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37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370A
KR20080016370A KR1020060078424A KR20060078424A KR20080016370A KR 20080016370 A KR20080016370 A KR 20080016370A KR 1020060078424 A KR1020060078424 A KR 1020060078424A KR 20060078424 A KR20060078424 A KR 20060078424A KR 20080016370 A KR20080016370 A KR 20080016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ontact
container
contact memb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르슈노프 안드레이
알렉세이 티호노프
유동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8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6370A/ko
Publication of KR20080016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8Sticking or clogging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얼음보관함에 얼음이 일정기간동안 수용되는 경우 서로 엉겨붙어서 큰 덩어리를 만드는 밀집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얼음이 외부로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얼음보관함과;상기 얼음보관함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며 얼음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얼음보관함에 설치되는 얼음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 있다.

Description

냉장고{A refrigerator}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얼음보관함과 얼음이동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의한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얼음이동부의 동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얼음이동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얼음이동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얼음이동부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얼음이동부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얼음보관함 25: 얼음이동부
27: 회전부재 31: 얼음접촉부재
33: 걸림부 57: 안내판
58: 안내판구동부 126: 크랭크부재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얼음보관함에 수용된 얼음이 장기간 보관되는 경우 서로 달라붙어서 큰 덩어리를 형성함으로써 얼음 토출시 장애가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미국특허 US 6,442,954에 개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 상측에 마련된 제빙기와, 제빙기 앞에 마련되어 제빙기로부터 낙하하는 얼음을 수용하여 보관하는 얼음보관함과, 얼음보관함 하부에 마련되는 디스펜서 및 얼음보관함 내부에 마련되어 얼음을 디스펜서로 이송시키는 나선형의 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얼음보관함 하부에는 디스펜서와 연결되는 얼음토출공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작동시키면 얼음보관함의 이송부재가 제자리에서 회전을 하면서 얼음을 적정량 만큼 얼음토출공으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냉장고에서 얼음이송부재는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작동시킬 때만 구동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정지해 있는데,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작동시키는 빈도가 작게 될 경우 얼음보관함에 보관된 얼음 또한 현재 위치에 계속 고정되어, 시간이 일정기간 경과하면, 냉기에 의하여 주위의 얼음들과 뭉쳐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그러한 얼음덩어리가 발생하는 경우 이송부재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이송이 원활하지 않게 되며, 또한 얼음덩어리의 크기가 얼음토출공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얼음의 토출이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얼음보관함 내부에 스크류가 장착되면, 얼음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스크류가 일정한 지름을 가져야 하고, 그 지름크기 이상으로 얼음보관함 내부 의 전후폭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그 만큼 냉동실의 공간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얼음보관함 내부에서 얼음들이 서로 달라붙어서 덩어리가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얼음의 토출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얼음보관함의 전후폭을 줄임으로써 냉동실의 가용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며 얼음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얼음보관함에 설치되는 얼음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얼음이동부는 상기 얼음보관함 내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와, 상기 얼음보관함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된 구동부와,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얼음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얼음접촉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얼음접촉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얼음접촉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얼음보관함의 바닥면 위를 이동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상기 얼음보관함의 내측벽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회전부재에는 상기 얼음접촉부재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얼음접촉부재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상기 복수개의 얼음접촉부재는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상기 얼음접촉부재의 타단부는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얼음보관함 내부 일측에 치우쳐져 설치되고, 상기 얼음접촉부재의 일부는 다른 얼음접촉부재보다 길게 마련되어 상기 얼음보관함 내부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얼음접촉부재의 표면에는 얼음과의 접촉을 증대시키기 위한 걸림부가 돌출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얼음보관함 내에 보관된 다수의 얼음이 엉겨서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얼음접촉부재가 상기 얼음보관함 내부를 일정한 주기를 두고 왕복운동하면서 얼음들과 접촉하며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부재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서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얼음이동부는 상기 얼음보관함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크랭크부재와, 상기 크랭크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크랭크부재와 연결되어 얼음과 접촉하는 얼음접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크랭크 부재는 상기 얼음보관함 내측벽의 후방과 전방에 마련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며,
상기 얼음접촉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축과 연결되고, 상기 얼음접촉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크랭크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얼음보관함의 바닥면 위를 이동 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얼음보관함의 바닥면의 중앙부에는 얼음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토출구의 양측의 바닥면은 상기 토출구를 향하는 하향경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에 마련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 하부에 마련되어 얼음을 분쇄하는 쇄빙기와; 상기 쇄빙기 측면에 마련되어 얼음이 통얼음상태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통로와;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안내통로 사이에 그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얼음이 선택적으로 상기 쇄빙기 또는 상기 안내통로 방향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냉동실(3)과 냉장실(4)를 구비하는 본체(1)와, 상기 냉동실(3) 및 냉장실(4)를 개폐하는 도어(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3)의 상부에는 제빙실(10)이 마련되고, 상기 제빙실(10)에는 제빙기(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5)의 내측에는 상기 제빙기(15)로부터 만들어진 얼음이 낙하하여 보관되는 얼음보관함(20)이 마련되고, 상기 얼음보관함(20) 내측면에는 보관된 얼음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얼음이 토출되는 경우 토출안내를 하는 얼음이동부(25)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얼음보관함(20)의 하부에는 얼음이 상기 본체(1)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디스펜서부(5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얼음이동부(25)는 상기 얼음보관함(20)의 후벽에 마련되는데, 그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얼음보관함(20)의 내벽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원판형의 회전부재(27)와, 상기 회전부재(27)를 구동시키는 구동부(29)와, 상기 회전부재(27)에 고정결합되 상기 얼음보관함(20)에 보관된 얼음과 접촉하는 막대형상의 얼음접촉부재(31)가 마련되며, 상기 얼음접촉부재(31)에는 얼음과 접촉면적을 늘리며, 얼음이 잘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부(33)가 마련되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27)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얼음접촉부재(31) 또한 상기 얼음보관함(20) 내부에서 좌우로 회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얼음보관함(20)의 바닥면의 중앙에는 얼음이 토출되는 토출구(22)가 마련되며, 상기 토출구(22)의 양측에는 상기 토출구(22)를 향하여 하향경사형태로 마련된 경사안내부(24)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2)에는 상기 토출구(22)를 개폐하기 위한 댐퍼형태의 개폐부재(35)가 마련되는데, 상기 개폐부재(35)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50)를 작동시키는 경우 상기 토출구(22)를 개방하여 얼음이 토출구(22)를 통하여 배출되게 하며, 그 외의 경우에는 토출구(22)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22)가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경사안내부(24)에 얹혀 있는 얼음들이 상기 경사안내부(24)의 안내를 받아 상기 토출구(22)로 이동하여 토출되는 것이다.
상기 디스펜서(50)는 상기 토출구(22)의 하부에 마련되어 얼음이 통얼음상태로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통로(55)와, 상기 안내통로(55)의 측면에 마련되어 얼음을 분쇄하는 쇄빙기(60)와, 상기 안내통로(55) 또는 상기 쇄빙기(60)를 거친 얼음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배출구(80)와, 상기 배출구(80)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컵으로 밀어서 상기 디스펜서(50)를 작동시키는 컵레버(85)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통로(55)와 상기 쇄빙기(60) 사이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얼음을 상기 안내통로(55) 또는 상기 쇄빙기(60) 쪽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안내판(57)이 마련되는데, 상기 안내판(57)의 하단부는 상기 안내통로(55)와 상기 쇄빙기(60)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안내판(57)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판(57)을 구동시키는 안내판구동부(58)가 마련되어 상기 안내판(57)을 회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쇄빙기(60)는 얼음을 파쇄시키기 위한 회전커터(62)와 고정커터(64) 및 상기 회전커터(62)와 회전축에 의하여 연결된 제1기어(66)와, 상기 제1기어(66)와 맞물려 있는 제2기어(68)와, 상기 제2기어(68)와 연결된 쇄빙기구동부(70)를 포함하고 있다.
도3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접촉부재(31)의 하단부는 상기 얼음보관함(20)의 하면에 거의 근접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얼음접촉부재(31)에 마련된 걸림부(33)는 상기 얼음접촉부재(31)의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전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부(33)의 전단과 후단과 상기 얼음보관함(20)의 내벽사이에는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27)가 회전하여 상기 얼음접촉부 재(31)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얼음접촉부재(31)와 상기 걸림부(33)에 의하여 얼음들이 상기 얼음보관함(20)내부에서 이동을 하면서 서로 뒤섞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35)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얼음접촉부재(31)가 주기적으로 회동을 하면 얼음들이 뒤섞이기 때문에 서로 달라붙어서 결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재(35)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얼음접촉부재(31)가 회동을 하면 얼음들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4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35)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27)가 주기적으로 움직이면, 그에 따라서 상기 얼음접촉부재(31)가 상기 얼음보관함(20)의 내부에서 좌우로 회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상기 얼음접촉부재(31)와 걸림부(33)가 얼음들과 부딪히면서 얼음들 사이를 왕복으로 이동하여 얼음을 뒤섞는 작업을 하고, 이러한 작업에 의하여 얼음들끼리 달라붙어서 덩어리가 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인데, 다만, 상기 회전부재(27)의 회전주기는 냉동실의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컵레버(85)를 작동시키면 상기 개폐부재(35)가 상기 토출구(22)를 개방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27) 및 얼음접촉부재(31)가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얼음보관함(20) 내부의 얼음들은 상기 토출구(22) 측으로 이동하여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얼음이 통얼음 상태로 토출되도록 조작 하였다면, 상기 안내판구동부(58)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안내판(57)이 수직으로 서게되며, 이에 따라, 상기 토출구(22)를 통과한 얼음은 상기 안내통로(55)를 지나서 상기 컵레버(85) 위에 있는 배출구(80)를 통과하여, 상기 컵레버(85)를 누르고 있는 컵(미도시) 위로 떨어지게 된다( B 방향 ).
그러나, 사용자가 얼음이 분쇄된 상태로 토출되도록 조작하였다면, 상기 안내판(57)은 그 상단이 좌측으로 기울어서 상기 안내통로(55)의 좌측내벽에 닿게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토출구(22)를 통과한 얼음은 상기 안내판(57)의 안내를 받아서 상기 쇄빙기(60) 내부로 들어간다(A방향).
이때, 상기 쇄빙기구동부(70)가 작동하면, 상기 제2기어(68)와 상기 제1기어(66)이 회전을 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커터(62)가 회전을 한다.
그럼으로써, 상기 회전커터(62)와 상기 고정커터(64) 사이의 상대 운동 및 회전커터(62)의 회전력에 의하여 얼음이 분쇄된 후, 그 상태로 상기 제빙기(60) 하부로 낙하하고, 그 후 다시 상기 배출구(80)를 통과한 뒤, 상기 컵레버(85)를 누르고 있는 컵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33)는 상기 얼음접촉부재(31)의 하부에만 마련될 수 도 있고, 아니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촉부재(33)의 표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얼음접촉부재(31)가 한개만 마련되어져 있으나, 도5에서 개시된 얼음접촉부재(31)는 상기 회전부재(27)에 복수개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결합된 얼음접촉부재(31)들은 상기 회전부재(27)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 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얼음접촉부재(31)들의 하단부는 각각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져 있다.
이 경우는 상기 회전부재(27)의 회전운동범위가 좁아도 각각의 얼음접촉부재(27)가 상기 얼음보관함(20) 내부의 좌측, 중앙, 우측에 마련되어서 그 부근에서 좌우왕복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회전부재(27) 및 상기 얼음접촉부재(31)가 비교적 작은 범위 내에서 주기적으로 왕복운동을 하더라도 얼음끼리 달라붙어 결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얼음이 외부로 토출될 때 원활히 안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6에서는 상기 회전부재(27)가 상기 얼음보관함(20)의 일측에 치우쳐져 마련되고, 상기 얼음접촉부재(31)가 두 개가 마련되되, 제1얼음접촉부재(31a)는 제2 얼음접촉부재(31b)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부재(27)의 위치가 편향되어 있는 것을 보상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27)가 상기 얼음보관함(20)의 일측으로 치우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경우에도 제1얼음접촉부재(31a)가 상기 얼음보관함(20)의 타측에 누적된 얼음과 접촉하며 그 사이사이를 주기적으로 왕복이동함으로써 이 얼음들간에 접촉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얼음들의 토출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7) 및 구동부(29)가 상기 얼음보관함(20)내부의 후방뿐만 아니라 전방에도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방과 후방의 회전부재(27)가 동시 혹은 별도로 회전하여 그에 따라 상기 접촉부재(31)가 상기 얼음보관함(20)의 전방과 후방에 수용된 얼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뒤섞음으로써 얼음끼리 엉겨서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8에서는 얼음이동부를 크랭크 부재(126)로 구성한 것을 도시하였는바, 상기 얼음보관함(20) 내부에 마련된 크랭크 부재(126)는 상기 얼음보관함(20)의 내벽의 전방과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회전판(127)과, 상기 회전판(127)들을 연결하는 연결축(128)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에 마련된 회전판(127)의 후면에는 구동부(29)가 마련되어져 있어서, 상기 구동부(29)의 작동으로 인하여 후방의 회전판(127)이 회전을 하면 상기 후방의 회전판(127)과 연결된 전방의 회전판(127)도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축(128)에는 상기 얼음접촉부재(31)가 연결되어져 있으며, 상기 얼음접촉부재(31)에는 상기 걸림부(33)가 마련되어져 있어서, 상기 회전판(127)들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연결축(128)이 움직이면 상기 얼음접촉부재(31) 또한 움직임으로써 내부의 얼음을 뒤섞어 서로 엉겨서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얼음이 얼음보관함에 장기간 보관하여도 얼음접촉부재가 얼음사이를 주기적으로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얼음들끼리 달라붙어서 큰 얼음덩어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얼음토출이 좀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크류 대신에 왕복운동하는 이동부를 마련함으로서 얼음보관함의 전후폭을 슬림화 할 수 있는 장점도 있어서, 그 줄어든 폭만큼 냉동실의 가용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며 얼음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얼음보관함에 설치되는 얼음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이동부는 상기 얼음보관함 내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와, 상기 얼음보관함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된 구동부와,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얼음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얼음접촉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얼음접촉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얼음접촉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얼음보관함의 바닥면 위를 이동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상기 얼음보관함의 내측벽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회전부재에는 상기 얼음접촉부재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접촉부재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상기 복수개의 얼음접촉부재는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상기 얼음접촉부재의 타단부는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얼음보관함 내부 일측에 치우쳐져 설치되고, 상기 얼음접촉부재의 일부는 다른 얼음접촉부재보다 길게 마련되어 상기 얼음보관함 내부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접촉부재의 표면에는 얼음과의 접촉을 증대시키기 위한 걸림부가 돌출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보관함 내에 보관된 다수의 얼음이 엉겨서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얼음접촉부재가 상기 얼음보관함 내부를 일정한 주기를 두고 왕복운동하면서 얼음들과 접촉하며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부재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서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이동부는 상기 얼음보관함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크랭크부재와, 상기 크랭크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크랭크부재와 연결되어 얼음과 접촉하는 얼음접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크랭크 부재는 상기 얼음보관함 내측벽의 후방과 전방에 마련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며,
    상기 얼음접촉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축과 연결되고,
    상기 얼음접촉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크랭크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얼음보관함의 바닥면 위를 이동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보관함의 바닥면의 중앙부에는 얼음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토출구의 양측의 바닥면은 상기 토출구를 향하는 하향경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 마련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 하부에 마련되어 얼음을 분쇄하는 쇄빙기와;
    상기 쇄빙기 측면에 마련되어 얼음이 통얼음상태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통로와;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안내통로 사이에 그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얼음이 선택적으로 상기 쇄빙기 또는 상기 안내통로 방향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60078424A 2006-08-18 2006-08-18 냉장고 KR20080016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424A KR20080016370A (ko) 2006-08-18 2006-08-1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424A KR20080016370A (ko) 2006-08-18 2006-08-18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370A true KR20080016370A (ko) 2008-02-21

Family

ID=3938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424A KR20080016370A (ko) 2006-08-18 2006-08-1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637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927B1 (ko) * 2011-10-17 2014-05-1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얼음엉김 해제기능을 갖는 아이스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N104329843A (zh) * 2014-05-21 2015-02-0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出冰装置及具有该出冰装置的制冰机和冰箱
KR101652974B1 (ko) * 2016-03-24 2016-09-01 구봉석 얼음 배출 장치
KR20210133443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스타리온 제빙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927B1 (ko) * 2011-10-17 2014-05-1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얼음엉김 해제기능을 갖는 아이스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N104329843A (zh) * 2014-05-21 2015-02-0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出冰装置及具有该出冰装置的制冰机和冰箱
KR101652974B1 (ko) * 2016-03-24 2016-09-01 구봉석 얼음 배출 장치
KR20210133443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스타리온 제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1513B2 (en) Ice bank of refrigerator
KR101639405B1 (ko) 냉장고 및 얼음보관함
KR101631322B1 (ko) 냉장고
RU243031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льда
US8955350B2 (en) Ice dispenser with crusher and shav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US20040163405A1 (en) Refrigerator with ice feeding unit
KR100934185B1 (ko) 아이스 메이킹 장치
US8438868B2 (en) Refrigerator
KR101555755B1 (ko) 아이스 빈 및 이를 이용한 얼음 분쇄 방법
KR20070076751A (ko) 냉장고
KR101798550B1 (ko) 얼음 분리 성능이 개선된 아이스 빈 및 그 아이스 빈이 구비된 냉장고
KR20080016370A (ko) 냉장고
US20130042644A1 (en) Fluidizer for an ice dispensing assembly of a cooling compartment
KR100776444B1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의 얼음 엉김 방지 구조
US9115923B2 (en) Shield for an ice dispensing assembly of a cooling compartment
KR101565416B1 (ko) 냉장고
KR100525416B1 (ko)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KR100713293B1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구조
KR101637351B1 (ko) 얼음보관함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80020900A (ko) 냉장고
KR101596834B1 (ko) 냉장고
KR200152155Y1 (ko)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싱 구조
WO2008082194A1 (en) Device for ice discharging
KR20160086304A (ko) 냉장고 및 얼음보관함
KR20200131118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