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090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0900A
KR20080020900A KR1020060084408A KR20060084408A KR20080020900A KR 20080020900 A KR20080020900 A KR 20080020900A KR 1020060084408 A KR1020060084408 A KR 1020060084408A KR 20060084408 A KR20060084408 A KR 20060084408A KR 20080020900 A KR20080020900 A KR 20080020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ontainer
contact
guid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르슈노프 안드레이
알렉세이 티호노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4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0900A/ko
Publication of KR20080020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8Sticking or clogging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얼음보관함에 얼음이 일정기간동안 수용되는 경우 서로 엉겨붙어서 큰 덩어리를 만드는 빙착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얼음이 외부로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도록 설치되고 보관된 얼음들과 접촉하면서 얼음들끼리 엉겨서 빙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빙착방지부와; 상기 빙착방지부와 연결되어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 있다.

Description

냉장고{A refrigerator}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얼음보관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측면도이다.
도4내지 6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작동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이 제3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6: 얼음보관함 20: 안착부
22: 연통부 26: 회전판
28: 접촉로드 30: 가이드슬릿
32: 홀더 36: 쇄빙기
40: 구동모터 46,48,50 : 제1,2,3기어
52: 체인 80: 크랭크 축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얼음보관함에 수용된 얼음이 장기간 보관되는 경우 서로 달라붙어서 큰 덩어리를 형성함으로써 얼음 토출시 장애가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미국특허 US 6,442,954에 개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 상측에 마련된 제빙기와, 제빙기 앞에 마련되어 제빙기로부터 낙하하는 얼음을 수용하여 보관하는 얼음보관함과, 얼음보관함 하부에 마련되는 디스펜서 및 얼음보관함 내부에 마련되어 얼음을 디스펜서로 이송시키는 나선형의 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얼음보관함 하부에는 디스펜서와 연결되는 얼음토출공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작동시키면 얼음보관함의 이송부재가 제자리에서 회전을 하면서 얼음을 적정량 만큼 얼음토출공으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냉장고에서 얼음이송부재는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작동시킬 때만 구동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정지해 있는데,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작동시키는 빈도가 작게 될 경우 얼음보관함에 보관된 얼음 또한 현재 위치에 계속 고정되어, 시간이 일정기간 경과하면, 냉기에 의하여 주위의 얼음들과 뭉쳐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그러한 얼음덩어리가 발생하는 경우 이송부재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이송이 원활하지 않게 되며, 또한 얼음덩어리의 크기가 얼음토출공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얼음의 토출이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얼음보관함 내부에 스크류가 장착되면, 얼음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스크류가 일정한 지름을 가져야 하고, 그 지름크기 이상으로 얼음보관함 내부 의 전후폭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그 만큼 냉동실의 공간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얼음보관함 내부에서 얼음들이 서로 달라붙어서 덩어리가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얼음의 토출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얼음보관함의 전후폭을 줄임으로써 냉동실의 가용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도록 설치되고 보관된 얼음들과 접촉하면서 얼음들끼리 엉겨서 빙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빙착방지부와; 상기 빙착방지부와 연결되어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상기 빙착방지부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서 왕복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빙착방지부는 상기 얼음보관함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회전판과, 그 일단부는 상기 회전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타단부는 얼음들과 접촉하는 접촉로드와, 상기 접촉로드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 슬릿과, 상기 가이드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얼음보관함 내측벽에 고정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 는 경우, 상기 홀더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슬롯이 이동함에 따라 접촉로드는 회전 및 왕복운동을 하면서 얼음들과 접촉하며 얼음사이를 이동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로드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접촉로드의 타단부에는 얼음들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접촉로드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걸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판은 상기 얼음보관함의 내벽에 복수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빙착방지부는 상기 얼음보관함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크랭크 축과, 그 일단부는 상기 크랭크 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타단부는 얼음들과 접촉하는 접촉로드와, 상기 접촉로드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 슬릿과, 상기 가이드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얼음보관함 내측벽에 고정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홀더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슬롯이 이동함에 따라 접촉로드는 회전 및 왕복운동을 하면서 얼음들과 접촉하며 얼음사이를 이동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얼음보관함의 바닥면에 마련되며 얼음이 토출되는 얼음토출부와, 상기 얼음토출부와 연통되어 얼음을 쇄빙하는 쇄빙기와, 상기 얼음토출부와 연결되어 얼음이 통얼음상태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통로와, 상기 얼음토출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그 회동된 위치에 따라서 얼음토출을 방지하거나 얼음을 상기 쇄빙기 혹은 상기 안내통로로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얼음보관 함의 바닥면은 상기 얼음토출부를 향하는 하향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얼음보관함은 상기 도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얼음보관함을 착탈가능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와, 얼음을 토출하는 디스펜서부와, 상기 쇄빙기 또는 상기 안내통로를 통과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안착부에 마련된 연통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얼음보관함에 마련된 구동모터와, 상기 얼음보관함이 상기 냉동실도어에 착탈됨에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가능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제1기어와, 상기 빙착방지부와 연결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제2기어와, 상기 쇄빙기와 연결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제3기어와, 상기 제1,2,3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실(4)과 냉장실(미도시)이 마련된 본체(1)와,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냉동실(4)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8) 및 냉장실도어(미도시)가 그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3) 상부에는 얼음을 제빙하는 제빙기(12)가 마련되며, 상기 제빙기(12)가 작동하여 제빙된 얼음이 낙하하여 보관되는 얼음보관함(16)이 상기 냉동실도어(8)에 마련되는데, 상기 얼음보관함(16)은 상기 냉동실도어(8)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도어(8)의 후면에는 상기 얼음보관함(16)이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는 선반형태의 안착부(20)가 마련되어, 그 곳에 상기 얼음보관함(16)이 놓이게 되는 한편, 상기 안착부(20)에는 상기 얼음보관함(16)과 연통되어 상기 얼음보관함 (16)으로부터 토출되는 얼음을 디스펜서(미도시)로 안내하는 연통부(22)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얼음보관함(16)에는 수용된 여러개의 얼음이 서로 엉겨서 빙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빙착방지부(24)가 마련되는데, 상기 빙착방지부(24)는 상기 얼음보관함(16)의 내측벽에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전판(26)과, 상기 회전판(2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얼음들 사이를 이동하는 접촉로드(28)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얼음보관함(16)의 바닥면에는 얼음이 토출되는 얼음토출부(56)와, 상기 얼음토출부(56)와 연통되어 얼음을 쇄빙하는 쇄빙기(36)와, 상기 쇄빙기(36) 및 상기 빙착방지부(24)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0)가 마련된다.
상기 구동모터(40)는 상기 빙착방지부(24)와 상기 쇄빙기(36)를 구동하는 구동장치(44)의 일부인데, 상기 구동장치(44)는 상기 구동모터(40) 이외에도 상기 구동모터(40)와 연결가능하게 마련된 제1기어(46)와, 상기 회전판(26)과 연결가능하게 마련된 제2기어(48)와, 상기 쇄빙기(36)와 연결가능하게 마련된 제3기어(50)와, 상기 제1,2,3기어(46,48,50)를 한꺼번에 연결하는 체인(52)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3 기어(46,48,50) 및 상기 체인(52)은 상기 냉동실도 어(8)의 후면에서 내부로 움푹들어가 있는 구동장치 설치부(54)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냉동실도어(8)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는 상기 제1,2,3 기어(46,48,50) 및 상기 체인(52)이 상기 냉동실도어(8)의 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이 상기 기어들과 체인(52)이 상기 구동장치 설치부(54)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얼음보관함(16)을 상기 안착부(20)에 안착시킨후 상기 구동장치 설치부(54) 쪽으로 밀면 상기 기어(46,48,50)들과 상기 구동모터(40), 상기 회전판(26), 상기 쇄빙기(36)들이 결합되어 구동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26)은 상기 얼음보관함(16)의 내측벽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접촉로드(28)는 그 일단부가 상기 회전판(26)에 마련된 결합핀(27)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접촉로드(28)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판(2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접촉로드(28)의 움직임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가이드 슬릿(30)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슬릿(30)에는 이를 관통하여 상기 얼음보관함(16)의 측벽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핀 형상의 홀더(32)가 마련되며, 상기 홀더(32)는 상기 얼음보관함(16) 내측벽에 마련된 홀 형태의 홀더고정부(33)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26)이 회전을 하면 상기 접촉로드(28)의 일단부가 회전을 하되, 그 일단부가 상기 결합핀(2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접촉로드(28)는 그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동시에 상기 접촉로드(28)의 타단부는 일단부의 위치와 정반대로 위치하면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접촉로드(28)가 그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 즉 크랭크 운동 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접촉로드(28)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대칭되게 움직이는 이유는 상기 가이드 슬릿(30)이 상기 홀더(32)를 기준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며, 상기 접촉로드(28)로 인한 얼음들 끼리의 빙착현상을 보다 수월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접촉로드(28)가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얼음보관함(16)의 여러부분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얼음보관함(16)의 바닥면에는 보관된 얼음이 하부로 토출되는 얼음토출부(56)가 마련되며, 상기 얼음토출부(56)의 주변의 바닥면은 얼음이 상기 얼음토출부(56)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얼음토출부(56)를 향하는 하향경사면(6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얼음토출부(56)는 상기 쇄빙기(36) 및 얼음이 분쇄되지 않고 통얼음상태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통로(64)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얼음토출부(56)에는 얼음을 상기 쇄빙기(36)나 상기 안내통로(64)로 안내하는 역할도 하고 얼음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부재(68)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안내부재(68)에는 소정의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하향경사면(60)에는 상기 구동모터(40)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얼음보관함(16)의 탈부착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40)도 상기 제1기어(도1참고, 46)와 탈부착되는 것이다.
도3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빙기(12)의 전방 하부에는 상기 얼음보관함(16)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얼음보관함(16) 내부에 마련된 상기 빙착방지 부(24)의 회전판(26)과 상기 쇄빙기(36)와 상기 구동모터(도2참고, 40)는 상기 제1,2,3기어(도1참고, 46,48,50)들과 결합된다.
한편, 상기 쇄빙기(36)에서 얼음이 나오는 출구부(미도시)와 상기 안내통로(도2참고, 64)는 상기 안착부(20)에 마련된 연통부(22)와 연통되고, 상기 연통부(22)의 아래쪽에는 얼음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작용을 하는 디스펜서부(74)가 마련되어져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얼음이 토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안내부재(68)가 상기 얼음토출부(56) 상에서 직립(直立)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안내부재(68)와 상기 얼음토출부(56)의 일측과의 간격이 얼음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얼음이 그 사이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안내부재(68)가 얼음의 토출을 방지하는 상태에서 얼음의 보관시간이 일정시간 경과하게 되면 얼음끼리 엉겨서 빙착하여 큰 덩어리가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나중에 그 덩어리가 얼음토출부(56)의 단면적보다 크게 되면 토출이 불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빙착방지부(26)가 작동함으로써, 얼음들끼리 엉기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구체적인 작동을 보면, 상기 구동모터(40)가 일정한 주기를 두고 작동을 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40)에 연결된 상기 제1기어(46)가 회전을 하고, 그 회전동력은 상기 체인(52)을 통하여 상기 제2,3기어(48,50)로 전달되어 이들도 회 전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48)에 연결된 상기 회전판(26)이 회전을 하면 상기 회전판(26)의 결합핀(2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접촉로드(28)의 일단부가 상기 회전판(26)과 같이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기 접촉로드(28)의 일단부와 상기 홀더(32)와의 거리가 변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슬롯(30)은 상기 홀더(32)를 중심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접촉로드(28)의 타단부는 일단부의 회전운동과 대응되는 궤적을 그리면서 상기 얼음보관함에 수용된 얼음들과 접촉한다.
따라서, 이러한 작동이 일정주기를 두고 일어나면 얼음의 위치변화가 주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그에 따라서 얼음들끼리 엉겨서 덩어리를 형성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분쇄되지 않은 통얼음을 원하는 경우에 그에 따른 조작을 하면, 상기 안내부재(68)는 직립상태에서 그 상단부가 상기 얼음토출부(56)의 좌측벽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얼음은 상기 하향경사면(60)을 타고 상기 얼음토출부(56)로 이동하며, 또한, 그와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40)가 작동하여 상기 빙착방지부(24)가 작동하여 얼음의 이동을 보조한다.
그러한 방식으로 상기 얼음토출부(56)로 이동한 얼음은 상기 안내부재(68)의 안내를 받아서 상기 안내통로(64)로 이동한 후, 상기 연통부(22)로 낙하한 뒤 상기 디스펜서부(74)를 지나서 상기 디스펜서부(74)를 누르고 있는 컵(C)으로 낙하한다.
이후, 사용자가 디스펜서부(74)로부터 컵(C)을 떼면 상기 안내부재(68)가 다시 직립상태로 원상복귀하여 얼음의 토출을 막고,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40)도 정지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분쇄된 조각얼음을 원하는 경우 소정의 선택을 하고 상기 디스펜서부(74)를 컵으로 누르면 상기 안내부재(68)가 상기 얼음토출부(56)의 우측으로 기울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40)가 구동을 하고 빙착방지부(24)가 움직여서 얼음의 이동을 보조하면 상기 얼음은 상기 얼음토출부(56)로 이동하고, 상기 안내부재(68)의 안내를 받아서 상기 쇄빙기(36)의 입구부(39)를 통과하고, 상기 고정커터(38) 위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5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제3기어(5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3기어(50)와 연결된 회전칼날(37)이 회전을 하여 상기 얼음을 가압하여 얼음을 분쇄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쇄된 얼음은 상기 쇄빙기(36)의 출구부(41)를 통과한 뒤 상기 연통부(22)를 통과한 뒤에 상기 디스펜서부(74)를 지나 컵(C)으로 낙하한다.
이후 적정량의 얼음이 취출되면 사용자는 컵(C)을 상기 디스펜서부(74)와 이격시키게 되는데, 디스펜서부(74)가 원상태로 복귀함에 따라서 상기 안내부재(68)는 다시 직립하고, 상기 구동모터(40)는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빙착방지부(24)에 상기 회전판(도2참조, 26) 대신에 크랭크축(80)을 사용하고, 상기 크랭크축(80)에 상기 접촉로드(28)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크랭크축(8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접촉로드(28)의 왕복운동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접촉로드(28)운동에 의한 얼음의 빙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판(26)이 복수개가 마련되는데, 상기 회전판(26)은 상기 얼음보관함(16)의 내측벽의 양측에 마련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회전판(26)에 각각 접촉로드(28)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회전판(26)에는 상기 제2기어(48)가 각각 연결되어서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 및 상기 체인(52)의 동력전달에 의하여 상기 제2기어(48)가 회전을 하면 상기 회전판(26)이 회전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접촉로드(28)가 왕복운동을 하게되어 얼음과 접촉하여 얼음의 빙착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얼음이 얼음보관함에 장기간 보관하여도 접촉로드가 얼음사이를 주기적으로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얼음들끼리 엉겨붙어서 큰 얼음덩어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얼음토출이 좀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크류 대신에 왕복운동하는 빙착방지부를 마련함으로서 얼음보관함의 전후폭을 슬림화 할 수 있는 장점도 있어서, 그 줄어든 폭만큼 냉동실의 가용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9)

  1.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도록 설치되고 보관된 얼음들과 접촉하면서 얼음들끼리 엉겨서 빙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빙착방지부와;
    상기 빙착방지부와 연결되어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빙착방지부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서 왕복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빙착방지부는 상기 얼음보관함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회전판과, 그 일단부는 상기 회전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타단부는 얼음들과 접촉하는 접촉로드와, 상기 접촉로드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 슬릿과, 상기 가이드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얼음보관함 내측벽에 고정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홀더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슬롯이 이동함에 따라 접촉로드는 회전 및 왕복운동을 하면서 얼음들과 접촉하며 얼음사이를 이동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로드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접촉로드의 타단부에는 얼음들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접촉로드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걸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얼음보관함의 내벽에 복수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빙착방지부는 상기 얼음보관함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크랭크 축과, 그 일단부는 상기 크랭크 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타단부는 얼음들과 접촉하는 접촉로드와, 상기 접촉로드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 슬릿과, 상기 가이드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얼음보관함 내측벽에 고정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홀더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슬롯이 이동함에 따라 접촉로드는 회전 및 왕복운동을 하면서 얼음들과 접촉하며 얼음사이를 이동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보관함의 바닥면에 마련되며 얼음이 토출되는 얼음토출부와, 상기 얼음토출부와 연통되어 얼음을 쇄빙하는 쇄빙기와, 상기 얼음토출부와 연결되어 얼음이 통얼음상태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통로와, 상기 얼음토출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그 회동된 위치에 따라서 얼음토출을 방지하거나 얼음을 상기 쇄빙기 혹은 상기 안내통로로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얼음보관함의 바닥면은 상기 얼음토출부를 향하는 하향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보관함은 상기 도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얼음보관함을 착탈가능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와, 얼음을 토출하는 디스펜서부와, 상기 쇄빙기 또는 상기 안내통로를 통과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안착부에 마련된 연통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얼음보관함에 마련된 구동모터와,
    상기 얼음보관함이 상기 냉동실도어에 착탈됨에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가능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제1기어와, 상기 빙착방지부와 연결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제2기어와, 상기 쇄빙기와 연결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제3기어와, 상기 제1,2,3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60084408A 2006-09-01 2006-09-01 냉장고 KR20080020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408A KR20080020900A (ko) 2006-09-01 2006-09-0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408A KR20080020900A (ko) 2006-09-01 2006-09-01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900A true KR20080020900A (ko) 2008-03-06

Family

ID=3939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408A KR20080020900A (ko) 2006-09-01 2006-09-0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09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0378B2 (en) 2020-02-04 2022-10-2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ice storage bin with a kick pl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0378B2 (en) 2020-02-04 2022-10-2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ice storage bin with a kick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2991B1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and ice-dispenser
US8955350B2 (en) Ice dispenser with crusher and shav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KR101639405B1 (ko) 냉장고 및 얼음보관함
CA2793581C (en) Ice dispenser with crush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US20060059939A1 (en) Refrigerator having a shaved ice supplying device
KR100934185B1 (ko) 아이스 메이킹 장치
KR101555755B1 (ko) 아이스 빈 및 이를 이용한 얼음 분쇄 방법
KR20080062986A (ko) 얼음배출장치
KR20050021066A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20080052503A (ko) 냉장고
KR20110072367A (ko) 냉장고
KR20070076751A (ko) 냉장고
KR101776297B1 (ko) 냉장고
KR101798550B1 (ko) 얼음 분리 성능이 개선된 아이스 빈 및 그 아이스 빈이 구비된 냉장고
KR101555756B1 (ko) 아이스 빈 및 이를 이용한 얼음 이송 방법
KR100776444B1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의 얼음 엉김 방지 구조
KR20080016370A (ko) 냉장고
KR20080020900A (ko) 냉장고
KR100525416B1 (ko)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KR200191367Y1 (ko) 냉장고용 얼음 이송장치
KR20050022066A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20050028227A (ko) 상향식 얼음 취출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37351B1 (ko) 얼음보관함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80000128A (ko) 냉장고
KR20080000127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