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29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3290A
KR20120043290A KR1020100104517A KR20100104517A KR20120043290A KR 20120043290 A KR20120043290 A KR 20120043290A KR 1020100104517 A KR1020100104517 A KR 1020100104517A KR 20100104517 A KR20100104517 A KR 20100104517A KR 20120043290 A KR20120043290 A KR 20120043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refrigerator
vibration generator
bin
ice 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4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3290A/ko
Publication of KR2012004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8Sticking or clogging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스 빈 내부에 저장되는 얼음의 엉김을 방지하는 진동 발생장치가 구비되어 저장되는 얼음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 의하면,제빙되는 얼음의 품질을 향상기키고 동작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실시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 내부는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바스켓 등의 수납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도어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배치와 및 도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상기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예컨데, 상기 냉장고에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빙된 얼음이 고외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는 냉동실 또는 냉동실 도어에 구비될 수 있고, 단열공간이 형성되는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도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아이스 빈 내부에 저장되는 얼음의 엉김을 방지하는 진동 발생장치가 구비되어 저장되는 얼음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동실 영역의 일측에 구비되며, 급수되는 물로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빈; 및 상기 아이스 빈의 일측에 구비되며, 진동에 의해 상기 아이스 빈 내부의 얼음이 엉기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 발생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 도어에 제빙을 위한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의 내부에 구비되어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제빙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부터 이송되는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빈; 및 상기 제빙실 내측에 구비되며, 진동에 의해 상기 아이스 빈 내부의 얼음이 엉기지 않도록 하는 진동 발생장치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아이스 빈의 일측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장치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아이스 빈을 진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빈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진동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얼음에 별도의 구조물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저장된 얼음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제빙되는 얼음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얼음의 엉김이 발생하기 쉬운 상황 즉, 제상운전 후 또는 고내의 온도변화가 큰 경우, 설정시간 경과 후 등에서 주기적으로 동작되도록 하여 얼음의 엉김현상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송부재의 동작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불필요한 이송부재의 동작에 따른 동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송부재 동작시 발생되는 얼음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구조물에 의한 강제적인 얼음의 유동시 발생되는 소음에 비해 진동 발생장치의 구동소음은 현저하게 적게 되어 냉장고 동작시 발생되는 소음에 의한 감성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장실 도어 중 일부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제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상기 냉장실 도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제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 빈의 내부 구성을 보인 투시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의한 제빙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의 제빙실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8은 제 4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 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장실 도어 중 일부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에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냉장고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보관되기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은, 냉장실(102)과 상기 냉장실(102)의 하방에 위치되는 냉동실(104)로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에는, 상기 냉장실(102)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1)와, 상기 냉동실(104)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4)가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11)는 좌우로 배치되며, 회동 가능한 복수의 도어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도어에는 제 1 냉장실 도어(12)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냉장실 도어(1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 및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3)는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14)은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14)의 슬라이딩 인출입에 의해 상기 냉동실(104)은 개폐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와 및 제 2 냉장실 도어(13) 중 어느 한 도어에는,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일 례로 제 1 냉장실 도어(12)에 상기 디스펜서(15)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 및 제 2 냉장실 도어(13) 중 어느 한 도어에는 얼음을 생성 및 저장되는 공간인 제빙실(130) 및 제빙 어셈블리(후술함)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펜서(15)와 제빙실 및 제빙 어셈블리는, 제 1 냉장실 도어(12) 또는 제 2 냉장실 도어(13)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펜서(15) 및 제빙 어셈블리가 제 1 냉장실 도어(12) 및 제 2 냉장실 도어(13)를 통칭하는 냉장실 도어(11)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제빙실(130)이 형성된 냉장실 도어(11)가 닫혔을 때 상기 제빙실(130)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 덕트가 더 구비된다.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제빙실(130)과 냉동실(104) 또는 증발기(미도시)가 구비되는 열교환실(미도시)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냉동실(104) 또는 열교환실의 냉기를 상기 제빙실(130)로 공급하는 공급덕트(106)와 상기 제빙실(130)의 공기를 냉동실 또는 열교환실로 회수하는 회수덕트(108)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106)와 회수덕트(108)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독립된 형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제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상기 냉장실 도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제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 빈의 내부 구성을 보인 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아우터 케이스(110)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20)가 포함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는 철판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전면 및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와 상기 도어 라이너(120)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120)는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배면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 라이너(120)는 제빙실(ice compartment: 120)을 형성한다. 상기 제빙실(130) 내에는 얼음을 생성 및 보관하기 위한 제빙 어셈블리(2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30)은 제빙실 도어(140)에 의해서 개폐된다. 상기 제빙실 도어(140)는 상기 도어 라이너(120)에 힌지(141)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도어(140)의 배면(제빙실 내측을 향하는 면) 둘레에는 가스켓(142)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142)은 상기 제빙실(130)의 개구된 전단과 접하여 상기 제빙실(130)을 밀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라이너(120)는 상기 제빙실(130)을 비롯한 냉장실 도어(11)의 배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빙실(130)의 하방에는 필요에 따라 바스켓과 같은 수납부재가 구비되거나, 상기 디스펜서(15)로의 물 공급을 위한 워터탱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상기 공급덕트(106) 및 상기 회수덕트(108)와 연통되어 상기 제빙실(130)의 내측과 상기 냉동실(104) 또는 열교환실과의 냉기순환을 위한 통로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 도어(11)가 닫혔을 때, 상기 공급덕트(106) 및 회수덕트(108)와 대응하는 상기 제빙실(130)의 측면에는 각각 개구된 통로가 형성되어 냉기의 출입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공급덕트(106)의 냉기는 상기 제빙실(130) 일측의 개구된 통로를 통해 상기 제빙실(130)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빙실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를 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30) 내부의 냉기는 상기 제빙실(130)의 타측에 개구된 통로를 통해 상기 제빙실(130)로부터 상기 회수덕트(108)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빙실(130)의 내부에는 제빙 어셈블리(200)가 구비된다.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는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생성된 얼음을 지지하는 아이스 메이커(21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220)과, 상기 구동원(220)의 동력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전달하는 기어박스(221)와, 제빙실 내측의 급수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안내하는 물 안내부(23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가 안착되는 안착부(212)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24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300)과, 상기 아이스 빈(300)의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만빙 감지기(250)와, 아이스 빈 내부의 이송부재(4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연결부재(26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부(242)의 바닥면에는 상기 아이스 빈(300)에서 토출된 얼음이 통과하는 얼음 개구(24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300)은 상기 제 1 지지부(242)에 안착된다. 즉, 상기 제 1 지지부(242)는 상기 아이스 빈(300)을 지지한다.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 1 지지부(242)에 안착되면, 상기 연결부재(260)는 상기 아이스 빈(300)과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 1 지지부(242)에 안착된 상태는,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빙실(130)에 수용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가 안착되는 안착부(121)는 상기 제 2 지지부(246)에 설치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양측에는 회전축이 포함되며, 일측의 회전축은 상기 기어 박스(221)에 연결되고, 타측의 회전축은 상기 안착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만빙 감지기(25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2 지지부(246)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만빙 감지기(25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아이스 빈(300)은, 상측에 개방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아이스 빈(300)은, 전면벽(311)과, 후면벽(312), 양측벽(313)을 포함한다.
상기 아이스 빈(300)의 내부에는, 보관된 얼음을 지지하고, 보관된 얼음이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미끌어져 내려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면(3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벽(311)과, 후면벽(312), 양측벽(313), 및 상기 경사안내면(320)에 의해서 얼음이 보관되는 얼음보관공간(315)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안내면(320)은 상기 양측벽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좁하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안내면(320)의 하단은 서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경사안내면(320)의 사이에는 이송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아이스 빈(300)의 하면 즉, 상기 이송부재(400)의 수직 하방에는 상기 이송부재(400)를 통과한 얼음이 배출되는 토출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재(400)는 상기 아이스 빈(30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얼음이 서로 엉기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얼음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재(400)는 상기 아이스 빈(30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이스 빈(300)을 상기 제빙실(130) 내측에 장착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260)가 상기 이송부재(400)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재(40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400)에는 얼음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부(411)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블레이드(410)가 포함된다. 얼음의 용이한 토출을 위해서는 상기 이송부재(400)는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부(330)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부재(40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이송부재(400)의 회전블레이드(410)와 함께 얼음을 파쇄시켜 조각얼음을 만드는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20)가 마련된다.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20)는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20) 사이 공간을 상기 회전블레이드(410)가 통과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블레이드(420)와 상기 회전블레이드(410) 사이에 얼음이 끼인 상태에서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의 회전 동작하게 되면, 얼음을 가압하면서 파쇄하게 되어 상기 토출부(330)를 통해 조각얼음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토출부(330)에는 상기 이송부재(4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토출부(3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340)가 마련된다. 상기 개폐부재(340)는 상기 이송부재(400)가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통 얼음이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부(330)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이송부재(4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의 얼음은 파쇄된 상태의 조각얼음 또는 통얼음 상태로 선택적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400)는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의 얼음과 항상 접촉되고 있는 상태로, 상기 이송부재(400)의 회전시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의 얼음들을 유동시키게 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이송부재(400)는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의 얼음이 서로 엉기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송부재(400)의 구조는 상기 아이스 빈(300)의 구조 및 얼음의 배출 구조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며, 블레이드 형상이 아닌 나선 형상을 가지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송부재의 구조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 동작되는 다양한 구조의 이송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부재(400)의 좌우 양측면 즉, 상기 양측벽(313)에는 진동 발생장치(500)가 구비된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는 상기 아이스 빈(300)을 진동시켜 상기 아이스 빈(300)의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엉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는 전기 모터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 또는 초음파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구조의 전기모터를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및 초음파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 상기 아이스 빈(300)을 진동 시킬 수 있는 다른 구조의 진동 발생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는 구동시 상기 아이스 빈(300)을 진동시켜,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의 얼음을 간접적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의 얼음에 직접적이고 강한 충격을 가하지 않게 되어 얼음이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서로 엉겨붙지 않도록 하게 된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는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의 얼음들의 상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시점에 구동될 수도 있고, 일정한 시간간격마다 주기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예컨데, 상기 냉장고(1)의 제상운전의 실시 중 또는 직후에는 고내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에 저장된 얼음 또는 일부가 녹을 수도 있다. 얼음이 녹은 상태에서 고내의 온도가 다시 낮아지게 되면 녹은 얼음이 다시 어는 과정에서 인접한 얼음들과 엉겨붙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는 제상운전이 종료되면 설정시간 간격으로 동작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아이스 빈(300)의 진동에 의해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의 얼음이 서로 엉겨붙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는 상기 제빙실(130)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높아지거나, 상기 제빙실(130) 또는 고내의 온도 변화가 설정값 이상이 될 경우 동작될 수 있게 된다. 즉, 얼음이 녹을 수 있는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재 냉각에 의한 얼음의 결빙시 서로 엉겨붙지 않도록 설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가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는 고내 또는 상기 제빙실(130) 내부의 온도와는 관계없이 설정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300)의 내부에 수용된 얼음의 양에 따라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의 동작 주기가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는 상기 이송부재(400)와 연계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아이스 빈(300)의 내부에 얼음이 엉겨 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일정 주기로 동작되는 상기 이송부재(400)의 동작 주기 사이에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가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빈(300)의 내부에 얼음이 엉기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이송부재(400)의 동작 주기를 길게 하여 상기 아이스 빈(300)의 내부에 저장된 얼음의 파손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는 상기 아이스 빈(300)의 좌우 양측면, 즉 상기 양측벽(313)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는 좌우 양측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양측의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는 동시에 또는 교번으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는 상기 아이스 빈(3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빙실(130)의 내측에 장착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는 상기 아이스 빈(300)의 배면 및 다른 일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의 일측 또는 상기 아이스 빈(300)의 일측에는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의 구동을 위해 전원 연결부(5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연결부(510)는 상기 아이스 빈(300)의 장착시 대응하는 상기 제빙실(130)의 내부 측벽 또는 상기 지지 기구(240)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빈(300)의 장착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 발생장치(5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진동 발생장치가 상기 제빙실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의한 제빙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의 제빙실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배면에는 제빙실(130)이 형성되며, 상기 제빙실(13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빙실 도어(14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빙실(130)의 내부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300)은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빙실(130)의 내측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30)의 내부 일측면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11)가 닫혔을 때, 상기 공급덕트(도 2에서, 106) 및 회수덕트(도 2에서, 108)와 연통될 수 있는 통로(131,312)가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30)의 내부 하면에는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배출구(133)가 더 형성된다.
한편, 제빙실(130)의 좌우 양측 벽면에는 진동 발생장치(520)가 구비된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520)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그것과 장착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520)는 상기 아이스 빈(300)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의 얼음이 엉겨붙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아이스 빈(300)의 장착시 상기 아이스 빈(300)의 좌우 양측면과 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520)는 상기 제빙실(130)의 좌우 양측면이 아닌 다른 일측면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빈(300)과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제빙 어셈블리가 냉동실의 내측에 구비되며, 진동 발생장치가 상기 냉동실 내부의 아이스 빈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제 3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2)는 좌우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610)과 냉동실(620)을 형성하는 캐비닛(600)과, 상기 캐비닛(60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610)과 냉동실(620)을 각각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612) 및 냉동실 도어(622)에 의해 외형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622)의 전면에는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디스펜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622)의 배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빙 어셈블리(700)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미도시)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아이스 슈트(62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620)의 내부에는 제빙 어셈블리(700)가 구비된다. 상기 제빙 어셈블리(700)는 급수된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71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710)로부터 공급되는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720)과 상기 아이스 메이커(710)와 상기 아이스 빈(720)이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빙 케이스(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빙 어셈블리(700)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7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과 만빙 감지를 위한 감지수단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720) 내부의 얼음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재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720)의 좌우 양측에는 진동 발생장치(7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740)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그것과 장착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740)는 상기 아이스 빈(72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빈(720)의 장착시 상기 진동 발생장치(740)에 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 발생장치(740)는 상기 아이스 빈(720)과 인접하는 상기 제빙 케이스(730)의 내측 또는 상기 냉동실(620)을 형성하는 고내 측벽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이스 빈(720)의 장착시 상기 아이스 빈(720)의 측면이 상기 진동 발생장치(740)와 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진동 발생장치(7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아이스 빈(720)이 진동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빈(720)의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엉겨붙지 않도록 상기 진동 발생장치(740)는 설정된 조건에서 동작되어 상기 아이스 빈(720)을 진동시켜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 발생장치(740)는 상기 아이스 빈(720)에 구비되는 이송부재와 연계되어 구동됨으로써 상기 아이스 빈(720)에 저장된 얼음이 서로 엉겨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제빙 어셈블리가 냉동실의 도어에 구비되며,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아이스 빈 또는 상기 냉동실 내부의 양측벽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제 4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3)는 좌우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810)과 냉동실(820)을 형성하는 캐비닛(800)과, 상기 캐비닛(8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810)과 냉동실(820)을 각각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812) 및 냉동실 도어(822)에 의해 외형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822)의 전면에는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디스펜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822)의 배면에는 급수되는 물로 얼음을 만들어 저장하는 제빙 어셈블리(900)와 상기 제빙 어셈블리(900)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아이스 슈트(824)가 구비된다.
상기 제빙 어셈블리(900)는 급수되는 물로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91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910)로부터 공급되는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920),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920) 내부의 얼음을 이송시키기 위해 수직한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동작되는 이송부재(9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빙 어셈블리(900)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9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과 만빙 감지를 위한 감지수단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920)은 상기 제빙 어셈블리(9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920)은 외부에서 내부의 얼음 저장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920)의 좌우 양측에는 진동 발생장치(9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930)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그것과 장착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930)는 상기 아이스 빈(92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빈(920)의 장착시 상기 진동 발생장치(930)에 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 발생장치(930)는 상기 냉동실 도어(822)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제빙 어셈블리(900)는 상기 냉동실 도어(822) 상측의 제빙 어셈블리 장착부(826)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 발생장치(930)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 장착부(826)에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빈(920)의 장착시 상기 진동 발생장치(930)와 상기 아이스 빈(920)은 서로 접하는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 발생장치(9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아이스 빈(920)이 진동되어 상기 아이스 빈(920) 내부의 얼음이 서로 엉겨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진동 발생장치(930)는 상기 냉동실(820)의 내측 벽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진동 발생장치(930)는 상기 냉동실 도어(822)가 닫혔을 때 상기 아이스 빈(920)의 좌우 양측면과 대응되는 상기 냉동실(820)의 내측 벽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930)는 상기 냉동실 도어(82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빈(920)과 접하게 되어 상기 아이스 빈(92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빈(920)의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엉겨붙지 않도록 상기 진동 발생장치(930)는 설정된 조건에서 동작되어 상기 아이스 빈(920)을 진동시켜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아이스 빈에 구비되는 이송부재와 연계되어 구동됨으로써 상기 아이스 빈에 저장된 얼음이 서로 엉겨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
200. 제빙 어셈블리 210. 아이스 메이커
300. 아이스 빈 400. 이송부재
500. 진동 발생장치

Claims (20)

  1. 냉장실 및 냉동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동실 영역의 일측에 구비되며, 급수되는 물로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빈; 및
    상기 아이스 빈의 일측에 구비되며, 진동에 의해 상기 아이스 빈 내부의 얼음이 엉기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초음파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전기 모터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아이스 빈의 좌우 양 측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빈은 냉동실에 구비되며,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냉동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빈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냉동실 도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빈에는 상기 얼음의 엉김 및 이송을 위해 회전되는 이송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제상운전 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아이스 빈 내부의 온도변화가 설정값 이상이 될 경우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설정시간 간격으로 반복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냉장실과 냉동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 도어에 제빙을 위한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의 내부에 구비되어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제빙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부터 이송되는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빈; 및
    상기 제빙실 내측에 구비되며, 진동에 의해 상기 아이스 빈 내부의 얼음이 엉기지 않도록 하는 진동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초음파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전기 모터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아이스 빈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제빙실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빈에는 상기 얼음의 엉김 및 이송을 위해 회전되는 이송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이송부재의 동작 주기 사이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제상운전 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아이스 빈 내부의 온도변화가 설정값 이상이 될 경우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장치는 설정시간 간격으로 반복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00104517A 2010-10-26 2010-10-26 냉장고 KR20120043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517A KR20120043290A (ko) 2010-10-26 2010-10-26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517A KR20120043290A (ko) 2010-10-26 2010-10-26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290A true KR20120043290A (ko) 2012-05-04

Family

ID=4626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517A KR20120043290A (ko) 2010-10-26 2010-10-26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32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507A1 (en) * 2015-10-14 2017-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EP3696481A1 (de) * 2019-02-15 2020-08-19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507A1 (en) * 2015-10-14 2017-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70043735A (ko) * 2015-10-14 2017-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0365026B2 (en) 2015-10-14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0794622B2 (en) 2015-10-14 2020-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573040B2 (en) 2015-10-14 202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EP3696481A1 (de) * 2019-02-15 2020-08-19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US11209202B2 (en) 2019-02-15 2021-12-28 Liebherr-Hausgerate Ochsenhausen Gmbh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ice cubes and for preventing or reversing ice cube clump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995B1 (ko) 냉장고
KR101406187B1 (ko) 제빙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EP2455691B1 (en) Refrigerator
JP5571746B2 (ja) 冷蔵庫
KR101584806B1 (ko) 냉장고
KR101639436B1 (ko) 냉장고
KR101713327B1 (ko) 냉장고
KR101067219B1 (ko) 냉장고
KR101696860B1 (ko)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상수 포집 방법
KR20130028324A (ko) 냉장고
KR20110072367A (ko) 냉장고
EP2808627B1 (en) Refrigerator
EP2541173B1 (en) Ice bank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KR20100092168A (ko)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00137637A (ko) 제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20082990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JP5586534B2 (ja) 冷凍冷蔵庫
KR20090075911A (ko) 냉장고
KR20190103807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0709402B1 (ko) 냉장실도어에 구비된 제빙실의 제빙시스템
KR20120043290A (ko) 냉장고
KR101480458B1 (ko) 냉장고
KR20110072393A (ko) 냉장고
KR101652213B1 (ko) 냉장고
KR101639441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