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441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441B1
KR101639441B1 KR1020090129257A KR20090129257A KR101639441B1 KR 101639441 B1 KR101639441 B1 KR 101639441B1 KR 1020090129257 A KR1020090129257 A KR 1020090129257A KR 20090129257 A KR20090129257 A KR 20090129257A KR 101639441 B1 KR101639441 B1 KR 101639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ool air
ice maker
wat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2368A (ko
Inventor
강성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441B1/ko
Priority to US12/758,832 priority patent/US8769981B2/en
Publication of KR20110072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냉장고를 제안한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및 상기 냉장실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에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에 배치되며, 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기 위한 아이스 빈; 냉기를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안내하는 냉기 덕트;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되는 물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커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서 연장되며, 상기 냉기 덕트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가이드하는 냉기 가이드가 포함된다.
냉장고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온의 공기에 의해서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냉장고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과 냉동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 도어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에는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제빙 어셈블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어셈블리는, 얼음을 생성하는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분리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빈이 포함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아이스 빈은, 상기 저장실 내부 또는 냉장고 도어에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냉장고 도어에는, 아이스 빈에 저장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빙 어셈블리가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에 제빙실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에는 상기 제빙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덕트가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의 냉장고에 의하면, 상기 공급 덕트의 냉기가 상기 제빙실로 직접 배출되므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냉기가 골고루 공급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냉기가 골고루 공급되지 않으면 얼음 생성 속도가 늦어져 전력 소모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제빙 어셈블리가 컴팩트해지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신속한 얼음의 생성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및 상기 냉장실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에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에 배치되며, 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기 위한 아이스 빈; 냉기를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안내하는 냉기 덕트;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되는 물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커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서 연장되며, 상기 냉기 덕트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가이드하는 냉기 가이드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냉장실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에는, 제빙실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상기 제빙실에 배치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방에 배치되어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빈; 상기 제빙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덕트; 상기 제빙실 내에 위치되어 상기 공급 덕트의 냉기를 상기 아이스 메이커 측으로 안내하는 냉기 덕트; 및 상기 냉기 덕트와 상기 제빙실을 형 성하는 도어 라이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물을 안내하는 물 안내부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빙실 내부에 구비되는 냉기 덕트와, 냉기 가이드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 측으로 냉기가 집중될 수 있으므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력 소비가 줄어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냉기 덕트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냉기가 골고루 분배되므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의 얼음 생성 속도가 차이가 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안내부가 상기 냉기 덕트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냉기 덕트의 측방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제빙 어셈블리가 컴팩트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빙 어셈블리가 컴팩트해지면, 상기 제빙실의 부피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 덕트의 하측에 냉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물 안내부가 상기 냉기 덕트의 외측방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냉기 덕트에서 토출되는 냉기에 의해서 상기 물 안내부의 결빙 또는 상기 물 안내부의 상방에 위치한 상기 급수관의 결빙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안내부의 물 토출구의 유로 단면적이 상기 물 유입구의 유로 단면적 보다 크므로, 물이 상기 물 토출구에서 토출될 때, 물이 퍼짐에 따른 물 튀김 현상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 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중 일부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에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는 냉장고 도어(11, 14)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보관되기 위한 저장실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02)과, 상기 냉장실(102)의 하방에 위치되는 냉동실(104)이 포함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일 례로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프리즈 타입(Bottom freeze type)의 냉장고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장고 도어(11, 14)에는, 상기 냉장실(102)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11)와, 상기 냉동실(104)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14)가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어(12, 13)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도어(12, 13)에는, 제 1 냉장실 도어(12)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냉장실 도어(1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 및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3)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14)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어(15, 16)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도어(15, 16)에는, 제 1 냉동실 도어(15)와, 상기 제 1 냉동실 도 어(15)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 2 냉동실 도어(16)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12, 13)는 회전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냉동실 도어(15, 16)는 슬라이딩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한 도어에는,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7)가 구비된다. 도 1에는, 일 례로 제 1 냉장실 도어(12)에 상기 디스펜서(17)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한 도어에는 얼음을 생성 및 저장하기 위한 제빙 어셈블리(후술함)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펜서(17) 및 제빙 어셈블리는, 제 1 냉장실 도어(12) 또는 제 2 냉장실 도어(13)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펜서(17) 및 제빙 어셈블리가 제 1 냉장실 도어(12) 및 제 2 냉장실 도어(13)를 통칭하는 냉장실 도어(11)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빙실에서 제빙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의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아우터 케이스(1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12)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112)는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배면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 라이너(112)는 제빙실(ice compartment: 120)을 형성한다. 상기 제빙실(120) 내에는 얼음을 생성 및 보관하기 위한 제빙 어셈블리(200)가 배치된 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20)은 제빙실 도어(130)에 의해서 개폐된다. 상기 제빙실 도어(130)는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 힌지(139)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도어(130)에는, 상기 제빙실 도어(130)가 상기 제빙실(120)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 결합되기 위한 핸들(14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는 상기 핸들(140)의 일부가 결합되는 핸들 결합부(128)가 형성된다. 상기 핸들 결합부(128)는 상기 핸들(140)의 일부를 수용한다.
상기 캐비닛(10)에는 냉기를 상기 제빙실(120)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본체 공급 덕트(106)와 상기 제빙실(120)로부터 냉기를 회수하기 위한 본체 회수 덕트(108)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 공급 덕트(106) 및 상기 본체 회수 덕트(108)는 도시되지 않은 증발기가 위치하는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상기 본체 공급 덕트(106)의 냉기를 상기 제빙실(120)로 공급하는 도어 공급 덕트(122)와, 상기 제빙실(120)의 냉기를 상기 본체 회수 덕트(108)로 회수하는 도어 회수 덕트(124)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 및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는 상기 도어 라이너(110)의 외측벽(113)에서 상기 제빙실(120)을 형성하는 내측벽(114) 까지 연장된다.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와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가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의 상방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와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1)가 상기 냉장실(102)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는 상기 본체 공급 덕트(106)와 정렬되어 연통되고,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는 상기 본체 회수 덕트(108)와 정렬되어 연통된다.
상기 제빙실(200)에는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를 유동한 냉기를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로 안내하는 냉기 덕트(290)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 덕트(290)에는 냉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냉기 덕트(290)를 유동한 냉기가 최종적으로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냉기 덕트(290)에 의해서 냉기가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 측으로 집중될 수 있으므로, 얼음의 신속한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커넥터(125)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커넥터(125)는 상기 제빙실(120)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26)이 구비된다.
상기 급수관(126)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와 상기 도어 라이너(112)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도어 라이너(112)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실(120)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20)을 형성하는 상기 도어 라이너(112)의 내측벽(114) 하측에는 얼음이 토출되는 개구부(12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20)의 하방에는 상기 개구부(127)와 연통되는 얼음 덕트(150)가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제빙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제빙 어셈블리(200)는,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생성된 얼음을 지지하는 아이스 메이커(21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220)과, 상기 구동원(220)의 동력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전달하는 기어박스(224)와, 상기 급수관(126)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안내하는 물 안내부(24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가 안착되는 안착부(215)가 구비되는 지지 기구(25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300)과, 상기 아이스 빈(300)의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만빙 감지기(270)와, 상기 아이스 빈(3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모터 어셈블리(280)가 포함된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280)와 연결되는 전선 및 상기 구동원(220)에 연결되는 전선은 제 2 커넥터(282)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커넥터(282)는 상기 제 1 커넥터(125)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일측에는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회전샤프트(21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샤프트(212)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측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상기 회전 샤프트(212)가 형성되는 면에는 상기 안착부(215)에 안착되기 위한 돌출부(2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상단 양측에는 냉기를 모아주는 가이드리브(21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 가이드리브(214)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기어 박스(224)는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기어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 박스(224)에는 다수의 기어 중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225)가 포함된다.
상기 연결부(225)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가 함께 회전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225)의 단면은 비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25)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타측에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부(225)는 상기 회전축(212)의 반대편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기구(250)에는, 제 1 지지부(252)와, 상기 제 1 지지부(252)와 결합되는 제 2 지지부(26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지지부(252)는 상기 제빙실(120)에 안착된다. 상기 제 1 지지부(252)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28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부(252)의 바닥면에는 상기 아이스 빈(300)에서 토출된 얼음이 통과하는 얼음 개구(2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300)은 상기 제 1 지지부(252)에 안착된다. 즉, 상기 제 1 지지부(252)는 상기 아이스 빈(300)을 지지한다.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 1 지지부(252)에 안착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280)는 상기 아이스 빈(300)과 연결된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280)에는 상기 아이스 빈(300)으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빈(300)과 연결되는 연결 부(281)가 포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 1 지지부(252)에 안착된 상태는,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빙실(120)에 수용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 1 지지부(252)에는 상기 제빙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254)가 설치되는 센서 하우징(255)이 포함된다. 상기 센서 하우징(255)은 상기 제 1 지지부(252)의 전면 상단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하우징(255)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중앙부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260)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돌출부(213)가 안착되는 안착부(215)가 포함된다. 상기 돌출부(213)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가 미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215)에 안착된다. 상기 안착부(215)에는 상기 회전 샤프트(212)가 관통하기 위한 홀(215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260)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물이 공급될 때, 물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230)와, 상기 구동원(220)이 설치되는 설치부(264)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원(220)은 상기 설치부(264)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 박스(224)는 상기 설치부(264)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230)는 상기 설치부(264)에서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30)의 하단부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상단부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커버(230)에는 상기 냉기 덕트(290)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상기 아이스 메이커 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냉기 가이드(236)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가 이드(236)는 상기 커버(230)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상기 냉기 가이드(236) 측면에서 보면, 상기 커버는 상기 냉기 가이드(236)에서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라운드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가이드(236)와 상기 커버(230)는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 가이드(236)를 따라 유동하는 냉기 중 일부는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커버(230)의 라운드면을 따라 이동한 후에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23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물 넘침을 방지하는 역할 외에 냉기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지지부에는, 상기 만빙 감지기(27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부(261)가 포함된다. 상기 설치부(261)에는 상기 만빙 감지기(270)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부(262)가 형성된다. 상기 만빙 감지기(270)는 상기 설치부(261)의 후방에서 상기 개구부(262)를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만빙 감지기(270)는 상기 개구부(262)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설치부(261)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만빙 감지기(27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2 지지부(261)에 설치된다.
상기 만빙 감지기(270)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271)와, 상기 송신부(271)와 이격되며 상기 송신부(271)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72)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271) 및 상기 수신부(272)는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 1 지지부(25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상기 만빙 감지기(270)가 상기 지지 기구(250)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만빙 감지기(270)의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제빙 어셈블리를 상기 제빙실에서 인출하여 상기 만빙 감지기(270)의 수리 또는 교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증가된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기 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냉기 덕트(290)에는, 내부에 냉기 유로(P)가 형성되는 몸체부(291)와, 상기 몸체부(291)의 상측을 덮는 커버부(299)가 포함된다. 상기 몸체부(291)와 상기 커버부(299)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291)에는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와 연통되는 냉기 유입구(292)와, 냉기가 토출되는 다수의 냉기 토출구(293)가 포함된다.
상기 냉기 유입구(292)는 상기 몸체부(291)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냉기 토출구(293)는 상기 몸체부(291)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91)의 하면은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 이유는 상기 냉기 덕트(290)를 작게 하면서도 냉기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골고루 토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몸체부(291)는 상기 냉기 유입구(292)에서 멀어질수록 상하 길이가 짧아지도록 단차진다. 즉, 상기 몸체부(291) 내부의 냉기 유로(P) 단면적은 상기 냉기 유입구(292)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이 때, 상기 냉기 유로(P)의 단면적은 연속적으로 감소되거나 단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91)의 내부에는 상기 냉기 유입구(292)에서 상기 다수의 냉기 토출구(293) 측으로 냉기 유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 리브(294)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294)는 유동하는 냉기의 유동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291)의 내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리브(294)는 상부 가이드 리브(295)와 다수의 하부 가이드 리브(296)가 포함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 리브(295)는 상기 몸체부(261)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하부 가이드 리브(296)는 상기 몸체부(261)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하부 가이드 리브(296)는 냉기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냉기의 유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 리브(295)에는 경사면(296a)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96a)은 상기 냉기 유입구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 리브(295)는 상기 몸체부(60) 내부 중 공기의 최대유속구간, 실질적으로는 상기 몸체부(291)의 중앙부 근처에 구비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상부가이드리브(72)가 최대 유속구간에 있어야, 공기의 유동 방향 변화의 효과도 크게 얻을 수 있으며, 변화된 유동 방향을 따라서 공기가 더 멀리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물 안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물 안내부(240)는, 내부에 물 유로(243)가 형성되는 몸체부(241)가 포함된다. 상기 몸체부(241)의 상측에는 물 유입구(242)가 형성되고, 하측에 물 토출구(246)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41)의 하측에는 상기 물 유로(243)의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하기 위한 축소부(244)가 형성되고, 상기 축소부(244)의 하단에 상기 물 토출구(246)가 형성된다. 즉, 상기 물 토출구(246)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물 유입구(242)의 유로 단면적 보다 크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126)은 상기 물 유입구(242)의 상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물 유입구(242)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급수관(126) 단부의 유로 단면적 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126)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물 안내부(240) 외측으로 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토출구(246)의 유로 단면적이 상기 물 유입구(242)의 유로 단면적 보다 크므로, 물이 상기 물 토출구(246)에서 토출될 때, 물이 퍼짐에 따른 물 튀김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126)은 상기 물 토출구(246)와 오버랩되지 않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급수관(126)에서 배출된 물이 수직 낙하되어 상기 물 토출구(426)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낙하된 물이 주변으로 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 주변으로 물 튀김이 방지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얼음이 형성되는 부분 외의 부분이 결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제빙 어셈블리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아이스 빈이 분리된 상태에서의 제빙 어셈블리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냉기 덕트(29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회전 샤프트(212)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냉기가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냉기가 골고루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덕트(290)의 다수의 냉기 토출구(293)는 상기 냉기 가이드(236)의 상방에 위치된다. 그 이유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와 상기 냉기 덕트(290)의 가까울수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특정 부분에만 냉기가 공급되므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 전체에서 얼음의 생성 속도가 불균일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냉기 토출구(293)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직 상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덕트(290)의 하면은 상기 냉기 가이드(236)의 하면과 인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 덕트(290)를 유동한 냉기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직 상방에서 하방으로 토출되고, 토출된 냉기는 상기 냉기 가이드(236) 및 커버(230)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이동되므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 측으로 냉기가 집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빙실(120)로 공급된 공기 중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빙실(120)에서 배출되는 공기량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력 소비가 줄어들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빙실에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도시되지 않은 증발기를 통과한 냉기 중 일부를 상기 제빙실로 공급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한 일 례로서 압축기의 출력 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 경우 전력 소비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빙실에서의 얼음 생성 시간이 단축되면, 상기 압축기의 출력 량을 줄이거나, 출력 량을 늘린 상태에서 운전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전력 소비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상기 냉기 덕트(290)의 하면이 단차지므로, 상기 냉기 가이드(236)는 상기 냉기 덕트(290)와 대응되는 현상으로 단차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원(22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상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 덕트(290)를 유동한 냉기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를 향하여 하방으로 토출되고 토출된 공기는 상기 냉기 가이드(236)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이동하므로, 냉기가 상기 구동원(220)으로 직접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물 안내부(240)는 상기 제 2 지지부(26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물 안내부(240)는 상기 냉기 덕트(290)의 측방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물 안내부(240)는 상기 냉기 덕트(290)와 상기 도어 라이너(112) 사이에 배치된다(도 14참조).
그리고, 상기 물 안내부(240)는 상기 냉기 덕트(210)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물 안내부(240)가 상기 냉기 덕트(290)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냉기 덕트(210)의 측방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가 컴팩트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기 덕트(290)의 하측에 다수의 냉기 토출구(293)가 형성되고, 상기 물 안내부(240)가 상기 냉기 덕트(290)의 외측방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냉기 덕트(290)에서 토출되는 냉기에 의해서 상기 물 안내부(240)의 결빙 또는 상기 물 안내부(240)의 상방에 위치한 상기 급수관(126)의 결빙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물 안내부(240)의 물 토출구(246)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직 상방에 배치된다. 즉, 상기 물 토출구(246)에서 수직 방향으로 낙하된 물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직접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되는 물의 유로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하측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 센서 유닛(216)이 결합된다. 상기 온도 센서 유닛(216)에서 측정된 온도에 의해서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서 제빙의 완료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구동원(220)의 동작 여부가 결정된다.
상기 온도 센서 유닛(216)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하측에 결합되므로, 상기 온도 센서 유닛(216)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된다.
한편, 상기 만빙 감지기(27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송신부(271)와 상기 수신부(272)의 거리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좌우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낙하되는 얼음과 상기 만빙 감지기(270)의 간섭이 방지되고, 상기 아이스 빈(300)의 만빙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 하우징(255)은 상기 냉기 덕트(290)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기 덕트(290)에서 토출된 냉기가 상기 센서 하우징(255)에 설치된 온도 센서(254)로 직접 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 센서(254)에서 상기 제빙실(120)의 실제 온도 보다 높은 온도가 감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빈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빈(300)은, 상측에 개방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아이스 빈(300)은, 전면벽(311)과, 후면벽(312), 양측 벽(313)을 포함한다.
상기 아이스 빈(300)의 내부에는, 보관된 얼음을 지지하고, 보관된 얼음이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미끌어져 내려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면(320)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벽(311)과, 후면벽(312), 양측벽(313), 및 상기 경사안내면(320)에 의해서 얼음이 보관되는 얼음저장공간(315)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벽(312)에는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빙실(12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송신부(271) 및 상기 수신부(272)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312a, 312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빙실(120)에 수용되면, 상기 송신부(271) 및 상기 수신부(272)는 상기 개구부(312a, 312b)를 통하여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얼음저장공간)로 인입된다.
상기 경사안내면(320)은 제1경사안내면(321)과 제2경사안내면(3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은 양측벽(313) 중 어느 한 벽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고,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는 양측벽(313) 중 다른 한 벽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다.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과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의 사이에는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얼음을 상기 아이스 빈(300) 외부로 토출하는 얼음토출부재(40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얼음토출부재(400)의 좌우에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과 상기 제2 경사안내면(322)이 위치된다.
상기 얼음토출부재(400)는 얼음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부(411)를 형 성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블레이드(410)가 포함된다. 얼음의 용이한 토출을 위해서는 상기 얼음토출부재(400)는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와 상호 작용에 의해서 얼음을 파쇄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블레이드(480)가 구비된다. 얼음의 파쇄가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아이스 빈 내부에는,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와 상기 아이스 빈(300)의 전면벽(311) 사이에 얼음이 끼여서 정체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아이스 빈(300)의 전면벽(311)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블레이드(410)를 향하여 돌출되는 얼음끼임방지부(330)가 마련된다.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 및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는 회전축(420)에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420)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도 6의 280참조)에 의해서 양 방향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300)의 하측에는, 통 얼음 또는 조각 얼음이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5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20)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 블레이드(480)의 반대편에는 통 얼음이 배출될 때 동작되는 개폐부재(600)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600)는 도시되지 않은 탄성 부재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300)에서 조각 얼음을 배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회전축(420)은 제1방향(일 례로 도 1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와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얼음이 파쇄되어, 조각 얼음이 상기 토출구(510)를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된다.
반면, 상기 아이스 빈에서 통 얼음을 배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회전축은 제2 방향(도 1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의 공간부(411)에 위치되었던 얼음이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개폐부재(6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가 지속적으로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각 회전블레이드(410)가 상기 개폐부재(600) 위에 놓인 얼음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의 가압력이 상기 얼음을 매개로 하여 상기 개폐부재(600)에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얼음과 회전블레이드(410)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600)는 아랫방향으로 회전되어 통 얼음이 외부로 토출된다.
도 1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에는 제빙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2, 도 4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공급 덕트(122)와, 도어 회수 덕트(124)가 포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과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는 장착 위에서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도어 공급 덕트(122)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는, 냉기 입구(122a)와 냉기 출구(122b)와 상기 냉기 입구(122a)와 상기 냉기 출구(122b)를 연결하는 연결부(122c)가 포함된다. 그리 고, 상기 냉기 출구(122b)는 상기 냉기 덕트(290)의 냉기 유입구(292)와 연통된다.
상기 냉기 입구(122a)는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냉기 입구(122a)의 상하 길이는 상기 냉기 출구(122b)의 상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반면, 상기 냉기 입구(122a)의 좌우 길이는 상기 냉기 출구(122b)의 좌우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냉기 입구(122a)에서 상기 냉기 출구(122b) 측으로 갈수록, 상기 연결부(130)의 상하 길이는 줄어들고, 좌우 길이는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22c)에는 상기 냉기 입구(122a)에서 상기 냉기 출구(122a)로 갈수록 경사지는 경사면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122a)에는 실러(12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러는 상기 냉장실 도어(11)가 상기 냉장실(102)을 닫았을 때, 상기 본체 공급 덕트(106)가 위치되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 공급 덕트(106)의 냉기는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로 이동하고,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의 냉기는 상기 냉기 덕트(290)로 공급된다. 본 실시 예에서 냉기 덕트(290)는 상기 제빙실(120) 내에 위치되므로,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에서 배출된 냉기는 상기 제빙실(120)로 유입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고, 상기 제빙실(12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냉기 덕트(290)에 의해서 아이스 메이커(210)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도 2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아이스 메이커에서 얼음이 분리되기 위하여 아이스 메이커가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지지부(260)에는 상기 커버(230)와 대응되는 형상의 라운드부(232)가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부(232)는 상기 커버(23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라운드부(232)는 상기 커버(230)와 마찬가지로 냉기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이하에서는 얼음이 생성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원(220)으로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원(220)이 동작된다. 상기 구동원의 동력은 상기 기어박스(224)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전달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 전체가 회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트위스팅 동작에 의해서 분리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트위스팅 동작 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일단과 타단이 상대 운동하여 비틀림이 발생하여, 얼음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트위스팅 동작 원리는 공지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빈(300)의 입구(301a)를 통하여 상기 아이스 빈(300)으로 낙하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얼음 중 일부는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로 직접 낙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으로 낙하되고,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으로 낙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파쇄된 조각 얼음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축(420)은 제1방향으로 회전되고, 통 얼음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축(420)은 제2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아이스 빈(300)에서의 얼음의 이동에 대해서 정리하면,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로 직접 낙하된 얼음은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의 회전 과정에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으로 낙하된 얼음은 자중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의 제1방향 회전시 상기 공간부(411)로 이동되고,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의 회전 과정에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으로 낙하된 얼음은 자중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의 제2방향 회전 시 상기 공간부(411)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의 회전 과정에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각 경사안내면(321, 322) 상의 얼음은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움직이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아이스 빈(300)의 내부에는 별도의 이송 수단이 구비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회전 블레이드(410)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저장된 얼음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 빈 내부에서의 얼음은, 얼음 들 간의 상호 이동에 따른 움직임을 제외하고는, 상기 아이스 빈(300)의 입구(301a)에서 상기 토출구(510)까지 상측에서 하측으로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 빈(300)의 입구(301a)와 상기 아이스 빈(300)의 토출구(510), 상기 제 1 지지부(252)의 얼음 개구(253), 상기 도어 라이너(112)의 개구부(127), 상기 얼음 덕트의 입구(152) 및 출구(154)는 서로 중첩시켰을 때, 오버랩되는 공통 영역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얼음의 이동 경로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중 일부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빙실에서 제빙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의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7은 상기 제빙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기 덕트의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물 안내부의 사시도.
도 10은 상기 제빙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11은 아이스 빈이 분리된 상태에서의 제빙 어셈블리의 하부 사시도.
도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빈의 사시도.
도 1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4는 도 2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서 아이스 메이커에서 얼음이 분리되기 위하여 아이스 메이커가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Claims (16)

  1.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의 하측에 배치되는 냉동실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냉동실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 및
    상기 냉장실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을 개폐시키는 제빙실 도어;
    상기 제빙실의 측면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빙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도어 공급 덕트;
    상기 제빙실의 측면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빙실의 냉기를 회수하기 위한 도어 회수 덕트;
    상기 제빙실에 배치되며, 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기 위한 아이스 빈;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
    상기 급수관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안내하는 물 안내부; 및
    상기 도어 공급 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공급 덕트에서 유입된 냉기를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를 가지는 냉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물 안내부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상측에서 상기 냉기 덕트와 이격되는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냉기 덕트의 측방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냉기덕트는,
    상기 도어 공급 덕트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어 공급 덕트와 연통되는 냉기 유입구와, 냉기가 토출되는 냉기 토출구를 구비하여 내부에 냉기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냉기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냉기 유입구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되는 물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커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서 연장되며, 상기 냉기 덕트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가이드하는 냉기 가이드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의 하측에는 냉기가 토출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냉기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냉기 토출구는 상기 냉기 가이드의 상방에 위치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의 하면은 단차지고, 상기 냉기 가이드의 상면은 상기 냉기 덕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차지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방으로 라운드지고,
    상기 냉기 가이드는 상기 커버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안내부는 상기 냉기 덕트 내부의 냉기 유동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냉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반대편에는 상기 커버와 대응되는 형상의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제빙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설치되는 센서 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냉기 덕트의 측방에 위치되고,
    상기 냉기 덕트의 하측에는 하나 이상의 냉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측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 유닛이 결합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자동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 박스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안내부는 물 유입구와 물 토출구가 포함되며,
    상기 물 토출구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물 유입구의 유로 단면적 보다 작은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안내부에서 배출된 물은 수직 하방으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되는 냉장고.
  15. 삭제
  16. 삭제
KR1020090129257A 2009-12-22 2009-12-22 냉장고 KR101639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257A KR101639441B1 (ko) 2009-12-22 2009-12-22 냉장고
US12/758,832 US8769981B2 (en) 2009-12-22 2010-04-13 Refrigerator with ice maker and ice level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257A KR101639441B1 (ko) 2009-12-22 2009-12-22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368A KR20110072368A (ko) 2011-06-29
KR101639441B1 true KR101639441B1 (ko) 2016-07-22

Family

ID=4440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257A KR101639441B1 (ko) 2009-12-22 2009-12-2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4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377A (ko) * 2017-07-21 201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036681A (ko) * 2017-09-28 2019-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20051A1 (en) 2015-08-31 2023-08-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272B1 (ko) * 2004-03-24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KR100809749B1 (ko) * 2007-03-28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아이스메이커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175B1 (ko) * 1991-12-17 1996-06-20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냉장고의 제빙장치
JPH05296623A (ja) * 1992-04-17 1993-11-09 Hitachi Ltd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272B1 (ko) * 2004-03-24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KR100809749B1 (ko) * 2007-03-28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아이스메이커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377A (ko) * 2017-07-21 201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47436B1 (ko) * 2017-07-21 202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036681A (ko) * 2017-09-28 2019-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05330B1 (ko) * 2017-09-28 2022-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368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322B1 (ko) 냉장고
US8769981B2 (en) Refrigerator with ice maker and ice level sensor
EP2474798B1 (en) Refrigerator with an ice-making device
EP3062048B1 (en) Refrigerator
EP3059526B1 (en) Ice-making tray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101718995B1 (ko) 냉장고
US9109826B2 (en) Bladed ice dispensing system for an ice compartment in a refrigeration chamber
EP2541173B1 (en) Ice bank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EP2159516A2 (en) Refrigerator having multiple icemakers
KR20100133155A (ko)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EP2808627B1 (en) Refrigerator
KR20100113206A (ko) 냉장고
KR101776297B1 (ko) 냉장고
KR20080020126A (ko) 냉장고
KR101639441B1 (ko) 냉장고
KR100607288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제빙용 냉기 유로 구조
KR10183051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652213B1 (ko) 냉장고
KR20100027955A (ko) 냉장고
KR101691226B1 (ko) 냉장고
KR101596502B1 (ko) 냉장고
KR101639440B1 (ko) 냉장고
KR101519156B1 (ko) 냉장고
KR20120043290A (ko) 냉장고
KR20060102058A (ko) 급속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