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861B1 - 얼음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얼음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861B1
KR100833861B1 KR1020060139246A KR20060139246A KR100833861B1 KR 100833861 B1 KR100833861 B1 KR 100833861B1 KR 1020060139246 A KR1020060139246 A KR 1020060139246A KR 20060139246 A KR20060139246 A KR 20060139246A KR 100833861 B1 KR100833861 B1 KR 100833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ice
rotating shaft
shaft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9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9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861B1/ko
Priority to US11/967,448 priority patent/US795473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1/00Solid material comminution or disintegration
    • Y10S241/17Ice cru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통얼음과 조각얼음과 갈은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얼음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롤러의 외주면과의 간격이 조절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얼음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얼음과 조각얼음 뿐만 아니라, 갈은얼음까지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냉장고, 아이스뱅크, 조각얼음

Description

얼음배출장치 {Device for ice discharging}
도 1은 종래의 냉장고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아이스뱅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크러셔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얼음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얼음배출장치의 제1롤러와 제2롤러의 간격이 멀어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4의 얼음배출장치의 제1롤러와 제2롤러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4의 제2종동기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4의 얼음배출장치가 통얼음을 배출할 때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얼음배출장치가 조각얼음을 배출할 때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얼음배출장치의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120 : 아이스뱅크 122 : 개구부
130 : 제1롤러 132 : 제1회전축
134 : 제1종동기어 138 : 쇄빙부
140 : 제2롤러 142 : 제2회전축
144 : 제2종동기어 150 : 구동장치
162 : 캠기구 164 : 캠기구
본 발명은 얼음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통얼음과 조각얼음과 갈은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얼음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각사이클을 이용하여 내부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기로서, 가정이나 업소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냉장고(1)는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저장하는 공간인 냉동실(2)과 냉장실(3)로 구분되어 있으며, 냉매의 응축과 증발을 통해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냉각하는 냉각사이클(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2)은 내부가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냉각되고, 냉장실(3)은 3~4도 정도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1) 내에는 얼음을 얼리는 제빙기(10)가 구비된다.
상기 제빙기(10)는 얼음을 얼리는 기기이며, 상기 제빙기(10)에서 얼려진 얼음은 하부에 구비된 아이스뱅크(20)에 옮겨져 저장된다.
그리고, 냉장고(1)의 외부에는 상기 아이스뱅크(20)에 저장된 얼음을 사용자가 손쉽게 취출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4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40)는 컵등의 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냉장고(1)의 벽면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이나 얼음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뱅크(20)와 통로(52)로 연통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아이스뱅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아이스뱅크(20)는 얼음을 담는 기구인데, 상기 제빙기(10)에서 옮겨지는 얼음을 받을 수 있도록 상부는 대략 개방되어 이루어지고, 일측에 담겨진 얼음이 배출되도록 개구부(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50)로 이송할 수 있도록 내부에 얼음을 배출시키는 얼음배출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얼음배출장치는 구동장치(32)와 얼음이송기(34)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얼음이송기(34)는 아이스뱅크(20)의 저부에 나선의 형상으로 배치되고, 그 끝단에는 상기 얼음이송기(34)를 구동하는 구동장치(3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장치(32)는 모터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얼음이송기(34)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얼음이송기(34)는 회전되면서 아이스뱅크(20)의 얼음을 개구부(22)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개구부(22)에는 크러셔(40)가 구비된다. 상기 크러셔(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구부(22)에서 토출되는 얼음을 통얼음 상태로 배출하거나 조각얼음 상태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도3은 상기 크러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크러셔(40)는 개구부의 외측에 구비되며, 외관을 이루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내부에 구비되는 고정블레이드(42)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블레이드(43)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블레이드(43)는 모터등의 구동력으로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41)은 하측에 얼음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44)가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배출구(44)의 일부를 개폐하는 셔터(45) 및, 상기 셔터(45)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46)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얼음(8)을 취출하고자 조작했을 때는 상기 셔터(45)가 개방되어 상기 배출구(44)가 열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22)를 통해 크러셔(40)의 하우징(41) 내부로 인입된 얼음(8)은 상기 회전블레이드(43)와 고정블레이드(42) 사이에 끼이기 전에 상기 개방된 배출구(44)를 통하여 디스펜서(50)로 배출된다.
또한, 사용자가 조각얼음을 취출하고자 조작했을 때는 상기 셔터(45)가 폐쇄되어 상기 배출구(44)가 닫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44)가 닫혀있으므로, 상기 개구부(22)를 통해 크러셔(40)의 하우징(41) 내부로 인입된 얼음(7)은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고 상기 회전블레이드(43)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다가 고정블레이드(42)와 회전블레이드(43) 사이에 끼여 파쇄되어 조각얼음이 되며, 이러한 조각얼음은 상기 배출구(44)의 폐쇄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디스펜서(50)로 배출된다.
그러나, 가정에서 팥빙수등을 만들고자 할 때는 조각얼음이 아닌 갈은얼음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얼음배출장치는 통얼음과 조각얼음만을 제공할 뿐이어서 사용자에게 갈은얼음을 제공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통얼음과 조각얼음 및 갈은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얼음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얼음을 저장하며, 일측에 얼음배출구가 형성된 아이스뱅크; 정방향회전 및 역방향회전이 가능한 구동장치; 서로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는 제1롤러와 제2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방향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얼음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얼음을 통얼음 상태로 배출하거나, 부수어 조각얼음 상태로 배출하는 얼음분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얼음배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는 각각 원추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향된 형태로 나란히 배치되며, 외주면에 얼음을 갈거나 부수는 쇄빙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롤러의 외주면과 제2롤러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과,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제2롤러의 회전축중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롤러와 제2롤러의 외주면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캠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캠기구는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제2롤러의 회전축중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기구는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제2롤러의 회전축중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의 양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된 캠기구는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가 정회전 할 때에는 얼음이 조각얼음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구동장치가 역회전 할 때에는 통얼음 상태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기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2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회전가능한 축; 일단이 상기 축에 결합되며, 사용자 가 상기 축에 회전력을 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크랭크; 상기 크랭크에 결합된 축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기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2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종동기어 또는 제2종동기어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롤러 또는 제2롤러의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얼음을 갈거나 부수는 제1롤러와 제2롤러의 회전방향이 조절되므로 배출되는 얼음을 통얼음 또는 조각얼음의 형태로 배출할 수 있고,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얼음조각의 크기도 조절가능하여 갈은얼음상태의 얼음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앞서서, 본 실시예는 얼음배출장치가 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장고가 아니더라도 얼음을 배출하는 기기라면 어느것이던지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중 전술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냉장고(1 : 도1참조)의 내부에 제빙기(10 : 도1참조)가 구비된다. 상 기 제빙기는 얼음을 얼리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얼음을 얼리는 공간이 형성되며, 얼려진 얼음을 제빙기 외부로 이동시키는 기구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빙기(10 : 도1참조)는 냉장고(1 : 도1참조)내에 영하의 온도가 유지되는 냉동실(2 : 도1참조)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냉동실(2 : 도1참조) 또는 냉장실(3 : 도1참조)의 용적을 넓히고자 도어(4 : 도1참조)의 내측벽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냉장실(3 : 도1참조)내에 따로 영하의 냉기가 형성되는 공간을 마련하여 그 부분에 위치시킬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기(10 : 도1참조)의 하부에는 아이스뱅크(120)가 설치된다. 상기 아이스뱅크(120)는 상기 제빙기에서 제빙된 얼음이 옮겨져 보관되는 곳으로서, 일측에 보관된 얼음이 아이스뱅크(1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개구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뱅크(120)의 내부에는 얼음을 상기 개구부(122)측으로 이송시키는 얼음이송기(34 : 도2참조) 및 상기 얼음이송기(34 : 도2참조)를 구동시키는 장치(32 : 도2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1 : 도1참조)의 외측벽면에는 상기 아이스뱅크에서 배출되는 얼음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디스펜서(50 : 도1참조)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뱅크(120)에서 배출되는 얼음이 디스펜서(50 : 도1참조)로 배출되기 전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얼음이나 조각얼음 또는 갈은얼음 상태로 배출되는 얼음분쇄장치가 구비된다.
여기서, 통얼음이란 상기 제빙기에서 제빙된 상태 그대로 배출되는 얼음이고, 조각얼음은 상기 통얼음이 잘게 쪼개진 상태의 얼음이며, 갈은얼음은 팥빙수의 얼음과 같이 곱게 갈린 상태의 얼음을 뜻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얼음분쇄부는 상기 아이스뱅크(120)의 개구부(122)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122)에서 배출되는 얼음을 분쇄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배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얼음분쇄장치는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 및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는 각각 중심부를 관통하는 제1회전축(132)과 제2회전축(142)을 가지며, 상기 제1회전축(132)과 제2회전축(142)은 서로 평행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롤러(130)의 외주면와 제2롤러(140)의 외주면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롤러(130)의 외주면과 제2롤러(140)의 외주면에는 얼음을 갈아내기 위한 쇄빙부(138)가 형성된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쇄빙부(13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롤러(130)의 외주면 또는 제2롤러(140)의 외주면에 나선상의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쇄빙부(138)는 맞은편의 제1롤러(130) 또는 제2롤러(140)를 향하여 편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15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장치(150)는 정방향회전과 역방향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150)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모터가 구비될 수도 있고, 모터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나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에 전해지는 회전력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방향전환기구(미도시)가 구비되어 양방향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동장치(150)의 구동력을 제1롤러(130)에 전달하는 제1종동기어(134)와, 구동장치(150)의 구동력을 제2롤러(140)에 전달하는 제2종동기어(14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종동기어(134)와 제2종동기어(144)는 각각 제1회전축(132)과 제2회전축(142)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는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제1종동기어(134)와 제2종동기어(144)의 회전방향또한 서로 반대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종동기어(134)와 제2종동기어(144)는 서로 치합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종동기어(134)의 일측에 상기 구동장치(150)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어(152)가 치합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종동기어(134)는 구동기어(152)에 의해 회전되며, 제2종동기어(144)는 제1종동기어(134)와 치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종동기어(134)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구성과는 다르게, 상기 제1종동기어(134)와 제2종동기 어(144)가 서로 치합되어 있지 않고, 각각 구동장치(150)와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으며 서로 회전방향만 반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등, 여러가지 구조가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상측면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이하, 이러한 회전을 역회전이라 한다)하면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상측면이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아이스뱅크(120)에서 이송된 얼음(107)이 통얼음 상태로 제1롤러(130) 또는 제2롤러(140)의 외측면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통얼음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상측면이 서로 내측방향으로 회전(이하, 이러한 회전을 정회전이라 한다)하면 상기 아이스뱅크(120)에서 이송된 얼음(107)이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회전을 따라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사이에 끼여지면서 파쇄되어 조각얼음이 된다. 이 때, 상기 쇄빙부(138)가 얼음이 파쇄되는것을 더욱 원할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사이에 끼여 생성되는 조각얼음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외주면사이 간격이 조절될 필요가 있다.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회전축(132)과 제2회전축(142)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는 다르게,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를 원추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하고,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중 어느하나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 면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를 원추형의 형태로 형성하고,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중 어느 하나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는 각각 원추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또한, 서로 대향된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외주면은 서로 소정간격을 이루며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롤러(140)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2롤러(14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2종동기어(144)는 상기 제2롤러(140)를 지지하는 제2회전축(142)과는 축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종동기어(14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종동기어(134)와의 치합을 유지한체로 상기 제2롤러(140)에 전해주는 회전력은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다.
도 6 내지 도 7은 상부에서 본 얼음배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상기 제2롤러(14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회전축(142)의 양단에 구비되는 캠기구(162,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 캠기구(162,164)는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회전축(142)의 일측단에 구비된 캠기구(162)가 상기 제2회전축(142)을 밀고 있다면, 상기 제2회전축(142)의 타측단에 구비된 캠기구(164)는 이와는 반대의 위상을 가져 상기 제2회전축(142)을 밀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캠기구가 반드시 제2회전축(142)의 양단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캠기구는 제2회전축(142)의 어느 일측단에 구비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캠기구에 의해 이동된 제2회전축(142)을 고정시키는 기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통얼음을 얻고자 조작할 때는, 도9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가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상측면이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아이스뱅크(120)에서 이송된 얼음(107)이 통얼음 상태로 제1롤 러(130) 또는 제2롤러(140)의 외측면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통얼음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또한, 사용자가 조각얼음을 얻고자 조작할 때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가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장치(150)를 구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상측부가 서로 내측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아이스뱅크(120)에서 이송된 얼음(107)이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회전을 따라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사이에 끼여지면서 파쇄되어 조각얼음이 되어 떨어지고, 이러한 조각얼음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조각얼음을 취출할 때 조각얼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취출되는 조각얼음의 크기가 비교적 클 때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취출되는 조각얼음의 크기가 비교적 작을 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취출되는 조각얼음의 크기가 비교적 클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2롤러(140)가 후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캠기구(162,164)중 제2회전축(142)의 전측에 있는 캠기구(164)는 상기 제2회전축(142)을 밀고, 상기 제2회전축(142)의 후측에 있는 캠기구(162)은 상기 제2회전축(142)을 밀지 않는 상태가 되어 상기 제2회전축(142)을 후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롤러(140)도 후측으로 이동되고, 그에따라 상기 제1롤러(130)의 외주면과 제2롤러(14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t1)이 넓어지며, 그에 따라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 사이에서 파쇄되는 얼음조각의 크기도 커진다.
또한, 취출되는 조각얼음의 크기가 비교적 작을 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2롤러(140)가 전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캠기구(162,164)중 제2회전축(142)의 전측에 있는 캠기구(164)는 상기 제2회전축(142)을 밀지 않고, 상기 제2회전축(142)의 후측에 있는 캠기구(162)는 상기 제2회전축(142)을 미는 상태가 되어 상기 제2회전축(142)을 전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롤러(140)도 전측으로 이동되고, 그에따라 상기 제1롤러(130)의 외주면과 제2롤러(14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t2)이 넓어져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사이에서 파쇄되는 얼음조각의 크기가 작아진다.
또한,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좁아진다면, 갈은얼음 상태의 얼음조각의 크기까지 얼음을 파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얼음과 조각얼음은 물론, 얼음조각의 크기까지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얼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상기 구동장치(150)가 전기적인 힘을 사용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구동장치는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1은 상기 구동장치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하지 않은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것임을 밝힌다.
본 발명의 얼음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는 회전가능한 축(254)과, 일단이 상기 축(254)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상기 축(254)에 회전력을 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크랭크(2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축(254)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동기어(152)의 회전축에 결합되거나, 상기 구동기어(152)에 치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또다른 기어(미도시)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종동기어(134)의 회전축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252)는 상기 축과 90°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회전축(254)이 결합된 쪽의 반대쪽 끝단에는 사용자가 손에 쥘 수 있도록 손잡이(25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크랭크(252)에 구비된 손잡이(256)를 잡고 돌리면, 회전력이 상기 제1종동기어(134)와 제2종동기어(144)에 전해짐으로써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가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손으로 돌리는만큼 회전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장치가 크랭크(252)로써 이루어진다면, 상기 얼음배출장치에 전기가 공급될 필요가 없어 냉장고가 아닌 다른 독립적인 얼음배출기기에 적용할 경우 제작 및 작동이 더 간편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얼음배출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얼음과 조각얼음 뿐만 아니라, 갈은얼음까지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1롤러와 제2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힘으로써 돌릴수 있으므로 전기가 제공되지 않는 야외에서도 갈은얼음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얼음배출구가 형성된 아이스뱅크;
    정방향회전 및 역방향회전이 가능한 구동장치;
    서로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며, 대향된 형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원추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얼음을 갈거나 부수는 쇄빙부가 형성된 제1롤러 및 제2롤러;
    상기 제1롤러의 외주면과 상기 제2롤러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 및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방향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얼음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얼음을 통얼음이나 조각얼음 또는 갈은얼음 상태로 배출하는 얼음분쇄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얼음배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과,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제2롤러의 회전축중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롤러와 제2롤러의 외주면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캠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제2롤러의 회전축중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제2롤러의 회전축중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
  7. 제6항에 잇어서,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된 캠기구는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가 정회전 할 때에는 얼음이 조각얼음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구동장치가 역회전 할 때에는 통얼음 상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기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2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회전가능한 축;
    일단이 상기 축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상기 축에 회전력을 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크랭크;
    상기 크랭크에 결합된 축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기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2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동기어 또는 제2종동기어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롤러 또는 제2롤러의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
KR1020060139246A 2006-12-31 2006-12-31 얼음배출장치 KR100833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9246A KR100833861B1 (ko) 2006-12-31 2006-12-31 얼음배출장치
US11/967,448 US7954738B2 (en) 2006-12-31 2007-12-31 Ice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9246A KR100833861B1 (ko) 2006-12-31 2006-12-31 얼음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861B1 true KR100833861B1 (ko) 2008-06-02

Family

ID=3958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9246A KR100833861B1 (ko) 2006-12-31 2006-12-31 얼음배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54738B2 (ko)
KR (1) KR1008338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684A (ko) 2014-10-22 2016-05-03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분쇄장치
KR102315446B1 (ko) * 2021-07-29 2021-10-21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672A (ko) * 2010-02-23 201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08800694B (zh) * 2018-05-21 2021-03-23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碎冰装置及冰箱
CN109307392B (zh) * 2018-09-10 2020-04-21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出冰装置及冰箱
US11125486B2 (en) * 2019-05-29 2021-09-2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djustable ice crusher
CN111889173B (zh) * 2020-07-13 2021-12-31 山东益远药业有限公司 一种畜牧用饲料粉碎装置
CN111974501B (zh) * 2020-08-26 2021-11-30 山东天成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面粉厂专用的面粉生产设备和工艺
US20230009119A1 (en) * 2021-07-09 2023-01-1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Ice bin including an ice conveyance and crusher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314A (ko) * 2002-10-24 2004-04-30 김봉석 제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958A (en) * 1909-08-12 1911-07-04 John G Wallick Garbage-pulverizer for sewers.
US2235968A (en) * 1938-06-17 1941-03-25 Joseph C Thurman Ore pulverizer
US2416422A (en) * 1944-07-28 1947-02-25 Svante M Udden Rotary ice chipper
GB1253517A (en) * 1968-02-28 1971-11-17 Acheson Ind Inc Roll mill
US4608007A (en) * 1983-05-13 1986-08-26 Wood Errol A Oat crimper
JPS62123248U (ko) * 1986-01-30 1987-08-05
US4721257A (en) * 1986-12-04 1988-01-26 Williams Patent Crusher And Pulverizer Company Rotary shredding apparatus
DE69105370T2 (de) * 1990-06-27 1995-07-20 Kao Corp Pulverisierungs- und Knetappara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eife mit diesem Apparat.
JPH06169740A (ja) * 1991-02-13 1994-06-21 Moon H Lee ジューサー
US5285973A (en) * 1992-07-15 1994-02-15 Advanced Environmental Recycling Technologies, Inc. Close tolerance shredder
JP3437858B2 (ja) * 1993-08-27 2003-08-18 トリー食品工業株式会社 氷菓の製造方法と氷菓
US5395057A (en) * 1994-01-03 1995-03-07 Williams Patent Crusher & Pulverizer Company Interchangeable and reversible material reducing apparatus
JPH0919641A (ja) * 1995-07-04 1997-01-21 Satake Eng Co Ltd 製粉機
TW486384B (en) * 1999-05-17 2002-05-11 Kotobuki Sangyo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osing of waste
CN1151917C (zh) * 2000-09-28 2004-06-02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橡胶废弃物处理设备和橡胶废弃物处理方法
US6634577B2 (en) * 2000-12-20 2003-10-21 Tsukuba Food Science, Inc. Crusher, process for preparing and testing materials and apparatus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314A (ko) * 2002-10-24 2004-04-30 김봉석 제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684A (ko) 2014-10-22 2016-05-03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분쇄장치
KR102301483B1 (ko) * 2014-10-22 2021-09-15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분쇄장치
KR102315446B1 (ko) * 2021-07-29 2021-10-21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54738B2 (en) 2011-06-07
US20080156018A1 (en)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861B1 (ko) 얼음배출장치
EP1482263B1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KR101212087B1 (ko) 냉장고
US8746002B2 (en) Refrigerator and apparatus for ice discharging therein
KR100845859B1 (ko) 얼음배출장치
KR20070076751A (ko) 냉장고
KR102189239B1 (ko) 냉장고
CN1752676A (zh) 具有刨冰供给装置的电冰箱
KR100871269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80022466A (ko) 냉장고
KR20080014403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442067B1 (ko) 냉장고
KR20080020126A (ko) 냉장고
KR20060053212A (ko) 냉장고
KR100844331B1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의 구동 장치
KR20080036696A (ko)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와 그 제어방법
KR19990066209A (ko) 냉장고
KR20000032977A (ko) 냉장고의 얼음 공급장치
KR100781269B1 (ko) 얼음배출장치
KR20080000128A (ko) 냉장고
KR20080000127A (ko) 냉장고
KR20050076926A (ko) 냉장고용 얼음 분쇄 및 마쇄장치
KR20050034337A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20040102562A (ko)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KR20050000955A (ko)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