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33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5330B1 KR102405330B1 KR1020170125859A KR20170125859A KR102405330B1 KR 102405330 B1 KR102405330 B1 KR 102405330B1 KR 1020170125859 A KR1020170125859 A KR 1020170125859A KR 20170125859 A KR20170125859 A KR 20170125859A KR 102405330 B1 KR102405330 B1 KR 1024053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 cold air
- making tray
- refrigerator
- ma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며, 제빙을 위한 물이 수용되는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제빙트레이의 상부에 구비되며, 고내에서 상기 제빙트레이 측으로 제공되는 냉기를 공급받는 냉기유입부와, 상기 냉기유입부에서 토출된 냉기가 상기 제빙트레이의 상부를 경유하여 토출되도록 냉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냉기가이드 및 상기 냉기가이드에 의해 제빙트레이의 상부를 경유한 냉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냉기배출부를 포함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며, 제빙을 위한 물이 수용되는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제빙트레이의 상부에 구비되며, 고내에서 상기 제빙트레이 측으로 제공되는 냉기를 공급받는 냉기유입부와, 상기 냉기유입부에서 토출된 냉기가 상기 제빙트레이의 상부를 경유하여 토출되도록 냉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냉기가이드 및 상기 냉기가이드에 의해 제빙트레이의 상부를 경유한 냉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냉기배출부를 포함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가전 기기로서, 음식물을 냉장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냉장실과, 음식물을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냉동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가진다.
또한, 최근에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디스펜서가 장착되어,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디스펜서를 통하여 음용수를 취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냉장고의 도어 또는 저장공간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어 저장하는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서 얼음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85099호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필터장치를 거친 후 고내에 구비되는 워터탱크 공급되고, 상기 워터탱크에 저장된 물이 고내의 냉기에 의해 냉각된 후 상기 디스펜서 및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되어 외부로의 음용수 취출 또는 제빙을 위한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냉장고의 경우, 냉동실측 증발기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유입구를 구비한 덕트구조가 적용되어 있으나, 아이스트레이의 상부로 토출된 냉기의 방향을 유도하거나 냉기의 유입을 촉진하는 냉기 토출 구조가 전혀 마련되지 않았다.
따라서, 제빙기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 냉기가 제빙기로 들어오는 양이 줄어들어 제빙 시간이 길어 지고, 결과적으로 제빙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기 중 일부가 아이스트레이를 거치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가는 현상이 발생하여, 제빙효율 및 제빙속도가 낮아지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빙실로 유입된 냉기가 제빙트레이로만 집중해서 공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제빙실로 유입된 냉기가 장시간 동안 제빙트레이의 상부를 체류한 뒤,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제빙효율이 증가되고, 제빙속도가 증가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냉장실도어를 열고 닫을 때, 제빙트레이에 수용된 물이 흔들리면서 넘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제빙트레이 전체영역에서 균일한 속도로 제빙이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냉기가 공급되지 않아 제빙이 지연되는 영역이 없어질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냉기배출부가 제빙트레이를 벗어나 외측에 형성되지 않고, 제빙트레이와 중첩되게 형성되어, 아이스메이커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아이스메이커로 유입된 냉기가 제빙트레이의 전체구간을 경유한 뒤, 냉기배출구를 통해서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다시 한번 제빙트레이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며, 제빙을 위한 물이 수용되는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제빙트레이의 상부에 구비되며, 고내에서 상기 제빙트레이 측으로 제공되는 냉기를 공급받는 냉기유입부와, 상기 냉기유입부에서 토출된 냉기가 상기 제빙트레이의 상부를 경유하여 토출되도록 냉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냉기가이드와, 상기 냉기가이드에 의해 제빙트레이의 상부를 경유한 냉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냉기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기유입부는, 일측에 상기 제빙트레이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냉기를 공급받는 냉기유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유입부는, 타측에 상기 제빙트레이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상하방향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토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가이드는, 상기 제빙트레이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냉기유입부와 함께 상기 제빙트레이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측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가이드는, 상기 상측커버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상기 제빙트레이의 상단과 접촉 또는 이격되어, 냉기를 하측으로 유도하는 측면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배출부는, 그 하단이 상기 제빙트레이의 일측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배출부는, 상기 측면커버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배출부와, 상기 측면커버는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배출부와 측면커버 사이에는 상기 제빙트레이의 상부를 경유한 냉기가 배출되는 냉기배출구가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배출구는, 상기 제빙트레이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 배출구는 상기 제빙트레이의 전체 구간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 배출구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빙트레이와 서로 중첩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유입부에 마련되어, 냉기를 공급받는 냉기유입구의 면적은, 상기 냉기배출부에 의해 정의되고, 냉기가 배출되는 냉기배출구의 면적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실은, 냉장고 도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가이드 및 냉기배출부는 각각 상기 제빙트레이 또는 냉기유입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안된 발명에 의하면, 제빙실로 유입된 냉기가 제빙트레이로만 집중해서 공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안된 발명에 의하면, 제빙실로 유입된 냉기가 장시간 동안 제빙트레이의 상부를 체류한 뒤,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안된 발명에 의하면, 제빙효율이 증가되고, 제빙속도가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안된 발명에 의하면, 냉장실도어를 열고 닫을 때, 제빙트레이에 수용된 물이 흔들리면서 넘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안된 발명에 의하면, 제빙트레이 전체영역에서 균일한 속도로 제빙이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냉기가 공급되지 않아 제빙이 지연되는 영역이 없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안된 발명에 의하면, 냉기배출부가 제빙트레이를 벗어나 외측에 형성되지 않고, 제빙트레이와 중첩되게 형성되어, 아이스메이커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안된 발명에 의하면, 아이스메이커로 유입된 냉기가 제빙트레이의 전체구간을 경유한 뒤, 냉기배출구를 통해서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다시 한번 제빙트레이를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안된 발명에 의하면, 종래 구조의 아이스메이커에도 냉기가이드와 냉기배출부를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물이 유동되는 유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이스메이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이스메이커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냉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이스메이커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도 9는 냉기가이드가 생략된 아이스메이커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물이 유동되는 유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이스메이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이스메이커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냉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이스메이커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도 9는 냉기가이드가 생략된 아이스메이커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물이 유동되는 유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0)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4,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냉장실(12)과 냉동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4,15)는, 상기 냉장실(12)를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4)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14)와 냉동실 도어(15)는 모두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을 개폐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냉장실 도어(14)와 냉동실 도어(15)는 모두 힌지 장치(23)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4)는 좌우 양측에서 한 쌍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프렌치 타입(French type)의 도어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14) 중 어느 일측의 냉장실 도어에는 디스펜서(20)와 아이스 메이커(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0)는 상기 냉장실 도어(14)의 전면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사용자가 조작하여 물 및 얼음 중 하나 이상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0) 상방에는 제빙실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의 내부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수용되며 별도의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빙실은 상기 냉장실 도어(14)가 닫힌 상태에서 냉기 덕트에 의해 상기 냉동실과 연통되어 제빙에 필요한 냉기를 냉동실 증발기(미도시)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10)는, 외부의 급수원(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화 또는 냉각 또는 가열한 후에 상기 디스펜서(20)에서 취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냉장고(10)는 급수 유로(31)에 의해서 상기 급수원(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급수 유로(31)에 구비되는 입수 밸브(311)와 본체 입수 유량 센서(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수 밸브(311)의 개폐에 의해서 상기 급수원(2)으로부터의 원수의 공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입수 유량 센서(313)는 상기 급수원(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입수 유량 센서(313)는 상기 입수 밸브(311)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입수 밸브(311)는 상기 캐비닛(10)의 배면 또는 압축기 등이 구비되는 기계실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본체 입수 유량 센서(313)는 취출되는 냉수 또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급수원(2)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수 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 장치(40)는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필터는 일 예로 상기 냉장실(12) 내에서 상하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필터를 상하로 적층함에 따라 상기 냉장실(12)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 장치(40)에서 누수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좁은 영역만 오염될 수 있게 되므로 효율적이고 안전한 공간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필터의 개수는 일 예로 3개일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필터는 프리 카본 필터와 포스트 카본 필터 그리고, 상기 프리 카본 필터와 포스트 카본 필터의 사이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필터의 개수와 종류에는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정수 장치(40)의 내부에 수납 가능한 개수 그리고 효율적인 정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종류의 기능성 필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정수 장치(40)의 출구 측에 구비되는 제1분기부(315)와, 상기 제 1 분기부(315)에 연결되는 본체 냉수 유로와(341), 상기 제1분기부(315)에 연결되는 본체 정수 유로(3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 장치(40)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제1분기부(315)에 의해서 상기 본체 냉수 유로(341)와 상기 본체 정수 유로(331)로 나뉘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냉수 유로(341)에는 본체 워터 탱크(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워터 탱크(60)는 일 예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2)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본체 냉수 유로(341)와 상기 본체 정수 유로(331)가 연결되는 본체 밸브(317)와, 상기 본체 밸브(317)의 출구 측에 연결되는 공통 유로(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밸브(317)는 일 예로 두 개의 입구와 하나의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입구 각각에 상기 본체 정수 유로(331)와 상기 본체 냉수 유로(341)가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출구에 상기 공통 유로(35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통 유로(350)는 상기 냉장실(12)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에서 인출된 후, 상기 캐비닛(10) 외측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14)의 힌지 장치(23)를 지나 상기 냉장실 도어(14)의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냉장실 도어(14) 내부로 인입된 상기 공통 유로(350)와 연결되는 제 2 분기부(319)와, 상기 제 2 분기부(319)에 연결되는 도어 정수 유로(333)와, 상기 제 2 분기부(319)에 연결되는 도어 냉수 유로(3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도어 냉수 유로(343)에 구비되는 도어 워터 탱크(80)와, 상기 도어 냉수 유로(343)에서 상기 도어 워터 탱크(80)의 출구 측에 위치되는 냉수 밸브(3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워터 탱크(80)는, 상기 본체 워터 탱크(60)에서 냉각 공급되는 물을 재차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체 워터 탱크(60)에서 냉각된 물이 상기 공통 유로(350)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을 경유하게 되는 경우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워터 탱크(80)는 온도가 상승한 물을 재차 냉각하여 냉수 취출 시 목표 냉수 온도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취출되는 물 온도의 불만족은 냉수를 오랫동안 취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처음 취출하게 되는 경우 상기 냉장실(12) 외측의 공통 유로(350)에서 오랜 기간 잔류하던 물의 온도가 올라간 상태가 되어 취출되는 물의 온도를 만족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도어 워터 탱크(80)에서 추가적인 냉각 및 냉각된 물과의 혼합에 의해 냉수의 취출 시 적절한 냉수 온도를 만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도어 정수 유로(333)에 구비되는 입수 유량 센서(321)와, 상기 정수 밸브(321)에 연결되는 제빙 유로(3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정수 유로(333)를 따라 유동하는 정수는 상기 정수 밸브(321)에 의해서 상기 디스펜서(20) 외부로 취출되거나 상기 제빙 유로(335)를 따라 상기 아이스메이커(1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도어 정수 유로(333)와 상기 도어 냉수 유로(343)가 연결되는 도어 커넥터(323)와, 상기 도어 커넥터(323)에 연결되는 취출 유로(3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수와 정수는 상기 취출 유로(352)를 따라 상기 디스펜서(20)의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넥터(323)는 두 개의 입구와 하나의 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입구 각각에 상기 도어 정수 유로(333)와 상기 도어 냉수 유로(343)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하나의 출구에 상기 취출 유로(35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수 밸브(321)는 정수의 유동 방향으로 제어하는 삼방 밸브일 수 있다. 따라서, 냉수의 취출을 위해서는 상기 정수 밸브(3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수 밸브(325)가 개방될 수 있다. 반면, 정수의 취출을 위해서는 상기 냉수 밸브(325)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정수 밸브(321)가 개방되되 상기 정수 밸브(321)는 정수가 상기 취출 유로(352)로 유동하도록 유로가 절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이스메이커'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이스메이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이스메이커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냉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표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이스메이커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 도어(14)에는 제빙실(IH)이 구비되고, 상기 제빙실(IH)내부에는 아이스메이커(100)가 구비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메이커(100)는, 제빙을 위한 물이 수용되는 제빙트레이(110)와, 상기 제빙트레이(11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20)와,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고내에서 상기 제빙트레이(110) 측으로 제공되는 냉기를 공급받는 냉기유입부(130)와, 상기 냉기유입부(130)에서 토출된 냉기가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상부를 경유하여 토출되도록 냉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냉기가이드(140) 및 상기 냉기가이드(140)에 의해 제빙트레이(110)의 상부를 경유한 냉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냉기배출부(150)를 포함한다.
제빙유로(335)를 통해 공급된 정수는 상기 급수부(120)를 통해서, 제빙트레이(110)에 채워진다. 이를 위해, 급수부(120)는 상하방향으로 중공을 형성하고, 상부에 제빙유로(335)의 끝단과 연결된 입수구(12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입수구(121)로 공급된 물을 제빙트레이(110) 상부에서 토출하는 출수구(1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입수구(121)와 출수구(122) 사이에는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입수구(121) 측에서 출수구(122) 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123)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123)은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 'U'자 등의 형태로 굽어진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수구(122)는 경사면(123)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중심 상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급수부(120)에서 토출된 물은 제빙트레이(110)에 수용된다. 상기 제빙트레이(110)는 복수의 캐비티(111)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빙트레이(110)에 수용된 물은, 냉동실 증발기(미도시)에서 공급된 냉기에 의해 열교환되면서 제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상부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14)가 닫힌 상태에서 제빙에 필요한 냉기를 공급받아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상부로 토출하는 냉기유입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유입부(130)는 냉기 덕트에 의해, 냉동실 증발기에서 공급된, 냉기를 전달받는 냉기유입구(131)를 형성한다.
일 예로, 상기 냉기유입구(131)는 상기 냉기유입부(130)의 일측에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냉기를 공급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유입부(130)는, 타측에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상하방향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토출구(13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냉기유입부(130)는 덕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중공의 몸체부(1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기유입부(130)는 굽어진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유입부(130)는 상기 냉기유입구(131) 측에서, 냉기토출구(132) 측으로 그 크기가 점차 감소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냉기유입부(130)의 구성으로, 냉기 덕트를 통해, 제빙실(IH)측으로 공급된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제빙트레이(110)로만 공급될 수 있어, 제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트레이(110)는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축(11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112)과 연결되는 구동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스메이커(100)는 지지체(180)를 통해서, 냉장실 도어(140)의 소정의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냉기유입부(130)를 통해 제빙트레이(110)의 상부로 토출된 냉기는 그 일부가 제빙트레이(110)를 거치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갈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제빙효율은 현저히 감소된다. 즉, 제빙속도가 낮아질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도록 냉기가이드(140) 및 냉기배출부(150)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냉기가이드(140)는,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냉기유입부(130)와 함께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측커버(141)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상측커버(141)와 냉기유입부(130)는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상부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냉기유입부(130)에서 토출된 냉기는 제빙트레이(110)의 상부를 거친 뒤,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제빙효율이 증가되고, 제빙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가이드(140)는, 상기 상측커버(141)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상단과 접촉하거나 이격되어, 냉기를 하측으로 유도하는 측면커버(142,143)를 더 포함한다.
만약, 냉기 가이드(140)가 상측커버(141)로만 구성될 경우, 냉기유입부(120)에서 토출된 냉기는 제빙트레이(110)를 향해 하방으로 유도될 수 있지만, 측방으로 빠져나갈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측커버(141)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커버(142,143)를 형성한다.
일 예로, 측면커버(142)는 상측커버(141)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그 하단이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상단과 이격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제1측면커버(142)의 하단과 제빙트레이(110)의 상단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제빙트레이(110)를 경유한 냉기가 빠져나갈 수 있다.
다른 예로, 측면커버(143)는 상측커버(141)의 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그 하단이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상단과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측면커버(143)가 제빙트레이(110)와 접촉하면, 측면커버(143)와 제빙트레이(110) 사이에 간격이 생기지 않아, 냉기유입부(130)에서 토출된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제빙트레이(110)의 상부에 체류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냉기유입부(130)에서 토출된 냉기는 제빙트레이(110)의 상부에 집중되어 토출되고, 나아가 보다 장시간 체류한 뒤,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제빙트레이(110)에 수용된 물과 충분한 시간 동안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제빙효율이 증가되고, 제빙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빙트레이(110)를 경유하면서, 제빙트레이(110)에 수용된 물을 제빙시킨 냉기는 냉기배출부(150)에 의해 안내되면서,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상기 냉기배출부(150)는, 그 하단이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일측상단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냉기배출부(150)가 형성되면, 제빙트레이(110)를 경유한 냉기가 곧바로 빠져나가지 않고, 냉기배출부(150)에 의해 그 유동방향이 상부로 변환되어 상방으로 토출된다.
이에 따르면, 냉기는 보다 장시간 동안 제빙트레이(110)의 상부를 체류한 뒤,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제빙효율이 증가되고, 제빙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제빙트레이(110)의 상단에 상부로 연장된 형태의 냉기배출부(150)가 구비되면, 냉장실도어(14)를 열고 닫을 때, 제빙트레이(110)에 수용된 물이 흔들리면서 넘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배출부(150)는, 상기 측면커버(142)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배출부(150)와 측면커버(142) 사이에는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상부를 경유한 냉기가 배출되는 냉기배출구(16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기배출부(150)와, 상기 측면커버(142)는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형성된다. 일 예로, 측면커버(142)의 하단은 냉기배출부(150)의 상단과, 제빙트레이(110)의 상단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냉기유입부(130)에서 토출된 냉기는, 냉기가이드(140)에 의해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되고, 제빙트레이(110)의 상부를 경유한 뒤, 측면커버(142)의 하단에 마련된 공간(S)을 통과한다. 이후, 냉기배출부(150)와 측면커버(142)에 의해 냉기의 유동방향은 하부에서 상부로 전환되고, 냉기배출구(16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냉기배출부(150)와 측면커버(142) 사이의 냉기배출구(160)를 통해 냉기가 배출되면, 냉기가 'U'자 형상과 유사하게 유동(도 6참조)하면서 제빙트레이(110)의 상부에 집중될 수 있고, 충분한 시간동안 제빙트레이(110)의 상부에 체류한 뒤,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제빙효율이 증가되고, 제빙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배출구(160)는,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기배출구(160)는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전체 구간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냉기배출구(160)가 제빙트레이(110)와 나란히 배치되고, 제빙트레이(110)의 전체구간에 형성될 경우, 냉기유입부(130)에서 토출된 냉기는, 제빙트레이(110)의 전체구간을 경유하면서, 제빙트레이(110)를 골고루 냉각시킨 뒤,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빙트레이(110) 전체영역에서 균일한 속도로 제빙이 이루어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냉기가 공급되지 않아 제빙이 지연되는 영역이 없어질 수 있어, 제빙효율이 증가되고, 제빙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배출구(160)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빙트레이(110)와 서로 중첩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냉기배출부(150)가 제빙트레이(110)를 벗어난 외측에 형성되지 않고, 제빙트레이(110)와 중첩되게 제빙트레이(110)의 상부에 형성되면, 아이스메이커(100)의 부피가 작아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냉기유입부(130)에서 토출된 냉기가 제빙트레이(110)의 전체구간을 경유한 뒤, 냉기배출구(160)를 통해서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다시 한번 제빙트레이(1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효율이 증가되고, 제빙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유입부(130)에 마련되어, 냉기를 공급받는 냉기유입구(131)의 면적은, 상기 냉기배출부(150)에 의해 정의되고, 냉기가 배출되는 냉기배출구(160)의 면적 이하로 형성된다.
일 예로, 냉기유입구(131)의 면적과, 냉기배출구(160)의 면적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아이스메이커(100)의 내압이 커지면서, 냉기의 유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상세히, 냉기유입부(130)를 통해 유입된 냉기가 제빙트레이(110)를 경유한 뒤,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으면, 아이스메이커(100)의 내압이 커지게 된다. 이 경우, 냉기유입부(130)를 통해 공급된 냉기는 아이스메이커(100) 내부로 유입이 어려워지고, 결과적으로 제빙효율은 현저히 감소된다. 즉, 제빙속도가 낮아질 수 밖에 없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냉기유입구(131)의 면적을, 냉기배출구(160)의 면적이하의 크기로 설정하여, 유입되는 냉기의 압력보다, 아이스메이커(100)의 내부 압력을 낮게 유지하여, 냉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제빙효율이 증가되고, 제빙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하, 두 가지 실험의 비교를 통해, 냉기가이드(140)와 냉기배출부(150)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실험 1>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기가이드(140)와 냉기배출부(150)가 형성되지 않은 아이스메이커(100')를 통해 3일(72시간) 동안 연속제빙을 실시하고, 제빙되는 얼음의 양을 측정하였다.
<실험 2>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기가이드(140)와 냉기배출부(150)가 형성된 아이스메이커(100)를 통해 3일(72시간) 동안 연속제빙을 실시하고, 제빙되는 얼음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와 같았다.
실험 1 | 실험 2 |
3.5lb/day | 4.0lb/day |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냉기가이드(140)와 냉기배출부(150)가 형성된 아이스메이커(100)가, 냉기가이드(140)와 냉기배출부(150)가 형성되지 않은 아이스메이커(100') 대비, 약 12.5% 더 많은 얼음을 생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아이스메이커(100)에 냉기가이드(140)와 냉기배출부(150)가 형성되면, 제빙속도가 약 12.5% 향상되면서, 제빙효율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가이드(140) 및 냉기배출부(150)는 각각 상기 제빙트레이(110) 또는 냉기유입부(13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냉기가이드(140)와 냉기배출부(150)가 제빙트레이(110) 또는 냉기유입부(13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면, 냉기가이드(140)와 냉기배출부(150)가 형성되지 않은 종래 구조의 아이스메이커에도 냉기가이드(140)와 냉기배출부(150)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 시, 냉기가이드(140)와 냉기배출부(150)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도 있다.
100 : 아이스메이커
110 : 제빙트레이
120 : 급수부
130 : 냉기유입부
140 : 냉기가이드
150 : 냉기배출부
160 : 냉기배출구
110 : 제빙트레이
120 : 급수부
130 : 냉기유입부
140 : 냉기가이드
150 : 냉기배출부
160 : 냉기배출구
Claims (15)
- 제빙실;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며, 제빙을 위한 물이 수용되는 제빙트레이;
상기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제빙트레이의 상부에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제빙트레이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냉기 유입구를 형성하여, 고내에서 냉기를 공급받는 냉기유입부;
상기 냉기유입부의 냉기를 상기 제빙트레이의 상부로 안내하는 냉기가이드;
상기 제빙트레이와 상기 냉기가이드 사이 공간의 냉기가 배출되는 냉기배출구를 정의하는 냉기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유입구의 면적은, 상기 냉기배출구의 면적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유입부는, 타측에 상기 제빙트레이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상하방향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토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가이드는, 상기 제빙트레이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냉기유입부와 함께 상기 제빙트레이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측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가이드는, 상기 상측커버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상기 제빙트레이의 상단과 접촉 또는 이격되어, 냉기를 하측으로 유도하는 측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배출부는, 그 하단이 상기 제빙트레이의 일측상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배출부는, 상기 측면커버와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배출부와, 상기 측면커버는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배출구는 상기 냉기배출부와 측면커버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배출구는,
상기 제빙트레이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배출구는 상기 제빙트레이의 전체 구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배출구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빙트레이와 서로 중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은, 냉장고 도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가이드 및 냉기배출부는 각각 상기 제빙트레이 또는 냉기유입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5859A KR102405330B1 (ko) | 2017-09-28 | 2017-09-28 | 냉장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5859A KR102405330B1 (ko) | 2017-09-28 | 2017-09-28 | 냉장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6681A KR20190036681A (ko) | 2019-04-05 |
KR102405330B1 true KR102405330B1 (ko) | 2022-06-07 |
Family
ID=6610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5859A KR102405330B1 (ko) | 2017-09-28 | 2017-09-28 | 냉장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533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19480B (zh) * | 2021-01-05 | 2023-03-24 |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 制冰组件及冰箱 |
WO2024150938A1 (ko) * | 2023-01-12 | 2024-07-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WO2024150937A1 (ko) * | 2023-01-12 | 2024-07-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2595B1 (ko) | 2008-11-19 | 2016-05-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
KR101639441B1 (ko) * | 2009-12-22 | 2016-07-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1228A (ja) * | 1992-06-29 | 1994-01-21 | Hitachi Ltd |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
JPH11173736A (ja) * | 1997-12-12 | 1999-07-02 | Toshiba Corp | 冷蔵庫 |
-
2017
- 2017-09-28 KR KR1020170125859A patent/KR1024053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2595B1 (ko) | 2008-11-19 | 2016-05-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
KR101639441B1 (ko) * | 2009-12-22 | 2016-07-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6681A (ko) | 2019-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09749B1 (ko) | 냉장고의 아이스메이커 어셈블리 | |
KR101957793B1 (ko) | 냉장고 | |
RU2488752C1 (ru) | Холодильник, имеющ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льда (варианты) | |
KR102405330B1 (ko) | 냉장고 | |
US7428820B2 (en) | Refrigerator | |
CN1773199B (zh) | 电冰箱 | |
CA2638347C (en) | Icemaker for a refrigerator | |
KR101392596B1 (ko) | 냉장고 | |
KR100692221B1 (ko) | 냉장고 및 냉장고용 물통 | |
KR102051672B1 (ko) |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01835336B1 (ko) | 냉장고 | |
KR20090101525A (ko) | 냉장고 | |
KR20070042020A (ko) | 냉장고 | |
KR20090075911A (ko) | 냉장고 | |
KR20090084048A (ko) | 냉장고 | |
TW201303242A (zh) | 冷凍冷藏庫 | |
KR100690702B1 (ko) |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냉기 토출장치 | |
KR100936610B1 (ko) | 냉장고용 제빙장치 | |
JPH11118320A (ja) | 冷蔵庫 | |
KR100597676B1 (ko) | 냉장고 | |
KR100621237B1 (ko) | 냉장고의 냉기유로구조 | |
JP4864830B2 (ja) | 冷蔵庫 | |
KR20060053952A (ko) | 냉장고 | |
JP6745432B2 (ja) | 冷蔵庫 | |
KR20180112265A (ko) | 냉장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