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527A - 적층 필름, 그 제조법 및 포장 봉지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그 제조법 및 포장 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527A
KR20040036527A KR1020030041416A KR20030041416A KR20040036527A KR 20040036527 A KR20040036527 A KR 20040036527A KR 1020030041416 A KR1020030041416 A KR 1020030041416A KR 20030041416 A KR20030041416 A KR 20030041416A KR 20040036527 A KR20040036527 A KR 20040036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layer
polyolefin
film
polyolef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오데라도시야
우메카와히데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산·톡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산·톡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Publication of KR20040036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52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32B2038/0028Stretching, elon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2Tear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무배향 상태인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의 양면 또는 한 면위에 1축 또는 2축으로 배향된 배향 폴리올레핀층이 마련되어 되는 적층 폴리올레핀층과, 가스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 및 그 적층 필름을 사용한 포장 봉지에 관한 것이다. 이 적층 필름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에 염소를 함유하지 않고, 소각 처분에서의 환경 부하가 작고, 투명성, 표면 광택, 및 가스 배리어성이 뛰어나고, 또한 자름성이 양호하다. 그 때문에 식료품을 비롯한 가스 배리어성을 필요로 하는 상품의 포장에 사용되는 노치 없는 포장 봉지로 했을 때, 손으로 용이하게 찢어서 개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적층 필름, 그 제조법 및 포장 봉지{LAMINATED FILM, METHOD OF PRODUCING THEREOF AND PACKAGING BAG}
본 발명은 적층 필름, 그 제조법 및 그것에 의한 포장 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가스 배리어성을 갖고 또한 용이하게 손으로 자를 수 있는 적층 필름, 그 제조법 및 그 적층 필름으로 되는 포장 봉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절취성 가스 배리어 필름기재로는 셀로판에 폴리염화비닐리덴을 코팅한 필름이 사용되어 왔다(일본 특개소48-1069호 공보). 그러나, 근년, 포장 재료의 사용 후의 소각 처분에서의 환경 문제로 염소를 함유한 수지는 경원(敬遠)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종 가스 배리어 필름을 기재로 한 포장 봉지에 자르는 자리 표시(이하, 노치(notch)라 함) 가공을 행하여 개봉의 편리를 제공하는 방법이 있지만, 개봉시에 노치를 사용하여 미스 컷을 한 경우, 즉 절취하는데 실패한 경우는, 재차개봉하기 위해서 가위나 칼을 사용해야 했다. 또한, 각종 가스 배리어 필름 기재에 미세한 구멍뚫기 가공을 행하여 손으로 인열하는 수단도 채용되고 있지만(일본 특개평1-58590호 공보), 구멍뚫기 가공에 의한 고비용이나 2차 가공시에 필름이 파단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스 배리어 필름기재에 구멍뚫기 가공할 수 있는 위치는, 가스 배리어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포장 봉지의 실링 부분 뿐만이 아니라, 필로우(pillow) 포장 봉지나 가제트(gusset) 포장의 접어 꺾은 부분에는 가공할 수 없는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에 염소를 함유하지 않고, 포장 봉지에 노치나 미세한 구멍뚫기 가공을 행하지 않고, 어디에서라도 간단히 손으로 잘리는 성능을 갖고, 또한 만일 미스 컷을 일으켜도 포장 봉지의 다른 위치로부터 재차 절취함으로써 개봉할 수 있는 절취성 폴리올레핀 가스 배리어 필름이 요망되었다.
도 1은 실시예 3의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의 X선 회절 곡선의 피크 분리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여러 특성을 구비한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생산성 좋게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제조하기 위한 적층 필름의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여러 특성을 살린 포장 봉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첫째로, (A)무배향 폴리올레핀층 및 그 양면 또는 한 면 위에 적층시킨 1축 또는 2축 배향 폴리올레핀층으로 되는 적층 폴리올레핀층 및
(B)적층 폴리올레핀층의 양면 또는 한 면위에 적층시킨 가스 배리어층으로 되는 적층 필름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 상기 목적 및 이점은, 본 발명에 의하면, 둘째로, 적어도 1축 배향된 제1 폴리올레핀층의 양면 또는 한 면에, 제1 폴리올레핀층의 폴리올레핀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의 폴리올레핀으로 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적층하고,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적층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을 열처리하여 제1 폴리올레핀층을 실질적으로 무배향 상태로 한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은 다음, 그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에 가스 배리어층을 적층함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셋째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포장 봉지에 의해서 달성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
본 발명에서,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이라 함은 완전히 무배향인 상태 뿐만 아니라, 약간 배향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무배향 상태의 것도 포함함을 의미한다. 무배향이라 함은, 예를 들면,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의 융점이, 그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에 사용한 폴리올레핀 수지 본래의 융점에 대해서, 하기 식(1)을 만족하는 상태에 있는 것이다.
3≥T1-T0 (1)
여기서, T1은 적층 폴리올레핀층 중에서의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의 융점(℃)이며 또한 T0는 그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에 사용한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이다.
일반적으로, 필름의 융점은 배향이 강할수록 소재 수지 본래의 융점보다 높아지고, 역으로, 배향이 약해질수록 소재 수지 본래의 융점에 가까워진다.
즉,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은, 상기와 같이, 그 융점이 상기 식(1)을 만족하는 소재 수지 자체의 융점 근방에 있다. T1-T0의 값은, 충분한 절취성의 부여를 감안하면,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의 융점은,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의 양면 또는 한면에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적층한 적층 필름을, 시차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30℃의 상태에서부터 승온 속도 10℃/분으로 승온시켜, 융점 피크를 측정함으로써 구해진다. 또한, 수지 본래의 융점은, 시차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수지를 235℃로 용융하고 10분간 유지한 뒤, 강온 속도 10℃/분으로 30℃까지 강온하고, 계속하여 승온 속도 10℃/분으로 235℃까지 승온했을 때의 융점을 측정함으로써 구해진다.
본 발명에서, 적층 필름 중의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프로필렌과는 다른 α-올레핀에 의한 단량체 단위가 3중량%이상 10중량%미만의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이들 중합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랜덤 중합체, 블럭 중합체, 그라프트 중합체 중 어느것이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뛰어난 절취성과 투명성, 광택성을 감안하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블럭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블럭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고유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0.5∼5의 범위이다.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는, 적합한 막형성성을 감안하면, 230℃ 용융에서 0.5g/10분∼25g/10분의 범위가 적합하다.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가 0.5g/10분 미만이면 막형성시의 기계 부하가 너무 커지고, 한편,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가 25g/10분을 넘는 경우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연신 후의 막 두께의 후박(厚薄) 정밀도가 저하한다.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에는, 투명성을 더 향상 시키기 위해서, 결정핵제를 0.03∼3중량%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결정핵제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탈크, 폴리시클로펜텐, 벤질리덴솔비톨 유도체,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이 사용된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서, 대전 방지제, 블로킹 방지제, 윤활제 등의 각 첨가제를 더 배합해도 좋다.
또한, 상기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은, 단층이어도 다층이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서, 배향 폴리올레핀층은 1축 또는 2축으로 배향해 있기 때문에,배향 폴리올레핀층의 융점은, 그 배향 폴리올레핀층에 사용한 수지 본래의 융점보다 높게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향 폴리올레핀층의 융점은 그 배향 폴리올레핀층에 사용한 수지 본래의 융점보다 4℃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높은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적층 필름의 후술하는 적합한 제조 방법을 감안하면,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는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차는 5∼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에 의한 단량체 단위가 6중량% 미만인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이들 중합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랜덤 중합체, 블럭 중합체, 그라프트 중합체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그 중에서도, 뛰어난 절취성과 투명성, 광택성을 감안하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블럭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블럭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고유점도는 O.5∼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는, 적합한 막형성성을 감안하면, 230℃에서의 용융에서 0.5g/10분∼25g/10분의 범위가 적합하다.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가 0.5g/10분 미만이면 막형성 시의 기계 부하가 너무 커지고, 한편,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가 25g/10분을 넘는 경우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연신 후의 막두께의 후박 정밀도가 저하한다.
또한,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제, 블로킹 방지제, 윤활제, 결정핵제 등의 각 첨가제를 배합해도 좋다.
또한, 배향 폴리올레핀층은 무배향 폴리올레핀층과 마찬가지로, 단층이어도 다층이어도 상관없다.
배향 폴리올레핀층은 1축으로 배향해도, 2축으로 배향해도 좋다. 1축으로 배향해 있는 경우에는, 특히 배향 방향에 따른 직선적인 절취성이 양호하며, 2축으로 배향해 있는 경우는, 임의 방향으로 절취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배향 폴리올레핀층이 필름의 흐름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이하, TD라 함)으로 1축 배향해 있는 경우에는 특히 TD방향의 절취성이 양호해진다.
즉, 상기 배향 폴리올레핀층이 1축 배향인 경우, 그 배향 방향의 절취성에는 방향성이 있고, 얻어지는 적층 필름은, 1축 배향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잘린다. 또한, 그 배향 방향과 직각 방향의 절취성은 임의 방향으로 된다.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의 양면에 1축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마련하는 경우는, 2층의 1축 배향 폴리올레핀층의 배향 방향은, 동일 방향임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배향 방향은 필름의 흐름 방향(이하, MD라 함)이어도, TD여도 좋다. 한편, 배향 폴리올레핀층이 2축배향인 경우, 절취성은 임의의 방향으로 되어, 적층 필름의 면 안쪽 방향의 어디로부터도 절취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적층 폴리올레핀층은,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의 양면 또는 한 면에 1축 또는 2축으로 배향된 폴리올레핀층이 적층하여 되는 적층 폴리올레핀층임이 필요하다. 그 적층 폴리올레핀층을 가짐으로써, 뛰어난 절취성을 갖는 것으로 된다.
배향 폴리올레핀층이 한 면에만 적층되어 있는 경우, 노출해 있는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의 표면은, 적층 필름의 제조 시에, 수지의 용융에 의해서 표면 조도가 커져 투명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지만, 가스 배리어층이나 필요에 따라서 적층되는 실란트층 등의 적층에 의해 투명성은 회복된다. 또한, 무배향 폴리올레핀층과 배향 폴리올레핀층의 사이에 접착 수지로 되는 층을 사용한 경우에는, 무배향 폴리올레핀층과 배향 폴리올레핀층의 사이의 접착력이 증가한다.
본 발명에서의 적층 폴리올레핀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한 수지, 목적에 따른 두께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 양호한 절취성을 발휘시킴을 감안하면, 적층 폴리올레핀층은, 바람직하게는 1O∼1OO㎛의 두께를 갖는다. 그 중에서도, 후술하는 양호한 포장 봉지를 얻음을 감안하면, 10∼60㎛로 함이 적합하다.
또한, 무배향 폴리올레핀층과 배향 폴리올레핀층의 두께의 비는, 용도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의 양면 또는 한 면에 적층하는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두껍게 하면, 적층한 배향 폴리올레핀층의 표면 광택이 향상하고,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을 두껍게 하면, 절취성이 향상한다. 일반적으로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의 두께는, 필름 전체 두께의 40∼95%의 범위임이 바람직하고, 60∼95%의 범위임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적층 폴리올레핀층은, 보다 양호한 절취성을 감안하면, 면배향 지수가 0.5 이하임이 바람직하고, 0.3 이하임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면배향 지수라 함은, X선 회절법에 의해서 구해지는 폴리프로필렌 결정 010면의, 적층 필름면에 평행한 면으로의 면배향의 정도를 표시하는 지표이다. 구체적으로는, 적층 필름을 필름면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X선을 입사시켜 회절 강도를 측정하고, 얻어진 X선 회절 강도 곡선에 대해서 비정질 피크와 각 결정질 피크로 피크 분리를 행하고, 폴리프로필렌 결정(α정) 피크로부터 구한 111 반사(2θ=21.4˚)와 040 반사(2θ=17.1˚)의 피크 강도의 비로부터 하기 식(2)으로 구한다.
면배향 지수 P010=log{1.508×I(111)/I(O4O)} (2)
여기서, I(111)는 111 반사 피크 강도(counts)이고, 또한
I(O4O)는 040 반사 피크 강도(counts)이다.
또한, (2)식의 계수 1.508은, Z.Mencik(Z.Mencik, Journal of Macromolecular Science, PhysicsB6. 101(1972))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결정이 완전히 랜덤하게 배향해 있는 경우의 I(040)와 I(111)의 강도비 I(040)/I(111) =116.9/77.5=1.508(I(111)/I(O4O)의 값의 역수)이다. 예를 들면, 측정한 시료의폴리프로필렌 결정 010면이, 필름면에 대해 완전히 랜덤하게 배향해 있다고 하면, [P010]의 값은 0으로 된다. 폴리프로필렌 결정 010 면이 필름면에 대해서 평행 배향할수록 [P010]의 값은 커지게 되고, 역으로 그 O10면이 필름면에 수직으로 배향하면, [P010]는 음의 값으로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상기 적층 폴리올레핀층 외에 가스 배리어층을 포함한다. 가스 배리어층은, 적층 폴리올레핀층의 적어도 한 면 위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예를 들면, 적층 폴리올레핀층(A)이 무배향 폴리올레핀층 및 그 한 면위에 적층된 1축 또는 2축 배향 폴리올레핀층으로 되고 또한 가스 배리어층(B)이 1축 또는 2축 배향 폴리올레핀층 위에 적층되어 있거나, 또는 적층 폴리올레핀층(A)이 무배향 폴리올레핀층 및 그 양면위에 적층된 1축 또는 2축 배향폴리올레핀층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을 구성하는 가스 배리어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가스 배리어 재료로는, 예를 들면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무기산화물, 폴리비닐알콜,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무기 층상 화합물의 혼합물, 폴리비닐알콜-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및 폴리비닐알콜-무기 층상 화합물-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가스 배리어 재료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가스 배리어층을 마련하는 방법에 의해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증착법에 의해 가스 배리어층을 적층 폴리올레핀층 위에 적층하는 경우는,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무기산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적층법을 채용하는 경우는 폴리비닐알콜,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코팅법을 채용하여 적층하는 경우, 폴리비닐알콜,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무기층상 화합물의 혼합물, 폴리비닐알콜-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폴리비닐알콜-무기층상 화합물-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비용과 가스 배리어 성능을 감안한 경우, 폴리비닐알콜-무기층상 화합물-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폴리비닐알콜-무기층상 화합물의 혼합물, 폴리비닐알콜-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가스 배리어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O.1∼1Oμm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 배리어층은, 적층 폴리올레핀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앵커 코트층을 거쳐서 적층 폴리올레핀층에 적층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포장 봉지로서 사용하는 경우, 봉지의 형태로 하기 위한 히트 실링 재료로 되는 실란트 층을 적층할 필요가 있다. 실란트 층을 적층하는 면은 양면 또는 한 면의 어느 것이라도 좋고, 사용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의 보호나 포장 봉지의 광택을 감안하면,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가스 배리어층의 노출면 위에 마련함이 적합하다.
히트 실링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핫멜트계 히트 실링재, 수성 히트 실링재,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등의 저융점 수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포장 봉지의 형태로는, 예를 들면, 삼방 실링 봉지, 사방 실링 봉지, 필로우 포장 봉지, 스틱 포장 봉지, 가제트 포장 봉지, 스탠드 파우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포장 봉지는, 적합한 가스 배리어 성능을 유지하고, 또한 포장 봉지의 개봉 시에 충분한 절취성을 갖고, 또한 포장 봉지에 충격적인 외력이 더해진 경우라도 파단하지 않음을 감안하면, 이하의 성질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MD 및 TD의 파단 시의 신율이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파단 시의 신율이 200%를 넘는 경우, 파단할 때까지의 신율이 너무 커서, 포장 봉지를 찢어서 절단하려고 할 때의 절취 개봉성이 뒤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MD 및 TD의 파단 강도가 20∼140MPa인 것이 바람직하고, 40∼120MPa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파단 강도가 140MPa를 넘으면, 포장 봉지의 개봉성이 뒤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파단 강도가 20MPa 미만이면, 포장한 상품의 반송 시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 파단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어떤 방법으로 얻어도 좋다. 통상은, 적층 폴리올레핀층으로 되는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을 먼저 얻고, 이것에 가스 배리어층을 적층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결과적으로,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층과 가스 배리어층이 존재해 있는 형태로 되는 것이면, 각층을 부분적으로 구성하면서 제조해도 좋다.
이하에, 먼저, 적층 폴리올레핀층으로 되는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은 뒤, 이것에 가스 배리어층을 적층하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적층 폴리올레핀층으로 되는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은, 어떤 방법으로 얻어도 좋지만, 그 중에서도,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적어도 1축 배향된 제1 폴리올레핀층(이하, A층이라 함.)의 양면 또는 한 면에, A층의 폴리올레핀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의 폴리올레핀으로 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적층하여,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하고, 얻어진 적층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을 열처리하여 A층만을 용융시켜 A층을 실질적으로 무배향 상태로 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A층의 양면 또는 한 면에 적층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에 A층의 폴리올레핀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고, 또한, 열처리 온도 및 열처리 시간을 선택하여 열처리함으로써, A층만을 용융시켜 실질적으로 무배향 상태로 하고 또한 A층의 양면 또는 한 면에 적층되는 폴리올레핀층에는, 그 배향을 남길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적층 폴리올레핀층으로 되는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방법에 의하면 얻어진 적층 폴리올레핀필름을 사용하여 제조한 적층 필름은, 특히 절취성이 양호해지므로 바람직하다.
적층 폴리올레핀층으로 되는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의 적합한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A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시트상으로 성형한 뒤, 그 시트를 그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온도로 MD로 연신하고나서, 인 라인 적층법에 의해서 양면 또는 한 면에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적층한 다음, TD로 연신한 뒤, 얻어진 적층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을 열처리하는 방법; A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와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A층의 한 면에 배향 폴리올레핀층이 적층되도록 2층 다이를 사용하여 고압출법에 의해서 시트로 하고, A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의 융점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MD로 연신한 다음, 필요에 따라서 TD로 연신한 뒤, 얻어진 적층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을 열처리하는 방법; A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와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A층의 양면에 배향 폴리올레핀층이 적층되도록 3층 다이를 사용하여 공압출법에 의해서 시트로 하고, A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의 융점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MD로 연신한 다음, 필요에 따라서 TD로 연신한 뒤, 얻어진 적층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을 열처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제조 방법에 의해, 1축 배향된 제1 폴리올레핀층의 양면 또는 한 면에, 인 라인 적층법에 의해서 제2 폴리올레핀층을 적층하고, 또한 연신한 적층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은, 제2 폴리올레핀층이 1축 연신으로 되기 때문에 배향층에 따른 직선적인 절취성이 얻어진다. 한편, 2층 다이나 3층 다이를 사용하여 공압출법에 의해 제1 폴리올레핀층과 제2 폴리올레핀층을 적층하고, 또한 연신한 적층 연신폴리올레핀 필름은, 제2 폴리올레핀층이 2축 연신으로 되기 때문에 면내의 어느곳으로부터도 임의 방향으로 잘리는 절취성을 나타낸다. 상기 제조 방법은, 목적에 따른 절취성을 부여하기 위해 선택하면 좋다. 또한, 생산성을 감안한 경우는, 제조 공정이 번잡하게 되는 인 라인 적층법보다도 공압출법이 우위이다.
상기 연신에서의 연신 배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MD가 4∼8배, TD가 7∼12배이다.
그 중에서도, 상기에 나타낸 양호한 절취성과 실용적인 물성을 겸비한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음을 감안하면, MD의 연신 배율은 5∼8배가 더 바람직하다. MD의 연신 배율을 4배 이상으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은, MD의 파단 시의 신율을 200% 이하로 할 수 있어, 절취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MD의 연신 배율이 8배를 넘으면, 기계 부하가 너무 커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TD의 연신 배율은 8∼11배가 더 바람직하다. TD의 연신 배율을 7배 미만으로 하면 TD의 두께 정밀도가 뒤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TD 연신 배율이 12배를 넘으면 필름 파단이 많아져 안정 생산상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열처리에서의 열처리 온도는, A층 또는 제1 층의 폴리올레핀 수지만이 용융하도록 설정하면 하등 제한이 없고, 예를 들면, A층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 이상, 또한, 양면 또는 한 면에 적층된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온도로 처리하면 좋고,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보다도 높은 온도로서도, 열처리 시간을 제어하여 처리하면 좋다. 또한, 열처리 온도는, 높으면 절취성은 양호해지고, 낮으면 투명감은 양호해지므로,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좋다. 적합하게는, 열처리 온도는 140℃∼190℃에서 선택된다.
또한, 상기 열처리에서의 열처리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의 열처리의 온도에 따라 최적인 시간을 결정하면 좋다. 통상은 6∼30초이다.
다음에 얻어진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에 가스 배리어층을 적층하여 본 발명의 적층 필름으로 하고 있지만, 그 방법은 어떤 방법이어도 좋다. 그러한 방법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무기 산화물을 증착법에 의해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에 적층하는 방법; 폴리비닐알콜,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등을 적층법에 의해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에 적층하는 방법; 폴리비닐알콜,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무기 층상 화합물의 혼합물, 폴리비닐알콜-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폴리비닐알콜-무기층상 화합물-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을 코팅법에 의해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에 적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비용, 가스 배리어성, 절취성을 감안한 경우, 폴리비닐알콜-무기층상 화합물의 혼합물, 폴리비닐알콜-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폴리비닐알콜-무기층상 화합물-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등의 가스 배리어제를 코팅법에 의해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에 적층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증착법, 적층법에 대해서는, 증착법을 채용한 경우, 증착 속도가 코팅법과 비교하여 느리기 때문에 고비용으로 되고, 또한, 적층법에 의한 가스 배리어 필름과의 접합을 행한 경우, 별도 가스 배리어성 필름을 준비해야 하므로 경제적이지 않다. 또한 가스 배리어성 필름 자체의 파단 강도가 적층한 적층 필름 전체의 파단 강도에 영향을 미쳐 절취성을 저해를 하기 때문에, 매우 얇고 또한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가스 배리어 필름이 필요하게 된다.
이하에, 폴리비닐알콜-무기층상 화합물의 혼합물, 폴리비닐알콜-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폴리비닐알콜-무기층상 화합물-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등의 가스 배리어제를 코팅법에 의해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에 적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의 가스 배리어층을 적층하는 면에, 먼저 앵커 코팅제를 코팅하고 열풍 건조한다. 그 다음에 앵커 코트제를 도공한 면에, 폴리비닐알콜-무기층상 화합물의 혼합물, 폴리비닐알콜-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폴리비닐알콜-무기층상 화합물-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등의 가스 배리어제를 코팅하고 열풍 건조한다. 열풍 건조 온도는, 열풍 온도에 따른 건조 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지만, 4O℃∼14O℃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40℃미만에서는 건조 시간이 너무 길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않고, 14O℃를 넘으면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의 수축이 시작되거나,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의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수지가 용융하여 무배향으로 되어 절취성이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 다음에, 필요에 따라서, 가스 배리어 성능을 안정화하기 위해, 예를 들면, 상대 습도 80%RH로 40℃×4일간, 에이징 처리를 행하여,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얻는다.
상기, 앵커 코트제 및 가스 배리어제의 코팅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콤마 코터, 그라비아 코터, 보텀 피드 리버스 코터, 탑 피드 리버스 코터, 에어 나이프 코터로 도공하는 방법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포장 봉지 등에 사용하기 위해 실란트 층을 적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양면 또는 한 면에 공지 방법에 의해 실란트층을 적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실시예를 들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측정은 이하와 같이 행하였다.
(1)필름 물성
적층 필름 제조 후, 40℃에서 2일간 양생 후, 하기의 방법에 의해 필름 물성 측정을 행하였다.
두께: 마이크로미터(주식회사 미츠토요제, MDC-25M)로 측정하였다.
(2)파단 시의 인장 강도 및 인장 신율
폭 15mm의 적층 필름 시험편을 인장 시험기(시마즈 제작소제, 오토그라프)로, 측정 거리(척(chuck)간 거리) 100mm, 인장 속도 300mm/분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하고, 파단 시의 인장 강도(MPa) 및 인장 신율(%)을 구하였다.
(3)산소 투과도
JIS K7126 B법에 따라서, 산소 투과도 측정 장치(Mocon사제, OX-TRAN1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온도 23℃, 적층 폴리올레핀층측의 습도를 90%RH, 가스 배리어층측의 습도를 90%RH로 하였다. 습도는 히타치 계측기 서비스제 정밀 습도 조정 시스템 RH-3S형으로 습도조절하였다.
(4)적층 폴리올레핀 필름 중의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의 융점(T1)과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T0)의 융점차(T1-T0)의 측정(℃)
시차주사 열량계(세이코 전자공업 주식회사제, DSC6200R)를 사용하여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을 30℃의 상태로부터 승온 속도 10℃/분으로 235℃까지 승온시켜,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의 융점(T1)을 측정하였다. 그 다음에 235℃에서 용융하고 10분간 유지함으로써 완전히 무배향으로 하여, 강온속도 10℃/분으로 30℃까지 강온, 고체화하였다. 그 다음에, 승온 속도 10℃/분으로 235℃까지 승온시키고,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T0)을 측정하여, T1와 T0의 융점차(T1-T0)를 구하였다.
(5)면배향 지수
일본전자사제의 X선 회절 장치 JDX-3500를 사용하여, 다음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타겟: 동(Cu-Kα선)
관전압-관전류: 40kV-400mA
X선 입사법: 수직 빔 투과법
단색화: 그라파이트 모노 클로미터
발산 슬릿: 0.2mm
수광 슬릿: 0.4mm
검출기: 신틸레이션 카운터 측정
각도 범위: 9.0˚∼31.0˚
스텝 각도: O.O4˚
계수 시간: 3.0초
시료 회전수: 120rpm
이 경우, 적층 필름을 20mm×20mm로 잘라내고, 이것을 수십매 겹친 두께 약 3mm로 하여, 광각(廣角) 고니오미터에 부착한 투과법 회전 시료대에 장착하여 측정하였다. 피크 분리는 회절각(2θ) 9˚∼31˚의 범위로 공기 산란 등에 의한 백그라운드를 없앤 뒤, 가우스 함수와 로렌츠 함수를 사용한 일반적인 피크 분리법에 의해서 비정질 피크와 각 결정질 피크로 분리하였다. 면배향 지수는 상술한 방법으로 O4O 반사와 111 반사의 피크 강도로부터 산출하였다.
도 1은, 후술하는 실시예 3의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의 X선 회절 곡선의 피크 분리 결과이며, A-B가 I(040)로 1439counts이고, C-D가 I(111)로 1896counts이다. 따라서, 이 경우의 면배향 지수 P010는 log(1.508×1896/1439)로 0.298로 된다.
(6)투명성
JIS-Z1712에 따라서 필름의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7)표면 광택
JIS-Z1712에 따라서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의 필름 표면의 광택을 측정하였다.
(8)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melt-mass flow rate)
JIS-K7210에 따라서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이하, MFR라 함)를 측정하였다.
(9)절취 개봉성
적층 필름에 실란트 층을 적층하여, 4방 실링 포장 봉지, 필로우 포장 봉지를 제조하였다. 노치없는 포장 봉지에서, 적층 필름의 MD, TD에 따라, 손으로 찢었을 때의 절취 개봉 시험을 20회 반복하고, 절취 개봉성의 평가를 이하의 기준으로 행하였다. 또한 손으로 찢었을 때의 찢어지는 방향성을 관찰하였다.
5점: 용이하게 잘려진 회수 확률이 99% 이상
4점: 용이하게 잘려진 회수 확률이 99% 미만 80% 이상
3점: 용이하게 잘려진 회수 확률이 80% 미만 60% 이상
2점: 용이하게 잘려진 회수 확률이 60% 미만 50% 이상
1점: 용이하게 잘려진 회수 확률이 50% 미만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용 수지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틸렌에 의한 단량체 단위 3.8중량%, 융점 135℃, MFR 2.5g/10분)를 T다이로부터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그 시트를 MD방향으로 6배 연신한 뒤, 인 라인 적층법으로 시트 양면에 양면층용 수지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융점 161℃, MFR 4.0g/10분)적층한 뒤, TD방향으로 9배 더 연신하고, 표 1에 나타낸 온도로 15초간 열처리하여, 무배향층 16㎛, 양면 배향층 각 2㎛로 되는 두께 20㎛의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은 다음에, 필름 양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하였다.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얻어진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의 한 면에 앵커 코트제(도요모톤제, 제품명 AD335AE/CAT10L=10중량부/1.4중량부를 아세트산에틸/톨루엔=1중량부/1중량부의 혼합 용액에서, 비휘발분이 6중량%로 되도록 조정하였음)을 앵커 코트층의 건조 중량이 O.3g/㎡로 되도록 코팅하고, 10O℃에서 열풍 건조하여 앵커 코트제를 도공한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이하와 같이 하여 가스 배리어제를 얻었다.
물 70중량부:에탄올 30중량부의 혼합 용매에, 평균 중합도 1700·검화율 98% 이상의 폴리비닐알콜을 농도가 6.7중량%로 되도록 70℃에서 용해시켜, 폴리비닐알콜의 6.7중량% 용액(이하, A액이라 함)을 얻었다.
물 70중량부:에탄올 30중량부의 혼합 용매에, 층상 규산염으로서 몬모릴로나이트(쿠니미네공업(주)제, 쿠니피아G)를 농도가 3.3중량%로 되도록 첨가하고, 60℃에서 교반하면서 분산시켜, 층상 규산염의 3.3중량% 분산 용액(이하, B액이라 함)을 얻었다.
상기 A액과 B액을 중량비 1/1의 비율로 혼합한 용액을 충돌형 고압 분산 장치((주)스기노마신제, HJP-25030)에 의해 미분산화 처리를 행하여, 폴리비닐알콜 3.3중량%·층상 규산염 1.7중량%의 미분산 용액을 얻었다. 그 미분산 용액에 비즈상의 수소 이온화한 강산성 이온 교환 수지를 첨가하여, pH=2.4로 조정하였다.
그 pH 조정한 미분산 용액에 테트라에톡시실란을 폴리비닐알콜 100중량부에 대해, 규소알콕시드 유래의 규소 양(SiO2환산)으로 230중량부로 되도록 첨가하고, 실온 하, 약 2시간 교반하여 테트라에톡시실란의 가수분해를 행하였다. 그 후, 이온 교환 수지나 먼지 등의 이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여, 가스 배리어제를 얻었다. 얻어진 가스 배리어제의 pH는 2.5였다.
또한, 그 가스 배리어제 중의 폴리비닐알콜/층상 규산염의 중량부비는 1OO/5O, 규소 알콕시드 유래의 규소 양(SiO2환산)에 대한 층상 규산염의 중량비(층상 규산염/규소알콕시드 유래의 규소 양)는 0.22이다.
앵커 코트제를 도공한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의 앵커 코트면에, 상기 가스 배리어제를 그라비아 코터로 도포한 뒤, 10O℃의 오븐에서 건조하고, 가스 배리어층 두께 1㎛의 가스 배리어층을 적층한 적층 필름을 얻은 다음, 상대 습도 80%RH로, 40℃×4일간의 에이징 처리를 행하였다. 그 적층 필름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그 다음에 적층 필름의 가스 배리어층 적층 면에, 건식 적층 접착제(도요모톤제, TM595/CAT56/아세트산에틸=15중량부/2중량부/19중량부)를 코팅하고 80℃의 오븐에서 건조한 뒤, 두께 25㎛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적층한 다음, 40℃×2일간 에이징 처리를 행하여 한 면에 실란트 층을 적층한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 실란트 층을 적층한 적층 필름을 4방 실링 포장 봉지 및 필로우 포장 봉지로 봉지를 만들었다. 실란트 층을 적층한 적층 필름의 투명성 및 봉지 제품의 절취 개봉성을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용 수지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틸렌에 의한 단량체 단위 3.8중량%, 융점 135℃, MFR 2.5g/10분)를 T다이로부터 압출하여 시트를 얻었다. 그 시트를 MD방향으로 6배 연신한 뒤, 인 라인 적층법으로 시트 한 면에 한 면층용 수지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융점 161℃, MFR 4.0g/10분)를 적층한 뒤, TD방향으로 9배 더 연신하고, 표 1에 나타낸 온도로 15초간 열처리하여, 무배향층 22㎛, 한 면층 3㎛로 되는 두께 25㎛의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은 다음, 필름 양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하였다.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얻어진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의 배향층을 적층하지 않은 면에 앵커 코팅제(도요모톤제, 제품명 AD335AE/CAT10L=10중량부/1.4중량부를 아세트산에틸/톨루엔=1중량부/1중량부의 혼합 용액으로, 비휘발분이 6중량%로 되도록 조정하였음)을 앵커 코팅층의 건조 중량이 0.3g/㎡로 되도록 코팅하고, 1O0℃로 열풍 건조하여 앵커 코트제를 도공한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그 앵커 코트제를 도공한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의 앵커 코트면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가스 배리어제를 그라비아 코터로 도포한 뒤, 10O℃의 오븐에서 건조하고, 가스 배리어층 두께 1㎛의 가스 배리어층을 적층한 적층 필름을 얻은 다음, 상대 습도 80%RH로, 40℃×4일간의 에이징 처리를 행하였다. 그 적층 필름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냈다.
그 다음에 적층 필름의 가스 배리어층 적층면에, 건식 적층 접착제(도요모톤제, TM595/CAT56/아세트산에틸=15중량부/2중량부/19중량부)를 코팅하고 80℃의 오븐에서 건조한 뒤, 두께 25㎛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적층한 다음, 40℃×2일간 에이징 처리를 행하여 한 면에 실란트 층을 적층한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 실란트 층을 적층한 적층 필름을 4방 실링 포장 봉지 및 필로우 포장 봉지로 봉지를 만들었다. 실란트층을 적층한 적층 필름의 투명성 및 봉지 제품의 절취 개봉성을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3]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용 수지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틸렌에 의한 단량체 단위 3.9중량%, 융점 132℃, MFR 2.0g/10분), 양면층용 수지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틸렌에 의한 단량체 단위 0.5중량%, 융점 156℃, MFR 2.5g/10분)를 사용하여 3층 다이로 공압출법에 의해 미연신 시트를 얻고, 그 시트를 MD로 5.8배 연신한 뒤, TD방향으로 10배 더 연신하여, 표 1에 나타낸 온도로 15초간 열처리하고, 15㎛의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의 양면에 2.5㎛의 배향 폴리올레핀층이 적층되어 있는 20㎛의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은 다음, 필름 양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하였다.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얻어진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가스 배리어층을 적층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란트층을 적층하였다. 얻어진 실란트 층을 적층한 적층 필름의 투명성 및 봉지 제품의 절취 개봉성을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4]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용 수지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틸렌에 의한 단량체 단위 3.9중량%, 융점 132℃, MFR 2.0g/10분), 한 면층용 수지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틸렌에 의한 단량체 단위 0.5중량%, 융점 156℃, MFR 2.5g/10분)를 사용하여 2층 다이로 공압출법에 의해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그 쉬트를 MD로 5.3배 연신한 뒤, TD로 10배 더 연신하고, 표 1에 나타낸 온도로 15초간 열처리하여, 22㎛의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의 한 면에 3㎛의 배향 폴리올레핀층이 적층되어 있는 25㎛의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은 다음, 필름 양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하였다.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얻어진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에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가스 배리어층을 적층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실란트 층을 적층하였다. 얻어진 실란트 층을 적층한 적층 필름의 투명성 및 봉지 제품의 절취 개봉성을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5]
무배향층용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틸렌에 의한 단량체 단위 3.5중량%, 융점 145℃, MFR 2.2g/10분), 양면층용 수지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틸렌에 의한 단량체 단위 0.5중량%, 융점 157℃, MFR 3.0g/10분)를 사용하여 3층 다이로 공압출법에 의해 미연신 시트를 얻고, 그 쉬트를 MD로 6.0배 연신한 뒤, TD로 9배 더 연신하고, 표 1에 나타낸 온도로 15초간 열처리하여, 23㎛의 심(芯)층 필름의 양면에 3.5㎛의 표층이 적층되어 있는 30㎛의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냈다.
그 다음에 가스 배리어층을 0.5㎛로 적층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가스 배리어층을 적층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란트층을 더 적층하였다. 얻어진 실란트 층을 적층한 적층 필름의 투명성 및 봉지 제품의 절취 개봉성을 표 3에 나타냈다.
[표 1]
[표 2]
[표 3]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신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을 구성하는 층을 선택적으로 무배향화함으로써, 뛰어난 절취성을 구비하고, 또한 가스 배리어 성능을 가지기 때문에, 식료품을 비롯한 가스 배리어성을 필요로 하는 포장 봉지에 노치를 행하지 않고, 손으로 찢어서 개봉할 수 있는 포장 봉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A) 무배향 폴리올레핀층 및 그 양면 또는 한면 위에 적층된 1축 또는 2축 배향 폴리올레핀층으로 되는 적층 폴리올레핀층 및
    (B) 적층 폴리올레핀층의 양면 또는 한면 위에 적층된 가스 배리어층
    으로 되는 적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가스 배리어층(B)이 적층 폴리올레핀층의 양면 또는 한면 위에 앵커 코트층을 거쳐서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적층 폴리올레핀층(A)이 무배향 폴리올레핀층 및 그 한면 위에 적층된 1축 또는 2축 배향 폴리올레핀층으로 되고 가스 배리어층(B)이 무배향 폴리올레핀층 위에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적층 폴리올레핀층(A)이 무배향 폴리올레핀층 및 그 양면 위에 적층된 1축 또는 2축 배향 폴리올레핀층으로 되는 적층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기계 축방향(MD) 및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TD)의 파단 시의 신율이 200% 이하 및 MD 및 TD의 파단 강도가 20∼140MPa인 적층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적층 폴리올레핀층의 두께가 10∼100㎛이고, 가스 배리어층의 두께가 O.1∼1O㎛인 적층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이, 하기 식(1)
    3 ≥ T1-T0 (1)
    (여기서, T1은 적층 폴리올레핀층에서의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의 융점(℃)이고 T0는 그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에 사용한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임)
    을 만족하는 적층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이,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보다 5∼30℃ 높은 적층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무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가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에 의한 단량체 단위가 3중량%이상 10중량%미만의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그 공중합체의 혼합물이고, 또한 배향 폴리올레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에 의한 단량체 단위가 6중량% 미만의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이들 중합체의 혼합물인 적층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가스 배리어층이 폴리비닐알콜과 무기층상 화합물과 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폴리비닐알콜과 무기층상 화합물의 혼합물 또는 폴리비닐알콜과 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적층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가스 배리어층의 노출면 위에 실란트 층이 더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
  12. 제1항 기재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포장 봉지.
  13. 적어도 1축 배향된 제1 폴리올레핀층의 양면 또는 한면에, 제1 폴리올레핀층의 폴리올레핀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의 폴리올레핀으로 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적층하고,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적층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을 열처리하여 제1 폴리올레핀층을 실질적으로 무배향 상태로 한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은 다음, 그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에 가스 배리어층을 적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기재의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콜과 무기층상 화합물의 혼합물, 폴리비닐알콜과 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또는 폴리비닐알콜과 무기층상 화합물과 금속알콕시드 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가스 배리어제를 코팅법에 의해 적층 폴리올레핀 필름에 적층하여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가스 배리어제를 적층한 뒤, 40℃∼140℃의 온도 범위로 열풍 건조하는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030041416A 2002-10-24 2003-06-25 적층 필름, 그 제조법 및 포장 봉지 KR200400365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09441 2002-10-24
JP2002309441A JP2004142238A (ja) 2002-10-24 2002-10-24 積層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527A true KR20040036527A (ko) 2004-04-30

Family

ID=3245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416A KR20040036527A (ko) 2002-10-24 2003-06-25 적층 필름, 그 제조법 및 포장 봉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142238A (ko)
KR (1) KR20040036527A (ko)
CN (1) CN1491866A (ko)
TW (1) TW2004063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91501A1 (en) * 2018-12-05 2021-09-23 Toppan Printing Co., Ltd. Gas barrier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5781A (ja) * 2003-04-04 2004-11-11 Tokuyama Corp ガスバリアコート剤及び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JP4781669B2 (ja) * 2004-11-25 2011-09-28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樹脂積層一軸延伸フィルム
JP4841169B2 (ja) * 2005-02-15 2011-12-21 日本紙パック株式会社 液体紙容器用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液体紙容器材料及びアセプティック液体紙容器
JP5258254B2 (ja) * 2006-11-17 2013-08-07 株式会社トクヤマ 包装用フィルム
JP5224108B2 (ja) * 2008-08-01 2013-07-03 サン・トックス株式会社 包装材
CN105774168B (zh) * 2013-05-13 2018-03-02 浙江众成包装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丙烯系聚合物‑乙烯系聚合物多层复合膜、其制备方法、用途及其制品
CN105774161A (zh) * 2014-12-19 2016-07-20 中国航天科工集团八五研究所 一种防紫外线的透明高阻隔膜及其制备方法
WO2020000340A1 (en) 2018-06-29 2020-01-0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Biaxially-oriented polyethylene multilayer film with matte surface
JP6787958B2 (ja) * 2018-09-18 2020-11-18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ロール包装体
JP6788646B2 (ja) * 2018-09-28 2020-11-25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ロール包装体
JP6666496B1 (ja) * 2019-03-13 2020-03-13 住友化学株式会社 ガスバリア積層体
CN111303572A (zh) * 2020-05-10 2020-06-19 黑龙江省农业科学院土壤肥料与环境资源研究所 一种聚乙烯醇基生物可降解农用环保地膜
JP7049430B2 (ja) * 2020-10-30 2022-04-06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ロール包装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91501A1 (en) * 2018-12-05 2021-09-23 Toppan Printing Co., Ltd. Gas barrier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1866A (zh) 2004-04-28
TW200406306A (en) 2004-05-01
JP2004142238A (ja)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68308B1 (en) Coated, oriented, linear, low-density, polethylene films
EP1263584B1 (en) Opaque polymeric films cavitated with pbt and polycarbonate
EP0812874B1 (en) Easy-to-break-through film
KR20040036527A (ko) 적층 필름, 그 제조법 및 포장 봉지
US4546150A (en) Film of polymer mixture containing 4-methyl-1-petene polymer
TWI781149B (zh) 二軸配向聚丙烯膜
EP1493560A1 (en) Biaxially oriented multi-layer polypropylene film and the use thereof
AU763901B2 (en) Medium density polyethylene film having unidirectional tear
KR20080044762A (ko) 포장용 필름
US11794397B2 (en) Heat-stabl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s
JP5151017B2 (ja) 積層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
EP1263585A1 (en) Opaque polymeric films cavitated with syndiotactic polystyrene
MX2010014546A (es) Peliculas, articulos preparados a partir de las mismas y metodos para hacer las mismas.
EP0659815B1 (en) Polypropylene films suitable for packaging
JP7188651B1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積層体、包装材、及び梱包体
JP2005088522A (ja) ヒートシール性ポリオレフィン系発泡フィルム及び包装体
CN109890882B (zh) 薄膜、卷绕体及粘合带
CN114728512A (zh) 阻气膜
JP7490940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無延伸シーラントフィルム、包装材及び包装体
US10093082B2 (en) Transparent polyolefin film
JPH1058596A (ja) 積層体
JP2007021814A (ja) 容器のフタ材用積層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イルム
JP2004345135A (ja) 積層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イ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3534531B2 (ja) 積層シート
JPH1058625A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