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443A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443A
KR20210133443A KR1020200052044A KR20200052044A KR20210133443A KR 20210133443 A KR20210133443 A KR 20210133443A KR 1020200052044 A KR1020200052044 A KR 1020200052044A KR 20200052044 A KR20200052044 A KR 20200052044A KR 20210133443 A KR20210133443 A KR 20210133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discharge
width direction
dispos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8299B1 (ko
Inventor
정장원
강선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리온
Priority to KR102020005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299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25C1/045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with the open end pointing downw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25C5/10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using hot refrigerant; using fluid heated by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냉각효율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액체 상태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수용되는 얼음생성홈이 복수개소 함몰 형성된 냉각틀부와, 상기 냉각틀부를 선택적으로 냉각 및 일시적으로 가열하는 온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얼음생성부; 상기 냉각틀부의 하측에 배치되되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배출프레임이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는 중앙배출부와, 상기 중앙배출부의 폭방향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냉각틀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안내프레임이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낙하가이드부; 상기 낙하가이드부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후면 하측이 상기 낙하가이드부의 전면에 대면 배치되고, 후면 상측이 상기 냉각틀부의 전방에 대향 배치되되, 중앙부 하측에 얼음배출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차단벽부; 및 상기 얼음배출공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되, 얼음 배출시 하단부가 상단부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전향 회전되도록 상기 얼음배출공의 상단측에 상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회전배출부를 포함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효율이 개선되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 카페 등의 업소에서 얼음을 대량으로 만들기 위한 업소용 제빙기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업소용 제빙기는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에 액체 상태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제빙실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제빙실로부터 얼음이 분리되도록 가열하는 히터부와, 상기 제빙실에서 냉각되어 생성된 얼음을 배출하도록 모터에 동력 연결되는 이젝터와, 상기 제빙실에서 생성되어 상기 이젝터를 통해 배출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뱅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제빙실에 액체 상태의 물을 공급하고, 상기 냉각부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빙실에서 얼음이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얼음은 상기 이젝터를 통해 상기 제빙실로부터 상기 아이스뱅크로 배출된다.
한편, 도 1b 및 도 1b는 종래의 제빙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제빙기(1)에는 얼음(a)이 대량으로 동시에 생성되어 낙하되도록 얼음(a)이 생성되는 제빙실(1a)이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a)의 하측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낙하가이드(2)가 배치되었으며, 각 상기 제빙실(1a)에서 생성된 얼음(a)이 상기 낙하가이드(2)에 1차 낙하된 후 상기 제빙기(1)의 전방으로 배출되었다.
이때,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 각 상기 제빙실(1a)에서 생성된 각 얼음(a)이 상기 낙하가이드(2)에 낙하되도록 상기 낙하가이드(2)의 폭(w)이 각 상기 제빙실(1a)의 전체 폭을 커버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빙실(1a)의 전방측에는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전방으로 튐을 방지하도록 상기 낙하가이드(2)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차단벽(3)이 구비되었다. 이때, 상기 낙하가이드(2)에 1차 낙하된 얼음(a)은 상기 차단벽(3) 하부에 개구된 부분을 거쳐 상기 제빙기(1)의 전방 외측으로 배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업소용 제빙기는 상기 제빙실(1a)이 외부에 연통되어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얼음(a) 생성시 냉기가 외부로 누출됨에 따라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 각 상기 제빙실(1a)에서 생성된 각 얼음(a)이 상기 낙하가이드(2)에 1차 낙하된 후 상기 제1제빙기(1)의 전방 외측으로 배출되기 위해 개구되는 면적에 비례하여 열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얼음(a)을 생성하는데 소요되는 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단위 시간당 생성되는 얼음(a)의 수가 감소되어 제빙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6560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각효율이 개선되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체 상태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수용되는 얼음생성홈이 복수개소 함몰 형성된 냉각틀부와, 상기 냉각틀부를 선택적으로 냉각 및 일시적으로 가열하는 온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얼음생성부; 상기 냉각틀부의 하측에 배치되되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배출프레임이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는 중앙배출부와, 상기 중앙배출부의 폭방향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냉각틀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안내프레임이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낙하가이드부; 상기 낙하가이드부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후면 하측이 상기 낙하가이드부의 전면에 대면 배치되고, 후면 상측이 상기 냉각틀부의 전방에 대향 배치되되, 중앙부 하측에 얼음배출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차단벽부; 및 상기 얼음배출공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되, 얼음 배출시 하단부가 상단부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전향 회전되도록 상기 얼음배출공의 상단측에 상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회전배출부를 포함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벽부는 상기 날개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평판으로 구비되며 상기 냉각틀부와 상기 낙하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전방부를 밀폐 커버하도록 상기 얼음배출공을 중심으로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블록격벽을 포함하되, 각 상기 블록격벽은 폭방향 내측단이 상기 회전배출부에 형성된 배출판부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와 상호간 밀착 접촉되며, 상기 날개부는 각 상기 블록격벽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배출부를 향하여 폭방향 중앙측으로 갈수록 상호 대칭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중앙배출부의 폭은 상기 얼음배출공의 폭에 대응되도록 설정되고, 각 상기 배출프레임은 전단부가 상기 배출판부의 후방에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차단벽부는 상기 낙하가이드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평판으로 구비되며 후면이 상기 냉각틀부의 전방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회전배출부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차단격벽을 더 포함하고, 각 상기 블록격벽은 상기 차단격벽의 폭방향 양측 전면에 상측 후면이 면접촉되며 착탈식으로 결합되되 금속 재질로서 구비되며, 상기 낙하가이드부는 각 상기 배출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교차 연결되되 양단부가 각 상기 날개부의 내벽면에 각각 연결되며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낙하가이드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 상기 배출프레임 및 각 상기 안내프레임의 사이로 낙하된 물이 수집되도록 용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수거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부에는 상기 얼음배출공의 폭방향 양측 상단에 양단부가 연결되는 회전축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배출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힌지 연결되는 복수개의 힌지연결부와, 각 상기 힌지연결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얼음배출공을 커버하도록 각각 일체로 하향 연장되되 폭방향 양측 테두리가 상호간 밀착 접촉되며 배치되는 복수개의 배출판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호 이격 배치되되, 상기 회전배출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폭방향을 따라 각 상기 힌지연결부와 순차적으로 교번 배치되며 힌지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중힌지연결부와, 각 상기 이중힌지연결부의 후단으로부터 각각 일체로 하향 연장되되 상호 인접한 한쌍의 상기 배출판부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를 동시에 전방으로 회전 가압하도록 각 상기 배출판부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 후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중배출판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얼음이 생성되는 냉각틀부와 낙하가이드부의 전방부를 밀폐 커버하는 차단벽부를 통해 얼음배출공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냉기누출면적이 최소화됨과 동시에 얼음이 낙하가이드부의 중앙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날개부에 낙하 및 안내되어 중앙배출부를 통해 회전배출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므로 열손실이 최소화되어 에너지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날개부의 전방이 한쌍의 블록격벽에 의해 밀폐 커버되되 각 블록격벽의 내측단이 얼음 배출시 회전되는 배출판부에 밀착되어 얼음생성부와 외부 간의 연통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날개부에 낙하된 얼음이 경사를 따라 이동된 후 중앙배출부의 전방으로 배출되므로 얼음 취출의 용이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낙하가이드부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평판으로 구비되어 냉각틀부의 전방에 대향 배치된 차단격벽의 양측 전면에 열손실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각 블록격벽의 상측 후면이 면접촉되며 착탈식으로 결합되므로 이를 분리 후 제빙기 내부와 낙하가이드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얼음이 배출되는 낙하가이드부의 중앙 전방에 대향 배치된 얼음배출공을 커버하도록 복수개의 힌지연결부의 전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각 배출판부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가 상호간 밀착 접촉되며 배치되어 얼음 배출시에만 배출판부가 회전되며 개방되므로 냉기누출에 따른 열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1b는 종래의 제빙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얼음의 생성과정을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낙하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회전배출부를 나타낸 사용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얼음의 생성과정을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낙하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회전배출부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얼음생성부(10), 낙하가이드부(20), 차단벽부(30), 그리고 회전배출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얼음생성부(10)는 액체 상태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급수부(11)는 액체 상태의 물이 공급되는 복수개의 공급관과, 각상기 공급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분사노즐은 냉각틀부(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얼음생성부(10)는 상기 급수부(11)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수용되는 얼음생성홈(12a)이 복수개소 상향 함몰 형성된 상기 냉각틀부(12)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각 상기 얼음생성홈(12a)이 상기 냉각틀부(12)의 하부로부터 상향 함몰 형성되며, 상기 냉각틀부(12)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또한, 상기 얼음생성부(10)는 상기 냉각틀부(12)를 선택적으로 냉각 및 일시적으로 가열하는 온도조절부(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온도조절부(13)는 상기 냉각틀부(12)를 선택적으로 냉각하는 냉각수단과, 상기 냉각틀부(12)를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얼음생성부(10)는 상기 온도조절부(13)를 제어하는 제어부(1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급수부(11)로부터 액체 상태의 물이 상측으로 분사되어 각 상기 얼음생성홈(12a)의 내면에 분사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14)가 상기 온도조절부(13)의 냉각수단을 구동 제어하여 상기 냉각틀부(12)가 결빙이 발생하기 위한 온도 이하로 냉각된다. 이에 따라, 각 상기 얼음생성홈(12a)의 내면에 분사되는 액체 상태의 물이 결빙되기 시작하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각 상기 얼음생성홈(12a) 내부 전체에 얼음(a)이 생성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가 상기 온도조절부(13)의 가열수단을 일시적으로 구동 제어하여 각 상기 얼음생성홈(12a)에 결착된 얼음(a)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녹여 얼음(a)이 상기 냉각틀부(12)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낙하가이드부(20)로 1차 낙하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낙하가이드부(20)는 중앙배출부(21)와, 날개부(2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낙하가이드부(20)는 합성수지, 금속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중앙배출부(21)는 상기 냉각틀부(12)의 하측에 배치되되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배출프레임(21a)을 포함하되, 각 상기 배출프레임(21a)은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설정된 간격은 상기 얼음생성부(10)에서 생성되는 각 얼음(a)의 직경 또는 길이 및 폭 미만의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프레임(21a)의 각도가 낙하된 얼음(a)이 경사를 따라 이동되도록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배출프레임(21a)은 후단부가 외곽프레임(23)에 일체로 연결되며, 한쌍의 상기 날개부(22)의 내벽면(22b) 사이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상기 배출프레임(21a)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되 전단부가 상기 차단벽부(30)의 얼음배출공(31)의 하측에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배출프레임(21a)의 전단부가 후술되는 배출판부(42) 및 이중배출판부(44)의 하측 후방에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배출부(21)는 각 상기 배출프레임(21a)의 폭방향을 따라 교차 연결되되 양단부가 각 상기 날개부(22)의 내벽면(22b)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21b)을 더 포함하되, 각 상기 연결프레임(21b)은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중앙배출부(21)는 상측에서 바라보는 경우 각 상기 배출프레임(21a)과 각 상기 연결프레임(21b)이 '#'자 형태로 교차지게 배치되어 상기 냉각틀부(12)로부터 얼음(a)이 낙하시 발생하는 충격에도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배출부(21)의 폭은 얼음배출공(31)의 폭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프레임(21b)의 길이는 상기 얼음배출공(31)의 폭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날개부(22)는 상기 중앙배출부(10)의 폭방향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냉각틀부(12)의 하측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안내프레임(22a)이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설정된 간격은 상기 얼음생성부(10)에서 생성되는 각 얼음(a)의 직경 또는 길이 및 폭 미만의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22)는 한쌍의 블록격벽(32)의 후방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22)는 외곽 테두리가 상기 중앙배출부(21)를 향하여 폭방향 중앙측으로 갈수록 상호 대칭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각 상기 안내프레임(22a)의 배치위치는 폭방향 중앙측으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낮아지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날개부(22)의 각도가 낙하된 얼음(a)이 경사를 따라 이동되도록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각 상기 안내프레임(22a)이 상기 낙하가이드부(20)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외곽 테두리의 전후측 내면에 각각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각 상기 안내프레임(22a)이 상기 낙하가이드부(2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외곽테두리의 폭방향 양측 내면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또는, 각 상기 안내프레임(22a)이 상기 낙하가이드부(20)의 전후방향 및 폭방향으로 각각 교차지게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얼음(a)이 상기 냉각틀부(12)로부터 폭방향 중앙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날개부(22)의 상부로 1차 낙하되면, 얼음(a)이 경사를 따라 상기 낙하가이드부(20)의 폭방향 내측으로 2차 이동되어 상기 중앙배출부(21)로 안내된 후 상기 중앙배출부(21)의 전방으로 최종 배출된다.
그리고, 각 상기 날개부(22)의 폭방향 내측 전면부에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연장부(22c)가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22c)의 하면은 상기 제빙기(10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22c)의 전면은 상기 차단벽부(30)에 대면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낙하가이드부(20)는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빙기(10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오염시 사용자가 상기 낙하가이드부(20)를 상기 제빙기(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한 후 세척할 수 있어 청결성 및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하던 제빙기(100)에 상기 낙하가이드부(20)를 교체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기(100)는 상기 낙하가이드부(2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 상기 배출프레임(21a) 및 각 상기 안내프레임(22a)의 사이로 낙하된 물이 수집되도록 용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수거부(미도시)와, 상기 수거부(미도시)에 수거된 물을 배출하도록 배관 형태로 구비되는 배출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거부(미도시)는 상기 제빙기(10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낙하가이드부(20)는 상기 수거부(미도시)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차단벽부(30)는 상기 낙하가이드부(20)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후면 하측이 상기 낙하가이드부(20)의 전면에 대면 배치되고, 후면 상측이 상기 냉각틀부(12)의 전방에 대향 배치되되, 중앙부 하측에 얼음배출공(3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차단벽부(30)는 상기 날개부(22)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평판으로 구비되어 상기 냉각틀부(12)와 상기 낙하가이드부(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얼음배출공(31)을 중심으로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블록격벽(32)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블록격벽(32)은 폭방향 내측단이 상기 회전배출부(40)에 형성된 배출판부(42)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와 상호간 밀착 접촉됨이 바람직하며, 철 등의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블롤격벽(32)의 높이는 상기 냉각틀부(12)와 상기 낙하가이드부(20)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부(30)는 상기 낙하가이드부(20)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평판으로 구비되며 각 상기 블록격벽(32)에 연결되되 상기 회전배출부(40)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차단격벽(33)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차단격벽(33)은 후면이 상기 냉각틀부(12)의 전방에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급수부(11)에서 상기 냉각틀부(12)로 액체 상태의 물이 분사시 상기 차단격벽(33)에 의해 물이 외부로 튀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격벽(33)의 폭방향 양측 전면에 각 상기 블록격벽(32)의 상측 후면이 면접촉되며, 상기 차단격벽(33)과 각 상기 블록격벽(32)이 나비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상호간 착탈식으로 결합 및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차단격벽(33)으로부터 각 상기 블록격벽(32)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 청결성 및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종래의 차단벽(도 1의 3)에 상기 블록격벽(32)을 추가 설치하는 것만으로 열손실이 저감됨에 따라 냉각효율이 개선되는 구조로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부(30)는 상기 차단격벽(33)의 폭방향 양측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낙하가이드부(20)의 상부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부(34)는 상기 블록격벽(32)의 후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배출부(40)는 상기 얼음배출공(31)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되, 얼음(a) 배출시 하단부가 상단부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전향 회전되도록 상기 얼음배출공(31)의 상단측에 상단부가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얼음배출공(31)은 사각 단면 형상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차단벽부(30)에는 상기 얼음배출공(31)의 폭방향 양측 상단에 양단부가 연결되는 회전축부(3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부(35)는 원통 형상의 바(bar)로 구비되어 양단부가 상기 얼음배출공(31)의 폭방향 양측 상단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축부(35)는 상기 차단격벽(33)의 하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축부(35)와 상기 차단격벽(33) 사이에 탄성 재질의 밀폐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배출부(40)는 상기 회전축부(35)에 힌지 연결되는 복수개의 힌지연결부(4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회전배출부(40)는 상기 힌지연결부(41)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얼음배출공(31)을 커버하도록 각각 일체로 하향 연장되되 폭방향 양측 테두리가 상호간 밀착 접촉되며 배치되는 복수개의 배출판부(4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출판부(42)의 폭이 상기 힌지연결부(41)의 폭을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판부(42)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회전축부(35)에서 상기 얼음배출공(31)의 하단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상기 배출판부(42)는 후측이 전방으로 가압되면 개별적으로 전방으로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각 상기 배출판부(42)가 회전되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각 상기 배출판부(42)가 상기 얼음배출공(31)을 커버하여 열손실이 최소화되며, 가압되는 부분의 배출판부(42)만 부분적으로 회전되며 개방되므로 가압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은 상기 얼음배출공(31)을 커버하는 상태가 유지되어 열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배출부(40)는 상기 회전축부(35)에 폭방향을 따라 각 상기 힌지연결부(41)와 교번 배치되며 힌지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중힌지연결부(43)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이중힌지연결부(43)는 상호 이격 배치된 각 상기 힌지연결부(41)의 사이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배출부(40)는 각 상기 이중힌지연결부(43)의 후단으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되되 상기 배출판부(42)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 후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중배출판부(44)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이중배출판부(44)의 폭은 각 상기 이중힌지연결부(43)의 폭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이중배출판부(44)는 상호 인접한 한쌍의 상기 배출판부(42)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를 동시에 전방으로 회전 가압하도록 각 상기 배출판부(42)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 후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각 상기 이중배출판부(44)는 각 상기 이중힌지연결부(43)의 이격 간격에 대응되어 폭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되, 각 상기 이중배출판부(44)의 폭방향 중앙이 한쌍의 상기 배출판부(42)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와 전후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정렬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배출판부(42)는 상기 회전축부(35)에 배치된 상기 힌지연결부(41)의 전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반면, 각 상기 이중배출판부(44)는 상기 회전축부(35)에 배치된 상기 이중힌지연결부(43)의 후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다. 이에 따라, 각 상기 배출판부(42)와 각 상기 이중배출판부(44)가 상기 회전축부(35)의 직경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낙하가이드부(20)의 중앙배출부(21)의 경사를 따라 상기 낙하가이드부(20)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얼음(a)이 각 상기 이중배출판부(44) 중 어느 하나를 중력에 의해 가압하면, 가압된 상기 이중배출판부(44)의 하단부가 상기 이중힌지연결부(43)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이중배출판부(44)의 전방에 배치된 한쌍의 상기 배출판부(42)를 전방으로 가압한다. 이어서, 한쌍의 상기 배출판부(42)의 하단부 상기 힌지연결부(41)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얼음(a)이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얼음(a)이 생성되는 상기 냉각틀부(12)와 상기 낙하가이드부(20)의 전방부를 밀폐 커버하는 상기 차단벽부(30)를 통해 얼음배출공(31)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냉기누출면적이 최소화된다. 이와 동시에, 얼음(a)이 상기 낙하가이드부(20)의 중앙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날개부(22)에 낙하 및 안내되어 상기 중앙배출부(21)를 통해 상기 회전배출부(40)로 배출되므로 열손실이 최소화되어 냉각효율 및 전력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얼음생성부(10)에서 다량 생성된 얼음(a)이 상기 낙하가이드부(20)의 중앙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날개부(22)에 낙하된 후 상기 중앙배출부(21)로 안내되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면서도 상기 얼음생성부(10)와 상기 낙하가이드부(20)의 전방부를 밀폐 커버하는 상기 차단벽부(30)를 통해 냉기누출면적이 최소화되므로 에너지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즉, 얼음(a)을 1회 생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종래에 비해 더욱 단축됨에 따라 동일 시간에 생성할 수 있는 얼음(a)의 양이 증가되므로 생산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22)의 전방이 한쌍의 상기 블록격벽(32)에 의해 밀폐 커버되되 각 상기 블록격벽(32)의 내측단이 얼음(a) 배출시 회전되는 상기 배출판부(42)에 밀착되어 상기 얼음생성부(10)와 외부 간의 연통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상기 날개부(22)에 낙하된 얼음(a)이 경사를 따라 이동된 후 상기 중앙배출부(21)의 전방으로 배출되므로 얼음(a) 취출의 용이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낙하가이드부(20)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평판으로 구비되어 성가 냉각틀부(12)의 전방에 대향 배치된 상기 차단격벽(33)의 양측 전면에 열손실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각 상기 블록격벽(32)의 상측 후면이 면접촉되며 착탈식으로 결합되므로 이를 분리 후 상기 제빙기(100) 내부와 상기 낙하가이드부(20)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얼음(a)이 배출되는 상기 낙하가이드부(20)의 중앙 전방, 즉 상기 중앙배출부(21)의 전방에 대향 배치된 상기 얼음배출공(31)을 커버하도록 복수개의 힌지연결부(41)의 전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각 상기 배출판부(42)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가 상호간 밀착 접촉되며 배치되어 얼음(a) 배출시에만 얼음(a)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배출판부(42)의 일부만이 회전되며 개방되므로 냉기누출에 따른 열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회전축부(35)에 각 상기 힌지연결부(41)와 순차적으로 교번 배치되며 힌지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기 이중힌지연결부(43)의 후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각 상기 이중배출판부(44)가 각 상기 배출판부(42)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얼음(a) 배출시 대향된 상기 배출판부(42)를 동시에 전방으로 회전 가압하므로 느린 속도로 배출되는 얼음(a)의 정체에 의한 배출구의 막힘이 예방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0: 제빙기 10: 얼음생성부
11: 급수부 12: 냉각틀부
13: 온도조절부 14: 제어부
20: 낙하가이드부 21: 중앙배출부
21a: 배출프레임 21b: 연결프레임
22: 날개부 22a: 안내프레임
30: 차단벽부 31: 얼음배출공
32: 블록격벽 33: 차단격벽
34: 회전축부 40: 회전배출부
41: 힌지연결부 42: 배출판부
43: 이중힌지연결부 44: 이중배출판부

Claims (5)

  1. 액체 상태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수용되는 얼음생성홈이 복수개소 함몰 형성된 냉각틀부와, 상기 냉각틀부를 선택적으로 냉각 및 일시적으로 가열하는 온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얼음생성부;
    상기 냉각틀부의 하측에 배치되되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배출프레임이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는 중앙배출부와, 상기 중앙배출부의 폭방향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냉각틀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안내프레임이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낙하가이드부;
    상기 낙하가이드부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후면 하측이 상기 낙하가이드부의 전면에 대면 배치되고, 후면 상측이 상기 냉각틀부의 전방에 대향 배치되되, 중앙부 하측에 얼음배출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차단벽부; 및
    상기 얼음배출공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되, 얼음 배출시 하단부가 상단부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전향 회전되도록 상기 얼음배출공의 상단측에 상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회전배출부를 포함하는 제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부는 상기 날개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평판으로 구비되며 상기 냉각틀부와 상기 낙하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전방부를 밀폐 커버하도록 상기 얼음배출공을 중심으로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블록격벽을 포함하되, 각 상기 블록격벽은 폭방향 내측단이 상기 회전배출부에 형성된 배출판부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와 상호간 밀착 접촉되며,
    상기 날개부는 각 상기 블록격벽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배출부를 향하여 폭방향 중앙측으로 갈수록 상호 대칭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중앙배출부의 폭은 상기 얼음배출공의 폭에 대응되도록 설정되고, 각 상기 배출프레임은 전단부가 상기 배출판부의 후방에 대향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부는 상기 낙하가이드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평판으로 구비되며 후면이 상기 냉각틀부의 전방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회전배출부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차단격벽을 더 포함하고,
    각 상기 블록격벽은 상기 차단격벽의 폭방향 양측 전면에 상측 후면이 면접촉되며 착탈식으로 결합되되 금속 재질로서 구비되며,
    상기 낙하가이드부는 각 상기 배출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교차 연결되되 양단부가 각 상기 날개부의 내벽면에 각각 연결되며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낙하가이드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 상기 배출프레임 및 각 상기 안내프레임의 사이로 낙하된 물이 수집되도록 용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수거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부에는 상기 얼음배출공의 폭방향 양측 상단에 양단부가 연결되는 회전축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배출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힌지 연결되는 복수개의 힌지연결부와,
    각 상기 힌지연결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얼음배출공을 커버하도록 각각 일체로 하향 연장되되 폭방향 양측 테두리가 상호간 밀착 접촉되며 배치되는 복수개의 배출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각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호 이격 배치되되,
    상기 회전배출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폭방향을 따라 각 상기 힌지연결부와 순차적으로 교번 배치되며 힌지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중힌지연결부와,
    각 상기 이중힌지연결부의 후단으로부터 각각 일체로 하향 연장되되 상호 인접한 한쌍의 상기 배출판부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를 동시에 전방으로 회전 가압하도록 각 상기 배출판부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 후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중배출판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KR1020200052044A 2020-04-29 2020-04-29 제빙기 KR102338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044A KR102338299B1 (ko) 2020-04-29 2020-04-29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044A KR102338299B1 (ko) 2020-04-29 2020-04-29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443A true KR20210133443A (ko) 2021-11-08
KR102338299B1 KR102338299B1 (ko) 2021-12-13

Family

ID=7849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044A KR102338299B1 (ko) 2020-04-29 2020-04-29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2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9540A (ja) * 2000-04-07 2001-10-19 Hoshizaki Electric Co Ltd オープンセルタイプ自動製氷機
JP2002228311A (ja) * 2001-01-31 2002-08-14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
KR100565605B1 (ko) 2003-08-26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KR100640860B1 (ko) * 2004-04-27 2006-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제빙 냉장고
KR20080016370A (ko) * 2006-08-18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055134A (ko) * 2008-11-17 2010-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9540A (ja) * 2000-04-07 2001-10-19 Hoshizaki Electric Co Ltd オープンセルタイプ自動製氷機
JP2002228311A (ja) * 2001-01-31 2002-08-14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
KR100565605B1 (ko) 2003-08-26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KR100640860B1 (ko) * 2004-04-27 2006-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제빙 냉장고
KR20080016370A (ko) * 2006-08-18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055134A (ko) * 2008-11-17 2010-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299B1 (ko) 202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8078B1 (en) Refrigerator
CN102102930B (zh) 冰箱
US7444828B2 (en) Ice discharging structure of ice making mechanism
EP1416238A2 (en) Ice making machine
KR101997259B1 (ko) 냉장고
KR20110072506A (ko) 냉장고
US11333418B2 (en) Refrigerator
EP3295099B1 (en) Refrigerator
CN107114814B (zh) 果蔬清洗装置
KR102338299B1 (ko) 제빙기
EP2097690A1 (en) Refrigerator
JPH0949672A (ja) 製氷装置
EP2097695B1 (en) Refrigerator
JP6514094B2 (ja) セル型製氷機
JPH10311635A (ja) 製氷水タンクの洗浄構造
KR20070034680A (ko) 냉장고
KR102317462B1 (ko) 얼음 제조장치
CN219889817U (zh) 制冰机
CN101117815B (zh) 洗净水水箱和卫生洗净装置
KR100662445B1 (ko) 제빙장치
JP4583621B2 (ja) 自動製氷機の製氷機構部
JP3158135B2 (ja) 縦型製氷機
KR100243516B1 (ko) 제빙기
JPH10197114A (ja) 縦型製氷機
JP4431451B2 (ja) セル方式の製氷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