성 판 형상 입자의 분산상은 운모류, 활석, 몬모릴로나이트류 등 중에서 선택해도 된다. 상기 시트는, 가소제 1∼ 100 중량부를 더 함유해도 된다.
판 형상 입자가 반사성 판 형상 입자인 경우, 반사성 판 형상 입자가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예를 들면, 산화 티탄 등)로 피복된 입자이어도 된다. 상기 반사성 판 형상 입자는 판면의 평균 직경이 5∼1000㎛ 정도이어도 되며, 시트의 두께는 50∼1000㎛ 정도이어도 된다. 상기 투명 수지가 연속상을 구성하고, 반사성 판 형상 입자가 분산상을 구성하는 광 제어 시트에서, 투명 수지의 연속상은, 셀룰로스에스테르류, 올레핀계 수지, (메트) 아크릴계 수지, 스틸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반사성 판 형상 입자의 분산상은, 운모류, 활석, 몬모릴로나이트류등 중에서 선택해도 된다. 이러한 광 제어 시트는, 표시면에 대하여 광원이 편재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유닛의 구성 부재로서 유용하다. 상기 광 제어 시트는, 통상 광원(특히 관 형상 또는 점 형상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피조명체(표시 유닛 등)를 조명하기 위한 시트로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도광판의 측부(비대칭 위치, 특히 한쪽의 측부)로부터 입사시키고, 상기 도광판의 전면으로부터 출사시켜 피조명체를 이면으로부터 조명하기 위한 백 라이트용 시트로서 유용하다.
또, 판 형상 입자의 함유량은, 투명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0 중량부 정도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판 형상 입자가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하여 분산한 투명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판 형상 입자의 판면이 시트면을 따라 배향한 복수개의 투명 수지 시트를 적층하고, 상호 융착시킨 후, 적층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방향으로 슬라이스하여, 상기 광 제어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광 제어 시트는, 특정한 각도 범위의 입사광을 선택적으로 산란할 수 있고, 또한 홀로그램을 이용한 시트와 달리 간섭색을 일체 발생시키지 않고 균일한 백색 산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입사 방향이 변해도 특정한 방향으로 산란광을 지향할 수 있는 비대칭성 산란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 광 제어 시트는, 표시 유닛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하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 또는 액정 표시 유닛과 조합하여 이용하기에 유용하다.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은, 예를 들면, 측부로부터의 입사광을 전면으로부터 출사시키기 위한 도광판과, 이 도광판의 측부에 배치된 광원과,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과 상기 표시 유닛과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광 제어 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광 제어 시트는,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지 않고, 실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 광학계에서, 휘도나, 각도-휘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음과 함께, 다양한 각도 범위의 입사광을 선택적으로 산란할 수 있고, 장식용으로도 유용한 광 제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의 표시면을, 관 형상 광원에 의해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백 라이트 유닛(편측 광원 램프형 백 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각도-휘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광 제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 제어 시트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적층 융착체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백 라이트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5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의 단면을 도시하는 현미경 사진.
도 6은 실시예 1∼실시예 10에서의 입사 각도-산란 강도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7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의 산란각-산란 강도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8은 실시예 2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의 단면을 도시하는 현미경 사진.
도 9는 실시예 1∼실시예 4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의 정면 입사광원에 대한 산란각-산란 강도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0은 실시예 4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의 산란각-산란 강도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1은 실시예 5 및 실시예 6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의 입사 각도-직진 투과 강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2는 실시예 7 및 실시예 8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의 산란각-산란 강도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3은 실시예 9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의 산란각-산란 강도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4는 실시예 10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의 산란각-산란 강도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5는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의 단면을 도시하는 현미경 사진.
도 16은 실시예 11,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서의 각도-산란 강도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7은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의 산란각-산란 강도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8은 실시예 12에서 제작한 백 라이트 유닛 A, B에서의 각도-상대 휘도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9는 비교예 1에서 제작한 백 라이트 유닛 C, D에서의 각도-상대 휘도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광 제어 시트는, 투명 수지의 연속상과, 이 투명 수지 내에 소정 방향으로 배향하여 분산한 판 형상 입자의 분산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판 형상 입자는, 투명성 판 형상 입자 및 반사성 판 형상 입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투명 수지]
본 발명의 광 제어 시트의 연속상은, 투명성이나 성형성, 내충격성 등의 점에서 투명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투명 수지에는, 셀룰로스 유도체, 올레핀계 수지, 할로겐 함유 수지, 비닐 알콜계 수지, 비닐에스테르계 수지, (메트) 아크릴계 수지, 스틸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된다. 또, 투명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인 경우가 많지만, 열경화성 수지(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이어도 된다.
셀룰로스 유도체로서는, 셀룰로스에스테르류(셀룰로스아세테이트, 셀룰로스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스부틸레이트, 셀룰로스프탈레이트 등), 셀룰로스커버메이트류, 셀룰로스에테르류(알킬셀룰로스, 벤질셀룰로스, 히드록시알킬셀룰로스, 카르복실메틸셀룰로스, 시아노에틸셀룰로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셀룰로스 유도체는, 셀룰로스에스테르류(특히, 셀룰로스아세테이트, 셀룰로스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스부틸레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등)이다.
올레핀계 수지에는, 예를 들면, C2-6올레핀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메틸펜텐-1) 등), C2-6올레핀과 공중합성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에틸렌-(메트) 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트)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올레핀계 수지에는,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 함량이 90몰% 이상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메틸펜텐-1) 등이 포함되며, 결정성 올레핀계 수지이어도 된다.
할로겐 함유 수지로서는, 할로겐화 비닐계 수지(폴리염화 비닐 등의 염화 비닐 또는 불소 함유 단량체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염화 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화 비닐-(메트)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염화 비닐 또는 불소 함유 단량체와 공중합성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등), 할로겐화 비닐리덴계 수지(폴리 염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또는 염화 비닐 또는 불소 함유 비닐리덴 단량체와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비닐 알콜계 수지의 유도체에는, 폴리비닐 알콜,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비닐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비닐에스테르계 단량체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폴리아세트산비닐 등), 비닐에스테르계 단량체와 공중합성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아세트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메트)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메트)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트) 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 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 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 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트) 아크릴산에스테르-스틸렌 공중합체(MS 수지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메트) 아크릴계 수지에는, 폴리(메트) 아크릴산 C1-6알킬,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스틸렌계 수지에는, 스틸렌계 단량체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폴리스틸렌, 스틸렌-α-메틸스틸렌 공중합체 등), 스틸렌계 단량체와 공중합성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스틸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S 수지), 스틸렌-(메트)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스틸렌-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등), 스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는, 테레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알킬렌글리콜을 이용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브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브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호모폴리에스테르, 알킬렌아릴레이트 단위를 주성분(예를 들면, 5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5∼100몰%, 더 바람직하게는 80∼100몰%)로서 포함하는 코폴리 에스테르 등), 아디핀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이용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액정성 폴리에스테르 등이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예를 들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알킬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아릴레이트 호모폴리에스테르, 알킬렌아릴레이트 단위의 함유량이 80몰% 이상의 코폴리에스테르, 액정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등이어도 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비정질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예를 들면, 폴리알킬렌아릴레이트에 있어서, 디올 성분(C2-4알킬렌글리콜) 및/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의 일부(예를 들면, 10∼80몰%, 바람직하게는 20∼80몰%, 더 바람직하게는 30∼75몰% 정도)로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프탈산, 이소프탈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아디핀산 등)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이용한 코폴리에스테르 등이어도 된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로서는, 나일론46,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나일론612, 나일론11, 나일론12 등의 지방족 폴리아미드, 크실렌 디아민아디페이트(MXD-6) 등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호모폴리아미드에 한하지 않고 코폴리아미드이어도 된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는 비스페놀류(비스페놀 A 등)을 베이스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아릴카보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포함된다.
폴리에테르계 수지로서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폴리옥시메틸렌(폴리아세탈호모 또는 코폴리머 등),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을 예시할 수 있고, 폴리술폰계 수지로서는,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탄성 중합체, 폴리올레핀계 탄성 중합체, 폴리아미드계 탄성 중합체, 스틸렌계 탄성 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연속상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통상 투명성 및 열 안정성이 높은 수지가 사용된다. 연속상을 구성하는 바람직한 성분에는, 셀룰로스 유도체(특히 셀룰로스에스테르류), 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메트) 아크릴계 수지, 스틸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연속상을 구성하는 수지는 결정성 또는 비정질이어도 된다.
또, 연속상을 구성하는 수지는, 융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130∼280℃ 정도, 바람직하게는 140∼270℃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150∼260℃ 정도의 수지이어도 된다.
[판 형상 입자]
광 제어 시트의 입자는 판 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다. 「판 형상」의 형상이란, 상하면이 상호 평행한 평면을 갖고 있고, 상하(또는 두께) 방향과 비교하여 연면 방향의 길이가 긴 형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입자는 면 방향으로부터 보면 부정형을 이루고 있고, 가로 방향으로부터 보면 가로로 긴 사다리꼴 또는 바늘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판 형상 입자는, 투명성 판 형상 입자 및 반사성 판 형상 입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투명성 판 형상 입자)
투명성 판 형상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 등의 비정성 무기 물질, 알루미나, 수산화 알루미늄, 운모류(백 운모, 금 운모, 합성 운모 등의 운모류), 활석, 몬모릴로나이트류, 클레이류(카올린클레이, 피로필라이트클레이 등) 등의 판 형상 무기 결정, 가교 아크릴계 수지, 가교 폴리스틸렌계 수지, 가교 폴리술폰계 수지 등의 수지편을 비롯한 폴리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판 형상 입자는 단독이거나 또는 2종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판 형상 입자는, 운모류, 활석, 몬모릴로나이트류 등이다. 또, 판 형상 입자는 투명성이 높은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광 산란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착색한 판 형상 입자, 예를 들면, 그래파이트(천연 또는 합성 흑연) 등을 포함해도 된다. 바람직한 판 형상 입자는, 예를 들면 운모류, 활석, 몬모릴로나이트류 등이다.
또, 판 형상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받지 않으며, 무정형 판 형상, 다각판 형상(삼각판 형상, 사각판 형상, 육각판 형상 등), 타원판 형상, 원판 형상 등이어도 된다. 판 형상 입자로서는, 타원판 형상, 특히 원판 형상 등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투명성 판 형상 입자에서, 판면의 평균 직경은 5∼200㎛, 바람직하게는 7∼200㎛, 더 바람직하게는 10∼150㎛(특히 20∼100㎛) 정도이다. 평균 직경이 너무 작으면, 입사광을 산란시키지 않고 투과해야 할 입사 각도 범위에서도 산란이 발생하여, 입사 각도의 선택성을 얻을 수 없으며, 너무 크면, 외관을 손상시킨다.
투명성 판 형상 입자의 어스펙트비(=판 형상 입자에서의 판면의 평균 직경/입자에서의 평균 두께)는, 5∼1000, 바람직하게는 10∼500(예를 들면, 20∼500), 더 바람직하게는 30∼100(특히 40∼100) 정도이다. 입자의 어스펙트비가 너무 작거나, 타원형 등과 같은 구에 가까운 형상이면, 배향성이 저하하거나, 입사 각도 선택성 산란 기능과 비대칭 산란 기능 등의 광 제어 기능이 손상된다.
판 형상 입자를 투명성 판 형상 입자로 구성하는 경우, 투명성 판 형상 입자와 투명 수지와의 평균 굴절율 차는 0.001 이상(예를 들면, 0.01∼0.2 정도), 바람직하게는 0.01∼0.15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0.05∼0.15 정도이다.
(반사성 판 형상 입자)
반사성 판 형상 입자는, 판 형상 입자 자체가 광 반사성을 갖는 입자(예를 들면, 표면 처리되어 있어도 되는 알루미늄 등)이어도 되며, 판 형상 입자에 광 반사성을 부여한 입자이어도 된다. 반사성 판 형상 입자는, 통상 상기 투명성 판 형상 입자의 항에서 예시한 판 형상 입자와, 이 판 형상 입자를 피복하고, 또한 광반사성을 부여하기 위한 성분(특히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 및 금속 산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광택을 나타내는 다양한 성분, 예를 들면 티탄, 지르코늄, 알루미늄 등의 금속,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산화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피복량은, 예를 들면 판 형상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0 중량부(예를 들면, 5∼5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5∼30 중량부 정도이어도 된다.
반사성 판 형상 입자에서, 판면의 평균 직경은, 예를 들면 5∼1000㎛(예를 들면, 5∼500㎛), 바람직하게는 10∼500㎛(예를 들면, 10∼300㎛), 더 바람직하게는 20∼300㎛(예를 들면, 20∼200㎛) 정도이다. 평균 직경이 너무 작으면, 반사성뿐만 아니라 산란성이 발현하여, 출사광의 지향성이 저하하여 높은 표시 품위를 얻을 수 없으며, 너무 크면, 외관을 손상시킨다.
반사성 판 형상 입자의 어스펙트비(=판 형상 입자에서의 판면의 평균 직경/입자에서의 평균 두께)는 5∼10000, 바람직하게는 10∼5000, 더 바람직하게는 10∼3000 정도이다. 입자의 어스펙트비가 너무 작거나, 타원 등과 같은 구에 가까운 형상이면, 배향성이 저하하거나, 높은 표시 품위를 얻을 수 없으며, 어스펙트비가 너무 크면 외관을 손상시킨다.
판 형상 입자의 비율은, 통상 높은 광 제어성을 실현할 수 있는 범위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투명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50 중량부 정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성 판 형상 입자와 반사성 판 형상 입자를 조합하여 이용해도 되지만, 통상 어느 하나의 판 형상 입자가 사용된다. 투명판 형상 입자를 이용하면, 입사광의 선택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특정한 각도 범위의 입사광을 선택적으로, 또한 간섭색이 나타나지 않는 균일한 백색 산란광으로서 산란할 수 있거나, 입사 방향이 변해도 특정한 방향으로 산란광을 지향할 수 있다. 반사성 판 형상 입자를 이용하면, 표시면 또는 도광판에 대하여 광원이 편재해도, 각도-휘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관 형상 광원을 구비한 편측 광원 램프형 백 라이트 유닛에 적합하다.
투명성 판 형상 입자의 비율은, 원하는 광 산란 특성에 대응하여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투명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3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1∼20 중량부(예를 들면, 1∼10 중량부) 정도이다.
반사성 판 형상 입자의 비율은, 원하는 광 제어성에 대응하여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투명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30 중량부(예를 들면, 0.1∼2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2∼10 중량부(예를 들면, 0.2∼5 중량부) 정도이다.
[첨가 성분]
상기 수지 성분은, 필요에 따라, 변성(예를 들면, 고무 변성) 또는 가소화(예를 들면, 연질 염화 비닐계 수지 등과 같이 가소제의 첨가에 의한 가소화, 또는 연질 성분의 중합에 의한 가소화)되어도 되며, 투명 수지에는 다양한 성분을 첨가해도 된다. 특히, 판 형상 입자로서 투명성 판 형상 입자를 이용한 경우에 유효하다. 예를 들면, 성형성과 기계 강도 등을 향상하기 위해, 가소제를 첨가해도 된다. 예를 들면, 셀룰로스에스테르류의 성형성이나 가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탈산에스테르계 가소제[DEP(디에틸프탈레이트), DBP(디브틸프탈레이트), DOP(디옥틸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등의 디 C1-12알킬프탈레이트 등], 지방족 다가(多價) 카르복실산에스테르[아디핀산디에틸, 아디핀산디부틸, 세바신산디옥틸 등의 C6-12알칸카르복실산 C2-12알킬에스테르 등], 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TPP(인산트리페닐), 인산트리브틸 등], 다가 알콜의 카르복실산에스테르[에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트리아세틴 등의 다가 알콜아세트산에스테르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의 가소제는 단독이거나 또는 2종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투명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첨가량은, 투명 수지의 종류에 따라, 예를 들면 1∼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75 중량부 정도의 범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 제어 시트는, 광 산란성을 보조적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증가시키기 위해, 투명성 판 형상 입자 외에, 비판 형상 입자(예를 들면, 구형, 타원형, 무정 형상 등의 입자)를 포함해도 된다. 이러한 비판 형상 입자로서는, 무기 입자(예를 들면, 탄산칼슘, 산화티탄 등), 유기 입자(가교 메타크릴산메틸계 중합체, 가교 폴리스틸렌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비판 형상 입자의 함유량은, 판형상 입자보다도 소량인 것이 통상적으로, 예를 들면 투명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0 중량부 정도이어도 된다.
또한, 광 제어 시트는, 안정제(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등), 대전 방지제, 난연제, 착색제, 분산제 등을 포함해도 된다.
[시트의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광 제어 시트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제어 시트(1)는, 투명 수지(2)와, 이 투명 수지 내에 분산한 판 형상 입자(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판 형상 입자는 시트(또는 투명 수지 매트릭스) 내에서 일정하게 배향하고 있다. 그리고, 판 형상 입자(3)의 판면은 시트(1)면에 대하여 직교 또는 소정의 각도 θ로 경사져 있다. 상기 입자(3)의 판면과 시트(1)면과의 각도(판면의 법선과 시트면의 법선과의 각도) θ는, 광 산란 기능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45∼90°(바람직하게는 60∼90°, 더 바람직하게는 70∼90°) 정도의 범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광 제어 시트는, 입사광에 대한 다양하고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투명성 판 형상 입자를 이용한 광 제어 시트는, 특정한 각도 범위의 입사광을 선택적으로 산란시키는 입사 각도 선택성 산란 기능과, 입사 방향이 변해도 특정한 방향으로 산란광을 지향시키는 기능(비대칭성 산란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광 제어 시트에서, 상기 각도 θ는 70∼90°(예를 들면, 75∼90°), 특히 80∼90°(예를 들면, 85∼90°)나 70∼89°(예를 들면, 75∼89°) 정도이어도 되며, 45∼75°(예를 들면, 45∼70°) 정도이어도 된다.
상기 광 제어 시트의 기능과 상기 각도 θ와의 관계를 예시하면, 예를 들면 정면 방향(시트면에 대하여 수선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에 대하여 특정한 광 산란 기능을 유효하게 발현시키는 경우, 상기 각도 θ는 통상 70∼90°(바람직하게는 75∼90°) 정도의 범위 중에서 선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정면 근변의 각도 범위(예를 들면, 정면 방향에 대하여 ±30°의 범위)의 입사광만을 선택적으로 산란(정면 입사 선택성 산란)시키는 경우나, 입사 방향이 변해도 특정한 방향으로 산란광을 지향하거나 또는 집광시키는 기능(비대칭성 산란 기능)을 부여하고, 정면 방향으로 지향하여 산란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각도 θ는 예를 들면, 80∼90°(바람직하게는 85∼90°) 정도이다. 또한, 정면 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특정 방향으로 시프트(예를 들면, 5∼30°, 특히 10∼30°의 범위에서 시프트)시켜 산란(축 변이 산란)시키는 경우, 상기 각도 θ는, 예를 들면 70∼89°(바람직하게는 75∼89°) 정도이다.
또한, 특정한 경사 입사광(예를 들면, 정면 방향에 대하여 10∼80°, 특히 20∼80°의 각도)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산란시키는 경우(경사 입사 선택성 산란)에는, 상기 각도 θ는, 예를 들면 45∼75°(바람직하게는 45∼70°) 정도이다.
반사성 판 형상 입자를 이용한 광 제어 시트는 입사광의 일부를 입사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반사(혹은 각도 변환)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백 라이트 유닛에 장착하면, 상기 광 제어 시트는 도광판으로부터의 출사광의 각도-휘도 특성에서의 비대칭성을 저감할 수 있고, 표시 품위를 높이는 기능을 갖는다.
광 제어 시트에 있어서의 판 형상 입자의 배열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판 형상 입자의 무게 중심의 위치는 투명 수지 시트 내에서 랜덤하게 배치해도 되며,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분산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 제어 시트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3000㎛, 바람직하게는 30∼2000㎛ 정도의 범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투명성 판 형상 입자를 이용한 광 제어 시트의 두께는 높은 입사 각도 선택성 등을 실현하기 위해, 예를 들면 50∼2000㎛, 바람직하게는 80∼1000㎛, 더 바람직하게는 100∼800㎛ 정도이다.
반사성 판 형상 입자를 이용한 광 제어 시트의 두께는 높은 광 제어성을 실현하기 위해, 예를 들면 50∼1000㎛, 바람직하게는 50∼800㎛, 더 바람직하게는 70∼500㎛(예를 들면, 70∼300㎛) 정도이다.
[광 제어 시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 제어 시트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종래의 광 제어 시트와 달리,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지 않고, 제조 가능한 것이 큰 이점이다. 이러한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판 형상 입자의 판면이 시트면을 따라 배향하여 분산한 복수개의 투명 수지 시트(원반 시트)를 적층하고, 상호 융착시킨 후, 적층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로 슬라이스 또는 절단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또, 복수개의 원반 시트의 적층체의 적층면은, 슬라이스면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어도 되며, 경사져 있어도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공정도이다. 이 예에서는, 투명 수지와 판 형상 입자로 구성된 복수개의 원반 시트(11)를 적층면을 수평면에 대하여 대략 연직 방향을 향하여 적층하여 적층체(12)를 형성하고, 상기 판 형상 입자의 배향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이 적층체(12)를 가열 융착하여 일체화한 적층 융착체(13)를 형성하며, 이 적층 융착체의 적층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로 슬라이스하여, 광 제어 시트(14)를 조제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판 형상 입자의 판면이 시트면에 대하여 대략 90°의 각도로 배향한 광 제어 시트(14)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적층체의 개략도이다. 이 예에서는, 적층체(22)에서, 복수개의 원반 시트를 각도 θa로 경사시켜 적층하고 있다. 즉, 복수개의 원반 시트의 적층체에서, 측면을 각도 θa로 경사시키고 있고, 적층체의 양측면의 경사 각도 및 판 형상 입자의 배향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열하여 블록 형상 적층 융착체를 조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블록 형상 적층체의 측면을 경사시켜 적층 융착체를 조제하면, 적층 융착체를 그 상단면 또는 하단면 방향으로 슬라이스하는 것에 의해, 시트면에 대하여 판 형상 입자의 배향 각도가 상이한 광 제어 시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융착체의 측면의 경사 각도에 의해 시트면에 대하여 판 형상 입자의 배향 각도를 용이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
또, 원반 시트는 압출 성형 등의 시트 성형 방법에서, 절첩, 압출 라미네이트 등을 이용하여 연속적이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순차적으로 적층해도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적층과 함께 적층 융착체를 얻을 수 있다.
슬라이드 또는 절단 방향은 원반 시트의 적층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이면되며, 통상 적층면(원반 시트의 면) 방향을 X 축 방향, 적층 방향을 Y 축 방향, 적층 방향과 직교하거나 또는 교차하는 두께 방향을 Z 축 방향으로 할 때, 적층 융착체의 X-Y 면을 중심으로 하여 15°(바람직하게는 10°) 정도의 각도 범위의 면(특히 실질적으로 X-Y 면)을 따라 슬라이스하는 경우가 많다.
또, 상기 원반 시트는 전단력의 작용에 의해 판 형상 입자가 시트 성형에 수반하여 시트의 면 방향으로 배향하는 것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작 가능하다. 예를 들면, 투명 수지와 판 형상 입자를 용융 혼합하여,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여 성형하는 것에 의해 원반 시트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와 판 형상 입자를 혼합하고, 그 용융물을 가열 하 또는 비가열 하에서 프레스하는 것에 의해서도 원반 시트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 예를 들면, 캘린더 가공, 사출 성형법, 용매를 포함하는 도우프를 흘리어 성형하는 캐스트법 등에 의해서도 원반 시트를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성형에서, 사출, 압출이나 프레스에 수반하는 전단력에 의해, 판 형상 입자의 면이 시트면을 따르도록 배향한다.
본 발명의 시트는, 입사광에 대한 다양한 우수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면 광원 장치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광학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투명성 판 형상 입자를 이용한 시트는, 특정한 각도 범위의 입사광을 선택적으로 산란하는 기능(입사 각도 선택성 산란 기능)이나, 입사 방향이 변해도 특정한 방향으로 산란광을 지향할 수 있는 비대칭성 산란 기능을 갖고 있고, 광 제어 시트를 투과한 투과광에 상기 광 산란 기능을 부여하는데 유용하다. 그 때문에, 이러한 광 제어 시트는, 광 산란 기능이 요구되는 다양한 용도,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반사형 또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서, 액정 패널(표시면)의 전면, 액정 패널과 광원과의 사이 등에 배치하는 광 산란 시트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반사성 판 형상 입자를 이용한 시트는, 광원(특히 관 형상 광원)이 도광판이나 표시면에 대하여 편재하고 있어도, 입사광의 일부를, 입사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반사시켜 각도 변환하고, 도광판의 출사면이나 표시면에서의 각도-휘도 특성에서의 비대칭성을 개선할 수 있고, 정면 휘도를 향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광 제어 시트는, 각도-휘도 특성을 대칭화하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이나 액정 표시 장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도광판의 출사면으로부터 액정 표시 유닛 또는 액정 패널 등의 표시 유닛과의 사이 등에 배치하는 광 기능 시트로서 이용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
본 발명의 광 제어 시트(특히 반사성 판 형상 입자를 이용한 시트)는, 광원(특히 관 형상 광원이나 점 형상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피조명체를 조명하기 위한 시트, 특히 표시면 또는 도광판에 대하여 광원이 편재한 부위에 배치된 백 라이트 유닛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시트로서 유용하다. 상기 백 라이트 유닛에서는, 광원 램프가 표시면 또는 도광판의 편측에 편재한 백 라이트라면, 백 라이트 유닛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 관 형상 광원으로는 냉음극관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점 형상 광원으로는 LED(발광 다이오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도 4는 백 라이트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백 라이트 유닛은, 한쪽의 측부에 입사면(31a)을 가짐과 함께 전면에 출사면(31b)을 갖는 단면 쐐기 형상의 도광판(31)과, 이 도광판의 한쪽의 측부(입사면측)에 배치된 관 형상 광원(냉음극관 등 : 32)과, 상기 도광판(31)의 출사면(31b)측에 배치되어, 단면 삼각 형상의 프리즘 열을 갖는 프리즘 시트(33)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관 형상 광원(32)의 측부에는 관 형상 광원을 둘러싼 반사 프레임(34a)이 배치되고, 도광판(31)의 이면에는 반사판(34b)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백 라이트 유닛에서는 관 형상 광원(32)으로부터의 광을 도광판(31)의 측부(31a)로부터 입사시키고, 상기 도광판(31)의 출사면(전면 : 31b)으로부터 출사시키고, 상기 도광판(31)의 출사면(31b)의 프론트측에 배치된 피조명체로서의 표시 유닛(액정 표시 유닛 등, 도시 생략)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할 수 있다. 그러나, 관 형상 광원(32)이 도광판(31)의 한쪽의 측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광판(31)의 출사면(31b) 및 표시 유닛의 표시면의 정면 방향에 대하여, 대칭인 각도-휘도 특성이 손상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상기 도광판(31)의 출사면(31b)에, 투명 점착층(36)을 개재하여, 상기 광 제어 시트(35)를 적층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광 제어 시트(35)의 반사성 판 형상 입자의 판면은, 시트면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거나, 또는 관 형상 광원(32)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반사성 판 형상 입자의 판면은 출사면(31b)측보다도 표시 유닛측이 경도(도 4에서, 우측 경사 상측 방향으로 경사)되어 있다(또는 표시 유닛측으로부터도 출사면(31b)측이 관 형상 광원(32)측으로 시프트하여 경사져 있음). 이와 같은 백 라이트 유닛에서는, 도광판(31)의 출사면(31b)으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상기 반사성 판 형상 입자로 반사할 수 있기 때문에, 도광판(31)의 출사면(31b) 및 표시 유닛의 표시면의 정면 방향에 대하여, 각도-휘도 특성을 대칭화할 수 있음과 함께 특정한 각도에 의한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표시 유닛을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표시 유닛의 정면 휘도 특성을 개선하여, 표시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은, 표시 유닛으로서의 액정 표시 유닛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액정 표시 유닛과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도 개시한다.
또, 백 라이트 유닛에서, 프리즘 시트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며, 프리즘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 단일이거나 또는 복수개의 프리즘 시트를 이용해도 된다. 복수개의 프리즘 시트는 프리즘열을 교차시켜 배치해도 된다. 또한, 프리즘 시트는 프리즘 열을 표시 유닛측 및/또는 도광판측을 향하여 배치해도 된다. 또한, 필요하면, 광 확산판 또는 광 확산 시트를 상기 도광판과 표시 유닛과의 사이의 광로에 배치해도 된다.
광 제어 시트는 백 라이트 유닛의 적소에 장착할 수 있고, 장착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한 예에서, 광 제어 시트는 프리즘 시트의 전면에 배치하거나 또는 장착해도 되고, 프리즘 시트와 도광판과의 사이에 협지시켜도 되며, 광 확산판과 적층해도 된다. 또, 반사에 의한 손실을 저감하기 위해, 광 제어 시트는 다른 부재와 투명 점착층을 개재하여 밀착시켜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성 판 형상 입자가 특정한 구조로 분산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한 각도 범위의 입사광을 선택적으로, 또한 간섭색이 나타나지 않는 균일한 백색 산란광으로서 산란할 수 있다. 또한, 입사광 각도의 선택성을 향상할 수 있고, 산란광에 지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의 연속상에 반사성 판 형상 입자가 배향하여 분산하고 있으므로, 표시면 또는 도광판에 대하여 광원이 편재하고 있어도, 각도-휘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편측에 광원(관형 또는 점 형상 광원)을 구비한 백 라이트 유닛에서도, 도광판으로부터의 출사광의 각도-휘도 특성에서의 비대칭성을 저감할 수 있고, 표시면의 정면 휘도를 향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본 발명의 광 제어 시트는,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정면 휘도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의 구성 부재로서 유용하다.
또한,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지 않고, 광 제어 시트를 간편하면서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원반 시트의 제작>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플레이크(다이셀 화학 공업(주) 제조 아세틸화 정도 53%)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에틸프탈레이트 50 중량부, 안정제(아사히전화(주) 제조 「포스파이트 PEP36」과, 다이셀 화학 공업(주) 제조, 에폭시화 소이빈유, 「다이맥 S-300K」와, 일본 유지(주) 제조, 산화 방지제, 「안티옥스 L」을 4 : 4 : 2(중량비)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1 중량부를 블렌드하고, 투명 수지 시트의 원반 후레이크를 제작하였다. 이 원반 후레이크에, 투명 운모 미립자(토피 공업(주) 제조 「PDM10B」, 판면의 평균 직경 12㎛, 두께 0.2㎛) 3 중량부를 첨가하고, 235℃에서 가열하고, 혼합한 후, 냉수 속에서 고화시켜 펠릿 형상으로 재단하였다. 이 펠릿을 90℃에서 2시간 건조한 후, 180℃로 가열하고, 혼합한 후에 폭 10㎝, 두께 0.5㎜의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원반 시트를 성형하였다. 이 원반 시트의 단면 사진을 관찰한 결과, 시트면을 따라 판 형상 입자가 배향하여, 분산하였다. 이하, 좌표계로서, 원반 시트의 압출 방향을 X 축 방향으로 한다.
<블록 조합 및 슬라이스>
이 원반 시트를 X 축 방향으로 길이 30㎝ 폭으로 재단하여 단책상으로 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책상 원반 시트(11)를 400매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고, 적층체(12)의 양측부로부터 압력을 가하면서 180℃로 가열하여, 상기 적층체의 원반 시트를 융착하여, 적층 융착체(블록 : 13)를 제작하였다. 또, 좌표계로서, 이 블록(13)의 적층 방향을 Y 축 방향, 높이 방향을 Z 축 방향으로 한다. 얻어진 블록의 크기는, 각각 X 축 방향 30㎝, Y 축 방향 20㎝, Z 축 방향 10㎝였다. 이 블록(13)을, Z 축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하여, X 축 방향(X-Y 면)을 따라 두께 0.7㎜로 슬라이스하여, 길이 30㎝, 폭 20㎝의 광 제어 시트(14)를 얻었다. 또, 원반 시트 및 블록, 광 제어 시트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 및 좌표계를 도 2에 도시한다.
얻어진 광 제어 시트(14)의 Y-Z 면을 따른 단면도(현미경 사진)를 도 5에 도시한다. 시트 내에서 운모 미립자는 일정하게, 판면이 Y 축 방향을 향하여 배향하고 있고, 운모 미립자의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90°이었다.
이 광 제어 시트(14)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축이 회전축으로 되도록 광 산란 측정 장치(무라카미 색채 공학 연구소 제조, 「각도 변환광도계」)에 부착하고, 정면으로부터 직선 백색 광원(21)을 입사하고, X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수광부(22)를 각도 변환하여, 산란각-산란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X 축을 축으로 입사 광원의 입사 방향을 정면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0°변이되며, 마찬가지로 하여, 입사각= 10°에서의 각도-산란 강도를 측정하였다. 마찬가지로, X 축을 축으로 입사광원의 입사각을 정면으로부터 각각 20°, 30°변이시키고, 마찬가지로 하여, 입사각=20° 또는 30°에서의 산란각-산란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에서, 산란각=0°는 시트면에 대한 법선 방향을 도시한다. 도 7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입사각의 변화에 대해서도 비대칭 산란에 의해, 항상 산란각=0°의 방향으로 산란광을 지향시키고 있다. 즉, 집광 작용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조제한 원반 시트를, X 축 방향으로 길이 30㎝ 폭으로 재단하고, 단책상 원반 시트를 조제하였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책상 원반 시트를, 수선으로부터의 각도 θa=10°로 상단을 가로 방향으로 기울여 400매 적층하고 적층체의 양측부로부터 압력을 가하면서 180℃로 가열하고, 적층체의 원반 시트를 융착하여, 양측부가 각도 10°로 경사한 블록을 제작하였다. 이 블록을 Z 축 방향이 두께 방향이 되도록, X 축 방향(X-Y 면)을 따라 두께 0.6㎜로 슬라이스하여 광 제어 시트를 얻었다.
이 광 제어 시트의 Y-Z 면을 따른 단면도(현미경 사진)를 도 8에 도시한다. 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내에서 운모 미립자는 일정하게,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 80°로 배향하고 있었다.
실시예 3
블록의 측면의 경사 각도 θa를 15°로 하는 것외에,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0.8㎜의 광 제어 시트를 얻었다. 이 광 제어 시트의 Y-Z 면을 따른 단면을 관찰한 바, 시트 내에서 운모 미립자는 일정하게, 판면의 법선과 시트면 법선과의 각도 75°로 배향하고 있었다.
실시예 4
블록 측면의 경사 각도 θa를 20°로 하는 것외에,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0.6㎜의 광 제어 시트를 얻었다. 이 광 제어 시트의 Y-Z 면을 따라 자른 단면을 관찰한 결과, 시트 내에서 운모 미립자는 일정하게, 판면의 법선과 시트면 법선과의 각도 70°로 배향하였다.
실시예 1∼실시예 4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에 대하여, 각각 도 6에 도시하는 광 산란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정면 입사광원에 대한 산란각-산란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도시한다. 실시예 3∼실시예 4의 광 제어 시트에서 판 형상 입자의 경사 배향에 의해, 정면 입사에서도 비대칭 산란 기능이 발현하여, 집광 작용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를, X 축이 회전축으로 되도록 도 6에 도시하는 광 산란 측정 장치에 부착하고, X 축을 축으로 입사각이 -30°, -10°, 10°, 30°로 되도록 입사광원을 변이시켜, 그 각각의 입사각에서 산란각-산란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0에 도시한다.
도 10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각도 0°이하의 입사각에서는 산란을 일으키지 않거나, 혹은 일으켜도 매우 약하지만, 각도 0°이상의 입사각에서의 입사광은 강하게 산란하고 있으며, 입사각에 대한 선택적인 산란이 인정된다.
실시예 5
투명 운모 미립자(토피 공업(주) 제조 「PDM10B」, 판면의 평균 직경 12㎛, 두께 0.2㎛) 3 중량부에, 아디핀산 n-브틸 17 중량부 및 디에틸프탈레이트 17 중량부, 안정제(아사히 전화(주) 제조 「AO60」와, 다이셀 화학 공업(주) 제조 「셀로키」를 6 : 4(중량비)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1 중량부를 함침시킨 후,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이스트만 케미컬(주) 제조 「482-20」) 66 중량부에 혼합하여, 160℃로 가열하고, 혼합한 후, 냉수 속에서 고화시켜 펠릿 형상으로 재단하였다. 이 펠릿을 60℃에서 2시간 건조한 후, 160℃로 가열하고, 혼합 후에 폭 10㎝, 두께 0.5㎜의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원반 시트를 성형하였다. 이 원반시트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운모의 미립자의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가 90°이고, 두께 0.33㎜의 광 제어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운모 입자의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가 90°이고, 두께 0.55㎜의 광 제어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5 및 실시예 6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축이 회전축으로 되도록 광 산란 측정 장치에 부착하고, 수광부(22)는 0°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산란하지 않고 직진하는 투과광 강도(직진 투과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광 제어 시트(14)를 회전하여 입사광원의 입사 방향을 바꾸는 것에 의해, -60°∼60° 범위의 입사각에 대한 직진 투과 강도의 관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도시한다. 또, 도 11에서는 직진 투과 강도는 직진 투과율(직진 투과 강도를 투명 시트의 직진 투과 강도로 규격화한 값)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광 제어 시트는 입사각에 의해 산란의 강도(직진 투과율)가 변화하는 입사 각도 선택성을 갖고 있다. 또한, 어떠한 광 제어 시트도, 입사각=0°부근에서 강하게 산란하여, 직진 투과율이 낮게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광 제어 시트는 판 형상 입자의 판면을 따라 광이 입사했을 때에 강하게 산란하는 것이 인정된다.
실시예 7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운모 입자의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가 90°이고, 두께 0.4㎜의 광 제어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8
투명성 판 형상 입자로서 투명 운모 미립자(토피 공업(주) 제조 「PDM-9WAB」, 판면의 평균 직경 12㎛, 두께 0.35㎛)를 이용하는 것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운모 입자의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가 90°이고, 두께 0.65㎜의 광 제어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7 및 실시예 8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축이 회전축으로 되도록 광 산란 측정 장치에 부착하고, 정면으로부터 직선 백색 광원(21)을 입사하고, X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수광부(22)를 각도 변환하고, 산란각-산란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2에 도시한다.
도 12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판 형상 입자의 두께가 얇은 쪽이(어스펙트비가 큰 쪽이), 광각(예를 들면, 30°이상)에서의 산란 강도의 단의 확대가 억제되어, 정면 방향으로 광이 지향하는 것이 인정된다.
실시예 9
투명성 판 형상 입자로서 투명 운모 미립자(토피 공업(주) 제조 「PDM-05B」, 판면의 평균 직경 5.5㎛, 두께 약 0.2㎛)를 이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운모 입자의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가 75°이고, 두께 0.6㎜의 광 제어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0
투명성 판 형상 입자로서 투명 운모 미립자(토피 공업(주) 제조 「PDM-20B」, 판면의 평균 직경 20㎛, 두께 약 0.3㎛)를 이용하는 것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운모 입자의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가 75°이고, 두께 0.78㎜의 광 제어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9 및 실시예 10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를, 각각 X 축이 회전축으로 되도록 도 6에 도시하는 광 산란 측정 장치에 부착하고, X 축을 축으로 입사각이 -30°, -10°, 10°, 30°로 되도록 입사광원을 변이시키고, 각각의 입사각에서 산란각-산란 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9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의 결과를 도 13에, 실시예 10에서 얻어진 광 제어 시트의 결과를 도 14에 도시한다.
도 13 및 도 14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도 10과 마찬가지로 입사각에 대한 선택적인 산란 및 비대칭 산란이 인정된다.
실시예 11
<원반 시트의 제작>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이스트만 케미컬(주) 제조 「307E-09」) 100 중량부에, 판면의 평균 직경이 20㎛의 산화 티탄 피복 합성 운모 미립자(日本光硏(주) 제조 「SB-100」) 0.7 중량부를 첨가하여, 200℃에서 가열하고, 혼합한 후, 냉수 속에서 고화시켜 펠릿 형상으로 절단하였다. 이 펠릿을 90℃에서 2시간 건조 후, 180℃에서 가열, 혼합한 후에 폭 10㎝, 두께 0.2㎜의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원반 시트를 성형하였다. 이 원반 시트의 단면 사진을 관찰한 결과, 시트면을 따라 판 형상 미립자가 배향하고,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좌표계로서, 원반 시트의 압출 방향을 X 축으로 한다.
<블록 조합 및 슬라이스>
이 원반 시트를 X 축 방향으로 길이 30㎝ 폭으로 재단하여 단책상으로 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책상 원반 시트(11)를 400매 거의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고, 적층체(12)의 양측부 및 상부로부터 압력을 가하면서 160℃로 가열하여, 상기 적층체의 원반 시트를 융착하고, 적층 융착체(블록 : 13)를 제작하였다. 또, 좌표계로서, 이 블록(13)의 적층 방향을 Y 축 방향, 높이 방향을 Z 축 방향으로 한다. 얻어진 블록의 크기는, 각각 X 축 방향 30㎝, Y 축 방향 20㎝, Z 축 방향 10㎝이었다. 이 블록(13)을, Z 축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하여, X 축 방향(X-Y 면)을 따라 두께 0.1㎜로 슬라이스하고, 길이 30㎝, 폭 20㎝의 광 제어 시트(14)를 얻었다. 또, 원반 시트 및 블록, 광 제어 시트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 및 좌표계를 도 2에 도시한다.
얻어진 광 제어 시트(14)의 Y-Z 면을 따라 자른 단면도(현미경 사진)를 도 15에 도시한다. 시트 내에서 판 형상 입자는 일정하게, 판면이 Y 축 방향을 향하여 배향하고 있으며, 운모 미립자의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85°였다.
이 광 제어 시트(14)를,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축이 회전축으로 되도록 광 산란 측정 장치(무라카미 색채 공학 연구소 제조, 「각도 변환광도계」)에 부착하고, 평행 백색 광원(21)을 이용하여, 시트면에 대한 법선으로부터 -60°의 입사각으로 직선 백색광을 입사하고, X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수광부(22)를 각도 θs로 각도 변환하여, 각도-산란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17에 도시한다. 도 17에서, 산란 각도=0°는 시트면에 대한법선 방향을 나타낸다. 도 17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상기 광 제어 시트는 입사광의 일부를, 입사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각도 변환시키고 있다.
실시예 12
도 4에 도시하는 쐐기 형상 도광판 위에, 실시예 11의 광 제어 시트를, 투명 점착층을 개재하여 접착하는 것에 의해, 백 라이트 유닛 A(편측 광원 램프형 백 라이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광 제어 시트 위에 프리즘 시트(미츠비시 레이온(주) 제조, 63°그레이드)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백 라이트 유닛 B(편측 광원 램프형 백 라이트)를 제작하였다.
백 라이트 유닛 A에서, 쐐기형 도광판을 거쳐 광 제어 시트를 투과한 출사광에 대하여, 관 형상 광원 램프의 축에 대하여 수직의 면 내에서의 각도-상대 휘도 특성을, 휘도계(미놀타(주) 제조 「CS-10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백 라이트 유닛 B의 프리즘 시트로부터의 출사광에 대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각도-상대 휘도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최대 휘도를 100으로 하여 도 18에 도시한다.
비교예 1
도 4에 도시하는 백 라이트 유닛에서, 쐐기형 도광판에 광 제어 시트를 접착하지 않고, 백 라이트 유닛 C를 제작하였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백 라이트 유닛에서, 도광판에 직접 프리즘 시트(미츠비시 레이온(주) 제조, 63°레벨)을 장착하는 것에 의해, 백 라이트 유닛 D를 제작하였다. 이들 백 라이트 유닛에서, 도광판을 투과한 출사광, 및 프리즘 시트로부터의 출사광에 대하여,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각도-상대 휘도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9에 도시한다.
도 19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광 제어 시트를 장착하지 않으면, 각도-20∼-30°부근의 휘도에 저하가 보인다. 이 휘도의 저하는 표시 패널 상에 암선으로 되어 확인되기 때문에 표시 품위를 저하시킨다. 이것에 대하여, 도 18로부터 알 수 있듯이, 광 제어 시트를 장착하면, 쐐기형 도광판을 거쳐 광 제어 시트를 투과한 출사광에서 비대칭성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 시트를 투과한 출사광에서도, 도 18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도 -30° 부근의 휘도의 저하가 없어지며, 각도-휘도 특성의 대칭성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품위를 대폭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8)

  1. 투명 수지 내에 판 형상 입자가 배향하여 분산한 시트이고, 상기 미립자의 판면이 시트면에 대하여 직교하거나 또는 경사져 있는 광 제어 시트로서, 상기 판 형상 입자는 투명성 판 형상 입자 및 반사성 판 형상 입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구성되어 있는 광 제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판 형상 입자의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는 45∼90°인 광 제어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판 형상 입자는 투명성 판 형상 입자로서, 투명성 판 형상 입자의 판면의 평균 직경이 5∼200㎛이고, 또한 상기 입자의 평균 두께에 대한 상기 평균 직경의 비는 5∼1000인 광 제어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판 형상 입자는 투명성 판 형상 입자로서, 투명성 판 형상 입자의 판면의 평균 직경이 5∼200㎛이며, 또한 상기 입자의 평균 두께에 대한 상기 평균 직경의 비는 40∼100인 광 제어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판 형상 입자는 투명성 판 형상 입자로서, 투명 수지와 투명성 판 형상 입자와의 굴절율 차는 0.01∼0.2이며, 또한 시트 두께는 50∼2000㎛인 광 제어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셀룰로스에스테르류, 올레핀계 수지, (메트) 아크릴계 수지, 스틸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투명 수지의 연속상과, 운모류, 활석, 몬모릴로나이트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투명성 판 형상 입자의 분산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판 형상 입자의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 45∼90°로 판 형상 입자가 배향되어 있는 광 제어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판 형상 입자는 투명성 판 형상 입자로서, 판 형상 입자의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는 70∼90° 또는 45∼75°인 광 제어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판 형상 입자는 투명성 판 형상 입자로서, 판 형상 입자의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가 70∼90°이고, 시트면에 대하여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선택적으로 산란하거나 또는 지향 가능한 광 제어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판 형상 입자는 투명성 판 형상 입자로서, 판 형상 입자의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는 45∼75°이고, 시트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선택적으로 산란 가능한 광 제어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판 형상 입자는 투명성 판 형상 입자로서, 가소제 1∼100 중량부를 더 함유하는 광 제어 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판 형상 입자는 반사성 판 형상 입자로서, 반사성 판 형상 입자가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로 피복된 입자인 광 제어 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판 형상 입자는 반사성 판 형상 입자로서, 반사성 입자의 표면이 산화 티탄으로 피복되어 있는 광 제어 시트.
  13. 제1항에 있어서,
    판 형상 입자는 반사성 판 형상 입자로서, 반사성 판 형상 입자의 판면의 평균 직경은 5∼1000㎛이고, 시트의 두께는 50∼1000㎛인 광 제어 시트.
  14. 제1항에 있어서,
    셀룰로스에스테르류, 올레핀계 수지, (메트) 아크릴계 수지, 스틸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투명 수지의 연속상과, 운모류, 활석, 몬모릴로나이트류 중에서 선택되며, 또한 반사성을 갖는 적어도 1종의 반사성 판 형상 입자의 분산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판 형상 입자의 판면과 시트면과의 각도 45∼90°로 판 형상 입자가 배향하고 있는 광 제어 시트.
  15. 제1항에 있어서,
    투명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판 형상 입자 0.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 제어 시트.
  16. 제1항에 있어서,
    광원에 의해 피조명체를 조명하기 위한 시트로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도광판의 측부로부터 입사시키고, 상기 도광판의 전면(前面)으로부터 출사시켜 피조명체를 이면으로부터 조명하기 위한 백 라이트용 시트인 광 제어 시트.
  17. 판 형상 입자가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하여 분산한 투명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판 형상 입자의 판면이 시트면을 따라 배향한 복수개의 투명 수지 시트를 적층하고, 상호 융착시킨 후, 적층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스하여, 제1항에 기재된 광 제어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18. 표시 유닛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하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으로서,
    측부로부터의 입사광을 전면으로부터 출사시키기 위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측부에 배치된 광원과,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과 상기 표시 유닛과의 사이에 배치된 제1항에 기재된 광 제어 시트를 포함하고 있는 백 라이트 유닛.
KR10-2004-7005373A 2001-10-12 2002-10-07 광 제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458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15578 2001-10-12
JPJP-P-2001-00315578 2001-10-12
JP2001365284 2001-11-29
JPJP-P-2001-00365284 2001-11-29
PCT/JP2002/010425 WO2003034103A1 (fr) 2001-10-12 2002-10-07 Feuille de dosage de la lumier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tte feuil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814A true KR20040045814A (ko) 2004-06-02

Family

ID=2662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373A KR20040045814A (ko) 2001-10-12 2002-10-07 광 제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68759A1 (ko)
JP (1) JPWO2003034103A1 (ko)
KR (1) KR20040045814A (ko)
DE (1) DE10297324T5 (ko)
WO (1) WO2003034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3490A1 (en) * 2005-09-09 2008-02-21 Fusion Optix Inc. Enhanced Light Guide
US7431489B2 (en) * 2004-11-17 2008-10-07 Fusion Optix Inc. Enhanced light fixture
US20060215958A1 (en) * 2004-11-17 2006-09-28 Yeo Terence E Enhanced electroluminescent sign
JP2009538516A (ja) * 2006-05-25 2009-11-05 アイ2アイシー コーポレイション 光を発する媒体から好みの放射パターンでの光の抽出
US8007118B2 (en) * 2006-08-31 2011-08-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rect-lit backlight with angle-dependent birefringent diffuser
JP2008256814A (ja) * 2007-04-03 2008-10-23 Daicel Chem Ind Ltd 異方性拡散板及びそれを備え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7991257B1 (en) 2007-05-16 2011-08-02 Fusion Optix,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composite
JP5115284B2 (ja) * 2008-04-02 2013-01-09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カッフプレート
EP2315058A4 (en) 2008-08-07 2014-07-02 Toyo Boseki ANISOTROPIC LIGHT DIFFUSING FOIL, ANISOTROPIC LIGHT DIFFUSING LAMINATE, ANISOTROPIC LIGHT REFLECTING LAMINATE AND USES THEREOF
WO2010084648A1 (ja) * 2009-01-20 2010-07-29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TWI410336B (zh) * 2010-07-13 2013-10-01 Briview Corp 電子裝置飾板及使用其之電子裝置
US9108369B2 (en) * 2011-07-25 2015-08-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dge light guide
JPWO2013114450A1 (ja) * 2012-01-31 2015-05-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補償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9695293B2 (en) * 2012-10-26 2017-07-04 Polyplastics Co., Ltd. Corona-resistant member, corona-resistant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developing corona resistance of resin molded article
TW201504698A (zh) * 2013-07-24 2015-02-01 Hon Hai Prec Ind Co Ltd 導光板的製造方法及導光板
JP6471501B2 (ja) * 2015-01-08 2019-02-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6153071A1 (ja) * 2015-03-26 2016-09-29 日立化成株式会社 絶縁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4546A (ja) * 1985-04-22 1986-10-30 信越ポリマ−株式会社 耐熱防眩シ−ト
JPH0778561B2 (ja) * 1987-06-24 1995-08-23 信越ポリマ−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
JPH0519306A (ja) * 1991-07-16 1993-01-29 Nippon Sheet Glass Co Ltd 全固体調光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調光方法
DE4403513A1 (de) * 1994-02-04 1995-08-10 Giesecke & Devrient Gmbh Chipkarte mit einem elektronischen 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Chipkarte
EP0855043B1 (en) * 1995-06-26 2003-02-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ffusely reflecting multilayer polarizers and mirrors
US6235825B1 (en) * 1998-03-05 2001-05-22 Mitsui Chemicals, Inc.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and film therefrom
JP2000084995A (ja) * 1998-09-08 2000-03-28 Mitsubishi Rayon Co Ltd 樹脂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6425673B1 (en) * 1999-09-20 2002-07-30 Mitsubisshi Chemical Corporation Light guide pipe having elongate roughened protrusions and/or roughened concaves, planar light source unit having a broad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484330B2 (ja) * 1999-09-21 2010-06-16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異方性光散乱フィルム
JP2001215333A (ja) * 2000-02-07 2001-08-10 Sumitomo Chem Co Ltd 半透過半反射性偏光素子
JP2002023271A (ja) * 2000-07-13 2002-01-23 Victor Co Of Japan Ltd プロジェクタ用スクリーン、ホログラムの作製方法
DE10137831A1 (de) * 2001-08-02 2003-02-13 Merck Patent Gmbh Mehrschichtige Interferenzpigmente
JP4050119B2 (ja) * 2001-10-02 2008-02-2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97324T5 (de) 2004-12-09
WO2003034103A1 (fr) 2003-04-24
JPWO2003034103A1 (ja) 2005-02-03
US20050068759A1 (en) 200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5295B2 (ja) 孔質ポリマー光拡散体の表面形成レンズ
KR20040045814A (ko) 광 제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US6958860B2 (en) Voided polymer film containing layered particulates
KR100865625B1 (ko) 광확산 필름, 이를 이용한 면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US7766493B2 (en) Optical display device with asymmetric viewing area
KR100825185B1 (ko) 이방성 산란 시트 및 그 용도
CN100403060C (zh) 透明聚合物膜
US7327415B2 (en) Microvoided light diffuser
CN100573197C (zh) 含有聚合物纤维织物的光学元件
CN100504462C (zh) 包含聚合物纤维的反射偏振器
US20030118750A1 (en) Microvoided light diffuser containing optical contact layer
JP4967274B2 (ja)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KR20060099439A (ko) 이방성 산란 시트
JP2003270413A (ja) 複合レンズ形状の表面を有する型
TWI485066B (zh) 積層薄膜
JP2003315510A (ja) 一体型ディフューザフィルム
KR20100005153A (ko) 반사 시트
JP2004070328A (ja) 干渉縞フィルターを含む光学要素
CN102834742A (zh) Led照明用光扩散膜
KR20110034040A (ko) 광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JP4959307B2 (ja) 光拡散フィルム、光拡散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らを用いた光学部材
JP4345305B2 (ja)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JP5532799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6679930B2 (ja) 積層フィルム
JP2015031893A (ja) 照明装置用レンズフィルム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