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4762A - 포장용 필름 - Google Patents

포장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4762A
KR20080044762A KR1020070109337A KR20070109337A KR20080044762A KR 20080044762 A KR20080044762 A KR 20080044762A KR 1020070109337 A KR1020070109337 A KR 1020070109337A KR 20070109337 A KR20070109337 A KR 20070109337A KR 20080044762 A KR20080044762 A KR 20080044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resin
polypropylene resin
heat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야 오오데라
도모다카 미즈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산·톡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산·톡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Publication of KR2008004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6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laminated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필름의 폭방향으로 개봉 테이프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용 2연신 필름에 있어서, 경사 방향으로 개봉 테이프를 잡아당긴 경우에 있어서도, 개봉 테이프를 따라 직선적으로 안정되게 찢는 것이 가능한 포장용 필름을 제공한다.
필름의 폭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개봉 테이프를 적층하여 사용하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서, 필름의 길이 방향의 인장신도가 170% 이하이고, 또한, 이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폭방향으로 개봉 테이프를 적층하여 구성된 포장용 필름이다.
포장, 필름, 개봉 테이프, 폴리프로필렌 수지.

Description

포장용 필름{FILM FOR PACKAGING}
본 발명은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신규한 포장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폭방향(이하, TD로 약칭하기도 한다.)으로 개봉 테이프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용 필름에 있어서, TD의 인열(引裂) 방향성이 현저하게 개선된 포장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플라스틱 필름, 특히,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용 필름은 그 강도, 포장 특성, 경제성의 면에서, 샌드위치, 주먹밥, 캬라멜 등의 식품, 담배 등의 기호품 포장, CD, DVD, 카세트데이프 등의 일용잡화 등, 여러 피포장체의 포장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포장용 필름은, 통상, 히트실링이나 용단(溶斷)실링 등에 의해 봉지를 만들어 피포장체를 포장하지만, 내용물인 피포장체를 꺼낼 때, 필요한 개소를 간단하게 찢어서 봉지를 여는 연구가 시행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포장용 필름에서는, 필름을 용이하게 찢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개봉 테이프(「테어 테이프」라고도 불림)를 구비한 것이 많이 제안 되어 있다(특허문헌 1∼4 참조). 일반적으로, 상기 개봉 테이프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용 필름의 경우, 그 필름 단부로부터 이 필름의 길이 방향(이하, MD라고 약기하기도 한다.)으로 적층되고, 상기 필름의 단부에는, 개봉 테이프를 끼우고 노치(가는 홈)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개봉 테이프를 구비한 포장체는, 개봉 테이프를 잡아당김으로써, 포장용 필름의 노치로부터, 테이프를 따라 포장용 필름(포장체)을 찢을 수 있다. 또, 개봉 테이프를 구성하는 기재 필름은, 통상,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 것이 사용되기 때문에, 개봉 도중에 끊어지지 않고, 이 개봉 테이프는 절단 오류를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그런데, 상기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사용한 포장용 필름에서는, 필름의 사용형태에 의해, 상기 개봉 테이프의 적층을 종래의 MD와 직각이 되는 TD에 적층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개봉 테이프를 필름의 TD에 설치하는 경우, 범용의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사용하면, TD에의 인열 방향성이 안정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예를 들면, 상기 포장용 필름에 의한 포장 봉지(포장체)를 확실하게 손으로 누르지 않고 개봉 테이프를 당기는 경우나, 개봉 테이프를 당기는 속도가 빠른 경우 등에 있어서는, 필름이 개봉 테이프에 의한 유도방향을 벗어나서 경사방향으로 찢어지는 상태가 발생하여, 내용물(피포장체)이 튀어나오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샌드위치의 포장 봉지와 같이, 개봉 테이프에 의한 개봉거리가 비교적 길고(약 80∼120mm 정도), 게다가, 내용물이 부드러운 경우, 이 내용물과 포장체와의 타이트 한 느낌이 없어, 개봉 테이프를 찢을 때에 포장체 자체가 미묘하게 움직여 버리는 일이 있어, 상기 문제가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을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중에서도, 특히, 저융점, 저결정성, 비결정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히트실링층으로 하여 적층한 히트실링 타입의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경우, 이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유연한 특성에 의해 인열 방향성이 안정되지 않아, 상기 문제가 보다 일어나 쉬운 경향이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평3-28945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실개 평6-4268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3014696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개 2005-53508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용 필름에 있어서, 개봉 테이프를 이 필름의 TD에 설치했을 때의, 개봉 테이프에 의한 인열 방향성이 극히 양호한 포장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했다. 그 결과, MD의 인장신도(伸度)가 특정한 값 이하가 되도록, 고도로 분자배향시킨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이, 의외로, 이러한 분자배향의 방향과 직각방향의 TD에 개봉 테이프를 적층함으로써, 이 개봉 테이프에 의한 인열 방향성이 현저하게 개선된 포장용 필름으로 되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이러한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이 히트실링층을 적층한 것이어도, 상기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의 인장신도가 170% 이하이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2축연신된 기재층을 적어도 갖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폭방향으로 개봉 테이프를 적층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이다.
상기 포장용 필름에서,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폭방향의 인장신도가 4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폭방향의 인장신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기계적 강도의 밸런스가 우수한 것이 되어, 그 용도가 확대되기 때문에 바람직 하다.
또, 상기 포장용 필름에 있어서,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2축연신된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히트실링층이 적층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성형 가공성이 우수한 것이 되기 때문에, 여러 용도의 포장용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용 필름에서, 히트실링층의 총 두께(기재층의 양면에 히트실링층이 적층된 것인 경우에는, 양면의 히트실링층의 두께의 총 합계)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두께의 0.8∼25%인 것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발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포장용 필름에 의해 형성된 샌드위치용 포장 봉지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은, 종래부터 문제로 되고 있던 TD의 인열성의 불안정함을 해소하고, 상기 개봉 테이프를 따라 안정하게 찢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적어도 기재층의 편면에 히트실링층이 적층된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에 개봉 테이프를 적층하여 이것을 구성하는 경우, 히트실링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종래의 필름에서는, 특히 TD의 인열성의 불안정함이 발생하기 쉬웠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태양의 포장용 필름에서도, 상기 개봉 테이프를 따라 안정하게 찢는 것이 가 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사용한 포장용 필름에서, 개봉 테이프를 적층하는 방향의 제한을 배제할 수 있다. 즉 인쇄 피치, 인쇄 방향, 포장 형태, 또는 포장 봉지의 수율의 향상 등의 제약으로부터, 어떻게 해도 TD에 개봉 테이프를 적층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다. 그 결과,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포장 분야에서의 이용율을 향상할 수 있고, 공업적인 공헌도는 극히 크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2축연신된 기재층을 적어도 갖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TD에 개봉 테이프를 적층한 포장용 필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길이 방향의 인장신도를 170% 이하로 함으로써, 이 개봉 테이프에 의해 필름을 TD에 직선적으로, 안정하게 찢을 수 있는, 「인열 방향성」을 개선한 것이다.
[기재층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2축연신된 기재층을 적어도 갖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후술하는 2축연신 방법에 의해, MD의 인장신도가 170% 이하를 달성할 수 있을 정도의 결정성을 갖는 것이면 되고, 일반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0∼100질량% 포함하는 수지가 사용된다. 상기 폴리프 로필렌계 수지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에 기초하는 단량체 단위가 30질량% 미만의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3원 공중합체, 및 이러한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α-올레핀은,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 어떤 것이라도 좋다. 또한, 후술하는 히트실링층은 기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의 기재층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융점은,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합비율이 많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융점을 기준으로 한다. 또, 배합비율이 동일한 경우에는, 융점이 높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중에서도, 제막성(製膜性)이나 개봉성이 보다 우수한 필름으로 하기 위해서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 함유량이 0.2∼5.0 질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 함유량이 0.2∼5.0질량%가 되도록 조정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얻어지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이하에 나타내는 수지를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첨가하는 수지를 예시하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석유 수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부텐-α-올레핀 공중합체, 각종 엘라스토머 등을 제시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상기 수지를 첨가하여 제막함으로써, 연신용이성, 고투명성, 고방습성, 첨가제의 블리딩 촉진성, 표면 거칠기의 개선용이성, 필름의 매트화, 제막용이성, 히트실링성, 및 코로나 방전처리 등에 의한 표면개질성 등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는 제막성을 고려하면 230℃에서 0.5∼15.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기능성을 높이는 수지를 첨가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도 230℃에서 1.0∼2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은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2축연신된 기재층을 적어도 갖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이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기재층은 상기 예시한 어느 하나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여, 단층으로 구성해도 되고, 목적에 따라서, 종류가 상이한 수지나 첨가제가 상이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해도 된다.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주층에, 특정한 기능을 갖는 첨가제를 배합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층을 적층하고, 기재층으로 하는 예를 들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히트실링층은 기재층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보다도 융점이 낮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되 지만, 기재층이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기재층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중, 가장 배합비율이 많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융점을 기준으로 한다. 또, 기재층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배합비율이 동일한 경우에는, 융점이 높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재층에는 공지의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또, 당연한 것이지만, 기재층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예를 들면 주층, 및 표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 층에 공지의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공지의 첨가제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산화방지제, 윤활제, 블로킹 방지제, 방담제, 염소포착제, 대전방지제, 결정핵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샌드위치 등의 식품을 포장하는 용도에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포장 후의 필름에의 결로에 의한 흐림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방담제나 대전방지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이 우수한 방담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재층에 방담제를 0.5∼1.5질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이 주층, 및 표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주층에 포함되는 방담제가 0.5∼1.5질량%이며, 또한, 표층의 전체 두께(양면에 표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양면의 표층 두께의 총 합)가 기재층 두께의 3∼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담성을 부여하고 싶은 쪽에는, 그 쪽의 기재층에 코로나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이 히트실링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기재층뿐인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또는 히트실링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우수한 방담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방담제의 배합비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기재층의 표면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기능층, 예를 들면 접착층이나 가스 배리어층, 차광층, UV 차단층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의 최대의 특징은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2축연신된 기재층을 적어도 갖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MD의 인장신도를 170% 이하, 바람직하게는 160% 이하로 한 것이다. 즉, 상기 인장신도가 170%를 초과하는 것은, 후술하는 비교예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TD에의 인열성이 저하되어, 개봉 테이프에 의한 인열 시에, 이 개봉 테이프를 따라 직선적으로 찢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MD의 인장신도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생산성, 포장용 필름으로서의 물성 등을 고려하면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포장용에 사용되고 있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종방향, 횡방향 모두 인열 쉬운 성질을 갖고 있지만, 이 포장용 필름을 찢을 때에 경사 방향으로 힘을 주면, 그대로 비스듬하게 찢어진다. 그리고, 종래, 이러한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MD의 인장신도가 180%를 초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히트실링층이 적층된 경우, 특히 그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인장신도는 더욱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MD의 인장신도가 170% 이하인, MD로 분자가 보다 배향된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MD의 인장신도를 170% 이하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개봉 테이프에 의한 TD의 인열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어, 안정하게 직선적으로 필름을 찢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에서, TD에 적층된 개봉 테이프에 의해, 인열 방향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기구는 명확하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이 추정하고 있다. 즉 필름의 MD의 인장신도를 170% 이하로 한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은, 이것을 구성하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분자쇄가 MD로 보다 배향된 상태로 되어, MD로 신장하는 여유가 없는 분자의 배향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적층된 개봉 테이프에 의한 전단력이 이것에 가해짐으로써, 이 부분의 분자쇄의 파괴가 생긴다. 개봉 테이프가 MD로 신장하는 여유가 없는 분자쇄를 파괴함으로써, 개봉 테이프에 의한 「찢어짐」을 주도하여, 이 개봉 테이프를 따라 직선적으로 필름을 찢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즉, 개봉 테이프에 의해 TD의 인열 방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TD의 인열 강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아니라, MD의 인장신도를 저하시키는(MD로 신장하는 여유가 없는 분자쇄의 상태라고 함)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기구는, 예를 들면, 필름을 TD로 찢고 싶은 경우에는, TD로 보다 분자쇄을 배향시키고 있던 종래의 필름의 인열 메카니즘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에서,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MD의 인장 신도 이외의 다른 물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한 물성으로서는 TD의 인장신도가 4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MD의 인장신도와 TD의 인장신도의 차는 30∼1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물성을 만족함으로써, 넓은 용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MD의 인장강도가 150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55∼230MPa, TD의 인장강도가 200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220∼340MPa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MD와 TD의 복굴절이 0.01300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이 이들 물성을 만족함으로써, TD의 인열 방향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이 복굴절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필름의 물성, 제막성 등을 고려하면, 0.00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굴절은 필름면 내의 MD와 TD와의 분자의 배향 정도의 차를 광의 굴절률을 사용하여 나타낸 것이다. 즉, 필름면 내의 배향방향에 대하여, 분자의 배향이 높을수록, 이 방향의 광의 굴절률은 커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핀계 수지 필름은 MD의 인장신도를 170% 이하로 할 필요가 있어, 일반적인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보다도 MD에 고도로 분자의 배향이 이루어지는 상태가 되므로, MD와 TD의 배향의 차가 작아진다. 그 결과, MD와 TD의 굴절률의 차인 복굴절은 일반적인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보다 작아진다.
또,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을 구성하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15∼80㎛, 특히, 2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에서, 상기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히트실링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기재층으로만 이루어지는 필름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2축연신된 기재층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하고, 이 필름의 길이 방향의 인장신도가 170% 이하로 되면 된다. 또, 이 필름이 상기의 각종 물성(예를 들면, TD의 인장신도, MD, 및 TD의 인장강도, 복굴절률, 필름 두께 등)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은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길이 방향의 인장신도가 170% 이하이면,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히트실링층이 적층된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히트실링층이 적층됨으로써,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은 2차 가공 특성이 양호하게 되어, 여러 피포장체의 포장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히트실링층이 적층된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이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히트실링층, 및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히트실링층, 및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본 발명의 포장 필름에 있어서, 2축연신된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적층되는 히트실링층은, 포장되는 내용물이나 포장기의 포장 적성 등에 따라, 필요로 하는 히트실링 강도, 및 히트실 융착 개시온도를 감안하여, 두께나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계 수지를 적당하게 선택하면 된다.
특히,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을 히트실에 의해 가공하여 샌드위치용 포장 봉지로 하는 경우, 히트실링 강도가 2.5N/15mm 이상, 바람직하게는 3.0N/15mm 이상이 되는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상기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히트실링 강도를 만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보다 융점이 낮은 수지이다. 특히,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보다 융점이 15∼60℃ 낮은 수지가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예시하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에 기초하는 단량체 단위 30질량% 미만의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3원 공중합체, 및 이것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α-올레핀은,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그중에서도, 제막성이나 히트실링성, 방담성이 보다 우수한 필름으로 하기 위해서는, 융점이 100∼130℃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융점이 110∼140℃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3원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배합비율이 많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융점을 기준으로 한다. 또, 배합비율이 동일한 경우에 는, 융점이 낮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준으로 한다. 기재층의 양면에 상이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히트실링층을 적층한 경우에는, 각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융점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히트실링층을 또한 저온 히트실링화, 방담제 등의 첨가제의 블리딩 촉진화 등의 기능을 부여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에틸렌-α-올레핀, 1-부텐-α-올레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융점, 저결정성 엘라스토머를 60질량% 이하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히트실링층에, 더욱, 매트 분위기의 외관을 부여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폴리프로필렌 등으로지는 비상용(非相溶) 수지를 적당하게,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히트실링층에는, 상기 기재층에서 예시한 첨가제를 특별히 제한 없이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기재층에 포함되는 방담제를 효율적으로 이 히트실링층 표면에 블리드 아웃시키는 작용이 있어, 이 히트실링층 표면에 극히 양호한 방담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은 샌드위치 포장 봉지 등의 용도에 대하여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에서, 히트실링층은 포장용 필름의 용도에 따라, 기재층의 편면, 또는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하면 된다.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에 있어서,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히트실링층의 총 두께(양면에 히트실링층이 적층된 것인 경우에는, 양면의 히트실링층의 두께의 총합)는 0.5∼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5∼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의 특징인,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MD의 인장신도는, 주로 상기 기재층의 특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히트실링층의 두께가 기재층에 대하여 지나치게 두꺼운 경우, 목적으로 하는 인장신도를 달성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즉,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MD의 인장신도가 170% 이하이어야만 하는데, 히트실링층이 지나치게 두꺼워지면 이 인장신도를 만족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MD의 인장신도는 히트실링층이 적층되는 기재층의 MD 분자배향이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후술하는 공압출법이나 인라인 라미네이션법에 의해 적층된 히트실링층은 2축 또는, 1축의 연신 공정을 통과하기 때문에, 2축 또는 1축의 연신 방향으로 분자가 배향된다. 그러나, 당연한 것이지만, 최종 연신인 TD 연신은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보다도, 융점이 높은 기재층을 구성하는 수지를 연신할 수 있는 온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특히 TD 연신의 최종 과정인 텐터 오븐 열처리의 열처리 온도에서,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저융점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대부분의 분자는 배향이 완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분자의 배향이 완화된 저융점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히트실링층은 이러한 히트실링층 자체의 신장이 커진다. 그 결과, 히트실링 층이 기재층에 대하여 지나치게 두꺼운 경우, MD의 인장신도도 증대시키는 결과가 되어, 인열 방향성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히트실링층의 총 두께는, 상기 범위를 만족하고, 또한,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전체의 두께의 25% 이하, 바람직하게는 0.8∼25%가 되도록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히트실링층이 적층된 필름, 즉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물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상기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2축연신된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히트실링층을 적층할 수 있다. 이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물성은 상기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D의 인장신도가 170% 이하, 바람직하게는 160% 이하이다. 즉, MD의 인장강도가 170%를 초과하는 것은, 후술하는 비교예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TD로의 인열 방향성이 저하되어, 개봉 테이프에 의한 인열 시에, 이 개봉 테이프를 따라 직선적으로 찢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MD의 인장신도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생산성, 포장용 필름으로서의 물성 등을 고려하면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에서,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TD의 인장신도, MD 및 TD의 인장강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한 물성으로서는 상기의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에서 설명한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TD의 인장신도가 4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MD의 인장신도와 TD의 인장신도의 차는 60∼1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MD의 인장강도가 150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55∼230MPa, TD의 인장강도가 200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220∼310MPa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MD와 TD의 복굴절은 보다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0.01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복굴절은 필름면 내의 MD와 TD의 분자의 배향 정도의 차를 광의 굴절률을 사용하여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핀계 수지 필름은 MD의 인장신도가 170% 이하로 할 필요가 있고, MD와 TD의 배향의 차가 작아지고, 그 결과, MD와 TD의 굴절률의 차인 복굴절은 작아진다. 더불어, 히트실링층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분자가 배향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상기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복굴절은 히트실링층이 적층되지 않은 상기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복굴절보다도 더욱 작아진다. 또한, 이 복굴절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필름의 물성, 제막성 등을 고려하면, 0.00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을 구성하는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히트실링층의 두께, 및 두께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고, 또한, 15∼80㎛, 특히, 2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제조방법]
다음에 상기에 설명한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필름의 제조방법은 히트실링층을 적층하는 경우와, 적층하지 않는 경우에서, 그 제조방법이 상이하다. 그 때문에 우선, 히트실링층을 적층하지 않는, 기재층만으로 이루어지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히트실링층이 적층되지 않은 필름의 제조방법]
이하에 설명하는 것은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2축연신된 기재층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하는 경우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에서, 히트실링층이 적층되지 않은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합한 방법으로서 이하의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축차(逐次) 2축연신함으로써, 2축연신된 기재층을 제조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 2축연신에서, MD로 5.5배 이상 연신하는 것이 적합하다.
히트실링층이 적층되지 않은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에서, 이 필름의 MD의 인장신도가 170% 이하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MD에 5.5배 이상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MD로 연신할 때의 상한은 제막성, 포장용 필름의 물성 등을 고려하면 8.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MD로 연신하는 조작은 1단계로 5.5배 이상 연신할 수도 있고, 다단계로 5.5배 이상 연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다단계, 일반적으로는, 2단계로 MD로 5.5 배 이상 연신함으로써, 안정하게 제막할 수 있다. 또한, 다단계로 연신하는 경우에는, 최종적인 MD의 연신배율, 즉, 전체의 MD 연신배율이 5.5배 이상으로 되면 된다.
또, TD로의 연신에 있어서, 그 연신배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8배 이상 연신된 것이 바람직하다. TD의 연신배율을 8배 이상으로 함으로써, 상기의 MD의 연신배율과의 균형으로, 두께 정밀도가 높은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보다 두께 정밀도가 높은 필름으로 하기 위해서는, TD의 연신배율이 8.5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TD의 연신배율의 상한은 안정한 제막성, 포장용 필름의 물성 등을 고려하면 13.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축차 연신에 있어서, 연신은 압출기에 의해 압출된 시트를 MD로 연신한 후, TD로 연신함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 히트실링층이 적층된 필름, 즉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을 구성하는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합한 방법으로서 이하의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축차 2축연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축차 연신으로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에서, 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적층하는 방법이 바람직 하다. 특히, 상기 축차 2축연신에서, MD로 6배 이상 연신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히트실링층이 적층됨으로써, MD의 인장신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히트실링층이 적층되지 않는 필름보다도, MD의 연신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연한 것이지만, 원료가 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상기 기재층이나 히트실링층의 설명에서 예시한 수지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에서, 얻어지는 필름의 MD의 인장신도가 170% 이하를 만족하기 위해서, MD로 6배 이상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MD로 연신할 때의 상한은 제막성, 포장용 필름의 물성 등을 고려하면 8.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D로 연신 하는 조작은 1단계로 6배 이상으로 연신할 수도 있고, 다단계로 6배 이상으로 연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다단계, 일반적으로는, 2단계로 MD로 6배 이상 연신함으로써, 안정하게 제막할 수 있다. 또한, 다단계로 연신하는 경우에는, 최종적인 MD의 연신배율, 즉, 전체의 MD 연신배율이 6배 이상으로 되면 된다.
또, TD로의 연신에서, 그 연신배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8배 이상 연신 된 것이 바람직하다. TD의 연신배율을 8배 이상으로 함으로써, 상기의 MD의 연신배율과의 균형으로, 두께 정밀도가 높은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보다 두께 정밀도가 높은 필름으로 하기 위해서는, TD의 연신배율이 8.5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TD의 연신배율의 상한은 안정한 제막성, 포장용 필름의 물성 등을 고려하면 13.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축차 연신에서, 연신은 압출기에 의해 압출된 시트를 MD로 연신한 후, TD로 연신함으로써 행해진다.
본 발명의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히트실링층의 형성은 상기 축차 2축연신의 어느 과정에서 행해도 된다.
먼저, 인라인 라미네이션법을 채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T 다이법에 의해, 최종적으로 기재층이 되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무연신 시트를 성형한다. 다음에 이 무연신 시트를 롤의 속도차에 의한 MD 롤 연신을 행하여, MD 연신 시트를 얻는다. 이어서, 별도 설치한 압출기를 사용하여,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T다이로부터 압출하고, 이 MD 연신 시트의 편면 또는 양면에, 용융 라미네이션을 행하고, 히트실링층이 적층된 적층 MD 연신 시트를 얻는다. 다음에 이 적층 MD 연신 시트를 텐터로 인도하고, 이 적층 MD 연신 시트의 양단을 클립으로 집고, 텐터 오븐 내에서 소정의 폭으로 TD 연신을 행하여,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얻는다.
다음에, 공압출법을 채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2대 이상의 압출기에 의해, 각 개별의 유로로부터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공압출 다이로부터 공압출하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무연신 시트 표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히트실링층이 적층된 무연신 적층 시트를 성형한다. 다음에 이 무연신 적층 시트를 롤의 속도차에 의한 MD 롤 연신을 행하여, 적층 MD 연신 시트를 얻는다. 이어서, 이 적층 MD 연신 시트를 텐터에 인도하고, 이 적층 MD 연신 시트의 양단을 클립으로 집고, 텐터 오븐 내에서 소정 의 폭으로 TD 연신을 행하여,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얻는다.
또한, 상기 양 방법을 조합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압출법에서, 미리, 편면에만 히트실링층을 적층한 적층 MD 연신 시트를 작성한다. 이어서, 이 적층 MD 시트의 히트실링층 적층면과 반대면(기재층의 표면)에, 인라인 라미네이션법에 의해 히트실링층을 적층하고, 양 표면에 히트실링층이 적층된 적층 MD 연신 시트를 성형한다. 그 후에 상기 TD 연신 방법으로 양면에 히트실링층이 적층된 2축연신 적층 필름을 얻을 수도 있다.
인라인 라미네이션법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기재층을 구성하는 시트만을 미리 MD 연신하기 때문에,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이나 결정성을 감안하여, MD 연신 전에 충분히 예열을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MD 연신배율이 6배 이상이어도, 아무런 문제 없이 실행할 수 있다.
한편, 공압출법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기재층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융점과,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융점이 상이하기 때문에, 융점이 상이한 수지가 적층된 시트로 된다. 그 때문에 안정하게 고배율의 MD 연신을 행하기 위해서는, 기재층을 구성하는 융점이 높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연신할 수 있는 MD 예열온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융점을 초과해 버리는 일이 있어, MD 예열 롤이나 MD 연신 롤에 이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점착되기 쉬워지거나 한다. 또,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시트 표면에 MD 연신에 의한 연신 상처가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한다. 단, 이것들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하기에 내보이는 방법을 채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히트실링층을 편면에만 적층하는 경우에는, 우선, 공압출법으로, 히트실링층에 접하는 예열·연신 롤의 온도를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융점이나 결정성에 따라 설정한다. 한편, 히트실링층이 적층되지 않는 반대측의 시트면에서는, 그 시트면에 접하는 예열·연신 롤의 온도를 그 시트면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이나 결정성에 따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반대측의 시트면이 기재층이면, 그 기재층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융점이나 결정성에 따라, 예열·연신 롤의 온도를 연신 가능한 상한온도 부근에 설정한다. 이러한 설정을 하면, 양호한 고연신배율의 MD 연신 시트가 얻어진다.
또, 공압출법로, 양면에 히트실링층을 적층하는 경우, 기재층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보다도 융점이나 결정성이 낮은 수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에 따라 연신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MD 예열 롤이나 연신 롤 온도를 낮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히트실링층의 각종 MD 롤에의 점착이나 연신 상처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공압출법으로, 양면에 히트실링층을 적층하는 경우, 공압출법으로 성형하는 미연신 시트를, 예를 들면 40℃ 이하의 물로 수냉하면, MD 예열 롤이나 연신 롤의 온도를 대폭 낮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양호한 고연신배율의 MD 연신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용융상태의 시트 형상물을 급랭하여 고화함으로써,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기재층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결정성장을 저해받은 채 고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MD 예열 롤이나 연신 롤 온도를 낮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히트실링층의 각종 MD 롤에의 점착이나 연신 상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MD의 인장신도가 170%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MD의 인장신도를 얻기 위해서는, MD의 연신배율을 6배 이상의 고배율로 연신함과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기재층 표면에 적층되는 히트실링층의 두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봉 테이프 및 개봉 테이프의 적층]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은 이것을 구성하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포함함)의 TD에 개봉 테이프가 적층된다.
상기 개봉 테이프는 공지의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개봉시의 잡아당김에 의한, 끊어짐이나 늘어남이 없는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 필름을 테이프 형상으로 가공한 것이 사용된다. 상기 필름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1축연신 또는 2축연신된 폴리올레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 개봉 테이프를 적층하는 면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포함함)의 어느 면에 적층해도 된다. 예를 들면,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에 있어서, 히트실링층이 기재층의 양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히트실링층의 표면에 적층해주면 된다. 또, 히트실링층이 기재층의 편면에 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재층의 표면이나, 히트실링층의 표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적층할 수 있다. 또, 개봉 테이프는 포장 봉지로 한 경우의 내면, 또는 외면의 어느 면에 적층되어도 상관없지만, 포장 봉지의 외면에 개봉 테이프를 적층하면, 간혹 개봉 테이프의 압착이나 열융착 시에 발생하는 물결 모양의 주름이 보이기 쉬워지거나, 포장 봉지의 외면에 시행되는 인쇄가 희미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개봉 테이프는 포장 봉지의 내면이 되도록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필름의 TD에 적층하는 개봉 테이프의 간격은 포장용 필름의 포장 형태 등에 따라 적당하게 결정된다. 개봉 테이프를 적층하는 방법은 압착법이나 열융착법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에서, 개봉 테이프가 적층된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단부에는, 개봉 테이프를 끼우고 노치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용 필름의 가공, 용도(샌드위치 포장 봉지)]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은 용단실링 및/또는 히트실링에 의해 2차 가공(봉지 제작 가공)을 행하고, 피포장체를 포장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샌드위치 포장 봉지 등의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이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적어도 편면에 적층되는 히트실링층을 봉지의 내면이 되도록, 겹치고, 용단실링기에 의한 봉지 제작을 함으로써, 극히 안정된 용단실링 강도를 갖는 포장 봉지로 할 수 있다. 이것은, 이러한 히트실링층이 저융점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상기 포장용 필름은, 특히, 샌드위치 포장 봉지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사용한 샌드위치 포장 봉지의 일례의 개략도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5에서, 개봉 테이프(N)는 이 필 름의 TD를 따라 설치되어 있고, 또, 개봉 테이프의 개봉구에 위치하는 필름의 단부에는 노치(M)가 설치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측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1) 멜트 매스 플로레이트
JIS-K7210에 준하여 멜트 매스 플로레이트(이하, MFR로 약칭한다.)를 측정했다. 또한, 측정온도를 230℃ 또는 190℃로 했다.
(2) 수지의 융점
시차주사열량계(세이코 전자공업(주)제 DSC6200R)를 사용하여, 질소분위기하에서 수지를 235℃에서 용융하고 10분간 유지한 후, 강온 속도 10℃/분으로 30℃까지 강온하고, 계속해서 승온속도 10℃/분으로 235℃까지 승온할 때 얻어지는 흡열곡선에 있어서 최대 흡열을 나타내는 피크 온도를 융점으로 했다.
(3) 공중합 조성
핵자기공명 분광장치(니폰덴시(주)제 JNM-GSX-270 (13C-핵공명주파수 67.8MHz)를 사용하여, 다음 조건으로 측정했다.
측정 모드: 1H-완전 디커플링
펄스 폭: 90도 펄스
펄스 반복시간: 3초
적산 회수: 10000회
용매: 트리클로로벤젠/중벤젠의 혼합용매(76/24 용량%)
시료 농도: 120mg/2.5ml 용매
측정온도: 120℃
공중합 조성의 정량은 M.kakugo, Y.Naito, K.Mizunuma, T.Miyatake, [Macromolecules, 15, 1150(1982)]에 따라 행했다.
(4) 필름의 두께
기계적 두께계((주)미쯔토요제 마이크로미터 OMV-25DM)로 두께(㎛)를 측정했다.
(5) 히트실링층의 두께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액체질소에 30분간 담그고, 동결 파단했다. 필름의 파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니폰덴시제 JSM-5600LV)으로 배율 5000으로 촬영하고, 히트실링층의 두께(㎛)를 산출했다. 이 히트실링층의 두께와 (4)의 필름 두께로부터 히트실링층의 총 두께의 비율을 산출했다.
(6) 투명성
JIS-K7105에 준하여 헤이즈(흐림값(曇價))를 측정했다.
(7) 인장강도, 인장신도
MD, TD에 각각 폭 10mm, 길이 150mm의 좁고 긴 형상의 샘플을 잘라내고, 인장속도 300mm/분에서 JIS-K7127에 준하여 측정했다.
(8) 복굴절
자동복굴절계(오지 계측기기(주)제, KOBRA-21ADH)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했다.
측정방식: 평행 니콜 회전법
측정파장: 590nm
필름면 내의 TD 굴절률(Ntd), 필름면 내의 MD 굴절률(Nmd),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Nz) 및, 필름면 내의 TD 굴절률과 MD 굴절률의 차(Ntd-Nmd)는 입사각 0°와 40°의 레타데이션(retardation)으로부터, 동 기기부속의 소프트웨어로 계산했다. 이때의 필름면 내의 TD 굴절률과 MD 굴절률의 차의 절대값(|Ntd-Nmd|)을 복굴절(△ (델타)n)로서 측정했다. 또, 평균 굴절률의 값은 1.490을 입력했다.
(9) 인열성 평가: 45도 인열성 시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MD, TD의 A4판의 필름을 잘라내고, 필름(L)의 TD를 따라 중앙으로 폭 20mm 길이 165mm의 개봉 테이프(K)를 히트실링기에 의해 열융착하여 적층했다.
개봉 테이프(K)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35mm에 개봉 테이프(K)와 평행한 길이 150mm 기선 A, A'을 필름(L) 상에 그리고, 다음에 개봉 테이프(K)의 상부에 폭 25mm 길이 15mm의 개봉구(B)를 설치했다. 개봉구(B)로부터의 인열 개시의 위치는 G, G'이 된다. 기선 A에서부터 기선 A' 사이의 거리는 70mm이고, 필름의 TD에 있어서, 기선 A', A의 일단과 G, G'의 위치는 같다고 한다. 이어서, 당해 필름(L)을 두꺼운 종이(J)에 점착 테이프(E)로 고정했다.
두꺼운 종이(J)에 고정한 당해 샘플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이고, 인장 시험기의 척(C, C')으로 붙잡고, 척(C')을 화살표 방향으로, 인열 속도가 500mm/분이 되도록 이동시켰다. 이렇게 함에 따라, 개봉 테이프에 기울기 45도 방향의 힘이 걸리도록 하여 인열 시험을 행했다. 이때, 상부 척(C)은 당해 샘플과 두꺼운 종이를 붙잡고, 하부 척(C')은 개봉구(B)의 필름과 개봉 테이프(K)의 상부를 붙잡았다. 여기에서 개봉 테이프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35mm에 그린 기선 A로부터 기선 A' 사이의 거리(70mm)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샌드위치 중에서, 샌드위치의 두께(폭)가 얇은 것(약 70mm)에 맞춘 것이다. 즉, 이 기선을 넘어 개봉부분이 확대된 경우, 샌드위치가 튀어나오기 쉬워지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도 3은, 척에 샘플을 세팅했을 때의 개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필름에 적층한 개봉 테이프(K), 및 점착테이프(E)의 일부 등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도 4에 45도 인열 시험 후의 샘플을 도시했다. 찢은 부분의 일례를 점선 F, F'로 나타냈다. 또한, 인열 개시 위치 G, G'으로부터 기선 A, A'에 도달했을 때의 접점을 접점 H로 나타냈다. 또 도 4에서의 I의 거리를 45도 인열 거리(I)(mm)로 하여 하기의 4단계로 평가했다.
평가 ◎: 45도 인열 거리가 120mm 이상.
평가 ○: 45도 인열 거리가 80mm 이상 120mm 미만.
평가 △: 45도 인열 거리가 60mm 이상 80mm 미만.
평가 ×: 45도 인열 거리가 60mm 미만.
(10) 방담성
100ml의 비이커에 물 50ml(18℃)를 넣었다. 이어서, 비이커의 입구를 필름으로 주름이 없도록 덮고, 고무밴드로 고정한 샘플을 작성했다. 이어서, 이 샘플을 냉장고(5℃)에서 30분간 냉각시킨 후, 필름 표면(비이커 내면측)에 결로된 물방울의 상태를 하기 4단계 평가로 했다.
평가 ◎: 결로된 물이 표면에 매끄러운 모양으로 젖어 있어 필름이 전혀 흐려있지 않다.
평가 ○: 결로된 물이 큰 입자로 되어 있고, 필름이 흐려져 있지 않다.
평가 △: 결로된 물 입자가 작고, 여기저기 필름에 흐려진 부분이 있다.
평가 ×: 결로된 물 입자가 극히 작아 필름이 새하얗게 흐려져 있다.
(11) 용단실링 강도
용단실링기(PP-500형 쿄에이(주)제)를 사용하여 실링날 온도 380℃, 120샷/분으로 봉지 제작을 행했다. 얻어진 용단실링 봉지의 용단실링 부분을 폭 15mm, 길이 150mm의 좁고 긴 형상의 샘플을 잘라냈다. 이어서, 이 샘플을 인장시험기(시마즈 세이샤쿠쇼제 AG500)를 사용하여, 인장속도 100mm/분으로 인장시험을 행하고 용단실링 부분이 파단될 때의 강도를 용단실링 강도(단위: N/15mm)로 했다.
(12) 히트실링 강도
MD를 길이로 한, 폭 15mm 길이 150mm의 좁고 긴 형상의 샘플 2매를 히트실링면끼리 겹치도록 합치고, 히트실링기(YSS형 야쓰다세키(주)제)를 사용하여, 상측 금속 히트실링 온도 145℃, 하측 테플론 고무 온도 90℃, 히트실링 압력 0.1Mpa, 히트실링 시간 1초에 조건을 고정하고, 히트실링을 행했다. 얻어진 히트실링 샘플 을 인장시험기(시마즈 세이사쿠쇼 제 AG500)를 사용하여, 인장속도 100mm/분으로 인장시험을 행하고 히트실링 부분이 파단될 때의 최대강도를 히트실링 강도(단위: N/15mm)로 했다.
실시예 1 (히트실링층을 적층하고 있지 않은 필름)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융점 161℃, MFR 3.2g/10분(230℃) 프라임 폴리머제 F301SPE/F301SPG: 혼합비 60/40)를 압출온도 245℃에서 단층 T다이로부터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MD 2단 연신기에 의해 1단째의 연신을 145℃에서 5배로 연신하고, 2단째의 연신을 135℃에서 행하여, 전체의 MD 연신배율이 7배가 되는 MD 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MD 연신 시트를 텐터식 횡연신기(예열온도 186℃, 연신온도 164℃)로 TD로 11배 연신하고, 코로나 처리를 하지 않은 30㎛의 2축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2축연신 필름의 용단실링 강도는 23.9N/15mm이었다. 방담성의 평가는 ×이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투명성, 연신배율, 기계적 강도 특성, 복굴절, 인열성 평가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히트실링층을 적층하고 있지 않은 필름)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융점 161℃, MFR 3.2g/10분(230℃) 프라임 폴리머제 F301SPE/F301SPG: 혼합비 60/40)를 압출온도 245℃에서 단층 T다이로부터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MD 2단 연신기에 의해 1단째의 연신을 142℃에서 5.1배로 연신하고, 2단째의 연신을 138℃에서 행하여, 전체의 MD 연신배율이 7.1배가 되는 MD 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MD 연신 시트를, 텐터식 횡 연신기(예열온도 180℃, 연신온도 162℃)로 TD로 11배 연신하여, 코로나 처리를 하지 않은 25㎛의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용단실링 강도는 22.2N/15mm이었다. 방담성의 평가는 ×이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투명성, 연신배율, 기계적 강도 특성, 복굴절, 인열성 평가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3(히트실링층을 적층하고 있지 않은 필름)
실시예 2에서,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22㎛의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작을 행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용단실링 강도는 20.3N/15mm이었다. 방담성의 평가는 ×이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투명성, 연신배율, 기계적 강도특성, 복굴절, 인열성 평가를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1(히트실링층을 적층하고 있지 않은 필름)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융점 161℃, MFR 2.2g/10분(230℃) 프라임 폴리머제 F201SPE/F201SPG: 혼합비 60:40) 압출온도 230℃에서 단층 T다이로부터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MD 2단 연신기에 의해 1단째의 연신을 143℃에서 4.4배로 연신하고, 2단째의 연신을 138℃에서 행하여, 전체의 MD 연신배율이 4.6배가 되는 MD 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MD 연신 시트를, 텐터식 횡연신기(예열온도 184℃, 연신온도 161℃)로 TD로 10배 연신하여, 코로나 처리를 하지 않은 30㎛의 2축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용단실링 강도는 25.3N/15mm이었다. 방담성의 평가는 ×이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투명성, 연신배율, 기계적 강도 특성, 복굴절, 인열성 평가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4 (히트실링층을 적층하고 있지 않은 필름)
기재층으로서, 표층/주층/표층의 구성인 3층 필름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막했다. 먼저, 주층의 원료로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융점 156℃, 에틸렌 함유량 0.4질량%, MFR 2.5g/10분(230℃), 방담제 1.0질량% 함유품, 썬알로머 제 PC412Z 표 2에서의 수지 1) 75질량%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융점 144℃, 에틸렌량 2.5질량%, MFR 2.0g/10분, 쓰미토모 가가쿠 제 FH3315 표 2에서의 수지 2) 25질량%를 혼합했다. 다음에 양 표층의 원료로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융점 156℃, 에틸렌 함유량 0.4질량%, MFR 2.2g/10분(230℃), 썬알로머 제 PC412A) 75질량%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융점 144℃, 에틸렌량 2.5질량%, MFR 2.0g/10분, 쓰미토모 가가쿠 제 FH3315 표 2에서의 수지 2) 20질량% 및, 블로킹 방지제 마스터 뱃치(융점 140℃, 에틸렌 함유량 3.6질량%, MFR 8.0g/10분(230℃), 썬알로머 제 PY630D 표 2에서의 수지 7) 5질량%를 혼합했다. 계속해서, 상기 주층의 원료와 상기 양 표층의 원료를 압출온도 260℃에서 3층 T다이로부터 고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미연신 시트를 MD 2단 연신기에 의해 1단째의 연신을 140℃에서 1.3배로 연신하고, 2단째의 연신을 146℃에서 행하여, 전체의 MD 연신배율이 5.5배가 되는 MD 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MD 연신 시트를, 텐터식 횡연신기(예열온도 187℃, 연신온도 152℃)로 TD로 10.3배 연신하여,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총 두께 30㎛, 각 표층의 두께 1.0㎛, 주층의 두께 28.0 ㎛의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용단실링 강도는 18.2N/15mm이고, 방담성의 평가는 ○이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투명성, 연신배율, 기계적 강도 특성, 복굴절, 인열성 평가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5(히트실링층을 적층하고 있지 않은 필름)
실시예 4에서, 전체의 MD 연신배율을 6.0배, TD 연신배율을 10.2배로 하고,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총 두께 30㎛, 각 표층의 두께 1.0㎛, 주층의 두께 28.0㎛의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조작을 행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용단실링 강도는 18.4N/15mm이고, 방담성의 평가는 ◎이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투명성, 연신배율, 기계적 강도 특성, 복굴절, 인열성 평가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6(히트실링층을 적층하고 있지 않은 필름)
실시예 4에서, 전체의 MD 연신배율을 6.5배, TD 연신배율을 10.0배로 하고,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총 두께 30㎛, 각 표층의 두께 1.0㎛, 주층의 두께 28.0㎛의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조작을 행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용단실링 강도는 17.8N/15mm이고, 방담성의 평가는 ◎이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투명성, 연신배율, 기계적 강도 특성, 복굴절, 인열성 평가를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2 (히트실링층을 적층하고 있지 않은 필름)
실시예 4에서, 전체의 MD 연신배율을 4.6배, TD 연신배율을 9.3배로 하고,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총 두께 30㎛, 각 표층의 두께 1.0㎛, 기층의 두께 28.0㎛의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조작을 행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용단실링 강도는 19.4N/15mm이고, 방담성의 평가는 ◎이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투명성, 연신배율, 기계적 강도 특성, 복굴절, 인열성 평가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7 (히트실링층을 적층하고 있지 않은 필름)
기재층으로서 표층/주층/표층의 구성인 3층 필름을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제막했다. 먼저, 주층의 원료로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융점 156℃, 에틸렌 함유량 0.4질량%, MFR 2.5g/10분(230℃), 방담제 1.0질량% 함유품, 썬알로머 제 PC412Z 표 2에서의 수지 1) 25질량%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융점 144℃, 에틸렌량 2.5질량%, MFR 2.0g/10분, 쓰미토모 가가쿠 제 FH3315 표 2에서의 수지 2) 75질량%를 혼합했다. 다음에, 양 표층의 원료로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융점 156℃, 에틸렌 함유량 0.4질량%, MFR 2.2g/10분(230℃), 썬알로머 제 PC412A) 25질량%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융점 144℃, 에틸렌량 2.5질량%, MFR 2.0g/10분, 쓰미토모 가가쿠 제 FH3315 표 2에 있어서의 수지 2) 70질량% 및, 블로킹 방지제 마스터 뱃치(융점 140℃, 에틸렌 함유량 3.6질량%, MFR 8.0g/10분(230℃), 썬알로머 제 PY630D 표 2에서의 수지 7) 5질량%를 혼합했다. 계속해서, 상기 주층의 원료와 상기 양 표층의 원료를 압출온도 260℃에서 3층 T다이로부터 공압출하고,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미연신 시트를 MD 2단 연신기에 의해 1단째의 연신을 139℃에서 1.3배로 연신하고, 2단째의 연신을 144℃ 에서 행하여, 전체의 MD 연신배율이 6.0배가 되는 MD 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MD 연신 시트를, 텐터식 횡연신기(예열온도 185℃, 연신온도 150℃)로 TD로 9.5배 연신하고,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총 두께 30㎛, 각 표층의 두께 1.0㎛, 주층의 두께 28.0㎛의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용단실링 강도는 15.5N/15mm이고, 방담성의 평가는 ×이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투명성, 연신배율, 기계적 강도 특성, 복굴절, 인열성 평가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8 (히트실링층을 적층하고 있지 않은 필름)
실시예 7에서, 전체의 MD 연신배율을 6.5배, TD 연신배율을 9.3배로 하고,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총 두께 30㎛, 각 표층의 두께 1.0㎛, 주층의 두께 28.0㎛의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작을 행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용단실링 강도는 15.3N/15mm이고, 방담성의 평가는 ×이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투명성, 연신배율, 기계적 강도 특성, 복굴절, 인열성 평가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9 (히트실링층을 적층하고 있지 않은 필름)
실시예 7에서, 전체의 MD 연신배율을 7.0배, TD 연신배율을 9.2배로 하고,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총 두께 30㎛, 각 표층의 두께 1.0㎛, 주층의 두께 28.0㎛의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작을 행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용단실링 강도는 15.0N/15mm이고, 방담성의 평가는 ×이었다. 얻어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투명성, 연신배율, 기계적 강도 특성, 복굴절, 인열성 평가를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3
시판되고 있는 양면 방담필름 상품명 KF51#30 양면 코로나 처리품(산·독스(주)제)의 용단실링 강도, 방담성을 평가한 결과, 용단실링 강도는 21.0N/15mm이고, 방담성은 ◎이었다. 당해 필름의 투명성, 기계적 강도 특성, 복굴절, 인열성 평가를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4
시판되고 있는 범용 2축연신 OPP 필름, 상품명 PA20#30 편면 코로나 처리품(산·독스(주)제)의 코로나 처리면이 봉지 안쪽이 되도록 용단실링 봉지를 작성하고 용단실링 강도를 측정한 결과, 용단실링 강도는 13.3N/15mm이었다. 또, 코로나 처리면의 방담성을 평가한 결과 방담성은 ×이었다. 당해 필름의 투명성, 기계적 강도 특성, 복굴절, 인열성 평가를 표 1에 나타냈다.
항목 두께 (㎛) 헤이즈 (%) 연신배율 (배) 인장신도 (%) 인장강도 (MPa) 복굴절 (ΔN) 45도 인열성
MD TD MD TD MD TD |MD-TD| 거리 (mm) 평가
실시예 1 30 3.3 7.0 11.0 118 56 215 291 0.00931 125
실시예 2 25 2.6 7.1 11.0 117 62 211 298 0.00800 116
실시예 3 22 2.5 7.1 11.0 116 63 213 290 0.00855 117
비교예 1 30 3.2 4.6 10.0 215 55 151 310 0.01681 47 ×
실시예 4 30 2.4 5.5 10.3 155 56 173 318 0.01368 96
실시예 5 30 2.4 6.0 10.2 141 61 191 324 0.01223 115
실시예 6 30 2.5 6.5 10.0 129 62 200 314 0.01125 116
비교예 2 30 2.7 4.6 9.3 241 55 138 304 0.01588 21 ×
실시예 7 30 2.6 6.0 9.5 137 58 183 288 0.01077 148
실시예 8 30 2.7 6.5 9.3 120 67 192 294 0.00956 146
실시예 9 30 2.6 7.0 9.2 106 65 205 290 0.00787 148
비교예 3 30 2.7 - - 232 46 152 281 0.01547 22 ×
비교예 4 30 3.2 - - 210 49 140 335 0.01697 51 ×
실시예 10 (히트실링층을 갖는 필름)
히트실링층/기재층(기재층을 주층과 표층의 2층으로 함)의 구성인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제막했다. 먼저,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5를 95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7을 5질량% 혼합한 것(히트실링용 수지)을 준비했다. 다음에, 기재층을 구성하는 원료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1을 70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2를 30질량% 혼합한 것(주층 수지)과,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4를 97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8을 3질량% 혼합한 것(표층 수지)을 준비했다. 이 경우, 융점을 비교하는 것은 히트실링층의 수지 5와 주층의 수지 1이다.
상기의 각 층의 수지를 히트실링용 수지/주층 수지/표층 수지의 순으로 각각 개별 압출기로부터 압출온도 220∼240℃에서 3층 T다이로부터 공압출을 행하고, 수냉 캐스팅법으로 냉각 고화하여, 3층 구성의 미연신 시트를 성형했다. 다음에, 이 3층 시트를 MD 2단 연신기에 의해, 1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35℃에서 5.2배로 연신하고, 2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22℃에서 행하고, 전체의 MD 연신배율이 6.8배가 되는 MD 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MD 연신 시트를, 텐터식 횡연신기(예열온도 186℃, 연신온도 162℃)로 하여 TD로 9.5배 연신하고,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총 두께 30㎛, 히트실링층의 두께 1.5㎛, 기재층의 두께 28.5㎛(주층의 두께 26.5㎛, 표층의 두께 2.0㎛)의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제막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40℃에서 2일간 양생 후에, 용단실링 강도, 히트실링 강도, 방담성, 투명성, 복굴절, 인열 방향성 평가, 기계적 강도 특성의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 사용한 수지의 상세한 조성, 융점을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1 (히트실링층을 갖는 필름)
히트실링층/기재층(기재층을 주층과 표층의 2층으로 함)의 구성인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제막했다. 우선,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5를 95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7을 5질량% 혼합한 것(히트실링용 수지)을 준비했다. 다음에, 기재층을 구성하는 원료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1을 70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2를 30질량% 혼합한 것(주층 수지),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4를 97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8을 3질량% 혼합한 것(표층 수지)을 준비했다. 융점을 비교하는 수지는 수지 5와 수지 1이다.
상기의 각 층의 수지를 히트실링용 수지/주층 수지/표층 수지의 순으로 각각 개별의 압출기로부터 압출온도 245∼265℃에서 3층 T다이로부터 공압출을 행하고, 칠 롤로 냉각 고화하여, 3층 구성의 미연신 시트를 성형했다. 다음에, 이 3층 시트를 MD 2단 연신기에 의해, 1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43℃에서 1.2배로 연신하고, 2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43℃에서 행하여, 전체의 MD 연신배율이 6.8배가 되는 MD 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MD 연신 시트를 텐터식 횡연신기(예열온도 190℃, 연신온도 155∼164℃)로 TD로 9.0배 연신하고,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총 두께 30㎛, 히트실링층의 두께 2.5㎛, 기재층의 두께가 27.5㎛(주층의 두께 25.5㎛, 표층의 두께 2.0㎛)의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제막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40℃에서 2일간 양생 후에, 용단실링 강도, 히트실링 강도, 방담성, 투명성, 복굴절, 인열 방향성 평가, 기계적 강도 특성의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한 사용한 수지의 상세한 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2 (히트실링층을 갖는 필름)
히트실링층/기재층(기재층을 주층과 표층의 2층으로 함)의 구성인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제막했다. 먼저,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6을 95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7을 5질량% 혼합한 것(히트실링용 수지)을 준비했다. 다음에, 기재층을 구성하는 원료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3을 70질량% 및 수지 2를 30질량% 혼합한 것(주층 수지), 수지 4를 97질량% 및 수지 8을 3질량% 혼합한 것(표층 수지)을 준비했다. 융점을 비교하는 수지는 수지 6과 수지 3이다.
상기의 각층의 수지를, 히트실링용 수지/주층 수지/표층 수지의 순으로 각각 개별의 압출기로부터 압출온도 220∼240℃로 3층 T다이로부터 공압출을 행하고, 수냉 캐스팅법으로 냉각 고화하여, 3층 구성의 미연신 시트를 성형했다. 다음에 이 3층 시트를 MD 2단 연신기에 의해, 1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35℃에서 5.2배로 연신하고, 2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22℃에서 행하여, 전체의 MD 연신배율이 6.8배가 되는 MD 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MD 연신 시트를 텐터식 횡연신기(예열온도 186℃, 연신온도 162℃)로 TD로 9.5배 연신하고,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총 두께 30㎛, 히트실링층의 두께 1.5㎛, 기재층의 두께 28.5㎛(주층의 두께 26.5㎛, 표층의 두께 2.0㎛)의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제막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40℃에서 2일간 양생 후에, 용단실링 강도, 히트실링 강도, 방담성, 투명성, 복굴절, 인열 방향성 평가, 기계적 강도 특성의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 사용한 수지의 상세한 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5 (히트실링층을 갖는 필름)
히트실링층/기재층/히트실링층의 구성인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막했다. 먼저, 양면의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5를 80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10을 15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7을 5질량% 혼합한 것(히트실링용 수지)을 준비했다. 다음에, 기재층을 구성하는 원료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1이 100질량%인 것(주층 수지)을 준비했다. 융점을 비교하는 수지는 수지 5와 수지 10이다.
다음에, 상기의 각 층의 수지를 히트실링용 수지/주층 수지/히트실링용 수지의 순으로 각각 개별의 압출기로부터 압출온도 240∼260℃에서 3층 T다이로부터 공압출을 행하고, 수냉 캐스팅법으로 냉각 고화하여, 3층 구성의 미연신 시트를 성형했다. 다음에 이 3층 시트를 MD 2단 연신기에 의해, 1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28℃에서 1.1배로 연신하고, 2단째의 예열온도를 128℃에서 행하여, 전체의 MD 연신배율이 4.6배가 되는 MD 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MD 연신 시트를, 텐터식 횡연신기(예열온도 186℃, 연신온도 162℃)로 TD로 9.5배 연신하고,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총 두께 30㎛, 양 히트실링층의 두께가 각 1.5㎛, 기재 필름의 두께 27.0㎛의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제막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40℃에서 2일간 양생 후에, 용단실링 강도, 히트실링 강도, 방담성, 투명성, 복굴절, 인열 방향성 평가, 기계적 강도 특성의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 사용한 수지의 상세한 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3 (히트실링층을 갖는 필름)
히트실링층/기재층/히트실링층의 구성인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막했다. 먼저, 양면의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6을 95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7을 5질량% 혼합한 것(히트실링용 수지)을 준비했다. 다음에 기재층을 구성하는 원료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1을 80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3을 20질량% 혼합한 것(주층 수지)을 준비했다. 융점을 비교하는 수지는, 수지 6과 수지 1이다.
상기의 각 층의 수지를, 히트실링용 수지/주층 수지/히트실링용 수지의 순으로 각각 개별의 압출기로부터 압출온도 200∼240℃에서 3층 T다이로부터 공압출을 행하고, 수냉 캐스팅법으로 냉각 고화하여, 3층 구성의 미연신 시트를 성형했다. 다음에, 이 3층 시트를 MD 2단 연신기에 의해, 1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22℃에서 5.2배로 연신하고, 2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21℃에서 행하여, 전체의 MD 연신배율이 6.8배가 되는 MD 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MD 연신 시트를, 텐터식 횡연신기(예열온도 186℃, 연신온도 166℃)로 TD로 10배 연신한 후,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이렇게 하여, 총 두께 30㎛, 양 히트실링층의 두께가 각 1.5㎛, 기재층의 두께 27.0㎛의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제막했다. 얻어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40℃에서 2일간 양생 후에, 용단실링 강도, 히트실링 강도, 방담성, 투명성, 복굴절, 인열 방향성 평가, 기계적 강도 특성의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 사용한 수지의 상세한 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4 (히트실링층을 갖는 필름)
히트실링층/기재층/히트실링층의 구성인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제막했다. 먼저, 양면의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6을 95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7을 5질량% 혼합한 것(히트실링용 수지)을 준비했다. 다음에 기재층을 구성하는 원료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1을 80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3을 20질량% 혼합한 것(주층 수지)을 준비했다. 융점을 비교하는 것은, 수지 6과 수지 1이다.
상기의 각 층의 수지를 히트실링용 수지/주층 수지/히트실링용 수지의 순으로 각각 개별의 압출기로부터 압출온도 200∼240℃로 3층 T다이로부터 공압출을 행하고, 수냉 캐스팅법으로 냉각 고화하여, 3층 구성의 미연신 시트를 성형했다. 다음에 이 3층 시트를 MD 2단 연신기에 의해, 1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22℃에서 5.2배로 연신하고, 2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21℃에서 행하여, 전체의 MD 연신배율이 6.8배가 되는 MD 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MD 연신 시트를, 텐터식 횡연신기(예열온도 183℃, 연신온도 163℃)로 TD로 10배 연신한 후,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이렇게 하여, 총 두께 20㎛, 양 히트실링층의 두께가 각 1.5㎛, 기재층의 두께 17.0㎛의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작성했다. 얻어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40℃에서 2일간 양생 후에, 용단실링 강도, 히트실링 강도, 방담성, 투명성, 복굴절, 인열 방향성 평가, 기계적 강도 특성의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 사용한 수지의 상세한 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6 (히트실링층을 갖는 필름)
히트실링층/기재층(기재층을 주층과 표층의 2층으로 함)의 구성인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막했다. 먼저,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5를 95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7을 5질량% 혼합한 것(히트실링용 수지)을 준비했다. 다음에 기재층을 구성하는 원료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1을 70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2를 30질량% 혼합한 것(주층 수지)과,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4를 97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8을 3질량% 혼합한 것(표층 수지)을 준비했다. 융점을 비교하는 것은 수지 5와 수지 1이다.
상기의 각 층의 수지를 히트실링용 수지/주층 수지/표층 수지의 순으로 각각 개별의 압출기로부터 압출온도 245∼265℃에서 3층 T다이로부터 공압출을 행하고, 칠 롤로 냉각 고화하여, 3층 구성의 미연신 시트를 성형했다. 다음에 이 3층 시트를 MD 2단 연신기에 의해, 1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43℃에서 1.2배로 연신하고, 2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43℃에서 행하여, 전체의 MD 연신배율이 5.2배가 되는 MD 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MD 연신 시트를, 텐터식 횡연신기(예열온도 190℃, 연신온도 155∼164℃)로 TD로 8.7배로 연신한 후,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했다.
이렇게 하여, 총 두께 30㎛, 히트실링층의 두께 2.0㎛, 기재층의 두께 28.0㎛(주층의 두께 26.5㎛, 표층의 두께 1.5㎛)의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제막했다. 얻어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40℃에서 2일간 양생 후에, 용단실링 강도, 히트실링 강도, 방담성, 투명성, 복굴절, 인열 방향성 평가, 기계적 강도 특성의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 사용한 수지의 상세한 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5 (히트실링층을 갖는 필름)
MD 2단 연신기의 2단째의 연신배율을 높게 하여, 전체의 MD 연신배율을 6.3배로 한 이외는, 비교예 6과 동일하게 하여 총 두께 30㎛, 히트실링층의 두께 2.0㎛, 기재층의 두께 28.0㎛(주층의 두께 26.5㎛, 표층의 두께 1.5㎛)의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제막했다. 얻어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40℃에서 2일간 양생 후에, 용단실링 강도, 히트실링 강도, 방담성, 투명성, 복굴절, 인열 방향성 평가, 기계적 강도 특성의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 사용한 수지의 상세한 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6 (히트실링층을 갖는 필름)
MD 2단 연신기의 2단째의 연신배율을 높게 하여, 전체의 MD 연신배율을 6.8배로 하고, TD로 9.0배로 연신한 이외는, 비교예 6과 동일하게 하여 총 두께 30㎛, 히트실링층의 두께 2.0㎛, 기재 필름의 두께 28.0㎛(주층의 두께 26.5㎛, 표층의 두께 1.5㎛)의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제막했다. 얻어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40℃에서 2일간 양생 후에, 용단실링 강도, 히트실링 강도, 방담성, 투명성, 복굴절, 인열 방향성 평가, 기계적 강도 특성의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 사용한 수지의 상세한 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7 (히트실링층을 갖는 필름)
MD 2단 연신기의 2단째의 연신배율을 높게 하여, 전체의 MD 연신배율을 7.0배로 하고, TD로 9.2배로 연신한 이외는, 비교예 6과 동일하게 하여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제막했다. 얻어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40℃에서 2일간 양생 후에, 용단실링 강도, 히트실링 강도, 방담성, 투명성, 복굴절, 인열 방향성 평가, 기계적 강도 특성의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 사용한 수지의 상세한 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8 (히트실링층을 갖는 필름)
총 두께 30㎛, 히트실링층의 두께를 5.0㎛, 기재층 25.0㎛(주층의 두께 23.5㎛, 표층의 두께 1.5㎛)로 한 이외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제막했다. 얻어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40℃에서 2일간 양생 후에, 용단실링 강도, 히트실링 강도, 방담성, 투명성, 복굴절, 인열 방향성 평가, 기계적 강도 특성의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 사용한 수지의 상세한 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9 (히트실링층을 갖는 필름)
히트실링층/기재층(기재층을 주층과 표층의 2층으로 함)의 구성인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제막했다. 먼저,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9를 95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7을 5질량% 혼합한 것(히트실링용 수지)을 준비했다. 다음에 기재층을 구성하는 원료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1을 70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2를 30질량% 혼합한 것(주층 수지),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4를 97질량%,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8을 3질량% 혼합한 것(표층 수지)을 준비했다. 융점을 비교하는 것은 수지 9와 수지 1이다.
이어서, 상기한 기재층을 구성하는 주층 수지와 표층 수지를 각각 개별의 압출기로부터 압출온도 245∼265℃에서 2층 T다이로부터 공압출을 행하고, 칠 롤로 냉각 고화하여, 2층 구성의 미연신 시트를 성형했다. 다음에 이 2층 미연신 시트를 MD 2단 연신기에 의해, 1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53℃에서 1.2배로 연신하고, 2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54℃에서 행하여, 전체의 MD 연신배율이 6.8배가 되는 기재층(기재층을 주층과 표층의 2층으로 함)으로 이루어지는 MD 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MD 연신 시트의 주층 표면에, 별도 단층 다이를 부설한 인라인 라미네이션기를 사용하여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수지를 250℃에서 압출 적층했다. 이어서, 이 히트실링층이 적층된 MD 연신 시트를 텐터식 횡연신기(예열온도 190℃, 연신온도 156∼167℃)로 TD로 9.0배로 연신한 후,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했다.
이렇게 하여, 총 두께 30㎛, 히트실링층의 두께 2.0㎛, 기재층의 두께 28.0㎛(주층의 두께 26.5㎛, 표층의 두께 1.5㎛)의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제막했다. 얻어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40℃에서 2일간 양생 후에, 용단실링 강도, 히트실링 강도, 방담성, 투명성, 복굴절, 인열 방향성 평가, 기계적 강도 특성의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 사용한 수지의 상세한 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20 (히트실링층을 갖는 필름)
총 두께 32㎛, 히트실링층의 두께 4.0㎛, 기재층의 주층의 두께 26.5의 두께 1.5㎛로 한 이외는, 실시예 19와 동일하게 하여,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작성했다. 얻어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40℃에서 2일간 양생 후에, 용단실링 강도, 히트실링 강도, 방담성, 투명성, 복굴절, 인열 방향성 평가, 기계적 강도 특성의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 사용한 수지의 상세한 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21 (히트실링층을 갖는 필름)
총 두께 37㎛, 히트실링층의 두께 9.0㎛, 기재층의 주층의 두께 26.5㎛, 표층의 두께 1.5㎛로 한 이외는, 실시예 19와 동일하게 하여,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제막했다. 얻어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40℃에서 2일간 양생 후에, 용단실링 강도, 히트실링 강도, 방담성, 투명성, 복굴절, 인열 방향성 평가, 기계적 강도 특성의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 사용한 수지의 상세한 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22 (히트실링층을 갖는 필름)
히트실링 I층/기재층(주층)/히트실링 II층의 구성인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제막했다. 먼저, 히트실링 I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수지 9를 95질량% 및 수지 7을 5질량% 혼합한 것과, 히트실링 II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수지 6을 95질량% 및 수지 7을 5질량% 혼합한 것을 준비했다. 다음에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원료로서, 수지 1을 70질량% 및 수지 2를 30질량% 혼합한 것(주층 수지)을 준비했다. 융점을 비교하는 것은, 수지 9와 수지 6과 수지 1이다.
이어서, 상기의 기재층을 구성하는 주층 수지를 압출온도 265℃에서 단층 T다이로부터 압출을 행하고, 칠 롤로 냉각 고화하여, 단층 구성의 미연신 시트를 작성했다. 다음에 당해 미연신 시트를 MD 2단 연신기에 의해, 1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53℃에서 1.2배로 연신하고, 2단째의 연신을 예열온도 154℃에서 행하여, 전체의 MD 연신배율이 6.8배가 되는 단층의 MD 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MD 연신 시트의 편면에, 별도로, 단층 다이를 부설한 인라인 라미네이션기를 사용하여 히트실링 I층을 구성하는 수지를 250℃에서 압출하고, MD 연신 시트에 적층하여, 편면에 히트실링 I층이 적층된 MD 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히트실링 I층이 적층되지 않은, 또 다른 면에, 별도로, 단층 다이를 부설한 인라인 라미네이트기를 사용하여 히트실링 II층을 구성하는 수지를 250℃에서 압출하고, MD 연신 시트에 적층하여, 히트실링 I층/MD 연신 시트/히트실링 II층인 3층 적층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당해 3층 적층 시트를 텐터식 횡연신기(예열온도 190℃, 연신온도 156∼167℃)로 TD로 9.0배로 연신한 후,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했다.
이렇게 하여, 총 두께 34㎛, 히트실링 I층의 두께 2.0㎛, 기재층의 두께 28.0㎛, 히트실링 II층의 두께가 4.0㎛인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제막했다. 얻어진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40℃에서 2일간 양생 후에, 히트실링 I층면을 봉지 안쪽으로 한 용단실링 강도, 히트실링 I층면의 히트실링 강도, 히트실링 I층면의 방담성, 2축연신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투명성, 복굴절, 인열 방향성 평가, 기계적 강도 특성의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 사용한 수지의 상세한 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수지번호 제품명 상세한 수지조성
수지 1 PC412Z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융점 156℃, 에틸렌 함유량 0.4질량%, MFR 2.5g/10분(230℃), 방담제 1.0질량%함유 [썬알로머사제]
수지 2 FH3315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융점 144℃, 에틸렌 함유량 2.5질량%, MFR 2.0g/10분(230℃) [쓰미토모 가가쿠사제]
수지 3 F201SPK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융점 160℃, MFR 2.0g/10분(230℃), 방담제 1.0질량%함유 [프라임 폴리머사제]
수지 4 F300SP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융점 160℃, MFR 3.0g/10분(230℃) [프라임 폴리머사제]
수지 5 FS3611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융점 132℃, 에틸렌 함유량 5.1질량%, MFR 2.0g/10분(230℃) [쓰미토모 가가쿠사제]
수지 6 5C30F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삼원공중합체 융점 130℃, 에틸렌 함유량 6.2질량%, 1-부텐 함유량 5.1질량%, MFR 5.5g/10분(230℃) [썬알로머사제]
수지 7 PY630D 안티블로킹제 (고분자 구상 미립자) 5질량%함유, 윤활제 10질량%함유 폴리프로필렌계 마스터 뱃치, 융점 140℃ MFR 8.0g/10분 [썬알로머사 제]
수지 8 PY633B 앤티블로킹제 (무기계 미립자) 4질량%함유 폴리프로필렌계 마스터 뱃치),융점 140℃, MFR 8.0g/10분 [썬알로머사제]
수지 9 FV402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융점 117℃, MFR4g/10분(190℃) [쓰미토모 가가쿠사제]
수지 10 XR110T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융점 110℃, 1-부텐 함유량 26질량%, MFR 6.0g/10분(230℃) [미쓰이 가가쿠사제]
항목 두께 히트실링층의 총 두께 비율 ※1 헤이즈 용단실링 강도 히트실링 강도 방담성 연신배율 인장신도 인장강도 복굴절 Ntd-Nmd 45도 인열성
% % N/15mm N/15mm 4단계 평가 (배) (%) Mpa ΔN 거리 평가
MD TD MD TD MD TD mm
실시예 10 30 5.0 2.3 25.5 4.1 6.8 9.5 130 63 210 280 0.00840 120
실시예 11 30 8.3 3.5 28.6 5.7 6.8 9.0 132 65 201 280 0.00823 111
실시예 12 30 5.0 2.2 27.5 4.1 6.8 9.5 124 60 204 299 0.00938 125
비교예 5 30 10.0 2.7 21.4 4.2 4.6 9.3 252 52 151 283 0.01549 22 ×
실시예 13 30 10.0 3.0 21.6 3.6 6.8 10.0 144 59 195 272 0.00862 120
실시예 14 20 15.0 2.3 20.0 3.6 6.8 10.0 148 68 205 274 0.00759 115
비교예 6 30 6.7 3.0 23.8 5.7 5.2 8.7 207 53 128 261 0.01253 22 ×
실시예 15 30 6.7 3.1 25.6 4.9 6.3 8.7 164 50 185 243 0.00867 81
실시예 16 30 6.7 2.6 25.3 4.6 6.8 9.0 130 50 205 252 0.00801 149
실시예 17 30 6.7 3.4 25.5 5.7 7.0 9.2 124 48 217 259 0.00776 >150
실시예 18 30 16.7 6.8 22.4 10.3 6.8 9.0 143 65 180 231 0.00778 121
실시예 19 30 6.7 1.3 18.2 9.3 6.8 9.0 142 64 166 260 0.00818 137
실시예 20 34 12.5 1.4 18.6 12.3 6.8 9.0 150 72 159 263 0.00797 98
실시예 21 37 24.3 2.2 23.0 12.5 6.8 9.0 147 69 166 226 0.00682 90
실시예 22 34 17.6 3.0 18.7 9.4 6.8 9.0 152 80 165 257 0.00809 >150
1: 필름의 총 두께에 대한 히트실링층의 총 두께
도 1은 인열성 평가의 공정에서 두꺼운 종이에 샘플을 세팅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인열성 평가의 공정에 있어서의 샘플을 척에 부착했을 때의 정면도,
도 3은 인열성 평가의 공정에서 샘플을 척에 부착했을 때의 측면도,
도 4는 인열성 평가의 공정에서 인장시험 후의 샘플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을 사용한 샌드위치 포장 봉지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부호의 설명)
A 기선 A' 기선
B 개봉구 C 척(상방)
C' 척(하방) E 점착테이프
F 인열 자국 F' 인열 자국
G 인열 개시 위치 G' 인열 개시 위치
H 접점 I 인열 거리
J 두꺼운 종이 K 개봉 테이프
L 2축연신 적층 필름 M 샌드위치 포장 봉지에 설치한 노치
N 샌드위치 포장 봉지에 설치한 개봉 테이프

Claims (5)

  1. 길이 방향의 인장신도가 170% 이하이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2축연신된 기재층을 적어도 갖는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폭방향으로 개봉 테이프를 적층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폭방향의 인장신도가 4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2축연신된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히트실링층이 적층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실링층의 총 두께가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두께의 0.8∼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포장용 필름에 의해 형성된 샌드위치용 포장 봉지.
KR1020070109337A 2006-11-17 2007-10-30 포장용 필름 KR200800447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12003 2006-11-17
JP2006312003 2006-11-17
JPJP-P-2007-00230672 2007-09-05
JP2007230672 2007-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762A true KR20080044762A (ko) 2008-05-21

Family

ID=39662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337A KR20080044762A (ko) 2006-11-17 2007-10-30 포장용 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58254B2 (ko)
KR (1) KR20080044762A (ko)
TW (1) TW2008407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993B1 (ko) * 2021-08-19 2022-01-07 대한에프앤드에프(주) Ptfe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6127B2 (ja) * 2010-02-09 2014-08-06 興人フィルム&ケミカルズ株式会社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を含む冷間成形用電池ケース包材
JP2016032911A (ja) * 2014-07-31 2016-03-10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引裂方向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積層体
JP2016166048A (ja) * 2015-03-03 2016-09-15 株式会社クレハ 開封片付き包装体
CN107531381B (zh) * 2015-05-28 2020-07-03 凸版印刷株式会社 层叠膜及包装袋
CN104966799B (zh) * 2015-07-13 2018-01-19 苏州锂盾储能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锂电池复合包装多功能阻隔铝塑膜
TWI619651B (zh) * 2016-11-04 2018-04-01 朋和產業股份有限公司 易撕包裝袋結構
TWI793097B (zh) * 2017-02-01 2023-02-21 日商東洋紡股份有限公司 雙軸配向聚丙烯系膜以及積層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847U (ja) * 1992-02-25 1993-09-17 正幸 花房 包装袋
JP3438958B2 (ja) * 1994-09-16 2003-08-18 株式会社トクヤマ 積層シート
JP2004142238A (ja) * 2002-10-24 2004-05-20 Tokuyama Corp 積層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993B1 (ko) * 2021-08-19 2022-01-07 대한에프앤드에프(주) Ptfe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58254B2 (ja) 2013-08-07
TW200840774A (en) 2008-10-16
JP2009078860A (ja)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8326B1 (en) Heat sealable film with linear tear properties
KR20080044762A (ko) 포장용 필름
WO2007015415A1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該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該積層体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
JP4935123B2 (ja) 積層ポリプロピレン系無延伸フィルム
TWI439369B (zh) Packaging Materials
KR20230109154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JP7053157B2 (ja) シール用溶融押出成形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8155527A (ja) 積層体
JP2009061705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無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188651B1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積層体、包装材、及び梱包体
JPH10235815A (ja) ポリエチレン系多層フィルム
JP3628406B2 (ja)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20230105683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WO2021200593A1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23015849A (ja) 真空断熱材外装用積層体
JPH09150488A (ja) 積層フィルム
JP4239067B2 (ja) 積層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イ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7490940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無延伸シーラントフィルム、包装材及び包装体
JP2005067176A (ja) ヒートシール性積層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イルム及び包装体
JPH04229251A (ja) 横方向易引裂性積層フィルム
JP2005008666A (ja) 押出ラミネート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EP4311666A1 (en) Recyclable polyethylene-based laminated packaging material with open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24084928A1 (ja) 積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KR101749632B1 (ko) 이축연신 이지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이축연신 이지필 포장재
JPH03288644A (ja) 易裂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