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0955A -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 Google Patents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955A
KR20050000955A KR1020030041562A KR20030041562A KR20050000955A KR 20050000955 A KR20050000955 A KR 20050000955A KR 1020030041562 A KR1020030041562 A KR 1020030041562A KR 20030041562 A KR20030041562 A KR 20030041562A KR 20050000955 A KR20050000955 A KR 20050000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rotating
bank
housing
outgo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5416B1 (ko
Inventor
정의엽
오승환
이욱용
이명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41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416B1/ko
Priority to EP20040009462 priority patent/EP1491833A1/en
Priority to US10/834,178 priority patent/US7111473B2/en
Priority to CNB2004100458887A priority patent/CN1311213C/zh
Publication of KR20050000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fectionery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이 오거사이에서 고착되어 얼음이 취출되지 않는 문제를 개선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얼음을 선택적으로 취음할 수 있는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빙된 얼음이 보관되고, 디스펜서로 취출되는 냉장고의 아이스뱅크에 있어서, 얼음이 보관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주위를 회전하면서 얼음을 이동시키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가 회전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Icebank with rotary housing}
본 발명은 냉장고의 얼음 취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제빙기에서 제빙된 얼음을 저장하고 디스펜서로 배출하는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은 3℃~4℃로 온도를 유지하여 음식물 또는 야채의 신선도를 유지하게 하고, 상기 냉동실은 0℃이하로 온도를 유지하여 음식물을 얼린상태에서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의 냉장고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을 다양하게 추가하고 있는바, 자동제빙기 역시 그러한 부가기능의 하나이다.
도 1 은 월풀사에서 개발하여 출시된 냉장고의 얼음 취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 는 일반적인 자동제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의 냉동실 내부 상측에는 자동제빙기(1)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동제빙기(1)는 물을 급수시켜 얼린 후 자동으로 취출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장치이다. 일반적인 자동제빙기(1)의 구성을 살펴보면, 대략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실(11)과, 상기 제빙실(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빙실(11)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2)와, 상기 제빙실(11)의 타측에 형성되어 모터(도시생략)가 수납된 콘트롤부(13)와, 상기 콘트롤부(13)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되, 상기 제빙실(11)에서 제빙된 얼음을 아이스뱅크(5)로 취출시키는 이젝터(14)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자동제빙기(1)의 후측부에는 자동제빙기(1)를 냉장고의 냉동실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부(15)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에는 제빙실(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빙실(11)은 대략의 형상이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반원통상의 제빙실 내부에는 얼음이 구획되어 취출될 수 있도록 구획돌기(16)가 소정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빙실(11)의 일측에 형성된 콘트롤부(13)안에는 기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가 내장되고 상기 모터축에는 이젝터(1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젝터(14)는 축이 제빙실(11)의 중앙을 가로지르며 형성되고, 상기 이젝터(14)의 축 측면으로는 상기 제빙실(11)에 구획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다수개의 이젝터 핀(1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젝터 핀(14a)은 제조된 얼음을 아이스뱅크(5)로 취출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이젝터 핀(14a) 옆에는 제조된 얼음이 아이스뱅크(5)로 미끄러져 떨어질 수 있도록 슬라이드바아(17)가 구성되어 있다. 이젝터 핀(14a)에 의해 이동된 얼음은 슬라이드바아(17)에 얹혀진 후 슬라이드 바아(17)면을 따라 미끄러져 자동제빙기의 하부에 형성된 아이스뱅크(5)로 떨어진다.
상기 제빙실(11) 저면에는 히터(18)가 부착되어 있다. 제조된 얼음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빙실면과 얼음이 분리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때 상기 히터(18)가 작동하여 제빙실(11) 저면의 온도를 높이게 되면 제빙실면에 접촉된 얼음이 녹으면서 얼음을 이젝터(14)를 사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냉장고의 냉동실 도어(2)에는 자동제빙기(1) 이외에 아이스뱅크(5)와 디스펜서(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아이스뱅크(5)는 자동제빙기(1)에서 제빙이 완료된 얼음이 취출되어 보관되는 저장공간이고, 상기 디스펜서(21)는 저장된 얼음을 사용자가 원할 때 취음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아이스뱅크(5)는 종장형의 통형 구조체로서, 얼음이 저장되는 소정의 공간이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얼음이송기(3)와 얼음분쇄기(4)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얼음이송기(3)는 저장된 얼음을 디스펜서(21)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대략 모터(31)와 오거(33:Auger)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거(33)는 모터(31)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측에 저장된 얼음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오거(33)의 일단에는 얼음을 분쇄시키는 얼음분쇄기(4)가 설치된다. 상기 얼음분쇄기(4)가 설치된 목적은 자동제빙기에서 제조되는 얼음의 부피가 커 직접 취음하기에 어려울경우 이를 잘게 부수어 음료수에 타서 먹거나 음식물 조리에 사용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된 얼음이송기와 얼음분쇄기를 포함한 아이스뱅크(5)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오거(33)는 모터(31)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여 얼음을 섞어주게 되는데, 장시간 디스펜서(21)를 사용하지 않아 얼음이 오거(33)사이에서 단단하게 고착된 경우 얼음이 제대로 취출되지 않고, 오거가 뒤틀리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써, 얼음이 오거사이에서 고착되어 얼음이 취출되지 않는 문제를 개선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얼음을 선택적으로 취음할 수 있는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냉장고의 얼음 취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자동제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아이스뱅크 51: 회동부
53: 고정부 55: 작동부
511: 하우징 513: 회동아암
515: 회동커터 531: 배출플레이트
533: 고정축 535: 고정커터
537: 얼음낙하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빙된 얼음이 보관되고, 디스펜서로 취출되는 냉장고의 아이스뱅크에 있어서, 얼음이 보관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주위를 회전하면서 얼음을 이동시키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가 회전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종래 도면과 일치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 도면부호를 그대로 인용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50)는 크게 회동부(51)와 고정부(53) 및 상기 회동부(51)를 회동시키는 작동부(55)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55)는 모터(551)와 상기 모터(551)의 축에 연결된 벨트(553)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부(51)는 상기 모터(551)와 벨트(553)에 의해 연결되어 회동하는 하우징(511)과, 상기 하우징(511)의 내측면에 결합된 회동아암(513)과, 역시 상기 하우징(511)의 내측면에 결합된 회동커터(515)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53)는 원통형 하우징(511)의 바닥을 형성하는배출플레이트(531)와, 상기 배출플레이트(531)의 중앙부에서 돌출된 고정축(533)과, 상기 고정축(533)에 결합된 고정커터(535)와, 상기 고정축에 결합된 얼음낙하판(537)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11)에는 하우징(511)이 회전시 연동회전하도록 회동아암(513)이 결합되고, 상기 회동아암(513)의 아래쪽에는 회동커터(515)가 다수개 결합, 형성된다. 상기 회동커터(515)는 서로 동시에 같은면을 커팅하지 않도록 서로 비스듬하게 간격을 두어 커팅시 시간차를 두고 커팅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5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아이스뱅크(50)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511)은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상측 개방부로는 자동제빙기(10)에서 제빙된 통얼음이 취출되어 저장된다. 자동제빙기의 구조에 관해서는 종래 기술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511)의 내측면에는 돌출된 리브(511a)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511a)는 하우징(511)내에 저장된 얼음이 서로 고착되었을 경우 얼음에 충격을 가하여 보다 잘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511)은 일측에 구성된 모터(551)의 회동축과 벨트(553)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511)이 회동함에 따라 같이 연동하여 회동하는 부재들이 있는바, 회동아암(513)과 회동커터(515)가 있다. 상기 회동아암(513)과 회동커터(515)는 하우징(511)과 결합되어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회동아암(513)은 회동축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구성된 아암으로써 얼음낙하판(537) 위에 응집된 얼음들을 얼음낙하판(537)위로 움직이도록 하여 얼음낙하판(537)의 얼음하강홀(537a)로 얼음들이 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동커터(515)는 얼음낙하판(537) 아래에 설치되어, 얼음을 이송하는 역할과 함께 통얼음을 분쇄시켜야 할 경우 후술하는 고정커터(535)와 교차하면서 고정커터(535)와 회동커터(515) 사이의 얼음을 분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회동커터(515), 회동아암(513)은 하우징(511)이 회전할 때 동시에 회전하는 부재이고, 이하는 하우징(511)의 회전과 관계없이 고정된 부재이다.
상술한 회동아암(513)의 밑에는 얼음낙하판(537)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얼음낙하판(537)은 원형의 패널 일부에 대략 내각이 90도를 갖는 원호가 개방되어 형성된 것으로써, 상기 원호의 형태나 크기는 얼음의 크기 등에 맞추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얼음낙하판(537)의 아래에는 전술한 회동커터(515)와 서로 교차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고정커터(535)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커터(535)는 하우징(511)의 회동에 관계없이 고정된 커터로써, 회동커터(515)가 진행하면서 고정커터(535)의 사이로 이동하고, 얼음을 분쇄할 경우 회동커터(515)와 고정커터(535) 사이에서 얼음이 분쇄된다.
상기 하우징 고정축이 지지되는 배출플레이트(531)는 원형의 패널에 2개의 배출홀(531a)(531b)이 구성된다. 상기 2개의 배출홀(531a)(531b)은 얼음낙하판(537)의 하강홀(537a)과 같이 대략 1/4원호형상의 개방홀이고,하우징(511)의 회동방향을 기준으로 앞쪽에 있는 배출홀이 통얼음을 배출하는 홀(531a)이며, 그 다음에 형성된 배출홀이 분쇄된 조각얼음을 배출하는 홀(531b)이다.
상기 통얼음 배출홀(531a)의 저면에는 상기 통얼음 배출홀(531a)을 개방, 폐쇄하는 댐퍼(591)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플레이트(531)는 냉장고 도어(2)에 형성된 디스펜서(21)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플레이트(531)의 배출홀(531a)(531b)에서 배출된 얼음을 취음할 수 있다.
이하는 상술한 형태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자동제빙기(10)에서 제빙된 얼음은 하우징(511)의 상측 개방부로 유입되어 얼음낙하판(537) 상측에 쌓인다. 사용자는 부피가 큰 통얼음을 원하는 경우가 있고, 때로는 조각조각 분쇄된 얼음을 원하는 경우가 있는데, 먼저 통얼음을 취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디스펜서에서 통얼음을 선택하게 되면, 하우징(511)의 하부에 구비된 통얼음 배출홀(531a) 저면의 댐퍼(591)가 통얼음 배출홀(531a)을 개방시킨다. 얼음낙하판(537) 위에 저장된 얼음은 하우징(511)이 회전함과 동시에 회동아암(513)에 의해 밀리면서 얼음낙하판(537)에 형성된 얼음하강홀(537a)로 떨어진다.
떨어진 얼음은 배출플레이트(531) 면에 안착된다. 안착된 얼음은 다시 회동하는 회동커터(515)에 의해 통얼음 배출홀(531a)까지 밀리게 된다. 초기에 상기 통얼음 배출홀(531a)을 폐쇄하고 있던 댐퍼(591)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통얼음들은 바로 통얼음 배출홀(531a) 아래로 떨어져 디스펜서(21)로 배출된다. 상기 회동커터(515)들은 고정커터(535)사이로 계속 회동하게 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얼음량이 배출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작동을 해제하여 하우징(511)의 회동을 멈추도록 한다.
다음은 분쇄된 조각얼음을 취득하는 경우이다.
사용자가 디스펜서(21)에서 조각얼음을 선택하게 되면, 배출플레이트(531)의 통얼음 배출홀(531a) 저면에 형성된 댐퍼(591)가 통얼음 배출홀(531a)을 폐쇄하게 된다. 이후 하우징(511)이 회전하면서 역시 얼음낙하판(537)에 보관된 얼음이 회동아암(513)에 의해 밀려 얼음낙하판(537)의 하강홀(537a)로 떨어지게 된다.
떨어져 배출플레이트(531)에 안착된 통얼음들은 회동하는 회동커터(515)에 의해 밀려가게 된다. 밀려가는 얼음들은 통얼음 배출홀(531a)을 폐쇄한 댐퍼(591)에 의해 통얼음 배출홀(531a)로 배출되지 않고 댐퍼(591)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통얼음들을 이동시키는 회동커터(515)는 얼음을 사이에 두고 고정커터(535)와 마주치게 된다. 일정하게 강한 힘으로 얼음을 이송하는 회동커터(515)에 의해 통얼음들은 회동커터(515)와 고정커터(535) 사이에서 분쇄된다.
분쇄된 얼음은 조각얼음 배출홀(531b) 하부로 떨어져 디스펜서(21)로 배출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양의 조각얼음을 취득한 후 작동을 해제시키고, 하우징(511) 및 회동커터(515)의 회전은 멈추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511)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써, 모터(551)와 벨트(553)를 이용하였으나, 다른 예로서 모터의 축에 구동기어를 결합시키고 하우진의 외측면에 종동기어를 형성하여 구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맞물린 종동기어가 회전하면서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는 통얼음과 조각얼음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는 얼음이 이송수단의 사이에 고착되어 이송되지 않거나 이로 인해 고착된 얼음을 이동시키는 와중에 과부하로 인한 작동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다량의 얼음을 보관할 수 있고, 부피가 큰 통얼음과 분쇄된 조각얼음을 선택적으로 취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제빙된 얼음이 보관되고, 디스펜서로 취출되는 냉장고의 아이스뱅크에 있어서,
    얼음이 보관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주위를 회전하면서 얼음을 이동시키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가 회전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뱅크는 냉동실 도어에 위치하고, 제빙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아이스뱅크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회동아암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회동커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아암과 회동커터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내부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얼음배출홀이 형성된 배출플레이트와, 상기 배출플레이트의 중앙에 돌출형성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결합된 고정커터와, 상기 고정축에 결합된 얼음낙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플레이트에는 2개의 얼음배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낙하판에는 얼음하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배출홀의 저면에는 얼음배출홀을 개폐하도록 댐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돌출된 리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모터와, 모터축에 연결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형성된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KR20030041562A 2003-06-25 2003-06-25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KR100525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1562A KR100525416B1 (ko) 2003-06-25 2003-06-25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EP20040009462 EP1491833A1 (en) 2003-06-25 2004-04-22 Ice bank of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US10/834,178 US7111473B2 (en) 2003-06-25 2004-04-29 Ice bank of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CNB2004100458887A CN1311213C (zh) 2003-06-25 2004-05-25 用于冰箱的制冰装置的储冰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1562A KR100525416B1 (ko) 2003-06-25 2003-06-25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955A true KR20050000955A (ko) 2005-01-06
KR100525416B1 KR100525416B1 (ko) 2005-11-02

Family

ID=3721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41562A KR100525416B1 (ko) 2003-06-25 2003-06-25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6061A1 (en) * 2022-03-16 2023-09-20 Yunda H&H Tech (Tianjin) Co., Ltd. Ice crush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396A (ko) * 2005-09-24 200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5095507B2 (ja) 2008-05-30 2012-12-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アイスクラッシャーを備えた装置及び冷蔵庫
CN105509391B (zh) * 2016-01-28 2018-09-25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用冰输送系统
CN107014127A (zh) * 2017-05-05 2017-08-0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碎冰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6061A1 (en) * 2022-03-16 2023-09-20 Yunda H&H Tech (Tianjin) Co., Ltd. Ice crush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5416B1 (ko)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7184B1 (ko) 냉장고
KR100565606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EP2292991B1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and ice-dispenser
KR100565617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0239520B1 (ko) 냉장고용 얼음 공급 장치
JP4593934B2 (ja) アイスメーカーを備えた冷蔵庫
KR100845859B1 (ko) 얼음배출장치
KR101555755B1 (ko) 아이스 빈 및 이를 이용한 얼음 분쇄 방법
US20060065008A1 (en) Refrigerator
KR100934185B1 (ko) 아이스 메이킹 장치
KR20070076751A (ko) 냉장고
KR101555756B1 (ko) 아이스 빈 및 이를 이용한 얼음 이송 방법
KR20080020126A (ko) 냉장고
KR20190038066A (ko) 냉장고
KR100525416B1 (ko)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KR20070034714A (ko) 냉장고
KR100546671B1 (ko) 상향식 얼음 취출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565604B1 (ko) 냉장고의 제빙기
KR100587326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1200418B1 (ko) 냉장고
KR20050022066A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JP2002310549A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KR20060128071A (ko) 냉장고
KR100565643B1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
KR2008002090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