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314A - 제빙장치 - Google Patents

제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314A
KR20040036314A KR1020020065283A KR20020065283A KR20040036314A KR 20040036314 A KR20040036314 A KR 20040036314A KR 1020020065283 A KR1020020065283 A KR 1020020065283A KR 20020065283 A KR20020065283 A KR 20020065283A KR 20040036314 A KR20040036314 A KR 20040036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ice making
wa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석
Original Assignee
김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석 filed Critical 김봉석
Priority to KR102002006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6314A/ko
Publication of KR2004003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31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동장치의 냉매가 순환되는 제빙판에 제빙수를 분사시켜서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살수판과 그 저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빙판으로 된 것을 단위로 하여 다수 설치되는 제빙유닛들과, 상기 각 제빙유닛에 설치된 살수판 각각에 제빙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빙수탱크와, 상기 각 제빙유닛에서 제조된 얼음을 깨뜨려주기 위하여 서로 마주한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쇄빙롤러와, 상기 쇄빙롤러 하측에 설치되어 쇄빙롤러에 의해 깨뜨려진 얼음을 일측으로 이송시켜주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제빙실이 독립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압축기·응축기·수액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각 제빙유닛에 복수개씩 설치된 제빙판 각각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이 독립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제빙용 콘테이너와; 상기 제빙용 콘테이너의 하부에 설치되어 각 제빙실의 제빙유닛에서 제조되고 쇄빙롤러에 의하여 작은 크기로 깨뜨려진 얼음을 저장하는 저빙용 콘테이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제빙장치{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판을 이용하여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의 얼음을 제조하거나 또는 제빙판에서 제조된 판상의 얼음을 깨뜨려서 조각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음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제빙용기에 물을 담아서 얼려주는 방법과 제빙판의 외면에 물을 조금씩 흘려서 얼려주는 방법 등이 있다.
전자의 방법은 물이 담긴 제빙용기를 냉동실에서 냉동시켜주는 방법으로 얼음을 생산하는 것이며, 후자의 방법은 냉동싸이클의 냉매가 순환되는 제빙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흐르는 물을 열교환작용으로 얼려주는 방법으로 얼음을 생산하는 것이다.
종래 제빙판을 이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는 양측 외표면이 밋밋한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냉매를 순환시켜서 제빙판의 양측면 상방에서 분사되는 물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흘리내리는 동안에 냉매의 열교환작용에 의해 얼음으로 상변화하여 소정 두께의 얼음이 제조되게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제빙냉판의 양측면에 얼음이 소정 두께로 얼려지게 되면 제빙냉판 자체를 짧은 시간동안 가열시켜서 소정 두께의 얼음을 탈빙시키는 방법으로 판상의 얼음을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제빙냉판의 상단 양측에서 물을 뿌려주는 살수관의 일단은 급수관에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그 타단은 막혀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급수관에서 가까운 위치의 수압은 급수관 수압과 거의 같은 수압으로 유지될 수 있지만 급수관에서 점차로 멀어지는 위치의 수압은 급수관의 수압에 비하여 점차로 낮아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급수관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살수공에서는 물이 센 수압으로 원활하게 분사되어 제빙판에 물을 충분한 량으로 계속하여 공급할 수 있겠으나 급수관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살수공에서는 낮은 수압으로 물을 분사하게 되기 때문에 제빙판 전체에 분사되는 물의 분사량이 달라져 얼음의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게 될 뿐 아니라 제빙판의 제빙효과가 떨어지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제빙판의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제빙판 전체에 고르게 흐르지 못하여 이로 인하여 제빙효과가 떨어져 얼음의 생산성이 저조해지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하나의 제빙실에 다수의 제빙유닛을 설치함에 있어 제빙작동을 개시하는 제빙유닛의 살수판에서 분사되는 물이 이웃한 제빙유닛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제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빙작동시 제빙판으로 분사된 물이 쇄빙롤러쪽으로는 유입되지 않고 물탱크로 전량 회수되도록 하므로서 기 생산되어 저빙고에 저장되어 있는 얼음이 물에 의해 녹게 되는 현상을 배제하여 얼음의 생산성 및 저장성이 향상된 제빙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으며, 또한 제빙유닛들 각각에 설치된 살수판들의 구조를 개선하여 그들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빙판들 전체에 동일한 수압으로 분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제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빙유닛들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빙판들의 구조를 개선하여 냉매가 고르게 흐르도록 하므로서 제빙력이 향상된 제빙판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또한 제빙유닛 각각의 살수판과 제빙판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제빙판들의 양면에서 얼려지는 얼음이 서로 붙지않도록 함과 동시 탈빙작동시 제빙판 양면에 제조된 얼음의 탈빙이 잘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제빙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냉동장치의 냉매가 순환되는 제빙판에 제빙수를 분사시켜서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살수판과 그 저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빙판으로 된 것을 단위로 하여 다수 설치되는 제빙유닛들과, 상기 각 제빙유닛에 설치된 살수판 각각에 제빙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빙수탱크와, 상기 각 제빙유닛에서 제조된 얼음을 깨뜨려주기 위하여 서로 마주한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쇄빙롤러와, 상기 쇄빙롤러 하측에 설치되어 쇄빙롤러에 의해 깨뜨려진 얼음을 일측으로 이송시켜주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제빙실이 독립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압축기·응축기·수액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각 제빙유닛에 복수개씩 설치된 제빙판 각각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이 독립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제빙용 콘테이너와;
상기 제빙용 콘테이너의 하부에 설치되어 각 제빙실의 제빙유닛에서 제조되고 쇄빙롤러에 의하여 작은 크기로 깨뜨려진 얼음을 저장하는 저빙용 콘테이너;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에는 다수의 제빙유닛들의 살수판에서 분사되는 제빙수가 서로 이웃하는 제빙유닛으로 비산(튀기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이웃하는 제빙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비산방지판과, 각 제빙유닛들의 살수판에서 분사되어제빙판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한쌍의 쇄빙롤러 및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얼음이송통로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면서 각 제빙유닛에서 제빙된 후 탈빙되는 얼음이 얼음이송통로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비산방지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비산방지도어의 하단에는 각 제빙유닛의 제빙판에서 탈빙된 얼음은 쇄빙롤러쪽으로 미끄러져 흘러내리도록 함과 동시 제빙판에서 떨어지는 물은 제빙수탱크로 유입되게 하는 타공슈트판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비산방지시트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다수의 제빙유닛 각각을 구성하고 있는 살수판과 복수의 제빙판 사이에는 제빙판의 냉열이 살수판으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단열재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다수의 제빙유닛들 각각에 하나씩 설치되는 살수판은, 양단이 개방된 다수의 물이동통로가 수평상으로 연속해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을 부착되어 제빙수탱크의 물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물유입구를 통해 제빙수를 공급받아 다수의 물이동통로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물공급관과, 상기 본체의 타단에 부착되어 다수의 물이동통로들 각각으로 유입된 물이 동일한 수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수압유지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다수의 물이동통로들 중 선택된 물이동통로 각각에는 상기 본체의 저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제빙판 각각의 양면에 물을 고르게 분사할 수 있도록 일렬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분사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다수의 제빙유닛들 각각에 복수개씩 설치되는 제빙판은, 일단에 형성된 유입구와 유출구를 통해 냉매가 내부를 순환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냉매가 지그재그상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폐구된 구조로서 지그재그상으로 격설되는 다수의 메인구획벽과, 상기 다수의 메인구획벽 각각의 상,하측에 위치하면서 양단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 채 메인구획벽들 각각의 개구단을 기준하여 상측부분은 넓게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고 하측부분은 좁게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게 격설되어 있는 다수의 보조구획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제빙용 콘테이너의 각 제빙실에 설치된 다수의 제빙유닛들과 기계실의 냉동장치를 연결하는 냉매공급라인과 냉매회수라인 각각에 냉매를 동일한 압력으로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냉매분배기와 냉매회수를 각기 하나씩 장설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빙유닛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빙유닛의 살수판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빙유닛의 제빙판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빙유닛의 제빙판에 냉매를 공급 및 회수하는 냉동장치의
냉매계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빙유닛의 제빙판과 냉동장치의 냉매분배기 및
냉매회수기와의 연결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빙용 콘테이너 2 : 저방용 콘테이너
1a : 제빙실 1b : 기계실
3 : 제빙유닛 31 : 단열재
4 : 냉동장치 41 : 압축기
42 : 응축기 43 : 수액기
45 : 냉매분배기 46 : 냉매회수기
5 : 얼음이송통로 5a,5b : 제빙수탱크
51 : 얼음슈트판 52 : 타공슈트판
53 : 홈통 54 : 물낙하슈트
55 : 순환펌프 56 : 물공급라인
57 : 낙하구 58 : 비산방지도어
58a : 비산방지시트 59 : 비산방지판
6 : 살수판 61 : 본체
62 : 물이동통로 63 : 물공급관
64 : 수압유지관 65 : 물유입구
66 : 분사공 7 : 제빙판
71 : 본체 72 : 메인구획벽
73 : 보조구획벽 74,75 : 양측 밀폐판
74a : 유입구 74b : 유출구
76,77 : 보조지지부재 8 : 이송스크류
8a,8b : 한쌍의 쇄빙롤러 81 : 롤러구동용 모터
82 : 스크류구동용 모터 83 : 기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빙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빙유닛의 살수판의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빙유닛의 제빙판의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빙유닛의 제빙판에 냉매를 공급 및 회수하는 냉동장치의 냉매계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빙유닛의 제빙판과 냉동장치의 냉매분배기 및 냉매회수기와의 연결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제빙용 콘테이너를, 2는 저빙용 콘테이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제빙용 및 저빙용 콘테이너(1)(2)는 기존의 콘테이너와 같이 각기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상,하로 적층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며, 또한 각 콘테이너들은 상,하부 및 사방 벽면이 단열처리된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 제빙용 콘테이너(1)에는 실질적으로 얼음을 생산하는 제빙실(1a)과 이 제빙실에 설치된 다수의 제빙유닛(3)을 구동시키기 위한 냉동장치(4)와 기계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1b)이 각기 독립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빙실(1a)은 제빙용 콘테이너(1)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각기 독립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제빙실(1a)이 두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빙실(1a) 내측 상부에는 다수의 제빙유닛(3)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다수의 제빙유닛(3)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도 1 참조)되어 있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위치에도 설치(도 2 참조)되어 있다.
상기 제빙실(1a)의 내측 하부의 좌,우 양측 각각에는 제빙수탱크(5a)(5b)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양측 제빙수탱크(5a)(5b) 사이에는 단면이 U자형으로 된 얼음이송통로(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측 제빙수탱크(5a)(5b) 각각의 상측에는 얼음이송통로(5)를 기준하여 좌,우 양측을 향해 상형으로 경사진 얼음슈트판(5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얼음슈트판(51)에 있어 좌,우 양측부분은 제빙실(1a)의 좌,우측벽을 근접한 상태에서 상향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얼음이송통로(5)와 근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부분은 통공이 무수히 천공된 타공슈트판(52)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타공슈트판(52)의 낮은 쪽 끝부분에는 물이 얼음이송통로(5)로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홈통(53)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한 타공슈트판(52)의 저부측에는 통공으로 떨어지는 물을 제빙수탱크(5a)(5b)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물낙하슈트(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빙실(1a)에 설치된 다수의 제빙유닛(3)들 각각은 하나의 살수판(6)과 복수개의 제빙판(7)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다수의 제빙유닛(3)들 각각에 하나씩 설치된 살수판(6)들은 양단이 개구된 채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격벽에 의해 다수의 물이동통로(62)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61)와, 다수의 물이동통로(62)들이 서로 통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61)의 양단에 물공급관(63)과 수압유지관(64)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물공급관(63)의 일단에는 물유입구(65)가 형성되어 있는 반면, 상기 수압유지관(64)의 경우는 폐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살수판(6)의 본체(61)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물이동통로(62)들 중 제빙판(7)이 설치되는 위치에 서로 인접해 있는 선택된 두개씩의 물이동통로(62) 각각에는 물을 가는 줄기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공(66)들이 각기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살수판(6)의 본체(61) 저부에 4개의 제빙판(7)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경우에는 본체(61) 내부에는 총 11개의 물이동통로(62)가 형성되는 것이며, 이들 물이동통로(61)들 중 도4의 도시를 기준하여 볼 때 위에서부터 1-2번째, 4-5번째, 7-8번째, 10-11번째에 형성된 물이동통로들 각각에는 분사공(66)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외의 3번째, 6번째, 9번째에 형성된 물이동통로에는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반면에, 3번째 및 9번째의 물이동통로에는 살수판(6) 자체를 제빙실(1a) 상부에 매달아주기 위한 다수의 현수봉(67)이 설치된다.
상기한 물이동통로(62)들에 천공되어 있는 다수의 분사공(66)들은 제빙판(7)의 양면을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뚫어져 있다.
상기 살수판(6)은 제빙수탱크(5a)(5b)로부터 제빙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양측 제빙수탱크(5a)(5b) 각각에서 인출된 채 순환펌프(54)가 장설되어 있는 물공급라인(56)이 물유입구(65)에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다수의 제빙유닛(3)들 각각에 복수개씩 설치되는 제빙판(7)들은 본체(71) 내부에는 냉매가 지그재그상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폐구된 구조를 가지도록 지그재그상으로 격설되는 다수의 메인구획벽(71)과, 상기 다수의 메인구획벽 각각의 상,하측에 위치하면서 양단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 채 메인구획벽들 각각의 개구단을 기준하여 상측부분은 넓게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고 하측부분은 좁게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게 격설되어 있는 다수의 보조구획벽(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본체(71)의 양측에는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형성된 통로를 밀폐하는 양측 밀폐판(74)(7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일측 밀폐판(74)에는 최상측의 통로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74a)와최하측 통로를 통해 열교환작용을 한 냉매를 회수하기 위한 유출구(74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판(7)의 양측에는 양측 밀폐판(74)(75)를 감싼 상태로 양측 보조지지부재(76)(77)가 용접 설치되어 있으며, 또 양측 보조지지부재 각각에는 제빙실(1a) 상부에 고정 설치된 상,하측 지지봉(78)에 끼워주기 위한 관통공(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있어 제빙유닛(3) 각각에 복수개씩 설치되는 제빙판(7)들을 제빙실 상부에 고정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a)의 얼음이송통로(5) 상측에는 서로 수평상으로 마주한 채 평행하게 한쌍의 쇄빙롤러(8a)(8b)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한쌍의 쇄빙롤러들 하측에는 상기한 쇄빙롤러(8a)(8b)에 의하여 작은 크기로 깨뜨려진 조각얼음을 저빙고 콘테이너(2)로 낙하시키는 낙하구(57)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8)가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한쌍의 쇄빙롤러(8a)(8b)와 이송스크류(8)는 제빙실(1a) 일측에 고정설치된 롤러구동용 모터(81)와 스크류구동용 모터(82)에 의해 회전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한쌍의 쇄빙롤러(8a)(8b)는 그들의 회전축 각각에 축착된 기어(83)들이 서로 치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 한쌍의 쇄빙롤러들은 상호간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면서 얼음을 깨뜨리게 된다.
상기 제빙실(1a)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제빙유닛(3)들의 살수판(6) 하부와 그 저부측에 설치된 복수의 제빙판(7) 상단과의 사이에는 단열재(31)를 개재하여 살수판(6)의 분사공(66)에서 분사되는 제빙수가 각 제빙판(7)의 본체(71) 상단에서얼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제빙판의 냉열이 살수판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빙실(1a)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된 다수의 제빙유닛(3)들이 제빙작동을 수행할 때 각 제빙판(7)으로 공급된 물이 얼음이송통로(5)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비산방지도어(58)와 비산방지시트(58a) 및 비산방지판(59)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비산방지도어(58)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얼음이송통로(5)의 좌,우 양측에 수직상으로 설치되어 좌,우 양측에 이격설치된 제빙유닛(3)에서 비산되는 물방울을 차단하는 작용을 담당함과 동시 제빙유닛의 탈빙작동시 얼음슈트판(51)으로 낙하하는 얼음이 얼음이송통로(5)로 유입되는 허용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비산방지도어(58)의 상단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킨 구조로서 낙하한 얼음이 비산방지도어(58)를 얼음이송통로(5)쪽으로 회전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비산방지도어(58)의 하단에 부착된 비산방지시트(58a)는 실리콘이나 연질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타공슈트판(52) 하단 끝부분에 형성된 홈통(53) 바로 윗부분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타공슈트판(52)으로 흘러내리는 물을 차단하여 제빙수탱크(5a)(5b)로 유입되게 함과 제빙작동시 밑으로 떨어지는 물이 얼음이송통로(5)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한 비산방지판(59)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빙실(1a)의 전,후 양측으로 이격설치된 제빙유닛들 사이에 설치되어 전,후 양측에 설치된제빙유닛들이 제빙작동 및 탈빙작동할 때 물이 이웃한 제빙유닛으로 튀기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담당하여 제빙 및 탈빙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한편, 상기 기계실(1b)에 설치된 냉동장치(4)는 압축기(41), 응축기(42), 수액기(43)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액기(43)에 연결된 냉매공급라인(44)에는 제빙실(1a)에 설치된 다수의 제빙유닛과 이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빙판(7)들 각각에 냉매를 동일한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냉매분배기(45)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제빙판(7)에서 열교환을 마친 냉매를 회수하는 다수의 냉매회수기(4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다수의 냉매회수기(46)들 각각은 압축기(41)에 연결된 냉매회수라인(47)에 각기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제빙판(7)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분배기(45)와 각 제빙판(7)에서 냉매를 회수하는 냉매회수기(46)의 구성상태를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냉매분배기(45)는 수액기(43)로부터 공급된 냉매를 동일한 압력으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4개의 공급구를 통해 하나의 제빙유닛(3)에 설치된 4개의 제빙판(7) 각각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하나의 냉매회수기(46)에도 4개의 회수구가 형성되어 4개의 제빙판(7)에서 열교환을 마친 냉매를 회수하여 동일한 압력으로 냉매회수라인(47)을 통해 압축기(41)로 보내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빙용 콘테이너(1)의 기계실(1b)에 설치되어 있는 콘트롤회로장치(도시 없음)에 의하여 기계실의 냉동장치(4)가 자동으로 구동하는 것이며, 또한 제빙실(1a)에 설치된 다수의 제빙유닛(3)들이 초기에는 순차적으로 얼음을 얼려주는 제빙작동이 이루어지며, 또한 가장 먼저 제빙작동이 완료된 제빙유닛부터 순차적으로 얼음을 탈빙시키는 탈빙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계실(1b)의 냉동장치(4)가 구동하게 되면 제빙실(1a)에서는 제빙작동과 탈빙작동이 순차적이고도 연속적으로 얼음을 생산하여 저장하게 된다.
먼저, 상기 제빙실(1a)에 설치된 다수의 제빙유닛(3)에 복수개씩 설치된 제빙판(7)들 각각에 냉매가 동일한 압력으로 공급되는 작용과 냉매가 각 제빙판(7)의 내부를 고르게 확산되어 순환하는 작용을 설명하면, 상기 냉동장치(4)의 수액기(43)에서 공급되는 냉매는 냉매분배기(45)에서 동일한 압력으로 분배되어 제빙판(7)으로 공급되므로 제빙유닛(3) 각각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빙판(7)들은 모두 동일한 압력의 냉매를 공급받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냉매분배기(45)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는 도시하지 않은 팽창밸브에 의해 급격히 팽창되어 무화상태로 각 제빙판(7)의 유입구(74a)를 통해 본체(7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빙판(7)의 유입구(74a)를 통해 본체(71) 내부로 유입된 무화상태의 냉매는 본체(71)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메인구획벽(72)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순환하게 되는데, 이때 각 메인구획벽들 사이에 형성된 보조구획벽(73)들에 의하여 각 메인구획벽(72)들 사이의 순환통로가 두개로 분리 형성된 상태에서 각 메인구획벽의 개구단을 기준하여 그 상측에 형성된 보조구획벽의 개구단은 넓게 개구되어 있는 반면에 그 하측에 형성된 보조구획벽의 개구단은 좁게 개구되어 있으므로 각 메인구획벽(72)들의 개구단측 통로가 마치 계단과 같이 단층진 상태가 되어 무화상태의 냉매는 각 메인구획벽(72) 및 보조구획벽(73)에 의해 형성된 순환통로 전체에 고르게 확산되어 순환하게 되는 것이며(도 7 참조), 이에 따라 제빙판(7) 자체는 그 전체가 고르게 열교환하는 상태가 되어 제빙판(7) 양면에는 얼음이 균일한 두께로 얼려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다수의 제빙유닛(3) 각각에 하나씩 설치된 살수판(6)이 그 하부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빙판(7)에 제빙수를 분사 공급하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빙수탱크(5a)(5b)에 저장된 제빙수는 순환펌프(55)에 의해 펌핑되어 다수의 제빙유닛(3)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살수판(6) 각각의 물유입구(65)를 통해 물공급관(63)으로 제빙수를 공급하는데, 상기 물공급관(63)은 다수의 물이동통로(62) 각각의 일측과 서로 연통하고 있을 뿐 아니라 물이동통로들의 타측 역시 수압유지관(64)에 의해 서로 연통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물유입구(65)로 유입된 제빙수의 수압은 본체(61) 내부 전체에 동일하게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분사공(66)이 형성되어 있는 물이동통로(62)들 각각은 동일한 수압으로 물을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 살수판(6)은 그 하부측에 설치된 제빙판(7)들의 양면 전체에 동일한 분사량으로 제빙수를 분사하게 되므로서 각 제빙판(7)들의 모두 같은 제빙조건으로 제빙작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빙실(1a)에 전,후,좌,우로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제빙유닛(3)들은 설정된 순번에 따라 제빙작동과 탈빙작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되는데, 제빙작동을 수행하는 제빙유닛(3)의 경우에는 살수판(6)에서 분사되는 물은 각 제빙판(7) 양면으로 흘러내리는 동안 제빙판(7)의 열교환작용에의해 상변화하여 일부는 제빙판(7)에 얼음으로 얼게 되는 반면에 상변화가 이루지지않은 일부는 밑으로 떨어지게 되며, 밑으로 낙하하는 물은 얼음슈트판(51)과 타공슈트판(52)에 떨어져 사방으로 튀기게 되는데, 이와 같이 비산되는 물방울은 비산방지도어(58) 및 비산방지시트(58a)에 의해 차단되어 제빙유닛에서 떨어지는 물이 얼음이송통로(5)로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며, 또한 도 2의 도시와 같이 제빙실(1a)의 전,후 양측에 이웃하여 설치되어 있는 제빙유닛들 사이에 설치된 비산방지판(59)은 전,후측에 설치된 양측 제빙유닛들간에 물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서 얼음생산량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나타낸다. 예로서 도 2의 도시에서 좌측 제빙유닛은 제빙작동을 수행하고 있는 반면에 우측 제빙유닛은 탈빙작동을 수행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제빙작동을 수행하고 있는 좌측 제빙유닛에서 분사되는 물이 우측 제빙유닛쪽으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므로서 우측 제빙유닛에서 탈빙되는 얼음이 비산된 물에 의해 녹게되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빙실(1a)에 설치된 다수의 제빙유닛(3)들이 설정된 순서대로 제빙작동을 완료한 후 제빙된 얼음을 탈빙하게 되면 탈빙된 얼음은 얼음슈트판(51)으로 낙하되어 타공슈트판(52)으로 미끄러져 내리면서 비산방지도어(57)를 회전개방시키면서 얼음이송통로(5)로 유입되는 것이며, 이렇게 얼음이송통로(5)로 유입된 얼음은 한쌍의 쇄빙롤러(8a)(8b)에 의해 분쇄된 다음 이송스크류(8)에 의하여 낙하구(57)쪽으로 이송되어 저빙용 콘테이너(2)에 투입 저장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빙용 콘테이너와 저빙용 콘테이너를 개별적으로 제작하되, 제빙용 콘테이너의 경우에는 제빙실을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시키는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수요자가 요구하는 규격에 맞추어 제빙장치를 제작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제빙실에 일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된 다수의 제빙유닛들이 설정된 순서대로 제빙작동 및 탈빙작동을 수행할 때 전,후, 좌,우측에 서로 이웃한 제빙유닛들간에 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빙 및 탈빙작동이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게 하는 효과와 함께 탈빙된 얼음이 작은 크기로 분쇄되는 얼음이송통로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저빙용 콘테이너에는 작은 크기로 분쇄된 조각얼음만을 저장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각 제빙유닛의 살수판들은 동일한 분사량으로 제빙판 양면에 제빙수를 분사 공급할 수 있고 또 각 제빙판 내부에는 냉매가 고르게 확산 분포된 상태로 순환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얼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빙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냉동장치의 냉매가 순환되는 제빙판에 제빙수를 분사시켜서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살수판과 그 저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빙판으로 된 것을 단위로 하여 다수 설치되는 제빙유닛들과, 상기 각 제빙유닛에 설치된 살수판 각각에 제빙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빙수탱크와, 상기 각 제빙유닛에서 제조된 얼음을 깨뜨려주기 위하여 서로 마주한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쇄빙롤러와, 상기 쇄빙롤러 하측에 설치되어 쇄빙롤러에 의해 깨뜨려진 얼음을 일측으로 이송시켜주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제빙실이 독립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압축기·응축기·수액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각 제빙유닛에 복수개씩 설치된 제빙판 각각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이 독립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제빙용 콘테이너와;
    상기 제빙용 콘테이너의 하부에 설치되어 각 제빙실의 제빙유닛에서 제조되고 쇄빙롤러에 의하여 작은 크기로 깨뜨려진 얼음을 저장하는 저빙용 콘테이너;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 콘테이너의 제빙실에는 다수의 제빙유닛들의 살수판에서 분사되는 제빙수가 서로 이웃하는 제빙유닛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이웃하는 제빙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비산방지판과, 각 제빙유닛들의 살수판에서 분사되어 제빙판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한쌍의 쇄빙롤러 및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얼음이송통로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는 비산방지시트가 부착된 채 각 제빙유닛에서 제빙된 후 탈빙되는 얼음이 얼음이송통로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비산방지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빙유닛 각각을 구성하고 있는 살수판과 복수의 제빙판 사이에는 제빙판의 냉열이 살수판으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단열재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빙유닛들 각각에 하나씩 설치되는 살수판은, 양단이 개방된 다수의 물이동통로가 수평상으로 연속해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을 부착되어 제빙수탱크의 물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물유입구를 통해 제빙수를 공급받아 다수의 물이동통로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물공급관과, 상기 본체의 타단에 부착되어 다수의 물이동통로들 각각으로 유입된 물이 동일한 수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수압유지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다수의 물이동통로들 중 선택된 물이동통로 각각에는 상기 본체의 저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제빙판 각각의 양면에 물을 고르게 분사할 수 있도록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분사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빙유닛들 각각에 복수개씩 설치되는 제빙판은, 일단에 형성된 유입구와 유출구를 통해 냉매가 내부를 순환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냉매가 지그재그상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폐구된 구조로서 지그재그상으로 격설되는 다수의 메인구획벽과, 상기 다수의 메인구획벽 각각의 상,하측에 위치하면서 양단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 채 메인구획벽들 각각의 개구단을 기준하여 상측부분은 넓게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고 하측부분은 좁게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게 격설되어 있는 다수의 보조구획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 콘테이너의 각 제빙실에 설치된 다수의 제빙유닛들과 기계실의 냉동장치를 연결하는 냉매공급라인과 냉매회수라인 각각에 냉매를 동일한 압력으로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냉매분배기와 냉매회수를 장설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KR1020020065283A 2002-10-24 2002-10-24 제빙장치 KR20040036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283A KR20040036314A (ko) 2002-10-24 2002-10-24 제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283A KR20040036314A (ko) 2002-10-24 2002-10-24 제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314A true KR20040036314A (ko) 2004-04-30

Family

ID=3733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283A KR20040036314A (ko) 2002-10-24 2002-10-24 제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631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861B1 (ko) * 2006-12-31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배출장치
CN109056685A (zh) * 2018-09-28 2018-12-21 合肥学院 一种海上结构物破冰防护装置及其工作方法
KR20200061220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아이스트로 제빙기용 증발기
KR102315446B1 (ko) * 2021-07-29 2021-10-21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1628A (ja) * 1993-02-19 1994-09-02 Nkk Corp 真空製氷装置
JPH10288436A (ja) * 1997-04-15 1998-10-27 Sasakura Eng Co Ltd 氷蓄熱システムにおけるスタティック型製氷装置
JPH11294914A (ja) * 1998-04-10 1999-10-29 Yanmar Diesel Engine Co Ltd 人工造雪装置
JP2002062000A (ja) * 2000-08-15 2002-02-28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用散水皿
KR200280249Y1 (ko) * 2002-04-04 2002-06-29 김봉석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1628A (ja) * 1993-02-19 1994-09-02 Nkk Corp 真空製氷装置
JPH10288436A (ja) * 1997-04-15 1998-10-27 Sasakura Eng Co Ltd 氷蓄熱システムにおけるスタティック型製氷装置
JPH11294914A (ja) * 1998-04-10 1999-10-29 Yanmar Diesel Engine Co Ltd 人工造雪装置
JP2002062000A (ja) * 2000-08-15 2002-02-28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用散水皿
KR200280249Y1 (ko) * 2002-04-04 2002-06-29 김봉석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861B1 (ko) * 2006-12-31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배출장치
CN109056685A (zh) * 2018-09-28 2018-12-21 合肥学院 一种海上结构物破冰防护装置及其工作方法
CN109056685B (zh) * 2018-09-28 2024-01-05 合肥学院 一种海上结构物破冰防护装置及其工作方法
KR20200061220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아이스트로 제빙기용 증발기
KR102315446B1 (ko) * 2021-07-29 2021-10-21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762B1 (ko) 냉장고
SU1718734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иготовлени прозрачного мелкокускового льда
US6311501B1 (en) Ice machine water distribution and cleaning system and method
KR20200075440A (ko) 아이스 머신
US8572999B2 (en) Refrigerator
US3280585A (en) Ice making refrigeration apparatus
KR100621235B1 (ko)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제빙용 냉기 유로 구조
KR20040036314A (ko) 제빙장치
US2995017A (en) Apparatus for making sundered ice
EP1209428B1 (en)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CN111981738B (zh) 制冰装置、制冰方法及冰箱
JP4278228B2 (ja) 自動製氷機
JPH0229575A (ja) 流水式製氷機
KR200280249Y1 (ko)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
KR20110003731A (ko) 냉온수기용 얼음 공급장치
JPH0334621Y2 (ko)
KR101306140B1 (ko) 제빙기의 제빙유닛과 이를 이용한 얼음형성방법
KR200480661Y1 (ko) 회전드럼식 소프트제빙기
JP2010190525A (ja) 流下式製氷機の製氷水散水器
JP2957839B2 (ja) 自動製氷機の水皿構造
KR100662445B1 (ko) 제빙장치
KR102392193B1 (ko) 제빙용수 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제빙하는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JP2544670Y2 (ja) セル形製氷機の散水装置
JP2000205710A (ja) 製氷機
JP2005299982A (ja)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