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175B1 - 냉장고의 제빙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175B1
KR960008175B1 KR1019920024854A KR920024854A KR960008175B1 KR 960008175 B1 KR960008175 B1 KR 960008175B1 KR 1019920024854 A KR1019920024854 A KR 1019920024854A KR 920024854 A KR920024854 A KR 920024854A KR 960008175 B1 KR960008175 B1 KR 960008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ice making
making container
containe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644A (ko
Inventor
가즈오 템포
게이지 나카니시
히로시 다나카
도시미츠 가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사토 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3324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64440A/ja
Priority claimed from JP333324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64441A/ja
Priority claimed from JP401754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15449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사토 후미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3001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1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12Temperature of ice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장고의 제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주요부을 나타내는 종단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냉장고의 종단측면도.
제4도는 전기적 제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5도는 제빙에 관한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6도는 제빙용기 및 제빙용 히터의 변형예의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저면도.
제8도는 제6도의 A-A선 단면도.
제9도는 이빙용 히터의 주요부에 대한 확대종단면도.
제10도는 이빙용 히터의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제빙용기 14 : 제빙용 히터
15 : 제빙용기용 온도센서 16 : 급수장치
22 : 덮개 23 : 덮개용 히터
24 : 덮개용 온도센서 26 : 마이크로컴퓨터(제어수단,타이머수단)
28 : 급속냉각운전스위치 30 : 압축기
50 : 제빙용기 53 : 온도센서
54,55 : 이빙용 히터
본 발명은 냉장고내에 설치되어 자동적으로 제빙을 실시하는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빙장치의 제빙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냉장실에 설치된 급수탱크의 물이 급수펌프에 의해 제빙실의 제빙용기에 공급되고 그 제빙용기에 저장된 물은 제빙실에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얼음으로 된다. 제빙이 완료되면 제빙용기가 상하 반전된 후 비틀어짐으로써 얼음이 제빙용기로부터 떨어져 나가 저빙용기에 쌓인다. 이 제빙장치에서는 제빙용기의 바닥부에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이 온도센서에 의해 실제로 제빙용기에 물이 공급됐는지 아닌지 및 제빙이 완료됐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제빙이 완료되면 제빙용기는 극히 저온이 된다. 또한 이빙후 제빙용기에 물이 공급되면 지금까지 극히 저온에 있었던 제빙용기는 물에 의해 따뜻해져 그 온도는 서서히 상승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제빙용기의 온도가 -13.5℃ 이하가 되면 제빙완료이고, 급수펌프의 급수동작 완료후 12분 경과한 시점에서의 제빙용기의 온도가 -9.5℃ 이상이였다면 실제로 제빙용기에 물이 공급되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제빙을 온도센서가 제빙완료 온도를 검출만으로 제어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예를 들어 온도센서가 설치된 부분에 냉기가 강하게 부딪히면 물이 완전히 결빙되어 있지 않는데도 제빙완료 온도의 -13.5℃ 이하가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태를 피하기 위해 급수가 완료하고나서 소정시간 예를 들면 2.8시간 경과전은 온도센서가 -13.5℃ 이하를 검출해도 이빙동작으로 이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통상의 냉장고에는 냉동실에 수용된 식품을 급속히 냉각해서 냉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어 급속냉각운전을 선택하면 90분간 압축기가 연속 운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를 설치한 방의 온도가 높아지는 하절기에 있어서 냉장고의 문을 빈번히 개폐하면 압축기의 운전은 높아진다. 이와 같이 급속냉각운전을 선택하거나 압축기의 운전율이 높아지거나 하면 제빙실로의 냉기 공급시간이 길어진다. 그러하면 상기 2.8시간의 경과전에 온도센서는 -13.5℃를 검출하고 또한 제빙용기의 물도 완전히 얼음으로 된다. 실험에 의하면 예를 들면 방의 온도가 30℃일때에 급속냉각운전을선택하면 급수완료로부터 1시간 15분 정도에서 완전히 얼음이 되고 이 경우에 제빙용기는 물이 완전히 얼음이 되고나서 다시 1시간 30분 가깝게 냉기에 계속 방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물의 온도가 너무낮게 되어(온도센서는 -26℃ 정도를 검출한다) 물이 제빙용기에 견고하게 고착되게 되고 이빙시에 얼음이 갈라지는 경우가 있다. 더욱이 이빙훙 급수에 실시한 후 12분 경과해도 제빙용기의 온도가 급수완료 검지온도(-9.5℃)까지 상승하지 않는 일이 있어 급수검출의 불량으로 제빙동작을 정지해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빙완료후에 제빙용기가 긴시간 동안 냉기에 방치되어도 양호한 이빙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빙용기에 실제로 급수가 실시되었을 경우에는 급수완료 검지온도까지 상승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겨하는 수단으로서 냉장고내에 설치된 제빙장치로 제빙용기의 바닥부분에 설치된 온도센서가 제빙완료 온도를 검출하고 제빙용기를 상하 반전시켜 이빙을 실행할때까지의 기간에 상기 제빙용기의 바닥부분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히터의 가열을 제어하는 수단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제빙이 완료된 후 이빙동작할 때까지의 사이에 히터가 통전된다 이 때문에 제빙완료후도 제빙용기가 냉기에 계속 방치되어도 얼음이 제빙용기에 견고하게 고착되거나 제빙용기에 공급된 물에 의한 온도상승이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제빙용기를 비틀어 이빙을 실시할 경우에는 비트는 힘이 가해지기 어려운 곳에 히터를 배치함으로서 제빙용기에 커다란 힘을 부여하지 않고 이빙이 확실히 실시되어 제빙용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팬냉각시 냉장고의 제빙장치에 적용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제3도에 있어서 냉장고본체(1)의 내부에는 냉동실(2), 냉장실(3) 및 제방실(4)이 형성되어있고 냉각기(5)에 의해 냉각된 공기팬(6)에 의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방실(4)내에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방장치(7)가 설치되어 있고 아래에 이 제방장치(7)에 대해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즉 제방실(4)내의 상부 전방측에는 구동부(8)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부(8)내에는 모터(9)(제4도 참조)를 구동원으로 하는 기어감속기구(도시되지 않았음) 및 전자석(10)(제4도 참조)을 구동원으로하는 진동부여기구(도시되지 않았음)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구동부(8)의 후방측에는 지지틀(11)이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틀(11)의 내측에 제빙용기(1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빙용기(12)는 후방측의 중앙부가 축(12a)을 지나 지지틀(11)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전방측 중앙부가 상기 기어감속기구의 출력축 및 상기 진동부여기구의 출력자에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9)가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제빙용기(12)가 상하 역이 되도록 반전하고 혹은 반전한 위치에서 원래의 수평위치로 돌아가게 되어 있다. 또한 전자석(10)이 구동되고 그 철심이 왕복운동하면 제빙용기(12)가 전후방향으로 진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빙용기(12)가 후방부에는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반전동작의 완료직전에 그 돌기가 지지틀(11)에 맞닫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이 돌기가 지지틀(11)에 맞닫은 후에 모터(9)는 잠시 회전을 계속해서 제빙용기(12)의 전방부를 정규의 반전위치까지 회전운동시킴으로 제빙용기(12)는 비틀어지고 이 비틀림에 의해 얼음이 제빙용기(12)로부터 떨어져 나가 저빙상자(13)내에 낙하해서 쌓이게 되어 있다. 상기 제빙용기(12)의 바닥부 중앙에는 띠형상의 제빙용기용 히터(14)가 밀착상태로 설치되어 있어 이 히터(14)는 알루미늄박에 니트롬선을 부설해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히터(14)에 겹쳐 제빙용기(12)의 바닥부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빙용기용 온도센서(1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빙용기(12)에는 급수장치(16)에 의해 급수된다. 이 급수장치(16)는 냉장실(3)내에 설치된 급수탱크(17), 이 급수탱크(17)로부터의물을 받는 물받침용기(18), 이 물받침용기(18)내의 물을 급수파이프(19)를 통해 제빙용기(12)내에 끌어올리는 급수펌프(2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빙실(4)의 후벽내에는 팬(6)에 의해 보내져온 냉기를 해당 제빙실(4)내에 안내하는 냉기덕트(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냉기덕트(21)의 출구(21a)는 상향 경사져 있고 그 출구(21a)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는 제빙용기(21)의 하면에 불어지도록 되어 있다. EH한 출구(21a)로부터 토출된 냉기가 제빙용기(12)내에 쌓인 물의 상면측에서 돌지않게 하기 위해 제빙용기(12)에는 그 상면을 덮은 단열재제의 덮개(2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22)내에는 제빙용기(12)를 상면에서 가열하기 위한 덮개용 히터(23) 및 그 덮개용 히터(23)에 의해 가열되는 제빙용기(12) 상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덮개용 온도센서(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22)는 제빙용기(12)의 반전동작시에는 제1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지지봉(25)에 지지되고 얼음의 낙하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제빙장치(7)을 갖춘 냉장고는 제4도에 나타낸 제어수단 및 타이어수단으로서의 마이크로컴퓨터(26)에 의해 제어된다. 이 마이크로컴퓨터(26)에는 냉동실(2)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동실용 온도센서(27) 및 급속냉각운전스위치(28)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26)는 이들 입력신호 및 미리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의거 냉각자아치 구동회로(29)를 통해 압축기(30) 및 팬모터(6a)를 제어한다. 이 경우 통상시에는 마이크로컴퓨터(26)는 냉동실용 온도센서(27)의 검출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압축기(30) 및 팬모터(6a)의 운전을 개시하고 소정온도 이하가 되면 그 운전을 정지한다. 그리고 급속냉각운전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냉동실용 온도센서(27)의 검출온도와는 무관하게 예를들면 90분간 압축기(30) 및 팬모터(6a)를 연속운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6)에는 상기 제빙용기용 온도센서(15) 및 덮개용 온서덴서(24)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제빙용기(12)의 반전위치 및 수평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회로(31)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26)는 이들 입력신호 및 미리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의거 기어감속기구의 모터(9), 진동부여기구의 전자석(10), 급수펌프(20), 제빙용기용 히터(14), 덮개용 히터(23)를 제빙장치 구동회로(32)를 통해 제어한다. 여기서 마이크로컴퓨터(26)는 실제로 제빙용기(12)에 급수되었다는 것과 제빙완료를 제빙용기용 온도센서(15)의 검출온도 T에의해 판단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즉 마이크로컴퓨터(26)는 급수펌프(20)의 급수동작 개시로부터 자신이 가지는 타이머기능에 의해 타이머 카운트를 개시하고 그곳에서 12분 경과한 시점에서의 제빙용기용 온도센서(15)의 검출온도 T가 예를 들면 -9.5℃이상일 때 실제로 제빙용기(12)에 급수되었다고 판단한다. 또한 제빙용기용 온도센서(15)의 검출온도 T가 예를들면 -13.5℃ 이하가 되었을 때 제빙완료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급수동작 개시로부터 2.8시간 이상 경과하고 제빙용기용 온도센서(15)의 검출온도 T가 -13.5℃ 이하일 때 이빙동작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6)는 제빙용기(12)에 급수됐다고 판단한 후 제빙용기용 온도센서(15)의 검출온도 T가 -13.5℃ 이하가 될 때까지를 제빙기간이라 하고 제빙용기용 온도센서(15)의 검출온도 T가 -13.5℃ 이하가 된 후 급수동작 개시로부터 2.8시간 경과할때까지를 이빙대기시간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빙기간을 덮개용 히터(23)의 통전기간이라 하고 이 기간중 덮개용 온도센서(24)의 검출온도 T가 5℃ 이하일 때 덮개용 히터(23)에 통전하고 5℃를 넘으면 단전하도록 제어하게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6)는 이빙대기기간을 제빙용기용 히터(14)의 통전기간이라 하고 이 기간중 제빙용기용 온도센서(15)의 검출온도 T가 -16℃ 이하일 때 제빙용기용 히터(14)에 통전하고 -16℃를 넘으면 단전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빙에 관한 마이크로컴퓨터(26)의 제어내용을 제5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령 제빙용기(12)가 반전위치로부터 수평위치에 돌아왔다고 가정하면 스위치회로(31)로부터 복귀신호가 출력되고 이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26)는 타임카운터를 개시함과 동시에 급수펌프(20)의 구동계속시간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26)는 급수개시로부터 일정시간 경과하면(제5도의 스텝 S2)에서 「YES」), 급수펌프(20)를 정지시키고 (스텝 S3) 다음으로 진동부여기구의 전자석(10)에 통전해서 제빙용기(12)를 진동시킨다(스텝 S4).
급수가 종료하면 제빙용기(12)의 온도는 차례로 상승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26)는 급수개시시점으로부터 12분 경과한 곳에서 (제5도의 스텝 S5에서 「YES) 제빙용기용 온도센서(15)의 검출온도 T가 -9.5℃ 이상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제5도의 스텝 S6) -9.5℃ 이상일 경우 실제로 제빙용기(12)에 급수됐다고 판단한다(스텝 S6에서「YES). 또한 스텝 S5에서 「NO」로 되었을 경우 마이크로컴퓨터(26)는 도시하지 않은 급수램프를 점등시켜 급수탱크(15)로의 물을 보급할 것을 통지한다(제5도의 스텝 S7). 이 급수램프이 점등을 보고 사용자가 급수탱크(15)를 냉장실(3)에서 끄집어내고 해당 급수탱크(15)에 물을 보급해서 냉장실(3)내에 재설명하면 마이크로컴퓨터(26)는 급수탱크(15)의 설정에 따라 움직여서 작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에 의거 스텝 S1으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빙기간에 있어서 냉기덕트(21)의 출구(21a)로부터 토출된 냉기는 제빙용기(12)의 하면부에 불어지고 제빙용기(12)내의 물을 하면측으로부터 냉각한다. 그리고이 제빙기간 중 마이크로컴퓨터(26)는 덮개용 온도센서(24)의 검출온도(t)가 5℃ 이하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제5도의 스텝 S8) 5℃이하일 경우에는 덮개용 히터(23)에 통전해서(스텝 S9) 5℃를 넘었을 경우에는 덮개용 히터(23)를 단전하도록 되어 있다(스텝 S10). 이와 같이 냉기가 제빙용기(12)를 하면측으로부터 냉각하면 덮개용 히터(23)가 제빙용기(12)를 상면측에서 따뜻하게 하기 때문에 물은 하면측에서 얼기 시작한다. 제빙용기(12)내의 물이 모두 얼음이 되면 제빙용기(12)의 온도가 급속히 저하하고 제빙용기용 온도센서(15)가 -13.5℃를 검출하면(제5도의 스텝 S11에서 「YES) 마이크로컴퓨터(26)는 제빙완료라 판단해서 진동부여기구의 전자석(10)을 단전함과 동시에 덮개용 히터(23)를 단전한다(스텝 S12). 제빙완료라 판단하면 마이크로컴퓨터(26)는 그 시점이 급수개시 시점으로부터 2.8시간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제5도의 스텝 S13). 그런데 하절기등 압축기(30)의 운전율이 높을 경우나 급속냉각 운전이 선택될 경우에는 상기 2.8시간의 경과시점에서 오래전의 시점에서 제빙완료가 된다.
그러면 마이크로컴퓨터(26)는 스텝 S13에서 「NO」라 판단하고 이빙으로 이행하지 않고 2.8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빙용기(12)를 그대로의 상태에서 대기시킨다. 이 이빙대기시간에 들어가면 마이크로컴퓨터(26)는 제빙용기용 온도센서(15)의 검출온도(T)가 -16℃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스텝 S14) 해당 검출온도가 T가 -16℃ 이하일 경우에는(스텝 S14에서 「YES」), 제빙용기용 히터(14)에 통전해서 (스텝 S15) -16℃를 넘으면 제빙용기용 히터(14)를 단전한다. (스텝 S16)라는 동작을 되풀이 한다. 그리고 급수개시시점으로부터 2.8시간 경과한 곳에서 (제5도의 스텝 S13에서「YES」), 마이크로컴퓨터(26)는 제빙용기용 히터(14)를 단전한 후 이빙으로 이행한다(동스텝 S17,18). 기어감속기구의 모터(9)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제빙용기(12)를 상하반전 시킨다. 이 반전동작의 종료직전에 제빙용기(12)가 비틀어지고 이 비틀림에 의해 얼음이 제빙용기(12)로부터 떨어져가 제빙상자(13)내에 낙하해서 쌓인다. 그리고 제빙용기(12)가 반전위치까지 회전하면 스위치회로(31)로부터 반전완료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26)는 다음에 모터(9)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빙용기(12)를 원래의 수평위치로 돌아간다. 제빙용기(12)가 수평위치로 돌아가면 스위치회로(31)로부터 복귀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에 다음에 마이크로컴퓨터(26)는 저빙상자(13)의 저빙량을 판단한다(제5도의 스텝 S19). 그리고 저빙상자(13)가 가득차 있지 않으면 제빙용기(12)로의 급수를 실행하기위해 상기 스텝 S1으로 돌아오고 이후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저빙상자(13)내에 얼음이 가득차면 도시하지 않은 검지스위치가 동작하기 때문에 저빙상자(13)로부터 얼음이 꺼내질때까지 이후의 제빙은 정지된다. 한편 제빙용기용 온도센서(15)의 검출온도(T)가 -13.5℃ 이하를 검출하고 마이크로컴퓨터(26)가 제빙완료라 판단한 시점에서 이미 2.8시간 경과했을 경우에는(제5도의 스텝 S13에서 「YES) 마이크로컴퓨터(26)는 이빙으로 이행하고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같이 얼음이 제빙용기(12)로부터 떨어져 나가 저빙상자(13)에 쌓인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급수시로부터 2.8시간 경과하기전에 제빙용기용 온도센서(15)가 -13.5℃ 이하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2.8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제빙용기(12)에는 냉기가 불어닿게 된다. 그러나 이때에는 제빙용기용 히터(14)가 통전되어 제빙용기(12)의 바닥부분을 따뜻하게 하기 때문에 제빙용기(12)와 접해있는 얼음의 면이 과도하게 온도저하할 우려는 없다. 따라서 얼음이 제빙용기(12)에 강하고 견고하게 고착할 우려없이 양호한 이빙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빙용기용 히터(14)에 의해 제빙용기용 온도센서(15)도 가열되기 때문에 해당 센서(15)도 과도하게 차가와지지 않고 이빙후의 급수에 의해 제빙용기(12)의 온도가 일정한 시간내에서 급수완료 온도까지 상승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따라서 제빙용기(12)에 실제로 급수가 실행됨에도 불구하고 제빙동작이 정지해 버릴 우려가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덮개용 히터와 제빙용기용 히터를 각각 설치하고 있지만 제빙용기 상면에 1개의 히터를 설치하고 제빙시 및 이빙대기시간에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사용목적에 맞춘 발열량을 적절하게 제어하면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6도 내지 제10도는 제빙용기 및 제빙용기용 히터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빙용기(50)는 이 제빙용기(50)의 중앙부에 설치된 축부(51)를 지나 이 제빙용기(50)를 지지하는 테두리본체(52)와 축부(51)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52)에 의해 구성된다. eh한 제빙용기(50)의 뒷면에는 제빙용기(50)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53)가 설치되어 있다(제6도 및 제7도 참조). 제빙용기의 하면에는 이빙용 히터(54,55)가 설치되고 이빙히터(54)는 테두리본체(54)의 앞끝부분의 하부에서 돌출설치한 한쌍의 지지판(56)사이에 가설되어 있다(제3도 참조). 또한 이빙용 히터(55)는 회전장치(52)의 하부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지지판(57)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빙용 히터(54,55)는 제빙용기(5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은 우치로서 또한 이빙용 히터(54,55)로부터의 열이 제빙용기(50)의 바닥부분을 가열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얼음과 제빙용기(50)의 바닥면이 떨어지기 쉽도록 했기 때문이다(제6도 및 제7도 참조). 또한 이빙용 히터(54,55)가 제빙용기(50)의 바닥부분의 양단부 근방에 위치시킨 것은 제빙용기(50)를 비틀었을 경우에 제빙용기(50)의 중앙부는 비틀림 힘이 잘 작용된 얼음이 이빙하기 쉽지만 제빙용기(50)의 양단부는 비틀림 힘이 약하고 이빙하기 힘들기 때문에 그 보조를 하기 위해 이 위치에 설치했다. 이빙용 히터(54,55)의 구조로서는 원통상의 유리관(58)의 내부에 전열선(59)를 설치하고 유리관(58)의 양단을 실리콘고무(60)로 고정된 것이다(제9도 참조). 또한 실리콘 고무(60)로 고정된 유리관(58)을 받침대(61)에 설치한다(제10도 참조). 그리고 이 받침대(61)의 양단부를 한쌍의 지지판(56) 또는 한쌍의 지지판(57)로 지지되어 있다. 받침대(61)의 상면 및 전면은 열방사 때문에 개구하고 또한 후면 바닥면 및 양측면의 내면측은 열이 반사하기 쉽도록 알루미늄이 증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제빙용기(50)를 기계적으로 반전시킨 경우에 제빙용기(50)로부터 이빙하기 힘든 제빙용기(50)의 단부에 있는 얼음이 그 근방에 설치된 이빙용 히터(54,55)로부터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이빙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제빙용기(50)에 얼음이 남지 않는다. 또한 이빙을 위한 회전장치(52)이 회전력을 극단으로 올리지 않아도 이빙용 히터(54,55)의 보조에 의해 이빙이 실행하기 쉽다. 즉 이 효과는 다시 말하면 회전장치(52)에 의한 비틀림 힘을 크게 가하지 않아도 이빙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빙용기(50)의 비틀림 및 이빙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빙용기(50)의 양단부가 비틀림 힘이 약하다고 해서 이빙용 히터(54,55)를 제빙용기(50)이 아랫면 양단부에 설치했지만 만약 제빙용기(50)의 중앙부에서 트위스트 힘이 약할 경우에는 제빙용기(50)의 중앙부분에 이빙용 히터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빙용 히터(54,55)로서 전열선(58)에 의한 히터를 사용했지만 이 대신에 가열원으로서 할로겐 램프등을 사용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빙완료 후 이빙이 실행되기까지 제빙용기가 장시간 냉기에 방치되어도 그 시간동안 제빙용기의 바닥부가 히터에 의해 가온되므로써 양호한 이빙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빙용기에 급수가 실시된 경우에 급수완료 검지온도까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보증하여 급수완료 통지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제빙용기의 바닥부에 설치된 온도센서에 의해 제빙완료를 검출하고 상기 제빙용기를 반전시켜 이빙동작을 하는 냉장고내에 설치된 제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장치가 상기 제빙용기의 아랫면에 설치된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므로써 상기 온도센서가 제빙완료를 나타내는 소정의 검출온도를 검출하여 이빙동작을 개시할 때까지의 이빙동작 대기시간을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가열장치로 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장치가 타이머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제빙용기에 급수를 개시할 때에 카운터를 개시해서 소정시간을 카운터하여 이빙동작대기시간의 완료시 상기 가열장치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가 상기 제빙용기의 상면에 위치하여 제빙동작시에도 통전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제빙용기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의 가열장치와 상기 제빙용기의 하면에 위치하는 제2의 가열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통전제어수단에의해 제빙동작시에는 상기 제1의 가열장치를 통전가열하고 이빙동작대기시간에는 상기 제2의 가열장치를 통전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를 상기 제2의 가열장치에 근접하여 설치하고 이빙동작대기시간에 상기 제빙용기와 함께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이빙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기에 부여되는 비틀림 힘이 적은 부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19920024854A 1991-12-17 1992-12-16 냉장고의 제빙장치 KR960008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33249A JPH05164440A (ja) 1991-12-17 1991-12-17 冷蔵庫の製氷装置
JP91-333249 1991-12-17
JP91-333248 1991-12-17
JP3333248A JPH05164441A (ja) 1991-12-17 1991-12-17 冷蔵庫の製氷装置
JP92-017549 1992-02-03
JP4017549A JPH05215449A (ja) 1992-02-03 1992-02-03 自動製氷装置における離氷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644A KR930013644A (ko) 1993-07-22
KR960008175B1 true KR960008175B1 (ko) 1996-06-20

Family

ID=2728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854A KR960008175B1 (ko) 1991-12-17 1992-12-16 냉장고의 제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1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5466B2 (en) 2007-07-16 2011-03-15 Lg Electronics Inc. Ice tray
KR20110072368A (ko) * 2009-12-22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320820B1 (ko) * 2006-08-29 2013-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356100B1 (ko) * 2006-09-18 2014-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924A (ko) 2007-07-16 2009-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033600B1 (ko) * 2009-05-27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820B1 (ko) * 2006-08-29 2013-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356100B1 (ko) * 2006-09-18 2014-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US7905466B2 (en) 2007-07-16 2011-03-15 Lg Electronics Inc. Ice tray
KR20110072368A (ko) * 2009-12-22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644A (ko) 199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076B1 (ko) 냉장고의 완빙방법 및 그 냉장고
JPH0611219A (ja) 自動製氷装置
KR960008174B1 (ko) 자동제빙장치
JPH05203302A (ja) 自動製氷装置
KR960008175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960008177B1 (ko) 제빙장치
JP2008157619A (ja) 製氷装置、冷凍冷蔵庫
JPH06273014A (ja) 自動製氷装置
JP2517158Y2 (ja) 冷蔵庫の製氷装置
JP3174131B2 (ja) 自動製氷装置
JPH04313662A (ja) 冷蔵庫の製氷装置
KR0182728B1 (ko) 냉장고의 자동제빙장치
JPH05306860A (ja) 自動製氷装置
JPH05164440A (ja) 冷蔵庫の製氷装置
JP4197012B2 (ja) 冷凍冷蔵庫
KR960008178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JP2944339B2 (ja) 冷蔵庫
JP2809890B2 (ja) 自動製氷装置
JPH05312447A (ja) 冷蔵庫の自動製氷装置
JPH05164441A (ja) 冷蔵庫の製氷装置
JP3130130B2 (ja) 自動製氷装置
JP2005188913A (ja) 製氷装置
KR19990049520A (ko) 냉장고의 자동제빙장치
JPH0688663A (ja) 製氷装置
KR20080001004A (ko)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제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