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446B1 -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446B1
KR102315446B1 KR1020210099859A KR20210099859A KR102315446B1 KR 102315446 B1 KR102315446 B1 KR 102315446B1 KR 1020210099859 A KR1020210099859 A KR 1020210099859A KR 20210099859 A KR20210099859 A KR 20210099859A KR 102315446 B1 KR102315446 B1 KR 102315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ice
rotation shaft
transpor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형범
좌재웅
김태정
김수강
이종내
박성욱
이광열
Original Assignee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이종내
이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이종내, 이광열 filed Critical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210099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14Fish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8Sticking or clogging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는, 얼음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유입부와 파쇄된 얼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에는 제1 파쇄 수단과 제2 파쇄 수단의 왕복 이송을 유도하는 제1 이송 유도단과 제2 이송 유도단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동력부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파쇄된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 수단과, 상기 이송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더불어 제1 이송 유도단에 의하여 왕복 이송됨으로써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얼음을 이송 수단측으로 끌어들이면서 파쇄하는 제1 파쇄 수단과, 상기 제1 파쇄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파쇄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더불어 제2 이송 유도단에 의하여 왕복 이송됨으로써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얼음을 이송 수단측으로 끌어들이면서 파쇄하는 제2 파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얼음의 파쇄가 용이하며 파쇄된 얼음이 특정 위치로 이송되게 된다.

Description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crushing and conveying device for ice}
본 발명은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파쇄 수단과 제2 파쇄 수단을 통해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얼음의 파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송 수단을 통해 파쇄된 얼음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선에서 어획된 물고기는 신선도의 유지를 위해 얼음과 같이 저장된 상태로 운반된다.
이를 위해, 어선은 항구로부터 출발하기 전 내부에 얼음을 충분히 적재한 다음으로 운항에 나선다.
이처럼, 어선의 내부에 적재되는 대량의 얼음은, 항구에서 어선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의 온도 변화 또는 적재에 따른 압력 증가 등의 영향에 의하여 얼음의 표면에서 녹는 현상이 발생되고, 다시 얼어붙음으로써 서로 다른 얼음이 엉겨붙어 덩어리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얼음들이 엉겨붙어 덩어리지게 될 경우 저장되는 물고기가 짓이겨져 상품성이 저하되거나, 국부적으로 얼음이 채워지지 않는 공간이 발생되어 저장되는 물고기의 신선도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엉겨붙은 얼음을 다시 삽 또는 곡괭이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파쇄한 다음에야 어획된 물고기의 저장에 이용 가능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10-0822404호에서는, 투입호퍼로부터 유입되는 얼음을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파쇄수단에 의하여 파쇄된 얼음을 정량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정량 공급부와, 정량 공급부에 정량 공급된 얼음을 송풍에 의해 필요로 하는 곳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엉겨붙은 얼음을 안전하게 파쇄하면서도 필요로 하는 위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어선용 얼음 파쇄장치는,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되게 위치됨에 따라 파쇄날이 지면과 평행을 이루는 면에서 회전됨으로써 되려 얼음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진동부가 지면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진동됨에 따라 진동부에 의한 얼음의 1차 파쇄 효과도 미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082240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 파쇄 수단과 제2 파쇄 수단을 통해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얼음의 파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송 수단을 통해 파쇄된 얼음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얼음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유입부와 파쇄된 얼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에는 제1 파쇄 수단과 제2 파쇄 수단의 왕복 이송을 유도하는 제1 이송 유도단과 제2 이송 유도단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동력부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파쇄된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 수단과, 상기 이송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더불어 제1 이송 유도단에 의하여 왕복 이송됨으로써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얼음을 이송 수단측으로 끌어들이면서 파쇄하는 제1 파쇄 수단과, 상기 제1 파쇄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파쇄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더불어 제2 이송 유도단에 의하여 왕복 이송됨으로써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얼음을 이송 수단측으로 끌어들이면서 파쇄하는 제2 파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동력부에 의하여 회전됨과 더불어 일단이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외륜에는 파쇄된 얼음의 이송을 위한 스크류가 형성되는 이송 회전축과, 상기 이송 회전축의 일단에 구비되며 동력부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을 제1 파쇄 수단으로 전달하는 이송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파쇄 수단은, 상기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면서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외륜에는 칼날 부재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제1 파쇄 회전축과, 상기 제1 파쇄 회전축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 이송대를 항시 일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파쇄 회전축의 일단에 구비되며 제1 파쇄 회전축의 개방된 일면 일부를 폐쇄하는 제1 차단부와, 상기 제1 파쇄 회전축의 다른 일단에 구비되며 이송 기어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음으로써 제1 파쇄 회전축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2 파쇄 회전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 파쇄 기어와, 상기 제1 파쇄 회전축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파쇄 회전축과 함께 회전됨과 더불어 일단에는 제1 이송 유도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제1 이송 유도단에 의하여 왕복 이송되는 제1 이송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파쇄 수단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칼날 부재와 제2 파쇄 수단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칼날 부재는 서로 교차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파쇄 수단과 제2 파쇄 수단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이송 유도단 또는 제2 이송 유도단과 제1 이송 유도 부재 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는, 몸체와 제1 이송대 또는 제2 이송대에서 각각 상호 대향되게 설치 또는 구비되며, 제1 이송 유도단 또는 제2 이송 유도단과 제1 이송 유도 부재 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의 상호 대향되는 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피크와 로어가 적어도 하나 이상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파쇄 수단과 제2 파쇄 수단이 구비되고, 제1 파쇄 수단과 제2 파쇄 수단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유입되는 얼음이 이송 수단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파쇄 수단과 제2 파쇄 수단이 회전과 함께 왕복 이송이 이루어짐으로써 유입되는 얼음의 파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송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유입되는 얼음의 파쇄와 함께 특정 위치로 파쇄된 얼음을 이송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 유도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 유도 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쇄 수단의 일 적용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쇄 수단의 다른 적용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쇄 회전축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칼날 부재의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 유도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 유도 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쇄 수단의 일 적용예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쇄 수단의 다른 적용예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쇄 회전축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칼날 부재의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는, 얼음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유입부(110)와 파쇄된 얼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부(120)가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에는 제1 파쇄 수단(400)과 제2 파쇄 수단(500)의 왕복 이송을 유도하는 제1 이송 유도단(130)과 제2 이송 유도단(140)이 형성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2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동력부(200)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파쇄된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 수단(300)과, 상기 이송 수단(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수단(3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더불어 제1 이송 유도단(130)에 의하여 왕복 이송됨으로써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얼음을 이송 수단(300)측으로 끌어들이면서 파쇄하는 제1 파쇄 수단(400)과, 상기 제1 파쇄 수단(4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파쇄 수단(4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더불어 제2 이송 유도단(140)에 의하여 왕복 이송됨으로써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얼음을 이송 수단측으로 끌어들이면서 파쇄하는 제2 파쇄 수단(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외형을 이루는 부위로,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이러한, 몸체(100)는, 상면(도 1에서)이 개방되게 형성됨으로써 얼음이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110)는, 얼음이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몸체(100)의 개방된 상면(도 1에서)에 해당하는 것이다.
더불어, 몸체(100)의 좌측면(도 1에서) 하부에는, 제1 파쇄 수단(400)과 제2 파쇄 수단(500)에 의하여 파쇄된 얼음이 이송되어 특정 위치에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부(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부(110)를 통해 몸체(100)의 내부로 얼음의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토출부(120)는, 몸체(100)의 좌측면(도 1에서) 하부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이송 수단(300)이 위치되어 이송 수단(300)에 의하여 이송되는 파쇄된 얼음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부위이다.
더불어, 토출부(120)의 좌측단(도 1에서) 하부에는, 이송 수단(300)에 의하여 이송된 얼음이 특정 위치에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홀(121)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홀(121)은, 토출부(120)의 저면으로부터 상하(도 1에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이송 수단(300)에 의하여 파쇄된 얼음이 토출부(120)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파쇄된 얼음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즉, 이송 수단(300)에 의하여 토출부(120)를 따라 이송되는 파쇄된 얼음은, 토출홀(121)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토출홀(121)은 토출부(120)의 저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몸체(100)의 내부 좌측면(도 1에서)에는 제1 이송 유도단(130)과 제2 이송 유도단(14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이송 유도단(130)과 제2 이송 유도단(140)은, 몸체(100)의 내부 좌측(도 1에서)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이송 유도 부재(441) 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541)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1 이송대(440) 또는 제2 이송대(540)의 왕복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즉, 제1 이송 유도단(130) 또는 제2 이송 유도단(140)은, 몸체(100)의 좌측(도 1에서)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제1 이송 유도 부재(441) 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541)가 제1 이송 유도단(130) 또는 제2 이송 유도단(140)과 접하면서 회전되는 과정에서 제1 이송대(440) 또는 제2 이송대(540)가 왕복 이송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부위이다.
설명의 이해를 위해, 제1 파쇄 수단(400)과 제2 파쇄 수단(500)을 이루는 제1 이송 유도 부재(441)와 제2 이송 유도 부재(541)도 제1 이송 유도단(130) 및 제2 이송 유도단(140)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이송 유도단(130) 또는 제2 이송 유도단(140)과 제1 이송 유도 부재(441) 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541)는 몸체(100)와 제1 이송대(440) 또는 제2 이송대(540)에서 각각 상호 대향되게 설치 또는 구비되며, 제1 이송 유도단(130) 또는 제2 이송 유도단(140)과 제1 이송 유도 부재(441) 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541)의 상호 대향되는 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피크(10)와 로어(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크(10)는 로어(20)로부터 점차 경사지게 형성되고, 로어(20)는 피크(10)로부터 절곡되게 형성된다.
즉, 제1 이송 유도단(130) 또는 제2 이송 유도단(140)과 제1 이송 유도 부재(441)와 제2 이송 유도 부재(541)는, 동일한 구성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번 더 설명하면,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 유도단(130) 또는 제2 이송 유도단(140)과 제1 이송 유도 부재(441) 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541)는 원형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제1 이송 유도단(130) 또는 제2 이송 유도단(140)과 제1 이송 유도 부재(441)와 제2 이송 유도 부재(541)의 상호 대향되는 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대향되는 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점차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최고점에 해당하는 피크(10)가 형성되고, 피크(10)로부터 대향되는 면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최저점에 해당하는 로어(20)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제1 이송 유도단(130) 또는 제2 이송 유도단(140)과 제1 이송 유도 부재(441) 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541)는 직각 삼각형의 두 꼭짓점을 링(Ring) 형태로 이어붙인것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이송 유도단(130) 또는 제2 이송 유도단(140)과 제1 이송 유도 부재(441) 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541)에 피크(10)와 로어(20)가 각각 하나씩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이는, 제1 탄성 부재(411) 또는 제2 탄성 부재(511)에 의한 제1 이송대(440) 또는 제2 이송대(540)의 전진(도 5에서 좌측)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파쇄 수단(400) 또는 제2 파쇄 수단(500)에 의한 얼음의 파쇄 및 유입 효과가 극대화될 수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피크(10)와 로어(20)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이송 유도단(130) 또는 제2 이송 유도단(140)과 제1 이송 유도 부재(441) 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541)에 각각 형성되는 피크(10)와 로어(20)가 서로 직교를 이루도록 구성하여 제1 이송대(440) 또는 제2 이송대(540)의 전진 시 충격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피크(10)와 로어(20)가 서로 곡률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충격량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하기에서는, 제1 이송 유도단(130) 또는 제2 이송 유도단(140)과 제1 이송 유도 부재(441) 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541)와 제1 탄성 부재(411) 또는 제2 탄성 부재(511)에 의한 제1 이송대(440) 또는 제2 이송대(540)의 왕복 이송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 유도단(130) 또는 제2 이송 유도단(140)과 제1 이송 유도 부재(441) 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541)가 상호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제1 탄성 부재(411) 또는 제2 탄성 부재(511)의 압축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가 제1 이송대(440) 또는 제2 이송대(540)의 전진 상태에 해당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 유도단(130) 또는 제2 이송 유도단(140)과 제1 이송 유도 부재(441) 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541)의 전체가 상호 밀착되지 않고 일부만이 접하게 됨으로써 제1 탄성 부재(411) 또는 제2 탄성 부재(511)가 압축된 상태가 제1 이송대(440) 또는 제2 이송대(540)의 후진 상태에 해당한다.
즉, 제1 이송대(440) 또는 제2 이송대(540)의 후진 상태에서 전진 상태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제1 이송 유도단(130) 또는 제2 이송 유도단(140)과 제1 이송 유도 부재(441) 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541)에 각각 형성된 피크(10)와 로어(20)가 서로 직교를 이루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1 이송대(440) 또는 제2 이송대(540)의 전진(도 1에서 좌측)은 제1 탄성 부재(411) 또는 제2 탄성 부재(511)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칼날 부재(442)가 얼음과 순간적으로 접하는 충격량은 보다 증대되게 됨으로써 제1 이송대(440) 또는 제2 이송대(540)의 왕복 이송에 의한 얼음의 1차 파쇄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몸체(100)의 내부에는 이송 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 수단(300)은, 상기 동력부(200)에 의하여 회전됨과 더불어 일단이 몸체(100)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외륜에는 파쇄된 얼음의 이송을 위한 스크류(310)가 형성되는 이송 회전축(310)과, 상기 이송 회전축(310)의 일단에 구비되며 동력부(200)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을 제1 파쇄 수단(400)으로 전달하는 이송 기어(3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 회전축(310)은, 몸체(100)의 내부에서도 하측(도 1에서) 위치되는 것으로, 몸체(100)의 내부에서 토출부(120)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원형 막대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송 회전축(310)은 좌측단(도 1에서)이 토출부(120)의 끝단에서 동력부(200)와 결합되어 회전되며, 우측단(도 1에서)은 몸체(100)의 우측면(도 1에서)을 관통하여 몸체(100)의 우측 방향으로 일부가 연장되게 구비된다.
더불어, 이송 회전축(310)의 외륜에는 스크류(310)가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310)는, 이송 회전축(310)의 외륜에서 이송 회전축(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1 파쇄 수단(400)과 제2 파쇄 수단(500)에 의하여 파쇄되면서 유입된 얼음이 이송 회전축(31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토출부(120)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 때, 스크류(310)는 이송 회전축(310)의 외륜 중에서도 몸체(100)로부터 관통되어 몸체(100)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된 이송 회전축(310)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스크류(310)는 이송 회전축(310)의 외륜 중에서도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된 부위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이송 회전축(310)의 우측단(도 1에서)에는 이송 기어(32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 기어(320)는, 이송 회전축(310)의 우측단(도 1에서)에서 이송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됨으로써 동력부(200)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을 제1 파쇄 기어(43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송 회전축(310)의 좌측단(도 1에서)에는, 이송 회전축(310)이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동력부(200)는, 몸체(100) 중에서도 토출부(120)의 좌측단(도 1에서)에서 이송 회전축(310)의 좌측단(도 1에서)과 결합되어 이송 회전축(31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동력부(200)는 모터에 해당하는 것이며, 이송 회전축(31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여타 장치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이송 수단(300)의 상부(도 2에서)에는 제1 파쇄 수단(40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파쇄 수단(400)은, 상기 몸체(100)의 일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면서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외륜에는 칼날 부재(442)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제1 파쇄 회전축(410)과, 상기 제1 파쇄 회전축(4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 이송대(440)를 항시 일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411)와, 상기 제1 파쇄 회전축(410)의 일단에 구비되며 제1 파쇄 회전축(410)의 개방된 일면 일부를 폐쇄하는 제1 차단부(420)와, 상기 제1 파쇄 회전축(410)의 다른 일단에 구비되며 이송 기어(32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음으로써 제1 파쇄 회전축(41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2 파쇄 회전축(51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 파쇄 기어(430)와, 상기 제1 파쇄 회전축(4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파쇄 회전축(410)과 함께 회전됨과 더불어 일단에는 제1 이송 유도 부재(441)가 구비됨으로써 제1 이송 유도단(130)에 의하여 왕복 이송되는 제1 이송대(4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파쇄 회전축(410)은, 몸체(100)의 우측면(도 1에서)을 좌우(도 1에서)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100)의 우측면에 설치된 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축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파쇄 회전축(410)은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면서 좌측면(도 5에서)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처럼, 제1 파쇄 회전축(410)의 개방되면서 중공되게 형성된 좌측면(도 5에서)으로부터 제1 파쇄 회전축(410)의 내부에는 제1 탄성 부재(41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탄성 부재(411)는, 제1 파쇄 회전축(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파쇄 회전축(410)과 결합되는 제1 이송대(440)를 좌측(도 5에서) 방향으로 항시 가압함으로써 제1 이송대(440)의 좌측 방향으로의 전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1 탄성 부재(411)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그리고, 제1 파쇄 회전축(410)의 개방된 좌측면(도 5에서)에는 제1 차단부(4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차단부(420)는, 제1 파쇄 회전축(410)의 개방된 좌측면(도 5에서)에 용접 결합되는 부위로, 제1 파쇄 회전축(410)의 좌측면(도 5에서) 일부를 폐쇄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제1 파쇄 회전축(4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 탄성 부재(411)는 제1 차단부(420)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차단부(420)에는 제1 이송대(440)가 제1 파쇄 회전축(4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삽입홀(421)이 형성된다.
즉, 제1 차단부(420)의 좌측면(도 5에서)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제1 삽입홀(421)이 관통 형성되고, 이 제1 삽입홀(421)을 통해 제1 이송대(440)의 우측단 일부는 제1 파쇄 회전축(41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삽입홀(421)은 적어도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관통 결합되는 제1 이송대(440)가 제1 파쇄 회전축(410)에 의하여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제1 파쇄 회전축(410)의 좌측(도 5에서)에는 제1 이송대(44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이송대(440)는, 제1 파쇄 회전축(410)의 좌측에 위치되면서 우측단(도 5에서) 일부가 제1 파쇄 회전축(4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1 이송대(440)는 좌우(도 1에서)로 길게 형성되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파쇄 회전축(410)과 함께 회전되는 부위이다.
더불어, 제1 이송대(440)의 좌측단(도 5에서)에는 제1 이송 유도 부재(44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이송 유도 부재(441)는, 제1 이송대(440)와 함께 회전되는 과정에서 제1 이송대(440)가 제1 이송 유도단(130)에 의하여 좌우(도 5에서) 방향으로 왕복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그 설명은 상기에서 하였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이송대(440)의 외륜에는 칼날 부재(442)가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칼날 부재(442)는, 제1 이송대(440)가 회전됨에 있어서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얼음을 이송 수단(300)측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부위이다.
이러한, 칼날 부재(442)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외륜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갈퀴가 복수개로 돌출되게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칼날 부재(442)는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얼음이 하측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갈퀴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1 이송대(440)의 외륜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칼날 부재(442)는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칼날 부재(442)가 제1 이송대(440) 또는 제2 이송대(540)의 외륜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복수개의 칼날 부재(442)가 하나의 관체에 형성되어 제1 이송대(440) 또는 제2 이송대(540)와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복수개의 칼날 부재(442)가 하나의 관체의 외륜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복수개의 칼날 부재(442)가 형성된 관체의 내부에는 키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제1 이송대(440) 또는 제2 이송대(540)의 외륜에는 키(미도시)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칼날 부재(442)가 형성된 관체가 제1 이송대(440) 또는 제2 이송대(540)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처럼, 복수개의 칼날 부재(442)가 하나의 관체의 외륜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경우 칼날 부재(442)의 마모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이송대(440)의 외륜에 복수개로 구비되면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칼날 부재(442)의 사이 사이에는, 제2 이송대(540)의 외륜에 복수개로 구비되면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른 칼날 부재가 위치된다.
즉, 상기 제1 파쇄 수단(40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칼날 부재와 제2 파쇄 수단(50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칼날 부재는 서로 교차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파쇄 수단(400)과 제2 파쇄 수단(500)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즉, 제1 이송대(440)와 제2 이송대(54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부로 유입되는 얼음이 이송 수단(300)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1 이송대(440)의 외륜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칼날 부재(442)와 제2 이송대(540)의 외륜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다른 칼날 부재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유입부(110)를 통해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얼음의 2차 파쇄가 이루어짐과 더불어 이송 수단(300)측으로 얼음이 이송되게 된다.
한편, 제1 파쇄 회전축(410)의 우측단(도 5에서)에는 제1 파쇄 기어(4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파쇄 기어(430)는, 이송 기어(3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제1 파쇄 회전축(41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2 파쇄 기어(430)로 동력을 전달하는 부위이다.
또한, 몸체(100)의 좌측면에는 제1 가이드부가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몸체(100)의 좌측면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제1 이송대(440)의 좌측부와 결합되어 제1 이송대(44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1 가이드부는 제1 이송대(440)의 하부에서 결합되어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얼음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가장 좋다.
즉, 제1 가이드부는 몸체(100)의 좌측면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면서 상측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제1 이송대(440)와 결합되며, 제1 이송대(4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파쇄 수단(400)이 좌우로 이송됨과 더불어 회전됨으로써 유입부(110)를 통해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얼음의 파쇄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파쇄 수단(400)의 상부(도 2에서)에는 제1 파쇄 수단(400)과 함께 유입부(110)를 통해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얼음의 파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2 파쇄 수단(500)이 구비된다.
상기 제2 파쇄 수단(500)은, 상기 몸체(100)의 일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면서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외륜에는 칼날 부재(442)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제2 파쇄 회전축(510)과, 상기 제2 파쇄 회전축(5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2 이송대(540)를 항시 일측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511)와, 상기 제2 파쇄 회전축(510)의 일단에 구비되며 제2 파쇄 회전축(510)의 개방된 일면 일부를 폐쇄하는 제2 차단부(520)와, 상기 제2 파쇄 회전축(510)의 다른 일단에 구비되며 이송 기어(32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음으로써 제2 파쇄 회전축(51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2 파쇄 회전축(51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파쇄 기어(530)와, 상기 제2 파쇄 회전축(5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2 파쇄 회전축(510)과 함께 회전됨과 더불어 일단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541)가 구비됨으로써 제2 이송 유도단(140)에 의하여 왕복 이송되는 제2 이송대(5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파쇄 회전축(510)은, 몸체(100)의 우측면(도 5에서)을 좌우(도 5에서)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100)의 우측면에 설치된 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축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파쇄 회전축(510)은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면서 좌측면(도 5에서)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처럼, 제2 파쇄 회전축(510)의 개방되면서 중공되게 형성된 좌측면(도 5에서)으로부터 제2 파쇄 회전축(510)의 내부에는 제2 탄성 부재(511)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탄성 부재(511)는, 제2 파쇄 회전축(5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2 파쇄 회전축(510)과 결합되는 제2 이송대(540)를 좌측(도 5에서) 방향으로 항시 가압함으로써 제2 이송대(540)의 좌측 방향으로의 전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2 탄성 부재(511)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그리고, 제2 파쇄 회전축(510)의 개방된 좌측면(도 5에서)에는 제2 차단부(5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차단부(520)는, 제2 파쇄 회전축(510)의 개방된 좌측면(도 5에서)에 용접 결합되는 부위로, 제2 파쇄 회전축(510)의 좌측면(도 5에서) 일부를 폐쇄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제2 파쇄 회전축(5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2 탄성 부재(511)는 제2 차단부(520)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차단부(520)에는 제2 이송대(540)가 제2 파쇄 회전축(5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삽입홀(521)이 형성된다.
즉, 제2 차단부(520)의 좌측면(도 5에서)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제2 삽입홀(521)이 관통 형성되고, 이 제2 삽입홀(521)을 통해 제2 이송대(540)의 우측단 일부는 제2 파쇄 회전축(51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 삽입홀(521)은 적어도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관통 결합되는 제2 이송대(540)가 제2 파쇄 회전축(510)에 의하여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제2 파쇄 회전축(510)의 좌측(도 5에서)에는 제2 이송대(5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이송대(540)는, 제2 파쇄 회전축(510)의 좌측에 위치되면서 우측단(도 5에서) 일부가 제2 파쇄 회전축(5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2 이송대(540)는 좌우(도 1에서)로 길게 형성되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2 파쇄 회전축(510)과 함께 회전되는 부위이다.
더불어, 제2 이송대(540)의 좌측단(도 5에서)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541)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이송 유도 부재(541)는, 제2 이송대(540)와 함께 회전되는 과정에서 제2 이송대(540)가 제2 이송 유도단(140)에 의하여 좌우(도 5에서) 방향으로 왕복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그 설명은 상기에서 하였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이송대(540)의 외륜에는 칼날 부재(442)가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칼날 부재(442)는, 제2 이송대(540)가 회전됨에 있어서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얼음을 이송 수단(300)측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부위이다.
이러한, 칼날 부재(442)는 원형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외륜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갈퀴가 복수개로 돌출되게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칼날 부재(442)는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얼음이 하측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갈퀴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2 이송대(540)의 외륜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칼날 부재(442)는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때, 제2 이송대(540)의 외륜에 복수개로 구비되면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칼날 부재(442)의 사이 사이에는, 제2 이송대(540)의 외륜에 복수개로 구비되면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른 칼날 부재가 위치된다.
한편, 제2 파쇄 회전축(510)의 우측단(도 5에서)에는 제2 파쇄 기어(53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파쇄 기어(530)는, 제1 파쇄 기어(4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제2 파쇄 회전축(51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또한, 몸체(100)의 좌측면에는 제2 가이드부가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 가이드부는, 몸체(100)의 좌측면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제2 이송대(540)의 좌측부와 결합되어 제2 이송대(54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2 가이드부는 제2 이송대(540)의 하부에서 결합되어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얼음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가장 좋다.
즉, 제2 가이드부는 몸체(100)의 좌측면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면서 상측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제2 이송대(540)와 결합되며, 제2 이송대(5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파쇄 수단(500)이 좌우로 이송됨과 더불어 회전됨으로써 제1 파쇄 수단(400)과 함께 유입부(110)를 통해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얼음의 파쇄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제2 파쇄 수단(500)은 제1 파쇄 수단(40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파쇄 수단(400)과 제2 파쇄 수단(500)을 통해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얼음의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복수개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에서는 제1 파쇄 수단과 제2 파쇄 수단이 구비되고, 제1 파쇄 수단과 제2 파쇄 수단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유입되는 얼음이 이송 수단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에서는 제1 파쇄 수단과 제2 파쇄 수단이 회전과 함께 왕복 이송이 이루어짐으로써 유입되는 얼음의 파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에서는 이송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유입되는 얼음의 파쇄와 함께 특정 위치로 파쇄된 얼음을 이송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피크 20. 로어
100. 몸체 110. 유입부
120. 토출부 121. 토출홀
130. 제1 이송 유도단 140. 제2 이송 유도단
200. 동력부 300. 이송 수단
310. 이송 회전축 311. 스크류
320. 이송 기어 400. 제1 파쇄 수단
410. 제1 파쇄 회전축 411. 제1 탄성 부재
420. 제1 차단부 421. 제1 삽입홀
430. 제1 파쇄 기어 440. 제1 이송대
441. 제1 이송 유도 부재 442. 칼날 부재
500. 제2 파쇄 수단 510. 제2 파쇄 회전축
511. 제2 탄성 부재 520. 제2 차단부
521. 제2 삽입홀 530. 제2 파쇄 기어
540. 제2 이송대 541. 제2 이송 유도 부재

Claims (5)

  1. 얼음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유입부와 파쇄된 얼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에는 제1 파쇄 수단과 제2 파쇄 수단의 왕복 이송을 유도하는 제1 이송 유도단과 제2 이송 유도단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동력부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파쇄된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 수단;
    상기 이송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더불어 제1 이송 유도단에 의하여 왕복 이송됨으로써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얼음을 이송 수단측으로 끌어들이면서 파쇄하는 제1 파쇄 수단;
    상기 제1 파쇄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파쇄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더불어 제2 이송 유도단에 의하여 왕복 이송됨으로써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얼음을 이송 수단측으로 끌어들이면서 파쇄하는 제2 파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파쇄 수단은,
    상기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면서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외륜에는 칼날 부재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제1 파쇄 회전축;
    상기 제1 파쇄 회전축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 이송대를 항시 일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
    상기 제1 파쇄 회전축의 일단에 구비되며, 제1 파쇄 회전축의 개방된 일면 일부를 폐쇄하는 제1 차단부;
    상기 제1 파쇄 회전축의 다른 일단에 구비되며, 이송 기어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음으로써 제1 파쇄 회전축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2 파쇄 회전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 파쇄 기어;
    상기 제1 파쇄 회전축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파쇄 회전축과 함께 회전됨과 더불어 일단에는 제1 이송 유도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제1 이송 유도단에 의하여 왕복 이송되는 제1 이송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동력부에 의하여 회전됨과 더불어 일단이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외륜에는 파쇄된 얼음의 이송을 위한 스크류가 형성되는 이송 회전축;
    상기 이송 회전축의 일단에 구비되며, 동력부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을 제1 파쇄 수단으로 전달하는 이송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쇄 수단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칼날 부재와 제2 파쇄 수단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칼날 부재는 서로 교차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파쇄 수단과 제2 파쇄 수단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유도단 또는 제2 이송 유도단과 제1 이송 유도 부재 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는, 몸체와 제1 이송대 또는 제2 이송대에서 각각 상호 대향되게 설치 또는 구비되며, 제1 이송 유도단 또는 제2 이송 유도단과 제1 이송 유도 부재 또는 제2 이송 유도 부재의 상호 대향되는 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피크와 로어가 적어도 하나 이상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
KR1020210099859A 2021-07-29 2021-07-29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 KR102315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859A KR102315446B1 (ko) 2021-07-29 2021-07-29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859A KR102315446B1 (ko) 2021-07-29 2021-07-29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446B1 true KR102315446B1 (ko) 2021-10-21

Family

ID=78268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859A KR102315446B1 (ko) 2021-07-29 2021-07-29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4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314A (ko) * 2002-10-24 2004-04-30 김봉석 제빙장치
KR100822404B1 (ko) 2006-03-31 2008-04-16 (주)한국마린산업 어선용 얼음 파쇄장치
KR100833861B1 (ko) * 2006-12-31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배출장치
KR101552701B1 (ko) * 2015-04-22 2015-09-15 주식회사 동일제빙 얼음 분쇄 선별장치
KR20160047684A (ko) * 2014-10-22 2016-05-03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분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314A (ko) * 2002-10-24 2004-04-30 김봉석 제빙장치
KR100822404B1 (ko) 2006-03-31 2008-04-16 (주)한국마린산업 어선용 얼음 파쇄장치
KR100833861B1 (ko) * 2006-12-31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배출장치
KR20160047684A (ko) * 2014-10-22 2016-05-03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분쇄장치
KR101552701B1 (ko) * 2015-04-22 2015-09-15 주식회사 동일제빙 얼음 분쇄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206B1 (ko) 제빙장치
KR101758469B1 (ko) 대추씨 제거장치
KR102315446B1 (ko)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
EP2844063A2 (en) An animal feed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KR200411271Y1 (ko) 냉동크릴 파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냉동크릴 파쇄 및 혼합장치
KR102151565B1 (ko) 플라스틱 및 페트병 파쇄기
CN209758439U (zh) 供料管及自动供料设备
KR101830220B1 (ko) 과수 및 수목 파쇄기
CN209772339U (zh) 布料粉碎装置
KR101730239B1 (ko) 사료급이장치
EP0862362A1 (en) Cutter-mixer-feeder wagon for fodder and grass or straw silage, provided with profiled plate to convey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KR20110103744A (ko) 절삭칩 압축기용 호퍼 유닛
KR102315449B1 (ko) 쇄빙기
WO2017135110A1 (ja) 原料貯留用ホッパ
JP4485242B2 (ja) 破砕処理装置
CN106564736A (zh) 一种双螺旋叶片轴给料机
KR101532928B1 (ko) 원료 정량 공급 장치
JP2001122429A (ja) 歯ブラシハンドルの連続供給装置
KR100708464B1 (ko) 옥수수 껍질 제거 장치
KR200246776Y1 (ko) 동물사체 분쇄기
CN110269259A (zh) 椰子脱青装置及脱青方法
CN207756988U (zh) 一种自动钢材切割装置
CN218578896U (zh) 一种间歇式供料机
CN209777491U (zh) 便于送料的螺旋送料机
US5407053A (en) Hopper apparatus for rod mem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